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670B1 -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670B1
KR102222670B1 KR1020200091507A KR20200091507A KR102222670B1 KR 102222670 B1 KR102222670 B1 KR 102222670B1 KR 1020200091507 A KR1020200091507 A KR 1020200091507A KR 20200091507 A KR20200091507 A KR 20200091507A KR 102222670 B1 KR102222670 B1 KR 102222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or
cool
water
supplie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헌
Original Assignee
김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헌 filed Critical 김태헌
Priority to KR1020200091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1Carbonators with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8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vessels to be filled, e.g. using ultrasonic waves, optical reflexion,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가스의 볼륨 저하를 최소화하는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정수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와 음료 원액이 저장된 케그에서 공급되는 음료 원액을 냉각하고, 탄산가스 봄베에서 공급되는 탄산가스를 냉각된 정수에 취입하여 탄산수를 만드는 쿨 카보네이터, 쿨 카보네이터로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설정 및 조절하는 제1압력 레귤레이트, 쿨 카보네이터로 공급되는 음료 원액의 압력을 설정 및 조절하는 제2압력 레귤레이트, 제1공급관을 통해 쿨 카보네이터에서 공급되는 탄산수와 제2공급관을 통해 쿨 카보네이터에서 공급되는 음료 원액을 혼합하여 토출하는 디스펜싱 탭, 제2공급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음료 원액의 공급량과 퍼짐을 조절하는 플로우 레귤레이트, 카운터 위에 고정 설치되는 타워, 타워 내부의 제1 및 제2공급관을 통과하여 디스펜싱 탭으로 토출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쿨 카보네이터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로 냉각시킨 후 다시 쿨 카보네이터로 순환시키는 리셔클레이션을 포함하는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HIGHBALL MANUFACTURING AND DISPENSING SYSTEM}
본 발명은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가스의 볼륨 저하를 최소화하고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토출 시까지 저온을 유지하는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위스키나 브랜디, 소주 등에 탄산수나 다른 음료를 타고 얼음을 넣어 만드는 하이볼(highball)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이 음식점이나 주점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볼 제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위스키나 브랜디 등 음료 원액이 저장된 보틀(101)과, 음료 원액을 압송하는 송액펌프(102)와, 압력조정밸브(103)가 부속된 탄산가스 봄베(104)와, 비교적 높은 압력의 탄산가스를 물에 용해시켜서 탄산수를 생성하고, 이를 가압하여 저장하는 카보네이션 탱크(105)와, 카보네이션 탱크(105)를 냉각하는 냉각수조(106)와, 정수필터(107)로 여과된 수돗물을 카보네이션 탱크(105)로 공급하는 고압펌프(108)와, 카보네이션 탱크(105)에서 공급되는 탄산수와 보틀(101)에서 공급되는 음료 원액을 혼합하여 유리잔 등의 용기에 토출하는 코크(10) 및 냉매압축기(109)를 갖춘 쿨링 유닛(1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하이볼 제조 시스템은 카보네이션 탱크(105) 내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탄산수가 코크(10)로 압송되고, 송액펌프(102)에 의하여 음료 원액이 코크(10)로 압송되며, 이때 탄산수와 음료 원액의 혼합 비율은 송액펌프(102)의 토출 압력으로 조정한다.
특히 탄산수의 탄산가스 볼륨(CO2 volume)은 카보네이션 탱크(105)에 작용하는 탄산가스 압력에 따라 증감하는데, 카보네이션 탱크(105)에서 가장 높고, 코크(10)를 통과할 때에 저하되어 유리잔 등의 용기 내에서 가장 낮다.
그런데 카보네이션 탱크(105)에 가해지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것은 탄산가스의 소비량을 줄이는 동시에 카보네이션 탱크(105)의 설비 비용의 저감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유리잔 등의 용기에 토출되는 음료의 탄산가스 볼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카보네이션 탱크(105)에 가하여지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안정화하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나아가 음료 원액으로 위스키를 사용할 경우 위스키 내에 고급지방산 등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이를 저온의 탄산수로 희석 시 용해도 감소로 응고되어 침전되거나 뿌옇게 보이는 헤이즈 현상을 유발하여 색감이 좋지 못한 데다 청량감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는 레스토랑 등에서 탄산수와 복수 종류의 음료 원액을 혼합하여 발포성의 청량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핸드 드래프트형 음료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코크를 통해 토출되면서 혼합되는 구조적 특성상 탄산수가 토출 과정에서 용기 내의 얼음이나 용기의 내벽면에 충돌하는 경우 탄산수에서 탄산가스가 분리되어 빠져나가고, 이로 인해 탄산가스가 음료에 용해되는 양이 적을 수밖에 없어 짜릿하고 강렬한 맛을 선호하는 젊은층 소비 트렌드 등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양질의 음료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탄산수가 탄산가스의 압력에 의해 물과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방식이므로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탄산가스 볼륨이 낮아져 일정한 품질의 탄산수 공급에 한계가 있다.
이를테면, 탄산수가 만들어지는 카보네이터 내부에는 물과 함께 공기도 존재하므로, 그 공기의 양만큼 탄산가스의 분압이 낮아 높은 레벨의 탄산수를 제조하기 어려워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JP 특개2009-057053 A(2009.3.19) KR 10-2017-0038766 A(2017.04.07) KR 10-2016-0092515 A(2016.08.04) KR 10-1608872 B1(2016.03.29) KR 10-1608016 B1(2016.03.25) KR 10-1274072 B1(2013.06.0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하이볼 제조 관련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탄산가스의 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배관 등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하고, 탄산가스의 용해도를 높이고 볼륨 저하를 최소화하며, 아울러 음료 원액의 고유한 맛과 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시원함은 물론 깔끔함과 청량감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탄산가스의 볼륨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토출 시까지 저온을 유지하여 깔끔함과 청량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구조적 안정성과 장식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고압의 탄산가스가 저장된 탄산가스 봄베, 급수관을 통해 공급받는 원수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정수필터, 음료 원액이 저장된 케그, 상기 정수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와 상기 케그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원액을 쿨링 유닛의 파이프로 순환시켜 냉각하고, 상기 봄베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를 냉각된 정수에 취입하여 탄산수를 생성하고 송출하는 쿨 카보네이터, 상기 봄베에 장치되고,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설정 및 조절하는 제1압력 레귤레이트, 상기 케그 내의 음료 원액을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봄베에 장치되고,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공급되는 음료 원액의 압력을 설정 및 조절하는 제2압력 레귤레이트, 상기 쿨 카보네이터와 제1 및 제2공급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공급관을 통해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부터 공급되는 탄산수와 상기 제2공급관을 통해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원액을 혼합하여 토출하는 디스펜싱 탭, 상기 제2공급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음료 원액의 공급량과 퍼짐을 조절하는 플로우 레귤레이트, 상기 디스펜싱 탭이 장치되고, 카운터 위에 고정 설치되는 타워, 상기 쿨 카보네이터와 상기 타워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장치되고, 상기 타워 내부의 상기 제1 및 제2공급관을 통과하여 상기 디스펜싱 탭으로 토출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로 냉각시킨 후 다시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순환시키는 리셔클레이션; 및 상기 쿨 카보네이터에서 상기 타워까지 상기 제1 및 제2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의 온도를 보온하는 인슐레이션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탄산가스의 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배관 등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하고, 탄산가스의 용해도를 높여 볼륨 저하를 최소화하며, 아울러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토출 시까지 저온을 유지하여 시원함은 물론 깔끔함과 청량감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상기 제2압력 레귤레이트와 상기 케그를 연결하여 상기 봄베에서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상기 케그에 전달하는 가압관, 상기 케그 내의 음료 원액을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압송하는 이송관, 상기 가압관 및 상기 이송관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그의 헤드에 장착된 어댑터, 상기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급수관과 상기 정수필터 사이에 장착된 체크밸브 및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공급되는 정수를 살균하기 위해 상기 정수필터와 상기 쿨 카보네이터 사이에 장착된 UVC 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봄베에서 상기 가압관을 통해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상기 케그 내의 음료 원액을 취출하고, 상기 이송관을 통해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원활하게 압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으로 상기 쿨 카보네이터는, 상기 봄베에서 공급되는 탄산가스와 쿨링 유닛에 의해 냉각된 정수를 취입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카보네이터, 상기 카보네이터에 공급되는 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카보네이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밸브, 상기 카보네이터에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냉각된 정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 및 상기 수위센서에서 측정한 값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카보네이터에 가해지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안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레벨의 탄산수를 단시간에 제조하여 음용 시 청량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으로 상기 디스펜싱 탭은, 상기 제1공급관을 통해 상기 쿨 카보네이터에서 공급되는 탄산수와, 상기 제2공급관을 통해 상기 쿨 카보네이터에서 공급되는 음료 원액의 토출량을 동시에 조절하는 조절밸브 및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에 따라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뿜어 내는 토출구에 내장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정역방향으로 이동을 반복시켜 나르면서 혼합하는 스테틱 믹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유리잔 등의 용기에 토출 시 탄산가스의 볼륨 저하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탄산가스의 압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배관 등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탄산가스의 용해도를 높여 볼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토출 시까지 저온을 유지하여 시원함을 배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 원액의 고유한 맛과 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깔끔함과 청량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이볼 제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구성하는 쿨 카보네이터의 국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구성하는 쿨 카보네이터의 국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펜싱 탭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펜싱 탭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은 직수형 방식으로 원수와 탄산가스가 유입됨과 동시에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탄산수를 위스키나 브랜디, 소주 등의 음료 원액에 일정량 넣어 알코올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봄베(10), 정수필터(20), 케그(30), 쿨 카보네이터(40), 제1압력 레귤레이트(50), 제2압력 레귤레이트(60), 디스펜싱 탭(70), 플로우 레귤레이트(80), 타워(90), 리셔클레이션(100), 인슐레이션(110), 체크밸브(120) 및 UVC 램프(130)를 포함하고 있다.
봄베(10)는 고압의 탄산가스가 일정량 저장되어 있고, 케그(30)와 쿨 카보네이터(40)에 일정한 압력의 탄산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제1 및 제2압력 레귤레이트(50)(60)를 통해 케그(30) 및 쿨 카보네이터(40)와 각기 연결되어 있다.
정수필터(20)는 상수도 등 기설의 급수 장치에서 도수하기 위한 급수관(21)을 통해 공급받는 원수를 통과시켜 여과하며, 체크밸브(120)와 쿨 카보네이터(40) 사이의 급수관(21) 도중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정수필터(20)로는 이미와 이취, 미생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활성탄 필터, 이온교환필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케그(30)는 음료 원액이 일정량 저장되어 있고, 봄베(10)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쿨 카보네이터(40)에 일정량의 음료 원액을 공급하기 위해 제2압력 레귤레이트(60)와 가압관(32)으로 연결되어 있고, 쿨 카보네이터(40)와 이송관(33)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케그(30)의 헤드 부분에는 음료 원액을 소진 시 새로운 케그로 교체를 위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아울러 가압관(32)과 이송관(33)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3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봄베(10)로부터 가압관(32)을 통해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케그(30) 내의 음료 원액을 취출하여 이송관(33)을 통해 쿨 카보네이터(40)로 압송한다.
즉, 케그(30) 내의 탄산가스 압력은 음료 원액의 흐름을 제어한다.
여기서 케그(30)는 내통과 외통 사이에 고압의 유체가 유입되면 음료 원액을 저장하는 내통이 수축되면서 음료 원액이 마개 역할을 하는 헤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이중 용기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음료 원액을 담을 수 있는 병 등의 용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케그(30)의 헤드는 그 중앙 부분에 음료 원액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음료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내통과 외통 사이에 탄산가스 등 고압의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송관(33)의 도중에는 쿨 카보네이터(40) 내의 탄산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역지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역지밸브는 케그(30) 내부의 탄산가스 잔존량이 감소하여 그 내부압력이 카보네이터(41)의 내부압력보다 떨어지는 경우 음료 원액이 케그(3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쿨 카보네이터(40)는 정수필터(20)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와 케그(30)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원액을 쿨링 유닛(47)의 파이프로 순환시켜 냉각하고, 봄베(10)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를 냉각된 정수에 취입하여 탄산수를 생성한 후 디스펜싱 탭(70)으로 송출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쿨 카보네이터(40)는 봄베(10)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와 쿨링 유닛(47)에 의해 냉각된 정수를 취입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카보네이터(41), 카보네이터(41)에 공급되는 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42), 카보네이터(4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밸브(43), 카보네이터(41)에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냉각된 정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44) 및 수위센서(42)에서 측정한 값에 따라 급수펌프(44)의 작동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 유닛(45)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카보네이터(41) 내의 탄산가스는 약 8 bar의 압력으로 유지되고, 정수는 저온을 유지하여 탄산가스의 함량이 높은 탄산수를 생성한다.
또한, 카보네이터(41) 내의 탄산가스 압력은 정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카보네이터(41) 내의 탄산가스 압력을 조절하고 쿨링 유닛(47)의 냉각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알코올음료의 혼합비율과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쿨링 유닛(47)은 쿨 카보네이터(40) 내로 공급된 정수, 음료 원액 및 탄산수 각각의 관로를 냉각하고, 열교환을 위한 표면적을 증대시켜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해 코일 형태의 제1 및 제2순환로(47a)(47d), 인슐레이팅 탱크(47b), 증발기(47c) 등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쿨링 유닛(47)은 탄산가스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정수를 0℃에 가깝게 1차 냉각하여 냉수 상태로 카보네이터(41)로 공급한다.
즉, 인슐레이팅 탱크(47b) 내에 잠긴 증발기(47c)와 제1 및 제2순환로(47a)(47d) 사이의 열교환 작용으로 인슐레이팅 탱크(47b) 안에 담긴 냉각수를 냉각하며, 또 써모스탯(48)으로 냉각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한다.
여기서 써모스탯(48)은 증발기(47c)의 온도가 0℃ 이하일 경우 형성되는 빙벽(ice bank)의 두께 등을 검출하기 위해 제1순환로(47a)와 증발기(47c) 사이의 벽면에 브래킷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모세관 형태의 튜브(48a)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음료 원액이 통과하는 제1순환로(47a)와, 정수 및 탄산수가 지나가는 제2순환로(47d)는 인슐레이팅 탱크(47b) 안에서 냉각수에 잠겨 있다.
아울러 인슐레이팅 탱크(47b) 내의 냉각수는 순환펌프(46)의 흡인 및 가압 작용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리셔클레이션(100) 내에 순환되고, 이를 통해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디스펜싱 탭(70)으로부터 토출될 때 차가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콘덴서(47e)는 컴프레셔(47f)에서 발생하는 열을 분산시키고, 이를 배출하기 위해 냉각팬(47g)이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카보네이터(41)는 탄산가스의 미립화를 촉진시킴과 동시에 정수의 압력을 높여 공동현상을 일으키고, 이 공동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기공 속에 미세 기포 형태의 탄산가스를 4.0 ㎏/㎠ 이상의 압력으로 취입한다.
그리고 쿨링 유닛(47)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는 순환펌프(46)에 의해 흡인 및 가압되어 타워(90)으로 압송된다.
여기서 수위센서(42)로는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하는 부유체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레벨센서, 광센서, 탐침 방식의 프로브 센서 등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쿨 카보네이터(40)는 각종 온도센서(써미스터, 열전대, 백금저항선 등),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전기적으로 접점의 개폐하여 쿨링 유닛(47)을 구성하는 컴프레셔 등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써모스탯(48)과, 이로부터 얻은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쿨 카보네이터(40)는 카보네이터(41)에 미리 정해진 양만큼의 정수 또는 탄산수가 저장되면 체크밸브(120)를 폐쇄하게 작동시켜 급수관(21)을 통해 쿨 카보네이터(40) 내부로 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탄산수의 생성을 중지하며, 사용자가 탄산수를 사용하여 카보네이터(41)에 저장된 탄산수의 양이 설정량보다 적으면 체크밸브(120)를 개방하게 작동시켜 급수관(21)을 통해 쿨 카보네이터(40) 내부로 정수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냉각된 상태의 탄산수를 제조하여 저장량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탄산수와 음료 원액의 혼합 비율은 제1 및 제2압력 레귤레이트의 설정 압력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카보네이터(41)는 봄베(10)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와 쿨링 유닛(47)에 의해 냉각된 정수를 취입하여 생성된 탄산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하기 위해 압력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카보네이터(4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밸브(43)는 외부와 통하는 별도의 배기관에 연결될 수 있고, 카보네이터(41)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그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릴리프밸브는 제1압력 레귤레이트(50)의 고장시 카보네이터(41) 내부에 이상고압이 발생하는 경우 개방되어 그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이상고압을 해소하게 된다.
한편, 쿨 카보네이터(40)에는 봄베(10)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범위 내에 있는지 혹은 설정된 압력 이상이거나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 유닛(45)으로 전송하는 압력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압력 레귤레이트(50)는 봄베(10)로부터 쿨 카보네이터(40)로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설정 및 조절하기 위해 봄베(10)에 부속 장치되어 있다.
즉, 제1압력 레귤레이트(50)는 탄산가스 볼륨이 3.5 이상인 알코올음료가 만들어지도록 탄산가스의 압력을 설정 및 조절한다.
제2압력 레귤레이트(60)는 케그(30) 내의 음료 원액을 쿨 카보네이터(40)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봄베(10)에 부속 장치되어 있다.
즉, 제2압력 레귤레이트(60)는 쿨 카보네이터(40)로 공급되는 음료 원액의 압력을 설정 및 조절한다.
예를 들면, 제2압력 레귤레이트(60)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음료 원액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디스펜싱 탭(70)은 제1공급관(71)을 통해 쿨 카보네이터(40)로부터 공급되는 탄산수와 제2공급관(72)을 통해 쿨 카보네이터(40)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원액을 동시에 혼합하여 수동 조작으로 토출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즉, 디스펜싱 탭(70)은 쿨 카보네이터(40)의 순환펌프(46)와 제1 및 제2공급관(71)(72)으로 각각 연결된 채로 타워(90)의 상부에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펜싱 탭(70)은 제1공급관(71)을 통해 쿨 카보네이터(40)로부터 공급되는 탄산수와, 제2공급관(72)을 통해 쿨 카보네이터(40)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원액의 토출량을 동시에 수동으로 조절하는 조절밸브(71)가 구비되어 있고, 조절밸브(71)의 개폐에 따라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뿜어 내는 토출구(74)에는 토출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정역방향으로 이동을 반복시켜 나르면서 혼합하는 스테틱 믹서(75)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조절밸브(71)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의 토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하기 위해 조작용 레버가 그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절밸브(71)로는 유체의 유량이나 압력 등을 차단 제어하는 통상의 스톱 밸브, 로터리 밸브, 콕 밸브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스테틱 믹서(75)로는 비틀린 방향이 좌우로 구분되어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정역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유도 및 안내하는 스테틱 믹서(Static mixer) 구조를 채용하고, 이를 적어도 2개 이상 수직으로 연결하여 배치함으로써 혼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제1공급관(71)의 도중에는 공지의 오리피스(orifice) 형태의 가압부를 구비하여 쿨 카보네이터(40)로부터 배출되는 탄산수가 이동 중 유로의 단면적 변화를 통해 가압되면서 재차 혼합 작용을 일으킨 상태로 디스펜싱 탭(70)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탄산수의 볼륨을 높여줄 수 있다.
플로우 레귤레이트(80)는 쿨 카보네이터(40)로부터 디스펜싱 탭(70)으로 압송되는 음료 원액의 공급량과 퍼짐을 조절하기 위해 제2공급관(72)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즉, 플로우 레귤레이트(80)는 음료 원액의 유량 변화에 의한 압력차를 도입하고 그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 및 감압하여 음료 원액의 공급량과 퍼짐을 조절함으로써 탄산수와의 혼합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로우 레귤레이트(80)는 알코올음료의 농도를 원하는 범위로 얻기 위해서 음료 원액의 흐름 속도가 탄산수의 흐름 속도보다 약 5배 이상 느리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플로우 레귤레이트(80)는 면적 변화에 의해 유량을 증감하는 유량 조절밸브나 유량을 조리개로 조절하는 구조, 면적을 감소한 통로에서 그 길이가 단면 치수에 비해 비교적 긴 흐름으로 음료 원액의 퍼짐을 조절하는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타워(90)는 음식점이나 주점 등의 카운터(C) 위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디스펜싱 탭(70)이 장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쿨 카보네이터(40)의 순환펌프(46)와 디스펜싱 탭(70)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공급관(71)(72)의 일부분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타워(90)는 디스펜싱 탭(70)의 토출구(74)를 통해 떨어지거나 유리잔 등의 용기로부터 넘쳐흐르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카운터(C) 등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한 드립 트레이(91)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타워(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탭(70)을 장착하기 위한 본체(92), 본체(92)의 전면 개구부를 커버하여 본체(92)의 내부를 격리하는 절연벽(95), 절연벽(95)의 전면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 시 발광하는 칩이 다수 실장된 LED 보드(94), LED 보드(94)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체 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도광커버(93), LED 보드(94)와 도광커버(93)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시키면서 LED 보드(94)에서 방출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 집광하는 반사성 리플렉터(96), 카운터(C)에 하부가 삽입 고정되는 마운트(97) 및 마운트(97)에 의해 카운터(C) 위에 고정되고 본체(92) 내지 도광커버(93) 하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플린스(98) 등을 포함하고 있다.
즉, 타워(90)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함으로써 독특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여 장식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운터(C) 위에 설치 시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리셔클레이션(100)은 타워(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공급관(71)(72)을 통과하여 디스펜싱 탭(70)으로 토출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쿨 카보네이터(40) 내의 일부 냉각수를 끌어와 냉각시키기 위해 쿨 카보네이터(40)와 타워(90)의 내부로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배관되어 있다.
즉, 리셔클레이션(100)은 급수펌프(44)에 의해 쿨 카보네이터(4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로 타워(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공급관(71)(72)을 통과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2차로 냉각시킨 후, 다시 쿨 카보네이터(40)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공급관(71)(72)과 직접 접촉적으로 열을 주고 받는 형태 또는 제1 및 제2공급관(71)(72)의 주위를 나선형으로 둘러싸듯이 감은 간접 냉각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슐레이션(110)은 쿨 카보네이터(40)에서 타워(90)까지 제1 및 제2공급관(71)(72)을 통해 공급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의 지속적인 냉각을 위해 보온재로 제1 및 제2공급관(71)(72)과 리셔클레이션(100)을 감싸 온도를 보온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즉, 인슐레이션(110)은 제1 및 제2공급관(71)(72)을 통해 압송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외기에 노출되지 않고 일정한 냉각 온도를 유지하도록 보호한다.
체크밸브(120)는 정수필터(20)에서 여과된 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수관(21)과 정수필터(2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체크밸브(120)는 컨트롤 유닛(45)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도록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채용할 수 있다.
UVC 램프(130)는 쿨 카보네이터(40)로 공급되는 정수를 살균하기 위해 정수필터(20)와 쿨 카보네이터(40) 사이의 급수관(21) 도중에 장착되어 있다.
즉, UVC 램프(130)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가진 살균 기능을 활용해 원수 또는 정수 속의 세균 증식을 억제 및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은 제1공급관(71)을 통과한 탄산수와 제2공급관(72)을 통과한 음료 원액이 스테틱 믹서(75)에 의해 급격한 충격이나 변화없이 자연스럽게 혼합되면서 토출구(74)를 토출되기 때문에 탄산가스의 분리 없이 일정한 수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관 등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쿨 카보네이터(40)에 탄산가스의 미립화를 촉진하여 원수에 대한 탄산가스의 용해도를 높여줌으로써 볼륨 저하를 최소화하여 높은 탄산가스 레벨을 갖는 양질의 탄산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케그(30)의 내부를 봄베(10)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로 가압하여 케그(30)에 저장된 음료 원액을 쿨 카보네이터(40)로 공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른 기체가 섞이지 않는 데다 정수 속의 공기를 제거한 후 탄산수를 생성함으로써 음료 원액의 고유한 맛과 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깔끔함과 청량감을 극대화하는 양질의 알코올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리셔클레이션(100)이 쿨 카보네이터(4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로 타워(9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공급관(71)(72)을 통과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2차로 냉각시킴으로써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제1 및 제2공급관(71)(72)에 잔류하는 중에도 차가운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디스펜싱 탭(70)의 토출구(74)를 통하여 배출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이 항시 차갑고 신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봄베 20: 정수필터
21: 급수관 30: 케그
31: 어댑터 32: 가압관
33: 이송관 40: 쿨 카보네이터
41: 카보네이터 42: 수위센서
43: 배기밸브 44: 급수펌프
45: 컨트롤 유닛 46: 순환펌프
47: 쿨링 유닛 50: 제1압력 레귤레이트
60: 제2압력 레귤레이트 70: 디스펜싱 탭
71: 제1공급관 72: 제2공급관
73: 조절밸브 74: 토출구
75: 스테틱 믹서 80: 플로우 레귤레이트
90: 타워 100: 리셔클레이션
110: 인슐레이션 120: 체크밸브
130: UVC 램프

Claims (4)

  1. 고압의 탄산가스가 저장된 봄베;
    급수관을 통해 공급받는 원수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정수필터;
    음료 원액이 저장된 케그;
    상기 정수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정수와 상기 케그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원액을 쿨링 유닛의 파이프로 순환시켜 냉각하고, 상기 봄베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를 냉각된 정수에 취입하여 탄산수를 생성하고 송출하는 쿨 카보네이터;
    상기 봄베에 장치되고,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설정 및 조절하는 제1압력 레귤레이트;
    상기 케그 내의 음료 원액을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봄베에 장치되고,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공급되는 음료 원액의 압력을 설정 및 조절하는 제2압력 레귤레이트;
    상기 쿨 카보네이터와 제1 및 제2공급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공급관을 통해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부터 공급되는 탄산수와 상기 제2공급관을 통해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원액을 혼합하여 토출하는 디스펜싱 탭;
    상기 제2공급관의 도중에 설치되고, 음료 원액의 공급량과 퍼짐을 조절하는 플로우 레귤레이트;
    상기 디스펜싱 탭이 장치되고, 카운터 위에 고정 설치되는 타워;
    상기 타워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및 제2공급관을 통과하여 상기 디스펜싱 탭으로 토출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로 냉각시킨 후 다시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강제 순환시키는 리셔클레이션;
    상기 쿨 카보네이터에서 상기 타워까지 상기 제1 및 제2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의 온도를 보온하는 인슐레이션;
    상기 제2압력 레귤레이트와 상기 케그를 연결하여 상기 봄베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을 상기 케그에 전달하는 가압관;
    상기 케그 내의 음료 원액을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압송하는 이송관;
    상기 가압관 및 상기 이송관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그의 헤드에 장착된 어댑터; 및
    상기 급수관과 상기 정수필터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정수필터의 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는, 상기 디스펜싱 탭을 장착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커버하여 그 내부를 격리하는 절연벽;
    상기 절연벽의 전면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 시 발광하는 칩이 다수 실장된 LED 보드;
    상기 LED 보드에서 발산되는 빛을 전체 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도광커버;
    상기 LED 보드와 상기 도광커버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시키고, 상기 LED 보드에서 방출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 집광하는 반사성 리플렉터;
    상기 카운터에 하부가 삽입 고정되는 마운트; 및
    상기 마운트에 의해 상기 카운터 위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도광커버를 지지하고 손상을 방지하는 플린스;
    를 더 포함하는,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공급되는 정수를 살균하기 위해 상기 정수필터와 상기 쿨 카보네이터 사이에 장착된 UVC 램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봄베로부터 가압관을 통해 공급되는 탄산가스의 압력으로 상기 케그 내의 음료 원액을 취출하고, 상기 이송관을 통해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 압송하는,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 카보네이터는,
    상기 봄베로부터 공급되는 탄산가스와 쿨링 유닛에 의해 냉각된 정수를 취입하여 탄산수를 생성하는 카보네이터;
    상기 카보네이터에 공급되는 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카보네이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밸브;
    상기 카보네이터에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냉각된 정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 및
    상기 수위센서에서 측정한 값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유닛;
    을 포함하는,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탭은,
    상기 제1공급관을 통해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부터 공급되는 탄산수와, 상기 제2공급관을 통해 상기 쿨 카보네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원액의 토출량을 동시에 조절하는 조절밸브; 및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에 따라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뿜어 내는 토출구에 내장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탄산수와 음료 원액을 정역방향으로 이동을 반복시켜 나르면서 혼합하는 스테틱 믹서;
    를 포함하는,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KR1020200091507A 2020-07-23 2020-07-23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KR102222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507A KR102222670B1 (ko) 2020-07-23 2020-07-23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507A KR102222670B1 (ko) 2020-07-23 2020-07-23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670B1 true KR102222670B1 (ko) 2021-03-04

Family

ID=7517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507A KR102222670B1 (ko) 2020-07-23 2020-07-23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4498A1 (de) * 2022-04-05 2023-10-12 Grohe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setzen einer flüssigkeit mit einem additiv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296A (ja) * 1992-05-01 1993-11-22 Marujin:Kk 飲料供給装置
KR20050089317A (ko) * 2004-03-04 2005-09-08 대한제당 주식회사 탄산주입기와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활수기
JP2009057053A (ja) 2007-08-29 2009-03-19 Nittoku:Kk ハンドドラフト型飲料液供給装置
JP2012012036A (ja) * 2010-06-29 2012-01-19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274072B1 (ko) 2011-09-27 2013-06-17 최승우 맥주 디스펜서 밸브용 밸브스템조립체
US20140305316A1 (en) * 2011-03-23 2014-10-16 Cornelius, Inc. Hot/Cold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KR101608016B1 (ko) 2015-01-27 2016-03-31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탄산음료 제조장치
KR101608872B1 (ko) 2015-01-16 2016-04-04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탄산음료 제조장치
KR20160092515A (ko) 2016-02-01 2016-08-04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탄산음료 제조장치
KR20170038766A (ko) 2014-07-23 2017-04-07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KR20170140679A (ko) * 2016-06-13 2017-12-21 전성권 탄산수 제조장치
KR20190038556A (ko) * 2016-07-26 2019-04-08 안헤우저-부시 인베브 에스.에이. 원료와 함께 탄산 음료 액체를 침출하기 위한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296A (ja) * 1992-05-01 1993-11-22 Marujin:Kk 飲料供給装置
KR20050089317A (ko) * 2004-03-04 2005-09-08 대한제당 주식회사 탄산주입기와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활수기
JP2009057053A (ja) 2007-08-29 2009-03-19 Nittoku:Kk ハンドドラフト型飲料液供給装置
JP2012012036A (ja) * 2010-06-29 2012-01-19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US20140305316A1 (en) * 2011-03-23 2014-10-16 Cornelius, Inc. Hot/Cold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KR101274072B1 (ko) 2011-09-27 2013-06-17 최승우 맥주 디스펜서 밸브용 밸브스템조립체
KR20170038766A (ko) 2014-07-23 2017-04-07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고탄산 음료의 공급 장치
KR101608872B1 (ko) 2015-01-16 2016-04-04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탄산음료 제조장치
KR101608016B1 (ko) 2015-01-27 2016-03-31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탄산음료 제조장치
KR20160092515A (ko) 2016-02-01 2016-08-04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탄산음료 제조장치
KR20170140679A (ko) * 2016-06-13 2017-12-21 전성권 탄산수 제조장치
KR20190038556A (ko) * 2016-07-26 2019-04-08 안헤우저-부시 인베브 에스.에이. 원료와 함께 탄산 음료 액체를 침출하기 위한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4498A1 (de) * 2022-04-05 2023-10-12 Grohe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setzen einer flüssigkeit mit einem additiv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8995A (en) Dispense of beverage containing controlled levels of dissolved gas
US4764315A (en) Water cooler and carbonator
US6110353A (en) Housing and method that provide extended resident time for dissolving generated oxygen into water
JP2023535208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BR112019011129A2 (pt) método para produção e dispensação de cerveja carbonatada a partir de concentrado de cerveja
US5413742A (en) Post-mix beverage apparatus including heat exchanger for non-carbonated water
EP0732142A2 (en) Control of dissolved gases in liquids
US20090261485A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for carbonated water
US9770694B2 (en) Mixing device carbonator appliance comprising a carbonator and method of producing a carbonated beverage
WO2002090241A1 (en) Arrangement for improved beverage dispenser carbonation
AU2002256450A1 (en) Arrangement for improved beverage dispenser carbonation
KR20010099698A (ko) 내장형 산소 발생기 및 산소 주입 시스템을 구비한 병입된물 냉수기
KR102222670B1 (ko)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BR112019011188A2 (pt) método para produção e dispensação de cerveja carbonatada a partir de concentrado de cerveja
US101606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one or more liquids from a liquid storage container
CN110234597A (zh) 由啤酒浓缩物生产和调配碳酸啤酒的方法
EP1698391B1 (en) Refrigerated core comprising carbonating system for drinks dispenser
US9381476B2 (en) Drink dispenser
EP3478626B1 (en) Device for pouring beer with a high carbon dioxide content
BR112019011192A2 (pt) método para produção e dispensação de cerveja carbonatada a partir de concentrado de cerveja
KR940002602B1 (ko) 음료수 냉각 공급용 장치와 방법
EP1496011A1 (en) Carbonated beverage dispenser with recirculation
JPS62106827A (ja) 後混合清涼飲料混合装置
BR112019011127A2 (pt) método para produção e dispensação de cerveja carbonatada a partir de concentrado de cerveja
JPS62294482A (ja) サニタリ−型脱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