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72B1 - 탄산음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탄산음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872B1
KR101608872B1 KR1020150007862A KR20150007862A KR101608872B1 KR 101608872 B1 KR101608872 B1 KR 101608872B1 KR 1020150007862 A KR1020150007862 A KR 1020150007862A KR 20150007862 A KR20150007862 A KR 20150007862A KR 101608872 B1 KR101608872 B1 KR 101608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arbonated
cooling
circulatio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헌
마틴 안톤 페르뮬렌
마틴 페르뮬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Priority to KR1020150007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872B1/ko
Priority to PCT/KR2015/012728 priority patent/WO201611448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3/0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가스 및 음료가 공급되는 용기 내에서 음료와 탄산가스를 혼합하면서 순환 유동시켜 다량의 탄산가스가 용해된 탄산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탄산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장치는, 탄산가스(CO2) 공급원 및 음료 공급원과 연결되는 유입구와, 탄산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음료제조용기와; 상기 음료제조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음료제조용기 내부의 음료를 흡입한 후 다시 배출시켜 음료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후단부가 상기 순환펌프의 출구부분에 연결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다가 다시 직경이 커지는 벤튜리노즐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펌프에서 배출되는 음료를 상기 벤튜리노즐(venturi nozzle)을 통해 음료제조용기의 내부로 배출하는 믹싱유닛과; 상단이 상기 음료제조용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믹싱유닛의 벤튜리노즐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음료제조용기 내부의 탄산가스를 상기 벤튜리노즐의 후방으로 공급하는 가스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산음료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ated Beverage}
본 발명은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또는 음료 등의 액체에 탄산가스를 용해시켜 탄산음료를 만들고, 탄산음료가 만들어지는 용기의 주위에 냉수를 공급하여 탄산음료를 냉각시킨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정이나 자동판매기, 매장 등의 협소한 장소에서 즉석에서 차가운 탄산음료를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탄산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생산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탄산음료도 있으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탄산음료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탄산음료 제조기도 알려져 있다. 통상적인 탄산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와, 이 용기에 탄산가스(CO2)를 주입하는 탄산가스 주입기를 구비하며, 이 용기에 음용수, 쥬스 등의 음료를 넣고 탄산가스 주입기로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탄산음료를 만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탄산가스가 주입되기 전에 용기에는 이미 음료와 함께 공기도 다량 채워져 있어 탄산가스를 용기에 주입한다고 하여도 음료에 용해되는 양이 적어 탄산가스가 다량 용해된 탄산음료를 만들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탄산음료 제조기들은 만들어진 탄산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탄산음료를 만들면서 음료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차가운 음료를 만들지는 못하기 때문에 만족도가 현저하게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74695호(2014.06.1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74526호(1998.11.0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99313호(1999.03.0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산가스 및 음료가 공급되는 용기 내에서 음료와 탄산가스를 혼합하면서 순환 유동시켜 다량의 탄산가스가 용해된 탄산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탄산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 내에서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동안 용기 외부에 냉각된 유체를 공급하여 용기 내의 탄산음료를 강제 냉각시켜 차가운 탄산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탄산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장치는, 탄산가스(CO2) 공급원 및 음료 공급원과 연결되는 유입구와, 탄산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음료제조용기와; 상기 음료제조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음료제조용기 내부의 음료를 흡입한 후 다시 배출시켜 음료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후단부가 상기 순환펌프의 출구부분에 연결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다가 다시 직경이 커지는 벤튜리노즐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펌프에서 배출되는 음료를 상기 벤튜리노즐(venturi nozzle)을 통해 음료제조용기의 내부로 배출하는 믹싱유닛과; 상단이 상기 음료제조용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믹싱유닛의 벤튜리노즐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음료제조용기 내부의 탄산가스를 상기 벤튜리노즐의 후방으로 공급하는 가스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탄산음료 제조장치는, 상기 음료제조용기가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음료제조용기의 탄산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유체가 채워지는 냉각케이스 및; 상기 냉각케이스 내에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유체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제조용기 내로 유입된 탄산가스가 순환펌프와 믹싱유닛, 벤튜리노즐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가스주입관으로 유입되어 음료에 용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음료제조용기 내로 주입된 다량의 탄산가스가 음료제조용기 내의 음료에 용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음료제조용기 내에서 음료가 제조되는 동안 냉각케이스 내부로 냉각유체가 채워지면서 음료제조용기 내의 탄산음료가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차가운 탄산음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케이스 내부의 차가워진 냉각유체를 음료제조용기로 공급하여 탄산음료를 제조할 경우, 차가운 탄산음료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탄산음료 제조장치 중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음료 제조장치는, 탄산음료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음료제조용기(10)와, 상기 음료제조용기(10) 내에 설치되어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순환펌프(20)와 믹싱유닛(30)과 가스주입관(40), 그리고 상기 음료제조용기(10) 내의 탄산음료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케이스(60)와 상기 냉각케이스(60) 내에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유체공급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료제조용기(10)는 상기 냉각케이스(60)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된다. 상기 음료제조용기(10)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며, 음료제조용기(10)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바아 형태로 된 복수개의 전열핀(13)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우수한 열전달 성능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음료제조용기(10)의 상부면에는 탄산가스(CO2) 공급원(미도시) 및 음료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되는 유입구(11)와, 음료제조용기(10) 내부에서 만들어진 탄산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11)는 공급호스(51)를 통해 외부의 탄산가스(CO2) 공급원(미도시) 및 음료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음료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음료는 물이나 주스 등의 일반 음료이다.
상기 순환펌프(20)는 음료제조용기(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료제조용기(10) 내부의 음료를 흡입한 후 다시 배출시켜 음료를 순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순환펌프(20)의 상부에는 음료가 우입되는 입구(21)와 음료가 배출되는 출구(22)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모터(23)가 설치되는데, 이 모터(23)에 음료가 유입되지 않도록 순환펌프(20)의 하부는 펌프마운트박스(25) 내에 밀폐되게 설치되고, 상부는 음료제조용기(10) 내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믹싱유닛(30)은 후단부가 상기 순환펌프(20)의 출구(22) 부분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측면부가 상기 가스주입관(40)의 하단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순환펌프(20)에서 배출된 음료와 가스주입관(40)을 통해 유입된 탄산가스(CO2)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믹싱유닛(30) 내로의 탄산가스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믹싱유닛(30) 내에는 벤튜리노즐(31)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주입관(40)은 믹싱유닛(30)의 벤튜리노즐(31)의 바로 후방부에 연결된다.
상기 벤튜리노즐(31)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다가 다시 직경이 커지는 형태를 갖도록 되어, 순환펌프(20)에서 배출된 음료가 벤튜리노즐(31)의 내부를 지나면서 유속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에 따라 압력이 급격히 저감되어(베르누이 정리) 가스주입관(40)을 통해 탄산가스가 자동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믹싱유닛(30)의 전방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믹싱유닛(30) 전방의 출구 부분과 상기 순환펌프(20)의 입구(21) 부분 사이에는 믹싱유닛(30)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탄산가스가 혼입된 음료가 순환펌프(20)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부(32)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격벽부(32)는 믹싱유닛(30)의 상부에 결합되는 판재 형태로 되어, 믹싱유닛(30)의 전방 출구 부분을 통해 배출되는 버블 형태의 음료가 곧바로 순환펌프(20)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산음료 용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가스주입관(40)은 상단이 음료제조용기(10)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믹싱유닛(30)의 벤튜리노즐(31) 바로 후방측에 연통되어, 음료제조용기(10) 내부의 탄산가스를 믹싱유닛(30)의 벤튜리노즐(31) 후방으로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음료제조용기(10) 내부와 외부에는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탄산음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52)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관(52)은 하단부가 상기 음료제조용기(10)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관(52) 중 음료제조용기(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출관(52)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배출펌프와 연결되어, 배출펌프(미도시)가 작동하게 되면 음료제조용기(10) 내부에 설치된 배출관(52)에서부터 탄산음료가 배출된다.
상기 냉각케이스(60)는 상기 음료제조용기(10)가 설치되는 하부 냉각케이스(60a)와, 상기 하부 냉각케이스(60a)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상부 냉각케이스(60b)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케이스(60)는 합성수지와 같이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케이스(60)에는 냉각유체공급유닛에 의해 냉각된 냉각유체(예를 들어 물)이 일정 수위로 채워진다.
상기 음료제조용기(10)는 냉각케이스(60)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냉각케이스(60)의 하단부에는 냉각유체공급유닛과 냉각케이스(60)를 연결하여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관이 연결되는 냉수유입구(67)가 구비된다. 따라서, 냉각유체공급유닛에서 냉각된 냉각유체는 냉각케이스(60)의 하단부에 형성된 냉수유입구(67)를 통해 공급된 후 음료제조용기(10)의 하부면과 측면의 전열핀(13)을 따라 상승하면서 음료제조용기(10)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냉수유입구(67)를 통해 유입된 냉각유체가 음료제조용기(10)의 하부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케이스(60)의 바닥면에는 상기 냉수유입구(67)와 연통된 십자형(+) 또는 방사형의 유체가이드채널(6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유체공급유닛은 냉매의 압축-액화(응축)-팽창-증발을 반복하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유체공급유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61)와, 상기 압축기(6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62)와, 상기 응축기(6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수단(63)과, 양단이 상기 팽창수단(63) 및 압축기(61)와 연결되어 상기 팽창수단(63)을 통과한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64)와, 상기 냉각케이스(60) 내의 냉각유체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유체펌프(65)와, 상기 유체펌프(65) 및 냉각케이스(60)에 연결되어 유체펌프(65)로부터 냉각유체를 공급받으며 상기 증발기(64)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64)의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66)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케이스(60) 내부에 저장된 냉각유체는 유체펌프(65)에 의해 열교환기(66)로 강제 이송된 후, 열교환기(66)와 증발기(64) 간의 열전달에 의해 냉각된 다음 냉각케이스(60)의 바닥면의 냉수유입구(67)를 통해 다시 냉각케이스(6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탄산음료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음료 공급원(미도시)의 제어밸브(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 음료가 공급호스(51)를 통해 공급된다. 상기 공급호스(51)를 통해 공급되는 음료는 유입구(11)를 통해 음료제조용기(10) 내로 배출되어 음료제조용기(10)에 채워지게 된다.
음료제조용기(10) 내에 음료가 설정된 수위만큼 채워지게 되면, 음료 공급원을 통한 음료의 공급이 중단되고, 탄산가스 공급원(미도시)의 제어밸브(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 공급호스(51)를 통해 탄산가스(CO2)가 공급된다.
상기 공급호스(51)를 통해 공급되는 탄산가스는 유입구(11)를 통해 음료제조용기(10) 내로 공급되어 음료제조용기(10)의 상부에 채워진다. 소정량의 탄산가스가 음료제조용기(10)의 상부 공간에 채워지면 탄산가스 공급원(미도시)의 제어밸브(미도시)가 폐쇄되면서 탄산가스의 공급이 중단된다.
이어서 순환펌프(20)가 작동하게 되면 음료제조용기(10) 내의 음료가 순환펌프(20) 내로 흡입된 후 순환펌프(20)의 출구(22)를 통해 믹싱유닛(30) 내부로 토출되고, 믹싱유닛(30)의 벤튜리노즐(31)을 지나면서 유속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이 때 베르누이정리에 따라 벤튜리노즐(31) 부분에서 급격한 압력 저하가 발생하게 되고, 음료제조용기(10) 상부의 탄산가스가 상기 가스주입관(40)의 상단부를 통해 가스주입관(4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가스주입관(40) 내로 유입된 탄산가스는 믹싱유닛(30)의 벤튜리노즐(31)의 후방으로 유입된 후 순환펌프(20)에 의해 토출되는 음료와 합쳐지면서 음료와 함께 믹싱유닛(30)의 전단부로 토출되어 음료 내에 용해된다.
이와 같이 순환펌프(20)가 작동하여 음료제조용기(10) 내의 음료가 순환되는 동안 믹싱유닛(30) 내에서는 벤튜리노즐(31)에 의해 압력 강하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음료제조용기(10) 상부에 채워져 있던 탄산가스가 가스주입관(40)을 통해 믹싱유닛(30)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된 후 음료와 함께 토출되어 음료 내에 용해되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음료제조용기(10) 내로 주입된 다량의 탄산가스는 대부분이 가스주입관(40)을 통해 믹싱유닛(30) 내로 유입된 후 음료에 용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음료제조용기(10) 내부에서 탄산가스가 음료에 용해되어 탄산음료가 제조되는 동안, 상기 냉각케이스(60) 내부에는 냉각유체공급유닛에 의해 냉각된 냉각유체가 바닥에서부터 공급된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유체펌프(65)에 의해 열교환기(66)로 공급된 냉각유체는 증발기(64)와 열교환하여 냉각된 다음, 열교환기(66)와 냉각케이스(60)를 연결하는 관을 통해 상기 냉각케이스(60)의 바닥면으로 토출되고, 유체가이드채널(68)의 안내를 받아 음료제조용기(10)의 바닥면과 측면의 전열핀(13)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하면서 음료제조용기(10) 내의 탄산음료와 열교환하여 탄산음료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음료제조용기(10)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면에는 복수의 전열핀(13)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유체가 음료제조용기(10)의 외면을 따라 유동할 때 넓은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열교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음료제조용기(10) 내에서 탄산음료가 완전히 만들어지면, 배출펌프(미도시)가 작동하여 배출관(52)을 통해 탄산음료가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음료 공급원으로부터 음료제조용기(10) 내에 음료가 공급되어 탄산음료가 만들어지고, 상기 냉각케이스(60) 내의 냉각유체는 음료제조용기(10) 내의 탄산음료를 냉각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하지만, 상기 냉각케이스(60) 내의 차가워진 냉각유체를 직접 음료제조용기(10) 내로 공급하게 되면, 외부의 물 또는 음료를 음료제조용기(10) 내로 공급하는 경우에 비하여 차가운 탄산음료를 제조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케이스(6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냉각케이스(60)의 냉각유체를 음료제조용기(10)의 유입구(11)를 통해 공급하는 별도의 펌프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음료제조용기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전열핀
20 : 순환펌프 21 : 입구
22 : 출구 30 : 믹싱유닛
31 : 벤튜리노즐 40 : 가스주입관
41 : 연결구 41a : 가스도입구
51 : 공급호스 52 : 배출관
60 : 냉각케이스 61 : 압축기
62 : 응축기 63 : 팽창수단
64 : 증발기 65 : 유체펌프
66 : 열교환기 67 : 냉수유입구

Claims (9)

  1. 탄산가스(CO2) 공급원 및 음료 공급원과 연결되는 유입구(11)와, 탄산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2)를 구비한 음료제조용기(10)와;
    상기 음료제조용기(10) 내부에 설치되어, 음료제조용기(10) 내부의 음료를 흡입한 후 다시 배출시켜 음료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0)와;
    후단부가 상기 순환펌프(20)의 출구부분에 연결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들다가 다시 직경이 커지는 벤튜리노즐(31)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펌프(20)에서 배출되는 음료를 상기 벤튜리노즐(31)(venturi nozzle)을 통해 음료제조용기(10)의 내부로 배출하는 믹싱유닛(30)과;
    상단이 상기 음료제조용기(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믹싱유닛(30)의 벤튜리노즐(31)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음료제조용기 내부의 탄산가스를 상기 벤튜리노즐(31)의 후방으로 공급하는 가스주입관(40) 및;
    상기 믹싱유닛(30) 전방의 출구 부분과 상기 순환펌프(20) 사이에 설치되어 믹싱유닛(30)의 출구를 통해 배출된 탄산가스가 혼입된 음료가 순환펌프(20)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부(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20)는 음료가 유입되는 입구와 음료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펌프마운트박스(25) 내에 밀폐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제조용기(10)가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음료제조용기(10)의 탄산음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유체가 채워지는 냉각케이스(60) 및;
    상기 냉각케이스(60) 내에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유체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제조용기(10)는 열전도성의 금속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제조용기(10)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바아 형태로 된 복수개의 전열핀(13)이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제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체공급유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61)와, 상기 압축기(6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62)와, 상기 응축기(6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수단(63)과, 양단이 상기 팽창수단(63) 및 압축기(61)와 연결되어 상기 팽창수단(63)을 통과한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64)와, 상기 냉각케이스(60) 내의 냉각유체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유체펌프(65)와, 상기 유체펌프(65) 및 냉각케이스(60)에 연결되어 유체펌프(65)로부터 냉각유체를 공급받으며 상기 증발기(64)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64)의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제조용기(10)는 냉각케이스(60)의 바닥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66)와 냉각케이스(60)를 연결하는 관은 냉각케이스(60)의 하단부에 형성된 냉수유입구(67)와 연결되어 냉각케이스(60)의 하단부를 통해 냉각유체를 공급하며, 상기 냉각케이스(60)의 바닥면에는 상기 냉수유입구(67)와 연통되어 냉각유체를 음료제조용기(10)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십자형(+) 또는 방사형의 유체가이드채널(6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제조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케이스(60) 내의 냉각유체를 음료제조용기(10)의 유입구(11)를 통해 음료제조용기(10) 내로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제조장치.
KR1020150007862A 2015-01-16 2015-01-16 탄산음료 제조장치 KR101608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862A KR101608872B1 (ko) 2015-01-16 2015-01-16 탄산음료 제조장치
PCT/KR2015/012728 WO2016114489A1 (ko) 2015-01-16 2015-11-25 탄산음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862A KR101608872B1 (ko) 2015-01-16 2015-01-16 탄산음료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373A Division KR20160088833A (ko) 2016-02-01 2016-02-01 탄산음료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872B1 true KR101608872B1 (ko) 2016-04-04

Family

ID=5579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862A KR101608872B1 (ko) 2015-01-16 2015-01-16 탄산음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8872B1 (ko)
WO (1) WO20161144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834B1 (ko) 2016-06-28 2018-11-08 주식회사 에취알에스 스파클링 커피 제조장치
US10201785B2 (en) * 2013-07-18 2019-02-12 Sodastream Industries Ltd. Device for dispensing carbonated water
KR102222670B1 (ko) 2020-07-23 2021-03-04 김태헌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3176B (zh) * 2021-09-27 2024-03-01 哈维(上海)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大型碳酸溶液投加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866Y2 (ja) * 1992-08-28 2003-04-21 ベーエスハー ボッシュ ウント ジーメンス ハウスゲレーテ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炭酸水を製造するため水をco2ガスで富化する装置
US20050029287A1 (en) * 2003-06-19 2005-02-10 Nigel Mobbs Beverage disp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4315A (en) * 1987-08-12 1988-08-16 Ionics, Incorporated Water cooler and carbonator
US4901539A (en) * 1989-01-30 1990-02-20 Garber Howard A Ice making and dispensing machine
KR20050095340A (ko) * 2004-03-26 2005-09-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탄산수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866Y2 (ja) * 1992-08-28 2003-04-21 ベーエスハー ボッシュ ウント ジーメンス ハウスゲレーテ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炭酸水を製造するため水をco2ガスで富化する装置
US20050029287A1 (en) * 2003-06-19 2005-02-10 Nigel Mobbs Beverage dispens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1785B2 (en) * 2013-07-18 2019-02-12 Sodastream Industries Ltd. Device for dispensing carbonated water
KR101916834B1 (ko) 2016-06-28 2018-11-08 주식회사 에취알에스 스파클링 커피 제조장치
KR102222670B1 (ko) 2020-07-23 2021-03-04 김태헌 하이볼 제조 및 디스펜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4489A1 (ko)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914B1 (ko) 물공급 장치
KR101608872B1 (ko) 탄산음료 제조장치
KR102043173B1 (ko) 빙축열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CN109071198B (zh) 致冷现调分配器
US4597509A (en) Drinking water dispensing unit and method
JP5457642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H08167074A (ja) ポスト・ミックス型飲料水自動販売機
JP2008119282A (ja) 飲料供給装置
CN106196830A (zh) 水冷式制冷设备及控制方法
JP2008101833A (ja) 飲料供給装置の温水タンク
KR101608016B1 (ko) 탄산음료 제조장치
KR20130041670A (ko) 냉이온수기
KR20160092515A (ko) 탄산음료 제조장치
KR101732577B1 (ko) 탄산음료 제조장치
KR20160088833A (ko) 탄산음료 제조장치
US9381476B2 (en) Drink dispenser
KR20110006243U (ko) 생맥주 냉각기
KR102495575B1 (ko)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CN215176240U (zh) 多功能制冰机
CN215176241U (zh) 多功能制冰机
JPH11208786A (ja) 清涼飲料のディスペンサーにおける冷却装置
WO2022017343A1 (zh) 独立的饮料分配器和冷却系统
CN221012902U (zh) 气泡水机
KR101520379B1 (ko) 냉수통 및 이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CN219995637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