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917A -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3917A KR20200103917A KR1020190021859A KR20190021859A KR20200103917A KR 20200103917 A KR20200103917 A KR 20200103917A KR 1020190021859 A KR1020190021859 A KR 1020190021859A KR 20190021859 A KR20190021859 A KR 20190021859A KR 20200103917 A KR20200103917 A KR 202001039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 center
- gravity
- dewatering device
- motor
- vibration redu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28 anti-freez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6—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operating automatically, i.e. where, for a given amount of unbalance, there is movement of masses until balance is achieved
- F16F15/366—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operating automatically, i.e. where, for a given amount of unbalance, there is movement of masses until balance is achieved using fluid or powder means, i.e. non-discrete materia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수장치에 있어서, 이동 시에는 탈수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하부에 무게중심을 형성하여 진동이 저감되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터와 내부조로 이루어진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동일 평면상이되 상기 내부조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탈수장치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저중심수단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터와 내부조로 이루어진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동일 평면상이되 상기 내부조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탈수장치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저중심수단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수장치에 있어서, 이동 시에는 탈수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하부에 회전의 질량중심을 형성하여 진동이 저감되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수장치는 하부에 구비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내부조를 가지고, 이 때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내부조에 저장된 저장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로 작동된다.
이러한 탈수장치의 원리에 따라, 내부조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속의 회전은 결국 탈수장치에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내부조 내부에 저장되어 수분제거를 요하는 저장물이 균일한 무게 배분이 이루어지지 않고, 일측에 편심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부조의 강력한 편심 회전이 이루어져, 탈수장치의 진동이 극대화 되게 된다.
탈수장치의 진동이 극대화되면, 큰 소음의 발생과 함께 탈수장치가 지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고, 탈수장치의 고속회전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있다.
진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내부조의 편심 회전을 방지하는 장치를 구비하거나, 회전이 발생하여도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댐퍼(Damper)를 구비하는 방법 등이 고안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추가적인 구성품이 고가이거나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고가 및 고장이 잦은 구성품을 구성하는 대신, 진동의 저감을 위하여 탈수장치 하부에 회전의 질량중심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이 간단하게 채용됨으로써 비용 또는 복잡한 장비의 구비없이도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탈수장치에 쉽게 적용되었다.
이러한 방식의 원리는, 회전력의 중심은 탈수장치의 하부에 있으나, 회전의 질량 중심은 탈수장치의 상부에 있는 진동 발생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탈수장치 자체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어, 탈수장치를 중량물로 만들어 이동이 매우 어렵게 만드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음식물의 조리나 유아(幼兒)의 의복을 세탁하기 위하여 소형의 탈수장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주거지 및 사업장의 이동에 따른 탈수장치의 이동 빈도가 잦아짐에도, 탈수장치가 중량물이어서 이동이 불편한 점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탈수장치의 생산자로서도 탈수장치의 제조 후 공급하기까지 탈수장치의 무게에 따른 물류비에 따른 부담 역시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탈수장치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장치를 구비하되, 사용 전에는 중량을 최소화하고 임의로 탈수장치 하부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이동은 용이하면서도 진동 저감 효과가 뛰어난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는 모터와 내부조로 이루어진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동일 평면상이되 상기 내부조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탈수장치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저중심수단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중심수단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중심수단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유체는 물보다 비중이 높은 유체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중심수단은 상하부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탈수장치의 하부에 회전의 질량중심이 생기도록 구비되는 저중심수단으로 인하여, 내부조의 회전시 진동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진동의 저감은 결국 소음의 감소와, 탈수장치의 설치 안정성을 높이기 때문에 소음에 따른 질환 및 탈수장치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 된다.
저중심수단은 내부의 중량 증가를 외부에서 유체의 주입여부를 조절함에 따라 가변이 가능하므로, 탈수장치의 이동시에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탈수장치의 중량을 최소화하고, 탈수장치의 설치 후에는 유체를 내부로 주입하여 탈수장치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동시 탈수장치의 중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중량물의 이동에 따른 물류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적치 등의 작업시 안전사고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내부조를 가진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저중심수단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내부조를 가진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회전수단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회전수단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수단과 저면회전수단의 회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저중심수단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내부조를 가진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회전수단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회전수단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수단과 저면회전수단의 회전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내부조를 가진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저중심수단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내부조를 가진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회전수단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면회전수단의 전체 구성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수단과 저면회전수단의 회전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성에 저중심수단(100)이 구비될 수 있다.
원활한 설명을 위하여 도 1을 기준으로 위쪽을 상부, 아래쪽을 하부, 좌우측을 측부로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탈수장치는 하우징(10)과 모터(20) 및 내부조(30)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20)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조(30)를 회전하여 원심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내부조(30)에 저장된 물질의 수분을 내부조(30)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원리로 작동된다.
모터(20)와 내부조(30)는 탈수장치의 하우징(10)에 구비될 수 있는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의 구성물을 보호하고, 내부 구성물의 강력한 회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모터(20)는 하우징(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모터(20)는 중량물이므로 하우징(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사용자의 환경 및 하우징(10)의 형태에 따라 하부나 측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내부조(30)는 모터(20)의 축 상부에 구비되어 축연결될 수 있는데, 중심이 모터(20) 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함으로써 모터(20)의 회전력에 의하여 내부조(30) 전체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탈수장치의 구성물, 예를 들면 내부조 덮개, 작동을 위한 계기판, 전원장치, 배수구 등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중심수단(100)을 살펴본다.
저중심수단(100)은 상기 모터(20)와 근접한 곳에 위치함으로써, 모터(20)의 강력한 회전에 의한 회전모멘트의 질량중심을 모터(20) 주변에 있도록 하여, 탈수장치 전체의 진동을 저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저중심수단(100)은 상기 모터(2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저중심수단(100)의 외관은 환형(環形)으로 구성함으로써, 환형의 중심이 모터(20)의 축 중심과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모터(2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저중심수단(100)이 모터(2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면, 저중심수단(100)은 자연히모터(2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내부조(3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종래에는 내부조(30)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질량에 의해 탈수장치의 상부에 회전의 질량중심이 위치하게 되어, 하부 모터(20)의 회전시 탈수장치의 진동이 강력하게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저중심수단(100)이 탈수장치의 하부에 회전의 질량중심이 위치하게 되어, 상기 진동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저중심수단(100)은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나, 탈수장치의 제조 편의성을 고려하면, 환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제조시 설치가 용이하고, 부가적으로 환형으로 구성하면 질량의 배분이 모터(20)를 중심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져 진동 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저중심수단(100)은 어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저중심수단(100)은 내부조(30)의 저장물과 접촉하는 것이 아니어서 특별히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하여야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후술할 유체의 주입시 밀폐력의 향상이나 내부식성 등을 고려하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저중심수단(100)의 내부는 중공형(中孔形)으로 구성되되 밀폐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저중심수단(100)의 내부를 중공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저중심수단(100)에 유체를 주입과 배출을 함으로써 저중심수단(10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기 위함이다.
탈수장치의 이동시에는 저중심수단(100)의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비움으로써, 저중심수단(100)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반면, 탈수장치의 설치가 이루어진 다음에는 저중심수단(100)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저중심수단(100)의 무게를 증가하여 탈수장치의 설치 안정성과 작동시 진동을 저감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저중심수단(100)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서, 저중심수단(100)에는 하우징(10)을 관통하는 주입구(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유체의 주입시 누출이 되지 않도록 주입구(110)는 상향 형성될 수 있다.
저중심수단(100)의 내부에 주입되는 유체는 물을 비롯한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나, 가능한 물보다 비중이 높은 유체를 주입하거나 부동액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보다 비중이 높은 염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동일한 부피로 큰 무게를 형성하거나, 부동액을 이용하여 탈수장치가 실외에 설치된 경우 혹한(酷寒)에 의하여 동파(凍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저중심수단(100)은 상하부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중심수단(100)의 상면(100a)과 측면(100b) 사이를 주름관(130)으로 형성함으로써, 주름관(130)의 축소시에는 상면(100a)과 측면(100b)이 직접 접촉되어 저중심수단(100)의 부피가 최소화 되고, 주름관(130)의 신장시에는 상면(100a)과 측면(100b)이 이격되어 저중심수단(100)의 부피가 최대화 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이 가능한 특징으로 인하여, 저중심수단(100)의 무게를 증감시킬 수 있는 범위가 확장될 수 있으며, 저중심수단(100) 내부의 유체가 결빙으로 인하여 부피가 확장되더라도, 저중심수단(100)의 유연한 확장성에 의하여 동파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탈수장치의 이동시에는 저중심수단(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를 배출하게 되는데, 저중심수단(100)에 하우징(10)을 관통하는 배출구(150)를 구비함으로써 탈수장치의 전체 무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출구(150)는 하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중심수단(100)에 따른 탈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본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형 내부조(30a)와 저중심수단(100)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형 내부조(30a)는 세탁물의 탈수 등 세척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채택될 수 있는데, 제작이 간단하고 고정력이 뛰어나 더욱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고정형 내부조(30a)의 경우에는 탈수장치의 제작시 저중심수단(100)이 미리 설치되고, 외부로 연결되는 주입구(110)를 통하여 유체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형 내부조(30a)의 경우에는 고정형 내부조(30a)의 분리가 탈수장치의 고장이나 수리를 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저중심수단(100)을 하우징(10)의 하부에 고정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고정형 내부조(30a)는 현재 대부분의 탈수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형태이므로, 본 발명을 기제작된 탈수장치에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리형 내부조(30b)와 저중심수단(100)이 구비될 수 있다.
분리형 내부조(30b)는 음식물 또는 유아용 탈수기 등 세척이 빈번하게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채택될 수 있다.
분리형 내부조(30b)를 상세히 살펴보면, 축회전수단(200), 저면회전수단(300), 저장수단(4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축회전수단(200)은 모터(20)의 축회전력이 직접적으로 인가되는 수단으로서, 모터(20)의 회전축 자체이거나 회전축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축회전수단(200)은 후술할 저면회전수단(300)의 중심에 형성된 중앙홀(331)에 관통될 수 있는데, 축회전수단(200)이 모터(20)에 근접한 측은 원기둥으로 구성되되, 저면회전수단(300)의 중앙홀(331)에 관통되는 측은 사각기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축회전수단(200) 사각기둥의 밑면은 원기둥의 밑면에 내접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축회전수단(200)의 끝단은 틸팅이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된 고정부(210)와 접철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210)는 축회전수단(200)에서 모터(20)의 축과 동일한 축으로 이루어진 부분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20)에 근접한 측은 원기둥, 타측인 상부 끝단은 사각기둥으로 구성되되, 위치의 변경이나 각도의 변경이 불가한 부분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고정부(210)의 상부 끝단인 사각기둥에는 사각기둥을 측부에서 관통하는 힌지축(250)이 구비되어 있어, 접철부(230)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접철부(230)는 고정부(210)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축회전수단(200)의 고정부(210)와 수직하게 접철될 수 있다.
접철부(230)는 폐쇄된 영역이 확장된 'ㄷ'자 형태로 구성되되, 개방된 영역은 고정부(210) 사각기둥의 외주면에 외삽되는 형태일 수 있다.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접철부(230)는 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접철이 가능할 수 있다.
접철부(230)는 고정부(210)에 외삽되는 영역은 사각기둥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영역은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나. 후술할 저면회전수단(300)에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접철부(230) 전체의 형태가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최끝단은 호형(弧形)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철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라운딩 처리가 될 수 있다.
축회전수단(200)의 고정부(210)가 원기둥과 사각기둥으로 구분되는 영역에는 와셔(270)(Washer)가 삽입될 수 있다. 축회전수단(200)과 저면회전수단(300)의 마찰이 발생하는 부분에 와셔(270)를 채용하여, 마찰력의 분산 및 마모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장비의 가동수명을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면회전수단(300)을 살펴본다.
저면회전수단(300)은 상기 축회전수단(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됨으로써, 후술할 저장수단(40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저면회전수단(300)은 상기 축회전수단(2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축회전수단(200)이 모터(20)에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20)가 하우징(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모터(20)의 축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저면회전수단(300)은 그 상부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저면회전수단(300)은 상부면이 개방된 중공형(中孔形) 원기둥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원형 그릇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접시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되 후술할 저장수단(4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가 외각 끝단에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저면회전수단(300)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중심부(330)와 외주부(350)로 차등 형성하여, 중심부(330)는 강도와 강성이 뛰어난 금속재질로 형성하고, 외주부(35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저면회전수단(300)의 중심부(330)에는 관통된 사각형 중앙홀(331)이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축회전수단(200)이 삽입될 수 있다.
중앙홀(331)의 수평방향으로는, 중앙홀(331)에 수직되도록 형성된 수평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홀(331)로 삽입되는 축회전수단(200)의 접철부(2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접철되고, 상기 수평홈(333)에 끼워맞춤이 될 수 있게 된다.
수평홈(333)은 중앙홀(331)을 중심으로 양 옆으로 구성되어, 축회전수단(200)의 접철부(230)가 어느 방향으로 접철되어도 고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수평홈(333)의 높이는 축회전수단(200)의 접철부(230)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접철부(230)와 수평홈(333)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고, 결합시 저면회전수단(300) 중심부(330)와 동일한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회전수단(300)의 수직한 내주면에는 후술할 저장수단(400)과의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가이드(3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310)의 형태는 마름모끝을 가지는 화살형으로 형성되되, 화살형의 끝이 개방된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가이드(310)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는데, 저장수단(400)과의 결합 용이성을 고려하면, 5개 내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수단(400)을 살펴본다.
저장수단(400)은 내부에 수분의 제거가 필요한 저장물이 저장되고, 상술한 축회전수단(200)의 회전력을 저면회전수단(300)으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저장물의 수분을 저장수단(400)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되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수단(400)은 직접적으로 저장물과 접촉하므로, 위생상 청결함이 유지될 수 있는 스테인레스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저장수단(400)은 상술한 저면회전수단(300)에 내삽되어야 하므로, 저면회전수단(300)의 지름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수단(400)의 외경(外徑)과 저면회전수단(300)의 내경(內徑)이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회전시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저장수단(400)의 하부 일부분은 저면회전수단(300)에 내삽되는 영역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영역은 저장물과의 접촉이 없고 저면회전수단(300)과의 결합을 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스테인레스재질 하부에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저장수단(400) 하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310)의 형성방향과 대향되도록 하향 돌출된 제2가이드(4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410)는 저장수단(400) 외주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외주면에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이드(310)와 동일한 형태로 마름모끝 화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410)는 복수개 형성되되, 제1가이드(310)의 갯수보다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제1가이드(310)에 복수개의 제2가이드(410)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제1가이드(310)의 각도(Angle) 값이 제2가이드(410)의 각도 값의 배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2가이드(410)가 저장수단(400)의 하부에 중심을 기준으로 30°기준으로 12개가 배치되면, 제1가이드(310)는 각도 값이 그 배수인 60°로 6개가 배치되거나, 120°로 3개 배치됨으로써, 저장수단(400)이 저면회전수단(300)에 내삽시 제1가이드(310)와 제2가이드(410)에 의하여 결합되게 된다.
상술한 분리형 내부조(30b)의 경우에는, 세척을 위하여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빈번하게 이루어지므로, 저중심수단(100) 역시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저중심수단(100)에 형성된 주입구(110)를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도 되며, 저중심수단(100)의 탈착이 용이하게 구성하여 교체를 쉽게 할 수도 있다.
분리형 내부조(30b)를 채택하는 탈수장치의 경우에는 탈수장치의 청결유지가 매우 중요하므로, 그 구성품의 하나인 저중심수단(100) 역시 세척 혹은 오염시 교체가 필요할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저중심수단(100)을 탈착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사용 편의성이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저중심수단(100)의 탈착방식은 일반적인 방법, 예를 들면 나사를 이용하거나, 클립형 혹은 끼워맞춤형으로 구성하는 등 어떠한 경우라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20: 모터
30: 내부조
30a: 고정형 내부조
30b: 분리형 내부조
100: 저중심수단
100a: 상면
100b: 측면
110: 주입구
130: 주름관
150: 배출구
200: 축회전수단
210: 고정부
230: 접철부
250: 힌지축
270; 와셔
300: 저면회전수단
310: 제1가이드
330: 중심부
331: 중앙홀
333: 수평홈
350: 외주부
400: 저장수단
410: 제2가이드
20: 모터
30: 내부조
30a: 고정형 내부조
30b: 분리형 내부조
100: 저중심수단
100a: 상면
100b: 측면
110: 주입구
130: 주름관
150: 배출구
200: 축회전수단
210: 고정부
230: 접철부
250: 힌지축
270; 와셔
300: 저면회전수단
310: 제1가이드
330: 중심부
331: 중앙홀
333: 수평홈
350: 외주부
400: 저장수단
410: 제2가이드
Claims (5)
- 모터와 내부조로 이루어진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동일 평면상이되 상기 내부조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탈수장치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저중심수단이 구비된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중심수단은 환형으로 구성되되, 내부는 중공형으로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중심수단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유체는 물보다 비중이 높은 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중심수단은 상하부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1859A KR102206358B1 (ko) | 2019-02-25 | 2019-02-25 |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1859A KR102206358B1 (ko) | 2019-02-25 | 2019-02-25 |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3917A true KR20200103917A (ko) | 2020-09-03 |
KR102206358B1 KR102206358B1 (ko) | 2021-01-22 |
Family
ID=7245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1859A KR102206358B1 (ko) | 2019-02-25 | 2019-02-25 |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635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8030A (ko) | 2021-04-28 | 2022-11-04 | 일쌍산업영농조합법인 | 곡물 탈수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84288A (ja) * | 1990-03-30 | 1991-12-13 | Toshiba Corp | 洗濯機 |
KR19980067195A (ko) * | 1997-01-31 | 1998-10-15 | 김광호 | 세탁기 |
KR200142469Y1 (ko) | 1996-10-01 | 1999-06-01 | 윤종용 | 세탁기 |
KR200147712Y1 (ko) | 1996-06-24 | 1999-06-15 | 윤종용 | 세탁기의 탈수진동 감쇠장치 |
KR20000075238A (ko) * | 1999-05-31 | 2000-12-15 | 구자홍 | 세탁기의 액체 밸런서 |
-
2019
- 2019-02-25 KR KR1020190021859A patent/KR1022063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84288A (ja) * | 1990-03-30 | 1991-12-13 | Toshiba Corp | 洗濯機 |
KR200147712Y1 (ko) | 1996-06-24 | 1999-06-15 | 윤종용 | 세탁기의 탈수진동 감쇠장치 |
KR200142469Y1 (ko) | 1996-10-01 | 1999-06-01 | 윤종용 | 세탁기 |
KR19980067195A (ko) * | 1997-01-31 | 1998-10-15 | 김광호 | 세탁기 |
KR20000075238A (ko) * | 1999-05-31 | 2000-12-15 | 구자홍 | 세탁기의 액체 밸런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8030A (ko) | 2021-04-28 | 2022-11-04 | 일쌍산업영농조합법인 | 곡물 탈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6358B1 (ko) | 2021-0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46293B2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JP6587162B2 (ja) | 洗濯機内槽のロック機構および洗濯機 | |
CN104631060B (zh) | 洗衣机 | |
US10301759B2 (en) |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KR102206358B1 (ko) | 이동이 용이한 진동 저감 탈수장치 | |
CN101280499B (zh) | 滚筒式洗衣机 | |
US11306428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180035901A (ko) | 세탁기 | |
US11255035B2 (en) | Laundry apparatus | |
KR102206356B1 (ko) | 세척이 용이한 내부조를 가진 탈수장치 | |
CN115976799A (zh) | 洗衣机 | |
RU2174171C1 (ru) | Стирально-отжимная машина | |
KR19980052830U (ko) | 전기 탈수기의 회전 안정구조 | |
KR20110089984A (ko) | 세탁장치 | |
KR20110089986A (ko) | 세탁장치 | |
CN109208281A (zh) | 一种衣物处理装置 | |
KR960001305A (ko) | 탈수통의 회전축 고정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