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68B1 - 마운트 장치 및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마운트 장치 및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68B1
KR102166668B1 KR1020180062236A KR20180062236A KR102166668B1 KR 102166668 B1 KR102166668 B1 KR 102166668B1 KR 1020180062236 A KR1020180062236 A KR 1020180062236A KR 20180062236 A KR20180062236 A KR 20180062236A KR 102166668 B1 KR102166668 B1 KR 102166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mount
camera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488A (ko
Inventor
준 카미야
야스유키 와타자와
나오토 후지하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change of l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01R13/213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by bayonet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7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pin shap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Abstract

촬상 장치의 제2 마운트의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는, 악세사리의 제1 마운트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자에 해당한다. 상기 촬상 장치의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악세사리의 내부 부품을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된 제1의 단자와, 상기 악세사리와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된 제2의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의 단자는, 단자 보유부의 소정의 단에 상기 촬상 장치의 나머지 단자보다도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으로 멀리 배치된다.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와의 사이의 단자간의 피치는, 나머지 단자의 단자간의 피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치보다 넓다.

Description

마운트 장치 및 악세사리{MOUNT APPARATUS AND ACCESSORY}
본 발명은, 다른 기기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단자를 마운트에 구비한, 촬상 장치 및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보통, 촬상 장치에 탈착가능한 악세사리(카메라 악세사리)는, 촬상 장치에 장착된 상태로, 해당 촬상 장치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거나, 또는, 해당 촬상 장치와의 사이에서 여러 가지의 명령이나 데이터 등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것 같은 전원공급이나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촬상 장치와 악세사리와의 마운트라고 칭하는 장착부에는, 서로 접촉 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단자는, 각각, 다른 통신 계통으로 독립적인 통신을 행할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4-038300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바요넷 결합 방식으로 촬상 장치에 대하여 악세사리를 탈착하는 경우에, 촬상 장치에 설치된 악세사리의 장착 검지용의 단자가, 악세사리에 설치된 전원계의 단자와 미끄러지지 않도록 단자의 배치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운트 장치는, 악세사리에 설치된 제1의 마운트와 결합가능한 제2의 마운트를 갖고, 상기 악세사리를 착탈할 수 있는 마운트 장치이며, 상기 제2의 마운트에 있어서, 해당 제2의 마운트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악세사리에 설치된 대응하는 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하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보유하는 단자보유부를, 갖고, 상기 단자보유부는, 상기 제2의 마운트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차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악세사리의 내부에 설치된 부재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의 단자와, 상기 악세사리와의 통신 제어에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보유부는, 적어도,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다른 제1의 단과 제2의 단을 구비하고, 상기 악세사리를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2의 단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보다도 상기 악세사리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는,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제1의 단자 및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제2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다른 단자보다도 상기 제1의 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자보다도 상기 제1의 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와의 단자간의 피치는, 적어도, 상기 복수의 단자 중 다른 단자의 단자간의 피치 중 어느 1개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카메라 본체에 장착가능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시스템 도다.
도2는 제1의 교환 렌즈와, 해당 제1의 교환 렌즈를 직접 결합할 수 있는 카메라 본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3은 제1의 교환 렌즈가 카메라 본체에 접속된 상태의 상기 제1의 교환 렌즈와 상기 카메라 본체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4a 및 4b는 카메라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5a 내지 5c는 카메라 마운트와 렌즈 마운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에 단자끼리의 접속 상태를 각각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6은 카메라 본체에 어댑터를 통해 제2의 교환 렌즈를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7a 및 7b는 카메라 마운트와 렌즈 마운트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8a 및 8b는 카메라 본체에 어댑터를 통해 제2의 교환 렌즈를 장착했을 경우의 마운트끼리의 접속 상태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9는 카메라 본체에 중간 악세사리를 통해 제1의 교환 렌즈를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10a 및 10b는 카메라 본체에 중간 악세사리를 통해 제1의 교환 렌즈를 장착했을 경우의 마운트끼리의 접속 상태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1a 내지 11e는 카메라 본체의 TYPE_IN단자와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접속 상태를 각각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2는 카메라 본체에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되었을 때의, 제1의 통신이 개시될 때까지의 동작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13은 제2의 통신에 관한 각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14는 제3의 통신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타이밍 도다.
도15는 제3의 통신에 있어서의 P2P(peer-to-peer) 통신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타이밍 도다.
도16a 및 16b는 카메라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에 있어서의, CS단자, DCA단자, 및 DGND단자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7a 내지 17d는 LCLK단자에 인접시키는 단자에 따라 다른 전기 회로에 생성된 영향에 대해서 각각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8은 카메라 본체의 카메라 마운트의 내부구조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9a 및 19b는 카메라 본체와 제1의 교환 렌즈의 사시도 및 외관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2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의 분해 사시도다.
도21a 내지 21c는 본 발명의 상기 변형예에 따른 상기 마운트 기구의 비결합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22a 내지 22c는 본 발명의 상기 변형예에 따른 상기 마운트 기구의 결합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필요한 경우, 또는 단일의 실시예에서 개개의 실시예로부터 구성요소나 특징들의 조합이 이로운 경우, 하나의 실시예만, 또는 복수의 실시예나 그 특징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촬상 장치 및 카메라 악세사리의 접속 시스템
이하, 도1∼도 2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1을 참조하여 렌즈 교환 방식을 채용한 촬상 장치와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접속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카메라 본체 100에 대하여, 장착가능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시스템 도다. 카메라 악세사리의 예들은, 촬상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와 결합가능한 악세사리 마운트를 각각 구비하는, 교환 렌즈, 어댑터, 및 중간 악세사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술의 악세사리 마운트는, 카메라 마운트에 있어서 광축과 대략 직교하는 원주방향에 순서대로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 탭(tab) 및 카메라 오목부와 계합가능한 복수의 악세사리 오목부 및 악세사리 탭을 갖는다. 그리고, 해당 악세사리 마운트는, 상기 악세사리의 탭과 오목부가 상기 카메라 마운트의 탭과 오목부에 끼워 맞춰진 끼워 맞춤상태로부터, 상기 악세사리 마운트의 탭이 상기 카메라 마운트의 탭과 광축방향으로 계합하는 계합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해당 끼워 맞춤상태가 후술하는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 시작 상태이며, 해당 계합 상태가 후술하는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 완료 상태다.
도1을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 100에 접속 가능한 카메라 악세사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의 교환 렌즈200은, 카메라 본체 100에 직접적으로 장착가능한 카메라 악세사리의 1개이며, 카메라 본체 100의 후술하는 카메라 마운트에 직접 결합할 수 있는 악세사리 마운트인 렌즈 마운트B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악세사리500은, 카메라 본체 100에 직접적으로 장착가능한 카메라 악세사리의 1개이며, 카메라 본체 100에 직접 결합할 수 있는 악세사리 마운트인 렌즈 마운트B와,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직접 결합할 수 있는 카메라 마운트A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제1의 교환 렌즈200은, 중간 악세사리5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카메라 본체 100에는, 카메라 본체 100에 직접적으로 장착가능한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을 간접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의 교환 렌즈300에 설치된 악세사리 마운트인 렌즈 마운트D는, 카메라 본체 100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A와는 직접 결합할 수 없다. 어댑터400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C와, 제2의 교환 렌즈300의 렌즈 마운트D가 직접 결합(직접 장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 100에 대하여는, 제1의 교환 렌즈200, 중간 악세사리500을 통한 제1의 교환 렌즈200, 어댑터400을 통한 제2의 교환 렌즈300을 장착가능하다. 이후, 제1의 교환 렌즈200, 및, 제2의 교환 렌즈300에 대해서 공통되는 설명에 대해서, 제1의 교환 렌즈2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을 각각 간단히 교환 렌즈라고 칭한다. 마찬가지로, 어댑터400과 중간 악세사리500을 간단히 어댑터라고 칭한다.
카메라 본체 100 및 제1의 교환 렌즈200의 기본구성
다음에, 도2를 참조해서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과의 기본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는, 제1의 교환 렌즈200과, 해당 제1의 교환 렌즈200을 직접 결합(장착)할 수 있는 카메라 본체 100을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촬상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와 상기 카메라 악세사리(예를 들면, 상기 제1의 교환 렌즈 200)가 서로 탈착 가능하다. 도2에 있어서는, 제1의 교환 렌즈200 및 카메라 본체 100에 설치된 각각의 마운트를 총칭해서 마운트부 1이라고 칭한다. 제1의 교환 렌즈200 및 카메라 본체 100에 설치된 각 마운트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카메라 본체 100은, 디지탈 카메라로 대표되는 촬상 장치다. 도2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은, 제1의 교환 렌즈200의 내부에 설치된 렌즈10에 의해 형성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하축적형의 고체촬상 소자(이하, 간단히 촬상 소자라고 칭한다) 12를 구비한다. 카메라 본체 100은, 촬상 소자1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13과, 해당 디지털 신호에 대한 여러 가지의 각종 화상처리를 행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 14를 더 구비한다. 화상처리부 14에서 생성된 영상신호(정지 화상이나 동화상)는, 표시부 15에 표시 가능, 및 기록 매체 16에 기록가능하다.
카메라 본체 100은, 영상신호에 대한 처리를 행할 때 사용된 버퍼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카메라 제어부 101이 사용하는 동작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메모리 17을 더 구비한다.
카메라 본체 100은, 전원의 온 및 오프를 행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 영상신호의 기록을 개시시키는 촬영 스위치(릴리즈 스위치) 및 각종 메뉴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선택/설정 스위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조작 입력부 18을 더 구비한다. 카메라 본체 100은, 카메라 본체 100 및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가능한 카메라 악세사리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부 101을 더 구비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예를 들면, 카메라 조작 입력부 18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근거해 각종 설정을 행하거나, 또는, 마운트부 1을 통해 제1의 교환 렌즈200에 구비된 제1의 렌즈 제어부 201과의 통신을 제어한다.
제1의 교환 렌즈200은, 줌렌즈, 쉬프트 렌즈, 포커스 렌즈 등의 복수의 렌즈 군 및 조리개등의 광량조절 부재를 구비한 광학부재로 구성된, 렌즈10를 구비한다. 제1의 교환 렌즈200은, 렌즈 구동부 11을 더 구비한다. 렌즈 구동부 11은, 광학부재, 즉 해당 복수의 렌즈 군이나 조리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광학부재를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해당 액추에이터를 구동한다. 제1의 교환 렌즈200은, 제1의 교환 렌즈20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렌즈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LCPU)를 포함하는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을 더 구비한다.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예를 들면, 마운트부 1을 통해 카메라 제어부 101과의 통신을 제어하거나, 또는, 렌즈 구동부 11을 제어한다.
전기단자의 기본구성
다음에, 도3을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서로 접속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카메라 내부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은,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카메라 본체 100에 접속된 상태의 제1의 교환 렌즈200과 카메라 본체 100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다. 카메라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는, 록(lock) 기구, 마운트 보유 기구 및 복수의 전기단자를 각각 구비한다. 이 마운트들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3에 도시하는 것 같이, 마운트부 1은,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간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해당 복수의 단자(카메라측 단자)는, 도 4a에 도시하는 것 같이, 링형상의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의 단자보유부에 해당하는 접점보유 부재 105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접점 핀으로서 카메라 본체 100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있어서, 해당 복수의 단자(악세사리측 단자)는, 도 4b에 도시하는 것 같이, 링형상의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의 단자보유부에 해당하는 접점면 보유 부재 205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접점면으로서 제1의 교환 렌즈200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 100 및 제1의 교환 렌즈200의 각 전기접점 핀 및 전기접점면은,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된 상태로 서로 대응하는 접점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마운트는, 후술하는 것 같이, 각 마운트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가 각 마운트의 광축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단자끼리의 접촉 위치가 다르도록, 단차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단자는, 단일의 부품으로서 유닛화된 것이며, 각 마운트에 있어서 각 단자는, 단일의 배선부로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도18은, 카메라 본체 100의 카메라 마운트A의 내부구조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예를 들면, 도18에 도시하는 것 같이, 각 단자는, 단일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106을 거쳐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카메라 본체 100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접점보유 부재 105의 각 단자가 보유되는 위치에는, 각 단자가 삽입가능한 복수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복수의 구멍의 각각 카메라측 단자인 단자 1001∼1012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리테이닝(retaining) 판 107은, 각 단자를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피사체측(마운트 접촉면측)에 고정시키고, 리테이닝 판 107의 관통구멍을 통과한 스크류108a, 108b, 108c가 접점보유 부재 105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의 카메라 마운트A의 단일 유닛 구조에 대해서 설명했다. 후술한 그 밖의 마운트에 있어서, 적어도, 단일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배선)에 복수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같은 구조가 이용된다.
이 구조는, 각 마운트의 단자군을 복수 유닛으로 분할해서 마운트의 원주방향으로 산재시키는 경우와 달리, 각 단자를 일괄하여, 촬상 소자12의 전방면에 설치된 노광 개구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에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 마운트에 불필요 광이 입사했을 경우에, 금속재료로 형성된 단자에 의해 반사된 불필요 광이, 피사체의 촬영에 끼치는 영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자를 단일의 유닛으로서 형성하므로, 촬상 장치 및 카메라 악세사리의 내부에 있어서 배선이 덜 복잡해지고, 그 마운트들이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이하,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에 공통되는 각 단자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VDD단자 1001, 2001은, 주로 통신 제어에 사용된 통신 전력인 통신 제어용 전원(VDD)을 카메라 본체 100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예를 들면, 제1의 교환 렌즈20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단자다. 제1의 교환 렌즈200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은 5.0V로 한다.
VBAT단자 1002, 2002는, 조리개나 포커스 렌즈의 구동에 사용하는 액추에이터의 기계적인 구동부의 동작에 사용하는 구동전력인 구동용 전원(VBAT)을 카메라에서 카메라 악세사리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단자다. 환언하면, VBAT단자 1002, 2002는, 상기 통신 전력이외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단자다. 제1의 교환 렌즈200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은 4.5V로 한다. 상술한 VDD단자 및 VBAT단자는,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계 단자다. VBAT단자에 공급하는 전압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되는 악세사리의 종류에 따라, 전원회로의 출력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변경가능하여도 좋다.
DGND단자 1012, 2012는, 통신 제어용 전원VDD에 대응한 접지 단자다. 다시 말해, DGND단자 1012, 2012는, 소정의 단자에 대응한 그라운드 레벨(전압)을 나타내는 단자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지란, 그라운드 단자의 전압의 레벨을 전지등의 전원의 부극과 대략 동일한 레벨(그라운드 레벨)로 하는 것이다.
PGND단자 1004, 2004는, 카메라 본체 100의 단자와, 카메라 악세사리(예를 들면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설치된 모터(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기계적인 구동계의 단자에 대응하는, 접지 레벨을 나타내는 단자다. 다시 말해, PGND단자는, 구동용 전원VBAT에 대응한 접지 단자(그라운드 단자)이다. 이상 설명한 DGND단자 및 PGND단자는, 카메라 본체 100의 전원계와 카메라 악세사리의 전원계를 그라운드 레벨에 접지하기 위한 그라운드 단자다.
MIF단자 1005, 2005는, 카메라 본체 100에 카메라 악세사리(예를 들면, 제1의 교환 렌즈20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단자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MIF단자가 나타내는 전압의 레벨을 검출하여, 카메라 본체 100에 또는 카메라 본체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된 것이나 이탈된 것을 검출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해당 검출 결과로서, 예를 들면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을 검출한 후에, 전원계 단자에의 전원공급을 시작하고, 카메라 본체 100과 카메라 악세사리간의 통신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TYPE단자 1003, 2003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예를 들면, 제1의 교환 렌즈200)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단자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TYPE단자가 나타내는 신호의 전압의 값을 검출하고, 그 값에 근거하여,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한다. 제1의 교환 렌즈200은, 후술하는 소정의 저항값으로 DGND단자에 풀다운 접속된다. 상기 저항값은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다음에, 카메라 본체 100과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각종 통신용의 단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운트부 1에 설치된 복수의 통신 단자는 복수의 통신계(그룹)로 분할되고, 각 통신계는 서로 독립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LCLK단자 1008, 2008, DCL단자 1006, 2006, DLC단자 1007, 2007은, 제1의 통신을 행하는 제1통신부를 구성한다. DLC2단자 1009, 2009는, 제1의 통신부와는 독립적인 제2의 통신을 행하는 제2통신부를 구성한다. CS단자 1011, 2011, DCA단자 1010, 2010은, 제1, 제2의 통신부와는 독립적인 제3의 통신을 행하는 제3통신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과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상술한 복수의 통신용 단자를 통하여, 제1∼제3과의 독립적인 통신을 행할 수 있다.
LCLK단자 1008, 2008은, 제1통신부의 단자다. LCLK단자 1008, 2008은, 카메라 본체 100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에 출력되는 통신의 클록 신호용의 단자이고, 악세사리의 비지(busy) 상태를 카메라 본체 100이 감시하기 위한 단자다.
DCL단자 1006, 2006은, 제1통신부의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 100과 카메라 악세사리간의 양쪽 방향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다.
DLC단자 1007, 2007은, 제1통신부의 단자이며, 카메라 악세사리(예를 들면, 제1의 교환 렌즈200)로부터 카메라 본체 100에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다.
상술한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LCLK단자, DCL단자, DLC단자는, 신호의 출력 방식을 소위 상보적 금속산화물 반도체(CMOS) 출력 타입과 오픈 타입으로 바꿀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CMOS출력 타입은, 전압으로 나타낸 H(High)와 L (Low)의 쌍방에 스위치 출력이 존재하는 타입이다. 오픈 타입은, L측에만 스위치 출력이 존재하는 타입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픈 타입은, 소위 오픈 드레인 타입이지만, 오픈 콜렉터(open collector) 타입이여도 좋다.
DLC2 단자 1009, 2009는, 제2통신부의 단자이며, 카메라 악세사리(예를 들면, 제1의 교환 렌즈200)로부터 카메라 본체 100에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다.
DCA단자 1010, 2010은, 제3통신부의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 100과 카메라 악세사리(예를 들면, 제1의 교환 렌즈200)와의 양쪽 방향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다.
CS단자 1011, 2011은, 제3통신부의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 100과 카메라 악세사리(예를 들면, 제1의 교환 렌즈200)와의 통신 요구용의 신호 단자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었을 경우에, 제1∼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에 있어서의 통신 전압을 3.0V로 한다.
마운트부 1의 구조
다음에, 도4a, 4b와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여,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를 포함하는 마운트부 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a, 4b는,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4a는, 카메라 본체 100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A의 정면도, 도4b는,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B의 정면도다. 도5a 내지 5c는, 서로에 대해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B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단자끼리의 접속 상태를 각각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5a는,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B와의 장착 시작 상태, 도5b는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B와의 장착 중간상태, 도5c는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B와의 장착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도5a 내지 5c는,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 마운트에 설치된 단자를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광축은,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의 개구부분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에 평행하다.
도5a에 도시하는 상태는, 카메라 마운트A에 설치된 복수의 탭이 렌즈 마운트B에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에 삽입되고, 카메라 마운트A에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B에 설치된 복수의 탭이 삽입된 상태다. 이 상태에서, 렌즈의 장착 방향(장착가능한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B를 회전시킨다. 이때, 그 렌즈 장착 방향(장착 방향)은, 카메라 마운트A(또는 렌즈 마운트B)의 중심축에 직교한다. 도5c에 도시하는 것 같이, 상기 마운트 중 한쪽에 설치된 각 단자가 나머지 마운트에 설치된 대응한 단자에 각각 접속된 상태로의 천이가 일어난다. 도5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B의 상대적 회전은, 각 마운트에 설치된 회전 정지 부재인 록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지된다.
도19a, 19b는,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의 사시도이고 외관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9a는,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19b는,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제1의 교환 렌즈200이 떼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9a, 19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은, 각각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접촉면을 각각 갖는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B를 각각 구비한다. 이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A의 기준면끼리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전술한 장착 시작 위치부터 장착 완료 위치까지 카메라 본체 100 및 제1의 교환 렌즈200을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5b에 도시하는 상태는, 전술한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B의 장착 시작 상태와 장착 완료 상태의 사이의 상태이고, PGND단자들만이, 서로 대응하는 다른 단자의 접속보다 먼저 서로 접속을 시작한 상태이고, 이를 상세하게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운트에 설치된 전기단자를 접점 핀, 렌즈 마운트에 설치된 전기단자를 접점면(또는 접편)이라고 칭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카메라 마운트에 설치된 단자가 접점면이어도 되고, 렌즈 마운트에 설치된 단자가 접점 핀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은, 도4a, 4b와 도5a 내지 5c에 도시하는 것 같이, 광축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2단(2스텝)의 마운트다. 도5a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의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는, 피사체측에 돌출한 단을 카메라 마운트 상단(제2의 단), 촬상 소자측의 단을 카메라 마운트 하단(제1의 단)이라고 칭한다. 다시 말해, 카메라 마운트 상단이 카메라 마운트 하단보다도, 광축방향에 있어서 멀리 피사체측(또는 카메라 악세사리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5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제1의 교환 렌즈200의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피사체측으로 함몰된 단을 렌즈 마운트 하단(제2의 단), 카메라 마운트에 렌즈 마운트가 장착되는 상태에서 촬상 소자측에 돌출한 단을 렌즈 마운트 상단(제1의 단)이라고 칭한다. 다시 말해, 카메라 마운트에 렌즈 마운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렌즈 마운트 상단이 렌즈 마운트 하단보다도, 광축방향에 있어서 멀리 촬상 장치측에 돌출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카메라 마운트 상단의 단자는 렌즈 마운트 하단의 단자와만 접촉가능하며, 카메라 마운트 하단의 단자는 렌즈 마운트 상단의 단자와만 접촉가능하다.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는, 렌즈 마운트B에 대한 회전 방향(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의 가까운 측에 카메라 마운트 하단이 위치하고, 먼측에 카메라 마운트 상단이 위치한다.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는, 카메라 마운트A에 대한 회전 방향(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의 가까운 측에 렌즈 마운트 상단이 위치하고, 먼측에 렌즈 마운트 하단이 위치한다.
도5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렌즈 마운트B는, 렌즈 마운트B 및 카메라 마운트A의 각각에 설치된 각 단자끼리가 미끄러져 접촉하면서, 카메라 마운트A에 대하여 회전(도5c의 우방향)하여 이동한다. 그 후,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과의 장착이 완료한 상태에서, 카메라 마운트A의 각 접점 핀과 한 쌍의(대응한) 렌즈 마운트B의 각 접점면이 독립적으로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다. 이하에 주어진 설명을 간단화하기 위해서, 카메라 마운트A의 단자와 쌍으로 된(대응한) 렌즈 마운트B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상태를 접속이라고 칭하고, 전기적으로 쌍이 안 된(대응하지 않는) 단자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상태를 접촉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운트A에 설치된 복수의 탭군 및 렌즈 마운트B에서의 것들은 바요넷 탭이며, 바요넷 결합 방식에 의해 광축방향에 있어서 탭군끼리가 계합 함에 따라서, 그 마운트들의 장착(결합)이 완료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라 마운트부 1의 각 단자가 배치된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a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마운트 상단에는,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종단)으로부터 순서대로, VDD단자 1001, VBAT단자 1002, TYPE단자 1003, 및 PGND단자 1004가 배치된다.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은,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을 장착하는 경우에, 최후에 렌즈측의 단자와 접촉하는 카메라측의 단자가 위치하는 측이다. 그러므로, 렌즈측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은, 카메라 본체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을 장착하는 경우에 최초에 카메라측의 단자와 접촉하는 렌즈측의 단자가 위치하는 측이다.
카메라 마운트 하단에는,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으로부터 순서대로, MIF단자 1005, DCL단자 1006, DLC단자 1007, LCLK단자 1008, DLC2단자 1009, DCA단자 1010, CS단자 1011, 및 DGND단자 1012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렌즈 마운트 하단에는,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으로부터 순서대로, VDD단자 2001, VBAT단자 2002, TYPE단자 2003, 및 PGND단자 2004가 배치된다. 렌즈 마운트 상단에는,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으로부터 순서대로, MIF단자 2005, DCL단자 2006, DLC단자 2007, LCLK단자 2008, DLC2단자 2009, DCA단자 2010, CS단자 2011, 및 DGND단자 2012가 배치된다.
다시 말해, 카메라 마운트 상단, 및, 렌즈 마운트 하단에는, 각각 4개의 단자가 배치되고, 카메라 마운트 하단, 및 , 렌즈 마운트 상단에는 각각 8개의 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마운트 상단과 렌즈 마운트 하단쪽이, 카메라 마운트 하단과 렌즈 마운트 상단보다도 단자(노출된 접점)의 수가 적다.
바요넷 결합 방식과 같이, 카메라 마운트와 렌즈 마운트를 서로에 대해 회전시켜 촬상 장치와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착탈을 행할 경우, 착탈시에 그 마운트 중 하나에 설치된 단자들이 다른 마운트에 설치된 단자들상에서 미끄러진다. 일반적으로, 광축방향의 동일면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측에서는, 렌즈 장착 방향의 가장 먼측에 존재하는 접점 핀에 대해서는, 촬상 장치에 대한 카메라 악세사리의 착탈시에, 그 가장 먼측의 접점 핀에 대응하지 않는 악세사리측의 접점면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다. 광축방향의 동일면에 있어서, 렌즈 마운트측에서는, 렌즈 장착 방향의 가장 가깝게 존재하는 접점면에 대해서는, 촬상 장치에 대한 카메라 악세사리의 착탈시에, 그 가장 가까운 접점면에 대응하지 않는 카메라측의 접점 핀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렌즈 장착 방향으로 나머지 접점 핀(예를 들면, 가장 먼 렌즈 장착 방향에 위치된 접점 핀)보다 멀리 위치된 상기 카메라 마운트의 접점 핀(제1 접점 핀)은, 상기 카메라 악세사리가 상기 촬상 장치에 완전히 장착될 때 상기 제1 접점 핀에 접촉하는 상기 렌즈 마운트의 접점 면을 제외하고, 상기 렌즈 마운트의 나머지 접점 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렌즈 장착 방향으로 나머지 접점 면(예를 들면, 가장 가까운 렌즈 장착 방향에 위치된 접점 면)보다 가깝게 위치된 상기 카메라 마운트의 접점 면(제1 접점 면)은, 상기 카메라 악세사리가 상기 촬상 장치에 완전히 장착될 때 상기 제1 접점 면에 접촉하는 상기 카메라 마운트의 접점 핀을 제외하고, 상기 렌즈 마운트의 나머지 접점 핀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상술한 단자들이외의 단자는, 카메라 마운트에 대한 렌즈 마운트의 착탈횟수가 증가하는 만큼, 마모해버린다. 특히, 카메라 마운트의 단자(접점 핀)는,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진퇴(돌출 및 수축)가 가능한 가동식의 핀이며, 렌즈 마운트의 단자(접점면)에 대하여 선단의 1점상에서 미끄러진다. 그러므로, 미끄러지는 것에 대해 접점 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상술한 문제는, 광축과 직교하는 동일면에 있어서 일렬로 배치된 단자의 수가 증가하는 만큼 보다 현저해져, 접점 핀이 접점면상에서 미끄러지는 횟수가 증가한다. 접점 핀 및 접점면의 마모에 의해, 단자의 접촉 임피던스가 상승하고, 전압강하가 커져 전기 회로의 동작 허용 전압범위를 하회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교환 렌즈의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들이 다른 단자상에서 미끄러지는 횟수를 감소하기 위해서, 광축방향에 있어서 단자가 다른 위치, 즉 상단 및 하단으로 이루어진 2단에 보유되고, 상단 또는 하단인지의 여부에 따라 카메라측의 접점 핀이 교환 렌즈측의 접점면과 다른 높이로 접촉한다. 이 구조에 의해, 단자를 보유하는 단마다, 단자들의 마모를 감소할 수 있다.
더욱, 본 실시예에서는, 마운트마다, 상단과 하단에 보유하는 단자수를 다르게 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복수의 단자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단자를, 단자수가 보다 적은 단에 배치할 때, 중요한 단자의 마모를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수가 보다 적은 카메라 마운트 상단 및 렌즈 마운트 하단 각각에, 접촉 임피던스의 상승을 극히 억제하고 싶은 신호의 단자인 전원계단자(VDD단자, VBAT단자, PGND단자)를 배치한다. 카메라 마운트 하단 및 렌즈 마운트 상단 각각에는, 임피던스 상승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고(전원계 단자와 비교해서), 주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단자가 배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 악세사리에 대하여 안정한 전원공급이 가능하며, 카메라 악세사리의 안정한 동작(예를 들면, 포커스 제어)에 기여한다.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의 DGND단자 1012는, 카메라 마운트 하단에 위치되고, 또한, 렌즈 장착 방향의 가장 가깝게(선단)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측에 있어서의 접점 핀의 미끄럼에 대한 내구성에 관해서 가장 불리한 장소에 위치된다. 그렇지만, 카메라 악세사리에 설치된 전기 회로나 소자를 정전기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DGND단자는, 카메라 마운트에 형성된 금속부분을 물리적으로 그라운드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DGND단자는, 상기한 이유로 행해진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DGND단자를 렌즈 장착 방향의 가장 가깝게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GND단자쪽이 PGND단자보다도 단자에 공급된 전류치의 레벨이 작은 시스템을 상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에 공급된 전류치의 레벨이 보다 큰 PGND단자를, 배치하는 단자수가 적게 접촉 임피던스의 상승을 감소하는 관점에서 유리한 카메라 마운트 상단(및 렌즈 마운트 하단)에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A에서는, 카메라 마운트 상단의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으로부터 보아서 1번째와 2번째 단자로서 2개의 전원계의 접점 핀(VDD단자 1001, VBAT단자 1002)을 배치하고, TYPE단자 1003은, 전원계단자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트B에서는, 렌즈 마운트 하단에 있어서의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으로부터 보아서 1번째와 2번째 단자로서 2개의 전원계 접점면(VDD단자 2001, VBAT단자 2002)이 배치되어 있고, TYPE단자 2003이, 전원계단자에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 있어서는, 전원계의 2단자(VDD단자와 VBAT단자)와 PGND단자가 인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계의 2단자와 PGND단자간의 단자간 쇼트의 가능성을 감소하고, 해당 쇼트에 의한 카메라측에 설치된 전원회로의 오동작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VBAT단자 1002와 PGND단자 1004와의 사이에 배치된 TYPE단자 1003은, TYPE단자 1003의 신호 라인에 보호 소자를 구비하여, 카메라 본체 100의 전기 회로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TYPE단자이외의 단자도, TYPE단자 1003과 같이 보호 소자를 신호 라인에 부가하면, TYPE단자에 취해진 대책이 마찬가지로 취해질 수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DCL단자, DLC단자, LCLK단자, DLC2단자, DCA단자, 및 CS단자는, 통신용의 단자이고, 보호 소자를 부가함으로써 배선 용량이 증가해버린다. 이 경우, 배선 용량의 증가는 통신에 영향을 줄 수도 있고, 예를 들면, 통신 파형의 상승이나 하강의 응답성이 흐트러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통신용의 단자에는 될 수 있는한 보호 소자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 있어서, TYPE단자 1003은 신호 전압이 일정하고,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어 있는 기간에 이 신호 값은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과 같이, TYPE단자 1003에 보호 소자를 부가했다고 한들, 카메라 본체 100 및 제1의 교환 렌즈200가 실행하는 동작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MIF단자 1005에 대해서도 TYPE단자 1003과 마찬가지로, 신호 전압이 일정하기 때문에, TYPE단자 1003과 같이 보호 소자를 구비하여도 좋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서는, MIF단자 1005는 전원계단자에 인접해서 배치하지 않는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5c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에서는, VDD단자와 VBAT단자와의 단자간의 피치W2(거리)이 기본 피치W1보다도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W2>W1).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에서는, MIF단자와 PGND단자는 상기 마운트의 광축방향의 다른 단에 보유되어 있고, 단자간의 피치W3은 기본 피치W1 및 피치W2보다도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W3>W2>W1). 단자간의 피치는, 렌즈 마운트B의 장착 방향(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자(접점 핀 또는 접점면)의 중심간(중심선간)의 거리라고 하지만, 단자에 설치된 도통 부분간(금속영역간)의 거리이어도 좋다. 카메라 마운트A에 렌즈 마운트B가 장착되었을 경우, 인접하는 단자들에 있어서, 대응하는 접점 핀과 접점면과의 접촉 개소(접속 점)의 사이의 거리를 단자간의 피치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마운트B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VDD단자 2001과 VBAT단자 2002의 접점면의 폭이 후술하는 기본폭일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폭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VDD단자 2001과 VBAT단자 2002의 접점면의 폭을 기본폭보다 넓거나, 또는, 기본폭보다 좁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본폭과 VDD단자 2001과 VBAT단자 2002의 폭간이 차이를 고려하여서, VDD단자와 VBAT단자간의 피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VDD단자 2001과 VBAT단자 2002의 폭이 렌즈 이탈 방향으로 기본폭보다도 넓을 경우, VDD단자와 VBAT단자간의 피치를, 전술한 기본폭에 대한 차이만큼 넓힐 필요가 있다.
상술한 기본 피치는, 카메라 본체 100의 제조 및 조립에 관한 느슨함과 공차를 고려해서 설정된 단자끼리의 거리다. 기본 피치가 설정된 카메라 마운트A의 복수의 접점 핀은, 구부러지는 등의 변형이나 도전성의 이물질등이 단자간에 존재하지 않는 한, 후술하는 기본폭이 설정된 렌즈 마운트B의 1개의 접점면과 동시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 마운트A의 접점 핀이, 렌즈 마운트B의 접점면의 2군데이상과 접촉할 때, 인접하는 단자끼리가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은 접점 핀과 인접하는 단자간의 피치는 기본 피치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기본폭은, 카메라 악세사리의 제조 및 조립에 관한 느슨함과 공차를 고려해서 설정된 렌즈 마운트B의 접점면의 폭이다. 접점면의 폭은, 렌즈 마운트B의 장착 방향(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각 접점면의 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A에서 기본 피치가 설정된 복수의 접점 핀은, 기본폭이 설정된 1개의 접점면과 동시에 접촉하지 않는다. 기본폭이 설정된 렌즈 마운트B의 접점면은, 카메라측의 접점 핀의 변형이나 도전성의 이물질등이 접점 핀간에 존재하지 않는 한, 촬상 장치측의 접점 핀이 카메라 악세사리의 접점면에서 탈락하지 않는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 접점면의 폭은 기본폭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측의 VDD단자 1001과 VBAT단자 1002의 단자간 피치를, 유닛의 소형화와 전원의 안전성을 고려하여서 기본폭이 설정된 악세사리측의 VDD단자 2001 및 VBAT단자 2002의 폭보다 약 3° 넓게 설정한다. 이 구조에 의해, 카메라측의 VDD단자나 VBAT단자의 변형이나 해당 단자간에 도전성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이여도, 악세사리측의 VDD단자와 상술한 2개의 단자가 동시에 접촉이 될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단자간의 쇼트의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운트A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VDD단자 1001과 VBAT단자 1002의 단자간 피치를 기본 피치에 대하여 3° 넓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피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B와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에 있어서 단자간의 피치를 넓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서는, 카메라 마운트 상단에 있어서의 렌즈 장착 방향으로 가장 가깝게 PGND단자 1004가 배치되고, 렌즈 마운트 하단에 있어서의 렌즈 장착 방향의 가장 가깝게 PGND단자 2004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의 PGND단자 2004는, 전술한 기본폭보다도 폭이 넓은 접점면이며, 렌즈 마운트B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중에서, 접점면의 폭이 가장 넓은 단자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접점면의 폭은, 대응하는 단자끼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개소(접속 점)를 기준으로서, 카메라 마운트A로부터 렌즈 마운트B의 장착을 해제하는 방향(이탈 방향)으로의 접점면의 폭이다. 이 이탈 방향은, 렌즈 마운트B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가까운 측과 동의어다. 접점면의 폭을, 간단히 마운트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접점면의 중심을 기준으로서, 카메라 마운트A로부터 렌즈 마운트B의 장착을 해제하는 방향(이탈 방향)으로의 접점면의 폭으로서 정의하여도 좋다.
이 구조에서, PGND단자 2004는,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될 때에, 모든 단자 중에서 대응하는 단자와 최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다. PGND단자 2004는, 카메라 본체 100로부터 제1의 교환 렌즈200의 장착이 해제(이탈)될 때에, 모든 단자 중에서 대응하는 단자와 최후에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되는 단자다.
예를 들면, PGND단자가 전원계의 단자(VDD단자, VBAT단자)보다도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로부터 제1의 교환 렌즈200을 이탈시킬 때에, 렌즈 마운트의 PGND단자가 카메라 마운트의 전원계단자상에서 미끄러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의 교환 렌즈200을 이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속도에 따라서는, 렌즈 마운트의 PGND단자가 카메라 마운트의 전원계단자와 순간적으로 접촉해버린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로 인해, 전원계단자에 접속된 후술하는 카메라 본체 100의 카메라 전원부 103의 출력이 쇼트되어 버리고, 전원공급에 관련되는 오동작이나 전원제어에 있어서의 오동작이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GND단자가 다른 단자보다 먼저 렌즈 마운트측의 접점면과의 접속이 해제되는 구성을 상정한다. 이 경우, 카메라 마운트A와 렌즈 마운트B의 전원계의 단자끼리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고, 카메라 본체 100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유지된 특정한 상태로 PGND단자끼리의 접속이 해제되어버리면, 양쪽 기기에 있어서 오동작이나 고장이 생길 수도 있다.
상술한 문제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은, 카메라 본체 100에 대하여 제1의 교환 렌즈200을 탈착시에, 렌즈 마운트B의 PGND단자 2004가 카메라 마운트A의 PGND단자 1004이외의 임의의 단자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다(접촉하지 않는다). 이 구조에 의해, 카메라 마운트A의 전원계단자(VDD단자, VBAT단자)가 순간적으로 렌즈 마운트B의 PGND단자 2004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그 단자간에 쇼트할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 있어서, 전술한 모든 단자 중에서, 각각의 마운트에 있어서의 PGND단자끼리는, 카메라에 대하여 카메라 악세사리를 장착할 때는 최초에 접속되고, 이탈할 때는 최후에 접속이 해제된다. 환언하면, 카메라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를 뗄(이탈할) 때는, 마운트부 1에 있어서, PGND단자 이외의 대응하는 단자끼리의 접속이 해제될 때까지, PGND단자는 카메라 마운트와 렌즈 마운트와의 단자끼리 접속을 유지한다. 이 구조에 의해,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전원공급이 유지된 상태에 PGND단자끼리의 접속이 해제된 그라운드의 플로팅(floating)을 회피하고, 양쪽 기기에 있어서의 오동작이나 고장의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다.
도5c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마운트A(및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PGND단자 1004와 인접하는, 즉 TYPE단자 1003과의 단자간의 피치는, 전술한 기본 피치보다도 넓다(W2>W1). 구체적으로는, 기본 피치에 대하여, PGND단자 2004의 렌즈 마운트B의 장착을 해제하는 방향(이탈 방향)을 향한 접점면의 폭을 넓게 한 쪽과 대략 같은 분만큼, PGND단자 1004와 TYPE단자 1003과의 단자간의 피치를 넓게 한다. 이 구조에 의해, 렌즈 마운트B의 PGND단자 2004를 기본폭보다도 넓게 한 것에 기인한, PGND단자 2004와 PGND단자 1004 및 TYPE단자 1003이 동시에 접촉할 가능성을 감소하고, 인접단자끼리의 쇼트의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다.
도5a 내지 5c에 도시하는 것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 하단에 있어서의 렌즈 장착 방향의 가장 먼측에 MIF단자 1005가 배치되고, 렌즈 마운트 상단에 있어서의 렌즈 장착 방향의 가장 먼측에 MIF단자 2005가 배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 카메라 마운트A에 대한 렌즈 마운트B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는 단자이며, 카메라와 카메라 악세사리간의 통신을 시작 및 종료하는 트리거가 되는 중요한 단자인 MIF단자의 마모를 감소할 수 있다.
렌즈 마운트B의 MIF단자 2005는, 렌즈 마운트의 B의 상대적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전술한 기본폭을 갖는 접점면보다도 접점면의 폭을 좁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트B에서는, 제조 및 조립에 관한 느슨함과 공차를 고려했을 경우이여도 상술한 단자끼리의 접속순서가 변화되지 않도록, MIF단자 2005의 폭을 기본폭보다도 약 1° 좁게(짧게) 한다. 이 구조에 의해, MIF단자끼리는, 카메라에 카메라 악세사리를 장착할 때, 마운트부 1이 구비하는 전술한 모든 단자 중에서 최후에 접속되고, 카메라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가 이탈할 때는 최초에 접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 있어서는, 카메라 마운트A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B를 완전히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카메라는,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을 잘못 검출하지 않는다. 이 구조에 의해, 예를 들면, 전원계의 단자끼리의 접속이 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이 잘못 검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카메라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에 전원 공급전의 카메라의 오동작의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다.
도5a 내지 5c에 도시하는 것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는, 카메라 악세사리 하단에 있어서의 렌즈 장착 방향의 가장 가깝게 DGND단자 1012가 배치되고, DGND단자 1012에 인접하게 CS단자 1011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는, 렌즈 마운트 상단에 있어서의 렌즈 장착 방향의 가장 가깝게 DGND단자 2012가 배치되고, DGND단자 2012에 인접하게 CS단자 2011이 배치된다. CS단자의 배치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DGND단자는, 마운트의 금속부분을 물리적으로 그라운드에 접속하기 위한 가공의 용이성을 고려하여서, 렌즈 장착 방향의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도5a 내지 5c에 도시하는 것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 있어서는, MIF단자에 인접하여, 제1통신부의 단자군(LCLK단자, DCL단자, DLC단자)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 있어서는, 제2, 제3의 통신부의 단자군보다도, 렌즈 장착 방향의 보다 먼측에 제1의 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군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카메라 마운트 하단 및 렌즈 마운트 상단에 있어서는, MIF단자 1005의 다음에 제1의 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의 마모를 아주 큰 정도로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와 렌즈와의 사이에서 행해진 통신의 종류 중에서 특히 중요한 제1의 통신을 행하는 제1의 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군의 마모를, 다른 통신 단자보다도 보다 큰 정도로 감소할 수 있다.
도5a 내지 5c에 도시하는 것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 있어서는, 카메라 마운트 하단의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군에 인접하게 DLC2단자 1009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부 1에 있어서는, 렌즈 마운트 상단의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군에 인접하게 DLC2단자 200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상세는 후술한다.
어댑터400의 구성
다음에, 도6을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을 장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은,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을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6에 도시하는 것 같이, 어댑터4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의 각 마운트를 총칭하여 마운트부 2이라고 칭한다.
어댑터400은, 전술한 제1의 교환 렌즈200과 동일한 렌즈 마운트B를, 카메라 본체 100이 결합되는 쪽에 구비하고 있다. 어댑터400은, 렌즈 마운트B와는 반대측에, 제2의 교환 렌즈300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D에 대응하는 카메라 마운트C를 구비하고 있다. 도7a, 7b는, 카메라 마운트C와 렌즈 마운트D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7a는, 어댑터400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C의 정면도, 도7b는, 제2의 교환 렌즈300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D의 정면도다. 카메라 마운트C 및 렌즈 마운트D가 구비하는 각 단자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어댑터400은, 유저 조작을 수신하는 어댑터 조작 입력부 402와, 어댑터400용의 어댑터 전원부 403(도 8a, 8b를 참조)과, 어댑터40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구비한 어댑터 제어부 401을 구비한, 카메라 악세사리다. 어댑터 제어부 401은, 예를 들면, 마운트부 1을 통해 어댑터 제어부 401과 카메라 제어부 101간의 통신을 제어하거나, 혹은, 어댑터 조작 입력부 402에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터400은,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에 대응하지 않는 플랜지 초점거리를 갖는 제2의 교환 렌즈300을 카메라 본체 100에 간접적으로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제2의 교환 렌즈300은, 도시되지 않은 포커스 렌즈, 줌렌즈, 조리개 및 방진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부재로 구성된 렌즈19와, 상기 렌즈19를 이동 또는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렌즈 구동부 20을 구비한다. 제2의 교환 렌즈300은, 마운트부 1 및 마운트부 2를 통하여, 렌즈 제어부 301과 카메라 제어부 101간의 통신을 제어하거나, 또는, 렌즈 구동부 2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CPU를 구비한 제2의 렌즈 제어부 301을 더 구비한다.
다음에, 도8a, 8b를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 1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과의 어댑터400을 통한 접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8a, 8b는,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을 장착했을 경우의 각 마운트끼리의 접속 상태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마운트부 1에 있어서의 각 단자의 구성은, 전술한 대로 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댑터400의 제2의 교환 렌즈300(카메라 마운트C)측에 가까운 DLC2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8a, 8b에 도시하는 것 같이, 마운트부 2는, 어댑터4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복수의 단자는, 카메라 마운트C에 있어서는, 단자보유부에 해당하는 접점보유 부재 405(도 7a 참조)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 핀으로서 어댑터400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해당 복수의 단자는, 렌즈 마운트D에 있어서는, 단자보유부에 해당하는 접점면 보유 부재 305(도 7b 참조)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면으로서 제2의 교환 렌즈300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상술한 각 접점 핀 중에서 각 접점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어댑터400에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술한 각 접점면 중에서 대응한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하, 카메라 마운트C 및 렌즈 마운트D에 공통되는 각 단자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VDD단자 3001, 4001은, 주로 통신 제어에 사용된 통신 전력인 통신 제어용 전원(VDD)을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제2의 교환 렌즈300에, 어댑터400을 통해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다.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각 카메라 악세사리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은 5.0V로 한다.
VBAT단자 3002, 4002는, 주로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기계적인 구동부의 동작에 사용하는 구동전력인 구동용 전원(VBAT)을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제2의 교환 렌즈30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다.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각 카메라 악세사리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은 4.5V로 한다. 상술한 VDD단자 및 VBAT단자는,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계단자다.
DGND단자 3012, 4012는, 통신 제어용 전원VDD에 대응한 그라운드 단자(GND단자)이다. 이 DGND단자 3012, 4012는, 어댑터400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에 대하여도, 그라운드에 접속한다.
PGND단자 3004, 4004는, 카메라 본체 1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에 설치된 모터(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기계적인 구동계를 접지에 접속하는 그라운드 단자다. 다시 말해, PGND단자는, 구동용 전원VBAT에 대응한 그라운드 단자(GND단자)이다.
MIF단자 3005, 4005는, 카메라 본체 100에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단자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MIF단자가 나타내는 전압의 레벨을 검출 함으로써, 카메라 본체 100에 대해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된 것이나 이탈된 것을 검출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해당 검출의 결과로서 예를 들면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을 검출한 후에, 전원계단자에의 전원공급을 시작하고, 어댑터4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어댑터4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각종 통신용의 단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제1의 교환 렌즈200과는 달리, 제2의 교환 렌즈300은, 독립적인 통신계로서 제1의 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만을 구비한다.
LCLK단자 3008, 4008은, 제1통신부의 단자다. LCLK단자 3008, 4008은, 카메라 본체 100로부터 제2의 교환 렌즈300에 출력되는 통신 클록 신호용의 단자이고, 제2의 교환 렌즈300의 비지 상태를 카메라 본체 100이 감시하기 위한 단자다.
DCL단자 3006, 4006은, 제1통신부의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 1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과의 양쪽 방향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다. DCL단자 3006, 4006은, CMOS출력 타입의 인터페이스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CMOS출력 타입은, 전압이 나타내는 H(High)과 L(Low)의 쌍방에 스위치 출력이 있는 타입이다. 후술하는 오픈 타입은, L측에만 스위치 출력이 있는 타입이다.
DLC단자 3007, 4007은, 제1통신부의 단자이며, 제2의 교환 렌즈300르로부터 카메라 본체 100에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다. DLC단자 3007, 4007은, CMOS타입의 인터페이스다.
VDD단자, VBAT단자, DGND단자, PGND단자, MIF단자, LCLK단자, DCL단자, 및 DLC단자는, 어댑터400에 있어서, 마운트부 1로부터 마운트부 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하, 마운트부 2에는 설치되지 않는 각 단자의 어댑터400내에서의 접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운트부 1에 설치된 TYPE단자 1003, 2003은, 어댑터400에 있어서, 후술하는 소정의 저항값으로 DGND단자에 풀다운 접속된다.
DLC2단자는, 전술한 것 같은 제2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이지만,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을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할 경우에는, 통신 단자로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DLC2단자 1009, 2009는, 종단 처리로서, 어댑터400내부에 소정의 저항값으로 DGND단자에 풀다운 접속된다.
DCA단자는, 상기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다. 마운트부 1에 있어서는, DCA단자는, 카메라 본체 100과 어댑터400과의 양쪽 방향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이며, CMOS타입의 인터페이스다. 어댑터400의 마운트에 있어서 DCA단자는, 마운트부 1로부터 마운트부 2에의 단자끼리의 접속은 되지 않는다.
CS단자는, 전술한 것 같은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 100과 어댑터400과의 통신 요구용의 신호 단자다. CS단자는, 오픈 타입의 인터페이스다. 어댑터400의 마운트에 있어서 CS단자는, 마운트부 1로부터 마운트부 2에의 단자끼리의 접속은 되지 않는다.
어댑터4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었을 경우는,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에 있어서의 통신 전압을, VDD와 같은 전압으로 하고, 상기 제2,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에 있어서의 통신 전압을 약 3.0V로 한다. 다시 말해, 어댑터4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었을 경우는, 제1통신부에 있어서의 통신 전압과, 제2, 제3통신부에 있어서의 통신 전압과는 다르다.
중간 악세사리500의 구성
다음에, 도9와, 도10a, 10b를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 100에 중간 악세사리500을 통해 제1의 교환 렌즈200을 장착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 100에 중간 악세사리500을 통해 제1의 교환 렌즈200을 장착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다. 도9에 도시하는 것 같이, 중간 악세사리5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의 각 마운트를 총칭해서 마운트부 3이라고 칭한다.
중간 악세사리500은, 전술한 제1의 교환 렌즈200와 동일한 렌즈 마운트B를, 카메라 본체 100이 결합되는 쪽에 구비하고 있다. 중간 악세사리500은, 렌즈 마운트B와는 반대측에, 카메라 본체 100과 동일한 카메라 마운트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마운트들은, 전술한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 악세사리500은, 유저 조작을 수신하는 악세사리 조작 입력부 502와, 중간 악세사리500의 악세사리 전원부 503과, 중간 악세사리50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CPU를 구비한 악세사리 제어부 501을 구비한 카메라 악세사리다.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예를 들면, 마운트부 1을 통해 악세사리 제어부 501과 카메라 제어부 101과의 통신을 제어하거나, 혹은, 악세사리 조작 입력부 502에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악세사리500은, 확대 변배용의 (도시되지 않은) 렌즈 군을 구비한 익스텐더(extender)나,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의 양자의 동작으로서 어떠한 카메라 기능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 악세사리다.
다음에, 도10a, 10b를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과의 중간 악세사리500을 통한 접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0a, 10b는, 카메라 본체 100에 중간 악세사리500을 통해 제1의 교환 렌즈200을 장착했을 경우의 마운트끼리의 접속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마운트부 1에 있어서의 각 단자의 구성은, 전술한 대로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0a, 10b에 도시하는 것 같이, 마운트부 3은, 중간 악세사리5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단자로서, 중간 악세사리500의 외부에 노출하는 접점 핀은 전술한 카메라 본체 100의 접점 핀과 동일하다.
이하, 전술한 카메라 본체 100 및 제1의 교환 렌즈200에 대한 중간 악세사리500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0a, 10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중간 악세사리500은,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의 각각에 설치된 단자군을 통해서 카메라 본체 100 및 제1의 교환 렌즈200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 악세사리500의 VDD단자 1001과 2001과의 사이는, 마운트부 1로부터 마운트부 3까지 단자간 스루(through) 배선되어 있다. 중간 악세사리500의 전기 회로에, VDD(통신 제어용 전원)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 악세사리500의 DGND단자 1012와 2012와의 사이는, 마운트부 1로부터 마운트부 3까지의 단자간 스루 배선되어 있다. 중간 악세사리500의 전기 회로를 DGND단자에 접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 악세사리500의 DCA단자 1010, 2010은, 전술한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 100, 제1의 교환 렌즈200, 및 중간 악세사리500간에 양쪽 방향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다. 중간 악세사리500의 CS단자 1011, 2011은, 전술한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이며, 카메라 본체 100, 제1의 교환 렌즈200, 및 중간 악세사리500간에 통신 요구용의 신호 단자다.
중간 악세사리500의 VBAT단자, PGND단자, MIF단자, TYPE단자, LCLK단자, DCK단자, DLC단자, DLC2단자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지만, 상기한 각 타입의 단자 사이에는, 마운트부 1로부터 마운트부 3까지의 단자간 스루 배선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간 악세사리5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었을 경우, 카메라 본체 100에 직접 제1의 교환 렌즈200을 장착했을 경우와 같이, 제1, 제2, 제3통신부의 각 단자에 있어서의 통신 전압을 약 3.0V로 한다.
각 통신 단자의 신호 라인의 단자처리
다음에, 각 통신 단자의 신호 라인의 단자처리에 대해서 도3, 도8a, 8b, 및 도10a,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LCLK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라인은,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소정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LCLK_C 120을 통해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각 단자의 통신 전압과 동전위에 풀업 접속된다.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LCLK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라인은,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소정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LCLK_L 220을 통해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각 단자의 통신 전압과 동전위에 풀업 접속된다.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DCL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라인은,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소정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DCL_L 221을 통해 제1통신부의 각 단자의 통신 전압과 동전위에 풀업 접속된다.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DLC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라인은,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소정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DLC_C 121을 통해 제1통신부의 각 단자의 통신 전압과 동전위에 풀업 접속된다.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DLC2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라인은,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소정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DLC2_C 122를 통해 DGND단자의 신호 라인에 풀다운 접속된다. 어댑터400에 있어서 DLC2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라인은, 어댑터400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DLC2_A 422를 통해 DGND단자의 신호 라인에 풀다운 접속된다.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CS단자에 대응하는 신호 라인은,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소정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CS_C 123을 통해 제3통신부의 각 단자의 통신 전압과 동전위에 풀업 접속된다.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CS단자의 신호 라인은,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소정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CS_L 222를 통해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각 단자의 통신 전압과 동전위에 풀업 접속된다. 어댑터400, 중간 악세사리500에 있어서의 CS단자의 신호 라인은, 대응한 기기에 있어서 소정의 저항값을 각각 나타내는 저항기R_CS_A 420과 저항기R_CS_A 520을 통해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각 단자의 통신 전압과 동전위에 풀업 접속된다.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DCA단자의 신호 라인은,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소정의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DCA_C 124를 통해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의 통신 전압과 동전위에 풀업 접속된다.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의 통신용 인터페이스부의 구성
다음에, 도3, 도8a, 8b를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 100에 설치된 각 통신 단자와 카메라 제어부 101과의 사이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기능하는, 제1통신용I/F부 102a, 제2/제3통신용I/F부 102b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 도8a, 8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의 내부에는, 제1통신용I/F부 102a가 설치된다. 이 제1통신용I/F부 102a는, DCL단자, DLC단자 및 LCLK단자에 접속되고, 카메라 본체 100과 각 교환 렌즈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제1의 통신용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기능한다.
카메라 본체 100의 내부에는, 제2/제3의 통신용I/F부 102b가 설치된다. 이 제2/제3의 통신용I/F부 102b는, DLC2단자, DCA단자, 및 CS단자에 접속되고, 카메라 본체 100과 각 교환 렌즈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제2의 통신 및 제3의 통신용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기능한다. 이후는, 제1통신용I/F부 102a와 제2/제3통신용I/F부 102b를 총칭하여, I/F부 102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3, 도8a, 8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제어부 101이 3.3V의 전압 레벨로 구동하고, 카메라 제어부 101의 전압의 레벨이 3.3V일 경우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해당 전압의 레벨은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I/F부 102는, 주요 기능의 1개로서, 카메라 마운트A에 설치된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과 카메라 제어부 101의 전압간에 변환하기 위한 레벨 시프터 기능을 갖춘다. 이 레벨 시프터 기능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었을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각 단자의 인터페이스 전압은 3.0V가 된다. 그렇지만, 카메라 제어부 101가 나타낸 전압은 3.3V이기 때문에, 각 단자가 나타낸 전압은 카메라 제어부 101가 나타낸 전압과 다르다. I/F부 102는, 해당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의 전압변환을 행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에 중간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각 단자의 인터페이스 전압은 VDD와 같은 전압(5.0V)이다. 제2,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각 단자의 인터페이스 전압은 3.0V다. 이 경우도, I/F부 102는, 카메라 제어부 101와 각 단자간의 전압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의 전압변환을 행한다. 다시 말해, I/F부 102는, 카메라 제어부 101의 전압과 같은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전원전압(3.3V)과,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과 같은 전압 레벨의 전원전압(5.0V 또는, 3.0V)을 인가함으로써, 각 단자의 신호의 전압변환을 행한다.
제2/제3 통신용I/F부 102b에 관해서는, 마운트에 설치된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은 항상 고정 값이다. 이 때문에, 해당 고정 값이 카메라 제어부 101의 전압과 같은 전압 레벨이면, 제2/제3 통신용I/F부 102b는 상술한 레벨 시프터 기능을 가질 필요가 없다.
I/F부 102는, 주요 기능의 1개로서,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LCLK단자 1008 및 DCL단자 1006을 오픈 드레인 타입의 출력, 혹은, CMOS출력 타입의 출력으로 바꾸는 기능이 있고, 이하,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된 직후의 초기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 100의 LCLK단자 1008과 DCL단자 1006은 오픈 드레인 타입의 출력을 행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예를 들면 도3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제어부 101의 BUSY입력 단자를 통해, LCLK단자 1008의 전압 레벨을 감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의 교환 렌즈200과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렌즈 마운트B의 LCLK단자 2008에 전압의 Low레벨을 출력한다. 통신가능할 경우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LCLK단자 2008을 입력측으로 바꾼다. 이때, 각 마운트에 있어서의 LCLK단자 라인에는, 풀업 저항기인 저항기R_LCLK_C 120, R_LCLK_L 220에 의해 전압의 High레벨이 출력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예를 들면, LCLK단자 1008의 전압 레벨의 High레벨에의 바뀌기를 검출하면, 제1의 교환 렌즈200과의 통신이 가능해지는 것을 인식한다. 그 후, 카메라 제어부 101은, LCLK단자 1008과 DCL단자 1006에 인가되는 오픈 드레인 타입 또는 CMOS출력 타입을 선택하고, I/F부 102를 거쳐 상기 선택된 출력 타입으로 변경한다. 여기에서, I/F부 102를 오픈 드레인 타입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의 통신을 오픈 드레인 통신이라고 칭하고, I/F부 102를 CMOS출력 타입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의 통신을 CMOS통신이라고 칭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제1의 교환 렌즈200의 장착시에 LCLK단자 1008로부터 High레벨의 전압이 검출되었을 경우, LCLK단자 1008과DCL단자 1006을 CMOS출력 타입으로 바꾸고, 제1의 교환 렌즈200과 CMOS통신을 행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제2의 교환 렌즈300의 장착시는, LCLK단자 1008과 DCL단자 1006을 오픈 드레인 타입으로 유지하고 제2의 교환 렌즈300과 오픈 드레인 통신을 행한다. 그 후, 카메라 제어부 101은 제2의 교환 렌즈300이 CMOS통신을 지원하는 교환 렌즈라고 판단했을 때에, 카메라 제어부 101은, I/F부 102를 사용하여 LCLK단자 1008과 DCL단자 1006을 CMOS출력 타입으로 바꾸고, 상기 렌즈와 CMOS통신을 행한다.
전술한 오픈 타입의 출력 방식은, 오픈 드레인 출력 방식일 필요는 없고 오픈 콜렉터 출력 방식이어도 좋다. 전압의 High레벨 출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풀업 저항기를 설치함으로써 실현하면 좋다. 그 출력 방식의 전환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적어도, 카메라 본체 100에 어떤 교환 렌즈가 장착되었을 때에, LCLK단자 1008과 DCL단자 1006이 오픈 타입의 통신을 행할 필요가 있다.
I/F부 102는, 주요 기능의 1개로서,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DCL단자 1006 및 DCA단자 1010의 입/출력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입/출력 방향 전환 기능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CL단자 및 DCA단자를 통해 통신 데이터의 양쪽 방향의 통신을 행하므로, I/F부 102에 의해 신호의 입/출력 방향을 바꾼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통신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되는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에 따라, VDD와 동전압과 3.0V로 바꾼다. 제2,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통신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되는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에 관계없이 변화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값(3.0V)을 갖는다.
제1통신용I/F부 102a에는, VDD와 동전압 또는 3.0V의 전원전압(Vs)과, 카메라 제어부 101이 나타내는 전압과 동전위의 전원전압(3.3V)이, 후술하는 카메라 전원부 103로부터 공급된다. 제2/제3통신용I/F부 102b에는, 3.0V의 전원전압과, 카메라 제어부 101이 나타내는 전압과 동전위의 전원전압(3.3V)이, 후술하는 카메라 전원부 103으로부터 인가된다.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의 카메라 전원부 및 전원전환부의 구성
다음에, 도3, 도8a, 8b를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각 전원을 생성하는 카메라 전원부 10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 전원부 103은,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에 대하여, VDD단자를 통해 급전하기 위한 전원, 또는 후술하는 전원전환부 104를 통해 제1통신용I/F부 102a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통신 제어용 전원(VDD)을 생성한다. 카메라 전원부 103은,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에 대하여 VBAT단자를 통해 급전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구동용 전원(VBAT)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VDD의 전원전압을 5.0V로 하고, VBAT의 전원전압을 4.5V로 한다.
카메라 전원부 103은, 카메라 제어부 101 및 I/F부 102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3.3V의 전원을 생성한다. 카메라 전원부 103은, 후술하는 전원전환부 104를 통해 I/F부 102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3.0V의 전원을 생성한다.
다음에, 제1통신용I/F부 102a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을 바꾸기 위한 전원전환부 104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전환부 104는, 카메라 전원부 103과 접속되어 있다. 전원전환부 104는, 카메라 전원부 103에서 생성된 VDD와 3.0V의 전원만을 통신 인터페이스용의 전원Vs로서 제1통신용I/F부 102a에 대하여 공급한다. 전원전압의 전환은, 카메라 제어부 1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행해진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TYPE단자 1003을 사용하여,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가 제1의 교환 렌즈200이다고 판별했을 경우, 전원Vs가 3.0V 전원이 되도록 전원전환부 104를 제어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는,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어 있다고 판별했을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용의 전원Vs가 VDD와 동전압이 되도록 전원전환부 104를 제어한다. 더욱,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이 검출되지 않고 있는 기간, 및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전원Vs가 3.0V 전원이 되도록 전원전환부 104를 제어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직접 장착되었을 경우는, 3.0V가 정격전압인 제1의 교환 렌즈200의 전기 회로에 3.0V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이 검출되지 않고 있는 상태, 및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통신 인터페이스용의 전원Vs를 공급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제2/제3통신용I/F부 102b에 공급하는 전원(3.0V)에 관해서도, 전원Vs를 공급할 필요는 없다. 이 구성에 의해, 카메라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각 단자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메라 악세사리의 미장착시에, 서로 대응하지 않는 단자들을 통해 흐르는 의도하지 않는 전압의 전류의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이, I/F부 102 및 전원전환부 104를 제어 함으로써,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에 대응한 적절한 전압으로 각 타입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있어서의 통신용 인터페이스부의 구성
다음에, 도3을 참조하여,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설치된 각 통신 단자와 제1의 렌즈 제어부 201과의 사이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기능하는, 제1의 렌즈 I/F부 20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하는 것 같이, 제1의 교환 렌즈200의 내부에는,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있어서의 통신용의 인터페이스부로서, 제1의 렌즈 I/F부 202가 설치된다. 이 제1의 렌즈 I/F부 202는,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제1, 제2,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를 통해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기능한다.
제1의 렌즈 I/F부 202는, 주요 기능의 1개로서, 렌즈 마운트B에 설치된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과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이 나타내는 전압간에 변환하기 위한 레벨 시프터 기능을 갖춘다. 이 레벨 시프터 기능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이 나타내는 전압 레벨과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이 다른 경우, 제1의 렌즈 제어부 201과 각 단자간의 차이에 따라, 제1의 렌즈 I/F부 202은, 해당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의 전압변환을 행한다. 도3에 도시하는 것 같이,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이 나타내는 전압과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의 레벨이 동일(3.0V)할 경우는, 상술한 레벨 시프터 기능은 제공될 필요는 없다.
제1의 렌즈 I/F부 202의 주요 기능의 1개로서, 제1의 렌즈 I/F부 202는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LCLK단자 2008을 입력과, 오픈 드레인 타입의 출력간에 바꾸는 기능을 갖는다. 제1의 렌즈 I/F부 202는, 제1의 렌즈 I/F부 202의 주요 기능의 1개로서,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DLC단자 2007을 오픈 드레인 타입의 출력과 CMOS출력 타입의 출력간에 바꾸는 기능을 더 갖는다.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었을 경우의 LCLK단자 2008 및 DLC단자 2007의 제어에 대해서는,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의 통신 인터페이스의 설명에서 전술한 대로다. 다시 말해,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제1의 렌즈 I/F부 202를 제어 함으로써, LCLK단자 2008이 출력하는 전압 레벨에 따라 LCLK단자 2008과 DLC단자 2007의 출력 타입을 바꾼다.
제1의 렌즈 I/F부 202의 주요 기능의 1개로서, 제1의 렌즈 I/F부 202는,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DCL단자 2006 및 DCA단자 2010의 입/출력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입/출력 방향전환 기능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CL단자 및 DCA단자를 통해 통신 데이터의 양쪽 방향의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제1의 렌즈 I/F부 202에 의해 신호의 입/출력 방향을 바꾼다.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있어서의 렌즈 전원부의 구성
다음에, 도3을 참조하여,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있어서 각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 20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상태로, 제1의 교환 렌즈200의 렌즈 전원부 203에는, 전술한 카메라 전원부 103으로부터 VDD단자를 통해 통신 제어용 전원(VDD)이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렌즈 전원부 203은,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공급된 VDD에 근거하여, 제1의 렌즈 제어부 201, 및, 제1의 렌즈 I/F부 202에 인가되기 위한 전원전압으로서 3.0V의 전원을 생성한다.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의 교환 렌즈200의 구동회로부 204에는, 전술한 카메라 전원부 103으로부터 VBAT단자를 통해 구동용 전원(VBAT)이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렌즈 제어부 201과 제1의 렌즈 I/F부 202의 전원전압의 레벨을 동일 레벨(3.0V)로 설정하지만,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이 나타내는 전압 레벨은 3.3V로 설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1의 렌즈 I/F부 202에 대하여 3.0V와 3.3V의 전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렌즈 전원부 203은, 3.0V 및 3.3V의 전원을 생성한다.
제2의 교환 렌즈300에 있어서의 통신용 인터페이스부의 구성
다음에, 도8a, 8b를 참조하여, 제2의 교환 렌즈300에 설치된 각 통신 단자와 제2의 렌즈 제어부 301과의 사이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기능하는, 제2의 렌즈 I/F부 30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8a, 8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제2의 교환 렌즈300의 내부에는, 제2의 렌즈 I/F부 302가 설치된다. 이 제2의 렌즈 I/F부 302에는, DCL단자 3006, DLC단자 3007, 및 LCLK단자 3008과 접속되고, 제2의 렌즈 I/F부 302는 카메라 본체 1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과의 사이에서 행해진 제1의 통신의 인터페이스 회로로서 기능한다.
제2의 렌즈 I/F부 302는, 제2의 렌즈 I/F부 302의 주요 기능의 1개로서, 렌즈 마운트D에 설치된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과 제2의 렌즈 제어부 301이 나타내는 전압을 변환하기 위한 레벨 시프터 기능을 갖춘다.
이 레벨 시프터 기능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은 VDD와 동전압이며, 제2의 렌즈 제어부 301이 나타내는 전압을 3.3V로 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2의 렌즈 제어부 301가 각 단자간의 전압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제2의 렌즈 I/F부 302는,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의 전압변환을 행한다. 제2의 렌즈 제어부 301이 나타내는 전압의 레벨과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의 레벨이 동일할 경우는, 상술한 레벨 시프터 기능은 제공될 필요는 없다.
제2의 렌즈 I/F부 302는, 제2의 렌즈 I/F부 302의 주요 기능의 1개로서, 렌즈 마운트D에 있어서, LCLK단자 3008을 입력과 오픈 드레인 타입의 출력으로 바꾸는 기능이 있다. 제2의 렌즈 I/F부 302는, 제2의 렌즈 I/F부 302의 주요 기능의 1개로서, 렌즈 마운트D에 있어서, DLC단자 3007을 오픈 드레인 타입의 출력 또는 CMOS출력 타입의 출력으로 바꾸는 기능을 더 갖는다.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었을 경우의 LCLK단자 3008 및 DLC단자 3007의 제어에 대해서는, 제1의 교환 렌즈200에서의 통신 인터페이스의 설명에서 전술한 대로다. 다시 말해, 제2의 렌즈 제어부 301은, 제2의 렌즈 I/F부 302을 제어 함으로써, LCLK단자 3008이 출력하는 전압 레벨에 따라서 LCLK단자 3008과 DLC단자 3007의 출력 타입을 바꾼다.
제2의 교환 렌즈300에 있어서의 렌즈 전원부의 구성
다음에, 도8a, 8b를 참조하여, 제2의 교환 렌즈300에 있어서 각 전원을 생성하는 렌즈 전원부 30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어댑터4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의 교환 렌즈300의 렌즈 전원부 303에는, 전술한 카메라 전원부 103으로부터 VDD단자를 통해 통신 제어용 전원(VDD)이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렌즈 전원부 303은,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공급된 VDD에 근거하여, 제2의 렌즈 제어부 301, 및 제2의 렌즈 I/F부 302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전압으로서 3.3V의 전원을 생성한다.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어댑터4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의 교환 렌즈300의 구동회로부 304에는, 전술한 카메라 전원부 103으로부터 VBAT단자를 통해 구동용 전원(VBAT)이 공급된다.
어댑터400의 내부구성
다음에, 도8a, 8b를 참조하여, 어댑터400이 구비하는 회로의 내부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어댑터400의 어댑터 전원부 403에는, 전술한 카메라 전원부 103으로부터 VDD단자를 통해 통신 제어용 전원(VDD)이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어댑터 전원부 403은,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공급된 VDD에 근거하여, 어댑터CPU를 포함하는 어댑터 제어부 401과 어댑터 조작 입력부 402에 공급되는 전원을 생성한다.
어댑터 조작 입력부 402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메뉴얼 포커스에 관련되는 설정이나 조리개의 개구경에 관련되는 설정등을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유저가 수동 조작가능한 조작 부재로서, 예를 들면 어댑터400의 원주방향에 회전가능한 링 부재를 포함한다.
어댑터 제어부 401은, N채널형 트랜지스터로 형성된 오픈 인터페이스부 404의 제어에 따라, 어댑터400의 렌즈 마운트B에 설치된 CS단자 2011의 통신 요구의 어서트(assert)/니게이트(negate)를 행한다. 어댑터 제어부 401은, CS단자 2011의 전압 레벨이 입력되어, CS단자 2011의 전압 레벨을 감시한다.
어댑터 조작 입력부 402에 입력된 조작 정보는, 어댑터 제어부 401과 카메라 제어부 101과의 사이에 있어서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를 통한 제3의 통신에 의해, 카메라 본체 100의 각종 설정에 반영된다. 구체적으로, 어댑터 제어부 401은, 어댑터 조작 입력부 402에 입력되는 조작 정보를 검출하면, 오픈 인터페이스부 404를 제어하고,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CS단자 2011을 거쳐 카메라 제어부 101에 통신 요구를 송신한다. 이 경우, 어댑터 제어부 401은,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DCA단자 2010을 거쳐, 카메라 제어부 101에 상기 검출한 조작 정보를 송신한다.
중간 악세사리500의 내부구성
다음에, 도10a, 10b를 참조하여, 중간 악세사리500이 구비하는 회로의 내부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 본체 100에 중간 악세사리5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중간 악세사리500의 악세사리 전원부 503에는, 전술한 카메라 전원부 103로부터 VDD단자를 통해 통신 제어용 전원(VDD)이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악세사리 전원부 503은,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공급된 VDD에 근거하여, 악세사리CPU를 포함하는 악세사리 제어부 501과 악세사리 조작 입력부 502에 공급하는 전원을 생성한다.
악세사리 조작 입력부 502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메뉴얼 포커스에 관련되는 설정이나 조리개의 개구경에 관련되는 설정을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유저가 수동조작가능한 조작 부재로서, 예를 들면, 중간 악세사리500의 원주방향에 회전가능한 링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중간 악세사리 500은, 전술한 어댑터 400과 같이, N채널형 트랜지스터로 형성된 오픈 인터페이스부 504를 구비한다. 이 오픈 인터페이스부 504은, 제어 대상은 다르지만, 전술한 오픈 인터페이스부 404와 대략 동일한 동작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악세사리 조작 입력부 502에 입력된 조작 정보는, 악세사리 제어부 501과 카메라 제어부 101 혹은 제1의 렌즈 제어부 201과의 사이에 있어서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를 통한 제3통신을 거쳐, 카메라 본체 100의 각종 설정에 반영된다. 구체적으로,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악세사리 조작 입력부 502에 입력되는 조작 정보를 검출하면, 오픈 인터페이스부 504를 제어하고,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CS단자 2011을 거쳐 카메라 제어부 101에 통신 요구를 송신한다. 이 경우,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제3통신부에 대응한 DCA단자 2010을 거쳐, 카메라 제어부 101에 상기 검출한 조작 정보를 송신한다.
카메라 악세사리의 판별 방법
다음에, 도11 및 하기 표1을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TYPE단자 1003이 나타내는 전압의 레벨에 근거하여, 카메라 제어부 101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1]
Figure 112018053480306-pat00001
상술하는 것 같이, 표1은 카메라 본체 100에 각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되었을 경우(에러 등을 포함한다)의 TYPE단자의 입력 신호와 통신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1에 나타내는 것 같은 TYPE_IN단자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과 장착 악세사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테이블 데이터)를, 카메라 제어부 101에 설치된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격납되어 있다. 해당 테이블 데이터는, 카메라 본체 100의 내부에 설치된 기록부의 임의의 메모리 영역에 기록되어도 좋다.
TYPE단자 1003은,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저항기R_TYPE_C 126을 통해 3.3V의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전원에 풀업 접속된다. 이 경우에, 그 TYPE단자는 저항기R_TYPE_L 224를 거쳐 DGND단자에 풀다운 접속된다. 이 경우, TYPE단자 1003에서는, 3.3V의 전원을 저항기R_TYPE_C 126과 저항기R_TYPE_L 224의 각 저항값에 근거하여 분압하고, 그 분압된 전압이 카메라 제어부 101에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각 저항기가 나타내는 저항값은, 단자간이 쇼트의 경우를 고려하여, 쇼트할 가능성이 있는 단자에 접속되는 다른 저항기가 나타내는 저항값과의 비율에 따라서 설정된다.
TYPE단자는,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이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저항기R_TYPE_C 126을 통해 3.3V의 전압 레벨을 나타내는 전원에 풀업 접속되어, 저항기R_TYPE_A 421을 거쳐 DGND단자에 풀다운 접속된다. 이 경우, 3.3V의 전원을 저항기R_TYPE_C 126과 저항기R_TYPE_A 421의 각 저항값에 근거하여 분압하고, 그 분압된 전압이 카메라 제어부 101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와, 그 AD변환기의 입력 포트인 TYPE_IN단자를 가지고 있다. 이 TYPE_IN단자에는 TYPE단자 1003이 접속되어 있다. 설명을 위해, AD변환기의 분해능은 10bit(1024분할:0x0000∼0x03FF)이라고 한다. TYPE단자 1003과 TYPE_IN단자의 사이에는, TYPE_IN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소정의 저항값(본 실시예에서는, 1kΩ)을 나타내는 저항기가 접속되어 있다.
설명을 위해, 각 저항기가 나타내는 소정의 저항값은 아래와 같이 가정한다.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의 풀업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TYPE_C 126의 저항값은 100kΩ이다.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있어서의 풀다운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TYPE_L 224의 저항값은 33kΩ이다. 어댑터400에 있어서의 풀다운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R_TYPE_A 421의 저항값은 300kΩ이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에 따라,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제어부 101은, TYPE_IN단자에 입력된 전압 레벨을 AD변환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AD변환후의 전압값과 카메라 제어부 101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가 미리 보유하는 각 렌즈의 종류에 대응한 역치(기준값)와를 비교 함으로써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한다.
이하, 각 카메라 악세사리의 구체적인 판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1a 내지 11e는, 카메라 본체 100의 TYPE_IN단자와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접속 상태를 각각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1a는,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도11b는,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이 장착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11c는, 카메라 본체 100과 카메라 악세사리에 설치된 TYPE단자끼리가 적절하게 접촉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11d는, 단자간에 도전성의 이물질이 부착되기 때문에, TYPE단자와 인접하는 VBAT단자간에 쇼트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1e는, 단자간에 도전성의 이물질이 부착되기 때문에, TYPE단자와 인접하는 PGND단자간에 쇼트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1a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었을 경우, 카메라 제어부 101의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AD변환후)은, 대략 "0x0103"이 된다. 도11a에 도시할 경우는,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카메라 본체 100내의 풀업 저항값 100kΩ과 보호 저항값 1kΩ 및 제1의 교환 렌즈200내의 풀다운 저항값 33kΩ과의 비율(분할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메모리에 격납된 테이블 데이터(표1에 나타낸다)와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비교한다. 예를 들면,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AD변환후)이 "0x0103"일 경우, 표1에 나타낸 것 같은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전압 레벨 "0x0080∼0x017F"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 경우,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도11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이 장착되었을 경우, 카메라 제어부 101의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AD변환후)은, 대략 "0x0300"이 된다. 도11b에 도시된 경우에는,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카메라 본체 100내의 풀업 저항값 100kΩ과 보호 저항값 1kΩ 및 어댑터400내의 풀다운 저항값 300kΩ과의 비율(분할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이 경우,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AD변환후)이 "0x0300"이므로, 표1에 나타낸 것 같이, 어댑터40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전압 레벨 "0x0280∼0x037F"의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이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도11c에서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과 카메라 악세사리에 설치된 TYPE단자끼리가 적절하지 않게 접촉된 경우, 카메라 제어부 101의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대략 "0x03FF"가 된다. 이 경우,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카메라 본체 100내의 풀업 저항값 100kΩ에만 근거하여 결정된다.
상술했을 경우,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제1의 교환 렌즈200과 어댑터400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는 전압이다. 이 경우,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표1에 나타낸 에러1에 해당하기 때문에,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를 판별하지 못한다. 도11c에 도시하는 상태는,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과 카메라 악세사리의 MIF단자끼리는 적절하게 접속하고 있지만, TYPE단자끼리가 접촉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 해당한다.
다음에, 도11d에 도시하는 것 같이, TYPE단자와 인접하는 VBAT단자간에 도전성의 이물질이 부착되고 있는등에 의해, TYPE단자가 인접하는 단자와 쇼트하고 있을 경우, TYPE단자에 VBAT단자의 신호 라인이 접속된다. 이 때,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의 판별을, VBAT단자에의 전원공급전에 행할 경우는, VBAT전원의 상태에 따라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의 판별 결과가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VBAT전원이 오프의 경우이며, VBAT전원의 신호 라인이 PGND단자의 신호 라인과 동등전위가 될 경우는, TYPE단자의 신호 라인은 PGND단자의 신호 라인과 동전위가 된다. 이 경우,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카메라 본체 100내의 풀업 저항값 100kΩ과 보호 저항값 1kΩ간의 비율(분할비)에 근거해서 결정되고, 그 값은, 대략 "0x000A"가 된다. 이 경우,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표1에 나타낸 에러1에 해당하기 때문에,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 악세사리를 판별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VBAT전원이 오프의 경우이며, VBAT전원의 신호 라인이 플로팅이 될 경우는, TYPE단자와 VBAT단자간의 쇼트의 영향은 없고, 카메라 제어부 1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그 후, VBAT단자끼리가 접속된 상태에서, VBAT단자에 VBAT전원이 공급된 시점에, TYPE단자에 VBAT의 전원전압상당이 인가된다. 이 경우, VBAT단자는, TYPE_IN단자의 전원전압보다도 높은 레벨의 전압을 나타내기 때문에, TYPE_IN단자내에 존재하는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TYPE_IN단자에 의도하지 않는 전압 레벨의 전류가 유입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 100에서는, TYPE단자의 신호 라인에 직렬로 보호 저항기 1kΩ을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TYPE_IN단자(의 전원)에 의도하지 않는 전압 레벨의 전류가 유입할 가능성을 감소하고, TYPE_IN단자에 접속되는 각 부의 고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 저항기 1kΩ과 TYPE_IN단자간의 신호 라인에 보호 다이오드를 접속하여도 좋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VBAT전원이 VBAT단자에 공급된 시점에, 다시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여, 다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11d에 도시하는 것 같은 상태에서는, TYPE단자에 VBAT단자의 전원전압에 해당하는 전압이 인가되고,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대략 "0x03FF"가 된다. 이 경우,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 악세사리를 판별하지 못하지만, TYPE_IN단자에 의도하지 않는 전압 레벨의 전류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가 판별되기 전에, VBAT단자에의 전원공급이 행해질 경우는, TYPE단자에 VBAT단자가 나타내는 전원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AD변환하게 된다. 이 경우,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AD변환후)은, 대략 "0x03FF"가 된다. 이 경우,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표1에 나타낸 에러1에 해당하기 때문에,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 악세사리를 판별하지 못한다.
도11e에 도시하는 것 같이, TYPE단자와 인접하는 PGND단자간에 도전성의 이물질이 부착되기 때문에, TYPE단자가 인접하는 단자와 쇼트하는 경우, TYPE단자가 PGND단자의 신호 라인과 접속된다. 이 경우, PGND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이므로,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은, 카메라 본체 100내의 풀업 저항값 100kΩ과 보호 저항값 1kΩ과의 비율(분할비)에 근거하여 결정되어, 그 값은, 대략 "0x000A"가 된다. 이에 따라, 이 경우도,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 악세사리를 판별하지 못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TYPE단자가 인접하는 단자와 쇼트하는 경우,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은, PGND단자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에 가까운 값, 또는, VBAT단자가 나타내는 전원전압의 레벨에 가까운 값이 된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하지 못하고, 카메라 악세사리에 적절한 동작을 실행 또는 지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카메라 제어부 101의 TYPE_IN단자에 PGND단자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 근방의 값을 갖는 전압이 입력되었을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 100의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0x0000∼0x007F"의 범위에 포함될 경우, TYPE단자의 접속 상태가 이상 상태, 즉 에러 상태라고 판정하고,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통신은 행하지 않는다.
TYPE_IN단자에 VBAT단자가 나타내는 전원전압 레벨의 값을 갖는 전압이 입력되었을 경우,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통신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 101은,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0x0380∼0x03FF"의 범위에 포함될 경우, TYPE단자의 접속 상태가 이상 상태, 즉 에러 상태라고 판정하고,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통신은 행하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가 오판별된 상태에서, 정격전압을 초과하는 레벨을 갖는 전압이 카메라 악세사리에 인가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 100에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되었을 때의 동작
다음에, 도12를 참조하여, 카메라 본체 100에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되었을 때의 동작으로서, 전술한 제1의 통신이 개시될 때까지의 처리인 통신 선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2는, 카메라 본체 100에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되었을 때의, 제1의 통신이 개시될 때까지의 동작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2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카메라 제어부 101에 설치된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격납해두고, 카메라 제어부 101이 해당 메모리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한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는 각 단계의 동작은 카메라 제어부 101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라고 한다. 소정의 프로그램을 따르는 동작이 아니고, 카메라 본체 100 및 카메라 악세사리의 각 부가, 대응하는 단계의 동작을 행하도록 지시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 101은, 각 단자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각 통신 단자를 거쳐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기로서 기능한다.
우선, 카메라 본체 100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등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 본체 100의 전원 온이 지시된 것에 응답하여, 통신 선택 처리가 개시된다. 단계S601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MIF_IN단자의 전압 레벨을 판독하고, 전술한 메모리에 있어서의 (도시되지 않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영역에, 판독한 전압 레벨에 근거하는 MIF_IN단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다음에, 단계S602에서는, RAM영역에 기억된 MIF_IN단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MIF_IN단자가 High를 나타낼 경우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여, 단계S601에 되돌아간다. MIF_IN단자가 Low를 나타낼 경우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다음에, 단계S603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을 AD변환하고 나서 판독하고, 판독한 전압 레벨에 근거하는 TYPE_IN단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술한 RAM영역에 기억한다.
다음에, 단계S604에서는, RAM영역으로부터 판독한 TYPE_IN단자의 상태로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0x0080"이상이며 "0x017F"이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0x0080"이상이며 "0x017F"이하라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S605에 진행된다.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는 단계S608에 진행된다.
다음에, 단계S605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가 제1의 교환 렌즈200(렌즈 타입1)이라고 판정하고, 전원전환부 104를 제어하여, 통신 인터페이스용의 전원Vs를 3.0V에 설정한다.
다음에, 단계S606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전원부 103로부터 VDD단자에의 전원공급을 시작한다.
다음에, 단계S607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3.0V의 통신 전압을 설정하고,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를 사용한 제1통신을 시작하고, 단계S614에 진행된다.
단계S608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RAM영역으로부터 판독한 TYPE_IN단자의 상태로서,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0x0280"이상이며 "0x037F"이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TYPE_IN단자에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0x0280"이상이며 "0x037F"이하라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S609에 진행된다.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는, 단계S612에 진행된다.
다음에, 단계S609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가, 어댑터400을 통한 제2의 교환 렌즈300(렌즈 타입2)이라고 판정하고, 전원전환부 104를 제어해 전원Vs를 VDD(5.0V)에 설정한다.
다음에, 단계S610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전원부 103로부터 VDD단자에의 전원공급을 시작한다.
다음에, 단계S611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5.0V의 통신 전압을 설정하고, 제1의 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를 사용한 제1통신을 시작하고, 단계S614에 진행된다.
단계S612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가, 카메라 본체 100에 대응하지 않는 카메라 악세사리이다(유보: Reserved)고 판정하거나, 또는, 소정의 단자가 이상(에러)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S613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고, 표시부 15에 에러 등에 관한 경고 표시를 행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카메라 본체 100의 각 부를 제어하고, 단계S614에 진행된다.
단계S614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예를 들면 전원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등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 본체 100의 전원 오프가 지시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614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전원 오프 지시가 내려졌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S619에 진행되고,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의 전원을 오프하고, 통신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614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전원 오프 지시가 내려지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S615에 진행된다.
다음에, 단계S615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MIF_IN단자의 전압 레벨을 다시 판독하고, 전술한 RAM영역에, 판독한 전압 레벨에 근거하는 MIF_IN단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단계S615의 처리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전술한 단계S601의 처리에서 판독한 MIF_IN단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갱신(겹쳐쓰기)해도 좋거나, 다른 기억 영역에 별개로 그 정보를 기억하여도 좋다.
다음에, 단계S616에서는, RAM영역에 기억된 MIF_IN단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카메라 제어부 101은, MIF_IN단자가 High를 나타내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단계S616에 있어서, MIF_IN단자가 High를 나타낸다고 판정한 경우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대한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이 해제되었다고 판정하고, 단계S617에 진행된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단계S616에 있어서, MIF_IN단자가 High를 나타내지 않는다(즉, Low를 나타낸다)고 판정한 경우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에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된 채에 있다고 판정하고, 단계S614에 되돌아간다.
단계S617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통신을 정지한다. 단계S618에서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전원부 103으로부터 VDD단자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하고, 단계S601에 되돌아간다. 이후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상술한 각 처리를 반복적으로 행한다.
도1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에 대하여 VBAT단자를 사용하여 구동전원(VBAT)의 공급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VBAT를 공급한다.
제1, 제2, 제3의 통신의 상세
다음에, 카메라 본체 100과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사이에서 행해진 각 종 통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의 통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것 같이, 제1의 통신은, 카메라 본체 100과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사이에서 행해진 통신의 1개의 타입이다. 제1의 통신부는,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LCLK단자, DCL단자, 및 DLC단자를 사용한 클록 동기식 또는 시작-정지 동기식의 통신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의 교환 렌즈200 및 제2의 교환 렌즈300의 쌍방이, 제1의 통신을 지원한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의 통신에 관련되는 통신 전압은, 제1의 교환 렌즈2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간에 다르다.
제1의 통신은, 예를 들면, 카메라 악세사리에 대한, 포커스 렌즈의 구동, 줌렌즈의 구동, 또는 조리개 구동의 구동명령을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구동명령을 수신한 카메라 악세사리에서는, 해당 구동명령에 대응한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제1의 통신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 촛점거리, 및 조리개 개구경(조리개 값)등, 카메라 악세사리의 상태에 관한 정보(상태정보)를 카메라 악세사리로부터 카메라 본체 100에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에, 제2의 통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의 통신은,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과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통신의 1개의 타입이며, 제2통신부에 대응하는 DLC2단자를 사용한 비동기식의 통신이다. 제2의 교환 렌즈300은, DLC2단자등의 제2의 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를 구비하지 않고 있으므로, 카메라 본체 1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과의 사이에서는 제2의 통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제2의 통신에서는, 제1의 교환 렌즈200이 마스터부(마스터)가 되고,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있어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 줌렌즈의 위치, 조리개 값, 및 화상 안정화 렌즈의 상태를 포함하는 소정량의 광학 데이터를 카메라 본체 100에 송신한다. 제2의 통신에서는, 카메라 본체 100이 슬레이브부(슬레이브)가 된다. 제1의 교환 렌즈200로부터 카메라 본체 100에 송신하는 데이터의 종류 및 순번은, 전술한 제1의 통신에서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지시된다.
다음에, 도13을 참조하여, 제2의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카메라 및 카메라 악세사리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3은, 제2의 통신에 관한 각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3에 도시하는 흐름도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격납해두고, 카메라 제어부 101 및 제1의 렌즈 제어부 201는 해당 메모리로부터 그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이후에 설명하는 각 단계의 동작은 카메라 제어부 101 또는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라고 한다.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르는 동작일 필요는 없고, 카메라 본체 100 및 제1의 교환 렌즈200의 각 부가, 대응하는 단계에서의 동작을 지시하여 실행하여도 된다.
도13에 도시하는 제2의 통신은,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촬상 제어가 개시된 타이밍에서 개시된다. 우선, 단계S1301에서는,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제2의 통신의 시작 요구를 제1의 통신에 의해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송신한다. 단계S1301에서 송신되는 시작 요구는, 제2의 통신에 의해 제1의 교환 렌즈200으로부터 취득을 의도하는 데이터의 종류들과, 이들 데이터를 수신하는 순번이 미리 설정된 등록 통신 커맨드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단계S1311에서는,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송신된 시작 요구를 수신하고, 단계S1312에 진행된다. 단계S1312에서는,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있어서,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시작 요구에 포함되는 등록 통신 커맨드에 근거하는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지정된 순번으로 생성한다.
다음에, 단계S1313에서는,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있어서 생성한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제2의 통신을 거쳐 카메라 본체 100에 송신한다. 다시 말해, 단계S1313에서는,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제1의 교환 렌즈200의 DLC2단자 2009 및 카메라 본체 100의 DLC2단자 1009를 사용하여, 제1의 교환 렌즈200에서 생성된 여러 가지의 데이터가 카메라 본체 100에 송신한다.
다음에,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단계S1302의 처리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제1의 교환 렌즈200으로부터 제2의 통신을 거쳐 송신된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수신하고, 지정된 각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할 때 제2의 통신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사체의 촬상 제어가 개시될 때마다, 도13에 도시하는 플로우를 행한다.
상술한 것처럼, 제2의 통신을 행할 경우에, 시작 요구는 제1의 통신을 거쳐 송신되지만, 제1의 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와는 다른 제2의 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를 사용하여, 전술한 제1의 통신 계통과는 다른 독립적인 통신 계통의 통신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과의 사이에 있어서는, 제1의 통신에서 행하는 통신(예를 들면, 액추에이터에의 제어 요구등)을 방해하지 않고, 제2의 통신으로서 여러 가지의 데이터(예를 들면, 광학 데이터)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의 통신의 시작 요구는 제1의 통신을 거쳐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제1의 교환 렌즈200에 송신되기 때문에, 제1의 통신이, 제2의 통신이 행해지기 전에 확립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제3의 통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의 통신은,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과의 사이, 카메라 본체 100과 어댑터400과의 사이, 및 카메라 본체 100과 중간 악세사리500과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통신의 1개의 타입이다. 제3의 통신은,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DCA단자 및 CS단자를 사용한 비동기식의 통신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2의 교환 렌즈300은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를 구비하지 않고 있으므로, 카메라 본체 1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과의 사이에서는 제3의 통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제3의 통신에서는, 카메라 본체 100이 통신에 있어서 마스터부(마스터)가 되고, 카메라 본체 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된, 제1의 교환 렌즈200, 어댑터400 또는 중간 악세사리500이 통신에 있어서 슬레이브부(슬레이브)가 된다.
전술한 예에서는, 도6 또는 도9에 도시한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과 소정의 교환 렌즈의 사이에 1개의 어댑터400 또는 1개의 중간 악세사리500을 삽입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과 소정의 교환 렌즈의 사이에, 1개 이상의 어댑터400 및/또는 1개 이상의 중간 악세사리500, 즉 합계 2개이상의 카메라 악세사리가 삽입되어도 좋다. 따라서, 제3의 통신에서는, 통신에 관련되는 1개의 마스터에 대하여 복수의 슬레이브가 직렬로 접속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3의 통신에서는, 카메라 본체 100로부터 복수의 카메라 악세사리(슬레이브)에 대하여 동시에 신호를 송신하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모드와, 특정한 카메라 악세사리를 지정하여 그 특정된 카메라 악세사리에 대해 통신을 행하는 P2P(peer-to-peer)모드를 전환가능하다.
제3의 통신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통신 모드와 P2P모드에서, DCA단자는 양쪽 방향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로서 기능한다. CS단자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모드와 P2P모드에서 다르게 기능한다. 이 상세에 대해서, 우선은, 도14를 참조하여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4는, 제3의 통신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타이밍 도다. 도14는, 카메라 본체 100에 중간 악세사리500을 통해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14에서, 제3의 통신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있어서는, CS단자를 사용한 통신 신호를, "CS(카메라)", "CS(렌즈)", "CS(악세사리)"라고 도시한다. DCA단자를 사용한 통신 신호를, "DCA(카메라)", "DCA(렌즈)", "DCA(악세사리)"라고 도시한다. 도14에 있어서, "CS" 및 "DCA"는, 소정의 통신 제어 타이밍에 있어서의, 카메라 본체 100과 중간 악세사리5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에서의 CS단자 및 DCA단자가 각각 나타낸 신호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후는, 카메라 제어부 101로부터 제1의 렌즈 제어부 201 및 악세사리 제어부 501에의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응답하여, 악세사리 제어부 501로부터 카메라 제어부 101과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에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낸 설명에서는, CS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선을 신호 선CS라고 칭하고, DCA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선을 신호 선DCA라고 칭한다. 도14에 나타내는 <1>의 타이밍에서, 카메라 제어부 101로부터 신호 선CS에 Low출력이 개시된다. 이 동작은,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시작하는 것을 통신 마스터인 카메라 제어부 101로부터 통신 슬레이브인 제1의 렌즈 제어부 201 및 악세사리 제어부 501에 통지하기 위한 동작이다.
다음에, 도14에 나타내는 <2>의 타이밍에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송신 대상의 데이터를 신호 선DCA에 출력한다. 도14에 나타내는 <3>의 타이밍에서, 제1의 렌즈 제어부 201과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신호 선DCA에 입력된 스타트 비트ST를 검출하고,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시작한다. <1>의 타이밍에서 카메라 제어부 101에 의해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이 시작했으므로, <3>의 타이밍에서는, 카메라에 있어서의 신호 선CS의 신호 레벨은 변화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14에 나타내는 <4>의 타이밍에서, 송신 데이터에 있어서의 스톱 비트SP까지의 출력이 완료하면, <5>의 타이밍에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해제한다. 제1의 렌즈 제어부 201과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스톱 비트SP까지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데이터의 해석 및 수신한 데이터에 관한 내부처리를 행한다. 제1의 렌즈 제어부 201과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해당 내부처리를 완료하고, 다음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준비가 갖추어졌을 경우, 제1의 렌즈 제어부 201 및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도14에 나타내는 <7>, <6>의 타이밍에서,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해제한다.
수신한 데이터의 해석 및 수신한 데이터에 관한 내부처리에 요하는 시간은 각 제어부에 설치된 CPU의 처리 능력에 따라서 다르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각 제어부는, 다른 제어부가 수신한 데이터에 관한 내부처리를 완료한 타이밍을 알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대로 CS단자는 오픈 드레인 타입의 출력 행한다. 이 때문에, 신호 선CS의 신호 레벨은, 카메라 제어부 101, 제1의 렌즈 제어부 201, 악세사리 제어부 501의 모두가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해제했을 경우에 High출력이 된다. 다시 말해,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관여하는 각 제어부(CPU)는, 신호 선CS의 신호 레벨이 High출력이 된 것을 확인하고, 다른 제어부(CPU)가 다음 통신을 행하기 위한 준비가 갖추어진 것을 판단한다. 이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 100 및 소정의 카메라 악세사리는, 연속적으로 적절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14에 나타내는 <8>의 타이밍에서,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신호 선CS의 High출력이 해제된 것을 확인한다. 그 후,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브로드캐스트 통신의 시작을 카메라 제어부 101 및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에 통지하기 위해서,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시작한다.
다음에, 도14에 나타내는 <9>의 타이밍에서,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송신 대상의 데이터를 신호 선DCA에 출력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과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신호 선DCA로부터 입력된 스타트 비트ST를 검출하고, 도14에 나타내는 <10>의 타이밍에서,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시작한다. 악세사리 제어부 501이 <8>의 타이밍에서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시작했으므로, <10>의 타이밍에서는, 상기 악세사리에 있어서의 신호 선CS의 신호 레벨은 변화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14에 나타내는 <11>의 타이밍에서,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스톱 비트SP까지 출력을 완료한 후, <12>의 타이밍에서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해제한다. 카메라 제어부 101과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신호 선DCA로부터 입력된 스톱 비트SP까지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후, 카메라 제어부 101과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수신한 데이터의 해석 및 수신한 데이터에 관련된 내부처리를 행하고, 다음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준비가 갖추어진 <14>, <13>의 타이밍에서,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각각 해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통신의 브로드캐스트 통신 모드에서는, 신호 선CS가 브로드캐스트 통신의 시작 및 통신중(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선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도15를 참조하여, 제3의 통신에 있어서의 P2P모드에 있어서의 CS단자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15는, 제3의 실시예에서의 P2P통신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타이밍 도다. 도15는, 카메라 본체 100에 중간 악세사리500을 통해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15에 나타내는 각 신호 선 및 신호 파형에 대해서는,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브로드캐스트 통신 모드와 대략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는, 카메라 제어부 101로부터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에 대하여 1바이트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해당 1바이트의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의 렌즈 제어부 201로부터 카메라 제어부 101에 대하여 2바이트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주어진 설명에서는, CS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선을 신호 선CS라고 칭하고, DCA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선을 신호 선DCA라고 칭한다. 도15에 나타내는 <15>의 타이밍에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신호 선DCA를 거쳐 특정한 데이터를 송신시키기 위한 명령을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에 송신한다.
다음에, 도15에 나타낸 <16>의 타이밍에서, 카메라의 신호 선DCA에 있어서의 스톱 비트SP까지의 출력이 완료한 후, <17>의 타이밍에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시작한다. 그리고, 카메라 제어부 101은, 신호 선CS에 Low를 출력하고 있는 동안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준비를 행하고, 수신하는 준비가 갖추어진 <18>의 타이밍에서,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해제한다.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카메라 제어부 101이 출력한 신호 선CS의 Low신호를 검출한 후, 카메라 제어부 101로부터 수신한 명령을 해석하고, 해당 명령에 관한 내부처리를 행한다. 그 후,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카메라에 있어서의 신호 선CS의 Low출력 해제를 확인한 후, 도15에 나타낸 <19>의 타이밍에서,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카메라 제어부 101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대응한 데이터를, 신호 선DCA를 사용해서 송신한다.
다음에, 도15에 나타낸 <20>의 타이밍에서,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2바이트째의 스톱 비트SP까지의 출력을 완료한 후, <21>의 타이밍에서, 렌즈의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시작한다. 그 후, 제1의 렌즈 제어부 201은, 다음 데이터의 수신 준비가 갖추어진 후, 도15에 나타내는 <22>의 타이밍에서, 신호 선CS에의 Low출력을 해제한다. 도15의 설명에 있어서, P2P통신의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고 있는 악세사리 제어부 501은, 신호 선CS 및 신호 선DCA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통신의 P2P모드에서는, 신호 선CS가 데이터의 송신의 송신 종료, 및 데이터 송신에 관련되는 대기 요구를, 통지하기 위한 신호 선으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의 통신에서는, 브로드캐스트 통신 모드와 P2P모드에서 CS단자가 다르게 기능한다. 이 구성에 의해, CS단자 및 DCA단자에 각각 관련되는 신호 선CS와 신호 선DCA, 즉 합계 2개의 신호 선만을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통신 모드 및 P2P모드 쌍방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3의 통신을 사용한 각종 타입의 데이터의 송수신은, 출력 타입이 CMOS출력 타입인 DCA단자를 사용해서 행해진다. 이 구성에 의해, CS단자의 출력 타입이 오픈 드레인 타입인 경우에도, 고속통신이 가능하다.
각 단자가 배치된 순서
이상 설명한 카메라 본체 100 및 각 카메라 악세사리의 회로 구성 및 동작에 근거하여, 이후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에 배치된 각 단자의 배치에 관한 상세를 설명한다.
우선, MIF단자의 배치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만일 카메라 마운트의 MIF단자 1005이, 렌즈 마운트B에 배치된 MIF단자 2005 이외의 단자(접점면)에 미끄러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혹은, MIF단자가 DGND단자와 PGND단자보다도 먼저 접속 완료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카메라 마운트A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B가 완전히 장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에 전원의 공급은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렌즈 마운트B에 설치된 각 단자가 카메라 마운트A의 각 단자에 미끄러지고, MIF단자 1005가 MIF단자 2005이외의 단자와 접촉해버리는 경우, MIF단자 1005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이 순간적으로 Low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 마운트 중 한쪽의 단자와 나머지 마운트의 대응한 단자가 접속이 완료하지 않았지만, 카메라 본체 100는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된 것을 잘못 검출한다. 이 때문에, 카메라 본체 100에 카메라 악세사리가 완전히 장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이 개시되어버릴 경우가 있어, 전원공급 및 그라운드 접속이 전기적으로 안정하지 않을지도 모르고, 카메라 본체 100 및 카메라 악세사리의 오동작이나 고장이 생길 수도 있다. 이 문제는, MIF단자끼리의 접속이 각 접지 단자끼리보다도 먼저 접속될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상 설명한 문제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MIF단자 1005, 2005는, 각각 카메라 마운트 하단 및 렌즈 마운트 상단에 있어서의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마운트가 카메라 마운트에 장착 또는 카메라 마운트로부터 이탈할 때, 카메라 마운트A의 MIF단자 1005가 렌즈 마운트B의 MIF단자 2005이외의 임의의 단자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위치에 각 단자가 배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이 오류 검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 의해, 대응한 전원계단자끼리, 및 대응한 그라운드 단자끼리가 확실히 접속된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 100으로부터 카메라 악세사리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 100 및 각 카메라 악세사리에서, 카메라 본체 100 및 카메라 악세사리의 오동작이나 고장의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다.
다음에,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DLC단자, DCL단자, LCLK단자의 배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것 같이,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과 제1의 교환 렌즈200의 사이와, 카메라 본체 1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구동제어정보와 상태정보의 취득은, 제1의 통신을 사용해서 행해진다. 환언하면, 카메라 본체 100을 사용한 피사체의 촬영 동작에 필요한 주요 데이터의 송수신은 제1의 통신을 사용해서 행해진다. 만일, 단자들이 다른 단자들상에서 미끄러지고, 제2,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가 마모하여, 제2,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끼리의 전기적인 접속이 불안정한 경우에도, 제1통신이 적절하게 행해지면, 촬영 동작에 관련되는 카메라 악세사리의 주요 구동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는, 제2,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보다, 촬상 동작을 행하는 보다 중요한 단자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는,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각 단자를, 제2,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보다도, 단자가 다른 단자상에서 미끄러지는 횟수(단자가 다른 단자와 접촉하는 횟수)가 제2, 제3 통신부에 대응한 단자가 다른 단자상에서 미끄러지는 횟수보다 적은 위치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DLC단자, DCL단자, LCLK단자는, DLC2단자, CS단자, DCA단자보다도, 렌즈 장착 방향의 먼측에 배치한다. 카메라 마운트A에 있어서,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DLC단자, DCL단자, LCLK단자는, 단자가 다른 단자상에서 미끄러지는 횟수(단자가 다른 단자와 접촉하는 횟수)가 MIF단자의 다음에 가장 적은 위치에 배치한다. 따라서,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 상기 렌즈 마운트B의 단자는, 카메라 마운트A의 단자의 위치에 따라 배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 카메라 본체 100에 대한 카메라 악세사리의 착탈에 횟수에 대응한 단자들의 미끄럼(접촉)에 대한 내구성을,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각 단자군쪽이 제2,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보다도 고내구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 100 및 카메라 악세사리는,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DCL단자, DLC단자, LCLK단자에 대응하는 접점 핀 및 접점면의 마모에 기인하는 통신 불량의 가능성을 감소하고, 양자의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16a, 16b를 참조하여, DGND단자 및 CS단자의 배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6a, 16b는, 카메라 마운트A 및 렌즈 마운트B에 있어서의 CS단자, DCA단자, DGND단자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6a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단자의 배치순과는 다른, DGND단자에 인접해서 DCA단자가 배치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1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의 배치순을 나타낸 도다.
상술한 바와 같이, DCA단자는 CMOS출력 타입의 단자다. 그러므로, 도16a에 도시하는 것 같이, DCA단자와 DGND단자와의 단자간 쇼트가 일어나면, 도16a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비교적 큰 전류가 흘러버린다. 구체적으로, DCA단자와 DGND단자와의 단자간에 도전성의 이물질등이 부착된 상태로 DCA단자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을 High출력으로 하면, CMOS출력 타입의 단자인 DCA단자가 DGND단자와 쇼트된다. 이 경우, 도16a로 나타내는 화살표로 나타낸 경로를 따라, 카메라의 DGND단자측에 의도하지 않는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카메라 본체 100의 전기 회로에 고장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16b에 도시하는 것 같이, DGND단자를 CS단자에 인접시키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CS단자는 오픈 타입의 출력을 행하는 단자다. 따라서, 예를 들면, DGND단자와 CS단자와의 사이에 도전성의 이물질이 부착되고, DGND단자와 CS단자가 쇼트하는 경우에도, 도16b에서 나타내는 화살표로 나타낸 경로를 따라, 미소 전류가 DGND단자에 흐를 뿐이다. 구체적으로, CS단자는 오픈 타입의 출력을 나타내는 단자이므로, DGND단자와 CS단자가 쇼트 했을 경우이여도, 카메라의 전원으로부터 풀업 저항기를 통해서 전압 레벨이 낮은 미소 전류가 카메라의 DGND단자에 흐를 뿐이다. 따라서, 상술의 구성을 채용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 100 및 카메라 악세사리에 있어서, 카메라의 DGND단자를 통한 그라운드에 대전류가 흐르는 것에 기인하여, 카메라 본체 100의 전기 회로에서 일어날 수도 있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17a 내지 17d를 참조하여, DLC2단자와 LCLK단자의 배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7a 내지 17d는, LCLK단자에 인접해서 배치된 단자에 따라 다른 전기 회로에서 생성된 영향에 대해서 각각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7a는, LCLK단자에 CS단자를 인접해서 배치시킨 경우를 나타낸다. 도17b는, LCLK단자에 DCA단자를 인접해서 배치시킨 경우를 나타낸다. 도17c는, LCLK단자에 DLC2을 인접해서 배치시키고, 단자들의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낸다. 도17d는, LCLK단자에 DLC2을 인접해서 배치시키고, 구부러진 단자가 인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7a 내지 17d는,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17a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과 어댑터400에 있어서, LCLK단자에 CS단자가 인접해서 배치되었을 경우의 예를 상정한다. 도17a에서는, 어댑터400의 LCLK단자와 CS단자와의 사이에 도전성의 이물질 90이 존재할 경우이며, 그 단자가 도통하여, 단자간이 쇼트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어댑터4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었을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도시하는 것 같이, LCLK단자의 신호 라인은 각각, 카메라 본체 100내의 저항기R_LCLK_C 120, 및 제2의 교환 렌즈300내의 저항기R_LCLK_L 320을 통해 VDD(5.0V)에 풀업 접속된다. 한편, CS단자는 각각, 카메라 본체 100의 내부에 설치된 저항(저항기), 및 어댑터400의 내부에 설치된 저항(저항기)을 통해 3.0V의 전압 레벨에 풀업 접속된다.
이 경우, LCLK단자와 CS단자가 쇼트할 때, LCLK단자의 신호 라인으로부터 CS단자의 신호 라인에, 각각 저항기R_LCLK_C 120 및 R_LCLK_L 320을 통해 3.0V이상의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보통, 제2/제3통신용I/F부 102b 및 어댑터 제어부 401의 양쪽은, 전원전압 3.0V의 전원으로 동작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것 같이 그 단자가 쇼트 했을 경우는, 제2/제3통신용I/F부 102b 및 어댑터 제어부 401등의 소자에 상한전압이상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어댑터400 및 카메라 본체 100의 전기 회로에 고장이 일어날 수도 있다.
상한전압은, 정격전압이며, 각 단자에 접속된 전기 회로에 고장이 생기지 않는 전압이다. 혹은, 상한전압은, 동작 전압이며, 각 단자에 접속된 전기 회로가 정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압이다.
도17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과 어댑터400에 있어서, LCLK단자에 DCA단자가 인접해서 배치되었을 경우의 예를 상정한다. 도17b는, 어댑터400의 LCLK단자와 DCA단자와의 사이에 도전성의 이물질 90이 존재할 경우이며, 그 단자가 도통하여 단자간이 쇼트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어댑터4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었을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도시하는 것 같이, 각각, LCLK단자의 신호 라인은 카메라 본체 100내의 저항기R_LCLK_C 120, 및 제2의 교환 렌즈300내의 저항기R_LCLK_L 320을 통해 VDD(5.0V)에 풀업 접속된다. DCA단자는, 카메라 본체 100의 내부에 설치된 저항(저항기), 및 어댑터400의 내부에 설치된 저항(저항기)을 통해 3.0V의 전압 레벨로 풀업 접속된다.
이 경우, LCLK단자와 DCA단자가 쇼트할 때, LCLK단자의 신호 라인으로부터 DCA단자의 신호 라인에, 각각 저항기R_LCLK_C 120 및 R_LCLK_L 320을 통해 3.0V이상의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보통, 제2/제3통신용I/F부 102b 및 어댑터 제어부 401의 양쪽은, 전원전압 3.0V의 전원으로 동작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것 같이 단자들이 쇼트 했을 경우는, 제2/제3통신용I/F부 102b 및 어댑터 제어부 401등의 소자에 상한전압이상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어댑터400 및 카메라 본체 100의 전기 회로에 고장이 생길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이유에 의해, 렌즈 장착 방향의 근방에 있어서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LCLK단자에 인접하는 제2,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로서, CS단자 또는 DCA단자를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후,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서 LCLK단자에 DLC2단자를 인접해서 배치시킬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7c에 도시하는 것 같이, LCLK단자와 DLC2단자가 인접해서 배치되었을 경우와, 도전성의 이물질 90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단자간이 쇼트 했을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의 교환 렌즈300은 제2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DLC2단자)를 구비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어댑터4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된 경우에도, 제2의 통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해,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을 장착했을 경우, 카메라 본체 100과 제2의 교환 렌즈300과의 사이에서는, 제2통신부에 대응하는 DLC2단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 100에 어댑터400을 통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었을 경우는, LCLK단자와 DLC2단자가 쇼트하는 경우에도, 어댑터 제어부 401등 어댑터400의 전기 회로에 고장이 생기지 않는다. LCLK단자와 DLC2단자가 쇼트하는 경우에도, 제2의 교환 렌즈300, 어댑터400, 및 카메라 본체 100에 설치된 저항기에 근거하여 저항이 분압되어, 그 단자의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을 이하 상세히 설명할 그 단자의 상한전압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에는, 제2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DLC2단자)를 인접해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본체 100 및 어댑터400은, 어댑터400 및 카메라 본체 100이 구비하는 각 전기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될 경우, 제1통신부와 제2통신부의 통신 전압은 동일(3.0V)하다. 이 경우, LCLK단자와 DLC2단자가 쇼트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의 I/F부 102등의 소자에 상한전압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일은 없다.
카메라 본체 100에 제1의 교환 렌즈200이 장착될 경우, 제2통신과 제3통신이 서로 독립해서 동시에 사용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2통신부에 대응하는 DLC2단자가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DCA단자와 쇼트하는 경우에도, 제2통신부와 제3통신부의 통신 전압은 동일(3.0V)하므로, 제2/제3통신용I/F부 102b에 동작 전압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의 이웃에는 제2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DLC2단자)를 배치하고, 제2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의 반대 옆에는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CS단자 또는 DCA단자)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3통신부에 대응하는 단자는, 제2통신부에 대응하는 DLC2단자에 인접해서, 제1통신부에 대응한 LCLK단자의 반대의 해당 DLC2단자의 한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LCLK단자는 다른 측에 DLC2단자와 인접해서 배치되어, 상기 DLC2단자는 상기 LCLK단자와 상기 제3통신부에 대응한 단자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해, 어떤 교환 렌즈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되었을 경우이여도, 카메라 본체 100 및 어댑터400의 전기 회로에서 일어날 수도 있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 100 내부의 각 인터페이스부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어댑터4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었을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LCLK단자의 신호 라인은 카메라 본체 100내의 저항기R_LCLK_C 120, 및 제2의 교환 렌즈300내의 저항기R_LCLK_L 320을 통해 각각 VDD(5.0V)에 풀업 접속된다. DLC2단자는, 카메라 본체 100의 내부에 설치된 저항기R_DLC2_C 122, 및 어댑터400의 내부에 설치된 저항기R_DLC2_A 422를 통해 각각 DGND단자의 신호 라인에 풀다운 접속된다.
여기에서, R_LCLK_C 120과 R_LCLK_L 320과의 합성 저항을 R_LCLK, R_DLC2_C 122과 R_DLC2_A 422과의 합성 저항을 R_DLC2이라고 한다. 상술한 것 같이 단자간이 쇼트 했을 경우에, LCLK단자와 DLC2단자의 신호 라인에 인가되는 전압을 V_ST1이라고 한다. 합성 저항R_LCLK, 합성 저항R_DLC2, 인가 전압V_ST1은 각각 이하의 식(1), (2), (3)으로 산출된다.
R_LCLK=1/((1/R_LCLK_C 120)+(1/R_LCLK_L 320)) (1)
R_DLC2=1/((1/R_DLC2_C 122)+(1/R_DLC2_A 422)) (2)
V_ST1=5.0×(R_DLC2/(R_LCLK+R_DLC2)) (3)
예를 들면, R_LCLK이 10kΩ, R_DLC2이 100kΩ에 설정했을 경우, 식(1), (2), (3)을 사용하여, 인가 전압V_ST1≒4.5V를 얻는다. 그 결과, 제2/제3통신용I/F부 102b의 상한전압(3.0V)을 초과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R_LCLK이 10kΩ, R_DLC2이 10kΩ로 설정하여, 인가 전압V_ST1=2.5V가, 제2/제3통신용I/F부 102b의 상한전압(3.0V)이하가 되도록 조정한다. 인가 전압을 제2/제3통신용I/F부 102b의 상한전압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식(4)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R_DLC2/(R_LCLK+R_DLC2))≤(3.0/VDD) (4)
상술한 식(4)을 충족시키도록, R_LCLK_C 120, R_LCLK_L 320, R_DLC2_C 122, 및, R_DLC2_A 422의 저항값을 설정하면, 제2/제3통신용I/F부 102b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제어부 1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교환 렌즈가 장착된 직후에 LCLK단자가 Low레벨로부터 High레벨로 바뀐 것을 검출한다. 그 교환 렌즈가 제2의 교환 렌즈300일 경우는, 카메라 제어부 101은 제2의 교환 렌즈300과 오픈 드레인 출력 타입의 통신을 행하고, 해당 통신에 의해 제2의 교환 렌즈300이 CMOS출력 타입의 통신을 지원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2의 교환 렌즈300이 CMOS출력 타입의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카메라 제어부 101은, LCLK단자 및 DCL단자의 출력 방식을 CMOS출력 타입으로 바꾼다. 카메라 제어부 101은, LCLK단자와 DCL단자의 출력 타입을 CMOS출력 타입으로 바꾸었을 경우, LCLK단자 1008이 나타내는 전압은, R_LCLK_C 120을 통과하지 않고 제1통신용I/F부 102a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5.0V)이 된다.
제1통신용I/F부 102a의 LCLK신호의 입력 단자의 Low레벨 입력 역치(VIL_LCLK)가 0.5V이며, 또한, R_LCLK=10kΩ, R_DLC2_A 422=470Ω, R_DLC2_C 122=10kΩ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식(2), (3)에 근거하여, 인가 전압V_ST1≒0.2V는, 제1통신용I/F부 102a의 Low레벨 입력 역치보다도 작다. 그러므로, 카메라 제어부 101은 교환 렌즈와의 통신 불가라고 판단하고, 상기 렌즈와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 구성에 의해,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LCLK단자의 출력 타입이 CMOS출력 타입으로 바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제2/제3통신용I/F부 102b등의 소자에 상한전압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 100에 있어서, LCLK단자의 출력 타입이 CMOS출력 타입으로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식(5)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R_DLC2/(R_LCLK+R_DLC2))≤VIL_LCLK (5)
상술한 식(5)을 충족시키도록, R_LCLK_C 120, R_LCLK_L 320, R_DLC2_C 122, 및, R_DLC2_A 422의 저항값을 설정하면, 제2/제3통신용I/F부 102b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상술한 식(5)을 충족시킬 경우에도, R_DLC2_C 122의 저항값이 작으면, DLC2단자를 사용한 제2통신일 경우에, 제1렌즈 I/F부 202의 단자전류를 큰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이것은, R_DLC2_A 422가 10kΩ, R_DLC2_C 122가 470Ω이라고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통신을 고려하여, R_DLC2_C 122=10kΩ보다도 R_DLC2_A 422= 470Ω이 작아지도록 저항값을 설정한다.
다음에, 도17d에 도시하는 것 같이, LCLK단자와 DLC2단자가 인접해서 배치되었을 경우와, 카메라 본체 100에 설치된 DLC2단자 1009의 접점 핀이 구부러지고, DLC2단자 1009와 인접하는 LCLK단자와의 사이에서 쇼트 했을 경우를 상정한다. LCLK단자 및 DLC2단자의 단자처리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7d에 도시하는 것 같을 경우에, 카메라 본체 100의 LCLK단자 및 DLC2단자 1009에 인가되는 전압을 V_ST2이라고 한다. 이 경우, 인가 전압V_ST2은 식(6)으로 산출된다.
V_ST2=5.0×R_DLC2_C 122/(R_LCLK+R_DLC2_C 122) (6)
예를 들면, R_LCLK이 10kΩ, R_DLC2_C 122가 100kΩ이라고 한다. 그리고, 식(1), (6)을 사용하여, V_ST2≒4.5V를 얻는다. 제2/제3통신용I/F부 102b의 상한전압(3.0V)을 초과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 100에서 제2/제3통신용I/F부 102b 등의 전기 회로에 고장이 생길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R_LCLK=10kΩ, R_DLC2_C 122=10kΩ로 설정하여, 인가 전압V_ST2=2.5V가, 제2/제3통신용I/F부 102b의 상한전압(3.0)이하가 되도록 조정한다. 인가 전압이 제2/제3통신용I/F부 102b의 상한전압이하가 되기 위해서는, 이하의 식(7)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제2/제3통신용I/F부 102b의 DLC2신호의 입력 단자의 High레벨 입력 역치를 VIH_DLC2이라고 한다.
VIH_DLC2≤R_DLC2/(R_LCLK+R_DLC2)≤(3.0/VDD) (7)
상술한 식(7)을 충족시키도록, R_LCLK_C 120, R_LCLK_L 320, R_DLC2_C 122의 저항값을 설정하면, 제2/제3통신용I/F부 102b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어댑터400을 통해 카메라 본체 100에 제2의 교환 렌즈300이 장착되어 있을 경우, DLC2단자는 어댑터400내부에 설치된 저항(저항기)R_DLC2_A 422를 통해 DGND신호 라인에 풀다운 접속된다. 이 경우, 카메라 제어부 101에 설치된 DLC2입력 단자(DLC2_IN)에는, Low레벨의 전압이 입력되는 것이 기대된다.
DLC2신호의 입력 단자의 High레벨 입력 역치를 VIH_DLC2가 2.3V이며, R_LCLK이 10kΩ, R_DLC2_C 122가 10kΩ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식(6)을 사용하여 산출된 인가 전압V_ST2가 2.5V이고, 역치VIH_DLC2의 전압 레벨을 상회하기 때문에, 카메라 제어부 101은 DLC2단자가 High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DLC2입력 단자(DLC2_IN)에는, 입력이 기대되는 Low레벨 전압이 아니라 High레벨의 전압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의 이상 상태는, 이 경우에 검출될 수 있다(에러 검출). 그리고, LCLK단자 1008은 오픈 드레인 타입의 출력 상태를 유지한 채이며, 유저에 대하여 각 마운트에 설치된 단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취지의 경고 표시를 행한다(에러 처리).
이 구성에 의해, 단자의 구부러짐으로 인해 LCLK단자와 DLC2단자가 쇼트 했을 경우이여도, 카메라 본체 100의 LCLK단자 1008이 CMOS출력 타입의 단자로 바뀔 일은 없고, 제2/제3통신용I/F부 102b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2, 제3통신부의 통신 전압에 대해서도, 제1통신부와 동전압이 되도록, 장착된 교환 렌즈에 따라서 상기 바꾸기를 행하면, 단자간이 쇼트 했을 경우에 일어날 수도 있는 전기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통신에 관련되는 소비 전력을 적게 하고, 또한, 통신을 고속화하기 위해서, 제2, 제3통신부의 통신 전압은, 제1통신부의 통신 전압 중에서 가장 낮은 전압에 맞춰서 설정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상 장치인 카메라 본체 100의 일례로서 디지탈 카메라를 채용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디지탈 비디오카메라나 시큐어러티 카메라등, 디지탈 카메라이외의 촬상 장치를 채용하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카메라 악세사리의 일례로서 교환 렌즈, 어댑터, 중간 악세사리를 채용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카메마 악세사리는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카메라 악세사리로서는, 카메라 본체 100의 카메라 마운트A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장착)가능한 것이면, 상술한 이외의 기기를 채용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4a, 4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본체 100을 촬영시에 피사체에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카메라 마운트A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장착 방향으로서 정의했지만, 그 장착 방향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을 촬영시에 피사체에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카메라 마운트A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장착 방향으로서 정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적어도, 전술한 각 마운트에 배치된 각 단자의 배열을 역순으로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렌즈 마운트의 장착 방향의 "가장 먼" 및 "가장 가까운"이란, 카메라 본체 100에 카메라 악세사리를 장착했을 때에, 카메라 마운트와 렌즈 마운트의 쌍방에 대응하는 단자가 존재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 100에 장착가능한 카메라 악세사리의 마운트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 100이 구비하지 않는 단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단자가 배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카메라 악세사리를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도, 카메라 악세사리가 구비하지 않는 단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 단자가 배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상 장치의 마운트에 설치된 단자가 접점 핀이며, 악세사리의 마운트에 설치된 단자가 접점면일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단자는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의 마운트에 접점면을 설치하고, 악세사리의 마운트에 해당 접점면에 대응하는 접점 핀을 설치하고, 접점면의 각각과 접점 핀의 대응한 접점 핀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해지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카메라 마운트의 특징과 악세사리 마운트의 특징은, 대응하는 악세사리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에 있어서 실현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및 악세사리는, 예를 들면, 카메라 마운트에 설치된 단자를 접점면이라고 할 경우, 카메라 마운트에 설치된 각 접점면의 원주방향의 폭을 적절하게 조정하여도 좋다. 악세사리 마운트에 설치된 단자를 접점 핀으로 상정하는 경우에, 악세사리 마운트에 설치된 각 접점 핀의 핀간의 피치를 적절하게 조정하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플로우를 따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미리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격납하고, 카메라 제어부 101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오브젝트 코드, 해석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운영체계(OS)에 공급하는 스크립트 데이터 등의 임의의 형태이어도 된다.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한 메모리에 해당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나 자기 테이프 등의 자기기록 매체, 또는 광/광자기 기록 매체이어도 좋다.
카메라 마운트와 악세사리 마운트 중 한쪽을 갖는 기기가 실제로 다른 쪽 마운트를 갖는 기기에 대해 회전되어서, 그 기기끼리 바요넷 결합을 행하는 구성을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마운트와 악세사리 마운트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고, 그 카메라 마운트와 악세사리 마운트를 바요넷 결합시키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된다. 이것의 세부사항을 상세히 후술한다.
도2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 5000의 분해 사시도다. 도21a 내지 21c는,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마운트 기구 5000의 비결합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22a 내지 22c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 5000의 결합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20 내지 도22c에는, 상기 마운트 기구 5000의 가동 마운트부 5010에 바요넷 결합 가능한 상기 렌즈 마운트도 설명의 동일부분에 대해 나타내어져 있다.
도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 5000은, 상기 렌즈 마운트를 부착한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조작부 5030, 고정 마운트부 5020, 상기 가동 마운트부 5010 및 접점 보유부재 105가 광축 3000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 5030은, 중심축상에서 회전 가능한 링형 조작수단이고, 암(arm)부 5040에 의해, 스크류로 가동 마운트부 5010에 고정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조작부 5030과 가동 마운트부 5010이 2개의 위치에, 상기 중심축에 관해 직교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암부 5040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 5030이 회전 조작됨으로써, 상기 가동 마운트부 5010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도 회전한다.
상기 가동 마운트부 5010상에는, 상기 렌즈 마운트에 대해 설치된 바요넷 클로우 301a 내지 301c와 각각 바요넷 결합 가능한 가동 마운트 클로우(claw) 5011a, 5011b, 501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마운트부 5010에는 중심축 둘레에 나사산이 있는 스크류부 50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마운트부 5020의 후술한 스크류부 5022에 관한 스크류된 상태는 그 중심축 둘레에 상기 가동 마운트부 5010의 회전에 따라 변화한다.
상기 고정 마운트부 5020의 카메라 마운트면 5021은, 렌즈 마운트의 장착면과, 상술한 가동 마운트부 5010의 스크류부 5012가 돌려서 조여지는 스크류부 5022와 접촉한다. 상술한 가동 마운트부 5010과 달리, 상기 고정 마운트부 5020은 중심축상에서 상기 조작부 5030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21a 내지 22c를 참조하여 본 변형예에 따른 마운트 기구 5000의 상기 바요넷 결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상기 렌즈 마운트에 설치된 바요넷 클로우는, 조작부 5030의 개구부와 상기 고정 마운트부 5020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 마운트부 5010의 상기 가동 마운트 클로우 5011a 내지 5011c와 맞물릴 수 있는 상태에 있다. 도21a 내지 21c에 나타낸 상태는, 상기 조작부 5030이 언록(unlocked)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렌즈 마운트의 렌즈 장착면과 상기 고정 마운트부 5020의 카메라 장착면 5021은 접촉하고 있지만, 상기 렌즈 마운트와 가동 마운트부 5010 각각의 클로우는, 중심축 방향에서 본 것처럼, 서로 맞물리지 않고 겹치지 않는다. 도21c는 도21b의 단면 XXIC-XXIC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22a 내지 22c는 이 상태로부터 조작부 5030을 회전 조작한 상태에서의 상기 마운트 기구 500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2a 내지 22c에 도시된 상태는 록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렌즈 마운트와 가동 마운트부 5010의 각각의 클로우는 서로 겹쳐서, 중심축 방향으로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 마운트부 5020의 스크류부 5022와 상기 가동 마운트부 5010의 스크류부 5012의 조이는 상태는 상기 조작부 5030의 회전조작에 따라 변하고, 상기 가동 마운트부 5010은 상기 촬상 장치측을 향해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22c는 도22b의 단면 XXIIC-XXIIC를 따라 자른 단면도다. 도21c, 2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동 마운트부 5010은, 상기 마운트 기구 5000의 록상태에서 변하는 상기 마운트 기구 5000의 논록킹 상태에 따라 상기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 마운트부 5020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렌즈 마운트측에서의 바요넷 클로우와 맞물린 상태에서 가동 마운트 클로우 5011a 내지 5011c 각각은, 상기 촬상 장치측을 향해 이동한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마운트 기구 5000은, 중심축의 렌즈 마운트측 클로우와 맞물릴 수 있는 클로우를 갖는 상기 가동 마운트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마운트부를 상기 고정 마운트부에 관해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운트 기구 5000은, 상기 렌즈 마운트와 카메라측 마운트 사이에서 결합 상태에서 일어나는 간극(느슨함)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변형예에서는 상기 마운트 기구 5000을 상기 촬상 장치측에 설치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카메라 악세사리측, 이를테면 교환 렌즈 등에 상기 마운트 기구 5000을 설치하는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특정 용도 지향 집적회로(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32)

  1. 악세사리에 설치된 제1의 마운트와 결합가능한 제2의 마운트를 갖고, 상기 악세사리를 착탈할 수 있는 마운트 장치이며,
    상기 제2의 마운트에 있어서, 해당 제2의 마운트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악세사리에 설치된 대응하는 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하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보유하는 단자보유부를, 갖고,
    상기 단자보유부는, 상기 제2의 마운트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차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악세사리의 내부에 설치된 부재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의 단자와, 상기 악세사리와의 통신 제어에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보유부는, 적어도,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다른 제1의 단과 제2의 단을 구비하고,
    상기 악세사리를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2의 단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보다도 상기 악세사리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는,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제1의 단자 및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제2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다른 단자보다도 상기 제1의 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자보다도 상기 제1의 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와의 단자간의 피치는, 적어도, 상기 복수의 단자 중 다른 단자의 단자간의 피치 중 어느 1개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마운트는,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마운트에 설치된 클로우와 계합 가능한 클로우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의 마운트에 설치된 클로우에 대한 상기 제1의 마운트에 설치된 클로우의 회전 방향인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은, 상기 제2의 단보다도 자기에게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가장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에 배치되는 단자의 수와 상기 제2의 단에 배치되는 단자의 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보다도 상기 제2의 단에 배치된 단자의 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2의 단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에 대응하는 그라운드 레벨을 나타내는 제3의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2의 단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3의 단자와의 사이에 제4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4의 단자는, 해당 제4의 단자에 접속된 신호 라인에 보호 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3의 단자는, 상기 제2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다른 단자보다도,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자기에게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단자는,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장착된 상기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하는데 사용하는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와의 단자간의 피치는, 적어도,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4의 단자와의 단자간의 피치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와의 단자간의 피치는, 적어도,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1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단자의 단자간의 피치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복수의 악세사리측 단자와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접점 핀이며,
    상기 단자간의 피치는, 상기 제2의 마운트에 따른 원주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자보유부로부터 노출한 상기 복수의 단자에 대응하는 접점 핀끼리의 중심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복수의 악세사리측 단자와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접점 핀이며,
    상기 단자간의 피치는, 상기 제2의 마운트에 따른 원주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단자끼리가 대응하는 악세사리측 단자와의 접속점의 사이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1의 단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에 상기 악세사리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데 사용하는 제5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5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의 다른 단자보다도 상기 제2의 단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1의 단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단자에 대응하는 그라운드 레벨을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제6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6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의 다른 단자보다도 상기 제2의 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1의 단에 있어서, 제7의 단자, 제8의 단자, 제9의 단자, 제10의 단자, 제11의 단자, 제12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7∼12의 단자는, 통신에 사용하는 단자이며, 상기 제5의 단자와 상기 제6의 단자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는, 촬상 장치 또는 어댑터 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장치.
  17. 마운트 장치에 설치된 제1의 마운트와 결합가능한 제2의 마운트를 갖고, 상기 마운트 장치에 착탈할 수 있는 악세사리이며,
    상기 제2의 마운트에 있어서, 해당 제2의 마운트를 따라 배치되고,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하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보유하는 단자보유부를, 갖고,
    상기 단자보유부는, 상기 제2의 마운트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차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마운트 장치로부터 상기 악세사리 내부에 설치된 부재의 구동에 사용하는 전원의 공급을 받기 위한 제1의 단자와, 상기 마운트 장치와의 통신 제어에 사용되는 전원의 공급을 받기 위한 제2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보유부는, 적어도,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다른 제1의 단과 제2의 단을 구비하고,
    상기 악세사리를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단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단보다도 상기 마운트 장치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는,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제1의 단자 및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제2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다른 단자보다도 상기 제1의 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자보다도 상기 제1의 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와의 단자간의 피치는, 적어도, 상기 복수의 단자 중 다른 단자의 단자간의 피치 중 어느 1개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마운트는,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마운트에 설치된 클로우와 계합 가능한 클로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마운트에 설치된 클로우에 대한 상기 제2의 마운트에 설치된 클로우의 회전 방향인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은, 상기 제2의 단보다도 자기에게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중에서, 가장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에 배치되는 단자의 수와 상기 제2의 단에 배치되는 단자의 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보다도 상기 제2의 단에 배치된 단자의 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2의 단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에 대응하는 그라운드 레벨을 나타내는 제3의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2의 단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3의 단자와의 사이에 제4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4의 단자는, 상기 마운트 장치측과의 통신용의 단자는 아니고,
    상기 제3의 단자는, 상기 제2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 중 다른 단자보다도, 상기 악세사리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자기에게 가까운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단자는, 상기 악세사리가 상기 마운트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악세사리의 종류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와의 단자간의 피치는, 적어도,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4의 단자와의 단자간의 피치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마운트 장치의 복수의 단자와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접점면이며,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는, 상기 제2의 마운트에 따른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접점면의 폭이,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1개의 다른 단자의 접점면의 상기 원주방향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제1의 단자와 상기 제2의 단자와의 단자간의 피치는, 적어도,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1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단자의 단자간의 피치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간의 피치는, 상기 제2의 마운트에 따른 원주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자보유부로부터 노출한 상기 복수의 단자에 대응하는 접점면끼리의 중심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간의 피치는, 상기 제2의 마운트에 따른 원주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단자끼리가 대응하는 상기 마운트 장치의 단자와의 접속점의 사이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1의 단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장치에 상기 악세사리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데 사용하는 제5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5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의 다른 단자보다도 상기 제2의 단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1의 단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단자에 대응하는 그라운드 레벨을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제6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6의 단자는, 상기 제1의 단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자의 다른 단자보다도 상기 제2의 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단자보유부의 상기 제1의 단에 있어서, 제7의 단자, 제8의 단자, 제9의 단자, 제10의 단자, 제11의 단자, 제12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7∼12의 단자는, 통신에 사용하는 단자이며, 상기 제5의 단자와 상기 제6의 단자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3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사리는, 상기 마운트 장치에 착탈가능한 교환 렌즈 또는 어댑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KR1020180062236A 2017-05-31 2018-05-31 마운트 장치 및 악세사리 KR102166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8275 2017-05-31
JP2017108275 2017-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88A KR20180131488A (ko) 2018-12-10
KR102166668B1 true KR102166668B1 (ko) 2020-10-16

Family

ID=6249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236A KR102166668B1 (ko) 2017-05-31 2018-05-31 마운트 장치 및 악세사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82597B2 (ko)
EP (1) EP3410186B1 (ko)
JP (2) JP6611864B2 (ko)
KR (1) KR102166668B1 (ko)
CN (2) CN208424539U (ko)
RU (1) RU271484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6393A (zh) 2017-05-31 2021-07-16 佳能株式会社 镜头设备、摄像设备和中间配件
EP3410195B1 (en) 2017-05-31 2021-04-28 Canon Kabushiki Kaisha Accessory and imaging apparatus
TWI709808B (zh) 2017-05-31 2020-11-11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安裝件設備和配件
RU2714847C2 (ru) 2017-05-31 2020-02-19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и аксессуары
CN108989621B (zh) 2017-05-31 2021-01-05 佳能株式会社 摄像设备、镜头设备和中间配件
JP6866236B2 (ja) * 2017-05-31 2021-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装置
RU2714842C2 (ru) * 2017-05-31 2020-02-19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и аксессуары
CN208402002U (zh) 2017-05-31 2019-01-18 佳能株式会社 摄像设备、镜头设备、配件和照相机系统
RU2685059C1 (ru) * 2018-07-10 2019-04-16 Дмитрий Сергеевич Гасан Корпус устройства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JP6455624B1 (ja) * 2018-08-16 2019-01-23 株式会社ニコン アクセサリ
EP3848752A4 (en) * 2018-09-03 2022-03-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DEVICE AND ACCESSORY
JP2021136552A (ja) * 2020-02-26 2021-09-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67594A (ja) * 2021-04-23 2022-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アクセサリ、アクセサリ接続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制御方法
JP2022170349A (ja) * 2021-04-28 2022-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アクセサリ
CN113219293B (zh) * 2021-07-08 2022-03-18 深圳市爱图仕影像器材有限公司 光学附件检测电路及照明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1949A (ja) 2012-04-04 2013-11-14 Canon Inc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JP2014056131A (ja) 2012-09-13 2014-03-27 Canon Inc 光学機器アクセサリおよび光学機器

Family Cites Families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335Y2 (ja) * 1975-06-04 1983-11-16 ブロニカ株式会社 交換レンズ用コネクタ−
US6183145B1 (en) 1986-02-13 2001-02-06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JPS62195633A (ja) 1986-02-24 1987-08-28 Canon Inc 光学付属品
JPS63165831A (ja) * 1986-12-27 1988-07-09 Canon Inc 光学付属品
US4924249A (en) * 1986-12-27 1990-05-08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device for camera
GB2199668B (en) * 1986-12-27 1991-05-22 Canon Kk Connector for a camera
US4922283A (en) 1988-02-12 1990-05-01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instrument
JPH0734094B2 (ja) * 1988-12-19 1995-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US5079578A (en) 1988-10-13 1992-01-07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JPH0734093B2 (ja) 1988-10-13 1995-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JP2790249B2 (ja) 1988-11-17 1998-08-2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US5177520A (en) 1988-12-05 1993-01-05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DE68922472T2 (de) 1988-12-05 1995-09-28 Canon Kk Optisches Gerät.
DE69025441T2 (de) * 1989-08-25 1996-08-08 Canon Kk Optisches Gerät mit einem Träger
JPH0424736U (ko) 1990-06-21 1992-02-27
JP3082951B2 (ja) 1991-01-31 2000-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着脱式カメラ装置
JPH0937119A (ja) 1995-07-20 1997-02-07 Canon Inc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及び光学付属品
DE19855977C2 (de) 1998-12-04 2002-06-27 Rollei Fototechnic Gmbh Objektiv für eine Kamera
JP4343333B2 (ja) 1999-06-25 2009-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2258381A (ja) 2001-02-28 2002-09-11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交換式カメラ、そのカメラボディおよび撮影レンズ
JP2003015011A (ja) 2001-07-02 2003-01-15 Minolta Co Ltd 交換レンズおよび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4411037B2 (ja) 2002-09-09 2010-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撮影システム
JP4555556B2 (ja) 2003-10-09 2010-10-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交換式カメラシステム
CN1716715A (zh) 2004-06-14 2006-01-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端子结构
US7668455B2 (en) 2004-12-20 2010-02-23 Fujifilm Corpor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program
JP4574489B2 (ja) 2005-08-12 2010-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01656A (ja) * 2005-09-30 2007-04-19 Fujifilm Corp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JP2007171506A (ja) 2005-12-21 2007-07-05 Fujifilm Corp カメラシステム
JP2007295091A (ja) 2006-04-21 2007-11-08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プログラム
WO2008099605A1 (ja) 2007-02-15 2008-08-21 Panasonic Corporation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本体
KR101406800B1 (ko) 2007-09-06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874747B2 (en) 2008-04-28 2011-01-25 Panasonic Corporation Intermediate adapter, camera body and imaging system
KR101617792B1 (ko) 2008-12-31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탈착식 카메라
JP2010282101A (ja) 2009-06-05 2010-12-16 Nikon Corp 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アクセサリ
JP5665107B2 (ja) 2009-06-25 2015-02-04 Nec東芝スペースシステム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回路
WO2011064850A1 (ja) 2009-11-25 2011-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交換レンズ
JP2011170194A (ja) * 2010-02-19 2011-09-01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及び撮影制御方法
JP4998624B2 (ja) 2010-03-18 2012-08-15 株式会社ニコン 交換レンズ
JP2012013730A (ja) 2010-06-29 2012-01-19 Kowa Co 望遠レンズユニット
JP5854623B2 (ja) 2010-08-06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アクセサリ及び撮像装置システム
JP2012075078A (ja) 2010-08-31 2012-04-12 Panasonic Corp カメラ本体、撮像装置、カメラ本体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041081B2 (ja) * 2010-09-06 2012-10-03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用アクセサリ、アクセサリ側マウント、カメラボディおよびボディ側マウント
CN202102220U (zh) 2010-09-09 2012-01-04 株式会社尼康 可换透镜、相机主体及电子设备
JP4952845B2 (ja) 2010-09-09 2012-06-13 株式会社ニコン 交換レンズ、カメラボディおよび電子機器
JP5247859B2 (ja) * 2010-10-27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アクセサリ及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システム
JP5762011B2 (ja) 2011-01-21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交換レンズ及び撮像装置システム
JP4978745B1 (ja) 2011-02-25 2012-07-18 株式会社ニコン アクセサリー、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5821347B2 (ja) 2011-07-08 2015-11-24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シャッタ制御装置
US8814449B2 (en) 2011-07-22 2014-08-26 Nikon Corporation Adapter, camera system, and adapter control program
JP5866914B2 (ja) 2011-07-22 2016-02-24 株式会社ニコン アダプター、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ボディ、アダプター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カメラボディ制御プログラム
US8755684B2 (en) 2011-07-22 2014-06-17 Nikon Corporation Adapter, camera system, and adapter control program
JP5894397B2 (ja) 2011-08-29 2016-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アクセサリ及び撮像システム
JP2013064867A (ja) 2011-09-16 2013-04-11 Nikon Corp アクセサリー、及びコネクター
US8649677B2 (en) 2011-09-20 2014-02-11 Nikon Corporation Exchangeable lens
US8714844B2 (en) 2011-09-20 2014-05-06 Nikon Corporation Intermediate adapter, camera accessory, and exchangeable lens
JP2013068833A (ja) * 2011-09-22 2013-04-18 Sony Corp アクセサリー、撮像装置及び検出方法
CN103959161B (zh) * 2011-12-28 2016-02-03 富士胶片株式会社 可换镜头式照相机、照相机主体及镜头安装判定方法
JP5643443B2 (ja) 2011-12-28 2014-12-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交換式カメラ、カメラ本体、レンズユニット及びビジー信号制御方法
JP2013172195A (ja) 2012-02-17 2013-09-02 Nikon Corp カメラアクセサリー、交換レンズ、及びアダプター
KR101723563B1 (ko) 2012-03-15 2017-04-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의 마운트 장치
US9151929B2 (en) 2012-04-04 2015-10-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nd lens unit
JP5705158B2 (ja) 2012-04-04 2015-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US9729769B2 (en) 2012-04-04 2017-08-08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nd camera accessory
EP2648043B1 (en) 2012-04-04 2019-06-12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and camera accessory
BR102013008246B1 (pt) 2012-04-04 2020-12-01 Canon Kabushiki Kaisha acessório de câmera e câmera
JPWO2013168742A1 (ja) 2012-05-08 2016-01-07 株式会社ニコン アクセサリ,カメラボディ
JP6041561B2 (ja) 2012-07-19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643788B2 (ja) 2012-07-20 2014-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レンズユニット
JP5701267B2 (ja) 2012-07-20 2015-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アクセサリ
JP5755204B2 (ja) 2012-09-12 2015-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361060B2 (en) 2013-02-08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tributed rendering synchronization control for display clustering
CN105190430B (zh) 2013-03-19 2018-04-06 富士胶片株式会社 相机装置、相机机体、互换镜头及相机机体的动作控制方法
JP2015148720A (ja) 2014-02-06 2015-08-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及びこの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に取り付け可能な支持台ユニット
JP6465555B2 (ja) 2014-03-25 2019-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電子機器、カメラ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139652B (zh) 2015-10-20 2020-08-11 富士胶片株式会社 可换镜头、相机系统、通信方法及程序
JP6838928B2 (ja) 2016-10-18 2021-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マウントアダプタ
CN110235058B (zh) 2017-01-27 2021-04-30 富士胶片株式会社 相机系统、相机、镜头、附件及相机系统的附件检测方法
RU2714842C2 (ru) 2017-05-31 2020-02-19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и аксессуары
CN113126393A (zh) 2017-05-31 2021-07-16 佳能株式会社 镜头设备、摄像设备和中间配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1949A (ja) 2012-04-04 2013-11-14 Canon Inc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JP2014056131A (ja) 2012-09-13 2014-03-27 Canon Inc 光学機器アクセサリおよび光学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24459A (ja) 2020-02-13
RU2018119503A3 (ko) 2019-11-28
CN108989618A (zh) 2018-12-11
EP3410186B1 (en) 2020-02-05
EP3410186A1 (en) 2018-12-05
US10782597B2 (en) 2020-09-22
JP7051782B2 (ja) 2022-04-11
RU2714842C2 (ru) 2020-02-19
CN108989618B (zh) 2021-04-16
BR102018011057A2 (pt) 2019-03-26
CN208424539U (zh) 2019-01-22
KR20180131488A (ko) 2018-12-10
US20180348608A1 (en) 2018-12-06
JP2018205734A (ja) 2018-12-27
US20200310229A1 (en) 2020-10-01
RU2018119503A (ru) 2019-11-28
US11281078B2 (en) 2022-03-22
JP6611864B2 (ja)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668B1 (ko) 마운트 장치 및 악세사리
KR20210030334A (ko) 마운트 장치 및 악세사리
KR102090965B1 (ko) 마운트 장치 및 악세사리
EP3410190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ccessories
CN112654921B (zh) 安装设备和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