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542A -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542A
KR20060007542A KR1020040056364A KR20040056364A KR20060007542A KR 20060007542 A KR20060007542 A KR 20060007542A KR 1020040056364 A KR1020040056364 A KR 1020040056364A KR 20040056364 A KR20040056364 A KR 20040056364A KR 20060007542 A KR20060007542 A KR 20060007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ass
toll
mobile
car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1370B1 (ko
Inventor
전재식
정은수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37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하이패스 서버 및 충전서버와 접속되는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유료도로의 통행요금에 따른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부족 금액에 대해 충전할 수 있으며,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을 파악하거나 부족금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리 현금수납으로 유도하거나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통행요금의 미납으로 인해 위반에 의한 요금징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모바일, 하이패스, 네비게이션, 통행요금, 충전, ETCS, 전자식 요금 수납 시스템

Description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MOBILE HI-PAS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에 탑재된 IC 카드와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차량 탑재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의 잔액 확인 및 충전 기능 선택시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 110 : 무선인터넷망
120 : 하이패스 서버 130 : 충전서버
200 : IC 카드 300 : RF 안테나
400 : 24핀 포트 500 : RF 안테나
600 : 버튼 700 : 24핀 포트
800 : 차량탑재기
본 발명은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하이패스 서버 및 충전서버와 접속되는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유료도로의 통행요금에 따른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부 고속도로 톨게이트에는 하이 패스(Hi-Pass)라고 명칭된 전자식 요금 수집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이 설치되어 있다. 하이 패스 시스템은 크게 톨게이트에 위치한 겐트리와 차량 탑재기로 구성되며, 겐트리는 차량 탑재기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과금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탑재기는 톨게이트 통과시 과금 정보를 겐트리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탑재기는 전원부, 카드 인터페이스, 차량 외부 시스템(RSE; Road Side Equipment)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카드 인터페이스는 IC 카드와 접촉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방식(ISO7816)으로 구현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IC 카드와는 통신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IC 카드는 배터리 팩에 13.56 MHz RF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차량 탑재기와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아울러, 종래에는 IC 카드에 요금을 충전하기 위하여 고속도로 등의 휴게소의 IC 카드 충전소에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충전하여야만 했다. 또한, 오프라인 충전소 이외에 개인용 컴퓨터를 통하여 인터넷으로 충전하는 방법도 일부에서는 이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로 요금을 충전하는 방식도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차량 탑재기에 휴대폰 메뉴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과 소프트웨어를 창작하여 모바일 충전 및 잔액 확인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2004년 06월 15일자로 특허출원 10-2004-0044154호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IC카드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는 차량 탑재기"를 출원하였다.
위의 특허출원에는 차량 탑재기와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인 하이패스 카드인 IC카드를 내장한 이동 단말기간에 무선통신으로 유료도로의 통행료를 결제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콤비형 IC 카드와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차량 탑재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으로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해 ISO7816규격으로 본체와 접촉식으로 통신하며 외부와 ISO14443규격으로 비접촉식 통신이 가능한 하이패스 카드인 콤비형 IC 카드(200)가 장착된 휴대폰, PDA,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와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장착할 수 있는 차량 탑재기(800)로 구성된다.
이때,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는 IC 카드(200)와 차량 탑재기(800)간 13.56 MHz 비접촉 통신(ISO14443)을 수행하기 위하여 배터리팩에 RF 안테나(300)를 내장하며, IC 카드(200)와 RF 안테나(300)는 IC 카드(200)의 예비 접점(C4, C8)과 접촉식으로 연결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PCB를 경유하여 배터리 팩 내의 RF 안테나(300)와 연결된다.
또한, 차량 탑재기(800)는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가 장착될 수 있는 홀더(Holder)와 홀더부에 장착된 13.56MHz RF 안테나(500), 잔액 확인 및 충전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이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600),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와 RS232 또는 USB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유선 인터페이스 24핀 포트(700)를 포함한다.
차량 탑재기(800)에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를 장착했을 때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IC 카드(200)는 차량 탑재기(800)의 RF 안테나(500)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요금지불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에 내장된 하이패스 카드인 IC 카드(200)와 차량 탑재기(800)간의 요금지불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식 요금 수집 시스템(ETCS)의 겐트리가 설치된 구간을 통과할 때 차량에 설치된 차량 탑재기(800)로 통행료 징수를 위한 요금 지불 요청을 전송하면, 차량 탑재기(800)는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에 탑재된 IC 카드(200)로 과금 차감 요청 및 IC 카드 식별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 그러면,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에 탑재된 IC 카드(200)는 차량 탑재기(800)로부터 과금 차감 요청과 IC 카드 식별 정보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IC 카드(200)에 저장된 잔액 정보에서 요청된 금액을 차감한 후 이를 차량 탑재기(800)로 전송하고, 아울러 IC 카드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그러면, IC 카드(200)로부터 처리 결과와 IC 카드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차량 탑재기(800)는 이를 겐트리로 전송함으로써 유료도로의 통행료 징수가 완료된다.
한편,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잔액 조회 및 충전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는 하이패스 카드(200)내에 저장된 요금 잔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잔액 부족시에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충전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금액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와 차량탑재기를 구비한 차량이 유료도로의 톨게이트(Toll Gate) 출구를 벗어날 때 전자식 요금 수집 시스템(ETCS)과 단거리 전용통신(DSRC)을 이용하여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에 내장된 하이패스 카드내에 충전된 잔액으로 통행료를 징수할 때 잔액이 부족한 차량의 경우 통행료를 징수하지 않고 통과하는 위반차량으로 촬영되어 나중에 요금을 징수하게 됨으로 써 사용자나 운영자 모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에 잔액확인과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하이패스 카드에 남아있는 잔액은 확인할 수 있으나 톨게이트를 나갈 때까지는 통행료가 얼마인지 알 수 없어 과부족을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막연한 예측으로 충전으로 하기 때문에 필요이상으로 충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위반차량으로 촬영되어 나중에 요금을 징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하이패스 서버 및 충전서버와 접속되는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유료도로의 통행요금에 따른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은 하이패스 카드가 내장되고 차량 탑재기와 무선접속되며 무선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와,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의 하이패스 카드에 금액을 충전 및 지불처리를 수행하는 충전서버와,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하이패스 정보를 제공하는 하이패스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통행구간에 대한 통행요금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의 작동방법은 요금확인 요청이 있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요금확인 요청이 있을 경우 통행구간을 파악하는 단계와, 파악된 통행구간에 대해 하이패스 서버로 통행요금을 요청하여 수신받는 단계와, 수신받은 통행요금과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에 따라 충전요청을 하는 단계와, 충전요청이 받아들여질 경우 충전서버에 접속하여 하이패스 카드에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통행구간을 파악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출발지와 도착지를 검색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통행구간을 파악하는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입력된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통해 유료 통행구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유료 통행구간 진입시 요금확인이 요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행구간에 대한 통행요금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저장된 값을 통해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출발지와 도착지를 파악하여 유료 통행구간에 대한 통행요금을 무선인터넷을 통해 하이패스 서버에 접속하여 통행요금을 파악한 후 내장된 하이패스카드의 잔액과 비교하여 부족할 경우 충전요청을 하며 충전요청이 있을 경우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행요금의 부족으로 인해 위반차량으로 촬영되어 요금을 징수 당하거나 예측 충전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패스 카드(200)가 내장되고 차량 탑재기(800)와 무선접속되며 무선인터넷망(110)에 접속 가능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와, 무선인터넷망(110)을 통해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의 하이패스 카드(200)에 금액을 충전 및 지불처리를 수행하는 충전서버(130)와, 무선인터넷망(110)을 통해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로부터 요청된 하이패스 정보를 제공하는 하이패스 서버(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100)를 네비게이션 시스템(미도시)과 연동되도록 구성할 경우 네비게이션을 통해 길안내를 받으면서 길 안내 경로의 유료도로의 통해 요금 등 하이패스의 요금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통행구간에 대한 통행요금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4. 요금확인"을 선택하였나 판단하거나,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되어 네비게이션의 길안내 경로에서 유료도로에 진입할 경우 이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요금확인을 요청하도록 함으로써 요금확인을 요청하게 된다(S10).
이와 같이 요금확인 요청이 있을 경우 통행요금을 계산하기 위해 통행구간을 파악하게 된다(S20).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요금확인을 요청한 경우에는 무선인터넷망(110)을 통해 하이패스 서버(120)에 접속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구간을 파악하는 위한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때 출발지와 목적지를 검색하여 입력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입력된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하이패스 서버(120)로 전송하여 해당 통행구간에 대한 통행요금을 요청하여 수신받는다(S30).
수신받은 통행요금은 하이패스 카드(200)의 잔액과 비교하여 하이패스 카드(200)의 잔액이 부족한가 판단하게 되고(S40)(S50), 만약 부족할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통행요금 및 잔액을 표시하면서 충전요청을 하게 된다(S60).
이때 충전요청에 대해 사용자가 응답하여 충전금액이 입력될 경우에는 충전서버(130)에 접속하여 입력된 충전금액을 하이패스 카드(200)에 충전하게 된다(S70).
한편,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되어 네비게이션의 길안내 경로에서 유료도로에 진입하여 자동으로 요금확인이 요청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길안내를 위해 입력한 출발지와 목적지를 통해 해당 길안내 경로의 유료도로 출발지와 유료도로 목적지를 파악하게 된다(S20).
이렇게 파악된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하이패스 서버(120)로 전송하여 해당 통행구간에 대한 통행요금을 요청하여 수신받는다(S30).
이때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통행구간에 대한 통행요금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하이패스 서버(120)에 접속하지 않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통행요금을 전송하게 된다.
수신받은 통행요금은 하이패스 카드(200)의 잔액과 비교하여 하이패스 카드(200)의 잔액이 부족한가 판단하게 되고(S40)(S50), 만약 부족할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안내를 하면서 하이패스 카드(200)의 잔액이 부족함을 알리면서 충전요청을 하게 된다(S60).
이때 충전요청에 대해 사용자가 응답하여 충전금액이 입력될 경우에는 충전서버(130)에 접속하여 입력된 충전금액을 하이패스 카드(200)에 충전하게 된다(S7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하이패스 서버 및 충전서버와 접속되는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를 통해 유료도로의 통행요금에 따른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부족 금액에 대해 충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을 파악하거나 부족금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리 현금수납으로 유도하거나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통행요금의 미납으로 인해 위반에 의한 요금징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하이패스 카드가 내장되고 차량 탑재기와 무선접속되며 무선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한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와,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의 하이패스 카드에 금액을 충전 및 지불처리를 수행하는 충전서버와,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하이패스 정보를 제공하는 하이패스 서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하이패스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통행구간에 대한 통행요금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4. 요금확인 요청이 있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요금확인 요청이 있을 경우 통행구간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파악된 통행구간에 대해 하이패스 서버로 통행요금을 요청하여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신받은 통행요금과 하이패스 카드의 잔액에 따라 충전요청을 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충전요청이 받아들여질 경우 충전서버에 접속하여 하이패스 카드에 충전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의 작동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구간을 파악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의 작동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검색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의 작동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구간을 파악하는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입력된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를 통해 유료 통행구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의 작동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유료 통행구간 진입시 요금확인이 요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의 작동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통행구간에 대한 통행요금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저장된 값을 통해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의 작동방법.
KR1020040056364A 2004-07-20 2004-07-20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0661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364A KR100661370B1 (ko) 2004-07-20 2004-07-20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364A KR100661370B1 (ko) 2004-07-20 2004-07-20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542A true KR20060007542A (ko) 2006-01-26
KR100661370B1 KR100661370B1 (ko) 2006-12-27

Family

ID=3711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364A KR100661370B1 (ko) 2004-07-20 2004-07-20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3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54B1 (ko) * 2007-09-28 2008-03-03 (주)현대유비스 네비게이션과 하이패스의 통합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809998B1 (ko) * 2007-06-04 2008-03-07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다기능 접속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및 교통요금정산방법
KR20080021199A (ko) * 2006-08-30 2008-03-07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장착된 선불형 전자카드의 예약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0825049B1 (ko) * 2007-04-02 2008-04-24 (주)빅셀 자동요금징수시스템과 전자카드충전시스템을 위한복합단말기
KR100835247B1 (ko) * 2007-11-26 2008-06-05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하이패스 오비유(온 보드 유니트)가 내장된 네비게이션장치
KR100837058B1 (ko) * 2006-08-18 2008-06-11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카드의 금액 충전시스템 및 방법
US8615424B2 (en) 2008-08-10 2013-12-24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toll settlement system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355B1 (ko) 2008-07-09 2010-11-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하이패스 충전 서비스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0105B2 (ja) * 1995-10-27 2000-06-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課金装置
KR20010039159A (ko) * 1999-10-29 2001-05-15 이계안 고속도로 요금 계산기능을 가진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020095488A (ko) * 2001-06-14 2002-12-27 김선섭 이동전화 무선망을 이용한 하이패스카드 충전방법
KR20030000461A (ko) * 2001-06-25 200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행요금징수 시스템의 스마트카드 잔액부족 통보방법
KR20030003829A (ko) * 2001-07-04 2003-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충전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058B1 (ko) * 2006-08-18 2008-06-11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카드의 금액 충전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1199A (ko) * 2006-08-30 2008-03-07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장착된 선불형 전자카드의 예약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0825049B1 (ko) * 2007-04-02 2008-04-24 (주)빅셀 자동요금징수시스템과 전자카드충전시스템을 위한복합단말기
KR100809998B1 (ko) * 2007-06-04 2008-03-07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다기능 접속장치,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및 교통요금정산방법
KR100807754B1 (ko) * 2007-09-28 2008-03-03 (주)현대유비스 네비게이션과 하이패스의 통합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835247B1 (ko) * 2007-11-26 2008-06-05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하이패스 오비유(온 보드 유니트)가 내장된 네비게이션장치
US8615424B2 (en) 2008-08-10 2013-12-24 Hyundai Motor Company Electronic toll settlement system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370B1 (ko)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773B1 (ko) 비접촉식 교통카드의 결제 및 잔액 리필 시스템
KR20180073509A (ko) 통행료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1370B1 (ko)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1077943B1 (ko) 도로 통행료 정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080020157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장착된선불형 전자카드의 금액 자동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0645232B1 (ko) 교통 및 통신 요금 통합 청구시스템
JP20181390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料金算出装置、情報処理方法、料金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80364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택시 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JP2006053869A (ja) 通行料金支払方法及び通行料金支払プログラム
KR101227433B1 (ko) 모바일 카드용 하이패스 전환기 및 전환 방법
KR101773970B1 (ko) 스마트 단말기와 obd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하이패스 시스템
KR20120076576A (ko)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하이패스 구현
KR20020064490A (ko) 도로요금 자동징수 시스템에 있어서의 요금 후불 시스템및 방법
KR101912302B1 (ko) 영수증 출력 기능을 구비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그것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하이패스 단말기용 영수증 출력 장치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JP6159180B2 (ja) タクシーメータ
CN112819979A (zh) 一种基于通信基站数据的etc收费方法、装置和系统
KR100963050B1 (ko) 하이패스 미납요금의 정산시스템
KR20050118982A (ko)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ic카드를 결제수단으로 이용하는차량 탑재기
KR20090083168A (ko) 하이패스 단말과 네비게이션의 통합 단말 장치 및 이를이용한 경로 탐색 방법
KR20090083169A (ko) 하이패스 단말과 네비게이션의 통합 단말 장치 및 이를이용한 결제 방법
KR1013335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결재 시스템
KR20130049712A (ko) 모바일 카드용 하이패스 전환기 및 전환 방법
KR20160090209A (ko) 휴대기기용 근거리통신장치 및 그 장치가 구비된 자동전자요금징수시스템
KR20020043143A (ko) 주차장의 요금징수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