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249B1 - 화물배차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배차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249B1
KR102100249B1 KR1020180057940A KR20180057940A KR102100249B1 KR 102100249 B1 KR102100249 B1 KR 102100249B1 KR 1020180057940 A KR1020180057940 A KR 1020180057940A KR 20180057940 A KR20180057940 A KR 20180057940A KR 102100249 B1 KR102100249 B1 KR 102100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freight
order
location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862A (ko
Inventor
최형철
임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엘피
Priority to KR1020180057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249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배차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의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제공하는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상차지와 연관되고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더 포함하는 화물배차 주문을 수신하는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 및 전자 지도 상에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상차지의 위치에 상기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표현하고, 상기 화물차의 위치와 상기 상차지 간에 이동 소요시간을 더 표현하는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네비게이션 지도에 화물배차 주문을 표시하여 효율적인 화물배차 처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화물배차 처리 장치{APPARATUS OF PROCESSING ALLOCATION OF THE FREIGHT CARS}
본 발명은 화물배차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네비게이션 지도에 화물배차 주문을 표시하여 효율적인 화물배차 처리가 가능한 화물배차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운송시장에서 용차를 사용하는 구조는 화주, 주선사, 콜센터 및 차주(화물차)가 순서대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IT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시장은 콜센터에서 차주로 넘어가는 부분이며, 종래 화물배차 시장의 문제점은 차주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상관없이 차주가 주선사에게 배차된 일을 본인이 운송하겠다고 하면 화물운송이 성사되어 진행된다는 점이다. 화주가 원하는 상차시간과 상관없이 차주가 무리해서 화물운송을 성사시키기 때문에 화물운송 처리에 있어서 시간적인 부정확성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차주 개인에게는 유류비용 증가를 가져오며, 국가적으로는 디젤엔진인 화물차에서 배출되는 CO2의 증가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05516(2002.01.17)호는 화물운송 자동배차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 인터넷을 활용한 화물운송중개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으로 배차를 실시하고, 그 수수료를 부과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화물을 운송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중간과정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물류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수수료부과 및 실적에 따른 금액의 배분이 실적에 따라 합리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3079(2013.02.06)호는 통합 온라인 화물배차 서비스시스템과 화물배차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상에 화주가 배차요청등록이 가능하도록 하며, 개인화주와 개인차주를 직접 연결하여 배차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차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운송주선사업자의 과도한 요금을 배제하여 개인화주의 물류비용을 감소하고, 직접 대규모 화물운송 요청이 상당한 대규모 업체의 화주 뿐만 아니라 일회성 배차요청을 수행하는 화주에게도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가능한 온라인 화물배차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05516(2002.01.1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3079(2013.02.0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네비게이션 지도에 화물배차 주문을 표시하여 효율적인 화물배차 처리가 가능한 화물배차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화물배차 주문의 밀집도를 기초로 네비게이션 지도의 스케일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주변 화물배차 주문의 현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네비게이션 지도 상에서 선택된 화물배차 주문에 대해 화물차의 크기를 기초로 주행 가능한 도로만으로 구성된 최적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배차 처리 장치는 화물차의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제공하는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상차지와 연관되고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더 포함하는 화물배차 주문을 수신하는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 및 전자 지도 상에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상차지의 위치에 상기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표현하고, 상기 화물차의 위치와 상기 상차지 간에 이동 소요시간을 더 표현하는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는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 특정 이동 소요시간 및 행정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특정 지역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는 상기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상차지와 연관되고 상기 하차지, 상기 화물용량 및 상기 화물차의 위치와 상기 상차지 간에 이동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더 만족하는 상기 화물배차 주문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는 상기 전자 지도 상에 상기 화물배차 주문과 연관된 화물 품목에 따라 변화하는 화물 아이콘을 표현하고 상기 화물 아이콘 위에 상기 하차지, 상기 화물용량 및 상기 이동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는 상기 화물차의 과거 배차기록을 학습하여 상기 화물 아이콘 중에서 상기 화물차가 선호하는 화물 품목과 연관된 화물 아이콘을 선별하고 상기 화물 아이콘의 나머지와 구별되도록 표현할 수 있다.
상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는 상기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된 화물배차 주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상기 화물배차 주문에 관한 세부정보 및 상기 화물차의 위치로부터 선택된 상기 화물배차 주문의 상차지까지로의 최적경로를 더 표현할 수 있다.
상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는 상기 화물차의 길이,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화물차의 주행이 가능한 도로만을 이용하는 경로를 상기 최적경로로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는 상기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된 화물배차 주문 중 복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복수의 화물배차 주문들에 관한 세부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물차의 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화물배차 주문들 모두의 처리를 위한 상기 최적경로를 더 표현할 수 있다.
상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상기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 화물배차 주문의 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전자 지도의 스케일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배차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화물배차 주문의 밀집도를 기초로 네비게이션 지도의 스케일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주변 화물배차 주문의 현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배차 처리 장치는 네비게이션 지도 상에서 선택된 화물배차 주문에 대해 화물차의 크기를 기초로 주행 가능한 도로만으로 구성된 최적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배차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물배차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 및 5는 도 2에 있는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에서 전자 지도 상에 화물배차 주문을 표현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배차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배차 처리 시스템(100)은 화물배차 장치(110),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 및 차량관제 장치(150)을 포함할 수 있다.
화물배차 장치(110)는 복수의 화물배차 주문 장치(도면에 미도시됨)들로부터 화물배차 주문을 수신할 수 있고 차량관제 장치(150)로부터 제공받은 차량관제 정보들을 이용하여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에 화물배차 주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화물배차 장치(110)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화물배차 주문은 화물배송을 원하는 화주들이 화물배송을 처리할 화물차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하고 화물배차 주문을 통해 화물배송과 관련된 정보들을 화물배차 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화물배송과 관련된 정보는 화물배차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차지/하차지 정보, 차량톤수 정보 및 차량종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관제 정보는 차량관제와 관련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관제 장치(150)에 등록된 화물차 정보, 화물배송 중인 화물차 정보 및 화물배송 대기중인 화물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는 화물배차 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화물배차 주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지도에 화물배차 주문을 표시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는 화물배차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는 화물배차 장치(11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관제 장치(150)는 화물차로 등록된 차량들을 관제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관제 장치(150)는 등록된 화물차들의 운행기록을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고, 운행 현황이나 주행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차량운행을 지원할 수 있다. 차량관제 장치(150)는 화물배차 장치(110)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화물배차 장치(1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장치(110) 및 차량관제 장치(150)는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고, 각각의 장치가 독립적인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장치가 독립적인 별개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 화물배차 장치(110) 및 차량관제 장치(150)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화물배차 장치(110) 및 차량관제 장치(150)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고, 각각의 장치가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장치가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현된 경우 화물배차 장치(110) 및 차량관제 장치(150)는 상호 간의 동기화를 통해 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는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210),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210)는 화물차의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화물배차 요청은 화물배차 주문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고, 화물배차 장치(110)는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210)가 제공한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존재하는 화물배차 주문들을 추출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2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수신한 위치를 화물차의 위치로서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210)는 GPS 센서를 통해 획득한 위치정보를 화물배차 요청과 함께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210)는 임의의 위치정보를 화물차의 위치로서 화물배차 장치(110)에 제공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서의 화물배차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210)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가 최초로 동작하는 경우 현재의 GPS 정보와 함께 자동으로 화물배차 요청을 제공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화물배차 주문을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210)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에서 화물배차 처리와 관련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현재의 GPS 정보와 함께 자동으로 화물배차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는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상차지와 연관되고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더 포함하는 화물배차 주문을 수신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는 화물배차 장치(110)가 제공하는 화물배차 주문 중에서 화물차의 위치와 연관된 화물배차 주문을 선별하여 수신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은 화물배차와 관련된 주문 정보를 포함하고 화물배차 주문 장치에서 입력된 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배차 주문은 상차지, 하차지, 상차시간, 하차시간, 차량종류, 차량톤수, 운송요금, 화물종류, 운송종류, 상차방법 및 하차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는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 특정 이동 소요시간 및 행정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지역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는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 이내의 원형 영역을 특정 지역 범위로서 결정할 수 있고, 화물차의 위치에서 특정 시간동안 이동할 수 있는 거리 이내의 원형 영역을 특정 지역 범위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는 화물차의 위치를 포함하는 행정구역을 특정 지역 범위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차의 위치가 서울시의 '여의도'인 경우 '서울시' 또는 '영등포구'를 특정 지역 범위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는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는 거리 반경 내의 범위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50066741-pat00001
여기에서, R은 거리 반경을, S는 기준 거리를, k는 비례 상수를, W는 화물톤수를, T는 주변 화물배차 주문 중에서 가장 빠른 상차시간까지의 여유 시간을, J는 주변 도로의 교통혼잡도를 나타낸다. 거리 반경 R 및 기준 거리 S는 km 단위를 사용하고, 화물톤수 W는 kg 단위를 사용하며, 여유 시간 T는 min(분) 단위를 사용할 수 있다. 교통혼잡도 J는 주변 도로의 교통 혼잡 정도에 따라 1부터 10까지의 단계로 결정되는 교통 혼잡 지수에 해당할 수 있고, J가 10인 경우 주변 도로의 교통이 가장 혼잡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거리 반경교통혼잡도 J가 1부터 5인 경우 거리 반경 R은 기준 거리 S보다 크고(덧셈 연산 수행), J가 6부터 10인 경우 거리 반경 R은 기준 거리 S보다 짧다(뺄셈 연산 수행).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는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되는 거리 반경 내의 범위를 포함하는 특정 지역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50066741-pat00002
여기에서, W1, W2, W3은 가중치를 나타내고, W1 + W2 + W3 = 1이다. 거리 반경 R은 기준 거리 S에서 화물톤수 W, 주변 화물배차 주문 중에서 가장 빠른 상차시간까지의 여유 시간 T 및 주변 도로의 교통혼잡도 J의 가중합을 더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는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상차지와 연관되고 하차지, 화물용량 및 화물차의 위치와 상차지 간에 이동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더 만족하는 화물배차 주문을 수신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는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지역 범위를 결정하고 해당 특정 지역 범위와 연관된 화물배차 주문을 수신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상차지와 연관되고 미리 설정된 하차지, 화물용량 또는 화물차의 위치와 상차지 간에 이동 소요시간 조건을 충족하는 화물배차 주문만을 선별하여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는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상차지와 연관되고, 하차지, 상차시간, 하차시간, 차량종류, 차량톤수, 운송요금, 화물종류, 운송종류, 상차방법 및 하차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더 만족하는 화물배차 주문을 선별하여 수신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전자 지도 상에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상차지의 위치에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표현하고, 화물차의 위치와 상차지 간에 이동 소요시간을 더 표현할 수 있다. 전자 지도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도에 해당할 수 있고,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전자 지도 위에 화물차의 위치 뿐만 아니라 상차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상차지의 위치에 해당 상차지와 연관된 화물배차 주문의 세부내용을 추가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차의 위치와 상차지 간의 거리를 기초로 이동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이동 소요시간 산출을 위해 해당 시점에서의 주변 교통상황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전자 지도 상에 화물배차 주문과 연관된 화물 품목에 따라 변화하는 화물 아이콘을 표현하고 화물 아이콘 위에 하차지, 화물용량 및 이동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 품목에 따라 화물 아이콘을 다르게 표현함으로써 직관적으로 화물 품목을 파악할 수 있고, 원하는 화물배차 주문을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 아이콘 위에 하차지 뿐만 아니라, 상차시간, 하차시간, 차량종류, 차량톤수, 운송요금, 화물종류, 운송종류, 상차방법 및 하차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차의 과거 배차기록을 학습하여 화물 아이콘 중에서 화물차가 선호하는 화물 품목과 연관된 화물 아이콘을 선별하고 화물 아이콘의 나머지와 구별되도록 표현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차의 과거 배차기록을 학습하여 선호 화물 품목과 비선호 화물 품목을 결정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선호 화물 품목과 연관된 화물 아이콘은 다른 화물 품목의 화물 아이콘과 구별되도록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차의 위치 및 과거 배차기록으로 된 학습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고, 학습 모델에 현재 화물차의 위치를 입력하여 해당 위치에서 가장 선호되는 화물 품목을 결과로서 획득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학습 결과로서 얻은 해당 위치에서의 선호 화물 품목과 연관된 화물 아이콘을 다른 화물 아이콘과 구별되도록 전자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된 화물배차 주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화물배차 주문에 관한 세부정보 및 화물차의 위치로부터 선택된 화물배차 주문의 상차지까지로의 최적경로를 더 표현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배차 주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해당 화물배차 주문에 관한 세부 정보를 전자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고 세부 정보에 관한 팝업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현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전자 지도 상에 선택된 화물배차 주문의 상차지를 표현할 수 있고, 현재의 화물차 위치로부터 상차지까지의 최적경로를 함께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현재의 화물차 위치로부터 상차지까지 존재하는 다양한 경로를 전자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고, 각 경로별로 이동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경로와 함께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된 화물배차 주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화물배차 주문에 관한 세부정보, 선택된 화물배차 주문과 연관된 담당자 리스트 및 해당 담당자와의 전화 연결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된 화물배차 주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화물배차 주문과 연관된 주선사 또는 상차지 담당자에게로의 전화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차의 길이,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화물차의 주행이 가능한 도로만을 이용하는 경로를 최적경로로서 표현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차의 너비보다 좁은 도로가 존재하는 경로, 화물차의 높이보다 낮은 터널을 통과해야 하는 경로 등 화물차의 크기로 인해 통행이 불가능한 도로를 통과해야 하는 경로는 사전에 제거한 후 최적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된 화물배차 주문 중 복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복수의 화물배차 주문들에 관한 세부정보를 기초로 화물차의 위치로부터 복수의 화물배차 주문들 모두의 처리를 위한 최적경로를 더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복수의 화물배차 주문들의 상차시간이 상이하고 제1 화물배차 주문의 하차지 인근에 제2 화물배차 주문의 화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화물배차 주문을 먼저 처리하고 그 다음 순서로 제2 화물배차 주문을 처리하도록 경로를 생성하여 전자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존재하는 화물배차 주문의 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전자 지도의 스케일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매우 넓은 지역의 지도 및 화물배차 주문을 표현하기 위하여 많은 연산이 소모되기 때문에 전자 지도의 스케일을 줄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특정 지역 범위 내에 너무 많은 화물배차 주문이 밀집되어 있어 화물배차 주문의 밀집도가 높은 경우에는 전자 지도의 스케일을 줄여 화물배차 주문을 원활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존재하는 화물배차 주문의 밀집도 및 화물배차 주문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전자 지도의 스케일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선호도는 과거 화물배차 기록을 학습한 결과로서 출력되는 해당 화물차가 선호하는 화물배차 주문의 상차지, 하차지, 상차시간, 하차시간, 차량종류, 차량톤수, 운송요금, 화물종류, 운송종류, 상차방법 및 하차방법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배차 주문의 선호도와 관련하여 해당 시간에 선호하는 화물종류와 관련된 화물배차 주문을 선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존재하는 선별된 해당 화물배차 주문의 밀집도를 기초로 전자 지도의 스케일을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선호되는 화물배차 주문에 관한 정보를 전자 지도를 통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차의 위치 및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화물배차 주문의 상차지의 위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표현된 지역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는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내의 지역을 디스플레이에 표현할 수 있지만, 화물차의 위치 및 화물배차 주문의 상차지의 위치를 고려하여 화물차의 위치 및 상차지가 모두 표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지역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 및 5에서 현재 화물차의 위치(410)가 디스플레이의 중심이 아닌 중심으로부터 위쪽 방향에 위치하도록 전자 지도가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210),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 및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물배차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는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210)를 통해 화물차의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10).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는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230)를 통해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상차지와 연관되고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더 포함하는 화물배차 주문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30).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는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를 통해 전자 지도 상에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상차지의 위치에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표현하고, 화물차의 위치와 상차지 간에 이동 소요시간을 더 표현할 수 있다(단계 S350).
도 4 및 5는 도 2에 있는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에서 전자 지도 상에 화물배차 주문을 표현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는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를 통해 현재 화물차의 위치(410)에서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존재하는 화물배차 주문들을 전자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다.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는 특정 화물배차 주문의 상차지의 위치(450)에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표현할 수 있고, 현재 화물차의 위치(410)와 상차지의 위치(450) 간에 이동 소요시간(430)을 산출하여 더 표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물배차 처리 장치(130)는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를 통해 전자 지도 상에 화물배차 주문과 연관된 화물 품목에 따라 변화하는 화물 아이콘(510)을 표현하고 화물 아이콘(510) 위에 하차지, 화물용량 및 이동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화물 품목이 철강, 제지, 건자재/가설재, 주류 및 물류인 경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250)에 의해 표현되는 화물 아이콘(510)을 확인할 수 있고, 화물 아이콘(510) 위에 하차지와 이동 소요시간을 표현한 일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배차 처리 시스템
110: 화물배차 장치 130: 화물배차 처리 장치
150: 차량관제 장치
210: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 230: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
250: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 270: 제어부
410: 현재 화물차의 위치 430: 이동 소요시간
450: 상차지의 위치 510: 화물 아이콘

Claims (9)

  1. 화물차의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제공하는 화물배차 요청 제공부;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상차지와 연관되고 하차지, 상차시간, 하차시간, 차량종류, 차량톤수, 운송요금, 화물종류, 운송종류, 상차방법 및 하차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더 만족하는 화물배차 주문을 선별하여 수신하는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 및
    전자 지도 상에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상차지의 위치에 상기 하차지 및 화물용량을 표현하고, 상기 화물차의 위치와 상기 상차지 간에 이동 소요시간을 더 표현하는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는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준 거리(S), 상기 화물차의 화물톤수(W), 상기 기준 거리 이내의 주변 화물배차 주문 중에서 가장 빠른 상차시간까지의 여유 시간(T) 및 주변 도로의 교통혼잡도(J)에 따라 산출되는 거리 반경(R) 내의 범위를 포함하여 상기 특정 지역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는 상기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된 화물배차 주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상기 화물배차 주문에 관한 세부정보 및 상기 화물차의 위치로부터 선택된 상기 화물배차 주문의 상차지까지로의 최적경로를 더 표현하는 과정에서 상기 화물차의 길이, 너비 및 높이를 기초로 상기 화물차의 주행이 가능한 도로만을 이용하는 경로를 상기 최적경로로서 표현하고, 상기 전자 지도에 관한 화면 전환없이 선택된 화물배차 주문과 연관된 주선사 또는 상차지 담당자에게로의 스피커 전화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상기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된 화물배차 주문 중 복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복수의 화물배차 주문들 각각에 관한 상차시간, 하차시간, 상차지 및 하차지를 기초로 상기 화물차의 위치로부터 선택된 상기 복수의 화물배차 주문들 모두를 최단시간 및 최단경로로 처리하기 위한 최적경로를 더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는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 특정 이동 소요시간 및 행정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특정 지역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배차 주문 수신부는
    상기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상차지와 연관되고 상기 하차지, 상기 화물용량 및 상기 화물차의 위치와 상기 상차지 간에 이동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더 만족하는 상기 화물배차 주문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는
    상기 전자 지도 상에 상기 화물배차 주문과 연관된 화물 품목에 따라 변화하는 화물 아이콘을 표현하고 상기 화물 아이콘 위에 상기 하차지, 상기 화물용량 및 상기 이동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는
    상기 화물차의 과거 배차기록을 학습하여 상기 화물 아이콘 중에서 상기 화물차가 선호하는 화물 품목과 연관된 화물 아이콘을 선별하고 상기 화물 아이콘의 나머지와 구별되도록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배차 주문 표현부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상기 특정 지역 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 화물배차 주문의 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전자 지도의 스케일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배차 처리 장치.

KR1020180057940A 2018-05-21 2018-05-21 화물배차 처리 장치 KR102100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940A KR102100249B1 (ko) 2018-05-21 2018-05-21 화물배차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940A KR102100249B1 (ko) 2018-05-21 2018-05-21 화물배차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862A KR20190132862A (ko) 2019-11-29
KR102100249B1 true KR102100249B1 (ko) 2020-04-14

Family

ID=6872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940A KR102100249B1 (ko) 2018-05-21 2018-05-21 화물배차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310B1 (ko) * 2020-02-10 2021-11-04 주식회사 와이엘피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164170B1 (ko) * 2020-02-14 2020-10-13 씨제이대한통운 (주) 다각 및 연계 배차 시스템 및 방법
KR102382013B1 (ko) * 2020-02-17 2022-04-04 주식회사 와이엘피 Erp 연동 통합 물류배송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233216B1 (ko) * 2020-04-29 2021-03-29 주식회사 에코엑스랩 화물 운송 관리 시스템
KR102503198B1 (ko) * 2020-07-09 2023-02-24 주식회사 와이엘피 인공지능 기반의 최적 배송경로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47123B1 (ko) 2020-07-28 2022-09-27 주식회사 와이엘피 인공지능 기반의 복화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47122B1 (ko) 2020-07-28 2022-09-27 주식회사 와이엘피 인공지능 기반의 환적배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800B1 (ko) * 2007-03-05 2007-11-23 이지훈 운전자가 직접 정보수집하는 차량 탑재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662048B1 (ko) * 2015-03-04 2016-10-10 박상완 맞춤형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516A (ko) 2001-07-19 2002-01-17 남궁석 화물운송 자동배차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13079A (ko) 2011-07-27 2013-02-06 김민준 통합 온라인 화물배차 서비스 시스템과 화물배차 서비스 방법
KR20130111801A (ko) * 2012-04-02 2013-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경유지에 대한 경로 설정 방법
KR20140016053A (ko) * 2012-07-30 2014-02-07 주식회사 한진 운송 매칭 시스템 및 운송 매칭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800B1 (ko) * 2007-03-05 2007-11-23 이지훈 운전자가 직접 정보수집하는 차량 탑재용 네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662048B1 (ko) * 2015-03-04 2016-10-10 박상완 맞춤형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862A (ko)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249B1 (ko) 화물배차 처리 장치
US114167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esource management
US11941574B2 (en) Trip scheduling system
US110624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networked vehicle resources in priority environments
US10586301B2 (e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method
KR102321310B1 (ko)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US113863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US113928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KR101910045B1 (ko) 동적 라우팅 기능 및 안전운행 요건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CN102568195A (zh) 预判车辆行驶轨迹的方法及系统
JP7390441B2 (ja) 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146004A (ja) 配車計画装置及び配車計画方法
JP2018206177A (ja) 配車支援方法、配車支援装置、配車支援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KR102267527B1 (ko) 소요 시간 산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소요 시간 산출 시스템
CN113574579A (zh) 信息处理装置、移动体、程序和方法
KR102474296B1 (ko)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22013837A (ja) 自律トラック輸送サービスのためのハブベースの流通および配達ネットワーク
JP6359871B2 (ja) 乗務員評価システム
JP4578020B2 (ja) 営業車用客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3233896A (ja) 配車計画立案方法および装置
JP2021152761A (ja) 配車管理装置、配車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59800A (ja) 配送順決定システム、配送順決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648101A (zh) 一种运输管理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597635A (zh) 信息处理装置、移动体、程序和方法
TWI528319B (zh) Pre - load dispatch system and its method for passenge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