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440B1 -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440B1
KR102585440B1 KR1020220181326A KR20220181326A KR102585440B1 KR 102585440 B1 KR102585440 B1 KR 102585440B1 KR 1020220181326 A KR1020220181326 A KR 1020220181326A KR 20220181326 A KR20220181326 A KR 20220181326A KR 102585440 B1 KR102585440 B1 KR 102585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user
management serve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회
Original Assignee
허경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경회 filed Critical 허경회
Priority to KR102022018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요청을 수신하고,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요청을 운전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고, 합승 요청 및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합승시 사용자의 예상 요금을 산출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합승, 추가 합승 등의 다양한 합승 상황을 고려하여 미리 산출된 합승시의 예상 이용 요금을 사용자가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해당 합승 차량의 선택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of Mobility Sharing Using Shared Ride App Meter,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합승, 추가 합승 등의 다양한 합승 상황을 고려하여 미리 산출된 합승시의 예상 이용 요금을 사용자가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해당 합승 차량의 선택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연말이나 출퇴근 시간, 주말 저녁 시간 등과 같이 승객 수요가 몰리는 경우의 택시 부족 및 승차 거부 등으로 인한 승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택시 서비스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운송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우버, 카풀, 타다 등의 새로운 형태의 운송 서비스가 등장한 바 있으나, 이들 모두 택시업계의 반발과 현행법령의 한계로 인해 서비스가 실질적으로 중단된 바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한적으로 택시 합승을 허락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또한 논의되고 있으나 승객을 태우고 운행 중인 차량과 합승을 원하는 사용자를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은 아직 개발된 바 없다.
무엇보다도, 승객이 합승을 하는 경우에는 해당 택시를 단독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좀 더 낮은 요금으로 택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함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합승시의 택시 요금을 승객이 전혀 예상할 수 없어 합승 자체를 결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합승, 추가 합승 등의 다양한 합승 상황을 고려하여 미리 산출된 합승시의 예상 이용 요금을 사용자가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해당 합승 차량의 선택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요청을 운전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d)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합승 요청 및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합승시 사용자의 예상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요청을 운전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승 요청 및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합승시 사용자의 예상 요금을 산출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합승, 추가 합승 등의 다양한 합승 상황을 고려하여 미리 산출된 합승시의 예상 이용 요금을 사용자가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해당 합승 차량의 선택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 및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의 활용 유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및 운전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를 통해 차량 합승을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설치 및 운영하는 서버로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요청을 수신하고,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요청을 운전자 단말기(300)로 송신하며, 운전자 단말기(300)로부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선택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운전자 단말기(30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차량에 사용자를 합승시키고자 하는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운전자 단말기(3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서버(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서버(200)는 수신부(210), 저장부(230), 판단부(250) 및 송신부(27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요청을 수신하고, 운전자 단말기(300)로부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다.
송신부(270)는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요청을 운전자 단말기(300)로 송신하고,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선택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판단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합승 요청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합승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저장부(230)는 수신부(210)를 통한 각종 수신 정보, 송신부(270)를 통한 각종 송신 정보 및 판단부(250)에서의 각종 판단 및 검색 정보를 누적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전자가 운전자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있는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함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운전자 단말기(300)로부터 운전자 차량의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40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량용 네비게이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택시 등의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차량 탑승 정원 정보,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 정보, 탑승객의 성별 정보 및 탑승객의 도착지 정보를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입력하고 차량을 운행함에 따라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탑승객의 도착지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 정보, 차량 탑승 정원 정보,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 정보, 탑승객의 성별 정보, 운전자의 전화번호 등의 연락 정보, 운전자의 성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차량 운행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
한편, 택시 등의 차량에의 합승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S405),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사용자의 성별 정보, 합승 희망 인원수 정보, 음주 상태 여부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관리 서버(200)의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사용자의 성별 정보, 합승 희망 인원수 정보, 음주 상태 여부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요청을 수신한다(S41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상기 정보를 입력하기 전에, 종래의 차량 호출 서비스와 같이 빈 차량을 호출하는 서비스인 일반 차량 호출 서비스와 탑승객을 태우고 운행 중인 차량을 호출하는 서비스인 합승 차량 호출 서비스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가 합승 차량 호출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정보의 입력 화면이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합승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합승 승인 요청의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S420).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음주 상태 여부 정보에 기초해서 사용자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합승 요청을 수신한 시각이 소정의 심야 시간대(예를 들면, 오전1시~3시)인 경우에 운전자와 차량 탑승객의 안전을 고려하여 합승 요청을 불승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합승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고유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이용한 차량을 운행한 복수의 운전자가 운전자 단말기(300)에 입력함으로써 관리 서버(200)가 수신한 사용자의 탑승 매너 등의 평가 점수의 평균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평균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합승 요청을 불승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의 합승 요청을 최종 승인한 경우에 전술한 S400 단계에서 운전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운행 정보와 전술한 S4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합승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합승 요청 대상 운전자를 검색한다(S430).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사용자의 출발지로부터 소정의 반경(예를 들면, 3km) 범위 이내에 있는 운전자를 1차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1차 검색된 운전자 중에서 차량의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탑승객의 도착지까지의 경로에 사용자의 목적지가 포함되어 있거나,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까의 경로에 탑승객의 도착지가 포함되어 있는 운전자를 2차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2차 검색된 운전자 중에서 차량 탑승 정원(예를 들면, 4명)에서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예를 들면, 1명)와 사용자의 합승 희망 인원수(예를 들면, 2명)를 제외한 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1) 이상인 운전자를 합승 요청 대상 운전자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합승 요청 대상 운전자를 결정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성별이 남성이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합승 요청을 수신한 시각이 소정의 심야 시간대(예를 들면, 오전1시~3시)인 경우에 성별이 여성인 운전자를 합승 요청 대상 운전자에서 제외함으로써 심야 시간대의 여성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합승 요청 대상 운전자를 결정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성별이 남성이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합승 요청을 수신한 시각이 소정의 심야 시간대(예를 들면, 오전1시~3시)인 경우에 성별이 여성인 운전자를 합승 요청 대상 운전자에서 제외함으로써 심야 시간대의 여성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관리 서버(200)는 합승 요청 대상 운전자로 결정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운전자 단말기(300)로 사용자의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사용자의 성별 정보, 합승 희망 인원수 정보, 음주 상태 여부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요청을 송신한다(S440).
이에 운전자 단말기(300)를 통해 합승 수락 요청을 확인한 운전자는 합승 수락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탑승객에게 전달한 후 합승 동의를 구하게 되며, 탑승객이 합승을 동의한 경우에 운전자 단말기(3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탑승객의 동의를 확인하는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탑승객의 동의 정보를 입력한다(S45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40 단계의 실행에 앞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탑승객의 도착지까지의 경로에 사용자의 출발지를 경유지 정보로 추가함으로써 차량의 수정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정 이동 경로를 전술한 S440 단계에서의 합승 수락 요청에 포함시킴으로써 탑승객이 운전자 단말기(300)를 통해 표시된 차량의 수정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합승에의 동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40 단계의 실행에 앞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동 경로를 전술한 S440 단계에서의 합승 수락 요청에 포함시킴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현재 탑승객의 이동 경로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비교함으로써 합승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운전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현재 탑승객의 이동 경로와 색상, 명도 등을 구분하여 운전자 단말기(30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현재 탑승객의 이동 경로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비교함으로써 합승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S45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가 탑승객의 동의 정보를 무단 입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마이크 모듈을 통해 탑승객의 동의 음성 정보를 입력하거나, 운전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터치식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탑승자가 직접 서명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탑승객의 동의 정보가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입력됨에 따라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차량의 도착지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 정보, 차량 탑승 정원 정보,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 정보, 탑승객의 성별 정보, 운전자의 전화번호 등의 연락 정보, 운전자의 성별 정보 등의 합승 대상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메시지가 생성되며, 운전자 단말기(300)는 생성된 합승 수락 메시지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S455).
한편, 운전자 단말기(300)로부터 합승 수락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차량의 도착지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 정보, 차량 탑승 정원 정보,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 정보, 탑승객의 성별 정보, 운전자의 전화번호 등의 연락 정보, 운전자의 성별 정보 등의 합승 대상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선택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46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는 전술한 S440 단계, S450 단계, S455 단계에서의 운전자 및 탑승객의 합승 수락 및 동의 절차를 실행하지 않고, 전술한 S430 단계에서 검색된 운전자 정보(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차량의 도착지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 정보, 차량 탑승 정원 정보,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 정보, 탑승객의 성별 정보, 운전자의 성별 정보 등)를 포함하는 차량 선택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 전술한 S40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가 운전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하는 운행 정보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차량의 도착지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 정보, 차량 탑승 정원 정보,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 정보, 탑승객의 성별 정보, 운전자의 성별 정보가 포함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차량의 도착지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 정보, 차량 탑승 정원 정보,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 정보, 탑승객의 성별 정보, 운전자의 성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기초로 해당 차량의 선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6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차량 선택 요청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이동 경로와 색상, 명도 등을 구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의 현재 이동 경로와 자신의 이동 경로를 비교함으로써 차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합승 대상 차량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차량을 선택함에 따라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차량 선택 정보를 수신하게 되며(S465), 이에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실행 요청을 운전자 단말기(300)로 송신한다(S470).
한편, 운전자 단말기(300)가 관리 서버(200)로부터 합승 실행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탑승객의 도착지까지의 이동 경로에 사용자의 출발지를 경유지 정보로 추가함으로써 차량의 이동 경로를 수정(재설정)하게 된다(S475).
이에 따라 운전자는 사용자가 합승을 대기하고 있는 장소인 사용자의 출발지로 차량을 운행하게 되며 관리 서버(200)는 차량 운행에 따라 운전자 단말기(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실시간으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는 합승 차량의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S480).
이후 출발지로의 도착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게 되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량의 출발지(경유지)로의 도착이 완료됨에 따라 차량의 이동 경로를 수정(재설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량의 현재 위치(경유지)로부터 탑승객의 도착지까지의 경로에 사용자의 목적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사용자의 목적지를 경유지로 추가함으로써 차량의 이동 경로를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량의 현재 위치(경유지)로부터 탑승객의 도착지까지의 경로에 사용자의 목적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경유지)로부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에 탑승객의 도착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사용자의 목적지를 네비게이션 상의 최종 도착지로 설정하고, 탑승객의 도착지를 경유지로 설정함으로써 이동 경로를 재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앱 미터기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에 따라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량의 합승 운행 구간 동안에 산출된 요금에 대해 탑승객과 사용자(합승자)가 각각 부담하여야 할 요금을 소정의 비율로 산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S485).
구체적으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량의 합승 운행 구간 동안 산출된 요금이 탑승객과 사용자(합승자)에게 각각 100% 씩 부과되도록 개별 요금을 산출할 수도 있을 것이나, 차량의 합승 운행 구간에 산출된 요금이 탑승객과 사용자(합승자)에게 각각 소정의 비율(예를 들면, 60%)로 부과되도록 개별 요금을 산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탑승객과 사용자(합승자)가 각각 60%의 비율로 개별 요금을 부담함에 따라 운전자는 합승을 하지 않은 경우(즉, 일반 호출의 경우)에 산출되는 요금의 120%에 해당하는 요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객과 사용자는 단독 승차시 이용해야 하는 요금의 일부만을 부담하면서도, 운전자는 합승 운행 구간 동안 정상 운행 구간에 비해 추가의 요금을 받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승객과 운전자의 이익을 모두 도모하는 상생 경제의 구현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대해 산출된 요금 정보는 운전자 단말기(300)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으며(S490), 이에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에 대해 산출된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495).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통해 차량에의 합승을 완료하게 되면 사용자는 탑승객으로 전환되며, 그에 따라 운전자는 전술한 S400 단계에서의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 정보를 수정 입력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에 따라, 이후 또 다른 사용자의 합승 요청이 있는 경우에 도 3에서의 각 단계들이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의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차량을 최초로 이용하는 제1 사용자(탑승객), 합승을 통해 제1 사용자와 차량을 함께 이용하는 제2 사용자(합승객), 추가 합승을 통해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와 모빌리티를 함께 이용하는 제3 사용자(추가 합승객)가 있는 경우에 각 사용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금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각 사용자별로 차량 이용 요금을 산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독으로 탑승하는 구간인 단독 승차 구간(a)(예를 들어, 제1, 2, 3 사용자의 단독 승차 구간), 다른 사용자와 함께 탑승하는 구간인 합승 승차 구간(b)(예를 들어, 제1, 2 사용자의 합승 승차 구간, 제2, 3 사용자의 합승 승차 구간, 또는 제1, 3 사용자의 합승 승차 구간), 또 다른 사용자가 추가로 함께 탑승하는 구간인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예를 들어, 제1, 2, 3 사용자의 합승 승차 구간)별로 요금을 산출한 후, 산출된 구간별 요금을 합산함으로써 사용자별 이용 요금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합승 승차 구간(b)에서는 해당 구간에서의 차량의 주행 거리 및 시간에 기초하여 정상 산출된 요금이 탑승객과 합승자에게 각각 소정의 제1 비율(예를 들면, 60%)로 부과되도록 개별 요금을 산출하되,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에서는 해당 구간에서의 차량의 주행 거리 및 시간에 기초하여 정상 산출된 요금이 상기 제1 비율보다 낮은 비율인 소정의 제2 비율(예를 들면, 50%)로 탑승자, 합승자, 추가 합승자 각각에게 부과되도록 개별 요금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탑승객과 합승자가 각각 60%의 비율(제1 비율)로 개별 요금을 부담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합승을 하지 않은 경우(즉, 일반 호출의 경우)에 산출되는 요금의 120%에 해당하는 요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되며, 탑승자, 합승자, 추가 합승자가 각각 50%의 비율(제2 비율)로 개별 요금을 부담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합승을 하지 않은 경우(즉, 일반 호출의 경우)에 산출되는 요금의 150%에 해당하는 요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차량 운전자는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제1 비율 정보 및 상기 제2 비율 정보를 차량의 운행 전 또는 운행 중에 직접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요금 산출 비율 설정 정보는 전술한 S455 단계에서의 합승 수락 메시지에 포함되어 운전자 단말기(300)로부터 관리 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합승 수락 메시지에 포함된 요금 산출 비율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7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전술한 S460 단계에서 차량 선택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통해 차량 운전자가 과도한 이익을 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요금 산출 비율을 차량 운전자가 설정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정책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에 설정되어 있는 요금 산출 비율 정보가 전술한 S440 단계에서의 합승 수락 요청에 포함되어 운전자 단말기(300)로 송신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해당 요금 산출 비율을 참고하여 합승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는 전술한 S460 단계에서, 상기 요금 산출 비율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차량 선택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해당 요금 산출 비율을 참고하여 차량 선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60 단계에서의 차량 선택 요청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 정보, 현재 탑승객별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각 탑승객별 이동 경로 정보, 사용자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차량 선택 요청에 포함된 탑승객별 이동 경로 정보 및 사용자의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향후 사용자의 차량 탑승에 따른 승차 구간을 단독 승차 구간(a), 합승 승차 구간(b),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판단된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S485 단계에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산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구간별로 요금을 산출한 후, 산출된 구간별 요금을 합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예상 이용 요금을 산출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는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 정보, 현재 탑승객별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각 탑승객별 이동 경로 정보, 사용자의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향후 사용자의 차량 탑승에 따른 승차 구간을 단독 승차 구간(a), 합승 승차 구간(b),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판단된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S485 단계에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산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구간별로 요금을 산출한 후, 산출된 구간별 요금을 합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예상 이용 요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이용 요금을 전술한 S460 단계에서의 차량 선택 요청에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합승, 추가 합승 등의 다양한 합승 상황을 고려하여 미리 산출된 합승시의 예상 이용 요금을 사용자가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해당 합승 차량의 선택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단독 승차 구간(a), 합승 승차 구간(b),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을 각각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운전자가 각 사용자의 승차 및 하차 시점에 사용자별 승하차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운전자가 입력한 사용자별 승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승차 구간을 단독 승차 구간(a), 합승 승차 구간(b),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이와 같이 판단된 차량의 승차 구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전술한 S430 단계에서 운전자를 검색함에 있어서, 운행 중인 차량이 이중 합승 승차 구간(c) 상태에 있는 운전자가 배제되도록 운전자를 검색함으로써 과도한 합승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상기와 같이 운전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승차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에서의 승차 구간을 단독 승차 구간(a), 합승 승차 구간(b),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판단된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S485 단계에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산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구간별로 요금을 산출한 후, 산출된 구간별 요금을 합산함으로써 각 사용자별 이용 요금을 산출하고, 이를 운전자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단독 승차 구간(a), 합승 승차 구간(b),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을 각각 구분할 수 있도록 각 사용자의 승차 및 하차 시점에 사용자별 승하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승하차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300)로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와 운전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점점 가까워짐에 따라 양자의 위치가 소정의 반경(예를 들면, 3m) 범위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승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운전자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와 운전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점점 멀어짐에 따라 양자의 위치가 소정의 반경(예를 들면, 3m)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경우에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하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운전자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운전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별 승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에서의 승차 구간을 단독 승차 구간(a), 합승 승차 구간(b),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각 구간별로 요금을 산출한 후, 산출된 구간별 요금을 합산함으로써 각 사용자별 이용 요금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차량 운전자가 사용자의 승하차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운전자 단말기(300)는 각 사용자별 이용 요금을 자동 산출하고, 산출된 요금을 전술한 S490 단계 및 S495 단계에서와 같이 관리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상기 와 같이 생성된 사용자별 승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에서의 승차 구간을 단독 승차 구간(a), 합승 승차 구간(b),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판단된 구간 정보를 운전자 단말기(300)로 송신하며, 이에 운전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각 구간별로 요금을 산출한 후, 산출된 구간별 요금을 합산함으로써 각 사용자별 이용 요금을 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사용자별 승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에서의 승차 구간을 단독 승차 구간(a), 합승 승차 구간(b), 이중 합승 승차 구간(c)으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판단된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S485 단계에서 운전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산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구간별로 요금을 산출한 후, 산출된 구간별 요금을 합산함으로써 각 사용자별 이용 요금을 산출하고, 이를 운전자 단말기(300)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40 단계에서 합승 수락 요청을 수신한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객이 전술한 S410 단계에서D의 합승 요청을 통해 합승을 한 이후에 원 탑승객의 하차에 따라 단독 승차중인 사용자인 경우에는 전술한 S450 단계에서의 탑승객의 동의 입력 절차를 실행하지 않고, 해당 탑승객이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전술한 S455 단계를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한 사용자별 승하차 정보에 기초하여 운행중인 각 차량에 대해 단독 승차 상태, 합승 승차 상태, 이중 합승 승차 상태를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독 승차 상태인 경우에는 현재 단독 승차 중인 탑승객이 해당 차량의 이전 운행 구간에서의 합승 이력이 있는 탑승객인지 또는 합승 이력이 없는 탑승객인지를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가 전술한 S430 단계에서 운전자를 검색함에 있어서, 탑승객이 단독 승차 상태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를 우선 검색하되, 그 중에서도 단독 승차 중인 탑승객이 해당 차량의 이전 운행 구간에서 합승 이력이 있는 탑승객인 차량의 운전자를 검색함으로써 이후 합승 수락의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의 이용 중에는 물론 해당 사용자에 대한 상기 하차 정보 생성 시점 이후에도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분) 동안 수신함으로써 차량 하차 이후에 집 등의 최종 목적지로의 사용자의 도보 이동 과정에서의 범죄 발생을 대비한 방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하차 정보 생성 시점 이후의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분) 동안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 동안 사용자가 소정의 거리(예를 들면, 2km) 이상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사용자의 차량 납치 등의 범죄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해당 위치를 관할하는 경찰서에 설치된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신속한 구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차량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 전술한 S400 단계에서 운전자 단말기(300)는 상술한 차량 운행 정보에서 차량의 도착지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 정보,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 정보, 탑승객의 성별 정보를 제외한 차량 운행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게 되며, 이에 관리 서버(200)는 해당 차량 운행 정보를 기초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가 아닌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차량에 승객 및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고 있는 무인 차량 상태인 경우에 전술한 S400 단계에서 운전자 단말기(300)는 상술한 차량 운행 정보에서 차량의 도착지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 정보, 현재 탑승객의 인원수 정보, 탑승객의 성별 정보, 운전자의 전화번호 등의 연락 정보, 운전자의 성별 정보를 제외한 차량 운행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게 되며, 이에 관리 서버(200)는 해당 차량 운행 정보를 기초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가 아닌 운전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자율 주행을 통해 운행할 수 있는 차량인 무인 전기 차량의 호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관리 서버,
300: 운전자 단말기, a: 단독 승차 구간,
b: 합승 승차 구간, c: 이중 합승 승차 구간.

Claims (4)

  1. (a)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요청을 운전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선택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선택 요청에는 차량 탑승객의 이동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차량 선택 요청에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차량 탑승객의 이동 경로 정보와, 상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사용자의 예상 이용 요금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예상 단독 승차 구간과, 상기 사용자와 상기 차량 탑승객의 예상 합승 승차 구간을 구분하여 판단하고, 상기 예상 단독 승차 구간과 상기 예상 합승 승차 구간별로 요금을 산출한 후, 산출된 구간별 요금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예상 이용 요금을 산출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차량에 승객 및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고 있는 무인 차량 상태의 경우, 무인 자율 주행이 가능한 전기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차량 탑승 정원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 전기 차량의 자율 주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3. 관리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요청을 운전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합승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선택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차량 선택 요청에는 차량 탑승객의 이동 경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차량 선택 요청에는 상기 관리 서버의 판단부가 상기 차량 탑승객의 이동 경로 정보와, 상기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사용자의 예상 이용 요금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예상 단독 승차 구간과, 상기 사용자와 상기 차량 탑승객의 예상 합승 승차 구간을 구분하여 판단하고, 상기 예상 단독 승차 구간과 상기 예상 합승 승차 구간별로 요금을 산출한 후, 산출된 구간별 요금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예상 이용 요금을 산출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차량에 승객 및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고 있는 무인 차량 상태의 경우, 무인 자율 주행이 가능한 전기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차량 탑승 정원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무인 전기 차량의 자율 주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관리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관리 서버.
KR1020220181326A 2022-12-22 2022-12-22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585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326A KR102585440B1 (ko) 2022-12-22 2022-12-22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326A KR102585440B1 (ko) 2022-12-22 2022-12-22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440B1 true KR102585440B1 (ko) 2023-10-05

Family

ID=8829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326A KR102585440B1 (ko) 2022-12-22 2022-12-22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4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2271A (ja) * 2003-06-04 2004-12-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相乗り乗車システム、乗車情報処理装置および相乗り乗車方法
KR20210059184A (ko) * 2019-11-15 2021-05-2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공유 차량의 스마트 장거리 운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51771A (ko) * 2020-06-03 2021-12-14 포티투닷 주식회사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220102402A (ko) * 2021-01-13 2022-07-20 허경회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2271A (ja) * 2003-06-04 2004-12-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相乗り乗車システム、乗車情報処理装置および相乗り乗車方法
KR20210059184A (ko) * 2019-11-15 2021-05-2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공유 차량의 스마트 장거리 운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51771A (ko) * 2020-06-03 2021-12-14 포티투닷 주식회사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220102402A (ko) * 2021-01-13 2022-07-20 허경회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9542A1 (en) System for selecting drivers for transportation requests with specified time durations
US20190073738A1 (en) System to facilitate a correct identification of a service provider
US9141112B1 (en) Caravan management
US8688532B2 (en) Real-time ride share system
US20120203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afe taxi service
US10021243B2 (en) Telephone call placement
WO2017106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ride-sharing schedules and routes
CN112262418B (zh) 车辆管理系统和车辆管理方法
JP2003044702A (ja) 相乗り仲介システムおよび相乗り仲介方法
US106287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networked vehicle resources
CN111967928A (zh) 一种乘车订单处理方法和装置
JP7063739B2 (ja) 共用車管理システム
JP2012160130A (ja) タクシー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タクシー情報提供方法
KR102495671B1 (ko)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072174B1 (ko) 강제배차서버 및 강제배차서버에서 배차를 수행하는 방법
KR100810695B1 (ko) 콜택시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5440B1 (ko) 합승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N111383045B (zh) 信息处理装置和移动车辆系统
JP2019109827A (ja) 情報提供方法、車両管理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
KR20210154378A (ko)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한 차량 경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US20200286003A1 (en) Vehicle allocation for ride requests
KR20200117558A (ko) 호출자와 탑승자가 상이한 주문형 운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474296B1 (ko)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200027231A (ko) 차량과 응급 구난자의 연결 방법 및 시스템
JP7467673B2 (ja) 相乗りアプリメーターを用いたモビリティ相乗り呼び出し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管理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