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297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297B1
KR102408297B1 KR1020197036537A KR20197036537A KR102408297B1 KR 102408297 B1 KR102408297 B1 KR 102408297B1 KR 1020197036537 A KR1020197036537 A KR 1020197036537A KR 20197036537 A KR20197036537 A KR 20197036537A KR 102408297 B1 KR102408297 B1 KR 10240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water
exhaust gas
case
tank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103A (ko
Inventor
코이치 카지하라
쇼타 쿠니마츠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42041A external-priority patent/JP64896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67565A external-priority patent/JP6602031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0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721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04Removing only nitrogen compounds
    • B01D53/9409Nitrogen oxides
    • B01D53/9413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B01D53/9418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for removing nitrogen oxides by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using a reducing agent in a lean exhaus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04Removing only nitrogen compounds
    • B01D53/9409Nitrogen oxides
    • B01D53/9431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 B01D53/9454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F01N3/03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with catalytic reactors, e.g. catalysed diesel particulat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01N3/208Control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e.g. dosing of reducing a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20Reductants
    • B01D2251/206Ammonium compounds
    • B01D2251/2067U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1Engine exhaust gases
    • B01D2258/012Diesel engines and lean burn gasolin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in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발명의 콤바인은 예취 장치(3)와, 탈곡 장치(5)와, 예취 장치(3) 또는 탈곡 장치(5)를 구동하는 엔진(14)과,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와, 엔진(14)을 내설시키는 엔진룸(97)와, 수확한 곡물을 반입하는 곡립 탱크(7)를 구비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엔진룸(97) 후방에 설치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 요소수를 공급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보다 하측에 설치한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HARVESTER}
본 발명은 포장에 식립한 곡간을 예취해서 곡립을 수집하는 콤바인, 또는 사료용 곡간을 예취해서 사료로서 수집하는 사료 콤바인 등의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젤 엔진 등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매연, 파티큘레이트), 또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질소 산화 물질(NOx) 등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디젤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후처리 장치)로서,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를 내설한 케이스(이하, DPF 케이스라고 한다)와 요소 선택 환원형 촉매를 내설한 케이스(이하, SCR 케이스라고 한다)를 설치하고, DPF 케이스와 SCR 케이스에 배기가스를 도입하고,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또한, 종래 콤바인은 포장의 미예취 곡간을 예취날 장치에 의해 절단하고, 곡간 반송 장치에 의해 탈곡 장치로 그 예취 곡간을 반송해서 탈곡하고, 곡립 탱크에 곡립을 수집하는 구조이며, 주행 기체에 엔진이 탑재되고, 그 엔진 상면측에 DPF 케이스가 수평 자세로 배치되어, 엔진으로부터 DPF 케이스를 향해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9-7442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2150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17723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209813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은 엔진룸에 엔진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 케이스)를 근접시켜서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엔진 부착부의 주변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SCR 케이스)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서, 엔진룸 용적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 케이스 또는 SCR 케이스) 용적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엔진룸 외측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 케이스 또는 SCR 케이스)를 지지시키는 구조에서는 DPF 케이스에 SCR 케이스를 접속시키는 요소 혼합관 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등의 부착 위치가 제한되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부착 구조를 간략화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화물 자동차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주행 기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 케이스 또는 SCR 케이스)를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지만, 배기가스 정화 장치 내의 배기가스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로 저하하기 쉬운 불량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요소 선택 환원형 촉매를 구비하는 것일 경우, 배기가스에 요소수를 혼합시키는 요소 혼합실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설치하고 있어, 상기 요소 혼합실에 요소수를 공급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요소 선택 환원형 촉매를 갖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했을 경우, 배기가스 정화 장치뿐만 아니라 요소 혼합실에 공급시키는 요소수를 저류하는 요소 탱크나, 요소수 탱크의 요소수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공급시키는 요소수 펌프 등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했다고 해도 충분하지 않고, 요소수 탱크나 요소수 펌프의 설치 장소도 필요로 된다. 또한, 저온 환경하에서는 요소수가 동결되는 경우가 있어서, 요소수의 동결에 의해 배기가스 정화 처리가 기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요소수 농도의 변화에 의해 정화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원발명은 이들의 현재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행한 콤바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예취 장치와, 탈곡 장치와, 상기 예취 장치 또는 상기 탈곡 장치를 구동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엔진을 내설시키는 엔진룸과, 수확한 곡물을 반입하는 곡립 탱크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상기 엔진룸 후방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요소수를 공급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를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보다 하측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과 상기 곡립 탱크에 의해 전후에 끼워진 위치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끼워진 위치에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를 배치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선별된 1번물을 상기 곡립 탱크로 반송하는 양곡(揚穀) 컨베이어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선별된 2번물을 재선별시키기 위해 상기 탈곡 장치의 선별부로 반송하는 환원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탈곡 장치 측면에 있어서 상기 양곡 컨베이어와 상기 환원 컨베이어에 의해 끼워진 영역에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를 고정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는 기체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후방에서 축지지되어 있고, 요소수를 저류하는 요소수 탱크를 상기 곡립 탱크 후방에 배치하는 한편,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를 상기 탈곡 장치 후방에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의 기체 프레임 하부에 요소수를 저류하는 요소수 탱크를 배치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탈곡 장치의 측방을 덮는 사이드 커버 내측에 요소수를 저류하는 요소수 탱크를 배치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요소수를 저류하는 요소수 탱크를 연료 탱크와 포개서 상기 탈곡 장치 하측에 배치하고, 상기 요소수 탱크의 급수구와 상기 연료 탱크의 급유구를 상기 탈곡 장치 외측을 향해서 돌설시키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곡립 탱크는 상기 엔진룸과 대향하는 면에 오목부를 갖고 있고, 상기 곡립 탱크의 오목부에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배치한 것으로서도 상관없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각각의 길이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를 좌우로 병설시키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 출구에 요소 혼합관을 통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배기 입구를 접속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각각과 평행하게 상기 요소 혼합관을 배치시키는 것으로서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병렬 형상으로 연결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갖고 있고, 주행 기체로부터 세워 설치시킨 지지 프레임으로 상기 고정 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 상기 엔진 프레임,및 상기 탈곡 장치 상면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엔진룸 후방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기 때문에, 엔진에 가까운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고온으로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작업자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 유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정화에 필요한 고온 환경하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할 수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있어서 높은 정화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보다 하방이 되는 위치에 요소수 공급 장치를 배치하기 때문에, 엔진 정지 후에 요소수를 순환시키지 않고 요소수 공급 장치를 통해서 요소수 탱크까지 환류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 정지 후에 요소수 공급 경로나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요소수가 잔류해서 결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정화 능력의 저하나 장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곡립 탱크 주변의 공간을 유효 이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 요소수 공급 장치 및 요소수 탱크를 배치함으로써, 곡립 탱크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근처에 요소수 공급 장치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요소수 공급 장치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연결하는 요소수 배관을 단척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배관 내의 요소수의 잔류를 억제할 수 있어 요소수의 결정화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탈곡 장치 측면에 있어서 양곡 컨베이어와 환원 컨베이어에 의해 끼워진 영역에 요소수 공급 장치를 배치하기 때문에, 요소수 공급 장치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곡립 탱크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곡립 탱크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립 탱크의 형상을 복잡화하는 일이 없어서, 그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요소수 탱크 사이에 요소수 공급 장치를 배치시키기 때문에, 요소수 탱크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의 요소수 배관을 단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와 요소수 탱크를 주행 기체 후방에서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연료와 요소수 각각의 공급구가 식별되기 쉬워진다. 또한, 곡립 탱크의 회동축 근방에 요소수 탱크를 배치함으로써, 곡립 탱크의 개폐에 근거하는 배관 거리의 차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곡립 탱크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요소수 배관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나 요소수 공급 장치보다 요소수 탱크를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요소수 배관 등에 잔류한 요소수를 요소수 탱크까지 환류할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를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요소수 탱크의 급수 위치를 하방으로 할 수 있어서 급수 작업이 하기 쉬워진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탈곡 장치 주위의 공간을 활용해서 요소수 탱크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탈곡 장치 측방에 설치한 요소수 공급 장치와 요소수 탱크의 요소수 배관을 단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를 대용량으로 형성하여, 곡립 탱크 주위 또는 엔진 주위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 시에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를 보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연료 탱크의 설치 스페이스를 활용해서 요소수 탱크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의 지지 구조를 활용해서 요소수 탱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료 공급부와 요소수 공급부를 근접시켜서 보급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6조 예취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엔진 주변 부품과 곡립 탱크 및 탈곡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엔진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 부착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탈곡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요소수 공급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가 되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 상의 부품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콤바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가 되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동 콤바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동 콤바인에 있어서의 요소수 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동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제 3 실시형태가 되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각 부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동 콤바인의 탈곡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제 4 실시형태가 되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 상의 부품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동 콤바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1은 동 콤바인에 있어서의 요소수 탱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 5 실시형태가 되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 상의 부품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동 콤바인의 연료 탱크와 요소수 탱크의 정면도(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동 콤바인의 연료 탱크와 요소수 탱크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내는 연료 탱크와 요소수 탱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나타내는 연료 탱크와 요소수 탱크를 분리시켰을 때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7은 동 콤바인의 연료 탱크와 요소수 탱크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연료 탱크와 요소수 탱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나타내는 요소수 탱크에 있어서 요소수를 만수로 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은 제 6 실시형태가 되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동 우측면도이다.
도 32는 엔진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 부착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4는 주행 기체 상의 부품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배치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이다.
도 36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배치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이다.
도 37은 엔진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8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 부착부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 부착부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을 참조하여, 디젤 엔진이 탑재된 실시형태의 콤바인의 전체 구조 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도 1∼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 쌍의 주행 크롤러(2)로 지지된 주행 기체(1)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는 곡간을 예취하면서 도입하는 6조 예취용의 예취 장치(3)가 단동식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예취 회동 지점축(4a) 주위에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행 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을 갖는 탈곡 장치(5)와, 상기 탈곡 장치(5)로부터 인출된 곡립을 저장하는 곡립 탱크(그레인 탱크)(7)가 횡배열 형상으로 탑재된다. 또한, 탈곡 장치(5)가 주행 기체(1)의 좌측에, 곡립 탱크(7)가 주행 기체(1)의 우측에 배치된다.
또한, 주행 기체(1)의 후방부에 종인출 컨베이어(8a)를 통해서 선회 가능한 곡립 배출 컨베이어(8)가 설치되고, 곡립 탱크(7)의 내부의 곡립이 곡립 배출 컨베이어(8)의 볏짚 투입구(9)로부터 트랙의 짐받이 또는 컨테이너 등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예취 장치(3)의 우측방이고 곡립 탱크(7)의 전측방에는 운전 캐빈(10)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10)의 전면 하부에 캐빈 회동 지점축(10a)을 설치하고, 캐빈 회동 지점축(10a)을 통해서 주행 기체(1)에 운전 캐빈(10)의 전면하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기외 전측방을 향해서 운전 캐빈(10)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캐빈 회동 지점축(10a) 주위에 운전 캐빈(10)을 전방측으로 회동 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운전 캐빈(10) 내에는 조종 핸들(11)과, 운전 좌석(12)과, 주변속 레버(15)와, 부변속 레버(16)와, 탈곡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탈곡 클러치 레버(17)와, 예취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는 예취 클러치 레버(18)를 배치하고 있다. 운전 좌석(12)의 하방의 주행 기체(1)에는 동력원으로서의 디젤 엔진(1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캐빈(10)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스텝과, 조종 핸들(11)을 설치한 핸들 컬럼과, 상기 각 레버(15, 16, 17, 18)를 설치한 레버 컬럼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1)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21)을 배치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21)에는 주행 크롤러(2)에 엔진(14)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22)과, 주행 크롤러(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23)와,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의 트랙 롤러(24)와,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유지하는 중간 롤러(25)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22)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전측을 지지하고, 텐션 롤러(23)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후측을 지지하고, 트랙 롤러(24)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지지하고, 중간 롤러(25)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엔진(14)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31)를 주행 기체(1)의 좌측 후방부에 배치하고, 탈곡 장치(5) 좌측의 기외 측방으로부터 연료 탱크(31) 내로 디젤 연료를 보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즉, 연료 탱크(31)는 주행 기체(1) 상에 있어서 탈곡 장치(5) 후방부의 짚배출 커터(65) 하방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급유구(32)(도 1 및 도 2 참조)를 탈곡 장치(5) 좌측에 이어 설치시켜서 기외 측방으로부터 급유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3)의 예취 회동 지점축(4a)에 연결한 예취 프레임(51)에는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의 밑둥을 절단하는 바리캉식 예취날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51)의 전방에는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을 일으키는 6조분의 볏짚 일으킴 장치(53)가 배치되어 있다. 볏짚 일으킴 장치(53)와 피드 체인(6)의 전단부(이송 선단측) 사이에는 예취날 장치(52)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54)가 배치된다. 또한, 볏짚 일으킴 장치(53)의 하부 전방에는 미예취 곡간을 분초하는 6조분의 분초체(55)가 돌설되어 있다.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예취 장치(3)에 의해 포장에 식립한 미예취 곡간을 연속적으로 예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탈곡 장치(5)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에는 곡간 탈곡용 급동(56)과, 급동(56)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탈곡물을 선별하는 요동 선별반(57) 및 풍구팬(58)과, 급동(56)의 후방부로부터 인출되는 탈곡 배출물을 재처리하는 처리통(59)과, 요동 선별반(57)의 후방부의 배진을 배출하는 배진팬(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예취 장치(3)로부터 곡간 반송 장치(54)에 의해 반송된 곡간은 피드 체인(6)으로 이어 받아지고, 탈곡 장치(5)로 반입되어서 급동(56)에서 탈곡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57)의 하방측에는 요동 선별반(57)에서 선별된 곡립(1번물)을 인출하는 1번 컨베이어(61)와, 지경 부착 곡립 등의 2번물을 인출하는 2번 컨베이어(62)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반(57)은 급동(56)의 하방에 장설된 받침망(67)으로부터 누출된 탈곡물이 피드팬(68) 및 채프 시브(69)에 의해 요동 선별(비중 선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요동 선별반(57)으로부터 낙하한 곡립은 그 곡립 중의 분진이 풍구팬(58)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고, 1번 컨베이어(61)로 낙하한다. 1번 컨베이어(61)로부터 인출된 곡립은 양곡 컨베이어(63)를 통해서 곡립 탱크(7)로 반입되어 곡립 탱크(7)에 수집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57)은 요동 선별에 의해 채프 시브(69)로부터 지경 부착 곡립 등의 2번물을 2번 컨베이어(62)로 낙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채프 시브(69)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2번물을 풍선하는 선별팬(71)을 구비한다. 채프 시브(69)로부터 낙하한 2번물은 그 곡립 중의 분진 및 짚 부스러기가 선별팬(71)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고, 2번 컨베이어(62)로 낙하한다. 2번 컨베이어(62)의 종단부는 환원 컨베이어(66)를 통해서 피드팬(68)의 상면측에 연통 접속되어, 2번물을 요동 선별반(57)의 상면측으로 복귀시켜 재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6)의 후단측(이송 종단측)에는 짚배출 체인(64)과 짚배출 커터(65)가 배치되어 있다. 피드 체인(6)의 후단측으로부터 짚배출 체인(64)으로 이어 받아진 배출짚(곡립이 탈립된 짚)은 길이가 긴 상태에서 주행 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탈곡 장치(5)의 후방부에 설치된 짚배출 커터(65)로 적당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후, 주행 기체(1)의 후방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는 전면 좌측을 노치한 형상에 의한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와, 상면 좌측에 전후 방향의 홈 형상에 의한 곡립 배출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b)와, 좌측면 중앙에 상하 방향을 따라 단차를 형성한 형상에 의한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를 구비하고 있다. 곡립 탱크(7) 전면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에는 엔진룸(97)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74)가 배치된다. 곡립 탱크(7) 상면의 곡립 배출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b)에는 컨베이어 지지체에 선단을 수용한 곡립 배출 컨베이어(8)가 곡립 배출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b)를 따라 수용된다. 또한, 곡립 탱크(7) 좌측면의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에는 양곡 컨베이어(63)가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를 따라 고정되어 있고,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 상부에 설치한 수용구에 의해 연결된다.
도 4 및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립 배출 컨베이어(8)는 종인출 컨베이어(횡이송 컨베이어)(8a)의 상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곡립 배출 컨베이어(8)의 이송 종단측에 볏짚 투입구(9)를 설치하고 있다. 곡립 탱크(7)의 저부에 횡이송 컨베이어(8b)를 전후향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횡이송 컨베이어(8b)의 후단에 종인출 컨베이어(8a)의 하단(기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곡립 탱크(7) 저부에 기외측 저판(7d)과 기내측 저판(도시 생략)을 설치하고, 횡이송 컨베이어(8b)를 향해서 기외측 저판(7d)과 기내측 저판을 경사시켜서, 곡립 탱크(7) 내부의 곡립을 횡이송 컨베이어(8b) 방향으로 유하시킨다. 횡이송 컨베이어(8b)는 곡립 탱크(7)의 저부 전후를 따라 이어 설치되어 있고, 곡립 탱크(7)의 저판을 따라 유하하는 곡립을 후방의 종인출 컨베이어(8a)로 반송한다.
종인출 컨베이어(8a)는 곡립 탱크(7) 후단면으로부터 돌출시킨 횡이송 컨베이어(8b) 후단과 연결되고, 곡립 탱크(7) 후단면을 따라 곡립 탱크(7) 상방을 향해서 이어 설치되어 있다. 종인출 컨베이어(8a)는 하단(기단)측을 횡이송 컨베이어(8b)와 연결하는 한편, 상방 부분을 곡립 탱크(7) 후단면에 고정함으로써, 곡립 탱크(7) 후방에서 세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종인출 컨베이어(8a) 하단을 주행 기체(1) 상에 지지시키고, 종인출 컨베이어(8a) 축심선 주위로 곡립 탱크(7)를 기외측을 향해서 횡이동 가능하게 하여, 탈곡 장치(5) 우측면과 엔진룸(97) 후면을 개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곡립 탱크(7) 후방에 종인출 컨베이어(8a)의 주위를 덮는 후방 커버(3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고, 곡립 탱크(7)의 기외측 저판(7d) 외측면에 저부 커버체(165)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 4∼도 7을 참조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로서의 제 1 케이스(75)(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 DPF) 및 제 2 케이스(229)(선택 촉매 환원, SCR)와, 디젤 엔진(14)에 관하여 설명한다.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DPF)로서의 제 1 케이스(75)와,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SCR) 시스템으로서의 제 2 케이스(229)를 구비한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75)에는 디젤 산화 촉매(79)와 매연 필터(80)가 내설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229)에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용 SCR 촉매(232)와 산화 촉매(233)가 내설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75)는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를 갖고 있다. 입구측 케이스(76)의 내부에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하는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79)를 배치하고 있다.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의 내부에 포집한 입자상 물질(PM)을 비교적 저온에서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하는 허니콤 구조의 매연 필터(80)를 배치하고 있다. 입구측 케이스(76) 및 출구측 케이스(77) 내에서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한 디젤 산화 촉매(79)와 매연 필터(80)에 의해,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해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를 저감한다. 한편, 제 2 케이스(229) 내에서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으로 직렬로 SCR 촉매(232)와 산화 촉매(233)를 배치하고 있다. 제 2 케이스(229) 내의 SCR 촉매(232)와 산화 촉매(233)로 질소 산화 물질(NOx)을 저감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4∼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척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제 1 케이스(75)의 통 형상 양측(배기가스 이동 방향 일단과 동 타단측)에는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정화 입구관(81)과,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정화 출구관(82)을 설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스(29)의 양측(배기가스 이동 방향 일단과 동 타단측)에는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SCR 입구관(236)과,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SCR 출구관(237)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4∼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출구(배기 매니폴드(117))에 디젤 엔진(14)으로 공기를 강제적으로 보내는 과급기(118)를 배치하고 있다. 과급기(118)의 배기가스 출구측에 배기 연결관(119)을 통해서 정화 입구관(81)을 연통시켜서,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를 제 1 케이스(75) 내로 도입한다. 정화 출구관(82)에 SCR 입구관(236)을 접속시키는 요소 혼합관(239)을 연결하고, 제 1 케이스(75)로부터 요소 혼합관(239)을 통해서 제 2 케이스(229) 내로 배기가스를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추가하여, 과급기(118)의 배기가스 출구측과 배기 연결관(119)은 절곡 및 신축 가능한 아코디언 형상 연결관(98)에 의해 접속되어, 과급기(118)측의 엔진(14) 진동이 배기 연결관(119)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정화 출구관(82)과 요소 혼합관(239)의 요소수 분사부(240)는 파이프 플랜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어 있다. 입구측 케이스(76)와 출구측 케이스(77)는 복수 조의 후판 형상 중간 플랜지체(84)의 볼트 체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출구측 케이스(77)를 분리해서 매연 필터(80)의 분해 메인터넌스를 실행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SCR 출구관(237)에 테일 파이프(83)를 연결하고, 기체 상측방을 향해서 테일 파이프(83)의 배기가스 출구를 개설하는 것이며, 디젤 엔진(14)(각 기통)의 배기가스는 과급기(118)로부터 제 1 케이스(75) 내로 도입되고, 제 1 케이스(75)로부터 요소 혼합관(239)으로 이동하고, 후술하는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가 배기가스에 혼합되고 나서, 그 배기가스가 제 2 케이스(229) 내로 도입되고, 테일 파이프(83)로부터 기외로 방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은 제 1 케이스(75) 내의 매연 필터(80)에 포집되어, 이산화질소(NO2)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입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해서,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이어서, 요소 혼합관(239)의 내부에서, 디젤 엔진(14)으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요소수 분사부(240)의 요소수 분사 노즐체로부터 요소수가 분사되고,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암모니아가 혼합된 제 2 케이스(229) 내의 배기가스는 요소 선택 촉매 환원용의 SCR 촉매(232), 산화 촉매(233)에 의해 질소 산화 물질(NOx)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에서 디젤 엔진(14)의 배기가스가 정화되고, 테일 파이프(83)로부터 기외로 방출된다.
이어서, 도 4 및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 전방의 주행 기체(1) 상에 기체 프레임으로서의 엔진룸 프레임(91)을 세워 설치하고, 엔진룸 프레임(91)으로 엔진룸(97)을 형성하고 있다. 주행 기체(1) 상면측에 디젤 엔진(14)을 적재하고, 엔진룸(97) 내부에 디젤 엔진(14)을 내설한다. 또한, 엔진룸(97) 내부 중 디젤 엔진(14) 측방에 수냉용 라디에이터(도시 생략) 및 냉각팬(115) 등의 냉각 부품을 내설한다. 냉각팬(115)으로 라디에이터(도시 생략) 등의 냉각 부품을 향해서 콤바인 기체의 우측 외방으로부터 외기를 도입하는 한편, 탈곡 장치(5)측을 향해서 디젤 엔진(14)의 온기를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디젤 엔진(14)과 냉각 부품의 우측과 배면측과 상면측이 엔진룸 프레임(91)으로 둘러싸이고, 디젤 엔진(14)의 냉각팬(115)으로 엔진룸 프레임(91)의 우측 외방으로부터 엔진룸(97) 내부로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는 한편, 디젤 엔진(14)과 냉각 부품을 냉각한 후의 온기가 엔진룸 프레임(91)(엔진룸(97))에 인접한 작업부로서의 탈곡 장치(5) 우측을 향해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엔진룸 프레임(91)은 좌측의 각파이프 형상 지주체(92)와, 우측의 역 U자 형상 지주체(93)와, 좌우의 지주체(92, 93)에 양 단측을 일체로 고정시킨 각파이프 형상 횡 프레임(94)을 갖는다. 각파이프 형상 횡 프레임(94)은 일단이 각파이프 형상 지주체(92) 상단과 연결되는 한편, 타단을 역 U자 형상 지주체(93) 상방에 고정한 각파이프 형상 프레임(93a)과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운전 캐빈(10)의 저면 후방부에 설치하는 고무제의 압접 다리체(도시 생략)를 횡 프레임(94)의 좌우의 받침대(96) 상면에 상방측으로부터 접촉시키고, 횡 프레임(94)의 각 받침대(96)에 운전 캐빈(10)의 후방부를 상하 방향으로 접촉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운전 캐빈(10) 저면측과 엔진룸 프레임(91)으로 형성되는 엔진룸(97)의 내부에 디젤 엔진(1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측 지주체(92)의 상단측에 컨베이어 지지체(90)를 설치하고, 컨베이어 지지체(90)를 통해서 곡립 배출 컨베이어(8)를 수납 위치에 지지시킨다.
또한, 디젤 엔진(14)에 외기를 공급하는 에어클리너(123)와, 에어클리너(123)로 외기를 도입하는 프리클리너(124)를 구비한다. 엔진룸(97)의 상면 중,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우측방에 에어클리너(123)를 배치함과 아울러, 곡립 탱크(7) 전방 우측에 있어서 엔진룸(97) 상방에 프리클리너(124)를 배치하고, 프리클리너(124)에 급기관(125)을 통해서 에어클리너(123)를 접속시키고 있다. 프리클리너(124)로부터 에어클리너(123)를 통해서 디젤 엔진(14)의 과급기(118)의 컴프레서 케이스(118a)로 연소용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에어클리너(123)는 엔진룸 프레임(91)의 횡 프레임(94)의 후면 우측에서 고정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전방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4∼도 6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과급기(118)는 디젤 엔진(14)의 상방 전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우측에 블로어 휠을 내장한 컴프레서 케이스(118a)를 설치하는 한편, 좌측에 터빈 휠을 내장한 터빈 케이스(118b)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컴프레서 케이스(118a) 우측단에 설치한 흡기 도입측이 급기관(120)을 통해서 에어클리너(123)의 흡기 배출측과 연통한다. 한편, 터빈 케이스(118b) 좌측단에 설치되는 배기 출구관(99)이 절곡 가능한 아코디언 형상 배기 도입관(98)을 통해서 후처리 장치인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배기가스 입구(정화 입구관(81))에 접속시킨 배기 연결관(119)과 연결된다.
도 3∼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를 구비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와, 에어클리너(123) 및 프리클리너(124)는 엔진룸 프레임(91) 배면에서 엔진(14)에 대하여 좌우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즉, 엔진(14) 전면의 과급기(118)에 대하여, 우측의 컴프레서 케이스(118a)측에 흡기계가 되는 에어클리너(123) 및 프리클리너(124)를 배치하는 한편, 좌측의 터빈 케이스(119b)측에 배기계가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과급기(118)을 구비하는 엔진(14)의 흡기 경로 및 배기 경로를 좌우로 나누어 배치하기 때문에, 흡기 경로 및 배기 경로를 단경로로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온의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 경로에 대하여 흡기 경로를 이간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도 7을 참조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부착 구조 및 지지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는 제 1 케이스(DPF)(75)와 제 2 케이스(SCR)(229)를 케이스 고정체(231)에 의해 병렬 형상으로 연결해서 유닛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 고정체(231) 상에 있어서, 제 1 케이스(75)를 복수의 체결 밴드(85)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제 2 케이스(229)를 복수의 체결 밴드(230)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다. 즉, 복수의 체결 밴드(85, 230) 각각의 양단을 케이스 고정체(231)에 볼트 체결시킴으로써,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가 평행이 되도록 케이스 고정체(231) 상에 병설시킨다.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를 상면에 탑재한 케이스 고정체(231)를 지지대(250)에 고정함으로써, 주행 기체(1) 상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지지하고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대(250)는 곡립 탱크(7)의 전면 좌측(탈곡 장치(5)측)에 설치한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 하방에 배치하고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엔진룸(97)으로부터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에 걸쳐서 지지하고 있다. 지지대(250)는, 도 5∼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측 가장자리가 탈곡 장치(5)의 기계 하우징 프레임 우측에서 고정되고, 전측이 엔진룸 프레임(97)에서 고정되고, 우측 가장자리가 주행 기체(1)로부터 세워 설치시킨 지주 프레임(251)에서 고정됨으로써, 곡립 탱크(7)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에 있어서의 상방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250) 전측은, 도 4 및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단을 지지대(250) 이면에서 고정된 가교 프레임(252)의 타단을 엔진룸 프레임(91)의 횡 프레임(94)과 연결시킴으로써 엔진룸 프레임(9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250) 좌측 가장자리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 상면의 우측부(탈곡기 하우징 우측 상부의 탈곡 상면 프레임)과 부착 조정 프레임(253)을 통해서 연결함으로써 탈곡 장치(5)의 우측부에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250) 우측 가장자리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주 프레임(251) 상단과 가로대 프레임(254)을 통해서 연결함으로써 지주 프레임(251) 상에 지지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교 프레임(252)은 에어클리너(123)와 정화 입구관(81)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서, 지지대(250)로부터 횡 프레임(94)을 향해서 이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횡 프레임(94) 하방에 배치된 아코디언 형상 배기 도입관(98)과 제 1 케이스(75)의 정화 입구관(81)의 연결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클리너(123)와의 완충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123)를 포함하는 흡기 경로와, 제 1 케이스(75)와 연결시키는 배기 경로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가교 프레임(252)을 배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에어클리너(123)에 대한 배기 경로로부터의 배열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가 엔진룸(97)과 대향하는 면에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를 갖고 있고, 곡립 탱크(7)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에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곡립 탱크(7)와 엔진룸(97) 사이에서 엔진(14)에 가까운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고온으로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 작업자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룸(97)으로부터의 배열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로 유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정화에 필요한 고온 환경하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배치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 있어서 높은 정화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 4∼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로부터 곡립 탱크(7)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에 걸쳐서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를 수평으로 지지시켜서,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를 병렬로 배치시키고 있다.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를 수평으로 지지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엔진(14)보다 높은 위치에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고, 엔진(14)으로부터의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로 유도하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높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엔진(14) 정지 시의 온도 저하에 의한 결로 등에 의해 발생한 물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를 케이스 고정체(231)로 병렬 형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제 1 케이스(75)의 배기 출구에 요소 혼합관(239)을 통해서 제 2 케이스(229)의 배기 입구를 접속하고, 제 1 및 제 2 케이스(75, 229)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케이스(75, 229) 각각과 평행하게 요소 혼합관(239)을 배치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와 요소 혼합관과 일체적 유닛 구조로 구성하고, 곡립 탱크(7) 전방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 내측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설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서, 곡립 탱크(7)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를 협소하게 구성하여, 곡립 탱크(7)의 곡물 수납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제 1 및 제 2 케이스(75, 229) 각각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해서, 제 1 및 제 2 케이스(75, 229)를 좌우로 병설시키고 있고, 제 1 케이스(75)를 탈곡 장치(5)측에 배치시키고 있다. 제 1 케이스(75)를 탈곡 장치(5)측에 배치하는 한편, 제 2 케이스(229)를 곡립 탱크(7)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제 2 케이스(229) 및 요소 혼합관(239)을 곡립 탱크(7)로 덮도록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엔진(14)의 배기구에 가까운 위치에 제 1 케이스(75)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14)으로부터 제 1 케이스(75)까지의 배기 경로를 단경로로 구성하고, 제 1 케이스(75)에서의 재생 처리를 고성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229) 및 요소 혼합관(239)을 엔진룸(97) 후방의 곡립 탱크(7)로 둘러싸인 고온 환경하에 배치할 수 있어서, 요소수의 동결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 2 케이스(229)에 있어서의 정화 능력을 고도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선택 촉매 환원용 요소수 용액)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174)와, 요소 혼합관(239)의 요소수 분사부(240)에 요소수를 공급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구비하고 있다. 요소수 공급 장치(175)가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를 요소 혼합관(239)의 요소수 분사부(240)로 공급함으로써, 요소수 분사부(240)의 요소수 분사 밸브(178)로부터 요소수를 요소 혼합관(239) 내로 분무시킨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 용액을 압송하는 요소수 펌프(171)와, 요소수 펌프(171)를 구동하는 요소수 공급용 전동 모터(172)를 구비한다.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요소수 분사관(177)을 통해서 요소수 분사부(240)의 요소수 분사 밸브(178)와 접속함과 아울러, 요소수 탱크(174)와의 사이에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을 접속하고 있다. 또한, 디젤 엔진(14)의 연료 분사 제어 등을 실행하는 엔진 컨트롤러(181)와, 요소수 공급 장치(175) 또는 요소수 분사 밸브(178)를 제어하는 요소 분사 컨트롤러(18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요소 혼합관(239)의 요소수 분사부(240)에 요소수 분사 밸브(178)를 설치하고, 요소 혼합관(239)의 내부로 요소수 분사 밸브(178)로부터 요소수 용액을 분무한다. 요소 혼합관(239) 내로 공급되는 요소수가 제 1 케이스(75)로부터 제 2 케이스(229)에 이르는 배기가스 중에 암모니아로서 혼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174)의 요소수 온도 센서(183)와, 요소수 탱크(174)의 요소수량 센서(184)에 요소 분사 컨트롤러(182)를 접속함과 아울러, 엔진 컨트롤러(181)와 요소 분사 컨트롤러(182)를 접속하여, 디젤 엔진(14)의 작동 상황 등에 따라 요소 혼합관(239) 내로 요소수가 적정 시기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우선, 요소수 공급 장치(175)의 부착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7)사이이며,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보다 하측이 되는 높이 위치에 배치한다. 즉,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요소수 분사 밸브(178)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요소수의 분사 정지 후에 있어서, 요소수 공급 장치(175)와 요소수 분사 밸브(178)의 고저차에 의해 요소수 분사관(177) 등에 잔류한 요소수를 요소수 공급 장치(175)로 환류시킬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엔진룸(97) 후방의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7) 사이에 설치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 요소수를 공급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보다 하측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룸(97) 후방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및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14)으로부터의 배열을 이용해서 요소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어서, 요소수의 품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엔진룸(97)와 곡립 탱크(7)에 의해 전후로 끼워진 위치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배치하고, 곡립 탱크(7)와 탈곡 장치(5)에 의해 끼워진 위치에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배치하고 있다. 곡립 탱크(7) 주변의 공간을 유효 이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및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배치함으로써 곡립 탱크(7)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와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단거리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와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접속하는 요소수 배관(요소수 분사관(177))을 단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 우측(곡립 탱크(7)측)측면에 있어서 양곡 컨베이어(63)와 환원 컨베이어(66)에 의해 끼워진 영역에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고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탈곡 장치(5)에 인접한 곡립 탱크(7) 전면에 위치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근방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요소수 탱크(174)로부터 요소수 분사부(240)까지를 연결하는 요소수 배관(요소수 분사관(177))을 단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엔진룸(97) 후방의 탈곡 장치(5) 및 곡립 탱크(7) 사이에 구성되는 배열 공기의 유로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및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요소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등, SCR 시스템을 최적의 온도 환경하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및 도 8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양곡 컨베이어(63)보다 전측이고 환원 컨베이어(66)의 하측이 되는 위치에 고정하고 있다. 즉,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탈곡 장치(5)의 우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환원 컨베이어(66)의 하측에 있어서 풍구팬(58)과 1번 컨베이어(61)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서로 교차하고 있는 양곡 컨베이어(63) 및 환원 컨베이어(66)와, 풍구팬(58)의 우측 흡인구를 덮는 커버체(58a)로 둘러싸여진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곡립 탱크(7)는 양곡 컨베이어(63) 및 환원 컨베이어(66)와 완충없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양곡 컨베이어(63)와 환원 컨베이어(66)의 둘러싸인 영역에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배치함으로써,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곡립 탱크(7)와 완충없이 탈곡 장치(5) 측면에 고정할 수 있어서, 곡립 탱크(7)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곡립 탱크(7)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양곡 컨베이어(63)와 환원 컨베이어(66)에 의해 끼워진 영역에 배치되는 요소수 공급 장치(175)의 설치 위치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양곡 컨베이어(63)보다 전측이고 환원 컨베이어(66)의 하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해도 좋고, 가상선과 같이 양곡 컨베이어(63)의 배출구와 동등한 높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보다 하측이 되는 높이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의 가상선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양곡 컨베이어(63)보다 후측에 있어서 환원 컨베이어(66)의 상하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탈곡 장치(5) 우측면에 있어서 양곡 컨베이어(63)와 환원 컨베이어(66)를 교차시키지 않고 병설시켰을 경우에 있어서, 양곡 컨베이어(63)와 환원 컨베이어(66) 사이에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설치해도 좋다.
이어서, 도 10∼도 12를 참조하여, 요소수 탱크(174)의 부착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를 곡립 탱크(7) 후방에 배치하는 한편, 연료 탱크(31)를 탈곡 장치 후방에 배치하고 있다. 연료 탱크(31)의 급유구(32)를 좌측방을 향해서 돌설시키는 한편, 요소수 탱크(174)의 급수구(174a)를 우측방을 향해서 돌설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요소수 탱크(174)는 기외 측방으로부터 후방(우경사 후방)을 향해서 급수구(174a)를 설치하고 있고, 종인출 컨베이어(8a)와 후방 커버(30) 사이에서 수직 배치된다. 급수구(174a)는 후방 커버(30)의 개구부(도시 생략)로부터 돌출시키고 있어, 기외로부터 급수구(174a)에 대하여 접근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10∼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는 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곡립 탱크(7)의 후단면의 우측 가장자리(기외측 가장자리) 하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주행 기체(1)의 좌측방을 향한 급유구(32)와 반대측의 우측방을 향해서 급수구(174a)를 돌출시키기 때문에, 연료 탱크(31)로의 급유 작업 또는 요소수 탱크(174)로의 급수 작업을 행할 때에, 급유구(32)와 급수구(174a)의 오판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구(174a)는 경사 후방으로 돌축시키고 있기 때문에, 급유구(32)로부터 급수구(174a)까지의 급수 호스의 둘러싸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급유 작업과 급수 작업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 후방의 종인출 컨베이어(횡이송 컨베이어)(8a) 주변에 요소수 탱크(174)를 수직으로 배치하고 있다. 요소수 탱크(174)는 후방 커버(30)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종인출 컨베이어(8a)에 대하여 병설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는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7) 사이에서 배관되어 있는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을 통해서 곡립 탱크(7)의 좌측방에 배치된 요소수 공급 장치(175)와 접속된다. 즉, 곡립 탱크(7) 주변의 공간을 활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요소수 공급 장치(175) 및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곡립 탱크(7)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곡립 탱크(7) 전방 주변에 배치하고,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곡립 탱크(7) 측방에 배치하고, 요소수 탱크(174)를 곡립 탱크(7) 후방에 배치하고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와 요소수 탱크(174) 사이에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배치시키기 때문에, 요소수 탱크(174)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로의 요소수 배관(177, 179, 180)을 단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는 종인출 컨베이어(8a) 상에 곡립 탱크(7) 후방부를 지지하고, 종인출 컨베이어(8a) 축심선 주위에 기외측을 향해서 횡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7)를 종인출 컨베이어(8a)의 수직 회동축을 중심으로 해서 수직 주위로 기외 측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탈곡 장치(5) 우측면과 엔진룸(97) 후면을 개방할 수 있다. 요소수 탱크(174)는 종인출 컨베이어(8a) 주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의 접속 부분을 곡립 탱크(7)의 회동 지점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을 곡립 탱크(7)의 좌측면으로부터 배면을 우회시켜서 배관시키고 있다. 따라서, 곡립 탱크(7) 수납시에 비해서 곡립 탱크(7) 개방시에, 요소수 탱크(174)로부터 요소수 공급 장치(175)까지의 배관 거리가 짧아짐과 아울러, 곡립 탱크(7)의 개폐에 의해 배관 거리의 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곡립 탱크(7)의 횡이동에 의해 개방시켰을 때에, 엔진룸(97) 후방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및 요소수 공급 장치(175)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한편, 곡립 탱크(7)을 수납했을 경우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및 요소수 공급 장치(175)에 접근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곡립 탱크(7) 수납 시에는 작동 중에 고온이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등에 대하여 접촉 불가능이 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인터넌스 등의 각종 작업에 있어서 곡립 탱크(7)를 개방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및 요소수 공급 장치(175)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2 실시형태를 도 13∼도 1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은 제 1 실시형태와 달리 곡립 탱크(7) 후방의 요소수 탱크(174)를 곡립 탱크(7)의 하측에서 수평 배치시키고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요소수 탱크(174)에 관한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은,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곡립 탱크(7) 전방 주변에 배치하고,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곡립 탱크(7) 측방에 배치하고, 요소수 탱크(174)를 곡립 탱크(7) 후방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연료 탱크(31)와 요소수 탱크(174)를 주행 기체(1) 후방에서 좌우로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연료의 급유구(32)와 요소수의 공급구(174a)를 각각 식별하기 쉬운 구조로 하고 있다.
도 13∼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는 곡립 탱크(7)의 저판에 수평 배치로 고정되어 있고, 그 후단 부분을 곡립 탱크(7)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즉, 요소수 탱크(174)의 후단 부분은 종인출 컨베이어(8a)와 횡이송 컨베이어(8b)의 연결 부분 근방에 배치된다. 요소수 탱크(174)의 후단 부분을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7) 사이에서 배관되어 있는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을 통해서 곡립 탱크(7)의 좌측방에 배치된 요소수 공급 장치(175)와 접속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의 기외측 저판(7d) 외측면에 탱크 지지체(173)를 설치하고, 탱크 지지체(173)를 통해서 곡립 탱크(7)의 기외측 저판(7d) 외측면에 요소수 탱크(174)를 지지시킨다. 곡립 탱크(7)의 기외측 저판(7d) 외측면에 저부 커버체(165)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저부 커버체(165)의 기내 측방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하고 있다. 요소수 탱크(174)의 우측면에 급수구(174a)를 우측방(기외 측방)을 향해서 배치하고 있다. 이때, 후방 커버(30)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고, 요소수 탱크(174)의 급수구(174a)를 기외 측방에 돌설시킴으로써, 기외로부터 용이하게 급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과 연결되는 요소수 탱크(174)의 후단 부분을 곡립 탱크(7)의 회동 지점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요소수 탱크(174)의 후단 부분은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7) 사이에서 배관되어 있는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을 통해서 곡립 탱크(7)의 좌측방에 배치된 요소수 공급 장치(175)와 접속한다. 따라서, 곡립 탱크(7) 수납시에 비해서 곡립 탱크(7) 개방시에, 요소수 탱크(174)로부터 요소수 공급 장치(175)까지의 배관 거리가 짧아짐과 아울러, 곡립 탱크(7)의 개폐에 의해 배관 거리의 차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7) 사이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보다 하측이 되는 높이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요소수 탱크(174)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후방향(또는 좌우 방향)에 오프셋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즉,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요소수 탱크(174)보다 높은 위치이고 또한 요소수 분사 밸브(178)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요소수 분사 밸브(178)를 요소수 공급 장치(175)보다 고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요소수의 분사 정지 후에 있어서, 요소수 공급 장치(175)와 요소수 분사 밸브(178)의 고저차에 의해 잔류한 요소수를 요소수 공급 장치(175)로 환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요소수 탱크(174)보다 고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요소수의 분사 정지 후에 있어서 요소수 탱크(174)와 요소수 공급 장치(175)의 고저차에 의해 잔류한 요소수를 요소수 탱크(174)로 환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와 요소수 탱크(174) 사이가 되는 높이 위치에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배치함으로써, 엔진 정지 후에 요소수 공급 장치(175)에 의해 순환시키지 않고 요소수를 요소수 탱크(174)로 환류할 수 있어서, 요소수 복귀관(180)을 생략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3 실시형태를 도 17 및 도 1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달리 탈곡 장치(5)의 하측 스페이스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시키고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요소수 탱크(174)에 관한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탈곡기 프레임(36) 하부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하고 있다. 탈곡기 프레임(36) 하부의 스페이스를 활용해서 요소수 탱크(174)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요소수 탱크(174)를 대용량으로 형성하여, 곡립 탱크(7) 주위 또는 엔진(14) 주위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시에 요소수 탱크(174)로 요소수를 보급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탈곡 장치(5)의 우측면(곡립 탱크(7)측)에 배치하고 있고, 요소수 탱크(174)와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연결하는 배관 경로(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을 단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로부터 요소수 탱크(174)까지의 배관 경로를 짧게 할 수 있어서, 각 배관(177, 179, 180)에서의 요소수의 압송을 원활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재결정화나 동결 등에 근거하는 요소수의 품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를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7) 사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탈곡 장치(5) 주변의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요소수 공급 장치(175) 및 요소수 탱크(174)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서, SCR 시스템의 메인터넌스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요소수 탱크(174)보다 높은 위치이고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요소수의 분사 정지 후에 있어서, 요소수 탱크(174)와 요소수 공급 장치(175)의 고저차에 의해 잔류한 요소수를 요소수 탱크(174)로 환류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 정지 후에 요소수 공급 장치(175)에 의해 순환시키지 않고 요소수를 요소수 탱크(174)로 환류할 수 있어서, 요소수 복귀관(180)이 생략 가능해진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탈곡기 프레임(36) 하부 중 풍구 홈통(37)의 하면측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하고 있다. 즉, 요소수 탱크(174)를 풍구팬(58)과 1번 컨베이어(61) 사이가 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요소수 공급 장치(175)의 하측이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오프셋시킨 위치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와 접속시키는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은 탈곡 장치(5)의 우측면을 상하로 따름과 아울러, 탈곡기 프레임(36) 하측을 좌우로 따르도록 하여, 단척으로 배관할 수 있다. 또한, 엔진(14)으로부터의 배열을 유도하는 풍구팬(58) 근방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할 수 있어, 엔진(14)로부터의 배열을 이용함으로써 요소수의 동결이나 재결정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8을 참조하여, 탈곡기 프레임(36) 하측에 배치되는 요소수 탱크(174)의 설치 위치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8의 가상선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를 1번 홈통(38) 또는 2번 홈통(39)의 하면측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즉, 요소수 탱크(174)를 1번 컨베이어(61)와 선별팬(71)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해도 상관없고, 요소수 탱크(174)를 2번 컨베이어(62) 후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해도 상관없다. 이것에 의해, 탈곡기 프레임(36) 하부의 스페이스를 활용해서 요소수 탱크(174)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4 실시형태를 도 19∼도 2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은 제 3 실시형태와 달리 탈곡 장치(5)의 측방 스페이스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시키고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요소수 탱크(174)에 관한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좌측방을 덮는 사이드 커버(41) 내측에 요소수를 저류하는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하고 있다. 사이드 커버(41) 내측방의 스페이스를 활용해서 요소수 탱크(174)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탈곡 장치(5)의 우측면(곡립 탱크(7)측)에 배치한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연결하는 배관 경로(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을 단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41) 내측방 중 연료 탱크(31)의 좌측방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하고 있다. 요소수 탱크(174)는 연료 탱크(31) 좌측면의 하측으로부터 후측을 덮는 L자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174)는 연료 탱크(31)의 좌측면 상방으로부터 기외 측방(좌측방)을 향해서 돌설시킨 급유구(32)의 하측 및 후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174)는 연료 탱크(31)의 좌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후방 부분을 상방으로 돌설시킨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요소수 탱크(174)는 후방에 있어서의 상방으로의 돌출 부분에 기외 측방(좌측방)을 향해서 급수구(174a)를 돌설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를 구성함으로써, 연료 탱크(31)의 설치 스페이스를 활용해서 요소수 탱크(174)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급유구(연료 공급부)(32)와 급수구(요소수 공급부)(174a)를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어서, 보급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1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를 사이드 커버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도 21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는 요소수 탱크(174)는 연료 탱크(31) 좌측면 전체를 덮는 사이드 커버부(174b) 이면측(연료 탱크(31)측)에 요소수를 저류하는 탱크부(174c)를 설치하는 한편, 사이드 커버부(174b) 표측에 탱크부(174c)와 연통시킨 급수구(174a)를 설치한다. 또한, 사이드 커버부(174b)의 탱크부(174c)의 비설치 영역에는 개구부(174d)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74d)에 연료 탱크(31)의 급유구(32)를 삽입 통과시킨다.
이때, 탱크부(174c)와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의 접속 부분을 퀵커플러 등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사이드 커버 일체형의 요소수 탱크(174)를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요소수 탱크(174)를 분리함으로써, 연료 탱크(31) 주변의 메인터넌스나 청소 등의 작업이 용이해짐과 아울러, 요소수 탱크(174)를 분리해서 보관함으로써, 요소수를 최적의 온도 환경하에서 관리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5 실시형태를 도 22∼도 2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은 제 3 실시형태와 달리 곡립 탱크(7) 후방의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31)에 포개서 배치시키고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요소수 탱크(174)에 관한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31)와 포개서 탈곡 장치(5) 하측에 배치하고, 요소수 탱크(174)의 급수구(174a)와 연료 탱크(31)의 급유구(32)를 탈곡 장치(5)의 기외 측방을 향해서 돌설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연료 탱크(31)와 요소수 탱크(174) 각각의 공급구(급유구(32) 및 급수구(174a))를 서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급유 및 급수 작업에 소요되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후방에 있어서 탈곡 장치(5)의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탈곡기 프레임(36)(2번 홈통(39)) 및 요동 선별반(57)의 후방 하부에 요소수를 저류하는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31)와 포개서 배치하고 있다. 또한, 탈곡 장치(5)의 좌측방을 덮는 사이드 커버(41) 내측에 요소수 탱크(174)와 연료 탱크(31)를 상하로 포개서 배치하고, 사이드 커버(41)의 개구부보다 급유구(32) 및 급수구(174a)를 기외 측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탈곡 장치(5) 후방의 스페이스를 활용해서 요소수 탱크(174)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탈곡 장치(5)의 우측면(곡립 탱크(7)측)에 배치한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연결하는 배관 경로(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을 단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31) 상방을 테이퍼 형상(상방을 향해서 전후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요소수 탱크(174)를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구성한다.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31) 상면에 맞춘 형상으로 함으로써, 연료 탱크(31) 상면을 요소수 탱크(174) 하면으로 덮도록 하여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31) 상에 설치한다. 또한, 요소수 탱크(174)는 연료 탱크(31)를 전후로 협지하도록 해서 연료 탱크(31) 상에 탑재되고, 요소수 탱크(174)는 연료 탱크(31) 상에 고정된다.
요소수 탱크(174)는 연료 탱크(31)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연료 탱크(3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요소수 탱크(174)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연료 탱크(3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소수 탱크(174)를 탈착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이때, 요소수 탱크(174)와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의 접속 부분을 퀵커플러 등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로 한다. 이렇게,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3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요소수 탱크(174)의 교체에 의해 간단하게 급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완료 후에 요소수 탱크(174)를 분리해서 보관할 수 있어서, 요소수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4∼도 2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24∼도 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31) 하측에 배치시키고 있고,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로 둘러싸도록 배치하고 있다. 연료 탱크(31)가 요소수 탱크(174)를 둘러쌈으로써, 연료 탱크(31)가 단열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되어, 요소수 탱크(174) 내의 보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요소수 탱크(174) 내에 저장시킨 요소수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 변형예에서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31)의 좌측면(급유구(32)를 설치한 측면) 하측에 노치부(31a)를 설치하고, 상기 노치부(31a)에 요소수 탱크(174)를 감합시킨다. 요소수 탱크(174)는 연료 탱크(31)의 노치부(31a)에 맞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연료 탱크(31)의 좌측방 하측에 배치되어, 연료 탱크(31)의 노치부(31a)에 의해 요소수 탱크(174)의 상면 및 우측면이 덮어진다.
또한,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31)는 주행 기체(1)에 대하여 탱크 지지체(지지 벨트)(33)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연료 탱크(31)가 요소수 탱크(174)의 수납 위치(노치부(31a) 형성 위치)와 겹치는 위치에서 탱크 지지체(33)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요소수 탱크(174)도 탱크 지지체(33)에 의해 주행 기체(1)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174)의 좌측 단부에 탱크 지지체(33)가 걸치도록 하여 탱크 지지체(33)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탱크 지지체(33)를 분리하지 않고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3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7∼도 2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27∼도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31) 하측에 배치시키고 있고,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로 둘러싸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요소수 탱크(174)를 급수구(174a)보다 상측으로 돌설시킨 볼록부(174x)를 갖는 형상으로 한다. 급수구(174a)보다 상방까지 이어 설치시킨 볼록부(174x)를 설치함으로써, 볼록부(174x) 내의 일부에 요소수가 충만되지 않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가 동결되었을 경우에 있어도,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의 용적이 요소수 탱크(174) 용적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요소수 탱크(17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에서는, 도 27∼도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174)의 좌단부를 연료 탱크(31)의 좌단부보다 기외 측방(좌측방)으로 돌출시킨 형상으로 하고 있다. 즉, 요소수 탱크(174)를 연료 탱크(31)의 노치부(31a)에 감합시켰을 때, 요소수 탱크(174)의 좌측면이 연료 탱크(31)의 좌측면보다 좌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요소수 탱크(174)의 좌단부에 있어서, 연료 탱크(31)의 급유구(32)에 대하여 오프셋시킨 위치에, 급수구(174a)로부터 상방까지 돌설시킨 볼록부(174x)를 설치하고, 상기 볼록부(174x) 상면에는 브리더(174y)를 설치하여, 외기도입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급수구(174a)보다 높은 위치에 브리더(174y)를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요소수 탱크(174)에 요소수를 급수했다고 해도, 볼록부(174x)가 만수되지 않고 볼록부(174x)의 상방 부분이 브리더(174y)를 통해서 공기로 항상 충만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요소수 탱크(174) 내의 요소수가 동결되는 경우에도, 동결된 요소수의 용적 증가를 볼록부(174x)의 상방 공간에 수용할 수 있어서, 요소수 탱크(174)의 용적을 초과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요소수 탱크(174)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6 실시형태를 도 30∼도 3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은 먼저의 각 실시형태와 달리, 곡립 탱크(7) 전면과 엔진룸(97) 후면의 사이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하방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먼저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콤바인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요소수 탱크(174)에 관한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30∼도 3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 전면과 엔진룸(97) 후면 사이이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하방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한다. 요소수 탱크(174)는 탱크 상방에 설치한 급수구(174a)를 기외 측방(우측방)을 향해서 배치하고, 곡립 탱크(7)와 엔진룸(97) 사이의 기외 측방으로부터 요소수 탱크(174) 내로 요소수 용액을 보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174)는 탈곡 장치(5)의 우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엔진룸 프레임(91), 탈곡 장치(5) 우측면, 및 곡립 탱크(7) 전면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룸(97)을 통과해서 가열된 공기를 유도하는 위치에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시키는 것이 되어, 요소수 탱크(174)를 적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저장시킨 요소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 기체(1)의 좌우에 연료 탱크(31) 및 요소수 탱크(174)를 배치시킴과 아울러, 주행 기체(1)의 좌측방을 향해서 급유구(32)와 반대측의 우측방을 향해서 급수구(174a)를 돌출시키기 때문에, 연료 탱크(31)로의 급유 작업 또는 요소수 탱크(174)로의 급수 작업을 행할 때에 급유구(32)와 급수구(174a)의 오판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7) 사이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보다 하측이 되는 높이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요소수 탱크(174)보다 높은 위치에서 전후 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오프셋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즉, 요소수 공급 장치(175)는 요소수 탱크(174)보다 높은 위치이고 또한 요소수 분사 밸브(178)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요소수의 분사 정지 후에 있어서, 요소수 공급 장치(175)와 요소수 분사 밸브(178)의 고저차에 의해 요소수 분사관(177) 등에 잔류한 요소수를 요소수 공급 장치(175)로 환류시킬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요소수의 분사 정지 후에 있어서, 요소수 탱크(174)와 요소수 공급 장치(175)의 고저차에 의해 요소수 공급 장치(175), 요소수 공급관(179), 및 요소수 복귀관(180) 등에 잔류한 요소수를 요소수 탱크(174)로 환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요소수 탱크(174)와 요소수 공급 장치(175)를 수평 방향에서 오프셋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요소수 탱크(174)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요소수 공급 장치(175)의 필터 교환 등이라고 하는 메인터넌스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3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는 전면 좌측을 노취한 형상에 의한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와, 상면 좌측에 전후 방향의 홈 형상에 의한 곡립 배출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b)와, 좌측면 중앙에 상하 방향을 따라 단차를 형성한 형상에 의한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를 구비하고 있다. 곡립 탱크(7) 전면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에는 엔진룸(97)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및 요소수 탱크(174)가 배치된다. 곡립 탱크(7) 상면의 곡립 배출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b)에는 컨베이어 지지체에 선단을 수용한 곡립 배출 컨베이어(8)가 곡립 배출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b)를 따라 수용된다. 또한, 곡립 탱크(7) 좌측면의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에는 양곡 컨베이어(63)가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를 따라 고정되어 있고, 양곡 컨베이어 설치용 오목부(7c) 상부에 설치한 수용구에 의해 연결된다.
곡립 탱크(7)는 종인출 컨베이어(8a) 상에 곡립 탱크(7) 후방부를 지지하고, 종인출 컨베이어(8a) 축심선 주위에 기외측을 향해서 횡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7)를 종인출 컨베이어(8a)의 수직 회동축을 중심으로 해서 수직 주위로 기외 측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탈곡 장치(5) 우측면과 엔진룸(97) 후면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곡립 탱크(7)의 횡이동에 의해 개방시켰을 때에, 엔진룸(97) 후방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요소수 탱크(174) 및 요소수 공급 장치(175)에 의한 SCR 시스템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한편, 곡립 탱크(7)를 수납했을 경우에, 상기 SCR 시스템에 접근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작동 중에 고온으로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요소수 탱크(174) 및 요소수 공급 장치(175)에 대하여 접촉 불가능이 되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요소수 보급이나 메인터넌스 등의 각종 작업에 있어서 SCR 시스템에의 접근을 간단하게 행한다.
도 35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제 1 케이스(75) 또는 제 2 케이스(229)) 부착 구조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4 등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중 제 1 케이스(75)를 탈곡 장치(5)측에 배치했지만, 도 35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에서는 병렬 형상으로 연결된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를 좌우에서 인접하도록 케이스 고정체(231)에 의해 지지시키고, 제 2 케이스를 탈곡 장치(5)측에 배치시켰다. 이것에 의해, 장척의 원통 형상의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와 요소 혼합관(239)을 전후 방향을 향해서 지지함과 아울러, 탈곡 장치(5)의 우측이고 제 2 케이스(229) 후방에 테일 파이프(83)를 배치시키고, SCR 출구관(237)에 연결시킨다.
도 3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 각각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해서,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를 좌우로 병설하고 있고, 제 2 케이스(229)를 탈곡 장치(5)측에 배치시킨다. 즉, 제 1 변형예에서는 제 2 케이스(229)를 탈곡 장치(5)측에 배치하는 한편, 제 1 케이스(75)를 곡립 탱크(7)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 내(우측 내)에 배치하기 때문에, 제 1 케이스(75)를 곡립 탱크(7)와 제 2 케이스(229)로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룸(97)으로부터의 고온의 배열에 의해 제 1 케이스(75)를 고온 환경하에 배치할 수 있어서, 제 1 케이스(75)에서의 재생 처리를 고성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229)의 SCR 출구관(배기 출구)(237)으로부터 탈곡 장치(5) 우측에 배치한 테일 파이프(83)까지의 경로를 단축할 수 있어서, 테일 파이프(83)에 대하여 SCR 출구관(237)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도 36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제 1 케이스(75) 또는 제 2 케이스(229)) 부착 구조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4 등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후로 장척인 원통 형상의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했지만, 도 36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에서는 병렬 형상으로 연결된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를 전후에서 인접하도록 케이스 고정체(231)로 지지시키고, 좌우로 장척의 원통 형상의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 사이에 요소 혼합관(239)을 배치시켰다. 이때, 제 1 케이스(75)는 엔진(14)측이 되도록 제 2 케이스(229)의 전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SCR 출구관(배기 출구)(237)이 좌측이 되도록 제 2 케이스(229)를 배치함과 아울러, 탈곡 장치(5)의 우측이고 제 2 케이스(229) 후방에 테일 파이프(83)를 배치시키고, SCR 출구관(237)에 테일 파이프(83)를 연결시킨다.
도 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 각각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해서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를 전후로 병설하고 있고, 제 1 케이스(75)를 엔진룸(97)측에 배치시킨다. 즉, 제 2 변형예에서는 제 1 케이스(75)를 엔진(14)측에 배치하는 한편, 제 2 케이스(229)를 곡립 탱크(7)측에 배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제 2 변형예에서는, 곡립 탱크(7) 전면을 따르게 해서 제 1 케이스(75) 및 제 2 케이스(229)와 요소 혼합관(239)을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면서, 제 2 케이스(229)의 SCR 출구관(배기 출구)(237)에 탈곡 장치(5) 우측의 테일 파이프(83)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룸(97)으로부터의 고온의 배열에 의해 제 1 케이스(75)를 고온 환경하에 배치할 수 있어서, 제 1 케이스(75)에서의 재생 처리를 고성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14)과 테일 파이프(83) 사이의 배기 경로를 단척으로 형성하여, 배기 경로 중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 있어서의 배기가스의 정화에 필요한 고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변형예에서는, 도 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75) 우단측에 정화 입구관(81)을 설치하는 한편, 제 1 케이스(75) 좌단측에 정화 출구관(82)을 설치함과 아울러, 제 2 케이스(229) 우단측에 SCR 입구관(236)을 설치하는 한편, 제 2 케이스(229) 좌단측에 SCR 출구관(237)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로 장척의 원통 형상의 제 1 케이스(75)와 제 2 케이스(229) 사이이고, 각 케이스(75, 229)의 상측방에, 좌우로 장척의 원통 형상의 요소 혼합관(239)을 평행하게 이어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케이스(75) 좌단측에 정화 입구관(81)을 설치하는 한편, 제 1 케이스(75) 우단측에 정화 출구관(82)을 설치함과 아울러, 제 2 케이스(229) 좌단측에 SCR 입구관(236)을 설치하는 한편, 제 2 케이스(229) 우단측에 SCR 출구관(237)을 설치한 구성으로 해서, 엔진(14)으로부터 제 1 케이스(75)의 정화 입구관(81)에의 접속을 단척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추가해서, 열원이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주변 부품으로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외주에 차열 부재를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도 3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열판이 되는 정화 장치 커버체(261)에 의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상면 및 좌측면(탈곡 장치(5)측)을 덮음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로부터의 열을 차단하여, 탈곡 장치(5)측으로의 열적 영향을 저감하는 한편,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주변의 온도 저하를 억제한다. 또한, 도 3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화 장치 커버체(261)는 그 측면부에 다수의 구멍을 개구시킨 것으로 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74) 주변에서 가열된 공기의 체류를 억제하여, 곡립 탱크(7)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 의해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락핀 고정 프레임(160)을 탈곡 장치(5)의 기계 하우징 프레임 우측 상방으로부터 이어 설치하고, 락핀 고정 프레임(160) 상단에 곡립 탱크(7)을 고정 지지하는 락핀(161)을 고착하고 있다. 곡립 탱크(7) 전면에 록암(162)을 설치하고 있고, 주행 기체(1)의 수납 위치에 곡립 탱크(7)를 수납시켰을 때, 록암(162)이 락핀(161)에 교합된다. 또한, 곡립 탱크(7) 전면에 록 해제 레버(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있고, 록암(162)에 연계 로드(163)를 통해서 록 해제 레버를 연결시켜서, 록 해제 레버 조작에 의해 락핀(161)으로부터 록암(162)을 이탈 가능하게 구성한다. 곡립 탱크(7) 후방부를 종인출 컨베이어(8a) 상에 지지시키고 있고, 록 해제 레버의 록암(162) 이탈 조작으로 종인출 컨베이어(8a) 축심선 주위로 곡립 탱크(7)를 기외측을 향해서 횡 이동시켜서 탈곡 장치(5) 우측면과 엔진룸(97) 후면을 개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화 장치 커버체(261)를 락핀 고정 프레임(160)으로 지지하는 한편, 곡립 탱크(7)의 좌측면을 단열재(260)로 덮음 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주변을 차열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우측면 및 상면의 일부를 단열재(260)로 덮는 한편,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좌측면 및 상면의 나머지 부분을 정화 장치 커버체(261)로 덮음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로부터의 열을 차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 의한 주변 부품으로의 열적 영향을 억제함과 아울러 고온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의 작업자에 의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으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주변 분위기를 엔진(14)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곡립 탱크(7)의 정화 장치 설치용 오목부(7a)에 단열재(260)를 부착하기 때문에, 곡립 탱크(7) 내측에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 의한 열적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온의 열원이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 의한 곡립 탱크(7)에의 가온을 억제하기 위해서 단열재(260)를 설치하는 것 이외에, 지지대(250)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차열판(262)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상측을 향해서 이어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곡립 탱크(7)의 좌측면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의 우측면 사이에 차열판(262)을 설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74)로부터의 복사열을 차열판(262)으로 차단함으로써, 곡립 탱크(7)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74)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탈곡 장치 7: 곡립 탱크
10: 운전 캐빈 31: 연료 탱크
14: 디젤 엔진 74: 배기가스 정화 장치
75: 제 1 케이스 81: 정화 입구관(배기가스 도입구)
82: 정화 출구관(배기가스 출구) 83: 테일 파이프
91: 엔진룸 프레임 92: 좌측 지주체 (배면측 프레임)
94: 횡 프레임(배면측 프레임) 97: 엔진룸
174: 요소수 탱크 175: 요소수 공급 장치
229: 제 2 케이스 236: SCR 입구관(배기가스 도입구)
237: SCR 출구관(배기가스 배출구) 239: 요소 혼합관

Claims (5)

  1. 동력원인 엔진과, 그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질소 산화 물질을 제거하는 제 2 케이스로 구성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엔진을 내설시키는 엔진룸과, 곡물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엔진룸 후방 또한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한 곡물을 반입하는 곡립 탱크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곡립 탱크는 좌우로 병렬되어 있고,
    상기 곡립 탱크는, 상기 탈곡 장치와 대향하는 면에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는, 각각의 길이 방향이 진행 방향 전후가 되도록 하여, 상기 곡립 탱크의 상기 오목부에 좌우로 병설하여 배치되고,
    병렬 형상으로 연결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갖고,
    주행 기체에 설치한 지지 프레임에 상기 고정 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탈곡 장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곡립 탱크측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배기 출구에 요소 혼합관을 통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배기 입구를 접속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각각과 평행하게 상기 요소 혼합관을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탈곡 장치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엔진룸과 대향하는 면에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 부재의 전방측은, 상기 엔진룸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97036537A 2015-03-04 2016-03-03 콤바인 KR102408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5465A KR102326721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42041A JP6489638B2 (ja) 2015-03-04 2015-03-04 コンバイン
JPJP-P-2015-042041 2015-03-04
JPJP-P-2015-067565 2015-03-27
JP2015067565A JP6602031B2 (ja) 2015-03-27 2015-03-27 コンバイン
PCT/JP2016/056646 WO2016140320A1 (ja) 2015-03-04 2016-03-03 コンバイン
KR1020177024803A KR102057380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803A Division KR102057380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465A Division KR102326721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103A KR20190140103A (ko) 2019-12-18
KR102408297B1 true KR102408297B1 (ko) 2022-06-10

Family

ID=5684845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042A KR102481560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KR1020227044806A KR102656750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KR1020247011412A KR20240051298A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KR1020197036537A KR102408297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KR1020177024803A KR102057380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KR1020217005465A KR102326721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042A KR102481560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KR1020227044806A KR102656750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KR1020247011412A KR20240051298A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803A KR102057380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KR1020217005465A KR102326721B1 (ko) 2015-03-04 2016-03-03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6) KR102481560B1 (ko)
CN (3) CN112056080A (ko)
WO (1) WO2016140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3494B1 (ja) * 2016-11-30 2017-11-2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237872B1 (ja) * 2016-12-26 2017-11-2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9076034A (ja) * 2017-10-25 2019-05-23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6741235B2 (ja) * 2018-05-10 2020-08-1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10622682B (zh) * 2018-06-22 2023-11-07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JP6566335B1 (ja) * 2018-06-28 2019-08-2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036156B2 (ja) * 2020-06-30 2022-03-1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4001A (ja) * 2014-02-28 2014-08-1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4151764A (ja) 2013-02-08 2014-08-25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JP2014177913A (ja) * 2013-03-15 2014-09-25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6242B2 (ja) * 2000-08-24 2010-04-28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7244307A (ja) * 2006-03-16 2007-09-2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048707A (ja) * 2006-08-28 2008-03-06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4928398B2 (ja) * 2007-09-20 2012-05-09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JP5101324B2 (ja) * 2008-02-07 2012-12-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NOx低減装置の配設構造
JP2010037979A (ja) * 2008-08-01 2010-02-18 Denso Corp 排気浄化装置
JP2010051239A (ja) 2008-08-28 2010-03-1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0209813A (ja) 2009-03-11 2010-09-2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5443027B2 (ja) * 2009-03-16 2014-03-1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2011021496A (ja) * 2009-07-13 2011-02-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JP5474434B2 (ja) * 2009-07-27 2014-04-16 株式会社 岩崎工業 クロスフィンチューブ式熱交換器
JP5534143B2 (ja) * 2009-07-28 2014-06-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714844B2 (ja) 2010-07-16 2015-05-0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JP5490739B2 (ja) 2011-02-25 2014-05-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2215022A (ja) * 2011-03-31 2012-11-08 Komatsu Ltd エンジンユニット
JP5908222B2 (ja) * 2011-06-10 2016-04-26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TWI454615B (zh) * 2011-07-27 2014-10-01 Iseki Agricult Mach Combine
JP2013027346A (ja) * 2011-07-28 2013-02-07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TWI578895B (zh) * 2012-03-29 2017-04-21 Iseki Agricult Mach Combine harvesters
CN104244700B (zh) * 2012-08-24 2017-10-13 洋马株式会社 联合收割机
JP5968764B2 (ja) * 2012-11-15 2016-08-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14108065A (ja) * 2012-11-30 2014-06-1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6161057B2 (ja) 2013-02-08 2017-07-12 東京濾器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JP6066787B2 (ja) * 2013-03-15 2017-01-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JP5876851B2 (ja) * 2013-03-28 2016-03-0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2014214719A (ja) * 2013-04-27 2014-11-17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
KR101993720B1 (ko) * 2013-05-30 2019-06-27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
JP2015007397A (ja) * 2013-06-25 2015-01-1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5010476A (ja) * 2013-06-26 2015-01-19 ヤンマー株式会社 農作業車
JP6192161B2 (ja) * 2013-07-22 2017-09-06 ボッシュ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1764A (ja) 2013-02-08 2014-08-25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JP2014177913A (ja) * 2013-03-15 2014-09-25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JP2014144001A (ja) * 2014-02-28 2014-08-1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49301A (zh) 2017-10-13
CN107249301B (zh) 2020-10-16
WO2016140320A1 (ja) 2016-09-09
CN112056080A (zh) 2020-12-11
KR102057380B1 (ko) 2019-12-18
KR20170109058A (ko) 2017-09-27
KR20240051298A (ko) 2024-04-19
KR20210024226A (ko) 2021-03-04
KR102326721B1 (ko) 2021-11-15
KR102481560B1 (ko) 2022-12-26
KR20210136169A (ko) 2021-11-16
KR102656750B1 (ko) 2024-04-11
KR20190140103A (ko) 2019-12-18
KR20230003427A (ko) 2023-01-05
CN112056079A (zh)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297B1 (ko) 콤바인
JP6602031B2 (ja) コンバイン
JP6489638B2 (ja) コンバイン
KR10244647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2329366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101306071B1 (ko) 콤바인
JP6305277B2 (ja) コンバイン
JP2017104083A (ja) コンバイン
KR102608486B1 (ko) 콤바인
JP6792683B2 (ja) コンバイン
JP6245759B2 (ja) コンバイン
JP7197454B2 (ja) コンバイン
JP2016146772A (ja) コンバイン
JP2016029894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4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223

Effective date: 2022032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