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001A -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001A
KR20190093001A KR1020180012401A KR20180012401A KR20190093001A KR 20190093001 A KR20190093001 A KR 20190093001A KR 1020180012401 A KR1020180012401 A KR 1020180012401A KR 20180012401 A KR20180012401 A KR 20180012401A KR 20190093001 A KR20190093001 A KR 2019009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unit
stack
box stack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정란
Original Assignee
염정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정란 filed Critical 염정란
Priority to KR102018001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3001A/ko
Publication of KR2019009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2Feeding sheets or blank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31B50/06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from above a magaz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31B50/98Delivering in stacks or bundle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는, 복수의 접혀진 포장용 박스들이 적층된 박스 스택(stack)을 밴드로 묶는 밴딩유닛과, 밴딩유닛에 연결되며 박스 스택을 밴딩유닛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박스 이동유닛과, 밴딩유닛에 연결되며 박스 스택을 정렬하는 박스 정렬유닛과, 밴딩유닛에 연결되며 밴딩유닛의 밴딩 시 박스 스택이 견고하게 밴딩되도록 박스 스택을 압축하는 박스 압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A packing box automatic banding device}
본 발명은,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혀진 다수개의 박스들이 적층된 박스 스택을 자동으로 정렬한 후 자동으로 밴드로 묶을 수 있는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골판지의 단부가 상호 중첩되도록 절첩하고 이 절첩된 골판지의 단부를 철심을 통해 결속하는 스티치를 통해 제작되며, 이와 같이 제작된 포장박스들을 포장박스 밴딩기 상에서 다수개씩 적재하여 밴드로 결박하여 출하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485116호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박스 밴딩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박스 밴딩기는 적재된 포장박스를 안치할 수 있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적재된 포장박스를 밴드로 휘감아서 결박할 수 있도록 하는 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베이스와 밴딩부의 협동에 의해 내부에는 사각 형태의 포장박스 안치공간이 형성되고, 베이스의 상면과 밴딩부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 형태로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을 통해 밴드가 배출되면서 포장박스가 결속된다.
이러한 포장박스의 결속을 위해, 베이스의 일측에는 밴드를 공급하는 밴드롤이 설치되고, 밴드롤에서 공급되는 밴드는 가이드롤러를 통해 베이스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밴드저장박스 내로 안내되고, 이 밴드저장박스를 통과한 밴드는 베이스의 홈을 따라 안내되어 베이스의 중간에 위치하는 받침대를 거쳐 밴딩부의 홈을 따라 계속 안내되어 단부가 받침대 상에 놓인 스토퍼의 걸림턱에 걸려 사각 형태로 스토퍼에 놓이게 된다.
그러면 밴딩준비 상태가 완료되는 데, 이 상태에서 포장박스가 베이스 상에 놓인 상태에서 작동되면 밴드가 당겨지면서 밴드가 밴딩부의 홈을 따라 배출되면서 포장박스를 결박하게 된다.
그리고 밴드로 포장박스의 결박이 완료되면 밴드의 단부를 융착 및 커팅할 수 있도록, 받침대의 일측에는 열판과 커터가 설치된다. 즉, 밴드의 결박이 완료되면 스토퍼가 일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열판이 받침대 상으로 이동하여 밴드의 단부를 융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융착이 완료되면 받침대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커터가 상승하면서 밴드를 절단하게 된다. 그러면 밴드의 포장작업이 완료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박스 밴딩기 경우, 박스 스택의 포정박스들을 작업자들이 수동으로 가지런하게 정렬하여 포장박스 밴딩기에 제공해야하므로,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511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포장박스들이 적층된 박스 스택을 자동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박스 스택을 자동으로 밴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접혀진 포장용 박스들이 적층된 박스 스택(stack)을 밴드로 묶는 밴딩유닛; 상기 밴딩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 스택을 상기 밴딩유닛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박스 이동유닛; 상기 밴딩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 스택을 정렬하는 박스 정렬유닛; 및 상기 밴딩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밴딩유닛의 밴딩 시 상기 박스 스택이 견고하게 밴딩되도록 상기 박스 스택을 압축하는 박스 압축유닛을 포함하는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박스 이동유닛은, 상기 박스 스택의 하면부에 접촉되어 상기 박스 스택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박스 스택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용 롤러부; 및 상기 이동용 롤러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용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이동 롤러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 정렬유닛은, 상기 박스 스택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에서 상기 포장용 박스들을 정렬하는 전후 방향 정렬부; 및 상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좌우 방향에서 상기 포장용 박스들을 정렬하는 좌우 방향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 방향 정렬부는, 상기 박스 스택의 전면부에 접촉되는 전면 지지부; 상기 전면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 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전면 지지부용 승강부; 상기 박스 스택의 후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 스택을 상기 전면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후면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가압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회동 축심으로 하여 회동되며, 상기 박스 스택의 후면부에 접촉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방향 정렬부는, 상기 박스 스택의 일측 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지지부; 및 상기 박스 스택의 타측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 스택을 상기 측면 지지로 가압하는 측면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가압부는, 상기 박스 스택의 타측 측면에 접촉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압 바아; 및 상기 가압 바아를 상기 측면 지지부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아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아 이동부는, 상기 가압 바아가 결합되며, 상기 측면 지지부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밴딩유닛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 블록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 블록을 이동시키는 블록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 압축유닛은, 상기 박스 스택의 상면부에 접촉되며, 상기 박스 스택의 상면부를 상기 박스 스택의 하면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누름부용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딩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박스 스택을 밴딩유닛으로 공급하는 박스 공급유닛; 및 상기 밴딩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박스 스택을 밴딩유닛에서 배출하는 박스 배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박스 스택을 정렬하는 박스 정렬유닛과 박스 스택을 밴드로 묶는 밴딩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박스 스택을 자동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박스 스택을 자동으로 밴딩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는 도 1의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는 도 1의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는, 복수의 접혀진 포장용 박스들이 적층된 박스 스택(stack, S)을 밴드(T)로 묶는 밴딩유닛(110)과, 밴딩유닛(110)에 연결되며 박스 스택(S)을 밴딩유닛(110)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박스 이동유닛(120)과, 밴딩유닛(110)에 연결되며, 박스 스택(S)을 정렬하는 박스 정렬유닛(130)과, 밴딩유닛(110)에 연결되며 밴딩유닛(110)의 밴딩 시 박스 스택(S)이 견고하게 밴딩되도록 박스 스택(S)을 압축하는 박스 압축유닛(160)과, 밴딩유닛(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박스 스택(S)을 밴딩유닛(110)으로 공급하는 박스 공급유닛(170)과, 밴딩유닛(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박스 스택(S)을 밴딩유닛(110)에서 배출하는 박스 배출유닛(1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박스 스택(S)(stack)은 복수의 접혀진 포장용 박스들이 적층되어 마련된다.
밴딩유닛(110)은 박스 스택(S)을 지지하는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에 지지되며 박스 스택(S)을 밴드(T)로 휘감아서 결박하는 밴딩부(112)와, 베이스(111)부에 지지되며 밴드(T)에 의해 밴딩이 완료된 후 밴드(T)의 단부를 융착하는 열판부(미도시)와, 베이스(111)부에 지지되며 융착된 밴드(T)를 절단하는 커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111)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이동유닛(120)의 후술할 이동용 롤러부(121)가 노출시키는 절개공(113)이 마련된다. 박스 이동유닛(120)에 이동용 롤러부(121)는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절개공(113)도 다수개로 형성된다.
한편, 박스 이동유닛(120)은 밴딩유닛(110)의 베이스(111)에 연결된다. 이러한 박스 이동유닛(120)은 박스 스택(S)을 밴딩유닛(110)의 밴딩부(112)에 대해 상대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박스 이동유닛(120)은, 박스 스택(S)의 하면부에 접촉되어 박스 스택(S)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해 박스 스택(S)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용 롤러부(121)와, 베이스(111)부에 지지되며 복수의 이동용 롤러부(12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박스 이동유닛 프레임부(미도시)와, 박스 이동유닛 프레임부(미도시)에 지지되고 이동용 롤러부(121)에 연결되며 이동용 롤러부(121)를 회전시키는 이동 롤러 회전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동용 롤러부(121)는 박스 스택(S)의 하면부에 접촉되어 박스 스택(S)을 지지한다. 이러한 이동용 롤러부(121)는 회전에 의해 박스 스택(S)을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용 롤러부(121)는 4개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이동용 롤러부(121)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 롤러 회전 구동부(미도시)는 이동용 롤러부(121)에 연결되며, 이동용 롤러부(121)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롤러 회전 구동부(미도시)는 회전용 모터(미도시)로 마련된다.
한편 박스 정렬유닛(130)은, 박스 스택(S)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에서 포장용 박스들을 정렬하는 전후 방향 정렬부(140)와,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좌우 방향에서 포장용 박스들을 정렬하는 좌우 방향 정렬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후 방향이란 박스 스택(S)이 박스 공급유닛(170)에서 밴딩유닛(110)을 거쳐 박스 배출유닛(180)으로 이동되는 방향이고, 좌우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이다.
전후 방향 정렬부(140)는 박스 스택(S)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에서 포장용 박스들을 정렬한다. 이러한 전후 방향 정렬부(140)는, 도 2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스택(S)의 전면부에 접촉되는 전면 지지부(141)와, 전면 지지부(141)에 연결되며 전면 지지부(141)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전면 지지부용 승강부(142)와, 박스 스택(S)의 후면부에 연결되며 박스 스택(S)을 전면 지지부(141) 방향으로 가압하는 후면 가압부(145)를 포함한다.
전면 지지부(141)는 박스 스택(S)의 전면부에 접촉된다. 전면 지지부용 승강부(142)는, 지지 프레임(K)에 지지되며, 전면 지지부(141)에 연결된다. 전면 지지부용 승강부(142)는 전면 지지부(141)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지지부용 승강부(142)에는 승강용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전면 지지부용 승강부(142)에 의해 전면 지지부(14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함으로써, 밴드(T)에 묶인 박스 스택(S)이 박스 배출유닛(180)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박스 스택(S)이 전면 지지부(141)에 간섭되지 않는다.
후면 가압부(145)는 박스 스택(S)의 후면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후면 가압부(145)는 박스 스택(S)을 전면 지지부(141)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후면 가압부(145)는, 도 2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회동 축심으로 하여 회동되며 박스 스택(S)의 후면부에 접촉되는 회동부(146)와, 회동부(146)에 연결되며 회동부(146)를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부(147)를 포함한다.
회동부(14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K)에 연결된 회동 중심축(M)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을 회동 축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회동 구동부(147)는 회동부(146)에 연결된다. 이러한 회동 구동부(147)는 회동부(146)를 회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 구동부(147)는, 회동부(146)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용 실린더 로드(147a)와, 회동용 실린더 로드(147a)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지지 프레임(K)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용 실린더 본체(147b)를 포함한다.
이렇게 회동 구동부(147)에 의해 회동부(146)가 회동됨으로써, 박스 스택(S)이 밴딩유닛(110)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박스 스택(S)이 회동부(146)에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좌우 방향 정렬부(1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좌우 방향에서 포장용 박스들을 정렬한다.
이러한 좌우 방향 정렬부(150)는, 박스 스택(S)의 일측 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지지부(151)와, 박스 스택(S)의 타측 측면에 연결되며 박스 스택(S)을 측면 지지로 가압하는 측면 가압부(153)를 포함한다.
측면 지지부(151)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유닛(110)의 밴딩부(112)에 지지된다. 측면 가압부(153)는 박스 스택(S)을 측면 지지부(151)로 가압한다. 이러한 측면 가압부(153)는, 도 1 및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스택(S)의 타측 측면에 접촉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압 바아(154)와, 가압 바아(154)를 측면 지지부(151)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아 이동부(15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바아(154)는, 2개로 마련되며, 박스 스택(S)의 타측 측면에 접촉된다.
바아 이동부(155)는 가압 바아(154)를 측면 지지부(151)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바아 이동부(155)는, 가압 바아(154)가 결합되며 측면 지지부(151)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블록(156)과, 밴딩부(112)에 지지되고 이동 블록(156)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 블록(156)을 이동시키는 블록 구동부(15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록 구동부(157)는, 이동 블록(156)에 결합되는 바아용 이동 너트(미도시)와, 바아용 이동 너트(미도시)에 치합되며 이동 너트(미도시)를 이동 시키는 바아용 볼 스크류(미도시)와, 바아용 볼 스크류(미도시)에 연결되어 바아용 볼 스크류(미도시)를 회전 시키는 바아용 서보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박스 압축유닛(160)은 밴딩유닛(110)에 연결된다. 이러한 박스 압축유닛(160)은, 밴딩유닛(110)의 밴딩 시 박스 스택(S)이 견고하게 밴딩되도록, 박스 스택(S)을 압축한다. 이러한 박스 압축유닛(160)이 밴딩유닛(110)에 의한 밴딩 전 포장용 박스들을 눌러줌으로써, 포장용 박스들이 밴드(T)에 단단하게 결속되도록 한다.
이러한 박스 압축유닛(160)은, 박스 스택(S)의 상면부에 접촉되며 박스 스택(S)의 상면부를 박스 스택(S)의 하면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누름부(161)와, 누름부(161)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누름부용 승강부(165)를 포함한다.
누름부(161)는 박스 스택(S)의 상면부에 접촉되며 박스 스택(S)의 상면부를 박스 스택(S)의 하면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누름 플레이트부(162)와, 누름 플레이트부(162)에 결합되며 누름부용 승강부(165)에 연결되는 누름용 연결 바아(16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누름부용 승강부(165)는, 누름용 연결 바아(163)에 결합되는 누름용 승강 블록(166)과, 누름용 승강 블록(166)에 결합되는 누름용 이동 너트(미도시)와, 누름용 이동 너트(미도시)에 치합되며 누름용 이동 너트(미도시)를 이동 시키는 누름용 볼 스크류(미도시)와, 누름용 볼 스크류(미도시)에 연결되어 누름용 볼 스크류를(미도시) 회전 시키는 누름용 서보 모터(169)를 포함한다.
한편, 박스 공급유닛(170)은 밴딩유닛(1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박스 공급유닛(170)은 박스 스택(S)을 밴딩유닛(110)으로 공급한다. 박스 공급유닛(170)은, 박스 공급용 이송롤러(171)와, 박스 공급용 이송롤러(171)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박스 배출유닛(180)은 밴딩유닛(1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박스 배출유닛(180) 박스 스택(S)을 밴딩유닛(110)에서 배출한다. 박스 배출유닛(180)은, 박스 배출용 이송롤러(181)와, 박스 배출용 이송롤러(181)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위주로 설명한다.
박스 스택(S)이 박스 공급유닛(170)을 통해 밴딩유닛(110)으로 공급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지지부(141)가 하강하여 박스 스택(S)의 전면부를 지지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46)가 회동되어 박스 스택(S)을 전면 지지부(141)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서, 박스 스택(S)의 포장용 박스들이 전후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바아(154)가 측면 지지부(151) 방향으로 이동되어 박스 스택(S)을 측면 지지부(151)로 가압함으로써, 박스 스택(S)의 포장용 박스들이 좌우 방향으로 정렬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61)가 하강하여 박스 스택(S)을 압축한 상태에서 밴딩부(112)가 박스 스택(S)을 첫 번째 밴딩한다.
이후, 두 번째 밴딩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이동유닛(120)이 박스 스택(S)을 소정 거리만큼 전진시킨다. 박스 이동유닛(120)의 동작이 정지된 후, 누름부(161)가 하강하여 박스 스택(S)을 압축한 상태에서 밴딩부(112)가 박스 스택(S)을 두 번째 밴딩한다.
다음 박스 이동유닛(120) 및 박스 배출유닛(180)이 동작하여 박스 스택(S)을 밴딩유닛(110)에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는, 박스 스택(S)을 정렬하는 박스 정렬유닛(130)과 박스 스택(S)을 밴드(T)로 묶는 밴딩유닛(110)을 구비함으로써, 박스 스택(S)을 자동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박스 스택(S)을 자동으로 밴딩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밴딩유닛 111: 베이스
112: 밴딩부 113: 절개공
120: 박스 이동유닛 121: 이동용 롤러부
130: 박스 정렬유닛 140: 전후 방향 정렬부
141: 전면 지지부 142: 전면 지지부용 승강부
145: 후면 가압부 146: 회동부
147: 회동 구동부 147a: 회동용 실린더 로드
147b: 회동용 실린더 본체 150: 좌우 방향 정렬부
151: 측면 지지부 153: 측면 가압부
154: 가압 바아 155: 바아 이동부
156: 이동 블록 157: 블록 구동부
160: 박스 압축유닛 161: 누름부
162: 누름 플레이트부 163: 누름용 연결 바아
165: 누름부용 승강부 166: 누름용 승강 블록
169: 누름용 서보 모터 170: 박스 공급유닛
171: 박스 공급용 이송롤러 180: 박스 배출유닛
181: 박스 배출용 이송롤러 K: 지지 프레임
S: 박스 스택 T: 밴드

Claims (5)

  1. 복수의 접혀진 포장용 박스들이 적층된 박스 스택(stack)을 밴드로 묶는 밴딩유닛;
    상기 밴딩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 스택을 상기 밴딩유닛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박스 이동유닛;
    상기 밴딩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 스택을 정렬하는 박스 정렬유닛; 및
    상기 밴딩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밴딩유닛의 밴딩 시 상기 박스 스택이 견고하게 밴딩되도록 상기 박스 스택을 압축하는 박스 압축유닛을 포함하는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이동유닛은,
    상기 박스 스택의 하면부에 접촉되어 상기 박스 스택을 지지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박스 스택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용 롤러부; 및
    상기 이동용 롤러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용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이동 롤러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정렬유닛은,
    상기 박스 스택의 이동방향인 전후 방향에서 상기 포장용 박스들을 정렬하는 전후 방향 정렬부; 및
    상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좌우 방향에서 상기 포장용 박스들을 정렬하는 좌우 방향 정렬부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정렬부는,
    상기 박스 스택의 전면부에 접촉되는 전면 지지부;
    상기 전면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 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전면 지지부용 승강부;
    상기 박스 스택의 후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 스택을 상기 전면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후면 가압부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가압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회동 축심으로 하여 회동되며, 상기 박스 스택의 후면부에 접촉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KR1020180012401A 2018-01-31 2018-01-31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KR20190093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401A KR20190093001A (ko) 2018-01-31 2018-01-31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401A KR20190093001A (ko) 2018-01-31 2018-01-31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001A true KR20190093001A (ko) 2019-08-08

Family

ID=6761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401A KR20190093001A (ko) 2018-01-31 2018-01-31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30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6411A (zh) * 2020-03-13 2020-06-02 周航天 一种环保纸箱的生产装置
KR102567826B1 (ko) * 2023-03-03 2023-08-16 김정훈 박스 제함,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스 제함 및 밴딩방법
KR102567829B1 (ko) * 2023-03-03 2023-08-16 김정훈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KR102637380B1 (ko) * 2023-08-01 2024-02-19 이기황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16B1 (ko) 2014-09-03 2015-01-22 황양숙 포장박스 밴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16B1 (ko) 2014-09-03 2015-01-22 황양숙 포장박스 밴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6411A (zh) * 2020-03-13 2020-06-02 周航天 一种环保纸箱的生产装置
KR102567826B1 (ko) * 2023-03-03 2023-08-16 김정훈 박스 제함,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스 제함 및 밴딩방법
KR102567829B1 (ko) * 2023-03-03 2023-08-16 김정훈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KR102637380B1 (ko) * 2023-08-01 2024-02-19 이기황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3001A (ko)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JP7328300B2 (ja) ボックス形成機
KR101485116B1 (ko) 포장박스 밴딩기
US3889584A (en) Binding machine
KR102198905B1 (ko)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US2937484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bundling material
CN104812674B (zh) 无带捆扎方法和捆扎机
JPH05502647A (ja) 圧縮可能な荷物のための梱包機
JP2017506611A (ja) 正方形又は長方形の断面を有する箱の高さを該箱の中の物品の高さに減少することにより、該箱を閉じる方法及び装置
KR20140080490A (ko) 매듭기 조립체
AU612032B2 (en) Apparatus for wrapping and closing a book package
US2287056A (en) Packaging of sheet material
US4222323A (en) Tire bundling machine
US20262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ndling and packaging articles
JPH11189214A (ja) タイヤの包装・結束方法
US11305901B2 (en) Packaging device and packaging process
KR102525339B1 (ko) 제함기 투입을 위한 지상자 묶음 밴드 자동 절단 및 배출 장치
CN201023678Y (zh) 药盒捆包机
KR102071419B1 (ko) 이송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장치
JP6737544B2 (ja) 圧縮梱包装置
JPH0717623A (ja) 型抜き品の束をユーザーマシンに自動的に供給する装置
KR20100000620U (ko) 래핑머신
CN113815922B (zh) 纸板捆包机的松弛装置
KR20230006706A (ko) 박스 밴딩장치
EP3530578B1 (en) Packaging machin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