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468B1 -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468B1
KR101325468B1 KR1020120101826A KR20120101826A KR101325468B1 KR 101325468 B1 KR101325468 B1 KR 101325468B1 KR 1020120101826 A KR1020120101826 A KR 1020120101826A KR 20120101826 A KR20120101826 A KR 20120101826A KR 101325468 B1 KR101325468 B1 KR 101325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tilding
loading
base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경
손병석
Original Assignee
(주)덕평물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평물류 filed Critical (주)덕평물류
Priority to KR102012010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468B1/ko
Priority to PCT/KR2013/007158 priority patent/WO20140423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B65G1/12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the circuit being confined in a 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paternost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69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chain, pinion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화물을 수직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직 반송기 및 수직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직 반송기는 수화물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높이 차를 가지도록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인들 각각을 구동하여 상기 캐리어를 순환시키는 제1 및 제2 체인 기어 쌍들을 포함한다. 수직 반송기 및 수직 반송 시스템은 수화물이 작업층수에 제한없이 자유자재로 반입/반출될 수 있도록 하여 운행중인 수직 반송기의 대해서도 물품의 적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물품의 원활한 이송에 따른 작업능률이 향상 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VERTICAL CONVEYOR AND VERTICAL CONVEYOR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화물을 수직으로 이송시키는 수직 반송기 및 수직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물의 수직 반송은 종래에는 에스컬레이터를 사용하여 물품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이용은 엘리베이터의 왕복 운동 중 일 방향에서만 물품을 이송하고, 수화물의 하역시 엘리베이터를 정지하는 등 물품의 대량이송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경사 에스컬레이터의 이용은 연속적인 이송은 가능하나 경사 설치에 따른 설치면적, 적재 물품의 크기의 제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등록특허 20120043183호는 실질적인 수직 확장 프레임을 포함하고 첫번째 컨베이어에서 두 번째 컨베이어로 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무한 드라이브는 모터에 의해 프레임과 운행에 배치되고, 끝없는 드라이브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는 끊임없는 드라이브에 의해 순환 운행됩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1-0091447호는 반송대상 물품의 반입 또는 반출을 다른 높이의 복수의 작업층에서 수행할 수 있는 수직 반송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수직 반송장치는, 프레임에 장작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2쌍의 구동 스프라켓; 상기 2쌍의 구동 스프라켓에 의해 일방향으로 안내되는 한 쌍의 제1 롤러 체인 및 한 쌍의 제2 롤러 체인; 상기 한 쌍의 제1 및 롤러 체인 한 쌍의 제2 롤러 체인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복수의 몰러(moller)가 장착되는 복수의 팰릿(pallet); 상기 복수의 팰릿에 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류공급수단; 및 상기 전류공급수단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수직 반송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미국등록특허 20120043183호 한국등록특허 제10-0091447 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화물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양단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체인들을 통하여 캐리어를 순환시키는 제1 및 제2 체인 기어 쌍들을 포함하는 수직 반송기 및 수직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화물을 로딩하는 로딩 틸딩 포크와 수화물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틸딩 포크를 통과하는 틸딩 포크 홈을 포함하는 베이스가 특징인 캐리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기 및 수직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화물을 로딩하는 로딩 틸딩 포크, 상기 로딩된 수화물을 수직으로 이송하는 수직 반송기 및 상기 이송된 수화물을 언로딩하고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다른 수직 층에 배치되는 언로딩 틸딩 포크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기 및 수직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수직 반송기는 수화물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높이 차를 가지도록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인들 각각을 구동하여 상기 캐리어를 순환시키는 제1 및 제2 체인 기어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체인들 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인 기어들을 지지하는 체인 기어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체인들 각각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화물을 로딩하는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수화물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틸딩 포크를 통과하는 틸딩 포크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언로딩 틸딩 포크는 동일 연장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서브-베이스들 및 상기 복수의 서브-베이스들 간을 엇갈리게 결합하는 서브-베이스 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3 서브-베이스들; 상기 제1 및 제2 서브-베이스들을 엇갈리게 연결하는 제1 서브-베이스 연결부; 및 상기 제2 및 제3 서브-베이스들을 엇갈리게 연결하는 제2 서브-베이스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베이스 연결부들은 상기 제2 서브-베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수화물을 로딩하는 로딩 틸딩 포크, 상기 로딩된 수화물을 수직으로 이송하는 수직 반송기 및 상기 이송된 수화물을 언로딩하고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다른 수직 층에 배치되는 언로딩 틸딩 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반송기는 상기 수화물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높이 차를 가지도록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인들 각각을 구동하여 상기 캐리어를 순환시키는 제1 및 제2 체인 기어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반송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화물을 상기 수직 반송기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화물을 로딩하는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수화물을 언로딩 틸딩 포크를 통과하는 틸딩 포크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언로딩 틸딩 포크는 동일 연장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언로딩 틸딩 포크는 상기 캐리어에 상기 수화물을 로딩하거나 또는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수화물을 언로딩할 때 회전을 통해 상기 수화물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언로딩 틸딩 포크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과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인의 회전을 통해 상기 수화물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반송기 및 수직 반송 시스템은 수화물이 작업층수에 제한없이 자유자재로 반입/반출될 수 있도록 하며, 운행중인 수직 반송기의 대해서도 물품의 적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물품의 원활한 이송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반송기 및 수직 반송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수화물(예를 들어, 박스 또는 파렛트 화물)을 하역할 수 있어 수직 반송기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반송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수직 반송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는 도 2에 있는 수직 반송기의 캐리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캐리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틸딩 포크의 상태도이며, 도6은 도 3에 있는 캐리어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반송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직 반송 시스템(100)은 수직 반송기(110), 로딩 틸딩 포크(120) 및 언로딩 틸딩 포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반송기(110)는 수화물을 한 층에서 다른 층으로 수직으로 이송시킬 수 있고, 다른 장치(예를 들어, 수평 반송기)와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화물은 같은 층에서 수평 반송기(미도시됨)를 통해 수직 반송기(110) 인근까지 이동할 수 있고, 수직 반송기(110)를 통해 현재 층에서 다른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딩 틸딩 포크(120) 는 수직 반송기(110) 인근에 위치된 수화물을 수직 반송기(110)에 적재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수직 반송기(110)의 회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 방향은 상승하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언 로딩 틸딩 포크(130)는 수직 반송기(110)에 적재된 수화물을 수직 반송기(110)에서 내릴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수직 반송기(110)의 회전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 방향은 상승하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수직 반송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2a는 도1에 있는 수직 반송기(110)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2b는 수직 반송기(110)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2c은 수직 반송기(1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d는 수직 반송기(110)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직 반송기(110)는 제1 체인 기어 쌍(210a, 210b), 제2 체인 기어 쌍(220a, 220b) 및 캐리어(240)을 포함하고, 이탈방지 프레임(230), 체인(250) 및 체인 기어 지지 프레임(270)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체인 기어 쌍(210a, 210b 및 220a, 220b)들은 캐리어(240)의 높이만큼의 차이를 가지도록 이격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의 제1 체인 기어(210a)와 제2 체인 기어(220a) 간의 높이 차이는 체결부(242)의 제1 플림 방지 장치(243a)와 제2 플림 방지 장치(243b)사이의 간격과 동일 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제1 체인 기어(210a)와 제2 체인 기어(220a)는 베이스(241)의 너비만큼의 공간을 두고 이격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체인 기어 쌍들(210a, 210b 및 220a, 220b)은 동일한 속도로 구동하여 수화물이 적재된 캐리어(240)를 수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체인 기어 쌍(210a, 210b) 및 제2 체인 기어 쌍(220a, 220b)은 체인(250a, 250b)으로 각각 연결되어 구동된다.
캐리어(240)는 제1 및 제2 체인들(250a, 250b)에 결합되어 수화물을 수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캐리어(240)는 체인(250)에 결합된 상태로 수화물을 하역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체인(250)은 제1 체인 기어 쌍(210a, 210b)에 결합된 제1 체인(250a)과 제2 체인 기어 쌍에 결합된 제2 체인(2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인(250a)은 제1 체인 기어 쌍 중 하나(210a)와 다른 하나(210b)를 연결하며, 제1 체인 기어 쌍(210a, 210b)의 구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움직인다. 제2 체인(250b)은 제2 체인 기어 쌍 중 하나와(220a) 다른 하나를(220b) 연결하며, 제2 체인 기어 쌍(220a, 220b)의 구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움직인다. 여기에서, 제1 체인(250a) 및 제2 체인(250b)은 동일한 속도로 움직일 수 있으며,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체인 기어 지지 프레임(270)은 제1 및 제2 체인(250a, 250b)들 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인 기어쌍들(210a, 210b 및 220a, 220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체인 기어 지지 프레임(270)은 상부의 체인 기어들(210a, 220a)을 지지하는 제1 사각 프레임(270a), 사각 프레임에서 체인들(250) 방향으로 신장된 지지대(270b) 및 하부의 체인 기어들(210b, 220b)을 지지하는 제2 사각 프레임(27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인 기어 지지 프레임(270)은 제1 사각 프레임(270a)과 지지대(270b) 및 제2 사각 프레임(270c)을 하나로 연결한 직육면체 형태의 프레임에 해당할 수 있다.
이탈 방지 프레임(230)은 수직 반송기(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박스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 프레임(230)은 외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 벽면을 투명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탈 방지 프레임(230)은 수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복수의 출입구들(26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입구(260)들은 수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복수의 입구(260)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입구의 맞은편에는 수화물을 내리기 위한 복수의 출구(미도시 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출입구들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수직 반송기의 캐리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도 2a에 있는 수직 반송기의 캐리어(24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240)의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캐리어(240)는 베이스(241)와 체결부(242)를 포함한다.
베이스(241)는 수화물을 지지하고, 체결부(242)는 플림 방지 장치(243)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241)의 양단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인들(250a, 250b)에 결합된다. 플림 방지 장치(243)는 상부로 연장된 체결부(242)에 포함된 제1 플림 방지 장치(243a) 및 하부로 연장된 체결부(242)에 포함된 제2 플림 방지 장치(243b)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240)는 체결부(242)를 통해 체인과(25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240)는 제1 플림 방지 장치(243a)를 통해 제1 체인(250a)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플림 방지 장치(243b)를 통해 제2 체인(250b)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241)는 수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로딩 틸딩 포크(120)와 언로딩 틸딩 포크(130)를 통과하는 로딩 틸딩 포크 홈(420a) 언로딩 틸딩 포크 홈(420b) 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캐리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베이스(241)는 복수의 서브-베이스들(410) 및 서브-베이스 연결부들 (430)을 포함하고, 복수의 서브-베이스들(410)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브-베이스 연결부들(440)은 복수의 서브-베이스들(410)을 결합하고 복수의 서브-베이스들(410)의 말단을 엇갈리게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241)는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3 서브-베이스들(410a, 410b, 410c)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서브-베이스들(410a, 410b)을 엇갈리게 연결하는 제1 서브-베이스 연결부(430a) 및 제2 및 제3 서브-베이스들(410b, 410c)을 엇갈리게 연결하는 제2 서브-베이스 연결부(4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서브-베이스 연결부들(430a, 430b)은 제2 서브-베이스(410b)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서브-베이스들(410a, 410b, 410c) 각각은 같은 평면상에 배치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서브-베이스 연결부(430a)는 제1 서브-베이스(410a)의 전단과 제2 서브-베이스(410b)의 후단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베이스 연결부(430b)는 제2 서브-베이스의 후단(410b)과 제3 서브-베이스(410c)의 전단을 연결할 수 있다.
베이스(241)는 로딩 틸딩 포크 홈(420a)과 언로딩 틸딩 포크 홈(4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딩 틸딩 포크 홈(420a)은 제2 서브-베이스(410b)의 양 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언로딩 틸딩 포크 홈(420b)은 제1 및 제3 서브-베이스들(410a, 410c)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로딩 틸딩 포크 홈(420a)은 수화물을 로딩하는 로딩 틸딩 포크(120)가 통과하는 홈에 해당하며, 언로딩 틸딩 포크 홈(420b)은 수화물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틸딩 포크(130)가 통과하는 홈에 해당 할 수 있다.
도 5는 틸딩 포크의 상태도이며, 도6은 도 3에 있는 캐리어의 상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5는 로딩 틸딩 포크(120) 및 수화물 테이블(121)을 포함하고, 로딩 틸딩 포크(120)는 수화물 테이블(121)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6은 캐리어(240), 로딩 틸딩 포크(120) 및 언로딩 틸딩 포크(13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화물 테이블(121a, 12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로딩 틸딩 포크(120) 및 언로딩 틸딩 포크(130)는 회전할 수 있다.
로딩 틸딩 포크(120)는 수화물을 수화물 테이블(121a)에서 캐리어(240a)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로딩 틸딩 포크(120)는 수직인 상태의 로딩 틸딩 포크(123)에서 수평인 상태의 로딩 틸딩 포크(122)로 90도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인 상태의 로딩 틸딩 포크(122)는 캐리어(240a)로 수화물을 이동시킨 후 다시 수직인 상태의 로딩 틸딩 포크(123)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수평인 상태의 로딩 틸딩 포크(122)는 캐리어(240a)로 수화물을 이동시킨 후 수평인 상태의 로딩 틸딩 포크(122)는 캐리어(240a)를 통과할 수 있다.
언로딩 틸딩 포크(130)도 동일한 기작을 통하여 수화물을 캐리어(240b)로부터 수화물 테이블(121b)로 이동시킬 수 있다. 언로딩 틸딩 포크(130)는 수화물을 캐리어(240b)에서 수화물 테이블(121b)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로딩 틸딩 포크(120)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120a)과 결합될 수 있으며, 언로딩 틸딩 포크(130)도 적어도 하나의 체인(130a)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딩 틸딩 포크(120)는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체인(120a)의 회전을 통해 수화물을 수화물 테이블(121a)로부터 캐리어(240a)로 로딩할 수 있으며, 언로딩 틸딩 포크(130)는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체인(130a)의 회전을 통해 수화물을 수화물 캐리어(240b)로부터 수화물 테이블(121b)로 언로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딩 틸딩 포크(120) 및 언로딩 틸딩 포크(130)는 특정 신호를 받으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딩 틸딩 포크는(120)는 수화물 테이블(121a)이 특정 신호(예를 들어, 수화물이 수화물 테이블에 도착했다는 신호)를 감지하면 캐리어(240a)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언로딩 틸딩 포크는(130)는 수화물 테이블(121b)이 특정 신호(예를 들어, 수화물이 적재된 캐리어가 도착 예정이라는 신호)를 감지하면 캐리어(240b)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언로딩 틸딩 포크는(130)는 수화물 테이블(121b)이 다른 특정 신호(예를 들어, 수화물 테이블(121b)에 수화물을 언로딩할 공간이 없다는 신호)를 감지하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수직 반송기 120: 로팅 틸딩 포크
130: 언로팅 틸딩 포크 210,220: 체인 기어 쌍
230: 이탈 방지 프레임 240: 캐리어
250: 체인 260: 출입구
270: 체인 기어 지지 프레임

Claims (14)

  1. 수화물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일단의 상단 및 상기 베이스 타단의 하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높이 차를 가지도록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인들 각각을 구동하여 상기 캐리어를 순환시키는 제1 및 제2 체인 기어 쌍들을 포함하는 수직 반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체인들 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인 기어쌍들을 지지하는 체인 기어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체인들 각각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화물을 로딩하는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수화물을 언로딩하는 언로딩 틸딩 포크를 통과하는 틸딩 포크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언로딩 틸딩 포크는 수평 방향의 동일 연장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서브-베이스들; 및
    상기 복수의 서브-베이스들 간을 엇갈리게 결합하는 서브-베이스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3 서브-베이스들;
    상기 제1 및 제2 서브-베이스들을 엇갈리게 연결하는 제1 서브-베이스 연결부; 및
    상기 제2 및 제3 서브-베이스들을 엇갈리게 연결하는 제2 서브-베이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베이스 연결부들은
    상기 제2 서브-베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기.
  9. 수화물을 로딩하는 로딩 틸딩 포크, 상기 로딩된 수화물을 수직으로 이송하는 수직 반송기 및 상기 이송된 수화물을 언로딩하고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다른 수직 층에 배치되는 언로딩 틸딩 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반송기는
    상기 수화물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일단의 상단 및 상기 베이스 타단의 하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인들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높이 차를 가지도록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인들 각각을 구동하여 상기 캐리어를 순환시키는 제1 및 제2 체인 기어 쌍들을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반송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화물을 상기 수직 반송기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화물을 로딩하는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수화물을 언로딩 틸딩 포크를 통과하는 틸딩 포크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언로딩 틸딩 포크는 수평 방향의 동일 연장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언로딩 틸딩 포크는
    상기 캐리어에 상기 수화물을 로딩하거나 또는 상기 캐리어로부터 상기 수화물을 언로딩할 때 회전을 통해 상기 수화물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틸딩 포크와 상기 언로딩 틸딩 포크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과 결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체인의 회전을 통해 상기 수화물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KR1020120101826A 2012-09-13 2012-09-13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KR101325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826A KR101325468B1 (ko) 2012-09-13 2012-09-13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PCT/KR2013/007158 WO2014042361A1 (ko) 2012-09-13 2013-08-08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826A KR101325468B1 (ko) 2012-09-13 2012-09-13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468B1 true KR101325468B1 (ko) 2013-11-04

Family

ID=4985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826A KR101325468B1 (ko) 2012-09-13 2012-09-13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5468B1 (ko)
WO (1) WO201404236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240A (ko) 2014-08-29 2016-03-09 장세영 수직반송기
CN111219978A (zh) * 2020-03-18 2020-06-02 无锡先导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中转装置及烘干设备
KR102381208B1 (ko) 2021-09-15 2022-04-01 주식회사 삼원팩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KR102524781B1 (ko) 2022-08-30 2023-04-24 주식회사 토모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4498A (zh) * 2021-04-08 2021-07-13 广汉市恒鑫管材厂 一种pe管加工用上料设备
CN113682710B (zh) * 2021-08-24 2023-08-08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一种缓存装置、出入库系统及出入库方法
CN113602725B (zh) * 2021-08-24 2023-05-09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一种料箱出入库系统
CN115159139A (zh) * 2022-08-15 2022-10-11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上下料装置和转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234A (en) 1979-02-02 1981-06-16 Bourgeois Ronald D Conveyor storage system
JPH05116728A (ja) * 1991-10-22 1993-05-14 Hakko Denki Kk 垂直搬送チエーンコンベヤのパレツト装置、揺れ止め装置、パレツト振出し装置と、それらを使用する垂直搬送チエーンコンベヤ
JPH0624534A (ja) * 1991-12-17 1994-02-01 Hitachi Kizai Kk 垂直輸送機とその伸長方法及び中間ケーシングの固定方法
JPH07112813A (ja) * 1993-10-19 1995-05-02 Okura Yusoki Co Ltd 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234A (en) 1979-02-02 1981-06-16 Bourgeois Ronald D Conveyor storage system
JPH05116728A (ja) * 1991-10-22 1993-05-14 Hakko Denki Kk 垂直搬送チエーンコンベヤのパレツト装置、揺れ止め装置、パレツト振出し装置と、それらを使用する垂直搬送チエーンコンベヤ
JPH0624534A (ja) * 1991-12-17 1994-02-01 Hitachi Kizai Kk 垂直輸送機とその伸長方法及び中間ケーシングの固定方法
JPH07112813A (ja) * 1993-10-19 1995-05-02 Okura Yusoki Co Ltd 搬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240A (ko) 2014-08-29 2016-03-09 장세영 수직반송기
CN111219978A (zh) * 2020-03-18 2020-06-02 无锡先导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中转装置及烘干设备
KR102381208B1 (ko) 2021-09-15 2022-04-01 주식회사 삼원팩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KR102524781B1 (ko) 2022-08-30 2023-04-24 주식회사 토모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2361A1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468B1 (ko) 수직 반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반송 시스템
TWI314542B (ko)
US9026243B2 (en) Order-picking station, and method for the order-picking of articles from loading aids
JP5674041B2 (ja) 物品搬送設備
JP6691647B2 (ja) 昇降装置及び仕分け装置
KR20160110186A (ko) 승강 반송 장치
CN210213640U (zh) 循环升降装置
JP3375061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KR101398929B1 (ko) 반송차 시스템
JP6268378B2 (ja) 物品搬送装置、並びに、物品保管装置
JP4707166B2 (ja) コンテナ昇降装置
JP4078959B2 (ja) 一時保管装置
JP4126559B2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CN109516346B (zh) 一种医用箱式物料循环提升机
JP2006315829A (ja) 自動倉庫
JP2011230859A (ja) 板状物の搬送システム
JP6597564B2 (ja) 物品搬送設備
JP5569601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搬出方法
JP6507728B2 (ja) 昇降搬送装置
JP2020070136A (ja) 製品ストック装置
JP4650679B2 (ja) 物品搬送装置
JP2010159118A (ja) 自動倉庫
JP2016016964A (ja) 自動倉庫における物品入出庫装置
JP4378640B2 (ja) 搬送設備
JPS6331911A (ja) キヤリヤ使用の荷取扱い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