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829B1 -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829B1
KR102567829B1 KR1020230028347A KR20230028347A KR102567829B1 KR 102567829 B1 KR102567829 B1 KR 102567829B1 KR 1020230028347 A KR1020230028347 A KR 1020230028347A KR 20230028347 A KR20230028347 A KR 20230028347A KR 102567829 B1 KR102567829 B1 KR 102567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rame
boxes
clamp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230028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31B50/104Feeding or positioning webs involving 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11Applying strips, strings, laces or ornamental edgings to formed boxes

Landscapes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개구부과 형성되어 과일 등을 포장하는 박스를 2층으로 정렬 후 밴딩하되, 종래대비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이송수단(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이송수단(80)으로부터 박스를 공급받아 설정수량만큼의 박스를 2층으로 정렬하는 박스정렬기(90); 및 박스정렬기(90)의 일측에 배치되어 박스정렬기(90)에서 2층으로 정렬된 박스를 인계받아 노끈으로 묶는 밴딩기(100);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정렬기(90)는, 제1이송수단(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이송수단(80)에 안착된 박스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공급장치(91);와 제1공급장치(9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이송된 박스가 상면에 전후방향 일렬로 정렬 및 안착되는 프레임(92); 및 프레임(92)의 상측에는 배치되어 프레임(92) 위의 박스를 2층으로 적재 후 밴딩기(100)로 이송하는 제2공급장치(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Box Alignment and Banding Unit}
본 발명은 상측에 개구부과 형성되어 과일 등을 포장하는 박스를 2층으로 정렬 후 밴딩하되, 종래대비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일이나 야채 등을 담는 용도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박스를 자동으로 접어주는 장치의 일례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8905호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기술을 적용하여 장치를 제작 및 운전시 발견하였던 문제 중 한가지로는 직립 정렬기가 박스를 일렬로 정렬 후 일괄 공급유닛에 의해 일렬로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로 이송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일괄 공급유닛이 직립 정렬기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의 경로를 가로막게되어 일괄 공급유닛이 제자리로 돌아오기까지 박스를 정렬해주는 직립 정렬기가 멈추어야 하여,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박스를 1층으로 정렬하여 밴딩함으로 밴딩에 사용되는 노끈 소모량이 2층으로 적재하는 것 대비 많다는 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박스가 직립 정렬기에 의해 정렬되는 과정에서 박스 간에 부딪힘 등으로 인해 정렬 상태가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8905호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밴딩 전 박스를 정렬 후 밴딩기로 이송함에 있어, 박스의 이송에 필요한 장치와 박스를 정렬하는 장치 간에 간섭을 해소함으로써, 장치가 멈추지 않고 지속적으로 운용되도록 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된 과제이다.
또한, 박스를 제함 및 밴딩함에 있어, 제품의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종래대비 개선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는, 제1이송수단(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이송수단(80)으로부터 박스를 공급받아 설정수량만큼의 박스를 2층으로 정렬하는 박스정렬기(90); 및 박스정렬기(90)의 일측에 배치되어 박스정렬기(90)에서 2층으로 정렬된 박스를 인계받아 노끈으로 묶는 밴딩기(100);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정렬기(90)는, 제1이송수단(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이송수단(80)에 안착된 박스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공급장치(91);와 제1공급장치(9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이송된 박스가 상면에 전후방향 일렬로 정렬 및 안착되는 프레임(92); 및 프레임(92)의 상측에는 배치되어 프레임(92) 위의 박스를 2층으로 적재 후 밴딩기(100)로 이송하는 제2공급장치(9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장치(93)는, 프레임(92)의 상측 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92) 상단의 최전방으로 공급되는 박스를 가로막아 전방이송이 멈추게 하는 블록클램프(93a);와 상기 블록클램프(93a)의 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92)의 후방에 정렬된 박스의 바닥편(2)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1클램프(93b);와 제1클램프(93b)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블록클램프(93a)의 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92)의 후방에 정렬된 박스의 바닥편(2) 일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2클램프(93c);와 블록클램프(93a)와 제1클램프(93b)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클램프(93b)를 상하방향으로 견인하여 이송시키는 제1승강장치(93d);와 제1승강장치(93d)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승강장치(93d)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를 상하방향으로 견인하여 이송시키는 제2승강장치(93f); 및 프레임(92)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2 및 제2승강장치(93f)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를 밴딩기(100)가 위치한 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수단(93g);을 포함하되,
상기 제3이송수단(93g)은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프레임(92)으로 이송되는 박스의 경로에 간섭이 되지 않는 높이의 프레임(92)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블록클램프(93a)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가 프레임(92) 위로 복귀시에는, 제2승강장치(93f)가 제1승강장치(93d)와 블록클램프(93a),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를 상측으로 견인하여,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프레임(92) 위로 복귀되는 박스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2층으로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100)로 이동하거나 블록클램프(93a),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가 프레임(92) 위로 복귀 중 제1공급장치(91)는 멈추지 않고, 프레임(92) 위로 박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클램프(93a)는 프레임(92)의 상측 전방에서 상하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92)의 상면 최전방에 공급된 박스의 일면과 접촉하는 슬라이드블록(93a1); 및 상기 슬라이드블록(93a1)의 하측에 배치되어, 프레임(92)의 상면 최전방에 공급된 박스의 일면과 접촉하는 고정블록(93a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공급장치(91)는 전방을 향한 전후편(4)의 일면과 바닥편(2)의 일부분을 감짜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박스의 바닥편(2)과 전후편(4)과 접하는 각 면에 흡착패드(91b)가 형성되어, 박스를 진공으로 파지하는 파지부(91a);와 상기 파지부(91a)의 하측에는 파지부(91a)를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90도 회동시키는 제1회전 실린더(91c);와 상기 제1회전 실린더(91c)의 하측에는 파지부(91a)와 제1회전 실린더(91c)를 지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제2회전 실린더(91d);를 포함하되,
프레임(92)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박스는 제2회전 실린더(91d)가 박스의 개구부(1a)가 후방을 향하도록 돌리고, 프레임(92)에 공급되는 2번째 박스부터는 개구부(1a)가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이송 및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공급장치(93)는 제1승강장치(93d)에 일면에 형성되어 프레임(92) 위로 유입되는 박스의 상측 일부분을 상측에서 눌러주는 브러쉬(93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승강장치(93d)는 하측에 제1승강장치(93d)가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박스 1열(2층 박스)의 저면 일부분을 받쳐주는, 박스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93d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딩기(100)의 전후방 양측에는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공급된 2층으로 정렬된 박스의 전후방향 양면을 파지하여 박스가 흐트러지지 않게 잡는 정렬장치(10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정렬기(90)는 프레임(92) 전방에 구비되는 실린더에 의해 회동하여 박스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며,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프레임(92) 상면에서 2층을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100)로 이송되고 난 후에 작동하는 스토퍼(9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공급장치(93)는,제1승강장치(93d)의 일측에서, 제1승강장치(93d)에 의해 상하방으로 견인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박스 1열(2층 박스)의 상단 일부분을 아래로 가압하는 상단받침대(93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받침대(93h)의 전후방향에 형성되어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박스 1열(2층 박스)의 전후 양면의 일부분을 파지하는 측면받침대(93i);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정렬기(90)는 프레임(92) 전방에 구비되는 실린더에 의해 회동하여, 프레임(92) 위로 유입되는 박스의 상측면과 맞닿아 박스가 흐트러지는 것을 줄여주며,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프레임(92) 상면에서 2층을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100)로 이송되고 난 후에 작동하는 유도가이드(9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박스정렬기(90)에서 2층으로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100)로 이동하거나 블록클램프(93a)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가 프레임(92) 위로 복귀하는 중에 제3이송수단(93g)이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프레임(92)으로 이송되는 박스의 경로에 간섭되는 요소가 없도록 함으로써,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2층으로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100)로 이동하거나 블록클램프(93a),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가 프레임(92) 위로 복귀 중 제1공급장치(91)는 멈추지 않고, 프레임(92) 위로 박스를 공급하여 박스 밴딩작업 효율이 떨어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스를 2층으로 정렬 후 밴딩함으로써, 1층의 박스를 밴딩하는 것에 비하여 밴딩에 사용되는 노끈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정렬 및 밴딩하고자 하는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볼 발명의 박스정렬기와 밴딩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제2공급장치에 의해 박스가 2층으로 정렬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3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3의 우측면도.
도 7 및 8은 제1공급장치에 의해 박스가 정렬 및 이송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도 6에서 제2공급장치에 의해 박스가 2층으로 정렬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도 9에서 제2공급장치에 의해 2층으로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로 이송후 복귀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도 5 중 A측에서 바라본 밴딩기의 정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스를 2층으로 정렬하여 밴딩함에 있어 종래대비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정렬 및 밴딩하고자 하는 박스(1)의 일례로써, 도 1과 같이, 박스(10)에서 하측은 사각형의 폐쇄된 바닥편(2)과, 바닥편(2)의 좌우양측과 수직하도록 접힌 측면편(3) 및, 바닥편(2)의 전후방향에서 수직하도록 접힌 전후편(4)이 형성되며, 상측은 일부분이 개방된 개방부(1a)가 형성된다.
위와 같은 박스(1)는 별도의 제함장치(미도시)에서 제함된 후 제함장치로 부터 박스를 인계받은 제1이송수단(80)에 의해 박스가 전방으로 이송되며, 본 발명의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는, 도 2 내지 11과 같이, 상기 제1이송수단(80)의 전방에 위치하여, 제1이송수단(80)으로부터 박스를 인계받아 설정수량만큼의 박스를 2층으로 정렬하는 박스정렬기(90) 및, 상기 박스정렬기(90)의 일측에 위치하여 박스정렬기(90)로부터 2층으로 정렬된 박스를 인계받아 밴딩작업을 수행하는 밴딩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박스정렬기(90)는 제1이송수단(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이송수단(80)에 안착된 박스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공급장치(91)가 구비된다.
제1공급장치(91)는 상기 제1이송수단(80)에 안착 된 박스를 파지하는 파지부(91a)가 구비된다. 파지부(91a)는 전방을 향한 전후편(4)의 일면과 바닥편(2)의 일부분을 감짜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박스의 바닥편(2)과 전후편(4)과 접하는 각 면에는 흡착패드(91b)가 형성되어, 박스를 진공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공급장치(91)에서 파지부(91a)의 하측에는 파지부(91a)를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90도 회동시키는 제1회전 실린더(91c)가 구비되며, 제1회전 실린더(91c)의 하측에는 파지부(91a)와 제1회전 실린더(91c)를 지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제2회전 실린더(91d)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회전 실린더(91d)의 하측에는 파지부(91a)와 제1 및 제2회전 실린더(91d)를 전후방으로 왕복하여 이송시키는 제2이송수단(91e)이 구비된다.
제1공급장치(91)의 상측에는 프레임(92)이 형성되어, 제1공급장치(91)가 프레임(92) 상면에 박스를 전후방향 일렬로 정렬 및 안착한다.
위 파지부(91a)가 제1이송수단(80)에 안착된 박스를 파지 후 제1회전 실린더(91c)에 의해 박스가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개구부(1a)가 전방을 향하게 되고, 후술할 밴딩기(100)에서 노끈으로 박스를 묶을시 개구부(1a)와 인접한 전후편(4) 모서리에 노끈이 감겨 포장되면, 노끈과 맞닿은 전후편(4)이 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2회전 실린더(91d)가 박스의 개구부(1a)가 후방을 향하도록 돌리게 되면, 밴딩기(100)에서 노끈의 장력이 바닥편(2)과 전후편(4)에 분산됨으로 박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제1공급장치(91)에서 박스의 개구부(1a)가 후방으로 향하도록 반전시키는 작업은 프레임(92)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박스에만 적용이 되고, 프레임(92)에 공급되는 2번째 박스부터는 개구부(1a)가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이송 및 공급된다.
프레임(92)의 상측에는 프레임(92) 위의 박스를 2층으로 적재 후 박스정렬기(90)의 측방향에 위치한 밴딩기(100)로 이송하는 제2공급장치(93)가 구비된다.
제2공급장치(93)의 구성으로는, 프레임(92)의 상측 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92) 상단의 최전방으로 공급되는 박스를 가로막아 전방이송이 멈추게 하는 블록클램프(93a)와, 상기 블록클램프(93a)의 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92)의 후방에 정렬된 박스의 바닥편(2)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1클램프(93b) 및, 제1클램프(93b)의 하측에 상기 블록클램프(93a)의 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92)의 후방에 정렬된 박스의 바닥편(2)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2클램프(93c)가 구비된다.
위 블록클램프(93a)와 제1클램프(93b)의 사이에는 제1클램프(93b)를 상하방향으로 견인하여 이송시키는 제1승강장치(93d)가 구비되며, 제1승강장치(93d)의 일측에는 제1승강장치(93d)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를 상하방향으로 견인하여 이송시키는 제2승강장치(93f)가 구비된다.
그리고 프레임(92)의 상측에는 제2 및 제2승강장치(93f)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를 후술할 밴딩기(100)가 위치한 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수단(93g)이 구비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공급장치(93)에 의해 박스가 2층으로 적재되어 밴딩기(100)로 공급되는 작동과정을 서술하자면, 프레임(92)의 상면의 최전방에 공급되는 박스는 블록클램프(93a)에 맞닿아 멈추게 된다.
위 블록클램프(93a)의 상세구성으로는, 프레임(92)의 상측 전방에서 상하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92)의 상면 최전방에 공급된 박스의 일면과 접촉하는 슬라이드블록(93a1)이 구비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블록(93a1)의 하측에는, 프레임(92)의 상면 최전방에 공급된 박스의 일면과 접촉하는 고정블록(93a2)이 구성된다.
그리고 위 구성으로 프레임(92) 위에서 박스가 2층으로 적재되는 과정을 서술하자면, 프레임(92) 위에 전후방향으로 1열의 설정된 수량의 박스가 정렬되며, 박스가 프레임(92) 위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박스가 흐트러지는 것을 줄여주기 위한 용도로, 제1승강장치(93d)에 일면에는 프레임(92) 위로 유입되는 박스의 상측 일부분을 상측에서 눌러주는 브러쉬(93e)가 구비된다.
위와 같이 설정된 수량의 박스가 일렬로 정렬되면,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가 1열로 정렬된 박스의 전후방을 가압하여 파지하고, 제1승강장치(93d)가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박스 1열(2층 박스)을 상방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제1승강장치(93d)의 하측에는 제1승강장치(93d)가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박스 1열(2층 박스)의 저면 일부분을 받쳐주는, 박스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93d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승강장치(93d)의 일측에서, 제1승강장치(93d)에 의해 상하방으로 견인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박스 1열(2층 박스)의 상단 일부분을 아래로 가압하는 상단받침대(93h)와, 상단받침대(93h)의 전후방향에 형성되어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박스 1열(2층 박스)의 전후 양면의 일부분을 파지하는 측면받침대(93i)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단받침대(93h)가 하강하여 1열로 정렬된 박스(1층 박스)의 상단을 가압하면, 1열로 정렬된 박스(1층 박스)의 하단과 맞닿는 단턱(93d1)에 상단받침대(93h)와 방향이 다른 반작용의 힘이 작용함으로, 1열로 정렬된 박스(1층 박스)의 상하단은 상단받침대(93h)와 닥턱(93d1)에 의해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고, 전후방향은 측면받침대(93i)에 의해 지지된다.
이어서 제2공급장치(93)에 의해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1열의 박스(2층 박스) 아래로 박스가 1열로 정렬되어 공급되고, 설정된 수량의 박스가 공급 및 정렬되면 제2클램프(93c)가 1열로 정렬된 후방의 박스(1층 박스)의 일면을 클램핑한다. 이때 고정블록(93a2)과 제2클램프(93c)가 1열로 정렬된 박스(1층 박스)의 전후방을 가압하여 파지하게 된다.
박스정렬기(90)의 일측에는 박스정렬기(90)에서 2층으로 정렬된 박스를 인계받아 노끈으로 묶는 밴딩기(100)가 구비되고,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블록클램프(93a)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에 의해 파지 된 2층의 박스를 밴딩기(100)로 이송시킨다.
밴딩기(100)의 전후방 양측에는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공급된 2층으로 정렬된 박스의 전후방향 양면을 파지하여 박스가 흐트러지지 않게 잡는 정렬장치(101)가 구비되고, 정렬장치(101)에 의해 2층의 박스가 고정된 상태에서 밴딩작업이 수행된다.
위와 같이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2층으로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100)로 이동 시 제1공급장치(91)는 멈추지 않고, 프레임(92) 위로 박스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는 제3이송수단(93g)이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프레임(92)으로 이송되는 박스의 경로에 간섭이 되지 않는 높이의 프레임(92)의 상측에 배치되기에 가능하다.
또한,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블록클램프(93a)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가 프레임(92) 위로 복귀시에는, 제2승강장치(93f)가 제1승강장치(93d)와 블록클램프(93a),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를 상측으로 견인하여,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프레임(92) 위로 복귀되는 박스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블록클램프(93a)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가 프레임(92) 위로 복귀하면, 제2승강장치(93f)가 제1승강장치(93d)와 블록클램프(93a),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를 하강시킨 후 박스를 2층으로 정렬하여 다시 밴딩기(100)로 이송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이처럼 제3이송수단(93g)이 2층으로 정렬된 박스를 밴딩기(100)로 이송 및 복귀하는 중 박스가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프레임(92) 위로 이송 및 정렬될 때, 박스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게 막아주는 블록클램프(93a)와 박스가 흐트러지는 것을 줄여주는 브러쉬(93e)가 원위치에 있지 않아 역할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레임(92) 전방에 구비되는 실린더에 의해 회동하여 박스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는 스토퍼(94)와, 프레임(92) 위로 유입되는 박스의 상측면과 맞닿아 박스가 흐트러지는 것을 줄여주는 유도가이드(95)가 구성된다.
위 스토퍼(94)와 유도가이드(95)는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프레임(92) 상면에서 2층을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100)로 이송되고 난 후에 작동하며, 블록클램프(93a)와 제1 및 제2클램프(93c)가 프레임(92) 위로 복귀하였을 때는, 블록클램프(93a)와 제1 및 제2클램프(93c)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작동이 해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박스(1) 개구부(1a)
바닥편(2) 측면편(3) 전후편(4)
제1이송수단(80)
박스정렬기(90) 제1공급장치(91)
파지부(91a) 흡착패드(91b)
제1회전 실린더(91c) 제2회전 실린더(91d)
제2이송수단(91e)
프레임(92) 제2공급장치(93)
블록클램프(93a) 슬라이드블록(93a1)
고정블록(93a2)
제1클램프(93b) 제2클램프(93c)
제1승강장치(93d) 단턱(93d1)
브러쉬(93e) 제2승강장치(93f)
제3이송수단(93g) 상단받침대(93h)
측면받침대(93i)
스토퍼(94) 유도가이드(95)
밴딩기(100) 정렬장치(101)

Claims (10)

  1. 하측은 사각형의 폐쇄된 바닥편(2)과, 바닥편(2)의 좌우양측과 수직하도록 접힌 측면편(3) 및, 바닥편(2)의 전후방향에서 수직하도록 접힌 전후편(4)이 형성되며, 상측은 일부분이 개방된 개방부(1a)가 형성되는 박스(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수단(80)과, 제1이송수단(80)으로부터 박스를 인계받아 박스를 정렬 후 밴딩함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수단(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이송수단(80)으로부터 박스를 공급받아 설정수량만큼의 박스를 2층으로 정렬하는 박스정렬기(90); 및
    박스정렬기(90)의 일측에 배치되어 박스정렬기(90)에서 2층으로 정렬된 박스를 인계받아 노끈으로 묶는 밴딩기(100);
    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정렬기(90)는,
    제1이송수단(8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이송수단(80)에 안착된 박스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공급장치(91);
    제1공급장치(9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이송된 박스가 상면에 전후방향 일렬로 정렬 및 안착되는 프레임(92); 및
    프레임(92)의 상측에는 배치되어 프레임(92) 위의 박스를 2층으로 적재 후 밴딩기(100)로 이송하는 제2공급장치(93);
    를 포함하고 ,

    상기 제2공급장치(93)는,
    프레임(92)의 상측 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92) 상단의 최전방으로 공급되는 박스를 가로막아 전방이송이 멈추게 하는 블록클램프(93a);
    상기 블록클램프(93a)의 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92)의 후방에 정렬된 박스의 바닥편(2)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1클램프(93b);
    제1클램프(93b)의 하측에 상기 블록클램프(93a)의 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92)의 후방에 정렬된 박스의 바닥편(2)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2클램프(93c);
    블록클램프(93a)와 제1클램프(93b)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클램프(93b)를 상하방향으로 견인하여 이송시키는 제1승강장치(93d);
    제1승강장치(93d)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승강장치(93d)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를 상하방향으로 견인하여 이송시키는 제2승강장치(93f); 및
    프레임(92)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2 및 제2승강장치(93f)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를 밴딩기(100)가 위치한 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수단(93g);
    을 포함하되,

    상기 제3이송수단(93g)은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프레임(92)으로 이송되는 박스의 경로에 간섭이 되지 않는 높이의 프레임(92)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블록클램프(93a)와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가 프레임(92) 위로 복귀시에는, 제2승강장치(93f)가 제1승강장치(93d)와 블록클램프(93a),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를 상측으로 견인하여, 제1공급장치(91)에 의해 프레임(92) 위로 복귀되는 박스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2층으로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100)로 이동하거나 블록클램프(93a), 제1 및 제2클램프(93b, 93c)가 프레임(92) 위로 복귀 중 제1공급장치(91)는 멈추지 않고, 프레임(92) 위로 박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클램프(93a)는
    프레임(92)의 상측 전방에서 상하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92)의 상면 최전방에 공급된 박스의 일면과 접촉하는 슬라이드블록(93a1); 및
    상기 슬라이드블록(93a1)의 하측에 배치되어, 프레임(92)의 상면 최전방에 공급된 박스의 일면과 접촉하는 고정블록(93a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장치(91)는
    전방을 향한 전후편(4)의 일면과 바닥편(2)의 일부분을 감짜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박스의 바닥편(2)과 전후편(4)과 접하는 각 면에 흡착패드(91b)가 형성되어, 박스를 진공으로 파지하는 파지부(91a);
    상기 파지부(91a)의 하측에는 파지부(91a)를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90도 회동시키는 제1회전 실린더(91c);
    상기 제1회전 실린더(91c)의 하측에는 파지부(91a)와 제1회전 실린더(91c)를 지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제2회전 실린더(91d);
    를 포함하되,

    프레임(92)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박스는 제2회전 실린더(91d)가 박스의 개구부(1a)가 후방을 향하도록 돌리고, 프레임(92)에 공급되는 2번째 박스부터는 개구부(1a)가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이송 및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장치(93)는
    제1승강장치(93d)에 일면에 형성되어 프레임(92) 위로 유입되는 박스의 상측 일부분을 상측에서 눌러주는 브러쉬(93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장치(93d)는 하측에 제1승강장치(93d)가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박스 1열(2층 박스)의 저면 일부분을 받쳐주는, 박스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93d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기(100)의 전후방 양측에는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공급된 2층으로 정렬된 박스의 전후방향 양면을 파지하여 박스가 흐트러지지 않게 잡는 정렬장치(10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정렬기(90)는 프레임(92) 전방에 구비되는 실린더에 의해 회동하여 박스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주며,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프레임(92) 상면에서 2층을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100)로 이송되고 난 후에 작동하는 스토퍼(9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장치(93)는,
    제1승강장치(93d)의 일측에서, 제1승강장치(93d)에 의해 상하방으로 견인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여,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박스 1열(2층 박스)의 상단 일부분을 아래로 가압하는 상단받침대(93h);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장치(93)는,
    상기 상단받침대(93h)의 전후방향에 형성되어 슬라이드블록(93a1)과 제1클램프(93b)에 의해 파지 된 박스 1열(2층 박스)의 전후 양면의 일부분을 파지하는 측면받침대(93i);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정렬기(90)는 프레임(92) 전방에 구비되는 실린더에 의해 회동하여, 프레임(92) 위로 유입되는 박스의 상측면과 맞닿아 박스가 흐트러지는 것을 줄여주며, 제3이송수단(93g)에 의해 프레임(92) 상면에서 2층을 정렬된 박스가 밴딩기(100)로 이송되고 난 후에 작동하는 유도가이드(9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KR1020230028347A 2023-03-03 2023-03-03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KR102567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347A KR102567829B1 (ko) 2023-03-03 2023-03-03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347A KR102567829B1 (ko) 2023-03-03 2023-03-03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829B1 true KR102567829B1 (ko) 2023-08-16

Family

ID=8784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347A KR102567829B1 (ko) 2023-03-03 2023-03-03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8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15B1 (ko) * 2007-06-28 2009-01-07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분할형 샤시탑의 제조장치
WO2017218297A1 (en) * 2016-06-16 2017-12-21 Packsize Llc Box forming machine
KR20190093001A (ko) * 2018-01-31 2019-08-08 염정란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KR102198905B1 (ko) 2020-06-30 2021-01-05 신풍기계 주식회사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15B1 (ko) * 2007-06-28 2009-01-07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분할형 샤시탑의 제조장치
WO2017218297A1 (en) * 2016-06-16 2017-12-21 Packsize Llc Box forming machine
KR20190093001A (ko) * 2018-01-31 2019-08-08 염정란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KR102198905B1 (ko) 2020-06-30 2021-01-05 신풍기계 주식회사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2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xing rectangular articles
KR102221767B1 (ko) 자동 적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포장 적재 시스템
ITBO20060859A1 (it) Macchina per il confezionamento di articoli in contenitori scatolari
KR101185804B1 (ko) 자동포장기의 포대공급장치
TWM543524U (zh) 兼具翻板功能之收放板機
JPH05201424A (ja) カットアウト積層体のユーザ機械への供給装置
KR20120025959A (ko) 박스패킹장치
KR102567829B1 (ko) 박스 정렬 및 밴딩장치
KR101820454B1 (ko) 패널 자동 포장 장치
KR101361106B1 (ko) 박스묶음 자동 적재장치
JP3480508B2 (ja) 箱製函装置
KR102567826B1 (ko) 박스 제함,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스 제함 및 밴딩방법
KR20100053125A (ko) 반도체 패키지 트랜스퍼장치
CN214986397U (zh) 一种pcb电路板包装机
JPS59227625A (ja) 部品箱の移載装置
JP2023039104A (ja) 荷卸し装置
JP3790003B2 (ja) 板材搬送装置
JPH07237601A (ja) 長尺物箱詰め装置
JPH0532328U (ja) ケース分離装置
JP7318940B2 (ja) 添付物の供給装置
KR101184062B1 (ko) 각대 자동 투입기
US20210198067A1 (en) Bag bundle transfer system and bag bundle transfer method
JPS5913366B2 (ja) 箱詰機
JPS60112529A (ja) ロ−デイング装置
KR100833107B1 (ko) 진공포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