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527B1 -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527B1
KR102267527B1 KR1020190048290A KR20190048290A KR102267527B1 KR 102267527 B1 KR102267527 B1 KR 102267527B1 KR 1020190048290 A KR1020190048290 A KR 1020190048290A KR 20190048290 A KR20190048290 A KR 20190048290A KR 102267527 B1 KR102267527 B1 KR 102267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required time
vehicle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923A (ko
Inventor
유진 깃카와
다카시 시마다
요시코 미우라
이사오 야마키
후미아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Abstract

[과제] 차량의 도달 시각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것.
[해결수단]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이하의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컴퓨터는, 운행 관리 서비스로부터 운행 계획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한다. 컴퓨터는,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경로 중에 짐싣기나 짐부리기 작업이 존재하는지 판정한다. 컴퓨터는,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작업을 행하는 계류소에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판정한다. 컴퓨터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계류소의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는 요구를 송신하여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한다. 컴퓨터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전 등록한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한다. 컴퓨터는,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계류소를 경유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컴퓨터는, 예측 소요 시간과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출력한다.

Description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QUIRED TIME CALCULATING METHOD AND REQUIRED TIME CALCULATING SYSTEM}
본 발명은,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를 담당하는 수송 사업자의 차량은, 목적지에다 화물을 수송한 후에 자사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공차 회송을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화주는 화물을 수송하고 싶지만 비어 있는 차량이 없는 경우가 있다. 최근 이러한 공차와 화물을 매칭하는 구화구차(求貨求車) 매칭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8-5856호 공보
그러나, 공차가 될 예정의 차량은, 수송 중인 화물의 짐싣기나 짐부리기 작업을 행하는 계류소(Berth)의 순번 대기, 경로 상의 정체 등에 의해서, 매칭을 행한 화주의 계류소에 도착하는 정확한 시각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하나의 측면에서는, 차량의 도달 시각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는,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이하의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컴퓨터는, 차량의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계획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상기 차량의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한다. 컴퓨터는, 접수한 상기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 짐싣기 및 짐부리기 작업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컴퓨터는, 상기 작업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작업을 행하는 계류소에 대응하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컴퓨터는,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계류소에서의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는 요구를 송신하여 상기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한다. 컴퓨터는,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사전에 등록해 둔 상기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한다. 컴퓨터는, 접수한 상기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소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컴퓨터는, 취득한 상기 예측 소요 시간과 산출한 상기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출력한다.
차량의 도달 시각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매칭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작업 시간 기억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소요 시간 기억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소요 시간 산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구차 정보에 대한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희망지를 고려한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의 소요 시간 산출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구차 접수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원이 개시하는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해 개시 기술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합하여도 좋다.
[실시예]
도 1은 실시예의 매칭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매칭 시스템(1)은, 차량(10)과, 운행 관리 시스템(20)과, 구화구차 시스템(30)과, 계류소 예약 시스템(40)과, 정보 처리 장치(100)를 갖는다. 또한, 매칭 시스템(1)에서는, 차량(10)의 수는 한정되지 않고, 임의 수의 차량(10)을 갖도록 하여도 좋다.
차량(10)과 운행 관리 시스템(20) 및 정보 처리 장치(100)의 사이, 그리고, 운행 관리 시스템(20)과 구화구차 시스템(30)과 계류소 예약 시스템(40)과 정보 처리 장치(100)의 사이는, 네트워크(N)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러한 네트워크(N)에는, 유선 또는 무선을 막론하고, 인터넷을 비롯하여 LAN(Local Area Network)나 VPN(Virtual Private Network) 등의 임의 종류의 통신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N)를 통한 통신은, 예컨대 TLS(Transport Layer Security)/SSL(Secure Sockets Layer) 등에 의해서 암호화되게 하여도 좋다.
매칭 시스템(1)은, 예컨대 통신 기능을 갖는 운행 기록계(이하, 디지털 운행 기록계(digital tachograph)라고 한다.)를 탑재한 복수의 차량(10)으로부터 송신되는 운행 정보를 수집하여 운행 관리를 행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매칭 시스템(1)은, 구화구차의 매칭, 계류소 예약의 관리 및 소요 시간의 산출 등을 행하는 시스템이다.
차량(10)은 예컨대 트럭 등의 디지털 운행 기록계를 탑재한 차량이다. 차량(10)에 탑재된 디지털 운행 기록계는,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성 측위 시스템에 의해서 취득한 위치나 속도 등의 운행 정보를, 예컨대 1초마다 도시하지 않는 기지국을 통해 운행 관리 시스템(20) 및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한다. 디지털 운행 기록계는, 통신 기능으로서 예컨대 3G,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휴대전화 회선 등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갖는다. 또한, 운행 정보는 차량 ID(IDentifier), 일시, 가속도, 실차/공차, 차종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운행 관리 시스템(20)은 차량(10)의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운행 관리 시스템(20)은 복수의 차량(10)에 관해서 배차 계획 및 운행 계획을 관리한다. 또한, 운행 관리 시스템(20)은,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관리하는 동태 관리 및 차량(10)과 화물의 매칭을 행하는 매칭 엔진을 갖는다.
배차 계획 및 운행 계획(이하, 운행 계획 정보라고도 한다.)은, 예컨대 차량 ID, 출발 일시, 출발지, 도착 일시, 도착지, 화물, 화물 처리에 관한 정보 등이다. 운행 관리 시스템(20)은, 운행 계획 정보 및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운행 계획 정보에 기초한 최적 루트나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소요 시간 정보를 수신한다.
매칭 엔진은, 동태 관리로부터 각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취득하고, 배차 계획 및 운행 계획으로부터 희망 방면과 실차/공차의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매칭 엔진은 구화구차 시스템(30)으로부터 구차 정보를 취득한다. 매칭 엔진은, 취득한 각종 정보에 기초한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을 수신한다. 또한, 매칭 엔진은 각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한다. 매칭 엔진은,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을 구화구차 시스템(30)에 송신하고, 선택된 차량(10)을 수신한다. 또한, 매칭 엔진은 선택된 차량(10)에 따른 배차 결과를 구화구차 시스템(30)에 송신한다.
구화구차 시스템(30)은, 화주로부터 구차 정보를 접수함과 더불어, 배차 결과를 화주에게 제공한다. 구화구차 시스템(30)은 접수한 구차 정보를 운행 관리 시스템(20)에 송신한다. 또한 구화구차 시스템(30)은,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을 표시함과 더불어, 선택된 차량(10)을 운행 관리 시스템(20)에 송신한다. 또한, 구화구차 시스템(30)은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배차 결과를 표시한다.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은 계류소에 대한 예약을 접수한다. 계류소의 예약은, 예컨대 대상 계류소, 일시, 화물, 짐싣기/짐부리기 정보 등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은, 계류소에서의 짐싣기나 짐부리기 작업의 예측 작업 시간(예측 소요 시간)의 조회를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접수하면,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을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한다.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은, 예컨대 계류소가 예약 완료인 경우는 예약된 내용에 따른 예측 작업 시간을 이용하고, 계류소가 미예약인 경우는 화물의 팩킹과 양에 따른 예측 작업 시간을 이용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의 일례이며, 각 차량(10)으로부터 수신한 운행 정보나,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운행 계획 정보 및 소요 시간 산출 의뢰에 기초하여 최적 루트나 소요 시간을 산출하여, 운행 관리 시스템(20)에 송신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을 생성하여, 운행 관리 시스템(20)에 송신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에 대하여 예측 작업 시간의 조회를 송신하여,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을 수신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의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차량(10)의 운행 계획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차량(10)의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수한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 짐싣기 및 짐부리기 작업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작업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작업을 행하는 계류소에 대응하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계류소에서의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는 요구를 송신하여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사전에 등록해 둔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수한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고,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계류소를 경유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취득한 예측 소요 시간과 산출한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의 도달 시각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는 통신부(110)와 기억부(120)와 제어부(130)를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하는 기능부 이외에도 이미 알려진 컴퓨터가 갖는 각종 기능부, 예컨대 각종 입력 디바이스나 음성 출력 디바이스 등의 기능부를 갖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통신부(110)는 예컨대 NIC(Network Interface Card)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차량(10), 운행 관리 시스템(20) 및 계류소 예약 시스템(4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어, 차량(10), 운행 관리 시스템(20) 및 계류소 예약 시스템(40)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10)는 차량(10)으로부터 운행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110)는,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운행 계획 정보 및 소요 시간 산출 의뢰와, 각 차량(10)의 현재 위치와,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110)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으로부터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을 수신한다. 통신부(110)는, 수신한 운행 정보와, 운행 계획 정보 및 소요 시간 산출 의뢰와, 각 차량(10)의 현재 위치와,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와,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을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된 최적 루트나 소요 시간과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을 운행 관리 시스템(20)에 송신한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된 예측 작업 시간의 조회를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에 송신한다.
기억부(120)는,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 하드디스크나 광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의해서 실현된다. 기억부(120)는,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와 작업 시간 기억부(122)와 실적 기억부(123)와 소요 시간 기억부(124)를 갖는다. 또한, 기억부(120)는 제어부(130)에서의 처리에 이용하는 정보를 기억한다.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는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각 차량(10)의 운행 계획 정보를 기억한다. 도 3은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는 「차량 ID」, 「차량 정보」, 「요금」, 「화물」, 「팩킹」, 「출발지」, 「경유지」, 「목적지」와 같은 항목을 갖는다.
「차량 ID」는 차량(10)을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차량 정보」는 차량(10)의 적재량이나 짐받이의 형식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요금」은 톤킬로미터 당 요금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화물」은 상기 운행 계획에 있어서 수송하는 짐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팩킹」은 짐의 곤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팩킹」은 예컨대 팰릿(pallet), 스키드(skid), 케이스(case) 및 카톤(carton) 등이다. 「출발지」는 차량(10)의 출발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경유지」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서 짐싣기나 짐부리기 등의 작업을 행하는 계류소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경유지」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목적지」는 차량(10)의 해당 운행 계획에서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목적지」는 예컨대 수송 사업자의 차고 등을 들 수 있다.
도 2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작업 시간 기억부(122)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 계류소에서의 짐싣기나 짐부리기 등의 작업 시간을 기억한다. 도 4는 작업 시간 기억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작업 시간 기억부(122)는 「계류소」, 「팰릿」, 「스키드」, 「케이스」, 「카톤」과 같은 항목을 갖는다.
「계류소」는 계류소의 명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팰릿」, 「스키드」, 「케이스」 및 「카톤」은 팩킹마다의 작업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4의 첫째줄의 예에서는, 계류소「B」는 팰릿의 짐싣기 또는 짐부리기에 30분의 작업 시간을 요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2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실적 기억부(123)는, 각 차량(10)으로부터 수신한 운행 정보를 과거의 실적으로서 기억한다. 실적 기억부(123)는, 예컨대 차량(10)마다나 출발지 및 목적지마다 분류하여 운행 정보를 과거의 실적으로서 기억한다.
소요 시간 기억부(124)는,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운행 계획 정보와,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산출된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 그리고, 계류소에서의 예측 작업 시간을 포함하는 소요 시간 정보를 기억한다. 도 5는 소요 시간 기억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소요 시간 기억부(124)는 「차량 ID」, 「출발지」, 「경유지」, 「목적지」와 같은 항목을 갖는다. 또한, 「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는 각각 「예정 도착 시각」, 「실차/공차」, 「예정 출발 시각」과 같은 항목을 갖는다. 또한, 「출발지」는 「예정 도착 시각」이 불필요하고, 「목적지」는 「예정 출발 시각」이 불필요하다. 또한, 여기서의 「출발지」에는, 차량(10)이 현재 있는 곳과, 예컨대 내일 아침 시점의 위치(차고 등)를 포함한다.
「차량 ID」는 차량(10)을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예정 도착 시각」은 차량(10)이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도착할 예정인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실차/공차」는 출발지 또는 경유지를 출발하는 시점에서의 화물의 유무, 또는 목적지에 도착한 시점에서의 화물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2의 설명으로 되돌아가면, 제어부(130)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에 의해서, 내부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RAM을 작업 영역으로 하여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예컨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도록 하여도 좋다. 제어부(130)는, 접수부(131)와 제1 판정부(132)와 제2 판정부(133)와 취득부(134)와 산출부(135)와 출력 제어부(136)를 가지며, 이하에 설명하는 정보 처리의 기능이나 작용을 실현 또는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30)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정보 처리를 행하는 구성이라면 다른 구성이라도 좋다.
접수부(131)는, 네트워크(N) 및 통신부(110)를 통해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운행 계획 정보 및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수신하여 접수한다. 접수부(131)는 접수한 운행 계획 정보를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에 기억한다. 접수부(131)는 소요 시간 산출 의뢰에 따라서 제1 판정 지시를 제1 판정부(132)에 출력한다.
또한 접수부(131)는, 네트워크(N) 및 통신부(110)를 통해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각 차량(10)의 현재 장소를 수신하여 접수한다. 또한 접수부(131)는, 네트워크(N) 및 통신부(110)를 통해 각 차량(10)의 운행 정보를 수신하여, 각 차량의 현재 위치를 접수하여도 좋다. 접수부(131)는 접수한 각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산출부(135)에 출력한다.
또한 접수부(131)는, 네트워크(N) 및 통신부(110)를 통해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를 수신하여 접수한다. 접수부(131)는 접수한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를 제2 판정부(133)에 출력한다.
바꿔 말하면, 접수부(131)는, 차량(10)의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운행 관리 시스템(20))로부터, 차량(10)의 운행 계획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차량(10)의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한다. 즉 접수부(131)는, 차량(10)마다 짐싣기 및 짐부리기의 작업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작업 정보의 등록을 접수한다. 또한, 접수부(131)는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로부터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접수한다. 또한, 접수부(131)는 차량(10)에 대한 구차 정보를 접수한다. 즉, 접수부(131)는 짐을 싣는 곳과 도착지(짐을 부리는 곳)를 포함하는 구차 정보를 접수한다. 또한, 구차 정보는 짐싣기와 짐부리기의 시각 정보를 포함한다.
제1 판정부(132)는, 접수부(131)로부터 제1 판정 지시가 입력되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를 참조하여, 제1 판정 지시에 따른 차량(10)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 짐싣기 및 짐부리기의 작업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1 판정부(132)는 경유지에서의 작업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판정부(132)는, 경유지에서의 작업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제2 판정지시를 제2 판정부(133)에 출력한다. 제1 판정부(132)는, 경유지에서의 작업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이동 시간 산출 지시를 산출부(135)에 출력한다.
제2 판정부(133)는, 제1 판정부(132)로부터 제2 판정 지시가 입력되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를 참조하여, 경유지인 계류소의 정보를 취득한다. 제2 판정부(133)는, 취득한 계류소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계류소에 대응하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판정부(133)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에 대한 조회 지시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제2 판정부(133)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취득 지시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제2 판정부(133)는, 접수부(131)로부터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가 입력되면, 구차 정보로부터 계류소의 정보를 취득한다. 제2 판정부(133)는, 취득한 계류소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계류소에 대응하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판정부(133)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에 대한 조회 지시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제2 판정부(133)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취득 지시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또한, 제2 판정부(133)는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바꿔 말하면, 제1 판정부(132)는, 접수한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 짐싣기 및 짐부리기 작업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제2 판정부(133)는, 제1 판정부(132)에 있어서 작업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작업을 행하는 계류소에 대응하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취득부(134)는, 제2 판정부(133)로부터 조회 지시가 입력되면, 통신부(110)및 네트워크(N)를 통해, 예측 작업 시간의 조회를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에 송신한다. 취득부(134)는, 네트워크(N) 및 통신부(110)를 통해,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으로부터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을 수신하여 취득한다.
취득부(134)는, 제2 판정부(133)로부터 취득 지시가 입력되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 및 작업 시간 기억부(122)를 참조하여, 운행 계획 정보의 화물, 팩킹, 수량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지 않는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을 취득한다.
취득부(134)는, 제2 판정부(133)로부터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즉, 접수부(131)가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한 경우, 취득한 예측 작업 시간을 산출부(135)에 출력한다. 한편, 취득부(134)는, 제2 판정부(133)로부터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가 입력된 경우,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차량(10)마다의 현재 장소 및 운행 계획을 취득한다. 취득부(134)는,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와, 취득한 예측 작업 시간과, 차량(10)마다의 현재 장소 및 운행 계획을 산출부(135)에 출력한다.
또한 취득부(134)는, 각 차량(10)으로부터 운행 정보와 함께 차량(10)마다의 목적지 또는 차적지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목적지는 상기 차량의 희망 방면을 나타내는 희망지이다. 즉, 희망지는 예컨대 수송 사업자의 차고 등이다. 또한, 차적지는 차량(10)의 번호판에서의 육운지국(陸運支局) 등의 지명을 나타낸다. 취득부(134)는 취득한 목적지 또는 차적지를 출력 제어부(136)에 출력한다.
바꿔 말하면, 취득부(134)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계류소에서의 예측 소요 시간(예측 작업 시간)을 취득하는 요구를 송신하여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한다. 또한, 취득부(134)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사전에 등록해 둔 예측 소요 시간(예측 작업 시간)을 취득한다. 또한, 취득부(134)는 접수한 구차 정보에 포함되는 계류소의 예측 소요 시간(예측 작업 시간)을 취득한다. 또한, 취득부(134)는 희망지를 차량(10)으로부터 취득한다.
산출부(135)는, 취득부(134)로부터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가 입력되지 않고서 예측 작업 시간이 입력되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 및 실적 기억부(123)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즉, 산출부(135)는, 접수부(131)가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한 경우에 취득부(134)로부터 예측 작업 시간이 입력되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 및 실적 기억부(123)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산출부(135)는, 입력된 예측 작업 시간과 산출한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계류소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즉, 산출부(135)는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계류소를 경유하여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여기서의 출발지에는, 차량(10)의 현재 장소와, 예컨대 내일 아침 시점의 위치(차고 등)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산출부(135)는, 산출한 소요 시간과 운행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에서의 예정 도착 시각, 실차/공차의 정보 및 예정 출발 시각 등을 포함하는 소요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산출부(135)는, 생성한 소요 시간 정보를 소요 시간 기억부(124)에 기억함과 더불어 출력 제어부(136)에 출력한다.
산출부(135)는, 제1 판정부(132)로부터 이동 시간 산출 지시가 입력되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 및 실적 기억부(123)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산출부(135)는, 산출한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산출부(135)는, 예측 작업 시간이 입력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요 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요 시간 정보를 소요 시간 기억부(124)에 기억함과 더불어 출력 제어부(136)에 출력한다. 즉 산출부(135)는,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운행 계획 정보 및 소요 시간 산출 의뢰에 기초하여 산출한 최적 루트나 소요 시간을, 출력 제어부(136)를 통해 운행 관리 시스템(20)에 송신하는 배차 계획 처리를 포함한다.
산출부(135)는, 취득부(134)로부터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와, 예측 작업 시간과, 차량(10)마다의 현재 장소 및 운행 계획이 입력되면, 구차 정보의 짐싣기 장소에 대한 차량(10)마다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즉 산출부(135)는, 차량(10)마다의 운행 계획에 기초하여, 차량(10)마다 공차가 되는 시각과 장소(최종 화물 처리 장소)를 추출한다. 산출부(135)는, 차량(10)마다 공차가 되는 시각과 장소로부터 짐싣기 장소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산출부(135)는, 예측 작업 시간과 산출한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차량(10)마다의 짐싣기 장소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산출부(135)는, 차량(10)마다 짐싣기 장소에 대한 현재 장소로부터의 도달 정확도를 산출한다. 산출부(135)는, 예컨대 배차 계획 처리나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의 이용 유무를 이용하여 도달 정확도를 산출한다. 도달 정확도는, 예컨대 배차 계획 처리와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의 소요 시간을 베이스라인으로 한다. 도달 정확도는, 예컨대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의 이용이 없는 경우, 베이스라인의 화물 처리와 시간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을 증가시킨 소요 시간으로 한다. 또한 도달 정확도는, 예컨대 배차 계획 처리의 이용이 없는 경우, 베이스라인의 소요 시간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비율을 증가시킨 소요 시간으로 한다. 도달 정확도의 소요 시간은, 예컨대 베이스라인이 소요 시간 60분이라고 하면,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의 이용이 없는 경우에는, 60분+30분=90분으로 한다. 또한, 도달 정확도의 소요 시간은, 예컨대 배차 계획 처리의 이용이 없는 경우에는, 60분+(60분×30%)=78분으로 한다. 또한, 도달 정확도의 소요 시간은, 예컨대 배차 계획 처리 및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의 이용이 없는 경우에는, 60분+30분+(60분×30%)=108분으로 한다.
도달 정확도는, 소요 시간의 표시 외에, 예컨대 별표 등을 이용한 복수 단계로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달 정확도가 높은 쪽이 별의 수를 많게 한다. 도달 정확도는, 예컨대 베이스라인을 별 3개, 운행 관리 시스템(20) 및 계류소 예약 시스템(40) 중 어느 하나의 이용이 없는 경우를 별 2개, 운행 관리 시스템(20) 및 계류소 예약 시스템(40) 양쪽의 이용이 없는 경우를 별 1개로 하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산출부(135)는 도달 부담도를 산출한다. 산출부(135)는, 예컨대 차량(10)마다, 기존의 운행 계획상의 최종 처리 장소로부터 구차 정보의 짐싣기 장소까지의 거리와 이동 시간을 곱셈한 값을 도달 부담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도달 부담도는, 도달 정확도와 마찬가지로, 별표 등을 이용한 복수 단계로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달 부담도가 가벼운 쪽이 별의 수를 많게 한다.
산출부(135)는, 구차 정보의 짐부리기 장소인 도착지와 차량(10)의 운행 계획의 목적지인 희망지에 기초하여, 차량(10)마다 도착지로부터 희망지까지의 부담도를 산출한다. 산출부(135)는, 예컨대 차량(10)마다, 구차 정보의 짐부리기 장소인 도착지로부터 차량(10)의 운행 계획의 목적지인 희망지까지의 거리와 이동 시간을 곱셈한 값을 부담도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부담도는, 도달 정확도와 마찬가지로, 별표 등을 이용한 복수 단계로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부담도가 가벼운 쪽이 별의 수를 많게 한다. 또한, 도달 정확도, 도달 부담도 및 부담도는, 짐싣기 시각에 짐싣기 장소에 도달할 수 있는 차량(10)을 산출 대상으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산출부(135)는, 짐싣기 또는 짐부리기 시각 이후에, 작업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차량(10)을, 부담도의 산출 대상으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산출부(135)는, 산출한 차량(10)마다의 짐싣기 장소까지의 소요 시간, 도달 정확도, 도달 부담도 및 부담도를 출력 제어부(136)에 출력한다.
바꿔 말하면, 산출부(135)는, 접수한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계류소를 경유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135)는, 취득한 예측 소요 시간과 산출한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135)는, 접수한 현재 위치와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135)는, 접수한 구차 정보에 포함되는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135)는, 경유지에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따른 도달 정확도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보정한다. 또한 산출부(135)는, 차량(10)마다, 현재의 장소에서 짐싣기 장소까지의 이동에 드는 시간과 거리로부터 짐싣기 장소에 대한 도달 정확도를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135)는, 차량(10)마다의 희망 방면을 나타내는 희망지를 기억한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를 참조하여, 차량(10)마다 도착지로부터 차량(10)의 희망지까지의 이동에 드는 시간 및/또는 거리로부터 값(부담도)을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135)는, 짐싣기 시각에 짐싣기 장소에 도달할 수 있는 차량을, 값(부담도)의 산출 대상으로 한다. 또한 산출부(135)는, 짐싣기 시각 이후에, 작업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차량(10)을, 값(부담도)의 산출 대상으로 한다.
출력 제어부(136)는, 산출부(135)로부터 소요 시간 정보가 입력되면, 통신부(110) 및 네트워크(N)를 통해, 입력된 소요 시간 정보를 운행 관리 시스템(20)에 송신한다.
출력 제어부(136)는, 산출부(135)로부터 차량(10)마다의 짐싣기 장소까지의 소요 시간, 도달 정확도, 도달 부담도 및 부담도가 입력되면, 도달 정확도, 도달 부담도 및 부담도에 따른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을 생성한다. 출력 제어부(136)는, 도달 정확도, 도달 부담도 및 부담도에 따라서 우선해야 할 차량을 결정하여,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에 반영시킨다. 즉, 출력 제어부(136)는 결정부의 일례이다.
출력 제어부(136)는, 취득부(134)로부터 목적지 또는 차적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목적지 또는 차적지를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에 반영시킨다. 출력 제어부(136)는, 통신부(110), 네트워크(N) 및 운행 관리 시스템(20)을 통해, 생성한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을 구화구차 시스템(30)에 송신한다.
바꿔 말하면, 출력 제어부(136)는, 취득한 예측 소요 시간과 산출한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출력한다. 또한 출력 제어부(136)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따른 도달 정확도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보정하여 출력한다. 또한 출력 제어부(136)는, 산출한 값에 따라서 우선해야 할 차량(10)을 결정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차량(10)의 표시 양태를 결정한다. 또한 출력 제어부(136)는, 산출한 도달 정확도에 따라서 우선해야 할 차량을 결정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차량(10)의 표시양태를 결정한다. 또한 출력 제어부(136)는, 차량(10)의 표시 양태를, 취득한 희망지를 포함한 표시 양태로 한다.
여기서, 도 6을 이용하여 소요 시간 산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소요 시간 산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예에서는, 차량(10)(T01)의 운행 계획은, 출발지 A로부터 계류소 B, C를 경유하여 차고 L로 향한다. 계류소 B, C의 예약은 각각 13:00, 15:00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계류소 B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을 이용하고 있지 않고, 계류소 C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종래의 운행 계획(60)에서는, 차량(10)(T01)은 여유를 가지고서 출발지 A를 11:00에 출발한다. 즉, 운행 계획(60)은 시간 신뢰성이 낮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운행 관리 시스템(20) 및 정보 처리 장치(100)를 이용한 운행 계획(61)에서는, 차량(10)(T01)은, 출발지 A로부터 계류소 B까지의 이동 시간이 60분이므로, 출발지 A를 12:00에 출발한다. 즉, 운행 계획(61)은 정확한 운행 계획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계류소 B에서는 작업에 지연이 발생하고 있어, 차량(10)(T01)은 13:30 현재 계류소 B 바로 앞에서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10)(T01)은 계류소 B에 있어서 14:00부터 짐부리기 작업을 시작한다. 운행 계획(61)에서는, 계류소 B, C 사이에서 60분 휴게 예정이지만, 계류소 B에서의 1시간의 지연을 만회하기 위해서, 차량(10)(T01)은, 휴게를 계류소 B 바로 앞으로 당겨, 계류소 B부터 계류소 C까지 30분에 도착한다.
차량(10)(T01)이 계류소 B에서 계류소 C로 향하고 있는 도중에, 구화구차 시스템(30)이 구차 정보 K1을 접수한다고 하자. 구차 정보 K1은, 16:00에 계류소 X에서 짐싣기(사과)를 하고, 계류소 Y에 17:00에 도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계류소 X, Y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을 이용하고 있다고 하자.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T01)의 현재 장소 및 운행 계획에 기초하여, 계류소 C에서의 짐부리기 작업이 종료되면, 차량(10)(T01)이 공차가 된다고 판정한다. 또한, 계류소 C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화물 처리와 시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의 현재 장소는, 구차 정보 K1에서 보면 출발지라고도 말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구차 정보 K1의 운행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T01)의 계류소 C로부터 계류소 X, 계류소 X로부터 계류소 Y 및 계류소 Y로부터 차고 L의 각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으로부터 계류소 X, Y에서의 예측 작업 시간을 취득한다. 도 6의 예에서는, 각 이동 시간은 30분으로 산출하고, 계류소 X, Y에서의 예측 작업 시간으로서 각각 30분을 취득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측 작업 시간과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차량(10)(T01)의 계류소 C를 출발하고 나서 계류소 X, Y를 경유하여 차고 L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T01)의 기존의 운행 계획과, 구차 정보 K1의 운행 계획 정보와, 산출한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새로운 운행 계획인 소요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생성한 소요 시간 정보를 운행 관리 시스템(20), 구화구차 시스템(30) 및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에 송신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는, 화물 처리를 포함하는 정확한 시간에 기초하여 새로운 운행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은, 수신한 소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계류소 X, Y의 예약을 행한다. 또한,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은, 수신한 소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계류소 X, Y의 예약을 행하도록 수송 사업자의 배차계나 운전사에게 연락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구차 정보 K1을 접수할 때에, 계류소 Y와 차량(10)(T01)의 희망 방면인 차고 L과의 근린성을 분석하여, 예컨대 반대 방향인 경우에는 접수하지 않는 제어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0)는 물류 생산성이나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구차 정보에 대한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선택 화면(62)에는, 예컨대 구차 정보에 대한 후보 차량(10)(T05∼T07)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선택 화면(62)에는, 차량(10)(T05∼T07)에 관해서 각각 짐싣기 장소(63)로 향한 경우의 인수 가능 시각, 도달 정확도, 차량 정보 및 요금이 표시된다. 선택 화면(62)의 예에서는, 차량(10)(T06)의 도달 정확도가 별 3개로 가장 높고, 또한 소요 시간도 45분으로 가장 짧기 때문에, 우선해야 할 차량이 차량(10)(T06)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희망지를 고려한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선택 화면(64)에는, 예컨대 선택 화면(62)과 마찬가지로, 구차 정보에 대한 후보 차량(10)(T05∼T07)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선택 화면(64)에는, 짐부리기 장소(65)와, 차량(10)(T05∼T07)의 각각의 희망 방면 또는 차적지인 목적지(66∼68)가 표시된다. 또한 선택 화면(64)에는, 차량(10)(T05∼T07)에 관해서, 각각 짐싣기 장소(63)로 향한 경우의 인수 가능 시각, 희망 방면 및 부담도, 도달 정확도 및 도달 부담도, 차량 정보 및 요금이 표시된다.
선택 화면(64)의 예에서는, 차량(10)(T05)은, 짐부리기 장소(65)로부터 목적지(66)까지의 부담도가 별 2개로 후보인 3대의 차량(10) 중 중간 정도이다. 또한 차량(10)(T05)은, 현재 장소로부터 짐싣기 장소(63)까지의 도달 정확도는 별 1개로 가장 낮고, 소요 시간은 85분으로 가장 길고, 도달 부담도는 3400으로 가장 높다. 여기서 도달 부담도는, 예컨대 차량(10)(T05)의 현재 장소로부터 짐싣기 장소(63)까지의 거리 40 km와 소요 시간 85분을 곱셈한 것이다. 차량(10)(T06)은, 짐부리기 장소(65)로부터 목적지(67)까지의 부담도가 별 1개로 가장 높지만, 현재 장소로부터 짐싣기 장소(63)까지의 도달 정확도는 별 3개로 가장 높고, 소요 시간은 45분으로 가장 짧고, 도달 부담도는 900으로 가장 낮다. 여기서 도달 부담도는, 예컨대 차량(10)(T06)의 현재 장소로부터 짐싣기 장소(63)까지의 거리 20 km와 소요 시간 45분을 곱셈한 것이다.
차량(10)(T07)은, 짐부리기 장소(65)로부터 목적지(68)까지의 부담도가 별 3개로 가장 낮고, 현재 장소로부터 짐싣기 장소(63)까지의 도달 정확도가 별 2개, 소요 시간은 65분, 도달 부담도는 1950으로 후보인 3대의 차량(10) 중 중간 정도이다. 여기서 도달 부담도는, 예컨대 차량(10)(T07)의 현재 장소로부터 짐싣기 장소(63)까지의 거리 30 km와 소요 시간 65분을 곱셈한 것이다. 선택 화면(64)의 예에서는, 희망 방면으로의 부담도가 가장 낮고, 도달 정확도가 중간 정도인 차량(10)(T07)을 우선해야 할 차량(10)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부담도가 같은 정도인 경우에는, 거리가 짧은 쪽의 차량(10)을 우선으로 함과 더불어, 짐부리기 장소에서 목적지로 되꺾는 경로가 되는 차량(10)에 관해서는 우선도를 내린다. 또한, 인수 가능 시각을 우선시키는 경우에는, 차량(10)(T06)을 우선해야 할 차량(10)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요금을 우선시키는 경우에는, 차량(10)(T05)을 우선해야 할 차량(10)으로 하여도 좋다.
이어서,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10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9를 이용하여 소요 시간 산출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의 소요 시간 산출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접수부(131)는,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운행 계획 정보 및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수신하여 접수한다(단계 S1). 접수부(131)는, 접수한 운행 계획 정보를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에 기억한다. 접수부(131)는, 소요 시간 산출 의뢰에 따라서 제1 판정 지시를 제1 판정부(132)에 출력한다.
제1 판정부(132)는, 접수부(131)로부터 제1 판정 지시가 입력되면, 경유지에서의 작업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 제1 판정부(132)는, 경유지에서의 작업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2: 부정), 이동 시간 산출 지시를 산출부(135)에 출력하고,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제1 판정부(132)는, 경유지에서의 작업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2: 긍정), 제2 판정 지시를 제2 판정부(133)에 출력한다.
제2 판정부(133)는, 제1 판정부(132)로부터 제2 판정 지시가 입력되면, 취득한 계류소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계류소에 대응하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 제2 판정부(133)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3: 긍정), 그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에 대한 조회 지시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취득부(134)는, 제2 판정부(133)로부터 조회 지시가 입력되면, 예측 작업 시간의 조회를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에 송신한다. 취득부(134)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으로부터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을 수신하여 취득한다(단계 S4). 취득부(134)는 취득한 예측 작업 시간을 산출부(135)에 출력한다.
한편, 제2 판정부(133)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3 :부정), 취득 지시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취득부(134)는, 제2 판정부(133)로부터 취득 지시가 입력되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 및 작업 시간 기억부(122)를 참조하여,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을 취득한다(단계 S5). 취득부(134)는 취득한 예측 작업 시간을 산출부(135)에 출력한다.
산출부(135)는, 접수부(131)가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한 경우에 취득부(134)로부터 예측 작업 시간이 입력되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 및 실적 기억부(123)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135)는, 제1 판정부(132)로부터 이동 시간 산출 지시가 입력되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 및 실적 기억부(123)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단계 S6).
산출부(135)는, 입력된 예측 작업 시간과 산출한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계류소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단계 S7). 산출부(135)는, 산출한 소요 시간과 운행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소요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산출부(135)는, 생성한 소요 시간 정보를 소요 시간 기억부(124)에 기억함과 더불어 출력 제어부(136)에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136)는, 산출부(135)로부터 소요 시간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소요 시간 정보를 운행 관리 시스템(20)에 송신한다(단계 S8).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의 도달 시각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의 이동 시간에 더하여, 계류소의 소요 시간(작업 시간)도 고려함으로써, 차량(10)의 도달 시각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10을 이용하여 구차 접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의 구차 접수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접수부(131)는,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를 수신하여 접수한다(단계 S11). 접수부(131)는, 접수한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를 제2 판정부(133)에 출력한다.
제2 판정부(133)는, 접수부(131)로부터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가 입력되면, 구차 정보로부터 계류소의 정보를 취득한다. 제2 판정부(133)는, 취득한 계류소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계류소에 대응하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2). 제2 판정부(133)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12: 긍정), 그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에 대한 조회 지시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또한 제2 판정부(133)는,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취득부(134)는, 제2 판정부(133)로부터 조회 지시가 입력되면, 예측 작업 시간의 조회를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에 송신한다. 취득부(134)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으로부터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을 수신하여 취득한다(단계 S13). 취득부(134)는 취득한 예측 작업 시간을 산출부(135)에 출력한다.
한편, 제2 판정부(133)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 S12: 부정), 취득 지시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또한 제2 판정부(133)는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를 취득부(134)에 출력한다. 취득부(134)는, 제2 판정부(133)로부터 취득 지시가 입력되면,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 및 작업 시간 기억부(122)를 참조하여, 계류소의 예측 작업 시간을 취득한다(단계 S14). 취득부(134)는 취득한 예측 작업 시간을 산출부(135)에 출력한다.
또한 취득부(134)는, 제2 판정부(133)로부터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가 입력된 경우, 운행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차량(10)마다의 현재 장소 및 운행 계획을 취득한다(단계 S15). 취득부(134)는,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와 차량(10)마다의 현재 장소 및 운행 계획을 산출부(135)에 출력한다.
산출부(135)는, 취득부(134)로부터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와, 예측 작업 시간과, 차량(10)마다의 현재 장소 및 운행 계획이 입력되면, 구차 정보의 운행 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마다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단계 S16). 산출부(135)는, 예측 작업 시간과 산출한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차량(10)마다의 짐싣기 장소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단계 S17).
산출부(135)는, 차량(10)마다 짐싣기 장소에 대한 현재 장소로부터의 도달 정확도 및 도달 부담도를 산출한다(단계 S18). 또한 산출부(135)는, 구차 정보와 차량(10)의 운행 계획에 기초하여, 차량(10)마다 도착지로부터 희망지까지의 부담도를 산출한다(단계 S19). 산출부(135)는, 산출한 차량(10)마다의 짐싣기 장소까지의 소요 시간, 도달 정확도, 도달 부담도 및 부담도를 출력 제어부(136)에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136)는, 산출부(135)로부터 차량(10)마다의 짐싣기 장소까지의 소요 시간, 도달 정확도, 도달 부담도 및 부담도가 입력되면, 도달 정확도, 도달 부담도 및 부담도에 따른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을 생성한다(단계 S20). 출력 제어부(136)는, 생성한 후보 차량의 선택 화면을 구화구차 시스템(30)에 송신한다(단계 S21).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0)는 희망지를 고려한 차량 선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의 행선지를 고려한, 수송 사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차 접수 처리에 있어서 구화 정보 및 구차 정보를 접수했지만, 구화 정보를 접수하지 않고 구차 정보를 접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의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운행 관리 시스템(20))로부터, 차량(10)의 운행 계획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차량(10)의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수한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 짐싣기 및 짐부리기의 작업중 하나 이상의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작업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작업을 행하는 계류소에 대응하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계류소에서의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는 요구를 송신하여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사전에 등록해 둔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수한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계류소를 경유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취득한 예측 소요 시간과 산출한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출력한다. 그 결과,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의 도달 시각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운행 관리 시스템(20))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접수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수한 현재 위치와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그 결과,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의 현재 장소에 기초하여 도달 시각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차량(10)에 대한 구차 정보를 접수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수한 구차 정보에 포함되는 계류소의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수한 구차 정보에 포함되는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그 결과,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수한 구차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10)의 도달 시각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따른 도달 정확도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보정하여 출력한다. 그 결과, 정보 처리 장치(100)는, 계류소 예약 시스템(4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에 시간적인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각 부의 각 구성 요소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각 부의 분산·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나 사용 상황등에 따라서,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산출부(135)와 출력 제어부(136)를 통합하여도 좋다. 또한, 도시한 각 처리는 상기 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처리 내용을 모순되게 하지 않는 범위에서 동시에 실시하여도 좋고, 순서를 바꿔 실시하여도 좋다.
또한, 각 장치에서 행해지는 각종 처리 기능은, CPU(또는 MPU,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의 마이크로컴퓨터) 상에서, 그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각종 처리 기능은, CPU(또는 MPU, MCU 등의 마이크로컴퓨터)에서 해석 실행되는 프로그램 상 또는 와이어드 로직에 의한 하드웨어 상에서, 그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그런데,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종 처리는,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상기한 각 실시예와 같은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은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컴퓨터(200)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201)와, 데이터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202)와, 모니터(203)를 갖는다. 또한 컴퓨터(200)는,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등을 읽어내는 매체 판독 장치(204)와, 각종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205)와,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등과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통신 장치(206)를 갖는다. 또한 컴퓨터(200)는, 각종 정보를 일시 기억하는 RAM(207)과 하드디스크 장치(208)를 갖는다. 또한, 각 장치(201∼208)는 계류소(209)에 접속된다.
하드디스크 장치(208)에는, 도 2에 도시한 접수부(131), 제1 판정부(132), 제2 판정부(133), 취득부(134), 산출부(135) 및 출력 제어부(136)의 각 처리부와 같은 기능을 갖는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또한, 하드디스크 장치(208)에는,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121), 작업 시간 기억부(122), 실적 기억부(123), 소요 시간 기억부(124) 및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기억된다. 입력 장치(202)는 예컨대 컴퓨터(200)의 사용자로부터 조작 정보 등의 각종 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모니터(203)는, 예컨대 컴퓨터(200)의 사용자에 대하여 표시 화면 등의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 장치(205)는 예컨대 인쇄 장치 등이 접속된다. 통신 장치(206)는,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통신부(110)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서 네트워크(N)과 접속되어, 차량(10), 운행 관리 시스템(20), 구화구차 시스템(30) 및 계류소 예약 시스템(40) 등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각종 정보를 주고 받는다.
CPU(201)는, 하드디스크 장치(208)에 기억된 각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RAM(207)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들 프로그램은, 컴퓨터(200)를 도 2에 도시한 접수부(131), 제1 판정부(132), 제2 판정부(133), 취득부(134), 산출부(135) 및 출력 제어부(136)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은 반드시 하드디스크 장치(208)에 기억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컨대, 컴퓨터(200)가 읽어들일 수 있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컴퓨터(200)가 읽어내어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컴퓨터(200)가 읽어들일 수 있는 기억 매체는, 예컨대 CD-ROM이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의 휴대형 기록 매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대응한다. 또한, 공중회선, 인터넷, LAN 등에 접속된 장치에 이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두고서, 컴퓨터(200)가 이들로부터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1: 매칭 시스템 10: 차량
20: 운행 관리 시스템 30: 구화구차 시스템
40: 계류소 예약 시스템 100: 정보 처리 장치
110: 통신부 120: 기억부
121: 운행 계획 정보 기억부 122: 작업 시간 기억부
123: 실적 기억부 124: 소요 시간 기억부
130: 제어부 131: 접수부
132: 제1 판정부 133: 제2 판정부
134: 취득부 135: 산출부
136: 출력 제어부 N: 네트워크

Claims (6)

  1. 차량의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계획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상기 차량의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하는 처리,
    접수한 상기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 짐싣기 및 짐부리기 작업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상기 작업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작업을 행하는 계류소(Berth)를 나타내는 정보에서, 해당 계류소에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유지 정보로부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계류소에서의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는 요구를 송신하여 상기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고,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사전에 등록해 둔 상기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는 처리,
    접수한 상기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소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처리,
    취득한 상기 예측 소요 시간과 산출한 상기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출력하되,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계류소에서의 평균적인 작업 시간에 대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미리 정해진 비율을 증가시켜, 상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처리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하는 처리는, 상기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로부터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접수하고,
    상기 산출하는 처리는, 접수한 상기 현재 위치와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하는 처리는, 상기 차량에 대한 구차(求車) 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취득하는 처리는, 접수한 상기 구차 정보에 포함되는 계류소의 상기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고,
    상기 산출하는 처리는, 접수한 상기 구차 정보에 포함되는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4. 차량의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계획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상기 차량의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하는 처리,
    접수한 상기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 짐싣기 및 짐부리기의 작업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상기 작업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작업을 행하는 계류소를 나타내는 정보에서, 해당 계류소에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유지 정보로부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계류소에서의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는 요구를 송신하여 상기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고,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사전에 등록해 둔 상기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는 처리,
    접수한 상기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소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처리,
    취득한 상기 예측 소요 시간과 산출한 상기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출력하되,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계류소에서의 평균적인 작업 시간에 대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미리 정해진 비율을 증가시켜, 상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처리
    를 컴퓨터가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요 시간 산출 방법.
  5. 차량의 운행 관리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로부터, 상기 차량의 운행 계획 정보와, 목적지까지의 상기 차량의 소요 시간 산출 의뢰를 접수하는 접수부와,
    접수한 상기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 짐싣기 및 짐부리기의 작업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작업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작업을 행하는 계류소를 나타내는 정보에서, 해당 계류소에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유지 정보로부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와,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계류소에서의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는 요구를 송신하여 상기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고,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사전에 등록해 둔 상기 예측 소요 시간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접수한 상기 운행 계획 정보를 참조하여, 과거의 실적에 기초하여 출발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계류소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취득한 상기 예측 소요 시간과 산출한 상기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출력하되, 상기 계류소 예약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계류소에서의 평균적인 작업 시간에 대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미리 정해진 비율을 증가시켜, 상기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
  6. 삭제
KR1020190048290A 2018-05-31 2019-04-25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 KR102267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5552A JP7139694B2 (ja) 2018-05-31 2018-05-31 所要時間算出プログラム、所要時間算出方法および所要時間算出システム
JPJP-P-2018-105552 2018-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23A KR20190136923A (ko) 2019-12-10
KR102267527B1 true KR102267527B1 (ko) 2021-06-18

Family

ID=6873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290A KR102267527B1 (ko) 2018-05-31 2019-04-25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39694B2 (ko)
KR (1) KR102267527B1 (ko)
CN (1) CN110555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19894B (zh) * 2022-01-30 2022-12-27 公安部道路交通安全研究中心 一种路内停车泊位设置与使用监测的方法与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221A (ja) * 2002-02-14 2003-08-29 J & K Logistics Kk 荷物運送調整システム
JP2007191296A (ja) * 2006-01-20 2007-08-02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幹線物流網スケジュール作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8946A (ja) * 2008-05-28 2009-12-10 Fujitsu Fsas Inc 配送応答システム、配送応答方法および配送応答プログラム
JP5445799B2 (ja) * 2012-03-05 2014-03-19 鉄道情報システム株式会社 配送計画提案プログラム、配送計画提案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配送計画提案方法。
US20140122155A1 (en) * 2012-10-29 2014-05-01 Wal-Mart Stores, Inc. Workforce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JP6145843B2 (ja) * 2013-04-30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
JP6123605B2 (ja) * 2013-09-20 2017-05-1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流システム
JP6162294B1 (ja) 2016-07-08 2017-07-12 日本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協同組合連合会 求車求荷情報表示装置、求車求荷情報表示方法、プログラム、求車求荷情報提供サーバ及び求車求荷情報提供システム
CN106228840B (zh) * 2016-08-04 2017-07-07 浙江志诚软件有限公司 一种停车管理系统
CN107170285B (zh) * 2017-06-23 2019-09-10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预约停车泊位的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221A (ja) * 2002-02-14 2003-08-29 J & K Logistics Kk 荷物運送調整システム
JP2007191296A (ja) * 2006-01-20 2007-08-02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幹線物流網スケジュール作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55646A (zh) 2019-12-10
JP2019211872A (ja) 2019-12-12
CN110555646B (zh) 2023-05-26
JP7139694B2 (ja) 2022-09-21
KR20190136923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8555A1 (en) Systems for routing and controlling vehicles for freight
US10586301B2 (e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method
US11875422B2 (en) Baggage transportation using autonomous vehicle
KR20190136921A (ko) 차량 후보 표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차량 후보 표시 방법 및 차량 후보 표시 시스템
KR102100249B1 (ko) 화물배차 처리 장치
US20210248911A1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management method
EP3809392A1 (en) Pick-up/drop-off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pick-up/drop-off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pick-up/drop-off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CN113096375B (zh) 车辆调度方法及系统、以及主控制设备
JP2019117461A (ja) サーバ装置および配車方法
JP6279631B2 (ja) 輸送物の輸送システム及び輸送方法
KR102267527B1 (ko)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
JP7103261B2 (ja) 配車装置および配車方法
CN109523179B (zh) 车队管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CN111695849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存储信息处理程序的存储介质
JP6634551B2 (ja) 車両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車両情報管理方法
JP2019185334A (ja) 情報処理装置、相乗り提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75389A (ja) 相乗り支援システム、相乗り支援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CN114424220A (zh) 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US20200327493A1 (en) Cargo handling place reservation system
US202302523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3260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4550481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以及存储介质
WO2024057714A1 (ja) 配車装置、配車システム及び配車方法
US2024007058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2216279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