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770B1 -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770B1
KR102287770B1 KR1020190013812A KR20190013812A KR102287770B1 KR 102287770 B1 KR102287770 B1 KR 102287770B1 KR 1020190013812 A KR1020190013812 A KR 1020190013812A KR 20190013812 A KR20190013812 A KR 20190013812A KR 102287770 B1 KR102287770 B1 KR 102287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lyte
formula
group
solid polymer
porou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817A (ko
Inventor
신원경
안경호
이철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ublication of KR2019009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01M50/434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7Ionic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무기물 섬유로 형성되는 다공성 기재; 상기 무기물 섬유와 결합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가 3차원 구조로 결합된 폴리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것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SOLID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무기물 섬유로 형성된 다공성 기재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 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 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 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액체 전해질의 안정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 이차전지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 전해질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계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VA, polyvinyl acetate), 폴리에틸렌 이민 (PEI, polyethyleneimin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계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계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들을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한편, 고분자로만 이루어진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낮아 고분자만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무기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무기물을 사용하면, 되려 리튬 이온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어 이온 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고, 무기물과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혼합되면서, 계면 저항이 형성되어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1390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분자 화합물과 결합될 수 있는 무기물 섬유로 형성된 다공성 기재를 사용하여, 이온 전도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면서도 고온 안전성 및 기계적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무기물 섬유로 형성되는 다공성 기재; 상기 무기물 섬유와 결합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가 3차원 구조로 결합된 폴리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것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는, 비닐기, 아크릴옥시기 및 메타아크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리튬염을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무기물 섬유로 형성되는 다공성 기재를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에 코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다공성 기재를 건조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섬유 형태의 무기물을 사용하여, 고체 고분자 전해질 내의 리튬 이온의 이동성을 향상시켜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기물 섬유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고 있어, 유기 고분자 화합물과의 결합력이 높기 때문에, 단순히 무기물과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보다 무기물과 유기 고분자 화합물 계면 사이에 저항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고온 안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전지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 * "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원자 또는 화학식의 말단부 간의 연결된 부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의미할 수 있고, 특별하게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분자량은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젤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농도의 샘플 시료를 준비한 후, GPC 측정 시스템 alliance 4 기기를 안정화시킨다. 기기가 안정화되면 기기에 표준 시료와 샘플 시료를 주입하여 크로마토그램을 얻어낸 다음, 분석 방법에 따라 중량평균분자량을 계산한다 (시스템: Alliance 4, 컬럼: Ultrahydrogel linear x 2, eluent: 0.1M NaNO3 (pH 7.0 phosphate buffer, flow rate: 0.1 mL/min, temp: 40℃, injection: 100㎕)
<고체 고분자 전해질>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다공성 기재, 고분자 화합물 및 리튬염을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무기물 섬유로 형성된다.
기존에 사용하는 액체 전해질의 경우, 전극 물질이 퇴화되고 유기 용매가 휘발될 가능성이 크며, 주변 온도 및 전지 자체의 온도 상승 등에 따른 발열, 발화 등의 안전성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 고분자 화합물로만 구성되면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낮으므로, 무기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무기물 입자를 고분자 화합물에 분산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무기물 입자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과의 결합력이 약하여, 무기물 입자 간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거나, 탈리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무기물 입자와 고분자 화합물을 구성하는 올리고머 등 유기 화합물이 물리적으로 혼합되어 있는 경우, 유기 화합물과 무기물 입자 간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유기 화합물과 무기물 입자 간 리튬 이온의 이동이 어려운 공간(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튬 이온의 이동이 저해될 수 있어 이온 전도성이 낮고, 무기물 입자와 유기 화합물 간의 추가적인 계면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전지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경우, 무기물 입자 대신 무기물 섬유로 형성된 다공성 기재를 사용하여 무기물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물 섬유로 형성된 다공성 기재의 경우, 무기물 섬유의 표면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더 포함하여 고분자 화합물을 구성하는 올리고머와 중합 반응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 화합물과 무기물 간에 발생될 수 있는 계면 저항을 최소화하여 전지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섬유(fiber)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물 섬유는, Si, Al, Ti, Zr, Sn, Ce, Mg, Ca, Zn, Y, Pb, Ba, Hf, 및 S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i, Al, Ti 및 Z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물 섬유는 SiO2, Al2O3, TiO2, ZrO2, SnO2, CeO2, MgO, CaO, ZnO, Y2O3, Pb(Zr,Ti)O3 (PZT), Pb(1-a1)Laa1Zr(1-b1)Tib1O3 (0≤a1≤1, 0≤b1≤1, PLZT), PB(Mg3Nb2/3)O3-PbTiO3 (PMN-PT), BaTiO3, HfO2(hafnia), SrTiO3 등이 있으며, 상기 나열된 무기물들은 일반적으로 200℃ 이상의 고온이 되어도 물리적 특성이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기물 섬유는 SiO2, Al2O3, TiO2 및 Zr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기물 섬유의 직경은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9㎛,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섬유의 직경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무기물 섬유로 형성되는 다공성 기재의 두께를 조절하여 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다공성 기재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무기물 섬유의 직경은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과 같은 장치로 무기물 섬유를 관측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기물 섬유와 고분자 화합물과의 계면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이용하여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무기물 섬유의 내부 및 표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무기물 섬유에 곧바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커플링제를 사용하거나, 무기물 섬유로 다공성 기재를 형성한 후에,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는 비닐기, 아크릴옥시기 및 메타아크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커플링제는, 실란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아크릴옥시트리메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트리메톡시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커플링제의 종류가 상기 나열된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무기물 섬유로 형성되는 다공성 기재는, 상기 무기물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시트나 부직포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골격(back bone)에 해당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공성 기재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하기 제조 방법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용융된 무기물 섬유 조성물이 수천개의 미세 기공들로 이루어진 부싱(bushing) 장치를 통하여 압출된 후, 압출된 무기물 섬유 조성물이 권취 장치에 의하여 잡아 당겨짐과 동시에 공기 중에 급냉되어 제조하고자 하는 직경의 무기물 섬유로 제조된다. 제조된 무기물 섬유는 선택적으로 표면 코팅 공정(사이징 공정, sizing), 권취 공정 및 후처리 공정 등을 거쳐 시트나 부직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다공성 기재로 제조된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두께는 1㎛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인 것일 수 있다. 다공성 기재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양극 및 음극의 단락을 억제시킬 수 있고, 리튬 이온의 이동성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켜 전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기공도는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기공도는 통기도를 측정하는 지표인 걸리 지수(gurley value)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걸리 지수란, 균일한 압력 하에 공기 유량(100㎤)이 표준 면적을 통하여 투과할 때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지수이다. 상기 기공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이 높으면서도 리튬 이온 전도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분자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상기 무기물 섬유와 결합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가 3차원 구조로 결합된 폴리머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올리고머는 옥시알킬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12291166-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A 및 A'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단위이고, 상기 B는 옥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단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 A 및 A'는 올리고머가 3차원 구조로 결합되어 폴리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단위이다. 상기 단위 A 및 A'는 단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A 및 A'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A-1 내지 화학식 A-5로 표시되는 단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A-1]
Figure 112019012291166-pat00002
[화학식 A-2]
Figure 112019012291166-pat00003
[화학식 A-3]
Figure 112019012291166-pat00004
[화학식 A-4]
Figure 112019012291166-pat00005
[화학식 A-5]
Figure 112019012291166-pat00006
상기 단위 B는 화학식 B-1로 표시되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B-1]
Figure 112019012291166-pat00007
상기 화학식 B-1에서,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렌기이고, k는 1 내지 30의 정수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B-1에서, 상기 R 및 R'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CH2- 또는 -CHCH3CH2-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9012291166-pat00008
[화학식 1-2]
Figure 112019012291166-pat00009
[화학식 1-3]
Figure 112019012291166-pat00010
[화학식 1-4]
Figure 112019012291166-pat00011
[화학식 1-5]
Figure 112019012291166-pat00012
상기 화학식 1-1 내지 1-5에서 상기 n1 내지 n5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2,000인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1 내지 1,500인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인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7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0 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올리고머로 형성된 폴리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이 개선되고, 리튬 이온 전도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1)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단계, (2) 다공성 기재를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로 코팅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코팅된 다공성 기재의 경화단계를 포함한다.
(1)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 단계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은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리튬염에 용매, 중합개시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올리고머의 경우,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에서 용매를 제외한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리튬 이온 전달 특성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올리고머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상기 리튬염은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이온으로 Li+를 포함하고, 음이온으로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AlO4 -, AlCl4 -, PF6 -, SbF6 -, AsF6 -, BF2C2O4 -, BC4O8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4F9SO3 -, CF3CF2SO3 -, (CF3SO2)2N-, (F2SO2)2N-, CF3CF2(CF3)2CO-, (CF3SO2)2CH-,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1종 또는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리튬염은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아세토니트릴,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아세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중합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아조계 화합물,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 퍼옥사이드(acetyl peroxide), 디라우릴 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di-tert-butyl peroxide),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t-butyl peroxy-2-ethyl-hexanoate), 큐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 hydroperoxide)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등의 유기과산화물류나 히드로과산화물류와 2,2'-아조비스(2-시아노부탄), 디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Azobis(iso-butyronitrile)) 및 2,2'-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2,2'-Azobisdimethyl-Valeronitri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아조 화합물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상기 올리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을 조절하여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2) 다공성 기재의 코팅 단계
다음으로, 다공성 기재의 코팅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다공성 기재를 구성하는 무기물 섬유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할 수 있도록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커플링제로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기물 섬유로 형성된 다공성 기재를 에틸렌성 불포화기가 치환된 커플링제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 내에 침지시켜, 다공성 기재를 구성하는 무기물 섬유와 커플링제를 결합시킨다. 상기 커플링제가 결합되면, 커플링제를 매개로 하여, 무기물 섬유와 커플링제에 포함된 에틸렌성 불포화기가 연결되어,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다공성 기재의 내부 및 표면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무기물 섬유로 형성되는 다공성 기재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코팅시킨다.
상기 코팅 방법의 경우,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함침, 슬롯다이(slot die), 그라비아 코팅,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 코팅, 커튼 코팅, 압출, 캐스팅, 스크린 인쇄, 또는 잉크젯 인쇄 등 공지된 코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코팅 단계를 거치게 되면서, 다공성 기재의 내부 및 표면에 위치한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올리고머가 반응하여, 상기 다공성 기재와 올리고머가 결합된다. 상기 다공성 기재,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및 커플링제에 대해서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여 기재를 생략한다.
(3) 코팅된 다공성 기재의 경화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코팅된 다공성 기재를 건조시킨 후 경화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다공성 기재가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에 의하여 코팅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상태만으로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에 포함된 올리고머와 다공성 기재를 구성하는 무기물 섬유가 결합될 수는 없다. 따라서, 무기물 섬유에 포함된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올리고머에 포함되어 있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등이 라디칼 중합 반응을 거쳐 가교 반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경화 단계를 거쳐야 한다.
상기 경화단계는, UV 조사 E-BEAM, 감마선, 상온/고온 에이징 공정 등에 의한, 올리고머 간의 가교 반응 및 올리고머와 무기물 섬유 간의 가교 반응을 통하여 올리고머 및 무기물 섬유 간의 3차원 구조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진행된다.
<리튬 이차 전지>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 전극 또는 다공성 분리막 상에 코팅된 형태로 제조되어 도입되거나, 프리스탠딩(free standing) 형태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다. 프리스탠딩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전해질을 구성하는 고체 고분자를 전극이나 다공성 분리막에 코팅시킨 후 경화시켜 고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전지 내에 게재되기 전에 미리 가교 반응을 통해 경화되어 막 형태로 존재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의미한다.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지고,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코발트, 망간,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1종 이상의 금속과 리튬을 포함하는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리튬-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MnO2, LiMn2O4 등), 리튬-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O2 등), 리튬-니켈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O2 등),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Y1MnY1O2(여기에서, 0<Y1<1), LiMn2-z1Niz1O4(여기에서, 0<Z1<2) 등), 리튬-니켈-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Y2CoY2O2(여기에서, 0<Y2<1) 등), 리튬-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1-Y3MnY3O2(여기에서, 0<Y3<1), LiMn2-z2Coz2O4(여기에서, 0<Z2<2) 등), 리튬-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p1Coq1Mnr1)O2(여기에서, 0<p1<1, 0<q1<1, 0<r1<1, p1+q1+r1=1) 또는 Li(Nip2Coq2Mnr2)O4(여기에서, 0<p2<2, 0<q2<2, 0<r2<2, p2+q2+r2=2) 등), 또는 리튬-니켈-코발트-전이금속(M) 산화물(예를 들면, Li(Nip3Coq3Mnr3MS1)O2(여기에서, M은 Al, Fe, V, Cr, Ti, Ta, Mg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p3, q3, r3 및 s1은 각각 독립적인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p3<1, 0<q3<1, 0<r3<1, 0<s1<1, p3+q3+r3+s1=1이다)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전지의 용량 특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LiCoO2, LiMnO2, LiNiO2, 리튬 니켈망간코발트 산화물(예를 들면, Li(Ni0.6Mn0.2Co0.2)O2, Li(Ni0.5Mn0.3Co0.2)O2, 또는 Li(Ni0.8Mn0.1Co0.1)O2 등), 또는 리튬 니켈코발트알루미늄 산화물(예를 들면, LiNi0.8Co0.15Al0.05O2 등) 등일 수 있으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형성하는 구성원소의 종류 및 함량비 제어에 따른 개선 효과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Li(Ni0.6Mn0.2Co0.2)O2, Li(Ni0.5Mn0.3Co0.2)O2, Li(Ni0.7Mn0.15Co0.15)O2 또는 Li(Ni0.8Mn0.1Co0.1)O2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양극 활물질 슬러리 중 용매를 제외한 고형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내지 98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내지 9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이다. 구체적으로,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 슬러리 중 용매를 제외한 고형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양극 활물질의 도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이다.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서멀 블랙 등의 탄소계 물질;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도전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세틸렌 블랙 계열인 쉐브론 케미칼 컴퍼니(Chevron Chemical Company)나 덴카 블랙(Denka Singapore Private Limited), 걸프 오일 컴퍼니(Gulf Oil Company) 제품 등), 케트젠블랙(Ketjenblack), EC 계열(아르막 컴퍼니(Armak Company) 제품), 불칸(Vulcan) XC-72(캐보트 컴퍼니(Cabot Company) 제품) 및 수퍼(Super) P(Timcal 사 제품) 등이 있다. 상기 도전재는 양극 활물질 슬러리 중 용매를 제외한 고형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NMP(N-methyl-2-pyrrolidone)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 등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점도가 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고형분의 농도가 50 중량%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90 중량%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은 예를 들어,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천연흑연, 인조흑연,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음극 활물질을 들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음극 활물질 슬러리 중 용매를 제외한 고형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내지 98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내지 9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도전재 및 용매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튬 이차 전지를 단위 셀로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 모듈 및 전지 팩은 고용량, 높은 율속 특성 및 사이틀 특성을 갖는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포함하므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 저장용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재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
(1)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다공성 기재 제조
SiO2로 이루어지고, 직경이 1.6 ㎛인 무기물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 기재(GE helthcare Life sciences 社, Whatman, 두께=90㎛)를 에탄올 용매에 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한 코팅 용액에 침지시킨 뒤, 건조시켜 메타아크릴옥시기를 포함하는 무기물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기재를 제조하였다.
(2)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올리고머 (n1: 3) 90g, 리튬염(LiTFSI) 10g, 중합개시제로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0.18g을 아세톤에 투입시켜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다공성 기재 상에 코팅한 다음, 40℃에서 건조시킨 뒤, UV를 조사하여 100㎛ 두께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3) 리튬 이차 전지 제조
양극 활물질로 (Li(Ni0.8Mn0.1Co0.1)O2) 94 중량%, 도전재로 카본 블랙(carbon black) 3 중량%,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3 중량%를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두께가 20㎛ 정도의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Al)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활물질로 탄소 분말, 바인더로 PVDF, 도전재로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각각 96 중량%, 3 중량% 및 1 중량%로 하여 용매인 NMP에 첨가하여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두께가 10㎛의 음극 집전체인 구리(Cu)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뒤, 파우치 내부에 위치시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 하였다.
2.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커플링제로서 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대신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하여 무기물 섬유가 비닐기를 포함하도록 다공성 기재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커플링제가 첨가된 코팅 용액에 다공성 기재를 코팅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2. 비교예 2
(1) 전해액 제조
에틸렌카보네이트:에틸메틸카보네이트를 3:7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에 1M의 리튬염(LiPF6)을 투입하여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2) 리튬 이차 전지 제조
실시예 1의 리튬 이차 전지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및 음극을 제조하고, 상기 양극, 음극 사이에 폴리에틸렌 분리막을 개재한 뒤, 파우치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해액을 300㎕ 주액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험예 1: 이온전도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따른 각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양 전극 사이에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사이에 둔 후, VMP3측정 장비와 4294A를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 100MHz 내지 0.1Hz에서 교류 임피던스 측정법을 사용하여 이온 전도도(δ)를 측정하였다. (δ=l/(R*A), δ은 이온 전도도(mS/㎝), l은 전해질 두께(㎝), R은 측정된 저항(mS), A는 전해질의 면적(㎠))
이온 전도도((mS/cm))
실시예 1 0.85
실시예 2 0.74
비교예 1 0.1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이온 전도도가 비교예 1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비교예 1의 경우보다 전해질 내의 리튬 이온 전달 특성이 더 개선되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2. 실험예 2: 다공성 기재와 올리고머의 결합 정도 확인
상기 실시예 1, 2에 따른 각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 도중, 다공성 기재를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에 코팅시켜 40℃에서 건조만을 한 상태에서, UV 조사 반응 전 후로, 올리고머와 다공성 기재 간의 결합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FT-IR에서의 탄소-탄소 이중결합(-C=C-)을 확인할 수 있는 피크(1640 cm-1) 아래의 적분 면적을 커플링제에 포함된 실록산 작용기(-Si-O-)를 확인할 수 있는 피크(1050 cm-1) 아래의 적분 면적으로 나눈 비율을 각각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커플링제에 포함된 실록산 작용기(-Si-O-)는 올리고머와 반응하지 않으므로, UV 조사 반응 전후로 피크 아래 적분 면적의 변화가 없어 이를 기준으로 반응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UV 반응 전 peak 1650 cm-1 적분 면적 / peak 1050 cm-1 적분 면적 비율 UV 반응 후 peak 1650 cm-1 적분 면적 / peak 1050 cm-1 적분 면적 비율
실시예 1 0.75 0.01
실시예 2 0.67 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UV 조사 반응 전, 후로 실시예 1 및 2의 1050 cm-1 피크 아래의 적분 면적 대비 1640 cm-1 피크 아래의 적분 면적의 비율이 현저히 감소하는데, 이는 다공성 기재의 표면에 위치하는 이중결합이 올리고머와 결합하면서, 거의 측정되지 않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3. 실험예 3: 초기용량 측정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각각에 대하여 6.5mA 전류(0.05 C rate)로 포메이션 공정을 진행한 후, 4.2 V, 13mA (0.1 C, 0.05 C cut-off) CC/CV 충전과 3 V, 13 mA (0.1 C) CC 방전을 3회 반복하고, 3번째 방전 용량을 초기용량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초기 용량 (mAh)
실시예 1 128
실시예 2 126
비교예 1 97
비교예 2 130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및 2의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안정한 고체 전해질이 형성되어 비교예 1보다 높고 비교예 2의 액체 전해질을 적용한 리튬 이차전지와 유사한 수준의 초기 용량을 나타낸다.
한편, 비교예 1의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리튬 이차전지 대비 리튬 이온 전도도가 낮아, 초기 용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4. 실험예 4: 못 관통 실험(Nail penetration test)
만충전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 2.5 mm 의 지름을 갖는 금속 재질의 못을 600 mm / 분 의 속도로 관통시킬 때, 전지의 발열 온도 및 발화 여부를 측정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 평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측정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관통되는 금속 못에 의하여 리튬 이차전지 내부 단락이 발생되고, 이로부터 전지의 발열이 발생하는데, 발열 온도가 높을 수록 발화 가능성 높아 안전성이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이러한 발열이 발화로 이어지는 경우,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매우 취약하다고 평가된다.
발열 온도(℃) 발화 여부
실시예 1 40 X
실시예 2 40 X
비교예 1 70 X
비교예 2 180 O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이차전지는 발열 온도가 40℃ 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서, 안전성이 우수한 반면, 비교예 1은 비록 발화하지 않았지만 발열 온도가 높으므로,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 보다 안전성이 낮다. 비교예 2의 경우, 발열 온도가 높음은 물론, 발화까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실험예 5: 전지 부풀음 실험(swelling test, 고온 저장 실험)
만충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의 두께를 측정한 다음, 120℃에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다시 리튬 이차전지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이때, 120℃에서 방치하기 전/후의 측정된 두께를 비교하여 전지의 부풀음(swelling)을 측정하는 평가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전지 두께 변화율(%)
실시예 1 >1
실시예 2 >1
비교예 1 >1
비교예 2 120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비교예 2의 경우, 전지 두께 변화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액체 전해질이 고온에서 쉽게 휘발되고, 전극의 계면에서 산화 반응을 일으켜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달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여 고온에서 보관, 방치되는 경우에도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전지의 부풀음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전지 두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무기물 섬유로 형성되는 다공성 기재;
    상기 무기물 섬유와 결합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가 3차원 구조로 결합된 폴리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것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기는, 비닐기, 아크릴옥시기 및 메타아크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옥시알킬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1]
    Figure 112019012291166-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A 및 A'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타)아크릴레이트 기를 포함하는 단위이고,
    상기 B는 옥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단위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1-1]
    Figure 112019012291166-pat00014

    (상기 화학식 1-1에서 상기 n1은 1 내지 2,000 임)
    [화학식 1-2]
    Figure 112019012291166-pat00015

    (상기 화학식 1-2에서 상기 n2는 1 내지 2,000 임)
    [화학식 1-3]
    Figure 112019012291166-pat00016

    (상기 화학식 1-3에서 상기 n3은 1 내지 2,000 임)
    [화학식 1-4]
    Figure 112019012291166-pat00017

    (상기 화학식 1-4에서 상기 n4는 1 내지 2,000 임)
    [화학식 1-5]
    Figure 112019012291166-pat00018

    (상기 화학식 1-5에서 상기 n5는 1 내지 2,000 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섬유의 직경은 0.01㎛ 내지 10㎛인 것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의 두께는 1㎛ 내지 200㎛인 것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의 기공도는 10% 내지 80%인 것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
  9.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및 리튬염을 용매에 용해시켜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무기물 섬유로 형성되는 다공성 기재를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로 코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다공성 기재를 건조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10. 제1항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190013812A 2018-02-09 2019-02-01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87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27 2018-02-09
KR20180016527 2018-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817A KR20190096817A (ko) 2019-08-20
KR102287770B1 true KR102287770B1 (ko) 2021-08-10

Family

ID=6754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812A KR102287770B1 (ko) 2018-02-09 2019-02-01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10852B2 (ko)
EP (1) EP3703172A4 (ko)
JP (1) JP7048839B2 (ko)
KR (1) KR102287770B1 (ko)
CN (1) CN111406339B (ko)
WO (1) WO20191564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092A (ko) 2021-09-24 2023-04-03 한국화학연구원 양이온 선택성을 가지는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2371A1 (en) * 2016-09-13 2018-03-22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olid electrolyte
KR20220009899A (ko) 2020-07-16 2022-01-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체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20035834A (ko) 2020-09-14 2022-03-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체 고분자 전해질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20035838A (ko) 2020-09-14 2022-03-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체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665811B1 (ko) 2020-10-13 2024-05-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체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632917B1 (ko) * 2021-07-29 2024-02-06 한국원자력연구원 고체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3228A1 (ja) * 2013-10-07 2015-04-16 ユニチカ株式会社 通気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14B2 (ja) 1988-12-22 1996-03-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無機非水電解液電池
CN1186829C (zh) 1997-01-16 2005-01-26 三菱制纸株式会社 非水电解液电池用隔片、用该隔片的非水电解液电池及制备非水电解液电池用隔片的方法
JPH11219727A (ja) 1998-01-30 1999-08-10 Hitachi Maxell Ltd ポリマー電池
JPH11260336A (ja) 1998-03-06 1999-09-24 Hitachi Maxell Ltd ポリマー電解質電池
JP2003092149A (ja) 2000-09-28 2003-03-28 Sii Micro Parts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2087003A1 (en) 2001-04-20 2002-10-31 Nisshinbo Industries, Inc. Composition for polymer gel electrolyte, polymer gel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y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ach employing the electrolyte
CN1507669A (zh) 2001-05-10 2004-06-23 �����֯��ʽ���� 非水电解液,用于聚合物凝胶电解质的组合物,聚合物凝胶电解质,二次电池,和双层电容器
KR100858795B1 (ko) 2001-12-31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전해질과 화학적으로 결합된 세퍼레이터를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42326A (ko) 2004-11-09 2006-05-12 브이케이 주식회사 계면 가교 방식의 겔 고분자 전지 제조 방법 및 이를채용한 리튬 2차 전지
JP2010251078A (ja) 2009-04-15 2010-11-04 Nippon Sheet Glass Co Ltd 有機無機複合多孔質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セパレータ
JP2011090957A (ja) 2009-10-23 2011-05-06 Nof Corp イオン伝導性高分子複合電解質
JP2011090952A (ja) 2009-10-23 2011-05-06 Nof Corp イオン伝導性高分子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101590086B1 (ko) * 2010-01-27 2016-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KR20120139058A (ko) 2011-06-16 2012-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EP2608291A1 (en) * 2011-09-29 2013-06-26 Hitachi, Ltd.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ie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511412B1 (ko) 2012-12-14 2015-04-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이차전지용 전극,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EP2782182B1 (en) 2013-01-28 2016-03-30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633966B1 (ko) * 2013-01-28 2016-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545432B1 (ko) 2013-01-28 2015-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
CN103474666B (zh) * 2013-07-23 2016-03-02 江苏华东锂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锂离子电池负极活性材料的制备方法
JP6135399B2 (ja) 2013-08-23 2017-05-3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多孔膜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保護層付きセパレータ、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保護層付き電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6562568B2 (ja) 2014-10-02 2019-08-2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ゲルポリマー電解質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JP6412805B2 (ja) * 2015-01-16 2018-10-24 ニッポン高度紙工業株式会社 セパレータ及び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
KR20170123641A (ko) 2015-02-26 2017-11-08 내셔날 인스티튜트 오브 어드밴스드 인더스트리얼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용융염 조성물, 전해질 및 축전 장치 및 액화 용융염의 증점 방법
JP6682099B2 (ja) 2015-02-26 2020-04-15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溶融塩組成物、それを含む電解質、及び液化溶融塩の増粘方法
CN105131875B (zh) * 2015-08-26 2017-07-07 深圳市贝特瑞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用水性粘合剂、制备方法及其用途
KR101880237B1 (ko) * 2015-08-28 2018-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공성 내열층 조성물, 상기 다공성 내열층 조성물을 포함하는 분리막,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882571B1 (ko) 2016-03-02 2018-07-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40987A (ko) 2016-06-14 2017-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금속전지용 복합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리튬금속전지
KR20180068115A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전해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전지
US10256445B2 (en) * 2017-03-08 2019-04-09 Johns Manville Composite separator for lithium ion batter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3228A1 (ja) * 2013-10-07 2015-04-16 ユニチカ株式会社 通気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092A (ko) 2021-09-24 2023-04-03 한국화학연구원 양이온 선택성을 가지는 겔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10852B2 (en) 2023-07-25
JP2021504916A (ja) 2021-02-15
CN111406339B (zh) 2023-07-04
JP7048839B2 (ja) 2022-04-06
US20200373615A1 (en) 2020-11-26
EP3703172A1 (en) 2020-09-02
KR20190096817A (ko) 2019-08-20
EP3703172A4 (en) 2020-12-09
WO2019156460A1 (ko) 2019-08-15
CN111406339A (zh) 2020-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770B1 (ko)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3333959B1 (en) Solid polymer electroly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270873B1 (ko) 젤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폴리머 전해질 및 리튬 이차 전지
KR102101396B1 (ko)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564970B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09478691B (zh) 二次电池
CN108140885B (zh) 用于凝胶聚合物电解质的组合物和凝胶聚合物电解质
EP3703158B1 (en)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KR102567400B1 (ko) 이차전지
KR102406744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144876B1 (ko) 접착력이 향상된 음극 활물질 조성물, 이를 이용한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10228812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15315830A (zh) 用于二次电池的负极、制造该负极的方法和包括该负极的锂二次电池
KR20230141618A (ko) Ptc 기능성 조성물, ptc 기능성 조성물층,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용 피복 집전체,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용 전극 및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