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525B1 - 흡수성 섬유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및 이들을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섬유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및 이들을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525B1
KR102226525B1 KR1020197031250A KR20197031250A KR102226525B1 KR 102226525 B1 KR102226525 B1 KR 102226525B1 KR 1020197031250 A KR1020197031250 A KR 1020197031250A KR 20197031250 A KR20197031250 A KR 20197031250A KR 102226525 B1 KR102226525 B1 KR 10222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carboxyl group
absorbent
precursor
type carbox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922A (ko
Inventor
하루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닛폰 에쿠스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에쿠스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에쿠스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8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crylonitrile as constitu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5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 D06M11/6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with hydroxylamine or hydraz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과제)
화장수 등을 포함시키는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보액성이나 착용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직포는 주로 써멀 본드 가공에 의해 제조되고 있는데, 섬유의 교락이 적고, 착용 후에 피부에 보풀이 남기 쉽다. 보풀 감소에는 스펀레이스 가공이 유효하지만, 흡수 팽윤하는 흡수성 섬유에는 적용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스펀레이스 가공된 흡수성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0.1~5.0mmol/g의 H형 카르복실기 및 0.5mmol/g 미만의 염형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상기 H형 카르복실기량과 상기 염형 카르복실기량의 합계가 0.5mmol/g 이상이며, 흡수율이 10~1000질량%로서, 또한 카르복실기의 중화도를 50%로 조정했을 때의 흡수율이 500~5000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섬유 전구체.

Description

흡수성 섬유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및 이들을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흡수성 섬유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또는 상기 흡수성 부직포를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 및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장수 등 스킨 케어 등에 유효한 성분을 포함시켜 사용되는 페이스 마스크에 있어서는, 보액성을 높게 하고, 착용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흡수성 섬유는 흡수에 의해 섬유가 팽윤해버리기 때문에, 수류에 의해 교락시키는 스펀레이스 가공에 의해 부직포를 얻는 것은 곤란했다. 그 때문에, 열융착 섬유를 병용한 써멀 본드 가공으로 부직포를 제작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A), 200℃ 이하의 융점의 중합체 성분이 섬유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열접착성 복합 섬유(B)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열용융에 의한 접합부가 마련된 부직 섬유 제품의 상기 섬유(A)의 외층부의 적어도 일부에 가교 결합과 0.1mmol/g 이상의 -COOX(X:알칼리 금속 또는 NH4)로 표시되는 염형 카르복실기가 도입되어 이루어지는 2cc/g제품 이상의 수팽윤도를 가지는 흡수성 부직 섬유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수팽윤도가 10배 이상인 고흡수성 섬유 10~80질량%와 핫멜트 접착성 섬유 90~20질량%로 이루어지는 위생 재료용 성형 흡수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중심 부분이 폴리아크릴니트릴이며 외피 부분이 폴리아크릴산염인 심초형 섬유와 접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기재로 하고, 이 기재의 건조시의 두께가 0.01~1mm, 밀도가 0.01~2.0g/m3으로서, 습윤 상태에 있어서도 통액성을 가지는 시트상 팩재를 사용하고, 이 시트상 팩에 유효 성분 함유액을 함침시키고, 이 시트상 팩재를 피부면에 첩착하고, 이 첩착 상태로 마사지를 시행함으로써, 이 시트상 팩재 내의 유효 성분 함유액의 첩착면측으로의 방출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상 팩재의 사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 소57-21549호 공보 일본 특개 평11-200209호 공보 일본 특개 2006-16917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3의 기술은 모두 열접착성 섬유와 흡수성 섬유를 혼면시킨 후에 카드 웹을 형성시키고, 열 혹은 열 롤러에 의해 열접착성 섬유를 용융시켜 흡수성 섬유와 접착시키는 써멀 본드 가공을 사용하고 있다. 열접착성 섬유로 접착된 접착점에서는 섬유끼리의 접착에 의해 보풀의 발생은 일어나기 어렵다. 그 이외에 있어서는 섬유끼리의 교락이 적고, 보풀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써멀 본드 가공을 사용한 부직포는 예를 들면 페이스 마스크로 사용하는 경우, 보풀이 일거나 하여 착용감이 나쁘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 점에서 스펀레이스 가공을 채용할 수 있으면, 수류교락에 의해 섬유끼리가 얽히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또한 보풀도 발생하기 어려운 부직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섬유에 있어서, 이러한 가공 수단을 채용하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현 상황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은 페이스 마스크 등으로 이용했을 때, 보풀이 적고, 착용감이 우수한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및 흡수성 부직포, 이들을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 및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진행한 결과, 흡수성 섬유의 염형 카르복실기량을 적게 하고, H형 카르복실기량을 많게 함으로써, 흡수 성능을 억제한 상태로 하면, 스펀레이스 가공이 가능한 것을 알아냈다. 또한 스펀레이스 가공 후에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작용시키고, 염형 카르복실기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부직포에 흡수 성능을 갖게 하여, 부드럽고, 보풀을 적게 할 수 있고, 착용감이 우수한 것이 완성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1) 0.1~5.0mmol/g의 H형 카르복실기 및 0.5mmol/g 미만의 염형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상기 H형 카르복실기량과 상기 염형 카르복실기량의 합계가 0.5mmol/g 이상이며, 흡수율이 10~1000질량%로서, 또한 카르복실기의 중화도를 50%로 조정했을 때의 흡수율이 500~5000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섬유 전구체.
(2) 심초 구조를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흡수성 섬유 전구체.
(3) 가교 구조를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섬유 전구체.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를 함유하고, 스펀레이스 가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5) 보풀의 수가 하기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 1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평가 방법) 1변 10cm의 정방형의 범위에 있어서, 부직포 표면으로부터 말단이 돌출되어 있고 또한 길이 3mm 이상인 보풀의 개수를 육안으로 측정한다. 마찬가지의 측정을 별개의 임의의 2개소에서도 행하여, 전체 3개소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보풀의 수로 한다.
(6) 흡수성 섬유 전구체의 함유율이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또는 (5)에 기재된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7) 0.5~5.5mmol/g의 염형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흡수성 섬유를 함유하고, 흡수율이 500~20000질량%이며, 또한 스펀레이스 가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8) 흡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에 기재된 흡수성 부직포.
(9) 흡수성 섬유가 심초 구조를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또는 (8)에 기재된 흡수성 부직포.
(10) 흡수성 섬유가 가교 구조를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부직포.
(11)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또는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부직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12) (11)에 기재된 페이스 마스크에 화장수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
(13)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를 함유하는 카드 웹을 스펀레이스법에 의해 교락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의 제조 방법.
(1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를 함유하는 카드 웹을 스펀레이스법에 의해 교락시키는 공정, 및 이 공정을 거쳐 얻어진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에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작용시키고, 상기 H형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염형 카르복실기로 변환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및 흡수성 부직포는 스펀레이스 가공으로 얻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부직포가 부드럽고, 보풀이 적다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및 흡수성 부직포는 예를 들면 페이스 마스크로서 또는 창상 피복재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는 0.1~5.0mmol/g의 H형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것이다. H형 카르복실기량이 0.1mmol/g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로 한 후에 후술하는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작용시켜도, 충분한 흡수량을 발현하는 흡수성 부직포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일어날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5.0mmol/g을 넘으면 흡수량이 지나치게 많아져버리기 때문에, 스펀레이스법에 의해 부직포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H형 카르복실기량은 0.5~4.0mmol/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5mmol/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는 0.5mmol/g 미만의 염형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것이다. 염형 카르복실기는 H형 카르복실기에 비해 현격히 친수성이 높기 때문에, 0.5mmol/g 이상에서는 스펀레이스법에 의한 부직포 가공시에 지나치게 흡수하여 겔화해버려, 섬유끼리의 교락이나 건조가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염형 카르복실기량은 0.4mmo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mmol/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염형 카르복실기를 전혀 가지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H형 카르복실기량과 염형 카르복실기량의 합계량은 0.5mmol/g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6mmol/g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mol/g 이상이다. 0.5mmol/g 미만인 경우에는,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로 한 후에 후술하는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작용시켜도, 충분한 흡수량을 발현하는 흡수성 부직포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일어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이러한 합계량은 상기한 H형 카르복실기량과 염형 카르복실기량의 범위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5.5mmol/g이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는 흡수율이 10~1000질량%인 것이다. 흡수율이 10질량%를 만족하지 않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흡수성 섬유로 변환했을 때 충분한 흡수량을 가지지 않는다. 또 1000질량%를 넘으면 스펀레이스법에 의한 부직포 가공시에 지나치게 흡수하여, 섬유끼리의 교락이나 건조가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일어난다. 이러한 흡수율은 12~7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5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는 카르복실기의 중화도를 50%로 조정했을 때의 흡수율이 500~5000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카르복실기의 중화도를 50%로 조정한다는 것은 흡수성 섬유 전구체가 함유하는 카르복실기 중, 나트륨염형 카르복실기를 50mol%로 하고, 나머지를 H형 카르복실기로 하는 것을 말한다. 중화도 50%일 때의 흡수율이 500질량%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충분한 흡수성을 발현하는 흡수성 부직포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일어날 우려가 높아진다. 반대로 20000질량%를 넘으면 흡수량이 지나치게 많아져버리기 때문에, 후술하는 페이스 마스크 등으로 가공했을 때 장착부로부터 흘러내리기 쉽거나 한 문제가 발생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중화도를 50%로 조정했을 때의 흡수율은 600~480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450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로서는 그 섬도가 0.5~15.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도 0.5dtex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스펀레이스 가공시의 수류에도 견딜 수 있어 섬유의 절단이 생기기 어렵다. 한편, 섬도가 15.0dtex 이하이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흡수성 부직포가 피부에 접촉했을 때 빳빳한 불쾌감을 거의 주지 않고, 또 시트의 유연성이 양호하며,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좋은 것이 얻어지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로서는 섬유 길이가 10~2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길이 10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스펀레이스 가공시의 수류에 의해 섬유끼리가 교락하기 쉽다. 한편, 섬유 길이가 200mm 이하이면, 카드 웹을 제작할 때의 카드기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섬유 길이는 15~17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0~15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흡수성 섬유 전구체로서는 중심 부분이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이며, 외피 부분이 H형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아크릴산계 중합체인 심초 구조를 가지는 섬유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심초 구조를 가지는 섬유에 있어서는 외피 부분의 아크릴산계 중합체의 카르복실기가 H형의 상태이며, 흡수 성능이 억제되기 때문에, 스펀레이스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펀레이스 가공 후에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작용시키고, 외피 부분의 H형 카르복실기를 염형 카르복실기로 함으로써, 흡수성이 상승하여 팽윤하는 성능을 발휘하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장수를 부여하면, 수분과 함께 충분한 유효 성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중심 부분은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이며, 이 중합체는 기계적 강도가 높은 점에서 섬유를 보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수시에 있어서 외피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어도 섬유 형태의 유지와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로서는 흡수시에 있어서의 섬유 형태의 유지와 기계적 강도의 확보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가교 구조를 가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심초 구조를 가지는 섬유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이하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라고 한다)의 표층부에 대하여, 가교 도입 처리와 가수분해 처리를 시행하여, 카르복실기를 생성시키고, 이어서 산 처리를 시행하여 H형 카르복실기로 변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원료가 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구성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을 8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공중합 모노머로서는 염화비닐, 취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 및 할로겐화비닐리덴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등의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염류: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비닐술폰산, (메타)알릴술폰산, P-스티렌술폰산 등의 에틸렌계 불포화 술폰산 및 이들의 염류: (메타)아크릴아미드, 시안화비닐리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 화합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습식 방사 등을 행함으로써,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이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에 히드라진계 화합물과 알카리성 금속 화합물을 공존시킨 수성 용액을 부착시키고 가열함으로써, 히드라진계 화합물에 의한 가교의 도입과 가수분해를 동시에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히드라진계 화합물과 알카리성 금속 화합물을 공존시킨 수성 용액을, 상기 서술한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의 건조 질량에 대한 부착량이 알칼리성 금속 화합물에 대해서는 1.0~20.0meq/g, 바람직하게는 2.5~15.0meq/g, 히드라진계 화합물에 대해서는 N2H4 순분 환산으로 0.01~2.0질량%, 바람직하게는 0.05~1.5질량%의 범위 내가 되도록 부착시킨 섬유를 조정하고, 이 섬유를 80℃ 이상의 온도에서 1~120분간 가열, 바람직하게는 100~150℃의 습열 분위기하에서 5~40분간 가열하는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건조 섬유 질량에 대한 히드라진의 부착량이 상기 하한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얻어진 심초 구조를 가지는 섬유의 흡수시의 겔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겔이 탈락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한편, 상한을 넘으면, 얻어진 심초 구조를 가지는 섬유의 흡수 성능이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사용하는 히드라진계 화합물로서는 수가 히드라진, 황산히드라진, 염산히드라진, 질산히드라진, 브롬산히드라진 등이 예시된다. 또 알칼리성 금속 화합물은 1.0질량% 수용액으로 했을 때의 pH가 7.5 이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말하고, 이러한 물질의 예로서는 Na, K, Li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탄산, 아세트산, 포름산 등의 유기산의 Na, K, Li 등의 알칼리 금속염을 들 수 있다. 또 수성 용액을 제작하는 용매로서는 공업상은 물이 바람직하지만, 알코올,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수혼화성 유기 용매와 물과의 혼합 용매여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심초 구조를 가지는 섬유의 카르복실기는 그 대부분이 알카리성 금속 화합물에 유래하는 양이온을 카운터 이온으로 하는 염형 카르복실기로 되어 있으므로, 더욱 산 처리를 행함으로써, 염형 카르복실기를 H형 카르복실기로 변환한다. 산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상기 서술한 심초 구조를 가지는 섬유를 산성 물질의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이나 이 섬유에 이 수용액을 샤워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산성 물질로서는 질산, 황산, 염산, 포름산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침지 후의 섬유를 탈수, 건조시킴으로써, H형 카르복실기로 변환된 심초 구조를 가지는 섬유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는 상기 서술해 온 흡수성 섬유 전구체를 함유함과 아울러, 스펀레이스 가공 구조 즉 스펀레이스법(수류교락법)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가 서로 얽힌 상태를 가지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스펀레이스 가공에 있어서의 수류는 니들 펀치법의 니들과 같이 부직포 표면에 크게 돌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부직포 표면 상에 섬유가 돌출되기 어렵다. 또 수류가 미세하며 또한 그 수도 많기 때문에, 섬유끼리의 얽힘도 강해진다. 이 때문에, 스펀레이스 가공 구조에 있어서는 보풀의 발생이 적어진다.
이러한 보풀의 발생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는 후술하는 평가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개 이하의 보풀을 가지는 것이다. 보풀의 수가 10개를 넘으면, 예를 들면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페이스 마스크로 해도, 피부에 장착했을 때 따끔따끔한 불쾌감을 주어버린다는 문제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또 페이스 마스크를 떼어낸 후에 피부에 보풀이 남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는 상기 서술한 흡수성 섬유 전구체의 함유율이 바람직하게는 1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9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섬유 전구체를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페이스 마스크 등의 용도에 있어서도 충분한 함수량이 얻어지기 쉬워져, 실용성의 점에서 우수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흡수성 섬유 전구체 이외의 섬유를 혼용해도 된다. 여기서, 혼용할 수 있는 섬유(이하, 혼용 섬유라고도 한다)로서는 펄프, 코튼, 마, 실크 및 울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등의 열가소성 폴리머를 사용한 열접착성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열접착성 섬유로서는 융점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폴리머를 이용하고, 중심부에 고융점, 외피부에 저융점의 폴리머를 사용한 심초 구조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서술한 혼용 섬유의 섬도로서는 0.5~3.0dtex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0.5dtex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직포를 제작할 때의 웹 형성 공정에 있어서, 카드기에서의 면 통과성이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또 3.0dtex를 넘으면, 페이스 마스크 등으로 가공했을 때,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부족하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섬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7dtex의 범위이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의 단위면적당 중량으로서는 10~1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면적당 중량 10g/m2를 만족하지 않으면 부직포로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 단위면적당 중량 100g/m2를 넘으면 흡수량이 지나치게 높아져버리기 때문에, 부직포가 무거워져, 페이스 마스크로서 사용한 경우 등에 장착부로부터 벗겨지기 쉬워진다. 이러한 단위면적당 중량은 15~80g/m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해 온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는 상기 서술한 흡수성 섬유 전구체와, 필요에 따라 혼용 섬유를 사용하여 카드 웹을 제작하고, 통상의 스펀레이스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채용하는 흡수성 섬유 전구체에 있어서는 염형 카르복실기량을 적게 하고, H형 카르복실기량을 많게 함으로써, 흡수 성능을 억제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류를 사용해도 섬유의 겔화나 취화가 억제되고, 스펀레이스 가공에서의 부직포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하여 스펀레이스 가공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는 열접착점을 가지지 않아도, 충분한 강도나 형태 안정성을 가지고, 또한 유연하며 보풀이 적은 부직포가 된다.
또 혼용 섬유로서 열접착성 섬유를 사용한 경우에는, 스펀레이스 가공 후에 열 롤러 혹은 열풍 등으로 열접착성 섬유를 용융시키고, 섬유끼리를 접착시킴으로써 더욱 강도나 형태 안정성이 좋고, 보풀이 적은 부직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열접착성 섬유의 함유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부직포가 지나치게 단단해지거나, 보수량이 부족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열접착성 섬유의 함유율은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로 한다. 또 상기 서술한 강도나 형태 안정성의 향상 효과를 현재화시키기 위해서는 함유율을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는 상기 서술한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의 H형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염형 카르복실기로 변환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변환하는 방법으로서는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를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의 수용액 중에 침지시키는 방법이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에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의 수용액이나 가스를 내뿜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는 변환 전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의 구성에 기초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0.5~5.5mmol/g의 염형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흡수성 섬유를 함유하는 것이다. 흡수성 섬유의 염형 카르복실기량이 0.5mmol/g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충분한 흡수량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일어나는 일이 있다. 반대로 5.5mmol/g을 넘으면 흡수량이 많아져버리기 때문에 형성된 부직포의 형상이나 섬유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일어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염형 카르복실기량은 0.7~5.0mmol/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5mmol/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는 스펀레이스 가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펀레이스 가공 구조에 있어서는 보풀의 발생이 적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는 흡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바람직하게는 1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9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80%이다. 또 흡수성 섬유가 심초 구조를 가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를 페이스 마스크로 이용하는 경우 등에는, 흡수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화장수 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보습 효과가 낮아지고, 흡수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장착부로부터 흘러내리기 쉽거나 한 문제가 발생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흡수성 부직포의 흡수율은 흡수성 부직포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0~2000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1000~15000질량%이다.
상기 서술해 온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및 흡수성 부직포는 각종 용도에 이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예를 들면 페이스 마스크, 목, 어깨, 손 등에 사용하는 미용 시트, 창상 피복재,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건조 피부를 치료하는 첩부제, 흡수성 팬츠용 패드, 토양 보수 시트, 유수 분리 필터 등의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를 얼굴을 피복하기 위해서 적합한 형상으로 잘라냄으로써, 페이스 마스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스 마스크의 구조로서는 비용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1장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이어도 되지만, 다른 부직포와 적층하여, 2층 이상의 복수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특징이 상이한 부직포를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를 피부에 닿는 측에 배치하고, 그 위에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적층한 구조로 함으로써, 부직포의 강도가 높아져, 화장수를 받아들인 습윤 상태여도, 접어구부리거나 펼치거나 하는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로 제작된 페이스 마스크는 건조 상태로 판매되어, 소비자 자신이 화장수를 페이스 마스크에 함침시켜서, 얼굴을 피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화장수에 포함되는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구연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나트륨, 아스파라긴산나트륨 등의 pH 조정제,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보습제를 포함하는 알칼리 금속염을 가지고 있는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에 의해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의 H형 카르복실기가 염형 카르복실기로 변환되고, 흡수성 부직포가 되어,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화장수 흡수율로서 1000질량% 이상의 충분한 양의 화장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한 건조 상태의 페이스 마스크를 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치와 같은 자루에 넣은 후, 그 자루 안에 화장수를 충전하여 밀봉함으로써, 미리 화장수를 함침시킨 페이스 마스크로서 판매해도 된다. 이 경우, 소비자는 이러한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를 구입함으로써, 스스로 화장수를 함침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요지는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부 및 백분율은 언급이 없는 한 질량 기준으로 나타낸다. 실시예 중의 특성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전체 카르복실기량>
섬유 시료 약1g을 50ml의 1mol/l 염산 수용액에 30분간 침지한다. 이어서, 섬유 시료를 욕비 1:500으로 물에 침지한다. 15분 후, 욕 pH가 4 이상인 것을 확인하면 건조시킨다(욕 pH가 4 미만인 경우는 다시 수세한다). 이어서, 충분히 건조시킨 섬유 시료 약0.4g을 정칭하여(W1[g]), 100ml의 물을 가하고, 추가로 15ml의 0.1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4g의 염화나트륨 및 페놀프탈레인을 첨가하여 교반한다. 15분 후, 페놀프탈레인이 색을 나타내지 않을 때까지 0.1mol/l 염산 수용액으로 적정하고, 염산 수용액 소비량(V1[ml])을 구한다.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전체 카르복실기량을 산출한다.
전체 카르복실기량[mmol/g]=(0.1×15-0.1×V1)/W1
<H형 카르복실기량 및 염형 카르복실기량>
상기한 전체 카르복실기량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 최초의 1mol/l 염산 수용액으로의 침지 및 그것에 계속되는 수세를 실시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H형 카르복실기량을 산출한다. 이러한 H형 카르복실기량을 상기한 전체 카르복실기량으로부터 뺌으로써, 염형 카르복실기량을 산출한다.
<전구체 섬유의 흡수율>
시료 약0.5g을 순수 중에 침지하고, 25℃로 유지하고 30분간 후, 나일론 여과포(200메시)에 싸서, 원심탈수기(160G×5분, 단 G는 중력가속도)에 의해 섬유간의 물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정한 시료의 중량을 측정한다(W2[g]). 이어서 이 시료를 80℃ 진공건조기 중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 중량을 측정한다(W3[g]). 이상의 측정 결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흡수율[%]=(W2-W3)/W3×100
<중화도 50%일 때의 흡수율>
시료가 되는 섬유 전구체를 이 섬유 전구체의 전체 카르복실기량에 대하여 중화도가 50%가 되도록 농도를 조정한 탄산나트륨 수용액 중에 30℃에서 1시간 침지시키고 꺼낸다. 이어서, 메탄올에 침지시키고, 메탄올로 수분을 추출함으로써 수분을 제거한 후에 짜고, 개섬, 건조시킴으로써 중화도 50%의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에 대해서, 전항과 마찬가지로 하여 흡수율을 측정했다.
<심초 구조의 확인>
시료를 카티온 염료로 염색 처리한 후, 섬유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심초 구조의 경우, 표층부와 중심부에서 색의 농도나 색상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풀의 수>
부직포 상의 1변 10cm의 정방형의 범위에 있어서, 부직포 표면으로부터 말단이 돌출되어 있고 또한 길이 3mm 이상인 보풀의 개수를 육안으로 측정한다. 마찬가지의 측정을 별개의 임의의 2개소에서도 행하여, 전체 3개소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보풀의 수로 한다.
<흡수성 부직포의 흡수율>
시료가 되는 부직포 전구체를 표 2에 나타내는 염형 카르복실기량이 되도록 농도를 조정한 탄산나트륨 수용액 중에 30℃에서 1시간 침지시키고 꺼낸다. 이어서, 메탄올에 침지시키고, 메탄올로 수분을 추출함으로써 수분을 제거한 후에 짜고, 개섬, 건조시킴으로써 흡수성 부직포를 얻었다. 이 부직포 약0.5g을 순수 중에 침지하고, 25℃로 유지하고 30분간 후, 나일론 여과포(200메시)에 싸서, 원심탈수기(160G×5분, 단 G는 중력가속도)에 의해 섬유간의 물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정한 시료의 중량을 측정한다(W4[g]). 이어서 이 시료를 80℃ 진공건조기 중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 중량을 측정한다(W5[g]). 이상의 측정 결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흡수율[%]=(W4-W5)/W5×100
<섬도>
시료를 20℃×65% RH 분위기하의 항온항습기에 24시간 넣어 둔다. 이와 같이 하여 조습시킨 섬유를 JIS L 1015:2010의 정량섬도A법에 준하여 측정한다.
<섬유 길이>
시료를 20℃×65% RH 분위기하의 항온항습기에 24시간 넣어 둔다. 이와 같이 하여 조습시킨 섬유를 JIS L1015:2010의 평균 섬유 길이 스테이플 다이어그램법(A법)에 준하여 측정한다.
<단위면적당 중량>
시료를 10cm×10cm로 잘라낸 후, 105℃ 2시간 건조시켜, 시료의 중량(W6[g])을 측정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단위면적당 중량[g/m2]=W6/(0.1×0.1)
[제조예 1]
아크릴로니트릴 90% 및 아크릴산메틸 10%로 이루어지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 10부를 48%의 티오시안산나트륨 수용액 90부에 용해한 방사 원액을, 상법에 따라 방사, 수세, 연신, 건조, 권축 부여, 열 처리, 커트를 거쳐, 원료가 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얻었다. 이어서, 이러한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에 히드라진 0.13% 및 수산화나트륨 35.0%를 포함하는 혼합 수용액을 부착시킨 후, 섬유 질량에 대한 흡액량이 100%가 되도록 짜고, 106℃×15분간 가교 가수분해 처리를 행하고 수세했다. 수세 후의 섬유를 0.1% 황산 수용액에 30℃×1시간 침지한 후, 탈수하고, 유제를 부여하고, 탈수, 개섬, 건조시킴으로써, 흡수성 섬유 전구체 A를 얻었다. 이 섬유 전구체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 있어서, 가교 가수분해 처리의 조건을 100℃×5분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흡수성 섬유 전구체 B를 얻었다. 이 섬유 전구체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3]
제조예 1에 있어서, 가교 가수분해 처리의 조건을 109℃×30분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흡수성 섬유 전구체 C를 얻었다. 이 섬유 전구체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4]
제조예 1에 있어서, 가교 가수분해 처리의 조건을 109℃×10분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흡수성 섬유 전구체 D를 얻었다. 이 섬유 전구체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5]
제조예 1에 있어서의 「0.1% 황산 수용액에 30℃×1시간 침지한 후의 섬유」를 수세하고, 이 섬유의 전체 카르복실기량에 대하여 0.6당량의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가하고, 30℃에서 1시간 침지시킨다. 이어서, 방적유제를 포함하는 메탄올에 침지함으로써 탈수하고, 짠 후에 개섬, 건조시킴으로써, 제조예 5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 E를 얻었다. 이 섬유 전구체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6]
제조예 1에 나타내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원료로 하고, 수가 히드라진 0.5질량% 및 수산화나트륨 2.0질량%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100℃×2시간, 가교 도입 처리 및 가수분해 처리를 동시에 행하고, 8질량% 질산 수용액으로 100℃×3시간 처리하고, 수세, 건조시킴으로써, 제조예 6의 흡수성 섬유 전구체 F를 얻었다. 이 섬유 전구체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108189922-pct00001
[실시예 1~4]
각 흡수성 섬유 전구체와 아크릴 섬유(섬도 0.9dtex, 섬유 길이 51mm)를 표 2에 나타내는 함유율이 되도록 혼합하여 카드 웹을 제작하고, 이 카드 웹에 스펀레이스 가공을 시행하여 각 실시예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전구체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스펀레이스법은 가와노에조키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다목적 부직포 제조 장치를 사용하고, 워터젯의 노즐은 0.1mmφ×1mm 피치의 것을 3개 사용했다. 3개의 노즐의 수압은 각각 1개째 2MPa, 2개째 5MPa, 3개째 5MPa로 하고, 표리 양면으로부터 워터젯을 쏘는 것으로, 수류교락에 의해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1~2]
실시예 1에 있어서, 흡수성 섬유 전구체 A 대신에 흡수성 섬유 전구체 E, F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 2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를 얻었다. 이들 부직포 전구체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에 대해서는 흡수성 섬유 전구체 E의 염형 카르복실기량이 많기 때문에 스펀레이스시에 지나치게 흡수해버려, 부직포를 얻을 수 없었다. 또 비교예 2에 대해서는 흡수성 섬유 전구체 F의 제법으로부터 가교 구조가 많이 도입되어 있다고 생각되며, 이 때문에 흡수율이 낮은 것이 되었다.
[비교예 3~4]
각 흡수성 섬유 전구체와 열융착 섬유(중심 부분이 폴리프로필렌, 외피 부분이 폴리에틸렌의 심초 섬유, 섬도 2.2dtex, 섬유 길이 51mm)를 표 2에 나타내는 함유율이 되도록 혼합하여 카드 웹을 제작하고, 이 카드 웹을 가열 롤을 사용하여 160℃로 가열함으로써 써멀 본드법에 의한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전구체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써멀 본드법으로 얻은 부직포 전구체는 스펀레이스법으로 얻은 부직포 전구체와 비교하여, 보풀의 발생이 많은 것이 되었다.
[비교예 5]
흡수성 섬유 전구체와 아크릴 섬유(섬도 0.9dtex, 섬유 길이 51mm)를 표 2에 나타내는 함유율이 되도록 혼합하여, 카드 웹을 제작하고, 이 카드 웹을 니들 펀치법으로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로 가공했다. 얻어진 부직포 전구체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들 펀치법으로 얻은 부직포 전구체는 스펀레이스법, 써멀 본드법으로 얻은 부직포 전구체와 비교하여, 더욱 보풀의 발생이 많은 것이 되었다.
Figure 112019108189922-pct00002
이상과 같이, 실시예 1~4에서는 모두 보풀이 적고, 양호한 흡수율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는 염형 카르복실기량이 많기 때문에 스펀레이스시에 흡수성 섬유 전구체가 지나치게 흡수해버려, 부직포를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2에서는 흡수성 전구체의 가교 구조가 과다하여, 흡수율이 불충분하게 되었다. 또 비교예 3, 4에서는 보풀이 많고, 비교예 5에서는 더욱 보풀이 많은 것이 되었다.
[실시예 5]
화장수(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하다스이 내추럴 스킨 로션 아오 라벨」) 30g에,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로서 10질량% 탄산나트륨 수용액 0.60g을 가하고, 10분간 교반하여 화장수 혼합액을 조정한다. 이어서, 건조시킨 실시예 1의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를 약0.6g이 되도록 커트하여 정칭(W1[g])한다. 이러한 부직포 전구체를 상기 화장수 혼합액에 침지하고, 실온에서 3일간 방치함으로써 화장수를 흡수시킨다. 이어서, 화장수를 흡수시킨 부직포를 늘어뜨린 상태로 5분간 방치함으로써,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게 된 상태로 하여 중량을 측정한다(W2[g]).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화장수 흡수율을 산출했더니 2220%이며, 충분한 화장수 흡수율을 가지는 것이었다.
화장수 흡수율[%]=(W2-W1)/W1×100
[실시예 6]
실시예 5에 있어서, 10질량%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화장수 흡수율을 산출했더니 1550%였다.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인 탄산나트륨을 가하지 않은 점에서, 실시예 5 정도의 화장수 흡수율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화장수가 원래 함유하고 있는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만으로도 화장수 흡수 성능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4)

  1. 중심 부분이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인 심초구조, 0.1~5.0mmol/g의 H형 카르복실기 및 0.5mmol/g 미만의 염형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상기 H형 카르복실기량과 상기 염형 카르복실기량의 합계가 0.5mmol/g 이상이며, 흡수율이 10~1000질량%로서, 또한 카르복실기의 중화도를 50%로 조정했을 때의 흡수율이 500~50000질량%인 흡수성 섬유 전구체를 함유하고, 스펀레이스 가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2. 제1 항에 있어서, 흡수성 섬유 전구체가 가교 구조를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3. 제1 항에 있어서, 보풀의 수가 하기의 평가 방법에 있어서 1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평가 방법) 1변 10cm의 정방형의 범위에 있어서, 부직포 표면으로부터 말단이 돌출되어 있고 또한 길이 3mm 이상인 보풀의 개수를 육안으로 측정한다. 마찬가지의 측정을 별개의 임의의 2개소에서도 행하여, 전체 3개소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보풀의 수로 한다.
  4. 제1 항에 있어서, 흡수성 섬유 전구체의 함유율이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5. 중심 부분이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인 심초구조 및 0.5~5.5mmol/g의 염형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흡수성 섬유를 함유하고, 흡수율이 500~20000질량%이며, 또한 스펀레이스 가공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6. 제5 항에 있어서, 흡수성 섬유의 함유율이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7. 제5 항에 있어서, 흡수성 섬유가 가교 구조를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8.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9. 제8 항에 기재된 페이스 마스크에 화장수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
  10. 제 5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부직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마스크.
  11. 제10 항에 기재된 페이스 마스크에 화장수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
  12. 중심 부분이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인 심초 구조, 0.1~5.0mmol/g의 H형 카르복실기 및 0.5mmol/g 미만의 염형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상기 H형 카르복실기량과 상기 염형 카르복실기량의 합계가 0.5mmol/g 이상이며, 흡수율이 10~1000질량%로서, 또한 카르복실기의 중화도를 50%로 조정했을 때의 흡수율이 500~50000질량%인 흡수성 섬유 전구체를 함유하는 카드 웹을 스펀레이스법에 의해 교락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의 제조 방법.
  13. 중심 부분이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인 심초 구조, 0.1~5.0mmol/g의 H형 카르복실기 및 0.5mmol/g 미만의 염형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상기 H형 카르복실기량과 상기 염형 카르복실기량의 합계가 0.5mmol/g 이상이며, 흡수율이 10~1000질량%로서, 또한 카르복실기의 중화도를 50%로 조정했을 때의 흡수율이 500~50000질량%인 흡수성 섬유 전구체를 함유하는 카드 웹을 스펀레이스법에 의해 교락시키는 공정, 및 이 공정을 거쳐 얻어진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에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을 작용시키고, 상기 H형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염형 카르복실기로 변환시키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부직포의 제조 방법.
  14. 삭제
KR1020197031250A 2018-01-24 2019-01-16 흡수성 섬유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및 이들을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226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9639 2018-01-24
JP2018009639 2018-01-24
PCT/JP2019/001048 WO2019146465A1 (ja) 2018-01-24 2019-01-16 吸水性繊維前駆体、吸水性不織布前駆体および吸水性不織布、なら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フェイスマスクおよび化粧水充填済みフェイスマスク、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922A KR20190126922A (ko) 2019-11-12
KR102226525B1 true KR102226525B1 (ko) 2021-03-11

Family

ID=6739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250A KR102226525B1 (ko) 2018-01-24 2019-01-16 흡수성 섬유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및 이들을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56609B2 (ko)
KR (1) KR102226525B1 (ko)
CN (1) CN110753768B (ko)
TW (1) TWI793244B (ko)
WO (1) WO201914646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6380A (ja) 2008-03-25 2009-10-08 Nichias Corp ケミカル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04206A (ja) * 2012-03-29 2013-10-07 Daiwabo Holdings Co Ltd 多機能性再生セルロース繊維、それを含む繊維構造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6539A (en) * 1979-02-12 1980-08-15 Japan Exlan Co Ltd Water removing material for liquid
JPS5617606A (en) * 1979-07-23 1981-02-19 Japan Exlan Co Ltd Dewatering filter and its production
JPS5721549A (en) 1980-07-09 1982-02-04 Japan Exlan Co Ltd Water absorbable nonwoven fiber product
JP3196855B2 (ja) * 1991-11-11 2001-08-06 東洋紡績株式会社 高吸放湿性繊維
JPH0987953A (ja) * 1995-09-20 1997-03-31 Asahi Chem Ind Co Ltd 不織布
JPH09291456A (ja) * 1996-04-23 1997-11-11 Oji Paper Co Ltd 消臭性を有する複合不織布の製造方法
JP3677770B2 (ja) * 1996-09-11 2005-08-03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不織布
JPH11200209A (ja) 1997-12-26 1999-07-27 Toyobo Co Ltd 衛生材料用成形吸収体
JP3842923B2 (ja) * 1999-06-11 2006-11-08 三菱製紙株式会社 アンモニア吸着用シート状物及び繊維製品
JP4674429B2 (ja) * 2001-09-18 2011-04-20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黒色高吸放湿性繊維
JP2006169173A (ja) 2004-12-16 2006-06-29 Toyobo Co Ltd シート状パック材の使用方法
JP2009143887A (ja) * 2007-12-18 2009-07-02 Lion Corp シート状化粧料
WO2013069659A1 (ja) * 2011-11-10 2013-05-16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吸湿消臭性繊維、該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該繊維を含有する繊維構造物
JP6315302B2 (ja) * 2012-06-08 2018-04-25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架橋アクリレート系超極細繊維構造体
JP6494518B2 (ja) * 2013-09-27 2019-04-03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JP6228511B2 (ja) * 2014-05-29 2017-11-08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分散性の良好な架橋アクリレート系繊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6380A (ja) 2008-03-25 2009-10-08 Nichias Corp ケミカル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04206A (ja) * 2012-03-29 2013-10-07 Daiwabo Holdings Co Ltd 多機能性再生セルロース繊維、それを含む繊維構造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53768B (zh) 2022-05-13
WO2019146465A1 (ja) 2019-08-01
JP6656609B2 (ja) 2020-03-04
JPWO2019146465A1 (ja) 2020-02-06
TWI793244B (zh) 2023-02-21
KR20190126922A (ko) 2019-11-12
TW201936164A (zh) 2019-09-16
CN110753768A (zh)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121049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water disintegratable non-woven fabric and the water disintegratable non-woven fabric
SK284225B6 (en) Cellulosic fibres
JP6039379B2 (ja) 液体化粧料含有シート用基布
KR102226525B1 (ko) 흡수성 섬유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전구체, 흡수성 부직포, 및 이들을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 화장수가 충전된 페이스 마스크,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5885961B2 (ja) 扁平レーヨン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集合体
JP4005276B2 (ja) スパンレース不織布の製造方法
JP3741886B2 (ja) 極細繊維発生可能繊維、これから発生した極細繊維及びこの極細繊維を用いた繊維シート
TWI739033B (zh) 吸濕性丙烯腈系纖維、該纖維之製造方法及含有該纖維之纖維結構體
JP3396961B2 (ja) 吸水性セルロース材料の製造方法
JPH11279915A (ja) 水解性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3990042B2 (ja) 親水性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およ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JP4748560B2 (ja) 熱接着性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4852782B2 (ja) 洗濯耐久性を有する高塩水吸収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69858A (ja) 複合不織布
JP3403647B2 (ja) 電池セパレー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
KR102535595B1 (ko) 보액성 부직포 및 이 부직포를 함유하는 페이스 마스크
JPH117937A (ja) 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池
JP7219418B2 (ja) 捲縮性吸湿アクリロニトリル系繊維、該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該繊維を含有する繊維構造体
JP7130467B2 (ja) 液体化粧料含有シート用不織布
TWI707996B (zh) 吸濕發熱性纖維
JPS5942107B2 (ja) 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14964B2 (ja) パーマ液吸収材
JPH01292180A (ja) 吸収材の製造方法
JP3958548B2 (ja) 親水性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JP2001003254A (ja) 親水性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セパレータ並びに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