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620U - 래핑머신 - Google Patents

래핑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620U
KR20100000620U KR2020080009222U KR20080009222U KR20100000620U KR 20100000620 U KR20100000620 U KR 20100000620U KR 2020080009222 U KR2020080009222 U KR 2020080009222U KR 20080009222 U KR20080009222 U KR 20080009222U KR 20100000620 U KR20100000620 U KR 201000006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rapping paper
wrapping
produc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근
Original Assignee
양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근 filed Critical 양재근
Priority to KR2020080009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620U/ko
Publication of KR201000006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4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 B65B11/045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by rotating platforms suppor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품을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래핑머신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래핑머신에 관한 것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놓여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텐테이블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제품에 포장되는 포장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링부와; 선택적으로 상기 포장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포장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수단이 마련된 절단부와;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포장지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포장이 필요한 제품을 포장하는 래핑머신에 포장지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포장이 완료된 후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여 제품 생산자가 제품을 포장하는데 있어서의 편의성을 제고하여 제품 출고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래핑머신, 고정부, 절단부

Description

래핑머신{WRAPPING MACHINE}
본 고안은 래핑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이 필요한 제품을 포장하는 래핑머신에 포장지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포장이 완료된 후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여 제품 생산자가 제품을 포장하는데 있어서의 편의성을 제고하여 제품 출고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래핑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포장에 있어서는 전자제품 등 단위제품을 포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책이나 종이 등의 경우 다수의 적층된 제품을 일정개수 단위로 묶어 포장지로 포장하여 이송하거나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이나 공책 등 적층된 제품의 포장에 있어서는, 일정개수를 포장하기에 적당하게 정렬하여 적층한 후, 적층된 제품을 컨베이어 등의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시키고, 권취된 포장지 롤로부터 포장지를 풀어내어 이송된 적층제품을 둘러싸고, 포장지의 상하부를 절단한 후, 상하부 포장지를 서로 접착시켜 파레트 등의 적재품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한다.
도 1은 종래의 래핑머신의 구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롤링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핑머신(100)는 베이스(10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104)을 포함한다. 승강지주(106)는 베이스(102)의 타측에 세워 설치된다. 이러한 래핑머신(100)의 롤링부(110)는 승강지주(106)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다.
롤링부(110)는 승강지주(10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닥판(122), 바닥판(122)에 세워지는 다수의 기둥(124) 및 각각의 기둥(124)의 자유 단부에 결합되는 기어박스(126)를 포함하며, 바닥판(122)과 기어박스(126)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고정바(130)는 바닥판(122)에 세워져 고정되며, 고정바(130)에는 포장지(R)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수의 롤러부재는 롤링부(110)의 바닥판(122)과 기어박스(126) 사이에서 자전 가능하게 양단이 축결합된다. 상기 롤러부재는 몸체(120)의 바닥판(122)과 기어박스(126)에 자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축결합되는 제1롤러(140), 제1롤러(140)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롤러(142) 및 제2롤러(142)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롤러(144)가 포함된다. 제1롤러(140), 제2롤러(142) 및 제3롤러(144)는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재는 제1롤러(140)의 일단에 결합되며, 기어박스(126) 내에 설치되는 제1기어(150)가 포함된다. 제2기어(152)는 제2롤러(142)의 일단에 결합되며 기어박스(126) 내에 설치된다. 제1기어(150)와 제2 기어(152)의 톱니수는 7 : 3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제1롤러(140)와 제2롤러(142)의 다른 회전수 때문에 포장지(R)가 늘어나게 할 수 있다. 제1롤러(140)와 제2롤러(142)의 바깥 표면은 연질의 러버가 코팅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롤러(140) 및 제2롤러(142)에 감겨져 통과되는 포장지(R)를 당겨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랩 풀림부재는 고정바(130)의 고정단부에 제공되는 받침구(160)를 포함한다. 누름구(162)는 고정바(130)의 자유단부에 끼워져 승강 작동된다. 조절구(164)는 랩 고정바(130)의 자유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압축 스프링(166)은 누름구(162)와 조절구(164) 사이에 위치되어 조절구(164)를 강제 하강시킨다. 이들은 고정바(130)에 끼워진 포장지(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포장지(R)가 늘어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래핑머신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포장을 위한 제품을 턴테이블(104)의 상면에 올려놓는다. 이와 동시에, 작업자는 포장지(R)를 고정바(130)에 끼워 설치한다. 이러한 포장지(R)의 자유단부를 잡아당겨, 제1롤러(140), 제2롤러(142) 및 제3롤러(144)의 순으로 통과되도록 한다. 이렇게 통과된 포장지(R)의 자유단부는 다시 제품(P)의 외주면에 감아준 상태로 한다.
작업자는 컨트롤러(C)를 조작하여 롤링부(110)가 승강지주(106)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롤링부(110)가 턴테이블(104)의 상면에 얹혀진 제품의 위치와 상응한 높이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C)를 조작하여 롤링부(110)의 승강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턴테이블(104)이 동작되도록 조절한다. 턴테이블(104)이 회전되면, 제품(P)도 함께 회전되어 제품(P)의 랩핑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제품의 포장이 완료된다.
한편, 고정바(130)에는 랩 풀림 제어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지(R)의 풀림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바(130)에는 받침구(160)를 우선적으로 끼워 베이스(102)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시킨다. 이어, 고정바(130)에 포장지(R)를 끼우게 되면, 포장지(R)의 하단이 받침구(160)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후, 압축 스프링(166)과 함께 조절구(164)를 고정바(130)의 자유단부에 나사 결합시킨다. 그러면, 누름구(162)는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포장지(R)를 하부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여기서, 누름구(162)를 얼마만큼 하강하느냐에 따라,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이 조절되기 때문에 포장지(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이 높게 되면, 포장지(R)의 회전이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이 낮아지게 되면 포장지(R)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결과적으로, 누름구(162)의 조작에 따라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랩(R)의 늘어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제품이 포장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래핑머신에 있어서는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지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과 제품의 포장이 완료된 후 포장지를 절단할 수 있는 수단 이 없으므로 작업자가 직접 포장지의 단부를 제품에 부착한 후 선반을 회전시켜 포장해야 하며 또한, 제품의 포장이 완료된 후에는 별도의 절단 기구를 이용하여 포장지를 절단해야 하므로 제품을 포장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제품의 출고가 지체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이 필요한 제품을 포장하는 래핑머신에 포장지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포장이 완료된 후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여 제품 생산자가 제품을 포장하는데 있어서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제품 출고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래핑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래핑머신은, 지면과 평행하게 놓여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텐테이블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제품에 포장되는 포장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링부와; 선택적으로 상기 포장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포장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수단이 마련된 절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래핑머신은, 포장이 필요한 제품 을 포장하는 래핑머신에 포장지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포장이 완료된 후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여 제품 생산자가 제품을 포장하는데 있어서의 편의성을 제고하여 제품 출고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핑머신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핑머신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평면의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절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고정부가 포장지를 고정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에어실린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절단부가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핑머신(100)은, 지면과 평행하게 놓여지는 베이스(102)와, 베이스(102)의 일단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승강지주(106)와, 베이스(102)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텐테이블(104)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20)와, 승강지주(106)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품에 포장되는 포장지(R)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링부(110)와, 선택적으로 포장지(R)를 절단할 수 있도록 일단이 베이스(10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포장지(R)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수단이 마련된 절단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래핑머신(100)은 베이스(10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104)을 포함한다. 승강지주(106)는 베이스(102)의 타측에 세워 설치된다. 이러한 래핑머신(100)의 롤링부(110)는 승강지주(106)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다.
롤링부(110)는 승강지주(106)에 승강가능하며 상호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는 바닥판(122) 및 기어박스(126)와, 바닥판(122)과 기어박스(126)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그 양단이 축결합되는 제1롤러(140)와, 제1롤러(140)에 대하여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롤러(142)와, 제2롤러(142)에 대하여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롤러(1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의 롤링부(110)는 기어부재 및 포장지 풀림부재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제1롤러(140), 제2롤러(142) 및 제3롤러(144)는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바(130)는 롤링부(110)의 바닥판(122)에 세워져 고정되며, 고정바(130)에는 포장지(R)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재는 제1롤러(140)의 일단에 결합되며 기어박스(126) 내에 설치되는 제1기어(150)와, 제2롤러(142)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1기어(150)와 맞물리도록 기어박스(126) 내에 설치되는 제2기어(152)로 구성되어 있다.
제1기어(150)와 제2기어(152)의 톱니수는 7 : 3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제1롤러(140)와 제2롤러(142)의 다른 회전 수 때문에 포장지(R)가 늘어나게 할 수 있다.
제1롤러(140)와 제2롤러(142)의 바깥 표면은 연질의 러버가 코팅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1롤러(140) 및 제2롤러(142)에 감겨져 통과되는 포장지(R)를 당겨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포장지 풀림부재는 고정바(130)의 고정단부에 제공되는 받침구(160)를 포함하며. 누름구(162)는 고정바(130)의 자유단부에 끼워져 승강 작동되고, 조절구(164)는 고정바(130)의 자유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압축 스프링(166)은 누름구(162)와 조절구(164) 사이에 위치되어 조절구(164)를 강제 하강시키며, 이들은 고정바(130)에 끼워진 포장지(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포장지(R)가 늘어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절단부(170)는 베이스(10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프레임(171)과, 회동프레임(171)을 회동시키도록 일단이 베이스(10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회동프레임(171)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에어실린더(174)와, 회동프레임(171)의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176)에 결합되어 상기 포장지를 절단하는 열선(172)과, 열선(172)과 평행하도록 열선(17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지를 제품에 접촉시키는 쿠션(173)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동프레임(171)은 회동시에 턴테이블(104)의 상측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쿠션(173)이 포장지(R)에 먼저 접촉되어 포장지(R)의 말단을 제품에 부착시킨 후 열선(172)이 포장지(R)에 접촉되어 포장지(R)를 절단시킬 수 있도록 열선(172)보다 쿠션이 더 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열선(172)과 쿠션(173)을 회동프레임(171)의 회전 반경의 접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76)을 관통하여 제2에어실린더(175)가 구비되고 열선(172)과 쿠션(173)은 제2에어실린더(175)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턴테이블(104)의 일측에는 포장지(R)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180)가 더 설치되는데, 고정부(180)는 턴테이블(10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턴테이블(104)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81)와, 포장지(R)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선택적으로 벌어졌다 좁혀질 수 있도록 지지부재(18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프(182)와, 클램프(182)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183)와, 턴테이블(104)의 상면에 구비되며 일단이 기어(183) 중 어느 하나의 주연부에 결합되는 제3에어실린더(18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클램프(182)는 적어도 포장지(R)의 폭보다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장지(R)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좁혀졌을 경우에 포장지(R)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호 접촉되는 클램프(182)의 접촉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요철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기어(183)의 주연부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3에어실린더(184)의 단부는 제3에어실린더(184)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제3에어실린더(184)의 단부를 제3에어실린더(184)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코일스프링(185)과 연결되어 있다.
제3에어실린더(184)는 턴테이블(104)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공기주입 구(184c)를 구비한 실린더(184a)와, 기어(183)의 주연부에 힌지 결합되어 실린더(18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실린더(184a)에 삽결되는 피스톤(18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핑머신이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포장을 위한 제품을 턴테이블(104)의 상면에 올려놓는다. 이와 동시에, 작업자는 포장지(R)를 고정바(130)에 끼워 설치한다. 이러한 포장지(R)의 자유단부를 잡아당겨, 제1롤러(140), 제2롤러(142) 및 제3롤러(144)의 순으로 통과시킨 후 그 자유단부를 고정부(180)에 고정시킨다.
포장지(R)를 고정부(180)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우선 포장지(R)를 클램프(182) 사이에 배치한 후, 실린더(184a)의 공기주입구(184b)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피스톤(184b)이 주입된 공기에 의하여 실린더(184a)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실린더(184a)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기어(183)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어 클램프(182)가 좁혀지면서 결국에는 상호 접촉하게 되어 그 접촉면에 형성된 요부(182a)와 철부(182b)에 의하여 포장지(R)가 물려서 고정된다.
그 후, 작업자는 컨트롤러(C)를 조작하여 롤링부(110)가 승강지주(106)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롤링부(110)가 턴테이블(104)의 상면에 얹혀진 제품의 위치와 상응한 높이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C)를 조작하여 롤링부(110)의 승강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다.
포장지(R)를 제품의 외면에 여러번 포장하기 위해서는 롤링부(1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턴테이블(104)이 동작되도록 조절한다. 턴테이블(104)이 회전되면, 제품(P)도 함께 회전되어 제품(P)의 랩핑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고정바(130)에 설치된 포장지(R)가 제품(P)에 랩핑되는 과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즉, 고정바(130)의 포장지(R)는 제1롤러(140), 제2롤러(142) 및 제3롤러(144)의 순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포장지(R)가 제1롤러(140)와 제2롤러(142)를 통과할 때, 약간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제1롤러(140)의 제1기어(150)가 제2롤러(142)의 제2기어(152)의 톱니수가 많기 때문이다. 즉, 포장지(R)가 제1롤러(140)를 통과할 때에는 천천히 통과되다가 제2롤러를 통과할 때에는 빨리 통과되기 때문에 포장지(R)가 늘어나는 형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제1롤러(140)와 제2롤러(142)의 바깥 표면에 연질의 러버가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지(R)를 자연스럽게 당겨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정바(130)에는 포장지 풀림 제어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지(R)의 풀림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바(130)에는 받침구(160)를 우선적으로 끼워 베이스(102)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시킨다. 이어, 고정바(130)에 포장지(R)를 끼우게 되면, 포장지(R)의 하단이 받침구(160)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후, 압축 스프링(166)과 함께 조절구(164)를 고정바(130)의 자유단부에 나사 결합시킨다. 그러면, 누름구(162)는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포장지(R)를 하부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여기서, 누름구(162)를 얼마만큼 하강시키느냐에 따라,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이 조절되기 때문에 포장지(R)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이 높게 되면, 포장지(R)의 회전이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이 낮아지게 되면 포장지(R)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결과적으로, 누름구(162)의 조작에 따라 압축 스프링(166)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포장지(R)의 늘어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제품의 외면이 포장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의 외면의 포장이 완료된 후, 절단부(170)의 제1에어실린더(174)에 공기를 주입시키면 회동프레임(171)이 턴테이블(104)의 상단에 놓여진 제품 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킨 후, 제2에어실린더(175)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열선(172)과 쿠션(173)이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동하면서 쿠션(173)이 포장지(R)와 접촉되어 포장지(R)가 제품의 외면에 부착된다.
제2에어실린더(175)에 공기를 계속 주입하게 되면 열선(172)과 쿠션(173)이 전방으로 더 이동하면서 쿠션(173)은 눌려져서 오므라들면서 열선(172)이 포장지(R)에 닿게 되어 포장지(R)가 녹으면서 서서히 절단되어 제품(P)의 포장 작업이 완료된다.
끝으로, 컨터롤러(C)를 원거리에서 조정할 수있는 리모컨(미도시)이 별도로 구비되어 제품(P)을 포장하는 전 과정은 원격조정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래핑머신의 구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롤링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핑머신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평면의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절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고정부가 포장지를 고정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에어실린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절단부가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래핑머신 110 : 롤링부
120 : 몸체부 122 : 바닥판
124 : 기어박스 126 : 기어박스
130 : 고정바 140 : 제1롤러
142 : 제2롤러 144 : 제3롤러
150 : 제1기어 152 : 제2기어
160 : 받침구 162 : 누름구
164 : 조절구 166 : 압축 스프링
170 : 절단부 171 : 회동프레임
172 : 열선 173 : 쿠션
174 : 제1에어실린더 175 : 제2에어실린더
176 : 지지프레임 180 : 고정부
181 : 지지부재 182 : 클램프
182a : 요부 182b : 철부
183 : 기어 184 : 제3에어실린더
184a : 실린더 184b : 공기주입구
184c : 피스톤 185 : 압축코일스프링

Claims (12)

  1. 지면과 평행하게 놓여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텐테이블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제품에 포장되는 포장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링부와;
    선택적으로 상기 포장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포장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수단이 마련된 절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을 회동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1에어실린더와, 상기 회동프레임의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포장지를 절단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포장지를 제품에 접촉시키는 쿠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과 상기 쿠션을 상기 회동프레임의 회전 반경의 접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제2에어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열선과 상기 쿠션은 상기 제2에어실린더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포장지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포장지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선택적으로 벌어졌다 좁혀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와,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의 주연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에어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6. 제5항에 있어서,
    상호 접촉되는 상기 클램프의 어느 하나에는 요(凹)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요(凹)부와 맞물리는 철(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에어실린더는 상기 턴테이블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공기주입구를 구비한 실린더와, 상기 기어의 주연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실린더에 삽결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의 주연부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의 단부는 상기 피스톤을 복귀시킬 수 있는 복귀스프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는 바닥판 및 기어박스와, 상기 바닥판과 기어박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그 양단이 축결합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에 대하여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2롤러에 대하여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 내에 설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2롤러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기어박스 내에 설치되는 제2기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의 바깥 표면은 연질의 러버가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을 포장하는 동작은 원격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핑머신.
KR2020080009222U 2008-07-10 2008-07-10 래핑머신 KR201000006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22U KR20100000620U (ko) 2008-07-10 2008-07-10 래핑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22U KR20100000620U (ko) 2008-07-10 2008-07-10 래핑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20U true KR20100000620U (ko) 2010-01-22

Family

ID=4419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222U KR20100000620U (ko) 2008-07-10 2008-07-10 래핑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62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618B1 (ko) * 2013-10-24 2015-03-27 세왕오토팩 주식회사 턴테이블형 랩핑장치
CN109775424A (zh) * 2019-01-21 2019-05-21 迅河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胶片撕片机
KR102263494B1 (ko) * 2020-09-21 2021-06-10 정명환 무인자동 랩핑장치
CN114394270A (zh) * 2022-02-11 2022-04-26 东北电力大学 一种产品包装用自动打包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618B1 (ko) * 2013-10-24 2015-03-27 세왕오토팩 주식회사 턴테이블형 랩핑장치
CN109775424A (zh) * 2019-01-21 2019-05-21 迅河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胶片撕片机
KR102263494B1 (ko) * 2020-09-21 2021-06-10 정명환 무인자동 랩핑장치
CN114394270A (zh) * 2022-02-11 2022-04-26 东北电力大学 一种产品包装用自动打包装置
CN114394270B (zh) * 2022-02-11 2023-12-12 东北电力大学 一种产品包装用自动打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1762B2 (en) Pallet wrapping machinery
US7707802B2 (en) Film roping assembly for use within film wrapping or packaging machines
US8276346B2 (en) Wrapping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metered pre-stretch film delivery assembly
KR102098091B1 (ko)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ITMO20080122A1 (it) Procedimento per la fasciatura di carichi, particolarmente carichi pallettizzati, ed impianto relativo
CA245817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ornerboards to a load
KR20100000620U (ko) 래핑머신
JP2004256174A5 (ko)
KR20100113910A (ko) 래핑머신의 포장지 고정장치
KR20190093001A (ko) 포장박스 자동 밴딩장치
KR101102137B1 (ko) 랩 포장기
AU7188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cornerboards and wrapping a load
KR101506618B1 (ko) 턴테이블형 랩핑장치
KR102296427B1 (ko) 포장물 모서리보호용 에지보드 자동공급장치
KR20210045076A (ko) 인서트 랩핑 장치
EP2253542B1 (en) Low friction gliding plate
KR200469562Y1 (ko) 래핑머신용 포장지 절단장치
CA2546417C (en) Banding of stacked goods to be packaged
KR200426323Y1 (ko) 랩핑기
JP4728053B2 (ja) 梱包機
KR20050022983A (ko) 선재코일 양 단부 보호장치
WO2014113192A1 (en) Restraining flaps of an insert
CN219339806U (zh) 一种包装盒捆扎设备
CN219097065U (zh) 一种包装皮带用缠绕膜打包机
IT201900003057A1 (it) Apparato di copertura per macchina avvolgitr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