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781B1 -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781B1
KR102524781B1 KR1020220108920A KR20220108920A KR102524781B1 KR 102524781 B1 KR102524781 B1 KR 102524781B1 KR 1020220108920 A KR1020220108920 A KR 1020220108920A KR 20220108920 A KR20220108920 A KR 20220108920A KR 102524781 B1 KR102524781 B1 KR 102524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guide
guide roller
horizontal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모
Priority to KR102022010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65G17/1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and move in contact with a guid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4Lu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92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81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guided at least partially along a vertical or inclined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92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82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with guiding means to remain in a load-carry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제공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수용공간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하기 운반모듈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하기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후방에 관통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개구부의 상측 위치에 배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구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대향하는 개구부의 하측 위치에 배치되어 구동스프로킷과 이송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 작동하는 종동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작동수단과; 이송체인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의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안내부에 구름방식으로 접촉 이동하는 이동롤러를 갖는 이동체와, 이동체의 구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안내롤러유닛과; 이동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화물이 거치되는 운반포크와, 이동체가 안내부를 따라 이동 중 곡선구간에서 회전시 운반포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한 운반모듈과; 종동스프로킷에 위치되어 이송체인의 탈선을 방지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설치 면적 및 규모에 제한 없이 공간 활용을 최적화는 물론, 수화물의 중량 및 크기에 상관 없이 반출입이 가능하며, 반출입 과정에서 캐리어의 수평유지 및 유동방지를 통해 수화물 반출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Elevator for carrying in/out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 면적 및 규모에 제한 없이 공간 활용을 최적화는 물론, 수화물의 중량 및 크기에 상관 없이 반출입이 가능하며, 반출입 과정에서 캐리어의 수평유지 및 유동방지를 통해 수화물 반출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분야에서 수화물의 층간 반출입은 에스컬레이터 타입 또는 엘리베이터 타입을 통해 이동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타입에 경우 엘리베이터의 승강 운동 중 일 방향에서만 수화물을 이송하고, 수화물의 하역시 엘리베이터를 정지해야 함으로 수화물의 대량 반출입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에스컬레이터 타입에 경우 연속적인 반출입은 가능하나 경사 설치에 따라 실질적인 설치 면적이 넓고 반출입되는 수화물의 크기가 제한적이라 대형 수화물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또한, 수화물의 수직 반출입을 위해 사이드그립(Side Grip) 타입이 제안되었으며, 엘리베이터 타입에 비해 한번 설치에 변경이 불가하고, 반출입위치가 고정되며, 수화물 규격이 변경시 이송이 잘 안되며, 빠른 이송이 불가하고, PE 박스 반출입시 추가로 반송기를 부착해야 하여, 작업 중 정지시 슬라이드 그립구조로 되어 있어, 수화물이 외부로 이탈되거나 낙하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은 수화물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제1,2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제1,2체인기어쌍, 로딩 틸딩 포크가 구성되어 있지만, 50Kg 고하중 수화물 적재시, 제1,2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휘어지거나 무게중심을 못 잡아, 외부로 이탈되거나 쏠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이로 인해, 50Kg 고하중 수화물 적재가 어려워 가벼운 5~10Kg 저하중 수화물만을 적재해야 하므로, 활용도가 떨어지고, 가벼워서 자주 걸림현상과 낙하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2체인들의 곡선회전구간에서, 수화물의 기울어짐 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혀진 상태 그대로 수직이송이 어려워, 제1,2체인들의 곡선회전구간에 별도의 벨트컨베이어나 추가 이송수단을 구비해야 하므로, 설비 자체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1층, 2층, 3층에 수화물을 수평방향의 벨트컨베이어로 이송 시킬 때, 수동방식으로 일일이 1층에, 2층에 3층에 따로 수평방향의 벨트컨베이어를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 수직 이송루틴 및 수직 반송루틴 설계 및 설비구성이 복잡해지고, 무엇보다 이송, 반송루틴이 자주 바뀌는 물류택배현장에 빠른 시간에 손쉽게 적용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는 메인본체, 터치키입력부,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로 구성됨으로서, 중량화물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에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중량화물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 그대로 전달시킬 수 있어,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에 별도의 벨트컨베이어나 추가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 설비비용을 절감하고, 체인의 탄력성과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를 통해, 쏠림현상이나 걸림현상없이 중량화물을 논스톱으로 1층에서 3층으로, 3층에서 1층으로, 그리고,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로, 층간 고속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어, 여러 개의 플랫폼이 운전해 대기시간이 적고, 기존에 비해, 자동운전이 가능해 다른 라인과 연계한 연계성자동화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이 하이브리드 방식, 현장지능형PLC 컨트롤러부로 구성됨으로서, 수직이송 루틴, 수직 반송 루틴을 층별(1층, 2층, 3층) 또는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 등 다양하게, 그리고, 현장분위기에 맞게 현장에서 바로 1:1 맞춤 설계할 수 있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중량화물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화물을 반출입하는 과정에서 롤링(Rolling), 요잉(Yawing), 피칭(Pitching), 트램핑(tramping) 등 캐리어의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화물의 쏠림 또는 낙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25468 B1 KR 10-2381208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력조절 구조 및 가이드레일 구조를 개선하여 설치 면적 및 규모에 제한 없이 공간 활용을 최적화는 물론, 수화물의 중량 및 크기에 상관 없이 반출입이 가능하며, 반출입 과정에서 캐리어의 수평유지 및 유동방지를 통해 수화물 반출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제공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수용공간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하기 운반모듈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하기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후방에 관통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개구부의 상측 위치에 배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구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대향하는 개구부의 하측 위치에 배치되어 구동스프로킷과 이송체인을 통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 작동하는 종동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작동수단과; 이송체인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의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안내부에 구름방식으로 접촉 이동하는 이동롤러를 갖는 이동체와, 이동체의 구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안내롤러유닛과; 이동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화물이 거치되는 운반포크와, 이동체가 안내부를 따라 이동 중 곡선구간에서 회전시 운반포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한 운반모듈과; 종동스프로킷에 위치되어 이송체인의 탈선을 방지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장력조절수단은 메인프레임의 세로보강대를 따라 상하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축결된 종동스프로킷을 함께 이동시키는 조절본체와; 메인프레임의 가로보강대를 관통하여 조절본체의 일측에 연장구비되는 조절스크류와; 가로보강대에 구비되어 조절스크류를 회전 작동시켜 조절본체를 승강 조절을 위해 체인 연결된 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수평유지수단은 일단이 운반포크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축과, 샤프트축이 관통 삽입되며 제1안내롤러 및 제2안내롤러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제1브라켓과, 샤프트축의 길이 방향 일단이 결합되며 제3안내롤러 및 제4안내롤러가 배치되는 제2브라켓과; 샤프트축이 삽입되되 샤프트축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연결부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안내부는 구동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수직안내판과,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측면안내판과, 개구부의 상단과 하단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곡면안내판과,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운반모듈의 이동체에 구비된 안내롤러유닛을 안내하는 수평안내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평안내판은 이동체에 구비된 안내롤러유닛의 진입을 유도하는 직선구간과, 구동스프로킷 또는 종동스프로킷의 회전곡률에 비례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곡률구간과, 곡률구간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안내롤러유닛이 이탈하는 이탈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수평안내판은 제1안내롤러를 접촉 롤링으로 수평 안내하는 제1안내라인을 갖는 제1판과; 제2안내롤러를 접촉 롤링으로 수평 안내하는 제2안내라인을 갖는 제2판과; 제3안내롤러를 접촉 롤링으로 수평 안내하는 제3안내라인을 갖는 제3판과; 제4안내롤러를 접촉 롤링으로 수평 안내하는 제4안내라인을 갖는 제4판을 포함하여 이격핀에 의해 간격을 두고 겹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면적 및 규모에 제한 없이 공간 활용을 최적화는 물론, 수화물의 중량 및 크기에 상관 없이 반출입이 가능하며, 반출입 과정에서 캐리어의 수평유지 및 유동방지를 통해 수화물 반출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수평안내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수평안내판의 분해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운반모듈을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운반모듈을 나타내는 정면, 평면, 측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장력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수평안내판을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운반포크를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이동체 및 기이드바를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제공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수용공간(110)과 연통된 개구부(120)가 형성되며, 개구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하기 운반모듈(600)을 안내하는 안내부(130)가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 배치되어 하기 구동수단(300)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200)의 후방에 관통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300)과; 개구부(120)의 상측 위치에 배치되어 구동수단(30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구동스프로킷(410)과, 구동스프로킷(410)과 대향하는 개구부(120)의 하측 위치에 배치되어 구동스프로킷(410)과 이송체인(420)을 통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 작동하는 종동스프로킷(430)을 포함하는 작동수단(400)과; 이송체인(4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안내부(130)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안내부(130)에 구름방식으로 접촉 이동하는 이동롤러(631)를 갖는 이동체(630)와, 이동체(630)의 구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안내롤러유닛(620)과; 이동체(630)의 전방에 배치되어 화물이 거치되는 운반포크(640)와, 이동체(630)가 안내부(130)를 따라 이동 중 곡선구간에서 회전시 운반포크(64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610)을 포함한 운반모듈(600)과; 종동스프로킷(430)에 위치되어 이송체인(420)의 탈선을 방지하는 장력조절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다층으로 구획된 공정 라인에서 다층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구비되고 전면에 수용공간(110)과 연통되어 후술하는 운반모듈(60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구동스프로킷(410) 및 종동스프로킷(430)을 제외한 나머지 개구부(120)에는 수용공간(110)에 설치된 부속품의 노출을 차단하는 전면커버(12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배치되는 환경(설치 층수가 늘어남)에 따라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하우징을 더 배치하여 공정 라인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각각에 형성된 개구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안내부(130)가 배치된다.
안내부(130)는 구동스프로킷(410)과 종동스프로킷(430)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수직안내판(150)과, 개구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측면안내판(160)과, 개구부(120)의 상단과 하단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곡면안내판(170)과, 수용공간(110)에 배치되어 운반모듈(600)의 이동체(630)에 구비된 안내롤러유닛(620)을 안내하는 수평안내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안내판(150)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보다 정확하게는 상부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스프로킷(410)과 하부하우징에 배치되는 종동스프로킷(430)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동체(630)에 구비된 이동롤러(631)가 이동 가능하게 맞닿는다.
이때 수직안내판(150)은 구동스프로킷(410)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
측면안내판(160)은 개구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운반모듈(600)을 구성하는 이동체(630)에 구비된 이동롤러(631)가 이동 가능하게 맞닿는다.
여기서 수직안내판(150)관 측면안내판(160)은 이동체(630)가 상승 또는 하강 중 직선 이동을 할 때 이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체(630)에 구비된 이동롤러(631)가 수직안내판(150)관 측면안내판(160)에 동시에 맞닿아 상승 또는 하강하되, 측면안내판(160)은 수직안내판(1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말단부에 곡면안내판(170)의 단부가 맞닿는다.
곡면안내판(170)은 개구부(120)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동체(630)의 이동 방향 전환시이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동체(630)는 수직안내판(150)관 측면안내판(160)을 통해 안내되면서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다가 곡면안내판(170)과 맞닿으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상승하던 이동체(630)는 개구부(120)의 상단에 형성된 곡면안내판(170)로 진입한 이후 곡면안내판(170)을 통과하면서 180°회전한 후 수직으로 하강하는 것이다.
이후 개구부(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곡면안내판(170)을 통과하면서 이동체(630)는 180°회전한 후 수직으로 상승하도록 방향이 전환된다.
이러한 곡면안내판(170)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되, 구동스프로킷(410) 또는 종동스프로킷(430)의 곡률에 비례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수평안내판(140)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 배치되어 이동체(630)에 구비된 안내롤러유닛(620)을 안내하는 것으로, 곡면안내판(170)에서 수평 방향으로 후방 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그리고, 수평안내판(140)의 양측에는 메인프레임(200)에 수평안내판(140)을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안내판(140)은 제1안내롤러(621)를 접촉 롤링으로 수평 안내하는 제1안내라인(141a)을 갖는 제1판(141)과; 제2안내롤러(622)를 접촉 롤링으로 수평 안내하는 제2안내라인(142a)을 갖는 제2판(142)과; 제3안내롤러(623)를 접촉 롤링으로 수평 안내하는 제3안내라인(143a)을 갖는 제3판(143)과; 제4안내롤러(624)를 접촉 롤링으로 수평 안내하는 제4안내라인(144a)을 갖는 제4판(144)을 포함하여 이격핀(145)에 의해 간격을 두고 겹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안내판(140)은 이동체(630)에 구비된 안내롤러유닛(620)의 진입을 유도하는 직선구간(A)과, 구동스프로킷(410) 또는 종동스프로킷(430)의 회전곡률에 비례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곡률구간(B)과, 곡률구간(B)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안내롤러유닛(620)이 이탈하는 이탈구간(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수평안내판(140)은 이동체(630)에 구비된 안내롤러유닛(620)을 안내하되, 이동체(630)에 구비된 안내롤러유닛(620)의 진입을 유도하는 직선구간(A)과, 구동스프로킷(410) 또는 종동스프로킷(430)의 회전곡률에 비례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곡률구간(B)과, 곡률구간(B)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안내롤러유닛(620)이 이탈하는 이탈구간(C)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구동스프로킷(410) 또는 종동스프로킷(430)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동체(630)가 진선구간(A)을 통과할 때, 안쪽에 위치되는 제1안내롤러(621)가 직접 롤링 접촉되어 이동체(63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가로보강대(220)에 쳐결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브라켓(181)을 통해 체결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바(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수평안내판(140)은 안내롤러유닛(620)이 직선구간(A)을 통해 진입하고, 이후 이동체(630)가 180°회전하는 과정에서 이동체(6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수평안내판(140)은 이동체(630)가 곡면안내판(170)을 통과하면서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은 가능하도록 하되 유동(遊動)은 방지하여 이동체(630)에 결합된 운반포크(640)의 수평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직선구간(A)으로 진입한 안내롤러유닛(620)은 곡률구간(B)을 거쳐 이탈구간(C)을 통해 이탈하는데, 이탈구간(C)은 곡률구간(B)의 말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곡률구간(B)을 통과한 안내롤러유닛(620)이 이탈한다.
여기서 이탈구간(C)을 통해 안내롤러유닛(620)이 이탈할 때 안내롤러유닛(620)이 빈 공간에 노출됨으로써 이동체(630)가 유동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안내판(14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이탈방지부가 구비된다.
이탈방지부는 곡면안내판(170)과 동일한 형태 및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수평안내판(140)을 사이에 두고 전방과 후방에 한 쌍이 각각 배치되어 수평안내판(140)을 통과한 안내롤러유닛(620)이 어느 하나의 수평안내판(140)에 맞닿아 안내된다.
여기서, 수평유지수단(610)은 일단이 운반포크(640)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축(613)과, 샤프트축(613)이 관통 삽입되며 제1안내롤러(621) 및 제2안내롤러(622)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제1브라켓(611)과,
샤프트축(613)의 길이 방향 일단이 결합되며 제3안내롤러(623) 및 제4안내롤러(624)가 배치되는 제2브라켓(612)과; 샤프트축(613)이 삽입되되 샤프트축(613)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연결부시(6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른 하나의 수평안내판(140)은 이동체(630)에 구비된 제3안내롤러(623) 및 제4안내롤러(624)가 맞닿아 안내되는 것으로, 제3안내롤러(623) 및 제4안내롤러(624)는 후술하는 운반모듈(600)의 수평유지수단(610)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메인프레임(200)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작동수단(400)의 일부를 배치하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100)의 결합 및 분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메인프레임(200)은 구동수단(300)의 구동모터(310)가 배치되는 배치대와, 배치대의 하중 압력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가로보강대(220)와, 배치대와 가로보강대(220)가 각각 결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포스트(211)와, 상부포스트(211)와 맞대어지고 볼트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하부포스트(213)와, 상부포스트(211)와 하부포스트(213)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ㄷ’자 형태의 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0)은 후술하는 작동수단(400)의 구동모터(310)가 배치대에 배치되고, 상부포스트(211)의 상단에는 구동스프로킷(41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320)가 배치되고, 하부포스트(213)에는 종동스프로킷(4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포스트(211)와 하부포스트(213)는 볼트를 통해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벽체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이어서 가로보강대(220)와 고정프레임은 상부포스트(211)와 하부포스트(213)로 전달되는 하중 압력을 분산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을 하우징(100)에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부포스트(211)와 하부포스트(213)가 구동모터(310) 및 구동스프로킷(410), 종동스프로킷(430) 등이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0)에서 상부포스트(211)는 상부하우징에 배치되고 하부포스트(213)는 하부하우징에 배치됨으로써 하우징(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경우 상부포스트(211)와 하부포스트(213)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포스트를 연결함으로써 길이가 늘어난 하우징(100)에 대응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포스트(211)측에 배치된 구동모터(310)와 구동스프로킷(410), 그리고 하부포스트(213)측에 배치된 종동스프로킷(430)의 연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장력조절수단(500)은 메인프레임(200)의 세로보강대(210)를 따라 상하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축결된 종동스프로킷(430)을 함께 이동시키는 조절본체(510)와; 메인프레임(200)의 가로보강대(220)를 관통하여 조절본체(510)의 일측에 연장구비되는 조절스크류(520)와; 가로보강대(220)에 구비되어 조절스크류(520)를 회전 작동시켜 조절본체(510)를 승강 조절을 위해 체인 연결된 회전레버(5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수단(400)은 후술하는 운반모듈(600)을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구동모터(310) 배치대에 배치되는 구동모터(310)와, 구동모터(310), 감속기(320) 및 기어유닛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410)과, 구동스프로킷(410)과 이송체인(420)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는 종동스프로킷(430)을 포함하며, 여기서 구동모터(310)와 구동스프로킷(410) 사이에 배치되는 감속기 등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작동수단(400)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310)가 동작하면서 구동스프로킷(410)을 회전시키고 이에 맞물린 이송체인(420)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작동수단(400)은 수평 또는 수직 컨베이어 벨트 등과 같은 공지의 이송 수단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도시 및 동작 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 중 이송체인(420)은 후술하는 운반모듈(600)에 일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송체인(420)은 엔드리스 타입으로 이루어져 구동스프로킷(410)과 종동스프로킷(43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도면 중 일부 도시는 생략한 것이다.
운반모듈(600)은 작동수단(400)에 의해 이동하는 이송체인(420)이 일부가 결합되어 작동수단(400)이 동작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운반모듈(600)은 이송체인(420)이 결합되어 이송체인(42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되 하우징(100)의 안내부(130)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안내부(130)에 맞닿아 이동하는 이동롤러(631)와, 이동롤러(631)의 구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배치된 안내롤러유닛(620)이 구비된 이동체(630)와, 이동체(630)에 배치되며 대상물이 거치되는 운반포크(640)와, 이동체(630)가 안내부(130)를 따라 이동 중 곡선구간에서 회전시 운반포크(64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610)을 포함한다.
이동롤러(631)와 안내롤러유닛(620)은 각각 이동체(630)에 구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를 위해 이동체(630)는 한 쌍의 플레이트(632)를 포함하며, 이동롤러(631)는 한 쌍의 플레이트(632)에 다수 개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플레이트(632)에는 작동수단(400)을 구성하는 이송체인(420)이 결합하는 커플러(633)가 배치된다.
여기서 커플러(633)는 절곡된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은 플레이트(632)에 결합되고 타단은 이송체인(420)과 결합된다.
이러한 커플러(633)는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되어 이송체인(420)을 양측에서 결합함으로써 이송체인(420)의 이동에 따라 이동체(630)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플레이트(632)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 양단에 이동롤러(631)가 구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축(634)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운반포크(640)는 이동체(630)에 결합되어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체(630)와 샤프트축(613)을 통해 결합된 가로바(641)와, 가로바(6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대상물이 안치되는 다수 개의 핑거(64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운반포크(640)는 핑거(642)에 대상물이 안치되고 이동체(630)의 이동에 따라 대상물을 각 층으로 이송하며, 대상물이 배출되는 층에는 핑거(642)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치대에 대상물은 배치하고 핑거(642)는 통과하면서 대상물을 배출한다.
수평유지수단(610)은 이동체(630)가 상술한 안내부(13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 중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운반포크(64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평유지수단(610)은 일단이 운반포크(640)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축(613)과, 샤프트축(613)이 관통 삽입되며 한 쌍의 안내롤러유닛(620)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제1브라켓(611)과, 샤프트축(613)의 길이 방향 일단이 결합되며 한 쌍의 제3안내롤러(623) 및 제4안내롤러(624)가 배치된 제2브라켓(612)과, 샤프트축(613)이 삽입되되 샤프트축(613)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연결부시(614)를 포함한다.
샤프트축(61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단은 이동체(630)와 제1브라켓(611)을 통과한 후 제2브라켓(6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운반포크(640)를 구성하는 가로바(641)에 결합된다.
제1브라켓(611)은 이동체(63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샤프트축(613)이 관통 삽입되고 안내롤러유닛(620)이 상호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된다.
제2브라켓(612)은 제1브라켓(611)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샤프트축(613)이 일단이 결합되고, 제1브라켓(611)에 배치된 안내롤러유닛(62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3안내롤러(623) 및 제4안내롤러(624)가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다.
연결부시(614)는 샤프트축(613)이 삽입되며 샤프트축(613)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것으로, 한 쌍 중 하나는 가로바(641)에 고정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제2브라켓(612)에 고정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수평유지수단(610)은 이동체(630)가 상승 또는 하강 중 수평안내판(140)이 배치된 구간을 통과하면서 180°회전할 때 이동체(630)는 회전하나 운반포크(640)는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반포크(640)에 거치된 대상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면적 및 규모에 제한 없이 공간 활용을 최적화는 물론, 수화물의 중량 및 크기에 상관 없이 반출입이 가능하며, 반출입 과정에서 캐리어의 수평유지 및 유동방지를 통해 수화물 반출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하우징 110: 수용공간
120: 개구부 130: 안내부
140: 수평안내판 141: 제1판
141a: 제1안내라인 142: 제2판
142a: 제2안내라인 143: 제3판
143a: 제3안내라인 144: 제4판
144a: 제4안내라인 145: 이격핀
150: 수직안내판 160: 측면안내판
170: 곡면안내판 200: 메인프레임
210: 세로보강대 220: 가로보강대
300: 구동수단 310: 구동모터
320: 감속기 400: 작동수단
410: 구동스프로킷 420: 이송체인
430: 종동스프로킷 500: 장력조절수단
510: 조절본체 520: 조절스크류
530: 회전레버 600: 운반모듈
610: 수평유지수단 611: 제1브라켓
612: 제2브라켓 613: 샤프트축
614: 연결부시 620: 안내롤러유닛
621: 제1안내롤러 622: 제2안내롤러
623: 제3안내롤러 624: 제4안내롤러
630: 이동체 631: 이동롤러
640: 운반포크 A: 직선구간
B: 곡률구간 C: 이탈구간

Claims (6)

  1.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제공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110)과 연통된 개구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하기 운반모듈(600)을 안내하는 안내부(130)가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 배치되어 하기 구동수단(300)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00)과;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후방에 관통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300)과;
    상기 개구부(120)의 상측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수단(30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구동스프로킷(410)과, 상기 구동스프로킷(410)과 대향하는 상기 개구부(120)의 하측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스프로킷(410)과 이송체인(420)을 통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 작동하는 종동스프로킷(430)을 포함하는 작동수단(400)과;
    상기 이송체인(4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안내부(130)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내부(130)에 구름방식으로 접촉 이동하는 이동롤러(631)를 갖는 이동체(630)와, 상기 이동체(630)의 구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안내롤러유닛(620)과, 상기 이동체(630)의 전방에 배치되어 화물이 거치되는 운반포크(640)와, 상기 이동체(630)가 상기 안내부(130)를 따라 이동 중 곡선구간에서 회전시 상기 운반포크(64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610)을 포함한 운반모듈(600)과;
    상기 종동스프로킷(430)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체인(420)의 탈선을 방지하는 장력조절수단(500)을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수단(500)은,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세로보강대(210)를 따라 상하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어 축결된 상기 종동스프로킷(430)을 함께 이동시키는 조절본체(510)와;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가로보강대(220)를 관통하여 상기 조절본체(510)의 일측에 연장구비되는 조절스크류(520)와;
    상기 가로보강대(220)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스크류(520)를 회전 작동시켜 상기 조절본체(510)를 승강 조절을 위해 체인 연결된 회전레버(530)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가로보강대(220)에 쳐결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브라켓(181)을 통해 체결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바(180)가 더 구비되어 이동체(630)가 진선구간(A)을 통과할 때, 안쪽에 위치되는 제1안내롤러(621)가 직접 롤링 접촉되어 이동체(63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수단(610)은,
    일단이 상기 운반포크(640)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축(613)과;
    상기 샤프트축(613)이 관통 삽입되며 제1안내롤러(621) 및 제2안내롤러(622)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제1브라켓(611)과;
    상기 샤프트축(613)의 길이 방향 일단이 결합되며 제3안내롤러(623) 및 제4안내롤러(624)가 배치되는 제2브라켓(612)과;
    상기 샤프트축(613)이 삽입되되 샤프트축(613)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연결부시(61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30)는,
    상기 구동스프로킷(410)과 종동스프로킷(430)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수직안내판(150)과;
    상기 개구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측면안내판(160)과;
    상기 개구부(120)의 상단과 하단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곡면안내판(170)과;
    상기 수용공간(110)에 배치되어 상기 운반모듈(600)의 이동체(630)에 구비된 안내롤러유닛(620)을 안내하는 수평안내판(1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안내판(140)은,
    상기 이동체(630)에 구비된 안내롤러유닛(620)의 진입을 유도하는 직선구간(A)과;
    상기 구동스프로킷(410) 또는 종동스프로킷(430)의 회전곡률에 비례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곡률구간(B)과;
    상기 곡률구간(B)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롤러유닛(620)이 이탈하는 이탈구간(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6. 삭제
KR1020220108920A 2022-08-30 2022-08-30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KR102524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920A KR102524781B1 (ko) 2022-08-30 2022-08-30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920A KR102524781B1 (ko) 2022-08-30 2022-08-30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781B1 true KR102524781B1 (ko) 2023-04-24

Family

ID=8614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920A KR102524781B1 (ko) 2022-08-30 2022-08-30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7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69113A (zh) * 2023-09-13 2023-10-31 南通新丰威机械科技有限公司 不锈钢板加工用送料系统
CN117864653A (zh) * 2024-03-12 2024-04-12 泰州市中盛机电有限公司 基于铰接式可进行调节的薄膜放置架
CN117864653B (zh) * 2024-03-12 2024-05-31 泰州市中盛机电有限公司 基于铰接式可进行调节的薄膜放置架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82Y1 (ko) * 1988-11-02 1992-10-16 우에하라 아끼라 컨베이어 시스템
JP2007204210A (ja) * 2006-02-01 2007-08-16 Tsubakimoto Bulk Systems Corp 塵芥搬送用コンベヤ
KR101325468B1 (ko) 2012-09-13 2013-11-04 (주)덕평물류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KR20150141857A (ko) * 2014-06-10 2015-12-21 효원기계(주) 물품의 수직 상하 이송장치
KR102170663B1 (ko) * 2020-04-09 2020-10-27 (주)썬패치테크노 층간 이송용 리프트
KR102266514B1 (ko) * 2020-08-20 2021-06-18 (주)대한기전 리프트 장치
KR102381208B1 (ko) 2021-09-15 2022-04-01 주식회사 삼원팩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82Y1 (ko) * 1988-11-02 1992-10-16 우에하라 아끼라 컨베이어 시스템
JP2007204210A (ja) * 2006-02-01 2007-08-16 Tsubakimoto Bulk Systems Corp 塵芥搬送用コンベヤ
KR101325468B1 (ko) 2012-09-13 2013-11-04 (주)덕평물류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KR20150141857A (ko) * 2014-06-10 2015-12-21 효원기계(주) 물품의 수직 상하 이송장치
KR102170663B1 (ko) * 2020-04-09 2020-10-27 (주)썬패치테크노 층간 이송용 리프트
KR102266514B1 (ko) * 2020-08-20 2021-06-18 (주)대한기전 리프트 장치
KR102381208B1 (ko) 2021-09-15 2022-04-01 주식회사 삼원팩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69113A (zh) * 2023-09-13 2023-10-31 南通新丰威机械科技有限公司 不锈钢板加工用送料系统
CN117864653A (zh) * 2024-03-12 2024-04-12 泰州市中盛机电有限公司 基于铰接式可进行调节的薄膜放置架
CN117864653B (zh) * 2024-03-12 2024-05-31 泰州市中盛机电有限公司 基于铰接式可进行调节的薄膜放置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663B1 (ko) 층간 이송용 리프트
EP0717717B1 (en) Continuous vertical conveyor
JP6647528B2 (ja) 昇降装置
KR20140061242A (ko) 물품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수납 설비
KR102524781B1 (ko)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JP6052515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6183714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6179729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CN113830480B (zh) 物品转运装置和仓储系统
CN112607301A (zh) 一种移载输送装置
JP6061206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2016003071A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CN111017582A (zh) 一种装车码垛系统
CN109312572B (zh) 升降装置
CN1288399A (zh) 用于分拣邮件容器的发送系统和发送方法
JP6633964B2 (ja) 搬送システム
CN211768039U (zh) 仓储系统
US3586193A (en) Mechanical handling equipment
JP7045193B2 (ja) 昇降搬送装置
JP2020132281A (ja) 倉庫システム
TWI410364B (zh) 設有昇降機構之軌道行走台車
JP2002356205A (ja) 自動倉庫及びその移載装置
JP2017197306A (ja) 移載装置、並びに、搬送装置
JPH02255418A (ja) 連続昇降搬送装置および連続昇降搬送装置への搬送ボックス受渡し方法
JPH01181617A (ja) 昇降機との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