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158B1 - 증기 온열구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증기 온열구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158B1
KR102182158B1 KR1020197000587A KR20197000587A KR102182158B1 KR 102182158 B1 KR102182158 B1 KR 102182158B1 KR 1020197000587 A KR1020197000587 A KR 1020197000587A KR 20197000587 A KR20197000587 A KR 20197000587A KR 102182158 B1 KR102182158 B1 KR 10218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mask
sheet
us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904A (ko
Inventor
시게미 츠치야
야스토 사이타
히데시 오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7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85Devices for generating hot or cold treatment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2Steam baths for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6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17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9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 A61F2007/00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 A61F2007/0062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n open fluid circuit of gas the gas being steam or water vap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3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connected to or incorporated in clothing or garments
    • A61F2007/023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connected to or incorporated in clothing or garments in a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61F2007/036Fuels

Abstract

증기 온열구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는 피복부를 갖는 피복 부재와, 상기 피복부의 상기 사용자측의 면에 유지되는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하고, 사용시에 상기 피복부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이 형성되고, 하기 식 (1) ∼ (3) 을 만족한다. 300 ≤ VG ≤ 1500 (1) 40 ≤ MV ≤ 150 (2) 5 ≤ VG/MV ≤ 25 (3) (식 (1) ∼ (3) 중, VG 는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상기 공간 내에 방출되는 누적 수증기 발생량 [㎎] 을 나타내고, MV 는 상기 공간의 용적 [㎖] 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증기 온열구 및 그 사용 방법{STEAM HEATING TOO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기 온열구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입 및 코를 덮음으로써, 외기 중의 분진, 꽃가루 등을 차단하고, 알레르기성 비염, 감기 등의 예방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 입 및 코를 덮는 마스크의 기능이 다양화되어, 여러 가지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증기에 의한 효능이 주목되어, 목 및 코에 효과적으로 증기를 공급할 수 있는 마스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중공의 보형 입체 형상이 되는 마스크 본체에 수증기를 발생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수증기 발생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가습체를 안면에 피트시켜 보습시키는 관점에서, 안면의 형상을 따라 변형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안면 장착용의 가습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738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58110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는 피복부를 갖는 피복 부재와,
상기 피복부의 상기 사용자측의 면에 유지되는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하고,
사용시에 상기 피복부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이 형성되고, 하기 식 (1) ∼ (3) 을 만족하는, 증기 온열구를 제공한다.
300 ≤ VG ≤ 1500 (1)
40 ≤ MV ≤ 150 (2)
5 ≤ VG/MV ≤ 25 (3)
(식 (1) ∼ (3) 중, VG 는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상기 공간 내에 방출되는 누적 수증기 발생량 [㎎] 을 나타내고, MV 는 상기 공간의 용적 [㎖] 을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그것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밝혀진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의 사용 상태시의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의 일부를 사용자측의 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의 일부를 상면 (사용자의 눈쪽) 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의 변형예를 사용자측의 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의 변형예를 사용자측의 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7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에 수증기 발생체를 사용하기 전의 사용자측의 면으로부터 본 일부 평면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의 일부를 상면 (사용자의 눈쪽) 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9 는, 수증기 발생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통기 저항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 은, 수증기 발생량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의 사용 상태시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코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이하의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마스크 본체의 중공부의 체적이 크기 때문에, 증기량과 증기에 의한 효과와의 밸런스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고, 수요자의 높은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만한 것은 아니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가습체를 안면에 피트시키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 것에 그치고, 가습체가 발생하는 증기량에 대해서도, 증기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도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수요자의 높은 요구에 따라, 증기에 의한 효과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증기 온열구에 있어서, 특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지침으로서 유효하다는 지견을 얻었다. 즉, 수증기 발생체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의 누적 수증기량이라는 지표와, 사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공간 용적을 조합하고, 이들의 밸런스를 고도로 제어함으로써, 증기감, 릴랙스감, 코 및 목의 건조감의 개선을 느낄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기감, 릴랙스감이 얻어지고, 코 및 목의 건조감이 개선되는 증기 온열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는 특별히 언급이 없으면 이상 내지 이하를 나타낸다. 또, 각 실시형태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는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등의 통기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계측할 수 있다.
통기도는 JIS P8117 (2009년 개정판) 에 의해 측정되는 값으로, 일정한 압력하에서 100 ㎖ 의 공기가 6.42 ㎠ 의 면적을 통과하는 시간으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통기도의 수치가 큰 것은 공기의 통과에 시간이 걸리는 것, 즉 통기성이 낮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반대로, 통기도의 수치가 작은 것은 통기성이 높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기도의 수치의 대소와 통기성의 고저는 반대의 관계를 나타낸다. 통기도는, 오켄식 통기도계로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이 통기도가 30000 초/100 ㎖ 이상이 되는 것을 「난통기」, 80000 초/100 ㎖ 이상이 되는 것을 「비통기」인 것으로서 취급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마스크 본체부 (101) 를 갖는 마스크 (110) 와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 2 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 (110) 의 일부를 사용자측의 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일부를 상면 (사용자의 눈쪽) 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마스크 (110) 와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분리되고, 이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수용체 (104) 에 출입 가능하고, 사용시에 수용체 (104) 에 수납하여 사용하는 증기 온열 마스크 세트가 기재되어 있다. 단,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마스크 (110) 의 수용체 (104) 내부에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미리 봉입된 것이어도 된다.
[증기 온열 마스크]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는 마스크 본체부 (101) 를 갖는 마스크 (110) 와,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사용자측의 면에 유지되는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구비하고, 사용시에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이 형성되고, 하기 식 (1) ∼ (3) 을 만족하는 것이다.
300 ≤ VG ≤ 1500 (1)
40 ≤ MV ≤ 150 (2)
5 ≤ VG/MV ≤ 25 (3)
(식 (1) ∼ (3) 중, VG 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상기 공간 내에 방출되는 누적 수증기 발생량 [㎎] 을 나타내고, MV 는 상기 공간의 용적 [㎖] 을 나타낸다.)
VG 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상기 공간 내에 방출되는 누적 수증기 발생량 [㎎] 을 나타낸다. 즉, 증기 온열 마스크 (100) 가 장착된 후, 최초의 10 분 동안에 적절한 양의 수증기를 공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증기에 의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 최초의 10 분 동안에 있어서 증기에 의한 효과가 인상에 남겨짐으로써, 그 후에 있어서도 효과가 지속되고, 릴랙스감이나 코·목의 촉촉함이 부여되게 된다. VG 는, 300 이상이고, 수증기에 의한 효과를 보다 부여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이다.
MV 는 공간의 용적 [㎖] 을 나타내고,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사용시에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의 용적이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적절히 장착하면,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이 형성된다. 즉,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사용자측의 면과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이다.
여기서,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이란, 마스크 본체부 (101) 가 사용자의 얼굴에 접함으로써 형성되는 폐쇄된 공간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간극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스크를 장착하였을 때에 생기는 것으로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발생하는 증기에 의한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이다. 또, 간극이 있는 경우의 공간의 용적은, 간극 형성 부분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따라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MV 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유한회사 디지털 휴먼 테크놀로지사 제조의 평균 인두 (人頭) 데이터 (출원시에 있어서의 최신 데이터) 를 사용하여 조형된 인두 모델을 사용하여,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사용 상태를 재현하고, 삼차원 데이터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5926호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의 내측에 액 불투과성의 필름을 배치하고, 이 부분에 물을 붓고, 마스크를 장착한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하방향으로 얼굴을 대고, 남은 물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에서도, 거의 동일한 MV 값이 얻어지기 때문에, 증기 온열 마스크의 형상에 의해 삼차원 데이터화가 곤란한 경우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592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으로 MV 를 측정해도 된다.
VG/MV 는, 5 이상 25 이하이고, 증기감, 릴랙스감, 건조감 개선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10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량 측정법]
수증기 발생량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수증기 발생량은 도 11 에 나타내는 장치 (30)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수치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장치 (30) 는, 알루미늄제의 측정실 (용적 4.2 ℓ) (31), 측정실 (31) 의 하부에 제습 공기 (습도 2 % 미만, 유량 2.1 ℓ/분) 를 유입시키는 유입로 (32), 측정실 (31) 의 상부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로 (33), 유입로 (32) 에 형성된 입구 온습도계 (34) 와 입구 유량계 (35), 유출로 (33) 에 형성된 출구 온습도계 (36) 와 출구 유량계 (37), 측정실 (31) 내에 형성된 온도계 (서미스터) (38) 로 이루어져 있다. 온도계 (38) 로는, 온도 분해능이 0.01 ℃ 정도인 것을 사용한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면의 표면 온도의 측정은, 측정 환경 온도 30 ℃ (30 ± 1 ℃) 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산소 차단 주머니로부터 꺼내고, 수증기 발생체 (120) 또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면, 즉 수증기 방출면을 위로 하여 측정실 (31) 에 재치 (載置) 하고, 금속구 (球) (4.5 g) 를 부착한 온도계 (38) 를 그 위에 올려 계측한다. 또, 이 상태에서 하부로부터 제습 공기를 흘리고, 입구 온습도계 (34) 와 출구 온습도계 (36) 에서 계측되는 온도 및 습도로부터 측정실 (31) 에 공기가 유입하기 전후의 절대 습도의 차를 구하고, 추가로 입구 유량계 (35) 와 출구 유량계 (37) 에서 계측되는 유량으로부터 수증기 발생체 (120) 또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가 방출한 수증기량을 산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수증기 발생량이란,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산소 차단 주머니로부터 꺼낸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10 분 후까지 측정된 수증기량의 총량을 말한다.
또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수증기 발생량도, 상기 서술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마스크]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110) 는, 착용시에 사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본체부 (101) 와, 그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1 쌍의 귀걸이부 (102) 를 구비한다.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세로 중앙부에 절첩선 (折疊線) (103) 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세로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세로 중앙선 상에, 절첩선 (103) 이 형성되어 있다. 절첩선 (103) 은, 사용시에 마스크 본체부 (101) 가 코부를 따라 돌출되기 위한 볼록부를 갖고, 상부와 하부가 첩합 (貼合) 되어 있다. 즉, 절첩선 (103) 은,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선이고, 상부와 하부가 첩합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부란, 세로 중심선을 포함하는 폭을 가진 영역이고, 마스크 (110) 를 적절히 사용하였을 때에 얼굴의 코부를 통과하는 세로 방향의 영역이다.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절첩선 (103) 에 의해 둘로 접혀진다.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사용 전에는, 절첩선 (103) 을 따라 산 (山) 접기로 되어, 평면상으로 절첩된 상태이지만, 사용시에는, 절첩선 (103) 과는 반대측의 변으로부터 개방되고, 마스크 본체부 (101) 가 절첩되어 있던 내측의 면이 사용자측의 면이 되도록 하여, 착용된다. 절첩선 (103) 은, 마스크 (110) 를 착용하였을 때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첩선 (103) 에 의해 둘로 접혀진 상태로부터 전개됨으로써, 사용자의 코 및 입을 덮는 공간이 형성된다. 절첩선 (103) 에 의해,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부가 코의 형상을 따라 밀접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과 마스크 본체부 (101) 사이의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져, 가온 가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부 (101) 가 절첩선 (103) 을 가진 것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용도 등에 맞추어, 이 절첩선 (103) 을 갖지 않는 평탄 형상의 마스크 (110) 로 해도 된다. 또한, 절첩선 (103) 을 갖지 않는 평탄 형상의 마스크 (110) 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가로 방향의 플리츠부를 갖는 마스크를 들 수 있다.
도 1, 2 에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와,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변의 길이 (Lb) 가 표시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란,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폭 방향 (길이 방향) 에 수직인 선이다. 또, 마스크 (110) 를 착용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얼굴의 중심을 통과하고,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이등분으로 하는 선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는, 절첩선 (103) 의 길이에 상당한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 상에서의 단면에서 보아, 세로 중앙선은, 직선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원호상, 요철 형상을 갖는 것 등이어도 된다. 또, 세로 중앙선은,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실재하는 선이어도 되고, 가상의 선이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가 12 ∼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증기감, 릴랙스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변의 길이 (Lb) 란,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측의 변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타방의 단부까지의 길이이다. 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변의 길이 (Lb) 란, 마스크 (110) 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의 하방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일방의 볼부로부터 코를 거쳐 타방의 볼부에 이르는 영역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이 근접 또는 접하는 부분의 길이이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귀걸이부 (102) 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마스크 본체부 (101) 와 귀걸이부 (102) 의 이음매가 단부가 된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변은, 직선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원호상, 볼록부를 갖는 것, 곡선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변의 길이 (Lb) 의 합계에 대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의 비 (La/Lb) 가, 0.6 ∼ 1.7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마스크 (110) 가 사용자의 얼굴에 보다 밀접할 수 있음과 함께,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증기감, 릴랙스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시트상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 장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부 (101) 를 형성하는 1 장의 시트란, 단일의 구조 (즉 1 플라이) 여도 되고, 혹은 복수 장의 시트가 적층되어 일체적인 구조 (즉 멀티 플라이) 여도 된다. 복수 장의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각 시트에 별개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여러 가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복수 장의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시트끼리는, 전체면 접합된 라미네이트 상태여도 되고, 시트 사이가 이간된 상태여도 된다. 또, 각 시트 사이가 이간된 상태인 경우의 각 시트끼리의 접합은,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형상을 따라 각 시트의 가장자리를 시일해도 되고, 가장자리의 일부를 포인트 시일에 의해 접합하기만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 (101) 가 단일의 구조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재료는, 마스크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일정한 통기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그 종류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부직포나 가제 등의 섬유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가공의 용이성이나 경제성의 관점에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섬유 소재로는, 예를 들어,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 PE (폴리에틸렌), PP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 레이온 ; 코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로는, 상기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소재의 섬유를 사용하여, 에어 스루법, 스펀 본드법, 니들 펀치법, 멜트 블로운법, 카드법, 열 융착법, 수류 교락법, 용제 접착법 등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수증기 발생체 (120) 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마스크 (110) 내에 체류시키는 관점, 호흡을 편하게 하는 관점에서, 적당한 통기 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이다.
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2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19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180 ㎩ 이하이다. 또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구조가 멀티 플라이일 때는, 복수 장의 시트를 모두 중첩한 상태에서 측정되는 통기 저항이 된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통기 저항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테스터 MTS-2 (시바타 과학사 제조) 의 통기 저항 평가 장치 본체 (70) 상부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시트재로부터 가로세로 3.5 ∼ 5 ㎝ 의 사이즈로 잘라낸 시트 (101a) 를 배치하고, 시트 고정용 지그 (71) 로, 누설이 없도록 고정시킨다. 측정은, 시험 면적 7 ㎠ (내경 30 ㎜), 시험 유량 10 ℓ/min. 으로 10 초간 실시하고, 시트 (101a) 에 대한 공기 유입측 (입구측) 과 공기 유출측 (출구측) 의 차압으로부터 통기 저항을 구한다.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평량은, 마스크 (110) 의 내부가 비쳐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이나 보온성, 유연성, 두께, 시트 강도를 양호한 밸런스로 높이는 관점에서, 평량이 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평량이 5 g/㎡ 이상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 이상 15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g/㎡ 이상 12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갖고, 사용시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시일 부분 (107) 에 의해, 사용자측의 면에 수용체 (104) 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체 (104) 는,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수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마스크 (110) 를 사용한 후,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사용 전의 것과 교체함으로써, 몇번이나 마스크 (110) 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발생체 (120) 는, 미리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짜넣어져 있어도 된다.
수용체 (104) 의 형성 방법으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늘어선 2 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상부를 제외한 외주를 둘러싸는 시일 부분 (107a) 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사용자측의 면에 수용체 (104) 를 구성하는 시트를 중첩하고, 도 3 에 나타낸 시일 부분 (107a) 을 열융착 등에 의해 시일하는 방법이나,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제작할 때에, 수용체 (104) 를 구성하는 시트를 중첩하고,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을 포함하는 근방의 영역을 시일하고, 그 후, 도 3 에 나타낸 시일 부분 (107a) 을 시일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방으로부터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삽입할 수 있는 포켓상의 수용체 (104)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용체 (104) 의 형성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의 변형예를 사용자측의 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즉, 도 5,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체 (104) 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하방의 일부분이 고정되는 위치에, 마스크 본체부 (101) 를 구성하는 시트와, 수용체 (104) 를 구성하는 시트를 고착한 시일 부분 (107b), 시일 부분 (107c) 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도 5 에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a) 의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중앙부 가로 방향으로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하방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직선과, 수증기 발생체 (120) 의 귀걸이부 (102) 측의 측면 하부의 일부에 연장되는 세로 방향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분 (107b) 이 표시되어 있다. 도 6 에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b) 의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중앙부보다 약간 상방의 가로 방향으로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하부의 형상을 따라, 변형된 직선상의 시일 부분 (107c) 이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체 (104)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 근방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 근방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소정의 위치에서 마스크 본체부 (101) 에 고정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코로부터 볼에 걸친 마스크 (110) 내의 공간을 가온 가습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체 (104) 는, 상단부 또는 귀걸이부 (102) 측에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갖고, 그 밖의 단부는 마스크 본체부 (101) 에 고정되어 있다. 개구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마스크 (110) 착용시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수용체 (104) 밖으로 나오지 않는 것이면 된다. 또, 수용체 (104) 의 크기는,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수용하면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수용체 (104) 는, 통기성을 갖고, 마스크 본체부 (101) 와 동일한 재료로 할 수 있다. 수용체 (104) 의 통기 저항은, 과도한 발열을 방지하면서, 수증기 발생체 (120) 에 의한 가온 가습 성능을 마스크 (110) 내에 효과적으로 부여하는 관점에서, 1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5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30 ㎩ 이하이다.
귀걸이부 (102) 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귀걸이부 (102)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길이 방향 (X 방향) 의 좌우 단부에 1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귀걸이부 (102) 는,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끈과 같은 신축성을 가진 끈상의 재료가 마스크 본체부 (101) 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귀걸이부 (102)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와 동일한 재료여도 되고, 상이한 재료여도 된다.
또한, 귀걸이부 (102)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일체로 된 신축성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수증기 발생체]
수증기 발생체 (120)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사용자측의 면에 유지되어 있다.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사용자의 코를 덮는 영역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하였을 때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사용자측에, 코부와 볼부 사이의 얼굴의 오목부와 수증기 발생체 (120) 로 둘러싸인 공간을 생기게 하고, 수증기 발생을 억제하지 않고 마스크 (110) 내의 온도와 절대 습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 근방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 근방에, 좌우 대칭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 중앙선 근방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 근방이란, 세로 중앙선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에 접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절첩선 (103)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의 주위의 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마스크 본체부 (101) 에 부착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사용자의 코부를 덮는 영역이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위치는, 마스크 (110) 를 장착하였을 때에 수증기 발생을 억제하지 않고 마스크 (110) 내의 온도와 절대 습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코측 단부가 직선상인 경우에는, 당해 직선의 양단의 세로 중앙선으로부터의 각 최단 거리의 평균이, 또,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코측 단부가 곡선상인 경우에는, 당해 곡선의 세로 중앙선으로부터의 최단 거리가,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위치는, 동일한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상측 단부의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로부터의 최단 거리가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사용자의 코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부로부터 볼부에 걸쳐 배치되는 것이, 착용하였을 때에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피부측에, 코부와 볼부 사이의 얼굴의 오목부와 수증기 발생체 (120) 로 둘러싸인 공간이 생기고, 수증기 발생을 억제하지 않고 마스크 (110) 내의 온도와 절대 습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다각형 등이어도 된다. 제조 효율, 취급 용이성, 가온 가습 효과의 관점에서, 장방형, 대략 정방형 등의 사각형이 바람직하고, 취급 용이성의 관점에서 대략 정방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코측 단부가 직선상인 경우,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의 수증기 발생체 (120) 에 접하는 부분은 직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체 (120) 를 마스크 (110) 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는 양태로 하는 경우,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사용 전에는, 산소 차단 주머니에 들어가 있다.
산소 차단 주머니는, 그 전체가 산소 배리어성을 갖고, 수증기 발생체 (120) 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산소 차단 주머니의 산소 배리어성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그 산소 투과 계수 (ASTM D3985) 가 10 ㎤·㎜/(㎡·day·㎫) 이하, 특히 2 ㎤·㎜/(㎡·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필름, 또는 그와 같은 필름에 세라믹 혹은 알루미늄 등을 증착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마스크 (110) 에 대하여 봉입되어 있는 양태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이 마스크 (110) 전체를 산소 차단 주머니에 봉입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와 공기 중의 산소의 접촉을 피하면 된다.
[수증기 발생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증기 발생체 (120) 는 내부에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수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수증기 발생부 (121), 및 이것을 수용하는 주머니체 (122) 를 갖고 있다. 주머니체 (122) 는, 사용자측 (피부측) 의 면에 제 1 시트 (122A), 및 사용자측 (피부측) 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제 2 시트 (122B) 를 구비한다.
또한, 수증기 발생체 (120) 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함으로써, 발열함과 함께 수증기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로써, 따뜻해진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예를 들어, 분체 (粉體) 의 혼합물, 초조 (抄造) 시트 등의 시트상, 또는 기재에 분산액 등을 도포한 도공 시트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피산화성 금속, 흡수제, 물, 전해질, 그 밖에 필요에 따라 반응 촉진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 양태를 들 수 있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공기와 접촉하면, 그것에 포함되어 있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 열이 발생한다. 이 열에 의해 수증기 발생부 (121) 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 가열되어 소정 온도의 수증기가 되고, 주머니체 (122) 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수증기는, 주머니체 (122) 중 통기성 부위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이로써, 간편한 방법으로 증기를 얻을 수 있다.
피산화성 금속은, 산화 반응열을 발하는 금속이고,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아연, 망간,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분말 혹은 섬유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취급성, 안전성, 제조 비용, 보존성 및 안정성의 면에서 철분 (鐵粉) 이 바람직하다. 철분으로는, 예를 들어, 환원 철분, 및 아토마이즈 철분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피산화성 금속이 분말인 경우, 산화 반응이 효율적으로 실시된다는 관점에서, 그 평균 입경이,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공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평균 입경이 10 ㎛ 이상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이 2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섬유상물 등의 보수재 (保水材) 에 대한 정착성, 반응의 컨트롤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입경이 0.1 ∼ 150 ㎛ 인 것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피산화성 금속의 입경은,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를 말하며, 체에 의한 분급, 동적 광산란법, 레이저 회절·산란법 등에 의해 측정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10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30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100 g/㎡ 이상 3000 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g/㎡ 이상 1600 g/㎡ 이하이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발열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JIS P8128 에 준하는 회분 시험이나, 열중량 측정기로 구할 수 있다. 그 밖에 외부 자장을 인가하면 자화가 생기는 성질을 이용하여 진동 시료형 자화 측정 시험 등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흡수제로는, 물의 유지가 가능한 것이면 그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탄소 성분, 섬유상물, 흡수성 폴리머, 및 흡수성의 분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흡수제는, 수증기 발생부 (121) 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것이 사용된다.
탄소 성분으로는, 보수능, 산소 공급능, 및 촉매능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활성탄, 아세틸렌 블랙, 및 흑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활성탄이 바람직하고, 야자각탄, 목분탄, 및 피트탄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미세한 분말상물 또는 소립상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양호한 가온 가습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목분탄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제는, 평균 입경이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흡수제는, 평균 입경이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제는 평균 입경이 10 ㎛ 이상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이 12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제의 평균 입경은,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를 말하며, 동적 광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된다. 탄소 성분은 분체상의 형태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체상 이외의 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섬유상의 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섬유상물로는, 천연 또는 합성의 섬유상물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천연의 섬유상물로는, 예를 들어 코튼, 케이폭,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낙화생 단백 섬유, 옥수수 단백 섬유, 대두 단백 섬유, 만난 섬유, 고무 섬유, 마, 마닐라마, 사이잘마, 뉴질랜드마, 나포마, 야자, 등심초, 밀짚 등의 식물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양모, 산양모, 모헤어, 캐시미어, 알파카, 앙고라, 카멜, 비쿠냐, 실크, 우모 (羽毛), 다운, 페더, 알긴 섬유, 키틴 섬유, 카제인 섬유 등의 동물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석면 등의 광물 섬유를 들 수 있다.
한편, 합성의 섬유상물로는, 예를 들어 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산화아세테이트, 프로믹스, 염화 고무, 염산 고무 등의 반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나일론, 아라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에 더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고분자 섬유를 들 수 있다. 추가로 금속 섬유,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피산화성 금속이나 반응 촉진제와의 정착성,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유연성, 산소 투과성, 시트 형태의 유지 기능, 제조 비용 등의 면에서, 목재 펄프, 코튼,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목재 펄프, 코튼은, 철분 등의 고체물을 담지, 고정화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흡수성 폴리머로는, 자중의 20 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유지할 수 있는 가교 구조를 갖는 친수성의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의 분체로는, 버미큘라이트, 규산칼슘, 톱밥, 알루미나, 실리카겔, 및 펄프 분말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시트상인 경우에는, 흡수제로서 섬유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섬유상물이 보수재로서의 기능과,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시트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겸비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피산화성 금속의 편향이 일어나기 어려워지고, 수증기 발생부 (121) 는 그 발열 온도 분포가 균일해진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분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경우에는, 흡수제로서 고흡수성 폴리머, 버미큘라이트, 규산칼슘, 실리카겔, 실리카계 다공질 물질, 알루미나, 목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 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이다. 또, 흡수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하이다.
또, 흡수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0.3 질량부 이상 10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질량부 이상 60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증기 발생체 (120) 중에, 산화 반응을 지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수분을 축적할 수 있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에 대한 산소 공급이 충분히 얻어져 발열 효율이 높은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얻어진다. 또, 얻어지는 발열량에 대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열용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 온도 상승이 커져, 원하는 온도 상승이 얻어지고, 발열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제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4 g/㎡ 이상 29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7 g/㎡ 이상 16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제품으로서 부피가 커지지 않고, 유연성이 생긴다. 예를 들어, 수증기 발생부 (121) 의 두께를 0.1 ㎜ 이상 2 ㎜ 이하로 할 수 있다.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천이 금속의 황산염, 탄산염, 염화물 또는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도전성, 화학적 안정성, 생산 비용이 우수한 점에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천이 금속의 염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 제 1 철, 염화 제 2 철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물을 포함한다. 물은, 전해질 수용액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등의 수용액) 유래의 것이어도 되고, 또, 물 단독으로,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첨가된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있어서의 수분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35 질량부 이상 2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을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2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양호하게 발열하고, 발열 온도의 상승이 빨라진다 (승온 시간이 빨라진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을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35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의 발열 반응에 필요한 수분량을 확보할 수 있고, 수증기 발생부 (121) 의 발열 반응을 양호하게 지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을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35 질량부 이상, 2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발열 상태의 수증기 발생부 (121) 로 할 수 있다. 즉,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은 발열 속도를 좌우한다.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분량을 35 질량부 이상, 2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하게 발열하고, 발열 온도의 상승이 빠르고, 발열 온도가 지속된다.
동일한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4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을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2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수분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40 질량부 이상 1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부 이상 1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상기 서술한 각 성분에 더하여, 증점제, 계면 활성제, 약제, 응집제, 착색제, 지력 증강제, pH 조정제 (예를 들어, 인산삼칼륨 등), 벌킹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증점제로는, 수분을 흡수하여 조도 (稠度) 를 증대시키거나,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긴산 소다 등의 알긴산염,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캔스 고무, 로커스트빈 검, 구아 검, 카리기난, 한천, 크산탄 검 등의 다당류계 증점제 ; 덱스트린, α 화 전분, 가공용 전분 등의 전분계 증점제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계 증점제 ; 폴리비닐알코올 (PVA) 등의 증점제 ; 스테아르산염 등의 금속 비누계 증점제 ; 벤토나이트 등의 광물계 증점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증기 발생부 (121) 중의 수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다당류계 증점제가 바람직하고, 크산탄 검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도공 시트인 경우, 증점제의 함유량은, 도공 용이성의 면에서,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0.2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증점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4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증점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2 질량부 이상 4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시트상인 경우, 다수의 구멍 및/또는 절입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시트상의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얇아도 충분히 높은 발열 특성이 얻어지고, 원하는 수증기 방출 특성이 얻어진다. 당해 구멍의 면적은, 0.01 ∼ 10 ㎟, 특히, 0.1 ∼ 8 ㎟ 인 것이, 충분한 발열 특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에 의해, 구멍은, 시트상의 수증기 발생부 (121) 에 0.1 ∼ 20 개/㎠, 특히 1 ∼ 15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장원형 또는 이들의 2 종 이상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절입을 형성하는 경우, 그 길이는 1 ∼ 50 ㎜, 특히 5 ∼ 3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와 제 2 시트 (122B) 를 구비하는 주머니체 (122) 에 수용되어 있다. 즉,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제 1 시트 (122A) 와 제 2 시트 (122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시트 (122A) 와 제 2 시트 (122B)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바람직하게는 밀폐 접합함으로써 주머니체 (122) 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시트 (122A) 와 제 2 시트 (122B) 의 둘레 가장자리부 이외의 영역은 비접합 영역이고, 비접합 영역 내에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사용자측의 면에 제 1 시트 (122A) 가 배치되고,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사용자측의 면과 반대측의 면 상에 제 2 시트 (122B) 가 배치된다.
각각의 통기도에 대하여, 이하 상세히 서술한다.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는, 바람직하게는 7000 초/100 ㎖ 이하이다.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는, 수증기 발생체 (120) 와 코부 및 볼부 사이의 얼굴의 오목부로 둘러싸인 공간을 유지하고, 통기성을 확보함과 함께, 수증기 발생체 (120) 로부터의 수증기를 주머니체 (122) 외부로 다량으로 방출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초/1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초/100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하이고, 나아가서는, 600 초/100 ㎖ 이하, 10 초/100 ㎖ 이하, 5 초/100 ㎖ 이하, 0 초/100 ㎖ 의 순으로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통기도를 갖는 제 1 시트 (122A) 로는, 예를 들어 투습성은 갖지만 투수성을 갖지 않는 합성 수지제의 다공성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에 탄산칼슘 등을 함유시켜 연신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공성 시트의 외면에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및 스펀 본드 부직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부직포를 비롯한 각종 섬유 시트를 라미네이트하여, 제 1 시트 (122A) 의 질감을 높여도 된다.
또, 제 1 시트 (122A) 는, 상기의 통기도를 만족하면, 그 일부가 통기성을 갖지 않는 비통기성 시트여도 된다.
제 2 시트 (122B) 는, 그 일부가 통기성을 갖는 통기성 시트여도 되고, 통기성을 갖지 않는 비통기성 시트여도 되지만, 전체로서는 통기성이 낮은 시트가 채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로서 8000 초/100 ㎖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효과적으로 마스크 본체부 (101) 내를 안정적으로 가온 가습할 수 있는 관점에서, 비통기성 시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122B) 는, 상기의 통기도를 만족하면, 용도에 따라, 1 층 또는 다층의 합성 수지제의 필름이나, 그 1 층 또는 다층의 합성 수지제의 필름의 외면에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및 스펀 본드 부직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부직포를 비롯한 각종 섬유 시트를 라미네이트하여, 제 2 시트 (122B) 의 질감을 높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2 층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과 펄프 시트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 등이 사용되지만, 폴리에틸렌 필름과 펄프 시트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122B) 는, 상기 서술한 통기도의 값을 만족하면, 제 1 시트 (122A) 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혹은, 상이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는, 10000 초/10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0 초/1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000 초/1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122B) 의 통기성을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에서 발생한 증기를 제 1 시트 (122A) 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을 양호하게 하고, 제 1 시트 (122A) 측으로부터 다량의 수증기를 발생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를 2500 초/100 ㎖ 이하로 하고,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를 80000 초/100 ㎖ 이상으로 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사용자측에 위치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 상, 즉 수증기 발생부 (121) 로부터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사용자와는 반대측의 최외층까지의 사이에, 비통기성 또는 난통기성의 시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통기성의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가 마스크 (110) 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고, 마스크 (110) 내부, 즉 사용자측에, 수증기를 부여할 수 있다.
수증기 발생부 (121) 의 제조 방법의 예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시트상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앞선 출원에 관련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2761호에 기재된 습식 초조법이나, 다이 코터를 사용한 익스트루전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먼저, 피산화성 금속, 흡수제 및 반응 촉진제를 포함하는 성형 시트를 습지 초조법에 의해 형성하고, 이 성형 시트에 전해질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시트상의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얻어진다. 얻어진 시트상의 수증기 발생부 (121) 는 1 장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복수 장을 겹쳐 사용해도 된다. 혹은 1 장의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절첩하고, 절첩된 복수 장의 수증기 발생부 (121) 를 겹쳐 사용해도 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분체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는, 구성 재료를 균일 혼합함으로써, 분체의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얻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음에 고흡수성 폴리머 등의 흡수제와 피산화성 금속을 균일 혼합하고, 그곳에 전해질 수용액을 첨가하여, 흡수제의 표면에 피산화성 금속을 부착시킨다. 그 후, 나머지 재료인 반응 촉진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증기 발생부 (121) 를 조제함으로써, 산화 반응의 개시 시간이 빨라지고, 단위 시간당 수증기의 증산량이 용이하게 최대가 된다.
또,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도공 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앞선 출원에 관련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46554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보수 시트에 발열 분체 수분산액을 도공하고, 발열층과 보수 시트를 구비하는 발열물의 연속 장척물을 임의의 크기로 재단하여 얻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수증기 발생부 (121) 는, 1 장이어도 되고, 복수 장을 적층시킨 다층 상태로 수용해도 된다.
여기서, 수증기 발생부 (121) 가 도공 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구성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증기 발생부 (121) 는, 기재층 (121B) 과 보수 시트 (121C) 사이에, 수증기 발생층 (121A) 을 갖고 있다. 수증기 발생층 (121A) 과 보수 시트 (121C) 는 직접 접촉하고 있다. 수증기 발생체 (120) 는, 제 1 시트 (122A) 및 제 2 시트 (122B) 를 갖는 주머니체 (122) 내에, 보수 시트 (121C) 측, 즉 제 1 시트 (122A) 측이 사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고, 기재층 (121B) 이 제 2 시트 (122B) 측에 배치되도록, 수증기 발생부 (121) 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로부터의 증기를 제 1 시트 (122A) 로부터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발생층 (121A) 은, 보수 시트 (121C) 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도 되고, 보수 시트 (121C) 및 기재층 (121B) 사이에 끼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9 에는, 수증기 발생층 (121A) 이 보수 시트 (121C) 와 기재층 (121B) 사이에 끼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보수 시트 (121C) 는, 물을 함유하고 있다. 물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당해 보수 시트 (121C) 의 최대 흡수량의 10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보수 시트 (121C) 의 최대 흡수량은, 이하와 같이 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보수 시트 (121C) 를 25 ㎠ 의 사이즈로 커트한 질량 (W0) 을 측정한 후, 5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5 분간 침지한다. 핀셋으로 꺼내고, 1 분간 공기 중에 매달아 방치하여 다 흡수하지 못한 수분을 방울져 떨어지게 한 후, 질량 (W1) 을 측정하고, 하기의 식으로부터 최대 흡수량 (Wmax) 을 산출한다.
Wmax = W1 - W0
또, 보수 시트 (121C) 에 포함되는 수분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50 ∼ 350 g/㎡ 가 바람직하고, 또한 180 ∼ 260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수 시트 (121C) 에 포함되는 수분량은 수증기 발생원이 되기 때문에, 보수 시트 (121C) 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50 g/㎡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호한 증기 발생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보수 시트 (121C) 는, 흡수에 의해 통기 저항 (흡수 팽윤에 의해, 건조시에 비하여 통기성이 낮아진다) 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350 g/㎡ 이하로 함으로써, 보수 시트 (121C) 로부터 증기를 방출하기 쉽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수증기 발생층 (121A) 에 대한 통기성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산소 공급이 충분히 얻어져 발열 효율이 높은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얻어진다.
또, 보수 시트 (121C) 의 통기도는, 수분을 포함한 상태의 통기도로 500 초/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기성, 증기의 통과 용이성을 고려하면, 300 초/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초/1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을 포함한 상태 (즉, 수분량이 당해 보수 시트 (121C) 의 최대 흡수량의 1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의 통기도 하한치는, 예를 들어, 1 초/100 ㎖ 이다.
여기서, 보수 시트 (121C) 로는, 수분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고, 유연성을 갖는 시트 재료가 사용된다. 그와 같은 재료로는, 예를 들어 섬유를 원료로 하는 종이, 부직포, 직물, 편물 등의 섬유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스펀지 등의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섬유로는, 예를 들어 식물 섬유나 동물 섬유 등의 천연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나 화학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식물 섬유로는, 예를 들어 코튼, 케이폭,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낙화생 단백 섬유, 옥수수 단백 섬유, 대두 단백 섬유, 만난 섬유, 고무 섬유, 마, 마닐라마, 사이잘마, 뉴질랜드마, 나포마, 야자, 등심초, 밀짚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동물 섬유로는, 예를 들어 양모, 산양모, 모헤어, 캐시미어, 알파카, 앙고라, 카멜, 비쿠냐, 실크, 우모, 다운, 페더, 알긴 섬유, 키틴 섬유, 카제인 섬유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화학 섬유로는, 예를 들어 레이온,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수 시트 (121C) 로는, 전술한 섬유로 구성되는 섬유 재료와, 흡수성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폴리머로는, 자중의 20 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겔화할 수 있는 하이드로 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보수 시트 (121C) 에 포함되는 물의 함유량을, 보수 시트 (121C) 의 최대 흡수량의 15 ∼ 30 질량% 로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형상으로는, 구상, 괴상, 포도송이상, 섬유상 등을 들 수 있다.
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제조시의 취급 용이성의 관점에서,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흡수 속도의 관점에서,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1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 5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경은 동적 광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된다.
흡수성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전분, 가교 카르복실메틸화 셀룰로오스,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알칼리 금속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알칼리 금속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 (121B) 은, 수증기 발생층 (121A) 의 보수 시트 (121C) 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기재층 (121B) 은, 수증기 발생층 (121A) 에 직접 접촉하고, 수증기 발생층 (121A) 을 피복하고 있다. 이 기재층 (121B) 은, 비통기성 또는 난통기성의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수지 시트를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비통기성 또는 난통기성의 시트 (50000 초/100 ㎖ 이상이고, 80000 초/100 ㎖ 이상이 바람직하다) 로 함으로써 보수 시트 (121C) 측으로부터 증기를 보다 확실하게 방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재층 (121B) 측으로부터 기화열이 빼앗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재층 (121B) 으로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필름을 들 수 있고,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수 시트 (121C) 를 수증기 발생층 (121A) 상에 형성하고, 기재층 (121B) 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수증기 발생부 (121) 가 제 2 시트 (122B) 에 직접 접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 2 시트 (122B) 는 내수성을 갖는 시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단위 면적당 수증기 발생량은, 사용자에 적당한 증기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1 mg/㎠·10 min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g/㎠·10 min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g/㎠·10 min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 mg/㎠·10 min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 mg/㎠·10 min 이상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단위 면적당 수증기 발생량은, 마스크 중의 결로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20 mg/㎠·10 mi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mg/㎠·10 min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g/㎠·10 min 이하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수증기 발생체 (120) 의 단위 면적당 수증기 발생량은, 수증기 발생체 (120) 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1 mg/㎠·10 min 이상 20 mg/㎠·10 mi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g/㎠·10 min 이상 18 mg/㎠·10 min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g/㎠·10 min 이상 15 mg/㎠·10 min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 mg/㎠·10 min 이상 15 mg/㎠·10 min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 mg/㎠·10 min 이상 15 mg/㎠·10 min 이하이다.
계속해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는 마스크 본체부 (101) 를 갖는 마스크 (110) 와,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사용자측의 면에 유지되는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구비하고, 사용시에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이 형성되고, 하기 식 (1) ∼ (3) 을 만족하는 것이다.
300 ≤ VG ≤ 1500 (1)
40 ≤ MV ≤ 150 (2)
5 ≤ VG/MV ≤ 25 (3)
(식 (1) ∼ (3) 중, VG 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상기 공간 내에 방출되는 누적 수증기 발생량 [㎎] 을 나타내고, MV 는 상기 공간의 용적 [㎖] 을 나타낸다.)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에 의하면, 식 (1) ∼ (3) 을 만족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증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증기감, 릴랙스감이 얻어지고, 코 및 목의 건조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 식 (2) 를 만족함으로써, 사용자의 코 및 입을 덮는 공간이 적당한 크기가 되어, 사용시의 장착감이 양호해진다.
또,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다음 식 (4)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0 ≤ T ≤ 45.0 (4)
(식 (4) 중, T 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코부의 최고 온도 [℃] 를 나타낸다.)
이로써, 적당한 온감이 얻어짐과 함께, 증기에 의한 릴랙스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가온 가습에 의한 상쾌함과 목이나 코의 점막의 촉촉함을 향상시키고, 코막힘 등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시킴으로써 호흡을 편하게 함과 함께, 점막 선모 (線毛) 수송 기능을 높이고, 이물질 배출 기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로써 감기 예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입면감 (入眠感) 도 유발된다. 또, 입술 부분은, 각질층이 얇기 때문에, 온도에 민감하므로,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코의 옆 부분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입술 부분이 과민하게 뜨겁게 느끼기 쉬운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사용자의 코부의 온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장착하기 전에 콧구멍의 앞에 디지털 온습도 센서 SH-T75 (센시리온사 제조) 를 피부에 닿지 않도록 배치하고, 서지컬 테이프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20 ℃ 60 % RH 환경하, 증기 온열 마스크를 장착하고, 온습도 평가 키트 EK-H4 (센시리온사 제조) 에 의해, 1 초마다의 온습도 변화를 측정한다.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사용된다.
즉, 마스크 (110) 와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산소 차단 주머니를 개봉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를 꺼내고, 마스크 (110) 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는, 각 귀걸이부 (102) 를 사용자의 귀에 걸고,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장착된다.
또,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마스크 (110) 에 있어서의 수용체 (104) 에 미리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상,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전체로서 산소 차단 주머니에 봉입된다. 이 경우의 사용 방법으로는, 이 산소 차단 주머니를 개봉 후, 증기 온열 마스크 (100) 를 꺼내고, 각 귀걸이부 (102) 를 사용자의 귀에 걸고,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수증기 발생체 (120) 가 유지된 마스크 본체부 (101) 에 의해,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도록 사용함으로써,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마스크 본체부 (101)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사용자의 입과 코로부터 흡인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부 (101) 가, 세로 중앙부에 원호상의 절첩선 (103) 을 갖고, 절첩선 (103) 에 의해 둘로 접혀진 상태로부터 전개됨으로써 공간을 형성하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부 (101) 가, 가로 방향의 플리츠부를 갖는 증기 온열 마스크 (200)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효과에 대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2(a)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 (200) 의 사용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b)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 (200) 의 사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 (200) 의 사용 상태시의 단면도이다.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온열 마스크 (200)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가로 방향 (길이 방향) 으로 3 개의 플리츠부 (108) 를 갖고 있다. 이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플리츠부 (108) 는 절첩된 상태로부터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방향 (폭 방향) 으로 확폭되어, 사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절첩된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사용됨으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리츠부 (108) 의 수는, 1 개 또는 2 개여도 되고, 4 개 이상이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MV 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플리츠부 (108) 를 펼치고 증기 온열 마스크 (200) 를 장착하였을 때,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의 용적으로서 산출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플리츠부 (108) 를 펼치고 증기 온열 마스크 (200) 를 적절히 장착하였을 때의,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최상단으로부터 최하단까지의 길이 (도정) 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가 12 ∼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 도 12(a) 에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변의 길이 (Lb) 가 표시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변의 길이 (Lb) 의 합계에 대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의 비가, 0.6 ∼ 1.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마스크 (110) 가 사용자의 얼굴에 보다 밀접할 수 있음과 함께,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증기 온열 마스크 (200) 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변에 가요성 부재 (109) 를 구비한다. 이로써,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형상을 사용자의 얼굴의 요철에 맞추어 변형할 수 있음과 함께, 변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마스크 본체부 (101) 와 사용자의 얼굴을 보다 밀접시킬 수 있다. 가요성 부재 (109) 로는, 예를 들어,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와이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귀걸이부 (102) 를 갖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귀걸이부 (102) 를 갖지 않아도 되고,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사용자가 손 등으로 유지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밀접시켜도 된다. 이 경우, 마스크 본체부 (101)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컵상, 돔상이어도 된다. 또는, 통상적인 귀걸이부를 갖는 마스크 내에, 컵상, 돔상의 마스크 본체부 (101) 를 수납시키고, 사용자의 코와 입을 덮도록 마스크 본체부 (101) 를 밀접시켜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200) 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서, 귀걸이부 (102) 를 갖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증기 온열 마스크 (100, 200) 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는, 머리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신축성을 갖는 띠, 또는 1 쌍의 띠 등을 머리부에 감아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수단으로서 수용체 (104) 가 사용된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수단으로서 점착제가 사용된 증기 온열 마스크 (300)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나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효과에 대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7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온열 마스크에 수증기 발생체를 장착하기 전의 사용자측의 면으로부터 본 일부 평면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일부를 상면 (사용자의 눈쪽) 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마스크]
마스크 본체부 (101)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온열 마스크 (300) 의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사용자측의 면에는,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첩부하는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마킹 영역 (105)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킹 영역 (105) 상에, 점착제 (106) 를 개재하여, 수증기 발생체 (120) 가 마스크 본체부 (101) 에 고정되어 있다. 마킹 영역 (105) 은, 인쇄로 영역 내의 색을 바꿔도 되고, 엠보스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또, 마킹 영역 (105) 은, 주위에 실선, 점선 등의 라인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 장착감을 높이는 관점에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와 사용자 사이에, 질감이 좋은 시트 재료인 에어 스루 부직포 등의 부직포가 배치되어도 된다 (도시 생략). 이 경우, 부직포는, 수증기의 통과를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통기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부직포가 수증기에 의해 젖는 것에서 기인하여, 수증기의 통과를 저해하지 않으며, 또한, 공기의 유입을 저해하지 않도록, 발수성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부직포는,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제 1 시트 (122A) 상에 형성된 것이어도 되고, 마스크 (110) 의 사용자측의 면에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첩부 후, 폐쇄되는 것이어도 된다.
[점착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의 사용자측과는 반대의 면, 즉, 제 2 시트 (122B) 의 사용자측과는 반대의 면에는, 점착제 (106)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체 (120) 를 마스크 (110) 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점착제 (106) 는, 적어도 수증기 발생체 (120) 를 마스크 본체부 (101) 에 고정시킬 수 있으면 되고, 크기,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제 (106) 로는,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점착제가 사용된다. 핫멜트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점착 기제, 점착 부여 수지 및 연화제를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다. 핫멜트 점착제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합성 고무계, 폴리올레핀계 (Polyethylene (PE) 계, Ethylene Vinyl Acetate (EVA) 계, Ethylene-Ethyl-Acrylate (EEA) 계, Atactic Polypropylene (APP) 계, Amorphous PolyAlpha Olefin (APAO) 계 등), 폴리아미드계 (나일론계, 폴리아미드계 등),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보존성, 점착력, 안전성 등의 면에서, 합성 고무계, 폴리올레핀계,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가 바람직하고, 특히 합성 고무계가 바람직하다.
점착제 (106) 는, 증기 온열 마스크 (300) 의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박리지에 의해 보호됨과 함께 외부에 부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박리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사용자측의 면에, 점착제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세로 중앙선 근방 및 마스크 본체부 (101) 의 상단부 근방에, 좌우 대칭으로 1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체 (120) 의 고정 위치를 알기 쉬워진다. 이 경우,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서술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고,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7000 초/100 ㎖ 이하,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8000 초/100 ㎖ 초과인 것이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250 초/100 ㎖ 이상 8000 초/100 ㎖ 이하이고,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제 2 시트의 통기도에 대하여 20 % 이하로 해도 된다. 이로써, 수증기 발생부 (121) 에 의해 발생한 수증기가, 마스크 (110) 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고, 마스크 (110) 내부, 즉 사용자측에, 수증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마스크 내에 가온한 수증기를 적극적으로 발생시켜, 마스크 내의 절대 습도를 높일 수 있고, 가온 가습에 의한 상쾌함과 목이나 코의 점막의 촉촉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해, 코막힘 등에 의한 불쾌감을 저감시킴으로써 호흡을 편하게 하고, 점막 선모 수송 기능을 높이고, 이물질 배출 기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 2 시트 (122B) 는, 그 일부가 통기성을 갖는 통기성 시트여도 되고, 일부가 통기성을 갖지 않는 비통기성 시트여도 되지만, 전체로서, 이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로서 250 초/100 ㎖ 이상 8000 초/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증기 발생체의 이상 발열을 방지하는 관점, 수증기 발생부 (121) 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적절히 분배하고, 수증기를 사용자측에 충분히 적용하는 관점에서, 4000 초/100 ㎖ 이상 7500 초/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 초/100 ㎖ 이상 7000 초/1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는, 수증기 발생부 (121) 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적절히 분배하고, 수증기를 사용자측에 충분히 적용하는 관점, 수증기 발생체의 팽창을 억제하여 증기 온열 마스크 착용시의 숨쉬기 곤란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의 2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나아가서는, 5 % 이하, 3 % 이하, 1 % 이하, 0 % 의 순으로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시트 (122A) 의 통기도는, 이 제 2 시트 (122B) 의 통기도의 20 %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수증기 발생부 (121) 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적절히 분배하고, 수증기를 사용자측에 충분히 적용하는 관점, 수증기 발생체의 팽창을 억제하여 증기 온열 마스크 착용시의 숨쉬기 곤란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600 초/1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하이고, 나아가서는, 250 초/100 ㎖ 이하, 10 초/100 ㎖ 이하, 5 초/100 ㎖ 이하, 0 초/100 ㎖ 의 순으로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시트 (122A), 제 2 시트 (122B) 로는, 상기의 통기도를 만족하면, 제 1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한 시트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증기 발생체 (120) 는, 마스크 (110) 에, 따로 따로 2 개 첩부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2 개의 수증기 발생체 (120) 가 1 개의 주머니체에 의해 늘어선 구조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부 (101) 가, 1 장의 시트로 형성되고, 절첩선 (103) 에서 좌우 대칭으로 접혀져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마스크 본체부 (101) 는, 동일 형태의 2 장의 시트를 중첩하고, 1 변을 첩합함으로써 절첩선 (103) 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시트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조성물, 제조 방법, 혹은 용도를 개시한다.
<1>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는 피복부를 갖는 피복 부재와, 상기 피복부의 상기 사용자측의 면에 유지되는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하고, 사용시에 상기 피복부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이 형성되고, 하기 식 (1) ∼ (3) 을 만족하고, 바람직하게는 (3') 도 만족하는 증기 온열구.
300 ≤ VG ≤ 1500 (1)
40 ≤ MV ≤ 150 (2)
5 ≤ VG/MV ≤ 25 (3)
10 ≤ VG/MV ≤ 15 (3')
(식 (1) ∼ (3), (3') 중, VG 는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상기 공간 내에 방출되는 누적 수증기 발생량 [㎎] 을 나타내고, MV 는 상기 공간의 용적 [㎖] 을 나타낸다.)
<2> 상기 증기 온열구의 상기 피복부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가 12 ∼ 20 ㎝ 인, <1> 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3> 상기 피복부의 상변의 길이 (Lb) 에 대한, 상기 피복부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의 비 (La/Lb) 가, 0.6 ∼ 1.7 이고, 바람직하게는 0.6 ∼ 1.4 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4> 다음 식 (4) 를 만족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30.0 ≤ T ≤ 45.0 (4)
(식 (4) 중, T 는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있어서의 상기 사용자의 코부의 최고 온도 [℃] 를 나타낸다.)
<5>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상기 사용자의 코를 덮는 영역에 유지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6>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증기 온열구를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귀걸이부를 갖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7> 상기 피복부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절첩된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사용됨으로써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8> 상기 피복부는, 세로 중앙부에 원호상의 절첩선을 갖고, 당해 절첩선에 의해 둘로 접혀진 상태로부터 전개됨으로써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7> 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9> 상기 피복부는, 가로 방향 (길이 방향) 으로 플리츠부를 갖고, 당해 플리츠부에 의해 절첩된 상태로부터 세로 방향 (폭 방향) 으로 확폭됨으로써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7> 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10>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하는 것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11>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수증기 발생부를 갖고, 상기 수증기 발생부는,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인산삼칼륨을 함유하는 발열 조성물을 갖는,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12> 상기 수증기 발생부에 있어서의 수분량은, 상기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하여, 3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한편, 2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한, <11> 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13>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단위 면적당 수증기 발생량은, 바람직하게는 1 mg/㎠·10 min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mg/㎠·10 min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g/㎠·10 min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 mg/㎠·10 min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 mg/㎠·10 min 이상이고, 한편, 바람직하게는 20 mg/㎠·10 min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mg/㎠·10 min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g/㎠·10 min 이하인,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14> 상기 수증기 발생체는, 상기 수증기 발생부를 수용하는 주머니체를 갖고, 상기 주머니체의 적어도 일부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7000 초/1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초/1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초/100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하이고, 나아가서는, 600 초/100 ㎖ 이하, 10 초/100 ㎖ 이하, 5 초/100 ㎖ 이하, 0 초/100 ㎖ 의 순으로 보다 바람직한,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15> 상기 주머니체가,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접합한 것이고, 상기 제 1 시트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7000 초/1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초/1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초/100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하이고, 나아가서는, 600 초/100 ㎖ 이하, 10 초/100 ㎖ 이하, 5 초/100 ㎖ 이하, 0 초/100 ㎖ 의 순으로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도가, 8000 초/100 ㎖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 초/10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0 초/1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000 초/1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14> 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
<16>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를, 상기 피복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코 및 입을 덮도록 사용하는, 증기 온열구의 사용 방법.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서술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고,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내용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증기 발생부의 제작>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의 발열 조성물을, 다음의 순서로 조제하였다.
증점제를 물에 용해하고, 이어서 인산삼칼륨을 용해하여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한편으로 철분, 활성탄을 프리 혼합한 분체를 준비하고, 상기 수용액에 프리 혼합 분체를 넣고, 디스크 터빈형 교반 날개로 150 rpm, 10 분간 교반하여 슬러리상의 발열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표 2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수증기 발생층을 형성하고, 수증기 발생부 A ∼ F 를 제작하였다. 표 2 중, 도공량, 식염량, 흡수 폴리머 산포량은, 수증기 발생부 1 개 (4.9 ㎝ × 4.9 ㎝ ; 면적 24.0 ㎠) 당의 양 (g/24 ㎠) 으로서 나타냈다.
구체적으로는, 다이 코팅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발열 조성물을 기재층의 편면에 도공하였다. 기재층으로는,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 (닛토쿠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도공면 상에 식염 (일본 약국방 염화나트륨 (오오츠카 제약사 제조)) 을 산포하여 수증기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얻어진 수증기 발생층의 발열 조성물이 도공된 면측에 추가로 흡수성 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구상, 평균 입자경 300 ㎛, 아크아릭 CA, 주식회사 닛폰 촉매 제조) 를 직접 산포하고, 계속해서, 흡수성 시트로서 크레이프지 (다이쇼와 지공 산업 주식회사 제조) 를 상기 흡수성 폴리머 산포 상에 적층하여 일체화하고, 수증기 발생부 A ∼ C 를 각각 제작하였다.
또, 얻어진 수증기 발생층 상에, 추가로 보수 시트를 겹쳐 수증기 발생부 D 를 제작하였다. 보수 시트로는, 목재 펄프제의 종이 (평량 20 g/㎡, 이노가미 주식회사 제조) 와 흡수성 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구상, 평균 입자경 300 ㎛, 평량 70 g/㎡, 아크아릭 CA, 주식회사 닛폰 촉매 제조) 와 목재 펄프제의 종이 (평량 30 g/㎡, 이노가미 주식회사 제조) 를 적층하여 일체화한 폴리머 시트를 사용하였다.
또, 얻어진 수증기 발생부 D 를, 보수 시트가 피부측 (제 1 시트측) 에 배치되도록 2 층으로 겹쳐, 수증기 발생부 E 를 제작하였다.
또, 얻어진 수증기 발생부 D 를, 보수 시트가 피부측 (제 1 시트측) 에 배치되도록 3 층으로 겹쳐, 수증기 발생부 F 를 제작하였다.
Figure 112019002131810-pct00001
Figure 112019002299220-pct00018
<수증기 발생체의 제작>
얻어진 수증기 발생부 A ∼ F 각각에 대하여,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로 이루어지는 주머니체로 피복하여, 수증기 발생체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 2 에 나타내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를 준비하였다. 제 1 시트와 제 2 시트 사이에 수증기 발생부 A ∼ F 각각을 배치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밀폐 시일하여, 수증기 발생체를 얻었다. 이 때, 수증기 발생부 A ∼ F 의 기재층은, 제 2 시트측에 배치되었다. 이 때, 통기면과 시일부를 포함한 제 1 시트의 면적은 39.7 ㎠ (6.3 ㎝ × 6.3 ㎝) 였다. 이것을 1 장으로 한다.
수증기 발생체는, 후술하는 평가를 실시할 때까지, 산소 차단 주머니에 넣어 보존하였다.
<증기 온열 마스크의 제작>
입과 코를 덮는 부분이 되는 마스크 본체부의 시트로서, SMS 부직포 (스펀 본드 (폴리프로필렌) - 멜트 블로운 (폴리프로필렌) - 스펀 본드 (폴리프로필렌) 적층 일체형, 평량 50 g/㎡) 가 외측, 평량 25 g 의 스펀 본드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가 내측 (사용자측) 이 되도록 2 층을 겹쳤다. 이 때의, 마스크 본체부의 0.3 ㎛ 이상 입자의 차단율은 25 % 였다. 마스크 본체부의 세로 중심의 절첩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상방에 1 개씩 (합계 2 개), 수용체의 마스크 상부 이외를 열융착하여, 수증기 발생체를 수용하는 수용체를 제작하였다. 마스크 본체부의 단부에 신축성이 있는 고무끈상의 귀걸이부를 부착하고, 입체 형상이 되는 마스크를 제작하였다.
마스크 본체부의 통기 저항을 수용체 부분에서 계측한 결과 148 ㎩/30 ㎜Φ·압차였다. 또, 수용체에 수증기 발생체를 각 1 개씩 (합계 2 개), 마스크 본체부의 2 장의 부직포가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마스크의 상측으로부터 넣고, 마스크 본체부의 절첩선 근방 및 마스크 본체부의 상단부 근방 (코 옆) 에, 좌우 대칭으로 1 쌍의 수증기 발생체를 부착하여, 증기 온열 마스크로 하였다.
입과 코를 덮는 영역의 면적은 바꾸지 않고, 증기 온열 마스크 장착시의 마스크 본체부의 돌출량을 변화시켜, 5 종류의 MV 값을 갖는 증기 온열 마스크를 작성하였다.
또한, MV 값이란, 증기 온열 마스크 사용시에 마스크 본체부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의 용적 [㎖] 을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
얻어진 증기 온열 마스크를 사용하여, 이하의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수증기 발생량의 측정>
수증기 발생량은 도 11 에 나타내는 장치 (30)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수치로 하였다.
도 11 에 나타내는 장치 (30) 는, 알루미늄제의 측정실 (용적 4.2 ℓ) (31), 측정실 (31) 의 하부에 제습 공기 (습도 2 % 미만, 유량 2.1 ℓ/분) 를 유입시키는 유입로 (32), 측정실 (31) 의 상부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로 (33), 유입로 (32) 에 형성된 입구 온습도계 (34) 와 입구 유량계 (35), 유출로 (33) 에 형성된 출구 온습도계 (36) 와 출구 유량계 (37), 측정실 (31) 내에 형성된 온도계 (서미스터) (38) 로 이루어져 있다. 온도계 (38) 로는, 온도 분해능이 0.01 ℃ 정도인 것을 사용하였다.
수증기 발생체 (120) 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면의 표면 온도의 측정은, 측정 환경 온도 30 ℃ (30 ± 1 ℃) 에 있어서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산소 차단 주머니로부터 꺼내고, 수증기 발생체 (120) 또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면, 즉 수증기 방출면을 위로 하여 측정실 (31) 에 재치하고, 금속구 (4.5 g) 를 부착한 온도계 (38) 를 그 위에 올려 계측하였다. 또, 이 상태에서 하부로부터 제습 공기를 흘리고, 입구 온습도계 (34) 와 출구 온습도계 (36) 에서 계측되는 온도 및 습도로부터 측정실 (31) 에 공기가 유입하기 전후의 절대 습도의 차를 구하고, 추가로 입구 유량계 (35) 와 출구 유량계 (37) 에서 계측되는 유량으로부터 수증기 발생체 (120) 또는 증기 온열 마스크 (100) 가 방출한 수증기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수증기 발생량이란, 수증기 발생체 (120) 를 산소 차단 주머니로부터 꺼낸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10 분 후까지 측정된 수증기량의 총량을 말한다.
<MV 값의 측정>
마스크 본체부와 피험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의 용적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맨얼굴과 마스크를 장착한 얼굴의 각각의 삼차원 형상 데이터를 삼차원 측정기 DANAE100 (NEC 사 제조) 에 의해 취득하였다. 얻어진 2 개의 삼차원 형상 데이터를, 삼차원 화상 해석 소프트 3D-RUGLE (주식회사 메딕 엔지니어링사 제조) 에 의해 겹쳐, 마스크 장착에 의한 볼록부의 체적 계산을 실시하고, 이 값으로부터 마스크 본체가 차지하는 체적을 감하여, MV 값 (㎖) 으로 하였다.
또한, 얻어진 MV 값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05926호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의 내측에 액 불투과성의 필름을 배치하고, 이 부분에 물을 붓고, 피험자가 마스크를 장착한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하방향으로 얼굴을 대고, 남은 물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과 거의 동일하였다. 또, 얻어진 MV 값은, 상기 서술한 유한회사 디지털 휴먼 테크놀로지사 제조의 평균 인두 데이터를 사용하여 조형된 인두 모델을 사용하여 측정한 MV 값과도 거의 동일하였다.
<마스크 본체부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및 마스크 본체부의 상변의 길이 (Lb) 의 측정>
마스크 본체부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및 마스크 본체부의 상변의 길이 (Lb) 를, 얼굴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줄자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온도 (Tmax) 의 측정>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기 온열 마스크를 착용하기 전에 사용자의 콧구멍의 앞에 디지털 온습도 센서 SH-T75 (센시리온사 제조) 를 피부에 닿지 않도록 배치하고, 서지컬 테이프로 움직이지 않도록 안면에 고정시켰다. 20 ℃ 60 % RH 환경하, 증기 온열 마스크를 착용하고, 온습도 평가 키트 EK-H4 (센시리온사 제조) 에 의해, 1 초마다의 온습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증기 발생체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있어서 측정된 온도의 최고 온도를 Tmax [℃] 로 하였다.
<평가>
22 ℃ 의 환경에 있어서, 남성 5 명의 피험자가 증기 온열 마스크의 장착감을 평가하였다. 증기 온열 마스크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온감, 증기감 (촉촉함), 감각의 변화, 기분의 변화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고, 가장 명수가 많은 점수를 선택하여 스코어화하였다.
·장착감
1 : 작음, 숨쉬기 곤란한 느낌
2 : 약간 작음
3 : 알맞은 크기
4 : 약간 큼
5 : 큼, 거추장스러운 느낌
·온감
1 : 미지근함
2 : 조금 미지근함
3 : 알맞은 따뜻함
4 : 조금 뜨거움
5 : 뜨거움
·증기감
1 : 증기량이 적음
2 : 증기량이 약간 적음
3 : 알맞은 증기량
4 : 증기량이 약간 많음
5 : 증기량이 많음
·감각의 변화 (증기 온열 마스크 장착 30 분 후)
1 : 코·목의 건조감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음
2 : 코·목의 건조감이 약간 개선되었음
3 : 코·목의 건조감이 조금 개선되었음
4 : 코·목의 건조감이 개선되었음
5 : 코·목의 건조감이 현저히 개선되었음
·기분의 변화 (증기 온열 마스크 장착 30 분 후)
1 : 전혀 변하지 않았음
2 : 약간 릴랙스한 기분이 되었음
3 : 조금 릴랙스한 기분이 되었음
4 : 릴랙스한 좋은 기분이 되었음
5 : 매우 릴랙스한 좋은 기분이 되었음
Figure 112019002131810-pct00003

Claims (10)

  1. 사용자의 입과 코를 덮는 피복부를 갖는 피복 부재와,
    상기 피복부의 상기 사용자측의 면에 유지되는 수증기 발생체를 구비하고,
    사용시에 상기 피복부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이에 끼인 공간이 형성되고, 하기 식 (1) ∼ (4) 를 만족하는, 증기 온열구.
    300 ≤ VG ≤ 1500 (1)
    40 ≤ MV ≤ 150 (2)
    5 ≤ VG/MV ≤ 25 (3)
    30.0 ≤ T ≤ 45.0 (4)
    (식 (1) ∼ (4) 중, VG 는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상기 공간 내에 방출되는 누적 수증기 발생량 [㎎] 을 나타내고, MV 는 상기 공간의 용적 [㎖] 을 나타내고, T 는 상기 수증기 발생체의 수증기 발생 개시로부터 10 분 동안에 있어서의 상기 사용자의 코부의 최고 온도 [℃] 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온열구의 상기 피복부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가 12 ∼ 20 ㎝ 인, 증기 온열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의 상변의 길이 (Lb) 에 대한, 상기 피복부의 세로 중앙선의 최대 길이 (La) 의 비 (La/Lb) 가, 0.6 ∼ 1.7 인, 증기 온열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상기 사용자의 코를 덮는 영역에 유지되는, 증기 온열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증기 온열구를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갖는, 증기 온열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절첩된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사용됨으로써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증기 온열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세로 중앙부에 절첩선을 갖고, 당해 절첩선에 의해 둘로 접혀진 상태로부터 전개됨으로써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증기 온열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발생체가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해 수증기를 발생하는 것인, 증기 온열구.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기 온열구를, 상기 피복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코 및 입을 덮도록 사용하는, 증기 온열구의 사용 방법.
KR1020197000587A 2016-06-17 2017-06-13 증기 온열구 및 그 사용 방법 KR102182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0864 2016-06-17
JP2016120864 2016-06-17
PCT/JP2017/021782 WO2017217401A1 (ja) 2016-06-17 2017-06-13 蒸気温熱具及びその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904A KR20190017904A (ko) 2019-02-20
KR102182158B1 true KR102182158B1 (ko) 2020-11-24

Family

ID=6066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587A KR102182158B1 (ko) 2016-06-17 2017-06-13 증기 온열구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90321216A1 (ko)
EP (1) EP3473215A4 (ko)
JP (1) JP6997545B2 (ko)
KR (1) KR102182158B1 (ko)
CN (1) CN109328048B (ko)
RU (1) RU2744144C2 (ko)
SG (2) SG11201810955WA (ko)
TW (1) TWI753919B (ko)
WO (1) WO2017217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982A (ko) * 2018-03-14 2020-10-13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온열구
JP2020000668A (ja) * 2018-06-29 2020-01-09 桐灰化学株式会社 温熱具
JP7397059B2 (ja) * 2019-03-01 2023-12-12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JP7309562B2 (ja) * 2019-05-24 2023-07-18 花王株式会社 蒸気発生具
JP2020192309A (ja) * 2019-05-24 2020-12-03 花王株式会社 水蒸気発生体及び温熱具
KR102146674B1 (ko) * 2019-06-03 2020-08-24 최성민 면도용 마스크
JP2022046232A (ja) * 2020-09-10 2022-03-23 小林製薬株式会社 粘液線毛輸送機能向上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753A (ja) * 2002-06-20 2004-01-22 Kao Corp 水蒸気発生体
WO2006046658A1 (ja) 2004-10-27 2006-05-04 Uni-Charm Co., Ltd. 身体装着用加湿体
JP2011136060A (ja) * 2009-12-28 2011-07-14 Kao Corp マスク用鼻部温熱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1369A (en) * 1975-06-23 1976-07-27 Johnson & Johnson Folded cup-like surgical face mask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3901660B2 (ja) 2002-06-20 2007-04-04 花王株式会社 水蒸気発生具
JP4223329B2 (ja) * 2003-06-09 2009-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顔面装着用の加湿体
JP4638199B2 (ja) 2004-10-05 2011-02-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JP5074126B2 (ja) * 2007-08-10 2012-11-14 花王株式会社 蒸気温熱具
JP5291198B2 (ja) * 2009-09-30 2013-09-18 株式会社Nbcメッシュテック マスク
JP2011188947A (ja) * 2010-03-12 2011-09-29 Kao Corp 水蒸気発生具
CN202050968U (zh) * 2011-05-06 2011-11-30 山东科技大学 一种新型口罩
JP5886028B2 (ja) * 2011-12-21 2016-03-16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JP5296256B2 (ja) * 2011-12-21 2013-09-25 花王株式会社 蒸気温熱具
CN104334130B (zh) * 2012-06-07 2016-10-12 花王株式会社 发热体及具备其的温热用具
JP2012205926A (ja) * 2012-07-23 2012-10-25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マス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753A (ja) * 2002-06-20 2004-01-22 Kao Corp 水蒸気発生体
WO2006046658A1 (ja) 2004-10-27 2006-05-04 Uni-Charm Co., Ltd. 身体装着用加湿体
JP2011136060A (ja) * 2009-12-28 2011-07-14 Kao Corp マスク用鼻部温熱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225813A (ja) 2017-12-28
EP3473215A1 (en) 2019-04-24
EP3473215A4 (en) 2020-01-22
CN109328048A (zh) 2019-02-12
RU2019100993A3 (ko) 2020-07-17
CN109328048B (zh) 2021-09-07
RU2744144C2 (ru) 2021-03-03
WO2017217401A1 (ja) 2017-12-21
JP6997545B2 (ja) 2022-01-17
KR20190017904A (ko) 2019-02-20
US20190321216A1 (en) 2019-10-24
TW201804969A (zh) 2018-02-16
RU2019100993A (ru) 2020-07-17
SG11201810955WA (en) 2019-01-30
SG10201912700QA (en) 2020-02-27
TWI753919B (zh)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158B1 (ko) 증기 온열구 및 그 사용 방법
US20210275392A1 (en) Steam heating mask
JP6742374B2 (ja) 蒸気温熱マスク
JP7229049B2 (ja) 温熱具
JP6859116B2 (ja) 蒸気温熱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1136060A (ja) マスク用鼻部温熱具
JP2020114957A (ja) 蒸気温熱マスク
WO2021215089A1 (ja) 温熱具
TWI690348B (zh) 蒸氣溫熱面罩
RU2768577C2 (ru) Маска с паровым обогревом
JP7332839B2 (ja) 温熱具
JP2022089420A (ja) 温熱具
JP2022089417A (ja) 水蒸気発生体及びそれを備えた温熱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