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539A -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539A
KR20030021539A KR1020010054850A KR20010054850A KR20030021539A KR 20030021539 A KR20030021539 A KR 20030021539A KR 1020010054850 A KR1020010054850 A KR 1020010054850A KR 20010054850 A KR20010054850 A KR 20010054850A KR 20030021539 A KR20030021539 A KR 20030021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drum
dehydration
grains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이상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협 filed Critical 이상협
Priority to KR102001005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1539A/ko
Publication of KR20030021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5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02B1/06Devices with rotar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된 곡물을 탈수함과 동시에 남아 있는 잔류 호분층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곡물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10)와; 상기 투입부(10)로부터 투입된 곡물을 전달받아 곡물에 묻은 물을 원심력에 의해 탈수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천공(21)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탈수드럼(20)과; 상기 탈수드럼 (20)에서 탈수된 곡물을 전달받아 배출하는 배출부(30)와; 상기 탈수드럼(20)에서 탈수되는 곡물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해 상기 탈수드럼(20)에 삽설되어 회전하며, 상기 탈수드럼(20) 내의 곡물의 표면과 마찰하면서 곡물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브러쉬(43)가 끝단을 따라 착설된 나선형의 날개(41)가 외주면에 형성된 클리닝스크류 (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A cleaning and spin-drying system for improving a convenience and adding a function}
본 발명은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잔류호분층 제거에 적당하도록 한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척과정을 거치지 않고 즉시 취반할 수 있는 곡물의 제조기계는 물에 의해 곡물의 세정과 세척을 하는 세척부와 세척된 곡물을 탈수시키는 탈수장치와, 직·간접열로서 건조시키는 건조부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씻어 나온 쌀의 제조기계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 공급통 (112)에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 스크류(118)로 일정한 양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곡물 공급부(110)와, 상기 곡물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에 물을 주입하고 세척 스크류(136)를 회전시켜 곡물에 묻은 이물질이나 미생물을 세척하는 세척부 (130)와, 상기 세척부(130)로부터 세척된 곡물에 물을 주입하여 세정하면서 회전시켜 곡물에 섞인 물을 원심력으로 탈수시키는 세정 탈수부(160)와, 상기 세정 탈수부(160)로부터 공급되는 탈수된 곡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정탈수부(16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그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세척부(130)로부터 배출된 곡물은 세정 탈수부(160)의 안내관(162)으로 투입되고, 2차 물공급 호스(164)로 물을 공급하면 곡물이 안내관(162)의 저부로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세척된다.
상기 안내관(162)의 저부로 이동한 곡물은 세정 스크류(168)의 원통관(170) 내부에 떨어지는데, 3차 물공급 호스(166)로 물을 공급하면 원통관(170) 내부에서 곡물이 씻겨 진다.
이때, 세정 스크류(168)는 제3모터(18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원통관(170) 내의 곡물과 물은 통과공(17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세정 스크류(168)의 통과공(172)을 빠져나온 곡물과 물은 제3모터(18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탈수통(176)의 표면에 접촉하였는데, 이곳에서 원심력에 의해 물은 탈수되고 곡물은 탈수통(176)의 표면에 달라붙게 된다.
여기서, 세정 스크류(168)는 탈수통(176) 보다 더 빨리 회전하므로 세정 스크류(168)의 표면에 형성된 날개(174)가 탈수통(176)의 표면에 달라붙은 곡물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곡물은 원심력에 의해 탈수통(176)의 상측으로 뿌려지게 되는데, 탈수통(176)의 외측에 설치된 이탈 방지포(178)에 의해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탈수통(176)에서 탈수된 물은 제2배수관(18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탈수통(176)의 상측으로 넘어온 곡물은 곡물배출구(184)로 배출된다.
그 다음, 세정 탈수부(160)의 곡물 배출구(184)로 배출된 곡물은 건조부 (200)에 담겨진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세정탈수부(16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세정탈수부(160)로 전달된 곡물은 주입된 물에 의하여 세정이 되고 탈수통(176)의 회전에 의해 탈수는 되었지만, 세척부(130)에서 세척 후 남아 있는 잔류 호분층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곡물에 잔류하고 있는 호분층은 건조부(200)에서 건조 시 온도가열에 의해 곡물표면으로부터 일어나게 되고, 또한 곡물의 저장 시 잔류호분층은 호기성균에 의해 쉽게 부패가 되어 곡물의 저장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정탈수부(160)에서는 곡물을 탈수하기 직전 곡물의 세정을 위해 별도의 물을 공급하여 곡물을 씻어 내어야 하므로 물의 소비가 많아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세정탈수부(160)를 구성하는 탈수통(176)과 그 안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세정 스크류(168)와의 간극이 작은데 반해 세정 스크류(168)의 부피는 커서, 상기 세정 스크류(168)의 조그만 흔들림에 의해서도 세정 스크류(168)가 탈수통(176)의 내면에 부딪히게 되어 탈수통(176) 내면에 있는 곡물이 깨지게 되는 원인이 되었고, 이로써 곡물의 품질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세정 탈수부(160)에는 곡물이 상기 세정 탈수부(160)에서 탈수되어 건조부(200)로 투입되기 전에 소정의 온도로 예열을 할 수 있는 예열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건조부(200)로 곧바로 투입된 곡물은 건조시 조사되는 열을 갑자기 받음으로 인하여 곡물의 갈라짐(동할)과 깨짐(쇄미)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된 곡물을 탈수함과 동시에 남아 있는 잔류 호분층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마찰에 의해 편리하게 곡물의 세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곡물을 건조기로 투입 직전에 예열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서 건조 시 곡물의 깨짐 갈라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씻어 나온 쌀의 제조기계이고,
도2는 도1에서의 세정 탈수부이고,
도3은 본 발명인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4는 도3의 탈수드럼과 클리닝스크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참조도이고,
도5는 도3의 탈수드럼과 클리닝스크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투입부11 : 투입구
20 : 탈수드럼21 : 천공
25 : 탈수드럼 구동모터30 : 배출부
31 : 배출구40 : 클리닝스크류
41 : 나선형의 날개43 : 브러쉬
44 : 스크류구동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은, 곡물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부터 투입된 곡물을 전달받아 곡물에 묻은 물을 원심력에 의해 탈수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천공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탈수드럼과; 상기 탈수드럼에서 탈수된 곡물을 전달받아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탈수드럼에서 탈수되는 곡물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해 상기 탈수드럼에 삽설되어 회전하며, 상기 탈수드럼 내의 곡물의 표면과 마찰하면서 곡물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브러쉬가 끝단을 따라 착설된 나선형의 날개가 외주면에 형성된 클리닝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스크류에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는 회전 시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곡물을 상기 탈수드럼을 거쳐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드럼은 전달된 곡물을 원심력에 의해 상기 탈수드럼의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상기 클리닝스크류에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는 회전 시 상기 투입부에서는 투입된 곡물을 상기 탈수드럼의 입구로 전달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탈수드럼에서는 이동되는 곡물에 역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에는 열선이 내장되어 상기 탈수드럼에서 배출부로 전달된 곡물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인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의 정면도이고,도4는 도3의 탈수드럼과 클리닝스크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참조도이고, 도5는 도3의 탈수드럼과 클리닝스크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미 탈수시스템은 지지대(1) 위에 곡물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10)와 탈수된 곡물을 전달받아 배출하는 배출부(3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투입부(10)와 배출부(3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탈수드럼(2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탈수드럼(20)은 상기 투입부(10) 및 배출부(30)와 결합되는 부위에는 각각 베어링(22, 24)이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20)이 상기 투입부(10)와 배출부(30) 사이에서 용이하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탈수드럼(20)의 회전을 위하여 지지대(1)의 일측에 탈수드럼 구동모터(25)가 설치되고, 상기 탈수드럼 구동모터(25)에 의한 동력을 상기 탈수드럼(20)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25)에는 구동풀리(23a)가 설치되고 상기 탈수드럼(20)에는 종동풀리(23b)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23a) 및 종동풀리(23b)를 밸트(23c)로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탈수드럼 구동모터(25)의 동력을 상기 탈수드럼(20)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한 풀리(23a, 23b) 및 밸트(23c)가 아니라 기어로 전달할 수도 있고, 탈수드럼 구동모터(25)를 탈수드럼(20)에 직접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탈수드럼(20)은 상기 투입부(10)로부터 투입된 곡물에 묻은 물을 원심력에 의해 탈수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탈수되는 곡물보다 작은 크기의 천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서, 상기 탈수드럼(20) 내로 전달된 곡물은 탈수드럼(20)의 회전 시 탈수드럼(20)의 내벽에 부착되어 탈수드럼(20)과 함께 회전함에 의해 원심력을 받게 되고, 이로서 곡물에 묻은 물은 상기 탈수드럼(20)의 표면에 형성된 천공(21)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된다.
또한, 상기 탈수드럼(20)의 내부에는 클리닝스크류(40)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리닝스크류(40)는 상기 탈수드럼(2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부(10)에 일단이 축지지가 되고 상기 배출부(30)에 하단이 축지지가 된다. 상기 축지지 부위에는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10)에 축지지가 된 상기 클리닝스크류(40)의 일단이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클리닝스크류(40)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는 스크류구동모터(44)의 회전축과 결합장치(45)에 의해 직접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구동모터(44)와 상기 클리닝스크류(40)의 결합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접 결합되지 않고 풀리 및 밸트를 사용하거나 기어 등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리닝스크류(40)에는 나선형의 날개(41)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의 날개(41)의 끝단을 따라 브러쉬(43)가 착설되어 있다.
상기 브러쉬(43)는 섬유, 합성수지(나일론) 등의 재질로 상기 나선형의 날개(41)의 끝단을 따라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스크류(40)가 상기 탈수드럼(20)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브러쉬(43)의 끝단과 상기 탈수드럼(20)의 내주면과 약간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은 브러쉬(43)는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브러쉬(43)가 상기 탈수드럼(20)의 내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탈수드럼(20)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곡물이 깨지게 되는 원인이 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스크류(40)는 상기 탈수드럼(20)과 다른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서, 상기 탈수드럼(20) 내부에서 상기 클리닝스크류(40)가 상기 스크류구동모터(44)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브러쉬(43)가 상기 탈수드럼(20) 내벽에 부착되어 탈수되는 곡물의 표면과 마찰하면서 곡물의 표면에 남아 있는 잔류 호분층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탈수드럼(20)은 입구(20a)와 출구(20b)의 직경이 똑 같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리닝스크류(40)에는 나선형의 날개(41)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투입부(10)로 투입된 곡물을 상기 탈수드럼(20)을 거쳐 배출부(30)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A 구역은 투입부(10)에 내의 클리닝스크류(40)에 해당하는 부위이고 B구역은 탈수드럼(20) 내의 클리닝스크류(40)에 해당하는 부위이고 C구역은 배출부(30) 내의 클리닝스크류(40)에 해당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동시 상기 탈수드럼(20) 내에서 있는 곡물은 상기 탈수드럼(20)의 회전에 의해 탈수되고 클리닝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표면이 클리닝이 되면서 상기 탈수드럼(20)의 입구(20a)에서 출구(20b)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탈수드럼(20)은 상기 탈수드럼(20)의 입구(20a)에서 출구(20b)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탈수드럼(20)으로 전달된 곡물은 상기 탈수드럼(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배출부(30)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스크류(40)에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41)는 회전시 상기 투입부(10)(A 구역)에서는 투입된 곡물을 상기 탈수드럼(20)으로 전달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탈수드럼(20)(B 구역)에서는 이동되는 곡물에 역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나선형의 날개(41)의 끝단에 착설되는 브러쉬(4)는 상기 상기 탈수드럼(20)의 입구(20a)에서 출구(20b)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하여 상기 브러쉬(43)의 끝단과 상기 탈수드럼(20)의 내주면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상기 탈수드럼(20) 내에서 곡물의 표면과 마찰하면서 곡물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상기 나선형 날개(41)에 형성된 브러쉬(43)는 곡물의 이동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곡물에 힘을 가하면서 곡물의 표면과 마찰하게 되므로, 곡물에 대한 세정 효과가 극대화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탈수드럼(20) 내에서 있는 곡물은 상기 탈수드럼(20)의 회전에 의해 탈수 및 상기 탈수드럼(20)의 입구(20a)에서 출구(20b)로 이동되게 되고 클리닝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클리닝이 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부(30)의 내주면에는 상기 탈수드럼(20)에서 탈수된 곡물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하는 열선(50)이 내장되어 있다.
이로서, 상기 탈수드럼(20)에서 탈수되어 상기 배출부(30)로 전달되어온 곡물에 대해 도시되지 않은 건조기로 넘기기 전에 소정의 온도로 예열함으로서, 건조기에서의 건조온도와의 온도차이를 줄이게 되어 곡물에 갑자기 높은 건조온도를 부여함으로서 발생되는 버블링 현상과 건조 시 조사되는 열을 갑자기 받음으로 인하여 곡물의 갈라짐과 깨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버블링 현상이란 곡물이 호기성균과 접촉에 의한 부패가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탈수된 저온상태의 곡물이 건조기로 바로 들어가 갑자기 높은 건조온도를 받게 되면 잔류 호분층이 곡물의 표면으로부터 일어나 버블링 현상이 촉진되게 되나, 상기 열선(50)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예열하여 곡물의 온도와 건조기 내의 건조온도와 온도차이를 줄이게 되면 혹시 남아있을 수 있는 잔류 호분층이 곡물의 표면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이와 같은 버블링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미 탈수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작동시키면 탈수드럼 구동모터(25)에 의해 탈수드럼(20)이 회전하게 되고 또한 스크류구동모터(44)에 의해 상기 탈수드럼(20) 내에 삽입 설치된 클리닝스크류(4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투입부(10)의 상단부에 형성된 투입구(11)를 통해 이전 공정에서 세척에 의해 물에 젖은 곡물을 투입하게 되면 상기 곡물은 상기 투입부(10) 내의 클리닝스크류(40)의 나선형의 날개(41)와 이의 끝단을 따라 착설된 브러쉬(43)에 의해 탈수드럼(20)의 입구(20a)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탈수드럼(20)과 클리닝스크류(40)가 도4에서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탈수드럼(20) 내로 전달된 곡물은 탈수드럼(20)의 회전 시 탈수드럼(20)의 내벽에 부착되어 탈수드럼(20)과 함께 회전함에 의해 원심력을 받게 되고, 이로서 곡물에 묻은 물은 상기 탈수드럼(20)의 표면에 형성된 천공(21)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어 탈수가 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탈수드럼(20)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 클리닝스크류(40)의 회전에 의해 나선형의 날개(41)의 끝단에 착설된 브러쉬(43)가 상기 탈수드럼(20) 내벽에 부착되어 탈수되는 곡물의 표면과 마찰하면서 곡물의 표면에 남아 있는 잔류 호분층을 제거하면서 곡물을 상기 탈수드럼(20)의 입구(20a)에서 출구(20b) 방향으로 힘을 가해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탈수드럼(20)과 클리닝스크류(40)가 도5에서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탈수드럼(20) 내로 전달된 곡물은 탈수드럼(20)의 회전 시 탈수드럼(20)의 내벽에 부착되어 탈수드럼(20)과 함께 회전함에 의해 원심력을 받게 되고, 이로서 곡물에 묻은 물은 상기 탈수드럼(20)의 표면에 형성된 천공(21)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어 탈수가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탈수드럼(20)은 상기 탈수드럼(20)의 입구(20a)에서 출구(20b)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져 있으므로 상기 탈수드럼(20)으로 전달된 곡물은 상기 탈수드럼(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탈수드럼(20)의 입구(20a)에서 출구(20b)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되게 된다
이 때, 상기 클리닝스크류(40)에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41)는 회전 시 상기 탈수드럼(20)에서 이동되는 곡물의 진행방향에 역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선형의 날개(41)의 끝단에 착설되는 브러쉬(43)도 곡물의 진행방향에역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탈수되는 곡물의 표면과 마찰하면서 곡물의 표면에 남아 있는 잔류 호분층을 제거하게 된다.
이로서, 상기 탈수드럼(20) 내에서 이동되는 곡물은 상기 나선형 날개(41)에 형성된 브러쉬(43)에 의해 진행이 저지되면서 상기 브러쉬(43)와 마찰하게 되므로, 곡물에 대한 클리닝 효과가 극대화되게 된다.
그 후, 상기 탈수드럼(20)에서 탈수 및 클리닝이 된 곡물은 배출부(30)로 전달되게 되고, 상기 배출부(30)에 설치된 열선(50)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예열되게 된다.
그 후, 소정의 온도로 예열된 곡물은 배출부(30)에 형성된 배출구(31)를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건조기로 전달되게 되고 건조기에서 건조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미 탈수시스템은 탈수드럼과 클리닝스크류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서 세척된 곡물을 탈수함과 동시에 남아 있는 잔류 호분층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닝스크류에 설치된 브러쉬가 곡물의 표면과 마찰하게됨으로서 별도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마찰에 의해 편리하게 곡물의 세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을 탈수 후 건조기에 투입하기 전에 소정의 온도로 예열을 함으로서 건조 시 곡물의 깨짐, 갈라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곡물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 부터 투입된 곡물을 전달받아 곡물에 묻은 물을 원심력에 의해 탈수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천공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한 탈수드럼과;
    상기 탈수드럼에서 탈수된 곡물을 전달받아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탈수드럼에서 탈수되는 곡물의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해 상기 탈수드럼에 삽설되어 회전하며, 상기 탈수드럼 내의 곡물의 표면과 마찰하면서 곡물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브러쉬가 끝단을 따라 착설된 나선형의 날개가 외주면에 형성된 클리닝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스크류에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는 회전 시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곡물을 상기 탈수드럼을 거쳐 배출부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미 탈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드럼은 전달된 곡물을 원심력에 의해 상기 탈수드럼의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고,
    상기 클리닝스크류에 형성된 나선형의 날개는 회전 시 상기 투입부에서는 투입된 곡물을 상기 탈수드럼의 입구로 전달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탈수드럼에서는 이동되는 곡물에 역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에는 열선이 내장되어 상기 탈수드럼에서 배출부로 전달된 곡물을 소정의 온도로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미 탈수시스템.
KR1020010054850A 2001-09-06 2001-09-06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KR20030021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850A KR20030021539A (ko) 2001-09-06 2001-09-06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850A KR20030021539A (ko) 2001-09-06 2001-09-06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320U Division KR200259784Y1 (ko) 2001-09-06 2001-09-06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539A true KR20030021539A (ko) 2003-03-15

Family

ID=2772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850A KR20030021539A (ko) 2001-09-06 2001-09-06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15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6931A (zh) * 2017-10-11 2018-06-08 佛山汇众森泰科技有限公司 一种农产品清洗干燥一体机
JP2019202252A (ja) * 2018-05-22 2019-11-28 株式会社サタケ 無洗穀粒製造装置
KR20210011392A (ko) * 2018-05-22 2021-02-01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무세 곡립 제조 장치
CN114734753A (zh) * 2022-03-24 2022-07-12 哈尔滨学院 一种美术学设计用上色干燥设备
WO2022231221A1 (ko) * 2021-04-28 2022-11-03 일쌍산업영농조합법인 곡물 탈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0585A (ja) * 1990-12-14 1992-07-31 Miyoujiyou Shiyokumotsu Kenkyusho:Kk 穀類洗浄方法及び穀類洗浄装置
KR940014236U (ko) * 1992-12-24 1994-07-16 주진구 자동 쌀 세척장치
KR19980013870A (ko) * 1996-08-05 1998-05-15 윤종락 곡물 세척 장치(grain washer)
JPH11179220A (ja) * 1997-12-24 1999-07-06 Fujiwara Techno Art:Kk 穀類の洗浄装置
KR20020076831A (ko) * 2001-03-30 2002-10-11 배근수 오존을 이용한 곡물가공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0585A (ja) * 1990-12-14 1992-07-31 Miyoujiyou Shiyokumotsu Kenkyusho:Kk 穀類洗浄方法及び穀類洗浄装置
KR940014236U (ko) * 1992-12-24 1994-07-16 주진구 자동 쌀 세척장치
KR19980013870A (ko) * 1996-08-05 1998-05-15 윤종락 곡물 세척 장치(grain washer)
JPH11179220A (ja) * 1997-12-24 1999-07-06 Fujiwara Techno Art:Kk 穀類の洗浄装置
KR20020076831A (ko) * 2001-03-30 2002-10-11 배근수 오존을 이용한 곡물가공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6931A (zh) * 2017-10-11 2018-06-08 佛山汇众森泰科技有限公司 一种农产品清洗干燥一体机
JP2019202252A (ja) * 2018-05-22 2019-11-28 株式会社サタケ 無洗穀粒製造装置
KR20210011392A (ko) * 2018-05-22 2021-02-01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무세 곡립 제조 장치
JP7133127B2 (ja) 2018-05-22 2022-09-08 株式会社サタケ 無洗穀粒製造装置
WO2022231221A1 (ko) * 2021-04-28 2022-11-03 일쌍산업영농조합법인 곡물 탈수장치
KR20220148030A (ko) * 2021-04-28 2022-11-04 일쌍산업영농조합법인 곡물 탈수장치
CN114734753A (zh) * 2022-03-24 2022-07-12 哈尔滨学院 一种美术学设计用上色干燥设备
CN114734753B (zh) * 2022-03-24 2024-01-02 哈尔滨学院 一种美术学设计用上色干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3129A (en) Washing machine with a bubble generator
US68543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ing and agitating the contents of a container
CN213382435U (zh) 一种废旧塑料清洗甩干装置
JP3822907B2 (ja) パルプ懸濁液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30021539A (ko)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KR200259784Y1 (ko)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JP2000500189A (ja) パルプ懸濁液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JP3057376B2 (ja) プラスチック容器、特にびんをリサイクルするための機械
US2312657A (en) Washing machine
CN212597527U (zh) 一种饲料加工用玉米清洗烘干装置
KR200220889Y1 (ko) 신발 세척기
JP2002248297A (ja) 洗濯機
KR100401953B1 (ko) 건식 무세미 정미장치
WO2002004733A1 (fr) Procede de blanchissage a utilite commerciale et dispositif de blanchissage a utilite commerciale permettant de mettre en oeuvre le procede
CN204842326U (zh) 一种洗药脱水机
CN101780696B (zh) 带水加热高速摩擦清洗机
JP2004124332A (ja) パルプ洗浄機
CN220224610U (zh) 一种便于清洁的印染脱水机
KR200281706Y1 (ko)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KR19980010334U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CN213866833U (zh) 一种用于面料加工的清洗装置
CN204912172U (zh) 一种立式摩擦脱水机
KR200336449Y1 (ko) 쌀 세척 및 건조장치
CN214519507U (zh) 一种毛细不锈钢管用滚动式抛光机
CN211704481U (zh) 滚刷式免手洗拖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