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771A -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771A
KR20210151771A KR1020217019823A KR20217019823A KR20210151771A KR 20210151771 A KR20210151771 A KR 20210151771A KR 1020217019823 A KR1020217019823 A KR 1020217019823A KR 20217019823 A KR20217019823 A KR 20217019823A KR 20210151771 A KR20210151771 A KR 20210151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vehicle
destination
informa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296B1 (ko
Inventor
김지성
Original Assignee
포티투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티투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티투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7042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893A/ko
Publication of KR2021015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Abstract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리 서버가,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운행 차량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승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운행 정보 및 승객 정보를 기초로 운행 차량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착지를 향해 운행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 차량 호출을 요청한 승객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와 차량 운전자가 설정한 배차시 매칭 조건에 따라 차량 배차를 결정함으로써 차량 운행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본 발명은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착지를 향해 운행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 차량 호출을 요청한 승객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와 차량 운전자가 설정한 배차시 매칭 조건에 따라 차량 배차를 결정함으로써 차량 운행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와 대기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 배차를 결정함으로써 승객의 차량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카카오 택시, 타다 등의 차량 호출 서비스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승객들은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해 스마트 폰을 통해 간편한 방식으로 차량을 호출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차량 호출 서비스를 통해 차량 운전자들의 수익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승객이 없어 배회 운행을 하는 등 빈차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량 호출 서비스의 운전자들은 하루의 운행 업무를 마친 후 차고지 또는 자신의 집으로 복귀하는 경우 대부분 승객을 태우지 않은 빈차 상태로 운행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 제10-2072174호에서는 강제 배차 서버가, 각 기사의 영업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승객으로부터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 예상운행경로를 수신하며, 각 기사의 남은 영업시간과 차고지로의 복귀시간을 고려하여 수신한 예상운행경로 각각을 대기중인 기사 각각에게 강제로 배차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강제 배차 서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강제 배차가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 운전자는 배차 결정시 고려되어야 할 개별 조건에 관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차량 호출 서비스는 승객을 태우지 않고 있는 대기 상태의 차량 운전자들을 중심으로 배차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승객을 태우고 운행 중인 차량 운전자가 현재의 운행 경로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승객을 위한 운행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승객을 태우고 운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라 하더라도 현재의 목적지가 차량 호출을 요청한 승객의 출발지에 인접한 경우에는 현재의 운행을 완료한 이후에 최종적으로 해당 승객의 출발지로 대기 상태에 있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보다도 먼저 도착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현재 승객을 태우고 운행 중인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고려한 차량 배차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착지를 향해 운행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 차량 호출을 요청한 승객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와 차량 운전자가 설정한 배차시 매칭 조건에 따라 차량 배차를 결정함으로써 차량 운행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와 대기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 배차를 결정함으로써 승객의 차량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운행 차량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승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운행 정보 및 상기 승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운행 차량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상기 승객의 출발지로부터 상기 승객의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및 상기 승객의 목적지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을 합산한 총 예상 이동 시간과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의 차이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c2)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c2)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승객의 목적지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운행 차량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승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운행 정보 및 상기 승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운행 차량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부는,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상기 승객의 출발지로부터 상기 승객의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및 상기 승객의 목적지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을 합산한 총 예상 이동 시간과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의 차이값이 소정의 기준 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승객의 목적지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은, (a) 운전자 단말기가, 관리 서버로부터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운전자가 운행하는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운행 차량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와 상기 승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승객의 탑승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상기 승객의 출발지로부터 상기 승객의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및 상기 승객의 목적지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을 합산한 총 예상 이동 시간과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의 차이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승객의 목적지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착지를 향해 운행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 차량 호출을 요청한 승객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와 차량 운전자가 설정한 배차시 매칭 조건에 따라 차량 배차를 결정함으로써 차량 운행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와 대기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차량 배차를 결정함으로써 승객의 차량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실행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실행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리 서버가,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운행 차량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승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운행 정보 및 승객 정보를 기초로 운행 차량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착지를 향해 운행 중인 차량의 운행 정보, 차량 호출을 요청한 승객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와 차량 운전자가 설정한 배차시 매칭 조건에 따라 차량 배차를 결정함으로써 차량 운행의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시스템은 승객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및 운전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승객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서비스를 통해 차량(10)을 호출하는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이고, 운전자 단말기(300)는 해당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차량(10)을 배차받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이다.
승객 단말기(100)와 운전자 단말기(3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승객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 단말기(300)는 운전자의 차량(10)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 등의 운행 지원용 통신 단말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운전자 단말기(300)는 도착지를 향하여 운행 중인 차량(10)인 운행 차량(10-1)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운전자 단말기(300)인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와 정해진 도착지가 없는 상태에서 승객을 대기하거나 배회 중인 차량(10)인 대기 차량(10-2)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운전자 단말기(300)인 대기 운전자 단말기(300-2)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는 당일 운행을 마친 운전자의 귀가지 또는 운전자가 운행 차량(10-1)을 반납하여야 하는 차고지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은 귀로 차량을 위한 배차 관리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는 운행 차량(10-1)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의 목적지가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은 운행 차량(10-1)의 합승을 위한 배차 관리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설치 및 운영하는 서버로서, 관리 서버(200)는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고,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며,운행 정보 및 승객 정보를 기초로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운행 차량(10-1)의 배차를 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서버(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서버(200)는 수신부(210), 저장부(230), 판단부(250) 및 송신부(270)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200)의 수신부(210)는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수신한다.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운행 정보 및 승객 정보를 기초로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운행 차량(10-1)의 배차를 결정하며,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로부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승객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및 승객의 목적지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을 합산한 총 예상 이동 시간과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의 차이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운행 차량(10-1)의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관리 서버(200)의 송신부(270)는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승객과 매칭된 차량(10)의 운전자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한편, 수신부(210)에서의 각종 수신 정보, 판단부(250)에서의 각종 판단 정보 및 송신부(270)에서의 각종 송신 정보는 관리 서버(200)의 저장부(230)에 시간대별로 누적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실행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도착지(차고지 또는 승객의 목적지)로 차량(10-1)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의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 정보와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수신한다(S310).
한편, 승객이 차량(10)을 호출하기 위해 승객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승객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출발지 위치 정보와 목적지 위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입력함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승객의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즉, 차량 호출 요청)를 수신한다(S320).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수신된 운행 차량(10-1)의 운행 정보와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승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S330).
구체적으로, 도 4에서와 같이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1)로부터 승객의 출발지(3)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1)과 승객의 출발지(3)으로부터 승객의 목적지(4)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2)과 승객의 목적지(4)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3)을 각각 산출한 다음, 이들을 합산한 총 예상 이동 시간(t1+t2+t3)과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1)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1)의 차이값이 소정의 제1 기준값(α:예를 들면, 10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차이값이 소정의 제1 기준값(α) 미만인 경우(즉,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pct00001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1)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1)을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수신된 운행 차량(10-1)의 운행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 정보와 도착지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S31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가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수신하는 운행 정보에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산출된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1)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1)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수신한 예상 이동 시간(T1)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수학식 1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는 운전자가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까지의 이동 경로를 승객의 출발지(3)와 승객의 목적지(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이동 경로로 수정함에 따라 추가로 소요되는 시간이 소정의 제1 기준값(α:예를 들면, 10분) 미만인 경우로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이는 운행 차량(10-1)의 운전자 또는 운행 차량(10-1)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이 용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보아 해당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1)로부터 승객의 출발지(3)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1)이 소정의 제2 기준값(
Figure pct00002
:예를 들면, 3분) 미만인 경우(즉,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pct00003
구체적으로,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경우는 운전자가 승객을 탑승시키기 위하여 원래의 이동 경로((1)→(2))를 이탈하여 승객의 출발지(3)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t1)에 소정의 제2 기준값(
Figure pct00004
:예를 들면, 3분) 미만인 경우로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이를 운행 차량(10-1)의 운전자 또는 운행 차량(10-1)의 기존 승객이 용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보아 해당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승객의 목적지(4)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까지의 거리(D)가 소정의 제3 기준값(γ: 예를 들면, 2km) 미만인 경우(즉,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pct00005
구체적으로, 상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경우는 승객의 목적지(4)까지 운행을 완료한 운전자가 원 이동 경로에서의 도착지(2)까지 이동해야 하는 거리(D)가 소정의 제3 기준값(γ: 예를 들면, 2km) 미만인 경우로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이를 운행 차량(10-1)의 운전자 또는 운행 차량(10-1)의 기존 승객이 용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보아 해당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관리자의 설정 조건에 따라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 수학식 1과 수학식 3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 또는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는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를 통해 상기와 같은 승객 매칭 조건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는 자신의 성향 및 상황에 따라 상술한 3개의 수학식 중에서 승객과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기 위해 반드시 만족해야 하는 수학식을 1개 또는 2개 이상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는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를 통해 승객 매칭 조건으로서 상기와 같이 수학식을 직접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수학식에서의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을 자신의 성향 및 상황에 따라 직접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직접 설정한 승객 매칭 조건 및 기준값 정보는 전술한 S310 단계에서 운행 차량(10-1)의 운행 정보와 함께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관리 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으며, 이에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해당 운전자가 설정한 승객 매칭 조건 및 기준값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S330 단계에서의 승객과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관리 서버(200)는 전술한 S31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로 운행 정보를 송신한 복수의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 중에서 전술한 S330 단계를 통해 승객과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운행 정보를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 전술한 S320 단계에서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승객의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즉, 차량 호출 요청)를 송신한다(S34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술한 S330 단계에서의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에 의한 매칭 적합 여부 판단과는 독립적으로 매칭 적합 여부 판단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S35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승객과 운행 차량(10-1)의 매칭 적합 여부 판단을 관리 서버(200)에서 실행하지 않고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에서만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승객 매칭 조건 및 기준값 정보에 따라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에서 실행된 매칭 적합 여부 판단을 통과한 경우라도 이에 추가로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에서 운전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신의 성향 및 상황에 따라 직접 설정한 승객 매칭 조건 및 기준값 정보에 따라 최종적으로 매칭 적합 여부 판단을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는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1)로부터 승객의 출발지(3)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1)과 승객의 출발지(3)로부터 승객의 목적지(4)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2)과 승객의 목적지(4)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3)을 각각 산출하고, 이들을 모두 합산한 총 예상 이동 시간(t1+t2+t3)과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1)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1)의 차이값이 소정의 제1 기준값(α:예를 들면, 5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해당 차이값이 소정의 제1 기준값(α) 미만인 경우(즉,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에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는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1)로부터 승객의 출발지(3)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1)이 소정의 제2 기준값(
Figure pct00006
: 예를 들면, 2분) 미만인 경우(즉,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경우)에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는 승객의 목적지(4)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까지의 거리(D)가 소정의 제3 기준값(γ: 예를 들면, 1km) 미만인 경우(즉, 상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경우)에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는 운전자가 승객 매칭 필수 조건으로 상기 3개의 수학식 중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를 통해 선택 및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수학식과, 각 수학식에서 운전자가 설정한 제1 기준값, 제2 기준값 및 제3 기준값에 따라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S350 단계에서 승객과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는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 정보와의 도착지 정보 및 운행 차량(10-1)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배차 요청을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S360).
이에 관리 서버(200)는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수신된 배차 요청에 포함된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 정보와의 도착지 정보 및 운행 차량(10-1)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배차 정보를 승객 단말기(100)로 송신함으로써 운행 차량(10-1)의 배차를 완료하게 된다(S37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실행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 서버(200)는 승객을 태우고 도착지를 향하여 운행 중인 차량인 운행 차량(10-1)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인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 정보와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수신한다(S510).
또한, 관리 서버(200)는 승객을 태우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을 대기하거나 배회 중인 차량인 대기 차량(10-2)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인 대기 운전자 단말기(300-2)로부터 대기 차량(10-2)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수신한다(S520).
한편, 승객이 차량(10)을 호출하기 위해 승객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승객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출발지 위치 정보와 목적지 위치 정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입력함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승객의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즉, 차량 호출 요청)를 수신한다(S530).
이에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승객 정보와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 및 대기 운전자 단말기(300-2)로부터 각각 수신한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 및 대기 차량(10-2)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S540).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1)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1)과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2)로부터 승객의 출발지(3)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2)을 각각 산출한 다음, 이들을 합산한 이동 시간인 운행 차량(10-1)의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최종 도착 예상 소요 시간(T1+T2)을 산출한다.
또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대기 차량(10-2)의 현재 위치(1')로부터 승객의 출발지(3)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t)인 대기 차량(10-2)의 도착 예상 소요 시간(t)을 산출한다.
그 다음,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대기 차량(10-2)의 도착 예상 소요 시간(t)과 운행 차량(10-1)의 도착 예상 소요 시간(T1+T2)을 비교하여 도착 예상 소요 시간이 더 짧은 차량(10)이 승객과의 매칭에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대기 차량(10-2)의 도착 예상 소요 시간(t)(예를 들면, 3분) 보다 운행 차량(10-1)의 도착 예상 소요 시간(T1+T2)(예를 들면, 2분)이 더 짧은 경우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대기 차량(10-2)보다 운행 차량(10-1)을 우선하여 배차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가 운행 차량(10-1)의 배차를 결정한 경우에 관리 서버(200)는 전술한 S530 단계에서 승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승객의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즉, 차량 호출 요청)를 매칭된 운행 차량(10-1)의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 송신한다(S550).
이에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는 운행 차량(10-1)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배차 요청을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게 되며(S560), 관리 서버(200)는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수신된 배차 요청에 포함된 운행 차량(10-1)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배차 정보를 승객 단말기(100)로 송신함으로써 운행 차량(10-1)의 배차를 완료하게 된다(S57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관리 서버(200)의 저장부(230) 및/또는 운전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이 실행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200)는 도착지(차고지 또는 승객의 목적지)로 차량(10-1)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의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 정보와 운행 차량(10-1)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제1 승객이 차량(10)을 호출하기 위해 제1 승객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승객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제1 출발지 정보와 제1 목적지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입력함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제1 승객 단말기로부터 제1 승객의 제1 출발지 정보와 제1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승객 정보(즉, 차량 호출 요청)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운행 운전자 단말기(300-1)로부터 수신된 운행 차량(10-1)의 운행 정보와 제1 승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승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운행 차량(10-1)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제2 승객의 제2 출발지 정보 및 제2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승객 정보를 제2 승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제1 승객 및 제2 승객으로부터 합승 동의를 얻은 것에 응답하여, 운행 차량(10-1)과 제2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승객은 운행 차량(10-1)의 기존 승객이고, 제2 승객 운행 차량(10-1)의 신규 승객이다. 제1 승객 및 제2 승객 중 적어도 한 명의 승객이 합승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운행 차량(10-1)과 제2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관리 서버(200)는 운행 차량(10-1)과 제2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로부터, 제1 승객의 제1 출발지, 제1 목적지, 제2 승객의 제2 출발지, 제2 목적지를 한 번씩 통과하는 최단 이동 시간과, 운행 차량(10-1)의 현재 위치로부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의 차이값이 소정의 제1 기준값(α:예를 들면, 10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차이값이 소정의 제1 기준값(α) 미만인 경우에 해당 운행 차량(10-1)과 제2 승객의 매칭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승객의 제1 출발지, 제1 목적지, 그리고 제2 승객의 제2 출발지, 제2 목적지는 모두 다른 위치일 수도 있고, 제1 승객의 제1 출발지, 제1 목적지와, 제2 승객의 제2 출발지, 제2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동일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200)는 운행 차량(10-1)과 신규 승객인 제2 승객이 매칭됨에 따라, 기존 승객인 제1 승객이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운행 차량(10-1)과 제2 승객이 매칭됨에 따라, 제1 승객의 도착 지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산출된 도착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승객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승객에게 제공되는 리워드는, 도착 지연 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700)는 통신부(710), 프로세서(720) 및 DB(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관리 서버(700)에는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장치와 유선/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10)는,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및 방송 수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수신부(210) 및 송신부(270)는 통신부(710)로 구현될 수 있다.
DB(730)는 관리 서버(7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7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DB(730)는 결제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DB(73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저장부(230)는 DB(730)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관리 서버(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20)는 DB(7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통신부(710), DB(7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DB(7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관리 서버(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관리 서버(700)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판단부(250)는 프로세서(720)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관리 서버(700)는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는 차량에 탑재된 장치들로부터 차량이 주행 중인 현재 차선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 현재 차선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관리 서버(700)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 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700)는 생산 과정 이후 튜닝(tuning)을 통해 차량 내에 삽입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관리 서버(700)는 이동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7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7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a) 관리 서버가,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운행 차량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승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운행 정보 및 상기 승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운행 차량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상기 승객의 출발지로부터 상기 승객의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및 상기 승객의 목적지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을 합산한 총 예상 이동 시간과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의 차이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2)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4.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운행 차량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승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운행 정보 및 상기 승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운행 차량과 승객의 매칭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상기 승객의 출발지로부터 상기 승객의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및 상기 승객의 목적지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을 합산한 총 예상 이동 시간과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의 차이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관리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인 관리 서버.
  7. (a) 운전자 단말기가, 관리 서버로부터 승객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운전자가 운행하는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운행 차량의 도착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와 상기 승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승객의 탑승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상기 승객의 출발지로부터 상기 승객의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 및 상기 승객의 목적지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을 합산한 총 예상 이동 시간과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운행 차량의 도착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의 차이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운전자 단말기가, 상기 운행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승객의 출발지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의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217019823A 2020-06-03 2021-06-02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474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42220A KR20230006893A (ko) 2020-06-03 2021-06-02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67097 2020-06-03
KR1020200067097 2020-06-03
PCT/KR2021/006894 WO2021246786A1 (ko) 2020-06-03 2021-06-02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220A Division KR20230006893A (ko) 2020-06-03 2021-06-02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771A true KR20210151771A (ko) 2021-12-14
KR102474296B1 KR102474296B1 (ko) 2022-12-06

Family

ID=788300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220A KR20230006893A (ko) 2020-06-03 2021-06-02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217019823A KR102474296B1 (ko) 2020-06-03 2021-06-02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220A KR20230006893A (ko) 2020-06-03 2021-06-02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14745A1 (ko)
JP (1) JP2023528500A (ko)
KR (2) KR20230006893A (ko)
DE (1) DE112021003100T5 (ko)
WO (1) WO20212467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440B1 (ko) * 2022-12-22 2023-10-05 허경회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8784A (ja) * 2006-09-19 2008-04-0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配車システム
JP2019533207A (ja) * 2017-08-16 2019-11-14 ベイジン ディディ インフィニティ テクノロジー アンド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ィッド 同時相乗り要求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566A (ko) * 2013-03-05 2014-09-16 양승만 콜 배차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콜 배차 제공 방법
JP6341533B2 (ja) * 2014-04-15 2018-06-1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配車管理システム、配車管理装置、配車管理方法、及び、配車管理プログラム
KR20150090876A (ko) * 2015-07-17 2015-08-06 안범주 택시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6537A (ko) * 2015-08-03 2017-02-14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콜택시 서비스 서버, 이를 갖는 콜택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콜택시 서비스 방법
KR102072174B1 (ko) 2018-12-18 2020-02-03 브이씨엔씨(주) 강제배차서버 및 강제배차서버에서 배차를 수행하는 방법
KR102118290B1 (ko) * 2019-08-26 2020-06-02 최창희 예상주행정보를 이용한 차량배차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8784A (ja) * 2006-09-19 2008-04-0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配車システム
JP2019533207A (ja) * 2017-08-16 2019-11-14 ベイジン ディディ インフィニティ テクノロジー アンド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ィッド 同時相乗り要求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440B1 (ko) * 2022-12-22 2023-10-05 허경회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6786A1 (ko) 2021-12-09
DE112021003100T5 (de) 2023-04-13
US20230214745A1 (en) 2023-07-06
KR102474296B1 (ko) 2022-12-06
KR20230006893A (ko) 2023-01-11
JP2023528500A (ja)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4186A1 (en) Arranging a transport service for multiple users
US11164276B2 (en) Computer system arranging transport services for users based on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information
US20200256691A1 (en) System for generating travel route to be serviced by primary transportation service and secondary transportation service
US11946756B2 (en) Determining matches using dynamic provider eligibility model
US20210209542A1 (en) System for selecting drivers for transportation requests with specified time durations
US20180060778A1 (en) Driver location prediction for a transportation service
US20190051174A1 (en) Travel path and location predictions
US201602472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Networked Vehicle Resources in Priority Environments
CN109635980B (zh) 约车订单分配方法及系统
US10032377B2 (en) Parking space management
KR101812778B1 (ko) 승객 운반 중인 택시에 대한 배차예약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88490B1 (ko) 한계 대기 시간에 기초한 차량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US201902724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vehicles to passengers
US20200356911A1 (en) Dynamic routing of vehicles through established corridors
US201902057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llocation of different categories of vehicles
KR102474296B1 (ko)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TWI830050B (zh) 基於路線的數位服務管理系統及方法、以及至少一種非暫時性機器可讀取媒體
KR102533854B1 (ko)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538798B1 (ko) 운송 수단의 할당을 위한 서버, 방법 및 명령을 저장한 기록 매체
US201901803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zing customer eng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