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390B1 -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390B1
KR102380390B1 KR1020167029965A KR20167029965A KR102380390B1 KR 102380390 B1 KR102380390 B1 KR 102380390B1 KR 1020167029965 A KR1020167029965 A KR 1020167029965A KR 20167029965 A KR20167029965 A KR 20167029965A KR 102380390 B1 KR102380390 B1 KR 102380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metal plate
plate
movable plat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8238A (ko
Inventor
타카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도쿄 세이미츠 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세이미츠 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세이미츠 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21D5/0263Die with two oscillating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81Workpiece sup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금속판에 마찰 상처도 타흔적도 형성하지 않고 효율적인 굽힘 가공을 행할 수 있는 신규 구성의 굽힘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한 쌍의 가동판(35, 35) 상에 재치한 금속판(W)에 대하여 중심축(X)을 따라 상측 금형(20)으로 압압력을 부여하여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는 장치(10)이며, 가동판이 코일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굽힘 가공시의 금속판의 신장과 함께 이동하므로, 금속판에 마찰 상처를 형성하지 않는다. 가동판의 상면은 완전무결한 플랫면이기 때문에, 상측 금형에 의한 압압력을 받아도 금속판에 타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굽힘 가공 종료 후에 이 압압력 및 금속판의 하중으로부터 해방되면, 요동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과 아울러, 가동판도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가동판을 고정판(38)에 연결하는 체결 부재(41)의 머리부(42)가 스토퍼로서 기능하여 가동판을 동일 위치에 유지한다.

Description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BENDING DEVICE FOR METALLIC PLATE}
본 발명은 강판 등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대략 반원형 단면 형상의 요동 부재를 구비한 하측 금형과, 이 한 쌍의 요동 부재 상에 재치한 금속판에 대하여 이 한 쌍의 요동 부재간의 중심 위치를 향하여 압압력(押壓力)을 부여하는 상하동 가능한 상측 금형을 헙동시킴으로써 이 중심 위치에서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는 타입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타입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는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 등에 공지이며, 굽힘 가공을 행해야 할 금속판을 한 쌍의 요동 부재(또는 그 위에 고착된 판 받이 부재. 이하 동일.)의 상면끼리가 동일 평면이 되는 원점 위치(인용문헌 1의 제1도, 인용문헌 2의 도 2, 인용문헌 3의 3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이 상면에 재치하고, 이 상태로부터 상측 금형을 강하하여 요동 부재간의 중심 위치를 압압함으로써, 한 쌍의 요동 부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이 중심 위치에서 굽힘 가공을 행하는 것이며, 예로부터 사용되어온 고정 하측 금형을 사용하는 타입의 굽힘 가공 장치(특허문헌 1의 제3도· 제4도 참조)에 비하면 굽힘 가공 정밀도가 우수한 등의 이점을 발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금속판이 평판인 상태로부터 굽힘 가공되어 가면, 그 재료의 소성 변형에 의해 특히 그 외면측이 신장하는 점에서, 이 금속판을 재치하고 있는 요동 부재와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이것에 따른 마찰 상처가 금속판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품 가치를 저하시킨다.
하기 특허문헌 4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 수단으로서, 대략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요동 부재의 각 상면에 판 받이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요동 부재(15)의 상면에 판 받이 부재(21)를 부착할 때에, 판 받이 부재(21)의 상면(금속판을 재치하는 면)에 긴 구멍(23)을 형성하고, 이 긴 구멍(23)에 통과시킨 체결 부재(25)를 요동 부재(15)에 체결장착함으로써, 판 받이 부재(21)가 요동 부재(15)의 상면에 대하여 내외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 같은 부착 태양이 채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판 받이 부재 상에 재치된 금속판(W)이 굽힘 가공시에 소성 변형하여 신장되었을 때에, 이것에 추종하여 판 받이 부재(21)도 이동하므로, 금속판(W)의 외면과 판 받이 부재(21)의 상면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에 의한 마찰 상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실개 평3-14010호 공보 일본 특개 2002-001435호 공보 일본 특개 2002-120016호 공보 일본 특개 평10-166060호 공보
특허문헌 4에 개시되는 구성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에 마찰 상처를 부여하는 것을 방지함에 있어서는 효과적이지만, 본 발명자에 의한 검증의 결과, 더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겨져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것은 판 받이 부재(21)의 상면에 형성한 긴 구멍(23)에 의한 타흔적(打痕跡)이 금속판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품 가치를 저하시켜버리는 것이었다. 즉 특허문헌 4에서는 금속판(W)이 굽힘 가공시에 소성 변형하여 신장되었을 때에, 이것에 추종하여 판 받이 부재(21)가 금속판(W)과 함께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판 받이 부재(21)를 판 받이 부재(21)의 상면에 형성한 긴 구멍(23)에 통과시킨 체결 부재(25)로 요동 부재(15)에 부착하는 수법을 채용하고 있는 점에서, 금속판(W)과 판 받이 부재(21)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한 마찰 상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반면 금속판(W)을 상측 금형(7)으로 압압했을 때에 금속판(W)의 외면이 판 받이 부재(21)의 상면에 강하게 눌리므로, 긴 구멍(23)의 윤곽을 따른 형상의 타흔적이 금속판(W)의 외면에 형성되어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금속판에 마찰 상처도 타흔적도 형성하지 않고 효율적인 굽힘 가공을 행할 수 있는 신규 구성의 굽힘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하나의 과제는 복수개의 굽힘 가공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사용함으로써 장척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굽힘 가공 장치끼리의 이음매에 의한 상처가 금속판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은 본체의 상면에 있어서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한 쌍의 원호상 단면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 한 쌍의 오목홈에 각각 요동이 자유롭게 수용되는 한 쌍의 요동 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하측 금형과, 이 하측 금형의 상방에 있어서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금형으로 이루어지고, 하측 금형에 재치한 금속판에 대하여 상측 금형을 이동시켜 압압력을 부여함으로써 한 쌍의 요동 부재를 요동시키면서 중심선을 따라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도록 구성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요동 부재의 각각에 대하여 요동 부재의 상면에 비고정으로 재치되는 가동판과, 이 가동판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력(付勢力)을 부여함과 아울러 굽힘 가공시에는 이 가압력에 저항하여 가동판이 금속판의 신장에 추종하여 요동 부재에 대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고, 가동판은 완전히 플랫한 금속판 재치면을 부여하고, 스프링 수단은 이 플랫한 금속판 재치면에는 간섭하지 않는 바깥쪽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에 있어서, 스프링 수단이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에 있어서, 가동판이 요동 부재의 바깥쪽에 있어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요동 부재에 체결 부재로 고정되고, 가동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체결 부재의 머리부가 요동 부재를 원점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따른 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에 있어서, 스프링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이 체결 부재의 축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따른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에 있어서, 가동판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따른 본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에 있어서, 복수대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굽힘 가공 장치의 길이를 넘는 길이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동판이 이 금속판의 길이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장척 가동판이며, 복수대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에 걸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측 금형의 요동 부재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재치 되는 가동판 상에 금속판을 실어 요동 부재를 요동시키면서 굽힘 가공을 행하므로, 금속판에 마찰 상처를 형성하지 않고, 또 금속판의 재치면이 되는 가동판의 상면은 완전히 플랫하며 구멍이나 개구를 가지지 않으므로, 금속판에 타흔적을 형성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완전히 상처 없이 금속판의 굽힘 가공을 행할 수 있어, 상품 가치를 손상하지 않는다.
또 가동판에는 스프링 부재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어, 굽힘 가공시에 금속판이 소성 변형에 의해 신장되었을 때에 가동판이 이 가압력에 저항하여 금속판의 신장에 추종하여 요동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는데, 스프링 부재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복원력에 의해 굽힘 가공 후의 금속판을 하측 금형으로부터 취출했을 때에 가동판(및 요동 부재)은 순식간에 원점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굽힘 가공에 대비한다.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가동판을 원점 위치로 복귀시키고 또한 유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가동판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대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굽힘 가공 장치의 길이를 넘는 길이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대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에 걸친 길이를 가지는 장척의 가동판을 사용함으로써, 굽힘 가공 장치끼리의 이음매에 의한 상처가 금속판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동판이 금속판과의 마모 등에 의해 손상되어 교환이 필요하게 된 경우, 가동판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는 기존의 장치에 필요 부재를 부착설치함으로써 후부착의 장치로서, 또는 미리 필요 부재를 편입시킨 신규 장치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실시예 1)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의 전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이 장치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이 장치로 굽힘 가공을 행하고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실시예 2)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이 장치로 굽힘 가공을 행하고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실시예 3)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실시예 4)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가동판을 스프링 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변형예(실시예 5)를 대기 상태로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정면도(a) 및 실시예 2의 가동판을 스프링 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변형예(실시예 6)를 대기 상태로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정면도(b)이다. 도 8에 있어서는 편의적으로 중심축의 좌측에 실시예 5, 우측에 실시예 6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실시예 3의 가동판을 스프링 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변형예(실시예 7)를 대기 상태로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정면도(a) 및 실시예 4의 가동판을 스프링 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변형예(실시예 8)를 대기 상태로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정면도(b)이다. 도 9에 있어서는 편의적으로 중심축의 좌측에 실시예 7, 우측에 실시예 8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실시예 5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를 복수대 길이 방향으로 연속시켜 장척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들 복수대의 굽힘 가공 장치에 걸쳐 연장되는 장척의 가동판을 사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실시예 1)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중 도 1은 장치(10)의 전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는 이 장치(10)가 대기 상태 내지 원점 위치에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이 장치(10)로 금속판(W)에 대하여 굽힘 가공을 행하고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이 장치(10)는 상측 금형(20)과, 본체(31)와 한 쌍의 요동 부재(32, 32)를 구비하는 하측 금형(30)을 가진다. 상측 금형(20)은 하측 금형(30)의 상방에 있어서 본체(31)의 중심축(X)을 따라 이동(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기 상태(도 2)에 있어서는 하측 금형(30)의 상방으로 떨어진 위치(원점 위치)에 정지하고 있고, 이 원점 위치로부터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어 하강함으로써 금속판(W)에 대하여 굽힘 가공을 행하고(도 3), 굽힘 가공 종료 후에는 다시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원점 위치로 되돌아간다.
하측 금형 본체(31)의 상면에는 중심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한 쌍의 오목홈(33, 33)이 형성된다. 각 오목홈(33)은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반원호상 단면 형상을 가지고, 이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반원호상 단면 형상을 가지는 요동 부재(32)가 오목홈(33)에 수용되었을 때에, 요동 부재(32)가 회전 중심(34)에서 양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요동 부재(32, 32)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대기 상태(도 2)를 향하여 항상 가압되어 있는데, 상측 금형(20)에 의한 압압력이 중심축(X) 상에 작용했을 때에, 이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3의 상태로 이행한다. 또 하측 금형 본체(31)의 상면에는 한 쌍의 오목홈(33, 33) 사이(중심축(X) 상)에 V홈(47)이 형성되어 있다.
각 요동 부재(32)의 상면에는 가동판(35)이 비고정으로 재치되어 있다. 가동판(35)은 대기 상태(도 2)에 있어서 한 쌍의 가동판(35, 35)이 동일 평면이 되어 금속판에 대한 재치면을 부여하고, 또한 그들의 선단끼리가 대략 맞닿거나 또는 약간의 간극이 그들 사이에 형성되는 위치(원점 위치)에 설치된다. 가동판(35)은 요동 부재(32)의 바깥쪽에 소요의 길이 연장된 후, 하방으로 절곡(折曲)되어 수하편(36)을 형성하고 있다. 가동판(35)의 상면(금속판 재치면(44))은 완전히 플랫한 평활면으로서 형성된다. 가동판(35)과 금속판(W) 사이의 마찰은 요동 부재(32)와 가동판(35) 사이의 마찰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고, 이것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요동 부재(32)의 상면 및/가동판(35)의 하면에 저마찰 재료를 코팅하는 등의 수법이 필요에 따라 채택된다.
또 각 요동 부재(32)의 하측의 대략 반원호상 단면 부분을 일부 절결하여 단차설치면(37)이 형성되고, 이 단차설치면(37)에 맞닿게 한 고정판(38)에 대하여 요동 부재(32)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39)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판(38)은 본체(31)의 바깥쪽까지 연장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어 수하편(40)을 형성하고 있다. 대기 상태(도 2)에 있어서 수하편(40)은 본체(31)의 외면에 대략 맞닿거나 또는 약간의 간극이 그들 사이에 형성되는 위치를 취한다.
이렇게 하여 각 요동 부재(32)는 가동판(35)과 고정판(38)으로 상하로부터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판(38)에 대해서는 볼트(39)로 고정되어 있는데, 가동판(35)은 요동 부재(32)에 대하여 비고정이며 단지 그 위에 재치되어 있을 뿐이며, 따라서 가동판(35)은 요동 부재(32)에 대하여 그들의 맞닿음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가동판(35)의 수하편(36)과 고정판(38)의 수하편(40)은 하측 금형 본체(31)의 외측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그들의 하단 가까이에 있어서 볼트 등의 체결 부재(41)로 연결되어 있다. 체결 부재(41)의 머리부(42)는 수하편(36)의 외면측에 위치하고, 그 축부(43)를 수하편(36)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통과시키고, 수하편(40)의 외면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 부착부(44)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41)의 축부(42)를 둘러싸도록 장착된 코일 스프링(45)이 가동판(35)을 고정판(38)으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력을 부여하는데, 체결 부재(41)의 머리부(42)가 스토퍼로서 기능함으로써 이들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유지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굽힘 가공시에 금속판(W)이 소성 변형에 의해 신장되었을 때에는, 가동판(35)은 코일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금속판(W)의 신장에 추종하여 고정판(38)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장치(10)를 사용하여 금속판(W)을 굽힘 가공할 때의 장치(10)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대기 상태(도 2)에 있어서 동일 평면이 되어 수평의 금속판 재치면(44)을 부여하고 있는 한 쌍의 가동판(35, 35) 상에 굽힘 가공을 행하려고 하는 금속판(W)을 재치한다. 이 때, 금속판(W)의 굽힘 가공 지점이 중심축(X)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금속판(W)을 재치한다.
이 상태로부터 하측 금형(30)의 상방으로 떨어진 원점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측 금형(20)을 하강시켜가면, 그 선단이 중심축(X) 상에 위치하는 금속판(W)의 굽힘 가공 지점에 닿고, 더욱 하강시킴으로써 한 쌍의 요동 부재(32, 32)가 회전 중심(34, 34)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요동하고, 가동판(35), 고정판(38), 체결 부재(41) 및 코일 스프링(45) 등을 가지는 어셈블리(46, 46)도 요동 부재(32, 32)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요동한다. 도 3은 금속판(W)을 90도의 굽힘 각도로 굽힘 가공한 상태를 나타낸다.
종래기술에 관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W)을 굽힘 가공하면 소성 변형에 의해 신장이 발생하는데, 이 장치(10)에서는 가동판(35, 35)이 코일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고정판(38)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금속판(W)이 신장했을 때에는 이것에 추종하여 가동판(35, 35)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대기 상태(도 2)에서는 가동판(35, 35)의 선단은 요동 부재(32, 32)의 상면의 내측단에 대략 정렬한 위치에 있는데, 굽힘 가공이 진행한 상태(도 3)에서는 가동판(35, 35)의 선단이 요동 부재(32, 32)의 상면 내측단으로 돌출하여 V홈(47)에 들어가 있고, 금속판(W)의 신장에 추종하여 가동판(35, 35)이 요동 부재(32, 3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가동판(35, 35)의 슬라이드 이동은 코일 스프링(45)이 그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축되고, 가동판 수하편(36)이 고정판 수하편(4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이 장치(10)에 의하면 굽힘 가공시에 금속판(W)이 소성 변형에 의해 신장했을 때에, 금속판을 재치하는 가동판(35, 35)도 금속판(W)의 신장에 추종하여 함께 움직이므로, 이들 사이에서 상대 이동이 발생하지 않아, 금속판(W)에 마찰 상처를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금속판 재치면(44)을 부여하는 가동판(35, 35)의 상면은 구멍이나 개구를 가지지 않는 완전무결한 플랫면이므로, 상측 금형(20)에 의한 압압력이 작용해도 타흔적(특허문헌 4에 관하여 이미 서술)을 금속판(W)에 형성하지도 않는다.
이렇게 하여 굽힘 가공을 행한 후, 상측 금형(20)을 상승시켜 원점 위치(도 2)로 복귀시키고, 굽힘 가공 후의 금속판(W)을 하측 금형(30)으로부터 취출하여, 상측 금형(20)에 의한 압압력 및 금속판(W)의 하중으로부터 해방되면, 요동 부재(32, 32)가 상기 서술한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각각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요동함과 동시에, 가동판(35, 35)이 코일 스프링(45, 45)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판 수하편(40, 40)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2의 대기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이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판(35, 35)의 위치는 체결 부재(41, 41)의 머리부(42, 42)가 스토퍼로서 기능함으로써 규제되므로, 항상 도 2의 원점 위치에 정확하게 복귀하여, 다음회의 금속판 굽힘 가공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체결 부재(41)는 가동판(35)을 고정판(38)에 연결함과 아울러 그 머리부(42)로 스토퍼로서의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며, 한편 코일 스프링(45)은 가동판(35)을 원점 위치를 향하여 가압함과 아울러 굽힘 가공시에는 요동 부재(32) 및 고정판(38)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각각 다른 작용을 발휘하므로 이들을 따로따로의 위치에 배치해도 되지만, 이 장치(10)와 같이 체결 부재(41)의 축부(43)를 둘러싸도록 코일 스프링(45)을 장착함으로써, 코일 스프링(45)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 장치(10)의 하측 금형(30)에 관한 구성은 본체(31) 및 요동 부재(32, 32)를 가지는 기존의 하측 금형(30)에 어셈블리(46)를 추가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므로, 후부착 타입의 구성으로서도 유용하다.
(실시예 2)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실시예 2)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A)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중 도 4는 이 장치(10A)가 대기 상태 내지 원점 위치에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며, 도 5는 이 장치(10A)로 금속판(W)에 대하여 굽힘 가공을 행하고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이 장치(10A)의 구성은 실시예 1에 의한 장치(10)의 구성과 공통되는 점이 많으므로, 그들 공통의 부분·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이 장치(10A)가 장치(10)와 상이한 점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 장치(10A)에서는 후부착 가능한 어셈블리의 구성이 실시예 1의 장치(10)와는 상이하다. 즉 이 장치(10A)의 각 어셈블리(48)는 요동 부재(32)의 하측 단차설치면(37)에 대고 요동 부재(32)에 체결 부재(39)로 고정되는 고정판(38)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장치(10)의 어셈블리(46)에 있어서의 고정판(38)과 마찬가지로 설치되는데, 요동 부재(32)의 상면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재치되는 가동판(35)은 하측 금형 본체(31) 및 요동 부재(32)의 바깥쪽으로 약간 연장된 후에 하방을 향하여 예각으로 절곡되어, 그 하단부에서 고정판(38)의 수하편(40)과 연결됨으로써, 하방 절곡편(49)의 부분이 판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판(38)의 수하편(40)의 외측에 절곡판(58)을 중첩시키고, 그 절곡부의 내측에 배치한 환봉 부재(59)와 수하편(40) 사이에 간극에 가동판(35)의 하방 절곡편(49)의 선단이 삽입된다.
이 하방 절곡편(49)은 실시예 1의 장치(10)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45)에 상당하고,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작용을 발휘한다. 즉 이 장치(10A)를 사용하여 금속판(W)을 굽힘 가공하는 경우도, 대기 상태(도 4)에 있어서 동일 평면이 되어 수평의 금속판 재치면(44)을 부여하고 있는 한 쌍의 가동판(35, 35) 상에 굽힘 가공을 행하려고 하는 금속판(W)을 재치하고, 상측 금형(20)을 원점 위치(도 4)로부터 하강시켜감으로써, 한 쌍의 요동 부재(32, 32)를 서로 역방향으로 요동시키면서 굽힘 가공을 행한다. 도 5는 금속판(W)을 90도의 굽힘 각도로 굽힘 가공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어셈블리(48, 48)도 요동 부재(32, 32)와 함께 요동하는데, 하방 절곡편(49, 49)을 가지는 어셈블리(48, 48) 자체가 판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므로, 굽힘 가공시에 금속판(W)이 신장되었을 때에는 이것에 추종하여 가동판(35, 35)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대기 상태(도 4)에서는 가동판(35, 35)의 선단은 요동 부재(32, 32)의 상면의 내측단에 대략 정렬한 위치에 있는데, 굽힘 가공이 진행한 상태(도 5)에서는 가동판(35, 35)의 선단이 요동 부재(32, 32)의 상면 내측단으로부터 돌출하여 V홈(47)에 들어가 있고, 금속판(W)의 신장에 추종하여 가동판(35, 35)이 요동 부재(32, 3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장치(10A)에서는 하방 절곡편(49, 49)이 실시예 1의 장치(10)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45)과 마찬가지로 대기 상태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력을 항상 부여하고 있는데, 굽힘 가공시에 금속판(W)이 신장되었을 때에는, 하방 절곡편(49, 49)에 의한 판 스프링 작용에 의해 가동판(35, 35)이 그 가압력에 저항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하측 금형 본체(31) 및 요동 부재(32, 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따라서 이 장치(10A)를 사용하여 금속판(W)을 굽힘 가공하는 경우도 금속판을 재치하는 가동판(35, 35)과 금속판(W) 사이에서 상대 이동이 발생하지 않아, 금속판(W)에 마찰 상처를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금속판 재치면(44)을 부여하는 가동판(35, 35)의 상면은 구멍이나 개구를 가지지 않는 완전무결한 플랫면이므로, 상측 금형(20)에 의한 압압력이 작용해도 타흔적을 금속판(W)에 형성하지도 않는다.
또 이렇게 하여 굽힘 가공을 행한 후, 상측 금형(20)을 상승시켜 원점 위치(도 4)로 복귀시키고, 굽힘 가공 후의 금속판(W)을 하측 금형(30)으로부터 취출하여, 상측 금형(20)에 의한 압압력 및 금속판(W)의 하중으로부터 해방되면, 요동 부재(32, 32)가 상기 서술한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각각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요동함과 동시에, 가동판(35, 35)이 하방 절곡편(49, 49)에 의한 판 스프링으로서의 작용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고, 도 4의 대기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이 장치(10A)에서는 실시예 1의 장치(10)에 있어서의 체결 부재(41, 41)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그 머리부(42, 42)에 의한 스토퍼 작용은 발휘되지 않지만, 하방 절곡편(49, 49)이 판 스프링으로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는 복원력에 의해, 도 4의 대기 상태로 대략 정확하게 복귀하여, 다음회의 금속판 굽힘 가공에 대비할 수 있다. 필요하면 예를 들면 하방 절곡편(49, 49)과 고정판 수하편(40, 40) 사이에, 실시예 1의 장치(10)에 있어서의 체결 부재(41, 41)와 마찬가지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그 머리부(42, 42)에 의한 스토퍼 작용을 발휘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장치(10A)의 하측 금형(30)에 관한 구성은 본체(31) 및 요동 부재(32, 32)를 가지는 기존의 하측 금형(30)에 어셈블리(48)를 추가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므로, 후부착 타입의 구성으로서도 유용하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실시예 3)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B)가 대기 상태 내지 원점 위치에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이 장치(10B)의 구성은 실시예 1에 의한 장치(10)의 구성과 공통되는 점이 많으므로, 그들 공통의 부분·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이 장치(10B)가 장치(10)와 상이한 점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이 장치(10B)의 구성은 실시예 1의 장치(10)의 어셈블리(46, 46)가 발휘하는 작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미리 필요 부재를 편입시킨 신규 장치로서 제공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장치(10B)에 있어서의 각 요동 부재(32)는 그 바깥쪽에 수평으로 돌출하는 통형상부(50)를 가지고, 가동판(35)은 요동 부재(32)의 바깥쪽으로 소요의 길이 연장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어 수하편(51)을 형성하고, 또한 그 하단에서 되접어 하방 수평편(52)을 형성하고 있고, 이들로 통형상부(50)를 포위하고 있다. 수하편(51) 및 하방 수평편(52)을 포함하여 전체가 대략 U자형 내지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되는 가동판(35)은 수하편(51) 및 통형상부(50)를 통과하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53)로 요동 부재(32)에 고정되는데, 체결 부재(53)에 감기는 코일 스프링(54)에 의해 항상 요동 부재(3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체결 부재(53)의 머리부가 수하편(51)의 외측면에 맞닿은 상태(도 6)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판(35, 35)은 굽힘 가공시에는 이 가압력에 저항하여 금속판(W)의 신장에 추종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굽힘 가공 종료 후에는 이 가압력에 의해 도 6의 대기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그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실시예 4)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C)가 대기 상태 내지 원점 위치에 있을 때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이 장치(10C)의 구성은 실시예 2에 의한 장치(10A)의 구성과 공통되는 점이 많으므로, 그들 공통의 부분·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이 장치(10C)가 장치(10A)와 상이한 점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장치(10C)에서는 가동판(35)이 요동 부재(32)의 바깥쪽에서 만곡하는 만곡부(55)를 통하여 고정판(38)과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로서 U자형의 판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가동판(35, 35)은 굽힘 가공시에는 이 판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금속판(W)의 신장에 추종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굽힘 가공 종료 후에는 이 가압력에 의해 도 7의 대기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이 장치(10C)의 하측 금형(30)에 관한 구성은 본체(31) 및 요동 부재(32, 32)를 가지는 기존의 하측 금형(30)에 가동판(35, 35)과 일체가 된 판 스프링(52)을 추가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므로, 후부착 타입의 구성으로서도 유용하다.
(실시예 5)
이미 서술한 각 실시형태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 10A, 10B, 10C)는 모두 요동 부재(32)의 상면에 비고정으로 재치되어 금속판(W)의 굽힘 가공시에 금속판(W)의 신장에 추종하여 요동 부재(32)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판(35)이 스프링 수단(코일 스프링(45), 하방 절곡편(49), 코일 스프링(54), 만곡부(55)) 자체의 하나의 요소로서 편입되어 있는데, 가동판(35)을 스프링 수단과는 별개 부재로서 구성하고, 이것을 스프링 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고 있다. 즉 도 8(a)에는 실시예 1의 변형예로서 착탈 가능한 가동판(35)을 설치한 실시예 5를 나타내고, 도 8(b)에는 실시예 2의 변형예로서 착탈 가능한 가동판(36)을 설치한 실시예 6을 나타내고, 도 9(a)에는 실시예 3의 변형예로서 착탈 가능한 가동판(35)을 설치한 실시예 7을 나타내고, 도 9(b)에는 실시예 4의 변형예로서 착탈 가능한 가동판(35)을 설치한 실시예 8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중심축(X)의 일방측에 실시예 5의 구성, 타방측에 실시예 6의 구성을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도 9에서는 중심축(X)의 일방측에 실시예 7의 구성, 타방측에 실시예 8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실제의 장치에 있어서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이해되도록 실시예 5의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는 도 8(a)과 마찬가지의 구성이 중심축(X)의 우측에도 대칭적으로 채용되고, 실시예 6의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는 도 8(b)과 마찬가지의 구성이 중심축(X)의 좌측에도 대칭적으로 채용되고, 실시예 7의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는 도 9(a)와 마찬가지의 구성이 중심축(X)의 우측에도 대칭적으로 채용되고, 실시예 8의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는 도 9(b)와 마찬가지의 구성이 중심축(X)의 좌측에도 대칭적으로 채용된다.
도 8(a)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시예 5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D)는 실시예 1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고정판(38)의 수하편(40)에 고착된 체결 부재(41)의 머리부(42)와 코일 스프링(42)사이에 연결판(56)을 개재시켜, 이 연결판(56)의 상단에 개구하는 수하편 삽입홈(57)에 실시예 1보다 짧게 형성한 가동판(35)의 수하편(36)의 선단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8(a)에는 굽힘 가공 장치(10D)로부터 분리한 가동판(35)이 장치 상방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연결판(56)을 3장의 판(56a~56c)을 중첩하여 형성하고, 양측의 판(56a, 56c)을 가동판(35)의 상면(금속판 재치면) 가까이까지 연장시키는 한편, 중앙의 판(56b)의 상방 연장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중앙의 판(56b)의 판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의 수하편 삽입홈(57)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중앙의 판(56)은 가동판(35)의 수하편(36)과 대략 동일한 판두께를 가진다. 이 실시예 5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D)를 사용하는 경우도, 실시예 1에 대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금속판(W)에 마찰 상처도 타흔적도 부여하지 않고 굽힘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 5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D)를 사용하는 것은 더욱 추가적인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실시예 1과 같이 체결 부재(41)의 축부(43)를 가동판(35)의 수하편(36)의 하단에 통과시켜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경우는, 필연적으로 가동판(35)의 길이를 장치의 길이보다 길게 할 수 없다. 굽힘 가공의 대상이 되는 금속판(W)은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데, 장치의 길이를 과도하게 길게 하는 것은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며, 비용면에서도 현실적이지 않다. 따라서 실제로는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200~300mm)를 가지는 장치를 몇 대 준비해두고, 1대의 장치의 길이를 넘는 길이의 금속판(W)을 굽힘 가공하는 경우에는 복수대의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하고, 금속판(W)을 이들 복수대의 장치에 걸치도록 재치하여 굽힘 가공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하여 장척의 금속판(W)을 굽힘 가공하면, 하나의 장치의 가동판(35)과 이것에 인접하는 장치의 가동판(35)과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음매가 존재하게 되므로, 이 이음매에 의한 타흔적이 금속판(W)에 형성되어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 타흔적은 장치 폭이 200mm이면 200mm 간격으로 금속판(W)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처로서 출현하게 되어, 제품 가치를 크게 손상시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5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D)에서는 가동판(35)이 스프링 수단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별개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길이를 장치 전체 길이 L보다 긴 것으로 할 수 있고, 굽힘 가공해야 할 금속판(W)의 길이에 따른 길이의 가동판(35)을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불리 결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굽힘 가공 장치(10D)(예를 들면 장치 전체 길이 L=200mm)를 길이 방향으로 복수대(예를 들면 3대) 연속시켜 600mm의 장척 금속판(W)을 굽힘 가공하는 경우는, 가동판(35)으로서 길이 600mm의 것을 미리 준비해두고, 이 가동판(35)의 수하편(36)의 하단을 각 굽힘 가공 장치(10D)의 연결판(56) 상단의 수하편 삽입홈(57)에 삽입하여, 3대의 굽힘 가공 장치(10D)에 걸치도록 하여 장착하면, 굽힘 가공 장치(10D)끼리의 이음매(J)가 장척의 가동판(35)에 의해 은폐되므로, 이 이음매(J)에 의한 타흔적을 금속판(W)에 부여하지 않고 굽힘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각종 장척 금속판(W)의 굽힘 가공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부호 36a는 가동판(35)의 수하편(36)의 하단을 나타낸다.
또 실시예 5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D)에 의하면 가동판(35)이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므로, 반복하여 굽힘 가공을 행함으로써 금속판(W)과의 마모 등에 의해 가동판이 손상되어 교환이 필요하게 된 경우, 가동판(35)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가동판(35)이 스프링 수단(코일 스프링(45))과는 별개 부재로 형성되므로, 스프링 수단에 적정한 스프링력을 부여하기 위한 설계가 용이해진다는 효과도 있다.
(실시예 6)
도 8(b)에 나타내는 실시예 6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E)는 실시예 2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A)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가동판(35)이 미리 어셈블리(48)에 부착되어 있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고정판(38)의 수하편(40)의 외측에 절곡판(58)을 중첩시키고, 그 절곡부의 내측에 배치한 환봉 부재(59)와 수하편(40) 사이에 간극에 가동판(35)의 하방 절곡편(49)의 선단을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도 8(b)에는 굽힘 가공 장치(10E)로부터 분리한 가동판(35)이 장치 상방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판(35)을 장치 전체 길이 L을 넘는 장척의 가동판(35)으로서 형성해둘 수 있으므로, 실시예 5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대의 굽힘 가공 장치(10E)에 걸친 길이의 장척 가동판(35)을 사용함으로써, 굽힘 가공 장치(10E)끼리의 이음매에 의한 타흔적을 금속판(W)에 부여하지 않고 굽힘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9(a)에 나타내는 실시예 7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F)는 실시예 3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B)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가동판(35)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9(a)에는 굽힘 가공 장치(10F)로부터 분리한 가동판(35)이 장치의 좌측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수하편(51) 및 하방 수평편(52)을 포함하여 전체가 대략 U자형 내지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된 가동판(35)을 장치의 측방으로부터 통형상부(50)에 끼워넣도록 하여, 가동판(35)을 요동 부재(3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판(35)을 장치 전체 길이 L을 넘는 장척의 가동판(35)으로서 형성해둘 수 있으므로, 실시예 5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대의 굽힘 가공 장치(10F)에 걸친 길이의 장척 가동판(35)을 사용함으로써, 굽힘 가공 장치(10F)끼리의 이음매에 의한 타흔적을 금속판(W)에 부여하지 않고 굽힘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서는 체결 부재(53)가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체결 부재(53)를 사용하면, 굽힘 가공 종료 후에 가동판(35)이 코일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의해 도 9(a)의 상태로 복귀했을 때의 위치를 체결 부재(53)의 머리부에 의해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된다.
(실시예 8)
도 9(b)에 나타내는 실시예 8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G)는 실시예 4에 의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10C)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가동판(35)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9(b)에는 굽힘 가공 장치(10G)로부터 분리한 가동판(35)이 장치의 우측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부재(32)의 외측 상방단의 절결(60)에 선단이 걸리는 상방 수평편(38a)과, 요동 부재(32)의 바깥쪽에서 만곡하는 만곡부(38b)를 가지고 전체가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된 고정판(38)이 체결 부재(39)(도 9(b)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요동 부재(32)에 고정되고, 이 고정판(38)에 대하여 수하편(61) 및 하방 수평편(62)을 포함하여 전체가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된 가동판(35)을 측방으로부터 끼워넣도록 하여, 가동판(35)을 요동 부재(32) 및 고정판(3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판(35)을 장치 전체 길이 L을 넘는 장척의 가동판(35)으로서 형성해둘 수 있으므로, 실시예 5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대의 굽힘 가공 장치(10G)에 걸친 길이의 장척 가동판(35)을 사용함으로써, 굽힘 가공 장치(10G)끼리의 이음매에 의한 타흔적을 금속판(W)에 부여하지 않고 굽힘 가공을 행할 수 있다.
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20…상측 금형
30…하측 금형
31…하측 금형의 본체
32…요동 부재
33…오목홈
34…요동 부재의 회전 중심
35…가동판
36…가동판의 수하편
37…단차설치면
38…고정판
39…체결 부재
40…고정판의 수하편
41…체결 부재
42…체결 부재의 머리부
43…체결 부재의 축부
44…금속판 재치면
45…코일 스프링(스프링 수단)
46…어셈블리
47…V홈
48…어셈블리
49…가동판의 하방 절곡편(스프링 수단)
50…요동 부재와 일체 형성된 통형상부
51…가동판의 수하편
52…가동판의 하방 수평편
53…체결 부재
54…코일 스프링(스프링 수단)
55…만곡부(스프링 수단)
56…연결판
57…수하편 삽입홈
58…절곡판
59…환봉 부재
60…요동 부재 외측 상방단의 절결
61…수하편
62…하방 수평편
W…금속판

Claims (6)

  1. 본체의 상면에 있어서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한 쌍의 원호상 단면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원호상 단면 형상의 오목홈에 각각 요동이 자유롭게 수용되는 한 쌍의 요동 부재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하측 금형과, 상기 하측 금형의 상방에 있어서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금형으로 이루어지고, 하측 금형에 재치한 금속판에 대하여 상측 금형을 이동시켜 압압력을 부여함으로써 한 쌍의 요동 부재를 요동시키면서 중심선을 따라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도록 구성된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요동 부재의 각각에 대하여 요동 부재의 상면에 비고정으로 재치되는 가동판과,
    상기 상측 금형에 의한 압력이 해방되었을 때 상기 가동판을 원점 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력을 가동판에 부여하기 위해서,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판은 상기 요동 부재의 플랫한 상면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면접촉하는 플랫한 하면을 가짐과 아울러, 플랫한 금속판 재치면을 부여하고, 가동판은 금속판의 변형과 함께 요동 부재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지만 금속판에 대해서는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 수단이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판이 요동 부재의 바깥쪽에 있어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요동 부재에 체결 부재로 체결되고, 가동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체결 부재의 머리부가 요동 부재를 원점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스프링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이 체결 부재의 축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판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대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굽힘 가공 장치의 길이를 넘는 길이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동판이 상기 금속판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금속판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장척 가동판이며, 복수대의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에 걸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KR1020167029965A 2014-03-31 2015-03-03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KR102380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1005 2014-03-31
JPJP-P-2014-071005 2014-03-31
JP2014193123A JP6460695B2 (ja) 2014-03-31 2014-09-22 金属板の曲げ加工装置
JPJP-P-2014-193123 2014-09-22
PCT/JP2015/056195 WO2015151694A1 (ja) 2014-03-31 2015-03-03 金属板の曲げ加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238A KR20160138238A (ko) 2016-12-02
KR102380390B1 true KR102380390B1 (ko) 2022-03-31

Family

ID=5424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965A KR102380390B1 (ko) 2014-03-31 2015-03-03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78359B2 (ko)
EP (1) EP3127626B1 (ko)
JP (1) JP6460695B2 (ko)
KR (1) KR102380390B1 (ko)
CN (1) CN105263645B (ko)
TW (1) TW201607638A (ko)
WO (1) WO2015151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006218A1 (de) * 2017-06-28 2019-01-03 Technische Universität Dortmun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iegen von blechartigen Werkstücken bei gleichzeitiger Druckspannungsüberlagerung
CN108555077A (zh) * 2018-06-22 2018-09-21 西安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钣金折弯成形用的折弯模具和折弯成形保护方法
JP7169447B2 (ja) * 2019-06-28 2022-11-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プレスブレーキおよびプレスブレーキの運転方法
KR102329425B1 (ko) * 2020-04-16 2021-11-19 주식회사 포스코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
CN111922202A (zh) * 2020-06-30 2020-11-13 中煤北京煤矿机械有限责任公司 折弯下胎
CN112387833B (zh) * 2020-10-09 2022-07-01 青岛杰瑞工控技术有限公司 一种列车传感器止动垫片自动折弯机构
KR102254437B1 (ko) * 2021-01-05 2021-05-20 오정수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
AT525933B1 (de) * 2022-03-02 2024-02-15 Trumpf Maschinen Austria Gmbh & Co Kg Matrize für eine Biege- oder Abkantvorrichtung sowie eine Biege- oder Abkantvorrichtung
CN116020914B (zh) * 2022-12-30 2024-01-16 杭州龙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钣金加工用折弯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0371B2 (ja) * 1994-06-13 1998-05-28 株式会社アマダメトレックス 板材折曲げ加工機の金型
JP2005262272A (ja) 2004-03-18 2005-09-29 Nisshin Steel Co Ltd U曲げ部材の加工方法及びu曲げ部材加工用プレス装置
KR100657223B1 (ko) 2005-10-18 2006-12-14 김정임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JP4698799B2 (ja) * 2000-06-23 2011-06-08 有限会社タイガー恒産 回転抑制機能付金属板折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822U (ja) * 1981-07-15 1983-01-28 株式会社明電舎 導体の平打曲げ成形装置
FI75747C (fi) * 1984-02-03 1988-08-08 Simon Aaltokate Lahti & Co Foerfarande och press foer boejning av en oeppet profilerad tunnplaot.
JPH0688077B2 (ja) * 1986-01-31 1994-1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板曲げ加工方法及び装置
JPS63199028A (ja) * 1987-02-13 1988-08-17 Hakusan Kogyo Kk プレス型の下型
JPH0314010A (ja) 1989-06-12 1991-01-22 Nec Corp マスフローコントローラ
JPH0366414A (ja) * 1989-08-02 1991-03-22 Kushibe Tekkosho:Kk 曲げ加工用治具
JPH03124317A (ja) * 1989-10-11 1991-05-27 Nisshin Steel Co Ltd 複合型積層金属板の回転v曲げ加工方法
JP2981049B2 (ja) * 1992-03-13 1999-11-22 株式会社アマダ 板材曲げ型装置
JPH06154862A (ja) * 1992-11-18 1994-06-03 Amada Co Ltd 板材曲げ型装置
JPH06198339A (ja) * 1992-12-11 1994-07-19 Komatsu Puritetsukusu Kk 曲げ加工方法および金型
JP3338317B2 (ja) 1996-12-04 2002-10-28 株式会社アマダ 板材折曲げ加工機の金型
JP3863959B2 (ja) * 1997-03-03 2006-12-27 株式会社協豊製作所 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装置
GB2368304A (en) * 2000-06-23 2002-05-01 Taigaa Koosan Yuugenkaisha Metal sheet bending device with rotation inhibiting function
JP4698811B2 (ja) 2000-10-13 2011-06-08 有限会社タイガー恒産 金属板の折曲装置
CN2590692Y (zh) * 2002-12-13 2003-12-10 张景刚 冷弯压型机的导轨式调整装置
CN201030395Y (zh) * 2006-12-29 2008-03-05 上海宝冶建设有限公司 钢板压弯机
CN201249218Y (zh) * 2008-08-26 2009-06-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冲压折弯无损伤装置
CN202479281U (zh) * 2011-12-29 2012-10-10 合肥蓝天家具制造有限责任公司 板材的自动弯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0371B2 (ja) * 1994-06-13 1998-05-28 株式会社アマダメトレックス 板材折曲げ加工機の金型
JP4698799B2 (ja) * 2000-06-23 2011-06-08 有限会社タイガー恒産 回転抑制機能付金属板折曲装置
JP2005262272A (ja) 2004-03-18 2005-09-29 Nisshin Steel Co Ltd U曲げ部材の加工方法及びu曲げ部材加工用プレス装置
KR100657223B1 (ko) 2005-10-18 2006-12-14 김정임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7626A1 (en) 2017-02-08
US20160121382A1 (en) 2016-05-05
CN105263645A (zh) 2016-01-20
JP6460695B2 (ja) 2019-01-30
JP2015199120A (ja) 2015-11-12
US9878359B2 (en) 2018-01-30
EP3127626B1 (en) 2019-01-02
WO2015151694A1 (ja) 2015-10-08
KR20160138238A (ko) 2016-12-02
TW201607638A (zh) 2016-03-01
EP3127626A4 (en) 2017-11-15
CN105263645B (zh)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390B1 (ko)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TWI584761B (zh) 滑軌總成
TW201726032A (zh) 滑軌總成及其操作方法
US20140033475A1 (en) Assist device for movable body
TWI572303B (zh) 滑軌總成及其滑軌套件
US9642460B2 (en) Self-closing slide rail assembly and self-closing mechanism thereof
EP2774698B1 (en) Press die
US10617208B2 (en) Slide rail assembly
JP6314178B2 (ja) ヒンジ及びその制動装置
US9907400B1 (en) Retracting mechanism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US10207304B2 (en) Bending device for metallic plate
KR20120015351A (ko) 인서트 버클 헤드 및 인서트 버클
US2545397A (en) Stapling device
JP6451255B2 (ja) 綴じ装置
US7694490B2 (en) Closing tool assembly
JP6348917B2 (ja) バックル装置
KR101959471B1 (ko) 벤딩 장치
JP6055744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5227272B2 (ja) カバー装置
JP4852480B2 (ja) 突き上げカム装置
JP2016042048A5 (ko)
US377336A (en) Emil e
US1328905A (en) Riveting-machine
JP2014094419A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ドアの固定構造
JP2007326176A (ja) 部材嵌合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