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091B1 -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091B1
KR102098091B1 KR1020190118744A KR20190118744A KR102098091B1 KR 102098091 B1 KR102098091 B1 KR 102098091B1 KR 1020190118744 A KR1020190118744 A KR 1020190118744A KR 20190118744 A KR20190118744 A KR 20190118744A KR 102098091 B1 KR102098091 B1 KR 10209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undle
wires
wire
wire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도
Original Assignee
티앤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앤아이(주) filed Critical 티앤아이(주)
Priority to KR102019011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24Packaging annular articles, e.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4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을 코일링한 다발을 자동으로 바인딩하는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도넛모양의 코일링 전선다발(묶음)을 정지시키면서 지지하는 파지부와, 파지된 전선다발을 회전시키는 회동부, 및 회전되는 전선다발의 내부를 넘나들면서 회전하여 비닐 등으로 코일링한 전선 묶음을 바인딩하여 포장하는 바인더부로 구성되되, 상기 파지부는 전선다발을 파지하는 간격(직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하여 전선을 코일링하는 코일러에서 다양한 직경의 크기로 제작되는 전선다발을 해당 사이즈별로 적기에 대응하여 바인딩함으로써 전선다발의 바인딩 작업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A Wire Autobinding Packaging Device}
본 발명은 전선을 코일링한 다발을 자동으로 바인딩하는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도넛모양의 코일링 전선다발(묶음)을 정지시키면서 지지하는 파지부와, 파지된 전선다발을 회전시키는 회동부, 및 회전되는 전선다발의 내부를 넘나들면서 회전하여 비닐 등으로 코일링한 전선 묶음을 바인딩하여 포장하는 바인더부로 구성되되, 상기 파지부는 전선다발을 파지하는 간격(직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하여 전선을 코일링하는 코일러에서 다양한 직경의 크기로 제작되는 전선다발을 해당 사이즈별로 적기에 대응하여 바인딩함으로써 전선다발의 바인딩 작업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복 전선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넛 모양의 코일 다발(1) 형태로 제작된 다음 PP 밴드(5) 등으로 묶어서 출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선 코일 다발(1) 형태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코일러 및 바인더 이송 시스템이 사용된다.
즉, 코일러 및 바인더 이송 시스템은 일측에서 공급된 전선이 코일러(10)에서 코일 다발 형태로 제작된 다음에, 이송 캐리어(30)에 의해 베드(15)를 따라 바인더(20) 쪽으로 이송된 다음, 바인더(20)에서 PP 밴드 등으로 전선의 코일 다발을 묶은 후, 컨베이어(25)를 통해 코일 다발(1) 제품을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러(10)는 모터 구동부(11) 및 이 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선을 코일 다발 형태로 제작하는 회전체(13)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회전체(13)는 전선 제품의 시작 부분인 시단이 공급되면 하강하여 시단을 압착하게 되고, 이때부터 전선 제품의 길이가 일정량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하면서 전선을 코일 다발 형태로 감게 된다.
상기 바인더(20)는 상기 코일러(10)에서 제작된 코일 다발이 계속 유지되도록 자동 포장용 PP 밴드(5)로 코일 다발을 묶어주는 장치이고, 상기 이송 캐리어(30)는 상기 코일러(10)에서 제작된 코일 다발(1)을 상기 바인더(20)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이송 캐리어(30)는 전선 코일다발을 그리핑(Gripping) 즉, 파지하는 캐처(31)와, 이 캐처(31)와 전선 코일 다발(1)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35)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송 캐리어의 동작은 상기 코일러(10)에서 일정 길이의 전선 코일 다발이 제작되면, 커터에 의해서 코일 다발 전선의 종단이 절단되어 코일링 작업이 완료된다.
이어 코일링 다발이 파지기구에 의해 양쪽에서 압착하여 파지하게 되고 파지 작동이 완료되면, 코일러(10)의 회전체(13)가 상승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35)가 동작하여 전선 코일다발을 바인더(20)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 캐리어(30)에 의해 베드(15)를 따라 바인더(20)로 코일다발이 이송된 다음, 바인더(20)에서 PP 밴드, 비닐 등으로 코일 다발을 묶은 후,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출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장치의 바인더(20)는 PP 밴드나 비닐 등으로 코일 다발을 묶어 바인딩하게 되는데 이때 바인더로 공급되는 코일 다발은 그 직경이 다양한 형태 코일링할 수 있으나 이를 바인딩하는 종래의 바인더장치는 다양한 직경의 전선다발(코일다발)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KR 10-0596651 (등록번호) 2006.06.27. KR 10-0896756 (등록번호) 2009.04.30. KR 10-1215166 (등록번호) 2012.12.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코일링 전선다발을 지지하는 파지부와, 파지된 전선다발을 회전시키는 회동부, 및 회전되는 전선다발의 중심부를 회전하면서 바인딩하는 바인더부로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전선다발을 파지하는 간격(직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전선을 코일링하는 코일러에서 다양한 직경의 크기로 제작되는 전선다발을 해당 사이즈별로 적기에 대응하여 바인딩함으로써 전선다발의 바인딩 작업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인딩된 전선묶음을 자동으로 바인딩하는 포장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장치(101)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이송롤러(102)를 타고 이송되는 전선묶음(103)을 한 쌍의 전방지지롤러(118R)와 한 쌍의 후방지지롤러(119R)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파지하도록 설치되는 파지부(11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01)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110)에서 파지된 상기 전선묶음(103)으로 상승하여 상기 전선묶음(103)을 회전시키는 회동부(120); 및 상기 파지부(110)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케트(131)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32)에 의해 회동되는 구동롤러(132a)와 다수개의 피동롤러(132b)에 의해 회전되는 C자 형상의 회전체(133)가 회전되면서 상기 전선묶음(103)을 비닐롤러(134)에 권취된 비닐로 감아 포장하는 바인더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파지부(110)는 전후좌우의 브라케트(111a 내지 111d)로 연결되는 사각형상의 몸체프레임(111)과, 상기 몸체프레임(111)의 전후 양측의 상기 브라케트(111a,111c) 상에 양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 상기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에 각각 양측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를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입되는 전선묶음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전,후방플레이트(114,115),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전,후방실린더(116,117),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실린더(116,117)의 신축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 승강에 따라 상기 전선묶음(103)을 파지 또는 해제하는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는 상기 브라케트(111a,111c) 상의 양단부에 베어링(B)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케트(114a,115a)에 각각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의 외부에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 양측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크류(S)가 구비되어, 로드구동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가 회동되면서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보조롤러(140)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와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에는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가 상기 전,후방실린더(116,117)의 신축에 의해 승강을 가이드하는 지지로드(116a,117a)가 연결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어느 한쪽에는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이송롤러(102)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50)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동부(120)에는 상기 컨베이어장치(101) 내측에서 상하 승강되도록 120도 간격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전선묶음(103)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이를 회전시키는 가압회동롤러(121)가 설치되되, 상기 가압회동롤러(121)의 단부에는 착탈식으로 상기 가압회동롤러(121)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롤러부(121a)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는 전선다발을 파지하는 간격(직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전선을 코일링하는 코일러에서 다양한 직경의 크기로 제작되는 전선다발을 해당 사이즈별로 적기에 대응하여 바인딩함으로써 전선다발의 바인딩 작업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는 전선다발의 직경크기에 대응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방 플레이트로부터 전후방실린더의 신축에 의하여 전선다발을 고정시킬 수 있어 전선다발의 랩핑시에 전선다발의 이탈이 없어 신속한 랩핑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의 평면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의 정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의 측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에 구비되는 파지부의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에 구비되는 파지부가 파지하는 직경을 조절하는 상태도와 상하 승강되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에 구비되는 파지부의 파지 롤러의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에 구비되어 전선묶음을 회전시키는 회동부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에 구비되는 회동부가 상하 승강되면서 전선묶음을 회동시키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에 구비되는 회동부의 로러 요부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에 구비되는 바인더부가 전선묶음을 포장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12는 종래의 전선 코일링 및 바인딩장치의 상태도와 전선묶음이 포장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100)는 도 1 내지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장치(101)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이송롤러(102)를 타고 이송되는 도넛 모양으로 와인딩한 전선묶음(또는 다발,103)을 정지시켜 파지하는 파지부(11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01)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110)에서 파지된 상기 전선묶음(103)으로 상승하여 상기 전선묶음(103)을 회전시키는 회동부(120); 및
상기 파지부(110)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케트(131)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32)에 의해 회동되는 구동롤러(132a)와 다수개의 피동롤러(132b)에 의해 회전되는 C자 형상의 회전체(133)가 회전되면서 상기 전선묶음(103)을 비닐롤러(134)에 권취된 비닐로 감아 포장하는 바인더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110)는 지지부(미도시)에 고정되고 전후좌우의 브라케트(111a 내지 111d)로 연결되는 사각형상의 몸체프레임(111)과,
상기 몸체프레임(111)의 전후 양측의 상기 브라케트(111a,111c) 상(上)에 양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
상기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에 각각 양측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간격이 조절되는 전,후방플레이트(114,115),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전,후방실린더(116,117),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의 하부측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실린더(116,117)의 신축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 승강에 따라 상기 전선묶음(103)을 파지 또는 해제하는 한 쌍의 전방지지롤러(118R)와 한 쌍의 후방지지롤러(119R)로 구성되어,
상기 전,후방실린더(116,117)의 신축으로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가 가각 상하 승강되면서 컨베이어 이송롤러(102)를 따라 이송되는 전선묶음(103)을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가 파지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파지부(110)는 컨베이어 이송롤러(102) 상을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하부측으로 이송되면 후술하는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전방실린더(116)를 작동시켜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를 하강시킨다.
즉, 상기 이송롤러(102)를 통해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파지부(110)를 향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부측으로 올라간 상태로 상기 전선묶음(103)이 유입되도록 대기 상태가 되고, 반대로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의 하부를 지나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를 가압하게 되면서 후술하는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면 제어부가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를 하강시키고 상기 이송롤러(102)의 이송은 정지되면서 상기 전선묶음(103)은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사이에 위치하여 파지(지지)되게 된다.
이어 상기 회동부(120)가 상기 컨베이어장치(101)의 하부측에서 상승하여 상기 전선묶음(103)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기 바인더부(130)에 설치된 상기 회전체(133)가 회전되면서 상기 전선묶음(103)을 비닐롤러(134)에 권취된 비닐로 감아 포장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상기 전선묶음(103)의 포장 작업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파지부(110)는 상기 후방실린더(117)를 통해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가 파지하고 있던 상기 전선묶음(103)이 해제되고 동시에 상기 컨베이어장치(101)의 작동으로 상기 이송롤러(102)를 따라 상기 전선묶음(103)이 후방으로 이송 배출 처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상기 전선묶음(103)의 포장을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작업 효율을 배가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선묶음(103)은 전선을 코일러 등을 통해 원형의 도넛 모양으로 꼬은 전선다발로 전선의 특성이나 용도 등에 따라 크기(직경)가 매우 다양하게 생산된다. 본 발명의 직경은 전선 하나의 굵기가 아닌 다발로서의 전선묶음의 직경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전선묶음(103)에 따라 해당크기에 대응되는 포장장치가 요구되는바,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전선묶음(103)에 따라 적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내부로 위치하는 전선묶음(103)의 변형 크기(직경)에 따라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를 상기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를 따라 넓히거나 좁히도록 하여 이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매우 다양한 크기의 전선묶음(103)을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크기의 전선묶음(103)에 따라 대응하여 포장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제안된다.
첫째로,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도록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가 설치 고정되는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도록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는 상기 브라케트(111a,111c) 상의 양단부에 베어링(B)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케트(114a,115a)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의 외부에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크류(S)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브라케트(115a)에는 상기 스크류(S)가 체결되는 나사(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의 단부에는 로드구동모터(M1)에 연결되어 회동시키는 로드스프라켓(113a)이 형성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플레이트(114)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브라케트(114a)에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의 스크류(S)가 체결되는 방향과 상기 후방플레이트(115)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브라케트(115a)에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의 스크류(S)가 체결되는 방향은 서로 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가 회전되면서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는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의 간격도 넓어지거나 좁혀지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로드구동모터(M1)의 구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가 회전하면서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도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져 이들 사이의 크기(직경)가 변경되어 전선묶음(103)의 크기 변경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포장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둘째로,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직경을 변경하여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묶음(103)의 크기 변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보조롤러(140)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각 하단부에 이들보다 직경이 큰 보조롤러(14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보조롤러(140)들에 의해 지지되는 전선묶음(103)은 그 크기가 상당히 작은 경우에도 포장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롤러(140)의 직경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각 하단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묶음(103)의 다양한 크기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포장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는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에 설치되는 고정축(T)에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롤러(140)는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요홈(RH)에 상기 보조롤러(140)의 중심에 형성되는 돌기(141)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는 상기 전선묶음(103)이 내부에 위치하여 지지되면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는 상기 고정축(T)을 중심으로 공회전되면서 상기 전선묶음(103)의 회전이 용이하게 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보조롤러(140)는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 및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는 작은 직경 크기의 전선묶음(103)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고정축(T)에는 베어링을 더 설치하여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 및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가 상기 고정축(T)을 중심으로 그 회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와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는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가 상기 전,후방실린더(116,117)의 신축에 의해 상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서리부에 각각 지지로드(116a,117a)로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가 상기 전,후방실린더(116,117)의 신축에 의해 상하 신축(승강)되면 상기 지지로드(116a,117a)가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의 상하 승강을 안전하게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어느 한쪽에는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이송롤러(102)를 따라 이송되어 가압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장치(101)에 구비되는 상기 이송롤러(102)를 통해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승된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15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이송롤러(102)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를 하강하여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 사이에 파지된다.
즉, 본원발명은 상기 컨베이어장치(101)에 구비되는 상기 이송롤러(102)를 통해 상기 전선묶음(103)이 이송되면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는 상승하고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는 하강하여 이송되는 상기 전선묶음(103)을 막아 주게 되는데 이때 전선묶음(103)의 이송력에 의해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를 가압하게 되며 이를 상기 감지센서(150)가 감지하여 그 이송을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는 하강함으로써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 및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 사이에 위치하여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150)는 토글스위치로 하여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토글스위치가 설치되는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는 약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선묶음(103)이 이송되면서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가 약간 회전되면서(뒤로 밀리면서) 상기 감지센서(150)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150)는 상기 전선묶음(103)이 이송되는 이송력을 감지하여 작동시키는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는 하강함으로써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 및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회동부(120)을 상기 전선묶음(103)의 하부면으로 상승하여 상기 전선묶음(103)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기 바인더부(130)를 상기 전선묶음(103)의 내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이에 구비된 비닐롤러(134)의 비닐을 전선묶음(103)에 감아 포장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공정을 통해 전선묶음(103)에 대한 포장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이송롤러(102)를 통해 포장된 전선묶음(103)을 이송 배출함으로써 포장작업의 공정사이클이 종료되고 다음 공정사이클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120)는 상기 컨베이어장치(101)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110)에서 파지된 상기 전선묶음(103)으로 상승하여 상기 전선묶음(103)을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회동부(120)는 상기 컨베이어장치(101)의 지지프레임(101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선묶음(103)의 하부측에 120도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선묶음(103)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회동롤러(121)와,
상기 가압회동롤러(121)를 각각 설치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브라케트(122),
상기 가압회동롤러(121)를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베벨기어장치(123),
상기 지지브라케트(122) 및 상기 베벨기어장치(123)가 설치되는 베이스판(124),
상기 베이스판(124)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24)을 상하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25),
상기 베벨기어장치(123)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126), 및
상기 베이스판(124)에 삽입되고 그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101a)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판(124)의 상하 승강을 가이드하는 안내로드(12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벨기어장치(123)는 상기 구동모터(126)에 의해 회동되는 구동기어(123a)와, 상기 구동기어(123a)에 120도 간격으로 치합되는 종동기어(123b), 상기 종동기어(123b)에 연결되는 피동회동축(123c), 상기 피동회동축(123c)의 회전력을 상기 가압회동롤러(121)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체인이나 벨트의 동력전달부(123d)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베벨기어장치(123)는 상기 구동모터(126)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기어(123a)가 회동되고 상기 구동기어(123a)가 회동되면 이에 연결된 다수개의 상기 종동기어(123b)가 회동되며 상기 종동기어(123b)의 회동으로 상기 피동회동축(123c)이 회동된다. 이어 상기 피동회동축(123c)의 회동으로 상기 동력전달부(123d)가 회전되면서 상기 피동회동축(123c)의 회동력이 상기 가압회동롤러(121)를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회동부(120)는 상기 이송롤러(102)를 통해 이송되는 전선묶음(103)이 상기 파지부(110)에서 정지하여 파지되면 상기 승강실린더(125)가 작동하면서 상기 베이스판(124)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판(124)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판(124)에 설치되는 가압회동롤러(121), 상기 지지브라케트(122), 상기 베벨기어장치(123)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가압회동롤러(121)가 상기 이송롤러(102)의 상부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전선묶음(103)을 그 하부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베벨기어장치(123)를 가동하여 상기 가압회동롤러(121)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압회동롤러(12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전선묶음(103)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가압회동롤러(121)에 의해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바인더부(130)에 구비되는 C자 형상의 상기 회전체(133)가 상기 전선묶음(103)의 내외를 넘나들며 회전하면서 상기 비닐롤러(134)에 권취된 비닐로 상기 전선묶음(103)을 감아 포장하게 된다.
상기 전선묶음(103)을 비닐로 감아 포장하는 작업이 끝나면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를 상승시키고 상기 이송롤러(102)를 작동하여 포장이 완료된 상기 전선묶음(103)을 이송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압회동롤러(121)는 그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크기의 상기 전선묶음(103)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압회동롤러(121)는 그 단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가압회동롤러(121)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롤러부(121a)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압회동롤러(121)는 그 단부에 나사가 형성되는 요홈(121h)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롤러부(121a)는 그 일면부에 상기 요홈(121h)에 체결되도록 나사가 형성되는 고정돌기(121ah)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요홈(121h)에 상기 고정돌기(121ah)를 체결 고정하면 상기 가압회동롤러(121)의 단부에 상기 길이조절롤러부(121a)가 용이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묶음(103)의 직경크기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롤러부(121a)를 신속하게 착탈하여 줌으로써 다양한 직경크기의 전선묶음(103)을 용이하게 포장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바인더부(130)는 상기 파지부(110)의 지지브라케트(131)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32)에 의해 회동되는 구동롤러(132a)와 다수개의 피동롤러(132b)에 의해 회전되는 C자 형상의 회전체(133)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133)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C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어 개방부에 의해 상기 전선묶음(103)의 내외부를 넘나 들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회동부(120)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전선묶음(103)의 내외부를 넘나 들면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회전체(133)에 구비된 상기 비닐롤러(134)의 비닐이 풀어지면서 상기 전선묶음(103)의 외부를 감아 포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도넛모양의 코일링 전선다발을 정지시키면서 지지하는 파지부와, 파지된 전선다발을 회전시키는 회동부, 및 회전되는 전선다발의 중심부를 회전하면서 비닐 등으로 코일링한 전선 묶음을 바인딩하여 포장하는 바인더부로 구성되되, 상기 파지부는 전선다발을 파지하는 간격(직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하여 전선을 코일링하는 코일러에서 다양한 직경의 크기로 제작되는 전선다발을 해당 사이즈별로 적기에 대응하여 바인딩함으로써 전선다발의 바인딩 작업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0: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101:컨베이어장치 101a:지지프레임 102:이송롤러 103:전선묶음
110:파지부
111:몸체프레임 111a,111b,111c,111d:브라케트
112:제1슬라이딩로드 113:제2슬라이딩로드 113a:로드스프라켓
114:전방플레이트 114a,115a:지지브라케트 S:스크류
115:후방플레이트 116:전방실린더 116a,117a:지지로드
117:후방실린더 T:고정축 B:베어링
118:전방작동플레이트 119:후방작동플레이트 118R:전방지지롤러
119R:후방지지롤러 M1:로드구동모터
120:회동부
121:가압회동롤러 121a:길이조절롤러부 121ah:고정돌기 121h:요홈
122:지지브라케트 123:베어링장치 123a:구동기어 123b:종동기어
123c:피동회동축 123d:동력전달부
124:베이드판 125:승강실린더 126:구동모터 127:안내로드
130:바인더부
131:지지브라케트 132:구동모터 132a:구동롤러 132b:피동롤러
133:회전체 134:비닐롤러
140:보조롤러 141:돌기
150:감지센서

Claims (7)

  1. 와인딩된 전선묶음을 자동으로 바인딩하는 포장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장치(101)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이송롤러(102)를 타고 이송되는 전선묶음(103)을 한 쌍의 전방지지롤러(118R)와 한 쌍의 후방지지롤러(119R)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파지하도록 설치되는 파지부(110)와;
    상기 컨베이어장치(101)의 하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110)에서 파지된 상기 전선묶음(103)으로 상승하여 상기 전선묶음(103)을 회전시키는 회동부(120); 및
    상기 파지부(110)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케트(131)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32)에 의해 회동되는 구동롤러(132a)와 다수개의 피동롤러(132b)에 의해 회전되는 C자 형상의 회전체(133)가 회전되면서 상기 전선묶음(103)을 비닐롤러(134)에 권취된 비닐로 감아 포장하는 바인더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보조롤러(140)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10)는 전후좌우의 브라케트(111a 내지 111d)로 연결되는 사각형상의 몸체프레임(111)과,
    상기 몸체프레임(111)의 전후 양측의 상기 브라케트(111a,111c) 상에 양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회동되는 한 쌍의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
    상기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에 각각 양측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를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입되는 전선묶음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전,후방플레이트(114,115),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전,후방실린더(116,117),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실린더(116,117)의 신축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 승강에 따라 상기 전선묶음(103)을 파지 또는 해제하는 상기 전방지지롤러(118R)와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로 구성되는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슬라이딩로드(112,113)는 상기 브라케트(111a,111c) 상의 양단부에 베어링(B)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케트(114a,115a)에 각각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의 외부에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후 양측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크류(S)가 구비되어, 로드구동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슬라이딩로드(113)가 회동되면서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는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플레이트(114,115)와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에는 상기 전,후방작동플레이트(118,119)가 상기 전,후방실린더(116,117)의 신축에 의해 승강을 가이드하는 지지로드(116a,117a)가 연결 설치되는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롤러(119R)의 어느 한쪽에는 상기 전선묶음(103)이 상기 이송롤러(102)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50)가 설치되는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120)에는 상기 컨베이어장치(101) 내측에서 상하 승강되도록 120도 간격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전선묶음(103)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이를 회전시키는 가압회동롤러(121)가 설치되되,
    상기 가압회동롤러(121)의 단부에는 착탈식으로 상기 가압회동롤러(121)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롤러부(121a)가 더 구비되는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KR1020190118744A 2019-09-26 2019-09-26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KR10209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744A KR102098091B1 (ko) 2019-09-26 2019-09-26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744A KR102098091B1 (ko) 2019-09-26 2019-09-26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091B1 true KR102098091B1 (ko) 2020-04-07

Family

ID=7029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744A KR102098091B1 (ko) 2019-09-26 2019-09-26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0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207B1 (ko) * 2020-10-13 2020-12-04 동명산업(주) 가스켓의 자동 포장장치
CN113772147A (zh) * 2021-08-30 2021-12-10 汤姆迅(上海)机器人有限公司 一种轮胎打包方法
KR20220129815A (ko) 2021-03-17 2022-09-26 효원기계(주) 롤형전선 포장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457Y1 (ko) * 1995-02-16 1998-08-17 이상준 슬리트코일 포장장치
KR20030048671A (ko) * 2001-12-12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포장용 회전장치
KR100596651B1 (ko) 2005-04-01 2006-07-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코일다발 파지 이송 장치
KR100896756B1 (ko) 2007-11-30 2009-05-11 대명전기주식회사 전선 자동 와인딩 바인딩 포장장치
KR101215166B1 (ko) 2010-02-18 2012-12-24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장치 및 코일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457Y1 (ko) * 1995-02-16 1998-08-17 이상준 슬리트코일 포장장치
KR20030048671A (ko) * 2001-12-12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포장용 회전장치
KR100596651B1 (ko) 2005-04-01 2006-07-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코일다발 파지 이송 장치
KR100896756B1 (ko) 2007-11-30 2009-05-11 대명전기주식회사 전선 자동 와인딩 바인딩 포장장치
KR101215166B1 (ko) 2010-02-18 2012-12-24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장치 및 코일 포장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207B1 (ko) * 2020-10-13 2020-12-04 동명산업(주) 가스켓의 자동 포장장치
KR20220129815A (ko) 2021-03-17 2022-09-26 효원기계(주) 롤형전선 포장장치
CN113772147A (zh) * 2021-08-30 2021-12-10 汤姆迅(上海)机器人有限公司 一种轮胎打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091B1 (ko)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CN108995861B (zh) 一种纸板捆绑打包机及其工作方法
US9604809B2 (en) Film roll/bag-on-a-roll making machine
CN108082593A (zh) 一种自动缠胶设备及其缠胶方法
JP5436932B2 (ja) ロール組立体のフィルム包装装置およびフィルム包装方法
KR101241394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CN207061401U (zh) 全自动三工位缠绕膜机
KR101736495B1 (ko) 보호 커버 공급장치
KR20190047964A (ko) 강판 코일 랩핑용 포장재 공급장치,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랩핑 장치 및 방법
CN210823020U (zh) 一种卧式薄膜手套装袋机
CN109094886B (zh) 一种电子秤的包装装置
CN109677679A (zh) 一种导光板与扩散板的下料包装装置及工作方法
CN216805958U (zh) 棍体计数输送机构
CN216806119U (zh) 棍体整平出料机构
CN214190235U (zh) 一种立式纱团包膜机
CN216805957U (zh) 一种棍体自动打包机
CN215155922U (zh) 一种捆束机的卷绕装置
CN214729915U (zh) 一种捆束机
CN210618561U (zh) 一种离线包装机
CN213677300U (zh) 一种床垫卷包机的卷绕装置
JP3712799B2 (ja) 長尺物包装装置
KR200392846Y1 (ko) 적층된 샌드위치패널의 결속포장 시스템
CN210528012U (zh) 移动式可调张力薄膜打包机
CN217477613U (zh) 一种彩印包装袋成品捆扎打包装置
CN217866975U (zh) 一种卷材码垛机的翻转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