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030A - 곡물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030A
KR20220148030A KR1020210055271A KR20210055271A KR20220148030A KR 20220148030 A KR20220148030 A KR 20220148030A KR 1020210055271 A KR1020210055271 A KR 1020210055271A KR 20210055271 A KR20210055271 A KR 20210055271A KR 20220148030 A KR20220148030 A KR 2022014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drum
rotating body
grain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491B1 (ko
Inventor
조금희
Original Assignee
일쌍산업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쌍산업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일쌍산업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1005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491B1/ko
Priority to PCT/KR2022/005799 priority patent/WO2022231221A1/ko
Priority to CN202280028932.XA priority patent/CN117279718A/zh
Publication of KR2022014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침지시켜 발아된 벼를 포함하는 각종 곡물의 수분을 탈수시키는 곡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틀 상에 설치되는 보호드럼의 일 측에 회전동력발생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아 회전하는 탈수드럼고정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에는 탈수구멍이 형성된 복수 개의 탈수드럼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탈수드럼은 탈수드럼과 탈수드럼 간의 간격 및 탈수드럼고정수단의 중앙 중심점으로부터 복수 개의 탈수드럼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열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곡물 탈수장치{Desiccating apparatus For Cereal}
본 발명은 물에 침지시켜 발아된 벼를 포함하는 각종 곡물을 침지된 물로부터 인출하여 파종할 때에 그 파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물을 신속하게 탈수시키는 곡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를 포함하는 각종 곡물은 경작지에 파종하기 전에 발아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싹을 띄워 파종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벼를 포함하는 각종 곡물은 물에 일정기간 동안 침지시켜 발아를 유도한 후 그 발아된 곡물을 경작시에 파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아된 곡물을 경작시에 파종하기 위해서는 발아를 유도하는 침지 물로부터 인출하여 파종을 하게 되는데 이때, 파종되는 곡물에 수분이 충분히 탈수되지 않으면 곡물들이 뭉쳐 파종이 골고루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수분이 충분히 탈수되도록 일정시간 동안 채반 증에 담아 놓고 탈수를 유도한다.
따라서 상기 탈수 유도되는 동안 파종작업의 지연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고 하고 발아된 곡물을 신속하게 탈수시키는 장치는 현재까지 제공되어 있지 않고 세탁물을 탈수시키는 세탁물 탈수장치가 다양하게 제공되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세탁물 탈수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10-2020-0103917호의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모터(20)와 내부조(30)로 이루어진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20)와 동일 평면상이되 상기 내부조(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탈수장치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저중심수단(100)을 구비시켜 된 것이고,
상기 저중심수단(100)은, 환형으로 구성되되, 내부는 중공형으로 밀폐되고, 상기 저중심수단(10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주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유체는 물보다 비중이 높은 유체이고, 상기 저중심수단(100)은 상/하부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세탁물 탈수장치는, 세탁물을 탈수시키는 내부조(30)가 하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탁물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게 되면 내부조(30)가 회전할 때에 정상적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비정상적으로 회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회전축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103917(공개일: 2020.09.03.) 한국공개특허 10-2018-0012807(공개일: 2018.02.06.)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물에서 발아된 벼를 포함하는 각종 곡물을 경작지에 파종할 때에 그 파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물을 신속하게 탈수시키는 곡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첫째, 탈수드럼고정수단에 복수 개의 탈수드럼을 설치하되 탈수드럼과 탈수드럼 간의 간격 및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의 중앙 중심점으로부터 복수 개의 탈수드럼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열 설치하여 탈수대상 곡물을 탈수시킬 때에 탈수드럼이 일측으로 편중됨이 없이 균일하게 회전되도록 하였고,
둘째, 회전동력발생수단에 감속기를 구비시켜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이 복수 개의 탈수드럼이 설치된 탈수드럼고정수단으로 전달될 때에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과 탈수드럼고정수단 회전동력의 회전비를 동일하게 하여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탈수드럼고정수단에 설치된 복수 개의 탈수드럼이 회전을 시작할 때에 그 충격을 최소화하여 곡물 탈수장치의 반동 및 유동을 최소화하도록 한 곡물 탈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틀(70) 상에 설치되는 보호드럼(10)의 일 측에 회전동력발생수단(20)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수단(60)을 통하여 전달받아 회전하는 탈수드럼고정수단(30)이 설치되며,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에는 탈수구멍(41)이 형성된 복수 개의 탈수드럼(40)을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탈수드럼은 탈수드럼과 탈수드럼 간의 간격 및 탈수드럼고정수단의 중앙 중심점(S)으로부터 복수 개의 탈수드럼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열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수드럼고정수단에 복수 개의 탈수드럼을 설치하되 탈수드럼과 탈수드럼 간의 간격 및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의 중앙 중심점으로부터 복수 개의 탈수드럼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열 설치하여 탈수대상 곡물을 탈수시킬 때에 탈수드럼이 일측으로 편중됨이 없이 균일하게 회전되도록 하였고,
또 회전동력발생수단에 감속기를 구비시켜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이 복수 개의 탈수드럼이 설치된 탈수드럼고정수단으로 전달될 때에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과 탈수드럼고정수단 회전동력의 회전비를 동일하게 하여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탈수드럼고정수단에 설치된 복수 개의 탈수드럼이 회전을 시작할 때에 그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곡물 탈수장치의 반동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탁물 탈수장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에서 동력전달수단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에서 보호드럼을 제외된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에서 동력전달수단의 실시 예를 나타난 발췌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에서 탈수드럼이 설치된 탈수드럼고정수단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 제어블록도.
본 발명은 물에 침지시켜 발아된 벼를 포함하는 각종 곡물을 침지된 물로부터 인출하여 파종할 때에 그 파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물을 신속하게 탈수시키는 곡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틀(70) 상에 설치되는 보호드럼(10)의 일 측에 회전동력발생수단(20)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수단(60)을 통하여 전달받아 회전하는 탈수드럼고정수단(30)이 설치되며,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에는 탈수구멍(41)이 형성된 복수 개의 탈수드럼(40)을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탈수드럼은 탈수드럼과 탈수드럼 간의 간격 및 탈수드럼고정수단의 중앙 중심점(S)으로부터 복수 개의 탈수드럼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열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보호드럼(10)의 일실시 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드래인구(11)가 형성되며 상기 보호드럼(10)의 상부 개방부에는 뚜껑(12)을 구비시켜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단 상기 뚜껑(12)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이 아니고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며, 상기 드래인구(11)는, 보호드럼(10)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40)으로부터 탈수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시킨 것이다.
또 상기 보호드럼(10)의 내주 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골(13)을 연속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탈수드럼(40)으로부터 탈수되는 물을 골(13)을 따라 흐르며 드래인구(11)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드럼(1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2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탈수드럼고정수단(30)이 설치되는데, 그 탈수드럼고정수단(30)을 설치하는 이유는, 탈수드럼(40)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며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동력발생수단(20)의 회전동력을 안정적으로 받아 회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20)과 탈수드럼고정수단(30) 간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력전달수단(60)이 연결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60)에 의해 회전동력발생수단(20)의 회전동력을 안정적으로 탈수드럼고정수단(30)에 전달하도록 하였다.
상기의 회전동력발생수단(20)은, 모터 또는 감속모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감속모터인 경우에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속모터의 축에 모터회전체(61)가 설치되고,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30)의 하부에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가 설치되며, 상기 각 회전체(61,62) 간에는 동력전달부재(63)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각 회전체(61,62)의 크기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설명에서 모터회전체(61)와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를 동일한 크기로 형성시킨 이유는, 감속모터의 회전력을 그대로 탈수드럼고정수단(30)에 전달하여 복수 개의 탈수드럼(40)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회전체(61)와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의 회전비는 1:1이 되는 것이고, 상기 모터회전체(61)와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의 간에는 동력전달부재(63)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회전동력발생수단(20)의 회전력을 탈수드럼고정수단(30)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20)을 감속모터로 사용하는 이유는, 회전동력발생수단(20)이 회전 시작하면서 발생하는 반발력이 탈수드럼고정수단(3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탈수드럼고정수단(30)이 회전을 시작할 때 반동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되어 복수 개의 탈수드럼(40)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20)이 모터인 경우에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의 축에 모터회전체(61)가 설치되고, 지지틀(70)의 하부 일 측에는 상기 모터회전체 보다 큰 감속회전체(64)와 상기 모터회전체(61)와 크기가 동일하거나 또는 모터회전체(61) 보다 작은 크기의 동력전달회전체(65)가 회전축(66)에 설치되며,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30)의 하부에는 상기 모터회전체(61)와 동일한 크기의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회전체(61)와 감속회전체(64) 간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회전체(65)와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 간에는 각각의 동력전달부재(63)가 연결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이 모터회전체(61)와 감속회전체(64)와 동력전달회전체(65)와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로 전달되면서 감속되도록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회전동력발생수단(20)의 회전력을 감속회전체(64)로 감속시켜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으로 전달되게 하는 이유는, 상기 모터가 회전될 때에는 고속으로 회전되고 그 고속의 회전력이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로 전달되면 탈수드럼고정수단(30)이 회전을 시작할 때 심한 반동 및 유동이 발생함으로 그 반동 및 유동을 최소화하여 복수 개의 탈수드럼(40)이 반동 및 유동에 의한 충격을 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동력전달회전체(65)를 모터회전체(61)와 크기가 동일하거나 또는 모터회전체(61) 보다 작은 크기로 하는 이유는, 상기 감속회전체(64)에서 감속된 회전력을 더 감속시키거나 또는 감속회전체(64)와 동일한 회전력을 탈수드럼고정수단(30)에 전달하여 탈수드럼고정수단(30)이 회전을 시작할 때 심한 반동 및 유동이 발생함을 방지함으로써 복수 개의 탈수드럼(40)이 반동 및 유동에 의한 충격을 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재(63)가 브이밸트인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회전체는 브리벨트풀리를 사용하고, 동력전달부재(63)가 체인인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회전체는 체인스프라켓을 사용하며, 동력전달부재(63)가 타임벨트인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회전체는 타임벨트풀리를 사용하고, 동력전달부재가 평 벨트인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회전체를 평 풀리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20)인 모터(M) 또는 감속모터는 케이스에 의해 보호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탈수드럼고정수단(30)은, 복수 개의 탈수드럼(40)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체(31)와, 상기 탈수드럼(40)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체(32)와, 상기 상/하부고정체(31,32)의 중앙부를 연결설치 하는 중심축(3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고정체(31,32)는 평판형의 원형패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하부고정체(31,32)의 사이 측면은 개방되게 형성시켜 탈수드럼(40)에서 탈수되는 수분이 보호드럼(10)으로 용이하게 배수되어 드레인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탈수드럼고정수단(30)은 그 외에도 복수 개의 탈수드럼(40)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고 탈수드럼(40)에서 탈수되는 수분이 보호드럼(10)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탈수드럼(40)은, 탈수드럼고정수단(30)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 개라 함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탈수드럼(40)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와 같은 탈수드럼(40)은 탈수드럼(40)과 인접한 탈수드럼(40) 간의 간격 및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30)의 중앙 중심점(S)으로부터 복수 개의 탈수드럼(40)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열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복수 개의 탈수드럼(40)이 탈수드럼고정수단(30)의 중앙 중심점(S)으로부터 균일하게 배열되어 회전할 때에 어느 일측으로 편중됨이 없이 균일하게 회전되게 함으로써 곡물 탈수장치의 반동 및 유동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탈수드럼(40)과 인접한 탈수드럼(40) 간의 간격 및 탈수드럼고정수단(30)의 중앙 중심점(S)으로부터 균일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탈수드럼(40) 개수는 4개의 탈수드럼(40)을 4방에 균일하게 배열 설치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3개 또는 5개나 그 이상 설치해도 탈수드럼(40)과 인접한 탈수드럼(40) 간의 간격 및 탈수드럼고정수단(30)의 중앙 중심점(S)으로부터 균일하게 배열되는 구성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탈수드럼(4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탈수드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데, 그 이유는, 탈수드럼(40)이 회전할 때에 외부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탈수드럼(4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와 같은 탈수드럼의 외주 면에는 탈수구멍(4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탈수드럼고정수단(30)에 복수 개 설치된 탈수드럼(40)의 외주 연부에는 각 탈수드럼(40)의 안정적인 지지 고정을 위하여 밴드(42)를 둘러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보호드럼(10) 하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틀(70)이 설치되고, 그 지지틀(70)의 하부 복수 곳에는 케스터(71)를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를 위치 이동시킬 때에 용이하게 위치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의 보호드럼(10)과 탈수드럼(4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뚜껑을 구비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곡물을 탈수시키고자 탈수드럼(40)을 회전시킬 때에 안전성이 확보되고, 탈수 과정에서 곡물이 탈수드럼(40)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탈수드럼(40) 및 보호드럼(10)과 탈수드럼고정수단(30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탈수드럼(40)에 탈수를 위하여 장입되는 곡물은 미세공이 형성된 포대에 담이 탈수할 수도 있고, 곡물 그 자체를 탈수드럼(40)에 장입하여 탈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보호드럼(10)의 일측에는 곡물 탈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C)가 마련되어 곡물 탈수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보호드럼(10)의 내부에는 발열수단(80)을 설치하여 보호드럼(10) 내부온도를 높임으로써 탈수대상 곡물을 보열 함은 물론, 탈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탈수대상 곡물의 탈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보호드럼(10)에 공기공급수단(90)을 설치하여 외부공기를 보호드럼(10)에 공급함으로써 탈수대상 곡물의 탈수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 발열수단(80)은 발열 선을 보호드럼(10)에 설치하는 방법이며, 공기공급수단은 에어펌프와 연결 설치되는 에어분사노즐을 보호드럼(10) 내부의 복수 곳에 설치하여 탈수드럼(40)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방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C)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M)와 발열수단(80) 및 공기공급수단(90)을 제어하며, 상기 모터는 회전속도를 가감할 수 있고, 발열수단(80)은 발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공기공급수단(90)은 공기공급 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곡물 탈수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수드럼고정수단에 복수 개의 탈수드럼을 설치하되 탈수드럼과 탈수드럼 간의 간격 및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의 중앙 중심점으로부터 복수 개의 탈수드럼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열 설치하여 탈수대상 곡물을 탈수시킬 때에 탈수드럼이 일측으로 편중됨이 없이 균일하게 회전되도록 하였고,
또 회전동력발생수단에 감속기를 구비시켜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이 복수 개의 탈수드럼이 설치된 탈수드럼고정수단으로 전달될 때에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과 탈수드럼고정수단 회전동력의 회전비를 동일하게 하여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탈수드럼고정수단에 설치된 복수 개의 탈수드럼이 회전을 시작할 때에 그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곡물 탈수장치의 반동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보호드럼 11 : 드래인구
12 : 뚜껑 20 : 회전동력발생수단
30 : 탈수드럼고정수단 31 : 상부고정체
32 : 하부고정체 33 : 중심축
40 : 탈수드럼 41 : 탈수구멍
60 : 동력전달수단 61 : 모터회전체
62 :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 63 : 동력전달부재
70 : 지지틀 71 : 케스터
80 : 발열수단 90 : 공기공급수단
C : 제어부 S : 중심점

Claims (13)

  1.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틀(70) 상에 설치되는 보호드럼(10)의 일 측에 회전동력발생수단(20)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수단(60)을 통하여 전달받아 회전하는 탈수드럼고정수단(30)이 설치되며,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에는 탈수구멍(41)이 형성된 복수 개의 탈수드럼(40)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탈수드럼은 탈수드럼과 탈수드럼 간의 간격 및 탈수드럼고정수단의 중앙 중심점(S)으로부터 복수 개의 탈수드럼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열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드럼(1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드래인구(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20)은,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력발생수단(20)은, 감속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은, 감속모터의 축에 모터회전체(61)가 설치되고,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의 하부에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가 설치되며, 상기 각 회전체(61,62) 간에는 동력전달부재(63)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각 회전체(61,62)의 크기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60)은, 모터의 축에 모터회전체(61)가 설치되고, 지지틀(70)의 하부 일 측에는 상기 모터회전체 보다 큰 감속회전체(64)와 상기 모터회전체와 크기가 동일하거나 또는 모터회전체 보다 작은 크기의 동력전달회전체(65)가 회전축(66)에 설치되며,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의 하부에는 상기 모터회전체와 동일한 크기의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62)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회전체(61)와 감속회전체(64) 간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회전체와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 간에는 각각의 동력전달부재(63)가 연결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이 모터회전체와 감속회전체와 동력전달회전체와 탈수드럼고정수단회전체로 전달되면서 감속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드럼고정수단(30)은, 탈수드럼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체(31)와, 탈수드럼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고정체(32)와, 상기 상/하부고정체의 중앙부를 연결설치 하는 중심축(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드럼(4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탈수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드럼(10)의 하부에는 지지틀(70)이 설치되고, 그 지지틀의 하부 복수 곳에는 케스터(7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드럼(10)과 탈수드럼(4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는 뚜껑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드럼(10)의 일측에는 곡물 탈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C)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드럼(10)의 내부에는 발열수단(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드럼(10)에는 외부의 공기를 보호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9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탈수장치.
KR1020210055271A 2021-04-28 2021-04-28 곡물 탈수장치 KR102477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271A KR102477491B1 (ko) 2021-04-28 2021-04-28 곡물 탈수장치
PCT/KR2022/005799 WO2022231221A1 (ko) 2021-04-28 2022-04-22 곡물 탈수장치
CN202280028932.XA CN117279718A (zh) 2021-04-28 2022-04-22 谷物脱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271A KR102477491B1 (ko) 2021-04-28 2021-04-28 곡물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30A true KR20220148030A (ko) 2022-11-04
KR102477491B1 KR102477491B1 (ko) 2022-12-15

Family

ID=8384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271A KR102477491B1 (ko) 2021-04-28 2021-04-28 곡물 탈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77491B1 (ko)
CN (1) CN117279718A (ko)
WO (1) WO2022231221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050A (ko) * 1992-12-29 1994-07-20 고창오 에너지 절약형 고효율 전기 세탁기
JPH06296480A (ja) * 1993-04-12 1994-10-25 Nagata Jozo Kikai Kk 高精白原料米の連続浸漬装置
KR19990004110U (ko) * 1998-10-15 1999-01-25 김기조 곡물 탈수기
KR20030008472A (ko) * 2001-07-18 2003-0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030021539A (ko) * 2001-09-06 2003-03-15 이상협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KR20180012807A (ko) 2014-06-30 2018-02-06 아쿠아 컴퍼니 리미티드 탈수기
KR20200103917A (ko) 2019-02-25 2020-09-03 홍영남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870A (ko) * 1996-08-05 1998-05-15 윤종락 곡물 세척 장치(grain washer)
KR100288134B1 (ko) * 1998-12-14 2001-06-01 최문규 원심분리형 탈수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050A (ko) * 1992-12-29 1994-07-20 고창오 에너지 절약형 고효율 전기 세탁기
JPH06296480A (ja) * 1993-04-12 1994-10-25 Nagata Jozo Kikai Kk 高精白原料米の連続浸漬装置
KR19990004110U (ko) * 1998-10-15 1999-01-25 김기조 곡물 탈수기
KR20030008472A (ko) * 2001-07-18 2003-0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030021539A (ko) * 2001-09-06 2003-03-15 이상협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KR20180012807A (ko) 2014-06-30 2018-02-06 아쿠아 컴퍼니 리미티드 탈수기
KR20200103917A (ko) 2019-02-25 2020-09-03 홍영남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491B1 (ko) 2022-12-15
CN117279718A (zh) 2023-12-22
WO2022231221A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4874B (zh) 過熱蒸氣殺菌裝置
RU261459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материала
KR20220148030A (ko) 곡물 탈수장치
KR20150032185A (ko) 새싹 재배기
ES2367965A1 (es) Método para producir arroz de cocción rápida y arroz de cocción rápida producido por el método.
CN210900283U (zh) 一种效率高的农业种植用的浸种催芽装置
KR20200046494A (ko) 곡물 발아장치
KR101710992B1 (ko) 습도조절이 가능한 새싹보리 발아장치
KR101888312B1 (ko) 농수산물 건조기
US4385468A (en) Process and appliance for handily cultivating malts of many species
CN112638148A (zh) 具有谷物种子消毒功能的发芽装置
KR20190025201A (ko) 양식 수조의 청소장치
KR101717880B1 (ko) 커피 생두 발아장치
KR20160047694A (ko) 식물 육성대
KR102182650B1 (ko) 새싹재배기
CN208739561U (zh) 一种水稻种子抛撒机
KR102107624B1 (ko) 유기성 폐기물 및 곡물 부상 건조장치
US33097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grain in a shallow bin
CN210470228U (zh) 滚桶式催芽机
RU28114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паривания почвогрунта
CN113425155B (zh) 一种可回收蒸汽的蒸锅及其控制方法
RU2101912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ушки семян
CN216392407U (zh) 一种智能蘑菇种植机
RU2478889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дисперсных высоковлажных материалов
RU2355963C1 (ru) Бункер активного вентилиро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