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854B1 -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854B1
KR102533854B1 KR1020150133768A KR20150133768A KR102533854B1 KR 102533854 B1 KR102533854 B1 KR 102533854B1 KR 1020150133768 A KR1020150133768 A KR 1020150133768A KR 20150133768 A KR20150133768 A KR 20150133768A KR 102533854 B1 KR102533854 B1 KR 102533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e
taxi
passenger
information
appr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297A (ko
Inventor
곽세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1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50/3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택시를 호출한 승객의 승차지 및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요금을 산출하고, 예상 요금과 시각 정보 및 교통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하며,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여 발생된 실제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승객으로부터 선승인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요금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승객의 택시 요금 지불 과정을 간소화하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승객이 택시 요금 지불에 소요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TAXI FARE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PRE-AUTHENTI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전자 지갑 서비스를 이용한 택시 요금 결제 서비스, 그 중에서도 택시에 탑승한 승객으로부터 예상되는 택시 요금에 대하여 선승인받고, 승객의 택시 하차시 발생한 실제 요금이 선승인된 금액 범위에 포함될 경우, 선승인된 정보를 이용하여 택시 요금의 결제를 진행하는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택시를 이용하는 승객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택시에서 발생하는 분실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택시 카드 선승인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카드 선승인이란 택시에 승차한 다음 승객이 출발하기 전에 요금을 결제할 카드를 결제기에 먼저 접촉해두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카드를 선승인해 두면, 목적지 도착시 요금만 확인하고 하차하면 되므로 급하게 하차를 하는 승객에게도 유용하다.
또한, 택시 카드 선승인 서비스를 통하여 승객에게 택시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승차한 택시에 GPS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승객은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탑승한 택시의 기사 정보, 차량 정보 등의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탑승 알림 문자를 수신할 보호자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택시에 탑승한 승객의 보호자에게 승객의 탑승 사실을 알리는 문자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보호자는 승객이 탑승한 택시 정보, 승차시각, 승하차 위치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택시 카드 선승인 서비스를 이용하면 승객은 카드 선승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목적지 도착시 발생한 택시 요금을 승객이 택시에 탑승하여 태그한 카드로 결제하므로, 승객은 하차하기 전에 택시 요금을 지불하기 위하여 현금을 준비하거나, 거스름돈을 받지 않아도 된다. 또한, 기존에 승객이 카드를 이용하여 택시요금을 결제하고자 하는 경우, 결제할 카드를 택시기사에게 건네 결제를 진행하는 동안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택시 카드 선승인 서비스는 승객에게 예상되는 택시 요금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선승인 받으므로 이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의적인 택시기사가 승객으로부터 카드 선승인을 받은 다음, 일반적인 경로가 아니라 불필요하게 긴 경로로 이동하여 택시 요금이 과다하게 발생한 경우, 승객의 선승인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므로 승객이 부당한 택시요금을 지불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택시기사가 목적지 도착시 하차버튼을 누르지 않고, 승객이 택시에서 하차하고 난 후 빈 택시로 먼 거리를 이동한 다음에 하차 버튼을 누를 경우에도 승객에게 부당한 택시요금이 청구될 수 있으나, 기존의 택시 카드 선승인 서비스로는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택시에 탑승한 승객에게 예상되는 택시요금 정보를 제공하여 선승인받고, 실제 발생한 택시 요금이 예상되는 택시 요금의 범위에 포함될 경우에 선승인을 기반으로 택시 요금의 결제를 수행하는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0-0019803호, 2010년 02월 19일 공개 (명칭: 택시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예상되는 택시 요금 정보를 확인하고, 예상되는 택시 요금에 대하여 선승인함으로써 승객의 부당한 택시 요금 결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선승인한 정보를 이용하여 택시 요금을 결제하므로, 하차시 현금을 준비하거나, 결제에 사용할 카드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며,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승객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선승인한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과 승객의 보호자에게 승객의 택시 탑승 정보 및 택시 하차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승객에게 안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요청한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서 최적의 경로를 택시 기사에게 제공하여 택시 기사의 효율적인 택시 운행을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택시 기사의 운전 성향이나 목적지까지의 다양한 경로 중에서 선택한 경로에 따라 택시 기사별로 발생하는 택시 요금의 차이 문제를 해결하여 승객의 부당한 택시 요금 결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는, 택시를 호출한 승객에 상응하는 예상 요금을 산출하는 예상 요금 산출부, 상기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 산출된 실제 요금과 상기 예상 요금을 비교하는 요금 비교부, 그리고 상기 실제 요금과 상기 예상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승객의 선승인에 기반하여 추가 인증 없이 상기 실제 요금에 상응하는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상기 호출에 상응하는 호출 시간 및 도착 예정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시각 정보 및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교통량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택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새로운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상기 택시를 호출한 시점의 상기 승객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1 교통 정보와 상기 택시를 호출한 시점 이후의 상기 승객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2 교통 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는, 상기 승객에게 추가 인증 요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 인증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가 인증 요청은 상기 실제 요금이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벗어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제 처리부는, 산출된 상기 예상 요금 및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상기 승객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승객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예상 요금 및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상응되는 선승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승객의 보호자로 등록된 보호자 단말기로 산출된 상기 예상 요금 및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예상 요금 및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상응하는 선승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승인 정보는, 패스워드 방식, 보안카드 방식, 전화 승인 방식, SMS 인증 방식, 생체 인증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승인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방법은,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를 이용한 택시 요금 처리 방법에 있어서, 택시를 호출한 승객에 상응하는 예상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 산출된 실제 요금과 상기 예상 요금을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실제 요금과 상기 예상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승객의 선승인에 기반하여 추가 인증 없이 상기 실제 요금에 상응하는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상기 호출에 상응하는 호출 시간 및 도착 예정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시각 정보 및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교통량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택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새로운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상기 택시를 호출한 시점의 상기 승객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1 교통 정보와 상기 택시를 호출한 시점 이후의 상기 승객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2 교통 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는, 상기 승객에게 추가 인증 요청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가 인증 요청은 상기 실제 요금이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벗어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제 요금에 상응하는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산출된 상기 예상 요금 및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상기 승객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승객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예상 요금 및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상응되는 선승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제 요금에 상응하는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승객의 보호자로 등록된 보호자 단말기로 산출된 상기 예상 요금 및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예상 요금 및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상응하는 선승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승인 정보는, 패스워드 방식, 보안카드 방식, 전화 승인 방식, SMS 인증 방식, 생체 인증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승인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이 예상되는 택시 요금 정보를 확인하고, 예상되는 택시 요금에 대하여 선승인함으로써 승객의 부당한 택시 요금 결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이 선승인한 정보를 이용하여 택시 요금을 결제하므로, 하차시 현금을 준비하거나, 결제에 사용할 카드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며, 결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승객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이 선승인한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과 승객의 보호자에게 승객의 택시 탑승 정보 및 택시 하차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승객에게 안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이 요청한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에서 최적의 경로를 택시 기사에게 제공하여 택시 기사의 효율적인 택시 운행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택시 기사의 운전 성향이나 목적지까지의 다양한 경로 중에서 선택한 경로에 따라 택시 기사별로 발생하는 택시 요금의 차이 문제를 해결하여 승객의 부당한 택시 요금 결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선승인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승객 단말기의 선승인 방법에서 택시 요청 화면 및 선승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승객 단말기의 선승인 방법에서 탑승 전 화면, 이동 중 화면, 하차 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시 단말기의 택시 운행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택시 단말기의 택시 운행 방법에서 배차시 화면, 승차지로 이동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도 14에 도시된 택시 단말기의 택시 운행 방법에서 경로 안내 화면 및 승객 하차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의 재승인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재승인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목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안심귀가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스탬프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시스템은 승객 단말기(100),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 택시 단말기(300) 및 결제 서버(400)를 포함한다.
먼저,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를 호출하여 탑승하는 승객이 소지하는 단말기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택시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예상 도착 정보와 선승인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승객으로부터 선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을 입력받아 선승인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승객 단말기(100)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하여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벗어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승객으로부터 입력받은 추가 인증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객 단말기(100)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의 설정 및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의 입력부는 승객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승객 단말기(100)의 입력부는 승객 단말기(100)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단말기(100)의 입력부는 승차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택시 요청 정보와 선승인을 수학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승객 단말기(100)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의 표시부는 승객 단말기(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의 표시부는 승객 단말기(100)의 메뉴 및 승객이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객 단말기(100)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승객 단말기(100)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승객 단말기(100)의 표시부는 승객 단말기(100)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단말기(100)의 표시부는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예상 도착 정보, 선승인 요청 정보, 승객 및 택시의 위치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승객 단말기(1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객 단말기(100)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객 단말기(100)은 승객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승객 단말기(100)의 저장부는 승객 단말기(10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택시를 요청하고, 선승인을 수행하여 택시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의 저장부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승객 단말기(100)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DB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객 단말기(100)의 정보는 단말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의 통신부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객 단말기(100)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객 단말기(100)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승객 단말기(100)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승객 단말기(100)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승객 단말기(100)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 택시 단말기(300) 및 결제 서버(400) 등이 통신하여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택시 요금을 결제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에 접속하는 경우, 승객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승객 인증에 필요한 승객 단말기(100)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승객의 요청에 따라 승객 단말기(100)의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이력을 컨텐츠 사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의 승객 단말기(100)은 어플리케이션 페이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페이 서비스에 가입된 승객의 승객 단말기(100)에 상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 택시 단말기(300) 및 결제 서버(400)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다. 네트워크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승객 단말기(100), 택시 단말기(300) 및 결제 서버(4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와 승객 단말기(100)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와 택시 단말기(300) 및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와 결제 서버(400) 상호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택시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배차할 택시를 선택하고, 선택된 택시의 택시 단말기(300)로 배차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 예상 도착 정보를 전송하고, 선승인을 요청한다.
이때,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 예상 요금과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정보를 전송하여 선승인을 요청한다. 여기서, 예상 요금은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승차지와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것으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반영하여 예상 요금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예상 요금이 포함되는 범위 값으로 승객이 선승인한 선승인 정보에 대하여 결제 효력을 갖는 택시 요금의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예상 요금을 기준으로 하는 백분율 값이거나, 예상 요금을 기준으로 더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값일 수 있다.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이 택시를 호출한 호출 시간, 도착 예정 시간 등과 같은 시각 정보,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교통량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를 호출한 시점에서 승객의 승차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교통 정보와 택시를 호출한 시점 이후의 승차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교통 정보를 비교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에 탑승한 승객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선승인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서버(400)로 결제 정보를 전송한다. 택시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실제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 추가적인 승인을 요청하지 않고, 기 수신된 선승인 정보를 이용하여 택시 요금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예상 요금을 연산할 수 있으며, 연산된 예상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승객으로부터 추가 인증을 받아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승객 단말기(100)로 추가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추가 인증 요청은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대한 재승인을 요청하는 것으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승객 단말기(100)로 재승인을 요청하는 과정은 선승인을 요청하는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추가 인증에 대한 재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내부에 구비되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와 네트워크 연결된다.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배차 정보를 수신하고, 택시 단말기(300)를 구비한 택시는 배차 정보에 상응하는 승차지에서 승객을 탑승시키고, 목적지로 이동한다.
또한, 승객이 목적지에 하차하면,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도착 완료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선승인 기반의 택시 요금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택시 단말기(300)는 결제 서버(400)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으며, 선승인 기반으로 택시 요금의 결제가 완료되어 결제 서버(400)로부터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택시 단말기(300)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택시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또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제 서버(400)는 카드사 서버일 수 있으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실제 요금 정보와 선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다.
이때,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선승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택시 단말기(300)로부터 실제 요금 정보가 포함된 도착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판단된 경우에 결제 서버(400)로 선승인 정보와 실제 요금 정보를 전송하여 결제 서버(400)가 결제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선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바로 결제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택시 단말기(300)로부터 도착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실제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해당 실제 요금을 결제 서버(400)로 전송하여 결제 서버(400)가 결제를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예상 요금 산출부(210), 요금 비교부(220), 추가 인증 판단부(230) 및 결제 처리부(240)를 포함한다.
먼저,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택시를 호출한 승객에 상응하는 예상 요금을 산출한다.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택시를 호출한 승객 단말기(100)의 정보, 현재 위치, 승차지 정보, 목적지 정보, 메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택시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요금을 산출한다.
즉,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승차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예상하고, 예상된 경로를 주행하여 목적지로 이동할 경우 소요되는 시간, 목적지까지의 거리, 예상 요금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한다. 그리고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산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예상 도착 정보를 생성하여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복수의 경로에 상응하는 소요 시간, 거리, 예상 요금을 경로별로 예상 도착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상 요금 산출부는 경로별 소요 시간, 거리, 예상 요금 정보를 이용하여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최소 요금 경로를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승객으로부터 희망 경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객이 최단 시간 경로, 최단 거리 경로, 최소 요금 경로 중에서 가장 희망하는 희망 경로 유형을 사전에 설정하고, 승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희망 경로 유형을 포함하는 택시 요청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승객이 희망하는 경로 유형에 상응하는 경로의 예상 요금을 산출하여 예상 도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승객 단말기(100)로 예상 요금과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포함하는 선승인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예상 요금이 포함되는 범위 값으로 승객이 선승인한 선승인 정보에 대하여 결제 효력을 갖는 택시 요금의 범위를 의미한다.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실제 택시가 주행하는 도로의 교통 상황이나, 택시기사의 운전 성향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변수를 적용하여 설정된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예상 요금을 기준으로 하는 백분율 값이거나, 예상 요금을 기준으로 더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 요금이 10,000원인 경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가 5%로 설정된 경우, 선승인 요금 범위는 9,500원~10,500원으로 설정된다. 또한,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예상 요금에 5% 값을 적용한 9,500원~10,500원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로 직접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선승인 요금 범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예상 요금이 10,000원 이고,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가 700원으로 설정된 경우, 선승인 요금 범위는 9,300원~10,700원으로 설정되며, 이때에도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예상 요금보다 700원 적거나 많은 9,300원~10,700원을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로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선승인 요금 범위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상 예상 요금을 기준으로 최저 값(ex. 9,300원)과 최고 값(ex. 10,700원)이 포함된 범위 값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로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최저 값을 설정하지 않고, 최고 값 이하인 모든 값을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포함하는 선승인 요청을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속하는 실제 요금이 발생할 경우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결제를 진행하도록 하는 선승인의 수락을 요청한다.
설명의 편의상 예상 요금 산출부(210)가 승객 단말기(100)로 예상 도착 정보와 선승인 요청을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예상 도착 정보와 선승인 요청을 한 번에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예상 요금 산출부(210)가 승객 단말기(100)로 예상 요금과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포함하는 선승인 요청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예상 요금 정보는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하지 않고, 예상 요금을 이용하여 연산된 스마트 요금 마진 정보만 포함하는 선승인 요청을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선승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선승인 정보는 승객의 카드 식별 정보, 인증 번호를 포함한다. 이때, 인증 번호는 패스워드 방식, 보안카드 방식, 전화 승인 방식, SMS 인증 방식, 생체 인증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승인된 것일 수 있다.
선승인 정보를 수신한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선승인 정보에 포함된 카드 식별 번호, 인증 번호를 결제 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실제 결제가 완료되기 전까지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승객 단말기(100) 또는 택시 단말기(300)로부터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목적지까지의 예상 요금을 재산출할 수 있다. 이때, 예상 요금 산출부(210)는 실시간으로 예상 요금을 재산출하거나, 기 설정된 주기마다 예상 요금을 재산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요금 비교부(220)는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여 택시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실제 요금을 예상 요금 산출부(210)가 예상한 예상 요금과 비교한다. 이때, 요금 비교부(220)는 실제 요금이 예상 요금을 포함하는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요금 비교부(220)는 예상 요금 산출부(210)가 실시간으로 예상 요금을 재산출하는 경우, 재산출된 예상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추가 인증 판단부(230)는 예상 요금 산출부(210)가 재산출한 예상 요금이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선승인받은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즉 초기에 연산한 예상 금액이 포함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재산출된 예상 요금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초기에 연산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재산출된 예상 요금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기 수신된 선승인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발생할 택시 요금을 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추가 인증 판단부(230)는 추가 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승객 단말기(100)로 재산출된 예상 요금이 포함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의 재승인을 요청한다.
마지막으로 결제 처리부(24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선승인 정보를 결제 서버(400)로 전송하여 실제 금액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다. 그리고 결제 처리부(24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재승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재승인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서버(400)에 결제를 요청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예상 요금을 산출한다(S310).
여기서, 택시 요청 정보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것으로, 승객이 택시를 탑승할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상응하는 경로를 택시가 주행하였을 때 발생할 택시 요금인 예상 요금을 산출한다. 이때,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예상 요금과 호출 시간, 도착 예정 시간, 교통량 정보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한다.
그리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예상 요금에 대한 선승인 정보를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다.
선승인 정보는 예상 요금이 포함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대하여 승객에게 선승인을 요청하는 것으로, 승객이 해당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대한 선승인을 수락한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선승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선승인 정보는 택시 요금을 지불할 카드의 카드 식별 번호, 인증 번호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실제 요금과 예상 요금을 비교하고(S330), 실제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포함될 경우, 결제를 수행한다(S340).
승객이 탑승한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 단말기(300)로부터 실제 요금 정보를 수신한다.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S320 단계에서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선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결제 서버(400)로 예상 요금에 대한 선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요금과 예상 요금을 비교한 결과, 실제 요금과 예상 요금이 동일한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결제 서버(400)로 결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선승인받은 예상 요금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예상 요금과 실제 요금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실제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선승인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요금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실제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승인 메시지를 결제 서버(400)로 전송하거나, S320 단계에서 결제 서버(400)로 선승인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선승인 정보 및 실제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승인 메시지를 결제 서버(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선승인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승객 단말기의 선승인 방법에서 택시 요청 화면 및 선승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입력받은 택시 요청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다(S410).
승객이 택시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승객은 승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택시를 호출할 수 있다.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택시를 탑승할 승차지 정보와 택시를 이용하여 이동할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택시 호출 시 택시 기사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모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도 5의 승차지 정보 입력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지도 상에서 승차할 위치인 승차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는 승차할 위치를 텍스트로 검색하거나, 음성으로 검색하여 승차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객 단말기(10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에게 승차할 위치를 추천할 수 도 있으며, 승객으로부터 추천한 승차 위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승차지 정보로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택시를 탑승하여 이동할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승객 단말기(100)는 목적지 정보를 지도상에서 입력받거나, 텍스트 검색 등을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승객 단말기(100)는 자주 가는 목적지 정보를 승객으로부터 사전에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기 저장된 자주 가는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으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택시 기사에게 전달할 메모를 더 입력받을 수도 있다.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승객이 택시를 탑승하고자 하는 승차 위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메모를 입력받거나, 승객이 희망하는 경로와 관련된 메모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택시 호출시 택시 기사가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메모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메모는 텍스트 형태이거나, 음성 형태, 사진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OO아파트 OOO동 경비실 앞에서 탑승할게요'라는 내용 또는 'OO백화점을 들려서 가주세요'와 같은 내용을 메모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승객이 택시에 탑승하고자 하는 위치를 표현하기 위하여 촬영한 승차지 주변의 사진 등의 이미지를 메모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승객이 특정한 시각에 택시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택시 탑승 예정 시각을 포함하는 택시 요청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승객 단말기(100)는 도 6의 택시 요청 정보 확인 화면에 나타낸 것처럼, 승객이 입력한 택시 요청 정보를 승객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여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승객 단말기(100)는 출력된 택시 요청 정보 확인 화면을 통하여 승객이 입력한 승차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가 오입력되지 않았는지 승객으로부터 확인받을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택시 요청 정보의 수정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승객으로부터 택시 요청 정보를 확인받은 승객 단말기(100)는 도 7의 택시 호출 화면과 같이, 승객으로부터 해당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택시를 호출할지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택시 호출 화면에서 승객으로부터 확인 버튼 등을 통하여 택시 호출을 요청받으면,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택시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 승객 단말기(100)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택시 요청 정보와 함께 전송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택시 요청 정보를 전송한 후에 도 8의 택시 요청 정보 출력 화면을 통하여 승객에게 승객이 입력한 택시 요청 정보를 한 번 더 출력할 수 있으며, 승객으로부터 콜 정보 수정 요청, 선승인 요청, 콜 취소 요청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버튼을 출력할 수도 있다.
승객이 택시 요청 정보 출력 화면에 출력된 콜 정보 수정하기 버튼을 선택할 경우,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승차지 정보, 목적지 정보, 메모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택시의 배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택시가 배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에게 배차가 완료되어 목적지 정보 또는 목적지 정보를 수정할 수 없으며, 메모 항목만 수정할 수 있다는 내용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고, 승객으로부터 택시 요청 정보 중에서 메모 항목만 수정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선승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420).
선승인 요청 메시지는 선승인 할 택시 예상 요금과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포함한다. 여기서, 택시 예상 요금은 승객 단말기(100)가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승차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택시 호출시의 시간,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간 등의 시각 정보와,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교통량 정보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것이다.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선승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승객 단말기(100)는 도 9의 선승인 요청 출력 화면과 같이 승객에게 선승인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승객 단말기(100)는 선승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예상 요금과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이용하여 예상되는 선승인 요금 범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선승인 요청 출력 화면에는 선승인 요금 범위가 범위 값인 15,720원~16,720원 인 것으로 설정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선승인 요금 범위의 최고 값인 16,720원 이하인 모든 값을 선승인 요금 범위에 포함시켜 선승인 요청 출력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15,300원과 같이 선승인 요금 범위의 최고 값 이하인 요금이 실제 요금으로 발생할 경우, 해당 선승인을 통하여 결제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선승인 정보를 전송한다(S430).
승객 단말기(100)는 도 10의 선승인 정보 입력 화면에 나타낸 것처럼, 승객으로부터 선승인 정보를 입력받는다. 선승인 정보는 택시 요금을 결제할 카드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결제의 선승인을 수락하는 인증 번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증 번호는 패스워드 방식, 보안카드 방식, 전화 승인 방식, SMS 인증 방식, 생체 인증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승인된 것이다.
이때,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패스워드 방식, 보안카드 방식, 전화 승인 방식, SMS 인증 방식, 생체 인증 방식 중에서 인증을 수행할 방식을 선택받을 수 있으며, 예상되는 택시 예상 요금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두 개 이상의 방식을 적용하여 승객으로부터 인증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승객이 이용한 택시 호출 현황 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승객의 승차지 정보 또는 목적지 정보가 과거의 택시 호출 현황 내역 정보에 포함된 승차지 정보 또는 목적지 정보와 임계치 이상의 거리 차이가 발생할 경우, 승객에게 두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인증 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승객 단말기의 선승인 방법에서 탑승 전 화면, 이동 중 화면, 하차 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택시 접근 정보 제공 화면은 승객이 배차된 택시에 탑승하기 전 승객 단말기(100)의 화면을 의미한다. 택시 접근 정보 제공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배차된 택시에 상응하는 택시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 단말기(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택시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거나, 택시 요청 정보의 승차지 위치를 기준으로 택시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단말기(300)가 승차지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각 정보 또는 승차지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각의 잔여 시간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객 단말기(100)는 배차된 택시의 택시 기사 정보, 택시 차량 정보, 택시 기사가 입력한 메모 정보 등을 출력하거나, 택시 기사에게 전화를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하기 버튼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의 보호자로 기 등록된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기 또는 승객이 입력하거나 주소록에서 선택한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기로 배차된 택시에 상응하는 배차 택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승객 단말기(100)는 보호자 단말기로 자동으로 배차 택시 정보를 전송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전송을 요청받아 배차 택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이 입력한 택시 요청 정보와 함께 배차 택시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승객이 배차된 택시에 탑승하여 목적지로 이동하는 경우, 승객 단말기(100)에는 도 12와 같이 이동시 위치 정보 제공 화면이 출력된다.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택시 단말기(300)로부터 승객의 승차를 알리는 승차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 상에 이동시 위치 정보 제공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차된 택시에 탑승한 승객의 승객 단말기(100)가 택시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승객 단말기(100)가 승객이 배차된 택시에 탑승한 것으로 인식하면, 승객 단말기(100)상에 이동시 위치 정보 제공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이 탑승한 택시에 상응하는 택시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지도상에 출력하거나, 승객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지도상에 출력하여 이동시 위치 정보 제공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승객 단말기(100)는 실시간으로 택시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승객 단말기(1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동시 위치 정보 제공 화면 상에 실시간 위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3에 도시된 하차시 화면은 승객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택시에서 하차한 경우, 승객 단말기(100)에 출력되는 화면이다. 승객으로부터 입력받은 선승인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요금의 결제가 진행된 경우,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결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하차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하차시 화면은 승차지로부터 목적지로 이동한 거리 정보, 이동에 소요된 시간 정보, 택시 예상 요금,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및 실제 발생한 요금, 결제 진행 현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2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택시 단말기의 택시 운행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시 단말기의 택시 운행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고,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택시 단말기의 택시 운행 방법에서 배차시 화면, 승차지로 이동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배차 정보를 수신한다(S1410).
도 15의 배차 희망 상태 화면과 같이, 택시 단말기(300)가 콜 신청을 수신하는 상태, 즉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배차 받기를 희망하는 경우,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배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배차 정보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택시 요청 정보를 수신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택시로 배차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택시 단말기(300)로 전송한 것이다. 그리고 배차 정보는 승차지 정보,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며, 승객이 메모를 입력한 경우 메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배차 정보를 수신하면, 도 16과 같이 배차 정보 수신 화면을 출력한다. 배차 정보 수신 화면은 배차 정보에 포함된 승객의 탑승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택시 단말기(300)는 탑승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출력하거나,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으며, 지도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택시 단말기(300)는 탑승 위치 정보와 택시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승객의 탑승 위치와 택시의 현재 위치간 거리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기사로부터 해당 배차 정보의 수락 여부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택시 기사로부터 입력받은 수락 여부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택시 기사로부터 해당 배차 정보의 수락을 입력받으면, 택시 단말기(300)는 도 17의 배차 성공 화면을 출력 한다.
그리고 배차가 성공하면, 택시 단말기(300)는 도 18의 승차지 이동시 화면을 출력한다. 택시 단말기(300)는 승차지 이동시 화면을 통하여 지도상에 표시되거나 텍스트 형태로 표시된 승차지 정보, 승차지까지의 경로 정보, 택시를 호출한 승객의 전화번호, 승객이 입력한 메모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승차지 이동시 화면은 승차지에 도착하여 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경우, 승객이 탑승하였음을 알리는 승객 탑승 보고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택시 단말기(300)는 승차지 이동시 화면에서 택시 기사로부터 택시 탑승 완료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택시 탑승 완료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는 도 14에 도시된 택시 단말기의 택시 운행 방법에서 경로 안내 화면 및 승객 하차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택시 단말기(300)는 도 19와 같은 목적지 안내 화면을 통하여 택시에 탑승한 승객에 상응하는 목적지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목적지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표현되거나, 지도상에 표현될 수 있으며,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예상 도착 시각과 예상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예상 도착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기사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수신할지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택시 단말기(300)는 경로 안내 화면을 출력하기 전에, 도 20과 같이 추천 경로 목록 화면을 통하여 승객 승차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다양한 경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 정보는 최저 요금 추천 경로, 최단시간 추천 경로, 최단 거리 추천 경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각각의 경로별 거리 정보, 예상 소요 시간 정보, 예상 요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기사로부터 경로 안내 화면을 제공받기 희망하는 경로를 선택받는다.
택시 기사로부터 경로 정보의 수신을 요청받으면,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도 21과 같이 경로 안내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 정보는 택시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것으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한 예상 도착 정보에 대응되는 경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실제 요금 정보를 전송한다(S1420). 여기서 실제 요금 정보를 수신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결제 서버(400)로 결제 정보를 전송하여 결제를 진행하고, 해당 택시에 탑승한 승객의 승객 단말기(100)로 실제 요금 정보 및 결제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도 22와 같이 택시 단말기(300)는 목적지 도착시 화면을 통하여 승객이 탑승한 택시가 이동한 거리 정보, 소요된 시간 정보, 실제 발생한 택시 요금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택시 단말기(300)는 승객의 택시 요금 결제 상태 정보를 목적지 도착시 화면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택시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S2310).
택시를 호출하고자 하는 승객은 승객 단말기(100)에 승차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택시 요청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택시 요청 정보는 메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승객은 택시를 호출할 때, 택시 기사에게 전달할 메모를 승객 단말기(10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택시 요청 정보를 입력할 때에 택시를 호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각에 택시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승객 단말기(100)는 호출 희망 시각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으며, 호출 희망 시각 정보를 더 포함하는 택시 요청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택시를 선택하고, 선택된 택시로 배차 정보를 전송한다(S2320).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승차지 부근에 위치한 택시 중에서 현재 배회 중인 배차할 택시로 선택하거나, 다른 승객이 탑승하여 이동중인 택시 중에서 승차지 부근이 목적지로 설정되어 있는 택시를 배차할 택시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승차지 부근을 배회 중인 택시가 없을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 요청 승차지 부근이 목적지로 설정되어 주행중인 택시 중에서 탑승한 승객이 하차한 후, 승차지까지 가장 먼저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택시를 배차할 택시로 선택할 수 있다.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선택된 택시의 택시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배차 정보는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승차지 정보, 목적지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에서 승객이 택시를 탑승할 승차지로 이동하는 경로 정보를 택시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배차 정보를 수신한 택시 단말기(300)를 구비한 택시는 승차지로 이동하고, 승객이 탑승한 후 배차 정보에 상응하는 목적지로 이동한다.
또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 예상 도착 정보를 전송하고, 선승인을 요청한다(S2330).
여기서, 예상 도착 정보는 승객이 탑승한 택시가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목적지까지의 거리, 예상 요금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예상 도착 정보에 포함된 예상 요금을 이용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대한 선승인을 승객 단말기(100)에 요청한다.
선승인 요청은 택시의 실제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포함될 경우, 별도의 승인 절차나 승객의 지불 절차 없이 실제 요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승객 단말기(100)에 요청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예상 요금을 포함하는 범위 값일 수 있으며, 승객이 택시를 호출한 시간, 목적지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등의 시각 정보와,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교통량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설정된 경로 상에 포함되는 도로가 서행 또는 정체 상태이거나, 교통량이 기 설정된 값보다 많은 경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더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반면, 택시 호출 시간이 교통량이 매우 적은 새벽 시간이거나, 설정된 경로 상에 포함된 모든 도로의 교통 상황이 원활상태이고, 교통량이 적은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더 좁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평일 오후 5시 40분에, 승차지가 판교이고, 목적지가 강남역인 택시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판교에서 강남역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의 도착 예상 시간을 연산한다. 도착 예상 시간이 오후 6시 20분인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 호출 시간인 오후 5시 40분과 도착 예상 시간인 오후 6시 20분의 시각 정보와 택시 호출 시간 및 도착 예상 시간의 교통량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한다.
이때,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분당내곡간 도시고속화도로, 언주로, 테헤란로를 지나는 경로를 설정한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오후 5시 40분의 분당 내곡간 도시 고속화도로 교통량 정보와 오후 6시 10분경의 테헤란로 교통량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오후 6시의 언주로 교통량 정보를 더 이용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호출 시간과 도착 예상 시간은 평일 출퇴근 시간이고, 해당 시각의 도로가 서행 또는 정체 상태일 것으로 예상되므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예상 요금인 16,220원과 예상되는 교통 상황을 이용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23%로 설정하여 최대 19,920원까지 실제 요금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3,700원으로 예상하여 최대 19,920원까지 실제 요금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즉,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S2330 단계에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로 설정된 19,920원을 승객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선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S2330 단계에서 승객 단말기(100)로 예상 도착 정보의 전송과 선승인 요청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 예상 도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선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구분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의 보호자로 등록된 보호자 단말기로 예상 도착 정보를 전송하고, 선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선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택시 요금에 대응되는 선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객 단말기(100)는 선승인을 수행하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선승인 정보를 전송한다(S2340).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출력하고, 승객으로부터 해당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대한 선승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승객 단말기(100)는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가 19,920원 이하인 선승인 요청을 수신한 경우, 예상 요금인 16,220원과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로 설정된 19,920원을 표시하고, 승객에게 선승인 정보를 입력받는다. 선승인 정보는 택시 요금을 결제할 카드 식별번호와 인증 번호를 포함하며, 인증 번호는 패스워드 방식, 보안카드 방식, 전화 승인 방식, SMS 인증 방식, 생체 인증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것일 수 있다.
승객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에 대한 선승인 정보를 승객 단말기(100)에 입력하면,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입력받은 선승인 정보를 전송한다.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택시를 배차하고 난 뒤,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선승인 요청을 수신하여 선승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승객이 택시에 탑승한 후에 선승인을 수행하여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선승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승객 단말기(100)가 선승인을 수행하고, 선승인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하는 과정은 택시가 배차된 이후부터, 탑승한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까지 어느 단계에서든 수행될 수 있다.
승객이 탑승한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도착 완료 정보를 전송한다(S2350).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승차지로 이동하여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승객을 탑승시킨다. 그리고 택시 요청 정보에 상응하는 목적지로 이동한다. 이때, 택시 단말기(3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택시 단말기(300)는 실제로 발생한 택시 요금인 실제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도착 완료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택시 단말기(300)는 목적지에 도착시, 택시 기사로부터 목적지에 도착하였음을 입력받거나, 택시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 정보를 비교하여 도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실제 요금과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비교한다(S2360). 그리고 비교 결과, 실제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결제 서버(400)로 결제 정보를 전송하여 결제를 진행한다(S2370).
예를 들어, 실제 요금이 16,830원인 경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인 19,920원 이내의 값이므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선승인받은 선승인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요금의 결제를 수행한다. 이때,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카드 식별 번호와 실제 요금 정보를 결제 서버(400)로 전송하여 실제 요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택시 요금 처리 장치의 재승인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의 재승인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이 탑승한 택시의 주행 정보에 기반한 실시간 예상 요금을 산출한다(S2410).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실제 요금이 예상 도착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승객 단말기(100)로 재승인을 요청하기 위하여, 실시간 예상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예상 요금은 기 설정된 주기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이 탑승한 택시의 택시 단말기(300)로부터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받고, 목적지까지의 남은 경로와 경로의 교통 상황 등을 고려하여 실시간 예상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실시간 예상 요금과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비교한다(S2420).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S2410 단계에서 산출된 실시간 예상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선승인 받은 예상 요금을 제1 예상 요금이라고 하고, S2410 단계에서 산출된 실시간 예상 요금 중에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벗어난 것을 제2 예상 요금이라고 명명한다.
비교 결과, 추가 인증 요청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제2 예상 요금에 상응하는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재설정한다(S2430).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벗어나는 제2 예상 요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승객 단말기(100)로 제2 예상 요금에 대한 추가 인증 요청을 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실시간 예상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벗어난다는 것은,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사전에 승인 받은 제1 예상 요금에 대한 선승인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발생한 택시 요금의 결제를 진행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제2 예상 요금에 상응하는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재설정한다. 이때,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제2 예상 요금을 포함하는 값이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도 3의 S31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재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의 재승인을 승객 단말기(100)에 요청한다(S2440).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의 실제 요금이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별도의 승인 절차나 승객의 지불 절차 없이 실제 요금의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승객 단말기(100)로 재승인을 요청한다.
마지막으로,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로부터 재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결제를 수행한다(S2450).
이때,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재승인 메시지를 수신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은 도 3의 S320 단계 내지 S34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2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재승인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재승인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승객 단말기(100)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재승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2510).
재승인 요청 메시지는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가 재설정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포함하며, 제2 예상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재승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승객 단말기(100)가 재승인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은 도 4의 S42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재승인 정보를 입력받아 재승인을 수행한다(S2520).
승객으로부터 재승인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재승인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하는 과정은 도 4의 S43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승객 단말기(100)는 선승인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할 때, 택시 요금을 결제할 카드 식별 정보를 전송하였으므로, S2520 단계에서 재승인 정보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할 때에는 인증 번호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객의 재승인 절차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승객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재승인 한도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재승인 한도는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실제 요금이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재승인 한도 내에 포함될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재승인 정보를 이용하여 택시 요금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6 내지 도 2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목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부가 서비스 화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항목을 표시한 화면이다.
부가 서비스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공지사항, 안심 귀가 설정, 스탬프, 승차 이력 등의 서비스를 승객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안심 귀가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의 안심 귀가 설정 화면에 나타낸 것처럼,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사전에 보호자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객 단말기(100)에 상응하는 승객이 택시를 호출하거나, 택시에 탑승할 경우, 등록된 보호자 중에서 적어도 한 명에 상응하는 보호자 단말기로 승객의 택시 탑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택시 탑승 정보는 승객 단말기(100)가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 택시 요청 정보,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예상 도착 정보, 택시에 탑승한 승객의 실시간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객 단말기의 스탬프 서비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의 스탬프함 화면과 같이,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를 이용하여 택시를 호출하여 탑승한 경우, 택시 요금 처리 장치(200)는 택시를 이용한 승객 단말기(100)로 스탬프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객 단말기(100)는 스탬프함 화면과 같이 스탬프를 모을 수 있으며, 승객은 모은 스탬프를 이용하여 택시 요금을 할인받거나, 유료 부가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택시를 호출한 승객의 승차지 및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예상 요금을 산출하고, 예상 요금과 시각 정보 및 교통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하며,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하여 발생된 실제 요금이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승객으로부터 선승인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요금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승객의 택시 요금 지불 과정을 간소화하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승객이 택시 요금 지불에 소요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승객 및 택시기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승객 단말기 200: 택시 요금 처리 장치
210: 예상 요금 산출부 220: 요금 비교부
230: 추가 인증 판단부 240: 결제 처리부
300: 택시 단말기 400: 결제 서버
510: 승차지 정보 입력 화면 520: 택시 요청 정보 확인 화면
530: 택시 호출 화면 540: 택시 요청 정보 출력 화면
550: 선승인 요청 출력 화면 560: 선승인 정보 입력 화면
610: 택시 접근 정보 제공 화면 620: 이동시 위치 정보 제공 화면
630: 하차시 화면 810: 배차 희망 상태 화면
820: 배차 정보 수신 화면 830: 배차 성공 화면
840: 승차지 이동시 화면 910: 목적지 안내 화면
920: 경로 안내 화면 930: 추천 경로 목록 화면
940: 목적지 도착시 화면 1310: 부가 서비스 화면
1320: 안심 귀가 설정 화면 1410: 스탬프함 화면

Claims (10)

  1. 택시를 호출한 승객에 상응하는 예상 요금을 산출하고, 상기 호출에 상응하는 호출 시간 및 도착 예정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시각 정보와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교통량 정보 및 상기 예상 요금을 기초로 상기 예상 요금을 포함하는 범위이면서 해당 범위에 속한 실제 요금이 발생할 경우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범위인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한 후 상기 승객에 대해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포함하는 선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선승인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선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승객에 대한 선승인을 수행하는 예상 요금 산출부,
    상기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 산출된 실제 요금과 상기 예상 요금을 비교하는 요금 비교부, 그리고
    상기 실제 요금과 상기 예상 요금이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승객의 선승인에 기반하여 추가 인증 없이 상기 실제 요금에 상응하는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를 포함하며,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승객에 상응하는 예상 요금을 재산출하는 상기 예상 요금 산출부가 재산출한 예상 요금이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재산출한 예상 요금이 포함되도록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재설정한 후 상기 승객에 대해 상기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의 재승인을 요청하는 추가 인증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추가 인증 판단부의 재승인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재승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실제 요금이 상기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실제 요금이 상기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재승인 정보를 기초로 추가 인증 없이 상기 실제 요금에 상응하는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택시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는,
    상기 택시를 호출한 시점의 상기 승객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1 교통 정보와 상기 택시를 호출한 시점 이후의 상기 승객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제2 교통 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를 이용한 택시 요금 처리 방법에 있어서,
    택시를 호출한 승객에 상응하는 예상 요금을 산출하고, 상기 호출에 상응하는 호출 시간 및 도착 예정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시각 정보와 상기 시각 정보에 상응하는 교통량 정보 및 상기 예상 요금을 기초로 상기 예상 요금을 포함하는 범위이면서 해당 범위에 속한 실제 요금이 발생할 경우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범위인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설정한 후 상기 승객에 대해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포함하는 선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선승인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선승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승객에 대한 선승인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택시가 목적지에 도착한 후 산출된 실제 요금과 상기 예상 요금을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실제 요금과 상기 예상 요금이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승객의 선승인에 기반하여 추가 인증 없이 상기 실제 요금에 상응하는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선승인을 수행하는 단계는,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승객에 상응하는 예상 요금을 재산출하고, 상기 재산출한 예상 요금이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재산출한 예상 요금이 포함되도록 상기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를 재설정한 후 상기 승객에 대해 상기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의 재승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재승인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재승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실제 요금이 상기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실제 요금이 상기 재설정된 스마트 요금 마진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재승인 정보를 기초로 추가 인증 없이 상기 실제 요금에 상응하는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방법.
KR1020150133768A 2015-08-11 2015-09-22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3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55 2015-08-11
KR20150113255 2015-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297A KR20170019297A (ko) 2017-02-21
KR102533854B1 true KR102533854B1 (ko) 2023-05-19

Family

ID=5831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768A KR102533854B1 (ko) 2015-08-11 2015-09-22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213B1 (ko) * 2021-05-18 2022-04-08 황규성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택시를 위한 콜 수신, 네비게이션, 결제를 통합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29951A1 (en) 2012-11-08 2014-05-08 Uber Technologies, Inc. Providing on-demand services through use of portable comput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688B1 (ko) 2008-08-11 2011-09-14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택시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EP2477151A4 (en) * 2009-09-07 2014-10-29 Korea Airports Corp METHOD OF OPERATING A PREPAID TAXI SERVICE
KR101462034B1 (ko) * 2013-04-16 2014-11-19 홍서현 콜택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콜택시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044064A (ko) * 2013-10-15 2015-04-24 조성훈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편리하고 안전한 택시이용방법
KR20150014524A (ko) * 2015-01-15 2015-02-06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무선 통신을 이용한 택시 요금 결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중계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29951A1 (en) 2012-11-08 2014-05-08 Uber Technologies, Inc. Providing on-demand services through use of portable comput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297A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7206B2 (en) System to facilitate a correct identification of a service provider
US11354619B2 (en) Vehicle dispatch device
KR20180088547A (ko) 차량을 공유하려는 사용자들을 중개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914399B2 (ja) タクシー案内システムおよびタクシー案内方法
US20140350979A1 (en) Multi-modal journey planning and payment
KR101812778B1 (ko) 승객 운반 중인 택시에 대한 배차예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7063172B2 (ja) 情報処理装置、乗車車両調整方法及び乗車車両調整プログラム
US202001347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00132481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026913B1 (ko) 주문형 교통 서비스를 위한 정류장 선택 방법 및 시스템
KR101206238B1 (ko) 버스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88136B2 (ja) サーバ装置
KR20130037133A (ko)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차량동승 시스템 및 방법
JP2016212056A (ja) 通知システム、サーバ装置、通信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知方法
US20190075425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shared journey
JP7083859B2 (ja) 公共交通システム
KR102533854B1 (ko)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665679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522876B1 (ja) 情報処理方法、携帯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236464B1 (ko) 택시 승차 공유 방법
JP2008197930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101608911B1 (ko) 버스정보안내단말기에 구비되는 비콘 기반 안내 시스템
JP72478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9204370A (ja) 管理サーバ、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538798B1 (ko) 운송 수단의 할당을 위한 서버, 방법 및 명령을 저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