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663B1 - 층간 이송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층간 이송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663B1
KR102170663B1 KR1020200043249A KR20200043249A KR102170663B1 KR 102170663 B1 KR102170663 B1 KR 102170663B1 KR 1020200043249 A KR1020200043249 A KR 1020200043249A KR 20200043249 A KR20200043249 A KR 20200043249A KR 102170663 B1 KR102170663 B1 KR 10217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guide plate
driven sprocket
roll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썬패치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패치테크노 filed Critical (주)썬패치테크노
Priority to KR102020004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B65G47/57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이송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작업공간에서 상층 및 하층으로 대상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층간 이송용 리프트를 제공하되, 대상물 이동 중 대상물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대상물 이동이 가능한 층간 이송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동력전달체를 통해 연결되어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1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1종동스프라켓과 체인을 통해 연결된 제2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한 구동수단; 및 상기 체인이 결합되어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되 상기 하우징의 안내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내플레이트에 맞닿아 이동하는 이동용 롤러와, 상기 이동용 롤러의 구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배치된 레벨유지롤러가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배치되며 대상물이 거치되는 운반용포크와, 상기 바디가 상기 안내플레이트를 따라 이동 중 곡선구간에서 회전시 상기 운반용포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층간 이송용 리프트{Floor lift}
본 발명은 층간 이송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작업공간에서 상층 및 하층으로 대상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층간 이송용 리프트를 제공하되, 대상물 이동 중 대상물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대상물 이동이 가능한 층간 이송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공정, 디스플레이 제조공정, 기판 제조공정과 같은 제조공정라인 또는 물류창고, 포장공정 등에서 대상물을 지정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다양한 이송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송장치 중 다층으로 구성된 공정라인에 필요한 대상물을 공급하고, 공정이 완료된 대상물을 배출하기 위한 이송장치로서, 층간 리프트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층간 리프트는 무한궤도 형태의 컨베이어를 응용한 수직 컨베이어 승강장치로서, 수직 컨베이어 승강장치는 이송되는 대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설치를 위한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층간 리프트로 제안된 종래기술 중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9692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층간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측으로 투입되는 이송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픽업된 이송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가 마련되는 투입부,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단으로 승강된 이송체를 지지하는 배출유닛과 상기 배출유닛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체를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컨베이어가 마련되는 배출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마련되며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가 임시 적재되는 지지부, 상기 투입부, 상기 지지부, 상기 배출부 사이를 왕복 이송하며 각각에 위치하는 이송체를 그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부에 의한 이송체 투입과, 상기 승강부에 의한 이송체의 이송 및 상기 배출부에 의한 이송체 배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이송체를 투입하는 위치와 배출하는 위치가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일련의 연속된 공정에서 사용하기는 용이하나, 다층으로 구획된 공정에서 모든 층에서 대상물의 진입 또는 배출이 자유로워야 하는 공정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 번 설치된 층간 리프트는 해당 공정에 맞추어 설계 및 제작되기 때문에 공정 라인의 증설, 감축 등과 같이 라인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설치된 층간 리프트를 해체한 후 새롭게 설치해야 하고 이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 및 라인의 정지 시간의 증가로 인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969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층으로 이루어진 공정 라인에 설치되어 각층간의 대상물 투입 및 배출이 자유롭고, 대상물의 이동 중 안정성을 향상시켜 이동 중 대상물이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한 층간 이송용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동력전달체를 통해 연결되어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1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1종동스프라켓과 체인을 통해 연결된 제2종동스프라켓을 포함한 구동수단; 및
상기 체인이 결합되어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되 상기 하우징의 안내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내플레이트에 맞닿아 이동하는 이동용 롤러와, 상기 이동용 롤러의 구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배치된 레벨유지롤러가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에 배치되며 대상물이 거치되는 운반용포크와, 상기 바디가 상기 안내플레이트를 따라 이동 중 곡선구간에서 회전시 상기 운반용포크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플레이트는,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과 제2종동스프라켓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수직안내플레이트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측면안내플레이트와, 상기 개구부의 상단과 하단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곡면안내플레이트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운반모듈의 바디에 구비된 레벨유지롤러를 안내하는 회전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안내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에 구비된 레벨유지롤러의 진입을 유도하는 유도구간과,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 또는 제2종동스프라켓의 회전곡률에 비례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곡률구간과, 상기 곡률구간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벨유지롤러가 이탈하는 이탈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이 배치된 상부체와,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이 배치된 하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운반용포크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축과, 상기 샤프트축가 관통 삽입되며 한 쌍의 상기 레벨유지롤러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제1브라켓과, 상기 샤프트축의 길이 방향 일단이 결합되며 한 쌍의 보조레벨롤러가 배치된 제2브라켓과, 상기 샤프트축가 삽입되되 샤프트축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볼부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층으로 이루어진 작업공간에서 상층 및 하층으로 대상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체와 하부체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체를 더 배치하여 공정의 증설 또는 감축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이송용 리프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이송용 리프트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이송용 리프트에서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내부도.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안내플레이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동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운반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평유지수단을 분해 도시한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메인프레임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이송용 리프트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이송용 리프트(1)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된 개구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안내플레이트(13)가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20);과, 상기 메인프레임(20)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31)와 동력전달체(32)를 통해 연결되어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1종동스프라켓(33)과,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33)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1종동스프라켓(33)과 체인(35)을 통해 연결된 제2종동스프라켓(34)을 포함한 구동수단(30); 및 상기 체인(35)이 결합되어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되 상기 하우징의 안내플레이트(13)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내플레이트(13)에 맞닿아 이동하는 이동용 롤러(41)와, 상기 이동용 롤러(41)의 구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배치된 레벨유지롤러(42)가 구비된 바디(43)와, 상기 바디(43)에 배치되며 대상물이 거치되는 운반용 포크(44)와, 상기 바디(43)가 상기 안내플레이트(13)를 따라 이동 중 곡선구간에서 회전시 상기 운반용 포크(44)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45)을 포함한 운반모듈(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다층으로 구획된 공정 라인에서 다층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1)이 구비되고 전면에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되어 후술하는 운반모듈(4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상부체(14)와 하부체(15)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배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체를 더 배치하여 공정 라인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체(14)와 하부체(15)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각각에 형성된 개구부(12)의 테두리를 따라 안내플레이트(13)가 배치된다.
상기 안내플레이트(13)는 상기 운반모듈(40)의 바디(43)에 구비된 이동용 롤러(41) 및 레벨유지롤러(42)가 맞닿아 이동시 안내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이 배치된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안내플레이트(131)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측면안내플레이트(132)와, 상기 개구부(12)의 상단과 하단 즉, 상부체(14)에 형성된 개구부의 상단과 하부체(15)에 형성된 개구부의 하단에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곡면안내플레이트(133)와,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상기 운반모듈(40)의 바디(43)에 구비된 레벨유지롤러(42)를 안내하는 회전안내플레이트(134)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안내플레이트(131)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보다 정확하게는 상부체(14)에 배치되는 제1종동스프라켓(33)과 하부체(15)에 배치되는 제2종동스프라켓(34)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바디(43)에 구비된 이동용 롤러(41)가 이동 가능하게 맞닿는다.
이때 상기 수직안내플레이트(131)는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33)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측면안내플레이트(132)는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상기 운반모듈(40)을 구성하는 바디(43)에 구비된 이동용 롤러(41)가 이동 가능하게 맞닿는다.
여기서 상기 수직안내플레이트(131)와 측면안내플레이트(132)는 상기 바디(43)가 상승 또는 하강 중 직선 이동을 할 때 이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43)에 구비된 이동용 롤러(41)가 수직안내플레이트(131)와 측면안내플레이트(132)에 동시에 맞닿아 상승 또는 하강하되, 상기 측면안내플레이트(132)는 수직안내플레이트(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말단부에 상기 곡면안내플레이트(133)의 단부가 맞닿는다.
상기 곡면안내플레이트(133)는 개구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바디(43)의 이동 방향 전환시 이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바디(43)는 수직안내플레이트(131)와 측면안내플레이트(132)를 통해 안내되면서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다가 곡면안내플레이트(133)와 맞닿으면서 이동 방향이 전환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상승하던 바디(43)는 상기 개구부(12)의 상단에 형성된 곡면안내플레이트(133)로 진입한 이후 곡면안내플레이트(133)를 통과하면서 180°회전한 후 수직으로 하강하는 것이다.
이후 개구부(12)의 하단부에 형성된 곡면안내플레이트(133)를 통과하면서 바디(43)는 180°회전한 후 수직으로 상승하도록 방향이 전환된다.
이러한 곡면안내플레이트(133)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되, 제1종동스프라켓(33) 또는 제2종동스프라켓(34)의 곡률에 비례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안내플레이트(134)는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바디(43)에 구비된 레벨유지롤러(42)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곡면안내플레이트(133)에서 수평 방향으로 후방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회전안내플레이트(1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43)에 구비된 레벨유지롤러(42)를 안내하되, 상기 바디(43)에 구비된 레벨유지롤러(42)의 진입을 유도하는 유도구간(134a)과,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33) 또는 제2종동스프라켓(34)의 회전곡률에 비례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곡률구간(134b)과, 상기 곡률구간(134b)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벨유지롤러(42)가 이탈하는 이탈구간(134c)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제1종동스프라켓(33) 또는 제2종동스프라켓(34)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회전안내플레이트(134)는 레벨유지롤러(42)가 유도구간(134a)을 통해 진입하고, 이후 바디(43)가 180°회전하는 과정에서 바디(43)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회전안내플레이트(134)는 바디(43)가 곡면안내플레이트(133)를 통과하면서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은 가능하도록 하되 유동(遊動)은 방지하여 바디(43)에 결합된 운반용 포크(44)의 수평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도구간(134a)으로 진입한 레벨유지롤러(42)는 곡률구간(134b)을 거쳐 이탈구간(134c)을 통해 이탈하는데, 상기 이탈구간(134c)은 곡률구간(134b)의 말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곡률구간(134b)을 통과한 레벨유지롤러(42)가 이탈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구간(134c)을 통해 레벨유지롤러(42)가 이탈할 때 레벨유지롤러(42)가 빈 공간에 노출됨으로써 바디(43)가 유동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안내플레이트(134)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이탈방지플레이트(135)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플레이트(1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면안내플레이트(133)와 동일한 형태 및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안내플레이트(134)를 사이에 두고 전방과 후방에 한 쌍이 각각 배치되어 회전안내플레이트(134)를 통과한 레벨유지롤러(42)가 어느 하나의 회전안내플레이트(134)에 맞닿아 안내된다.
이때 다른 하나의 회전안내플레이트(134)는 상기 바디(43)에 구비된 보조레벨롤러(454)가 맞닿아 안내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레벨롤러(454)는 후술하는 운반모듈(40)의 수평유지수단(45)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구동수단(30)의 일부를 배치하며, 상기 상부체(14)와 하부체(15)로 구성되는 하우징(10)의 결합 및 분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메인프레임(20)은 구동모터가 배치되는 배치대(21)와, 상기 배치대(21)의 하중 압력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횡보강대(22)와, 상기 배치대(21)와 횡보강대(22)가 각각 결합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포스트(23)와, 상기 상부포스트(23)와 맞대어지고 볼트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하부포스트(24)와, 상기 상부포스트(23)와 하부포스트(24)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ㄷ’자 형태의 고정프레임(25)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은 후술하는 구동수단(30)의 구동모터(31)가 상기 배치대(21)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포스트(23)의 상단에는 제1종동스프라켓(33)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가 배치되고, 하부포스트(24)에는 제2종동스프라켓(3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포스트(23)와 하부포스트(24)는 볼트를 통해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을 구성하는 벽체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횡보강대(22)와 고정프레임(25)은 상부포스트(23)와 하부포스트(24)로 전달되는 하중 압력을 분산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을 하우징에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부포스트(23)와 하부포스트(24)가 구동모터(31) 및 제1종동스프라켓(33), 제2종동스프라켓(34) 등이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에서 상부포스트(23)는 상부체(14)에 배치되고 하부포스트(24)는 하부체(15)에 배치됨으로써 하우징(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경우 상부포스트(23)와 하부포스트(24)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포스트를 연결함으로써 길이가 늘어난 하우징(10)에 대응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포스트(23)측에 배치된 구동모터(31)와 제1종동스프라켓(33), 그리고 하부포스트(24)측에 배치된 제2종동스프라켓(34)의 연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30)은 후술하는 운반모듈(40)을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구동모터 배치대(21)에 배치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31)와 동력전달체(32)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종동스프라켓(33)과,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33)과 체인(35)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2종동스프라켓(34)을 포함하며, 여기서 구동모터와 제1종동스프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감속기 등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동수단(30)은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31)가 동작하면서 제1종동스프라켓(33)을 회전시키고 이에 맞물린 체인(35)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동수단(30)은 수평 또는 수직 컨베이어 벨트 등과 같은 공지의 이송 수단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도시 및 동작 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 중 상기 체인(35)은 후술하는 운반모듈(40)에 일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체인은 엔드리스 타입으로 이루어져 제1종동스프라켓(33)과 제2종동스프라켓(34)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도면 중 일부 도시는 생략한 것이다.
상기 운반모듈(40)은 상기 구동수단(30)에 의해 이동하는 체인(35)이 일부가 결합되어 구동수단(30)이 동작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운반모듈(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인(35)이 결합되어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되 상기 하우징의 안내플레이트(13)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내플레이트(13)에 맞닿아 이동하는 이동용 롤러(41)와, 상기 이동용 롤러(41)의 구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배치된 레벨유지롤러(42)가 구비된 바디(43)와, 상기 바디(43)에 배치되며 대상물이 거치되는 운반용 포크(44)와, 상기 바디(43)가 상기 안내플레이트(13)를 따라 이동 중 곡선구간에서 회전시 상기 운반용 포크(44)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45)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용 롤러(41)와 레벨유지롤러(42)는 각각 바디(43)에 구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바디(43)는 한 쌍의 플레이트(431)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용 롤러(41)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431)에 다수 개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431)에는 상기 구동수단(30)을 구성하는 체인(35)이 결합하는 커플러(432)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플러(432)는 도 6의 확대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431)에 결합되고 타단은 체인(35)과 결합된다.
이러한 커플러(432)는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되어 체인(35)을 양측에서 결합함으로써 체인(35)의 이동에 따라 바디(43)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431)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 양단에 상기 이동용 롤러(41)가 구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축(41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결합판(433)이 배치된다.
상기 운반용 포크(44)는 상기 바디(43)에 결합되어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디(43)와 샤프트축(451)을 통해 결합된 횡바(441)와, 상기 횡바(4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대상물이 안치되는 다수 개의 핑거(44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운반용 포크(44)는 핑거(442)에 대상물이 안치되고 바디(43)의 이동에 따라 대상물을 각층으로 이송하며, 대상물이 배출되는 층에는 상기 핑거(442)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치대(도면 중 미도시됨)에 대상물은 배치하고 핑거는 통과하면서 대상물을 배출한다.
상기 수평유지수단(45)은 바디(43)가 상술한 안내플레이트(13)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 중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운반용 포크(44)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유지수단(45)은, 일단이 상기 운반용 포크(44)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축(451)과, 상기 샤프트축(451)가 관통 삽입되며 한 쌍의 상기 레벨유지롤러(42)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제1브라켓(452)과, 상기 샤프트축(451)의 길이 방향 일단이 결합되며 한 쌍의 보조레벨롤러(454)가 배치된 제2브라켓(453)과, 상기 샤프트축(451)가 삽입되되 샤프트축(451)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볼부쉬(455)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축(45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바디(43)와 제1브라켓(452)을 통과한 후 제2브라켓(45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운반용 포크(44)를 구성하는 횡바(441)에 결합된다.
상기 제1브라켓(452)은 상기 바디(4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축(451)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레벨유지롤러(42)가 상호 대칭되게 한 쌍이 배치된다.
상기 제2브라켓(453)은 상기 제1브라켓(452)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축(451)이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브라켓(452)에 배치된 레벨유지롤러(42)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보조레벨롤러(454)가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볼부쉬(455)는 상기 샤프트축(451)이 삽입되며 샤프트축(451)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것으로, 한 쌍 중 하나는 상기 횡바(441)에 고정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브라켓(453)에 고정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수평유지수단(45)은 바디(43)가 상승 또는 하강 중 회전안내플레이트(134)가 배치된 구간을 통과하면서 180°회전할 때 바디(43)는 회전하나 상기 운반용 포크(44)는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반용 포크(44)에 거치된 대상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층간 이송용 리프트
10 : 하우징
11 : 수용공간 12 : 개구부
13 : 안내플레이트 14 : 상부체
15 : 하부체
131 : 수직안내플레이트 132 : 측면안내플레이트
133 : 곡면안내플레이트 134 : 회전안내플레이트
135 : 이탈방지플레이트
20 : 메인프레임
21 : 배치대 22 : 횡보강대
23 : 상부포스트 24 : 하부포스트
25 : 고정프레임
30 : 구동수단
31 : 구동모터 32 : 동력전달체
33 : 제1종동스프라켓 34 : 제2종동스프라켓
35 : 체인
40 : 운반모듈
41 : 이동용 롤러 42 : 레벨유지롤러
43 : 바디 44 : 운반용 포크
45 : 수평유지수단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수용공간(11)과 연통된 개구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안내플레이트(13)가 구비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20);
    상기 메인프레임(20)에 배치되며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31)와 동력전달체(32)를 통해 연결되어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1종동스프라켓(33)과,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33)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1종동스프라켓(33)과 체인(35)을 통해 연결된 제2종동스프라켓(34)을 포함한 구동수단(30); 및
    상기 체인(35)이 결합되어 체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되 상기 하우징의 안내플레이트(13)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내플레이트(13)에 맞닿아 이동하는 이동용 롤러(41)와, 상기 이동용 롤러(41)의 구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름 이동하도록 배치된 레벨유지롤러(42)가 구비된 바디(43)와, 상기 바디(43)에 배치되며 대상물이 거치되는 운반용 포크(44)와, 상기 바디(43)가 상기 안내플레이트(13)를 따라 이동 중 곡선구간에서 회전시 상기 운반용 포크(44)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수단(45)을 포함한 운반모듈(40);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유지수단(45)은,
    일단이 상기 운반용 포크(44)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축(451)과,
    상기 샤프트축(451)가 관통 삽입되며 한 쌍의 상기 레벨유지롤러(42)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제1브라켓(452)과,
    상기 샤프트축(451)의 길이 방향 일단이 결합되며 한 쌍의 보조레벨롤러(454)가 배치된 제2브라켓(453)과,
    상기 샤프트축(451)가 삽입되되 샤프트축(451)의 길이 방향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볼부쉬(45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이송용 리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플레이트(13)는,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33)과 제2종동스프라켓(34)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수직안내플레이트(131)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측면안내플레이트(132)와,
    상기 개구부(12)의 상단과 하단에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곡면안내플레이트(133)와,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상기 운반모듈(40)의 바디(43)에 구비된 레벨유지롤러(42)를 안내하는 회전안내플레이트(13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이송용 리프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플레이트(134)는,
    상기 바디(43)에 구비된 레벨유지롤러(42)의 진입을 유도하는 유도구간(134a)과,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33) 또는 제2종동스프라켓(34)의 회전곡률에 비례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곡률구간(134b)과,
    상기 곡률구간(134b)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레벨유지롤러(42)가 이탈하는 이탈구간(134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이송용 리프트.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33)이 배치된 상부체(14)와, 상기 제2종동스프라켓(34)이 배치된 하부체(15)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체(14)와 하부체(15)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이송용 리프트.
  5. 삭제
KR1020200043249A 2020-04-09 2020-04-09 층간 이송용 리프트 KR10217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49A KR102170663B1 (ko) 2020-04-09 2020-04-09 층간 이송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49A KR102170663B1 (ko) 2020-04-09 2020-04-09 층간 이송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663B1 true KR102170663B1 (ko) 2020-10-27

Family

ID=7313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249A KR102170663B1 (ko) 2020-04-09 2020-04-09 층간 이송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6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0620A (zh) * 2021-05-27 2021-07-16 陕西雷博创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定位的光学玻璃片加工用转移装置
KR102381208B1 (ko) * 2021-09-15 2022-04-01 주식회사 삼원팩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KR20230015638A (ko) 2021-07-23 2023-01-31 장성철 화물 리프트 장치
KR102524781B1 (ko) * 2022-08-30 2023-04-24 주식회사 토모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EP4279421A1 (en) * 2022-05-19 2023-11-22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Carrier basket support and stabilzing system for carrier basket transpor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600A (ko) * 2001-10-29 2004-07-07 마틴 게스너 피티와이 엘티디 운반 기구
KR100769692B1 (ko) 2006-02-16 2007-10-24 (주)코미 층간 리프트
KR20130140517A (ko) * 2012-06-14 2013-12-24 주식회사 엔제닉 버티컬 타입 웨이퍼 이송 컨베이어
KR101600925B1 (ko) * 2015-11-09 2016-03-08 주식회사 탑시스템 체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101854044B1 (ko) * 2016-10-31 2018-05-02 세메스 주식회사 텐션 롤러를 갖는 타워 리프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600A (ko) * 2001-10-29 2004-07-07 마틴 게스너 피티와이 엘티디 운반 기구
KR100769692B1 (ko) 2006-02-16 2007-10-24 (주)코미 층간 리프트
KR20130140517A (ko) * 2012-06-14 2013-12-24 주식회사 엔제닉 버티컬 타입 웨이퍼 이송 컨베이어
KR101600925B1 (ko) * 2015-11-09 2016-03-08 주식회사 탑시스템 체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101854044B1 (ko) * 2016-10-31 2018-05-02 세메스 주식회사 텐션 롤러를 갖는 타워 리프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0620A (zh) * 2021-05-27 2021-07-16 陕西雷博创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定位的光学玻璃片加工用转移装置
KR20230015638A (ko) 2021-07-23 2023-01-31 장성철 화물 리프트 장치
KR102381208B1 (ko) * 2021-09-15 2022-04-01 주식회사 삼원팩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EP4279421A1 (en) * 2022-05-19 2023-11-22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Carrier basket support and stabilzing system for carrier basket transporter
KR102524781B1 (ko) * 2022-08-30 2023-04-24 주식회사 토모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663B1 (ko) 층간 이송용 리프트
KR100453147B1 (ko) 이동식 발을 이용한 주차차량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KR20140061242A (ko) 물품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수납 설비
KR100702220B1 (ko) 컨베이어 장치
JP6633964B2 (ja) 搬送システム
KR102524781B1 (ko) 층간 반출입용 승강장치
KR102282065B1 (ko) 수직반송 시스템
JP7045193B2 (ja) 昇降搬送装置
JP2020066483A (ja) 物品搬送装置及び物品保管装置
KR102473480B1 (ko) 컨베이어용 이송방향 교차변환장치
KR102020558B1 (ko) 반송이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품용 부품 카세트 반송이재시스템
JPH02255418A (ja) 連続昇降搬送装置および連続昇降搬送装置への搬送ボックス受渡し方法
JP2002356223A (ja) 搬送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倉庫
JPH1179611A (ja) 斜行リフト装置
JPH0266095A (ja) 垂直及び水平方向の連続的平行移動装置
JP4058684B2 (ja) 高層型立体駐車装置
CN213567954U (zh) 一种移垛机
JP4295400B2 (ja) 方向変換ローラコンベア装置
JPH06144514A (ja) 入出庫用搬送装置
JP2001019119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2682316B2 (ja) 昇降搬送装置用支柱
JP3758760B2 (ja) パイプ倉庫
JPH0714260Y2 (ja) 搬送装置間の移載装置
JP2001019115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2001019117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