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310B1 -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310B1
KR102321310B1 KR1020200015636A KR20200015636A KR102321310B1 KR 102321310 B1 KR102321310 B1 KR 102321310B1 KR 1020200015636 A KR1020200015636 A KR 1020200015636A KR 20200015636 A KR20200015636 A KR 20200015636A KR 102321310 B1 KR102321310 B1 KR 10232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ight
dispatch
cargo
order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542A (ko
Inventor
최형철
임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엘피
Priority to KR1020200015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310B1/ko
Priority to PCT/KR2020/002394 priority patent/WO2021162161A1/ko
Publication of KR2021010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물배차에 관한 화주들 또는 차주들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여 화물배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현재 화물차 위치에 상관없이 차주가 지정한 임의의 위치를 매개로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그룹을 생성하여 화물배차 정보의 공유를 제공하는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FREIGHT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REAL-TIME VEHICL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네비게이션 지도에 화물배차 주문을 표시하여 효율적인 화물배차 처리가 가능한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물운송시장에서 용차를 사용하는 구조는 화주, 주선사, 콜센터 및 차주(화물차)가 순서대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IT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시장은 콜센터에서 차주로 넘어가는 부분이며, 종래 화물배차 시장의 문제점은 차주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상관없이 차주가 주선사에게 배차된 일을 본인이 운송하겠다고 하면 화물운송이 성사되어 진행된다는 점이다. 화주가 원하는 상차시간과 상관없이 차주가 무리해서 화물운송을 성사시키기 때문에 화물운송 처리에 있어서 시간적인 부정확성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차주 개인에게는 유류비용 증가를 가져오며, 국가적으로는 디젤엔진인 화물차에서 배출되는 CO2의 증가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05516(2002.01.17)호는 화물운송 자동배차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 인터넷을 활용한 화물운송중개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으로 배차를 실시하고, 그 수수료를 부과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화물을 운송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중간과정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물류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수수료부과 및 실적에 따른 금액의 배분이 실적에 따라 합리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3079(2013.02.06)호는 통합 온라인 화물배차 서비스시스템과 화물배차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상에 화주가 배차요청등록이 가능하도록 하며, 개인화주와 개인차주를 직접 연결하여 배차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차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운송주선사업자의 과도한 요금을 배제하여 개인화주의 물류비용을 감소하고, 직접 대규모 화물운송 요청이 상당한 대규모 업체의 화주 뿐만 아니라 일회성 배차요청을 수행하는 화주에게도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가능한 온라인 화물배차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05516(2002.01.1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3079(2013.02.0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물차의 위치를 기초로 네비게이션 지도에 화물배차 주문을 표시하여 효율적인 화물배차 처리가 가능한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물배차에 관한 화주들 또는 차주들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여 화물배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재 화물차 위치에 상관없이 차주가 지정한 임의의 위치를 매개로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그룹을 생성하여 화물배차 정보의 공유를 제공하는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제공 장치는 화주 단말로부터 상차지에서 하차지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수신하여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하는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 차주 단말로부터 화물차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의 배차 영역을 결정하는 배차 영역 결정부, 상기 화물운송 주문 DB에서 상기 배차 영역에 존재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검색하여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는 주문 리스트 생성부, 상기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의 각 화물운송 주문을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포커싱된 전자지도 상에 시각화 한 결과로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생성하여 상기 차주 단말에게 제공하는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 및 상기 차주 단말로부터 상기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된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세부 정보 또는 해당 화물운송 주문의 주문 담당자와의 전화 연결을 상기 차주 단말의 설정에 따라 제공하는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물운송 주문은 복수의 상차지들에서 하나의 하차지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제1 화물운송 주문, 하나의 상차지에서 복수의 하차지들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제2 화물운송 주문 및 복수의 상차지들에서 복수의 하차지들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제3 화물운송 주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는 상기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된 화물운송 주문 중에서 등록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화물배차에 실패한 화물운송 주문에 대해, 해당 화주 단말들로부터의 동의를 조건으로 상기 상차지 또는 상기 하차지가 동일한 화물 운송들을 그룹화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화물운송 주문들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주문 DB에 재등록할 수 있다.
상기 주문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배차 영역에 상기 상차지 또는 상기 하차지가 포함되는 화물운송 주문을 기초로 상기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물운송 주문들에 대해서는 각각 상기 하나의 상차지 및 상기 하나의 하차지를 기준으로 상기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제3 화물운송 주문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상차지의 개수와 서로 다른 하차지의 개수를 비교하여 더 큰 수와 연관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배차 영역 결정부는 상기 차주 단말로부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을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차주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물차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배차 영역을 결정하고, 만약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유효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의 중심지를 기준으로 상기 배차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배차 영역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 중에서 상기 차주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물차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화물차 위치들에 대해, 각 화물차 위치를 중심으로 버퍼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버퍼 영역 내에 존재하는 화물차와 연관되는 차주 단말에게 화물배차 참여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는 상기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상기 화물배차 참여 요청을 승인한 차주 단말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
상기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차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에 관한 최적 운송 경로 - 상기 최적 운송 경로는 화물차의 폭, 너비 및 높이에 따라 주행이 불가능한 도로를 회피하는 경로에 해당함 - 를 상기 차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은 화주 단말로부터 상차지에서 하차지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수신하여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하는 단계, 차주 단말로부터 화물차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의 배차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물운송 주문 DB에서 상기 배차 영역에 존재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검색하여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의 각 화물운송 주문을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포커싱된 전자지도 상에 시각화 한 결과로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생성하여 상기 차주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차주 단말로부터 상기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된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세부 정보 또는 해당 화물운송 주문의 주문 담당자와의 전화 연결을 상기 차주 단말의 설정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은 화물배차에 관한 화주들 또는 차주들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여 화물배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은 현재 화물차 위치에 상관없이 차주가 지정한 임의의 위치를 매개로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그룹을 생성하여 화물배차 정보의 공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의 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주 단말에서 입력되는 화물운송 주문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은 화주 단말(110),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차주 단말(170)을 포함할 수 있다.
화주 단말(110)은 상차지에서 하차지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화주 단말(110)은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입력뿐만 아니라 화물운송 주문의 배차 및 처리 등의 통합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화주 단말(110)은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화주 단말(110)들은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물운송 주문을 등록하고 화물배차 요청에 따라 배차하는 과정에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주 단말(110) 및 차주 단말(170)과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화주 단말(110) 및 차주 단말(17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은 화물차로 등록된 차량들을 관제할 수 있는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고, 화물차에 대한 차량관제 정보를 생성하여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차량관제 정보는 차량관제와 관련된 정보로서 시스템에 등록된 화물차의 상세정보, 화물배송 중인 화물차 현황정보 및 화물배송을 대기 중인 화물차 현황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화물운송 주문을 관리하기 위한 화물운송 주문 DB, 화물배차 요청을 관리하기 위한 화물배차 요청 DB, 화물차 및 화물을 각각 관리하기 위한 화물차 DB 및 화물 D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150)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의 동작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을 각 유형별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50)는 각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하여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데이터베이스 모듈은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차주 단말(170)은 화물운송 주문에 대한 화물배차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차주 단말(170)은 화물배차 요청에 관한 입력뿐만 아니라 화물배차를 위한 배차정보의 확인, 배차경로의 안내 및 관련 담당자와의 통화 연결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차주 단말(170)은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차주 단말(170)들은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의 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310), 배차 영역 결정부(320), 주문 리스트 생성부(330),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310)는 화주 단말(110)로부터 상차지에서 하차지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수신하여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할 수 있다. 화물 운송을 의뢰하고 싶은 화주는 화주 단말(110)을 통해 화물 운송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310)는 이를 수신하여 화물운송 주문이 유효한지 검사할 수 있다.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310)는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화물운송 주문에 대해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시킬 수 있고,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된 화물운송 주문은 차주 단말(170)에 의한 주문 조회 결과에 노출될 수 있다.
한편,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되는 화물운송 주문 정보에는 화물의 종류, 수량 및 무게 등의 화물정보와 상차지, 하차지, 상차시간 및 하차시간 등의 운송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주 단말(110)을 통해 화물운송 주문이 입력된 경우 해당 화물정보와 운송정보를 기초로 예상 비용을 산출하여 화주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화주 단말(110)은 해당 예상 비용에 대한 승인 또는 결제를 통해 등록 여부를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운송 주문은 복수의 상차지들에서 하나의 하차지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제1 화물운송 주문, 하나의 상차지에서 복수의 하차지들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제2 화물운송 주문 및 복수의 상차지들에서 복수의 하차지들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제3 화물운송 주문을 포함할 수 있다. 화주 단말(110)을 통해 입력되는 화물운송 주문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상차지에서 출발하여 하나의 하차지에 도착하는 화물 운송을 포함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차지 또는 하차지가 여러 곳인 경우에 있어서도 화물 운송을 제안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310)는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된 화물운송 주문 중에서 등록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화물배차에 실패한 화물운송 주문에 대해, 해당 화주 단말(110)들로부터의 동의를 조건으로 상차지 또는 하차지가 동일한 화물 운송들을 그룹화 하여 제1 내지 제3 화물운송 주문들 중 어느 하나로서 주문 DB에 재등록할 수 있다. 화물운송 주문 DB에의 등록은 기본적인 입력 조건만 충족되는 경우 가능할 수 있지만, 화물운송 주문 DB로부터의 삭제는 해당 화물운송 주문에 대한 차주 단말(170)의 선택에 따라 배차가 완료된 경우에만 가능할 수 있다.
즉,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된 후 차주 단말(170)의 선택이 없는 화물운송 주문은 DB 삭제없이 계속 누적될 수 있다.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310)는 누적되는 화물운송 주문을 조절하기 위하여 등록 시점 이후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화물운송 주문을 화물운송 주문 DB에서 삭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동작 이외에도,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310)는 등록 시점 이후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화물운송 주문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그룹화 하여 화물운송 주문 DB에 재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기준은 화물운송 주문의 상차지 또는 하차지의 동일 여부에 해당할 수 있고, 동일 여부는 해당 위치들 간의 거리가 임계 거리(예를 들어, 100m 이내) 이하의 조건을 충족하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화물운송 주문 DB에 대한 재등록 과정은 DB 삭제와 DB 등록의 연속적인 동작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배차 영역 결정부(320)는 차주 단말(170)로부터 화물차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의 배차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차 영역은 특정 화물차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배차 가능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배차 영역은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가 차주 단말(170)에 제공하는 전자지도 상에서 표시 가능한 화물운송 주문을 결정하는 기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차주는 차주 단말(170)을 통해 화물운송 주문을 조회할 수 있고,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배차 영역 결정부(320)를 통해 배차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배차 영역 내에 존재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조회 결과로서 차주 단말(17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차주는 차주 단말(170)을 통해 화물배차 요청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화물배차 요청을 위한 정보에는 화물차의 위치,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차의 위치는 요청 시점에 측정되는 GPS 좌표 정보로서 별도의 입력 없이도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 의해 측정되어 전달될 수 있으며, 차량 상태 정보는 화물차의 운송여부, 적재용량 및 적재현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차 영역 결정부(320)에 의해 결정된 배차 영역은 해당 화물배차 요청에 연관되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고, 별도의 독립된 DB로서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차 영역 결정부(320)는 차주 단말(170)로부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을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수신한 경우 차주 단말(170)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물차 위치를 기준으로 배차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화물차 위치는 화물배차를 요청하는 시점에 해당 차주 단말(170)에 등록된 화물차의 위치가 자동으로 수집되어 전달될 수 있고, 차주 단말(170)을 통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배차 영역 결정부(320)는 차주 단말(170)을 통해 전달된 화물차 위치가 복수개인 경우 차주 단말(170)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물차 위치를 기준으로 배차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배차 영역 결정부(320)는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유효거리 이내인 경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의 중심지를 기준으로 배차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차 영역 결정부(320)는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 중에서 차주 단말(170)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물차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화물차 위치들에 대해, 각 화물차 위치를 중심으로 버퍼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버퍼 영역 내에 존재하는 화물차와 연관되는 차주 단말(170)에게 화물배차 참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버퍼 영역은 화물차 위치를 중심으로 특정 반경 이내의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화물배차 참여 요청을 승인한 차주 단말(170)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 차주는 자신이 소유한 화물차의 위치 외에 추가적인 위치를 직접 지정하여 화물배차를 요청할 수 있고, 차주의 화물차 위치가 아닌 나머지 화물차 위치에 대해서는 해당 위치 주변에 존재하는 화물차의 차주들에게 화물배차 참여를 요청함으로써 화물배차를 위한 다른 차주를 모집할 수 있다.
주문 리스트 생성부(330)는 화물운송 주문 DB에서 배차 영역에 존재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검색하여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화물운송 주문들의 목록에 해당할 수 있고, 실제 데이터가 아닌 화물운송 주문 DB의 저장 위치에 대한 데이터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문 리스트 생성부(330)는 배차 영역에 상차지 또는 하차지가 포함되는 화물운송 주문을 기초로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문 리스트 생성부(330)는 제1 및 제2 화물운송 주문들에 대해서는 각각 하나의 상차지 및 하나의 하차지를 기준으로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문 리스트 생성부(330)는 제3 화물운송 주문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상차지의 개수와 서로 다른 하차지의 개수를 비교하여 더 큰 수와 연관된 위치를 기준으로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3 화물운송 주문에 대해 서로 다른 상차지와 하차지 각각의 개수를 비교한 결과 서로 다른 상차지의 개수가 더 큰 경우라면, 주문 리스트 생성부(330)는 상차지들의 중심 위치가 배차 영역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특정 제3 화물운송 주문을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문 리스트 생성부(330)는 화물운송 주문 DB에서 배차 영역에 존재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차주에 의해 기 설정된 화물종류에 해당되는 화물운송 주문만으로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를 통해 해당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전자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차주는 자신이 미리 설정한 화물종류에 대해서만 화물운송 주문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문 리스트 생성부(330)는 차주에 의해 기 설정된 상차지, 하차지, 상차시간, 하차시간, 차량종류, 차량톤수, 운송요금, 화물종류, 화물톤수, 운송종류, 상차방법 및 하차방법에 해당되는 화물운송 주문만으로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는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의 각 화물운송 주문을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포커싱된 전자지도 상에 시각화 한 결과로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생성하여 차주 단말(17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지도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디지털 지도에 해당할 수 있고,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된 전자지도 위에 화물차의 위치뿐만 아니라 화물운송 주문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은 전자지도 상에 선별된 화물운송 주문이 함께 표시된 네비게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전자지도는 화물차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포커싱(focusing)될 수 있다.
한편, 전자지도 상에 표시되는 화물운송 주문은 다양한 아이콘들로 시각화 될 수 있고,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화물정보(예를 들어, 톤수, 하차지 및 운송예상시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의 배경은 화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도록 표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자지도 상에 표시된 아이콘의 배치 형태로부터 화물 분포에 관한 정보가 간접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아이콘 위에 화물정보가 간략히 표시됨으로써 전자지도 상의 정보만으로 화물에 관한 정보가 직관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를 통해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된 화물운송 주문 정보를 네비게이션 맵에 연동시켜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차주가 본인의 위치를 중심으로 화물 관련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고, 기존의 텍스트 위주의 정보 제공 방법에 따라 시인성 저하로 생기는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는 현재 화물차의 위치와 상차지 간의 거리에 따라 이동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하차지까지의 운송시간을 산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현재의 위치에서 화물 운송을 완료할 때까지의 운송예상시간을 전자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는 시간 예측 및 산출 과정에서 주변 교통상황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화물배차 참여 요청을 승인한 차주 단말(170)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차 영역 결정부(320)는 차주 단말(170)로부터 수신된 화물배차 요청에 따라 배차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차주 단말(170)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물차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화물차 위치들과 연관된 차주 단말(170)에게 화물배차 참여 요청을 선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참여 요청을 수락한 차주 단말(170)에게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이 공유될 수 있고, 화물배차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다.
한편, 참여 요청을 수락한 차주 단말(170)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참여 요청을 개시한 차주 단말(170)과 참여 요청을 수락한 차주 단말(170)들 간의 공유 그룹이 생성될 수 있고, 해당 공유 그룹 내에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에 대한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차주 개인에 대한 화물배차 서비스뿐만 아니라 차주와 차주 간의 연결을 지원하여 차주 그룹에 대한 화물배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는 화물차의 과거 배차기록을 학습하여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중에서 선호하는 화물과 연관된 아이콘을 나머지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배차 영역 내에 존재하는 화물운송 주문의 밀집도를 기초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의 스케일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는 디스플레이 해상도, 화물운송 주문의 밀집도 및 화물배차 선호도를 기초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의 스케일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화물배차 선호도는 과거 배차기록을 학습한 결과로서 출력되는 해당 화물차가 선호하는 화물운송 주문의 상차지, 하차지, 상차시간, 하차시간, 차량종류, 차량톤수, 운송요금, 화물종류, 운송종류, 상차방법 및 하차방법에 해당할 수 있다.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350)는 차주 단말(170)로부터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된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세부 정보 또는 해당 화물운송 주문의 주문 담당자와의 전화 연결을 차주 단말(170)의 설정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즉, 차주는 차주 단말(170)을 통해 현재 등록된 화물운송 주문을 조회할 수 있고, 조회 결과로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에 의해 제공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상에서 특정 화물운송 주문을 선택하여 해당 화물운송 주문에 대한 세부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담당자와의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350)는 화물운송 주문에 대한 세부정보와 함께 주문 승인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주는 자신이 원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확인하고 승인하여 화물배차를 완료할 수 있다.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350)는 화물배차가 완료된 경우 해당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경로 안내 서비스는 현재 화물차 위치에서 상차지까지의 최적 경로와 상차지에서 하차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다. 차주는 차주 단말(170)을 통해 자신의 화물차에 대한 폭, 너비 및 높이를 구체적인 수치로서 입력할 수 있고,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350)는 입력된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화물차가 주행 가능한 도로만으로 구성된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 차주 단말(17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350)는 차주 단말(170)로부터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에 관한 최적 운송 경로 - 상기 최적 운송 경로는 화물차의 폭, 너비 및 높이에 따라 주행이 불가능한 도로를 회피하는 경로에 해당함 - 를 차주 단말(17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주가 차주 단말(170)을 통해 제1 화물과 제2 화물을 동시에 선택한 경우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350)는 화물차의 크기를 기초로 주행 가능한 도로들로 구성되고 제1 화물을 처리한 후 제2 화물을 처리하기 위한 최적 경로를 생성하여 차주 단말(17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310), 배차 영역 결정부(320), 주문 리스트 생성부(330),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 및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310)를 통해 화주 단말(110)로부터 상차지에서 하차지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수신하여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할 수 있다(단계 S410).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배차 영역 결정부(320)를 통해 차주 단말(170)로부터 화물차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의 배차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주문 리스트 생성부(330)를 통해 화물운송 주문 DB에서 배차 영역에 존재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검색하여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50).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340)를 통해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의 각 화물운송 주문을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포커싱된 전자지도 상에 시각화 한 결과로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생성하여 차주 단말(170)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70).
또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350)를 통해 차주 단말(170)로부터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된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세부 정보 또는 해당 화물운송 주문의 주문 담당자와의 전화 연결을 차주 단말(170)의 설정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90).
도 5는 도 1에 있는 화주 단말에서 입력되는 화물운송 주문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주는 화주 단말(110)을 통해 화물운송 주문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차주에 의해 입력 가능한 정보는 화물정보, 운송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화물정보는 화물종류, 화물톤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운송정보는 상차지, 하차지, 상차일시, 하차일시, 운송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화물운송 주문은 상차지와 하차지를 복수개로 포함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상차지와 하차지의 개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 5의 그림 (a)는 제1 화물운송 주문으로 복수의 상차지(510)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하고, 도 5의 그림 (b)는 제2 화물운송 주문으로 복수의 하차지(530)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도 5의 그림 (c)는 제3 화물운송 주문으로 복수의 상차지(510)들 및 복수의 하차지(530)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차주 단말(170)로부터의 조회 요청에 따라 해당 화물차 위치(610)를 중심으로 특정 반경 이내의 화물운송 주문(630)들을 전자지도(6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화물차 위치(610)를 중심으로 특정 반경 이내의 영역은 배차 영역에 해당할 수 있고, 배차 영역은 배차 영역 결정부(3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6의 그림 (a)에서, 현재 화물차 위치(610)를 중심으로 배차 영역 내에 존재하는 화물운송 주문(630)은 총 3개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물운송 주문(630)을 시각화 한 결과로서 아이콘 형태로 전자지도(650)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아이콘과 함께 해당 화물운송 주문(630)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림 (a)에서는 현재 화물차 위치(610)에서 해당 화물운송 주문(630)까지의 이동 시간이 함께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그림 (b)에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130)는 화물차 주변에서 검색된 화물운송 주문(630)들에 대한 정보를 차주 단말(170)에게 제공할 수 있고, 차주 단말(170)로부터 특정 화물운송 주문(A)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현재 화물차 위치(610)에서 해당 특정 화물운송 주문(A)의 상차지까지의 이동경로(670)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110: 화주 단말 130: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차주 단말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 320: 배차 영역 결정부
330: 주문 리스트 생성부 340: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
350: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 360: 제어부
510: 상차지 530: 하차지
610: 화물차 위치 630: 화물운송 주문
650: 전자지도 670: 이동경로

Claims (8)

  1. 화주 단말로부터 상차지에서 하차지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수신하여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하는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
    차주 단말로부터 화물차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의 배차 영역을 결정하는 배차 영역 결정부;
    상기 화물운송 주문 DB에서 상기 배차 영역에 존재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검색하여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는 주문 리스트 생성부;
    상기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의 각 화물운송 주문을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포커싱된 전자지도 상에 시각화 한 결과로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생성하여 상기 차주 단말에게 제공하는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 및
    상기 차주 단말로부터 상기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된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세부 정보 또는 해당 화물운송 주문의 주문 담당자와의 전화 연결을 상기 차주 단말의 설정에 따라 제공하는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차 영역 결정부는 상기 차주 단말로부터 해당 차주가 소유한 화물차의 위치 외에 추가적인 위치를 직접 지정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을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차주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물차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배차 영역을 결정하고, 만약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유효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의 중심지를 기준으로 상기 배차 영역을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 중에서 상기 차주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물차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화물차 위치들에 대해, 각 화물차 위치를 중심으로 버퍼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버퍼 영역 내에 존재하는 화물차와 연관되는 차주 단말에게 화물배차 참여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화물운송 주문 표시부는 상기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상기 화물배차 참여 요청을 승인한 차주 단말들에게 공유하며,
    상기 화물배차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차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에 관한 최적 운송 경로 - 상기 최적 운송 경로는 화물차의 폭, 너비 및 높이에 따라 주행이 불가능한 도로를 회피하는 경로에 해당함 - 를 상기 차주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운송 주문은
    복수의 상차지들에서 하나의 하차지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제1 화물운송 주문, 하나의 상차지에서 복수의 하차지들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제2 화물운송 주문 및 복수의 상차지들에서 복수의 하차지들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제3 화물운송 주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운송 주문 등록부는
    상기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된 화물운송 주문 중에서 등록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화물배차에 실패한 화물운송 주문에 대해, 해당 화주 단말들로부터의 동의를 조건으로 상기 상차지 또는 상기 하차지가 동일한 화물 운송들을 그룹화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화물운송 주문들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주문 DB에 재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배차 영역에 상기 상차지 또는 상기 하차지가 포함되는 화물운송 주문을 기초로 상기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화물운송 주문들에 대해서는 각각 상기 하나의 상차지 및 상기 하나의 하차지를 기준으로 상기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제3 화물운송 주문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상차지의 개수와 서로 다른 하차지의 개수를 비교하여 더 큰 수와 연관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제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화주 단말로부터 상차지에서 하차지로의 화물 운송을 제안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수신하여 화물운송 주문 DB에 등록하는 단계;
    차주 단말로부터 화물차 위치를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이내의 배차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물운송 주문 DB에서 상기 배차 영역에 존재하는 화물운송 주문을 검색하여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화물운송 주문 리스트의 각 화물운송 주문을 상기 화물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포커싱된 전자지도 상에 시각화 한 결과로서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생성하여 상기 차주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차주 단말로부터 상기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상에 표시된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해당 화물운송 주문에 관한 세부 정보 또는 해당 화물운송 주문의 주문 담당자와의 전화 연결을 상기 차주 단말의 설정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차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주 단말로부터 해당 차주가 소유한 화물차의 위치 외에 추가적인 위치를 직접 지정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을 포함하는 화물배차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차주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물차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배차 영역을 결정하고, 만약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유효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의 중심지를 기준으로 상기 배차 영역을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물차 위치들 중에서 상기 차주 단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물차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화물차 위치들에 대해, 각 화물차 위치를 중심으로 버퍼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버퍼 영역 내에 존재하는 화물차와 연관되는 차주 단말에게 화물배차 참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주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화물배차 네비게이션을 상기 화물배차 참여 요청을 승인한 차주 단말들에게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주 단말의 설정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주 단말로부터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화물운송 주문들에 관한 최적 운송 경로 - 상기 최적 운송 경로는 화물차의 폭, 너비 및 높이에 따라 주행이 불가능한 도로를 회피하는 경로에 해당함 - 를 상기 차주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
KR1020200015636A 2020-02-10 2020-02-10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321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636A KR102321310B1 (ko) 2020-02-10 2020-02-10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PCT/KR2020/002394 WO2021162161A1 (ko) 2020-02-10 2020-02-19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636A KR102321310B1 (ko) 2020-02-10 2020-02-10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542A KR20210101542A (ko) 2021-08-19
KR102321310B1 true KR102321310B1 (ko) 2021-11-04

Family

ID=7729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636A KR102321310B1 (ko) 2020-02-10 2020-02-10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1310B1 (ko)
WO (1) WO20211621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088A1 (ko) * 2021-11-30 2023-06-08 코코넛사일로(주) 혼적 가능성을 기초로 화물 운송경로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71292B1 (ko) * 2021-11-30 2024-05-31 코코넛사일로(주) 혼적 가능성을 기초로 화물 운송경로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747B1 (ko) * 2021-09-06 2024-05-03 김동철 통합 고용 및 거래 시스템
CN114202272A (zh) * 2021-11-25 2022-03-18 北京中交兴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围栏的车货匹配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4663032B (zh) * 2022-05-20 2022-10-18 达州达运公路物流港有限公司 一种可视化货物运输的集成物流管理方法
KR102562405B1 (ko) * 2022-08-09 2023-08-02 최병선 덤프트럭 중개 관리 시스템
KR102581676B1 (ko) 2023-05-03 2023-09-22 이상구 덤프트럭 운반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824113B (zh) * 2023-08-29 2023-12-01 四川普鑫物流自动化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四向车防侧翻调度方法及装置
CN117689300A (zh) * 2023-11-03 2024-03-12 广州瑞基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提货任务智能管理方法、系统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504B1 (ko) * 2017-10-30 2018-07-04 (주)대웅물류 실시간 화물 배차 관리 시스템
KR101992828B1 (ko) * 2019-02-19 2019-06-25 정승범 유사경로 내 효율적 운송 가능한 화물배차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293A (ja) * 2001-07-13 2003-01-31 Nec System Technologies Ltd 求車求貨システム及び求車求貨方法
KR20020005516A (ko) 2001-07-19 2002-01-17 남궁석 화물운송 자동배차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13079A (ko) 2011-07-27 2013-02-06 김민준 통합 온라인 화물배차 서비스 시스템과 화물배차 서비스 방법
KR20140016053A (ko) * 2012-07-30 2014-02-07 주식회사 한진 운송 매칭 시스템 및 운송 매칭 방법
KR102100249B1 (ko) * 2018-05-21 2020-04-14 주식회사 와이엘피 화물배차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504B1 (ko) * 2017-10-30 2018-07-04 (주)대웅물류 실시간 화물 배차 관리 시스템
KR101992828B1 (ko) * 2019-02-19 2019-06-25 정승범 유사경로 내 효율적 운송 가능한 화물배차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088A1 (ko) * 2021-11-30 2023-06-08 코코넛사일로(주) 혼적 가능성을 기초로 화물 운송경로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71292B1 (ko) * 2021-11-30 2024-05-31 코코넛사일로(주) 혼적 가능성을 기초로 화물 운송경로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542A (ko) 2021-08-19
WO2021162161A1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1310B1 (ko) 실시간 차량관제 시스템 기반의 화물배차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US110624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networked vehicle resources in priority environments
US114167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esource management
US11587193B2 (en) Smart vehicle park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113863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KR102100249B1 (ko) 화물배차 처리 장치
US113928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JP693144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3060334A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11326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esource management
KR101812778B1 (ko) 승객 운반 중인 택시에 대한 배차예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2002109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Networked Vehicle Resources
KR101052247B1 (ko) 물류 배송을 위한 배차 방법, 서버 및 시스템
JP2019133356A (ja) 乗換支援システム、乗換支援方法、乗換支援プログラム、移動体
KR102474296B1 (ko)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382013B1 (ko) Erp 연동 통합 물류배송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33854B1 (ko)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2400544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assenger transportation on autonomous commercial vehicles
KR102538798B1 (ko) 운송 수단의 할당을 위한 서버, 방법 및 명령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540448B1 (ko) 차량 정차지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영 서버
US202302523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3355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23164394A (ja) 車両運行法人管理インタフェースと車両運行法人所属運転士管理インタフェー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JP2022073933A (ja) 配車管理装置及び配車管理方法
CN114943305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