KR102562648B1 - 프린트 장치, 프린트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프린트 장치, 프린트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648B1
KR102562648B1 KR1020190083578A KR20190083578A KR102562648B1 KR 102562648 B1 KR102562648 B1 KR 102562648B1 KR 1020190083578 A KR1020190083578 A KR 1020190083578A KR 20190083578 A KR20190083578 A KR 20190083578A KR 102562648 B1 KR102562648 B1 KR 102562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heating
color portion
print medium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700A (ko
Inventor
다카시 후지타
다케루 사사키
히로아키 오가와
오키노리 츠치야
아키토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35Structure of thermal heads
    • B41J2/33505Constructional details
    • B41J2/33515Heat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4Multicolour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525Arrangement for multi-colour printing, not covered by group B41J2/21, e.g.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가열됨으로써 색부를 얻도록 색을 발현하는 복수의 발색층이 두께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프린트 매체가 제1 방향으로 반송된다. 프린트 매체를 가열하는 복수의 발열 소자가 복수의 발색층이 각각의 색을 선택적으로 발현하게 하도록 제어된다. 프린트 매체의 가열 위치는, 프린트 매체의 발색층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색부에 의해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해상도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각각 포함하는 라인이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복수의 화소의 위치가 제1 방향의 라인 사이에서 해상도에 대응하는 간격보다 작은 거리만큼 어긋나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프린트 장치, 프린트 방법 및 저장 매체{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열 프린트 매체를 사용하여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장치, 프린트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4677431호의 명세서는 상이한 색을 발현하는 복수의 발색층을 포함하는 감열 프린트 매체를 사용하여 화상을 프린트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발색층은 발색에 필요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이 서로 상이하다. 이들 차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발색층이 그들의 색을 선택적으로 발현하게 함으로써, 컬러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발색에 필요한 가열 시간이 짧은 시간으로 제한되는 발색층에서는, 발색층의 색부의 면적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그 색부가 프린트 매체를 덮는 피복률이 낮아지고, 그 발색의 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색부의 발색의 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고품질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는 프린트 장치, 프린트 방법,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프린트 장치로서,
프린트 매체를 제1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반송 유닛;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가열됨으로써 색부를 얻도록 색을 발현하는 복수의 발색층이 두께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프린트 매체를 가열하는 복수의 발열 소자를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및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색층이 각각의 색을 선택적으로 발현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발열 소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프린트 매체의 상기 발색층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색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해상도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각각 포함하는 라인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화소의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라인 사이에서 상기 해상도에 대응하는 간격보다 작은 거리만큼 어긋나도록,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린트 매체의 가열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프린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프린트 방법으로서,
가열됨으로써 색을 발현하는 복수의 발색층이 두께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프린트 매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린트 매체를 제1 방향으로 반송하는 단계; 및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색층이 각각의 색을 선택적으로 발현하게 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프린트 매체를 가열하는 복수의 발열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린트 매체의 가열 위치가, 상기 프린트 매체의 상기 발색층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복수의 색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미리결정된 해상도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각각 포함하는 라인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소의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의 라인 사이에서 상기 해상도에 대응하는 간격보다 작은 거리만큼 어긋나도록 제어되는 프린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는, 컴퓨터가 프린트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린트 방법은,
가열됨으로써 색을 발현하는 복수의 발색층이 두께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프린트 매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프린트 매체를 제1 방향으로 반송하는 단계; 및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색층이 각각의 색을 선택적으로 발현하게 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프린트 매체를 가열하는 복수의 발열 소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린트 매체의 가열 위치가, 상기 프린트 매체의 상기 발색층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복수의 색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미리결정된 해상도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각각 포함하는 라인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소의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의 라인 사이에서 상기 해상도에 대응하는 간격보다 작은 거리만큼 어긋나도록 제어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색부의 피복률이 증가되어, 그 발색의 정도를 향상시키며 따라서 고품질 화상의 프린트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예시적인 프린트 매체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프린트 매체의 열 처리에 필요한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의 설명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프린트 장치의 프린트 헤드의 설명도이며, 도 1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프린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d의 프린트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2b는 프린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c의 프린트 헤드에서의 발열 소자 배치의 배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a에서의 화상 처리 가속기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가열 펄스에 의해 발색하게 되는 색부의 배치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화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의 색부의 배치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서의 화상 처리 가속기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가열 펄스에 의해 발색하게 되는 색부의 배치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서의 화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가열 펄스에 의해 발색하게 되는 색부의 배치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서의 화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서의 화상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가열 펄스에 의해 발색하게 되는 색부의 배치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서의 발열 소자의 배치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의 화상 처리 가속기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가열 펄스에 의해 발색하게 되는 색부의 배치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a는 열 프린트 매체(10)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 준비되는 프린트 매체(10)에서는, 광을 반사하는 기재(12) 상에 화상 형성층(14, 16, 및 18), 스페이서층(15 및 17), 및 보호막층(13)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프린트 매체(10)에 풀컬러 화상을 프린트할 경우,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층(14, 16 및 18)은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의 발색층이다. 다른 화상 형성층을 조합해도 된다.
화상 형성층(14, 16 및 18)은 열을 감지하기 전에는 무색이며, 각각의 층의 특정한 활성화 온도까지 가열됨으로써 그들의 색을 발현한다. 프린트 매체(10)에서의 화상 형성층(14, 16 및 18)의 적층 순서는 원하는 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화상 형성층(14, 16 및 18)이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발색층인 경우, 이들 층의 적층 순서의 일례는 도 1a에 도시된 순서이다. 순서의 다른 예에서, 화상 형성층(14, 16 및 18)은 각각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의 발색층이다.
스페이서층(15)은, 스페이서층(17)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층(15, 17)의 재료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열확산율을 갖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아도 된다. 스페이서층(17)의 기능은 프린트 매체(10) 내에서 열확산을 제어하는 것이다. 스페이서층(17)이 스페이서층(15)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스페이서층(17)은 스페이서층(15)보다 적어도 4배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12)에 배치된 모든 층은, 프린트 매체(10)가 열을 감지하기 전에는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기재(12)가 백색 등을 반사하는 경우, 프린트 매체(10)에 발현된 컬러 화상은 기재(12)에 의해 반사된 배경에 대하여 보호막층(13)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기재(12) 상에 배치된 층이 투명하기 때문에, 화상 형성층에서 발현되는 색의 조합은 보호막층 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본 예에서, 프린트 매체(10)의 3개의 화상 형성층(14, 16 및 18)은 동일한 측에서 기재(12)의 표면에 배치된다. 기재(12)의 반대측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화상 형성층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의 화상 형성층(14, 16 및 18)은 2개의 조정가능한 파라미터(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독립적으로 열처리된다. 이들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서멀 헤드(프린트 헤드)가 프린트 매체(10)를 가열하는 온도와 시간에 따라, 원하는 화상 형성층이 그들 각각의 색을 발현하게 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프린트 헤드가 프린트 매체(10)의 최상층의 보호막층(13)에 접촉하여 프린트 매체(10)를 가열함에 따라, 화상 형성층(14, 16 및 18)이 열처리된다. 기재(12)로부터의 제3 화상 형성층인 화상 형성층(14)(프린트 매체(10)의 표면에 가장 가까운 화상 형성층)이 그 색을 발현하는 활성화 온도(Ta3)는, 기재(12)로부터의 제2 화상 형성층인 제2 화상 형성층(16)의 활성화 온도(Ta2)보다 높다. 또한, 제2 화상 형성층(16)의 활성화 온도(Ta2)는 기재(12) 상의 제1 화상 형성층(18)의 활성화 온도(Ta1)보다 높다. 화상 형성층(14, 16 및 18)은, 화상 형성층 각각이 보호막층(13)에 접촉하는 프린트 헤드로부터 멀리 있을수록, 프린트 헤드로부터의 열이 화상 형성층과 보호막층(13)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층(들) 등에서 확산하는 것에 의해 각각 더 늦게 가열되게 된다. 보호막층(13)에 더 가까운 화상 형성층의 활성화 온도가 보호막층(13)으로부터 더 먼 화상 형성층의 활성화 온도보다 높아도, 이러한 가열의 지연에 의해 후자의 화상 형성층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의 화상 형성층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막층(13)으로부터 더 먼 위치의 화상 형성층을 활성화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막층(13)에 더 가까운 위치의 화상 형성층을 활성화시키도록 프린트 매체(10)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막층(13)에 가장 가까운 화상 형성층(14)을 활성화(그에 대한 열처리 실행)시키기 위해서, 프린트 헤드가 단시간 동안 비교적 높은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는 경우, 화상 형성층(16 및 18)은 이들 어느 것도 활성화되지 않는 정도로만 가열된다. 또한, 화상 형성층(16 또는 18)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프린트 매체(10)는 화상 형성층(14)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시간 및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 긴 시간 동안 프린트 헤드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막층(13)에 더 가까운 위치의 화상 형성층을 활성화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보호막층(13)으로부터 더 먼 위치의 화상 형성층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프린트 매체(10)의 가열에는 프린트 헤드(서멀 프린트 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화상 형성층(14, 16, 18)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프린트 매체(10)를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 방법이라면, 다양한 가열 방법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된 광원(레이저와 같은 수단) 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b는, 화상 형성층(14, 16 및 18)의 열처리에 필요한 프린트 헤드에 의한 가열의 온도 및 시간의 설명도이다. 도 1b의 종축은 프린트 헤드에 접촉하는 프린트 매체(10)의 표면 온도를 나타내고, 횡축은 가열 시간을 나타낸다. 영역(21, 22, 및 23)은 온도 및 가열 시간의 상이한 조합의 영역을 나타낸다. 비교적 높은 가열 온도 및 비교적 짧은 가열 시간의 영역(21)은, 화상 형성층(옐로우(Y)의 발색층)(14)을 활성화하기 위한 가열 조건에 대응한다. 중간 가열 온도 및 중간 가열 시간의 영역(22)은, 화상 형성층(마젠타(M)의 발색층)(16)을 활성화하기 위한 가열 조건에 대응한다. 비교적 낮은 가열 온도 및 비교적 긴 가열 시간의 영역(23)은, 화상 형성층(시안(C)의 발색층)(18)을 활성화하기 위한 가열 조건에 대응한다. 화상 형성층(18)의 활성화에 필요한 시간은 실질적으로 화상 형성층(14)의 활성화에 필요한 시간보다 길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 온도는 대략 90℃ 내지 대략 300℃의 범위 내이다. 화상 형성층(18)의 활성화 온도(Ta1)는, 프린트 매체(10)의 출하 및 보관 동안의 프린트 매체(10)의 열 안정성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낮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층(14)의 활성화 온도(Ta3)는 높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층(16)의 활성화 온도(Ta2)는 활성화 온도 Ta1과 Ta3 사이의 온도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140℃와 대략 180℃ 사이이다.
본 예에서, 프린트 헤드는 프린트 화상의 폭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고, 복수의 발열 저항 소자(이하, "발열 소자"라 칭함)의 실질적 직선적 배열을 포함한다. 프린트 헤드의 폭은 프린트 화상의 폭보다 짧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프린트 헤드를 이동시키는 구성 또는 복수의 프린트 헤드를 사용하는 구성이 프린트 화상의 전체 폭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발열 소자에 가열 펄스를 인가하면서, 프린트 매체(10)를 발열 소자의 라인 방향과 교차(본 예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송함으로써, 프린트 매체(10)가 가열되고 화상이 프린트된다. 프린트 헤드에 의한 프린트 매체(10)의 가열 시간은 프린트 화상 1 라인당 대략 0.001 밀리초 내지 대략 100 밀리초의 범위 내이다. 가열 시간의 상한은, 가열 시간과 화상의 프린트에 걸리는 시간 사이의 균형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한편, 하한은 전자 회로의 제약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화상을 형성하는 화소(도트)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프린트 매체(10)의 반송 방향과 거기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 방향에서 1인치당 100 내지 600 도트(100 내지 600 dpi의 해상도에 대응)가 형성될 수 있는 범위 내이다. 각각의 방향에서의 도트 간격은 다른 것과 상이해도 된다.
도 1c는 본 예에서의 프린트 헤드(30)와 프린트 매체(10) 사이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화살표 x는 프린트 헤드(30)에서의 발열 소자의 배열 방향(라인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y는 프린트 매체(10)의 반송 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 z는 수직 방향을 따르는 상향 방향을 나타낸다. 프린트 헤드(30)의 베이스(31) 상에는 글레이즈(glaze)(32)가 제공되어 있으며, 글레이즈(32)에는 돌출면 글레이즈(33)가 제공되어도 된다. 돌출면 글레이즈(33)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에 발열 소자(34)가 배치된다. 돌출면 글레이즈(3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평탄한 글레이즈(32)의 표면에 발열 소자(34)가 배치된다. 발열 소자(34), 글레이즈(32) 및 돌출면 글레이즈(33)에 걸쳐 보호막층(3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글레이즈(32) 및 돌출면 글레이즈(33)의 조합은 이하 "프린트 헤드의 글레이즈"라 지칭하기도 한다. 베이스(31)는 히트 싱크(35)에 접촉하고 있고, 팬 등에 의해 냉각된다. 프린트 매체(10)는, 발열 소자의 배열 방향에서 프린트 매체(10)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더 긴 프린트 헤드의 글레이즈와 접촉한다. 전형적인 발열 소자는 프린트 매체(10)의 반송 방향(y 방향; 제1 방향)의 길이가 대략 120 마이크로미터이고, 일반적인 프린트 헤드의 글레이즈와 프린트 매체(10) 사이의 열적인 접촉 영역은 그 방향의 길이가 2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이다.
도 1d는 본 예에서의 프린트 장치(40)의 개략 구성의 설명도이다. 프린트 장치(40)는, 프린트 헤드(30), 프린트 매체(10)의 저장 유닛(41), 반송 롤러(42), 플래튼(43) 및 배출구(44)를 포함한다. 저장 유닛(41)은 복수 매의 프린트 매체(10)를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커버를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프린트 매체(10)를 보충할 수 있다. 프린트 동작 동안, 프린트 매체(10)는 반송 롤러(42)에 의해 프린트 헤드(30)와 대면하는 위치로 반송된다. 프린트 헤드(30)와 플래튼(43) 사이에서 화상이 프린트된 후, 프린트 매체(10)는 배출구(44)로부터 배출된다.
도 2a는 프린트 장치(40)와 호스트 장치로서의 퍼스널 컴퓨터(PC)(50)를 포함하는 프린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호스트 PC(50)의 CPU(501)는 HDD(503) 및 RAM(50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RAM(502)은 휘발성 스토리지이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HDD(503)는 불휘발성 스토리지이며,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유지한다.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I/F)(504)는 프린트 장치(40)에 대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한다.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접속 방식으로서는, USB, IEEE1394, 또는 LAN 등의 유선 접속 또는 Bluetooth(등록 상표) 또는 WiFi 등의 무선 접속을 사용할 수 있다. 키보드-마우스 I/F(505)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휴먼 인터페이스 디바이스(human interface device)(HID)를 제어하는 I/F이며, 유저는 이 I/F를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I/F(506)는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에서의 표시를 제어한다.
프린트 장치(40)의 CPU(401)는, ROM(403) 및 RAM(40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후술하는 처리 등을 실행한다. RAM(402)은 휘발성 스토리지이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ROM(403)은 불휘발성 스토리지이며, 후술하는 처리에 사용되는 테이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유지한다. 데이터 전송 I/F(404)는 PC(50)에 대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한다. 헤드 컨트롤러(405)는 프린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린트 헤드(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헤드 컨트롤러(405)는 RAM(402)의 미리결정된 어드레스로부터 제어 파라미터 및 프린트 데이터를 판독한다. 제어 파라미터와 프린트 데이터는 CPU(401)에 의해 RAM(402)의 미리결정된 어드레스에 기입된다. 이 기입에 응답하여, 헤드 컨트롤러(405)는 기동되어서 프린트 헤드(30)를 제어한다. 화상 처리 가속기(406)는 하드웨어로서 구성되며, CPU(401)가 행하는 것보다 고속으로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화상 처리 가속기(406)는 RAM(402)의 미리결정된 어드레스부터 화상 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와 데이터를 판독한다. 파라미터와 데이터는 CPU(401)에 의해 RAM(402)의 미리결정된 어드레스에 기입된다. 이 기입에 응답하여, 화상 처리 가속기(406)가 기동되고 미리결정된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처리 가속기(406)는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다는 것에 유의한다. 프린트 장치의 사양 등에 따라서는, CPU(401) 만이 테이블 파라미터 생성 처리, 화상 처리 등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b는 프린트 동작 동안의 프린트 장치(40) 및 호스트 PC(50)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b에서, 단계 S1 내지 S5는 호스트 PC(50)에서의 처리이며, 단계 S11 내지 S16은 프린트 장치(40)에서의 처리이다.
먼저, 프린트를 실시하려는 유저의 시도에 응답하여, 프린트 장치(40)는, 장치 그 자체가 프린트를 행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러한 경우에는 프린트 서비스를 개시한다(S11). 이 상태에서, 호스트 PC(50)는 프린트 서비스를 검출한다(찾는다)(S1). 이에 응답하여, 프린트 장치(40)는, 프린트 장치(40) 그 자체가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프린트 가능 정보)를 호스트 PC(50)에 통지한다(S12, S13).
그 후, 호스트 PC(50)는 프린트 가능 정보를 취득한다(S2). 기본적으로는, 호스트 PC(50)는 프린트 장치(40)에 프린트 가능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고, 프린트 장치(40)는 응답으로 프린트 가능 정보를 호스트 PC(50)에 통지한다. 그 후, 호스트 PC(50)는 프린트 가능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트 작업을 생성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축한다(S3). 구체적으로, 프린트 가능 정보에 기초하여, 호스트 PC(50)는 프린트 사이즈, 프린트가능 프린트 매체의 사이즈 등을 표시하며, 또한 유저에게 프린트를 위한 적절한 선택지를 제공한다.
그 후, 호스트 PC(50)는 프린트 작업을 발행하고(S4), 프린트 장치(40)는 프린트 작업을 수신하며(S14) 프린트 작업을 실행한다(S15). 프린트 장치(40)는, 프린트 작업을 완료한 후에, 프린트 작업이 종료된 것을 호스트 PC(50)에 통지한다(S16). 호스트 PC(50)는 그 통지를 수신하고 통지를 유저에게 알린다(S5). 프린트 작업이 종료된 후에, 호스트 PC(50) 및 프린트 장치(40)는 프린트 서비스 처리를 종료한다.
본 예에서, 다양한 정보 전달은, 호스트 PC(50) 측이 프린트 장치(40) 측에 정보 송신 요청을 보내고 프린트 장치(40)가 그 요청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각각 이루어진다. 그러나, 호스트 PC(50)와 프린트 장치(40) 사이의 통신 방법은 이러한 소위 풀 타입(pull type)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린트 장치(40)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호스트 PC(50)(및 다른 호스트 PC)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소위 푸쉬 타입(push-type) 통신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도 3은, 프린트 헤드(30)에서의 발열 소자(34)의 설명도이다. 도 3에서, 발열 소자(801 내지 806)(34)에는, 각각 그것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양 전극(811 내지 816) 및 음 전극(821 내지 826)이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프린트 매체의 폭 방향(x 방향; 제2 방향)의 프린트 해상도가 600 dpi인 경우, 2인치 폭의 프린트 매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1200 화소에 상당하는 수의 발열 소자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발열 소자의 수를 6으로 한다.
도 4는 프린트 헤드(30)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옐로우(Y)를 발현시키기 위해서, 도 1b의 영역(21)의 가열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가열 펄스에 의한 가열 시간(펄스폭에 대응)은 Δt1로 설정된다. 또한, 마젠타(M)를 발현시키기 위해, 도 1b의 영역(22)의 가열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간격 시간 Δt0m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가열 시간 Δt2 동안 가열 펄스에 의해 가열을 총 2회 행한다. 또한, 시안(C)을 발현시키기 위해, 도 1b의 영역(23)의 가열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간격 시간 Δt0c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가열 시간 Δt3 동안 가열을 총 4회 행한다.
도 4의 상위 3열(Yo, Mo, Co)은 임의의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발열 소자(801, 803, 또는 805) 등)에 인가하는 가열 펄스를 나타내며, Yo, Mo, 및 Co은 각각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을 발현시키기 위한 가열 펄스를 나타낸다. 도 4의 하위 3열(Ye, Me, 및 Ce)은 임의의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발열 소자(802, 804, 또는 806) 등)에 인가하는 가열 펄스를 나타내며, Ye, Me, 및 Ce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을 발현시키기 위한 가열 펄스를 나타낸다. 레드(R), 그린(G), 블루(B) 및 블랙(K)은 후술하는 도 23의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을 조합함으로써 발현된다.
도 4에서, 각각의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Yo, Mo, 및 Co)에 의한 첫 번째 단일 화소의 프린트는 시점 p0 내지 시점 p7의 7 펄스 기간의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다음 단일 화소의 프린트는 시점 p7 내지 p14의 기간에 실행된다. 이렇게, 발열 소자(Yo, Mo, 및 Co)는, 시점 p0 내지 p7의 기간 및 시점 p7 내지 p14의 기간 같이 단일 화소 동안의 7 펄스 기간과 동등한 Ao의 주기적 간격으로 발열하도록 구동된다. 이 단일 주기적 간격(Ao) 동안 프린트 매체가 이동하는 거리는 해상도에 대응한다. 또한, 각각의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Ye, Me, 및 Ce)에 의한 첫 번째 단일 화소의 프린트는, 시점 p3 내지 p10의 7 펄스 기간의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다음 단일 화소의 프린트는 시점 p10 내지 p17의 기간에 실행된다. 이렇게, 발열 소자(Ye, Me, 및 Ce)는, 시점 p3 내지 p10의 기간 및 시점 p10 내지 p17의 기간 같이 7 펄스 기간과 동등한 Ae의 주기적 간격으로 발열하도록 구동된다. 발열 소자(Yo, Mo, 및 Co)와 발열 소자(Ye, Me, 및 Ce)는 각각이 7 펄스 기간과 동등한 Ao 및 Ae의 주기적 간격으로 각각 반복적으로 구동된다. 주기적 간격(Ae)은 주기적 간격(Ao)에 대해 3 펄스 기간만큼 지연된다. 즉, 각각의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 및 각각의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은 대략 반 화소(3/7 펄스 기간)만큼 서로 어긋나 있다.
도 5는 도 4에서의 가열 펄스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2a의 화상 처리 가속기(406)에서의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1-1 내지 701-6)은 각각 발열 소자(801 내지 806)에 대응한다. 화상 처리 가속기(406)는 RAM(402)으로부터 판독한 C, M, 및 Y 성분에 기초하여 발열 소자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1-1)은,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801)에 의해 프린트되는 화소의 C, M, 및 Y 성분을 RAM(402)으로부터 판독하고, 이들 성분에 대응하는 가열 펄스(Co, Mo, 및 Yo)를 생성한다. 도 4에서와 같이, C 성분에 대응하는 가열 펄스는 Δt1의 펄스폭 및 1의 펄스수를 갖고, M 성분에 대응하는 가열 펄스는 Δt2의 펄스폭 및 2의 펄스수를 가지며, Y 성분에 대응하는 가열 펄스는 Δt3의 펄스폭 및 4의 펄스수를 갖는다. 이들 가열 펄스는 Yo, Mo, 및 Co의 순서로 발열 소자(801)에 인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열 소자(801)는 대상 화소가 C, M, 및 Y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게 함으로써 원하는 색을 발현시킨다. 마찬가지로,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1-3 및 701-5)은 홀수 번째 위치의 그들 각각의 발열 소자(803 및 805)에 대해 가열 펄스(Co, Mo, 및 Yo)를 생성하고 그들에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 발열 소자(801, 803, 및 805)에 대한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리거 펄스(Tr0)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1-2, 701-4, 및 701-6)은 짝수 번째 위치의 그들 각각의 발열 소자(802, 804, 및 806)에 대해 가열 펄스(Ce, Me, 및 Ye)를 생성한다. 이들 가열 펄스는 Ye, Me, 및 Ce의 순서대로 인가된다. 발열 소자(802, 804, 및 806)에 대한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리거 펄스(Tr1)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열 시간(Δt1, Δt2, 및 Δt3)은 이하의 식에 의해 표현되는 관계를 가지며, 이에 따르면 각 색을 발현하기 위한 총 가열 펄스 기간은 동일하다.
Δt1 = Δt2 × 2 = Δt3 × 4
또한, 가열 펄스에 의한 가열 시간(Δt1, Δt2, 및 Δt3)과 도 1b의 가열 시간(t1, t2, 및 t3)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t2 > Δt1 > t1
T3 > 2(Δt2) + Δt0m > t2
4(Δt3) + 3(Δt0c) > t3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을 발현시키는데 걸리는 가열 시간은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
Y < M < C
간격 시간(Δt0m 및 Δt0c) 동안, 프린트 헤드(30)의 글레이즈, 베이스(31) 및 히트 싱크(35)(도 1c 참조)로의 열의 전달에 의해 프린트 매체(10)의 온도는 저하된다. 또한, 간격 시간(Δt0m 및 Δt0c) 동안, 프린트 매체(10)의 열이 플래튼(43)(도 1d 참조) 등에도 전달되며, 이에 의해서도 프린트 매체(10)의 온도는 저하된다. 따라서,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을 발현시키기 위한 가열 펄스에 의해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이 동일하다고 상정하면, 이들 색을 발현시키기 위한 피크 온도(Y, M, 및 C의 피크 온도)는 이하의 부등식에 의해 표현되는 관계를 갖는다.
Y > M > C
또한, 도 1b의 가열 조건을 충족하는 Y, M, 및 C의 피크 온도는 이하의 부등식에 의해 표현되는 관계를 갖는다.
Y의 피크 온도 > Ta3
Ta3 > M의 피크 온도 > Ta2
Ta2 > C의 피크 온도 > Ta1
상술한 바와 같이 Y, M, 및 C의 피크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Y, M, 및 C의 색이 서로 독립적으로 발현된다.
도 6은, 도 3의 프린트 헤드(30)의 발열 소자(801 내지 806)에, 도 4의 가열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발색시킨 프린트 매체(10)의 색부의 설명도이다. 화소 라인(111 및 112), 화소 라인(113 및 114), 및 화소 라인(115 및 116)이 각각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를 미리결정된 해상도로 발현시키게 하기 위해서, 프린트 매체(10)의 반송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화소 라인(111 내지 116)과 발열 소자(801 내지 806)는 각각 서로 연관지어진다. 화소 라인(111, 113, 및 115)은 홀수 번째 라인(홀수)이며, 화소 라인(112, 114, 및 116)은 짝수 번째 라인(짝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짝수 번째 화소 라인(112)에 대한 발열 소자(Ce)의 주기적 구동 간격(Ae)은 홀수 번째 화소 라인(111)에 대한 발열 소자(Co)의 주기적 구동 간격(Ao)에 대해 3 펄스 기간(3/7 펄스 기간)만큼 지연된다. 이와 같이, 화소 라인(112)에서의 시안(C) 색부는 화소 라인(111)에서의 시안(C) 색부로부터 대략 반 화소만큼 반송 방향(y 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어긋난다. 즉, 화소 라인(112)에서의 시안(C) 색부는 화소 라인(111)에서의 시안(C) 색부로부터 각각의 해상도보다 작은 길이만큼 반송 방향(y 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어긋난다. 마찬가지로, 화소 라인(114)에서의 마젠타(M) 색부는 화소 라인(113)에서의 마젠타(M) 색부로부터 대략 반 화소만큼 반송 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서 어긋난다. 또한, 화소 라인(116)에서의 옐로우(Y) 색부는 화소 라인(115)에서의 옐로우(Y) 색부로부터 대략 반 화소만큼 반송 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어긋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발색층에서 x 방향(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색부의 위치가 y 방향(제1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는 프린트 매체의 가열 위치를 제어한다.
마젠타(M) 또는 옐로우(Y) 색부가 프린트 매체(10)를 덮는 피복률은 시안(C) 색부의 피복률보다 낮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을 발현시키는데 걸리는 가열 시간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Y < M < C
도 6에서, 화소 라인(113, 114)에서의 마젠타(M) 색부의 피복률은 후술하는 도 25의 비교예의 화소 라인(93, 94)에서의 마젠타(M) 색부의 피복률보다 높다. 마찬가지로, 화소 라인(115, 116)에서의 옐로우(Y) 색부의 피복률은 후술하는 비교예의 화소 라인(95, 96)에서의 옐로우(Y) 색부의 피복률보다 높다. 이는, 본 예에서는, 각각의 홀수 번째 화소 라인에 대한 발열 소자의 주기적 구동 간격(Ao)과 각각의 짝수 번째 화소 라인에 대한 발열 소자의 주기적 구동 간격(Ae)이 대략 반 화소(3/7 펄스 기간)만큼 서로 어긋나기 때문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25의 비교예보다, 인접하는 화소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대략 1.15배(2÷√3) 더 길고, 이에 의해 색부가 서로 중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도 6에서, 각각의 사각형 프레임 부분(P)은 단일 화소를 나타내고, 프린트 매체의 폭 방향(x 방향)의 각각의 단일 화소의 길이는 단일 발열 소자에 대응하며, 프린트 매체의 반송 방향(y 방향)의 길이는 7 펄스 기간과 동등한 주기적 구동 간격(Ao 또는 Ae)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주기적 구동 간격(Ao 및 Ae)이 서로 어긋나고, 따라서 대응하는 화소(P)도 서로 어긋난다. 따라서, 후술하는 도 25의 비교예보다 인접하는 화소(P)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더 길고, 이에 의해 색부가 서로 중첩하기가 어려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린트 매체(10)의 색부가 서로 중첩하기 어려워지고, 따라서 그들의 피복률이 증가되며 이에 의해 발색의 정도가 향상된다. 이는 고품질 화상의 프린트를 가능하게 한다.
(비교예)
도 23은 프린트 헤드(30)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비교예 설명도이다. 도 23에서의 가열 시간(Δt1, Δt2, 및 Δt3) 및 간격 시간(Δt0m 및 Δt0c)은 전술한 도 5의 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는 달리, 이 비교예에서의 복수의 발열 소자는 복수의 그룹(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그룹 및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그룹)으로 분할되지 않고 구동된다. 따라서, 발열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가열 펄스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것과 상이하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드(R)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옐로우(Y) 및 마젠타(M)를 이 순서대로 발현시키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한다. 그린(G)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옐로우(Y) 및 시안(C)을 이 순서대로 발현시키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한다. 또한, 블루(B)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마젠타(M) 및 시안(C)을 이 순서대로 발현시키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한다. 또한, 블랙(K)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을 이 순서대로 발현시키도록 가열 펄스를 제어한다.
도 24는, 도 23의 비교예에서의 가열 펄스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발열 소자(801 내지 806)와 화상 처리 가속기(406)의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0-1 내지 700-6)은 각각 서로 대응한다. 화상 처리 가속기(406)는 RAM(402)으로부터 판독한 C, M, 및 Y 성분에 기초하여 발열 소자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0-1)은, 우선은, 발열 소자(801)에 의해 프린트되는 화소의 C, M, 및 Y 성분을 RAM(402)으로부터 판독하고, 이들 성분에 기초하여 C, M, 및 Y 성분에 대응하는 가열 펄스(C1, M1, 및 Y1)를 생성한다. 이들 가열 펄스는 Y1, M1, 및 C1의 순서로 발열 소자(801)에 인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열 소자(801)는 대상 화소가 C, M, 및 Y 중 적어도 하나를 발현시켜서 원하는 색을 발현시킨다.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P0 내지 P6)은 트리거 펄스(Tr)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0-2 내지 700-6)은 그들 각각의 발열 소자(802 내지 806)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젠타(M) 또는 옐로우(Y) 색부가 프린트 매체(10)의 표면을 피복하는 피복률은 시안(C) 색부의 피복률보다 낮다. 또한, 이 비교예에서는, 복수의 발열 소자가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되지 않고 구동된다. 따라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젠타(M) 색부는 서로 중첩하며, 시안(C) 색부도 서로 중첩한다. 이는 마젠타(M) 및 시안(C)의 피복률이 훨씬 더 낮아지게 하여, 그 발색의 정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화상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화상 처리)
도 7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프린트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화상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의 처리는, 도 2b의 S15의 프린트 작업 실행 처리에 대응하며, 프린트 장치(40)의 CPU(401) 또는 화상 처리 가속기(406)(도 2a 참조)에 의해 실행된다. 도 7의 기호 "S"는 단계를 의미한다.
먼저,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도 2b의 S14에서 수신된 프린트 작업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S21), 그 화상 데이터가 압축 또는 부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복호화한다(S22). 일반적으로, 이 시점에서의 화상 데이터는 RGB 데이터이다. RGB 데이터의 종류는 바람직하게는 sRGB 또는 어도비 RGB 같은 표준 색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 화상 데이터는 각 색에 대한 8 비트 정보를 포함하고, 그 값 범위는 0 내지 255이다. 16 비트 등의 다른 비트 수를 갖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색 보정 처리를 행한다(S23). 이 처리는 도 2a의 호스트 PC(50) 측에서 행해질 수 있지만, 프린트 장치(40)에 적합한 색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프린트 장치(40)에서 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 시점에서의 화상 데이터는 RGB 데이터이며, 이 RGB 화상 데이터는 프린트 장치(40) 전용의 RGB 또는 소위 디바이스 RGB의 형식이다.
이어서,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휘도-농도 변환 처리를 행한다(S24). 일반적인 열 프린트 장치(서멀 프린터)는 하기와 같이 RGB 화상 데이터를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C = 255 - R
M = 255 - G
Y = 255 - B
본 예의 펄스 제어에서는, 예를 들어 단색으로서 마젠타(M)를 발현시키기 위한 마젠타 파라미터와 2차 색으로서 레드(R)를 발현시키기 위한 마젠타 파라미터가 상이하다. 따라서, 이들 파라미터를 개별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이 3차원 룩업 테이블을 사용해서 휘도-농도 변환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 3D_LUT[R][G][B][0]
M = 3D_LUT[R][G][B][1]
Y = 3D_LUT[R][G][B][2]
본 예에서의 3차원 룩업 테이블(3D_LUT)은 50331648개(= 256 × 256 × 256 × 3)의 데이터 테이블로 형성된다. 이들 테이블의 데이터는, 도 4의 시점 p0 내지 p7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펄스폭의 데이터에 대응한다. 그러나, 데이터양을 저감하기 위해서, 그리드의 수를 256로부터 17로 저감시킴으로써 14739개(17 × 17 × 17 × 3)의 데이터 테이블을 사용하고, 보간 연산에 의해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드의 수는 16 그리드, 9 그리드 또는 8 그리드 등이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보간 연산에서의 보간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된 사면체 보간 등의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레드(R)를 발현시키기 위한 옐로우 파라미터, 그린(G)을 발현시키기 위한 시안 파라미터 및 옐로우 파라미터, 블루(B)를 발현시키기 위한 마젠타 파라미터 및 시안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블랙(K)을 발현시키기 위한 옐로우 파라미터, 마젠타 파라미터 및 시안 파라미터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휘도-농도 변환 처리(S24) 후에,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출력 보정 처리를 행한다(S25). 먼저, 하기와 같이,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1차원 룩업 테이블(1D_LUT)을 사용하여, 시안(C), 마젠타(M) 및 옐로우(Y)의 발현 농도를 실현하기 위한 펄스폭 c, m 및 y 각각을 산출한다.
c = 1D_LUT[C]
m = 1D_LUT[M]
y = 1D_LUT[Y]
펄스폭 c의 최대값은 도 4의 Δt3이고, 펄스폭 m의 최대값은 도 4중의 Δt2이며, 펄스폭 y의 최대값은 도 4의 Δt1이다. 본 예의 프린트 장치(40)는 펄스폭의 변조에 의해 프린트 매체(10)에서의 발색의 강도를 변조한다. 즉, 펄스폭 c, m 및 y를 그들 각각의 최대 펄스폭보다 작게 함으로써 원하는 색조를 실현한다. 이 처리에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프린트 매체(10)의 온도를 온도 센서(45)를 사용하여 취득하고, 취득된 온도에 기초하여 프린트 헤드(30)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를 변조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층이 그들 각각의 활성화 온도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가열 펄스의 펄스 폭은, 취득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펄스 폭이 짧아지도록 제어된다. 이 처리에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매체(10)의 온도를 직접 취득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45) 등을 사용하는 대신에, 호스트 장치(50)의 CPU(501)(도 2a 참조)는 프린트 매체(10)의 온도를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 펄스의 펄스폭을 제어할 수 있다. 공지된 방법을 프린트 매체(10)의 온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프린트 매체(10)의 온도가 미리결정된 허용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프린트 동작을 대기 상태로 하거나 또는 프린트 동작을 중단시키고, 프린트 매체(10)의 온도가 미리결정된 허용 온도 아래로 떨어진 후에 프린트 동작을 개시 또는 재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린트 매체(10)의 단일 페이지에 대한 프린트 동작이 프린트 동작의 도중에 대기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프린트 동작이 대기 상태가 되기 전의 화상 농도와 프린트 동작이 재개된 후의 화상 농도를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런 이유로, S21에서 프린트 동작을 대기 상태로 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프린트 동작을 대기 상태로 하고 프린트 동작을 재개하는 것은 페이지 단위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홀수 번째 화소 라인에 대한 발열 소자(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S26).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의 시점 p0 내지 p7에서,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펄스폭 yo의 가열 펄스, 펄스폭 mo의 가열 펄스 및 펄스폭 co의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 도 4에서는,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시점 p0에서 발열 소자(805)에 펄스폭 yo의 가열 펄스를 인가하고, 시점 p1 및 p2에서 발열 소자(803)에 펄스폭 mo의 가열 펄스를 인가하며, 시점 p3, p4, p5, 및 p6에서 발열 소자(801)에 펄스폭 co의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 펄스폭 yo, mo, 및 co은 S25에서 생성된 펄스폭 y, m, 및 c 중 홀수 번째 화소 라인에 대한 발열 소자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펄스폭이다.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이러한 S26의 처리와 평행하여, 짝수 번째 화소 라인에 대한 발열 소자(짝수 번째 위치 의발열 소자)에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S27). 도 4에서는,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시점 p3에서 발열 소자(806)에 펄스폭 ye의 가열 펄스를 인가하고, 시점 p4 및 p5에서 발열 소자(804)에 펄스폭 me의 가열 펄스를 인가하며, 시점 p6, p7, P8, 및 P9에서 발열 소자(802)에 펄스폭 ce의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 펄스폭 ye, me, 및 ce는, S25에서 생성된 펄스폭 y, m, 및 c 중, 짝수 번째 화소 라인에 대한 발열 소자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펄스폭이다.
본 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첫 번째 단일 화소에 대한 주기적 구동 간격(Ao)에서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Co)의 제1 가열 펄스가 인가될 때(시점 p3), 첫 번째 단일 화소에 대한 주기적 구동 간격(Ae)에서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Ye)에 가열 펄스가 인가된다. 또한, 첫 번째 단일 화소에 대한 주기적 구동 간격(Ae)에서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Ce)의 제2 가열 펄스가 인가될 때(시점 p7), 다음 단일 화소에 대한 주기적 구동 간격(Ao)(p7 내지 p13)의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Yo)에 가열 펄스가 인가된다. 그 때문에, 반송 방향(y 방향)의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화소에 대한 가열 펄스를 미리 결정한 후에, 프린트 헤드(30)에 가열 펄스를 인가하도록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후,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프린트 매체(10)의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28),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될 때까지 S22 내지 S27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되면,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도 7의 처리를 종료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가열 펄스를 인가하는 타이밍은 대략 반 화소(3/7 펄스 기간)만큼 서로 어긋난다. 이는 각 색부의 피복률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고품질 화상의 프린트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N 화소에 대한 N개의 발열 소자(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를 포함)를 구동하는 경우, 복수의 발열 소자를 동시에 구동할 때의 최고 전력은 도 4의 시점 p7의 {(Δt1 + Δt3) × N/2}에 상당하는 전력이다. 한편, 도 23의 비교예에서, 복수의 발열 소자를 동시에 구동할 때의 최고 전력은 시점 p0의 (Δt1 × N)에 상당하는 전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Δt1 > Δt3이기 때문에, 복수의 발열 소자를 동시 구동할 때의 최고 전력은 더 낮다. 따라서, AC 전원 또는 배터리의 최대 전기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색부의 피복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발색 위치 사이의 어긋남량을 대략 반 화소(3/7 펄스 기간)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어긋남량은 대략 반 화소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발색 위치 사이의 어긋남량은, 3/7 펄스와 같은 단일 펄스의 증분으로 설정된 값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5 펄스의 증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의 색부의 설명도이다. 본 예에서는, 화소 라인(131 내지 133)이 마젠타(M)를 발현하게 하고 화소 라인(134 내지 136)이 옐로우(Y)를 발현하게 하도록,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열을 발생시키도록 발열 소자(801 내지 806)를 구동한다.
화소 라인(131, 132)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도 6의 화소 라인(113)과 동일한 타이밍에 마젠타(M)를 발현시키게 되는 한편, 화소 라인(133)은 도 6의 화소 라인(114)과 동일한 타이밍에 마젠타(M)를 발현시키게 된다. 또한, 화소 라인(134)은 도 6의 화소 라인(115)과 동일한 타이밍에 옐로우(Y)를 발현시키게 되는 한편, 화소 라인(135, 136)은 도 6의 화소 라인(116)과 동일한 타이밍에 옐로우(Y)를 발현시키게 된다. 가열 펄스는 이러한 타이밍에서 발색을 실현하도록 설정된다. 본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도 7의 화상 처리와 마찬가지의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소 라인(131, 132, 및 134)에 대한 발열 소자는 S26에서 제어될 수 있는 한편, 화소 라인(133, 135, 136)에 대한 발열 소자는 S27에서 제어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마젠타(M)의 발색 위치(화소 위치)에 관해서는, 2개의 화소 라인(131 및 132)에서의 발색 위치가 통상의 위치이고, 화소 라인(133)에서의 발색 위치는 대략 반 화소만큼 어긋나 있다. 또한, 옐로우(Y)의 발색 위치(화소 위치)에 관해서는, 단일 화소 라인(134)에서의 발색 위치가 통상의 위치인 한편, 2개의 화소 라인(135 및 136)에서의 발색 위치는 대략 반 화소만큼 어긋나 있다. 이와 같이, 마젠타(M)와 옐로우(Y)의 발색 위치를 의도적으로 어긋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소 라인이 마젠타(M)와 옐로우(Y)의 양쪽 모두를 발현시키게 함으로써 2차 색(예를 들어, 레드(R))을 발현시키는 경우에는, 색부는 더 높은 피복률을 갖고, 이에 의해 프린트 매체(10)에서의 비 색부 영역을 작게 한다. 이는 고품질 화상의 프린트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동일한 색을 발현시키게 되는 화소 라인의 수와 이들 화소 라인에서의 발색 위치의 조합은 도 8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일한 색을 발색시키게 되는 화소 라인의 수는 4개일 수 있으며, 4개 중 2개의 화소 라인에서의 발색 위치는 통상의 위치일 수 있으며, 다른 2개의 화소 라인에서의 발색 위치는 어긋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일한 색을 발현시키게 되는 화소 라인의 수는 8개일 수 있으며, 8개 중 4개의 화소 라인에서의 발색 위치는 통상의 위치일 수 있으며, 다른 4개의 화소 라인에서의 발색 위치는 어긋날 수 있다. 또한, 각 색에 대한 이러한 조합을 다른 것과 상이하게 함으로써 색 사이의 동기화를 저감할 수 있다. 이는 무아레의 발생을 억제한다.
(제3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그룹에 대한 구동 타이밍과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그룹에 대한 구동 타이밍이 대략 반 화소(3/7 펄스 기간)만큼 서로 어긋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화소(전술한 예에서는 2 화소)를 서로 연관짖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복수 화소를 연관짓는 제어가 필요하지 않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도 9에서, 상위 3개의 열(Yo, Mo, 및 Co)은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801, 803, 및 805)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를 나타낸다. 또한, 하위 3개의 열(Ye, Me, 및 Ce)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802, 804, 및 806)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를 나타낸다.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는 옐로우(Yo), 마젠타(Mo) 및 시안(Co)의 순서로 인가된다. 한편,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는 시안(Ce), 옐로우(Ye) 및 마젠타(Me)의 순서로 인가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주기적 구동 간격(Ao 및 Ae)을 서로 어긋나게 하는 대신에, 단일 주기적 구동 간격(A) 내에서,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구동 순서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구동 순서를 서로 상이하게 한다.
이 결과, 발열 소자(Ye)는 발열 소자(Yo)에 대하여 대략 반 화소(4/7 펄스 기간)의 지연으로 구동되며, 발열 소자(Me)는 발열 소자(Mo)에 대하여 대략 반 화소(4/7 펄스 기간)의 지연으로 구동된다. 또한, 발열 소자(Co)는, 발열 소자(Ce)에 대하여 대략 반 화소(4/7 펄스 기간)의 지연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단일 주기적 구동 간격(A) 내에서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구동 순서가 서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복수의 화소를 연관짓는 제어가 필요하지 않다.
도 10은 도 9의 가열 펄스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제어계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가속기(406)에서의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2-1 내지 702-6)은, 각각 발열 소자(801 내지 806)에 대응하고, RAM(402)으로부터 판독된 C, M, 및 Y 성분에 기초하여 가열 펄스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2-1)은,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801)에 의해 프린트될 화소의 C, M, 및 Y 성분을 RAM(402)으로부터 판독하고, 이들 성분에 대응하는 가열 펄스(Co, Mo, 및 Yo)를 생성한다. 이들 가열 펄스는 Yo, Mo, 및 Co의 순서로 발열 소자(801)에 인가된다. 마찬가지로,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2-3 및 702-5)은, 홀수 번째 위치의 그들 각각의 발열 소자(803 및 805)에 대한 가열 펄스(Co, Mo, 및 Yo)를 생성하고 그들에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 또한, 가열 펄스 생성 유닛(702-2, 702-4, 및 702-6)은, 짝수 번째 위치의 그들 각각의 발열 소자(802, 804, 및 806)에 대한 가열 펄스(Ce, Me, 및 Ye)를 생성하고, 이들 가열 펄스를 Ce, Me, 및 Ye의 순서로 인가한다. 발열 소자(801 내지 806)에 대한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은 트리거 펄스(Tr1)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도 11은, 도 10의 프린트 헤드(30)의 발열 소자(801 내지 806)에 도 9의 가열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색을 발현시킨 프린트 매체(10)의 색부의 설명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의 도 6에서와 같이, 프린트 매체(10)의 색부가 서로 중첩되기 어렵게 하여, 그들의 피복률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발색의 정도를 향상시킨다. 이는 고품질 화상의 프린트를 가능하게 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가열 펄스에 기초한 프린트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화상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2의 처리는 도 2b의 S15의 프린트 작업 실행 처리에 대응하며 프린트 장치(40)의 CPU(401) 또는 화상 처리 가속기(406)(도 2a 참조)에 의해 실행된다. 도 12의 S31 내지 S35는 도 7에서의 S21 내지 S25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36에서는,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 도 11에서는,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시점 p0에서 발열 소자(805 및 802)에 각각 펄스폭 yo 및 ce의 가열 펄스를 인가하고, 시점 p1 및 p2에서 발열 소자(803 및 802)에 각각 펄스폭 mo 및 ce의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 또한,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시점 p3에서 발열 소자(801 및 802)에 각각 펄스폭 co 및 ce의 가열 펄스를 인가하고, 시점 p4에서 발열 소자(801 및 806)에 각각 펄스폭 co 및 ye의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 또한,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시점 p5 및 p6에서 발열 소자(801 및 804)에 각각 펄스폭 co 및 me의 가열 펄스를 인가한다. S35 에서 생성된 펄스폭 y, m, 및 c 중,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yo, mo, 및 co이며,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ye, me, 및 ce이다.
그후,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프린트 매체(10)의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37),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될 때까지 S32 내지 S36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된 경우,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도 12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열 소자에 대한 단일 주기적 구동 간격 내에서,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구동 타이밍이 서로 상이하다. 이는 각각의 색부의 피복률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고품질 화상의 프린트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복수의 화소를 연관짓는 제어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복수의 발열 소자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최고 전력이 낮다.
(제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발열 소자가 색부의 변위에 대한 로버스트성을 향상시키도록 프린트 매체에서의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2개의 그룹보다 많은 수의 그룹으로 분할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발열 소자가 4개의 제0 내지 제3 그룹(G0 내지 G3)으로 분할되고 그들의 구동이 제어된다. 제0 그룹(G0)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를 Y0, M0, 및 C0로 나타내고, 제1 그룹(G1)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를 Y1, M1, 및 C1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제2 그룹(G2)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를 Y2, M2, 및 C2로 나타내며, 제3 그룹(G3)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를 Y3, M3, 및 C3로 나타낸다.
복수의 발열 소자는 그들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서 그룹 G0, 그룹 G1, 그룹 G2, 그룹 G3, 그룹 G0, ...와 같은 4개의 그룹으로 분할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프린트 헤드(30)에서, 발열 소자 801는 그룹 G0로서 분류되고, 발열 소자 802는 그룹 G1로서 분류되고, 발열 소자 803는 그룹 G2로서 분류되고, 발열 소자 804는 그룹 G3로서 분류되고, 발열 소자 805는 그룹 G0로서 분류되며, 발열 소자 806는 그룹 G1로서 분류된다.
도 14는, 프린트 헤드(30)의 발열 소자(801 내지 806)에, 도 13의 가열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발색시킨 프린트 매체(10)의 색부의 설명도이다. 도 14에서는, 마젠타(M)와 옐로우(Y) 색부만을 나타낸다.
화소 라인(181 내지 186) 각각에서의 마젠타(M)의 발현 타이밍은 이하와 같이 도 13의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화소 라인(181)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1 및 p2이고, 화소 라인(182)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0 및 p1이며, 화소 라인(183)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5 및 p6이다. 또한, 화소 라인(184)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4 및 p5이고, 화소 라인(185)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1 및 p2이며, 화소 라인(186)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0 및 p1이다. 이 결과, 마젠타(M) 색부의 배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상위 우측을 향하는 지향성을 갖는다.
화소 라인(181 내지 186) 각각에서의 옐로우(Y)의 발색 타이밍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화소 라인(181)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0이고, 화소 라인(182)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2이며, 화소 라인(183)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4이다. 또한, 화소 라인(184)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6이고, 화소 라인(185)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0이며, 화소 라인(186)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2이다. 이 결과, 옐로우(Y) 색부의 배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하위 우측을 향하는 지향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마젠타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과 옐로우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은 상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색부가 프린트 매체(10)에서 서로 약간 변위되는 경우에도, 프린트 화상의 색감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린트 매체(10)의 반송 속도의 변동, 프린트 헤드의 온도의 불균일한 분포 등에 의해 발색 타이밍이 어긋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색감의 화상이 프린트된다.
마젠타 및 옐로우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이 상이한 경우에 색감이 안정적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 지향성이 동일한 경우를 상정한다. 예를 들어, 마젠타의 지향성이 체크 패턴이고 옐로우의 지향성이 역 체크 패턴이며, 마젠타와 옐로우 발색 위치가 변위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든 화소에 걸쳐 마젠타 및 옐로우 색부가 배치되는 상황을 상정한다. 이들 색부의 배치가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1 펄스 기간만큼 서로에 대해 변위되는 경우, 모든 화소가 2차 색으로서의 레드와 무발색의 결과로서의 화이트가 되어, 색감이 크게 변화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마젠타와 옐로우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 이들 색부가 서로에 대해 약간 변위되면, 모든 화소가 미리결정된 비율의 마젠타, 옐로우, 레드, 및 화이트로 형성될 것이다. 이 미리결정된 비율은, 마젠타와 옐로우 색부의 배치가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1 펄스 기간만큼 어긋나는 경우에도 크게 변화되지 않는다. 이러 인해, 마젠타 및 옐로우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 프린트 화상의 색감이 안정된다.
(제5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가열 펄스를 서로 중첩시켜 프린트 속도를 향상시키고 발색에 필요한 투입 열량을 감소시키며 또한 색부의 피복률을 증가시킴으로써 고품질 화상의 프린트를 실현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본 예에서는,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의 가열 펄스를 서로 중첩시킨다. 도 15에서, Δt0, Δt1, Δt2, 및 Δt3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의 단색의 발현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 펄스를 중첩시킴으로써, 하기 와 같이, 2차 색인 레드(R), 그린(G), 및 블루(B)와 3차 색인 블랙(K)의 발현의 정도를 향상시킨다.
먼저, 레드(R)를 발현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옐로우(Y)와 마젠타(M)의 가열 펄스를 중첩시킨다. 도 15에서는, 시점 p0의 가열 펄스가 옐로우(Y)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도 23의 비교예에서는, 시점 p0의 가열 펄스가 옐로우(Y)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이들 옐로우(Y) 성분의 발현의 정도는 동등하다. 또한, 도 15에서는, 시점 p0 및 p1의 가열 펄스가 마젠타(M)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한편, 도 23에서는, 시점 p1 및 p2의 가열 펄스가 레드(R)에서의 마젠타(M)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상기 2개의 경우에서 마젠타(M) 성분에 기여하는 가열 펄스를 비교하면,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보다 펄스폭이 (Δt1-Δt2)만큼 크다. 따라서, 도 15의 마젠타(M) 성분의 발현의 정도는 이에 따라 도 23의 마젠타(M) 성분의 발현의 정도보다 양호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레드(R)의 발현의 정도는 비교예의 레드(R)의 발현의 정도보다 높다.
이어서, 그린(G)을 발현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옐로우(Y)와 시안(C)에 대한 가열 펄스를 중첩시킨다. 도 15에서는, 시점 p0의 가열 펄스가 옐로우(Y)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도 23의 비교예에서는, 시점 p0의 가열 펄스가 옐로우(Y)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이들 옐로우(Y) 성분의 발현의 정도는 동등하다. 또한, 도 15에서는, 시점 p0 내지 p3의 가열 펄스가 시안(C)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한편, 도 23에서, 시점 p3 내지 p6의 가열 펄스가 시안(C)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상기 2개의 경우에 시안(C) 성분에 기여하는 가열 펄스를 비교하면,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보다 펄스폭이 (Δt1-Δt3)만큼 더 크다. 따라서, 도 15에서의 시안(C) 성분의 발현의 정도는 이에 따라 도 23에서의 시안(C) 성분의 발현의 정도보다 양호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그린(G)의 발현의 정도는 비교예에서의 그린(G)의 발현의 정도보다 높다.
이어서, 블루(B)를 발현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마젠타(M)와 시안(C)에 대한 가열 펄스를 중첩시킨다. 도 15에서는, 시점 p0 및 p1의 가열 펄스가 마젠타(M)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한편, 도 23의 비교예에서는, 시점 p1 및 p2의 가열 펄스가 마젠타(M)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이들 마젠타(M) 성분의 발현의 정도는 동등하다. 또한, 도 15에서는, 시점 p0 내지 p3의 가열 펄스가 시안(C)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한편, 도 23에서, 시점 p3 내지 p6의 가열 펄스가 시안(C)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상기 2개의 경우에서 시안(C) 성분에 기여하는 가열 펄스를 비교하면,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보다 펄스폭이 {(Δt2 - Δt3) × 2}만큼 더 크다. 따라서, 도 15에서의 시안(C) 성분의 발현의 정도는 이에 따라 도 23에서의 시안(C) 성분의 발현의 정도보다 양호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블루(B)의 발현의 정도는 비교예에서의 블루(B)의 발현의 정도보다 높다.
이어서, 블랙(K)을 발현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의 가열 펄스를 중첩시킨다. 도 15에서는, 시점 p0의 가열 펄스가 옐로우(Y)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도 23의 비교예에서는, 시점 p0의 가열 펄스가 옐로우(Y)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이들 옐로우(Y) 성분의 발현의 정도는 동등하다. 또한, 도 15에서는, 시점 p0 및 p1의 가열 펄스가 마젠타(M)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한편, 도 23에서는, 시점 p1 및 p2에서의 가열 펄스는 마젠타(M)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상기 2개의 경우에서 마젠타(M) 성분에 기여하는 가열 펄스를 비교하면,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보다 펄스폭이 (Δt1 - Δt2)만큼 크다. 따라서, 도 15의 마젠타(M) 성분의 발현의 정도는 이에 따라 도 23의 마젠타(M) 성분의 발현의 정도보다 양호하다. 또한, 도 15에서는, 시점 p0 내지 p3의 가열 펄스가 시안(C)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한편, 도 23에서, 시점 p3 내지 p6의 가열 펄스가 시안(C) 성분의 발현에 기여한다. 상기 2개의 경우에서 시안(C) 성분에 기여하는 가열 펄스를 비교하면,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보다 펄스폭이 {(Δt1 + Δt2) - (2 × Δt3)}만큼 더 크다. 따라서, 도 15에서의 시안(C) 성분의 발현의 정도는 이에 따라 도 23에서의 시안(C) 성분의 발현의 정도보다 양호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블랙(K)의 발현의 정도는 비교예에서의 블랙(K)의 발현의 정도보다 높다.
이하의 표는 도 23의 비교예와 도 17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발현 색(R, G, B, 및 K)과 가열 시간(Δt1, Δt2, 및 Δt3)의 가열 펄스의 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괄호 내의 각 숫자는 가열 펄스의 수의 변화를 나타낸다.
Figure 112019070932386-pat00001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펄스의 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프린트 속도가 증가되고 투입 전력의 피크값이 저하된다.
도 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펄스를 중첩시켜서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수를 감소시키며, 또한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Yo, Mo, 및 Co)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Ye, Me, 및 Ce)에 대한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을 서로 어긋나게 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본 예에서,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는 각각 4펄스 기간과 동등한 Ao 및 Ae의 주기적 간격으로 각각 반복적으로 구동되며,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은 반 화소(2/4 펄스 기간)만큼 서로 어긋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가열 펄스에 기초한 프린트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화상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7에서의 처리는, 도 2b의 S15의 프린트 작업 실행 처리에 대응하며, 프린트 장치(40)의 CPU(401) 또는 화상 처리 가속기(406)(도 2a 참조)에 의해 실행된다. 도 17에서의 S41 내지 S45는 도 7에서의 S21 내지 S25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46에서, CPU(401) 또는 화상 처리 가속기(406)는 각각의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용의 가열 펄스를 중첩시킨다. 결과적으로, 시점 p0에서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yo, mo, 및 co 중 적어도 하나이고 최대로는 펄스폭 yo, mo, 및 co의 합계이다. 또한, 시점 p1에서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mo 및 co 중 적어도 하나이고 최대로는 펄스폭 mo 및 co의 합계이다. 또한, 시점 p2 및 p3에서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co이다. S47에서, 이 S46의 처리와 병행하여, CPU(401) 또는 화상 처리 가속기(406)는 각각의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용의 가열 펄스를 중첩시킨다. 결과적으로, 시점 p2에서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ye, me, 및 ce 중 적어도 하나이고 최대로는 펄스폭 ye, me, 및 ce의 합계이다. 또한, 시점 p3에서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me 및 ce 중 적어도 하나이고, 최대로는 펄스폭 me 및 ce의 합계이다. 또한, 시점 p4 및 p5에서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ce이다.
S45에서 생성된 펄스폭 y, m, 및 c 중,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yo, mo, 및 co이며,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인가하는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ye, me, 및 ce이다. 본 예에서, 가열 펄스 중첩 후의 펄스폭은 디지털적인 연산 처리에 의해 산출된다. 그러나, 중첩될 복수의 가열 펄스를 수신하고, 중첩 후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가열 펄스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기 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후, CPU(401) 또는 화상 처리 가속기(406)는, 상기 중첩 후의 가열 펄스를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인가한다(S48 및 S49). 본 예에서는, 도 16에서와 같이, 첫 번째 단일 화소에 대한 주기적 구동 간격(Ao)에서 발열 소자(Co)의 제3 가열 펄스가 인가될 때(시점 p2), 첫 번째 단일 화소에 대한 주기적 구동 간격(Ae)에서 발열 소자(Ye)에 가열 펄스가 인가된다. 또한, 첫 번째 단일 화소에 대한 주기적 구동 간격(Ae)에서 발열 소자(Ce)의 제3 가열 펄스가 인가될 때(시점 p4), 다음 단일 화소에 대한 주기적 구동 간격(Ao)(p4 내지 p8)에서 발열 소자(Yo)에 가열 펄스가 인가된다. 그 때문에, 반송 방향(y 방향)의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화소에 대한 가열 펄스를 미리 결정한 후에, 프린트 헤드(30)에 가열 펄스를 인가하도록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 후,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프린트 매체(10)의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50),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될 때까지 S42 내지 S49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된 경우,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도 17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가열 펄스를 인가하는 타이밍을 반 화소(2/4 펄스 기간)만큼 서로 어긋나게 하여 색부의 피복률을 증가시키며, 또한 가열 펄스를 중첩시켜서 발색의 정도를 향상시킨다. 이는 더 높은 품질의 화상의 프린트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수가 저감되기 때문에, 프린트 속도가 증가되고 투입 전력의 피크값이 저하된다.
(제6 실시형태)
전술한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된 발열 소자(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이 서로 어긋나며, 또한 가열 펄스가 중첩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서는, 제3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발열 소자에 대한 단일 주기적 구동 간격 내에서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구동 타이밍을 서로 상이하게 하고, 또한 가열 펄스를 중첩시킨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전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의 도 9에서와 같이, 도 18의 상위 3개의 열(Yo, Mo, 및 Co)은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801, 803, 또는 805)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를 나타낸다. 또한, 하위 3개의 열(Ye, Me, 및 Ce)은 임의의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802, 804, 또는 806)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를 나타낸다.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옐로우(Yo), 마젠타(Mo), 및 시안(Co) 가열 펄스는 동일한 시점 p0에서 인가되기 시작한다. 한편,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시안(Ce) 가열 펄스는 시점 p0에서 인가되기 시작하며, 옐로우(Ye) 및 마젠타(Me) 가열 펄스는 시점 p2에서 인가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발열 소자에 대한 단일 주기적 구동 간격(A) 내에서,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구동 타이밍을 서로 상이하게 한다.
이 결과, 발열 소자(Ye)는 발열 소자(Yo)에 대하여 반 화소(2/4 펄스 기간)의 지연으로 구동되며, 발열 소자(Me)는 발열 소자(Mo)에 대하여 반 화소(2/4 펄스 기간)의 지연으로 구동된다. 단일 주기적 구동 간격(A) 내에서 상기와 같이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구동 순서가 서로 어긋나있을 뿐이기 때문에,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복수의 화소를 연관짓는 제어가 필요하지 않다.
여기서, 발열 소자(Ce)와 발열 소자(Co)는 동일한 타이밍에 구동되는 점에서, 전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의 도 9의 예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도 25의 비교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시안(C)은 충분한 피복률을 가지며 따라서 차이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시안(C)의 발현의 정도를 향상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일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시안(C)에 대한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구동 타이밍을 서로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가열 펄스에 기초한 프린트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화상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9의 처리는, 도 2b의 S15의 프린트 작업 실행 처리에 대응하며, 프린트 장치(40)의 CPU(401) 또는 화상 처리 가속기(406)(도 2a 참조)에 의해 실행된다. 도 19의 S61 내지 S65는 도 7에서의 S21 내지 S25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66에서, CPU(401) 또는 화상 처리 가속기(406)는, 각각의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용의 가열 펄스를 중첩시키며 또한 각각의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용의 가열 펄스를 중첩시킨다. 결과적으로, 시점 p0에서의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용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yo, mo, 및 co 중 적어도 하나이며 최대로는 펄스폭 yo, mo, 및 co의 합계이다. 또한, 시점 p1에서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mo 및 co 중 적어도 하나이고 최대로는 펄스폭 mo 및 co의 합계이다. 또한, 시점 p2 및 p3에서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co이다. 한편, 시점 p0 및 p1에서의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용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ce이다. 시점 p2에서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ye, me, 및 ce 중 적어도 하나이며 최대로는 펄스폭 ye, me, 및 ce의 합계이다. 또한, 시점 p3에서의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펄스폭 me 및 ce 중 적어도 하나이고, 최대로는 펄스폭 me 및 ce의 합계이다. S65에서 생성된 펄스폭 y, m, 및 c 중,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yo, mo, 및 co이며,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펄스폭은 ye, me, 및 ce이다. 본 예에서, 가열 펄스 중첩 후의 펄스폭은 디지털적인 연산 처리에 의해 산출된다. 그러나, 중첩될 복수의 가열 펄스를 수신하고 중첩 후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가열 펄스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CPU(401) 또는 화상 처리 가속기(406)는, 상기 중첩 후의 가열 펄스를 홀수 번째 및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인가한다(S67). 이어서,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프린트 매체(10)의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68),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될 때까지 S62 내지 S67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일 페이지의 프린트가 완료된 경우, CPU(401) 또는 가속기(406)는 도 19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발열 소자에 대한 단일 주기적 구동 간격 내에서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구동 타이밍을 서로 상이하게 하고, 또한 가열 펄스를 중첩시킨다. 이는 복수의 화소를 연관짓는 제어에 대한 필요성을 제어하며 또한 더 높은 품질 화상의 프린트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가되는 가열 펄스의 수가 저감되기 때문에, 프린트 속도가 증가되고 투입 전력의 피크값이 저하된다.
(제7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6 실시형태이지만, 복수의 발열 소자를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의 2개의 그룹보다 많은 수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프린트 매체에서의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가열 펄스의 설명도이다. 본 예에서는, 복수의 발열 소자를 4개의 제0 내지 제3 그룹(G0 내지 G3)으로 분할하고, 그들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0 그룹(G0)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를 Y0, M0, 및 C0로 나타내고, 그룹 G1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를 Y1, M1, 및 C1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그룹 G2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를 Y2, M2, 및 C2로 나타내고, 그룹 G3의 발열 소자에 대한 가열 펄스를 Y3, M3, 및 C3로 나타낸다.
복수의 발열 소자는 그들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라서 그룹 G0, 그룹 G1, 그룹 G2, 그룹 G3, 그룹 G0, ...와 같은 4개의 그룹으로 분할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프린트 헤드(30)에서, 발열 소자 801는 그룹 G0로서 분류되고, 발열 소자 802는 그룹 G1로서 분류되고, 발열 소자 803는 그룹 G2로서 분류되고, 발열 소자 804는 그룹 G3로서 분류되고, 발열 소자 805는 그룹 G0로서 분류되며, 발열 소자 806는 그룹 G1로서 분류된다.
도 21은, 프린트 헤드(30)의 발열 소자(801 내지 806)에, 도 20의 가열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발색시킨 프린트 매체(10)의 색부의 설명도이다. 도 21에서는, 마젠타(M)와 옐로우(Y) 색부만을 나타낸다.
화소 라인(251 내지 266) 각각에서의 마젠타(M)의 발현 타이밍은 도 20의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이하와 같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화소 라인(251)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0 및 p1이고, 화소 라인(252)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2 및 p3이며, 화소 라인(253)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1 및 p2이다. 또한, 화소 라인(254)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1 및 p2이고, 화소 라인(255)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0 및 p1이며, 화소 라인(256)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2 및 p3이다. 이 결과, 마젠타(M) 색부의 배치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 도면의 상위 우측을 향하는 지향성을 갖는다.
화소 라인(251 내지 256) 각각에서의 옐로우(Y)의 발현 타이밍은 이하와 같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화소 라인(251)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0이고, 화소 라인(252)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1이며, 화소 라인(253)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2이다. 또한, 화소 라인(254)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3이고, 화소 라인(255)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0이며, 화소 라인(256)에서의 발색 타이밍은 p1이다. 이 결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옐로우(Y) 색부의 배치는 도면의 하위 우측을 향하는 지향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마젠타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과 옐로우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은 상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색부가 프린트 매체(10)에서 서로 약간 변위되는 경우에도, 프린트 화상의 색감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린트 매체(10)의 반송 속도의 변동, 프린트 헤드의 온도의 불균일한 분포 등에 의해 발색 타이밍이 어긋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색감의 화상이 프린트된다.
또한, 도 2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가열 펄스 중첩은 옐로우 및 마젠타 가열 펄스에 대한 인가 타이밍(발색 타이밍)의 설정에 있어서의 자유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마젠타 가열 펄스에 관해서는, 모든 화소 라인(251 내지 256)에서의 발색 타이밍이 p0 및 p1이 되도록 발색 타이밍을 도 20으로부터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옐로우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 또한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마젠타 색부의 배치는 3 화소 간격의 지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옐로우 색부의 배치는 4 화소 간격의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젠타 색부의 배치는 상위 우측을 향하는 3 화소 간격의 지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옐로우 색부의 배치는 상위 우측을 향하는 6 화소 간격의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펄스 중첩에 의해,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가열 펄스 중첩이 없는 경우, 각 가열 펄스의 인가 타이밍은 다른 것에 대해 배타적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가 타이밍은 본 예에서와 같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펄스는 서로 중첩되고, 또한 복수의 발열 소자를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에 대한 2개의 그룹보다 많은 수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프린트 매체의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색부의 배치에 대한 로버스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8 실시형태)
전술한 제1 내지 제7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발열 소자가 직선으로 배치되는 프린트 헤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서는, 도 22에서와 같이, 발열 소자(901 내지 906)가 프린트 매체(10)의 반송 방향(y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는 프린트 헤드(30)를 사용한다. 발열 소자(901 내지 906)에는, 각각 이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양 전극(911 내지 916)과 음 전극(921 내지 926)이 접속된다.
짝수 번째 화소 라인에 대한 발열 소자(짝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902, 904, 906)는, 홀수 번째 화소 라인에 대한 발열 소자(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901, 903, 및 905)로부터 반송 방향(y 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대략 반 화소만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들 발열 소자(901 내지 906)에 도 23의 비교예의 가열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등한 색부를 형성한다. 즉, 도 22의 짝수 번째와 홀수 번째 위치의 발열 소자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가열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취득되는 색부 사이의 위치 어긋남과 동등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1 실시형태의 것과 유사한 유리한 효과를 얻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발열 소자가 배치되는 위치가 변화된다. 이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각 색부의 피복률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고품질 화상의 프린트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일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가열 펄스를 중첩시킬 수 있다. 이는 프린트 속도를 향상시키며 발색에 필요한 투입 열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일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복수의 발열 소자는 프린트 매체에서의 색부의 배치의 지향성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색부의 배치에 대한 로버스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프린트 장치이며,
    프린트 매체를 미리 정해진 반송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반송 유닛;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고, 가열됨으로써 색부를 얻도록 색을 발현하는 복수의 발색층이 두께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프린트 매체를 가열하는 복수의 발열 소자를 포함하는 프린트 헤드; 및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색층이 각각의 색을 선택적으로 발현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발열 소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프린트 매체의 상기 발색층 중 적어도 2개에서, 복수의 상기 색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해상도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각각 포함하는 라인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화소의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라인 사이에서 상기 해상도에 대응하는 간격보다 작은 거리만큼 어긋나도록,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린트 매체의 가열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색층은 제1 색을 발현하는 제1 발색층과 상기 제1 색과는 상이한 제2 색을 발현하는 제2 발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발색층에서, 제1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색부의 일측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1 색부에 가장 가까운 색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3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2 발색층에서, 상기 제1 색부의 화소에 대응하는 제2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의 일측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에 가장 가까운 색부는 상기 제3 방향과는 상이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4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상기 프린트 매체 상의 상기 가열 위치를 제어하는, 프린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발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린트 매체의 상기 가열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를 제어하는, 프린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발열 소자를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린트 매체의 상기 가열 위치 및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린트 매체의 상기 가열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를 제어하는, 프린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발열 소자를 발열시키는 주기적 간격과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발열 소자를 발열시키는 주기적 간격을 서로 어긋나게 하는, 프린트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제1 발색층과 상기 제2 발색층의 발색 순서와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한 상기 제1 발색층과 상기 제2 발색층의 발색 순서가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를 제어하는, 프린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제2 방향의 홀수 번째 위치에 배열된 발열 소자이며,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발열 소자는 상기 제2 방향의 짝수 번째 위치에 배열된 발열 소자인, 프린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발색층의 발색을 위한 가열 펄스와 상기 제2 발색층의 발색을 위한 가열 펄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시킴으로써 획득되는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를 제어하는, 프린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는, 제1 그룹의 소자의 위치와 제2 그룹의 소자의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제1 그룹의 발열 소자 및 상기 제2 그룹의 발열 소자를 포함하는, 프린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발색층에서, 제1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색부 및 상기 제1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3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2 발색층에서, 상기 제1 색부의 화소에 대응하는 제2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색부 및 상기 제2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는 상기 제3 방향과는 상이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4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상기 프린트 매체 상의 상기 가열 위치를 제어하는, 프린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전부 발현된 상기 제1 발색층에서,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열된 색부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색부 그룹은 제1 수의 화소 간격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전부 발현된 상기 제2 발색층에서, 상기 제4 방향으로 배열된 색부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색부 그룹은 제2 수의 화소 간격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프린트 매체 상의 상기 가열 위치를 제어하는, 프린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는 상기 제2 수보다 큰, 프린트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색층에 형성되는 색부의 크기와 상기 제2 발색층에 형성되는 색부의 크기는 상이한, 프린트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색층은,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과는 상이한 제3 색을 발현하는 제3 발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3 발색층에서, 상기 제1 색부의 화소에 대응하는 제3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3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3 색부 및 상기 제3 색부에 인접하면서 가장 가까운 색부는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과는 상이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5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상기 프린트 매체 상의 상기 가열 위치를 제어하는, 프린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색층에 형성되는 색부의 크기, 상기 제2 발색층에 형성되는 색부의 크기, 그리고 상기 제3 발색층에 형성되는 색부의 크기는 상이한, 프린트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제1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상기 제1 발색층에 형성되는 경우, 그리고 상기 제1 색부의 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상기 제2 발색층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색부 및 상기 제1 색부에 인접하면서 가장 가까운 색부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의 기울기와 상기 제2 색부 및 상기 제2 색부에 인접하면서 가장 가까운 색부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의 기울기는 반대인, 프린트 장치
  16. 프린트 방법이며,
    가열됨으로써 색을 발현하는 복수의 발색층이 두께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프린트 매체를 미리 정해진 반송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반송하는 단계; 및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색층이 각각의 색을 선택적으로 발현하게 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프린트 매체를 가열하는 복수의 발열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린트 매체의 가열 위치가, 상기 프린트 매체의 상기 발색층 중 적어도 2개에서, 복수의 색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미리결정된 해상도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각각 포함하는 라인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소의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의 라인 사이에서 상기 해상도에 대응하는 간격보다 작은 거리만큼 어긋나도록 제어되고,
    상기 복수의 발색층은 제1 색을 발현하는 제1 발색층과 상기 제1 색과는 상이한 제2 색을 발현하는 제2 발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프린트 매체 상의 상기 가열 위치는,
    상기 제1 발색층에서, 제1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색부의 일측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색부에 가장 가까운 색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3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2 발색층에서, 상기 제1 색부의 화소에 대응하는 제2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의 일측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에 가장 가까운 색부는 상기 제3 방향과는 상이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4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제어되는, 프린트 방법.
  17. 컴퓨터가 프린트 방법을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상기 프린트 방법은,
    가열됨으로써 색을 발현하는 복수의 발색층이 두께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프린트 매체를 미리 정해진 반송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반송하는 단계; 및
    가열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색층이 각각의 색을 선택적으로 발현하게 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프린트 매체를 가열하는 복수의 발열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프린트 매체의 가열 위치가, 상기 프린트 매체의 상기 발색층 중 적어도 2개에서, 복수의 색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미리결정된 해상도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를 각각 포함하는 라인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소의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의 라인 사이에서 상기 해상도에 대응하는 간격보다 작은 거리만큼 어긋나도록 제어되고,
    상기 복수의 발색층은 제1 색을 발현하는 제1 발색층과 상기 제1 색과는 상이한 제2 색을 발현하는 제2 발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프린트 매체 상의 상기 가열 위치는,
    상기 제1 발색층에서, 제1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색부의 일측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색부에 가장 가까운 색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3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2 발색층에서, 상기 제1 색부의 화소에 대응하는 제2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의 양측에 인접한 색부가 상기 발열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색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의 일측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색부에 가장 가까운 색부는 상기 제3 방향과는 상이하고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4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제어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90083578A 2018-07-13 2019-07-11 프린트 장치, 프린트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2562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3533 2018-07-13
JPJP-P-2018-133533 2018-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700A KR20200007700A (ko) 2020-01-22
KR102562648B1 true KR102562648B1 (ko) 2023-08-03

Family

ID=6913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578A KR102562648B1 (ko) 2018-07-13 2019-07-11 프린트 장치, 프린트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53664B2 (ko)
JP (1) JP7414416B2 (ko)
KR (1) KR102562648B1 (ko)
CN (1) CN110712431B (ko)
SG (1) SG10201906334V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4890C1 (ru) 2018-06-12 2021-09-08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и некратковременный считываемый компьютером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CN115190856A (zh) 2020-03-12 2022-10-14 爱克发有限公司 制备包装箱的方法
EP3928996A1 (en) 2020-06-22 2021-12-29 Agfa Nv Marking of articles
EP3928995A1 (en) 2020-06-22 2021-12-29 Agfa Nv Marking of articles
KR20230022543A (ko) 2021-08-09 2023-02-16 김여정 안경 닦기 내장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3465A (ja) * 1984-03-29 1985-10-15 Toshiba Corp サ−マルヘツド
US4779102A (en) * 1985-12-05 1988-10-18 Ricoh Company, Ltd. Head drive system for a thermal printer
JPS6325065A (ja) 1986-07-17 1988-02-02 Ricoh Co Ltd カラ−記録方式
JPH0872414A (ja) * 1994-09-05 1996-03-19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感熱記録方法
JPH0890814A (ja) * 1994-09-26 1996-04-09 Casio Comput Co Ltd サーマル記録装置
JPH1081029A (ja) 1995-12-12 1998-03-31 Fuji Photo Film Co Ltd 感熱プリント方法及び感熱プリンタ
JP3621777B2 (ja) * 1996-05-15 2005-02-16 株式会社セイコーアイ・インフォテック カラー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H10151781A (ja) * 1996-11-22 1998-06-09 Seiko Denshi Kiki Kk カラー画像記録方法、カラー画像記録装置、及びカラー画像記録制御方法
JPH10217528A (ja) * 1997-02-05 1998-08-18 Seiko Denshi Kiki Kk カラー画像記録方法、カラー画像記録装置、及びカラー画像記録制御方法
JP3794105B2 (ja) 1997-05-19 2006-07-05 神鋼電機株式会社 サーマルヘッド
JP3681508B2 (ja) 1997-05-23 2005-08-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感熱発色記録方法及び装置
US6195110B1 (en) 1997-07-28 2001-02-27 Fuji Photo Film Co., Ltd. Thermal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groups of separately drive heating elements in the thermal head
JP2000071495A (ja) 1998-09-03 2000-03-07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感熱プリント方法及びプリンタ
EA008721B1 (ru) 2001-05-30 2007-06-29 Зинк Имэджинг, Ллк Систем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US7830405B2 (en) 2005-06-23 2010-11-09 Zink Imaging, Inc. Print head pulsing techniques for multicolor printers
US7298387B2 (en) 2001-08-22 2007-11-20 Polaroid Corporation Thermal response correction system
CN1221396C (zh) 2002-04-19 2005-10-05 富士胶片株式会社 热敏打印机
JP2005138561A (ja) 2003-11-10 2005-06-0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感熱記録方法及びカラー感熱記録装置
US7148182B2 (en) 2004-04-27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layered color compositions and associated methods
CN102785498A (zh) 2005-04-06 2012-11-21 津克成像有限责任公司 多色热成像方法和热印刷机
JP2011062941A (ja) 2009-09-18 2011-03-31 Toshiba Tec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装置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制御方法
JP6040522B2 (ja) 2011-11-15 2016-12-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954186B2 (ja) 2013-01-10 2016-07-2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多色感熱記録材料及びその多色感熱記録材料の発色方法
JP2016026922A (ja) 2014-07-07 2016-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201906334VA (en) 2020-02-27
KR20200007700A (ko) 2020-01-22
US20200016904A1 (en) 2020-01-16
CN110712431B (zh) 2022-05-17
CN110712431A (zh) 2020-01-21
JP7414416B2 (ja) 2024-01-16
JP2020015313A (ja) 2020-01-30
US10953664B2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648B1 (ko) 프린트 장치, 프린트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2572981B1 (ko) 프린트 장치,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JP7293182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9150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1691434B2 (en) Apparatus and method
US20220355603A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 control method
US20230391106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2300456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21120211A (ja) 記録装置、及び記録制御方法
JP2023179243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24247A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 control method
JP2023179232A (ja)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3401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