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437B1 -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437B1
KR102254437B1 KR1020210000975A KR20210000975A KR102254437B1 KR 102254437 B1 KR102254437 B1 KR 102254437B1 KR 1020210000975 A KR1020210000975 A KR 1020210000975A KR 20210000975 A KR20210000975 A KR 20210000975A KR 102254437 B1 KR102254437 B1 KR 102254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support plate
bending member
groov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수
Original Assignee
오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수 filed Critical 오정수
Priority to KR102021000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5/00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machine or the operator, specially adapted for apparatus or machine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절곡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어 절곡부재가 얹혀지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부재를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절곡하는 가압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Bending device and kitchen applian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작업의 효율과 주방용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을 원하는 모양으로 절곡하기 위해서는, 절곡금형을 착탈 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절곡기의 싱커 부분에 절곡금형셋팅장치를 장착하여야 한다.
종래의 절곡금형셋팅장치는, 상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고 전면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메인블록의 전면 상단으로 중앙에 결합장공이 형성된 평면블록을 볼트로 체결하고, 메인블록의 경사진 상면에 안착되도록 평면블록의 결합장공으로 볼트를 이용하여 테이퍼키를 결합하며, 메인블록의 하측에 절곡금형을 클램핑하여 취부할 수 있도록 클램퍼를 볼트로 체결하여서 된 절곡금형셋팅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절곡금형셋팅장치를 절곡기의 싱커 하단에 밀착시킨 다음, 메인 블록에 결합된 평면블록의 상단을 클램퍼를 이용하여 싱커에 클램핑함으로써 고정 설치한 후, 절곡기를 가동시켜서 메인블록에 볼트를 이용하여 클램퍼에 의해 장착되는 절곡금형을 상, 하로 이동시키면서 철판을 절곡하도록 한다.
이는, 절곡기의 싱커 부분에 결합된 메인블록의 하단에 절곡금형을 장착 고정 시 절곡금형을 취부 하도록 클램퍼를 메인 블록에 볼트를 이용하여 조여서 고정하여야 하였으므로, 볼트를 일일이 조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으며, 볼트를 꽉 조이지 않게 되면 작업 도중에 절곡금형이 이탈되어 철판의 절곡 상태가 불량하게 된다든지, 아예 절곡금형을 클램퍼로 새로이 셋팅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2909호(2018.12.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곡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주방용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는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어 절곡부재가 얹혀지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부재를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절곡하는 가압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단에는 'V'자 형태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의 내측에는 상기 절곡부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에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는 한 쌍의 보조장치와 상기 한 쌍의 보조장치 및 상기 제1센서와 연계되어 상기 절곡부재의 유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보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절곡홈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일정거리 길게 구비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얹혀진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기 절곡홈 측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절곡부재가 절곡되어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절곡부재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받침판을 상기 절곡부재 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정각도로 절곡된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도록 하고, 절곡작업이 완료되었을 시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받침판을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단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받침판이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맞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은 직사각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고정부와, 일 방향으로 긴 형상의 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장변에 대응되는 가변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입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변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입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 상기 가변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 및 서로 이웃하거나 교차하는 연결부 사이에 체결되어 다수의 상기 연결부를 가변시켜 상기 가변부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다수의 관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부에는 상기 절곡부재의 길이를 감지하여 상기 가변부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관절부를 통해 상기 절곡부재의 길이만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2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는 상기 절곡홈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얹혀진 상기 절곡부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이물질흡수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곡홈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절곡홈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상기 절곡홈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절곡홈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절곡홈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흡수장치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본체와, 일단이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이동된 이물질이 상기 본체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이동관이 빈틈없이 서로 나란히 위치할 시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본체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작방법은 주방용품을 설계하는 단계와, 설계된 상기 주방용품에 맞게 절곡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부재를 절곡장치의 받침플레이트에 얹히는 단계와, 상기 절곡장치의 가압플레이트를 작동시켜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얹혀진 상기 절곡부재를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장치를 통해 절곡된 다수의 상기 절곡부재를 설계에 맞게 접합 및 체결하여 완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장치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단에는 'V'자 형태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의 내측에는 상기 절곡부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는 한 쌍의 보조장치와 상기 한 쌍의 보조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한 쌍의 보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절곡홈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일정거리 길게 구비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얹혀진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기 절곡홈 측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절곡부재가 절곡되어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절곡부재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받침판을 상기 절곡부재 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정각도로 절곡된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도록 하고, 절곡작업이 완료되었을 시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받침판을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단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받침판이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맞대어지도록 하고, 상기 받침판은 직사각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고정부와, 일 방향으로 긴 형태의 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장변에 대응되는 가변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입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변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입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 상기 가변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 및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연결부 사이에 체결되어 다수의 상기 연결부를 가변시켜 상기 가변부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다수의 관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부에는 상기 절곡부재의 길이를 감지하여 상기 가변부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관절부를 통해 상기 절곡부재의 길이만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2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는 상기 절곡홈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얹혀진 상기 절곡부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이물질흡수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곡홈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절곡홈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상기 절곡홈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절곡홈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절곡홈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흡수장치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본체와, 일단이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이동된 이물질이 상기 본체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이동관이 빈틈없이 서로 나란히 위치할 시 상기 본체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에 의하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방용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곡장치에 보조장치가 구비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조장치의 받침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절곡장치에 이물질흡수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10)는 하부 하우징(11), 상부 하우징(12), 받침플레이트(13) 및 가압플레이트(14)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은 지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절곡장치(10)를 작동하기 위한 각종 설비들이 내장되며, 철판 등의 절곡부재(20)가 정확한 부위에서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곡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은 하부 하우징(11)과 대응되도록 하부 하우징(11)의 상단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고, 하부 하우징(11)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절곡장치(10)를 작동하기 위한 각종 설비들이 내장되며, 작업자에 의한 수동 또는 기계적인 자동방식으로 하부 하우징(11)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받침플레이트(13)는 밑면의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길고 하부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11)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어 절곡부재(20)가 얹혀질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14)는 받침플레이트(13)와 마찬가지로 밑면의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길고 상부 하우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부 하우징(12)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어 상부 하우징(12)의 상하방향 왕복운동을 통해 받침플레이트(13)에 얹혀진 절곡부재(20)를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절곡하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플레이트(14)는 절곡하고자 하는 절곡부재(20)의 형태 및 크기에 맞게 다양한 길이의 가압플레이트(14)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10)에 구비되는 보조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곡장치에 보조장치가 구비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10)는 받침플레이트(13)를 구비하며, 받침플레이트(13)의 상단에는 'V'자 형태의 절곡홈(13a)이 형성될 수 있다.
절곡홈(13a)은 절곡 시 가압플레이트(14)를 통해 절곡된 부위가 안착하고, 절곡 후 절곡 된 절곡부재(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받침플레이트(13) 자체가 밑면의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 인해 절곡홈(13a)이 절곡부재(20)를 지지하는 면적이 좁아 효과는 미비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받침플레이트(13)에는 한 쌍의 보조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장치(100)는 받침플레이트(13)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절곡부재(20)를 받치며, 이를 위해 받침플레이트(13)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일정거리 길게 구비되어 받침플레이트(13)에 얹혀진 절곡부재(20)를 받치는 받침판(110)과 받침판(110)의 절곡홈(13a) 측 일단과 연결되고 받침플레이트(13)의 상단에 고정되어 받침판(11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2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절곡홈(13a)의 내측에는 절곡부재(20)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13b)가 구비되고, 보조장치(100)에는 제1센서(13b) 및 보조장치(100)와 연계되어 보조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장치(100)는 절곡작업이 시작되기 전이나 완료되었을 시 회전축(120)을 통해 받침판(110)을 받침플레이트(13)의 하단 방향으로 회전시켜 받침판(110)이 받침플레이트(13)와 맞대어진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보조장치(100)가 불필요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절곡작업이 시작될 시에는 회전축(120)을 통해 받침판(110)을 받침플레이트(13)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회전시켜 받침플레이트(13)와 함께 받침플레이트(13)에 얹혀진 절곡부재(20)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재(20)가 절곡된 이후에는 제1센서(13b)에서 절곡부재(20)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를 통해 회전축(120)이 받침판(110)을 절곡부재(20) 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부재(20)의 형태 그대로를 받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된 절곡부재(20)를 안전하게 받침으로써 절곡 후 작업자가 절곡부재(20)를 잡고 있지 않더라도 절곡부재(20)가 절곡장치(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곡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장치(100)의 받침판(1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조장치의 받침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10)는 보조장치(100)를 구비하고, 보조장치(100)는 절곡홈(13a)에서 받침플레이트(13)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일정거리 길게 구비되어 받침플레이트(13)에 얹혀진 절곡부재(20)를 받치는 받침판(110)과 받침판(110)의 절곡홈(13a) 측 일단과 연결되고 받침플레이트(13)의 상단에 고정되어 받침판(11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2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판(110)은 고정부(111), 가변부(112), 연결부(113) 및 관절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11)는 직사각 판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축(120)과 결합하고, 가변부(112)는 일 방향으로 긴 형상의 바 형태로 구비되어 고정부(111)의 장변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13)는 다수가 구비되고 고정부(111) 및 가변부(112)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부(111)와 가변부(112)를 연결하며, 관절부(114)는 다수가 구비되고 고정부(111)와 연결부(113) 사이, 가변부(112)와 연결부(113) 사이, 서로 이웃하거나 교차하는 연결부(113) 사이에 체결되어 다수의 연결부(113)의 위치 및 각도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13)와 관절부(114)는 고정부(111)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구비되어 연결부(113)와 관절부(114)가 사용되지 않을 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변부(112)에는 절곡부재(20)의 길이를 감지하는 제2센서(112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센서(112a)에서 절곡부재(20)의 길이를 감지하면, 제어부(200)에서 절곡부재(20)의 길이만큼 연결부(113)와 관절부(114)를 통해 가변부(112)가 고정부(111)로부터 이격되도록 가변부(112)를 이동시키고, 이동 중 제2센서(112a)가 절곡부재(20)의 길이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가변부(112)의 이동을 멈춰 절곡부재(20)의 길이에 맞게 받침판(110)이 조절되어 절곡부재(20)를 용이하게 받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센서(112a)와 제어부(200)를 통해 자동으로 가변부(112)가 이동됨으로써 절곡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10)의 이물질흡수장치(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절곡장치에 이물질흡수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10)는 보조장치(100)를 구비하고, 보조장치(100)의 회전축(120) 내부에는 절곡홈(13a) 및 받침플레이트(13)에 얹혀진 절곡부재(20)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이물질흡수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플레이트(13)에는 절곡홈(13a)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절곡홈(13a)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절곡홈(13a)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분사노즐(13c) 및 절곡홈(13a)과 회전축(120)을 관통하여 절곡홈(13a)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회전축(12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관통홀(13d)이 구비되고, 이물질흡수장치(300)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본체(310) 및 일단이 본체(310)와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13d)과 연결되어 관통홀(13d)을 통해 이동된 이물질이 본체(310)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관(3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관통홀(13d)과 이동관(320)이 빈틈없이 서로 나란히 위치할 시에만 한하여 분사노즐(13c)과 본체(310)가 작동되도록 해 분사노즐(13c)을 통해 절곡홈(13a)에 떠다니는 이물질이 관통홀(13d)과 이동관(320)을 통해 이동되어 본체(310)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부재(20)와 절곡홈(13a)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향후 절곡된 절곡부재(20)를 접합 및 체결하여 주방용품을 완성할 시 주방용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절곡부재(20)가 받침플레이트(13)와 받침판(110)에 얹혀진 상태에서만 한하여 이물질흡수장치(30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가압플레이트(14)를 통해 절곡부재(20)를 절곡할 시에는 이물질흡수장치(300)가 절곡작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절곡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과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10)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10)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은 주방용품을 설계하는 단계(S110)와, 설계된 주방용품에 맞게 절곡부재(20)를 준비하는 단계(S120)와, 절곡부재(20)를 절곡장치(10)의 받침플레이트(13)에 얹히는 단계(S130)와, 절곡장치(10)의 가압플레이트(14)를 작동시켜 받침플레이트(13)에 얹혀진 절곡부재(20)를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절곡하는 단계(S140)와, 절곡장치(10)를 통해 절곡된 다수의 절곡부재(20)를 설계에 맞게 접합 및 체결하여 완성하는 단계(S1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재(20)를 절곡장치(10)의 받침플레이트(13)에 얹히는 단계(S130)와 절곡장치(10)의 가압플레이트(14)를 작동시켜 받침플레이트(13)에 얹혀진 절곡부재(20)를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절곡하는 단계(S140)에서의 절곡장치(10)는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1)과 대응되도록 하부 하우징(11)의 상단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상부 하우징(12)과, 하부 하우징(11)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어 절곡부재(20)가 얹혀지는 받침플레이트(13)와, 받침플레이트(13)와 대응되도록 상부 하우징(12)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어 절곡부재(20)를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절곡하는 가압플레이트(1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플레이트(13)의 상단에는 'V'자 형태의 절곡홈(13a)이 형성되고, 절곡홈(13a)의 내측에는 절곡부재(20)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13b)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받침플레이트(13)에는 받침플레이트(13)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절곡부재(20)를 받치는 한 쌍의 보조장치(100)와 한 쌍의 보조장치(100) 및 제1센서(13b)와 연계되어 절곡부재(20)의 유무에 따라 한 쌍의 보조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조장치(100)는 절곡홈(13a)에서 받침플레이트(13)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일정거리 길게 구비되어 받침플레이트(13)에 얹혀진 절곡부재(20)를 받치는 받침판(110)과, 받침판(110)의 절곡홈(13a) 측 일단과 연결되고 받침플레이트(13)의 상단에 고정되어 받침판(11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20)을 구비하고, 제어부(200)는 가압플레이트(14)에 의해 절곡부재(20)가 절곡되어 제1센서(13b)에서 절곡부재(20)가 감지되었을 시 회전축(120)을 통해 받침판(110)을 절곡부재(20) 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정각도로 절곡된 절곡부재(20)를 받치도록 하고, 절곡작업이 완료되었을 시 회전축(120)을 통해 받침판(110)을 받침플레이트(13)의 하단 방향으로 회전시켜 받침판(110)이 받침플레이트(13)와 맞대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받침판(110)은 직사각 판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축(120)과 결합하는 고정부(111)와, 일 방향으로 긴 형상의 바 형태로 구비되어 고정부(111)의 장변에 대응되는 가변부(112)와, 고정부(111) 및 가변부(112) 사이에 위치하고 고정부(111)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입하며 고정부(111)와 가변부(112)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113)와, 고정부(111)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입하고, 고정부(111)와 연결부(113) 사이, 가변부(112)와 연결부(113) 사이 및 서로 이웃하거나 교차하는 연결부(113) 사이에 체결되어 다수의 연결부(113)의 위치 및 각도를 가변시켜 가변부(112)가 연결부(113)를 통해 고정부(111)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다수의 관절부(114)를 구비하고, 가변부(112)에는 절곡부재(20)의 길이를 감지하여 가변부(112)가 연결부(113) 및 관절부(114)를 통해 절곡부재(20)의 길이만큼 고정부(111)로부터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2센서(112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20)의 내부에는 절곡홈(13a) 및 받침플레이트(13)에 얹혀진 절곡부재(20)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이물질흡수장치(300)가 구비되고, 받침플레이트(13)에는 절곡홈(13a)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절곡홈(13a)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절곡홈(13a)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분사노즐(13c)과, 절곡홈(13a)과 회전축(120)을 관통하여 절곡홈(13a)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회전축(12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관통홀(13d)이 구비되고, 이물질흡수장치(300)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본체(310)와, 일단이 본체(310)와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13d)과 연결되어 관통홀(13d)을 통해 이동된 이물질이 본체(310)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관(320)을 구비하고, 제어부(200)는 관통홀(13d)과 이동관(320)이 빈틈없이 서로 나란히 위치할 시 분사노즐(13c)과 본체(31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작업의 효율과 주방용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절곡장치 20: 절곡부재
11: 하부 하우징 12: 상부 하우징
13: 받침플레이트 13a: 절곡홈
13b: 제1센서 13c: 분사노즐
13d: 관통홀 14: 가압플레이트
100: 보조장치 110: 받침판
111: 고정부 112: 가변부
112a: 제2센서 113: 연결부
114: 관절부 120: 회전축
200: 제어부 300: 이물질흡수장치
310: 본체 320: 이동관

Claims (5)

  1.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단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전면 상단에 구비되어 절곡부재가 얹혀지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부재를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절곡하는 가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단에는 'V'자 형태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의 내측에는 상기 절곡부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에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는 한 쌍의 보조장치와 상기 한 쌍의 보조장치 및 상기 제1센서와 연계되어 상기 절곡부재의 유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보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절곡홈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일정거리 길게 구비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얹혀진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기 절곡홈 측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절곡부재가 절곡되어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절곡부재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받침판을 상기 절곡부재 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정각도로 절곡된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도록 하고, 절곡작업이 완료되었을 시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받침판을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단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받침판이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맞대어지도록 하고,
    상기 받침판은 직사각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고정부와, 일 방향으로 긴 형상의 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장변에 대응되는 가변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입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변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입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 상기 가변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 및 서로 이웃하거나 교차하는 연결부 사이에 체결되어 다수의 상기 연결부를 가변시켜 상기 가변부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다수의 관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부에는 상기 절곡부재의 길이를 감지하여 상기 가변부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관절부를 통해 상기 절곡부재의 길이만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2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는 상기 절곡홈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얹혀진 상기 절곡부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이물질흡수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곡홈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절곡홈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상기 절곡홈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절곡홈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절곡홈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흡수장치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본체와, 일단이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이동된 이물질이 상기 본체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이동관이 빈틈없이 서로 나란히 위치할 시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본체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주방용품을 설계하는 단계와,
    설계된 상기 주방용품에 맞게 절곡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부재를 절곡장치의 받침플레이트에 얹히는 단계와,
    상기 절곡장치의 가압플레이트를 작동시켜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얹혀진 상기 절곡부재를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절곡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장치를 통해 절곡된 다수의 상기 절곡부재를 설계에 맞게 접합 및 체결하여 완성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장치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단에는 'V'자 형태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의 내측에는 상기 절곡부재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센서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는 한 쌍의 보조장치와 상기 한 쌍의 보조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한 쌍의 보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절곡홈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으로 일정거리 길게 구비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얹혀진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기 절곡홈 측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절곡부재가 절곡되어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절곡부재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받침판을 상기 절곡부재 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정각도로 절곡된 상기 절곡부재를 받치도록 하고, 절곡작업이 완료되었을 시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받침판을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단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받침판이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맞대어지도록 하고, 상기 받침판은 직사각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고정부와, 일 방향으로 긴 형태의 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장변에 대응되는 가변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입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변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인출입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 상기 가변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 및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연결부 사이에 체결되어 다수의 상기 연결부를 가변시켜 상기 가변부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다수의 관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부에는 상기 절곡부재의 길이를 감지하여 상기 가변부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관절부를 통해 상기 절곡부재의 길이만큼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2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는 상기 절곡홈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얹혀진 상기 절곡부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이물질흡수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곡홈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절곡홈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상기 절곡홈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절곡홈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절곡홈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흡수장치는 이물질을 흡수하는 본체와, 일단이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이동된 이물질이 상기 본체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이동관이 빈틈없이 서로 나란히 위치할 시 상기 본체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장치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
KR1020210000975A 2021-01-05 2021-01-05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 KR102254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975A KR102254437B1 (ko) 2021-01-05 2021-01-05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975A KR102254437B1 (ko) 2021-01-05 2021-01-05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437B1 true KR102254437B1 (ko) 2021-05-20

Family

ID=7614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975A KR102254437B1 (ko) 2021-01-05 2021-01-05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437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2527A (ja) * 1984-01-26 1985-08-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レスブレ−キ用材料支持装置の制御方法
JPH02104418A (ja) * 1988-10-13 1990-04-17 Maru Kikai Kogyo Kk 折曲げ追従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178511A (ja) * 1990-11-14 1992-06-25 Amada Co Ltd 折曲げ角度検出装置
JP2007114077A (ja) * 2005-10-21 2007-05-10 Murata Mach Ltd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板材曲げ角度測定装置および物品角度測定装置
JP2009190058A (ja) * 2008-02-14 2009-08-27 Murata Mach Ltd プレスブレーキシステム
KR20160138238A (ko) * 2014-03-31 2016-12-02 도쿄 세이미츠 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KR101885874B1 (ko) * 2017-05-31 2018-08-07 (주)유진프로텍 금속판재 절곡장치
KR101912909B1 (ko) 2018-06-07 2018-12-28 (주)일산 철판 절곡 장치
KR20190125809A (ko) *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새암 이물질 흡입수단을 구비한 러그캡 제조장치
KR102062109B1 (ko) * 2019-06-27 2020-01-06 조명순 판재 자동 절곡장치
KR102192095B1 (ko) * 2020-06-26 2020-12-16 권기준 금속판 절곡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2527A (ja) * 1984-01-26 1985-08-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レスブレ−キ用材料支持装置の制御方法
JPH02104418A (ja) * 1988-10-13 1990-04-17 Maru Kikai Kogyo Kk 折曲げ追従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178511A (ja) * 1990-11-14 1992-06-25 Amada Co Ltd 折曲げ角度検出装置
JP2007114077A (ja) * 2005-10-21 2007-05-10 Murata Mach Ltd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板材曲げ角度測定装置および物品角度測定装置
JP2009190058A (ja) * 2008-02-14 2009-08-27 Murata Mach Ltd プレスブレーキシステム
KR20160138238A (ko) * 2014-03-31 2016-12-02 도쿄 세이미츠 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금속판의 굽힘 가공 장치
KR101885874B1 (ko) * 2017-05-31 2018-08-07 (주)유진프로텍 금속판재 절곡장치
KR20190125809A (ko) * 2018-04-30 2019-11-07 주식회사 새암 이물질 흡입수단을 구비한 러그캡 제조장치
KR101912909B1 (ko) 2018-06-07 2018-12-28 (주)일산 철판 절곡 장치
KR102062109B1 (ko) * 2019-06-27 2020-01-06 조명순 판재 자동 절곡장치
KR102192095B1 (ko) * 2020-06-26 2020-12-16 권기준 금속판 절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098B1 (ko) 서랍식패널을 이용한 연성회로기판용 보강판 프레스 장치
KR102254437B1 (ko) 절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방용품 제조방법
KR102094523B1 (ko) 오-링 조립 장치용 결합모듈
CN115533509A (zh) 一种密封圈安装装备及方法
JP2008030305A (ja) 釘打ち装置
CN208615040U (zh) 一种可调节式预埋件固定工装
CN109807461A (zh) 复杂流道水冷板的搅拌摩擦焊接线及其焊接工艺
CN112554482B (zh) 一种便于拆换的装配式墙板安装结构及使用方法
CN205996347U (zh) 定位夹具及锡钎焊接设备
CN205328042U (zh) 一种振动输送机
CN211306897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水泥搅拌机
CN110258832B (zh) 一种装配式保温板固定构件辅助安装装置
KR101715370B1 (ko) 싱크 보울 용접부 평활화 장치
KR20130095047A (ko) 판넬 세정장치 및 그 제조장치
CN112746724A (zh) 一种抹灰头
KR100835800B1 (ko) 철판 용접 연결부의 수평유지장치
KR200332019Y1 (ko) 판재 재단기의 톱밥 제거 장치
KR100650596B1 (ko) 덕트용 코너부재 조립기
CN220451895U (zh) 一种隧道喷射混凝土面刮平装置
CN205366880U (zh) 一种自动化生产振动输送机
CN220454244U (zh) 一种辊道炉炉内料位检测装置
CN205500107U (zh) 一种动力摆动装置
CN220278685U (zh) 一种钢结构框架焊接过程中钢结构框架的固定夹具
CN216262170U (zh) 一种推土机压板清理装置
KR200489490Y1 (ko) 석재앙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