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854B1 -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854B1
KR101720854B1 KR1020150026438A KR20150026438A KR101720854B1 KR 101720854 B1 KR101720854 B1 KR 101720854B1 KR 1020150026438 A KR1020150026438 A KR 1020150026438A KR 20150026438 A KR20150026438 A KR 20150026438A KR 101720854 B1 KR101720854 B1 KR 10172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haring
vehicle
terminal
car
enterpr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144A (ko
Inventor
하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Priority to KR102015002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85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카 쉐어링(car sharing)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소유 또는 리스(lease) 의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로 지정하여 대여 가능 상태를 등록하는 기업용 단말; 카 쉐어링 차량의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픽업(pick-up) 위치를 지정하여 사용 신청을 하는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 상기 기업용 단말로부터 대여 가능 상태가 등록된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와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에서 사용 신청된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이용자 위치를 대비하여 날짜, 시간 및 위치가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기업 차량을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 대여를 허여하는 카 쉐어링 서버; 상기 기업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카 쉐어링 서버에서 대여를 허여한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door) 개폐 여부를 인증하고,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기업 차량의 도어 개폐 시간, 사용 시간 및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카 쉐어링 서버는,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사용 시간 또는 이동 거리별로 정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RENT A CAR FOR ENTERPRISE BY CAR-SHARING}
본 발명은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업무 시간 이외에는 유휴 대기 상태로 있게 되는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소유 또는 리스(lease) 등의 형태로 차량을 상시 점유하는 형태로 유지되는 기업용 차량을 비업무 시간이나 주말에 타인에게 사용 대여하는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들은 소유, 리스(lease) 또는 렌탈(rental) 등의 다양한 형태로 업무용 차량을 확보하여 이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세제 혜택 등의 이유로 주로 리스(lease)를 활용하고 있다.
리스는 차량의 소유가 리스 업체에 유보되어 있으며, 기업들이 리스 대금을 리스 업체에 지불하면서 상시 점유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다.
소유권만 리스 업체에 있을 뿐 기업에서 사실상 완전한 점유 상태를 유지하여 기업의 차량이나 다름없다. 그런데, 업무용으로 리스 차량을 사용하다 보면, 주중 평일의 업무 시간 이외에는 유휴 상태로 있게 되는 경우가 많다.
리스 차량에 대한 리스 대금은 사실상 주말에 대한 리스 대금을 포함하고 있지만, 업무 시간 이외에는 그 활용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는 사실상 기업의 지출이 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기업의 입장에서는 고정적으로 불필요한 비용 지출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카 쉐어링(car sharing) 업체에서 시간 단위로 차를 빌려 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카 쉐어링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카 쉐어링 서비스는 카 쉐어링 업체가 다수의 차량을 구매 등의 방식으로 확보한 후 이를 여러 이용자들에게 시간 단위로 대여하여 주는 서비스이다. 카 쉐어링 서비스는 주로 주부들이 2-3 시간 정도 마트나 우체국 등의 볼 일을 볼 때 사용되거나, 사업자들의 짧은 거리의 출장과 같은 외근 업무용으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주말의 짧은 여행을 위해서도 활용된다.
카 쉐어링 업체는 보다 많은 차량을 확보하여 카 쉐어링 업체 근방의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차량이나 주차장의 확보라는 측면에서는 사실상 경제성의 면에서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다. 보다 많은 차량을 확보해야 하며, 주차장 역시 그에 따라 넓어져야 함은 물론이며, 주차장은 인구가 많은 주거 지역이나 상업 지역에 위치해야 하므로 사업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 즉, 카 쉐어링 업체가 사실상 활성화되기에는 사업적인 경제성이 큰 걸림돌이 된다.
특히, 아직까지는 카 쉐어링이 활성화되지 않아 주로 주말에 단기 여행 용도로만 활용하는 정도이다. 이에, 차량을 많이 확보하더라도 주중에는 쉐어링 차량이 유휴 상태로 있게 되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 있다.
리스, 렌탈, 카 쉐어링 등의 다양한 대여 사용의 방식이 존재하지만, 그 활용도 측면에서는 사업성, 경제성 등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각각 일장일단을 갖고 있는 실정이며, 그 어느 방식도 각각의 문제점을 간단하게 해결해주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은, 소유 또는 리스(lease) 의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로 지정하여 대여 가능 상태를 등록하는 기업용 단말; 카 쉐어링(car sharing) 차량의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픽업(pick-up) 위치를 지정하여 사용 신청을 하는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 상기 기업용 단말로부터 대여 가능 상태가 등록된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와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에서 사용 신청된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이용자 위치를 대비하여 날짜, 시간 및 위치가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기업 차량을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 대여를 허여하는 카 쉐어링 서버; 상기 기업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카 쉐어링 서버에서 대여를 허여한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door) 개폐 여부를 인증하고,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 단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기업 차량의 도어 개폐 시간, 사용 시간 및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 쉐어링 서버는,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사용 시간 또는 이동 거리별로 정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 쉐어링 서버는, 상기 사용 날짜 및 상기 사용 시간이 상기 대여 날짜, 대여 시간의 범위 내에 존재하고, 상기 이용자 위치가 상기 대여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기업 차량을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 대여를 허여하도록 스케줄링(scheduling)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방법은, 기업용 단말이 소유 또는 리스(lease) 의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로 지정하여 카 쉐어링(car sharing) 서버로 대여 가능 상태를 등록하는 단계;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이 카 쉐어링(car sharing) 차량의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픽업(pick-up) 위치를 지정하여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사용 신청을 하는 단계;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기업용 단말로부터 대여 가능 상태가 등록된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와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에서 사용 신청된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이용자 위치를 대비하여 날짜, 시간 및 위치가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기업 차량을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 대여를 허여하는 단계;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기업 차량에 설치된 차량 단말로 상기 대여를 허여한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이용자 위치와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의 이용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부터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의 이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카 쉐어링 이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카 쉐어링 이용자 정보를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부터 수신된 카 쉐어링 이용자 정보와 대비하여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 인증된 경우,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기업 차량의 도어 개방시키고 사용 후 도어를 폐쇄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기업 차량의 도어 개폐 시간, 사용 시간 및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카 쉐어링 서버는 상기 차량 단말에서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사용 시간 또는 이동 거리별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기업용 단말로부터 대여 가능 상태가 등록된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와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에서 사용 신청된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이용자 위치를 대비하여 날짜, 시간 및 위치가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기업 차량을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 대여를 허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날짜 및 상기 사용 시간이 상기 대여 날짜, 대여 시간의 범위 내에 존재하고, 상기 이용자 위치가 상기 대여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기업 차량을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 대여를 허여하도록 스케줄링(scheduling)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비업무 시간이나 유휴 상태의 기업 차량에 대하여 카 쉐어링을 하여 기업 차량의 활용도를 높이고 기업의 자산을 활용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카 쉐어링을 통해 기업 차량의 리스 비용을 확보할 수 있어 기업 비용 절감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카 쉐어링 이용자들에게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곳의 기업 차량을 연결시켜 주도록 구성됨으로써, 카 쉐어링을 위한 차량을 별도로 구매하여 확보하거나 이를 위한 별도의 주차장을 확보하지 않고서도 카 쉐어링 비즈니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카 쉐어링 비즈니스 자체의 사업성이나 경제성을 높여주며, 기업의 비용 절감 및 주차난 개선, 환경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카 쉐어링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쉐어링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쉐어링 이용자 카드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쉐어링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 쉐어링 서비스에서 카 쉐어링 업체의 자체 차량이 아닌 일반적인 기업 차량을 카 쉐어링에 활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기업 차량은 주로 평일 업무 시간에만 활용되고 늦은 저녁 이후 새벽 시간과 주말에는 유휴 상태로 남는 경우가 많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휴 시간대에 카 쉐어링 이용자들에게 카 쉐어링에 의한 대여를 하도록 함으로써, 기업 차량의 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카 쉐어링에 의한 대여를 통해 기업 차량의 구매 비용이나 리스(lease) 비용을 확보하여 사실상 기업에서는 기업 차량에 지출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 쉐어링 서비스 업체는 별도로 차량이나 주차장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기업 차량과 일반 카 쉐어링 이용자들을 연결만 하여 줌으로써, 사업의 경제성과 수익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카 쉐어링 이용자는 카 쉐어링 서비스 업체의 주차장을 찾아가지 않더라도 카 쉐어링 이용자와 가까운 도처의 기업들을 찾아가 기업 차량을 픽업(pick-up)함으로써, 픽업의 불편함을 줄이고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 카 쉐어링 서비스 업체, 카 쉐어링 이용자의 3자 모두 서로의 이익과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궁극적으로는, 차량의 구매를 줄여 차량 지출 비용을 최소화하고 주차난을 해결하며 대기 오염 등의 환경 개선에 기여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100)은 기업용 단말(110), 카 쉐어링 서버(120),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30), 카 쉐어링 이용자 카드(131), 차량 단말(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업용 단말(110)은 소유 또는 리스(lease) 의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로 지정하여 대여 가능 상태를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업용 단말(110)은 기업 차량에 대해 대여 가능한 날짜와 시간 예를 들어, 주말과 평일의 근무 외 시간에 대해 대여 가능함을 카 쉐어링 서버(130)에 신청하여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여 위치는 대개 기업의 소재지가 될 수 있으며, 현재 기업 차량이 위치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될 수 있다.
기업용 단말(11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등이 될 수 있다.
기업용 단말(110)은 3G/4G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 신청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은 카 쉐어링 이용자에 의해 카 쉐어링(car sharing) 차량의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픽업(pick-up) 위치를 지정받아 카 쉐어링 서버(130)로 사용 신청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등이 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은 3G/4G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 신청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서버(130)는 기업용 단말(110)로부터 대여 가능 상태가 등록된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와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에서 사용 신청된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이용자 위치를 실시간 대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서버(130)는 날짜, 시간 및 위치가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기업 차량을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로 대여를 허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이란 카 쉐어링 서버(130)에 저장된 알고리즘으로서, 카 쉐어링 서버(130)는 먼저 사용 날짜 및 사용 시간이 대여 날짜, 대여 시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카 쉐어링 서버(130)는 카 쉐어링 이용자의 이용자 위치가 기업의 대여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카 쉐어링 서버(130)는 그 이용자 위치와 대여 위치가 예를 들어 소정 도보 거리내에 있으면 소정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호 간의 도보 거리가 5분 거리 또는 10분 거리 내에 있는 경우 대여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5분 거리나 10분 거리에 없는 경우, 그 다음 가장 가까운 거리 내에 있는 대여 위치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은 카 쉐어링 서버(130)로부터 대여 위치를 제공받고, 해당 대여 위치가 픽업에 적합한지 카 쉐어링 이용자에 의해 확인받아 픽업 여부 내지는 이용 여부를 카 쉐어링 서버(1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서버(130)는 이를 기업용 단말(110)로 송신하여 대여를 확인시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카 쉐어링 서버(130)는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에서 사용 신청된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이용자 위치와 카 쉐어링 이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차량 단말(14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단말(140)은 기업 차량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단말(140)은 카 쉐어링 서버(130)에서 대여를 허여한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door) 개폐 여부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는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여부의 인증을 위해 먼저 차량 단말(140)은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 또는 카 쉐어링 이용자 카드(121)로부터 카 쉐어링 이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 쉐어링 이용자 카드(121)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이 가능한 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단말(140)은 카 쉐어링 서버(130)로부터도 카 쉐어링 이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단말(140)은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와 카 쉐어링 서버(130)로부터 각각 수신한 카 쉐어링 이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카 쉐어링 이용자를 인증함은 물론 도어 개폐 여부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인증이 된 경우, 차량 단말(140)은 기업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 개폐의 제어는 차량 단말(140)과 기업 차량의 개폐 장치 간의 연결 구성을 통해 전기적 신호에 의한 구동 제어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업 차량의 사용 시간은 차량 단말(140)을 이용한 도어의 개폐 구동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한편, 차량 단말(140)은 기업 차량의 도어 개폐 시간, 사용 시간 및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카 쉐어링 서버(13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 쉐어링 서버(130)는 차량 단말(12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 시간 또는 이동 거리별로 정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예약된 사용 시간보다 초과 사용을 하게 되는 경우, 카 쉐어링 이용 단말(120)은 카 쉐어링 서버(130)로 초과 사용을 신청할 수 있고, 카 쉐어링 서버(130)는 초과 사용에 대해 정산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에 대한 요금은 기업 차량의 사용 전에 카 쉐어링 단말(120)이 금융 서버(10)를 통해 카 쉐어링 서버(130)로 지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과 사용에 대해서도 초과 사용전 또는 초과 사용후에 초과 요금을 지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기업용 단말(110)은 주말이나 평일의 근무 외 시간에 대해 카 쉐어에 의한 기본 설정으로 대여 가능 상태를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근무 시간에도 기업 차량이 항상 이용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근무 시간 중 기업 차량이 유휴 중인 경우에는 대여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 쉐어링 서버(130)는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로부터 사용 신청을 수신하는 경우, 카 쉐어링 이용자의 이용 위치로부터 소정 도보 거리 내에 있는 기업 차량에 대해 현재 사용 가능한지를 문의하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를 기업용 단말(11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카 쉐어링 서버(130)는 차량 단말(140)로 해당 차량의 현재 운행 여부를 실시간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재 운행중이지 않은 기업 차량에 대해서만 푸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량 단말(140)은 차량의 ECU와 연결되어 차량의 상태를 실시간 조회하고 카 쉐어링 서버(130)로 차량의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업용 단말(110)은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받으면, 평일 근무 시간이라 하더라도 현재 유휴 상태이면 이를 승인하여 바로 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시 메시지에 포함되는 사용 시간 등을 고려하여 잠시 대여가 가능하다면 바로 대여하여 업무에 지장을 받지 않은 채 대여에 의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기업 차량이 넓은 주차장에 설치된 경우에는 카 쉐어링 이용자가 기업 차량을 쉽게 찾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단지 기업 차량의 차종과 차량 번호만으로는 쉽게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에서 비교적 통신 거리가 긴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나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통신을 통해 차량 단말(140)과 통신하여 차량을 찾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에서 차량 찾기 기능을 실행하면, 해당 차량 단말(140)로 호출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 단말(140)은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삡소리를 내거나 차량의 보조등을 깜빡 거리도록 하여 차량의 위치를 쉽게 찾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단말(140)은 차량의 ECU와 연결되어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업 차량의 카 쉐어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 직장인들도 카 쉐어링을 통해 수익을 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 직장인들이 자가 소유의 차량을 출퇴근 용도로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근무 시간 중에는 유휴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일반 직장인들은 유휴 상태의 자가 차량을 카 쉐어링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장인들이 자신의 차량을 카 쉐어링에 제공하는 경우 주차 문제 내지는 주차비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예약 차량, 예약 기간, 예약 용도, 이용 지점 등이 나타나 있다.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은 이를 보고 예약을 신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키를 이용하여 차량 단말(140)과 통신하여 차량의 도어를 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쉐어링 이용자 카드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 쉐어링 이용자 카드(121)를 이용하여 기업 차량의 안쪽에 설치된 차량 단말(140)과 NFC 통신을 하는 사용예가 나타나 있다. 이를 통해 이용자 인증을 하고 도어가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업용 단말(110)이 소유 또는 리스(lease) 의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로 지정하여 카 쉐어링(car sharing) 서버로 대여 가능 상태를 등록한다(S101).
다음으로,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이 카 쉐어링(car sharing) 차량의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픽업(pick-up) 위치를 지정하여 카 쉐어링 서버(130)로 사용 신청을 한다(S102).
다음으로, 카 쉐어링 서버(130)가 기업용 단말(110)로부터 대여 가능 상태가 등록된 기업 차량의 대여 날짜, 대여 시간 및 대여 위치와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에서 사용 신청된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이용자 위치를 대비하여 날짜, 시간 및 위치가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기업 차량을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로 대여를 허여한다(S103).
다음으로, 카 쉐어링 서버(130)가 기업 차량에 설치된 차량 단말(140)로 대여를 허여한 사용 날짜, 사용 시간 및 이용자 위치와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의 이용자 정보를 송신한다(S104).
다음으로, 차량 단말(140)이 카 쉐어링 서버(130)로부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의 이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105).
다음으로, 차량 단말(140)이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카 쉐어링 이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카 쉐어링 이용자 정보를 카 쉐어링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카 쉐어링 이용자 정보와 대비하여 인증한다(S106).
이때, 사용 날짜 및 사용 시간이 대여 날짜, 대여 시간의 범위 내에 존재하고, 이용자 위치가 대여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기업 차량을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120)로 대여를 허여하도록 스케줄링(scheduling)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결과 인증된 경우, 차량 단말(140)이 기업 차량의 도어 개방시키고 사용 후 도어를 폐쇄시킨다(S107).
다음으로, 차량 단말(140)이 기업 차량의 도어 개폐 시간, 사용 시간 및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카 쉐어링 서버(130)로 실시간 송신하고, 카 쉐어링 서버(130)는 차량 단말(140)에서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사용 시간 또는 이동 거리별로 정산을 수행한다(S108).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기업용 단말
120: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
130: 카 쉐어링 서버
140: 차량 단말

Claims (4)

  1. 기업 차량의 사용 시간 및 픽업(pick-up) 위치를 지정하여 카 쉐어링(car sharing) 신청을 송신하고, 카 쉐어링 이용 여부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 송신하는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
    상기 기업 차량의 카 쉐어링(car sharing)이 현재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허여 응답을 실시간 송신하는 기업용 단말;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부터 카 쉐어링 신청을 수신하여 픽업 위치로부터 소정 도보 거리 내에 있는 기업 차량을 검색하고 검색된 기업 차량에 대해 상기 카 쉐어링 신청의 사용 시간동안 카 쉐어링이 현재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를 기업용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기업용 단말의 허여 응답에 따라 해당 기업 차량의 카 쉐어링 가능 여부를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부터 카 쉐어링 이용 여부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 수신하여 해당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 해당 기업 차량에 대한 인증 정보를 실시간 송신하는 카 쉐어링 서버;
    상기 기업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door) 개폐 여부를 인증하고,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단말은,
    상기 기업 차량의 현재 운행 여부, 도어 개폐 시간, 사용 시간 및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카 쉐어링 서버는,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사용 시간 또는 이동 거리별로 정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재 운행 여부를 통해 현재 카 쉐어링 이용이 가능한 기업 차량을 검색하고, 검색된 기업 차량 중에서 상기 픽업 위치로부터 소정 도보 거리 내에 있는 기업 차량을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2. 삭제
  3.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이 기업 차량의 사용 시간 및 픽업(pick-up) 위치를 지정하여 카 쉐어링(car sharing) 신청을 송신하고, 카 쉐어링 이용 여부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부터 카 쉐어링 신청을 수신하여 픽업 위치로부터 소정 도보 거리 내에 있는 기업 차량을 검색하고, 검색된 기업 차량에 대해 상기 카 쉐어링 신청의 사용 시간동안 카 쉐어링이 현재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를 기업용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업용 단말이 상기 기업 차량의 카 쉐어링(car sharing)이 현재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허여 응답을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허여 응답을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이 전달받은 허여 응답을 수신하여 카 쉐어링 이용 여부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고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기업 차량을 사용할 수 있는 인증 정보를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기업 차량의 차량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기업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기업 차량의 도어 개폐 시간, 사용 시간 및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카 쉐어링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카 쉐어링 서버는 상기 차량 단말에서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사용 시간 또는 이동 거리별로 정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카 쉐어링 이용자 단말로부터 카 쉐어링 신청을 수신하여 픽업 위치로부터 소정 도보 거리 내에 있는 기업 차량을 검색하고, 검색된 기업 차량에 대해 상기 카 쉐어링 신청의 사용 시간동안 카 쉐어링이 현재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를 기업용 단말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카 쉐어링 서버가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해당 기업 차량의 현재 운행 여부를 실시간 수신하고, 현재 운행 여부를 통해 현재 카 쉐어링 이용이 가능한 기업 차량을 검색하고, 검색된 기업 차량 중에서 상기 픽업 위치로부터 소정 도보 거리 내에 있는 기업 차량을 검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방법.
  4. 삭제
KR1020150026438A 2015-02-25 2015-02-25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KR10172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38A KR101720854B1 (ko) 2015-02-25 2015-02-25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38A KR101720854B1 (ko) 2015-02-25 2015-02-25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44A KR20160104144A (ko) 2016-09-05
KR101720854B1 true KR101720854B1 (ko) 2017-04-03

Family

ID=5693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438A KR101720854B1 (ko) 2015-02-25 2015-02-25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8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856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아이카 클라우드에서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법인 차량 카셰어링 관리시스템
US11587194B2 (en) * 2019-06-03 2023-02-21 SpotHero, Inc. Vehicle floating fleet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322B1 (ko) 2016-10-27 202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 쉐어링 제공 방법
KR102598946B1 (ko) * 2017-11-08 202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03728B2 (ja) * 2018-02-26 2022-0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管理装置及び車両管理方法
KR102079603B1 (ko) * 2019-02-27 2020-02-20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차량 매매단지 내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00117619A (ko) 2019-04-05 2020-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 및 차량의 제어 방법
CN112801727A (zh) * 2020-11-30 2021-05-14 北京交通大学 一种考虑租赁点车位数量和车辆调度的联合优化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5922A (ja) 2011-03-31 2012-11-08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カーシェアリ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359A (ko) * 2011-06-02 2012-12-12 (주)그린포인트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5017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5922A (ja) 2011-03-31 2012-11-08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カーシェアリング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7194B2 (en) * 2019-06-03 2023-02-21 SpotHero, Inc. Vehicle floating fleet systems and methods
KR20210089856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아이카 클라우드에서의 마이크로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법인 차량 카셰어링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44A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854B1 (ko)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720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US1084676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KR101543773B1 (ko) 렌터카 기반 카쉐어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142978B2 (en) Queue prioritization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US20160264011A1 (en) Vehicle charging stand management system
CN102890872A (zh) 基于位置的车位管理系统和车位管理方法
CN107067248A (zh) 一种智能地锁控制方法及系统
CN105303704A (zh) 一种互联网电动汽车充电桩管理系统及方法
KR102138902B1 (ko)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64884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harging sessions for electric vehicles
KR102106126B1 (ko)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번호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에 기반한 마이크로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KR20160029761A (ko) 모바일 soho 구현을 위한 카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7148370A1 (zh) 停车管理方法、本地服务器、应用终端及车位资源服务器
KR101981666B1 (ko) 기계식 주차장의 빈자리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090325539A1 (en) Cell Phone Sensor Applications
KR20140073138A (ko) 거주자 우선주차 관리방법
KR102271369B1 (ko) 교통 요금 서버 및 이에 의한 교통 요금 정산 방법
KR102392159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비콘을 이용한 공유주차장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18209B1 (ko) 공유주차공간을 연결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주차장 공유장치 및 주차장 공유방법
JP7067979B2 (ja) 情報管理方法
KR20220045465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방법
JP2019192031A (ja) 車管理方法および車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