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208B1 -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208B1
KR102381208B1 KR1020210123068A KR20210123068A KR102381208B1 KR 102381208 B1 KR102381208 B1 KR 102381208B1 KR 1020210123068 A KR1020210123068 A KR 1020210123068A KR 20210123068 A KR20210123068 A KR 20210123068A KR 102381208 B1 KR102381208 B1 KR 102381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unit
roller conveyor
stop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기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팩
Priority to KR102021012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4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flat surfaces, e.g. platforms, grids,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9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for vertical or inclined conveyance
    • B65G2812/02752Elevator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이, 50Kg 고하중 물품 적재시, 제1 및 제2 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휘어지거나 무게중심을 못 잡아, 외부로 이탈되거나 쏠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가벼워서 자주 걸림현상과 낙하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과, 제1 및 제2 체인들의 곡선회전구간에서,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혀진 상태 그대로 수직이송이 어려워, 제1 및 제2 체인들의 곡선회전구간에 별도의 벨트컨베이어나 추가 이송수단을 구비해야 하므로, 설비자체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 그리고, 이송, 반송루틴이 자주 바뀌는 물류택배현장에 빠른 시간에 손쉽게 적용하기가 힘든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메인본체(100), 터치키입력부(200),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300),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400),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500)로 구성됨으로서,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에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 그대로 전달시킬 수 있어,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에 별도의 벨트컨베이어나 추가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 설비비용을 기존에 비해 40%이하로 저렴하게 낮출 수 있고, 체인의 탄력성과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를 통해, 쏠림현상이나 걸림현상없이 50Kg 고하중 물품인 "지 박스" , "종이 박스", "PE 박스"를 논스톱으로 1층에서 3층으로, 3층에서 1층으로, 그리고,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로, 층간 고속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어, 여러개의 플랫폼이 운전해 대기시간이 적고, 기존에 비해, 자동운전이 가능해 다른 라인과 연계한 연계성자동화를 80% 향상시킬 수 있으며,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이 하이브리드 방식,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로 구성됨으로서, 수직이송 루틴, 수직 반송 루틴을 층별(1층, 2층, 3층) 또는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 등 다양하게, 그리고, 현장분위기에 맞게 현장에서 바로 1:1 맞춤 설계할 수 있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Hybrid-type 50Kg heavy-duty goods non-stop automatic lifting device consisting of a non-stop vertical rotating chain module and a roller conveyor vertical elevating and lowering lift module}
본 발명에서는 물류, 택배 분야에 적용되어,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시키고, 체인부의 곡선회전구간부위를 지나도 50Kg 고하중 물품이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논스톱 이송시킨 후,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층상별로 자동으로 승하강되어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 그대로 전달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현장분위기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수직수평의 이송루틴과, 수직수평의 반송루틴을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시킬 수 있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물류, 택배 분야에서 많이 응용되어 설치되는 수직반송시스템은 수직 컨베이어로서, 수직방향의 반송 루트를 지닌 화물이나 물품전용 자동 반송기구로서, 수화부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갖춘 수직반송부와 수화부에 화물이나 물품을 자동으로 넣거나 빼는 반입출 구조를 갖춘 수평반송부로 구성된다.
또한, 화물이나 물품을 수직이송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방식과 사이드 그립(Side Grip) 방식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기존의 엘리베이터 방식의 경우에는 유지보수가 복잡하고, 국내에서 설치가 소량이고, 변경수정이 불가하며, 설치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입위치가 고정되어야 하고, 배출 방향에 따른 기구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사이드 그립(Side Grip) 방식의 경우에는 한번 설치되면, 변경수정이 불가하고, 반입위치가 고정되며, 이송물 규격이 변경시 이송이 잘 안되며, 빠른 이송이 불가하고, PE 박스 반입시 추가로 반송기를 부착해야 하여, 작업 중 정지시 슬라이드 그립구조로 되어 있어, 이송물품이 외부로 이탈되거나 낙하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25468호에서는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수화물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제1 및 제2 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제1 및 제2 체인 기어쌍, 로딩 틸딩 포크가 구성되어 있지만, 50Kg 고하중 물품 적재시, 제1 및 제2 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휘어지거나 무게중심을 못 잡아, 외부로 이탈되거나 쏠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이로 인해, 50Kg 고하중 물품 적재가 어려워 가벼운 5~10Kg 저하중 물품만을 적재해야 하므로, 활용도가 떨어지고, 가벼워서 자주 걸림현상과 낙하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 및 제2 체인들의 곡선회전구간에서,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혀진 상태 그대로 수직이송이 어려워, 제1 및 제2 체인들의 곡선회전구간에 별도의 벨트컨베이어나 추가 이송수단을 구비해야 하므로, 설비자체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1층, 2층, 3층에 물품을 수평방향의 벨트컨베이어로 이송시킬 때, 수동방식으로 일일이 1층에, 2층에 3층에 따로 수평방향의 벨트컨베이어를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 수직 이송루틴 및 수직 반송루틴 설계 및 설비구성이 복잡해지고, 무엇보다 이송, 반송루틴이 자주 바뀌는 물류택배현장에 빠른 시간에 손쉽게 적용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어, 층별로 벨트컨베이어가 자동화되어 설치되는 설비개발이 시급한 설정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325468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에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 그대로 전달시킬 수 있고, 체인의 탄력성과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를 통해, 쏠림현상이나 걸림현상없이 50Kg 고하중 물품인 "지 박스" , "종이 박스", "PE 박스"를 논스톱으로 1층에서 3층으로, 3층에서 1층으로, 그리고,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로, 층간 고속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으며, 수직이송 루틴, 수직 반송 루틴을 층별(1층, 2층, 3층) 또는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 등 다양하게, 그리고, 현장분위기에 맞게 현장에서 바로 1:1 맞춤 설계할 수 있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는
박스형상으로 모듈화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메인본체(100)와,
메인본체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선택하고,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칭역할을 수행하는 터치키입력부(200)와,
메인본체의 일측면에 위치되어,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 그대로 전달시키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300)과,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수직으로 승하강 직선운동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되면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로부터 전달된 50Kg 고하중 물품을 동일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자동이송시키는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400)과,
터치키입력부,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과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전인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면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모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컨베이어 수직승하강모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컨베이어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현장분위기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이송루틴, 반송루틴을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시키는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5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에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 그대로 전달시킬 수 있어,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에 별도의 벨트컨베이어나 추가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 설비비용을 기존에 비해 40%이하로 저렴하게 낮출 수 있다.
둘째, 체인의 탄력성과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를 통해, 쏠림현상이나 걸림현상없이 50Kg 고하중 물품인 "지 박스" , "종이 박스", "PE 박스"를 논스톱으로 1층에서 3층으로, 3층에서 1층으로, 그리고,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로, 층간 고속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어, 여러개의 플랫폼이 운전해 대기시간이 적고, 기존에 비해, 자동운전이 가능해 다른 라인과 연계한 연계성자동화를 80%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이 하이브리드 방식,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로 구성됨으로서, 수직이송 루틴, 수직 반송 루틴을 층별(1층, 2층, 3층) 또는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 등 다양하게, 그리고, 현장분위기에 맞게 현장에서 바로 1:1 맞춤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키입력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본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의 정면을 바라봤을때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의 후면을 바라봤을때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연결·회전몸체부가 체인부와 길이방향을 따라 상 1개,중 2개,하 1개의 4단 포인트 체결부가 볼트체결되어, 안전하게 지지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탄성롤러 안내레일홈(311)이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의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를 직선구간부위, 곡선회선구간부위를 따라 안내해주면서,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가 일측방향으로 쏠리거나 처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 리프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LM가이드로 이루어진 리프트레일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롤러컨베이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의 포크크기가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부와 롤러부 사이의 간격크기보다 0.2배~0.8배로 형성되어,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와, 이웃하는 또 다른 롤러 사이를 수직통과하기 전 모습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부의 포크크기가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부와 롤러부 사이의 간격크기보다 0.2배~0.8배로 형성되어,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와, 이웃하는 또 다른 롤러 사이를 수직통과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연결·회전몸체부와 포크부 사이가 축연결되어, 무게가 무거운 체인연결·회전몸체부가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포크부가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그대로를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에 50Kg 고하중 물품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체인부의 곡선회전구간부위 진입하는 곳에서,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그대로를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에 50Kg 고하중 물품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체인부의 곡선회전구간부위에서,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그대로를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2층에 위치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1층에 위치하여, 일측방향의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와 연결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Z"타입 이송반송루틴모드가 구동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C"타입 이송반송루틴모드가 구동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먼저, 본 발명에서는 설명되는 1층, 2층, 3층은 물류택배설비공간에서 적용되는 층을 말하고, 1층과 2층사이의 높이는 3830mm이고, 2층과 3층사이의 높이는 3700mm이며, 3층에서 지붕(Roof)까지의 높이는 4900mm로 설정된다.
또한, 논스톱(Non Stop)의 의미는 기울림없이,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를 연속적으로 지나, 1층에서 3층으로 수직 이송, 또는 3층에서 1층으로 수직 승하강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루틴, 반송루틴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50Kg 고하중 물품이라는 것은 1Kg~50Kg의 화물 또는 물품인 "지 박스", "종이박스", "PE 박스"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메인본체(100), 터치키입력부(200),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300),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400),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5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본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본체(100)는 박스형상으로 모듈화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300)이 직립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일측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400)이 직립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일측에 터치키입력부(200)가 형성되고, 그 터치키입력부 일측에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500)가 형성되며, 상단면 일측에 부저알람부가 형성되고, 후단면 일측에 전원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전원부는 일예로, 입력전원이 AC380이고, 3P, 60Hz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은 메인본체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이 각각 분리되는 분리형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키입력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터치키입력부(200)는 메인본체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선택하고,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칭역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터치스크린화면상에서 터치로 키입력하는 터치키입력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조작버튼(210), 알람해제버튼(220), 자동선택버튼(230), 수동선택버튼(240), 시작버튼(250), 정지버튼(260), 자동모드버튼(270), 수동모드버튼(280), 정지버튼(290),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역회전버튼(290a),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정회전버튼(290b),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정회전버튼(290c),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역회전버튼(290d),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 상승버튼(290e),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 하강버튼(290f), 메인화면버튼(290g), 수동조작버튼(290h), I/O모니터버튼(290i), 알람목록버튼(290j), 인버터설정버튼(290k), 긴급(EMERGENCY) 버튼(290l)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300)은 메인본체의 일측면에 위치되어,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 그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모듈본체(310), 체인구동모터(320), 체인회전구동부(330), 체인부(340),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35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체인모듈본체(3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체인모듈본체(310)는 직립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면 일측에 체인구동모터(320)가 형성되고, 그 체인 구동모터의 일측 일측에 체인회전구동부(330)가 형성되며, 체인회전구동부를 기준으로 타원형상의 체인부(340)가 형성되고, 체인부 일측에 복수개의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350)가 볼트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체인모듈본체의 전단면 일측에 체인부와 동일형상의 타원형상을 갖는 X자형 탄성롤러 안내레일홈(311)이 형성된다.
여기서, X자형 탄성롤러 안내레일홈(311)은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의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가 안내레일홈의 직선구간부위, 곡선회선구간부위를 따라 안전하게 지나가도록 안내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의 포크부가 기울림없이, 체인부를 따라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체인구동모터(3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체인구동모터(320)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체인회전구동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AC모터로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체인회전구동부(3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체인회전구동부(330)는 체인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체인을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기어(331), 구동기어(332), 종동기어(333)로 구성된다.
상기 축기어(331)는 체인구동모터의 회전축상에 위치되어, 체인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기어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기어(332)는 축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시키고, 토오크를 올려 체인을 상단방향에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동기어(333)는 구동기어를 기준으로 동일선상의 하단방향에 위치되어, 체인을 탄력성있게 지지해주면서, 구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체인을 하단방향에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체인부(3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체인부(340)는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위치되어, 기어이 맞춤결합되면서, 구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볼트체결된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금속으로 된 사슬로서, 아웃터 플레이트(341), 이너 플레이트(342), 핀(343), 부싱(343), 롤러(345)로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터플레이트(341)와 이웃하는 또 다른 아웃터플레이트(341) 사이에 이너 플레이트(342)가 형성되고, 이너플레이트에 두개의 부싱홈(342a)이 형성되고, 두개의 부싱홈에 부싱(343)이 끼워져 삽입되고, 그 부싱(343)에 롤러(345)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아웃터플레이트(341)의 내부표면에 핀삽입홈(341a)이 형성되고, 그 핀삽입홈(341a)에 핀(343)이 삽입되어 형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3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350)는 체인부와 볼트체결되고, 전면이 복수개의 포크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연결·회전몸체부(351),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352), 포크부(353)로 구성된다.
상기 체인연결·회전몸체부(351)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체인부에 체결되고,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에 의해 회전되면서, 포크부에 얹어지는 50Kg 고하중 물품이 흔들리거나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형성시키는 무게추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체인연결·회전몸체부과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의 무게는 50Kg로 생성된다. 그리고, 체인연결·회전몸체부과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의 무게비율은 1:1.4~1.6 비율로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의 무게가 체인연결·회전몸체부의 무게가 더 무겁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체인부의 곡선회전구간부위에서 중력에 힘에 의해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면,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가 체인연결·회전몸체부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의 회전관성에 따라 체인연결·회전몸체 또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체인연결·회전몸체부과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의 무게추가 50Kg로 생성되어 체인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포크부에 물품이 얹어지지 않더라도, 체인부를 기준으로 포크부에 비해 무게가 무거운 체인연결·회전몸체부과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쪽으로 무게중심이 쏠리거나 처지지 않는 이유는 첫째, 체인부가 탄성력있게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에 기어이맞춤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이고, 둘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연결·회전몸체부가 체인부와 길이방향을 따라 상 1개,중 2개,하 1개의 4단 포인트 체결부가 볼트체결되어, 안전하게 지지해주기 때문이며, 셋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자형 탄성롤러 안내레일홈(311)이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의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를 직선구간부위, 곡선회선구간부위를 따라 안내해주면서,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가 일측방향으로 쏠리거나 처지지 않도록 지지해주기 때문이다.
상기 체인연결·회전몸체부(351)는 박스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전면방향에 세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부가 안내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4단 포인트 체결부(351a)가 형성된다. 여기서, 4단 포인트 체결부(351a)는 체인부와 길이방향을 따라 상 1개,중 2개,하 1개로 이루어진 볼트가 4단 포인트로 체결된다.
후단면 일측에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가 일체형으로 연결형성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부를 따라 이송되는 체인연결·회전몸체부가, 체인부의 곡선회전구간지점에 왔을 때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가 X자형 탄성롤러 안내레일홈을 타고 지나가다가 중력의 힘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되는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체인연결·회전몸체부 또한 회전된다. 이때, 체인연결·회전몸체부에 연결된 포크부는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그대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연결·회전몸체부와 포크부 사이가 축연결되어, 무게가 무거운 체인연결·회전몸체부가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포크부는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그대로를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50Kg 고하중 물품이 포크부에 얹어지더라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그대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352)는 체인연결·회전몸체부의 후단 일측에 "X"자형으로 형성되어, 체인부의 곡선회전구간지점에서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가 X자형 탄성롤러 안내레일홈을 타고 지나가다가 중력에 힘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체인연결·회전몸체부를 포크부를 기준으로 곡선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탄성롤러(352a), 제2 탄성롤러(352b), 제3 탄성롤러(352c), 제4 탄성롤러(352d)로 이루어지고, "X"자형상으로 탄력성있게 결합된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제1 탄성롤러(352a), 제2 탄성롤러(352b), 제3 탄성롤러(352c), 제4 탄성롤러(352d)가 "X"자형상으로 유지한 채 그대로 있다가, 체인부의 곡선회전구간지점에 왔을 때, 제1 탄성롤러(352a), 제2 탄성롤러(352b), 제3 탄성롤러(352c), 제4 탄성롤러(352d) 중 어느 하나가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가 X자형 탄성롤러 안내레일홈을 타고 지나가다가 중력에 힘에 의해, 탄력성있게 결합된 제1 탄성롤러(352a), 제2 탄성롤러(352b), 제3 탄성롤러(352c), 제4 탄성롤러(352d) 중 어느 하나쪽으로 무게가 쏠리면서, 회전관성이 생기고, 이때, 일체형으로 형성된 체인연결·회전몸체부에도 회전관성이 생겨, 포크부를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포크부(353)는 체인연결·회전몸체부의 전면 일측에 축연결되고, 복수개의 포크형상으로 형성되어, 50Kg 고하중 물품이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혀지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복수개의 포크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포크크기는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부와 롤러부 사이의 간격크기보다 0.2배~0.8배로 형성되어,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와, 이웃하는 또 다른 롤러 사이를 수직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즉, 포크부에 얹혀진 50Kg 고하중 물품이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얹혀지면서 이송시키고, 포크부 자체는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와, 이웃하는 또 다른 롤러 사이를 수직통과하여, 또 다른 50Kg 고하중 물품이 얹혀지도록 대기할 수 있고, 체인부를 따라 충돌이나 걸림현상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을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 포크부는 표면 일측에 50Kg 고하중 물품이 적재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일예로, 포크부가 6개가 있다면, 6개의 감지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처럼, 체인연결·회전몸체부(351), "X"자형 브라켓회전 탄성롤러부(352), 포크부(353)로 이루어진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350)가 구성됨으로서,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체인부의 곡선회전구간부위에서,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전달시킬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400)은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수직으로 승하강 직선운동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되면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로부터 전달된 50Kg 고하중 물품을 동일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자동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모듈본체(410),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리프트부(420), 에어탱크부(430), 층별위치포토센서부(440), 자동롤러컨베이어부(45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모듈본체(4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리프트모듈본체(410)는 직립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1층, 2층, 3층의 층별구조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의 수직방향에 두개의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리프트부가 형성되며,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리프트부 일측에 에어탱크부가 형성되며, 각 층별 일측에 층별위치포토센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리프트부의 일측에 자동롤러컨베이어부가 형성된다.
또한, 전단면 일측에 리프트레일부를 안내하는 일자형상의 리프트레일안내홈(411)이 형성된다.
여기서, 리프트레일안내홈(41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윈구조로 형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 리프트부(4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 리프트부(420)는 에어탱크부로부터 에어의 힘을 전달받아 에어실린더의 원리를 통해, 자동롤러컨베이어부를 수직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레일부(421), 에어실린더부(422)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레일부(421)는 두개가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지고,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에어실린더부에 연결된 자동롤러컨베이어부가 수직승하강되도록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LM가이드(421a)로 구성된다.
그리고, LM가이드(421a)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레일(421a-1)과, 몸체블럭(421a-2)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레일은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몸체블럭은 그 리프트레일을 따라 수직 승하강된다.
이때, 몸체블럭상에는 에어실린더부의 에어실린더봉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에어실린더부의 에어실린더봉이 에어의 힘을 전달받아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면, LM가이드의 몸체블럭 또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된다.
상기 에어실린더부(422)는 에어탱크로부터 에어의 힘을 전달받아, 에어의 힘으로 층별위치포토센서부에 위치한 곳에 자동롤러컨베이어부를 정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에어실린더헤드(422a)와 에어실린더봉(422b)으로 구성된다.
즉, 에어실린더봉(422b)에 LM가이드의 몸체블럭을 연결시키는 브라켓연결부재가 형성되고, 그 LM가이드의 몸체블럭에 연결된 브라켓연결부(422b-1)를 에어의 힘으로 수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시킨다.
그리고, 에어실린더헤드는 에어탱크부로부터 전달되는 압축공기인 에어의 힘을 에어실린더봉으로 전달시킨다.
여기서, 압축공기(pneumatic)로서, 메인에어(Main Air)가 5~7kg/cm2이고, 컨트롤에어(Control Air)가 5.5kg/cm2인 특성을 가진다.
이로 인해, 층별위치포토센서부에 위치한 곳에 정밀제어하여 정위치시킬 수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에어탱크부(4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에어탱크부(430)는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 리프트부에 에어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층별위치포토센서부(4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층별위치포토센서부(4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모듈본체의 1층, 2층, 3층의 각 층별에 위치되어, 층별위치를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현장지능형 PLC컨트롤러부의 입력부 일측에 연결되어, 현장지능형 PLC컨트롤러부의 입력부쪽으로 층별위치센싱신호를 전달시킨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자동롤러컨베이어부(4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자동롤러컨베이어부(450)는 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로부터 전달된 50Kg 고하중 물품을 동일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자동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지지대(451), 롤러컨베이어(452), 롤러구동모터(453), 롤러체인부(454), 물품감지센서(455)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지지대(451)는 롤러컨베이어, 롤러구동모터, 롤러체인부, 물품감지센서부를 하단방향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452)는 롤러체인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으로 회전되면서, 50Kg 고하중 물품을 동일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자동이송시킨다.
이는 복수개의 롤러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구동모터(453)는 회전력을 생성시켜 롤러체인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체인부(454)는 롤러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롤러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품감지센서(455)는 롤러컨베이어의 선단일측에 위치되어, 50Kg 고하중 물품이 롤러컨베이어 상에 얹어졌음을 감지하는 센싱역할을 한다.
이는 현장지능형 PLC컨트롤러부의 입력부 일측에 연결되어, 현장지능형 PLC컨트롤러부의 입력부쪽으로 물품감지센싱신호를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500)는 터치키입력부,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과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전인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면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모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컨베이어 수직승하강모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컨베이어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현장분위기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이송루틴, 반송루틴을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510), 메모리부(520), 마이크로프로세서부(530), 출력부(54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5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입력부(510)는 터치키입력부의 터치키입력신호, 50Kg 고하중 물품 적재감지센싱신호, 롤러컨베이어 상에 50Kg 고하중 물품이 얹어졌음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싱신호,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층별위치를 센싱시키는 층별위치센싱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연산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부(5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모리부(520)는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에 관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부(5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530)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해독하여 연산시킨 후, 출력부쪽으로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시켜, 현장분위기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수직수평의 이송루틴과, 수직수평의 반송루틴을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현장분위기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이송루틴, 반송루틴을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시킨다는 것은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모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컨베이어 수직승하강모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컨베이어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즉,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 일측에 터치키입력부가 연결되어, 터치키입력부를 통해 각 기기의 구동을 선택하고,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는터치키입력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1 감지센서가 연결되어, 롤러컨베이어 상에 50Kg 고하중 물품이 얹어졌음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싱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물품감지센서가 연결되어, 롤러컨베이어 상에 50Kg 고하중 물품이 얹어졌음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층별위치포토센서부가 연결되어,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층별위치를 센싱시키는 층별위치센싱신호가 입력되며, 출력단자 일측에 출력부에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체인구동모터(320)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생성시켜 체인회전구동부로 전달시키도록 출력부를 통해 체인구동모터쪽으로 체인구동모터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에어탱크부(430)가 연결되어,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 리프트부에 에어의 힘을 전달시키도록 출력부를 통해 에어탱크부쪽으로 에어탱크부구동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에어실린더부(422)가 연결되어, 에어탱크부로부터 에어의 힘을 전달받아 층별위치포토센서부에 위치한 곳에 자동롤러컨베이어부를 정위치시키도록 출력부를 통해 에어실린더부쪽으로 에어실린더부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구동모터(453)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생성시켜 롤러체인부로 전달시키도록 출력부를 통해 롤러구동모터쪽으로 롤러구동모터구동신호를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530)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모드부(531), 롤러컨베이어 수직승하강모드부(532), 롤러컨베이어구동모드부(533), "Z"타입 이송반송루틴모드부(534), "C"타입 이송반송루틴모드부(535), 브레이크모드부(536)로 구성된다.
상기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모드부(531)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을 구동시켜,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 그대로 전달시키도록 구동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롤러컨베이어 수직승하강모드부(532)는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수직으로 승하강 직선운동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롤러컨베이어구동모드부(533)는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로부터 전달된 50Kg 고하중 물품을 동일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자동이송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Z"타입 이송반송루틴모드부(534)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메인본체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50Kg 고하중 물품을 좌측상단에서 적재해서 진입시킨 후, 수직하강시켜 우측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Z"타입형상의 이송반송루틴을 생성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C"타입 이송반송루틴모드부(535)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메인본체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50Kg 고하중 물품을 좌측상단에서 적재해서 진입시킨 후, 수직하강시켜 좌측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C"타입형상의 이송반송루틴을 생성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브레이크모드부(536)는 인터록(물품걸림현상)이 발생되거나,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에 적재된 50Kg 고하중 물품이 이탈되거나 낙하되었음을 감지하면, 각 기기의 구동을 멈추고, 부저알람부쪽으로 부저알람을 발생시켜 관리자에게 알리는 모드이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5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출력부(540)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과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제어하에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순차적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출력부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체인구동모터(320)가 연결되고,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에어탱크부(430), 에어실린더부(422), 롤러구동모터(453)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자동모드]
먼저, 터치키입력부를 통해, 전원을 구동시키고, 자동모드를 선택시킨다.
다음으로,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을 구동시켜,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구동시킨다.
이는 걸림현상없이 50Kg 고하중 물품인 "지 박스" , "종이 박스", "PE 박스"를 논스톱으로 1층에서 3층으로, 3층에서 1층으로, 그리고,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로, 층간 고속 이동 및 배출시킨다.
다음으로,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수직으로 승하강 직선운동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시킨다.
끝으로,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로부터 전달된 50Kg 고하중 물품을 전달받아, 자동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자동이송시킨다.
["Z"타입 이송반송루틴모드]
먼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메인본체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상단 일측에 50Kg 고하중 물품을 공급시키는 공급컨베이어를 위치시키고,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메인본체의 우측 하단 일측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을 구동시켜, 50Kg 고하중 물품을 공급시키는 공급컨베이어로부터 50Kg 고하중 물품을 공급받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구동시킨다.
이는 걸림현상없이 50Kg 고하중 물품인 "지 박스" , "종이 박스", "PE 박스"를 논스톱으로 1층에서 3층으로, 3층에서 1층으로, 그리고,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로, 층간 고속 이동 및 배출시킨다.
다음으로,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수직으로 승하강 직선운동하면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메인본체의 우측 하단 일측에 위치시킨다.
끝으로,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로부터 전달된 50Kg 고하중 물품을 전달받아 동일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자동이송시킨다.
["C"타입 이송반송루틴모드]
먼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메인본체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상단 일측에 50Kg 고하중 물품을 공급시키는 공급컨베이어를 위치시키고,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메인본체의 좌측 하단 일측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을 구동시켜, 50Kg 고하중 물품을 공급시키는 공급컨베이어로부터 50Kg 고하중 물품을 공급받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구동시킨다.
이는 걸림현상없이 50Kg 고하중 물품인 "지 박스" , "종이 박스", "PE 박스"를 논스톱으로 1층에서 3층으로, 3층에서 1층으로, 그리고,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로, 층간 고속 이동 및 배출시킨다.
다음으로,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수직으로 승하강 직선운동하면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메인본체의 좌측 하단 일측에 위치시킨다.
끝으로,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의 제어하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로부터 전달된 50Kg 고하중 물품을 전달받아 동일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자동이송시킨다.
이러한 동작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이 하이브리드 방식,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로 구성됨으로서, 수직이송 루틴, 수직 반송 루틴을 층별(1층, 2층, 3층) 또는 체인의 곡선회전구간부위 등 다양하게, 그리고, 현장분위기에 맞게 현장에서 바로 1:1 맞춤 설계할 수 있다.
1 :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100 : 메인본체
200 : 터치키입력부
300 :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310 : 체인모듈본체
320 : 체인구동모터
330 : 체인회전구동부
340 : 체인부
350 :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
400 :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
410 : 리프트모듈본체
420 :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리프트부
430 : 에어탱크부
440 : 층별위치포토센서부
450 : 자동롤러컨베이어부
500 :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

Claims (9)

  1. 박스형상으로 모듈화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메인본체(100)와,
    메인본체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각 기기의 구동을 선택하고,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칭역할을 수행하는 터치키입력부(200)와,
    메인본체의 일측면에 위치되어,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 그대로 전달시키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300)과,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수직으로 승하강 직선운동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되면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로부터 전달된 50Kg 고하중 물품을 동일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자동이송시키는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400)과,
    터치키입력부,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과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전인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면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모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컨베이어 수직승하강모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컨베이어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현장분위기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이송루틴, 반송루틴을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시키는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500)로 구성되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장지능형 PLC 컨트롤러부(500)는
    터치키입력부의 터치키입력신호, 50Kg 고하중 물품 적재감지센싱신호, 롤러컨베이어 상에 50Kg 고하중 물품이 얹어졌음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싱신호,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층별위치를 센싱시키는 층별위치센싱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연산부로 전달시키는 입력부(510)와,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에 관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메모리부(520)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해독하여 연산시킨 후, 출력부쪽으로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시켜, 현장분위기에 맞게 1:1 맞춤형으로 수직수평의 이송루틴과, 수직수평의 반송루틴을 순차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530)와,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과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제어하에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순차적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부(5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530)는
    입력단자 일측에 터치키입력부가 연결되어, 터치키입력부를 통해 각 기기의 구동을 선택하고,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는터치키입력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1 감지센서가 연결되어, 롤러컨베이어 상에 50Kg 고하중 물품이 얹어졌음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싱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물품감지센서가 연결되어, 롤러컨베이어 상에 50Kg 고하중 물품이 얹어졌음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층별위치포토센서부가 연결되어,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층별위치를 센싱시키는 층별위치센싱신호가 입력되며, 출력단자 일측에 출력부에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의 체인구동모터(320)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생성시켜 체인회전구동부로 전달시키도록 출력부를 통해 체인구동모터쪽으로 체인구동모터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에어탱크부(430)가 연결되어, 에어실린더형 수직승하강 리프트부에 에어의 힘을 전달시키도록 출력부를 통해 에어탱크부쪽으로 에어탱크부구동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에어실린더부(422)가 연결되어, 에어탱크부로부터 에어의 힘을 전달받아 층별위치포토센서부에 위치한 곳에 자동롤러컨베이어부를 정위치시키도록 출력부를 통해 에어실린더부쪽으로 에어실린더부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의 롤러구동모터(453)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생성시켜 롤러체인부로 전달시키도록 출력부를 통해 롤러구동모터쪽으로 롤러구동모터구동신호를 출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530)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을 구동시켜, 50Kg 고하중 물품을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에서, 기울림없이, 논스톱 수직의 승하강 이송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한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쪽으로 50Kg 고하중 물품을 기울림없이, 수평방향으로 얹힌 상태 그대로 전달시키도록 구동시키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모드부(531)와,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수직으로 승하강 직선운동하면서 특정 위치의 층간에 위치시키는 롤러컨베이어 수직승하강모드부(532)와,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로부터 전달된 50Kg 고하중 물품을 동일선상에 위치한 또 다른 이송컨베이어쪽으로 자동이송시키는 롤러컨베이어구동모드부(533)와,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메인본체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50Kg 고하중 물품을 좌측상단에서 적재해서 진입시킨 후, 수직하강시켜 우측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Z"타입형상의 이송반송루틴을 생성시키는 "Z"타입 이송반송루틴모드부(534)와,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을 구동시켜, 메인본체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50Kg 고하중 물품을 좌측상단에서 적재해서 진입시킨 후, 수직하강시켜 좌측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C"타입형상의 이송반송루틴을 생성시키는 "C"타입 이송반송루틴모드부(535)와,
    인터록(물품걸림현상)이 발생되거나, 무(無)기울림형 고하중물품포크부에 적재된 50Kg 고하중 물품이 이탈되거나 낙하되었음을 감지하면, 각 기기의 구동을 멈추고, 부저알람부쪽으로 부저알람을 발생시켜 관리자에게 알리는 브레이크모드부(5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KR1020210123068A 2021-09-15 2021-09-15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KR10238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068A KR102381208B1 (ko) 2021-09-15 2021-09-15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068A KR102381208B1 (ko) 2021-09-15 2021-09-15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208B1 true KR102381208B1 (ko) 2022-04-01

Family

ID=8118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068A KR102381208B1 (ko) 2021-09-15 2021-09-15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781B1 (ko) 2022-08-30 2023-04-24 주식회사 토모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3330A (ja) * 1984-01-17 1985-08-12 Tsutomu Komiyama 長尺棒状又は長尺板状の木材等の自動整列積み重ね装置
JPH0228417A (ja) * 1988-07-19 1990-01-30 Tokyo Shokai:Kk 注射アンプル自動供給装置における垂直方向搬送及びセット装置
JPH07144714A (ja) * 1993-11-25 1995-06-06 Murata Mach Ltd スタッカクレーンの昇降制御装置
JP2002104641A (ja) * 2000-10-02 2002-04-10 Murata Mach Ltd 搬送システム
KR20070107977A (ko) * 2006-05-04 2007-11-08 주식회사 로테코 팔레트 이송용 컨베이어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25468B1 (ko) 2012-09-13 2013-11-04 (주)덕평물류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KR102170663B1 (ko) * 2020-04-09 2020-10-27 (주)썬패치테크노 층간 이송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3330A (ja) * 1984-01-17 1985-08-12 Tsutomu Komiyama 長尺棒状又は長尺板状の木材等の自動整列積み重ね装置
JPH0228417A (ja) * 1988-07-19 1990-01-30 Tokyo Shokai:Kk 注射アンプル自動供給装置における垂直方向搬送及びセット装置
JPH07144714A (ja) * 1993-11-25 1995-06-06 Murata Mach Ltd スタッカクレーンの昇降制御装置
JP2002104641A (ja) * 2000-10-02 2002-04-10 Murata Mach Ltd 搬送システム
KR20070107977A (ko) * 2006-05-04 2007-11-08 주식회사 로테코 팔레트 이송용 컨베이어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25468B1 (ko) 2012-09-13 2013-11-04 (주)덕평물류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KR102170663B1 (ko) * 2020-04-09 2020-10-27 (주)썬패치테크노 층간 이송용 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781B1 (ko) 2022-08-30 2023-04-24 주식회사 토모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22203A1 (zh) 转运装置、机器人、分拣系统及分拣方法
US10597237B2 (en)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CN210735213U (zh) 一种辊道式输送机
KR101993402B1 (ko) 자동 창고 및 현수식(懸垂式) 스태커 크레인
CN101641270A (zh) 三维自动拣选模块
KR102381208B1 (ko)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CN105083902A (zh) 一种适用于楼板布置的贴地式辊道输送机构
CN113071877A (zh) 连续型行李托盘提升装置、行李托盘及提升控制方法
JP2009120317A (ja) 自動倉庫
JP6633964B2 (ja) 搬送システム
JP2008156122A (ja) 搬送台車の走行制御方法
KR20020092780A (ko) 주차기, 주차장치 및 주차방법
CN109264553B (zh) 一种能够自动装卸货的货梯
CN108163679A (zh) 一种重型垂直升降平面输送往复循环一体机
JP2020132281A (ja) 倉庫システム
JP3483016B2 (ja) 物品保管装置
CN114604631B (zh) 一种新型托盘整理工作站及其整理工艺
JPH01181617A (ja) 昇降機との移載装置
CN215100414U (zh) 一种兼容准时化和存储模式汽车座椅发货平台
JPH07115725B2 (ja) 物品搬送システム
US11673779B2 (en) Carrier and mobile lifting conveyor containing the same
CN220950021U (zh) 一种托盘输送缓存设备
CN220502040U (zh) 一种用于托盘的落地式拆盘码盘机
CN220244386U (zh) 一种条块货物存储设备
JP4378640B2 (ja) 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