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517B1 -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517B1
KR102363517B1 KR1020167036272A KR20167036272A KR102363517B1 KR 102363517 B1 KR102363517 B1 KR 102363517B1 KR 1020167036272 A KR1020167036272 A KR 1020167036272A KR 20167036272 A KR20167036272 A KR 20167036272A KR 102363517 B1 KR102363517 B1 KR 10236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material liquid
container
nozzl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766A (ko
Inventor
히사아키 고미
코지 이와시마
Original Assignee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닛토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닛토쿠 filed Critical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43Mixing devices for liquids
    • B67D1/0051Mixing devices for liquids for mixing outside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과제)
탄산액이 용기의 내벽면에 충돌하여 탄산액으로부터 탄산 가스가 최대한 빠져나가게 하는 일이 없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원료액을 주출하는 원료액 노즐(1)과 탄산액을 주출하는 탄산액 노즐(2)과, 용기를 재치하는 받이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4)에 의해 위치 결정된 용기에 원료액 노즐(1)과 탄산액 노즐(2)로부터 각각 원료액과 탄산액을 토출할 수 있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로서, 원료액 노즐(1)이 용기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탄산액 노즐(2)의 구멍은 그 토출 방향이 용기의 내벽을 따르도록 경사져 있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

Description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DEVICE FOR SUPPLYING HIGHLY CARBONATED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액과 탄산액을 섞은 탄산음료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액의 탄산 가스가 빠지기 어려운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람 손을 대신하여 탄산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디스펜서가 사용되고 있다.
이 탄산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디스펜서는 탄산액과 원료액을 각각 노즐로부터 따로따로 용기에 공급하여 음료액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음료 디스펜서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베이스 음료(츄하이 등)와 첨가 시럽을 각 노즐로부터 동시에 컵에 공급하는 구조의 음료 디스펜서가 제공되어 있다.
이 음료 디스펜서에서는 베이스 음료용의 노즐과 첨가 시럽용의 노즐은 좌우로 근접하여 늘어서서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음료(츄하이 등)와 첨가 시럽은 동일한 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러나 컵 내에 얼음이 존재하는 경우는, 토출된 베이스 음료가 직접 얼음의 거친 표면에 충돌함으로써, 베이스 음료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수로부터 탄산 가스가 분리되어 빠져나간다.
그 결과, 탄산 가스의 용해율이 낮은 소위 탄산의 효과가 나쁜 음료액이 되어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음료액 공급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 음료액 공급 장치는 액체 음료를 토출하는 노즐 튜브와, 희석액을 토출하는 희석액 노즐의 각각의 토출구를 일정 거리 떨어뜨려 구비한 것으로, 각 노즐로부터 컵레스트에 놓인 음료 용기에 액체 원료와 희석액을 토출하여 조제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희석액 노즐의 희석액 토출구를 음료 용기의 내벽면에 대치하도록 배열설치하고, 희석액을 내벽면을 향하여 토출시켜 흘러내리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 음료액 공급 장치는 희석액을 토출하는 경우, 전자의 특허문헌 1의 음료 디스펜서에 비하면 희석액이 직접 얼음에 충돌하는 일이 회피된다.
그 때문에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는 일이 적어져, 소위 탄산의 효과가 좋은 고탄산의 음료를 조제할 수 있다.
일본 특개 2001-171796 공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79224호 공보
그러나 이 음료액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노즐의 배치 구조가 희석액 노즐의 희석액 토출구를 음료 용기의 내벽면에 대치하도록 배열설치하고 있으므로, 희석액은 용기 내의 얼음에는 충돌하기 어렵지만, 내벽면에 충돌하게 된다.
그 때문에 용기의 내벽면으로의 충돌시에 탄산액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탄산액이 용기의 내벽면에 충돌하여 탄산액으로부터 탄산 가스가 최대한 빠져나가게 하는 일이 없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상과 같은 과제 배경을 기초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탄산액 노즐의 배열설치 상태를 특정함으로써, 토출시에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기 어려운 상태를 만들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이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원료액을 주출(注出)하는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을 주출하는 탄산액 노즐과, 용기를 재치하는 받이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용기에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 노즐로부터 각각 원료액과 탄산액을 토출할 수 있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로서, 원료액 노즐이 용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탄산액 노즐의 노즐 구멍은 용기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탄산액의 토출 방향이 내벽면의 수평 접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져서 토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에 있다.
즉 본 발명은 (2), 원료액 노즐이 원료액을 다방향(多方向)으로 토출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에 있다.
즉 본 발명은 (3), 탄산액 노즐의 토출 방향이 용기의 내벽면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져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에 있다.
즉 본 발명은 (4), 가이드부는 용기의 상부 측면 형상에 따른 커브를 가지는 오목부와, 용기의 상단부의 일부에 덮이는 볼록부를 가지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에 있다.
즉 본 발명은 (5), 원료액을 일시적으로 일정량(원샷분)만큼 저장하는 카트리지 저류기를 구비하고, 이 카트리지 저류기는 원료액 공급 유로를 통하여 원료액 탱크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 카트리지 저류기는 원료액 주출 유로를 통하여 원료액 노즐에 연결되어 있고, 카트리지 저류기의 원료액을 일정량(원샷분)만큼 원료액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에 있다.
즉 본 발명은 (6), 원료액 공급 유로에 제1 밸브체가 설치되고, 또한 원료액 주출 유로에는 제2 밸브체가 설치되고, 양 밸브체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공통의 캠 봉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5)에 기재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에 있다.
즉 본 발명은 (7), 캠 봉은 제1 밸브체와 제2 밸브체에 수직으로 맞닿아 있고, 캠 봉의 움직임에 의해 제1 밸브체와 제2 밸브체를 개폐하는 상기 (6)에 기재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에 있다.
즉 본 발명은 (8), 캠 봉의 순방향(順方向)의 움직임에 의해 제2 밸브체가 닫히고 나서 제1 밸브체가 열리고, 또 캠 봉의 역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제5 밸브체가 닫히고 나서 제2 밸브체가 열리는 것인 상기 (7)에 기재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에 있다.
즉 본 발명은 (9), 가산용 원료액을 추가하기 위한 원료액 추가용 노즐을 추가로 설치한 상기 (1)에 기재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것이면, 상기한 각 발명의 구성을 적당히 조합한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는 원료액을 주출하는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을 토출하는 탄산액 노즐과, 용기를 재치하는 용기 받이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용기에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 노즐로부터 각각 원료액과 탄산액을 토출할 수 있는 것으로, 원료액 노즐이 용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탄산액 노즐의 노즐 구멍은 용기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탄산액의 토출 방향이 내벽면의 수평 접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져서 토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료액이 용기 중의 얼음조각의 전체에 치우침없이 뿌려진다(여기서, 중앙부는 평면시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말한다.).
또 탄산액이 용기의 내벽면에 직접 충돌하지 않아, 탄산수에 포함되는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기 어렵다.
원료액 노즐이 원료액을 다방향으로 토출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므로, 보다 원료액이 보다 확실하게 얼음조각의 전체에 치우침없이 뿌려진다.
경사진 각도 θ가 10도~70도인 것에 의해, 탄산액을 확실하게 내벽면을 따라 토출할 수 있어, 충격을 받지 않아, 탄산액에 포함되는 탄산 가스인 거품의 발생이 최대한 억제된다.
가이드부는 용기의 상부 측면 형상에 따른 커브를 가지는 오목부와, 용기의 상단부의 일부에 덮이는 볼록부를 가지므로, 원료액이 토출될 때는 용기는 이 가이드부에 의해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 노즐에 대하여 적정한 부위에 위치 결정된다.
원료액을 일시적으로 일정량(원샷분)만큼 저장하는 카트리지 저류기를 구비하고, 이 카트리지 저류기는 원료액 공급 유로를 통하여 원료액 탱크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 카트리지 저류기는 원료액 주출 유로를 통하여 원료액 노즐에 연결되어 있고, 카트리지 저류기의 원료액을 일정량(원샷분)만큼 원료액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것이므로, 조작하는 사람의 손대중이 작용하지 않아, 정확하게 일정량의 원료액을 용기에 부을 수 있다.
원료액 공급 유로에 제1 밸브체가 설치되고, 또한 원료액 주출 유로에는 제2 밸브체가 설치되고, 양 밸브체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공통의 캠 봉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동기한 밸브체의 개폐가 가능하다.
캠 봉은 제1 밸브체와 제2 밸브체에 수직으로 맞닿아 있고, 캠 봉의 움직임에 의해 제1 밸브체와 제2 밸브체를 개폐하므로, 캠 봉의 힘이 각 밸브체에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캠 봉의 순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제2 밸브체가 닫히고 나서 제1 밸브체가 열리고, 또 캠 봉의 역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제1 밸브체가 닫히고 나서 제2 밸브체가 열리는 것이므로, 용기에 규정량(원샷분) 이상의 원료액이 토출되지 않는다.
가산용 원료액을 추가하기 위한 원료액 추가용 노즐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탄산음료액 중의 원료액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탄산음료 서버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이드부와 용기 상부와의 배열설치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용기를 위치 결정하기 전, (B)는 용기를 위치 결정한 후를 나타낸다.
도 4는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얼음조각을 넣기 전의 상태, 또 (B)는 얼음조각을 넣은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 노즐과 용기의 내벽면의 배열설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 노즐과 용기의 내벽면의 배열설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A)는 정면도, 또 (B)는 배면도를 단면으로 나타낸다.
도 7은 원료액 노즐의 노즐 구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종단면도, 또 (B)는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탄산액 노즐(2)의 토출 방향과 용기의 내벽면의 경사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카트리지 저류기(A1) 및 탄산액 조작 레버(21)를 움직여서 탄산액 주출 유로에 설치된 제3 밸브체를 개폐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제3 밸브체가 닫힌 탄산액을 토출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B) 제3 밸브체가 열려서 탄산액을 토출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카트리지 저류기에 원료액이 충전된 상태로서, 제1 밸브체가 닫혀서 원료 노즐로부터 원료액을 토출할 수 없는 대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2 밸브체가 닫히고 제1 밸브체가 열려서 원료 노즐로부터 원료액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1 밸브체가 닫히고 제2 밸브체가 열려, 빈 카트리지 저류기에 원료액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원료액 추가용 노즐을 설치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를 나타낸다.
도 14는 원료액 추가용 노즐을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용기의 내벽면과의 배열설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는 원료액 탱크로부터 직접 원료액 노즐에 원료액을 흘리도록 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에 있어서의 원료액 유로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도 1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료액 유로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본 발명의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는 원료액을 주출하는 원료액 노즐(1)과 탄산액을 토출하는 탄산액 노즐(2)과, 용기(6)를 재치하는 받이부(3)와, 용기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가이드부(4)를 구비하고 있다.
받이부(3)에 일단 임시로 놓인 후 들어올려져 가이드부(4)로 위치 결정된 상태의 얼음조각(7)이 들어있는 용기(6)에 대하여, 원료액 노즐(1)과 탄산액 노즐(2)로부터 각각 원료액과 탄산액을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원료액은 알코올 함유 음료(예를 들면 위스키, 브랜디, 소주, 리큐어 등), 과즙액 등의 액이며, 탄산액은 탄산 가스를 포함한 원료액 희석을 위한 액이다.
또 얼음조각(7)(빙괴)으로서는 그 표면이 아직 원활화되어 있지 않고, 버 등이 있는 표면이 거친 것으로, 형상으로서는 입방체, 구형, 각형체 등의 다양한 것이 사용된다.
단, 얼음의 표면이 매끄럽게 된 얼음조각도 사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노즐로부터 토출된 원료액과 탄산액이 용기(6) 내에서 혼합되어 고탄산의 음료액이 된다.
도 1은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가 구비되어 있는 탄산음료 서버 장치(X)를 나타내는 전체 개략도이다.
탄산음료 서버 장치(X)의 전면부에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가 구비되어 있다.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는 원료액을 토출하는 원료액 노즐(1)과, 탄산액을 토출하는 탄산액 노즐(2)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각 노즐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하방에는 용기(6)를 재치하는 받이부(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받이부(3)에는 액 떨어짐용의 절결부가 있는 그레이팅부(31)가 설치되어 있고, 용기(6)는 이 그레이팅부(31) 상에 임시로 놓여진다.
용기(6)에 부착된 수분이나 넘친 액은 그레이팅부(31)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여 받이부(3)에 모인다.
용기(6)의 받이부(3)의 상방(원료액 노즐(1), 탄산액 노즐(2)의 하방)에는 가이드부(4)가 설치되어 있고(도 1 참조), 원료액이 토출될 때는 용기(6)는 이 가이드부(4)에 의해 원료액 노즐(1)과 탄산액 노즐(2)에 대하여 적정한 부위에 위치 결정된다.
도 2는 가이드부(4)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가이드부와 용기 상부의 배열설치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용기를 위치 결정하기 전, (B)는 용기를 위치 결정한 후를 나타낸다.
가이드부(4)는 용기(6)의 상부 측면 형상을 따른 커브를 가지는 부분인 오목부(41)와, 용기(6)의 상단부의 일부에 덮이는 부분인 볼록부(42)를 가진다.
위치 결정은 받이부(3)에 임시로 놓인 용기(6)를 들어올려 이 가이드부(4)에 맞춤으로써, 용기(6)는 상하, 좌우 방향 모두 원료액 노즐(1)과 탄산액 노즐(2)의 하방의 적정한 부위에 위치 결정된다.
도 4는 용기(6)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A)는 얼음조각(7)을 넣기 전의 상태, 또 (B)는 얼음조각(7)을 넣은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원료액 노즐(1)과 탄산액 노즐(2)과 용기(6)의 내벽면의 배열설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가이드부는 생략하고 있다.
또 도 6은 원료액 노즐(1)과 탄산액 노즐(2)과 용기(6)의 내벽면의 배열설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A)는 정면도, 또 (B)는 배면도를 단면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원료액 노즐(1)은 도시하지 않는 원료액 탱크에 원료액 공급 유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위치 결정된 용기(6)의 중앙부에 토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료액 노즐(1)은 복수의 구멍(H)을 구비하고 있어, 얼음조각(7)의 전체에 치우침없이 확실하게 원료액을 산포할 수 있다.
원료액은 상온(실온)이어도 냉각된 것이어도 되고, 상온의 경우는 주로 원료액과 얼음의 온도차에 의해, 또 냉각되어 있는 경우는 원료액과 얼음의 접촉에 의한 반응열에 의해, 원료액의 산포를 받은 얼음조각(7)은 그 표면에 존재하는 버(가시 형상의 삐쭉삐쭉한 것)가 녹아 없어져, 표면이 균일하고 또한 매끄러워진다.
아울러 원료액의 토출에 의해 얼음의 표면이 원료액으로 코팅된 상태가 되므로 얼음조각(7)의 표면이 더욱 매끄러워진다.
도 7은 원료액 노즐(1)의 노즐 구부(1A)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종단면도, 또 (B)는 저면도를 나타낸다.
이 예는 중심부의 구멍(H) 외에 또한 주위에 8개의 구멍(H)을 구비하여, 합계 9개의 구멍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탄산액 노즐(2)은 도시하지 않는 탄산액 제조 탱크에 연결되어 있고, 탄산액 조작 레버(21)를 움직임으로써 탄산액 제조 탱크로부터 냉각된 탄산액이 탄산액 노즐(2)을 통하여 용기(6)에 토출 공급된다.
탄산액 노즐(2)은 파이프 형상의 노즐이 하방으로 뻗어 굴곡되어 용기(6)의 내벽면을 따르는 것 같은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탄산액 노즐(2)의 토출 방향(액이 튀어나오는 방향)은 대향하는 용기(6)의 내벽면의 수평 접선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θ만큼 경사져서 토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도 θ는 탄산액 노즐(2)의 중심축선과 내벽면의 교차점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도 8은 탄산액 노즐(2)의 토출 방향과 용기(6)의 내벽면의 경사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액의 토출 방향을 각도 θ만큼 경사시킴으로써, 탄산액은 확실하게 용기(6)의 내벽면을 따르도록 하여 나선 형상으로 효율적으로 흐르게 된다.
이 경우, 경사진 각도 θ는 90도 미만이 채용되는데, 탄산 가스의 거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10~70도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에 구비되어 있는 원료액을 일시적으로 비축하는 카트리지 저류기(A1)의 설명도이다.
이 카트리지 저류기(A1)는 원료액 공급 유로(14)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원료액 탱크와 연결되어 있고, 이 원료액 탱크로부터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원료액이 추가 공급된다.
또 카트리지 저류기(A1)는 원료액 주출 유로(12)를 통하여 원료액 노즐(1)과 연결되어 있고, 이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충전되어 있는 일정량(원샷분)(W)의 원료액이 원료액 조작 레버(11)를 움직임으로써 원료액 노즐(1)을 통하여 용기(6)에 토출된다.
또한 카트리지 저류기(A1)가 비게 된 경우는 원료액 탱크로부터 원료액 공급 유로(14)를 통과하여 원료액이 일정량(원샷분)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9는 탄산액 조작 레버(21)를 움직여서 탄산액 주출 유로(22)에 설치된 제3 밸브체(23)를 개폐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A)는 제3 밸브체(23)가 닫힌 탄산액을 토출할 수 없는 상태(대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제3 밸브체(23)가 열려 탄산액을 토출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탄산액 조작 레버(21)의 움직임을 제3 밸브체(23)에 전달하는 구조는 생략하고 있다.
수직으로 있는 탄산액 조작 레버(21)를 움직여 수평하게 하면, 닫혀 있는 제3 밸브체(23)가 열려 탄산액 주출 유로(22)가 통과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탄산액 노즐(2)로부터 탄산액이 토출된다.
(밸브 전환 안전 구조)
그런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저류기(A1)는 원료액 탱크에 연결되어 있고, 원료액 탱크로부터 원료액 공급 유로를 통과하여 원료액이 일정량(원샷분)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충전된다.
원샷은 용기 1잔분의 고탄산 음료의 제조에 필요한 원료액의 양으로 30ml, 45ml, 60ml 등인 것이 많은데, 원료액의 종류나 만들고자 하는 고탄산 음료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설정된다.
그리고 원료액 조작 레버를 움직임으로써, 카트리지 저류기(A1)로부터 일정량(원샷분)의 원료액이 원료액 노즐(1)을 통하여 용기(6)에 토출된다.
이 경우, 원료액 탱크로부터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이르는 원료액 공급 유로(14)와,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충전된 원료액을 인도하여 외부에 주출하는 원료액 주출 유로(12) 사이에 밸브 전환 안전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도 12는 밸브 전환 안전 기구를 설명하는 일부 단면의 내부 구조도이다.
또한 카트리지 저류기(A1)를 덮는 커버체(A1a)는 편의적으로 생략했다.
도 10은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원료액이 충전된 상태로서, 제1 밸브체(13)가 닫혀 원료 노즐로부터 원료액을 토출할 수 없는 상태(대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2 밸브체(15)가 닫히고 제1 밸브체(13)가 열려 원료 노즐(1)로부터 원료액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1 밸브체(13)가 닫히고 제2 밸브체(15)가 열려, 빈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원료액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충전된 원료액을 외부에 주출하는 유로인 원료액 주출 유로(12)에는 제1 밸브체(13)가 설치되고,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원료액을 공급하는 유로인 원료액 공급 유로(14)에는 제2 밸브체(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양 유로를 통과 가능 또는 통과 불능으로 하기 위한 즉 각 밸브체를 개폐하기 위한 캠 봉(16)이 공통으로 설치되어 있다.
캠 봉(16)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제1 밸브체(13) 및 제2 밸브체(15)를 개폐한다.
상세하게는 캠 봉(16)이 제1 밸브체(13)와 제2 밸브체(15)에 수직으로 맞닿아 있고, 캠 봉(16)의 움직임에 따라 제1 밸브체(13)와 제2 밸브체(15)를 동기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제1 밸브체(13)는 통상 스프링으로 하방으로 부세되어 유로가 통과 불능으로 되어 있는데, 스프링을 이기고 밀어올려지면 열리는 구조이다.
또 제2 밸브체(15)는 통상 스프링으로 하방으로 부세되어 유로가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스프링을 이기고 밀어올려지면 닫히는 구조이다.
이어서 원료액을 원샷분 토출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A) 가장 먼저 제1 밸브체(13)는 닫혀 있고 제2 밸브체(15)는 열려 있고,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일정량(원샷분)의 원료액이 충전되어 있다(도 10 참조).
소위 대기 상태이다.
B) 원료액 조작 레버(11)를 움직여서 캠 봉(16)을 화살표와 같이 순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그 굵은 직경부(16A)로 제1 밸브체(13)를 밀어올리고, 제1 밸브체(13)가 열린다(즉 원료액 주출 유로(12)가 통과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굵은 직경부(16A)로 제2 밸브체(15)를 밀어올려 제2 밸브체(15)가 닫힌다(즉 원료액 공급 유로(14)가 통과 불능이 된다).
이 경우, 원료액 노즐(1)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외부의 용기(6)에 원료액이 토출되는데(도 11 참조), 제2 밸브체(15)가 닫혀 있으므로 원료액 공급 유로(14)를 통하여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원료액은 충전되지 않는다.
C) 원료액이 토출되어 카트리지 저류기(A1) 내가 비게 된 후(즉 용기로의 원샷분의 토출이 완료한 후), 원료액 조작 레버(11)를 원래대로 되돌려 캠 봉(16)을 역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그 가는 직경부(16B)에 의해 제1 밸브체(13)를 밀어내리고, 제1 밸브체(13)가 닫힌다.
동시에 가는 직경부(16B)에 의해 제2 밸브체(15)를 밀어내리고 제2 밸브체(15)가 열린다.
그러면, 원료액 공급 유로(14)가 통과 가능하게 되므로, 비게 된 카트리지 저류기(A1)에 다시 원료액이 일정량(원샷분)이 될 때까지 공급되어 간다(도 12 참조).
또한 원료액을 공급하는 압은 예를 들면 플로우 제트 펌프의 압에 따른다.
이 경우, 제1 밸브체(13)가 닫혀 있으므로 원료액 노즐(1)로부터 원료액은 토출되지 않는다.
A)~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캠 봉(16)의 순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제2 밸브체(15)가 닫히고 나서 제1 밸브체(13)가 열리고, 또 캠 봉(16)의 역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제1 밸브체(13)가 닫히고 나서 제2 밸브체(15)가 열린다.
따라서, 원료액 노즐(1)에 의해 용기(6)에 원료액을 토출하고 있는 동안은,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원료액은 공급되지 않고, 원샷분의 원료액이 정확하게 용기(6)에 부어진다.
원료액을 용기(6)에 붓고 있는 도중에 부주의하게 카트리지 저류기(A1)에 원료액이 공급되는 것 같은 일이 없어, 그것이 원인이 되어 용기(6)로 원료액이 여분으로 주입되는 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밸브 전환 안전 기구에 의해 안심하고 용기(6)에 원료액을 부을 수 있다.
덧붙여 카트리지 저류기(A1)의 일정량(원샷분)을 바꾸기 위해서는 그 내부 공간의 체적을 변경함으로써 행하는데 상세는 생략한다.
이어서 이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를 사용하여 용기(6)에 원료액과 탄산액을 토출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그런데 탄산액으로부터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는 원인은 두가지 있는데, 그 하나는 탄산액이 거친 표면을 가지는 얼음조각(7)에 접촉함으로써 용해하고 있는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기 때문(탄산 가스가 빠져나가는 요인 1)이며, 다른 하나는 탄산액이 용기(6)의 내벽면에 직접 충돌하여 그 충격에 의해 용해하고 있는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기 때문(탄산 가스가 빠져나가는 요인 2)이다.
그 때문에 이 토출 순서에 있어서는, 가장 먼저 얼음조각(7)을 넣은 용기(6)에 원료액을 얼음조각(7)에 접촉시키면서 토출시키고(원료액 토출), 그 후 탄산액을 용기(6)의 내벽면에 접촉시키면서 토출한다(탄산액 토출).
탄산액 토출은 반드시 원료액 토출 후에 행하는 것이 고탄산 음료를 제조하는 키포인트 즉 요령이다.
1) 우선, 가장 먼저 얼음조각(7)을 넣은 용기(6)를 준비한다.
2) 얼음조각(7)을 넣은 용기(6)를 받이부(3)에 임시로 놓는다.
이어서 용기(6)를 들어올리고, 가이드부(4)에 맞추면, 용기(6)의 상하, 좌우 방향 모두 적정하게 위치 결정되어, 원료액 노즐(1)이 용기(6)의 중앙부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탄산액 노즐(2)은 용기(6)의 내벽면을 따르도록 배치된다.(도 3, 도 5 참조)
상세하게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탄산액 노즐(2)의 토출 방향이 용기(6)의 내벽면의 수평 접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져서 배치된다(도 8 참조).
3) 원료액 조작 레버(11)를 조작하여 원료액 노즐(1)로부터 원료액(위스키 등)을 토출시킨다.
토출된 원료액은 용기(6) 내의 얼음조각(7)에 뿌려지고, 우선 얼음조각(7)의 거친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즉 얼음조각(7)의 표면의 버 등을 소실시켜 매끄러운 면으로 한다.
이것으로 상기 서술한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는 요인 1이 해소된다.
원료액 노즐(1)은 용기(6)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원료액은 얼음조각(7) 전체에 치우침없이 뿌려지고, 또 원료액 노즐(1)이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원료액은 얼음조각(7) 전체에 산포된다.
4) 이어서 탄산액 조작 레버(21)를 움직여서 탄산액 노즐(2)로부터 탄산액을 토출시키는데, 탄산액은 용기(6)의 내벽면을 따라 흐른다.
게다가 탄산액 노즐(2)의 토출 방향을 용기(6)의 내벽면의 수평 접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진 상태로 하므로, 충격이 없어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는 일은 없다.
이것으로 상기 서술한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는 요인 2가 해소된다.
이와 같이 탄산액은 용기(6)의 내벽면에 충격적으로 충돌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얼음조각(7)에도 직접적으로는 최대한 뿌려지지 않는다.
덧붙여서 용기(6)의 저부에 모인 탄산액이 얼음조각(7)에 접촉해도, 이미 원료액에 의해 얼음조각(7)의 표면이 균일하게 원활화되어 있으므로 탄산액으로부터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지 않는다.
5) 이와 같이 탄산액 노즐(2)로부터 탄산액을 토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용기(6) 중에서 원료액과 탄산액이 서로 섞여 고탄산 음료가 완성된다.
6) 마지막으로 탄산음료가 들어있는 용기(6)를 받이부(3)에 다시 놓는다.
이상으로 얼음조각(7)이 들어있는 용기(6)에 원료액과 탄산액을 공급하는 순서가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탄산음료를 마시는 자의 기호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농도의 조정을 위한 별개의 원료액 노즐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래, 원샷분의 원료액은 그 양이 규정되어 있으므로, 손님의 기호에 따라 진한 탄산음료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대응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는 탄산음료를 진하게 하기 위해서 더욱 가산용 원료액을 추가하는 원료액 추가용 노즐(원료액 탱크에 연결되어 있다)을 설치함으로써 대응한다.
도 13은 원료액 추가용 노즐(5)을 설치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를 나타낸다.
도 14는 원료액 추가용 노즐(5)을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용기(6)의 내벽면과의 배열설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따라서, 원료액이 진한 음료액을 좋아하는 자에 대해서는 이 원료액 추가용 노즐(5)의 조작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가산용 원료액을 용기(6)에 여분으로 추가한다.
원료액 추가용 노즐(5)로부터의 가산용 원료액의 추가는 상기 서술한 원료액토출 후여도 되고, 또 탄산액 토출 후여도 된다.
그런데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는 카트리지 저류기(A1)를 구비하고 있어, 원칙적으로 원샷분의 원료액을 용기에 토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그 때문에 원료액 노즐(1)과 원료액 추가용 노즐(5)과 탄산액 노즐(2)의 3개의 노즐이 필요하게 된다.
카트리지 저류기(A1)를 구비하지 않고, 직접 원료액 탱크(T)로부터 원료액 노즐(1)에 원료액을 흘리도록 함으로써, 노즐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도 15는 이와 같은 원료액 탱크(T)로부터 직접 원료액 노즐(1)에 원료액을 흘리도록 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에 있어서의 원료액 유로의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원료액 탱크(T)와 원료액 노즐(1) 사이에, 원료액 공급 유로(14A)를 설치하고, 이 원료액 공급 유로(14A)에 밸브체(13A)를 설치한다.
이 경우, 밸브체(13A)를 전자 밸브로 하여 스위치의 전환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용기에 토출하는 원료액의 양을 많게 하거나 또는 적게 하거나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전기적 구동에 의해 전자 밸브를 전환하는 경우, 원료액을 일정량의 토출량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 원료액 조작 레버를 움직여서 기계적 구동에 의해 밸브체(13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당연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이 경우는 원료액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용기에 토출하는 원료액의 양을 많게 하거나 또는 적게 하거나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A)는 하나의 예로 설명했지만, 소위 노즐 타워(지지대)에 복수개 설치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당연히 채용 가능하다.
또한 참고로 도 1~도 1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료액 유로의 설명도를 도 16에 나타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는 원료액 노즐이 용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탄산액 노즐의 노즐 구멍은 용기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탄산액의 토출 방향이 내벽면의 수평 접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져서 토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료액이 용기 중의 얼음조각의 전체에 치우침없이 뿌려진다.
또 탄산액이 용기의 내벽면에 직접 충돌하는 일은 없어, 탄산수에 포함되는 탄산 가스가 빠져나가기 어렵다.
이 원리를 이용할 수 있는 한 가스를 포함하는 액의 토출 장치 등에도 널리 이용이 가능하다.
1…원료액 노즐
1A…노즐 구부
11…원료액 조작 레버
12…원료액 주출 유로
13…제1 밸브체
13A…밸브체
14…원료액 공급 유로
14A…원료액 공급 유로
15…제2 밸브체
16…캠 봉
16A…굵은 직경부
16B…가는 직경부
2…탄산액 노즐
2A…개구면
21…탄산액 조작 레버
22…탄산액 주출 유로
23…제3 밸브체
3…받이부
31…그레이팅부
4…가이드부
41…오목부
42…볼록부
5…원료액 추가용 노즐
6…용기
7…얼음조각
A…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A1…카트리지 저류기
A1a…커버체
H…구멍
T…원료액 탱크
X…탄산음료 서버 장치

Claims (9)

  1. 원료액을 주출하는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을 주출하는 탄산액 노즐과, 용기를 재치하는 받이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용기에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 노즐로부터 각각 원료액과 탄산액을 토출할 수 있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로서, 원료액 노즐이 용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탄산액 노즐의 노즐 구멍은 용기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탄산액의 토출 방향이 내벽면의 수평 접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져서 토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원료액 노즐이 원료액을 다방향으로 토출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2. 원료액을 주출하는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을 주출하는 탄산액 노즐과, 용기를 재치하는 받이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용기에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 노즐로부터 각각 원료액과 탄산액을 토출할 수 있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로서, 원료액 노즐이 용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탄산액 노즐의 노즐 구멍은 용기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탄산액의 토출 방향이 내벽면의 수평 접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져서 토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부는 용기의 상부 측면 형상을 따른 커브를 가지는 오목부와, 용기의 상단부의 일부에 덮이는 볼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3. 원료액을 주출하는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을 주출하는 탄산액 노즐과, 용기를 재치하는 받이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용기에 원료액 노즐과 탄산액 노즐로부터 각각 원료액과 탄산액을 토출할 수 있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로서, 원료액 노즐이 용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탄산액 노즐의 노즐 구멍은 용기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탄산액의 토출 방향이 내벽면의 수평 접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경사져서 토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원료액을 일시적으로 일정량만큼 저장하는 카트리지 저류기를 구비하고, 이 카트리지 저류기는 원료액 공급 유로를 통하여 원료액 탱크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 카트리지 저류기는 원료액 주출 유로를 통하여 원료액 노즐에 연결되어 있고, 카트리지 저류기의 원료액을 일정량만큼 원료액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것이고,
    원료액 공급 유로에 제1 밸브체가 설치되고, 또한 원료액 주출 유로에는 제2 밸브체가 설치되고, 양 밸브체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공통의 캠 봉이 설치되어 있고,
    캠 봉은 제1 밸브체와 제2 밸브체에 수직으로 맞닿아 있고, 캠 봉의 움직임에 의해 제1 밸브체와 제2 밸브체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원료액 노즐이 원료액을 다방향으로 토출하는 복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용기의 상부 측면 형상을 따른 커브를 가지는 오목부와, 용기의 상단부의 일부에 덮이는 볼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료액을 일시적으로 일정량만큼 저장하는 카트리지 저류기를 구비하고, 이 카트리지 저류기는 원료액 공급 유로를 통하여 원료액 탱크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 카트리지 저류기는 원료액 주출 유로를 통하여 원료액 노즐에 연결되어 있고, 카트리지 저류기의 원료액을 일정량만큼 원료액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도 θ가 10도~7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캠 봉의 순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제2 밸브체가 닫히고 나서 제1 밸브체가 열리고, 또 캠 봉의 역방향의 움직임에 의해 제1 밸브체가 닫히고 나서 제2 밸브체가 열리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산용 원료액을 추가하기 위한 원료액 추가용 노즐을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KR1020167036272A 2014-07-23 2015-06-19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KR102363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0250 2014-07-23
JPJP-P-2014-150250 2014-07-23
PCT/JP2015/003094 WO2016013151A1 (ja) 2014-07-23 2015-06-19 高炭酸飲料の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766A KR20170038766A (ko) 2017-04-07
KR102363517B1 true KR102363517B1 (ko) 2022-02-16

Family

ID=5516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272A KR102363517B1 (ko) 2014-07-23 2015-06-19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95994B2 (ko)
KR (1) KR102363517B1 (ko)
CN (1) CN106660772B (ko)
WO (1) WO2016013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0502A (zh) * 2019-03-18 2020-09-25 富士电机株式会社 饮料供给装置
KR102222670B1 (ko) 2020-07-23 2021-03-04 김태헌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299A (ja) * 1999-10-06 2001-04-17 Sanden Corp 炭酸飲料供給装置
JP3179224B2 (ja) * 1992-12-11 2001-06-25 株式会社リコー エージ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5781U (ko) * 1980-03-26 1981-11-04
JPH0330320Y2 (ko) * 1986-02-20 1991-06-26
JPH02108900U (ko) * 1989-02-13 1990-08-29
JP3939011B2 (ja) * 1998-03-30 2007-06-27 三洋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JP3656416B2 (ja) * 1998-07-10 2005-06-08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の飲料供給ノズル
JP2001171796A (ja) 1999-12-14 2001-06-26 Fuj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3137396A (ja) * 2001-11-07 2003-05-14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JP2003160196A (ja) * 2001-11-22 2003-06-03 Sanyo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EP1448472B1 (en) * 2001-11-30 2006-11-29 Labatt Brewing Company Limi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device
DK1611944T3 (da) * 2003-03-28 2009-11-16 Suntory Holdings Ltd Opbevaringsudstyr med en afgangsmekanisme til fast stof
JP2007045496A (ja) * 2005-08-12 2007-02-22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供給装置
JP5617351B2 (ja) * 2010-05-28 2014-11-05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JP5659719B2 (ja) * 2010-11-12 2015-01-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化ガス添加用ノズル
US8485503B2 (en) * 2011-04-14 2013-07-16 Skip A. Lei Multi stream wine aerating device
US9139413B2 (en) * 2012-04-03 2015-09-22 David J. Fedewa Foam reducing container
JP3179224U (ja) * 2012-08-09 2012-10-18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224B2 (ja) * 1992-12-11 2001-06-25 株式会社リコー エージング装置
JP2001106299A (ja) * 1999-10-06 2001-04-17 Sanden Corp 炭酸飲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3151A1 (ja) 2016-01-28
JPWO2016013151A1 (ja) 2017-04-27
CN106660772B (zh) 2019-05-14
CN106660772A (zh) 2017-05-10
JP6595994B2 (ja) 2019-10-23
KR20170038766A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6168B2 (ja) 可変炭酸化の性能を伴う飲料ディスペンサ
US9284179B2 (en) Liquid and or ice dispensing system
KR102363517B1 (ko)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GB2322691A (en) Beverage dispenser
US20130014857A1 (en) Injecting Device and Method of Filling a Holder with Separated Liquid Layers
RU201315807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азир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аз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WO2017080097A1 (zh) 打奶泡方法、冲泡咖啡方法及用于该方法的饮料机
JP6595995B2 (ja) 高炭酸飲料の供給方法
JP2014023979A (ja) 炭酸水製造装置
JP5980375B2 (ja) 液体注出装置、開閉弁、及び遮断部材
JP7307626B2 (ja) 飲料自動注出装置
JP6511335B2 (ja) 発泡性飲料自動注出装置
CN104709866B (zh) 饮料提供机
JP4859757B2 (ja) 発泡性飲料サーバー
JP6556027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7062769A (ja) 飲料供給装置
JP6431306B2 (ja) 発泡性飲料自動注出装置
JP2019209988A (ja) 液体注出装置
JP2016078858A (ja) 泡コック
JPH02152692A (ja) ビールの定量抽出装置
JP2021031090A (ja) 炭酸飲料用注出ノズル
JP2006016048A (ja) 飲料注出バルブ
JP2022141417A (ja) 飲料サーバー
KR20170085350A (ko) 생맥주 인출밸브
JP2017193365A (ja) 炭酸飲料の注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