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425B1 -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 - Google Patents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425B1
KR102329425B1 KR1020200046234A KR20200046234A KR102329425B1 KR 102329425 B1 KR102329425 B1 KR 102329425B1 KR 1020200046234 A KR1020200046234 A KR 1020200046234A KR 20200046234 A KR20200046234 A KR 20200046234A KR 102329425 B1 KR102329425 B1 KR 10232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mold
device body
band
band member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258A (ko
Inventor
김병찬
심상룡
김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하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하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4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4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성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BAND FORMING APPARATUS AND COIL BA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품질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철강제품들은 주로 판재(Plate)형태나 롤(Roll)형태로 출하되는데 출하 전 포장단계를 거치게 된다.
롤(Roll) 형태의 코일(Coil)의 경우, 철재의 밴드를 사용하여 코일 외권부에 철재밴드를 둘러 감싼 후 밴드의 결속을 위해 밴드 중첩부에 용접을 시행하여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이 결과 코일 및 포장지와 철재밴드가 밀착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출하된 코일은 판매 과정을 거쳐 구매자에게 이송되는데 포장된 철재밴드를 제거하기 위해 철재밴드용 절단기나 커터를 코일과 밴드사이에 강제로 밀어 넣은 후 절단하는데 이 작업 중 절단기나 커터의 칼날 부분이 포장지 뿐만 아니라 코일의 표면에 깊은 흠집을 발생하게 된다.
도금강판의 경우 도금층이 벗거지거나 일반 코일 표면에 스크래치 및 손상을 야기시키므로 많은 양의 코일에 불량요인으로 작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철재 밴딩작업시 목재 등을 코일 표면에 삽입하여 밴딩작업을 수행한 선례가 있으나 하역작업 및 운반 등의 충격 및 철재밴드의 강력한 밴딩력을 감당하지 못하고 부서져 철재밴드가 느슨해지거나 혹은 부서진 조각으로 인해 코일 표면에 손상이 발생되는 사례가 초례되어 여전히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KR 20-0251068 Y1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밴드부재를 쉽게 절단할 수 있고, 코일의 표면에 흠집이나 변형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양쪽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할형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의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는,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굴곡구간 및, 인접한 상기 굴곡구간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굴곡구간의 접촉부분과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연결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장치본체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개방면이 형성된 본체박스; 및, 상기 본체박스의 양쪽 측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부금형유닛이 회동하는 회동경로를 형성하는 회동홀;을 포함하는 밴드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부금형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상부금형부재를 상기 하부금형부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부금형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상부금형부재를 상기 하부금형부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금형부재는, 양쪽 측면에는 내입홈부가 내입 형성되고,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이 벌어지면서 하부가 개방시 상기 하부금형유닛의 회동암에 형성된 회동지지면이 상기 내입홈부의 내입측면에 접촉 지지되는 밴드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양쪽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금형유닛은, 상기 장치본체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암; 및, 상기 회동암에 설치되고, 밴드부재의 하부와 접촉되면서 하측을 가압 성형하는 하부금형부재;를 구비하는 밴드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양쪽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을 개폐시키는 금형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밴드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형개폐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에 개폐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는 개폐실린더; 및, 상기 하부금형유닛의 회동암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개폐실린더에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금형개폐부에 의해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이 서로 벌어지면서 밴드부재가 개방부분을 통해 인출이 가능한 상태인 개방모드; 및, 상기 금형개폐부에 의해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이 서로 모아지면서 하측의 개방부분이 막힌 상태인 닫힘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본체부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따라 인출입되는 밴드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코일이 거치되고, 밴드부재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장치프레임; 상기 장치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밴드부재에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전술한 밴드성형장치;를 포함하는 코일밴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의 표면에 흠집이나 변형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성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밴드성형장치에 포함된 상부금형부재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밴드성형장치에 포함된 하부금형부재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밴드성형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밴드성형장치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굴곡구간이 형성된 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밴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방식에 밴딩된 코일과, 본 발명에 의한 밴딩된 코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성형장치(3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성형장치(30)는 장치본체부(100), 상부금형부(200) 및, 하부금형부(3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금형개폐부(400) 및, 가이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밴드성형장치(30)는 장치본체부(100)와,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200) 및, 상기 상부금형부(200)와 함께 밴드부재(S)를 가압하여 밴드부재(S)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T)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300)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S)의 인출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치본체부(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의 하측은 개방될 수 있다.
장치본체부(100)에는 상부금형부(200)와 하부금형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금형부(200)의 상부금형부재(210)는 장치본체부(1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금형부(300)의 하부금형부재(350)는 장치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금형부(200)는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고, 장치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는 상부금형부재(21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금형부(200)는 하부금형부(300)와 함께 밴드부재(S)를 가압하여 밴드부재(S)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T)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금형부(300)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굴곡구간(T)이 형성된 밴드부재(S)의 인출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하부금형부(300)는 2개의 하부금형유닛(300U)으로 구성되고, 2개의 하부금형유닛(300U)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개방될 수 있고, 개방된 공간을 통해 굴곡구간(T)이 형성된 밴드부재(S)가 인출될 수 있다.
밴드부재(S)는 상부금형부(200)와 하부금형부(300)의 가압에 의해 굴곡구간(T)이 형성되고, 하부금형부(300)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굴곡구간(T)이 형성된 상태로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밴드부재(S)는 전후방향(D2) 연장 형성된 얇은 띠형의 강재로 구성된 스틸밴드로 구성될 수 있고, 밴드부재(S)는 하부금형부(300)의 하부의 개방부분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도 10의 (a)는 종래의 방식에 따라, 코일(C)의 외권부에 밴드부재(S)를 밴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밴딩성형장치에 의해 코일(C)의 외권부에 밴드부재(S)를 밴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방식의 경우, 밴드부재(S)에 굴곡구간(T)이 형성되지 않아 코일(C)의 외권부와 밴드부재(S)가 밀착되면서 절단기 등으로 밴딩된 스틀밴드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코일(C)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품질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밴드성형장치(30)는 밴드부재(S)에 굴곡구간(T)을 형성함으로써, 코일(C)의 외권부에 밴드부재(S)를 체결시 밴드부재(S)에 형성된 굴곡구간(T)에서 코일(C)의 외권부와 밴드부재(S) 사이의 여유공간(V)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밴드부재(S)는 굴곡구간(T)에 의해 형성된 여유공간(V)에 절단기 등을 삽입하여 밴드부재(S)를 쉽게 절단할 수 있고, 코일(C)의 표면에 흠집이나 변형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금형부(200)와 상기 하부금형부(300)는, 함께 밴드부재(S)를 가압하여, 밴드부재(S)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굴곡구간(T) 및, 인접한 상기 굴곡구간(T)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굴곡구간(T)의 접촉부분(T1)과 높이방향(D3)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연결구간(U)을 형성할 수 있다.
굴곡구간(T)은 밴드부재(S)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D2)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2개의 굴곡구간(T)이 연결구간(U)을 사이에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굴곡구간(T)은 코일(C)의 외권부에 밴드부재(S)가 체결된 상태에서 밴드부재(S)와 접촉되는 접촉부분(T1)과, 접촉부분(T1)에서 높이방향(D3)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접촉부분(T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사부분(T2)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구간(U)은 인접한 2개의 굴곡구간(T)의 경사부분(T2)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구간(U)은 굴곡구간(T)의 접촉부분(T1)과 높이방향(D3)으로 상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연결구간(U)과 코일(C)의 외권부의 사이에는 여유공간(V)이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재(S)를 제거할 때 여유공간(V)에 절단기를 삽입함으로써, 절단기와 코일(C)의 외권부가 접촉될 경우, 코일(C)의 외권부에 발생할 수 있는 흠집 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촉부분(T1)은 직사각형의 평면판으로 구성되고, 경사부분(T2)은 접촉부분(T1)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평면판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분(T1)이 직사각형의 평면판으로 구성됨으로써, 밴드부재(S)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되면서 코일(C)의 표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촉부분(T1)은 직선형으로 구성되고, 경사부분(T2)은 접촉부분(T1)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평면판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촉부분(T1)은 직사각형의 평면판으로 구성되고, 경사부분(T2)은 접촉부분(T1)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만곡진 판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분(T1)이 직사각형의 평면판으로 구성됨으로써, 밴드부재(S)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되면서 코일(C)의 표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경사부분(T2)이 만곡진 판으로 구성됨으로써, 만곡진 판의 탄성변형 등에 의해 접촉부분(T1)과 코일(C)의 표면 사이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되면서 코일(C) 표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코일(C)의 외권부에 밴드부재(S)가 체결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굴곡구간(T)은 코일(C)의 외권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인접한 2개의 굴곡구간(T)을 연결하는 연결구간(U)은 코일(C)의 외권부와 높이방향(D3)으로 상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본체부(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개방면(150)이 형성된 본체박스(110) 및, 상기 본체박스(110)의 양쪽 측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부(300)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회동하는 회동경로를 형성하는 회동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홀(130)은 회동암(330)에 대응되는 수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측면(111)에 2개의 회동홀(130)이 설치되고, 제2 측면(112)에 2개의 회동홀(13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금형부(200)는, 상기 장치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부금형부재(210) 및,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고정되고, 상기 장치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상부금형부재(210)를 상기 하부금형부(300)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금형부재(210)는 본체박스(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본체박스(110)에 고정된 승강실린더(230)에 의해 본체박스(110)의 내부공간에서 하부금형부(300)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부금형부재(210)의 하측에는 밴드부재(S)를 가압하는 상부금형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금형부재(210)는, 양쪽 측면에는 내입홈부(213)가 내입 형성되고,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벌어지면서 하부가 개방시 상기 하부금형유닛(300U)의 회동암(330)에 형성된 회동지지면(331)이 상기 내입홈부(213)의 내입측면(215)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금형부재(210)는, 양쪽 측면에서 내입 형성되는 내입측면(215)과, 내입측면(215)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입측면(215) 보다 측면방향인 좌우방향(D1)으로 돌출된 하부측면(216) 및, 내입측면(215)의 상측에 배치되고, 내입측면(215) 보다 측면방향인 좌우방향(D1)으로 돌출된 상부측면(2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금형부(300)는, 상기 장치본체부(100)의 양쪽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금형부(300)는, 장치본체부(100)의 제1 측면(1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하부금형유닛(300U-1) 및, 상기 제1 하부금형유닛(300U-1)과 함께 상기 하부금형부(300)를 형성하고, 상기 장치본체부(100)의 제2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하부금형유닛(300U-2)을 구비할 수 있다.
먼저, 하부금형부재(350)가 모아지도록 회동암(330)이 하측으로 회동시,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은 장치본체부(100)의 하측의 개방면(150)을 막을 수 있고, 하부금형부재(350)를 향해 상부금형부재(210)가 이동하면서 밴드부재(S)를 가압하여 굴곡구간(T)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금형부재(350)가 벌어지도록 회동암(330)이 상측으로 회동시,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의 벌어진 부분을 통해 굴곡구간(T)이 성형된 밴드부재(S)는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금형유닛(300U)은, 상기 장치본체부(100)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과, 상기 고정브라켓(310)에 회동축(34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암(330) 및, 상기 회동암(330)에 설치되고, 밴드부재(S)의 하부와 접촉되면서 하측을 가압 성형하는 하부금형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다.
회동암(330)은 하부금형부재(350)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밴드부재(S)의 이동방향으로 따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회동암(330)은 회동시 장치본체부(100)에 관통 형성된 회동홀(130)을 통해서 장치본체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체박스(110)의 측면에는 회동홀(130)이 관통 형성되고, 회동홀(130)은 본체박스(110)를 좌우방향(D1)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하방향인 높이방향(D3)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하측은 개방될 수 있다.
회동암(330)의 일부분은 회동홀(130)로 진입하면서 하부금형부재(350)가 밴드부재(S)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금형부재(350)의 상측에는 밴드부재(S)를 가압하는 하부금형면(3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밴드성형장치(30)는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을 개폐시키는 금형개폐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금형개폐부(400)는, 장치본체부(100)의 박스본체 측면에 설치되고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매개로 하부금형유닛(300U)를 개폐할 수 있다.
금형개폐부(400)는 하부금형유닛(300U)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제공하여 분할형으로 구성된 하부금형부(300)를 개폐할 수 있다.
금형개폐부(400)는 하부금형유닛(300U)의 회동암(330)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회동암(330)과 힌지부재 등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금형개폐부(400)는 회동암(330)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을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회동암(330)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을 개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금형개폐부(400)는,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개폐브라켓(410)을 매개로 고정되는 개폐실린더(430) 및, 상기 하부금형유닛(300U)의 회동암(330)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개폐실린더(430)에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금형부(300)는, 상기 금형개폐부(400)에 의해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서로 벌어지면서 밴드부재(S)가 개방부분을 통해 인출이 가능한 상태인 개방모드 및, 상기 금형개폐부(400)에 의해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서로 모아지면서 하측의 개방부분이 막힌 상태인 닫힘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 (b)를 참조하면, 닫힘모드는 금형개폐부(400)가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에 대해 인장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서로 모아지면서 하측의 개방부분이 막힐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개방모드는 금형개폐부(400)가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에 대해 압축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이때,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S)가 인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하부금형부(300) 및, 금형개폐부(40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밴드성형장치(30)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닫힌 상태이고, 상부금형부재(210)는 하부금형부재(350) 방향으로 하강하기 전의 상태이며, 밴드부재(S)는 내부로 인입된 상태이다.
이때, 하부금형유닛(300U)의 회동암(330)은 회동지지면(331)이 상부금형부재(210)의 하부측면(216)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금형개폐부(400)의 실린더로드는 회동암(330)에 인장력을 제공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실린더로드는 개폐실린더(430)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회동암(330)에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닫힌 상태이고, 상부금형부재(210)는 하부금형부재(350) 방향으로 하강한 후의 상태이며, 밴드부재(S)는 상부금형부재(210)와 하부금형부재(350)에 의해 가압되면서 굴곡구간(T)이 형성된 상태이다.
이때, 하부금형유닛(300U)의 회동암(330)은 회동지지면(331)이 상부금형부재(210)의 상부측면(217)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부금형부재(210)가 한 쌍의 하부금형부재(350)와 함께 밴드부재(S)를 가압하여 굴곡구간(T)을 형성시,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벌어지려고 할 때, 회동지지면(331)이 상부측면(217)과 접촉되면서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열린 상태이고, 상부금형부재(210)는 하부금형부재(350)에서 상승한 상태이며, 굴곡구간(T)이 형성된 밴드부재(S)는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의 사이로 인출 가능한 상태이다.
이때, 하부금형유닛(300U)의 회동암(330)은 회동지지면(331)이 상부금형부재(210)의 내입측면(215)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동지지면(331)이 내입측면(215)과 접촉되면서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300U)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금형개폐부(400)의 실린더로드는 회동암(330)에 압축력을 제공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실린더로드는 개폐실린더(430)에 인장되면서 회동암(330)에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밴드성형장치(30)는 장치본체부(100)의 전면(113)과 후면(114)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부(100)의 전후방향(D2)으로 따라 인출입되는 밴드부재(S)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장치본체부(100)의 전면(113)과 후면(114)에 각각 설치되어, 장치본체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인출입되는 밴드부재(S)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500)는 장치본체부(100)의 전면(113)과 후면(114)에 설치된 인출입홀(17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인출입홀(170)의 주변에 설치되는 롤러브라켓과, 롤러브라켓에 고정되고 밴드부재(S)와 접촉되면서 밴드부재(S)의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롤러브라켓은 인출입홀(170)의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되고, 각각의 롤러브라켓에 가이드롤러(530)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밴딩장치는 장치프레임, 밴드성형장치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체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코일밴딩장치는 내부에 코일(C)이 거치되고, 밴드부재(S)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장치프레임(10)과, 상기 장치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밴드부재(S)에 굴곡구간(T)을 형성하는 밴드성형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프레임(10)은 상부가 개방되고, 장치프레임(10)의 개방부분의 주변에 밴드성형장치(30)가 고정될 수 있다.
장치프레임(10)은 내부에 코일(C)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형성되고, 장치프레임(10)에서 공급된 밴드부재(S)가 경유하는 이동경로가 형성되고, 이동경로는 거치대와 그 위의 코일(C)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코일밴딩장치는 장치프레임(10)의 내부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C)의 외권부에 밴드부재(S)를 체결하는 체결장치(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장치(20)는 코일(C)의 외권부에 밴드부재(S)가 감겨진 상태에서 밴드부재(S)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체결장치(20)는 코일(C)의 외권부에 밴드부재(S)가 원형으로 팽팽하게 감겨진 상태에서, 밴드부재(S)의 양단부를 서로 겹쳐지게 배치하고 용접할 수 있다.
체결장치(20)는 장치프레임(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코일(C)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C)의 외권부에 밴드부재(S)를 체결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코일밴딩장치의 작동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코일카 등에 의해 코일(C)이 장치프레임(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밴드부재(S)는 장치프레임(10)의 이동경로를 통해 반시계방향을 따라 코일(C)의 외권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코일(C)의 외권부를 둘러싸도록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밴드부재(S)는 체결장치(20)를 통해 인입되고, 장치프레임(10)의 이동경로를 통해 반시계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밴드부재(S)는 이동경로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밴드성형장치(30)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밴드성형장치(30)의 내부를 관통한 밴드부재(S)는 상부금형부(200)와 하부금형부(300)의 가압에 의해 밴드부재(S)에 굴곡구간(T)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체결장치(20)가 하강하면서 코일(C)의 외권부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밴드성형장치(30)의 하부금형부(30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전환되어 굴곡구간(T)이 형성된 밴드부재(S)는 체결장치(20)와 함게 코일(C)의 외권부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체결장치(20)는 밴드부재(S)를 코일(C)의 외권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밴드부재(S)의 겹쳐진 부분을 용접하여 코일(C)의 외권부에 밴드부재(S)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장치(20)에 포함된 절단부재가 코일(C)의 외권부에 체결된 부분과, 나머지 밴드부재(S)의 경계를 절단하여 이후의 다른 코일(C)의 체결작업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밴딩장치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밴드성형장치(3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코일밴딩장치에서 활용되는 밴드성형장치(30)의 장치본체부(100), 상부금형부(200), 하부금형부(300) 등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밴드성형장치(3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장치프레임 20: 체결장치
30: 밴드성형장치 100: 장치본체부
110: 본체박스 111: 제1 측면
112: 제2 측면 113: 전면
114: 후면 130: 회동홀
150: 개방면 170: 인출입홀
200: 상부금형부 210: 상부금형부재
211: 상부금형면 213: 내입홈부
215: 내입측면 216: 하부측면
217: 상부측면 230: 승강실린더
300: 하부금형부 300U: 하부금형유닛
300U-1: 제1 하부금형유닛 300U-2: 제2 하부금형유닛
310: 고정브라켓 330: 회동암
331: 회동지지면 340: 회동축
350: 하부금형부재 351: 하부금형면
400: 금형개폐부 410: 개폐브라켓
430: 개폐실린더 500: 가이드부
530: 가이드롤러 C: 코일
D1: 좌우방향 D2: 전후방향
D3: 높이방향 S: 밴드부재
T: 굴곡구간 T1: 접촉부분
T2: 경사부분 U: 연결구간
V: 여유공간

Claims (12)

  1.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양쪽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할형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하부가 개방되고, 하부의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는,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복수 개의 굴곡구간 및, 인접한 상기 굴곡구간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굴곡구간의 접촉부분과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연결구간을 형성하는 밴드성형장치.
  3.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장치본체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개방면이 형성된 본체박스; 및,
    상기 본체박스의 양쪽 측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부금형유닛이 회동하는 회동경로를 형성하는 회동홀;을 포함하는 밴드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부금형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상부금형부재를 상기 하부금형부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하는 밴드성형장치.
  5.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부금형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상부금형부재를 상기 하부금형부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금형부재는,
    양쪽 측면에는 내입홈부가 내입 형성되고,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이 벌어지면서 하부가 개방시 상기 하부금형유닛의 회동암에 형성된 회동지지면이 상기 내입홈부의 내입측면에 접촉 지지되는 밴드성형장치.
  6. 삭제
  7.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양쪽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금형유닛은,
    상기 장치본체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암; 및,
    상기 회동암에 설치되고, 밴드부재의 하부와 접촉되면서 하측을 가압 성형하는 하부금형부재;를 구비하는 밴드성형장치.
  8.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부;
    상기 상부금형부와 함께 밴드부재를 가압하여 밴드부재에 높이차를 가지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하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분할형으로 구성되어 개방이 가능하고, 개방부분을 통해 밴드부재의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양쪽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을 개폐시키는 금형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밴드성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개폐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에 개폐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는 개폐실린더; 및,
    상기 하부금형유닛의 회동암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개폐실린더에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를 구비하는 밴드성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금형개폐부에 의해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이 서로 벌어지면서 밴드부재가 개방부분을 통해 인출이 가능한 상태인 개방모드; 및,
    상기 금형개폐부에 의해 한 쌍의 하부금형유닛이 서로 모아지면서 하측의 개방부분이 막힌 상태인 닫힘모드;를 포함하는 밴드성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따라 인출입되는 밴드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밴드성형장치.
  12. 내부에 코일이 거치되고, 밴드부재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장치프레임;
    상기 장치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밴드부재에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밴드성형장치;를 포함하는 코일밴딩장치.
KR1020200046234A 2020-04-16 2020-04-16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 KR10232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34A KR102329425B1 (ko) 2020-04-16 2020-04-16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234A KR102329425B1 (ko) 2020-04-16 2020-04-16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258A KR20210128258A (ko) 2021-10-26
KR102329425B1 true KR102329425B1 (ko) 2021-11-19

Family

ID=7826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234A KR102329425B1 (ko) 2020-04-16 2020-04-16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4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223B1 (ko) * 2005-10-18 2006-12-14 김정임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JP2015199120A (ja) * 2014-03-31 2015-11-12 東京精密発條株式会社 金属板の曲げ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068Y1 (ko) 2001-06-25 2001-11-16 포철기연주식회사 코일밴드 장력 조절장치
KR101539602B1 (ko) * 2013-12-30 2015-07-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시트 롤 포밍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223B1 (ko) * 2005-10-18 2006-12-14 김정임 방화문 문틀 제작용 금형틀
JP2015199120A (ja) * 2014-03-31 2015-11-12 東京精密発條株式会社 金属板の曲げ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258A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5238A (en) Metal web handling method, apparatus and coil construct
US4805383A (en) Batt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US7100862B2 (en) Roll-up machine and method
EP1400450B1 (en) Continuous banding system for wrapping an elongated article such as a stack of interfolded paper towels
KR102329425B1 (ko) 밴드성형장치 및, 코일밴딩장치
US2725104A (en) Coiling apparatus
US4569714A (en) Single facer having rapid roll changing means
KR20190093001A (ko)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JP5061952B2 (ja) 耳状突起物除去装置
JPH11222209A (ja) 包装機械の延伸ヘッドおよび包装フィルムの装着方法
US203320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rapping annular objects
CA2080625C (en) Cutting device for a winding machine for winding a web of material, particularly a paper web
JP2625462B2 (ja) フイルムをひだ付け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212703739U (zh) 一种铝带生产用的整平机构
SU98858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кладывани книг в суперобложки
JPH02233445A (ja) 支持ドラム式巻取り機
KR100985461B1 (ko) 원지 탈피 장치
US4171080A (en) Steel metal web handling method
KR102348056B1 (ko) 압축수단을 갖는 화장지편 포장장치
JP3064890B2 (ja) 線材自動束取り装置
KR20190143652A (ko) 수평 압축형 chq 와이어 자동 결속 시스템
KR20030048671A (ko) 코일 포장용 회전장치
CN214934440U (zh) 不锈钢分条收卷机
JP2955196B2 (ja) 可動型ロール間ガイド
CN218088102U (zh) 一种保护膜收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