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312B1 - 차량 골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골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312B1
KR102533312B1 KR1020210038929A KR20210038929A KR102533312B1 KR 102533312 B1 KR102533312 B1 KR 102533312B1 KR 1020210038929 A KR1020210038929 A KR 1020210038929A KR 20210038929 A KR20210038929 A KR 20210038929A KR 102533312 B1 KR102533312 B1 KR 10253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illar
door
reinforcement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214A (ko
Inventor
야스히로 하라
줌페이 와타나베
히로타카 이시오카
노리마사 고레이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1012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fixed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B60J5/0479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without B-pillar or releasable B-pillar, i.e. the pillar is moving with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골격 구조는, 차체 (12) 의 제 1 측부 (68) 에 형성된 제 1 전측 필러부 (46) 와, 상기 차체 (12) 의 제 2 측부 (92) 에 형성된 제 2 전측 필러부 (48) 와,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상부 (46A) 및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상부 (48A) 에 연결된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와,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하부 (46B) 및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하부 (48B) 에 연결된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와, 상기 제 1 측부 (68) 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 (70C) 를 따라 배치된 제 1 후측 필러부 (50) 와, 상기 제 2 측부 (92) 에 형성된 제 2 후측 필러부 (52) 와,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상부 (50A) 및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상부 (52A) 에 연결된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와,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하부 (50B) 및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하부 (52B) 에 연결된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골격 구조{VEHICLE SKELETON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 골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19261에는, 차량의 슬라이드 도어 구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이 차량의 슬라이드 도어 구조에서는, 슬라이드 도어가,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차량 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센터 필러를 개재하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의 측부에 넓은 도어용 개구부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차체의 측부에 센터 필러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의 강성을 확보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개선의 여지가 남게 된다. 요컨대, 상기 기술에서는, 차량의 측부에 넓은 도어용 개구부를 확보하면서,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의 강성을 확보한다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측부에 넓은 도어용 개구부를 확보하면서,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 골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는, 차체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의 제 1 측부에 형성됨과 함께 사이드 도어로 개폐되는 도어용 개구부의 차량 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고,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전측 필러부와, 상기 차체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의 제 2 측부에 형성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전측 필러부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의 상부 및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의 상부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된 전측 어퍼 크로스부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의 하부 및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의 하부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된 전측 로어 크로스부와, 상기 제 1 측부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도어용 개구부의 차량 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고,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후측 필러부와, 상기 제 2 측부에 형성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후측 필러부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의 상부 및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의 상부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된 후측 어퍼 크로스부와,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의 하부 및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의 하부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된 후측 로어 크로스부를 갖고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차체의 도어용 개구부의 근방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을, 차체의 광범위에 분산시킬 수 있어, 당해 하중에 의한 차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요컨대, 차량의 측부에 넓은 도어용 개구부를 확보하면서,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측 어퍼 크로스부 및 상기 후측 어퍼 크로스부는, 각각 상기 차체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과 함께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측 어퍼 크로스부 및 후측 어퍼 크로스부의 각각이, 차체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과 함께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고, 당해 폐단면 구조에 의해 루프 패널이 보강된다. 요컨대,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측 로어 크로스부 및 상기 후측 로어 크로스부는, 각각 상기 차체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과 함께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측 로어 크로스부 및 후측 로어 크로스부의 각각이, 차체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과 함께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고, 당해 폐단면 구조에 의해 플로어 패널이 보강된다. 요컨대,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에는,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로서의 전측 사이드 도어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로서의 후측 사이드 도어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측부에 있어서, 제 1 전측 필러부측에 전측 사이드 도어가 배치되고, 제 1 후측 필러부측에 후측 사이드 도어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측부에 형성된 도어용 개구부를 1 장의 사이드 도어로 개폐하는 구성에 비하여, 당해 도어용 개구부의 대형화를 도모하더라도 사이드 도어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요컨대, 차량에 형성된 도어용 개구부의 대형화에 수반되는 사이드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스페이스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도어 보강부로서, 상기 도어용 개구부가 상기 사이드 도어로 폐쇄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전방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후방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서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상기 전방부의 뒤쪽에 위치되어 있는, 사이드 도어 보강부와, 상기 제 1 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의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에 접속되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전부 (前部) 의 전측 골격부에 접속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직선과, 당해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선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제 1 전측 보강부와, 상기 제 1 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의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당해 제 1 후측 필러부에 접속되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후부의 후측 골격부에 접속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 1 직선과 상기 제 2 직선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제 1 후측 보강부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이드 도어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도어 보강부가 배치되어 있고, 당해 사이드 도어 보강부에 의해 사이드 도어가 보강된다. 또, 도어용 개구부가 사이드 도어로 폐쇄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전방부의 일부가 제 1 전측 필러부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당해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후방부의 일부가 제 1 후측 필러부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서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상기 전방부의 뒤쪽에 위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도어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은, 사이드 도어 보강부를 통하여 제 1 전측 필러부 및 제 1 후측 필러부에 전달된다.
또, 차체의 제 1 측부에 있어서의 제 1 전측 필러부의 차량 전방측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전측 보강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전측 보강부는,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제 1 전측 필러부에 접속되어 있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차체의 전부의 전측 골격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1 측부에 있어서의 제 1 후측 필러부의 차량 후방측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후측 보강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후측 보강부는,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제 1 후측 필러부에 접속되어 있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차체의 후부의 후측 골격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도어측으로부터 제 1 전측 필러부 및 제 1 후측 필러부에 전달되는 하중을 제 1 전측 보강부 및 제 1 후측 보강부를 통하여 차체의 전부 및 후부에도 분산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전측 보강부 및 제 1 후측 보강부의 적어도 일부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직선과, 당해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선 사이에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전측 보강부 및 제 1 후측 보강부에 사이드 도어 보강부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차량 상하 방향의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당해 하중의 차체의 전부 및 후부에 대한 전달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요컨대,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을 차체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측 사이드 도어에는,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전측 도어 보강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후측 사이드 도어에는,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후측 도어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측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와 상기 후측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중첩된 상태에서 로크 장치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측 사이드 도어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도어 보강부로 보강되어 있고, 후측 사이드 도어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도어 보강부로 보강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의 제 1 측부측에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이 입력된 경우, 전측 도어 보강부 및 후측 도어 보강부로 당해 하중을 지지할 수 없으면, 당해 하중이 차량의 차실 내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 도어용 개구부가 전측 사이드 도어 및 후측 사이드 도어로 폐쇄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전측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와 후측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중첩된 상태에서 로크 장치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측 사이드 도어 및 후측 사이드 도어 중 적어도 일방에 입력된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을, 전측 도어 보강부 및 후측 도어 보강부로 지지하고, 나아가서는 제 1 전측 필러부 및 제 1 후측 필러부로 지지할 수 있다. 요컨대,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이 차실 내측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측 사이드 도어 및 상기 후측 사이드 도어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제 1 전측 보강부에는, 상기 전측 사이드 도어를 안내하는 전측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후측 보강부에는, 상기 후측 사이드 도어를 안내하는 후측 레일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측 사이드 도어 및 후측 사이드 도어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사이드 도어를 안내하는 전측 레일부가 제 1 전측 보강부에 형성되어 있고, 후측 사이드 도어를 안내하는 후측 레일부가 제 1 후측 보강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전측 보강부로, 제 1 측부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보강할 수 있음과 함께,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한 전측 사이드 도어를 지지할 수 있다. 또, 제 1 후측 보강부로, 제 1 측부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을 보강할 수 있음과 함께, 차량 후방측으로 이동한 후측 사이드 도어를 지지할 수 있다. 요컨대, 차체의 보강 부재와 사이드 도어의 지지 부재를 공통화하여, 차체의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부에 형성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측부 보강부로서, 상기 측부 보강부의 전방부의 일부가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측부 보강부의 후방부의 일부가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측부 보강부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서 상기 측부 보강부의 상기 전방부의 뒤쪽에 위치되어 있는, 측부 보강부와, 상기 제 2 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의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에 접속되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전측 골격부에 접속된 제 2 전측 보강부와, 상기 제 2 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의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에 접속되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후측 골격부에 접속된 제 2 후측 보강부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체의 제 2 측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 보강부의 전방부의 일부가 제 2 전측 필러부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측부 보강부의 후방부의 일부가 제 2 후측 필러부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측부 보강부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서 상기 측부 보강부의 상기 전방부의 뒤쪽에 위치되어 있다.
또, 제 2 측부에 있어서의 제 2 전측 필러부의 차량 전방측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전측 보강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전측 보강부는,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제 2 전측 필러부에 접속되어 있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차체의 전측 골격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2 측부에 있어서의 제 2 후측 필러부의 차량 후방측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후측 보강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후측 보강부는,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제 2 후측 필러부에 접속되어 있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차체의 후측 골격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에는, 도어용 개구부가 사이드 도어로 폐쇄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 보강부, 제 1 전측 보강부, 제 1 후측 보강부, 전측 골격부, 후측 골격부, 측부 보강부, 제 2 전측 보강부 및 제 2 후측 보강부를 포함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환상 (環狀) 으로 된 전체 둘레 환상 구조부가 구축되게 된다.
그 결과, 차체의 도어용 개구부의 근방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을, 전체 둘레 환상 구조부를 통하여 차체의 광범위에 분산시킬 수 있어, 당해 하중에 의한 차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요컨대,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측 보강부 및 상기 제 1 후측 보강부 중 적어도 일방의 차량 상방측에는, 창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체의 제 1 측부에 있어서의 제 1 전측 보강부 및 제 1 후측 보강부 중 적어도 일방의 차량 상방측에는, 창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창용 개구부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당해 일방으로 보강할 수 있다. 요컨대, 차체의 창부의 주변에 있어서,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차량 하방측에 배치되고, 서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와, 당해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에 각각 형성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고, 상기 전측 로어 크로스부 또는 상기 후측 로어 크로스부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마운트부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된 전력 공급부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당해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걸쳐 놓여진 커버 패널부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와, 당해 사이드 프레임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마운트부를 구비한 프레임이, 차체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는, 서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는, 전력 공급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차체 내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차량의 각종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전력 공급부는, 사이드 프레임부 사이에 걸쳐 놓여진 커버 패널부에 의해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덮여져 있어, 당해 전력 공급부를 당해 커버 패널부에 의해 노면측으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마운트부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됨과 함께, 전측 로어 크로스부 또는 후측 로어 크로스부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측 로어 크로스부 및 후측 로어 크로스부 중 마운트부로 지지되어 있는 쪽과, 마운트부와, 사이드 프레임부와, 커버 패널부를 포함하여 라멘 구조가 구성된다. 그 결과, 차량의 하부를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변형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요컨대, 차실 내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차재 기기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차량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량의 하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와,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와, 상기 전측 어퍼 크로스부와, 상기 전측 로어 크로스부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전측 환상 구조부를 구성해도 된다.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와,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와, 상기 후측 어퍼 크로스부와, 상기 후측 로어 크로스부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후측 환상 구조부를 구성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의 상부와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의 하부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중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의 상부와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의 하부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중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의 상부와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의 하부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중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의 상부와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의 하부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중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장점들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되고,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필러부 주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의 Ⅳ-Ⅳ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 의 Ⅴ-Ⅴ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필러부 주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 (도 3 의 Ⅵ-Ⅵ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사이드 도어 주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2 의 Ⅶ-Ⅶ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프레임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의 차체와 프레임의 경계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2 의 Ⅹ-Ⅹ 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이하, 도 1 ∼ 도 10 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도시되는 화살표 FR 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 는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LH 는 차량 폭 방향 좌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가 적용된 차량 (10) 은, 차체 (12) 와, 차체 (12) 를 지지하는 프레임 (14) 을 구비하고 있으며, 소위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다. 일례로서, 차체 (12) 와 프레임 (14) 은 강제이다.
프레임 (14) 은, 도 2 및 도 9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16), 사이드 프레임부 (16) 사이에 걸쳐 놓여진 복수의 크로스부 (18)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 (14) 은, 기본적으로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에 있어서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프레임 (14) 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사이드 프레임부 (16) 는, 전체적으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프론트 프레임부 (16A), 메인 프레임부 (16B), 킥부 (16C, 16D) 및 리어 프레임부 (16E) 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프레임부 (16A) 는, 사이드 프레임부 (16)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프론트 프레임부 (16A) 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에는, 장착판부 (20)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판부 (20) 에는, 도시되지 않은 프론트 범퍼 리인포스먼트가 장착되어 있다.
또, 프론트 프레임부 (16A) 에는, 차체 (12)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지지하는 1 쌍의 마운트부 (22)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마운트부 (22) 사이에는, 서스펜션 타워 (24) 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부 (16B) 는, 사이드 프레임부 (16) 의 차량 전후 방향 중앙측의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프론트 프레임부 (16A)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이고 또한 차량 하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메인 프레임부 (16B) 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차체 (12) 의 차량 전후 방향 중앙측의 부분을 지지하는 1 쌍의 마운트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킥부 (16C) 는, 프론트 프레임부 (16A) 와 메인 프레임부 (16B)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킥부 (16C) 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프론트 프레임부 (16A) 로부터 차량 후방측이고 또한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프론트 프레임부 (16A) 로부터 차량 후방측이고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리어 프레임부 (16E) 는, 사이드 프레임부 (16) 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을 구성함과 함께, 프론트 프레임부 (16A) 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장착판부 (28) 를 개재하여, 도시되지 않은 리어 범퍼 리인포스먼트가 장착되어 있다.
또, 리어 프레임부 (16E) 에는, 차체 (12) 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을 지지하는 1 쌍의 마운트부 (30)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마운트부 (30) 사이에는, 서스펜션 타워 (32) 가 형성되어 있다.
킥부 (16D) 는, 리어 프레임부 (16E) 와 메인 프레임부 (16B)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킥부 (16D) 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리어 프레임부 (16E) 로부터 차량 전방측이고 또한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리어 프레임부 (16E) 로부터 차량 전방측이고 또한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14) 의 메인 프레임부 (16B) 사이에는, 프레임 (14) 등에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파워 유닛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력 공급부로서의 배터리 팩 (34) 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배터리 팩 (34) 은, 그 외각을 구성하는 배터리 케이스 (36) 및 배터리 케이스 (36) 의 내측에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배터리 케이스 (36) 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또한, 배터리 팩 (34) 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그 주된 부분이 메인 프레임부 (16B) 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배터리 팩 (34) 의 차량 하방측에는, 배터리 팩 (34) 을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패널부로서의 커버 패널 (38) 이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 패널 (38) 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됨과 함께, 복수의 도시되지 않은 비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패널 (38) 은, 사이드 프레임부 (1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장착 부재로 사이드 프레임부 (16) 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커버 패널 (38) 을 구성하는 재질로는, 강재나 탄소 섬유 강화 수지 등 다양한 재질을 들 수 있다. 또, 커버 패널 (38) 을 알루미늄 합금제로 하여, 커버 패널 (38) 을 배터리 케이스 (36) 와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체 (12)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차체 (12) 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상으로 된 박스상으로 됨과 함께, 차실 (40) 의 주된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이 차체 (12) 는, 기본적으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CL) (도 9 참조) 에 대하여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차체 (12) 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차체 (12) 는, 차체 (12)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부 (42), 차체 (12)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부 (44), 루프부 (42) 와 플로어부 (44) 를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전측 필러부 (46), 제 2 전측 필러부 (48), 제 1 후측 필러부 (50) 및 제 2 후측 필러부 (52)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루프부 (42) 는, 도 5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54),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1 쌍의 루프 사이드 레일 (56), 루프 패널 (54) 을 보강하는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및 1 쌍의 보강 패널 (62)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서는, 루프 사이드 레일 (56) 등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루프 패널 (54) 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루프 패널 (54) 은, 판두께 방향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차량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된 사각형의 판상으로 되어 있고,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차량 상방측으로 볼록하게 되어 만곡되어 있다.
루프 사이드 레일 (56) 은, 루프 패널 (54) 의 차량 하방측에 루프 패널 (54)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루프 사이드 레일 (56) 은, 그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4) 와, 그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 로어 (6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루프 사이드 레일 (56) 은, 그 외형이, 차량 폭 방향의 치수가 차량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긴 치수로 설정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4) 에는, 루프 패널 (54)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차체 (12) 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 (차량 폭 방향 좌측) 의 제 1 측부 (68) 에는, 후술하는 사이드 도어로서의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로 개폐되는 도어용 개구부 (70)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루프 사이드 레일 (56)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용 개구부 (70) 의 상측 가장자리부 (70A) 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루프 사이드 레일 (56) 의 차량 하방측에는,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를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는, 도 1,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루프 패널 (54) 의 차량 하방측에 루프 패널 (54) 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해트상으로 되어 있고, 그 플랜지부 (58A) 가 루프 패널 (54)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는, 루프 패널 (54) 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장착편부 (58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편부 (58B) 는,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4) 에 접합되어 있다.
한편,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는, 기본적으로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루프 패널 (54) 의 차량 하방측에 루프 패널 (54) 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는, 루프 패널 (54)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루프 패널 (54) 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는,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와 동일하게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4) 에도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보강 패널 (62) 은,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4) 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보강 패널 (62) 에는,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면과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면의 각각에,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 (62A)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패널 (62)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루프 패널 (54) 에, 보강 패널 (62)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 어퍼 (64) 에, 각각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플로어부 (44) 는, 도 3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 (72), 1 쌍의 로커 (74), 플로어 패널 (72) 을 보강하는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및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로어 패널 (72) 은,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되어 있고, 차실 (40) 의 플로어면을 구성하고 있다.
로커 (74) 는, 플로어 패널 (72)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로커 (74) 는,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로커 아우터 (80) 와, 그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로커 이너 (82) 를 포함하고,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로커 이너 (82) 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면에는, 플로어 패널 (72)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는, 도 1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 (72) 의 차량 하방측에, 플로어 패널 (72) 의 차량 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또한,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와 중첩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상방측으로 개방된 해트상으로 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는, 그 차량 전후 방향 양측에 형성된 1 쌍의 플랜지부 (76A) 가 플로어 패널 (72)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플로어 패널 (72) 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는, 기본적으로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플로어 패널 (72) 의 차량 하방측에, 플로어 패널 (72) 의 차량 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또한,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와 중첩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는, 플로어 패널 (72)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플로어 패널 (72) 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부 (44)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에는, 마운트부 (22) 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지부 (84) 가 형성되어 있고, 플로어부 (44) 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에는, 마운트부 (30) 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지부 (86)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 (84) 는 마운트부 (22) 에, 지지부 (86) 는 마운트부 (30) 에 각각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차량 전방측의 마운트부 (26) 는,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에 대응하고 있고, 도 10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는, 차량 전방측의 마운트부 (26) 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로 고정되어 있다. 또, 차량 후방측의 마운트부 (26) 는,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에 대응하고 있고,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는, 차량 후방측의 마운트부 (26) 에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와 동일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 1 전측 필러부 (46)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부 (68)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 (70B) 를 따라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 1 전측 필러부 (46) 는, 도 4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필러 아우터 (88) 와, 그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필러 이너 (90) 를 포함하고,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아우터 (88)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 로어 (66) 에, 필러 아우터 (88) 의 차량 하방측의 단부는 로커 아우터 (80) 에, 각각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 필러 이너 (90) 의 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상부 (46A) 는,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서는, 루프 사이드 레일 (56) 등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필러 이너 (90) 를 이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상부 (46A)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이너 (90)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은, 로커 이너 (82) 와 일체로 되어 있음과 함께, 이 부분에는,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하부 (46B) 는,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 (46B)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제 2 전측 필러부 (48)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 1 전측 필러부 (46)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차량 폭 방향 타방측 (차량 폭 방향 우측) 의 제 2 측부 (92) 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제 1 전측 필러부 (46) 와 중첩되도록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측부 (92) 에 도어용 개구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상부 (48A) 는, 루프 사이드 레일 (56) 및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부 (48A) 는,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에 직접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하부 (48B) 는,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하부 (48B) 는,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에 직접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48A)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되고, 하부 (48B)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 전측 필러부 (46), 제 2 전측 필러부 (48),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및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가 배치됨으로써, 차체 (12) 에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전측 환상 구조부 (94) 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도어용 개구부 (70) 의 둘레 가장자리부 (70B) 를 따르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환상 구조부 (94) 는, 차체 (12)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전부 (96) 의 전측 골격부 (98) 에, 제 1 전측 보강부 (100) 및 제 2 전측 보강부 (102) 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8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골격부 (98) 는, 도시되지 않은 윈드실드 유리가 들어가는 전측 개구부 (104)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배치된 1 쌍의 프론트 필러부 (106) 와, 전측 개구부 (104) 의 차량 하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배치된 프론트 크로스부 (108) 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필러부 (106) 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루프부 (42)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과 플로어부 (44)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연결하고 있다.
한편, 프론트 크로스부 (108)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프론트 크로스부 (108) 는, 차량 폭 방향 양측의 단부가, 각각 프론트 필러부 (106)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1 쌍의 프론트 필러부 (106) 를 차량 폭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 폭 방향 일방측의 프론트 필러부 (106) 및 프론트 크로스부 (108) 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는, 제 1 전측 보강부 (100) 가 연결되어 있고, 차량 폭 방향 타방측의 프론트 필러부 (106) 및 프론트 크로스부 (108) 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의 단부에는, 제 2 전측 보강부 (102) 가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전측 보강부 (100) 는, 도 7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부 (68) 에 있어서의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차량 전방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 1 전측 창용 개구부 (110) 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전측 보강부 (100) 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고,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어 만곡되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전측 보강부 (100) 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는, 차량 폭 방향 일방측의 프론트 필러부 (106) 및 프론트 크로스부 (10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제 1 전측 보강부 (100) 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는,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차량 상하 방향 중앙부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제 2 전측 보강부 (10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 1 전측 보강부 (100)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 2 측부 (92) 에 있어서의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차량 전방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 2 전측 창용 개구부 (112) 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전측 보강부 (102) 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는, 차량 폭 방향 타방측의 프론트 필러부 (106) 및 프론트 크로스부 (10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제 2 전측 보강부 (102) 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는,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차량 상하 방향 중앙부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제 1 후측 필러부 (5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부 (68)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 (70C) 를 따라 배치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 1 후측 필러부 (50) 는, 기본적으로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제 1 전측 필러부 (46) 와 경상 (鏡像)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상부 (50A) 는, 루프 사이드 레일 (56) 및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부 (50A) 는,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에 직접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50A)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하부 (50B) 는,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하부 (50B) 는,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에 직접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50A)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되고, 하부 (50B)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제 2 후측 필러부 (52) 는, 기본적으로 제 1 후측 필러부 (50)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 2 측부 (92) 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제 1 후측 필러부 (50) 와 중첩되도록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상부 (52A) 는, 루프 사이드 레일 (56) 및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상부 (52A) 는,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에 직접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52A)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하부 (52B) 는,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하부 (52B) 는,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에 직접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52A)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되고, 하부 (52B)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 1 후측 필러부 (50), 제 2 후측 필러부 (52),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및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가 배치됨으로써, 차체 (12) 에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후측 환상 구조부 (114) 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도어용 개구부 (70) 의 둘레 가장자리부 (70C) 를 따르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 후측 환상 구조부 (114) 는, 차체 (12) 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후부 (116) 의 후측 골격부 (118) 에 제 1 후측 보강부 (120) 및 제 2 후측 보강부 (122) 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후측 골격부 (118) 는, 도시되지 않은 리어 유리가 들어가는 후측 개구부 (124)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배치된 1 쌍의 도시되지 않은 리어 필러부와, 후측 개구부 (124) 의 차량 하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배치된 리어 크로스부 (126) 를 구비하고 있고, 기본적으로 전부 (96) 의 전측 골격부 (98)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폭 방향 일방측의 리어 필러부 및 리어 크로스부 (126) 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는, 제 1 후측 보강부 (120) 가 연결되어 있고, 차량 폭 방향 타방측의 리어 필러부 및 리어 크로스부 (126) 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의 단부에는, 제 2 후측 보강부 (122) 가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7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후측 보강부 (120) 는, 기본적으로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제 1 전측 보강부 (100) 와 경상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 1 측부 (68) 에 있어서의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차량 후방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 1 후측 창용 개구부 (128) 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후측 보강부 (120) 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는, 차량 폭 방향 일방측의 리어 필러부 및 리어 크로스부 (126)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제 1 후측 보강부 (120) 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는,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차량 상하 방향 중앙부에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제 2 후측 보강부 (122) 는, 기본적으로 제 1 후측 보강부 (120)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 2 측부 (92) 에 있어서의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차량 후방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 2 후측 창용 개구부 (130) 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후측 보강부 (122) 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는, 차량 폭 방향 타방측의 리어 필러부 및 리어 크로스부 (126)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제 2 후측 보강부 (122) 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는,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차량 상하 방향 중앙부에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 제 2 측부 (92) 에는, 측부 보강부 (178)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측부 보강부 (178) 에 의해 제 2 전측 필러부 (48) 와 제 2 후측 필러부 (52) 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부 보강부 (178) 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상기 측부 보강부 (178) 의 전방부의 일부가 제 2 전측 필러부 (48) 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측부 보강부 (178) 의 후방부의 일부가 제 2 후측 필러부 (52) 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측부 보강부 (178) 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서 상기 측부 보강부 (178) 의 상기 전방부의 뒤쪽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측부 보강부 (178) 는, 보강 부재 등을 개재하여 제 2 전측 필러부 (48) 및 제 2 후측 필러부 (52) 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제 1 전측 보강부 (100)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은, 보디 아우터 패널 (41) 로 덮여져 있고, 제 1 후측 보강부 (120)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은, 보디 아우터 패널 (43) 로 덮여져 있다. 또, 측부 보강부 (178) 의 차량 폭 방향 외측도 도시되지 않은 보디 아우터 패널로 덮여져 있다. 또한, 도 3 등에서는, 차체 (12) 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들 보디 아우터 패널을 도시하고 있지 않다.
다음으로, 차체 (12) 의 제 1 측부 (68) 에 배치된 슬라이드 도어 장치 (132)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드 도어 장치 (132) 는, 도 1, 도 2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사이드 도어 (134),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전측 도어 베이스 (138), 후측 도어 베이스 (140), 전측 레일부 (142), 후측 레일부 (144), 로크 장치로서의 센터 로크 장치 (146), 전측 로크 장치 (148) 및 후측 로크 장치 (150)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 에서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132) 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슬라이드 도어 장치 (132) 의 구성 요소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는, 도어 프레임 (152) 과, 도어 유리 (153) 를 구비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차량 상하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된 판상으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체 (12) 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어 프레임 (152) 은, 일례로서, 강제이다.
상세하게는, 도어 프레임 (152) 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사각형 프레임상으로 된 프레임 본체부 (154) 와, 도어 프레임 (152) 의 차량 상하 방향 중앙부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도어 보강부로서의 전측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 (156) (이하, 전측 RF (156) 라고 칭한다) 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본체부 (154) 는, 그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 이너 (158) 와,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 아우터 (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이너 (158) 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각각이, 그 연장 방향에서 본 단면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해트상으로 되어 있고, 프레임 아우터 (160) 는, 전체적으로는 평판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 이너 (158) 와 프레임 아우터 (160) 는,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이 프레임 본체부 (154) 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각각이, 그 연장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전측 RF (156) 는, 그 차량 폭 방향 내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리인포스 이너 (162) 와, 그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리인포스 아우터 (16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인포스 이너 (162) 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해트상으로 되어 있고, 리인포스 아우터 (164) 는, 평판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리인포스 이너 (162) 와 리인포스 아우터 (164) 는,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고, 전측 RF (156) 는,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폐단면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전측 RF (156) 는, 도 8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인포스 이너 (162) 에 형성된 플랜지부 (162A) 가 프레임 본체부 (154) 에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접합됨으로써, 프레임 본체부 (154) 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는, 도어 프레임 (166) 과, 도어 유리 (167) 를 구비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차량 상하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된 판상으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체 (12) 에 대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어 프레임 (166) 은, 일례로서, 강제이다.
도어 프레임 (166) 은, 프레임 본체부 (168) 와, 후측 도어 보강부로서의 후측 벨트 라인 리인포스먼트 (170) (이하, 후측 RF (170) 라고 칭한다) 를 구비함과 함께, 기본적으로 도어 프레임 (152) 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그 차량 전방측의 부분의 구성이 도어 프레임 (152) 과 상이하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본체부 (168)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단면이 평행사변형상으로 된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분은, 도어용 개구부 (70) 가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로 폐쇄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프레임 본체부 (154) 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과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중첩된 상태에서 맞닿아 있다.
요컨대,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전측 사이드 도어 (134) 의 후단부 (134A) 와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의 전단부 (136A)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중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의 전단부 (136A) 는, 그 일부가 전측 사이드 도어 (134) 의 후단부 (134A) 에 의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사이드 도어 (134) 의 후단부 (134A) 와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의 전단부 (136A) 는, 전단부 (136A) 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172) 와, 후단부 (134A) 에 형성된 도어 래치 (174) 를 구비한 센터 로크 장치 (146)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측 RF (156) 및 후측 RF (170) 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일체로 된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를 보강하는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상측 가장자리부는, 제 1 전측 창용 개구부 (110) 및 제 1 후측 창용 개구부 (128) 의 하측 가장자리부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제 1 전측 보강부 (100) 및 제 2 전측 보강부 (102)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직선 (L1) 과,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선 (L2) 사이에 대부분, 구체적으로는 9 할 이상의 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제 1 전측 보강부 (100) 및 제 2 전측 보강부 (102) 에 있어서의 제 1 직선 (L1) 과 제 2 직선 (L2) 사이에 들어가는 부분의 비율은,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즉, 제 1 전측 보강부 (100) 및 제 2 전측 보강부 (102)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제 1 직선 (L1) 과 제 2 직선 (L2)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들어가 있으면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측부 보강부 (178)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 상태에 있어서, 차량 (10) 에는,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제 1 전측 보강부 (100), 제 1 후측 보강부 (120), 전측 골격부 (98), 후측 골격부 (118), 측부 보강부 (178), 제 2 전측 보강부 (102) 및 제 2 후측 보강부 (122) 를 포함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전체 둘레 환상 구조부 (180) 가 구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측 도어 베이스 (138) 는, 도 4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측 필러부 (46) 를 따라 배치된 장착편부 (138A) 와, 장착편부 (138A) 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된 연장편부 (138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장착편부 (138A) 는,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제 1 전측 필러부 (46) 에 접합되어 있다. 요컨대, 전측 도어 베이스 (138) 는,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일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 전측 도어 베이스 (138) 의 연장편부 (138B) 에는, 전측 사이드 도어 (134) 용의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액추에이터가 구동됨으로써,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는, 제 1 전측 보강부 (100) 를 따라 형성된 전측 레일부 (142) 로 안내되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전측 도어 베이스 (138) 는, 센터 로크 장치 (146)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전측 로크 장치 (148) 를 개재하여, 전측 사이드 도어 (134) 의 전단부 (134B) 와 연결되어 있다. 요컨대, 도어 프레임 (152) 의 프레임 본체부 (154) 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전측 필러부 (46) 와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사이에 개재되는 부재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전측 도어 베이스 (138) 의 연장편부 (138B)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전측 사이드 도어 (134) 에 있어서의 전측 RF (156) 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차량 전방측의 부분과 중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후측 도어 베이스 (140) 는, 제 1 후측 필러부 (50) 를 따라 배치된 장착편부 (140A) 와, 장착편부 (140A) 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된 연장편부 (140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장착편부 (140A) 는, 용접 등에 의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서 제 1 후측 필러부 (50) 에 접합되어 있다. 요컨대, 후측 도어 베이스 (140) 는,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일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 후측 도어 베이스 (140) 의 연장편부 (140B) 에는,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용의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액추에이터가 구동됨으로써,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는, 제 1 후측 보강부 (120) 를 따라 형성된 후측 레일부 (144) 로 안내되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폐쇄 상태에 있어서, 후측 도어 베이스 (140) 는, 센터 로크 장치 (146)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후측 로크 장치 (150) 를 개재하여,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의 후단부 (136B) 와 연결되어 있다. 요컨대, 도어 프레임 (166) 의 프레임 본체부 (168) 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 1 후측 필러부 (50) 와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사이에 개재되는 부재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폐쇄 상태에 있어서, 후측 도어 베이스 (140) 의 연장편부 (140B) 는,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에 있어서의 후측 RF (170) 의 후단부를 포함하는 차량 후방측의 부분과 중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12) 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의 제 1 측부 (68) 에 도어용 개구부 (70) 가 형성되어 있고, 도어용 개구부 (70) 는,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로 개폐된다.
그런데, 차량 (10) 의 편리성의 관점에서는, 차체 (12) 의 제 1 측부 (68) 에 넓은 도어용 개구부 (70) 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차체 (12) 의 제 1 측부 (68) 에 넓은 도어용 개구부 (70) 를 형성하면,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 (12) 의 강성을 확보한다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남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 (70B) 를 따라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전측 필러부 (46) 가 형성되어 있고, 차체 (12) 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의 제 2 측부 (92) 에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전측 필러부 (48)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상부 (46A) 및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상부 (48A) 에,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하부 (46B) 및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하부 (48B) 에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전측 필러부 (46), 제 2 전측 필러부 (48),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및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를 포함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전측 환상 구조부 (94) 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 (70B) 를 따르도록 배치되게 된다.
또,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 (70C) 를 따라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후측 필러부 (50) 가 형성되어 있고, 차체 (12) 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의 제 2 측부 (92) 에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후측 필러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상부 (50A) 및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상부 (52A) 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하부 (50B) 및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하부 (52B) 에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후측 필러부 (50), 제 2 후측 필러부 (52),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및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를 포함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후측 환상 구조부 (114) 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 (70C) 를 따르도록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 (12) 의 도어용 개구부 (70) 의 근방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을, 전측 환상 구조부 (94) 및 후측 환상 구조부 (114) 를 통하여 차체 (12) 의 광범위에 분산시킬 수 있어, 당해 하중에 의한 차체 (12)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의 제 1 측부 (68) 에 넓은 도어용 개구부 (70) 를 확보하면서,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 (12) 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전측 환상 구조부 (94) 및 후측 환상 구조부 (114) 는, 일부가 차체 (12) 의 루프부 (42) 를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 (12) 에 루프부 (42)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도 차체 (12) 의 광범위에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의 전복시 등에 있어서, 루프부 (42)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에 의한 차체 (12)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및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의 각각이, 차체 (12)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54) 과 함께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고, 당해 폐단면 구조에 의해 루프 패널 (54) 이 보강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 그리고 루프부 (42)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에 대한 차체 (12)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및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의 각각이, 차체 (12)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72) 과 함께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고, 당해 폐단면 구조에 의해 플로어 패널 (72) 이 보강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 (12)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측부 (68) 에 있어서, 제 1 전측 필러부 (46) 측에 전측 사이드 도어 (134) 가 배치되고, 제 1 후측 필러부 (50) 측에 후측 사이드 도어 (136) 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측부 (68) 에 형성된 도어용 개구부 (70) 를 1 장의 사이드 도어로 개폐하는 구성에 비하여, 도어용 개구부 (70) 의 대형화를 도모하더라도 사이드 도어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에 형성된 도어용 개구부 (70) 의 대형화에 수반되는 사이드 도어의 개폐에 필요한 스페이스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가 배치되어 있고,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에 의해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가 보강된다. 또, 도어용 개구부 (70) 가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로 폐쇄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전방부의 일부가, 제 1 전측 필러부 (46) 와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후방부의 일부가, 제 1 후측 필러부 (50) 와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서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상기 전방부의 뒤쪽에 위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은,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를 통하여 제 1 전측 필러부 (46) 및 제 2 후측 보강부 (122) 에 전달된다.
또, 차체 (12) 의 제 1 측부 (68) 에 있어서의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차량 전방측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전측 보강부 (100)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전측 보강부 (100) 는,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제 1 전측 필러부 (46) 에 접속되어 있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차체 (12) 의 전부 (96) 의 전측 골격부 (98) 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1 측부 (68) 에 있어서의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차량 후방측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후측 보강부 (120)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후측 보강부 (120) 는,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제 1 후측 필러부 (50) 에 접속되어 있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차체 (12) 의 후부 (116) 의 후측 골격부 (118) 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로부터 제 1 전측 필러부 (46) 및 제 1 후측 필러부 (50) 에 전달되는 하중을, 제 1 전측 보강부 (100) 및 제 1 후측 보강부 (120) 를 통하여 차체 (12) 의 전부 (96) 및 후부 (116) 에도 분산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측 보강부 (100) 및 제 1 후측 보강부 (120) 의 적어도 일부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직선 (L1) 과,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선 (L2) 사이에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전측 보강부 (100) 및 제 1 후측 보강부 (120) 에,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차량 상하 방향의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당해 하중의 차체 (12) 의 전부 (96) 및 후부 (116) 에 대한 전달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을 차체 (12)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사이드 도어 (134)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RF (156) 로 보강되어 있고, 후측 사이드 도어 (136)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RF (170) 로 보강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 (10) 의 제 1 측부 (68) 측에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이 입력된 경우, 전측 RF (156) 및 후측 RF (170) 로 당해 하중을 지지할 수 없으면, 당해 하중이 차량 (10) 의 차실 (40) 내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용 개구부 (70) 가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로 폐쇄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전측 사이드 도어 (134) 의 후단부 (134A) 와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의 전단부 (136A) 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중첩된 상태에서 센터 로크 장치 (146)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중 적어도 일방에 입력된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을, 전측 RF (156) 및 후측 RF (170) 로 지지하고, 나아가서는 제 1 전측 필러부 (46) 및 제 1 후측 필러부 (50) 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이 차실 (40) 내측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를 안내하는 전측 레일부 (142) 가 제 1 전측 보강부 (100) 에 형성되어 있고,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를 안내하는 후측 레일부 (144) 가 제 1 후측 보강부 (120) 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측 보강부 (100) 로, 제 1 측부 (68) 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보강할 수 있음과 함께,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한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를 지지할 수 있다. 또, 제 1 후측 보강부 (120) 로, 제 1 측부 (68) 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을 보강할 수 있음과 함께, 차량 후방측으로 이동한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 (12) 의 보강 부재와 사이드 도어의 지지 부재를 공통화하여, 차체 (12) 의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12) 의 제 2 측부 (92) 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 보강부 (17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 보강부 (178) 의 전방부의 일부가 제 2 전측 필러부 (48) 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측부 보강부 (178) 의 후방부의 일부가 제 2 후측 필러부 (52) 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측부 보강부 (178) 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서 상기 측부 보강부 (178) 의 상기 전방부의 뒤쪽에 위치되어 있다.
또, 제 2 측부 (92) 에 있어서의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차량 전방측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전측 보강부 (102)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전측 보강부 (102) 는,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제 2 전측 필러부 (48) 에 접속되어 있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차체 (12) 의 전측 골격부 (98) 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2 측부 (92) 에 있어서의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차량 후방측에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후측 보강부 (122)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후측 보강부 (122) 는,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제 2 후측 필러부 (52) 에 접속되어 있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차체 (12) 의 후측 골격부 (118) 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 (10) 에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제 1 전측 보강부 (100), 제 1 후측 보강부 (120), 전측 골격부 (98), 후측 골격부 (118), 측부 보강부 (178), 제 2 전측 보강부 (102) 및 제 2 후측 보강부 (122) 를 포함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전체 둘레 환상 구조부 (180) 가 구축되게 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 (12) 의 도어용 개구부 (70) 의 근방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을, 전체 둘레 환상 구조부 (180) 를 통하여 차체 (12) 의 광범위에 분산시킬 수 있어, 당해 하중에 의한 차체 (12)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체 (12) 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 (12) 의 제 1 측부 (68) 에 있어서의 제 1 전측 보강부 (100) 의 차량 상방측에 제 1 전측 창용 개구부 (110) 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후측 보강부 (120) 의 차량 상방측에는, 제 1 후측 창용 개구부 (12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전측 창용 개구부 (110) 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제 1 전측 보강부 (100) 로 보강할 수 있음과 함께, 제 1 후측 창용 개구부 (128) 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제 1 후측 보강부 (120) 로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 (12) 의 창부의 주변에 있어서,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16) 와, 사이드 프레임부 (16) 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마운트부 (26) 를 구비한 프레임 (14) 이, 차체 (12) 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16) 는, 서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16) 사이에는, 배터리 팩 (34) 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 (12) 내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차량 (10) 의 각종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배터리 팩 (34) 은, 사이드 프레임부 (1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커버 패널 (38) 에 의해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덮여져 있어, 배터리 팩 (34) 을 커버 패널 (38) 에 의해 노면측으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마운트부 (26) 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방측의 마운트부 (26) 는,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고, 차량 후방측의 마운트부 (26) 는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와,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와, 마운트부 (26) 와, 사이드 프레임부 (16) 와, 커버 패널 (38) 을 포함하여 라멘 구조가 구성된다. 그 결과, 차량 (10) 의 하부를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해 변형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실 (40) 내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차재 기기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차량 (10) 에 입력되는 차량 폭 방향의 하중에 대한 차량 (10) 의 하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의 제 1 측부 (68) 에 슬라이드 도어 장치 (132) 를 형성하였지만,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 제 2 측부 (92) 에 슬라이드 도어 장치 (132) 를 형성하도록 해도 되고, 제 1 측부 (68) 및 제 2 측부 (92) 에 슬라이드 도어 장치 (132) 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 차체 (12) 에 형성되는 창용 개구부의 개수나 형상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의 각각에 대하여 링크 장치를 형성하여,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를 글라이드 슬라이드 도어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 골격 구조를 소형의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를 하나의 사이드 도어로 해도 되고, 힌지 도어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가 부재를 개재하여 제 1 전측 필러부 (46) 및 제 1 후측 필러부 (50) 와 연결되어 있었지만, 차체 (12) 의 구성 등에 따라, 폐쇄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가 제 1 전측 필러부 (46) 및 제 1 후측 필러부 (50) 와 로크 장치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RF (156) 가 전측 사이드 도어 (134) 에 형성됨과 함께, 후측 RF (170) 가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 전측 RF (156) 와 후측 RF (170) 를 힌지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를 접을 수 있는 구성으로 함과 함께,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를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또는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및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로 루프 패널 (54) 이 보강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및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를, 탄소 섬유 강화 수지제이고 또한 차량 폭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판재로 구성하고, 이것들이 루프 패널 (54) 에 접합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및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로 플로어 패널 (72) 이 보강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의 사양 등에 따라,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및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를, 탄소 섬유 강화 수지제이고 또한 차량 폭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판재로 구성하고, 이것들이 플로어 패널 (72) 에 접합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추가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10) 이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10) 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경우에는, 인휠 모터를 사용함과 함께, 차량 (10) 을 모노코크 구조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체 (12) 에 배기관 등을 통과시키는 터널부를 형성하는 것이 불필요해져, 전측 환상 구조부 (94) 및 후측 환상 구조부 (114) 에 터널부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고, 전측 환상 구조부 (94) 및 후측 환상 구조부 (114) 에 의해 차체 (12) 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3)

  1. 차량 골격 구조로서,
    차체 (12) 의 차량 폭 방향 일방측의 제 1 측부 (68) 에 형성됨과 함께 사이드 도어 (134, 136) 로 개폐되는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 (70B) 를 따라 배치되고,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전측 필러 부 (46) ;
    상기 차체 (12) 의 차량 폭 방향 타방측의 제 2 측부 (92) 에 형성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전측 필러부 (48) ;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상부 (46A) 및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상부 (48A) 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된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하부 (46B) 및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하부 (48B) 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된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
    상기 제 1 측부 (68) 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도어용 개구부 (70) 의 차량 후방측의 둘레 가장자리부 (70C) 를 따라 배치되고,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후측 필러부 (50) ;
    상기 제 2 측부 (92) 에 형성됨과 함께 차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후측 필러부 (52) ;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상부 (50A) 및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상부 (52A) 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된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 및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하부 (50B) 및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하부 (52B) 에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된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도어 (134, 136) 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로서, 상기 도어용 개구부 (70) 가 상기 사이드 도어 (134, 136) 로 폐쇄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전방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후방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후방부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서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전방부의 뒤쪽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
    상기 제 1 측부 (68) 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에 접속되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차체 (12) 의 전부 (96) 의 전측 골격부 (98) 에 접속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직선 (L1) 과,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선 (L2)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제 1 전측 보강부 (100) ; 및
    상기 제 1 측부 (68) 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에 접속되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차체 (12) 의 후부 (116) 의 후측 골격부 (118) 에 접속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 1 직선 (L1) 과 상기 제 2 직선 (L2)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제 1 후측 보강부 (120) 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 골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및 상기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는, 각각 상기 차체 (12) 의 차량 상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루프 패널 (54) 과 함께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차량 골격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및 상기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는, 각각 상기 차체 (12) 의 차량 하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 (72) 과 함께 폐단면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차량 골격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부 (68) 에는,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로서의 전측 사이드 도어 (134) 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로서의 후측 사이드 도어 (136) 가 배치되어 있는, 차량 골격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사이드 도어 (134) 에는,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차량 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전측 도어 보강부 (156) 가 형성되고,
    상기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에는, 상기 사이드 도어 보강부 (176) 의 차량 후방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후측 도어 보강부 (170)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측 사이드 도어 (134) 의 후단부와 상기 후측 사이드 도어 (136) 의 전단부가 차량 폭 방향에서 보아 중첩된 상태에서 로크 장치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차량 골격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및 상기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됨과 함께, 상기 제 1 전측 보강부 (100) 에는, 상기 전측 사이드 도어 (134) 를 안내하는 전측 레일부 (142) 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후측 보강부 (120) 에는, 상기 후측 사이드 도어 (136) 를 안내하는 후측 레일부 (144) 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골격 구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부 (92) 에 형성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측부 보강부 (178) 로서, 상기 측부 보강부 (178) 의 전방부의 일부가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 (48) 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측부 보강부 (178) 의 후방부의 일부가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 (52) 와 직접 또는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기 측부 보강부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서 상기 측부 보강부의 상기 전방부의 뒤쪽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측부 보강부 (178) ;
    상기 제 2 측부 (92) 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 (48) 에 접속되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전측 골격부 (98) 에 접속된 제 2 전측 보강부 (102) ; 및
    상기 제 2 측부 (92) 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전방측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 (52) 에 접속되고,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후측 골격부 (118) 에 접속된 제 2 후측 보강부 (122) 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 골격 구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측 보강부 (100) 및 상기 제 1 후측 보강부 (120) 중 적어도 일방의 차량 상방측에는, 창용 개구부 (110, 128) 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골격 구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12) 의 차량 하방측에 배치되고, 서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16) 와, 상기 1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 (16) 에 각각 형성됨과 함께, 차량 폭 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고, 상기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또는 상기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마운트부 (26) 를 구비한 프레임 (14) ;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 (16) 사이에 배치된 전력 공급부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덮음과 함께, 상기 사이드 프레임부 (16) 사이에 걸쳐 놓여진 커버 패널부 (38) 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 골격 구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와,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 (48) 와, 상기 전측 어퍼 크로스부 (58) 와, 상기 전측 로어 크로스부 (76) 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전측 환상 구조부 (94) 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와,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 (52) 와, 상기 후측 어퍼 크로스부 (60) 와, 상기 후측 로어 크로스부 (78) 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환상으로 된 후측 환상 구조부 (114) 를 구성하고 있는, 차량 골격 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상부 (46A) 와 상기 제 1 전측 필러부 (46) 의 하부 (46B) 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상부 (48A) 와 상기 제 2 전측 필러부 (48) 의 하부 (48B) 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상부 (50A) 와 상기 제 1 후측 필러부 (50) 의 하부 (50B) 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상부 (52A) 와 상기 제 2 후측 필러부 (52) 의 하부 (52B) 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중첩되어 있는, 차량 골격 구조.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038929A 2020-04-02 2021-03-25 차량 골격 구조 KR102533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67080A JP6923035B1 (ja) 2020-04-02 2020-04-02 車両骨格構造
JPJP-P-2020-067080 2020-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214A KR20210123214A (ko) 2021-10-13
KR102533312B1 true KR102533312B1 (ko) 2023-05-16

Family

ID=7530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929A KR102533312B1 (ko) 2020-04-02 2021-03-25 차량 골격 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548560B2 (ko)
EP (1) EP3889010B1 (ko)
JP (2) JP6923035B1 (ko)
KR (1) KR102533312B1 (ko)
CN (1) CN113492659B (ko)
BR (1) BR102021005461A2 (ko)
CA (2) CA3113733A1 (ko)
RU (1) RU2756730C1 (ko)
SG (1) SG10202103145VA (ko)
TW (1) TWI7591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0505B1 (en) * 2019-03-21 2022-08-23 Apple Inc. Door and roof configurations for vehicles
CN114103609B (zh) * 2021-11-09 2023-04-28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具有铝骨架及碳纤维板的滑移门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136A (ja) * 2002-02-07 2003-08-12 Nissan Motor Co Ltd ピラーレスドアの側突変形抑制装置
US20170305253A1 (en) * 2014-10-08 2017-10-26 Interactive Fully Electrical Vehicles S.R.L. Electric car with pre-assembled modular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80577C3 (de) 1968-09-30 1975-10-16 Alfred 7146 Tamm Grossbach Schiebetür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S5915179A (ja) * 1982-07-16 1984-01-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装置
JPS6139671U (ja) * 1984-08-16 1986-03-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ワンボツクス型自動車における車体構造
US5094313A (en) * 1990-08-06 1992-03-10 Mauws Laurence J Utility vehicle
JPH04112175U (ja) * 1991-03-20 1992-09-2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分割ルーフの防水構造
JPH04310478A (ja) * 1991-04-09 1992-11-02 Toyota Motor Corp フレーム付車両のボデーとフレームとの結合構造
JPH0549573U (ja) * 1991-12-17 1993-06-2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フロア部分構造
US5577793A (en) * 1993-04-21 1996-11-26 Kobasic; Richard A. Multipurpose highway vehicle
JP3795109B2 (ja) 1995-11-06 2006-07-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徐放性フェロモン製剤
US6139094A (en) * 1998-05-04 2000-10-31 Aluminum Company Of America Rocker to pillar joint
DE19903724A1 (de) 1999-01-30 2000-08-03 Porsche Ag Gerippe für einen Großraumwagen, insbesondere einen Omnibus
WO2002024511A1 (en) 2000-09-20 2002-03-28 Sean Thomas Light weight integrated body/chassis structure for road or rail vehicle
US6926350B2 (en) * 2000-11-13 2005-08-09 Cosma International Inc. Hydroformed space frame and rearward ring assembly therefor
JP4622094B2 (ja) * 2000-12-14 2011-02-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開閉体構造
DE60217217T2 (de) * 2001-05-11 2007-10-11 Daihatsu Motor Co., Ltd., Ikeda Kraftfahrzeugaufbau
JP2007196883A (ja) * 2006-01-27 2007-08-09 Toyota Motor Corp 車体側部構造
JP4434273B2 (ja) * 2007-11-30 2010-03-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JP5354154B2 (ja) * 2008-08-21 2013-11-2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レーム構造
JP5688758B2 (ja) * 2011-01-28 2015-03-2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体側部構造
FR2975347B1 (fr) * 2011-05-20 2013-11-01 Renault Sa Vehicule automobile a portiere coulissante
WO2013077085A1 (ja) * 2011-11-25 2013-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上部構造
JP6418049B2 (ja) * 2015-04-15 2018-11-0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CN107683239B (zh) * 2015-04-30 2019-10-25 宝敏科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公共汽车或工业运输车辆的框架
JP6575854B2 (ja) * 2015-05-29 2019-09-1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バスの部品配置方法
CN206231450U (zh) 2016-10-27 2017-06-09 深圳市招科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无人车的车体骨架总成
JP6540678B2 (ja) * 2016-12-22 2019-07-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JP2019081436A (ja) * 2017-10-30 2019-05-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パック構造
WO2019098383A1 (ja) 2017-11-20 2019-05-2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対面シート式自動運転車両
JP6952128B2 (ja) * 2017-11-20 2021-10-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ート式車両
JP7019245B2 (ja) * 2017-12-28 2022-02-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JP7029374B2 (ja) * 2018-09-27 2022-03-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構造
US10960739B2 (en) * 2019-01-04 2021-03-30 Hyundai Motor Company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pillarless opposite sliding do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6136A (ja) * 2002-02-07 2003-08-12 Nissan Motor Co Ltd ピラーレスドアの側突変形抑制装置
US20170305253A1 (en) * 2014-10-08 2017-10-26 Interactive Fully Electrical Vehicles S.R.L. Electric car with pre-assembled modula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0392B2 (ja) 2022-08-17
JP6923035B1 (ja) 2021-08-18
EP3889010A1 (en) 2021-10-06
BR102021005461A2 (pt) 2021-10-13
CA3113734A1 (en) 2021-10-02
TW202138232A (zh) 2021-10-16
CA3113733A1 (en) 2021-10-02
JP2021160674A (ja) 2021-10-11
RU2756730C1 (ru) 2021-10-04
CN113492659A (zh) 2021-10-12
EP3889010B1 (en) 2023-06-21
US20210309299A1 (en) 2021-10-07
SG10202103145VA (en) 2021-11-29
CN113492659B (zh) 2024-05-07
JP2021160719A (ja) 2021-10-11
KR20210123214A (ko) 2021-10-13
TWI759162B (zh) 2022-03-21
US11548560B2 (en)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8687B2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5526644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6540846B1 (ja) 車両の車体構造
KR19980070976A (ko) 차량의 차체 구조
CN100390007C (zh) 车辆的后部车体结构
JP6540845B1 (ja) 車両の車体構造
KR102533312B1 (ko) 차량 골격 구조
US9346493B2 (en) Floor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body
CN111942481B (zh) 车辆的下部车体构造
CN105730203B (zh) 汽车的后部车身结构
KR20210102045A (ko) 차실 구조
JP2012006507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6540844B1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07161075A (ja) 車体後部構造
JP2007161074A (ja) 車体後部構造
CN110920757B (zh) 车辆的下部结构
JP4729797B2 (ja) 自動車の開閉体構造
CN212890612U (zh) 车身下部结构
JP7379901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2996038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2012206619A (ja) 車体側部の衝撃緩衝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