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769B1 -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769B1
KR102159769B1 KR1020190092024A KR20190092024A KR102159769B1 KR 102159769 B1 KR102159769 B1 KR 102159769B1 KR 1020190092024 A KR1020190092024 A KR 1020190092024A KR 20190092024 A KR20190092024 A KR 20190092024A KR 102159769 B1 KR102159769 B1 KR 10215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xchange
shared
information
shar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혁준
이상민
정성일
Original Assignee
(주)디지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파츠 filed Critical (주)디지파츠
Priority to KR102019009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769B1/ko
Priority to PCT/KR2020/009860 priority patent/WO202102083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장치(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공유 차량과 연동되는 차량 공유 서버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차량으로부터 교환 설정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와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가 포함된 제1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공유 차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 식별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선택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Car Sharing Service}
본 발명은 차량 공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편리하고 지능적인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유 경제의 세계적인 관심 속에 차량을 불특정 다수가 공유하는 카쉐어링(차량 공유)서비스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차량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증가됨에 따라 공유 차량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차량 공유 서비스는 특정 차량을 불특정 다수가 필요한 시간만큼 임대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렌터카 서비스로서, 이용자 입장에서 기존 렌터카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용자가 차량 소유주 또는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직접 대면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등에 탑재된 앱을 이용하여 원하는 공유 차량을 선택 및 예약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공유 차량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교환 및(또는) 환승이 가능하도록 지능적인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048461호를 참조하면, 차량의 변경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차량 관리 서버는 차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번경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장치(들)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를 검색하여 해당 공유 차량 또는 해당 공유 차량의 운전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차량 공유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공유 차량의 현재 운행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환승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차량 공유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공유 차량의 교환 및(또는) 환승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용 요금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차량 공유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장치(들)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공유 차량과 연동되는 차량 공유 서버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차량으로부터 교환 설정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와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가 포함된 제1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공유 차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 식별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선택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차량을 교환 대기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존재하면,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교환 대기 리스트에 등록되었음을 지시하는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는 교환 대기중인 사용자 수에 관한 정보, 예상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방법은 현재 운행 중이 아닌 교환 가능 차량을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상기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검색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차량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차량으로 상기 제1 차량의 정보 및 상기 교환 설정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응답 지시자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지시자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응답 지시자 상기 제2 차량 사용자에 의해 해당 교환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지시하는 수락 지시자와 거절되었음을 지시하는 거절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지시자가 상기 수락 지시자이면, 상기 제2 차량이 등록된 상기 교환 대기 리스트 또는 상기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가 갱신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교환 설정 정보는 교환 장소 정보, 교환 일시 정보, 요율 설정 정보 및 차량 타입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는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이 유휴 상태인지 운행 상태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는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 별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이격 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방법은 상기 공유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존 경계로 진입하고 있는 공유 차량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공유 차량에 소정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는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환승 센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환승 센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존 경계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식별된 공유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존 경계로의 진입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된 추천 환승 센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버는 제어기와 차량 공유 서비스에 등록된 제1 차량으로부터 교환 설정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과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을 검색하는 검색 모듈과 상기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를 생성하는 교환 및 환승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가 포함된 제1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공유 차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 식별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선택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교환 및 환승 모듈은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차량을 교환 대기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존재하면,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교환 대기 리스트에 등록되었음을 지시하는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는 교환 대기중인 사용자 수에 관한 정보, 예상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교환 및 환승 모듈은 현재 운행 중이 아닌 교환 가능 차량을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검색 모듈은 상기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상기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선택된 차량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차량으로 상기 제1 차량의 정보 및 상기 교환 설정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응답 지시자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응답 지시자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차량 공유 서버는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에 등록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 모듈과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존 경계로 진입하고 있는 공유 차량을 식별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식별된 공유 차량에 소정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 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인공 지능에 기반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를 검색하여 해당 공유 차량 또는 해당 공유 차량의 운전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차량 공유 서버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공유 차량의 현재 운행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공유 차량 환승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차량 공유 서버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공유 차량의 교환 및(또는) 환승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용 요금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차량 공유 서버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교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앱 화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교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환승 안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환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8은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환승 안내 화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하, 간단히 “시스템”이라 명함-은 제1 차량(110), 제1 차량 운전자 단말(120), 제2 차량(130), 제2 차량 운전자 단말(140), 차량 공유 서버(150), 통신망(160), 교통 정보 제공 서버(170) 및 측위 위성(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들을 모두가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차량(110) 및 제2 차량(130)은 각각 해당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 차량 단말(111)과 제2 차량 단말(131) 및 제1 차량 단말(111)과 제2 차량 단말(131)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차량용 외장 안테나(112)와 제2 차량용 외장 안테나(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2 차량용 외장 안테나(112, 132)는 무선망(161)과의 신호 송수신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 안테나뿐만 아니라 측위 위성(180)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측위 안테나가 하나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차량 단말(111)과 제2 차량 단말(131)은 각각 그것과 연결된 차량용 외장 안테나(112, 132)를 통해 통신망(160)에 접속하여 차량 공유 서버(150)와 정보를 교환하고, 측위 위성(18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60)은 무선망(161) 및 인터넷망(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량 단말(111)은 제1 차량 운전자 단말(1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차량 단말(131)은 제2 차량 운전자 단말(14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UWB(Ultra Wideband Band)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내지 제2 차량 단말(111, 131) 및(또는) 제1 내지 제2 운전자 단말(120, 140)에는 각종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 앱-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 공유 서비스 앱’이라 명함-이 차량 공유 서버(150)로부터 로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공유 서비스 앱은 공유 차량 검색 기능, 공유 차량 예약 기능, 공유 차량 예약 해지/변경 기능, 공유 차량 교환 기능, 공유 차량 환승 안내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 또는 차량 단말에 설치된 차량 공유 서비스 앱을 실행하여 자신의 일정 및 여행 목적에 적합한 공유 차량을 검색 및 선택하고, 선택한 공유 차량의 사용을 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공유 차량 사용 중 일정이 변경된 경우 차량 공유 서비스 앱을 통해 현재 운행중인 공유 차량의 사용 기한을 연장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 연장 요청된 공유 차량에 대한 다른 예약자가 존재하는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해당 예약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체 차량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해당 예약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약자는 대체 차량을 선택하고, 선택 결과를 차량 공유 서버(150)로 전송하여 새로운 공유 차량을 예약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는 해당 공유 차량 사용 중 차량 공유 서비스 앱을 통해 다른 공유 차량으로 교체(교환)하거나 환승할 수도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개인 및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공유 차량을 등록하거나 기존 등록된 공유 차량을 등록 해제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공유 차량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공유 차량에 대한 등록 해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공유 서버(150)는 단위 기간 동안의 차량 정비 회수가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사용자 평점의 평균이 소정 기준치 이하이거나 심각한 교통 사고가 발생된 공유 차량에 대해서는 등록 해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현재 공유 차량 운전자가 설정한 반납 장소와 다음 공유 차량 사용을 예약한 예약자가 설정한 인수 장소를 기반하여 최적의 만남 장소를 결정하는 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차량 공유 서버(150)는 해당 공유 차량의 현재 운전자가 설정한 반납 장소와 해당 공유 차량을 다음으로 사용할 예약자가 설정한 인수 장소에 기반하여 인수 인계 존을 결정하고, 결정된 인수 인계 존 내 교통 상황 정보, 주차 정보, 이벤트 정보 등에 기초하여 최종 인수 인계 장소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된 인수 인계 장소는 복수일 수 있으며, 차량 공유 서버(150)는 복수의 인수 인계 장소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현재 운전자 또는(및) 다음 예약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대상 인수 인계 존 내 현재 교통 상황을 교통 정보 제공 서버(170)와 연동하여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대상 인수 인계 존 내 현재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차량 단말(111, 131) 및(또는) 운전자 단말(120, 14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버(150)는 등록된 공유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차량 환승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버(150)는 해당 차량으로부터 교환 대상 차량의 이격 거리, 해당 차량과 교환 대상 차량 사이의 현재 교통 상황, 해당 차량과 교환 대상 차량 주변의 이벤트 상황, 해당 차량과 교환 대상 차량 사이에 위치한 주차장 정보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교환(또는 환승) 대상 차량을 추천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대상 지역에 계획된 이벤트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정보는 마라톤 행사 정보, 집회 정보, 축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통 범칙금 납부 서버(미도시)로부터 등록된 공유 차량에 상응하여 발생된 교통 범칙금 고지서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통 범칙금 고지서상에 표시된 교통 법규 위반 일시 및 장소에 기초하여 실제 해당 법칙금을 납부해야 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법칙금을 납부해야 하는 사용자로부터 신용 카드 결제, 계좌 이체 등을 통해 범칙금을 수령하고, 수령된 범칙금을 해당 범칙금 납부 계좌에 자동 이체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통 법규 위반 등으로 범칙금을 발생시킨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는 소정 벌점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예로, 해당 사용자 계정에 상응하여 누적된 벌점에 따라 차등적인 요율을 적용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누적된 벌점이 작을수록 낮은 서비스 요율을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누적된 벌점이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해당 사용자 계정의 차량 공유 서비스 사용을 일정 기간 동안 차단시키거나 해당 사용자 계정을 완전히 등록 해지시킬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교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 차량(110)은 공유 차량 교환 요청 메시지를 차량 공유 서버(150)에 전송할 수 있다(S210).
일 예로, 공유 차량 교환 요청 메시지는 해당 공유 차량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차량 식별 정보, 교환 장소에 관한 정보, 교환 일시에 관한 정보, 교환하고자 하는 차량의 타입에 관한 정보, 원하는 요율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차량 식별 정보는 차량 식별 번호인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차량 번호판인 LPN(License Plate Numb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제1 차량(110)의 설정 조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20).
일 예로, 차량 공유 서버(150)는 미리 확보된 유휴 차량에 관한 정보 및 교환 대기 리스트를 참조하여 교환 가능한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유휴 차량은 현재 운행되고 있지 않는 차량을 의미하고, 교환 대기 리스트에 있는 차량은 현재 운행 중이나 교환 요청 후 대기중인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한 220 단계의 판단 결과, 교환 가능한 차량이 존재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제1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제1 차량(110)에 전송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제1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는 차량 교환이 가능한 상태임을 지시하는 상태 지시자 및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가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차량 공유 서버(150)는 후술할 도 3의 도면 번호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 가능 차량(들)을 제1 차량(110)을 중심으로 거리에 따라 지도상에 매핑하고, 사용자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 화면으로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는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이 유휴 상태인지 운행 상태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는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이 내 위치로부터 이격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이격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는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의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세 정보는 차량 타입 정보, 연식 정보, 제조사 정보, 요율 정보, 옵션 정보, 사양 정보, 평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만약,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의 개수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환 가능 차량들을 선택 가능한 텍스트 목록으로 구성한 화면으로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한 220 단계의 판단 결과, 교환 가능한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환 대기 리스트에 제1 차량 식별 정보를 추가 등록할 수 있다(S240). 여기서, 교환 대기 리스트에는 제1 차량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각종 설정 조건에 관한 정보도 함께 등록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환 대기 상태임을 지시하는 상태 지시자가 포함된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제1 차량(11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는 현재 차량 교환을 요청한 대기자의 수에 관한 정보, 예상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량(110)은 수신된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교환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260).
판단 결과, 교환 가능한 상태이면, 제1 차량(110)은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를 구비된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S270). 사용자는 화면에 출력된 교환 가능 차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차량(110)은 사용자 선택된 공유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선택 메시지를 차량 공유 서버(150)에 전송할 수 있다(S280).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비스 앱 화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비스 앱 화면(300)은 크게 버튼 표시 영역(310)과 검색 결과 표시 영역(3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버튼 표시 영역(310)은 교환 장소 설정 버튼(301), 교환 일시 설정 버튼(302), 요율 설정 버튼(303), 차량 타입 설정 버튼(304), 검색 버튼(305) 및 선택 버튼(30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교환 장소 설정 버튼(301)을 선택하여, 현재 사용중인 공유 차량을 교환할 장소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서울에서 부산으로 이동 중 부산 해운대에서 현재 운행중인 공유 차량을 새로운 공유 차량으로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교환 장소를 부산 해운대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교환 일시 설정 버튼(302)을 선택하여, 현재 사용중인 공유 차량을 교환할 일자 및(또는) 시간(또는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요율 설정 버튼(303)을 선택하여, 교환하고자 하는 공유 차량의 요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운행중인 공유 차량이 세단이고, 교환하고자 하는 공유 차량이 개인 이동 수단-예를 들면, 전동 킥보드-인 경우, 현재 운행 중인 공유 차량에 비해 낮은 요율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 타입 설정 버튼(304)을 선택하여, 교환하고자 하는 공유 차량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가능한 공유 차량의 타입은 설정된 요율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요율 설정 버튼(303)을 통해 설정한 요율이 0.7인 경우, 0.7 이하의 요율을 가지는 공유 차량 타입만이 선택 가능하도록 자동 필터링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 버튼(305)을 선택하여, 상기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공유 차량 검색을 차량 공유 서버(150)에 요청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에 의한 검색 결과는 도면 번호 320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 번호 320을 참조하면, 내 차량을 중심으로 거리에 따라 선택 가능한 공유 차량(들)이 검색 결과 표시 영역(32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공유 차량 중 어느 하나를 도면 번호 330과 같이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공유 차량을 선택하면, 도면 번호 3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한 공유 차량에 대한 상세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세 정보는 차량 타입 정보, 제조사 정보, 연식 정보, 요율 정보, 최고 속도 정보, 주행 가능 거리에 관한 정보, 사용자 평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 예에 따른 검색 결과 화면에는 도면 번호 350과 같이,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들)의 현재 운행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운행 상태는 유휴 상태와 운행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유휴 상태는 현재 운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고, 운행 상태는 해당 공유 차량이 교환 대기 상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중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교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제2 차량(130)을 교환 대기 리스트에 등록시킬 수 있다(S410). 여기서, 교환 대기 리스트에 제2 차량(130)를 등록하는 세부적인 절차는 상기한 도 2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제1 차량(110)으로부터 공유 차량 교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420). 여기서, 공유 차량 교환 요청 메시지는 제1 차량(110)의 식별 정보, 교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교환 설정 정보는 교환 장소 정보, 교환 일시 정보, 요율 설정 정보, 차량 타입 선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를 참조하여 교환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 교환 가능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S430). 여기서, 교환 대기 리스트 및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는 차량 공유 서버(150)의 내부(또는 네트워크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교환 가능한 차량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40).
판단 결과, 교환 가능한 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환 대기 리스트에 제1 차량 식별 정보 및 교환 설정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450).
연이어,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환 대기 상태에 상응하는 상태 지시자가 포함된 제1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제1 차량(110)에 전송할 수 있다(S460).
상기 440 단계의 판단 결과, 교환 가능한 차량이 존재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제1 차량(110) 정보 및 교환 설정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메시지를 제2 차량(130)에 전송할 수 있다(S470). 여기서, 제2 차량(130)은 제1 차량(110)으로부터 수신된 교환 설정 정보를 만족하는 교환 가능 차량일 수 있다. 상기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교환 가능 차량이 제2 차량(130) 한대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차량 공유 서버(150)는 복수의 차량을 교환 가능 차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상기한 도 2의 실시 예에 같이,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를 제1 차량(110)에 제공하고, 제1 차량(11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으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 예로, 제1 차량(110) 정보는 제1 차량(110)에 상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 제조사 정보, 연식 정보, 옵션 정보, 성능 및 사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차량(130) 사용자는 제1 차량 정보 및 교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차량 교환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공유 차량 교환 알림 응답 메시지를 제2 차량(13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응답 메시지에는 공유 차량 교환 요청이 제2 차량(130) 사용자에 의해 수락되었는지 거절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교환 요청이 수락되었는지 거절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응답 지시자’라 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응답 지시자가 ‘0’이면, 제2 차량(130) 사용자에 의해 교환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의미하고, 응답 지시자가 ‘1’이면 해당 교환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응답 지시자는 그 반대로 정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응답 지시자가 포함된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제1 차량(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S490).
차량 공유 서버(150)는 응답 지시자에 기초하여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S495). 일 예로, 응답 지시자가 ‘수락’인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에 등록된 제2 차량(130)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반면, 응답 지시자가 ‘거절’인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에 등록된 제2 차량(130)에 관한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고, 제1 차량(110)에 관한 정보를 교환 대기 리스트에 등록시킬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환승 안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로, 차량 공유 서비스 대상 지역은 교통 혼잡도, 배기 가스 규제 여부, 특정 차량 통행 차단 여부 등에 따라 복수의 존(ZO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비스 대상 지역은 교통 혼잡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배기 가스 규제가 없는 ZONE C(501), 교통 혼잡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배기 가스 규제가 있는 ZONE B(502), 특정 차량 통행을 제안하는 ZONE A(503)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존은 보다 다양한 조건에 기반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존 경계 지역에는 공유 차량 환승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환승 센터(560 내지 590)가 운영될 수 있다. 환승 센터에는 해당 존에서 운행 가능한 공유 차량(들)이 배치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차량(510)은 ZONE C(501)에서 ZONE B(502)로 진입할 수 있다.
ZONE B(502)는 배기 가스 규제가 적용되므로, 제1 차량(510) 운전자는 제1 환승 센터(560)에서 소형 전기차인 제2 차량(520)으로 환승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버(500)는 제1 차량(510)이 ZONE B(502)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제2 차량(520)으로의 환승이 필요함을 알리는 소정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를 제1 차량(5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차량(510) 운전자는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에 따라 제1 환승 센터(560)로 이동하여 제2 차량(520)으로 환승할 수 있다. 환승이 완료되면, 제1 차량(510)은 제2 차량(520)으로의 환승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공유 차량 환승 완료 메시지를 차량 공유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500)는 공유 차량 환승 완료 메시지에 기초하여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ZONE B(502)에 위치한 제2 차량(520)은 ZONE A(503)로 진입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500)는 제2 차량(520)이 ZONE A(503)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개인 이동 수단인 제3 차량(530)으로의 환승이 필요함을 알리는 소정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를 제2 차량(5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차량(520) 운전자는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에 따라 제2 환승 센터(570)로 이동하여 제3 차량(530)으로 환승할 수 있다. 환승이 완료되면, 제2 차량(520)은 제3 차량(530)으로의 환승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공유 차량 환승 완료 메시지를 차량 공유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500)는 공유 차량 환승 완료 메시지에 기초하여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차량(530) 운전자는 차량 공유 서버(500)의 안내에 따라 제4 차량(540) 및 제5 차량(550)으로 환승하여 ZONE B(502)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환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현재 운행 중인 공유 차량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610).
차량 공유 서버(150)는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존 경계로 진입하고 있는 공유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20).
판단 결과, 존재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해당 공유 차량의 존 경계 진입 방향을 확인하고, 확인된 존 경계 및 진입 방향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공유 차량 교체(또는 환승) 안내 메시지를 해당 공유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S630). 여기서, 차량 공유 서버(150)는 해당 공유 차량이 존 경계에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공유 차량 교체(또는 환승) 안내 메시지를 해당 공유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공유 차량 교체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640).
판단 결과, 공유 차량 교체가 완료된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체 완료된 공유 차량의 운전자 계정에 소정 에코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S650).
실시 예로, 차량 공유 서버(150)는 누적된 에코 포인트에 따라 해당 사용자 계정에 요금 감면 쿠폰, 무료 사용 쿠폰, 차량 승급 쿠폰 등을 발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은 교통 법규 위반으로 불필요한 벌금이 사용자에 부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은 대기 오염을 예방하고 보다 쾌적한 교통 환경을 제공할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8은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환승 안내 화면이다.
공유 차량 환승 안내 화면은 차량 단말 또는(및) 차량 단말과 연동되는 운전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차량 환승 안내 화면(700)은 제1 내지 제3 영역(701 내지 70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701)에는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차량(710)이 ZONE C에서 ZONE B로 진입하는 경우, 제1 영역(710)에는 하기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고객님의 차량이 탄소 저감 지역(ZONE B)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소형 전기차로 환승하시려면 원하는 ZONE B/C 환승 센터를 선택 후 환승 센터로 이동하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다른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제2 차량(810)이 ZONE B에서 ZONE A로 진입하는 경우, 제1 영역(710)에는 하기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전방에 차량 통행 금지 구역(ZONE A)이 있습니다. 개인용 이동 수단으로 환승하시려면, 원하는 ZONE A/B 환승 센터를 선택 후 환승 센터로 이동하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제2 영역(702)에는 식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정보는 내 위치 식별 정보, 환승 센터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3 영역(703)에는 환승 센터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영역(703)에는 내 위치 및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환승 센터가 지도상에 매핑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3 영역(703)의 일측에는 사용자 선택된 환승 센터로의 자동 경로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환승 센터로 이동하기 버튼(74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제1 차량(710)의 현재 위치 및 진입 방향을 고려하여 ZONE B/C 추천 환승 센터(721)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1 차량(710)이 ZONE C에서 ZONE B로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는 ZONE B/C 환승 센터(721 내지 72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제2 차량(810)의 현재 위치 및 진입 방향을 고려하여 ZONE A/B 추천 환승 센터(821)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2 차량(810)이 ZONE B에서 ZONE C로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는 ZONE A/B 환승 센터(821 내지 82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공유 차량 사용 개시 요청 메시지를 제1 차량(110)에 전송할 수 있다(S910).
제1 차량(110)은 해당 차량 ECU로부터 사용 개시 시점의 누적 주행 거리 D1을 획득할 수 있다(S920).
제1 차량(110)은 D1이 포함된 공유 차량 사용 개시 응답 메시지를 차량 공유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S930). 이때, 차량 공유 서버(150)는 공유 차량 사용 개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 t1을 저장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공유 차량 종료 요청 메시지를 제1 차량(110)에 전송할 수 있다(S940).
제1 차량(110)은 차량 ECU로부터 사용 종료 시점의 누적 주행 거리 D2를 획득할 수 있다(S950).
제1 차량(110)은 현재 위치 정보 L을 획득하고, D2 및 L이 포함된 공유 차량 사용 종료 응답 메시지를 차량 공유 서버(150)에 전송할 수 있다(S970).
차량 공유 서버(150)는 해당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제1 차량(110)의 운행 거리(D2-D1) 및 이용 시간(t2-t1) 산출한 후 제1 차량(110)에 할당된 요율을 적용하여 해당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이용 요금 산출할 수 있다(S980).
차량 공유 서버(150)는 사용 종료된 제1 차량(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저장한 후 제1 차량(110)을 유휴 차량으로 등록할 수 있다(S990).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차량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세하게, 도 10은 공유 차량 교체에 따라 이용 요금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공유 차량이 교체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10).
판단 결과, 공유 차량이 교체된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체 이전 공유 차량에 상응하는 사용 내역을 산출할 수 있다(S1020). 여기서, 사용 내역은 운행 거리 및 이용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차량 교체에 따라 요율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30).
판단 결과, 요율이 변경된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체 이전 공유 차량에 상응하는 사용 내역에 교체 이전 공유 차량에 할당된 요율을 적용하여 구간 이용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S1040).
차량 공유 서버(150)는 산출된 구간 이용 요금을 해당 공유 차량을 사용한 사용자의 계정에 누적할 수 있다(S1050).
상기한 1030 단계의 판단 결과, 요율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차량 공유 서버(150)는 교체 이전 공유 차량에 상응하는 사용 내역을 해당 사용자 계정에 누적할 수 있다(S1060).
일 예로, 차량 공유 서버(150)는 제1 차량에서 제2 차량으로 교체 시 제1 차량과 제2 차량의 요율이 동일한 경우, 제1 차량에 대한 구간 이용 요금을 산출하지 않고 사용 내역만 누적할 수 있다. 이후, 제2 차량으로 제3 차량으로 교체 시 제2 차량과 제3차량의 요율이 상이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제1 내지 제2 차량에 상응하여 누적된 사용 내역에 기초하여 구간 이용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공유 차량 사용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70). 일 예로, 차량 공유 서버(150)는 해당 공유 차량 또는 해당 공유 차량의 운전자 단말로부터 소정 공유 차량 종료 요청 메시지를 수신했거나 내부 판단에 따라 공유 차량 사용 종료 요청 메시지를 해당 공유 차량 또는 해당 공유 차량의 운전자 단말에 전송한 경우 해당 공유 차량 사용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차량 공유 서버(150)는 공유 차량 사용이 종료된 경우, 해당 사용자 계정에 상응하여 현재까지 누적된 이용 요금 및 누적된 사용 내역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계정의 최종 이용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S1080).
실시 예로, 차량 공유 서버(150)는 산출된 최종 이용 요금, 상세 사용 내역 등을 해당 사용자 계정에 상응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세 사용 내역은 차량 교환 내역, 환승 내역, 이용 차량 별 사용 내역 및 이용 요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공유 서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 공유 서버(150)는 통신 모듈(1101), 위치 정보 수집 모듈(1102), 교통 정보 수집 모듈(1103), 인증 및 보안 모듈(1104), 교환 및 환승 모듈(1105), 검색 모듈(1106), 데이터베이스(1110), 모니터링 모듈(1120), 등록 모듈(1130) 및 과금 모듈(1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01)은 통신망(160)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 모듈(1102)은 공유 차량의 위치 정보 및 공유 차량 운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획득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수집 모듈(1103)은 교통 정보 제공 서버(170)과 연동하여 특정 지역에 상응하는 현재 교통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인증 및 보안 모듈(1104)은 차량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를 인증하고 보안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인증 및 보안 모듈(1104)은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및 보안 모듈(1104)은 해당 사용자에 상응하는 미리 등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보안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보안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복호할 수 있다.
교환 및 환승 모듈(1105)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공유 차량 교환을 위한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교환 모듈(1105)은 상기한 도 5 및 도 7 내지 8에서 설명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해당 공유 차량 또는 해당 공유 차량과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교환 및 환승 모듈(1105)은 사용자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차량 데이터베이스(1011)를 갱신할 수 있다.
검색 모듈(1106)은 공유 차량 사용자의 요청-즉,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10)는 서비스 등록된 공유 차량에 대한 상세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공유 차량 데이터베이스(1111), 각종 지도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베이스(1111), 차량 공유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 별 각종 정보를 유지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유 차량 데이터베이스(1111)는 차량 별 소유자 정보, 차종 및 옵션 정보, 사고 이력 정보, 누적 차량 벌점 정보, 차량 평가 정보, 예약 정보, 현재 위치 정보, 반납 일시 및 장소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공유 차량 데이터베이스(1111)에는 교환 대기 중인 공유 차량 리스트-즉, 상술한 교환 대기 리스트- 및 유휴 상태로 교환 및(또는 환승) 가능한 공유 차량 리스트-즉, 상술한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가 유지될 수도 있다.
교환 및 환승 모듈(1105)은 교환 및(또는) 환승 결과에 따라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를 동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베이스(1112)는 행정 구역 별 지도 정보가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행정 구역은 특정 존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존은 교통 혼잡도, 배기 가스 규제 여부, 특정 차량 통행 차단 여부 등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113)에는 사용자 계정 별 연락처 정보, 인증 및 보안을 위한 정보-예를 들면, 생체 정보-, 차량 예약 정보, 공유 차량 사용 내역 정보, 공유 차량 사용 요금 정보, 각종 포인트 정보, 해당 계정에 상응하여 발생된 쿠폰 정보, 사용자 평가 정보, 주행 통계 정보, 범칙금 통계 정보, 보험 요율 정보, 누적 사용자 벌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니터링 모듈(1120)은 공유 차량의 운행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니터링 모듈(1120)은 위치 정보 수집 모듈(1102)로부터 공유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공유 차량이 존 경계에 진입하였는지 여부 및 진입 방향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1120)은 존 경계에 진입한 공유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어기(1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기(1150)는 모니터링 모듈(112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공유 차량으로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 전송이 필요하면, 제어기(1150)는 교환 및 환승 모듈(1105)에 소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공유 차량 환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등록 모듈(1130)은 공유 차량 차주 또는 차량 공유 서비스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차량을 공유 차량으로 등록하거나 등록 해지할 수 있다. 등록 모듈(1130)은 공유 차량 데이터베이스(1111)를 갱신할 수 있다.
과금 모듈(1140)은 사용자 계정 별 공유 차량 사용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과금 모듈(1140)은 특별 서비스 처리 결과-예를 들면, 공유 차량 환승 완료 및 공유 차량 교환 완료 등을 포함함-에 기초하여 해당 가입자 계정에 포인트를 부여하거나 요금 감면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과금 모듈(1140)은 사용자 계정 별 누적된 포인트에 따라 각종 보너스 쿠폰을 발생하고, 해당 사용자 계정에 상응하여 등록된 단말에 해당 쿠폰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150)는 차량 공유 서버(150)의 전체적인 동작 및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기(1150)는 각종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어기(1150)의 구체적인 동작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통신망을 통해 공유 차량과 연동되는 차량 공유 서버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차량으로부터 교환 설정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가 포함된 제1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차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 식별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선택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의 개수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을 중심으로 거리에 따라서 지도 상에 매핑된 제1 화면을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로 생성하고, 상기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의 개수가 상기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텍스트 목록으로 구성된 제2 화면을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가 포함된 상기 제1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차량을 교환 대기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교환 대기 리스트에 등록되었음을 지시하는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는 교환 대기중인 사용자 수에 관한 정보, 예상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현재 운행 중이 아닌 교환 가능 차량을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상기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을 검색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차량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차량으로 상기 제1 차량의 정보 및 상기 교환 설정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응답 지시자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지시자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지시자는,
    상기 제2 차량 사용자에 의해 해당 교환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지시하는 수락 지시자와 거절되었음을 지시하는 거절 지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지시자가 상기 수락 지시자이면, 상기 제2 차량이 등록된 상기 교환 대기 리스트 또는 상기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를 갱신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설정 정보는 교환 장소 정보, 교환 일시 정보, 요율 설정 정보 및 차량 타입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는 해당 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이 유휴 상태인지 운행 상태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존 경계로 진입하고 있는 공유 차량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공유 차량에 소정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는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환승 센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 센터에 관한 정보는 상기 존 경계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식별된 공유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존 경계로의 진입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된 추천 환승 센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어기;
    차량 공유 서비스에 등록된 제1 차량으로부터 교환 설정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을 검색하는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를 생성하는 교환 및 환승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가 포함된 제1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하고, 상기 공유 차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차량 식별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선택 메시지를 상기 제1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교환 및 환승 모듈은,
    상기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의 개수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상기 제1 차량을 중심으로 거리에 따라서 지도 상에 매핑된 제1 화면을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로 생성하고, 상기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의 개수가 상기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텍스트 목록으로 구성된 제2 화면을 상기 교환 가능 차량 리스트로 생성하는 차량 공유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및 환승 모듈은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차량을 교환 대기 리스트에 등록하는 차량 공유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차량이 상기 교환 대기 리스트에 등록되었음을 지시하는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차량에 전송하는 차량 공유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는 교환 대기중인 사용자 수에 관한 정보, 예상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공유 서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및 환승 모듈은,
    현재 운행 중이 아닌 교환 가능 차량을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검색 모듈은,
    상기 교환 대기 리스트 및(또는) 상기 유휴 공유 차량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교환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교환 가능한 공유 차량을 검색하는 차량 공유 서버.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선택된 차량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차량으로 상기 제1 차량의 정보 및 상기 교환 설정 정보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응답 지시자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알림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응답 지시자가 포함된 공유 차량 교환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차량으로 전송하는 차량 공유 서버.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공유 서비스에 등록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 모듈; 및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존 경계로 진입하고 있는 공유 차량을 식별하는 모니터링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식별된 공유 차량에 소정 공유 차량 환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공유 서버.
KR1020190092024A 2019-07-29 2019-07-29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5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24A KR102159769B1 (ko) 2019-07-29 2019-07-29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CT/KR2020/009860 WO2021020839A1 (ko) 2019-07-29 2020-07-27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24A KR102159769B1 (ko) 2019-07-29 2019-07-29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769B1 true KR102159769B1 (ko) 2020-09-24

Family

ID=7270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024A KR102159769B1 (ko) 2019-07-29 2019-07-29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9769B1 (ko)
WO (1) WO20210208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5965A (zh) * 2020-11-02 2022-05-06 博泰车联网(南京)有限公司 一种共享车辆的控制方法、设备及控制系统
KR20230147835A (ko) * 2022-04-15 2023-10-24 김기현 차량 순환 구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0686A (ja) * 2010-02-19 2011-09-01 Fujitsu Ltd 乗換地決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2048461A (ja) * 2010-08-26 2012-03-08 Fujitsu Ten Ltd 車両管理サーバ、車両管理方法、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KR20150034669A (ko) * 2014-12-31 2015-04-03 한성일 자동차 상호 교환 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17010189A (ja) * 2015-06-19 2017-01-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共用車両管理装置及び共用車両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281B1 (ko) * 2018-02-21 2018-09-14 박상준 차량 대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0686A (ja) * 2010-02-19 2011-09-01 Fujitsu Ltd 乗換地決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2048461A (ja) * 2010-08-26 2012-03-08 Fujitsu Ten Ltd 車両管理サーバ、車両管理方法、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KR20150034669A (ko) * 2014-12-31 2015-04-03 한성일 자동차 상호 교환 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17010189A (ja) * 2015-06-19 2017-01-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共用車両管理装置及び共用車両管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5965A (zh) * 2020-11-02 2022-05-06 博泰车联网(南京)有限公司 一种共享车辆的控制方法、设备及控制系统
KR20230147835A (ko) * 2022-04-15 2023-10-24 김기현 차량 순환 구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102597621B1 (ko) * 2022-04-15 2023-11-01 김기현 차량 순환 구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839A1 (ko)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7107B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vehicle assistance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charging cable
KR102138902B1 (ko)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59769B1 (ko)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47339A (ko) 충전 관리 서버 및 충전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317689B1 (ko) 차량 공유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720854B1 (ko)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9511A (ko) 전기자동차 사용의 편리성을 지원하는 충전 인프라 관리시스템 및 방법
WO2023151395A1 (zh) 车辆服务的预约系统、方法及车辆
JP7390472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11832798A (zh) 用于预测电动车的至少一个充电站的可用性的方法
CN109975835A (zh) 一种基于北斗定位的租赁车辆监控管理方法及系统
CN112288518A (zh) 一种基于自动驾驶的短时租车系统及方法
WO2012163057A1 (zh) 一种进行不停车收费的方法和系统
CN110020842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汽车智能管理方法及系统
WO2021251024A1 (ja) 共用電動車両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077943B1 (ko) 도로 통행료 정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US2023010031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dimension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US20220058761A1 (en) Method of returning a moving object for a fleet sys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KR20060007542A (ko)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621716B1 (ko) 스마트 톨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0804A (ko) 차량용 배터리 충전 스테이션의 가용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TW201721578A (zh) 互動式計程車呼叫系統
KR20210066597A (ko)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5932617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KR102137182B1 (ko) 실시간 차량 요금 계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