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017A -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차량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017A
KR20130045017A KR1020110109430A KR20110109430A KR20130045017A KR 20130045017 A KR20130045017 A KR 20130045017A KR 1020110109430 A KR1020110109430 A KR 1020110109430A KR 20110109430 A KR20110109430 A KR 20110109430A KR 20130045017 A KR20130045017 A KR 20130045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ntal
user
customized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소연
김남준
차맹규
김여진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0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5017A/ko
Publication of KR2013004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이 제공된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사용자가 대여하고자 하는 차량에 관련된 대여 조건을 수신하고 대여 조건을 고려하여 대여할 차량을 결정하는 대여 차량 결정 단계, 사용자에게 대여 차량이 대여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선호 사항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대여 차량에 설치된 전자 설비들을 원격 제어하는 전자 설비 제어 단계, 및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의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을 대여한 소비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서 운전 환경이 변경되고, 운행 중에는 소비자에 특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을 이용하는 것처럼 편리하게 자동차를 대여할 수 있으며, 인수된 자동차를 다른 편리한 반납 장소에 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차량{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customized vehicle rental service using network and the vehicle for the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대여 기술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단순히 예약 및 반납과 같은 통상 적인 대여 작업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하는 것에서 벗어나,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의 개인용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매번 다른 차량을 이용하더라도 자신의 차량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편의성을 느끼게 할 수 있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기술에 대한 것이다.
수십 년 전만해도 자동차는 부유층의 전유물이었지만, 최근에는 자동차가 널리 보급되어 생활 필수품화되었다. 특히, 자동차 시대를 맞이하여 사용자는 월세방에 살면서도 자가용은 필요하여 개개인용 자가용을 무리하게 보유하고 사용하게 되는 현상도 발생한다. 그런데, 비록 자동차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기는 하지만, 자동차에 의하여 파생되는 사회경제적 문제점은 상당히 많다.
우선, 자가용을 소유하려는 욕심에 의하여 과다한 소비가 일어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회적으로 자동차 대수 증가로 인해 심각한 교통 체증에 의한 교통 마비와 공회전 차량에 의한 대기 오염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 또 교통 정체로 인하여 인해 경제 활동마저 저해되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많은 자동차 소유로 인한 막대한 에너지가 낭비되고 석유 수입으로 인한 외화 낭비 또한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 더 나아가, 자동차로 인한 교통 재난도 심각한 문제인데, 최근에는 연간 약 35,000명이 목숨을 잃고 있으며, 또한, 약 250,000명의 교통 장애자가 양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자동차를 보요하기 위해서는 세금과 같은 막대한 유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 자동차를 편리하게 대여하여 이용할 수 있는 대여 서비스가 널리 이용된다. 대여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차량을 직접 소유하는 것보다 비용이 저렴하며, 필요할 경우에만 자가용처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므로, 싱글족이나 여행객 등에게는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렌트(Rent)란 필요한 물건을 일정기간 차용하고 대가로 지불되는 소정의 차용료를 의미하고, 렌트카는 렌트 대상이 차량에 적용되는 대여 차량을 의미한다. 이 중, 오프라인을 통한 자동차 예약과 대여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컴퓨터로 특정 렌트카업체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한 후 자동차를 렌트할 지역/차종/날짜/대여 기간/운전사 포함 여부 등을 기록하여 예약 가능 여부 검색후 예약을 하고 해당 렌트카 업체를 방문하여 자동차를 렌트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특정 해당 업체의 임대 가능한 렌트카 수가 그 렌트카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로 제한되고, 희망하는 자동차 모델 역시 보유 부족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 대여 서비스에서는 렌트카 사용을 원하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자기 자가용처럼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울의 A사에서 부산으로 편도 렌트할 경우 A사의 인력이 부산까지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고 대여해 간 차를 다시 서울로 이동시켜야 하기에 왕복 렌트 이틀분에다 반환차를 위한 연료비까지 부담하여야 한다.
또한, 렌트카의 경우 매번 렌트할 때마다 다른 차량이 대여되기 때문에 자신의 차량을 운전하는 것과는 달리 어색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원하는 장소에서 편리하게 차량을 인수 및 반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차량을 운전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 대여 서비스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필요한 경우에만 운전을 희망하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편리하게 자동차를 대여 및 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대여한 사용자의 맞춤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석, 핸들, 및 반사경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자신의 차량을 운행하는 것과 유사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시스템에서 이용되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설비들을 포함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시스템용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사용자가 대여하고자 하는 차량에 관련된 대여 조건을 수신하고 대여 조건을 고려하여 대여할 차량을 결정하는 대여 차량 결정 단계, 사용자에게 대여 차량이 대여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선호 사항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대여 차량에 설치된 전자 설비들을 원격 제어하는 전자 설비 제어 단계, 및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의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사용자 인증 단계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수신된 개인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기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기고객이 아니라면, 사용자가 신규 가입자인지 판단하고 신규 가입자일 경우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대여 차량 결정 단계는, 대여할 차량의 차종, 대여 기간, 대여 시간, 대여 비용, 차량 인수지 및 차량 반납지 중 적어도 하나를 대여 조건으로서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대여 조건에 상응하는 가용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가용 차량이 존재할 경우 해당 차량을 대여할 차량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전자 설비 제어 단계는, 인증된 사용자가 대여 차량에 접근할 경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대여 차량에 설치된 원격 도어 개폐 장치를 제어하여 대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설비 제어 단계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사용자가 저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대여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원격 전송하는 단계, 및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대여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대여 차량에 설치된 GPS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현재 위치에 인접한 관심 지역(POI, Point of Interest) 및 관심 지역(POI)에서 제공되는 관심 서비스(SOI, Service of Interest)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독출된 정보를 대여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원격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전자 설비 제어 단계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체격 정보에 따라서, 대여 차량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최적의 운전 환경을 제공하도록 운전석, 핸들 및 반사경들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운전 환경 조절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설비들을 포함하는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며, 사용자가 대여하고자 하는 차량에 관련된 대여 조건을 수신하고 대여 조건을 고려하여 대여할 차량을 결정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를 포함한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의 이용료를 과금하고, 사용자에게 대여 차량이 대여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선호 사항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대여 차량에 설치된 전자 설비들을 원격 제어한다. 특히,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수신된 개인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기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가 기고객이 아니라면, 사용자가 신규 가입자인지 판단하고 신규 가입자일 경우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대여 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대여할 차량의 차종, 대여 기간, 대여 시간, 대여 비용, 차량 인수지 및 차량 반납지 중 적어도 하나를 대여 조건으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대여 조건에 상응하는 가용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결정하며, 가용 차량이 존재할 경우 해당 차량을 대여할 차량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인증된 사용자가 대여 차량에 접근할 경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대여 차량에 설치된 원격 도어 개폐 장치를 제어하여 대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거나, 사용자가 저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대여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원격 전송한다. 또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대여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대여 차량에 설치된 GPS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현재 위치에 인접한 관심 지역(POI) 및 관심 지역(POI)에서 제공되는 관심 서비스(SOI)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독출된 정보를 대여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원격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체격 정보에 따라서, 대여 차량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최적의 운전 환경을 제공하도록 운전석, 핸들, 및 반사경들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운전 환경 조절부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면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며, 사용자가 대여하고자 하는 차량에 관련된 대여 조건을 수신하고 대여 조건을 고려하여 대여할 차량을 결정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를 포함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시스템에서 이용되기 위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에 의하여 무선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설비들을 포함한다. 또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은 통신 장치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도어락을 포함하고,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인증된 사용자가 대여 차량에 접근할 경우,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장치로 송신하며,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도어락으로 전송한다. 또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은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최적의 운전 환경을 제공하도록 운전석, 핸들, 및 반사경들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운전 환경 조절부를 포함하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사용자의 체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체격 정보에 따라 운전 환경 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장치로 송신하며,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운전 환경 조절부로 전송한다. 더 나아가,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은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장치,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포함하고,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GPS 장치로부터 대여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에 인접한 관심 지역(POI) 및 관심 지역(POI)에서 제공되는 관심 서비스(SOI)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통신 장치로 송신하며,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한다. 특히, 관심 지역(POI)은 차량의 인수지, 반납지, 및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를 통하여 마케팅을 시도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관심 서비스(SOI)는,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 각자가 고가의 자동차를 소유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자동차 소유로 인한 유지 비용이 절감되며, 자동차로 인한 사회적 문제점들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차량이라도 차량을 대여한 소비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서 운전 환경이 변경되고, 운행 중에는 소비자에 특화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을 이용하는 것처럼 편리하게 자동차를 대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여 반드시 인수한 곳에 자동차를 반납할 필요가 없고, 다양한 장소에서 인수된 자동차를 다른 편리한 반납 장소에 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됨은 물론, 이러한 반납 장소에 대한 정보를 운행 중에 제공함으로써 자동차의 반납에 수반되는 불편한 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우리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사용자를 인증해야 한다(S110). 회원 가입은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가입비 및 연회비를 지불한 경우 우리의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입한 사용자에게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RFID 칩이 내장된 IC 카드를 발급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가입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할 경우에 차량을 예약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로부터 대여하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대여 조건을 수신한다(S130). 대여 조건이란, 차종, 대여 기간, 대여 시간, 대여 비용, 차량 인수지 및 차량 반납지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연식, 흡연 유무, 변속기 타입(자동인지 수동인지) 등도 대여 조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여 조건이 수신되면,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차량 중 대여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결정한다(S150). 차량 예약은 콜센터, 인터넷, 모바일 앱(스마트폰), 제휴소의 키오스크(Kiosk)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 간편한 UX/UI로 구성된 차량 위치 확인 및 차종 안내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차별화를 위하여 중장년/실버층 대상으로한 VIP 서비스 등의 차등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대여 조건에 맞는 차량이 결정되면, 예약한 시간 및 장소에서 해당 차량을 대여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차량을 인수한 장소에 반드시 반납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인수 및 반납을 위하여 불필요하게 차량을 운행할 필요가 없으며, 대여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거주지 기반의 접근성 높은 주차 공간에서 차량을 픽업하거나, 주거 단지, 백화점/대형마트, 관공서, 대형 주차장, 또는 기타 제휴소와 같은 다양한 장소에서 차량을 인수 및 반납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를 약속된 장소에서 픽업하여 대여 차량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특별한 이벤트를 위해 차량을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직접 이동시켜주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이 인수되면, 사용자는 대여 차량을 운행한다. 이 과정에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에 포함된 다양한 전자 설비를 제어한다(S170). 즉, 사용자가 RFID 칩이 내장된 IC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이 카드를 소지한 사용자가 대여 차량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차량의 도어락을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IC 카드는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과 같은 장치들을 구동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C 카드가 삽입되어야지만 차량에 시동이 걸리고, 차량의 네비게이션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IC 카드가 삽입되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려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네비게이션에는 기본적인 네비게이션 서비스 뿐만 아니라 현재 위치와 같은 특정 지역 근처의 지역정보를 제공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도 재생할 수 있는 CPU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에 설치된 전자 설비를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도 2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차량 운행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적합한 반납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반납지에서 차량을 반납한다. 그러면, 사용자의 운행 거리에 따라 서비스 이용 요금이 과금된다(S19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는 종래 기술과 달리 사용자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을 운행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개인 맞춤형 차량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우리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는 굳이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고 자신의 차량을 구입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경제적 여력이 부족한 대학생, 외국인, 영세 가구나, 차의 사용 빈도가 낮은 실버층, 싱글족, 여행객 등에게 매우 유용하다. 물론, 가장이 주로 차를 사용하는 가정의 주부나 가족과 같이 세컨카(second car)가 필요한 사용자들에게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관리 필요 없이, 원할 때 저렴하게 사용하는 "자가용"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며, 더 나아가서는 고객이 원하는 시간/장소에서 픽업 및 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는 차의 구입, 유지 관리(보험, 연료 등)에 따른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용 목적에 맞게 다양한 차종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행을 갈 경우 참여 인원에 따라서 소형차, 대형차, 승합차 중 하나를 자유롭게 대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맞춤형 차량 대여 시스템(200)은, 사용자 장치(210),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220),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 및 데이터베이스(280)를 포함한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220)에는 통신 장치(225), 원격 제어 도어락(230),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 GPS 장치(240), 및 운전 환경 조절부(245)를 포함한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는 통신부(255) 및 사용자 인증부(260)를 포함한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220)은 일반적인 자동차로서, 네트워크(290)를 통하여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에 의하여 제어되는 각종 전자 설비들을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전자 설비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 장치(225)는 네트워크(290)를 통하여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즉, 통신 장치(225)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로부터 데이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각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각종 전자 설비로 전송한다.
도어락(230)은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키 또는 비밀 번호에 의하여 자동차의 문을 열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220)에 포함되는 도어락(230)은,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하여 원격으로 개폐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는 사용자 장치(21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증부(260)를 통하여 인증하고, 인증된 경우 도어락(230)을 개방한다. 도어락(230)이 개방될 수 있는 동작 시나리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사용자 장치(210)가 RFID 칩을 포함한 IC 카드 또는 NFC 단말기인 경우이다. 이 경우, RFID, NFC 단말기를 차량에 있는 리더기에 근접시키면, 독출된 신호가 네트워크(290)를 통하여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의 통신부(255)로 전달된다. 그러면, 사용자 인증부(260)는 수신된 신호를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이미 기등록된 사용자인지 인증한다. 사용자가 기등록된 경우에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는 네트워크(290)를 통하여 도어록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통신 장치(225)에 의하여 수신되어 도어락(230)으로 전달된 제어 신호에 의하여 도어락(230)이 개방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차량문을 열고 탑승하면,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 및 운전 환경 조절부(245)를 조절한다. 즉,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된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독출하여 네트워크(290)를 통하여 통신 장치(225)로 전송하면, 통신 장치(225)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기면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 환경 조절부(245)는 차량의 핸들, 좌석 및 반사경을 조절한다. 차량에 탑승하는 사람들은 다양하며, 다양한 체격과 같은 신체 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이 이용한 차를 운전하려면 다시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는 가입한 사용자의 체격에 따른 핸들 높이, 좌석 위치 및 각도 및 반사경 위치 및 각도를 데이터베이스(28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통신 장치(225)로 제공한다. 그러면, 통신 장치(225)는 수신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차량의 핸들 등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다른 사람들이 이용한 차량도 언제든지 자신에게 최적화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차량을 대여할 때마다 매번 손으로 최적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전혀 없다.
사용자 장치(210)는 스마트 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들이 사용자 장치(210)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이 차량 문 제어 기능을 가진다면, 사용자는 문을 열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문 열기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그러면, 사용자 장치(210)의 인증 번호가 네트워크(290)를 통하여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로 전송되고, 사용자 인증부(260)는 수신된 인증 번호가 유효한지를 판단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사용자가 인증되면,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는 도어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장치(225)로 송신하고, 도어락(230)은 개방된다.
또한,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문을 열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차량 사용 예약을 할 때 난수 코드가 부여된다. 그러면, 부여 받은 부여 받은 난수코드를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식별할 수 있는 번호를 수신자로 하여 SMS를 보내면 발신자번호와 난수코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과 예약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에서 사용자가 인증되면, 다시 도어록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통신 장치(225)로 전송된다.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는 스마트 네비게이션과 같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인증된 사용자에 따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280)로부터 독출되어, 네트워크(290)를 통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로 제공되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법을 통하여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에 분산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220)은 GPS 장치(240)를 포함한다. GPS 장치(240)는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로 전송한다. 그러면,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250)는 이동 경로에 따라 해당 경로에 위치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쿠폰이나 프로모션을 데이터베이스(280)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로 전송하여 표시한다. 물론, GPS 장치(240)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운행 중에 반납할 수 있는 주차 공간을 데이터베이스(280)로부터 독출하여, 독출된 정보를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반납지를 언제든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목적지가 결정되면, 차량이 이동할 경로에 위치한 제휴된 서비스 제공자의 프로모션이나 쿠폰을 알려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이동 중 방문할 만한 서비스 제공자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 제공자란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을 상대로 자신이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같은 재화에 대한 정보 및 할인과 같은 서비스에 대해 홍보하고자 하는 자를 의미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는 위치 정보에 기반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장치는 현재 위치 주의의 인접 위치 중에서 길찾기에 유용한 주요 건물이나 이정표 등을 관심 지역(POI, Point of Interest)으로서 제공한다.
이에 덧붙여,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에서는 우리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을 상대로 마케팅을 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위치 정보를 관심 지역(POI) 중의 하나로서 역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위치 주위에서 추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는 관심 서비스(SOI, Service of Interest)로서 제공될 수 있다. 관심 서비스(SOI)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일반적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추가적인 프로모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가 식당인 경우 메뉴 및 각 메뉴 당 가격이 관심 서비스(SOI)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점심 시간에 20% 할인을 하거나, 개업 5주년 기념 할인 행사를 언제까지 진행한다는 등의 정보도 관심 서비스(SOI)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관심 서비스(SOI)에는 서비스를 할인받을 수 있는 쿠폰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현재 위치 주위에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관심 서비스(SOI)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의 마케팅 프로모션 효과가 기대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는 매우 다양하다. 만일, 계약된 사용 기한이 다가온다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상에 사용자가 현재 운행하고 있는 차량의 예약 정보를 알려주어 연장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 및 결정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물론, 타이어 공기압 확인, 잔여 연료량 확인, 타이어 및 오일류 등의 교체 주기 알림, 및 자동차의 상태 진단 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220)에 적용됨으로써 다양한 정보들이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를 통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면에 의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320)은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350) 및 사용자 장치(310)와 함께 동작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310)는 RFID 카드, 스마트폰, NFC 단말기, 및 SMS 장치일 수 있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320)에 설치된 스마트 네비게이션은 도 2의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235)와, 그리고 통신 장치는 도 2의 통신 장치(225)와 그 구조 및 동작이 유사하다. 그러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하여 반복된 설명이 생략된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320)에 포함되는 제어 장치는 도 2의 도어락(230)과 같이 차량의 문을 제어하거나, OBD(On Board Diagnostics)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제어 장치는 도 2의 운전 환경 조절부(245)와 같이 핸들, 운전석, 및 반사경들을 조절할 수도 있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350)는 주차 관리 모듈, 인증 모듈, 및 과금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350)에 의하여 차량을 주차할 곳이 결정되어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3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310)로부터의 인증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필요한 경우 직접 과금할 수도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분산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차량 대여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2)

  1.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사용자가 대여하고자 하는 차량에 관련된 대여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대여 조건을 고려하여 대여할 차량을 결정하는 대여 차량 결정 단계;
    사용자에게 상기 대여 차량이 대여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사항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된 전자 설비들을 원격 제어하는 전자 설비 제어 단계; 및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의 이용료를 과금하는 과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단계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수신된 개인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기고객이 아니라면, 상기 사용자가 신규 가입자인지 판단하고 신규 가입자일 경우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차량 결정 단계는,
    대여할 차량의 차종, 대여 기간, 대여 시간, 대여 비용, 차량 인수지 및 차량 반납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대여 조건으로서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대여 조건에 상응하는 가용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가용 차량이 존재할 경우 해당 차량을 대여할 차량으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설비 제어 단계는,
    인증된 사용자가 상기 대여 차량에 접근할 경우,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된 원격 도어 개폐 장치를 제어하여 대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설비 제어 단계는,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저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원격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설비 제어 단계는,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상기 대여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된 GPS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현재 위치에 인접한 관심 지역(POI, Point of Interest) 및 상기 관심 지역(POI)에서 제공되는 관심 서비스(SOI, Service of Interest)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독출된 정보를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원격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지역(POI)은 상기 차량의 인수지, 반납지, 및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를 통하여 마케팅을 시도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 서비스(SOI)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설비 제어 단계는,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체격 정보에 따라서,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최적의 운전 환경을 제공하도록 운전석, 핸들 및 반사경들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운전 환경 조절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9.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설비들을 포함하는 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며, 상기 사용자가 대여하고자 하는 차량에 관련된 대여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대여 조건을 고려하여 대여할 차량을 결정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의 이용료를 과금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대여 차량이 대여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사항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된 전자 설비들을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수신된 개인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기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가 기고객이 아니라면, 상기 사용자가 신규 가입자인지 판단하고 신규 가입자일 경우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대여 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대여할 차량의 차종, 대여 기간, 대여 시간, 대여 비용, 차량 인수지 및 차량 반납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대여 조건으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대여 조건에 상응하는 가용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결정하며,
    가용 차량이 존재할 경우 해당 차량을 대여할 차량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인증된 사용자가 상기 대여 차량에 접근할 경우,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가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된 원격 도어 개폐 장치를 제어하여 대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저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원격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상기 대여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된 GPS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현재 위치에 인접한 관심 지역(POI) 및 상기 관심 지역(POI)에서 제공되는 관심 서비스(SOI)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독출된 정보를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원격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지역(POI)은 상기 차량의 인수지, 반납지, 및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를 통하여 마케팅을 시도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 서비스(SOI)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체격 정보에 따라서, 상기 대여 차량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최적의 운전 환경을 제공하도록 운전석, 핸들, 및 반사경들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운전 환경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며, 상기 사용자가 대여하고자 하는 차량에 관련된 대여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대여 조건을 고려하여 대여할 차량을 결정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를 포함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시스템에서 이용되기 위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에 의하여 무선으로 제어가능한 전자 설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은,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도어락을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인증된 사용자가 상기 대여 차량에 접근할 경우,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상기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저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은,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장치;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상기 GPS 장치로부터 상기 대여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에 인접한 관심 지역(POI) 및 상기 관심 지역(POI)에서 제공되는 관심 서비스(SOI)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지역(POI)은 상기 차량의 인수지, 반납지, 및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를 통하여 마케팅을 시도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 서비스(SOI)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은,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최적의 운전 환경을 제공하도록 운전석, 핸들, 및 반사경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운전 환경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맞춤형 차량 대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체격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체격 정보에 따라 상기 운전 환경 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상기 운전 환경 조절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용 차량.
KR1020110109430A 2011-10-25 2011-10-25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차량 KR20130045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30A KR20130045017A (ko) 2011-10-25 2011-10-25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30A KR20130045017A (ko) 2011-10-25 2011-10-25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17A true KR20130045017A (ko) 2013-05-03

Family

ID=4865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430A KR20130045017A (ko) 2011-10-25 2011-10-25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501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70B1 (ko) * 2014-02-25 2015-04-02 주식회사 케이렘 렌트카 전자계약 및 관리시스템
KR20160104144A (ko) * 2015-02-25 2016-09-05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KR101690602B1 (ko) 2015-11-04 2016-12-2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카 쉐어링 시스템
KR20180081281A (ko) * 2017-01-06 2018-07-16 한창열 전세렌터카 운영 방법
KR20190031703A (ko) * 2017-09-18 2019-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WO2020050457A1 (ko) * 2018-09-06 2020-03-12 주식회사 엠투브 전기차 환승 서비스 제공 방법
US11003677B2 (en) 2018-11-06 2021-05-11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recommendation
KR20210124877A (ko) * 2020-04-07 2021-10-15 김미경 무인 차량 대여 시스템
KR20220022376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메이크웍스커뮤니케이션 캠핑카 공유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596664A (zh) * 2020-11-19 2022-06-07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租赁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470B1 (ko) * 2014-02-25 2015-04-02 주식회사 케이렘 렌트카 전자계약 및 관리시스템
KR20160104144A (ko) * 2015-02-25 2016-09-05 주식회사 한국카쉐어링 카 쉐어링에 의한 기업용 차량의 사용 대여 시스템 및 방법
KR101690602B1 (ko) 2015-11-04 2016-12-2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카 쉐어링 시스템
KR20180081281A (ko) * 2017-01-06 2018-07-16 한창열 전세렌터카 운영 방법
KR20190031703A (ko) * 2017-09-18 2019-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 단말, 차량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해 수행되는 차량 접속 방법
WO2020050457A1 (ko) * 2018-09-06 2020-03-12 주식회사 엠투브 전기차 환승 서비스 제공 방법
US11003677B2 (en) 2018-11-06 2021-05-11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recommendation
KR20210124877A (ko) * 2020-04-07 2021-10-15 김미경 무인 차량 대여 시스템
KR20220022376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메이크웍스커뮤니케이션 캠핑카 공유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596664A (zh) * 2020-11-19 2022-06-07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租赁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71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and charging via wireless charging pads
US202300720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KR20130045017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 대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용 차량
US98153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and charging via wireless charging pads
US10554759B2 (en) Connected vehicle settings and cloud system management
US11396244B2 (en) Methods for transferring user profiles between vehicles using cloud services
US1137031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ic vehicle (EV) charge units and systems for processing connections to charge units
US8874653B2 (en) Vehicle security and customization
US943427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charging unit (CU) interfaces, auxiliary batteries, and remote access and user notifications
JP5895079B1 (ja) 相乗り支援システム、携帯端末、プログラム、相乗り支援方法、および賃貸借支援システム
US917126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tting and transferring user profiles to vehicles and temporary sharing of user profiles to shared-use vehicles
KR102047493B1 (ko) 모바일 단말의 교통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교통 서비스 관리 서버의 교통 서비스 관리 방법, 및 교통 서비스 제공 차량의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200416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Transportation Service
US11203355B2 (en) Vehicle mode for restricted operation and cloud data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