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143B1 - 표피재 고착용 클립 및 표피재 고착 구조 - Google Patents

표피재 고착용 클립 및 표피재 고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143B1
KR102462143B1 KR1020207030540A KR20207030540A KR102462143B1 KR 102462143 B1 KR102462143 B1 KR 102462143B1 KR 1020207030540 A KR1020207030540 A KR 1020207030540A KR 20207030540 A KR20207030540 A KR 20207030540A KR 102462143 B1 KR102462143 B1 KR 10246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
holding piece
wire
clip
ski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486A (ko
Inventor
마도카 난부
완리 장
겐지 도노
세이이치로 요네자와
겐타 마츠무라
데츠야 요시노
즈토무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2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fixing, or finishing, in upholstery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 B60N2/6018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6027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5Covering or enveloping cores of pads
    • B68G7/052Covering or enveloping cores of pads with webs secured to the core, e.g. by st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표피재 고착용 클립(40)은, 기저부(51),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를 갖는 척부(50)와, 쿠션재의 홈 내에 배치된 와이어(20)와 걸림 결합되는 훅부(60)와, 척부(50)와 훅부(60)의 선단(63)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 결합 개구(41)를 갖는다. 기저부(51),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에 의해, 표피재에 장착된 피보유 지지체(30)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홈(59)이 형성된다. 걸림 결합 개구(41)의 개구 치수(W)는, 보유 지지 홈(59)의 폭 치수(W3)에 대해 50 내지 80%의 치수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표피재 고착용 클립 및 표피재 고착 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이나 실내에서 이용되는 의자 등의 표면을 덮는 표피재의 고착에 사용되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 및 표피재 고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술한 좌석이나 의자 등에서는, 시트면이나 등받이 등 인체에 닿는 부분에 쿠션재나 유연한 패드를 설치하고, 그 표면을 표피재로 피복한 것이 다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피재의 고정에는 다양한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표피재를 고정하는 구조로서, 예를 들어 쿠션 패드 본체(쿠션재)의 홈부에 선상체(와이어)를 배치하고, 와이어에 클립을 걸림 결합시키고, 표피재의 이측에 장착된 로크구를 상기 클립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표피재를 그 이측으로부터 고착하는 구조(표피재 고착 구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클립은, 기부와, 기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탄성 변형 가능한 좌우의 제1 연장 돌출편과, 좌우의 제1 연장 돌출편의 연장 돌출측과는 반대측에 기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탄성 변형 가능한 훅 형상의 제2 연장 돌출편을 갖고 있다. 이 클립에서는, 제2 연장 돌출편을 와이어에 걸림 결합하고, 좌우의 제1 연장 돌출편에 로크구를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표피재를 와이어에 고착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클립은, 로크 갈고리 기부(기부)와, 로크 갈고리 기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로크 갈고리와, 한 쌍의 로크 갈고리와는 반대측에 로크 갈고리 기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훅을 갖고 있다. 이 클립에서는, 표피재에 설치된 로크용 단부 부재(로크구)를 한 쌍의 로크 갈고리에 걸림 결합시키고, 훅을 와이어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표피재를 와이어에 고착한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클립은, 저면부와, 저면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좌우 한 쌍의 끼움 지지편과, 저면부 및 좌우 한 쌍의 끼움 지지편에 의해 구성되는 척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훅편과, 척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훅부의 개구측 위치에 대향 배치된 가이드편을 갖고 있다. 이 클립에서는, 랩핑 클로스(표피재)에 마련된 서스펜더(로크구)를 좌우 한 쌍의 끼움 지지편에 결합시키고, 가이드편을 와이어에 압입하여 훅편에 와이어를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랩핑 클로스를 고착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45424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6/178275호 일본 특허 제6020320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클립에서는, 표피재에 장착된 로크구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에 따라서 클립 전체의 폭 치수 등을 설계하게 되지만, 이 표피재에 장착되는 로크구의 폭 치수(혹은, 클립의 로크구를 로크하는 보유 지지 홈의 폭 치수)에 대해 20% 내지 35%의 치수를 직경 치수로서 갖는 와이어를 걸림 결합시키는 것을 상정한 사양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와이어의 직경을 종래보다도 굵게 하는 요망이 있는 경우에는, 직경을 굵게 한 와이어에 대해 적합하게 대응할 수 없고, 걸림 결합시킬 수 없는 굵기의 와이어에 대해서는, 클립이 아닌 금속 링 등으로 표피재와 쿠션 패드 본체를 연결시키는 일이 행해지고 있어, 그 연결의 작업성이 좋지 않은 것이었다.
본 발명은, 와이어의 직경 치수의 대형화의 요망에 대응할 수 있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 및 표피재 고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표피재 고착용 클립은, 표피재에 장착된 피보유 지지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홈을 형성하는 척부와, 쿠션재의 홈 내에 배치된 와이어와 걸림 결합되는 훅부와, 상기 척부와 상기 훅부의 선단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 결합 개구를 가진 표피재 고착용 클립이며, 상기 걸림 결합 개구의 개구 치수는, 상기 보유 지지 홈의 폭 치수에 대해 50 내지 80%의 치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 의하면, 와이어의 직경 치수의 대형화의 요망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척부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제1 보유 지지편부 및 제2 보유 지지편부와, 상기 훅부의 선단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 볼록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는,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근하는 측으로 돌출된 갈고리부를 각각 갖고 있고, 상기 훅부의 기단은, 제2 보유 지지편부측에 있어서 상기 척부와 연속되어 있고, 상기 걸림 볼록부는, 제1 보유 지지편부측에 있어서 상기 척부와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갈고리부의 치수를 치수 L1이라고 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갈고리부로부터 상기 기저부까지의 치수를 치수 L2라고 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 및 상기 걸림 볼록부를 합친 치수를 치수 L3이라고 하고, 상기 훅부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어와 상기 걸림 볼록부 사이의 치수를 치수 L4라고 한 경우, 상기 치수 L1, 상기 치수 L2 및 상기 치수 L3은, 상기 치수 L2를 상기 치수 L3으로 나눈 치수에 상기 치수 L1을 곱하여 산출한 치수가 상기 치수 L4보다도 커지도록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 의하면, 치수 L1 내지 L3이 전술한 설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표피재에 장착된 피보유 지지체가 척부에 보유 지지되고, 또한 훅부 및 걸림 볼록부 사이의 걸림 결합 개구의 치수보다도 큰 직경 치수를 가진 와이어가 훅부에 걸림 결합된 경우,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은, 피보유 지지체에 척부로부터의 인발력이 가해져 보유 지지편부가 제2 방향으로 벌어짐으로써, 걸림 볼록부에 와이어를 향하는 이동력이 발생하여 당해 걸림 볼록부에 의해 와이어가 빠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한편, 걸림 볼록부가 와이어에 맞닿음으로써 보유 지지편부가 제2 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척부에 있어서의 피보유 지지체의 보유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기저부의 두께 치수는,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의 기단측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보유 지지체를 제1, 제2 보유 지지편부 사이에 삽입할 때, 두께 치수가 작은 기저부에 탄성 변형을 발생시킴으로써, 당해 피보유 지지체를 삽입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훅부에 와이어를 걸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피보유 지지체가 제1, 제2 보유 지지편부의 사이로부터 인발되려고 해도, 걸림 볼록부가 와이어에 압접됨으로써 제1 보유 지지편부의 벌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훅부의 기단 및 상기 걸림 볼록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저부 중 상기 훅부의 기단과 상기 걸림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척부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저부 중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 치수가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부분에 있어서 탄성 변형을 발생시키기 쉬워져, 상기 부분의 탄성 변형에 의해 피보유 지지체를 한 쌍의 보유 지지편부의 사이에 삽입하기 쉽고, 또한 걸림 볼록부에 와이어를 향하는 이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의 기단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는, 상기 기저부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제2 보유 지지편부의 기단 부분보다도 기저부에 있어서 탄성 변형을 발생시키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보유 지지편부의 강도를 높여 피보유 지지체의 보유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피보유 지지체가 척부로부터 인발되려고 했을 때에는 기저부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걸림 볼록부에 와이어를 향하는 이동력을 발생시켜 와이어가 빠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의 기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절반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가, 당해 영역에 대해 선단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보유 지지체를 제1, 제2 보유 지지편부 사이에 삽입 가능한 정도의 탄성을 선단측의 영역에 남기면서 기단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강도가 높아진 보유 지지편부를 구성할 수 있어, 한 쌍의 보유 지지편부 사이에 피보유 지지체를 삽입 가능하면서 피보유 지지체에 대한 척부의 보유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 및 제2 보유 지지편부의 두께 치수는,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점감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보유 지지체를 제1, 제2 보유 지지편부 사이에 삽입 가능한 정도의 탄성을 제1, 제2 보유 지지편부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영역에 남기면서 제1, 제2 보유 지지편부의 기단측에 있어서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제1, 제2 보유 지지편부의 탄성 변형이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척부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서로 대향한 제1 보유 지지편부 및 제2 보유 지지편부를 갖고 있고, 상기 훅부는,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측에 있어서 상기 척부와 연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와이어가 배치되는 걸림 결합 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면을 갖고 있고, 상기 척부는,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척부의 외측면과 상기 홈 형성면에 연속된 와이어 수용면을 갖고 있고, 상기 훅부의 선단은, 상기 척부의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측의 외측면보다도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 의하면, 와이어가 삽입되는 걸림 결합 개구가 와이어 수용면과 훅부의 선단 사이에 있기 때문에, 표피재 고착용 클립 전체를 쿠션재의 홈으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이면서 와이어를 걸림 결합 개구에 삽입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훅부의 선단이 척부의 제1 보유 지지편부측의 외측면보다도 제2 보유 지지편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표피재 고착용 클립을 삽입 방향에 대해 크게 기울이는 일 없이 척부의 와이어 수용면에서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훅부의 선단 및 와이어 수용면 사이의 걸림 결합 개구에 와이어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어, 훅부에 와이어를 간단하게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훅부의 선단 및 와이어 수용면 사이의 치수보다도 큰 직경 치수를 가진 와이어를 훅부에 걸림 결합시키는 경우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를 와이어 수용면에서 수용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를 훅부의 선단과 와이어 수용면에 맞닿은 상태로 할 수 있어 걸림 결합 개구에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훅부는, 그 선단에 연속된 가이드면을 갖고 있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수용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훅부의 선단에 연속된 가이드면이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으므로, 표피재 고착용 클립을 쿠션재의 홈 내에 삽입하고, 가이드면을 와이어에 대면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 틸팅을 발생시키면서 와이어를 걸림 결합 개구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훅부는,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에 연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훅부를 제2 보유 지지편부에 연속시킴으로써, 척부의 와이어 수용면에 연속된 홈 형성면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 결합 홈을 크게 구성할 수 있어, 보다 직경 치수가 큰 와이어에 훅부를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 사이즈의 걸림 결합 홈을 구성하면서 훅부의 선단을 보다 제2 보유 지지편부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배치할 수 있어, 이에 의해, 훅부를 와이어에 걸림 결합시키기 위해 표피재 고착용 클립을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이는 각도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가이드면의 단부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 사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른 가상선보다도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훅부의 상기 단부가 상기 가상선보다도 제1 보유 지지편부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가이드면을 그 경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쿠션재의 홈에 삽입되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이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어도, 광범위에 있어서 가이드면을 와이어에 댈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수용면 중 적어도 상기 훅부의 선단보다도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훅부의 선단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와이어 수용면의 상기 부분이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표피재 고착용 클립을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였을 때에 와이어측에 투영되는 면 영역을 넓게 취할 수 있어, 이 면 영역에서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척부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서로 대향한 제1 보유 지지편부 및 제2 보유 지지편부를 갖고 있고, 상기 훅부의 선단 및 상기 척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다른 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걸림 결합 개구를 형성한 협폭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협폭 볼록부의 폭 치수는, 상기 훅부 및 상기 척부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제3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보다도 작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훅부의 선단 및 척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협폭 볼록부와 당해 다른 쪽에 의해 걸림 결합 개구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양쪽에 형성된 협폭 볼록부에 의해 걸림 결합 개구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걸림 결합 개구에 와이어를 삽입할 때, 당해 와이어가 접촉하는 클립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와이어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훅부의 대향하는 양 측면 중 상기 선단측의 부분에는, 상기 훅부를 상기 선단을 향해 끝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양 테이퍼면에 의해 훅부의 선단측을 끝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걸림 결합 개구에 대한 와이어의 삽입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협폭 볼록부는 상기 훅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협폭 볼록부의 상기 제3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는, 상기 훅부의 상기 제3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폭 치수에 대해 18 내지 70%의 치수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와이어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와이어를 적절하게 빠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서는, 상기 협폭 볼록부에는, 상기 걸림 결합 개구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척부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경사진 선단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걸림 결합 개구에 삽입되기 직전의 와이어를 선단 가이드면에 의해 걸림 결합 개구에 안내할 수 있어 와이어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 구조는, 표피재에 장착되는 피보유 지지체와, 쿠션재의 홈 내에 배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피보유 지지체를 보유 지지하면서 상기 와이어에 걸림 결합되는 전술한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 구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표피재 고착용 클립의 작용 효과를 발휘 가능한 표피재 고착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의 직경 치수의 대형화의 요망에 대응할 수 있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 및 표피재 고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를 전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의 클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의 클립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의 클립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의 시공 수순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에 의한 표피재의 고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의 클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의 클립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의 클립의 시공 수순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클립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클립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클립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클립의 제3 변형예의 시공 수순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클립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클립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클립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클립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클립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클립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클립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10)는, 자동차 등의 차량용 좌석의 쿠션재(2)의 표면을 덮는 표피재(3)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표피재 고착 구조(10)는, 쿠션재(2)에 형성된 홈(2A)에 배치된 선상체인 단면 원 형상의 와이어(20)와, 표피재(3)의 이면에 장착된 피보유 지지체(30)와, 와이어(20)에 걸림 결합되면서 피보유 지지체(30)를 보유 지지하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40)(이하, 「클립」이라고 칭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클립(40)의 길이 방향(제3 방향(피보유 지지체(3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X축 방향이라고 하고, 클립(40)의 좌우 방향(제2 방향)을 Y축 방향이라고 하고, 클립(40)의 상하 방향(제1 방향)을 Z축 방향이라고 한다. X, Y, Z축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쿠션재(2)는, 좌석의 형상으로 성형된 발포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 우레탄폼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20)의 직경 치수는, 피보유 지지체(30)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혹은, 클립(40)의 피보유 지지체(30)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홈(59)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 W3)에 대해 60% 내지 100%의 치수로 되어 있다. 표피재(3)는 합성 수지 직물 시트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클립(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보유 지지체(30)를 보유 지지하는 척부(50)와, 와이어(20)와 걸림 결합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훅부(60)와, 훅부(60)의 선단(63)과의 사이에 개구 치수 W를 가진 걸림 결합 개구(41)를 형성하는 걸림 볼록부(70)를 갖고 있다. 걸림 결합 개구(41)의 개구 치수 W(최솟값이 되는 개구 치수)는, 보유 지지 홈(59)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 W3(최대 폭 치수)에 대해 50% 내지 80%의 치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65%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척부(50)는, 기저부(51)와, 기저부(51)로부터 Z축 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Y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한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를 갖고 있다.
기저부(51)는,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후술하는 내측면(54)에 연속된 저면(511)과, 훅부(60)의 후술하는 홈 형성면(61)에 연속된 원호면(512)을 갖고 있다. 기저부(51)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는 두께 치수 T1(Z축 방향의 두께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두께 치수 T1은, 제1 보유 지지편부(52A)의 기단(56)측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두께 치수 T2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기단(56)의 Y축 방향의 치수도 두께 치수 T2로 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는, 기저부(51)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 연속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편부(52A)는 외측면(53) 및 내측면(54)을 갖고 있고, 내측면(54)은 Z축 방향을 따른 내면(541)과, 내면(541)에 대해 기저부(51)측에 있는 경사 내면(5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편부(52A)의 선단(55)측에 위치하는 경사 내면(542)의 단부(543)는 내면(541)에 연속되어 있고, 기저부(51)측에 위치하는 경사 내면(542)의 단부(544)는 기저부(51)의 후술하는 저면(511)에 연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보유 지지편부(52A)는, 그 선단(55)으로부터 제2 보유 지지편부(52B)측을 향해 Y축 방향으로 돌출된 갈고리부(57)를 갖고 있고, 갈고리부(57)는 내면(541)에 연속된 걸림 결합 내면(571)을 갖고 있다.
경사 내면(542)은, 단부(544)가 단부(543)보다도 제2 보유 지지편부(52B)측에 위치하도록 Z축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고, 이 때문에, 제1 보유 지지편부(52A) 중 경사 내면(542)이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두께 치수는, 당해 제1 보유 지지편부(52A)의 기단(56)측으로부터 선단(55)측을 향해 점감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내면(542)은 제1 보유 지지편부(52A)의 Z축 방향을 따른 영역 중 절반 이상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제1 보유 지지편부(52A)의 기단(56)으로부터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절반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가, 당해 영역에 대해 선단(55)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편부(52A)의 전술한 두께 치수 T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56)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치수이며, 기저부(51)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 T1에 대해 2배 이상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제2 보유 지지편부(52B)는, 제1 보유 지지편부(52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좌우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제1 보유 지지편부(52A)의 각 구성과 동일 부호를 적절하게 붙인다.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갈고리부(57)는, Y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근하는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갈고리부(57)끼리의 사이에는 피보유 지지체(30)가 삽입되는 보유 지지 개구(58)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부(51)의 저면(511),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내측면(54), 그리고 갈고리부(57)의 걸림 결합 내면(571)에 의해 피보유 지지체(30)가 배치되는 보유 지지 홈(59)이 형성되어 있다.
훅부(6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홈 형성면(61)을 갖고 만곡 형성되어 있고, 훅부(60)의 기단(62)은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에 연속되어 있고, 훅부(60)의 선단(63)은 걸림 볼록부(70)와의 사이에 걸림 결합 개구(41)를 형성하고 있다.
걸림 볼록부(70)는, 훅부(60)의 기단(62)에 대해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걸림 볼록부(70)는, 제1 보유 지지편부(52A)의 기단(56)에 연속되어 있음과 함께 기단(56)으로부터 훅부(60)의 선단(63)측을 향해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림 볼록부(70)는, 단부면(71)과, 단부면(71) 및 기저부(51)의 원호면(512)에 연속된 원호면(72)을 갖고 있다.
이 훅부(60)에 있어서는, 홈 형성면(61) 및 원호면(72, 512)에 의해 와이어(20)가 배치되는 걸림 결합 홈(6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결합 홈(65)의 직경 치수는 와이어(20)의 직경 치수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클립(40)에 있어서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갈고리부(57)의 걸림 결합 내면(571)의 치수를 치수 L1이라고 하고, X축 방향에 있어서의 갈고리부(57)의 걸림 결합 내면(571)으로부터 기저부(51)의 저면(511)까지의 치수를 치수 L2라고 하고, Z축 방향에 있어서 기저부(51) 및 걸림 볼록부(70)를 합친 치수(기저부(51)의 저면(511)으로부터 걸림 볼록부(70)의 단부면(71)까지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치수 L3이라고 하고, 훅부(60)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의 와이어(20)의 둘레면과 걸림 볼록부(70)의 원호면(72) 사이의 치수를 치수 L4라고 하면, 다음 식(1)의 관계로 설정된다. 즉, 치수 L1, 치수 L2 및 치수 L3은, 치수 L2를 치수 L3으로 나눈 치수에 치수 L1을 곱하여 산출한 치수가 치수 L4보다도 커지는 설정이 된다.
Figure 112020112414784-pct00001
클립(40)에서는 각 치수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보유 지지체(30)에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인발력이 가해진 경우,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가 탄성 변형되면서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벌어지려고 하면, 걸림 볼록부(70)가 와이어(20)에 접근 이동하여 당해 와이어(20)의 둘레면에 맞닿고, 제1 보유 지지편부(52A)가 벌어짐 억제된다. 이 때문에, 피보유 지지체(30)의 인발이 억제된다. 이와 동시에, 걸림 볼록부(70)가 와이어(20)의 둘레면에 맞닿으므로 당해 와이어(20)가 빠짐 방지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시공 수순]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10)의 시공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표피재(3)가 장착된 피보유 지지체(30)를 클립(40)의 보유 지지 개구(58)에 삽입하여 보유 지지 홈(59)에 배치하면서 갈고리부(57)의 걸림 결합 내면(571)과 걸림 결합시켜 빠짐 방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클립(40)을 쿠션재(2)의 홈(2A) 내에 Z축 방향을 따라 삽입하여 클립(40)을 와이어(20)에 걸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40)을 홈(2A) 내에 삽입하면서 Z축 방향(클립의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여, 훅부(60)의 선단(63) 및 걸림 볼록부(70)를 와이어(20)의 둘레면에 맞닿게 한다. 계속해서, 클립(40)을 와이어(20)에 압박 접촉시켜, 걸림 결합 개구(41)가 벌어지도록 훅부(6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개구(41)로부터 걸림 결합 홈(65)으로 밀어 넣어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 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와이어(20)는 홈 형성면(61) 및 원호면(72, 512)에 둘러싸여 있고, 이에 의해, 훅부(60)에 와이어(20)가 걸림 결합되게 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1)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결합 개구(41)의 개구 치수 W가 보유 지지 홈(59)의 폭 치수 W3에 대해 50 내지 80%의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보유 지지 홈(59)의 폭 치수 W3에 대해 60% 내지 100%의 치수를 직경 치수로서 가진 대형의 와이어(20)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개구 치수 W를 와이어(20)의 직경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설정함으로써,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홈(65)에 삽입했을 때의 클릭감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와이어(20)의 걸림 결합 홈(65)으로부터의 빠짐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제1 실시 형태에서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갈고리부(57)의 치수를 치수 L1이라고 하고, Z축 방향에 있어서의 갈고리부(57)로부터 기저부(51)까지의 치수를 치수 L2라고 하고, Z축 방향에 있어서 기저부(51) 및 걸림 볼록부(70)를 합친 치수를 치수 L3이라고 하고, 훅부(60)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의 와이어(20)와 걸림 볼록부(70) 사이의 치수를 치수 L4라고 한 경우, 치수 L1, 치수 L2 및 치수 L3은, 치수 L2를 치수 L3으로 나눈 치수에 치수 L1을 곱하여 산출한 치수가 치수 L4보다도 커지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보유 지지체(30)에 척부(50)로부터의 인발력이 가해져 제1 보유 지지편부(52A)가 Y축 방향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걸림 볼록부(70)에 와이어(20)를 향하는 이동력이 발생하여 당해 걸림 볼록부(70)에 의해 와이어(20)가 빠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한편, 걸림 볼록부(70)가 와이어(20)에 맞닿음으로써 제1 보유 지지편부(52A)가 Y축 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척부(50)에 있어서의 피보유 지지체(30)의 보유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직경 치수가 2㎜ 정도인 일반적인 금속 와이어와 비교하여 직경 치수가 4㎜ 정도로 큰 와이어(20)에 대해, 클립(40)을 적합하게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3) 기저부(51)의 두께 치수 T1은,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측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 T2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보유 지지체(30)를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 사이에 삽입할 때, 두께 치수 T1이 작은 기저부(51)에 탄성 변형을 발생시킴으로써, 당해 피보유 지지체(30)를 삽입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훅부(60)에 와이어(20)를 걸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피보유 지지체(30)가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사이로부터 인발되려고 해도, 걸림 볼록부(70)가 와이어(20)에 압접됨으로써 제1 보유 지지편부(52A)의 벌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4)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 T2는, 기저부(51)의 두께 치수 T1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의 부분보다도 기저부(51)에 있어서 탄성 변형을 발생시키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강도를 높여 피보유 지지체(30)의 보유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피보유 지지체(30)가 척부(50)로부터 인발되려고 할 때에는 기저부(51)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걸림 볼록부(70)에 와이어(20)를 향하는 이동력을 발생시켜 와이어(20)가 빠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5)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으로부터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절반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가, 당해 영역에 대해 선단(63)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보유 지지체(30)를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사이에 삽입 가능한 정도의 탄성을 선단(55)측의 영역에 남기면서 기단(56)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강도가 높아진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를 구성할 수 있고,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 사이에 피보유 지지체(30)를 삽입 가능하면서 피보유 지지체(30)에 대한 척부(50)의 보유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6)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두께 치수는, 그 기단(56)측으로부터 선단(55)측을 향해 점감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보유 지지체(30)를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 사이에 삽입 가능한 정도의 탄성을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선단(55)측에 있어서의 영역에 남기면서 기단(56)측에 있어서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탄성 변형이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10B)는, 와이어(20), 피보유 지지체(30B) 및 클립(40B)(표피재 고착용 클립)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20) 및 피보유 지지체(30B)는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개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클립(40B)은, 피보유 지지체(30B)를 보유 지지하는 척부(50B)와, 와이어(20)와 걸림 결합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훅부(60B)를 갖고 있다. 척부(50B)는, 기저부(51B)와, 기저부(51B)로부터 Z축 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Y축 방향에서 서로 대향한 제1 보유 지지편부(521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1B)를 갖고 있고, 기저부(51B), 제1 보유 지지편부(521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에 의해 보유 지지 홈(59)이 구성되어 있다. 훅부(60B)는, 척부(50B)의 후술하는 제1 보유 지지편부(521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대략 원호상의 홈 형성면(61B)을 갖고 만곡 형성되어 있다.
기저부(51B)는, 제1 보유 지지편부(521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의 내측면(54)에 연속된 저면(511)을 갖고 있다.
제1 보유 지지편부(521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1B)는, 기저부(51B)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부에 연속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편부(521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의 내측면(54)은 전술한 내면(541) 및 경사 내면(5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편부(521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의 선단(55)에는 갈고리부(57)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갈고리부(57)의 사이에 보유 지지 개구(5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편부(521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의 기단측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두께 치수는, 기저부(51)의 Z축 방향의 두께 치수에 대해 2배 이상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척부(50B)는, 기저부(51B) 및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에 의해 구성되는 와이어 수용면(501)을 갖고 있고, 와이어 수용면(501)은, 홈 형성면(61B) 및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의 외측면(53)에 연속되어 있고, 이 와이어 수용면(501)과 훅부(60B)의 선단(63) 사이에는 걸림 결합 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개구(41)의 개구 치수 W는 보유 지지 홈(59)의 폭 치수 W3에 대해 50% 내지 80%의 치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65%의 치수로 되어 있다. 와이어 수용면(501)은, Y축 방향에 대해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으로부터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을 향함에 따라 훅부(60B)의 선단(63)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져 있고, 도 8에서는 우측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훅부(60B)는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에 연속되어 있다. 훅부(60B)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 W2는, 클립(40B)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폭 치수 W1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고, 차분은 치수 D이다. 훅부(60B)의 선단(63)은 Y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의 외측면(53)보다도 치수 D분을 갖고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훅부(60B)는 그 선단(63)에 연속된 가이드면(64)을 갖고 있다.
가이드면(64)은, Y축 방향(Y축 방향을 따른 가상선 H)에 대해,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으로부터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을 향함에 따라 와이어 수용면(501)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져 있다. 훅부(60B)의 선단(63)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면(64)의 단부(가상선 H와의 접점)는, Y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편부(521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1B) 사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Z축 방향을 따른 가상선 C에 대해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면(64)을 따른 가상 경사선(64B)이 가상선 H에 교차하는 각도는 경사 각도 θ가 된다. 경사 각도 θ는,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개구(41)로 안내하기 위해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35°로 설정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시공 수순]
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피재 고착 구조(10B)의 시공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피보유 지지체(30B)를 클립(40B)의 보유 지지 개구(58)에 삽입하여 보유 지지 홈(59)에 배치하면서 갈고리부(57)와 걸림 결합시켜 빠짐 방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클립(40B)을 쿠션재(2)의 홈(2A)(도 5 및 도 6 참조)에 삽입하여 훅부(60B)를 와이어(20)에 걸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클립(40B)을 홈(2A) 내에 삽입함으로써 훅부(60B)를 와이어(20)에 맞닿게 하고, 클립(40B)을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게 하여 가이드면(64)을 따라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개구(41)로 안내한다. 이와 같이 안내된 와이어(20)는 와이어 수용면(501)에 맞닿으면서 훅부(60B)의 선단(63)에 맞닿은 상태가 되어, 훅부(60B)가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 결합 홈(65)에 압입되어, 걸림 결합 홈(65)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훅부(60B)에 와이어(20)를 걸림 결합시킨다. 훅부(60B)에 와이어(20)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20)의 축심 O는 가상선 C보다도 Y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 9에서는 피보유 지지체(30B)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걸림 결합 개구(41)의 개구 치수 W가 보유 지지 홈(59)의 폭 치수 W3에 대해 50% 내지 80%의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20)의 직경 치수의 대형화의 요망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효과와 빠짐 방지 효과가 있다.
(2) 와이어(20)가 삽입되는 걸림 결합 개구(41)가 와이어 수용면(501)과 훅부(60B)의 선단(63) 사이에 있으므로, 클립(40B)은 그 전체를 쿠션재(2)의 홈(2A)으로의 삽입 방향(Z축 방향)에 대해 기울이면서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개구(41)에 삽입하게 된다. 클립(40B)에서는, 훅부(60B)의 선단(63)이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의 외측면(53)보다도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클립(40B)을 삽입 방향(Z축 방향)에 대해 크게 기울이는 일 없이 척부(50B)의 와이어 수용면(501)에서 와이어(20)를 수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훅부(60B)의 선단(63) 및 와이어 수용면(501) 사이의 걸림 결합 개구(41)에 와이어(20)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어, 훅부(60B)에 와이어(20)를 간단하게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훅부(60B)의 선단(63) 및 와이어 수용면(501) 사이의 직경 치수보다도 큰 직경 치수를 가진 와이어(20)를 훅부(60B)에 걸림 결합시키지만,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와이어(20)를 훅부(60B)의 선단(63)과 와이어 수용면(501)에 맞닿은 상태로 할 수 있어 걸림 결합 개구(41)에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3) 훅부(60B)는, 그 선단(63)에 연속된 가이드면(64)을 갖고 있고, 가이드면(64)은, Y축 방향에 대해,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으로부터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을 향함에 따라 와이어 수용면(501)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클립(40B)을 쿠션재(2)의 홈(2A) 내에 삽입하고, 가이드면(64)을 와이어(20)에 닿게 하면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클립(40B)에 틸팅을 발생시키면서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개구(41)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4) 훅부(60B)는,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에 연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수용면(501)에 연속된 홈 형성면(61B)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 결합 홈(65)을 크게 구성할 수 있어, 보다 직경 치수가 큰 와이어(20)에 훅부(60B)를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 사이즈의 걸림 결합 홈(65)을 구성하면서 훅부(60B)의 선단(63)을 보다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에 치우치게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훅부(60B)를 와이어(20)에 걸림 결합시키기 위해 클립(40B)을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이는 각도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5) 훅부(60B)의 선단(63)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면(64)의 단부는, Y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편부(521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1B) 사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Z축 방향을 따른 가상선 C보다도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훅부(60B)의 상기 단부가 가상선 C보다도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가이드면(64)을 그 경사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쿠션재(2)의 홈(2A)에 삽입되는 클립(40B)이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되어 있어도, 광범위에 있어서 가이드면(64)을 와이어(20)에 닿게 할 수 있다.
(6) 와이어 수용면(501)은, Y축 방향에 대해,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으로부터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을 향함에 따라 훅부(60B)의 선단(63)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와이어 수용면(501)이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클립(40B)을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였을 때에 와이어(20)측에 투영되는 면 영역을 넓게 취할 수 있어, 이 면 영역에서 와이어(2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변형예]
제1,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클립(40, 40B)은, 걸림 결합 개구(41)의 개구 치수 W보다도 직경 치수가 큰 와이어(20)에 걸림 결합시키고 있지만, 예를 들어 이 개구 치수 W보다도 직경 치수가 작은 2㎜ 정도의 와이어에 걸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척부(50)의 기저부(51)의 두께 치수 T1은,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측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 T2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지만, 동등하거나 이보다 큰 치수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두께 치수 T2는 두께 치수 T1에 대해 2배 이상의 치수로 되어 있지만, 2배 미만의 치수여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치수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으로부터 선단(55)을 향하는 절반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가, 당해 영역에 대해 선단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으로부터 선단(55)을 향하는 절반 이하의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가, 당해 영역보다도 선단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치수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유 지지편부(52A) 중 경사 내면(542)이 형성된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는, 제1 보유 지지편부(52A)의 기단(56)측으로부터 선단(55)측을 향해 점감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두께 치수가 일정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훅부(60B)의 선단(63)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면(64)의 단부는, Y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편부(521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1B) 사이의 중앙을 통과하는 Z축 방향을 따른 가상선 C보다도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상선 C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가상선 C보다도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수용면(501)은, Y축 방향에 대해,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으로부터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을 향함에 따라 훅부(60B)의 선단(63)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져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Y축 방향과 평행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40)의 걸림 볼록부(70) 및 와이어(20) 사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이 형성되고, 이 때문에 걸림 볼록부(70)와 와이어(20) 사이의 치수 L4는 제로보다도 큰 치수가 되지만,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와 같이 와이어(20) 및 걸림 결합 홈(65)의 직경 치수를 동등한 치수로 하고 치수 L4를 제로로 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저부(51)에는 원호면(512)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와 같이, 기저부(51) 중 훅부(60)의 기단(62)과 걸림 볼록부(7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척부(50)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514)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514)를 형성함으로써, 기저부(51) 중 오목부(514)가 형성된 부분의 Z축 방향의 두께 치수가 작아지므로, 상기 부분에 있어서 탄성 변형을 발생시키기 쉬워져, 상기 부분의 탄성 변형에 의해 피보유 지지체(30)를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 사이에 삽입하기 쉽고, 또한 걸림 볼록부(70)에 와이어(20)를 향하는 이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척부(50B)의 와이어 수용면(501)은, 그 전체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제3 변형예와 같이 부분적으로 우측 상향으로 경사진 와이어 수용면(502)으로 해도 된다.
와이어 수용면(502) 중 Y축 방향에 있어서 훅부(60B)의 선단(63)보다도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의 외측면(53)측에 위치하는 부분(502A)은, Y축 방향에 대해,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으로부터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을 향함에 따라 훅부(60B)의 선단(63)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져 있고, 도 12에 있어서 우측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한편, 와이어 수용면(502) 중 Y축 방향에 있어서 훅부(60B)의 선단(63)보다도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에 위치하는 부분(502B)은, Y축 방향에 대해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으로부터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을 향함에 따라 훅부(60B)의 선단(63)에 접근하는 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수용면(502)은 굴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수용면(502)의 부분(502B)을 부분(502A)과는 역방향으로 경사시킴으로써, 클립(40B)의 상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직경 치수가 큰 와이어(20)에 대응한 소정의 넓이의 걸림 결합 홈(6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변형예에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훅부(60B)의 선단(63)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면(64)의 단부는 가상선 C에 대해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면(64)은 보다 길게 형성되어, 와이어(20)에 닿게 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3 변형예의 클립(40B)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20)에 걸림 결합된다.
우선, 훅부(60B)를 와이어(20)에 맞닿게 하고, 클립(40B)을 삽입 방향에 대해 기울게 하여 가이드면(64)을 따라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개구(41)로 안내한다. 이와 같이 안내된 와이어(20)는 와이어 수용면(502)의 부분(502A)에 맞닿게 하면서 훅부(60B)의 선단(63)에 맞닿은 상태가 되고, 훅부(60B)가 탄성 변형되면서 걸림 결합 홈(65)에 압입되어, 걸림 결합 홈(65)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훅부(60B)를 와이어(20)에 걸림 결합시킨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척부(50B)의 와이어 수용면(501)은, 그 전체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또한 제3 변형예에서는, 와이어 수용면(502)이 부분적으로 우측 상향으로 경사져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제4 변형예와 같이 우측 하향으로 경사진 와이어 수용면(503)으로 해도 된다.
제1, 제2 실시 형태나 제1 내지 제4 변형예에서는, 훅부(60, 60B)의 선단(63)은 당해 훅부(60, 60B)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폭 치수를 갖고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제5 변형예와 같이, 훅부(60B)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폭 치수(82)보다도 작은 X축 방향의 폭 치수(81)를 깆고 형성된 협폭 볼록부(80)가, 훅부(60, 60B)의 선단(63)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5 내지 도 1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4 변형예에 관한 클립(40B)에 협폭 볼록부(8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협폭 볼록부(80)는, 척부(50B)의 기저부(51B)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협폭 볼록부(80)와 기저부(51B)에 의해 형성된 걸림 결합 개구(41)에 와이어(20)를 삽입할 때, 당해 와이어(20)가 접촉하는 클립(40B)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와이어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협폭 볼록부(80)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81)는 훅부(60B)의 최대 폭 치수(82)에 대해 18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5%의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와이어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협폭 볼록부(80)의 폭 치수(81)가 과도하게 작아지지 않으므로 와이어(20)를 적절하게 빠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협폭 볼록부(80)에는, 걸림 결합 개구(41)의 외측을 향함에 따라 기저부(51B)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경사진 선단 가이드면(8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림 결합 개구(41)에 삽입되기 직전의 와이어(20)를 선단 가이드면(83)에 의해 걸림 결합 개구(41)로 안내할 수 있어 와이어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훅부(60B)의 X축 방향에 대향하는 양 측면 중 선단(63)측의 부분에는, 훅부(60B)를 선단(63)을 향해 끝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는 테이퍼면(601)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601)의 선단 사이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폭 치수는 최대 폭 치수(82)보다 작고, 폭 치수(81)보다 큰 치수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와이어(20)의 걸림 결합 개구(41)로의 삽입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훅부(60B)의 최대 폭 치수(82)를 8㎜로 하면서 걸림 결합 개구(41)의 개구 치수 W를 3.1㎜로 한 경우, 협폭 볼록부(80)의 폭 치수를 3㎜로 하고, 테이퍼면(601)의 선단 사이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폭 치수를 5.5㎜로 해도 된다. 또한, 협폭 볼록부(80)의 폭 치수를 1.5 내지 5.5㎜의 범위에서 설정해도 되고, 협폭 볼록부(80)의 폭 치수를 5.5㎜로 하는 경우에는, 협폭 볼록부(80)의 폭 치수와 테이퍼면(601)의 선단 사이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폭 치수가 동일 치수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훅부(60B)의 선단(63)에 협폭 볼록부(80)가 형성되는 경우, 기저부(51B)에 폭이 좁은 리브를 형성하고, 이 리브의 훅부(60B)측의 면을 와이어 수용면으로서 구성해도 되고, 또한 이 와이어 수용면에 협폭 볼록부(80)를 추가로 형성해도 되고, 이 협폭 볼록부(80)의 돌출단을 뾰족한 첨단으로 해도 된다.
또한, 협폭 볼록부(80)는, 훅부(60B)의 선단(63)을 대신하여, 또는 추가하여, 기저부(51B)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 협폭 볼록부(80)의 폭 치수(81)는 기저부(51B)의 최대 폭 치수(82)보다 작은 치수가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 폭 치수(82)에 대해 18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5%의 치수가 되어도 된다. 또한, 훅부(60B)의 선단(63) 및 기저부(51B)의 양쪽에 협폭 볼록부(80)가 형성되는 경우, 양쪽의 협폭 볼록부(80)의 훅부(60B) 및 기저부(51B)의 최대 폭 치수(82)에 대해 25% 정도의 치수로 되어도 되고, 양쪽의 협폭 볼록부(80)가 서로 X축 방향으로 다른 위치로 오프셋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협폭 볼록부(80)는 그 돌출단이 뾰족한 첨단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4 변형예에 관한 클립(40B)에 협폭 볼록부(80)가 형성된 것을 제5 변형예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제2 실시 형태나 제1 내지 제3 변형예에 협폭 볼록부(80)를 형성한 것으로 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 및 제1, 제2 변형예에 관한 클립(40)에서는, 걸림 볼록부(70)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84)를 작게 하거나 형상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협폭 볼록부(80)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전술한 작용 효과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나 제3,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클립(40B)에서는 두께 감소부가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두께 감소부를 생략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 홈(65)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하 치수는 와이어(20)의 직경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가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하는 제6 변형예와 같이, 와이어(20)의 직경 치수 R(결합 홈(65)에 걸림 결합되는 와이어(20)의 상정 직경 치수)에 대해 치수 C1만큼 큰 치수가 되어도 된다. 여기서는, 치수 C1은 걸림 결합 홈(65)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 치수에 대해 25% 정도의 치수이다. 또한, 제6 변형예에 관한 클립(40B)의 와이어 수용면(504)은, 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걸림 결합되는 와이어(20)에 예를 들어 직경 치수 R이 4㎜ 정도인 와이어를 채용하는 경우, 걸림 결합 홈(65)의 상하 치수가 작으면, 와이어(20)의 둘레면에 남는 우레탄폼이 홈 형성면(61B)이나 와이어 수용면(504)(도 19 참조)에 닿아 걸림 결합 홈(65)을 벌려서 개구 치수 W가 커져, 와이어(20)가 탈락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6 변형예에서는, 걸림 결합 홈(65)의 상하 치수를 전술한 바와 같이 큰 치수로 하고 있으므로, 와이어(20)의 둘레면에 우레탄폼이 남아 있어도, 와이어(20)와 와이어 수용면(504)(도 19 참조) 사이에 공간(651)이 확보된다. 이 때문에, 와이어(20)의 둘레면에 남는 우레탄폼 등에 의해 걸림 결합 홈(65)이 벌어져 개구 치수 W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와이어(20)의 걸림 결합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6 변형예에 관한 클립(40B)은, 훅부(60B)의 선단(63)에 형성된 빠짐 방지 되꺾임면(66)을 갖고 있다. 빠짐 방지 되꺾임면(66)은, 걸림 결합 홈(65)의 홈 형성면(61B)에 연속되어 있고, 당해 걸림 결합 홈(65)으로부터 보유 지지 홈(59)측을 향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Z축 방향을 따르고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20)가 걸림 결합 개구(41)측을 향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해도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되꺾임면(66)에 닿음으로써 빠짐 방지된다.
빠짐 방지 되꺾임면(66) 및 가이드면(64)에는 Y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삽입 안내면(67)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안내면(67)의 폭 치수(빠짐 방지 되꺾임면(66) 및 가이드면(64) 사이의 치수)는 예를 들어 2㎜ 정도가 되도록 길게 함으로써,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개구(41)로 안내하기 쉬운 구성이 된다.
홈 형성면(61B) 중 빠짐 방지 되꺾임면(66)에 연속되는 부분은,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으로부터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을 향해 Y축 방향에 대해 상방으로 약간 경사진 경사면(652)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면(652)을 형성함으로써, 걸림 결합 홈(65)의 홈 안쪽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를 크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걸림 결합 홈(65)에 삽입된 와이어(20)를 경사면(652)에 의해 홈 안쪽으로 안내할 수 있어, 치수 C1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652)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20)가 빠짐 방지 되꺾임면(66)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므로 와이어(20)의 보유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변형예에 관한 클립(40B)은, 와이어 수용면(504)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빠짐 방지 볼록부(68)를 갖고 있다. 제6 변형예에서는, 걸림 결합 개구(41)의 개구 치수 W는 빠짐 방지 볼록부(68)의 선단 부분과 빠짐 방지 되꺾임면(66) 및 삽입 안내면(67)과의 연속 부분 사이의 치수이다. 빠짐 방지 볼록부(68)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수용면(504)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보다 작은 폭 치수를 갖고 있고, 와이어 수용면(504)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빠짐 방지 볼록부(68)를 협폭으로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수용면(504)의 전체 폭에 빠짐 방지 볼록부(68)가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와이어(20)의 삽입성이 향상되어 있는 데다가,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개구(41)로부터 걸림 결합 홈(65)에 다 삽입하였을 때의 클릭감을 연출할 수 있어, 와이어(20) 삽입을 눈으로 볼 수 없어도 삽입 완료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빠짐 방지 볼록부(68)에 대해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에 연속되는 면은,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측으로부터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을 향해 Y축 방향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 안내면(505)으로 되어 있다. 경사 안내면(505) 및 삽입 안내면(67)을 가상적으로 연장시킨 경우에 교차하는 각도는, 예를 들어 52도 정도가 되도록 큰 각도로 함으로써,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개구(41)로 안내하기 쉬운 구성이 된다.
빠짐 방지 볼록부(68)(특히 선단 부분)는, Y축 방향에 있어서 빠짐 방지 되꺾임면(66)에 대해 차분 D1분을 갖고 제1 보유 지지편부(521A)측(결합 개구(4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차분 D1은 예를 들어 0.7㎜ 내지 1.4㎜ 정도이다. 이 때문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되꺾임면(66)에 닿은 와이어(20)가 다시 빠짐 방지 되꺾임면(66)을 타고 넘어 걸림 결합 개구(41)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이동하더라도, 빠짐 방지 볼록부(68)가 와이어(20)에 닿음으로써 빠짐 방지된다. 이와 같이, 빠짐 방지 되꺾임면(66)에 의한 제1 단계의 빠짐 방지와 빠짐 방지 볼록부(68)에 의한 제2 단계의 빠짐 방지를 행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20)의 탈락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유 지지편부(521B)는, 도 19의 좌측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Z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외측면(522)을 갖고 있다. 한편, 빠짐 방지 볼록부(68)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되꺾임면(66)에 대해 차분 D1을 갖고 걸림 결합 개구(41)의 외측(도 19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개구에 압입하는 방향은 도 19에 있어서 좌측 비스듬히 상방이며, 이에 비해, 제2 보유 지지편부(521B)의 외측면(522)을 우측 비스듬히 하방으로 누를 수 있어, 와이어(20)를 걸림 결합 홈(65)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고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클립(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치수 L1 내지 L4는 식(1)의 관계가 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지만, 이 관계로부터 벗어나는 치수 설정으로 된 클립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클립이라도,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두께 치수가 크기 때문에 피보유 지지체(30)가 보유 지지 홈(59)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운 한편, 기저부(51)의 두께 치수가 작으므로 탄성 변형되기 쉬워, 걸림 볼록부(70)를 와이어(20)에 맞닿게 하여 당해 와이어(20)를 빠짐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10, 10B: 표피재 고착 구조
2: 쿠션재
20: 와이어
2A: 홈
3: 표피재
30, 30B: 피보유 지지체
40, 40B: 표피재 고착용 클립
41: 걸림 결합 개구
50, 50B: 척부
501, 502, 503, 504: 와이어 수용면
502A, 502B: 부분
505: 경사 안내면
51, 51B: 기저부
511: 저면
512, 72: 원호면
514: 오목부
52A, 52B, 521A, 521B: 보유 지지편부
522: 외측면
53: 외측면
54: 내측면
542: 경사 내면
55, 63: 선단
56, 62: 기단
57: 갈고리부
571: 걸림 결합 내면
58: 보유 지지 개구
59: 보유 지지 홈
60, 60B: 훅부
61, 61B: 홈 형성면
64: 가이드면
64B: 가상 경사선
65: 걸림 결합 홈
651: 공간
652: 경사면
66: 빠짐 방지 되꺾임면
67: 삽입 안내면
68: 빠짐 방지 볼록부
70: 걸림 볼록부
71: 단부면
80: 협폭 볼록부
83: 선단 가이드면
C, H: 가상선
C1, D, L1 내지 L4: 치수
D1: 차분
O: 축심
T1, T2: 두께 치수
W: 개구 치수
W1, 82: 최대 폭 치수
W2, W3, 81, 84: 폭 치수
R: 직경 치수
θ: 경사 각도

Claims (17)

  1. 표피재(3)에 장착된 피보유 지지체(30)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홈(59)을 형성하는 척부(50, 50B)와, 쿠션재(2)의 홈(2A) 내에 배치된 와이어(20)와 걸림 결합되는 훅부(60, 60B)와, 상기 척부(50, 50B)와 상기 훅부(60, 60B)의 선단(63)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 결합 개구(41)를 가진 표피재 고착용 클립(40, 40B)이며,
    상기 걸림 결합 개구(41)의 개구 치수(W)는, 상기 보유 지지 홈(59)의 폭 치수(W3)에 대해 50 내지 80%의 치수로 되어 있고,
    상기 척부(50)는, 기저부(51)와, 상기 기저부(51)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제2 보유 지지편부(52B)와, 상기 훅부(60)의 선단(63)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 볼록부(70)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52B)는,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근하는 측으로 돌출된 갈고리부(57)를 각각 갖고 있고,
    상기 훅부(60)의 기단(62)은, 제2 보유 지지편부(52B)측에 있어서 상기 척부(50)와 연속되어 있고,
    상기 걸림 볼록부(70)는, 제1 보유 지지편부(52A)측에 있어서 상기 척부(50)와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갈고리부(57)의 치수를 치수 L1이라고 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갈고리부(57)로부터 상기 기저부(51)까지의 치수를 치수 L2라고 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51) 및 상기 걸림 볼록부(70)를 합친 치수를 치수 L3이라고 하고, 상기 훅부(60)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어(20)와 상기 걸림 볼록부(70) 사이의 치수를 치수 L4라고 한 경우, 상기 치수 L1, 상기 치수 L2 및 상기 치수 L3은, 상기 치수 L2를 상기 치수 L3으로 나눈 치수에 상기 치수 L1을 곱하여 산출한 치수가 상기 치수 L4보다도 커지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51)의 두께 치수는,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측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60)의 기단(62) 및 상기 걸림 볼록부(7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저부(51) 중 상기 훅부(60)의 기단(62)과 상기 걸림 볼록부(7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척부(50)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5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는, 상기 기저부(51)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기단(56)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절반 이상의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가, 당해 영역에 대해 선단(55)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 지지편부(52A)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편부(52B)의 두께 치수는, 그 기단(56)측으로부터 선단(55)측을 향해 점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고착용 클립.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표피재(3)에 장착되는 피보유 지지체(30, 30B)와, 쿠션재(2)의 홈(2A) 내에 배치되는 와이어(20)와, 상기 피보유 지지체(30, 30B)를 보유 지지하면서 상기 와이어(20)에 걸림 결합되는 제1항에 기재된 표피재 고착용 클립(40, 4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고착 구조.
KR1020207030540A 2018-12-26 2019-12-13 표피재 고착용 클립 및 표피재 고착 구조 KR102462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3102 2018-12-26
JPJP-P-2018-243102 2018-12-26
JP2019070093 2019-04-01
JPJP-P-2019-070093 2019-04-01
PCT/JP2019/048945 WO2020137624A1 (ja) 2018-12-26 2019-12-13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および表皮材止着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486A KR20200135486A (ko) 2020-12-02
KR102462143B1 true KR102462143B1 (ko) 2022-11-03

Family

ID=7112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540A KR102462143B1 (ko) 2018-12-26 2019-12-13 표피재 고착용 클립 및 표피재 고착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44436B2 (ko)
JP (1) JP7085024B2 (ko)
KR (1) KR102462143B1 (ko)
CN (1) CN112004443B (ko)
DE (1) DE112019001929T5 (ko)
WO (1) WO2020137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2533B2 (en) * 2022-02-18 2023-10-03 Ykk Corporation Seat upholstery clip
WO2024057350A1 (en) * 2022-09-13 2024-03-21 R.Biemme Tech Srl Quick and easy-to-assemble armchair or sofa with upholstery compon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6979A (ja) * 2014-12-10 2016-06-20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320B2 (ja) 1978-07-10 1985-05-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二重菱形式昇重機
US20030215601A1 (en) 2002-02-22 2003-11-20 Woodbridge Foam Corporation Attachment device
JP4734549B2 (ja) * 2004-09-29 2011-07-2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トリムカバーの吊込み止着用クリップ
JP2007275557A (ja) * 2006-03-13 2007-10-25 Ykk Corp クリップ部材及びクッション部材の表皮材吊込構造
JP5163998B2 (ja) * 2007-10-23 2013-03-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トリムカバーの吊込み止着用クリップ並びに自動車用シート
JP5491100B2 (ja) * 2009-08-25 2014-05-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トカバー取付用クリップ、及びシートパッド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1177413A (ja) 2010-03-03 2011-09-15 Toyota Boshoku Corp 乗物用シート
JP3163446U (ja) 2010-08-04 2010-10-14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5609752B2 (ja) 2011-04-13 2014-10-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止着用クリップ
KR101618480B1 (ko) * 2011-11-09 2016-05-04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표피재 지착용 코드
JP6020320B2 (ja) 2013-04-11 2016-11-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止着用クリップ
JP6236257B2 (ja) * 2013-09-04 2017-11-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WO2015063944A1 (ja) * 2013-11-01 2015-05-07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KR101816465B1 (ko) * 2013-11-11 2018-01-0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표피재 고정용 걸림 부재
WO2016170687A1 (ja) * 2015-04-24 2016-10-27 Ykk株式会社 雌クリップ、発泡成形体及び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US10618800B2 (en) 2015-05-01 2020-04-14 Ykk Corporation Skin-material fixing clip
DE112016006640B4 (de) * 2016-03-23 2022-08-04 Ykk Corporation Bezugsstoffbefestigungsendelement
DE112016006628B4 (de) 2016-03-23 2022-08-04 Ykk Corporation Bezugsstoffbefestigungsmittel
WO2017187566A1 (ja) 2016-04-27 2017-11-02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WO2018148331A1 (en) * 2017-02-07 2018-08-16 Hope Global, Division Of Nfa Corp. Stop clip assembly for upholstery lis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6979A (ja) * 2014-12-10 2016-06-20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44436B2 (en) 2023-12-19
US20210137279A1 (en) 2021-05-13
JP7085024B2 (ja) 2022-06-15
DE112019001929T5 (de) 2021-02-25
CN112004443B (zh) 2023-01-31
CN112004443A (zh) 2020-11-27
KR20200135486A (ko) 2020-12-02
WO2020137624A1 (ja) 2020-07-02
JPWO2020137624A1 (ja)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9917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6362613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3186511U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KR102462143B1 (ko) 표피재 고착용 클립 및 표피재 고착 구조
JP3163446U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US20070022575A1 (en) String holder
WO2016178275A1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CN110621536A (zh) 移动引导装置和槽遮蔽单元
JP5336396B2 (ja) バンドクリップ
KR102138612B1 (ko) 표피재 고정 도구
US20180304782A1 (en) Clip
CN109153365A (zh) 带偏转器
CN109071208B (zh) 表皮材料固定用端部件
JP6612974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3205190U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6808836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WO2019150482A1 (ja) 表皮材固定部材
JP2024024788A (ja) 表皮材取付具
JP2023173258A (ja) 表皮材止着具
NZ750030A (en) A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