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818B1 - 무세 곡립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무세 곡립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818B1
KR102539818B1 KR1020207035058A KR20207035058A KR102539818B1 KR 102539818 B1 KR102539818 B1 KR 102539818B1 KR 1020207035058 A KR1020207035058 A KR 1020207035058A KR 20207035058 A KR20207035058 A KR 20207035058A KR 102539818 B1 KR102539818 B1 KR 10253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ing
grains
unit
grain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392A (ko
Inventor
가즈노부 가지하라
츠토무 하코
후미오 다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97679A external-priority patent/JP71331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06265A external-priority patent/JP716168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21001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02B1/06Devices with rotary parts

Landscapes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무세 곡립 제조 장치는, 곡립을 물과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와, 상기 도정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립과 물을 탈수통 내에 형성한 탈수 스크루에 의해 탈수하는 원심 탈수부와, 상기 원심 탈수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건조풍에 의해 무세 곡립으로 마무리하는 조질·건조부를 구비한다. 상기 도정부 (3) 는, 도정통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 도정축과, 상기 도정축에 축 피벗한 송각 스크루와, 상기 도정축에 축 피벗함과 함께, 교반 날개를 고착시킨 교반 전자와, 또한 상기 도정축에 축 피벗하여 상기 도정통으로부터 곡립이 유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세 곡립 제조 장치
본 발명은, 물에 의해 비벼 씻는 것이 불필요하고 물을 첨가하는 것만으로 취반할 수 있는 곡립 (쌀이면 무세미) 으로 가공하기 위한 무세 곡립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무세 곡립 제조 장치로서, 특허문헌 1 이나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것은, 도정부와 원심 탈수부를 연결하는 접합부에, 핸드 체결식의 연결 수단 (클램프 밴드) 을 형성하여 도정부와 원심 탈수부를 용이하게 분해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도정부로부터 분리한 원심 탈수부의 공급부와, 조질부 (調質部) 의 배풍로로부터 분기되는 건조용 덕트를 접속 가능하게 하고, 용이하게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무세 곡립 (무세미) 의 가공 종료 후의 세정·건조 공정에 있어서, 핸드 체결식의 클램프 밴드를 손으로 느슨하게 하여 도정부와 원심 탈수부를 용이하게 이탈시키고, 이어서, 원심 탈수부의 공급측에 건조용 덕트를 접속함으로써, 원심 탈수부 내부에 조질부에서 이용하는 제습 건조 공기를 송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물로 청소·세정을 실시한 후의 원심 탈수부에 제습 건조 공기를 송급하면,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것은, 도정부와, 원심 탈수부와, 제습 건조풍에 의해 무세미로 마무리하는 조질부와, 제습 건조시킨 공기를 상기 조질부에 송급하는 제습 건조부를 구비한 무세미 제조 장치로서, 상기 제습 건조부에 있어서 생성한 제습 건조 공기를 상기 조질부의 미립 (米粒) 에 직접 끼얹도록, 상기 조질부 및 상기 제습 건조부를 거의 밀폐상의 머신 프레임 내에 수용하여 병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머신 프레임 내에 수용한 제습 건조부에 의해 기외 (機外) 로부터 외기를 도입하고, 이것을 제습 건조시켜 조질 공기를 생성하고, 제습 건조된 조질 공기가 조질부의 미립에 직접 끼얹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설치 면적을 증대시키는 대규모의 공조 설비가 불필요하고, 매우 고품질인 무세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447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30086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분해 후의 세정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도정부나 원심 탈수부 내에 곡류나 고농도의 세미 배수가 잔류·고착되고, 이들 부착물이나 잔류물이 기인이 되어 균의 증식이나 부패가 진행되어, 식품 가공 상에서의 위생면에 우려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에 있어서는, 상기 조질부가,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네트와, 그 네트의 위로부터 아래로의 흡인풍을 발생시키는 흡인팬에 의해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심 탈수부로부터 조질부에 공급된 미립은, 네트 상에 펼쳐지고, 네트의 위로부터 아래로의 일방향만의 제습 건조풍을 도입하여 건조가 실시되기 때문에, 바람이 닿는 방향이 일방향뿐이고, 미립의 편측만이 선행하여 건조가 실시되기 때문에, 바람이 닿지 않는 측은 건조가 잘 실시되지 않아, 건조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세 곡류를 제조할 수 있는 무세 곡립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도정부에 잔류 부착물이 잘 발생되지 않아, 위생면이 우수한 무세 곡립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곡립에 불균일 없이 건조풍을 송급하여 품질이 양호한 무세 곡류를 제조할 수 있는 무세 곡립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생면이 우수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곡립을 물과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와, 그 도정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립과 물을 탈수통 내에 형성한 탈수 스크루에 의해 탈수하는 원심 탈수부와, 그 원심 탈수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건조풍에 의해 무세 곡립으로 마무리하는 조질·건조부를 구비한 무세 곡립 제조 장치로서,
곡립을 물과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와, 그 도정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립과 물을 탈수통 내에 형성한 탈수 스크루에 의해 탈수하는 원심 탈수부와, 그 원심 탈수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건조풍에 의해 무세 곡립으로 마무리하는 조질·건조부를 구비한 무세 곡립 제조 장치로서,
상기 도정부는, 도정통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 도정축과, 그 도정축에 축 피벗한 송각 (送殼) 스크루와, 상기 도정축에 축 피벗함과 함께, 교반 날개를 고착시킨 교반 전자와, 또한 상기 도정축에 축 피벗하여 상기 도정통으로부터 곡립이 유출 (流出) 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는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이 일 양태에 의하면, 도정부가, 도정통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 도정축과, 그 도정축에 축 피벗한 송각 스크루와, 복수의 교반 날개를 고착시키고, 또한 상기 도정축에 축 피벗한 교반 전자와, 상기 도정축의 선단부에 축 피벗하여 상기 도정통으로부터의 곡립의 유출을 규제하는 규제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규제판에 의해 도정통으로부터 곡립의 유출을 규제하면서 수중 도정이 실시되기 때문에, 도정통 내가 항상 충만 상태가 되어 잔류 부착물이 잘 발생하지 않아, 위생면이 우수한 무세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일 양태는, 상기 규제 부재가 플랜지상 부재로서, 상기 도정축에 축 피벗한 상기 플랜지상 부재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도정통의 내경과의 간극을 좁혀 상기 도정통으로부터의 곡립의 유출을 규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다른 일 양태와 같이, 상기 규제판이, 상기 도정축의 선단부에 축 피벗하여 상기 규제판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도정통의 내경과의 간극을 좁혀 상기 도정통으로부터의 곡립의 유출을 규제하는 것이면, 다른 부품이 되는 수용 호퍼를 통하지 않고, 상기 도정부와 상기 원심 탈수부를 연속적으로 직접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가 소형화가 되는 메리트가 있다.
특히, 곡립이 쌀인 경우에, 상기 규제판의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도정통의 내경의 간극을, 미립의 유출이 가능한 3 ∼ 15 ㎜ 의 범위로 설정하면, 클로깅을 발생시키지 않고, 도정통으로부터 정백미의 유출을 규제하면서 수중 도정을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양태는, 상기 도정부의 도정통 시단측에는, 상기 도정통에 개구한 곡립 투입구와, 그 곡립 투입구에 곡립을 투입하기 위한 곡립 투입 호퍼를 구비하고, 그 곡립 투입 호퍼에는, 상기 도정통의 외주 가장자리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곡립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투입하는 경사 슈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른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도정부의 도정통 시단측에는, 상기 도정통에 개구한 곡립 투입구와, 그 곡립 투입구에 곡립을 투입하기 위한 곡립 투입 호퍼를 구비하고, 그 곡립 투입 호퍼에는, 상기 도정통의 외주 가장자리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곡립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투입하는 경사 슈트를 구비하고 있고, 이로써, 곡립 공급 장치로부터 내보내진 곡립을 정체시키지 않고 신속하게 도정통 내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일 양태는, 상기 경사 슈트의 하단에는, 물 공급 노즐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른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경사 슈트의 하단에, 물 공급 노즐이 고정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립의 유하의 기세에 의해 가수에 의한 물의 압력이 약해져, 비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다른 일 양태는, 상기 물 공급 노즐이, 상기 경사 슈트의 폭 방향 치수와 거의 동등한 폭 치수의 폭이 넓은 개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다른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경사 슈트의 폭 방향 치수와 거의 동등한 폭 치수의 폭이 넓은 개구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 슈트의 폭 방향 가득히 곡립이 정렬되어 유하되어 오는 경우여도, 경사 슈트의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가수함으로써 수중 도정시의 품질을 일정화할 수 있다.
품질이 양호한 무세 곡류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곡립을 물과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와, 그 도정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립과 물을 탈수통 내에 형성한 탈수 스크루에 의해 탈수하는 원심 탈수부와, 그 원심 탈수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건조풍에 의해 무세 곡립으로 마무리하는 조질·건조부를 구비한 무세 곡립 제조 장치로서,
상기 원심 탈수부와 상기 조질·건조부 사이를, 종단면이 원호 형상인 유하통을 통하여 연락함과 함께, 상기 원심 탈수부 하단부에는, 탈수 후의 미립을 상기 원호 형상의 유하통 내면에 충돌시켜 상기 조질·건조부에 반입하기 위한 소출 (搔出) 날개를 축 피벗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원심 탈수부와 상기 조질·건조부 사이를, 종단면이 원호 형상인 유하통을 통하여 연락함과 함께, 상기 원심 탈수부 하단에는, 탈수 후의 미립을 상기 원호 형상의 유하통 내면에 충돌시켜 상기 조질·건조부에 반입하기 위한 소출 날개를 축 피벗하였으므로, 원심 탈수부로부터 미립을 긁어냄과 함께, 미립을 유하통 내면의 원호상의 구부러짐부에 충돌시킬 수 있고, 이로써, 미립은 유하통의 내부에서 사방으로 흩어져 확산시켜 조질·건조부에 공급시킬 수 있다. 이로써, 미립이 응어리가 되어 조질·건조부에 반입될 우려가 없어지므로, 불균일이 없는 건조가 실시되어 품질이 양호한 무세 곡류를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조질·건조부가, 미립을 전동시키면서 열풍에 맞히기 위한 스크린을 펼쳐 형성한 진동 머신 프레임과, 그 진동 머신 프레임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 전체를 미세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와,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팬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일 양태와 같이, 상기 조질·건조부가, 미립을 전동시키면서 열풍에 맞히기 위한 스크린을 펼쳐 형성한 진동 머신 프레임과, 그 진동 머신 프레임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 전체를 미세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와,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팬으로 구성하면, 진동 머신 프레임에 의해 미립이 스크린 상을 전동하면서 건조풍이 송급 되기 때문에, 미립의 편측뿐만 아니라, 미립의 양면에 건조풍이 닿아 건조되게 되어, 건조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진다.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에 펼쳐 형성한 스크린이, 진동 머신 프레임의 공급측으로부터 배출측을 향하여 복수의 스크린을 차례로 펼쳐 형성한 것이고, 그 복수의 스크린의 경계 부근에는, 단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 양태에서는,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에 펼쳐 형성한 스크린이, 진동 머신 프레임의 공급측으로부터 배출측을 향하여 복수의 스크린을 차례로 펼쳐 형성한 것이고, 그 복수의 스크린의 경계 부근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미립이 일방의 스크린으로부터 타방의 스크린으로 타고 넘어갈 때, 효과적인 미립의 전동이 실시되기 때문에, 미립의 편측뿐만 아니라, 미립의 양면에 효과적으로 건조풍이 닿아 건조되게 되어, 건조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적어진다.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의 내강 (內腔) 에, 세로 방향으로 구획벽을 형성하고, 이 구획벽에 의해 제 1 풍동, 제 2 풍동의 2 개의 풍동을 형성하고, 일방의 상기 제 1 풍동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을 위치시키고, 타방의 상기 제 2 풍동의 상부에는, 상기 제 3 스크린을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의 내강에, 세로 방향으로 구획벽을 형성하고, 이 구획벽에 의해 제 1 풍동, 제 2 풍동의 2 개의 풍동을 형성하고, 일방의 상기 제 1 풍동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을 위치시키고, 타방의 상기 제 2 풍동의 상부에는, 상기 제 3 스크린을 위치시켰으므로, 건조 초기의 미립의 부착 수분이 많을 때에는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하고, 건조 종기의 미립의 부착 수분이 적을 때에는 건조 속도를 느리게 하여 미립의 곡온 상승을 억제하여, 과건조에 의한 미립 표면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제 1 풍동의 하부 및 상기 제 2 풍동의 하부에 각각 풍량 조절용의 댐퍼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풍동의 하부 및 상기 제 2 풍동의 하부에 각각 풍량 조절용의 댐퍼를 형성하면, 상기 제 1 풍동 및 상기 제 2 풍동마다 건조풍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세 곡류를 제조할 수 있는 무세 곡립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해, 도정부에 잔류 부착물이 잘 발생하지 않아, 위생면이 우수한 무세 곡립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해, 곡립에 불균일 없이 건조풍을 송급하여 품질이 양호한 무세 곡류를 제조할 수 있는 무세 곡립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무세 곡립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동일한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도정부와 원심 탈수부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도정부의 도정통 시단측 (미립 투입 호퍼 근방) 의 확대 종단면도 (도 4(A)) 와, 동일한 일부 파단 사시도 (도 4(B)) 이다.
도 5 는, 도 3 의 A-A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확대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무세 곡립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동일한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원심 탈수부와 조질·건조부 사이의 접속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는, 원심 탈수부와 조질·건조부 사이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조질·건조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먼저, 도정부에 잔류 부착물이 잘 발생하지 않아, 위생면이 우수한 무세 곡립 제조 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무세 곡립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 는 동일한 개략 종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곡립 중인 쌀을 일례로서 설명을 실시한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부호 1 은 무세 곡립 제조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고, 머신 프레임 (2) 상에 재치 (載置) 되는, 곡립 (정백미) 을 물과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 (3) 와, 그 도정부 (3) 에 곡립을 공급하는 곡립 공급 장치 (4) 와, 상기 도정부 (3) 로부터 배출된 미립을 원심 탈수하는 원심 탈수부 (5) 와, 그 원심 탈수부 (5) 로부터의 미립을 조질하고, 건조를 실시하는 조질·건조부 (6) 에 의해 주요부가 구성된다.
상기 서술한 도정부 (3) 는, 가로형 통상의 도정통 (7)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가로 형성한 도정축 (8) 과, 그 도정축 (8) 에 축 피벗한 송각 스크루 (9) 와, 복수의 교반 날개 (10) 를 고착시키고, 또한 상기 도정축 (8) 에 축 피벗한 교반 전자 (11) 와, 또한 상기 도정축 (8) 에 축 피벗하여 상기 도정통 (7) 의 말단측으로부터 곡립이 유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12)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규제 부재 (12) 는 플랜지 형상의 부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도정축 (8) 에 축 피벗한 상기 규제 부재 (12) 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도정통 (7) 의 내경과의 간극을 좁혀 상기 도정통 (7) 으로부터의 곡립의 유출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면 된다.
상기 도정축 (8) 의 후단에는 회전 구동용의 구동 풀리 (13) 가 축 피벗되어 있고, 도정부 (3) 의 상방에는 그 도정축 (8) 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 (14)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14) 의 모터 풀리 (15) 와 상기 도정축 (8) 의 구동 풀리 (13) 사이에 전동 벨트 (16) 를 권회하여 모터 (14) 의 회전력을 도정축 (8) 에 전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원심 탈수부 (5) 는, 세로형이고 일부가 다공벽부 (17) 에 형성되는 회전 가능한 탈수통 (18) 과, 그 탈수통 (18)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탈수축 (19) 과, 그 탈수축 (19) 에 축 피벗되는 탈수 스크루 (20)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탈수통 (18) 의 다공벽부 (17) 의 주위에는 배수 커버 (21) 및 배수통 (22) 이 형성되어 있고, 탈수 스크루 (20) 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 및 탈수통 (18) 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해 다공벽부 (17) 로부터 세정 후의 물이 배출되게 되어 있다.
원심 탈수부 (5) 의 측방에는 상기 탈수축 (19) 및 탈수통 (18) 을 각각 회전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출력축을 구비한 모터 (23)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탈수축 (19) 의 일단에는 탈수축 (19) 의 회전 구동용의 구동 풀리 (24) 가, 상기 탈수통 (18) 의 축 방향의 중앙 부근에는 통 둘레면에 풀리 홈 (25) 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구동 풀리 (24) 와 상기 모터 (23) 의 제 1 모터 풀리 (26) 사이에는 전동 벨트 (27) 를 권회하여 제 1 모터 풀리 (26) 의 회전력을 탈수축 (19) 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풀리 홈 (25) 과 상기 모터 (23) 의 제 2 모터 풀리 (28) 사이에는 전동 벨트 (29) 를 권회하여 제 2 모터 풀리 (28) 의 회전력을 탈수통 (18) 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원심 탈수부 (5) 의 탈수축 (19) 하단에는, 곡립 (미립) 을 상기 조질·건조부 (6) 에 반입하기 위한 소출 날개 (30) 가 축 피벗되고, 상기 조질·건조부 (6) 에 미립을 확산시키면서 반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 탈수부 (5) 와 상기 조질·건조부 (6) 사이에는, 종단면이 완만한 원호와 같은 유하통 (31) 에서 접속되고, 상기 소출 날개 (30) 와 더불어 탈수 후의 미립을 확산시키면서 조질·건조부 (6) 에 반입할 수 있다.
상기 조질·건조부 (6) 는, 미립을 전동시키면서 열풍에 맞히기 위한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 (32, 33, 34) 을 내장한 진동 머신 프레임 (35) 과, 그 진동 머신 프레임 (35) 과, 스크린 (32, 33, 34) 을 매달아 지지하는 탄성 부재 (36) 와,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 (35) 전체를 미세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 (37) 와, 히터가 내장된 열풍 공급팬 (38) 과, 상기 스크린 (32, 33, 34) 을 통과한 바람을 기외로 배출하는 배풍 덕트 (39) 와, 상기 조질·건조제의 미립을 기외로 배출하는 정품 (精品) 덕트 (40) 로 구성된다.
상기 도정부 (3) 의 도정통 시단측 (7a) 에는 곡립 투입구 (41) 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정통 시단측 (7a) 의 외주 가장자리 (7g) 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곡립을 투입할 수 있도록, 약간 외주측에 편이 (偏移) 된 곡립 투입 호퍼 (42) 가 배치 형성된다 (도 1, 도 4(A), 도 4(B) 참조). 이 곡립 투입 호퍼 (42) 에는, 예를 들어, 폭이 120 ㎜, 길이가 150 ㎜ 정도인 경사 슈트 (43) 가 구비되고, 또한 그 경사 슈트 (43) 의 하단에 물 공급 노즐 (44) 이 고정 형성된다. 이로써, 경사 슈트 (43) 로부터 곡립 투입구 (41) 에 곡립을 투입할 때, 외주 가장자리 (7g) 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곡립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투입할 수 있다. 또, 곡립이 경사 슈트 (43) 하단으로부터 도정통 (7) 에 낙하하는 도중에 물 공급 노즐 (44) 로부터의 가수가 실시되기 때문에, 곡립의 유하의 기세에 의해 가수에 의한 물의 압력이 약해져 비말을 방지할 수 있다. 부호 45 는 물 공급 노즐 (44) 의 선단에 있는 물 공급구로서, 이 물 공급구 (45) 는 경사 슈트 (43) 의 폭 방향에 걸쳐 폭이 넓은 개구 (도 4(B) 참조) 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경사 슈트 (43) 의 폭 방향 치수가 120 ㎜ 인 경우, 물 공급구 (45) 의 폭 방향 치수는 거의 동등한 10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46 은 급수관이고, 부호 47 은 급수관 (46) 과 물 공급 노즐 (44) 을 접속하는 조인트이고, 도시되지 않은 펌프 등에 의해 급수관 (46), 조인트 (47) 를 통하여 물 공급 노즐 (44) 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무세 곡립 제조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원료 공급 슈트 (50) 로부터 공급되는 원료가 되는 정백미는, 곡립 공급 장치 (4) 인 로터리 밸브 (51) 에 의해 곡립 투입 호퍼 (42) 에 정량 공급된다. 그리고, 미립은 통로 (52) 로부터 곡립 투입 호퍼 (42) 에 도달하고, 곡립 투입 호퍼 (42) 에서는 호퍼 내에 형성한 경사 슈트 (43) 에 의해, 외주 가장자리 (7g) 의 접선 방향에서 정렬시킨 상태에서 도정통 (7) 내에 투입된다. 이 때, 경사 슈트 (43) 하단부에 고정 형성한 물 공급 노즐 (44) 에 의해, 물이 첨가되고, 예를 들어, 정백미에 대해 10 ∼ 20 중량% 로 첨가된다.
그리고, 물 공급 노즐 (44) 로부터의 물의 첨가는, 미립이 경사 슈트 (43) 하단으로부터 도정통 (7) 에 낙하하는 도중에 실시되기 때문에, 미립의 유하의 기세에 의해 가수에 의한 물 첨가시의 압력이 약해져, 비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물 공급 노즐 (44) 선단의 물 공급구 (45) 가, 경사 슈트 (43) 의 폭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폭이 넓은 개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4(B) 참조), 경사 슈트 (43) 를 유하하는 모든 미립에 대해 불균일 없이 균등하게 물을 첨가할 수 있어,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립은 도정통 시단측 (7a) 내의 송각 스크루 (9) 에 의해 도정통 (7) 측으로 이송되고, 도정통 (7) 에서는 복수의 교반 날개 (10) 에 의해 교반·도정된다. 정백미는, 도정에 의해 발생한 강분 (糠分) 이 수중에 확산됨과 함께, 수중에서의 입자들의 마찰에 의해 도정이 실시된다. 이 때의 도정 정도는 미립에 대해 0.5 ∼ 2.0 % 진행함으로써 미립 표면의 알류론층이 박리되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교반·도정시에는, 상기 도정축 (8) 에 축 피벗한 규제 부재 (12) 에 의해 미립의 도정통 (7) 으로부터의 유출이 규제되게 된다. 이 때의 규제 부재 (12) 와 도정통 (7) 의 간극의 치수로는, 바람직하게는, 미립의 유출이 가능한 3 ∼ 15 ㎜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13 ㎜ 의 범위로 설정하면 된다.
도 5 는 도 3 의 A-A 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확대도이다. 상기 도정축 (8) 의 선단부에 축 피벗한 규제 부재 (12) 는, 그 외경이 도정통 (7) 의 내경에 접근시켜 간극을 좁혀, 정백미의 도정통 (7) 으로부터의 유출이 규제된다. 도 5 에 규제 부재 (12) 와 도정통 (7) 의 치수의 일례를 나타낸다. 규제 부재 (12) 는 원반 형상으로 단면의 외경이 140 ㎜ 이고, 대략 육각 형상의 도정통 (7) 의 가장 좁은 지점의 내경이 150 ㎜ 이고, 도정통 (7) 의 가장 넓은 지점의 내경이 166 ㎜ 이다. 그리고, 미립을 유출할 수 있는 간극은 최대로 13 ㎜ 이고, 최소로 5 ㎜ 이다. 이와 같은 간극 치수로 형성함으로써, 미립을 도정통 (7) 으로부터 유출을 규제하면서 원심 탈수부 (5) 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정통 (7) 으로부터의 미립의 유출을 규제하면서 미립의 다음 공정 (예를 들어, 원심 탈수부 (5)) 에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68896 공보의 단락 0006 이나 도 1 에 기재된 배출구에 저항 덮개를 압접하는 방식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출구에 저항 덮개를 압접하는 조압 기구에 있어서는, 다른 부품이 되는 수용 호퍼를 통하여 다음 공정에 접속하지 않으면 안되어, 기체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은 도정축 (8) 의 선단부에 규제 부재 (12) 를 축 피벗하여, 도정통 (7) 과의 간극을 좁히는 방식으로 하면, 도정통 (7) 을 탈수통 (18) 에 직접 접속시킬 수 있어, 기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그리고, 규제 부재 (12) 에 의해 도정통 (7) 으로부터 정백미의 유출을 규제하면서 수중 도정이 실시되기 때문에, 도정통 (7) 내에 잔류 부착물이 잘 발생하지 않아, 위생면이 우수한 무세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하여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으로, 미립이 원심 탈수부 (5) 의 탈수통 (18) 에 공급되면, 원심 탈수부 (5) 에서는 미립과 물이 탈수 스크루 (20) 의 회전 (예를 들어, 2000 rpm) 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 때, 미립과 물은 이송되면서, 탈수통 (18) 의 회전 (예를 들어, 1700 rpm) 에 의한 원심력의 작용을 받아, 탈수통 (18) 의 다공벽부 (17) 에 있어서, 미립과 강분 및 알류론을 함유한 물로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물은 배수 커버 (21) 및 배수통 (22) 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되고, 배수 처리 시설 (도시하지 않음) 에서 배수 처리가 실시되는 한편, 탈수된 미립은, 탈수축 (19) 하단의 소출 날개 (30) 로부터 탈수통 (18) 으로부터 긁어내져, 유하통 (31) 을 통하여 조질·건조부 (6) 로 이송된다.
조질·건조부 (6) 에서는, 미립이 진동 머신 프레임 (35) 내의 제 1 스크린 (32) 에 공급되면, 미립이 진동 모터 (37) 에 의해 제 1 스크린 (32), 제 2 스크린 (33) 및 제 3 스크린 (34) 으로 순차 전동되면서 이송된다. 또, 제 1 스크린 (32), 제 2 스크린 (33) 및 제 3 스크린 (34) 의 하방에서는 열풍 공급팬 (38) 으로부터의 열풍이 송급되고 있어, 미립을 전동시키면서 열풍에 맞혀짐으로써, 조질·건조가 실시된다. 그리고, 정품 덕트 (40) 로부터는, 예를 들어, 수분이 15 % 전후로 마무리된 무세미가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무세미가 제조되는 것이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정부 (3) 가, 도정통 (7)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 도정축 (8) 과, 그 도정축 (8) 에 축 피벗한 송각 스크루 (9) 와, 복수의 교반 날개 (10) 를 고착시키고, 또한 상기 도정축 (8) 에 축 피벗한 교반 전자 (11) 와, 상기 도정축 (8) 의 선단부에 축 피벗하여, 상기 도정통 (7) 내경과의 간극을 좁혀 상기 도정통 (7) 으로부터의 미립의 유출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12) 를 구비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규제 부재 (12) 에 의해 도정통 (7) 으로부터 미립의 유출을 규제하면서 수중 도정이 실시된다. 그 결과, 도정통 (7) 내가 항상 충만 상태가 되어 잔류 부착물이 잘 발생하지 않아, 위생면이 우수한 무세 곡립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정부 (3) 와 원심 탈수부 (5) 를 수용 호퍼를 통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직접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정부 (3) 의 도정통 시단측 (7a) 에는, 도정통에 개구한 곡립 투입구 (41) 에 미립을 투입하기 위한 곡립 투입 호퍼 (42) 를 배치 형성하고, 그 곡립 투입 호퍼 (42) 에는 경사 슈트 (43) 를 구비하고, 또한, 그 경사 슈트 (43) 의 하단에 그 경사 슈트 (43) 의 폭 방향 치수와 거의 동등한 폭 치수의 폭이 넓은 물 공급구 (45) 를 개구시켰으므로, 미립이 경사 슈트 (43) 하단으로부터 도정통 (7) 에 낙하하는 도중에 물 공급 노즐 (44) 로부터의 가수가 실시되기 때문에, 미립의 유하의 기세에 의해, 가수시의 물의 압력이 약해져, 비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곡립에 불균일 없이 건조풍을 송급하여 품질이 양호한 무세 곡류를 제조할 수 있는 무세 곡립 제조 장치를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무세 곡립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7 은 동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있어서, 부호 1 은 무세 곡립 제조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고, 머신 프레임 (2) 상에 재치되는, 곡립 (정백미) 을 물과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 (3) 와, 그 도정부 (3) 에 곡립을 공급하는 곡립 공급 장치 (4) 와, 상기 도정부 (3) 로부터 배출된 미립을 원심 탈수하는 원심 탈수부 (5) 와, 그 원심 탈수부 (5) 로부터의 미립을 조질하고, 건조를 실시하는 조질·건조부 (6) 에 의해 주요부가 구성된다.
상기 서술한 도정부 (3) 는, 가로형 통상의 도정통 (7)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가로 형성한 도정축 (8) 과, 그 도정축 (8) 에 축 피벗한 송각 스크루 (9) 와, 복수의 교반 날개 (10) 를 고착시키고, 또한 상기 도정축 (8) 에 축 피벗한 교반 전자 (11) 와, 상기 도정축 (8) 의 선단부에 축 피벗하여 상기 도정통 (7) 으로부터의 곡립의 유출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12)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정축 (8) 의 후단에는 회전 구동용의 구동 풀리 (13) 가 축 피벗되어 있고, 도정부 (3) 의 상방에는 그 도정축 (8) 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 (14)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14) 의 모터 풀리 (15) 와 상기 도정축 (8) 의 구동 풀리 (13) 사이에 전동 벨트 (16) 를 권회하여 모터 (14) 의 회전력을 도정축 (8) 에 전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원심 탈수부 (5) 는, 세로형이고 일부가 다공벽부 (17) 에 형성되는 회전 가능한 탈수통 (18) 과, 그 탈수통 (18)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탈수축 (19) 과, 그 탈수축 (19) 에 축 피벗되는 탈수 스크루 (20)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탈수통 (18) 의 다공벽부 (17) 의 주위에는 배수 커버 (21) 및 배수통 (22) 이 형성되어 있고, 탈수 스크루 (20) 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 및 탈수통 (18) 의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해 다공벽부 (17) 로부터 세정 후의 배수가 배출되게 되어 있다.
원심 탈수부 (5) 의 측방에는 상기 탈수축 (19) 및 탈수통 (18) 을 각각 회전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출력축 (일방의 출력축의 회전수와 타방의 출력축의 회전수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을 구비한 모터 (23)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탈수축 (19) 의 일단에는 탈수축 (19) 의 회전 구동용의 구동 풀리 (24) 가, 상기 탈수통 (18) 의 축 방향의 중앙 부근에는 통 둘레면에 풀리 홈 (25) 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구동 풀리 (24) 와 상기 모터 (23) 의 제 1 모터 풀리 (26) 사이에는 전동 벨트 (27) 를 권회하여 제 1 모터 풀리 (26) 의 회전력을 탈수축 (19) 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풀리 홈 (25) 과 상기 모터 (23) 의 제 2 모터 풀리 (28) 사이에는 전동 벨트 (29) 를 권회하여 제 2 모터 풀리 (28) 의 회전력을 탈수통 (18) 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원심 탈수부 (5) 의 탈수축 (19) 하단에는, 곡립 (미립) 을 상기 조질·건조부 (6) 에 반입하기 위한 소출 날개 (30) 가 축 피벗되고, 상기 조질·건조부 (6) 에 미립을 확산시키면서 반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 탈수부 (5) 와 상기 조질·건조부 (6) 사이에는, 종단면이 완만한 원호와 같은 유하통 (31) 에서 접속되고, 상기 소출 날개 (30) 의 소출 작용과 더불어 탈수 후의 미립을 확산시키면서 조질·건조부 (6) 에 반입할 수 있다.
즉,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수축 (19) 의 회전 (R) 에 의해 소출 날개 (30) 가 회전하여 원심 탈수부 (5) 의 하단으로부터 미립이 탈수통 (18) 으로부터 긁어내지고, 화살표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상의 유하통 (31) 의 구부러짐부에 충돌한다. 이로써, 미립이 유하통 (31) 의 내부에서 사방으로 흩어져 확산되게 된다. 도 9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하통 (31) 은 하방을 향하여 끝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9 의 파선 화살표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하통 (31) 내를 확산하면서 낙하한다. 유하통 (31) 하단은 건조부 공급 슈트 (68) 에 접속되어 있고, 파선 화살표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립은 그대로 조질·건조부 (6) 의 시단측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조질·건조부 (6) 는, 미립을 전동시키면서 열풍에 맞히기 위한, 공급측으로부터 배출측을 향하여 차례로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 (32, 33, 34) 을 펼쳐 형성한 진동 머신 프레임 (35) 과, 그 진동 머신 프레임 (35) 을 머신 프레임 (2) 에 대해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부재 (36) 와,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 (35) 전체를 미세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 (37) 와, 히터가 내장된 열풍 공급팬 (38a, 38b) 과, 상기 스크린 (32, 33, 34) 을 통과한 바람을 기외로 배출하는 배풍 덕트 (39) 와, 상기 스크린 (32, 33, 34) 을 통과하여 조질·건조가 종료된 미립을 기외로 배출하는 정품 배출 덕트 (40) 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 (32, 33, 34) 은, 미립은 통과하지 않지만, 건조풍은 통과할 수 있는 눈금 폭의 메시 그물, 방직 그물, 펀칭 메탈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재질은 철, 스테인리스, 놋쇠, 알루미늄 등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이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 (32, 33, 34) 에는, 그 경계 부근에 단차를 갖고 있고 (도 7, 도 8 및 도 10 참조), 각각의 경계에 단차부 (63) 가 형성된다. 즉, 제 1 스크린 (32) 과 제 2 스크린 (33) 의 접속부에는 제 1 단차부 (63a) 가 형성되고, 제 2 스크린 (33) 과 제 3 스크린 (34) 의 접속부에는 제 2 단차부 (63b) 가 형성된다. 이 단차부 (63a, 63b) 에 의해, 미립이 제 1 스크린 (32) 으로부터 제 2 스크린 (33) 으로 타고 넘어갈 때 및 미립이 제 2 스크린 (33) 으로부터 제 3 스크린으로 타고 넘어갈 때, 각각에서 미립이 전동되기 때문에, 미립의 편측뿐만 아니라, 미립의 양면에 건조풍이 닿아 건조되게 되어, 건조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진다.
도 10 은 조질·건조부 (6) 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조질·건조부 (6) 에는,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 (35) 내강의 세로 방향으로 구획벽 (64) 이 형성된다. 이 구획벽 (64) 에 의해 제 1 풍동 (65a), 제 2 풍동 (65b) 의 2 개의 풍동이 형성된다. 이 2 개의 제 1 풍동 (65a), 제 2 풍동 (65b) 은 각각을 다른 건조 조건 (온도, 풍량 등을 상이하게 하는 것에 의한) 의 건조풍을 송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풍동 (65a) 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스크린 (32) 및 제 2 스크린 (33) 을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 제 2 풍동 (65b) 상부에는 제 3 스크린 (34) 을 위치시킨다. 상기 제 1 풍동 (65a) 의 하부에는 풍량 조절용의 댐퍼 (66a, 66b, 66c) 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 2 풍동의 하부에도 동일하게 풍량 조절용의 댐퍼 (66d, 66e, 66f) 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제 1 풍동 (65a) 에는, 상기 열풍 공급팬 (38a) 이 접속되는 한편, 상기 제 2 풍동 (65b) 에는, 상기 열풍 공급팬 (38b) 이 연통관 (67) 을 통하여 접속된다. 이로써, 상기 열풍 공급팬 (38a) 으로부터는, 1 차 건조용으로서 비교적 온도가 높고 풍량이 큰, 예를 들어, 온도 60 ∼ 80 ℃, 풍량 80 ㎥/min 의 건조풍이 제 1 풍동 (65a) 을 통하여 제 1 스크린 (32) 및 제 2 스크린 (33) 상의 미립에 끼얹어지고, 배풍은 배풍 덕트 (39) 를 통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열풍 공급팬 (38b) 에서는, 2 차 건조용으로서 비교적 온도가 낮고 풍량이 작은, 예를 들어, 온도 30 ∼ 50 ℃, 풍량 60 ㎥/min 의 건조풍이 제 2 풍동 (65b) 을 통하여 제 3 스크린 (34) 상의 미립에 끼얹어지고, 배풍은 배풍 덕트 (39) 를 통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또, 상기 제 1 풍동 (65a) 상의 제 1 스크린 (32) 및 제 2 스크린 (33) 을 미립이 통과하는 시간은 약 15 초이고, 동일하게, 상기 제 2 풍동 (65b) 상의 제 3 스크린 (34) 을 미립이 통과하는 시간도 약 15 초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무세 곡립 제조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원료 공급 슈트 (70) 로부터 공급되는 원료가 되는 정백미는, 곡립 공급 장치 (4) 인 로터리 밸브 (71) 에 의해 곡립 투입 호퍼 (42) 에 정량 공급된다. 그리고, 미립은 통로 (72) 로부터 곡립 투입 호퍼 (42) 에 도달하고, 그 곡립 투입 호퍼 (42) 내에 고정 형성한 물 공급 노즐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물이 첨가되고, 예를 들어, 정백미에 대해 10 ∼ 20 중량% 로 첨가 된다.
다음으로, 미립은 도정통 시단측 (7a) 내의 송각 스크루 (9) 에 의해 도정통 (7) 측으로 이송되고, 도정통 (7) 에서는 복수의 교반 날개 (10) 에 의해 교반·도정된다. 정백미는, 도정에 의해 발생한 강분이 수중에 확산됨과 함께, 수중에서의 입의 마찰에 의해 도정이 실시된다. 이 때의 도정 정도는 미립에 대해 0.5 ∼ 2.0 % 진행함으로써 미립 표면의 알류론층이 박리되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교반·도정시에는, 상기 도정축 (8) 의 선단부에 축 피벗한 규제 부재 (12) 에 의해 미립의 도정통 (7) 으로부터의 유출이 규제되게 된다. 이 때의 규제 부재 (12) 와 도정통 (7) 의 간극의 치수로는, 바람직하게는, 미립의 유출이 가능한 3 ∼ 15 ㎜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13 ㎜ 의 범위로 설정하면 된다.
상기 규제 부재 (12) 를 이 간극 치수의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미립을 도정통 (7) 으로부터 유출을 규제하면서 원심 탈수부 (5) 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립을 도정통 (7) 으로부터 유출을 규제하면서 다음 공정 (예를 들어, 원심 탈수부 (5)) 에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68896 공보의 단락 0006 이나 도 6 에 기재된 배출구에 저항 덮개를 압접하는 방식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출구에 저항 덮개를 압접하는 조압 기구에 있어서는, 다른 부품이 되는 수용 호퍼를 통하여 다음 공정에 접속하지 않으면 안되어, 기체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은 도정축 (8) 의 선단부에 규제 부재 (12) 를 축 피벗하여, 도정통 (7) 과의 간극을 좁히는 방식으로 하면, 도정통 (7) 을 탈수통 (18) 에 직접 접속할 수 있어, 기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그리고, 규제 부재 (12) 에 의해 도정통 (7) 으로부터 정백미의 유출을 규제하면서 수중 도정이 실시되기 때문에, 도정통 (7) 내에 잔류 부착물이 잘 발생하지 않아, 위생면이 우수한 무세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미립이 원심 탈수부 (5) 의 탈수통 (18) 에 공급되면, 원심 탈수부 (5) 에서는 미립과 물이 탈수 스크루 (20) 의 회전 (예를 들어, 2000 rpm) 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송되고, 이 때, 미립과 물은 이송되면서, 탈수통 (18) 의 회전 (예를 들어, 1700 rpm) 에 의한 원심력의 작용을 받아, 탈수통 (18) 의 다공벽부 (17) 에 있어서, 미립과 강분 및 알류론을 함유한 물로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물은 배수 커버 (21) 및 배수통 (22) 을 통하여 기외로 배출되고, 배수 처리 시설 (도시하지 않음) 에서 배수 처리가 실시되는 한편, 탈수된 미립은, 탈수축 (19) 하단의 소출 날개 (30) 로부터 탈수통 (18) 으로부터 긁어내져, 유하통 (31) 을 통하여 조질·건조부 (6) 로 이송된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탈수축 (19) 의 회전 (화살표 (R)) 에 의해 소출 날개 (30) 가 회전되고, 이것으로부터 탈수통 (18) 으로부터 미립이 긁어내지고, 이어서, 미립은 유하통 (31) 의 원호부에 충돌하고 (도 8, 도 9 의 화살표 (A)), 유하통 (31) 의 내부에서 사방으로 흩어져 확산되게 된다. 그리고, 유하통 (31) 내를 확산하면서 낙하하고, 건조부 공급 슈트 (68) 내에서는 하방으로 낙하하고 (도 8, 도 9 의 화살표 (B)), 미립은 그대로 조질·건조부 (6) 의 시단측에 공급된다.
조질·건조부 (6) 에서는, 진동 머신 프레임 (35) 에 장착한 진동 모터 (37) 에 의해, 예를 들어, 진동 머신 프레임 (35) 이 진폭 3 ∼ 4 ㎜, 진동수로서 모터 회전수가 1000 ∼ 1200 rpm (50 HZ/60 HZ) 이라는 조건에서 미세 진동되고, 미립이 공급측으로부터 배출측을 향하여 제 1 스크린 (32), 제 2 스크린 (33) 및 제 3 스크린 (34) 을 차례로 이송되게 된다.
미립이 제 1 스크린 (32) 및 제 2 스크린 (33) 상을 이송될 때에는, 1 차 건조용으로서 비교적 온도가 높고 풍량이 큰 건조풍이 열풍 공급팬 (38a) 으로부터 공급되므로, 원심 탈수부 (5) 에서는 다 제거하지 못한 미립 표면에 부착된 다량의 표면 부착수를 건조·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미립이 제 3 스크린 (34) 상을 이송될 때에는, 2 차 건조용으로서 비교적 온도가 낮고 풍량이 작은 건조풍이 열풍 공급팬 (38b) 으로부터 공급되므로, 1 차 건조 후의 미립 표면에 근소하게 부착된 표면 부착수 (부착수가 없어지기 직전에) 를 건조·제거하기 때문에, 미립의 곡온 상승을 억제하고, 과건조에 의한 미립 표면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스크린 (34) 을 통과한 미립은, 정품 덕트 (40) 로부터 기외 배출되고, 예를 들어, 수분이 15 % 전후로 마무리된 무세미가 배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무세미가 제조되는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원심 탈수부 (5) 와, 상기 조질·건조부 (6) 사이를, 종단면이 완만한 원호 형상의 유하통 (31) 을 통하여 연락함과 함께, 상기 원심 탈수부 (5) 하단부에는, 원심 탈수 후의 제수 (除水) 된 미립을 상기 원호 형상의 유하통 내면에 충돌시켜 상기 조질·건조부 (6) 에 반입하기 위한 소출 날개 (30) 을 축 피벗하였으므로, 원심 탈수부 (5) 로부터 미립을 긁어냄과 함께, 유하통 (31) 내면의 원호상의 구부러짐부에 충돌시킬 수 있고, 이로써, 미립은 유하통 (31) 의 내부에서 사방으로 흩어져 확산시켜 조질·건조부 (6) 에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미립이 응어리가 되어 조질·건조부에 반입될 우려가 없어져, 불균일이 없는 건조가 실시되고 품질이 양호한 무세 곡류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질·건조부 (6) 는, 미립을 전동시키면서 열풍에 맞히기 위한 스크린 (32, 33, 34) 을 펼쳐 형성한 진동 머신 프레임 (35) 과, 그 진동 머신 프레임 (35) 을 머신 프레임 (2) 에 대해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부재 (36) 와,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 (35) 전체를 미세 진동시키는 진동 모터 (37) 와, 히터가 내장된 열풍 공급팬 (38a, 38b) 과, 상기 스크린 (32, 33, 34) 을 통과하여 조질·건조가 종료된 미립을 기외로 배출하는 정품 배출 덕트 (40) 로 구성되므로, 진동 머신 프레임 (35) 에 의해 미립이 스크린 상을 전동하면서 건조풍이 송급되기 때문에, 미립의 편측뿐만 아니라, 미립의 양면에 건조풍이 닿아 건조되게 되어, 건조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 (35) 에 펼쳐 형성한 스크린 (32, 33, 34) 은, 진동 머신 프레임 (35) 의 공급측으로부터 배출측을 향하여 복수의 스크린을 차례로 펼쳐 형성한 것이고, 그 복수의 스크린 (32, 33, 34) 의 경계 부근에 단차부 (63a, 63b) 를 형성하면, 미립이 일방의 스크린 (32) 으로부터 타방의 스크린 (33) 으로 타고 넘어갈 때 효과적인 미립의 전동이 실시되기 때문에, 미립의 편측뿐만 아니라, 미립의 양면에 건조풍이 닿아 건조되게 되어, 건조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적어진다.
그리고, 상기 진동 머신 프레임 (35) 내강에는, 세로 방향으로 구획벽 (64) 을 형성하고, 이 구획벽 (64) 에 의해 제 1 풍동 (65a), 제 2 풍동 (65b) 의 2 개의 풍동이 형성되고, 일방의 상기 제 1 풍동 (65a) 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스크린 (32) 및 제 2 스크린 (33) 을 위치시키고, 타방의 상기 제 2 풍동 (65b) 상부에는, 상기 제 3 스크린 (34) 을 위치시킨다.
이로써, 이 2 개의 제 1 풍동 (65a), 제 2 풍동 (65b) 마다 다른 건조 조건 (온도, 풍량 등을 상이하게 하는 것에 의한) 의 건조풍을 송급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면, 건조 초기의 미립의 부착 수분이 많을 때에는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하고, 건조 종기의 미립의 부착 수분이 적을 때에는 건조 속도를 느리게 하여 미립의 곡온 상승을 억제하고, 과건조에 의한 미립 표면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풍동 (65a) 의 하부 및 상기 제 2 풍동 (65b) 의 하부에 각각 풍량 조절용의 댐퍼 (66a ∼ 66f) 를 형성하면, 상기 제 1 풍동 (65a) 및 상기 제 2 풍동 (65b) 마다 건조풍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세 곡류 제조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무세 곡류 제조 장치
2 : 머신 프레임
3 : 도정부
4 : 곡립 공급 장치
5 : 원심 탈수부
6 : 조질·건조부
7 : 도정통
8 : 도정축
9 : 송각 스크루
10 : 교반 날개
11 : 교반 전자
12 : 규제 부재
13 : 구동 풀리
14 : 모터
15 : 모터 풀리
16 : 전동 벨트
17 : 다공벽부
18 : 탈수통
19 : 탈수축
20 : 탈수 스크루
21 : 배수 커버
22 : 배수통
23 : 모터
24 : 구동 풀리
25 : 풀리 홈
26 : 제 1 모터 풀리
27 : 전동 벨트
28 : 제 2 모터 풀리
29 : 전동 벨트
30 : 소출 날개
31 : 유하통
32 : 제 1 스크린
33 : 제 2 스크린
34 : 제 3 스크린
35 : 진동 머신 프레임
36 : 탄성 부재
37 : 진동 모터
38 : 열풍 공급팬
39 : 배풍 덕트
40 : 정품 덕트
41 : 곡립 투입구
42 : 곡립 투입 호퍼
43 : 경사 슈트
44 : 물 공급 노즐
45 : 물 공급구
46 : 급수관
47 : 조인트
50 : 원료 공급 슈트
51 : 로터리 밸브
52 : 통로
63 : 단차부
64 : 구획벽
65 : 풍동
66 : 댐퍼
67 : 연통관
68 : 건조부 공급 슈트
70 : 원료 공급 슈트
71 : 로터리 밸브
72 : 통로

Claims (10)

  1. 곡립을 물과 혼합·교반하여 수중 도정하는 도정부와, 그 도정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립과 물을 탈수통 내에 형성한 탈수 스크루에 의해 탈수하는 원심 탈수부와, 그 원심 탈수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립을 건조풍에 의해 무세 곡립으로 마무리하는 조질·건조부를 구비한 무세 곡립 제조 장치로서,
    상기 도정부는, 도정통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 도정축과, 그 도정축에 축 피벗한 송각 스크루와, 상기 도정축에 축 피벗함과 함께, 교반 날개를 고착시킨 교반 전자와, 또한 상기 도정축에 축 피벗하여 상기 도정통으로부터 곡립이 유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정부의 도정통 시단측에는, 상기 도정통에 개구한 곡립 투입구와, 그 곡립 투입구에 곡립을 투입하기 위한 곡립 투입 호퍼를 구비하고, 그 곡립 투입 호퍼에는, 상기 도정통의 외주 가장자리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곡립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투입하는 경사 슈트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경사 슈트의 하단에는, 물 공급 노즐이 고정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세 곡립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가 플랜지상 부재로서, 상기 도정축에 축 피벗한 상기 플랜지상 부재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도정통의 내경과의 간극을 좁혀 상기 도정통으로부터의 곡립의 유출을 규제하는 것인, 무세 곡립 제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노즐은, 상기 경사 슈트의 폭 방향 치수와 거의 동등한 폭 치수의 폭이 넓은 개구에 형성되어 있는, 무세 곡립 제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7035058A 2018-05-22 2019-04-24 무세 곡립 제조 장치 KR102539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97679 2018-05-22
JP2018097679A JP7133127B2 (ja) 2018-05-22 2018-05-22 無洗穀粒製造装置
JP2018106265A JP7161686B2 (ja) 2018-06-01 2018-06-01 無洗穀粒製造装置
JPJP-P-2018-106265 2018-06-01
PCT/JP2019/017518 WO2019225279A1 (ja) 2018-05-22 2019-04-24 無洗穀粒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392A KR20210011392A (ko) 2021-02-01
KR102539818B1 true KR102539818B1 (ko) 2023-06-02

Family

ID=6861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058A KR102539818B1 (ko) 2018-05-22 2019-04-24 무세 곡립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539818B1 (ko)
CN (1) CN112165990B (ko)
TW (1) TWI799581B (ko)
WO (1) WO201922527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761A (ja) * 2003-05-22 2004-12-09 Toyo Rice Cleaning Machine Co Ltd 洗米作業終了方法及び洗米装置
JP2004344798A (ja) * 2003-05-23 2004-12-09 Satake Corp 無洗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0793A (en) * 1977-04-26 1979-02-14 Ceske Vysoke Uceni Tech V Praz Starch-containing edible substances
JPS56168797U (ko) * 1981-04-20 1981-12-14
JPS62201654A (ja) * 1986-02-18 1987-09-05 株式会社 サタケ 臼型循環精穀機の穀粒残留防止装置
JPH02135151A (ja) * 1988-11-15 1990-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研米機
JPH06142530A (ja) * 1992-06-25 1994-05-24 Satake Eng Co Ltd 連続精米装置
KR20030021539A (ko) * 2001-09-06 2003-03-15 이상협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JP4058687B2 (ja) 2003-05-08 2008-03-12 株式会社サタケ 無洗米製造装置
JP4610254B2 (ja) * 2004-07-29 2011-01-12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研米機
US20080131582A1 (en) * 2006-12-05 2008-06-05 Jan Karwowski Production of whole grain hot cereal products
CN106955757A (zh) * 2016-06-27 2017-07-18 佐竹机械(苏州)有限公司 功能性米制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761A (ja) * 2003-05-22 2004-12-09 Toyo Rice Cleaning Machine Co Ltd 洗米作業終了方法及び洗米装置
JP2004344798A (ja) * 2003-05-23 2004-12-09 Satake Corp 無洗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99581B (zh) 2023-04-21
TW202003109A (zh) 2020-01-16
WO2019225279A1 (ja) 2019-11-28
CN112165990B (zh) 2022-09-27
KR20210011392A (ko) 2021-02-01
CN112165990A (zh) 202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494B1 (ko) 소맥 제분방법
JP3506441B2 (ja) 精麦製粉装置
AU615073B2 (en) System for flouring wheat
JP2005137378A (ja) 食品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EP0810031B1 (en) Pretreatment process in flour milling method
KR102539818B1 (ko) 무세 곡립 제조 장치
JP7161686B2 (ja) 無洗穀粒製造装置
JP7133127B2 (ja) 無洗穀粒製造装置
JP3492292B2 (ja) 無洗米製造装置
US5145117A (en) Process of and system for flouring wheat
WO2023090258A1 (ja) 無洗米製造装置
WO2023090257A1 (ja) 無洗米製造装置
US2065500A (en) Grain scouring and cleaning apparatus
JP3432201B2 (ja) 無洗米製造装置
JP2956410B2 (ja) 無洗米加工方法および無洗米加工装置
JP3385847B2 (ja) 洗麦装置
JPH05104004A (ja) 連続洗米装置
JP3749663B2 (ja) 無洗米製造装置
JPH06209724A (ja) 胚芽米製造方法および胚芽米製造装置
JPH06142533A (ja) 竪型精米機
JPH0584044A (ja) 白米加工装置
JPH06327989A (ja) 竪軸型精穀機
JP3396206B2 (ja) 無洗米製造装置
JPH01281153A (ja) 豆類洗浄機
JPH0568897A (ja) 洗米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