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534B1 -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534B1
KR102245534B1 KR1020200005695A KR20200005695A KR102245534B1 KR 102245534 B1 KR102245534 B1 KR 102245534B1 KR 1020200005695 A KR1020200005695 A KR 1020200005695A KR 20200005695 A KR20200005695 A KR 20200005695A KR 102245534 B1 KR102245534 B1 KR 102245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alue
aerosol
temperatur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632A (ko
Inventor
타케시 아카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5398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4553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632A/ko
Priority to KR102021004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1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Zener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64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with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5Acoustical, e.g. ultrasonic,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2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37Charg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37Charging means
    • A61M2205/8243Charging means by i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50Charging of capacitors, supercapacitors, ultra-capacitors or double laye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15Non-print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22Non-printed res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74Di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부하로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 전원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온도 측정부; 및 온도 측정부의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의 전원에 공급되는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측정값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의 전원에 공급되는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Description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AND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본 발명은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부하, 부하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 및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인기가 입수 가능하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4 참조).
[특허 문헌 1] US 2017/0250552 A1
[특허 문헌 2] US 2015/0173124 A1
[특허 문헌 3] JP-T-2017-518733
[특허 문헌 4] JP-A-2017-079747
에어로졸 흡인기가 빈번하게 사용됨에 따라,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의 열화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로서, 특허 문헌 3 및 4에 개시된, 전원의 온도에 따라 충전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장치에서, 전원의 온도가 높아지면, 전원을 보호하기 위해 충전이 종료된다.
그러나 충전이 조기에 종료되면, 에어로졸 흡인기의 가용 시간이 더욱 짧아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손상된다.
특허 문헌 1 및 2에, 전원의 온도를 획득하는 것이 개시되지만, 획득된 온도에 기초한 구체적인 충전 제어 모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3 및 4에, 전원의 온도가 높을 때, 충전이 종료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충전이 조기에 종료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의 가용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전원을 가능한 오랫동안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부하로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 전원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온도 측정부; 및 온도 측정부의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의 전원에 공급되는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측정값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의 전원에 공급되는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원 공급 장치가 장착된 에어로졸 흡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공급 장치의 주요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공급 장치의 주요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충전 제어부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전원의 충전 동안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하기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가 기재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원 공급 장치가 장착된 에어로졸 흡인기가 기재된다.
(에어로졸 흡인기)
에어로졸 흡인기(1)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으면서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흡인하기 위한 장치이며, 특정 방향(이하, 세로 방향 A로 지칭)을 따라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진다. 에어로졸 흡인기(1)는 전원 공급 장치(10),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를 포함하며, 이는 세로 방향 A를 따라 순서대로 배열된다. 제1 카트리지(20)는 전원 공급 장치(10)에 착탈될 수 있다. 제2 카트리지(30)는 제1 카트리지(20)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즉,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는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원 공급 장치(10)는 전원(12), 충전 IC(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55), MCU(미세 제어부(Micro Controller Unit), 50), 스위치(19), 온도 센서(17), 다양한 센서 등을 원통형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11) 내에 포함한다. MCU(50)로서, 가장 짧은 제어 사이클(최대 동작 클록 주파수의 역수)이 충전 IC(55)의 가장 짧은 제어 사이클보다 긴 MCU가 사용된다.
전원(12)은 충전 가능한 2차 전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이며, 이는 리튬-이온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센서(17)는, 예를 들어,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온도 감지 소자, 구체적으로, NTS(부온도 계수(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thermistor)로 구성된다. 온도 센서(17)는 전원(12)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12)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세로 방향 A의 일 단부 측(제1 카트리지(20) 측)에 위치한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11)의 상부(11a)에, 방전단자(41)가 제공된다. 방전단자(41)는 상부(11a)의 상면으로부터 제1 카트리지(20)를 향해 돌출되도록 제공되며, 제1 카트리지(20)의 부하(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방전단자(41) 부근에 있는 상부(11a)의 상면 일부에는, 제1 카트리지(20)의 부하(21)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42)가 제공된다.
세로 방향 A의 다른 단부 측(제1 카트리지(20)의 반대 측)에 위치한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11)의 하부(11b)에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충전단자(43)가 제공된다. 충전단자(43)는 하부(11b) 측면에 제공되어, 예를 들어, USB 단자, 마이크로 USB 단자, 및 (상표로 등록되어 있는) 라이트닝 단자(Lightning terminals) 중 적어도 하나가 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충전단자(43)는 비접촉 방식으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전력 수신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충전단자(43)(전력 수신부)는 전원 수신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달 시스템은 전자기 유도형일 수 있거나, 또는 자기 공명형일 수 있다. 또한, 충전단자(43)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임의의 접촉점 없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전력 수신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충전단자(43)는 USB 단자, 마이크로 USB 단자, 및 라이트닝 단자 중 적어도 하나가 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전력 수신부가 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11)의 상부(11a) 측면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4)(operation unit)는 충전단자(43)에 대해 반대 측을 향하도록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4)와 충전단자(43)는 조작부(14)와 충전단자(43)를 연결하는 직선과 전원 공급 장치(10)의 세로 방향 A의 중심선의 교차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조작부(14)는 버튼형 스위치,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조작부(14)의 근처에, 퍼프(puff)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흡인 센서(15)가 제공된다.
충전 IC(55)는, 예를 들어, 충전단자(43)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단자(43)로 입력된 전력을 전원(12)의 충전전력으로 변환하여 전원(12)에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MCU(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센서 장치, 예컨대 퍼프(흡인)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흡인 센서(15), 전원(12)의 전력-공급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센서(16), 및 전원(1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공된 온도 센서(17), 조작부(14), 알림부(45) 및 퍼프 동작의 횟수와 부하(21)에 전력이 인가된 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8), 등에 연결되며, 에어로졸 흡인기(1)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MCU(50)는 주로 프로세서로 구성되며, 이러한 프로세서의 조작에 필요한 RAM(Random Access Memory) 및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ROM(Read Only Memory)과 같은 저장 매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더욱 구체적으로 회로 소자, 예컨대 반도체 소자를 조합하여 구성된 전기 회로이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11)에서,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공기 흡인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공기 흡인구는 조작부(14) 근처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충전단자(43)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카트리지 케이스(27) 내부에, 제1 카트리지(20)는 에어로졸 공급원(22)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23), 에어로졸 공급원(22)을 분무하기 위한 전기 부하(21), 저장소(23)로부터의 에어로졸 공급원을 부하(21) 쪽으로 인출하기 위한 심지(24)(wick), 에어로졸 공급원(22)을 분무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을 제2 카트리지(30) 쪽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채널(25), 카트리지(30)의 일부를 저장하기 위한 말단 캡(26)을 포함한다.
저장소(23)는 에어로졸 채널(25)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에어로졸 공급원(22)을 보유한다. 저장소(23)에서, 수지 망(resin web) 또는 면과 같은 다공성 부재가 저장될 수 있으며, 다공성 부재는 에어로졸 공급원(22)으로 함침될 수 있다. 에어로졸 공급원(22)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물과 같은 액체를 포함한다.
심지(24)는 모세관을 이용하여 저장소(23)로부터 에어로졸 공급원(22)을 부하(21) 쪽으로 인출하기 위한 액체 보유 부재이며, 예를 들어,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 등으로 구성된다.
부하(21)는 방전단자(41)를 통해 전원(12)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에 의해 에어로졸 공급원(22)을 연소하지 않고 분무한다. 부하(21)는 소정의 피치(코일)로 권취된 전열선(heating wire)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부하(21)는 오직 에어로졸 공급원(22)을 분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소자이어야 하며, 예를 들어, 발열 소자 또는 초음파 발생기가 있다. 발열 소자의 예로는 발열 저항체, 세라믹 히터, 유도 가열식 히터 등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채널(25)은 전원 공급 장치(10)의 중심선 L에서 부하(21)의 하류측에 제공된다.
말단 캡(26)은 제2 카트리지(30)의 일부를 저장하기 위한 카트리지 저장부(26a), 및 에어로졸 채널(25)과 카트리지 저장부(26a)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통로(26b)를 포함한다.
(제2 카트리지)
제2 카트리지(30)는 향미 공급원(31)을 보유한다. 제1 카트리지(20) 측의 제2 카트리지(30)의 단부는 제1 카트리지(20)의 말단 캡(26)에 제공된 카트리지 저장부(26a)에 저장되어, 제거될 수 있다. 제1 카트리지(20) 측에 대한 반대측의 제2 카트리지(30)의 또 다른 단부는 사용자를 위한 흡인 포트(32)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흡인 포트(32)는 제2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제2 카트리지(30)와 일체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제2 카트리지(30)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인 포트(32)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10) 및 제1 카트리지(20)로부터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 흡인 포트(32)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카트리지(30)는 부하(21)에 의해 에어로졸 공급원(22)을 분무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을, 향미 공급원(31)을 통해 에어로졸을 통과시킴으로써 향미를 첨가한다. 향미 공급원을 구성하는 원료 조각으로서, 파쇄된 담배 또는 담배 원료 입자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 콤팩트가 사용될 수 있다. 향미 공급원(31)은 담배가 아닌 식물(예컨대 박하, 약초, 허브)로 구성될 수 있다. 향미 공급원(31)에, 멘톨과 같은 착향료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흡인기(1)는 에어로졸 공급원(22), 향미 공급원(31), 및 부하(21)에 의해 향미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공급원(22) 및 향미 공급원(31)은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을 구성한다.
에어로졸 흡인기(1) 내의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교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부분은, 예를 들어, 1개의 제1 카트리지(20) 및 1개 이상의(예를 들어, 5개의) 제2 카트리지(30)가 1세트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흡인기(1)에 사용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의 구성은 에어로졸 공급원(22) 및 향미 공급원(31)이 별도로 구성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에어로졸 공급원(22) 및 향미 공급원(31)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 향미 공급원(31)이 생략되고 에어로졸 공급원(22)이 향미 공급원(31)에 포함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구성, 에어로졸 공급원(22)이 향미 공급원(31)을 대신하여 의약품 등을 포함하는 구성, 등일 수 있다.
에어로졸 공급원(22) 및 향미 공급원(31)을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 예를 들어, 1개 이상의(예를 들어, 20개의)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이 1세트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서 오직 에어로졸 공급원(22)만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인기(1)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1개 이상의(예를 들어, 20개의)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이 1세트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된 에어로졸 흡인기(1)에서, 도 3의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 케이스(11)에 형성된 흡인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공기 유입은 공기 공급부(42)를 통과하고, 제1 카트리지(20)의 부하(21) 근처를 통과한다. 부하(21)는 심지(24)에 의해 저장소(23)로부터 인출된 에어로졸 공급원(22)을 분무한다. 분무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흡인구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함께 에어로졸 채널(25)을 통해 유동하며, 연결 통로(26b)를 통해 제2 카트리지(30)로 공급된다. 제2 카트리지(30)에 공급된 에어로졸은 향미 공급원(31)을 통과하여 여기서 향미가 첨가되며, 흡인 포트(32)로 공급된다.
또한, 에어로졸 흡인기(1)에는, 다양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45)가 제공된다(도 5 참조). 알림부(45)는 발광 소자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진동 소자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음향 출력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알림부(45)는 발광 소자, 진동 소자, 및 음향 출력 소자 중 둘 이상의 소자의 조합일 수 있다. 알림부(45)는 전원 공급 장치(10),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 중 임의의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알림부가 전원 공급 장치(10)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조작부(14) 주변 영역은 LED와 같은 발광 소자에 의해 방출된 빛이 통과하도록 반투명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전기 회로)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기 회로의 세부사항이 기재된다.
전원 공급 장치(10)는,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전원(12), 온도 센서(17), 스위치(19), 방전단자(41)를 구성하는 양극 측 방전단자(41a) 및 음극 측 방전단자(41b), 충전단자(43)를 구성하는 양극 측 충전단자(43a) 및 음극 측 충전단자(43b), MCU(50), 충전 IC(55), 저항 소자 또는 트랜지스터와 같이 저항값을 가지는 소자로 구성된 저항(61, 62), MOSFET 등과 같은 트랜지스터 구성된 스위치(63, 64), 및 저항 소자(65)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Texas Instruments Inc에 의해 제조된 "BQ24040DSQT"를 충전 IC(55)로서 사용하는 예시가 나타나 있지만, 충전 IC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IC(55)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핀으로서, IN 핀(도 6에서 "IN"으로 표시), OUT 핀(도 6에서 "OUT"으로 표시), TS 핀(도 6에서 "TS"으로 표시), #CHG 핀(도 6에서 "#CHG"으로 표시), 및 EP 핀(도 6에서 "EP"으로 표시)을 포함하는 복수의 핀을 가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충전 IC(55)가 가지는 핀의 메인 핀만이 개시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Microchip Technology Inc에 의해 제조된 "PIC16F18346"를 MCU로서 사용하는 예시가 나타나 있지만, MCU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CU(50)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핀으로서 Vdd 핀(도 6에서 "Vdd"으로 표시), RA4 핀(도 6에서 "RA4"으로 표시), #RC3 핀(도 6에서 "#RC3"으로 표시), #RC4 핀(도 6에서 "#RC4"으로 표시), #RC5 핀(도 6에서 "#RC5"으로 표시), RB7 핀(도 6에서 "RB7"으로 표시), 및 EP 핀(도 6에서 "EP"으로 표시)을 포함하는 복수의 핀을 가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MCU(50)가 가지는 핀의 메인 핀만이 개시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충전 IC(55)의 IN 핀은 충전단자(43)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충전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력)을 위한 입력 단자이다. 충전 IC(55)의 IN 핀은 양극 측 충전단자(43a)에 연결된다.
충전 IC(55)의 OUT 핀은 충전 IC(55)에 의해 생성된 충전전력을 위한 출력 단자이다. 충전 IC(55)의 OUT 핀에, 전력 공급선(60V)이 연결된다. 상기 전력 공급선(60V)은 스위치(19)를 통해 양극 측 방전단자(41a)에 연결된다.
충전 IC(55)의 EP 핀은 접지 단자이다. 충전 IC(55)의 EP 핀은 음극 측 충전단자(43b)와 음극 측 방전단자(41b)를 연결하는 접지선(60E)에 연결된다.
충전 IC(55)의 #CHG 핀은 충전의 수행, 충전의 중단, 또는 충전의 완료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충전 IC(55)의 #CHG 핀은 MCU(50)의 #RC5 핀에 연결된다.
충전 IC(55)의 TS 핀은 연결된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값(해당 저항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값)을 입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TS 핀에 입력된 전압값으로부터, TS 핀에 연결된 저항의 저항값(즉, 해당 저항의 온도)이 감지될 수 있다. 서미스터가 TS 핀에 연결된 저항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TS 핀에 입력된 전압값으로부터, TS 핀에 연결된 저항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충전 IC(55)는 TS 핀에 입력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OUT 핀으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충전 IC(55)는 TS 핀에 입력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온도가 임계값 TH1보다 낮은 경우 OUT 핀으로부터 제1 충전 전압을 출력하고, 온도가 임계값 TH1 이상이고 임계값 TH2보다 낮은 경우 제1 충전 전압보다 낮은 제2 충전 전압을 출력하고, 온도가 임계값 TH2 이상일 경우 충전 전압이 OUT 핀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즉, 충전을 중단시킨다. 임계값 TH1은, 예를 들어, 40℃이며, 임계값 TH2는, 예를 들어, 45℃이다.
저항의 온도가 임계값 TH1이 되는 경우 TS 핀에 연결된 저항의 전압값은 Vmax로 표시되고, 저항의 온도가 임계값 TH2가 되는 경우 TS 핀에 연결된 저항의 전압값은 Vmin으로 표시된다. TS 핀에 연결된 저항이 NTC 서미스터일 경우, 저항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의 저항값은 감소한다. 그러므로, Vmax > Vmin의 관계가 성립된다. 이러한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언급된 정의에 기초하여, 충전 IC(55)는 TS 핀에 입력된 전압값이 Vmin보다 크고 Vmax 이하인 소정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OUT 핀으로부터 제2 충전 전압을 출력하고, TS 핀에 입력된 전압값이 Vmax를 초과하는 경우 OUT 핀으로부터 제1 충전 전압을 출력하고, TS 핀에 입력된 전압값이 Vmin보다 작은 경우, 충전을 중단한다.
본 실시형태의 충전 IC(55)의 TS 핀에는, 저항(61)의 일 단부가 연결된다. 저항(61)의 다른 단부는 접지선(60E)에 연결된다. 또한, 충전 IC(55)의 TS 핀에는, 스위치(63)의 일 단부가 연결된다. 스위치(63)의 다른 단부에, 저항(62)의 다른 단부가 연결된다. 저항(62)의 다른 단부는 접지선(60E)에 연결된다.
저항(61) 및 저항(62) 각각은 소정의 고정 저항값을 가진다. 저항(61)과, 스위치(63) 및 저항(62)의 직렬 회로는 TS 핀에 병렬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스위치(63)가 꺼졌을 때(비전도성일 때), TS 핀으로부터 저항(61)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야기되는 저항(61)의 전압값 V1이 TS 핀에 입력된다.
저항(61)의 저항값이 고정값임에 따라, 전압값 V1은 일정한 값이 된다. 저항(61)의 저항값은 전압값 V1이 상기 언급된 수행 범위(Vmin보다 크고 Vmax 이하) 내의 임의의 값이 되도록 미리 결정된다. 소정의 범위의 중앙값이 Vc인 경우, 전압값 V1이 Vc보다 Vmax에 더욱 근접해지도록 저항(61)의 저항값을 미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노이즈 또는 오차에 의해 TS 핀에 입력된 전압값이 변하더라도, 전원(12)상에서 충전 IC(55)를 계속 충전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저항(61)의 저항값은 전압값 V1이 충전 IC(55)의 OUT 핀으로부터 제2 충전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값이 되도록 결정된다. 저항(61)의 저항값은 구체적으로 4.7kΩ이다.
또한, 저항(62)의 저항값은 저항(61)의 저항값보다 훨씬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스위치(63)가 켜질 때(전도성일 때), 전류가 TS 핀에서 저항(62)으로 우선적으로 흐르고, 이러한 전류에 의해 야기되는 저항(62)의 전압값 V2이 TS 핀에 입력된다.
저항(62)의 저항값이 고정값임에 따라, 이러한 전압값 V2은 일정한 값이 된다. 저항(62)의 저항값은 전압값 V2가 Vmin보다 작은 임의의 값이 되도록 미리 결정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저항(62)의 저항값은 전압값 V2는 전원(12)상에서의 충전 IC(55)의 충전을 중단시키기 위한 값이 되도록 미리 결정된다.
그러나, 저항(62)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생략될 수 있다. 즉, 스위치(63)의 다른 단부가 접지선(60E)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위치(63)가 켜지면, TS 핀이 접지된다. 그러므로, TS 핀에 입력되는 전압값을 Vmin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63)를 켬으로써, 전원(12)상에서의 충전 IC(55)의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저항(62)을 생략함으로써, 비용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원(12)의 양극 측은 전력 공급선(60V)에 연결되고, 전원의 음극 측은 접지선(60E)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전원은 충전 IC(55)의 OUT 핀으로부터 전력 공급선(60V)으로 출력된 충전 전압으로 충전될 수 있다.
MCU(50)의 Vdd 핀은 전원 단자이며, 전력 공급선(60V)에 연결된다.
MCU(50)의 EP 핀은 접지 단자이며, 접지선(60E)에 연결된다.
MCU(50)의 RA4 핀은 스위치(63)에 연결되며, 스위치(63)의 개폐를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단자로서 사용된다.
MCU(50)의 RB7 핀은 스위치(19)에 연결되며, 스위치(19)의 개폐를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단자로서 사용된다.
MCU(50)의 #RC5 핀은 충전 IC(55)의 #CHG 핀으로부터 충전 IC(55)의 충전 상태를 수신하는 단자로서 사용된다.
MCU(50)의 #RC4 핀은 스위치(64)에 연결되며, 스위치(64)의 개폐를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단자로서 사용된다. 스위치(64)의 일 단부는 전력 공급선(60V)에 연결되며, 스위치의 다른 단부는 저항 소자(65)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저항 소자(65)의 다른 단부는 온도 센서(17)를 구성하는 NTC 서미스터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온도 센서(17)를 구성하는 NTC 서미스터의 다른 단부는 접지선(60E)에 연결된다.
MCU(50)의 #RC3 핀은 전원(12)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자로서 사용된다. MCU(50)의 #RC3 핀은 저항 소자(65)와 온도 센서(17) 사이의 연결점에 연결된다.
스위치(64)가 켜질 때(전도성일 때), 전력 공급선(60V)의 전압은 저항 소자(65) 및 온도 센서(17)에 의해 분압되고, 온도 센서(17)에 인가된 전압값은 MCU(50)의 #RC3 핀으로 입력된다. MCU(50)는 하기 기재되는 바와 같이 #RC3 핀에 입력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원(12)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반면에, 스위치(64)가 꺼졌을 때(비전도성일 때), 전압은 온도 센서(17)에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 MCU(50)는 전원(12)의 온도를 획득할 수 없는 상태로 변경된다.
스위치(19)는, 예를 들어, MOSFET과 같은 반도체 소자로 구성되며, MCU(50)의 제어하에 개폐된다.
도 6에 도시된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기 회로에서, 스위치(19)는 전원(12)의 양극 측과 양극 측 방전단자(41a) 사이에 제공된다. 스위치(19)는 이러한 소위 플러스 제어형 대신에, 음극 측 방전단자(41b)와 전원(12)의 음극 측 사이에 제공되는 마이너스 제어형일 수 있다.
(MCU)
이제, MCU(50)의 구성이 더욱 상세히 기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50)는 프로세서에 의해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적 블록으로서, 에어로졸 생성 요청 감지부(51), 충전 제어부(52), 전력 제어부(53), 및 온도 측정부(54)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요청 감지부(51)는 흡인 센서(15)의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요청을 감지한다. 흡인 센서(15)는 흡인 포트(32)를 통한 사용자의 흡인에 의해 야기된 전원 공급 장치(10)의 압력(내부 압력) 변화 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흡인 센서(15)는, 예를 들어, 내부 압력에 따른 출력값(예를 들어,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출력하기 위한 압력 센서이며, 이러한 내부 압력은 흡인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흡인 포트(32)를 향해 흡인되는 공기의 흐름(즉, 사용자의 퍼프 동작)에 따라 달라진다. 흡인 센서(15)는 커패시터 마이크로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제어부(53)는 에어로졸 생성 요청 감지부(51)가 에어로졸 생성 요청을 감지할 경우, 스위치(19)를 온 및 오프함으로써 방전단자(41)를 통해 전원(12)의 방전을 제어한다.
전력 제어부(53)는 부하(21)에 의해 에어로졸 공급원을 분무함으로써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원하는 범위 내에 있도록, 즉, 전원(12)으로부터 부하(21)로 공급되는 전력 또는 전력량이 소정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제어부(53)는, 예를 들어,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에 의해 스위치(19)의 개폐를 제어한다. 택일적으로, 전력 제어부(53)는 펄스 주파수 변조(PFM, 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에 의해 스위치(19)의 개폐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부하(21)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시작된 이후,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경우, 전력 제어부(53)는 전원(12)으로부터 부하(2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한다. 즉, 사용자가 퍼프 동작을 실제로 수행하는 동안에도, 퍼프 기간이 특정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전력 제어부(53)는 전원(12)으로부터 부하(21)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한다. 이러한 특정 기간은 사용자의 퍼프 기간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전력 제어부(53)를 제어함으로써, 1회의 퍼프 동작 동안 부하(21)에 흐르는 전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이 되며, 이는 PWM 제어에 의해 부하(21)에 공급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유효 전압, 및 방전단자(41) 및 부하(21)의 저항값에 따라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흡인기(1)에서,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은 1개의 제2 카트리지(30)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흡인한 경우, 전력이 부하(21)에 공급될 수 있는 누적 시간은 최대로, 예를 들어, 120초로 제어된다. 이로써, 하나의 제2 카트리지(30)를 비우는데(소진하는데) 요구되는 최대 전력량을 미리 얻을 수 있다.
온도 측정부(54)는 #RC3 핀에 입력되는 온도 센서(17)의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원(12)의 온도를 측정한다.
충전 제어부(52)는 온도 측정부(54)에 의해 측정된 전원(12)의 온도에 기초하여 스위치(63)를 개폐하는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전원(12)에 공급되는 충전 전압을 제어한다.
도 7은 충전 제어부(52)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12)의 온도 Tbatt가 임계값 TH2 이상이 되면(도 7의 예시에서, 45℃), 충전 제어부(52)는 스위치(63)에 입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여, 스위치(63)를 ON 상태로 유지한다. 스위치(63)가 ON 상태로 유지될 때, 충전을 중단하기 위한 전압값 V2가 충전 IC(55)의 TS에 연속적으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전원(12)의 충전이 중단되며, 전원(12)의 충전 전류는 0이 된다.
전원(12)의 온도 Tbatt가 임계값 TH3보다 낮은 경우에, 충전 제어부(52)는 스위치(63)에 입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여, 스위치(63)를 OFF 상태로 유지한다. 임계값 TH3는 임계값 TH2보다 작고 임계값 TH1보다 큰 값(예를 들어, 40℃)이며, 도 7의 예시에서, 임계값 TH3는 43℃이다. 스위치(63)가 OFF 상태로 유지될 때, 제2 충전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값 V1이 충전 IC(55)의 TS에 연속적으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제2 충전 전압이 전원(12)에 공급되며, 전원(12)의 충전 전류는 0보다 큰 소정의 값이 된다.
전원(12)의 온도 Tbatt가 임계값 TH3 이상이고 임계값 TH2보다 작은 범위일 경우에, 충전 제어부(52)는 스위치(63)에 입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를 낮은 레벨과 높은 레벨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제어를 수행하여, 스위치(63)를 전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사이클이 소정의 단위시간 T인 것으로 가정하면, 단위시간 T의 일부인 시간 T1 동안, 충전 제어부(52)는 스위치(63)를 ON 상태로 유지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단위시간 T 중 시간 T1이 아닌 시간 T2 동안, 충전 제어부는 스위치(63)를 OFF 상태로 유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스위치(63)가 상기 기재된 제어하에 전환됨에 따라, 전원(12)의 충전 전류는 택일적으로 소정의 값과 0 사이에서 변한다.
단위시간 T에 대한 시간 T1(ON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의 시간)의 비율이 듀티 비(duty ratio)로서 정의될 때, 온도 Tbatt가 임계값 TH3보다 낮은 상태에, 듀티 비로서 0%를 사용하는 제어가 수행되고, 온도 Tbatt가 이상 임계값 TH3 이상이고 임계값 TH2보다 낮은 상태에, 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듀티 비(도 7의 예시에서, 60%의 듀티 비)를 사용하는 제어가 수행되며, 온도 Tbatt가 임계값 TH2보다 높은 상태에, 100%를 듀티 비로서 사용하는 제어가 수행된다.
한편, 스위치(63)가 ON 상태로 제어되면, 전원(12)의 충전 전류는 0이 된다. 그러므로, 100%에서 스위치(63)의 듀티 비를 감산하여 획득한 값이 충전 전류의 듀티 비가 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63)의 듀티 비가 0%일 때, 충전 전류의 듀티 비는 100%가 되고, 스위치(63)의 듀티 비가 60%일 때, 충전 전류의 듀티 비는 40%가 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듀티 비는 스위치(63)의 듀티 비를 나타낸다.
0%의 듀티 비를 사용하는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에, 전원(12)에 공급되는 유효 전력(충전 전류의 단위시간 T 당 평균 작업량) P1은 최대값이 된다. 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듀티 비를 사용하는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에, 전원(12)에 공급되는 유효 전력 P2는 유효 전력 P1보다 작다. 100%의 듀티 비를 사용하는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에, 전원(12)에 공급되는 유효 전력 P3는 유효 전력 P2보다 낮은 값(최저값)이다. 또한, 유효 전력 P2는 100%에서 듀티 비를 감산하고 유효 전력 P1에 차이를 곱하여 얻은 값(도 7의 예시에서, 유효 전력 P1의 0.4 배의 값)이다.
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듀티 비를 사용하는 제어가 수행되어야 하는 기간 동안, 듀티 비로서, 전원(12)의 온도 Tbatt가 임계값 TH2에 도달하지 않도록 미리 충분히 작은 값이 설정된다. 이러한 듀티 비로서, 50% 이상의 값이 바람직하고 60% 이상의 값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값을 설정함으로써, 온도 Tbatt가 임계값 TH2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
택일적으로, 충전 제어부(52)는 소정 기간(예를 들어, 단위시간 T) 동안, 유효 전력 대신에, 전원(12)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0)가 직류-직류 컨버터(DC-to-DC converter) 및 평활 커패시터를 가지는 경우에, 충전 제어부(52)는 유효 전력을 대신해 전원(12)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소정의 기간 동안, 충전 제어부(52)는 충전 전류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전원(12)에 충전 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소정의 기간 동안 전원(12)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감소시킨다. 즉, 충전 제어부는 전원(12)의 충전 전류를 소정의 값, 소정의 값보다 작은 중간값, 및 0 중 임의의 하나로 제어한다. 이러한 경우에, 충전 전류가 소정의 값으로 제어된 상태에서 전력량을 최대값으로 만들 수 있고, 충전 전류가 중간값으로 제어된 상태에서 전력량을 최대값보다 작은 값으로 만들 수 있고, 충전 전류가 0으로 제어된 상태에서 전력량을 최소값으로 만들 수 있다.
듀티 비는 고정값일 수 있거나, 또는 온도 Tbatt의 변화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하는 변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Tbatt에서 단위시간 T 당 상승이 소정 값 이상일 경우, 듀티 비는 단위시간당 상승이 소정의 값보다 작은 경우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12)의 온도가 임계값 TH2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전원(12)의 충전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임계값 TH2에서 임계값 TH3을 감산하여 얻은 값이 전원(12)의 온도를 측정할 때 온도 측정부(54)의 절대 오차값 이상이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12)의 온도를 측정할 때 온도 측정부(54)의 오차는 온도에 따른 온도 센서(17)의 저항값의 변화량의 오차 및 #RC3 핀에 입력되는 전압값의 오차를 포함하는 오차를 의미한다. 이러한 측정 오차는 온도 센서(17)의 이득 오차(gain error), 오프셋 오차(offset error), 및 히스테리시스 오차(hysteresis error)를 포함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정 오차는 약 -2℃ 내지 2℃이다.
MCU(50)는 상기 언급된 기능적 블록 이외에도 알림 제어부를 포함한다. 알림 제어부는 알림부가 다양한 정보를 알리도록 알림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알림 제어부는 제2 카트리지(30)를 교체하는 시기의 감지에 대한 응답으로 알림부(45)를 제어하여, 알림부가 제2 카트리지(30)를 교체하는 시기를 알린다. 알림 제어부는 메모리(18)에 저장된 누적 퍼프 동작의 횟수 또는 전력이 부하(21)에 공급된 누적 시간에 기초하여 제2 카트리지(30)의 교체 시기를 감지하고 이를 알린다. 알림 제어부는 제2 카트리지(30)를 교체하는 시기를 알리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카트리지(20)를 교체하는 시기, 전원(12)을 교체하는 시기, 전원(12)을 충전하는 시기, 등을 알릴 수 있다.
사용하지 않은 1개의 제2 카트리지(30)가 설정된 상태에서, 소정 횟수의 퍼프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또는 퍼프 동작으로 인해 전력이 부하(21)에 인가된 누적 시간이 소정의 값(예를 들어, 120초)에 도달하는 경우, 알림 제어부는 제2 카트리지(30)가 소진된 것으로(즉, 잔여량이 0이거나, 또는 제2 카트리지가 비어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2 카트리지(30)의 교체 시간을 알린다.
또한, 1세트에 포함된 제2 카트리지(30) 전체가 소진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알림 제어부는 단일 세트에 포함된 1개의 제1 카트리지(20)가 소진된 것으로(즉, 잔여량이 0이거나, 또는 제1 카트리지가 비어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카트리지(20)의 교체 시간을 알릴 수 있다.
(전원 충전 동작)
전원(12)의 충전 동안 상기 기재된 구성을 가지는 에어로졸 흡인기(1)의 동작이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재된다.
충전 케이블이 충전단자(43)에 연결되고, 이러한 충전 케이블이 외부 전원에 연결되면, 충전 IC(55)의 #CHG 핀에서 MCU(50)의 #RC5 핀으로 충전 시작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충전 시작 신호가 MCU(50)의 #RC5 핀에 입력되기 전의 상태에, 스위치(63) 및 스위치(64)는 꺼져있다. 즉, 충전이 시작되면, 저항(61)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값 V1이 충전 IC(55)의 TS 핀에 입력되고, 전원(12)은 제2 충전 전압으로 충전된다.
스위치 제어 신호가 MCU(50)의 #RC5 핀에 입력된 후, MCU(50)는 전원(12)의 온도를 정기적으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MCU(50)는 전원 공급 장치의 가장 짧은 제어 사이클보다 긴 사이클로(바람직하게, 상기 언급된 단위시간 T와 동일한 시간의 간격에), 또는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동작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또는 최대 동작 클록 주파수보다 작은 동작 클록 주파수에서 전원(12)의 온도를 획득한다. 전원(12)의 온도를 획득하는 시기가 오면, MCU(50)는 스위치(64)를 켜고, #RC3 핀에 입력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원(12)의 온도 Tbatt를 측정하고, 스위치(64)를 끈다(단계 S1).
그 다음, MCU(50)는 획득된 온도 Tbatt가 임계값 TH2보다 낮은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2). 온도 Tbatt가 임계값 TH2 이상이면(단계 S2의 “NO”MCU(50)는 스위치(63)를 ON 상태로 유지하여, 즉, 100%의 듀티 비를 사용하는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6). 이러한 제어에 따라서, 저항(62)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값 V2가 충전 IC(55)의 TS 핀에 입력된다. 그리고, 충전 IC(55)는 전원(12)에 충전 전압의 공급을 중단한다.
단계 S6 이후, MCU(50)는 충전 IC(55)에 전원(12)의 온도가 보호 온도에 도달했음을 알린다(단계 S7). 충전 IC(55)가 이러한 알림을 수신하면, #CHG 핀으로부터 충전 중단 신호를 출력한다. 그 다음, MCU(50)가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고, 스위치(63)를 OFF 상태로 되돌린다. 그러나, 단계 S6 및 단계 S7의 순서는 반대일 수 있거나, 또는 단계 S6 및 단계 S7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온도 Tbatt가 임계값 TH2보다 낮은 경우(단계 S2의 “YES”MCU(50)는 온도 Tbatt가 임계값 TH3보다 낮은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3). 온도 Tbatt가 임계값 TH3보다 낮으면(단계 S3의 “YES”MCU(50)는 스위치(63)를 OFF 상태로 유지하여, 즉, 듀티 비로서 0%를 사용하는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4).
온도 Tbatt가 임계값 TH3 이상일 경우(단계 S3의 “NO”MCU(50)는, 예를 들어, 듀티 비로서 60%를 사용하여 스위치(63)의 전환을 수행한다(단계 S5). 단계 S4 및 단계 S5 이후, 다음 온도 획득 시기가 오면, 공정은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도 6의 전원 공급 장치(10)에 따르면, 전원(12)의 온도의 측정값이 임계값 TH3 이상이 되는 경우에, 전원(12)에 공급되는 유효 전력은 온도 Tbatt가 임계값 TH3보다 낮은 경우의 유효 전력보다 더 낮게 된다. 그러므로, 전원(12)의 온도가 임계값 TH2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원(12)을 연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어로졸 흡인기(1)의 가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의 전원 공급 장치(10)에 따르면, 전원(12)의 온도의 측정값이 임계값 TH2 이상일 경우에, 전원(12)의 충전이 중단된다. 그러므로, 전원(12)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전원 공급 장치(10)에 따르면, 전원(12)의 온도가 임계값 TH3보다 낮은 상태에서, 충전 IC(55)는 충전 IC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충전 전압인 제1 충전 전압보다 낮은 제2 충전 전압으로 전원(12)을 충전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낮은 충전 전압으로 전원(12)을 연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원(12)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의 전원 공급 장치(10)에 따르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낮은 충전 전압으로 전원(12)을 충전하면서 스위치(63)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전원(12)에 공급되는 유효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렴한 충전 IC(55)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높은 정확성으로 충전 제어를 수행하여 전원(1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전원 공급 장치(10)에 따르면, TS 핀이 사용될 때 가변 저항이 연결되어야 하는 충전 IC(55)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오직 낮은 충전 전압으로 전원(12)을 충전하는 제어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낮은 충전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충전 IC를 새롭게 설계할 필요가 없으며, 전원 공급 장치(1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전원 공급 장치(10)에서, 충전 IC(55)의 TS 핀에 연결된 저항의 저항값이 고정됨에 따라, 충전 IC(55)에 의한 전원(12)의 온도 감지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MCU(50)가 전원(12)의 온도를 획득하며, 획득한 온도에 기초하여 전원(12)의 충전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전원(12)의 충전 기간을 연장하고, 온도 상승에 의해 야기되는 전원(12)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MCU(50)는 전원 공급 장치의 가장 짧은 제어 사이클보다 더 긴 사이클로 전원(12)의 온도를 획득한다. 그러므로, 전원(12)의 온도는 과도한 빈도로 획득되지 않으며,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을 위해 MCU(50)의 계산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MCU(50)는 스위치(64)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전원(12)의 온도가 획득될 수 있는 상태와 전원(12)의 온도가 획득될 수 없는 상태 사이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치(64)를 사용하는 용이한 조작에 의해 온도 획득이 가능해짐에 따라,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원(12)의 온도는 온도가 필요한 시기에만 획득될 수 있음에 따라,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도 6의 전기 회로에서, 접지선(60E)은 접지된 배선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선은 전원 공급 장치(10)에서 가장 낮은 전위를 가지는 배선(메인 네거티브 버스선(main negative bus line))이기만 하면 되며, 접지된 배선이 아닐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적어도 다음의 발명 (1) 내지 (19)가 개시된다. 또한, 상기 기재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 등은 괄호로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다음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입기용 전원 공급 장치: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부하(부하(21))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전원(12));
전원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온도 측정부(온도 측정부(54)); 및
상기 온도 측정부의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임계값 TH3) 전원에 공급되는 제1 전력(유효 전력 P2) 또는 제1 전력량을, 측정값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경우 전원에 공급되는 제2 전력(유효 전력 P1) 또는 제2 전력량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MCU(50)).
(1)에 의하면, 전원의 온도의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 전원에 공급되는 전력 또는 전력량이 감소한다. 그러므로, 전원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전원(12)을 연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어로졸 흡인기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2) (1)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측정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임계값 TH2)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전원의 충전을 중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에 의하면, 전원의 충전이 낮은 전력 또는 작은 전력량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도, 전원의 온도의 측정값이 제2 임계값 이상이 되면, 전원의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전원을 보호할 수 있다.
(3) (1) 또는 (2)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제1 임계값은 45℃보다 낮은 전원 공급 장치.
(3)에 의하면, 전원의 온도가 전원의 열화가 우려되는 45℃에 도달하기 전에, 전력 또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4) (1) 내지 (3)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의 50% 이하로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4)에 의하면, 전원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5) (4)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의 40% 이하로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5)에 의하면, 전원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6) (1)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측정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임계값 TH2)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전원의 충전을 중단하고,
상기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측정값이 제2 임계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6)에 의하면, 전원의 온도가 제2 임계값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원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가능한 오랫동안 충전을 유지할 수 있다.
(7) (1)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측정값이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임계값 TH2)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전원의 충전을 중단하고,
제2 임계값에서 제1 임계값을 감산하여 얻은 값은 온도를 측정할 때 온도 측정부의 오차의 절대값 이상인 전원 공급 장치.
(7)에 의하면, 측정 오차의 존재로 인해 실제 온도가 제2 임계값인지 여부가 불불명한 경우에도,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이 되면, 즉, 적어도 실제 온도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기 전에, 전력 또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원의 온도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능한 오랫동안 충전을 유지할 수 있다.
(8) (1)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제1 임계값은 43℃ 이하이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의 40% 이하로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8)에 의하면, 전원의 온도가 전원의 열화가 우려되는 45℃에 도달하기 전에 전력 또는 전력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9) 다음을 추가로 포함하는, (1) 내지 (8) 중 임의의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
입력된 전력을 전원에 대한 충전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충전기(충전 IC(55)),
여기서 상기 충전기 및 제어부 중에서, 오직 충전기만이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9)에 의하면, 전원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충전기보다 높은 처리 성능을 가지는 제어부에 의해 측정될 수 있음에 따라, 높은 주파수에서 정확하게 온도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온도를 사용하여 충전 및 방전에 대한 높은 정확성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 (9)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의 온도가 획득될 수 있는 상태와 전원의 온도가 획득될 수 없는 상태 사이의 전환을 수행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에 의하면, 전원의 온도는 온도가 필요한 시기에 획득될 수 있음에 따라,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을 위해 제어부의 계산 자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의 온도를 사용하여 제어의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11) (9) 또는 (10)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충전기는 정보 입력부(TS 핀)를 포함하며,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에 기초하여 제1 충전 전압 및 제1 충전 전압보다 낮은 제2 충전 전압 중 하나를 전원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나의 입력값으로서의 소정의 고정값(전압값 V1)은 정보 입력부에 입력될 수 있고,
상기 고정값은 전원에 제2 충전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값인 전원 공급 장치.
(11)에 의하면, 고정값이 정보 입력부에 입력되는 상태에서, 제1 충전 전압보다 낮은 제2 충전 전압으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값이 정보 입력부에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상태를 실현함으로써, 충전 전압으로 전원을 연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되고, 전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12) (11)에 있어서, 다음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상기 고정값이 정보 입력부에 입력되는 상태와 고정값이 정보 입력부에 입력되지 않는 상태 사이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치(스위치(63)),
여기서 제어부는 스위치 개폐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전원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에 의하면, 고정값이 아닌 입력값을 정보 입력부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를 켬으로써,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이 전원에 공급되도록 제2 충전 전압으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스위치를 끔으로써, 제2 충전 전압으로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스위치를 택일적으로 및 반복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보다 작은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13) (12)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고정값이 정보 입력부에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스위치는 충전기가 전원의 충전을 중단시키기 위한 값(전압값 V2)을 정보 입력부에 입력하게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3)에 의하면, 스위치를 켬으로써,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이 전원에 공급되도록 제2 충전 전압으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고, 스위치를 끔으로써, 제2 충전 전압으로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스위치를 택일적으로 및 반복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보다 작은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의 온도가 높아 전원의 보호가 요구되는 경우에, 전원의 충전을 중단하기 위한 값을 정보 입력부에 입력하여, 전원을 보호할 수 있다.
(14) (12) 또는 (13)에 따른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입력값은 정보 입력부에 연결된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에 관한 값이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고정 저항값을 가지며 정보 입력부에 연결된 고정 저항(저항(61))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정보 입력부와 메인 네거티브 버스선 또는 접지선(접지선(60E))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정보 입력부 및 메인 네거티브 버스선 또는 접지선은 직접적으로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값이 정보 입력부로 입력되지 않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14)에 의하면, 정보 입력부 및 주 네거티브 버스선 또는 접지선 중 하나가 직접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정보 입력부에 입력되는 전압-관련 값을 충분히 작은 값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기로서 충전을 중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정보 입력부에 입력되는 값이 임계값보다 작아지게 되면, 해당 상태에서, 충전기의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전원을 보호할 수 있다.
(15) 다음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입기용 전원 공급 장치: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부하(부하(21))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전원(12));
입력된 전력을 전원에 대한 충전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충전기(충전 IC(55)); 및
상기 충전기가 전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중단하는 제1 제어 및 전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2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MCU(50)),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단위시간(단위시간 T)에 제1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 및 제2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의 비율(듀티 비)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흡입기용 전원 공급 장치.
(15)에 의하면, 소정의 단위시간에 제1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 및 제2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의 비율만을 제어함으로써, 제어 전원에 공급되는 유효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렴한 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높은 정확성으로 충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언급된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전원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가능한 오랫동안 전원의 충전을 유지할 수 있다.
(16)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부하(부하(21))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전원(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 및
온도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 전원에 공급되는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측정값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전원에 공급되는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하는 단계.
(17) 컴퓨터가 수행하도록 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부하(부하(21))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전원(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 및
온도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 전원에 공급되는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측정값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전원에 공급되는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하는 단계.
(18)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부하(부하(21))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전원(12)), 및 입력된 전력을 전원의 위한 충전전력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충전기(충전 IC(5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상기 충전기가 전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중단하는 제1 제어 및 전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2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단계,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소정의 단위시간(단위시간 T)에 제1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 및 제2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의 비율(듀티 비)을 제어하는 방법.
(19)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부하(부하(21))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전원(12)), 및 입력된 전력을 전원의 위한 충전전력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충전기(충전 IC(55))를 포함하고,
다음을 컴퓨터가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프로그램:
상기 충전기가 전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중단하는 제1 제어 및 전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2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단계,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소정의 단위시간(단위시간 T)에 제1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 및 제2 제어가 수행되는 기간의 비율(듀티 비)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Claims (14)

  1.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보관되며,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부하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
    상기 전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내에 보관되는 온도 측정부; 및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1 전력량은 상기 온도 측정부의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전원에 공급되고 또 상기 제2 전력 또는 상기 제2 전력량은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전원에 공급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전원에 근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보관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의 충전을 중단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45℃보다 낮은,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1 전력량을 상기 제2 전력 또는 상기 제2 전력량의 50% 이하로 제어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1 전력량을 상기 제2 전력 또는 상기 제2 전력량의 40% 이하로 제어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의 충전을 중단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1 전력량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8. 에어로졸 흡입기용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전력을 부하에 방출할 수 있는 전원;
    상기 전원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온도 측정부; 및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1 전력량은 상기 온도 측정부의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전원에 공급되고 또 상기 제2 전력 또는 상기 제2 전력량은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전원에 공급되며,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의 충전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임계값에서 상기 제1 임계값을 감산하여 얻은 값은 상기 온도를 측정할 때 상기 온도 측정부의 오차의 절대값 이상인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43℃ 이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1 전력량을 상기 제2 전력 또는 상기 제2 전력량의 40% 이하로 제어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된 전력을 상기 전원에 대한 충전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충전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충전기 및 상기 제어부 중에서, 오직 상기 충전기만이 상기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의 온도가 획득될 수 있는 상태와 상기 전원의 온도가 획득될 수 없는 상태 사이의 전환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에어로졸 흡입기용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전력을 부하에 방출할 수 있는 전원;
    상기 전원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온도 측정부;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여기서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1 전력량은 상기 온도 측정부의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전원에 공급되고 또 상기 제2 전력 또는 상기 제2 전력량은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전원에 공급되며;
    입력되는 전력을 상기 전원에 대한 충전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충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며 또 상기 정보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값에 기초하여 제1 충전 전압 및 상기 제1 충전 전압보다 낮은 제2 충전 전압 중 하나를 상기 전원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나의 입력값으로서의 소정의 고정값이 상기 정보 입력부에 입력될 수 있고,
    상기 고정값은 상기 전원에 상기 제2 충전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값이며,
    상기 충전기 및 상기 제어부 중에서, 오직 충전기만이 상기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입력부에 대한 상기 고정값의 입력 및 비입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전원으로 공급되는 전력 또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보관되며 또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부하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 및
    상기 전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내에 보관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부하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 및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1 전력량은 상기 온도의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전원에 공급되고 또 상기 제2 전력 또는 상기 제2 전력량은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전원에 공급되는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로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보관되며 또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부하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 및
    상기 전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내에 보관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에어로졸 생성 공급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부하에 전력을 방출할 수 있는 전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 및
    제1 전력 또는 제1 전력량을 제2 전력 또는 제2 전력량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컴퓨터가 수행하게 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전력 또는 상기 제1 전력량은 상기 온도의 측정값이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전원에 공급되고 또 상기 제2 전력 또는 상기 제2 전력량은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전원에 공급되는, 제어 프로그램인,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0200005695A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45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540A KR102445513B1 (ko) 2019-01-17 2021-04-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93551P 2019-01-17 2019-01-17
US62/793,551 2019-01-17
JP2019035994A JP6647436B1 (ja) 2019-01-17 2019-02-28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9-035994 2019-02-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540A Division KR102445513B1 (ko) 2019-01-17 2021-04-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632A KR20200089632A (ko) 2020-07-27
KR102245534B1 true KR102245534B1 (ko) 2021-04-30

Family

ID=67539840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166A KR102194549B1 (ko) 2019-01-17 2020-01-15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KR1020200005800A KR102162751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유닛
KR1020200005778A KR102158174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유닛
KR1020200005695A KR102245534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05738A KR102156176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유닛
KR1020200005721A KR102158173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유닛
KR1020200006101A KR102206985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KR1020210049540A KR102445513B1 (ko) 2019-01-17 2021-04-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166A KR102194549B1 (ko) 2019-01-17 2020-01-15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KR1020200005800A KR102162751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유닛
KR1020200005778A KR102158174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738A KR102156176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유닛
KR1020200005721A KR102158173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유닛
KR1020200006101A KR102206985B1 (ko) 2019-01-17 2020-01-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KR1020210049540A KR102445513B1 (ko) 2019-01-17 2021-04-16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2) US11031801B2 (ko)
EP (10) EP4033636A1 (ko)
JP (17) JP6647436B1 (ko)
KR (8) KR102194549B1 (ko)
CN (8) CN111463844A (ko)
CA (7) CA3068386C (ko)
EA (8) EA202090074A1 (ko)
HU (1) HUE061004T2 (ko)
PL (2) PL3683918T3 (ko)
TW (8) TWI7276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614478D0 (en) 2016-08-25 2016-10-12 Nicoventures Holdings Ltd Control circuit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KR102105548B1 (ko) * 2017-09-26 2020-04-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피드백 제어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EP3820315A2 (en) * 2018-07-10 2021-05-19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ir quality sensor
JP6647436B1 (ja) * 2019-01-17 2020-02-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88754B2 (ja) * 2019-03-11 2023-11-29 ニコベンチャーズ トレーディング リミテッド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JP6868077B1 (ja) * 2019-11-05 2021-05-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充電ユニット
JP6957577B2 (ja) * 2019-11-05 2021-11-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
JP6911168B1 (ja) * 2020-02-25 2021-07-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JP6909885B1 (ja) * 2020-02-25 2021-07-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及びエアロゾル吸引器
KR102434425B1 (ko) * 2020-04-14 2022-08-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6735002B1 (ja) * 2020-05-11 2020-08-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
EP3937337B1 (en) * 2020-07-09 2022-11-09 Japan Tobacco Inc.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JP6864769B1 (ja) 2020-07-09 2021-04-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
JP6860732B1 (ja) * 2020-07-09 2021-04-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US20230276845A1 (en) * 2020-08-10 2023-09-07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a Nested and Flexible PCB
JP6856811B1 (ja) 2020-09-07 2021-04-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905134B1 (ja) 2020-09-07 2021-07-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856810B1 (ja) * 2020-09-07 2021-04-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887053B1 (ja) * 2020-09-30 2021-06-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2104593A1 (zh) * 2020-11-18 2022-05-27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及其供电组件和支架
EP4212037A4 (en) * 2020-12-15 2024-05-22 Japan Tobacco Inc INHAL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S THEREFOR
USD948107S1 (en) * 2021-04-16 2022-04-05 Shenzhen Huake Light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cigarette
WO2022239387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KR20230162053A (ko) * 2021-05-10 2023-11-28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WO2022239472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2239389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2239380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2239278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KR20240006048A (ko) * 2021-05-10 2024-01-12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JP7066927B1 (ja) * 2021-05-10 2022-05-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CN117295426A (zh) * 2021-05-10 2023-12-26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气溶胶产生装置的电源单元
WO2022239370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2239390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2239381A1 (ja) * 2021-05-10 2022-11-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7201861B2 (ja) * 2021-05-10 2023-01-1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
CN117377400A (zh) * 2021-05-10 2024-01-09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气溶胶生成装置的电源单元
KR20230163495A (ko) * 2021-05-10 2023-11-30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JP7201862B2 (ja) * 2021-05-10 2023-01-1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
EP4338615A1 (en) 2021-05-10 2024-03-20 Japan Tobacco, Inc.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KR102634485B1 (ko) * 2021-05-10 2024-02-0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EP4368038A1 (en) * 2021-07-08 2024-05-15 Japan Tobacco, Inc.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WO2023281715A1 (ja) 2021-07-08 2023-01-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WO2023047550A1 (ko) * 2021-09-24 2023-03-30
KR20230053834A (ko)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노이즈 저감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20230103461A (ko) *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GB202208021D0 (en) * 2022-05-31 2022-07-13 Nicoventures Trading Ltd Delivery device
WO2024046876A1 (en) * 2022-08-31 2024-03-07 Imperial Tobacco Limited Control assembly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4084192A1 (en) * 2022-10-19 2024-04-2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delivery subsystem
WO2024084194A1 (en) * 2022-10-19 2024-04-2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delivery sub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8492A (ja) 2007-03-14 2008-09-25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2017518733A (ja) 2014-04-30 2017-07-1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7082A (en) * 1972-09-29 1974-12-24 Tympanium Corp Electronic voltage regulator for battery charging
US4811190A (en) * 1982-09-09 1989-03-07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apacitive boost circuit for extending hold up time
JPS6224753A (ja) * 1985-07-25 1987-02-02 Panafacom Ltd 音声呼出機能付電話端末
DE3622268C1 (de) * 1986-07-03 1988-02-11 Stahl R Schaltgeraete Gmbh Sicherheitsbarriere
US4947874A (en) * 1988-09-08 1990-08-14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s utilizing electrical energy
DE3832068A1 (de) * 1988-09-21 1990-03-22 Stahl R Schaltgeraete Gmbh Explosionsgeschuetzte elektrische sicherheitsbarriere
US5075821A (en) * 1990-11-05 1991-12-24 Ro Associates DC to DC converter apparatus
JPH04362714A (ja) * 1991-06-10 1992-12-15 Toyo Electric Mfg Co Ltd 電流電圧変換回路
US5166596A (en) * 1991-08-29 1992-11-24 Motorola, Inc. Battery charger having variable-magnitude charging current source
GB2277415B (en) * 1993-04-23 1997-1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JP3379159B2 (ja) * 1993-08-11 2003-02-17 松下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KR100289448B1 (ko) 1997-07-23 2001-05-02 미즈노 마사루 향미발생장치
JP2984657B2 (ja) * 1997-07-23 1999-11-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発生装置
JPH1151730A (ja) * 1997-08-07 1999-02-26 Hitachi Ltd 空気流量測定装置
JPH11111350A (ja) * 1997-10-02 1999-04-23 Sony Corp バッテリとそのバッテリを有する電子機器
JPH11285254A (ja) * 1998-03-26 199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源装置
JP2000124506A (ja) * 1998-10-15 2000-04-28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DE69925984T2 (de) * 1999-03-09 2005-12-22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Ladegerät für Batterien
JP3066091U (ja) * 1999-07-27 2000-02-18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1352669A (ja) * 2000-06-06 2001-12-21 Oki Electric Ind Co Ltd 突入電流抑制回路
JP3690728B2 (ja) * 2000-07-17 2005-08-31 Necトーキン栃木株式会社 簡易保護式電池パック
FR2821306B1 (fr) * 2001-02-26 2007-10-19 Valeo Vision Dispositif d'alimentation pour composants electriques installes dans un vehicule automobile
JP2003111271A (ja) * 2001-10-03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
US20080231233A1 (en) * 2001-12-03 2008-09-25 Walter Thornton Power converter including auxiliary battery charger
JP2003317811A (ja) * 2002-04-24 2003-11-07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充電監視装置
US6927626B2 (en) * 2002-09-23 2005-08-0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Thermal protection system for an output stage of an amplifier
US20060238169A1 (en) * 2005-04-22 2006-10-26 William Baker Temperature controlled current regulator
RU2312432C2 (ru) * 2005-10-13 2007-12-10 ООО "ИРХИТ Транспорт" (разработка и изготовление химических источников тока) Способ заряда тяговой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JP4299309B2 (ja) * 2006-02-07 2009-07-2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蓄電池の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JP2007312476A (ja) * 2006-05-17 2007-11-29 Kyocera Corp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US7615968B2 (en) * 2006-08-04 2009-11-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at elevated temperatures
JP2008149244A (ja) * 2006-12-15 2008-07-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静電霧化装置
EP2213321B1 (en) 2007-11-29 2014-07-23 Japan Tobacco Inc. Aerosol inhaling system
JP5061884B2 (ja) * 2007-12-21 2012-10-3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2009219221A (ja) * 2008-03-10 2009-09-24 Panasonic Corp 充電装置
EP2266177A2 (en) * 2008-03-10 2010-12-29 Techtium Ltd. Environmentally friendly power supply
JP5309641B2 (ja) * 2008-03-24 2013-10-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充電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JP4822025B2 (ja) * 2008-03-26 2011-11-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載充電装置
JP2010040198A (ja) * 2008-07-31 2010-02-18 Idemitsu Kosan Co Ltd 二次電池充放電装置、電気機器、二次電池充放電方法及び二次電池充放電プログラム
US20100045237A1 (en) * 2008-08-20 2010-02-25 Shenzhen Elite Electronic Co., Ltd Multifunctional portable energy storage device
JP4816705B2 (ja) * 2008-10-01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の制御装置、バッテリの制御方法、及び、バッテリ
JP2010093880A (ja) * 2008-10-06 2010-04-2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両用充電発電機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2010115047A (ja) * 2008-11-07 2010-05-20 Hitachi Koki Co Ltd 充電装置
JP2011097728A (ja) * 2009-10-29 2011-05-12 Nec Corp 充電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CN201661966U (zh) 2009-11-24 2010-12-01 王文汶 照明装置
CN201830899U (zh) * 2010-06-09 2011-05-18 李永海 电子香烟的供电装置
CN201830900U (zh) * 2010-06-09 2011-05-18 李永海 电子香烟的烟液雾化装置
JP5503430B2 (ja) * 2010-06-25 2014-05-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出力停止スイッチ付き電池パック
CN201838684U (zh) * 2010-07-15 2011-05-18 常州市爱斯莫克电子科技有限公司 便携式雾化吸入器充电盒
EP2454956A1 (en) 2010-11-19 2012-05-23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units
CN201928066U (zh) * 2011-01-28 2011-08-10 向智勇 一种电子烟及其无线充电装置
US8903228B2 (en) 2011-03-09 2014-12-02 Chong Corporation Vapor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MX356624B (es) 2011-03-09 2018-06-06 Chong Corp Sistema de entrega de medicamento.
US9399110B2 (en) 2011-03-09 2016-07-26 Chong Corporation Medicant delivery system
US20120249054A1 (en) * 2011-03-29 2012-10-04 Paul King Universal charging board assembly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to devices connected thereof
CA2829043C (en) * 2011-04-22 2019-09-03 Chong Corporation Medicant delivery system
JP2012239278A (ja) * 2011-05-11 2012-12-06 Funai Electric Co Ltd Dc‐dc変換回路
US9381878B2 (en) * 2011-06-03 2016-07-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and power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JP5272200B2 (ja) * 2011-08-25 2013-08-28 和彦 清水 無煙喫煙治具
AT511344B1 (de) * 2011-10-21 2012-11-15 Helmut Dr Buchberger Inhalatorkomponente
JP2013094877A (ja) * 2011-10-31 2013-05-20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
US8701389B2 (en) * 2011-12-06 2014-04-2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Reagent injector control system
UA114903C2 (uk) 2011-12-18 2017-08-28 Сіс Рісорсез Лтд. Електронна цигарка з підзарядкою
US9326547B2 (en) * 2012-01-31 2016-05-03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article
CN202602552U (zh) 2012-03-14 2012-12-12 安徽省菲特科技股份有限公司 交流220v直接转变为直流5v的转换电路
US9312712B2 (en) 2012-07-26 2016-04-12 Samsung Sdi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harging parameters of a battery us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ranges and counters and parameter sets
AU2012388103B2 (en) 2012-08-24 2016-11-03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Shenzhen Branch Electronic cigarette apparatus
CN102832669B (zh) * 2012-09-06 2015-10-14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池智能充放电控制电路
DE102012018799A1 (de) * 2012-09-22 2014-03-27 Dräger Safety AG & Co. KGaA Versorgungsschaltung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einer Kopfschutzbedeckung, Kopfschutzbedeckung mit einer solchen Versorgungsschal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Versorgungsschaltung
US9854841B2 (en) * 2012-10-08 2018-01-02 Rai Strategic Holding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GB2507103A (en) * 2012-10-19 2014-04-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GB2507102B (en) 2012-10-19 2015-12-30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CN102940313B (zh) 2012-11-13 2015-04-01 卓尔悦(常州)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烟的智能控制器及方法
US10154691B2 (en) * 2012-11-26 2018-12-18 Nu Mark Innovations Ltd. Bonding for an electronic cigarette cartridge
UA115358C2 (uk) 2013-03-15 2017-10-25 Олтріа Клайєнт Сервісиз Ллк Система та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даних про профіль паління
US9423152B2 (en) * 2013-03-15 2016-08-2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Heating control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CN203302350U (zh) 2013-04-02 2013-11-27 戴伟 使用一次电池的电子烟
JP6196300B2 (ja) 2013-05-28 2017-09-13 京セラ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携帯電子機器
WO2015003338A1 (zh) * 2013-07-10 2015-01-15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烟盒的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CN104348192B (zh) * 2013-07-23 2018-04-27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usb充电器
US8907631B1 (en) * 2013-07-31 2014-12-09 Qnovo Inc. Adaptive charging technique and circuitry for a battery/cell using multiple charge circuits and temperature data
CN104348214B (zh) * 2013-08-09 2019-04-12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具有过压过流保护的充电器及其保护方法
CN203434232U (zh) 2013-08-30 2014-02-12 刘秋明 一种电子烟及其电池组件
CN104426195B (zh) 2013-09-09 2018-06-15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小电池容量电池杆的充电控制方法以及充电器
CN203504217U (zh) * 2013-09-10 2014-03-26 向智勇 一种电子烟盒
CN105592735B (zh) * 2013-09-26 2018-11-16 奥驰亚客户服务有限责任公司 电子吸烟器具
KR101854218B1 (ko) * 2013-10-22 2018-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배터리 팩의 충전 방법
KR20130127412A (ko) 2013-11-05 2013-11-22 주식회사 엔브라이트 무화 제어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무화 장치
US10980273B2 (en) * 2013-11-12 2021-04-20 VMR Products, LLC Vaporizer, charger and methods of use
US20150305409A1 (en) * 2013-11-12 2015-10-29 VMR Products, LLC Vaporizer
US10039321B2 (en) * 2013-11-12 2018-08-07 Vmr Products Llc Vaporizer
CN104664605A (zh) 2013-11-28 2015-06-03 胡朝群 具有无线蓝牙低功耗连接通讯功能的智能电子烟
WO2015078010A1 (zh) 2013-11-29 2015-06-04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杆、电子烟及其供电方法
CN203597408U (zh) * 2013-11-29 2014-05-21 刘秋明 电池杆及电子烟
CN105916396B (zh) * 2014-01-10 2019-06-28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盒、电子烟盒信息管理方法及系统
CN103783674A (zh) 2014-01-24 2014-05-14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烘焙式雾化装置及气雾吸入装置
CN203618789U (zh) 2014-01-26 2014-06-04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的电池组件及一种电子烟
UA118042C2 (uk) * 2014-01-27 2018-11-12 Сіс Рісорсез Лтд. Дротяний зв'язок в електронному пристрої для паління
ES2755092T3 (es) * 2014-03-03 2020-04-21 Fontem Holdings 1 Bv Dispositivo de fumar electrónico
WO2015131401A1 (zh) * 2014-03-07 2015-09-11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清除积油功能的电子烟以及清除电子烟积油的方法
EP3622839B1 (en) 2014-03-19 2024-01-03 Philip Morris Products S.A. Monolithic plane with electrical contac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335070A1 (en) * 2014-05-20 2015-11-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ically-powered aerosol delivery system
CN104055224B (zh) * 2014-06-09 2017-01-11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烟的集成电路及电子烟
WO2015190810A1 (ko) 2014-06-09 2015-12-17 황일영 전자 담배용 모듈형 부품
GB2528710B (en) * 2014-07-24 2018-12-26 Nicoventures Holdings Ltd E-cigarette re-charging system
GB2528711B (en) * 2014-07-29 2019-02-20 Nicoventures Holdings Ltd E-cigarette and re-charging pack
GB2528712B (en) * 2014-07-29 2019-03-27 Nicoventures Holdings Ltd E-cigarette and re-charging pack
WO2016029225A1 (en) * 2014-08-22 2016-02-25 Fontem Holdings 2 B.V.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heating element
WO2016058189A1 (zh) * 2014-10-17 2016-04-21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组件及其充电控制方法以及电子烟
MY182482A (en) 2014-11-10 2021-01-25 Japan Tobacco Inc Cartridge and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GB201423314D0 (en) 2014-12-29 2015-02-1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Device for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CN204560964U (zh) * 2015-02-06 2015-08-19 深圳市劲嘉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式低温非燃烧烟具
US10050461B2 (en) * 2015-02-11 2018-08-14 Mediatek Inc. Charge control circuit, charge control method and associated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JP6577229B2 (ja) * 2015-02-13 2019-09-18 株式会社マキタ バッテリパック、及びバッテリシステム
JP2016213984A (ja) * 2015-05-11 2016-12-15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源装置
US20160360787A1 (en) * 2015-06-15 2016-12-15 William Christopher Bailey Super Capacitor Vaping Electronic Cigarette With Integrated Power Pack
WO2016210242A1 (en) 2015-06-25 2016-12-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having pressure sensor
CN105846486A (zh) * 2015-06-30 2016-08-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调整充电电路发热量的方法和装置
TW201707587A (zh) * 2015-08-21 2017-03-01 力智電子股份有限公司 電子菸的功率控制電路與功率控制方法
GB201517089D0 (en) * 2015-09-28 2015-11-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ing heat map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s
US10918134B2 (en) * 2015-10-21 2021-02-16 Rai Strategic Holdings, Inc. Power supply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10582726B2 (en) * 2015-10-21 2020-03-10 Rai Strategic Holdings, Inc. Induction charging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KR20170059805A (ko) * 2015-11-23 2017-05-31 주식회사 아모텍 전자 담배 장치
JP2017118696A (ja) * 2015-12-24 2017-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充電装置、プリンター、及び、充電方法
US10092036B2 (en) * 2015-12-28 2018-10-09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housing and a coupler
JP6458749B2 (ja) 2016-01-14 2019-01-30 清水 和彦 無煙喫煙具
JP6672816B2 (ja) * 2016-01-15 2020-03-25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6497327B2 (ja) * 2016-01-19 2019-04-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給電制御装置
GB201603211D0 (en) 2016-02-24 2016-04-06 Cooper Technologies Co Voltage crowbar
US10455863B2 (en) * 2016-03-03 2019-10-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ridg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US10433580B2 (en) * 2016-03-03 2019-10-08 Altria Client Services Llc Methods to add menthol, botanic materials, and/or non-botanic materials to a cartridge, and/or an electronic vaping device including the cartridge
US10368581B2 (en) * 2016-03-11 2019-08-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Multiple dispersion generator e-vaping device
EP3439724B1 (en) * 2016-04-04 2023-11-01 Nexvap SA A mobile inhaler and a container for using therewith
TW201800020A (zh) * 2016-06-29 2018-01-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具有可充電電源供應器之電操作式氣溶膠產生系統
US10757973B2 (en) * 2016-07-25 2020-09-01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cigarette with mass air flow sensor
US10729177B2 (en) * 2016-07-31 2020-08-04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battery section, and charger
CN106072778B (zh) 2016-08-12 2019-05-10 深圳市海派特光伏科技有限公司 降压型集成电路及电子烟
CN106263039B (zh) * 2016-08-31 2018-12-28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按压鼻吸式加热型卷烟烟具
US20180070633A1 (en) * 2016-09-09 2018-03-15 Rai Strategic Holdings, Inc. Power source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CN106343611B (zh) * 2016-10-14 2019-08-27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椭圆形电子烟的电池杆
US10492530B2 (en) * 2016-11-15 2019-12-03 Rai Strategic Holdings, Inc. Two-wire authentication system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JP2018085867A (ja) * 2016-11-25 2018-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充電装置
WO2018163263A1 (ja) * 2017-03-06 2018-09-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香味吸引器、バッテリユニット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581039B8 (en) 2017-03-06 2022-07-13 Japan Tobacco Inc. Battery unit, flavor aspirator,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unit, and program
WO2018163262A1 (ja) 2017-03-06 2018-09-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香味吸引器、バッテリユニット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53043B2 (ja) * 2017-03-13 2020-02-2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一次装置、及び二次装置
WO2018167817A1 (ja) * 2017-03-13 2018-09-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一次装置、及び二次装置
CN206595747U (zh) 2017-03-30 2017-10-27 荣山学 一种应用于电子烟的充电装置及其外壳
JP6929732B2 (ja) * 2017-03-31 2021-09-01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パック、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補聴器
GB201707194D0 (en) * 2017-05-05 2017-06-2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TW201902372A (zh) * 2017-05-31 2019-01-16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裝置之加熱構件
CN206865186U (zh) * 2017-06-12 2018-01-09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充电电路及电子烟
US10587136B2 (en) * 2017-07-06 2020-03-10 Qualcomm Incorporated Parallel charging architecture
EP3698657B1 (en) * 2017-10-18 2023-09-20 Japan Tobacco Inc. Inhalation component generation device
WO2019082249A1 (ja) * 2017-10-23 2019-05-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吸引成分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979064A (zh) * 2018-01-15 2018-05-01 东莞博力威电池有限公司 一种接口保护电路
CN108696970B (zh) * 2018-05-24 2023-12-12 厦门东昂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识别电池包充放电状态的照明装置
TWI697169B (zh) * 2018-06-14 2020-06-21 美律實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10888125B2 (en) * 2018-06-27 2021-01-12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subassemblies
CN208523778U (zh) * 2018-06-28 2019-02-22 深圳微风达科技有限公司 电子烟控制系统
CN108652086B (zh) 2018-07-11 2023-10-13 绿烟实业(深圳)有限公司 用于非燃烧烟具的烟盒及非燃烧烟具设备
CN108813738A (zh) * 2018-08-10 2018-11-16 陈志明 一种电子烟杆及电子烟
US11139664B2 (en) * 2018-09-11 2021-10-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attery protector hibernate input separate from VDD, low power output
JP6550671B1 (ja) 2018-10-26 2019-07-3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霧化ユニット、及び非燃焼式吸引器
JP6557393B1 (ja) * 2018-10-31 2019-08-0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564922B1 (ja) * 2018-10-31 2019-08-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681963B1 (ja) * 2018-10-31 2020-04-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9035974A (ja) * 2018-11-02 2019-03-07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ボディ
JP6609687B1 (ja) * 2018-12-27 2019-11-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647436B1 (ja) * 2019-01-17 2020-02-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8492A (ja) 2007-03-14 2008-09-25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2017518733A (ja) 2014-04-30 2017-07-13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2090078A1 (ru) 2020-07-31
EA202090075A1 (ru) 2020-07-31
TW202034807A (zh) 2020-10-01
KR20200089633A (ko) 2020-07-27
EP4033636A1 (en) 2022-07-27
JP6647436B1 (ja) 2020-02-14
JP2022118063A (ja) 2022-08-12
US20200229502A1 (en) 2020-07-23
TWI724757B (zh) 2021-04-11
US11605963B2 (en) 2023-03-14
CN111436658B (zh) 2023-06-20
US10931130B2 (en) 2021-02-23
JP6959402B2 (ja) 2021-11-02
TW202033121A (zh) 2020-09-16
EP3682924B1 (en) 2022-04-13
EP3683922B1 (en) 2023-06-21
JP2020114200A (ja) 2020-07-30
EA202090074A1 (ru) 2020-07-31
CA3068701C (en) 2021-11-09
KR20200089634A (ko) 2020-07-27
US20200229504A1 (en) 2020-07-23
JP2020114201A (ja) 2020-07-30
KR102158173B1 (ko) 2020-09-22
JP6713082B1 (ja) 2020-06-24
EP3682924A1 (en) 2020-07-22
US20200229503A1 (en) 2020-07-23
US20200235599A1 (en) 2020-07-23
CA3068705C (en) 2022-07-19
EP4084270A1 (en) 2022-11-02
KR102206985B1 (ko) 2021-01-25
TW202033120A (zh) 2020-09-16
CN111463844A (zh) 2020-07-28
JP6640422B1 (ja) 2020-02-05
EA036641B1 (ru) 2020-12-03
KR102156176B1 (ko) 2020-09-15
CN111513364A (zh) 2020-08-11
CN111463845B (zh) 2022-05-13
JP2020114199A (ja) 2020-07-30
TW202034806A (zh) 2020-10-01
EP3683918A1 (en) 2020-07-22
US20210143658A1 (en) 2021-05-13
US11133692B2 (en) 2021-09-28
EA202193036A2 (ru) 2022-03-31
KR20200089622A (ko) 2020-07-27
EP3683917A1 (en) 2020-07-22
EP3683921B1 (en) 2021-05-12
US11322962B2 (en) 2022-05-03
JP2024028436A (ja) 2024-03-04
TWI722772B (zh) 2021-03-21
KR20200089639A (ko) 2020-07-27
CA3068705A1 (en) 2020-04-20
JP7379225B2 (ja) 2023-11-14
KR20200089632A (ko) 2020-07-27
EP3683918B1 (en) 2023-06-07
JP7359685B2 (ja) 2023-10-11
EP3683922A1 (en) 2020-07-22
US11658500B2 (en) 2023-05-23
JP6608082B1 (ja) 2019-11-20
CA3068701A1 (en) 2020-04-20
EA202090077A1 (ru) 2020-07-31
KR20200089637A (ko) 2020-07-27
JP6557433B1 (ja) 2019-08-07
JP6633788B1 (ja) 2020-01-22
EP3683923A3 (en) 2020-10-14
TW202034803A (zh) 2020-10-01
US11031801B2 (en) 2021-06-08
HUE061004T2 (hu) 2023-04-28
JP2020114224A (ja) 2020-07-30
CN111463846A (zh) 2020-07-28
KR102194549B1 (ko) 2020-12-23
TW202034804A (zh) 2020-10-01
EA202090076A1 (ru) 2020-07-31
EA039846B1 (ru) 2022-03-18
KR102445513B1 (ko) 2022-09-21
EA036647B1 (ru) 2020-12-03
CN111436658A (zh) 2020-07-24
JP2020114202A (ja) 2020-07-30
US20200229505A1 (en) 2020-07-23
JP2020114207A (ja) 2020-07-30
US20210242702A1 (en) 2021-08-05
US11043829B2 (en) 2021-06-22
JP2020114204A (ja) 2020-07-30
CN111436659A (zh) 2020-07-24
CA3068699A1 (en) 2020-04-16
US11916421B2 (en) 2024-02-27
CN114343238A (zh) 2022-04-15
EA036634B1 (ru) 2020-12-02
TWI720786B (zh) 2021-03-01
PL3683918T3 (pl) 2023-08-14
US20210234390A1 (en) 2021-07-29
CA3068708A1 (en) 2020-04-16
CN111436657A (zh) 2020-07-24
US20230187956A1 (en) 2023-06-15
EP3965258A1 (en) 2022-03-09
TWI722768B (zh) 2021-03-21
KR102162751B1 (ko) 2020-10-20
CA3068702C (en) 2020-10-13
TWI724756B (zh) 2021-04-11
KR102158174B1 (ko) 2020-09-22
EA036563B1 (ru) 2020-11-24
EA202090072A1 (ru) 2020-07-31
JP6678284B1 (ja) 2020-04-08
EP3683923A2 (en) 2020-07-22
CA3068699C (en) 2020-09-22
JP2020115734A (ja) 2020-07-30
EP3683921A1 (en) 2020-07-22
CN111513364B (zh) 2022-08-23
JP2020124231A (ja) 2020-08-20
JP2020114197A (ja) 2020-07-30
JP2022008962A (ja) 2022-01-14
JP6608083B1 (ja) 2019-11-20
TWI727609B (zh) 2021-05-11
CA3068700A1 (en) 2020-04-23
EP3683917B1 (en) 2022-08-10
TWI722773B (zh) 2021-03-21
TW202135687A (zh) 2021-10-01
CN111463845A (zh) 2020-07-28
JP2020115738A (ja) 2020-07-30
US20200235600A1 (en) 2020-07-23
EA202090073A1 (ru) 2020-07-31
JP6573737B1 (ja) 2019-09-11
CN111436657B (zh) 2021-12-28
CA3068708C (en) 2020-10-13
EP3683923B1 (en) 2021-11-10
JP6647435B1 (ja) 2020-02-14
US11699914B2 (en) 2023-07-11
EA039432B1 (ru) 2022-01-26
US20210391737A1 (en) 2021-12-16
JP6688934B1 (ja) 2020-04-28
US11005282B2 (en) 2021-05-11
JP2020114195A (ja) 2020-07-30
TW202034805A (zh) 2020-10-01
US20200233444A1 (en) 2020-07-23
CA3068386A1 (en) 2020-07-17
EP3683919A1 (en) 2020-07-22
CA3068700C (en) 2021-12-14
CA3068386C (en) 2020-12-08
CA3068702A1 (en) 2020-04-20
JP2020114196A (ja) 2020-07-30
KR20200089636A (ko) 2020-07-27
JP2020114198A (ja) 2020-07-30
JP7087183B2 (ja) 2022-06-20
KR20210045969A (ko) 2021-04-27
TW202126196A (zh) 2021-07-16
PL3683922T3 (pl)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534B1 (ko)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84443B1 (ko)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유닛, 그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US20210120881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US11311053B2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KR102338600B1 (ko)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TWI837455B (zh) 霧氣吸嚐器用電力供應單元,以及霧氣吸嚐器用電力供應單元之控制方法與程式
EA044427B1 (ru) Блок питания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ингалятора, а также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программа блока питания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ингалятора
EA043357B1 (ru) Блок питания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ингаля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