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198B1 - 평평하게 장착되는 유리 개념을 위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서 삽입 영역을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평평하게 장착되는 유리 개념을 위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서 삽입 영역을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198B1
KR102110198B1 KR1020187020205A KR20187020205A KR102110198B1 KR 102110198 B1 KR102110198 B1 KR 102110198B1 KR 1020187020205 A KR1020187020205 A KR 1020187020205A KR 20187020205 A KR20187020205 A KR 20187020205A KR 102110198 B1 KR102110198 B1 KR 102110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lass
window
door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083A (ko
Inventor
마티아스 헤프너
이안 프레이머쓰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180094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3Conceptual assembling of door, i.e. how door frame parts should be fitted together to form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9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flush-glass windows, i.e. for windows flush with the vehicle body or the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적어도, 차량 윈도우 리프터를 위한 조절될 수 있는 창 유리(FS)(폐쇄 상태에서 창 유리(FS)는 차량 도어(T)의 창 유리(FS)에 의해 폐쇄되는 윈도우 개구(O)의 경계를 이루는 상측 및/또는 측면 몸체 부분과 평평하게 됨); 윈도우 개구(O) 아래에서 도어 케이스를 형성하고, 도어 케이스의 위쪽에서 윈도우 개구(O)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을 가지고 있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창 유리(FS)는 열리기 위해 도어 케이스 안으로 내려가게 됨); 및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3a, 3b)를 포함하고, 창 유리(FS)는 유리측 안내 요소를 통해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에 변위 가능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 각각은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삽입 영역을 가지며, 창 유리(FS)를 도어 프레임 지지부(TT) 상에 장착하기 위해, 각각 관련된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위에서 삽입 영역을 통해 각각의 제 1 또는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도어 어셈블리에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의 삽입 영역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위치된 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 4*)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평평하게 장착되는 유리 개념을 위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서 삽입 영역을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장착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차량 도어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절 경로를 따라 조절 가능하고 유리 면(만곡될 수 있음)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창 유리를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가 차량 윈도우 리프터용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서, 차량 도어의 내부에 있는 윈도우 개구는 폐쇄 상태에서 창 유리를 통해 폐쇄된다. 근년에, 적어도 고급 차량에서, "플러시(flush) 유리" 또는 "플러시 판유리"로 알려져 있는 평평하게 장착되는 유리 개념이 매우 인기를 얻고 있다. 이 경우, 창 유리는 폐쇄 위치에서 이 창 유리로 폐쇄될 윈도우 개구의 경계를 이루는 상측 및/또는 측면 몸체 부분과 평평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에서 볼 때, 창 유리는, 완전히 폐쇄되면, 이 창 유리를 둘러싸는 몸체 부분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지 않다. 대신에, 연속적인 평평한 유리와 몸체 표면의 임프레션이 차량 측에 생성된다. 예컨대, 그러한 플러시 유리 개념이 DE 35 00 791 A1, DE 10 2012 214 508 A1 또는 FR 2 604 660 A1에 기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예컨대 포르쉐 파나메라에서 플러시 유리 개념이 구현되었다.
이러한 유리 개념에서, 창 유리를 안내하기 위해, 안내 요소가 창 유리의 전방 및 후방 측면 주변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 요소는 각 경우에 다른 차량 몸체측 또는 도어측 안내 요소(통상적으로 안내 프로파일의 형태임)에서 조절 경로를 따라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창 유리에 고정되는 유리측 안내 요소를 여기서는 보통 "핀 가이드"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창 유리를 장착하는 것은 지금까지 비교적 까다로웠다. 따라서, 유리는 보통 밑에서 차량 몸체측 또는 도어측 안내 요소(안내 프로파일의 형태임)에 있는 안내 통로 안으로 밀어서, 즉, 예컨대 차량 도어의 창턱 밑에서 도입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착은 특별한 도어 설계를 필요로 하는데, 도어 외측 표피부가 다음에 도어 케이스에 장착되어야 하거나, 또는 완전히 장착될 수 있고 도어 지지부, 윈도우 프레임 및 그에 장착되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도어 프레임 모듈이 제공되고 다음에 차량 도어의 나머지 부품, 특히 도어 내측 표피부 및 도어 외측 표피부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시 유리 또는 플러시 판유리 개념을 위한 차량 윈도우 리프터에 쉽게 장착될 수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청구항 18에 따른 장착 방법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도어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는 적어도,
- 차량 윈도우 리프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창 유리 - 폐쇄 상태에서 상기 창 유리는 차량 도어의 창 유리에 의해 폐쇄되는 윈도우 개구의 경계를 이루는 상측 및/또는 측면 몸체 부분과 평평하게 됨 -;
- 상기 윈도우 개구 아래에서 도어 케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 케이스의 위쪽에서 윈도우 개구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을 가지고 있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 - 상기 창 유리는 열리기 위해 상기 도어 케이스 안으로 내려가게 됨 -;
-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 중의 하나에서 창 유리를 측방에서 안내하기 위한 제 1 프레임측 안내 요소, 및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 중의 다른 하나에서 창 유리를 측방에서 안내하기 위한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 및
- 2개의 유리측 안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창 유리는 상기 유리측 안내 요소를 통해 상기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변위 가능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 각각은 상기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삽입 영역을 가지며, 상기 창 유리를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 상에 장착하기 위해, 각각 관련된 유리측 안내 요소가 위에서 상기 삽입 영역을 통해 각각의 제 1 또는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위에서" 위치시킨다 라는 말은,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바람직하게는 장착될 창 유리에 이미 고정되어 있음)가 도어 케이스 위쪽으로부터 또한 실질적으로 도어 케이스의 방향으로 창 유리의 다음 조절 경로를 따라 위치되는 것을 의미하고, 그래서 프레임측 안내 요소와 유리측 안내 요소는 서로에 접해 유지되고 유리측 안내 요소는 프레임측 안내 요소 상에서 아래쪽으로(도어 케이스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가 제공되는데, 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가 위치된 후에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삽입 영역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따라서, 유리측 안내 요소가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유리측 안내 요소(바람직하게는 창 유리에 이미 고정되어 있음)가 위에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위치된 후에, 또한 유리측 안내 요소(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그에 연결되어 있는 창 유리)가 프레임측 안내 요소를 따라 아래쪽으로 창 유리의 부분 또는 완전 개방 위치로 변위된 후에, 삽입 영역은 단일의 폐쇄부 또는 적어도 2개의 별도의 폐쇄부를 통해 폐쇄된다(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폐쇄부(들)를 위에서 위치시켜).
따라서, 원리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가 차량 도어에 사용되는 경우, 다음에, 즉 특히 창 유리의 삽입 후에 도어 외측 표피부가 창착될 수 있는 도어 설계를 가질 필요가 더 이상 없다. 대신에, 창 유리가 도어 프레임 지지부에 장착되기 전에, 도어 외측 표피부는 도어 케이스의 일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도어 프레임 지지부에 이미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이 도어 프레임 지지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내측 표피부 및 도어 외측 표피부는 이미 차량 도어의 도어 케이스 내의 공동부를 형성하고, 적절히 장착된 창 유리가 열리기 위해 그 공동부 안으로 내려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는 관련된 유리측 안내 요소가 도입되는 안내 통로를 갖는다. 물론,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스트립(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함) 및 U-형 단면의 유리측 안내 요소(관련된 프레임측 안내 요소 주위에 결합하고 이렇게 해서 변위 가능하에 유지됨)를 갖는 역 방안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유리측 안내 요소는 예컨대 접착제 결합으로 창 유리의 측면 유리 가장자리 가까운 영역에 고정된다. 적어도 2개의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가 이미 유리 가장자리의 영역에 고정되어 있으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차량 도어 어셈블리로, 창 유리는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제공되어 있는 삽입 영역을 통해 문제 없이 위에서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하나의 삽입 영역 또는 복수의(적어도 2개) 삽입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에 의해 닫히기 전에, 창 유리는 이미 도어 프레임 지지부에 변위 가능하게 유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는 측면 프레임 부분 자체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그 위에 성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안내 통로가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도어 프레임 지지부의 측면 프레임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는 측면 프레임 부분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창 유리를 측방에서 안내하기 위해, 예컨대 별도의 안내 레일이 도어 프레임 지지부의 측면 프레임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창 유리를 안내하기 위한 측면 프레임 부분 또는 그에 설치되는 안내 요소가 도어 케이스 안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제 1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삽입 영역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삽입 영역 모두는 적절히 설치되는 폐쇄부를 통해 폐쇄된다. 따라서, 단일 폐쇄부의 설치를 통해, 양 삽입 영역을 적절히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폐쇄부는 예컨대 기다랗게 형성되고,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두 삽입 영역(양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제공됨) 사이의 거리를 연결한다.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삽입 영역은 상기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상향 개방 프로파일드 단부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예컨대, 유리측 안내 요소를 위한 안내 통로(안내 요소에 의해 형성됨)가 위에서 접근 가능하며, 그래서 폐쇄부가 아직 설치되지 않았으면, 프레임측 안내 요소가 그에 도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로, 이 개방된 단부 영역은 폐쇄되고/되거나 덮히며, 그래서 차량 도어의 조립 후에, 유리측 안내 요소가 단부 영역(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조립 중에 열려 있고 관련 프레임측 안내 요소로부터 분리되어 있음)을 통해 더 이상 밖으로 밀리지 않는다. 따라서, 폐쇄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유리측 안내 요소가 관련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보장되고, 그래서 폐쇄부가 설치된 후에, 유리측 안내 요소는 위쪽으로 밖으로 밀려 유리측 안내 요소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된다.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따라서 차량 도어의 창턱 위쪽에서 일반적으로 U-형의 윈도우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도어 케이스 위족에서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을 함께 연결하는 상측 프레임 부분이 제공된다. 차량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이러한 상측 프레임 부분은 일반적으로 차량 지붕의 영역에 존재한다.
일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는 이렇게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삽입 영역을 폐쇄하기 위해 상측 프레임 부분의 영역에 설치된다.
특히, 이 경우, 상측 프레임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삽입 영역에서, 장착된 창 유리가 폐쇄 상태에서 연장되어 따르는 유리 면에 특히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또는 평행하게 상측 프레임 부분의 인접 부분에 대해 그리고/또는 측면 프레임 부분의 인접 부분에 대해 함몰되어 있는 부분을 형성한다. 차량 도어 어셈블리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폐쇄 상태에 대해, 위에서 유리측 안내 요소를 관련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위치시키는 것을 더 쉽게 하고 또는 이를 먼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차량 내부의 방향으로 윈도우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 부분에 대해 함몰되어 있는 부분이 제공된다. 따라서, 창 유리가 도어 프레임 지지부 안으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짐이 없이, 유리측 안내 요소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창 유리를 위에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가할 수 있도록, 상측 프레임 부분의 함몰 부분을 통해, 각각의 안내 요소의 삽입 영역을 위에서 접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어측 윈도우 프레임의 적어도 국부적으로 함몰된 프레임 부분은, 심미적으로 특히 매력적인 전체 임프레션을 얻기 위해, 창 유리가 그의 상측 유리 가장자리로 상측 몸체 부분과 평평하게 끝날 수 있게 해준다. 상측 프레임 부분의 함몰 부분(예컨대, 절취부 또는 노치로 되어 있음)은 바람직하게는 밀봉 방식으로 폐쇄부를 통해 폐쇄된다.
함몰 부분은, 상기 상측 프레임 부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 사이의 거리의 절반 보다 큰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윈도우 개구의 주변을 따라). 이 경우, 상측 프레임 부분의 길이는, 한 측면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다른 측면 프레임 부분으로 가는 연장 방향으로 측정된다. 이 변형예에서, 따라서 상측 프레임 부분은 단지 국부적으로 또한 상측 프레임 부분의 전체 길이의 일부분만 따라서 함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측 프레임 부분의 대부분을 따라 함몰되어 있다. 이렇게 헤서, 장착 동안에 창 유리가 더 쉽게 장착될 수 있고 또한 창 유리를 상측 프레임 부분을 지나 더 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를 상측 프레임 부분의 영역에 설치하는 대신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즉 창 유리가 도어 프레임 부분의 측면 프레임 부분에 장착된 후에 설치되는 폐쇄부는 그래서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의 보강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두 측면 프레임 부분의 영역은 폐쇄부를 통해 함께 연결되고,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은 그 폐쇄부로 완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가 상측 프레임 부분에 설치되는지 또는 그 자체가 윈도우 프레임의 그러한 상측 프레임 부분의 일부분을 형성하던지 상관없이, 폐쇄부는, 폐쇄부가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케이스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질 수 있다. 폐쇄부가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분을 통해, 삽입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능하다면 또한 완전히 특히 밀봉 방식으로 폐쇄되고/폐쇄되거나 덮힌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분은 상기 폐쇄부를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 중의 하나에 연결하도록 설계되고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에 언급된 경우에, 돌출 부분은 예컨대 측면 프레임 부분에 연결되기 위한 예컨대 거싯(gusset) 판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영역을 폐쇄하고/폐쇄하거나 덮기 위한 돌출 부분(폐쇄부에 제공되어 있음)의 경우에,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돌출 부분은 폐쇄부의 지지부에 설치되는 몰딩 부품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몰딩 부품은 폐쇄부의 지지부에 예컨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가황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몰딩 부품은 폐쇄부의 지지부와는 다른 재료, 예컨대 (다른) 재료, 특히 덜 뻣뻣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폐쇄부는 상기 창 유리의 유리 상측 가장자리를 위한 시일을 가지고 있다. 폐쇄부에 일체화되거나 적어도 그에 고정되는 그러한 시일은, 창 유리의 폐쇄 상태에서, 유리 상측 가장자리의 영역에서 윈도우 개구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그러한 시일은, 차량 도어의 상측 가장자리에서의 평평한 종결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폐쇄 상태에서 내측면이 시일의 밀봉 립에 접촉하고 기껏해야 시일의 좁은 밀봉 림이 유리 하측 가장자리의 영역에서 창 유리의 외측면에 제공된 상태에서 창 유리가 유리 상측 가장자리의 영역에서 밀봉 방식으로 지탱되도록 구성된다.
용이한 장착을 위해,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폐쇄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프레임 상에 그리고/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부분을 함께 연결하는 상측 프레임 부분 상에 끼워질 수 있다. 폐쇄부는 이 경우 예컨대 마찬가지로 위에서 끼워진다. 선택적으로, 폐쇄부의 설치 방향으로 차량 도어의 수직 축선에 대해 비스듬하거나 횡방향일 수 있는데, 하지만, 그래서 폐쇄부는 예컨대 앞에서 상측 프레임 부분에 끼워진다.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폐쇄부는 기다란 스트립 요소를 가지며, 상기 폐쇄부가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에 적절히 설치되면, 상기 기다란 스트립 요소는 상기 윈도우 개구의 상측 말단부를 형성하고, 이 상측 말단부는 차량 도어의 외측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조립된 차량 도어에 있어 폐쇄부는 볼 수 있으며 그래서 차량 도어의 장식적인 또는 트림(trim) 부분을 형성한다.
원리적으로, 폐쇄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그에 체결되는 또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예컨대 사출 성형되는 시일을 포함한다. 폐쇄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무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폐쇄부는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의 영역에서 하중 지지 기능을 갖지 않는다. 대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 폐쇄부의 경우에,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삽입 영역에 대한 폐쇄 기능에 추가로, 창 유리가 폐쇄된 상태에서 유리 상측 가장자리의 영역에서 밀봉 기능이 강조된다.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차량 도어가 차량에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 부분은 차량의 A 필러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은 차량의 B 필러의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 도어 어셈블리는 차량의 전방 운전자 도어 또는 승객 도어의 일부분이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차량 도어 어셈블리는 후방 차량 도어용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운전자 도어 또는 승객 도어를 위한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폐쇄부는 차량 도어의 A 필러의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미러 삼각형부 위쪽에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따라서 폐쇄부는 이 미러 삼각형부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이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폐쇄부는 기다랗게 되어 있고, 도어 케이스의 위쪽에서 차량 도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예컨대, 도어 프레임 스트립 또는 윈도우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 부분으로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청구항 18에 따른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윈도우 리프터를 위한 조절 가능한 창 유리 및 도어 프레임 지지부를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창 유리는 차량 도어의 창 유리에 의해 폐쇄되는 윈도우 개구의 경계를 이루는 상측 및/또는 측면 몸체 부분과 평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장착 방법은, "플러시 유리" 또는 "플러시 판유리"로 알려져 있는 평평하게 장착되는 유리 개념을 위한 차량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어 프레임 지지부는 윈도우 개구 아래에서 도어 케이스를 더 형성하고, 상기 창 유리는 열리기 위해 상기 도어 케이스 안으로 내려가게 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도어 케이스의 위쪽에서 윈도우 개구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을 갖는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 중의 하나에서 창 유리를 측방에서 안내하기 위한 제 1 프레임측 안내 요소, 및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 중의 다른 하나에서 창 유리를 측방에서 안내하기 위한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를 갖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3a, 3b)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창 유리는 상기 유리측 안내 요소를 통해 상기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변위 가능하게 유지됨 -;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 이들 프레임측 안내 요소 각각은 상기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삽입 영역을 가지며, 상기 창 유리를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 상에 장착하기 위해, 각각 관련된 유리측 안내 요소가 위에서 상기 삽입 영역을 통해 각각의 제 1 또는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 상에 위치될 수 있음 -; 및
-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가 상기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위치된 후에,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삽입 영역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에 의해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은 이 경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차량 도어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실시 형태예 대해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명시된 이점과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의 실시 형태에도 해당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가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위치될 때,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는 이미 창 유리에 고정되어 있다. 유리측 안내 요소는 이 경우 창 유리의 측면 유리 가장자리에서 예컨대 접착제 결합으로 창 유리에 고정된다.
위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의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을 위한 상측 프레임 부분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상측 프레임 부분은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도어 프레임 지지부의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을 함께 연결한다. 이 경우, 창 유리가 장착되기 전에 상측 프레임 부분은 이미 도어 프레임 지지부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폐쇄부는, 창 유리가 장착된 후에만 윈도우 프레임의 측변 프레임 부분에 연결되는 상측 프레임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첫번째로 언급된 변형예에 따르면, 상측 프레임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삽입 영역에서, 장착된 창 유리가 폐쇄 상태에서 연장되어 따르는 유리 면에 특히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또는 평행하게 상측 프레임 부분의 인접 부분에 대해 그리고/또는 측면 프레임 부분의 인접 부분에 대해 함몰되어 있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함몰 부분을 덮고/덮거나 폐쇄하기 위해 폐쇄부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함몰 부분 중 하나의 영역에서 상측 프레임 부분에 설치된다.
위에서 언급된 제 2 대안예에서, 제 1 및 2 유리측 안내 요소가 고정되어 있는 창 유리를 삽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윈도우 프레임의 일부분은, 폐쇄부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윈도우 개구를 위해 위쪽으로 열려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창 유리가 장착된 후에, 폐쇄부가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에 설치되어 연결되고, 그 결과,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이 완성되고, 또한 윈도우 프레임은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그리고 따라서 창턱 위쪽에서 실질적으로 U-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장착 동안에, 커버가 프레임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그러한 커버는 B 필러에 가까운 프레임 부분에 제공된다. 이 경우 커버는 창 유리가 도어 프레임 지지부에 장착되기 전에 또는 후에 관련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의 가능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 형태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유리측 안내 요소가 고정되어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창 유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b - 3c는 도 3a 및 3b의 창 유리를 각 경우에 유리측 안내 요소에서 본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4a - 4b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 프레임 지지부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장착되는 중에 있는 창 유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리측 안내 요소는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위치되어 있다.
도 5a는 도 2의 차량 도어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A 필러에 가까운 영역이 부각되어 있다.
도 5b - 5d는 A 필러에 가까운 차량 도어의 영역에서 윈도우 프레임 및 프레임측과 유리측 안내 요소의 설계의 상세의 서로 다른 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도 2의 차량 도어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B 필러에 가까운 영역이 부각되어 있다.
도 6b - 6d는 B 필러에 가까운 영역에서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 및 프레임측과 유리측 안내 요소의 설계의 상세의 서로 다른 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도 2의 차량 도어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A 필러 및 B 필러에 가까운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 부분의 영역이 부각되어 있다.
도 7b - 7c는 A 필러 및 B 필러에 가까운 차량 도어의 영역에서 윈도우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 부분을 확대된 축척으로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의 윈도우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 부분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폐쇄부를 개별적으로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몰딩 부분이 그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b는 도 8a의 페쇄부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를 나티낸 것으로, 그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몰딩 부분은 없다.
도 9는 도 8a 또는 8b의 폐쇄부를 상측 프레임 부분에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 부분을 형성하는 폐쇄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추가 실시 형태를 분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b는 조립 상태에 있는 도 10a의 차량 도어 어셈블리로 형성된 차량 도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2 및 10b의 차량 도어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측 프레임 부분을 위쪽에서 본 개략 평명도를 나타낸다.
도 13a - 13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가능한 변형 실시 형태에 대한 상측 프레임 부분의 다른 설계를 평면도로 개력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 형태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이 차량 도어 어셈블리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TT)를 포함하고, 이 지지부는 도어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도어 외측 패널(TAB)의 형태로 된 도어 외측 표피부를 갖는다. 도어 프레임 지지부(TT)는 2-쉘 구조를 갖는데, 즉 도어 외측 패널(TAB)은 도어 내측 패널 형태의 도어 내측 표피부에 연결되어, 도어 케이스를 형성한다. 이 경우, 도어 프레임 지지부(TT)를 통해 차량 도어에 공동부가 형성되고, 창 유리(FS)가 열리기 위해 그 공동부 안으로 내려질 수 있다.
창턱 영역(BR) 위쪽 영역에서, 도어 프레임 지지부(TT)는 이 창 유리(FS)를 위한 윈도우 프레임(R)을 형성한다. 이 경우 윈도우 프레임(R)은, 윈도우 프레임(R)에 의해 형성되는 윈도우 개구(O)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RA, RB), 및 창턱 영역(BR) 위쪽에서 두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을 함께 연결하는 상측 프레임 부분(RC)을 갖는다. 상측 프레임 부분(RC)은 보통 차량 도어(T)의 도어 프레임의 상측 부분이라고 한다.
윈도우 프레임(R)에 의해 형성되는 윈도우 개구(O)는, 차량 도어(T)의 조립 상태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창 유리(FS)로 폐쇄된다. 이 경우 창 유리(FS)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의 도어 케이스 안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량 도어(T)의 형성된 공동부 안으로 내려가기 위해 내려질 수 있다. 이 경우, 조절 경로를 따라 창 유리(FS)를 수동으로 또는 외부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방식으로 올리고 내리기 위해, 차량 윈도우 리프터(여기서 더 상세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공되고 도어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다. 이 경우, 차량 윈도우 리프터의 구동 수단, 예컨대, 케이블 당김 수단 형태의 가요성 견인 수단이, 창 유리(FS)의 유리 어댑터(A)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기 요소에 작용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유리 어댑터(A)는 창 유리(FS)의 유리 하측 가장자리(SU)에 있는 돌출부에 고정되고, 창 유리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유리 어댑터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기의 조절력을 창 유리(FS)에 전달하게 된다.
본 경우에 창 유리(FS)는 플러시 장착 유리 개념의 일 부분인데, 여기서는, 창 유리(FS)는, 폐쇄 상태에서, 차량 도어(T)의 윈도우 개구(O)(창 유리(FS)에 의해 폐쇄됨)의 경계를 이루는 차량의 상측 및/또는 측면 몸체 부분과 평평하게 된다. 이 경우, 상측 및/또는 측면 몸체 부분의 표면은 창 유리(FS)의 각각의 주변부에 인접하여, 창 유리(FS)에 의해 규정되는 유리 면에 각각의 표면이 플러시 방식으로 인접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연속적인 유리와 몸체 표면의 임프레션이 생성된다. 이 경우, 폐쇄된 창 유리(FS)는 측면 및 상측 몸체 부분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지 않다. 통상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플러시 유리" 또는 "플러시 판유리"라는 표현도 사용되고 있다.
플러서 장착 유리 개념에서,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따라서 창턱 영역(BR) 위쪽에서 창 유리(FS)를 변위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해, "핀 가이드" 형태의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양 측면 유리 가장자리(SA, SB)의 영역에서 창 유리(FS)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유리측 안내 요소(3a, 3b)는 각 경우 윈도우 프레임(R)의 측면 안내 요소(1, 2)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이 경우 측면 안내 요소는 안내 스트립(1, 2)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들 안내 스트립 각각은 관련된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에 별개의 부품으로서 고정된다. 도시되어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될 차량 도어(T)는 차량의 운전자 도어이다. 따라서, 제 1 (전방) 측면 프레임 부분(RA)은 차량 도어(T)의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A 필러의 영역에 제공된다. 따라서, 개구(O)에서 제 1 측면 프레임 부분(R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 2 (후방) 프레임 부분(RB)은 차량 도어(T)가 적절히 설치되면 B 필러의 영역에 있게 된다.
이들 프레임 부분(RA, RB)에 설치되는 안내 스트립(1, 2) 각각은 창 유리(FS)의 측면 유리측 안내 요소(3a 또는 3b)를 위한 안내 통로(10 또는 20)를 형성한다. 이 경우, 안내 스트립(1, 2) 각각은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의 도어 케이스의 내부로도 연장되어 있어, 도어 케이스 내부에서 창 유리(FS)에 대한 가이드를 또한 제공한다.
측면 유리 가장자리 영역(SA, SB)의 영역에서 안내되는 창 유리(FS)를 갖는 플러시 장착 유리 개념에 대한 종래에 알려져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경우, 창 유리(FS)는 보통 창턱(BR) 밑에서, 즉 도어 케이스의 영역에서 끼워진다. 이 경우, 예컨대 접착제 결합으로 창 유리(FS)에 이미 고정되어 있는 유리측 안내 요소(3a, 3b)는 밑에서 안내 스트립(1 또는 2)의 각각 관련된 안내 통로(10 또는 20) 안으로 들어가고, 그런 다음에 창 유리(FS)는 폐쇄 위치의 방향으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그 다음에만 도어 외측 패널(TAB)이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비 플러시 장착 유리 개념에 대한 종래의 도어 설계에서 일반적인 것 처럼, 창 유리(FS)가 도어 프레임 지지부에 장착되기 전에는, 도어 외측 패널(TAB)은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이미 존재할 수 없다. 오히려, 차량 도어(T) 및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의 특별한 구성이 필요하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외측 표피부(TAB)를 갖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창 유리(유리측 측면 안내 요소(3a, 3b)가 이미 창 유리에 고정되어 있음)를 위에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창 유리(FS)가 측면 프레임 부분에 도입되기 전에, 관련된 안내 스트립(1, 2)은 그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에 이미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양 측면 안내 스트립(1, 2)은,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영역에서 삽입 영역을 가지고 있는데, 유리측 측면 안내 요소(3a, 3b)가 위에서 그 삽입 영역을 통해 안내 스트립(1 또는 2)의 각각의 안내 통로(10 또는 20) 안으로 도입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이러한 목적으로, 기다란 프로파일의 형태로 된 안내 스트립(1 또는 2)은 그의 상단부 쪽으로 개?되어 있고, 그래서, 유리측 측면 안내 요소(3a, 3b)를 위에서 도입하기 위해 각각의 안내 통로(10 또는 20)가 위에서 접근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안내 스트립(1 또는 2)의 일 단부의 영역에 절개부가 제공되어 있는데, 유리측 측면 안내 요소(3a 또는 3b)가 위에서 그 절개부를 통해 각각의 안내 통로(10 또는 20)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유리측 측면 안내 요소(3a, 3b)가 윈도우 프레임(R)의 상측 프레임 부분(RC)을 통해 관련된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 및 이의 각각의 안내 통로(10 또는 20)에 위치되도록, 각 경우 상측 프레임 부분(RC)은 한 프레임측 안내 요소(1 또는 2)의 삽입 영역에서, 따라서 본 경우에는 안내 요소(1 또는 2)의 각각의 단부에서 적어도 국부적으로 뒤로 물러난 부분을 갖는다. 이 경우 그 부분은 창 유리(FS)의 유리 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내측으로 뒤로 물러나 있고, 그래서 창 유리(FS)(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그 창 유리에서 옆으로 또한 내측으로 돌출해 있음)가 상측 프레임 부분(RC)을 지나 안내되고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위에서 상측 프레임 부분(RC)을 지나 각각 관련된 안내 통로(10 또는 20) 안으로 도입될 수 있다.
창 유리(FS)가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장착된 후에, 안내 스트립(1, 2)에 의해 제공되는 삽입 영역을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도움으로 폐쇄하고 또한 창 유리(FS)의 폐쇄 상태에서 윈도우 프레임(R)이 위쪽으로도 창 유리(FS)와 평평하게 끝나게 하도록, 도어 프레임 스트립(4) 형태의 폐쇄부가 제공된다.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은 기다랗게 형성되어 있다. 이 스트립은 위쪽에서 차량 도어 몸체의 말단을 이루는 스트립이고, 이 스트립은 폐쇄된 창 유리(FS)의 유리 상측 가장자리 (SO)를 따라서 뿐만 아니라 특히 제 1 전방 안내 스트립(1)에 제공되어 있는 미러 삼각형부(11)를 따라서도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은 창턱 영역(BR)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은 마찬가지로 위에서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의 윈도우 프레임(R)에 끼워져 상측 프레임 부분(RC)에 고정된다.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이 설치되기 전에 그리고 적절하다면 이미 창 유리(FS)가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설치되기 전에, 본 경우에 커버 요소(5)가 제 2 후방 프레임 부분(RB) 및/또는 그의 안내 스트립(2)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 커버 요소(5)를 통해, 폐쇄된 창 유리(FS)와 평평한 차량 도어(T)의 말단부가 B 필러의 영역에서 몸체의 외측면 쪽에 생성된다. 이는 조립된 차량 도어(T)를 측면도로 나타내는 도 2에서 명백히 알 수 있다.
도 3a - 3c, 4a - 4b, 5a - 5d, 6a - 6d, 7a - 7c, 8a - 8b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전술한 실시 형태의 추가 상세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도 3a, 3b, 및 3c는 먼저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고정되어 있고 유리 어댑터(A)를 갖는 창 유리(FS)를 나타낸다. 도 3b 및 3c 각각은 유리측 안내 요소(3a 또는 3b)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A 필러에 가까운 측면 유리 가장자리(SA)에 접착제 결합으로 고정되는 (전방) 안내 요소(3a)는 이 경우 창 유리(FS)의 유리 면에 대한 횡방향(Y)으로만 창 유리(FS)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전방 유리측 안내 요소(3a)는 기부(30a)를 가지며, 이 기부를 통해 전방 유리측 안내 요소(3a)는 내측에서 전방 측면 유리 가장자리(SA) 가까이에서 창 유리(FS)에 단단히 결합된다. 이 기부(30a)로부터 복수의 안내 부분(31a)이 연장되어 있고, 이들 안내 부분은 창 유리(FS)의 내측면으로부터 L-형으로 돌출해 있다. 이들 L-형 안내 부분(31a) 각각은 이 경우 전방 측면 유리 가장자리(SA)를 넘어 돌출하는 영역을 가지며, 이 영역을 통해 전방 유리 안내 요소(3a)가 안내 스트립(1)의 안내 통로(10)에 결합할 수 있고, 그 안내 통로(10)를 통해 제 1 안내 스트립(1)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될 수있다.
창 유리(FS)의 반대편 (후방) 측면 유리 가장자리(SB)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후방) 제 2 안내 요소(3b)가 창 유리(FS)의 내측면에 접착제로 결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후방 유리측 안내 요소(3b)는 또한 기부(30b)를 갖는다. 이 기부(30b)(창 유리(FS)의 내측면에 접착제로 결합됨)로부터,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3b)의 일 부분이 후방 측면 유리 가장자리(SB)를 지나 연장되어 있고, 그래서 제 2 후방 유리측 안내 요소(3b)는 창 유리(FS)의 후방 측면 유리 가장자리(SB)를 넘어 돌출한다. 후방 유리측 안내 요소(3b)의 돌출 부분은 이 경우 2개의 안내 부분(31.1b, 31.2b)(본 경우에는 입방형)을 형성하고, 이들 안내 부분은 제 2 안내 스트립(2)의 안내 통로(20) 안으로 도입될 수 있고 그 안내 통로 안에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 부분(31.1b, 31.2b)은 후방 안내 스트립(2)의 길이 방향 연장의 방향에 대해 서로 상하로 위치되어 있다. 안내 통로(20)에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수용되는 안내 부분(31.1b, 31.2b)를 통해, 제 2 후방 유리측 안내 요소(3b) 및 그래서 창 유리(FS)가 제 2 안내 스트립(2)에서 Y 방향(즉, 유리 면에서 대해 횡방향) 및 X 방향(즉, 유리 면에 평행하고 창 유리(FS)의 조절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임) 모두로 물리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두 안내 부분(31.1b, 31.2b) 사이에서, 제 2 후방 유리측 안내 요소(3b)는 스프링 부분(32b)을 또한 형성한다. 차량 도어(T)가 차량에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제 2 후방 유리측 안내 요소(3b)는 그 스프링 부분을 통해, 차량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X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제 2 후방 유리측 안내 요소(3b)가 X 방향으로 관련된 제 2 안내 스트립(2)에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유격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진다. 창 유리(FS)가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적절히 장착된 상태에서, 탄성적인 접촉은 덜거덕거림을 방지하고 그래서 원치 않은 덜거덕거리는 소음을 피하는 역할을 한다.
도 4a 및 4b의 상세 도시 각각은, 안내 스트립(1, 2)의 상측 삽입 영역에서 볼 때, 전방 및 후방 유리측 안내 요소(3a, 3b)(이미 창 유리(FS)에 고정되어 있음)가 각각 관련된 안내 스트립(1 또는 2)에 위치되는 것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4b는 또한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위에서 안내 스트립(1, 2)의 안내 통로(10, 2)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윈도우 프레임(R)이 그의 두 측면 프레임 부분(RA, RB) 및 이들 측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상측 프레임 부분(RC)으로 안내 스트립(1 또는 2)의 상측 개방 단부에서 어떻게 뒤로 물러나 있는지를 또한 나타낸다. 이 경우,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경우에, 창 유리(FS)가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장착되기 전에 커버 요소(5)가 후방 프레임 부분(RB)에 이미 고정되어 있다.
도 5a - 5d는 창 유리(FS)가 이미 장착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의 윈도우 프레임(R)의 영역(A 필러에 가까운)의 서로 다른 도를 어떤 경우에는 더 확대된 축척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함몰 부분(7a)이 특히 도 5c에 명백히 나타나 있고, 이 함몰 부분(7a)에 의해, 제 1 전방 유리측 안내 요소(3a)가 상측 프레임 부분(RC)을 넘어 안내될 수 있고 또한 안내 스트립(1)의 상향 개방 언내 통로(10)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함몰 부분(7a)은 본 경우에, 제 1 전방 유리측 안내 요소(3a)의 안내 부분(31a)(창 유리(FS)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해 있음)을 안내 통로(10) 안으로 더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내향 오목부(70)를 가지고 있다.
도 5b 내지 5d의 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방 안내 스트립(1)은 틈새 시일(6) 형태의 밀봉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 통로(12)를 또한 형성한다. 틈새 시일(6)은 이 경우 미러 삼각형부(11)와 창 유리(FS) 사이에 필연적으로 생기는 좁은 틈새에 제공되고, 전방 측면 유리 가장자리(SA)의 영역에서 밀봉을 제공한다. 틈새 시일(6)을 고정하기 위해, 이 틈새 시일은 리브 형태로 돌출하는 체결 부분(62)을 가지며, 이 체결 부분은 안내 스트립(1)의 체결 통로(12)에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수용된다.
도 6a - 6d는 제 2 후방 안내 스트립에 있는 삽입 영역 및 이 삽입 영역에 있는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관련된 함몰 부분(7b)을 나타낸다. 제 2 후방 유리측 안내 요소(3b)가 상측 프레임 부분(RC)을 넘어 안내될 수 있고 또한 이 유리측 안내 요소(3b)가 프레임측 후방 안내 스트립(2)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함몰 부분(7b)은 이 경우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이 경우, 제 2 후방 안내 스트립(2)의 상향 개방 삽입 영역 및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함몰 (후방) 부분(7b)은, 제 1 전방 안내 스트립(1)의 상향 개방 단부 및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관련된 (전방) 함몰 부분(7a)과 마찬가지로, 다음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스트립(4)에 의해 폐쇄된다.
특히, 도 6d의 단면 도시는 커버 요소(5)를 후방 측면 프레임 부분(RB) 및 후방 안내 스트립(2)에 고정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경우, 커버 요소(5)는 지지 부분(5.2)을 갖는데, 이 지지 부분은 그에 형성되어 있는 훅크형 유지 부분(50, 51)을 통해 후방 안내 스트립(2) 및 후방 측면 프레임 부분(RB)의 일 부분 뒤에 결합한다. 이렇게 해서, 커버 요소(5)의 지지 부분(5.2)은 그의 유지 부분(50, 51)의 도움으로 후방 안내 스트립(2) 및 윈도우 프레임(R)의 후방 측면 프레임 부분(RB) 모두에 고정된다. 또한, 스크린(5.1)이 지지 부분(5.1)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 스크린은 커버 요소(5)의 밖에서 볼 수 있는 표면을 형성한다.
도 7a, 7b 및 7c는 도어 프레임 스트립(4)으로서 구성된 폐쇄부의 추가 상세를 나타내는데, 창 유리(FS)가 장착된 후에, 그 폐쇄부를 통해 안내 스트립(1, 2)의 삽입 영역 및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함몰 부분(7a, 7b)이 폐쇄된다. 이 경우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은 상측 프레임 부분(RC)에 끼워진다. 기다란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은, 적절히 설치된 후에, 전방 부분(41)으로 미러 삼각형부(11)를 지나 차량 도어(T)의 창턱 영역(BR)까지 연장된다. 이 전방 부분(41)은 후방부 쪽에서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의 중앙 부분(42)에 인접하고, 이 중앙 부분은 전체 상측 프레임 부분(RC)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커버 요소(5) 위쪽의 후방 부분(43)에 이어져 있다. 따라서,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은 차량 도어(T)의 밖에서 볼 수 있는 상측 주변부를 형성하고, 이 상측 주변부도 마찬가지로 폐쇄된 창 유리(FS)와 평평하게 끝난다.
이 경우, 도어 프레임 지지부(T)에 적절히 고정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을 통해,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프레임측 안내 스트립(1, 2)에서 벗어나게 위쪽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며, 그래서 장착 목적으로 창 유리(FS)만이 위에서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 재료, 고무 재료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도어 프레임 스트립(4)에 상측 유리 시일이 제공되거나 통합되어 있다. 폐쇄된 창 유리(FS)를 통해 윈도우 개구(O)를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영역에서 밀봉 방식으로 폐쇄하기 위해, 창 유리(FS)는 폐쇄 중에 그 유리 시일 안으로 가거나 적어도 그 시일에 지탱된다.
도 8a의 사시도는 유리 상측 가장자리(SO)를 위한 유리 시일(45)(도어 프레임 스트립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갖는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을 도시한다. 또한,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은 일체적으로 형성된, 예컨대 사출 성형된 또는 가황 처리된 복수의(본 경우에는 3개) 몰딩 부분(44.1, 44.2, 44.3)을 갖는다.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이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의 전방 부분(41)과 중앙 부분(42) 사이의 천이 영역 및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의 후방 부분(43)의 단부 영역에 제공되는 몰딩 부분(44.2, 44.3)은 이 경우 도어 케이스의 방향으로(아래쪽으로) 돌출한다. 안내 통로(10 또는 20)를 위쪽으로 페쇄하기 위해, 돌출하는 이들 몰딩 부분(44.2, 44.3) 각각은 위에서 전방 또는 후방 안내 스트립(1 또는 2)의 관련된 안내 통로(10 또는 20) 안으로 끼워진다.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몰딩 부분(44.1)은 미러 삼각형부(11)의 전방 단부에서 창턱 영역(BR)에서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의 정해진 접촉을 위한 역할을 한다.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변형예에서, 몰딩 부분(44.1, 44.2, 44.3)은 도어 프레임 스트립(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럼에도, 창 유리(FS)의 유리 상측 가장자리(SO)를 위한 유리 시일(45)이 일체화되어 있는 그러한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은, 안내 스트립(1, 2)의 삽입 영역 및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함몰 부분(7a, 7b)에서의 폐쇄 기능 외에도, 폐쇄 상태에서 존재하는 창 유리(FS)를 위한 밀봉 기능을 갖는다.
도 9의 단면 도시는, 예시적인 구조에 대해 도 8a 및 8b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측 프레임 부분(RC)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을 더 상세히 나타낸다. 따라서, 이 경우 도어 프레임 스트립(4)은 강성적인, 바람직하게는 금속인 인레이(inlay)(46)를 가지며, 상측 프레임 부분(RC)에의 고정은 그 인레이를 통해 일어난다. 기다란 강성적인 인레이(46)은 유리 시일(45)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둘러싸인다. 이 유리 시일(45)을 통해, 밀봉 통로(40)가 형성되고, 이는 밀봉 립에 의해 경계져 있다. 창 유리(FS)가 폐쇄되면, 그 창 유리(FS)는 그의 유리 상측 가장자리(SO)로 이 밀봉 통로(40) 안으로 가고, 특히 드래프트가 유리 상측 가장자리(SO)를 통해 차량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 립이 유리 내측면에 지탱된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의 추가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고정되어 있는 창 유리(FS)가 위에서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장착된 후에, 폐쇄부(4*)는 동시에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의 윈도우 프레임 (R)의 상측 프레임 부분을 또한 형성한다.
도어 외측 패널(TAB)을 갖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TT)는 이 경우 상향 개방 윈도우 프레임(R)을 갖는다. 창 유리(FS)가 장착되기 전에 차량 도어(T)의 윈도우 개구(O)를 규정하기 위해, 안내 스트립(1, 2) 형태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가 형성 또는 제공되어 있는 측면 프레임 부분(RA, RB)만 이미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제공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유리측 안내 요소(3a, 3b)는 문제 없이 위에서 안내 스트립(1, 2)의 관련된 안내 통로(10, 20)에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창 유리(FS)가 위에서 도어 프레임 지지부(TT)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창 유리(FS)가 서로 협력하는 유리측 및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 3a, 3b)를 통해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면, 폐쇄부(4*)(본 경우에는 차량 도어(T)의 강성적인 윈도우 프레임(R)의 일부분을 형성함)가 위에서 설치된다.
이 경우, 상측 프레임 부분을 형성하는 폐쇄부(4*)는 기다란 금속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 프로파일은,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윈도우 개구(O) 위에서 연장되어 그 개구를 위에서 폐쇄된다. 폐쇄부(4*)는, 전방 및 후방 프레임 부분(RA, RB)에 단단히 연결되기 위해, 예컨대 거싯(gusset) 판의 형태로 된 연결 부분(44.2*, 44.3*)을 가지며, 이들 연결 부분은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의 도어 케이스의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이들 연결 부분(44.2*, 44.3*)을 통해, 폐쇄부(4*)가 위치된 후에, 폐쇄부(4*)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의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에 단단히 연결된다.
이 변형예에서도, 폐쇄부(4*)가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장착되기 전에, 폐쇄부(4*)는 이미 창 유리(FS)의 유리 상측 가장자리(S)를 위한 유리 시일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폐쇄부(4*)는 외부 몸체에서 보이는 차량 도어(T)의 요소를 갖거나 그러한 요소를 통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폐쇄부(4*)가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에 연결된 후에 별도의 커버 요소가 폐쇄부(4*)에 설치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유리측 안내 요소(3a, 3b)를 위치하기 위한 개방 단부(안내 스트립(1, 2)에 제공됨)는 상측 프레임 부분을 형성하는 폐쇄부(4*)에 의해 이미 폐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 가능한 개량예에서, 다음에 설치되는(추가적인) 폐쇄부를 통한 대응적인 폐쇄도 가능하며, 그 폐쇄부는 차량 도어(T)의 상측 도어 프레임에서, 외부 몸체에서 보이는 표면을 형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본 발명에 따른 대응하는 장착 방법의 기본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경우, 차량 도어(T)의 윈도우 프레임(R)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프레임 부분(RA, RB)을 가지며, 이 프레임 부분에서, 조절 가능한 창 유리(FS)의 측면 안내가 일어나고, 창 유리는 폐쇄 상태에서 상측 및/또는 측면 몸체 부분과 평평하게 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이들 두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을 연결하는 상측 프레임 부분(RC)에 적어도 하나의 함몰 부분이 제공된다. 이 함몰 부분을 통해,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에 있는 삽입 영역(창턱 영역(BR) 위쪽에 제공되어 있음)에 창 유리(FS)를 위에서 삽입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장착을 위해 제공된 삽입 영역 및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함몰 부분을 폐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가 상측 프레임 부분(RC)에 설치된다(특히, 도 1 및 2 참조).
선택적으로 창 유리(FS)와 함께 유리측 안내 요소를 위에서 배치할 수 있도록, 상측 프레임 부분(RC)을 개별적으로 장착가능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그래서 차량 도어(T)의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의 윈도우 프레임(R)은 위에서의 장착을 위해 처음에 개방된다(도 10a 및 10b 참조).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플러시 장착 유리 개념에 이전부터 사용되던 차량 도어 및 그의 도어 프레임 지지부와는 다르다. 따라서, 실제로는, 상측 프레임 부분(RC)은 각 경우 도 12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그래서 창 유리(FS)의 폐쇄 상태에서, 그 상측 프레임 부분은 창 유리(FS)의 유리 상측 가장자리(SO)와 평평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일 방안에 의하면, 이 경우, 측면 프레임 부분(RA, RB) 및 관련된 프레임측 안내 요소의 영역에서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측 프레임 부분(RC)에 함몰 부분(7a 또는 7b)이 형성된다. 이러한 변형예가 예컨대 도 13a에 나타나 있다.
일 가능한 대안예는,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그래서 특히 사실상 창 유리(FS)의 유리 상측 가장자리(SO)의 전체 영역에 걸쳐 함몰된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는 상측 프레임 부분(RC)을 갖는다. 따라서, 상측 프레임 부분(RC)은 예컨대 도 13b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두 측면 리브(8a, 8b)에 의해 에워싸여 있는 함몰 부분(7c)을 형성한다.
도 13c에 따른 추가 대안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유리측 안내 요소를 플러시 장착 유리 개념으로 위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상측 프레임 부분(RC)은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 함몰 부분(7c)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안으로, 폐쇄 위치에서 윈도우 개구의 경계를 이루는 몸체 부분과 평평하게 끝나는 창 유리(FS)를 제거 가능한 도어 외측 표피부를 갖지 않는 차랑 도어(T)에 장착할 수 있다. 오히려, 종래의 2-쉘 도어 설계에 따라 제조된 차량 도어(T)의 경우에도, "플러시 유리" 또는 "플러시 판유리" 윈도우 리프팅 시스템을 위한 창 유리(FS)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창 유리(FS)가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장착되기 전에, 도어 프레임 지지부(TT)는 도어 내측 표피부와 도어 내측 패널, 및 제거 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그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도어 외측 표피부와 도어 외측 패널을 갖게 된다.
1 제 1 안내 스트립(제 1 프레임측 안내 요소)
10 안내 통로
11 미러 삼각형부
12 체결 통로
2 제 2 안내 스트립(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
20 안내 통로
30a, 30b 기부
31a, 31.1b, 31.2b 안내 부분
32b 스프링 부분
3a, 3b 안내 요소(유리측 안내 요소)
4 도어 프레임 스트립(폐쇄부)
4* 상측 프레임 부분을 형성하는 폐쇄부
40 밀봉 통로
41 전방 부분
42 중앙 부분
43 후방 부분
44.1, 44.2, 44.3 몰딩 부분
44.2*, 44.3* 연결 부분
45 유리 시일
46 인레이
5 커버 요소
5.1 스크린
5.2 지지 부분
50, 51 유지 부분
6 틈새 시일(밀봉 요소)
62 체결 부분
70 추가 오목부
7a, 7b, 7c 함몰 부분
8a, 8b 리브
A 유리 어댑터
BR 창턱 영역
FS 창 유리
O 윈도우 개구
R 윈도우 프레임
RA 제 1 측면 프레임 부분
RB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
RC 상측 프레임 부분
SA, SB 측면 유리 가장자리
SO 유리 상측 가장자리
SU 유리 하측 가장자리
T 차량 도어
TAB 도어 외측 패널
TT 도어 프레임 지지부

Claims (22)

  1. 차량 도어 어셈블리로서,
    차량 윈도우 리프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창 유리(FS) - 폐쇄 상태에서 상기 창 유리(FS)는 차량 도어(T)의 창 유리(FS)에 의해 폐쇄되는 윈도우 개구(O)의 경계를 이루는 상측 및 측면 몸체 부분과 평평하게 됨 -;
    상기 윈도우 개구(O) 아래에서 도어 케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 케이스의 위쪽에서 윈도우 개구(O)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을 가지고 있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TT) - 상기 창 유리(FS)는 열리기 위해 상기 도어 케이스 안으로 내려가게 됨 -;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RA, RB) 중의 하나에서 창 유리(FS)를 측방에서 안내하기 위한 제 1 프레임측 안내 요소(1), 및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RA, RB) 중의 다른 하나에서 창 유리(FS)를 측방에서 안내하기 위한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2); 및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3a, 3b)를 포함하고,
    상기 창 유리(FS)는 상기 유리측 안내 요소를 통해 상기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에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 각각은 상기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삽입 영역을 가지며, 상기 창 유리(FS)를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TT) 상에 장착하기 위해, 각각 관련된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위에서 상기 삽입 영역을 통해 각각의 제 1 또는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의 삽입 영역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위치된 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 4*)가 제공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는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으로 형성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는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측 안내 요소(1)의 삽입 영역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2)의 삽입 영역 모두는 폐쇄부(4, 4*)를 통해 폐쇄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의 삽입 영역은 상기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의 상향 개방 프로파일드 단부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을 함께 연결하는 상측 프레임 부분(RC, 4*)이 제공되어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는 상기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 부분(RC)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의 삽입 영역에서, 장착된 창 유리(FS)가 폐쇄 상태에서 연장되어 따르는 유리 면(ZX 면)에 평행하게(X 축)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에 인접한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단부와, 유리 면(ZX 면)에 내측으로 수직하게(Y 축) 상기 창 유리(FS)의 유리 상측 가장자리(SO)에 인접한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부터 함몰되어 있는 부분(7a, 7b, 7c)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되어 있는 부분(7c)은, 상기 상측 프레임 부분(RC)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RA, RB) 사이의 거리의 절반 보다 큰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는 상기 상측 프레임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4)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케이스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44.1, 44.2, 44.3; 44.2*, 44.3*)이 폐쇄부(4, 4*)에 제공되어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i) 상기 폐쇄부(4, 4*)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분(44.1, 44.2, 44.3)을 통해, 삽입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거나, 덮히거나, 또는 덮혀 폐쇄되거나,
    (ii)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분(44.2*, 44.3*)은 상기 폐쇄부(4, 4*)를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RA, RB) 중의 하나에 연결하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iii) 상기 폐쇄부(4, 4*)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분(44.1, 44.2, 44.3)을 통해, 삽입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거나, 덮히거나, 또는 덮혀 폐쇄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분(44.2*, 44.3*)은 상기 폐쇄부(4, 4*)를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RA, RB) 중의 하나에 연결하도록 제공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4, 4*)는 상기 창 유리(FS)의 유리 상측 가장자리(SO)를 위한 시일(45)을 가지고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4, 4*)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1, 2) 중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프레임 상에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부분(RA, RB)을 함께 연결하는 상측 프레임 부분(RC) 상에 끼워질 수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4, 4*)는 기다란 스트립 요소를 가지며, 상기 폐쇄부(4, 4*)가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설치되면, 상기 기다란 스트립 요소는 상기 윈도우 개구(O)의 상측 말단부를 형성하고, 이 상측 말단부는 차량 도어(T)의 외측에서 볼 수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T)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측면 프레임 부분(RA)은 차량의 A 필러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RB)은 차량의 B 필러의 영역에 배치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4, 4*)는 차량 도어(T)의 A 필러의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미러 삼각형부(11) 위쪽에서 연장되어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18. 차량 윈도우 리프터를 위한 조절 가능한 창 유리(FS) 및 도어 프레임 지지부(TT)를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폐쇄 상태에서 상기 창 유리(FS)는 차량 도어(T)의 창 유리(FS)에 의해 폐쇄되는 윈도우 개구(O)의 경계를 이루는 상측 및 측면 몸체 부분과 평평하게 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TT)는 윈도우 개구(O) 아래에서 도어 케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창 유리(FS)는 열리기 위해 상기 도어 케이스 안으로 내려가게 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도어 케이스의 위쪽에서 윈도우 개구(O)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RA, RB) 중의 하나에서 창 유리(FS)를 측방에서 안내하기 위한 제 1 프레임측 안내 요소(1), 및 상기 측면 프레임 부분(RA, RB) 중의 다른 하나에서 창 유리(FS)를 측방에서 안내하기 위한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2)를 갖는 도어 프레임 지지부(TT)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3a, 3b)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창 유리(FS)는 상기 유리측 안내 요소를 통해 상기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에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 각각은 상기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삽입 영역을 가지며, 상기 창 유리(FS)를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TT) 상에 장착하기 위해, 각각 관련된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위에서 상기 삽입 영역을 통해 각각의 제 1 또는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상기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 위치된 후에,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의 삽입 영역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 4*)에 의해 폐쇄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장착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3a, 3b)가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유리측 안내 요소(3a, 3b)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측면 유리 가장자리(SA, SB)의 영역에서 창 유리(FS)에 이미 고정되어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장착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케이스 위쪽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을 함께 연결하는 상측 프레임 부분(RC, 4*)이 제공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장착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 부분(RC)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측 안내 요소(1, 2)의 삽입 영역에서, 장착된 창 유리(FS)가 폐쇄 상태에서 연장되어 따르는 유리 면에 평행하게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에 인접한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단부와, 유리 면에 내측으로 수직하게 상기 창 유리(FS)의 유리 상측 가장자리(SO)에 인접한 상측 프레임 부분(RC)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부터 함몰되어 있는 부분(7a, 7b, 7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폐쇄부(4)는 적어도 상기 함몰되어 있는 부분(7a, 7b, 7c) 중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상측 프레임 부분(RC)에 설치되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장착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창 유리(FS)가 장착된 후에, 상기 폐쇄부(4*)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프레임 부분(RA, RB)에 설치되어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부(4*)는 상기 상측 프레임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 지지부(TT)에 의해 형성되는 윈도우 프레임(R)의 일부분은, 폐쇄부(4*)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윈도우 개구(O)를 위해 위쪽으로 열려 있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장착 방법.
KR1020187020205A 2016-01-15 2017-01-10 평평하게 장착되는 유리 개념을 위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서 삽입 영역을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장착 방법 KR102110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0475.1 2016-01-15
DE102016200475.1A DE102016200475B3 (de) 2016-01-15 2016-01-15 Fahrzeugtürbaugruppe mit Einführbereichen an rahmenseitigen Führungselementen für ein flächenbündiges Scheibenkonzept und Montageverfahren
PCT/EP2017/050363 WO2017121705A1 (de) 2016-01-15 2017-01-10 Fahrzeugtürbaugruppe mit einführbereichen an rahmenseitigen führungselementen für ein flächenbündiges scheibenkonzept und montage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083A KR20180094083A (ko) 2018-08-22
KR102110198B1 true KR102110198B1 (ko) 2020-05-14

Family

ID=5739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205A KR102110198B1 (ko) 2016-01-15 2017-01-10 평평하게 장착되는 유리 개념을 위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서 삽입 영역을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43538B2 (ko)
EP (1) EP3402687B1 (ko)
JP (1) JP6684355B2 (ko)
KR (1) KR102110198B1 (ko)
CN (1) CN108463366B (ko)
DE (1) DE102016200475B3 (ko)
WO (1) WO2017121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1088B1 (fr) * 2016-12-23 2019-11-29 Renault S.A.S Systeme de vitrage lateral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62819B1 (fr) * 2017-02-15 2021-06-25 Acs France Sas Dispositif vitre affleurant pour porte de vehicule, porte, vehicule automobile, procede de fabrication et dispositif d'etancheite monobloc correspondants
DE102017002243A1 (de) * 2017-03-07 2018-09-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Fahrzeugtür
DE102018110218A1 (de) 2017-06-12 2018-12-13 Cqlt Saargummi Technologies S.À.R.L. Dichtungsanordnung zur Führung und Abdichtung einer vertikal bewegbaren Fahrzeugfensterscheibe
FR3070631B1 (fr) * 2017-09-04 2019-08-30 Hutchinson Insert pour une coulisse de vitrage de vehicule
DE102018000868A1 (de) * 2018-02-02 2019-08-08 Psa Automobiles Sa Fahrzeugtür mit höhenverstellbarer Fensterscheibe
US10583715B2 (en) * 2018-04-26 2020-03-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cover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DE102018124560A1 (de) 2018-10-05 2020-04-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raftwagens, insbesondere eines Personenkraftwagens
KR102575156B1 (ko) * 2018-10-15 202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조정이 가능한 도어 글래스
FR3089459B1 (fr) * 2018-12-10 2020-11-13 Hutchinson Kit et procédé d’habillage d’un rail de porte d’un véhicule
FR3089461B1 (fr) * 2018-12-10 2020-11-13 Hutchinson Porte de véhicule du type “flush”
KR102552097B1 (ko) * 2018-12-14 2023-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글라스 어셈블리
US11052731B2 (en) 2019-02-05 2021-07-06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flush window system, a vehicle comprising sam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KR20200106396A (ko) * 2019-03-04 2020-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임팩트빔의 벤딩 구조 및 벤딩 장치
DE102021200884A1 (de) 2021-01-29 2022-08-0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s
CN216580061U (zh) * 2022-01-14 2022-05-24 瀚德(中国)汽车密封系统有限公司 一种零阶差车门结构及车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527A (ja) 1999-02-18 2000-09-05 Oi Seisakusho Co Ltd 自動車用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1450C3 (de) 1975-11-15 1980-06-0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Fensterfuhrungseinrichtung fur versenkbar angeordnete Fensterscheiben in Fahrzeugen
DE2809721C2 (de) 1978-03-07 1986-07-10 Audi AG, 8070 Ingolstadt Scheibenführung in einer Türe eines im Bereich der Verglasung mit glatter Außenfläche ausgebildeten Fahrzeugs
EP0021069B1 (de) 1979-06-15 1982-10-13 AUDI NSU AUTO UNION Aktiengesellschaft Scheibenführung in einem Fahrzeug
JPS584079A (ja) 1981-06-26 1983-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ドアガラスの昇降ガイド機構
US4457109A (en) 1982-02-26 1984-07-03 Schlegel Corporation Flush glass window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
DE3312473A1 (de) * 1983-04-07 1984-10-18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Anordnung fuer eine in der hoehe verstellbare fensterscheibe
DE3312470A1 (de) 1983-04-07 1984-10-18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In der hoehe verstellbare fensterscheib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4608779A (en) * 1984-01-11 1986-09-02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bile door assembly
US4604830A (en) 1984-01-31 1986-08-12 Mazda Motor Corporation Flush-surfaced automobile door assembly
JPS61169317A (ja) 1985-01-21 1986-07-3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ドア
US4662115A (en) 1985-01-21 1987-05-05 Mazda Motor Corporation Vehicle door
JPS6315218A (ja) 1986-07-08 1988-01-22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FR2604660B1 (fr) * 1986-10-03 1990-11-30 Mesnel Sa Ets Systeme de glace mobile affleurante, notamment pour porte d'automobile
IT1210806B (it) 1987-06-16 1989-09-29 Ferrari Eng Struttura di sopporto e di guida dei cristalli di una carrozzeria di un automobile
JPH0676009B2 (ja) * 1988-01-25 1994-09-28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ガラス構造
FR2634816B1 (fr) 1988-07-28 1990-11-02 Hutchinson Coulisse de guidage de glace mobile, notamment de glace ou vitre d'automobile
US4932161A (en) 1988-11-16 1990-06-12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Four-sided flush glass assembly
US4920697A (en) 1988-11-17 1990-05-01 Hoover Universal Inc. Dual drive window regulator mechanism
FR2642375B1 (fr) 1989-01-27 1994-05-13 Mesnel Sa Ets Systeme de glace mobile affleurante pour porte d'automobile, ainsi que vitre et profile en elastomere arme utilisables dans un tel systeme
JPH0725420Y2 (ja) 1989-07-17 1995-06-07 日本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用摺動部材
DE4026215A1 (de) 1990-08-18 1992-02-20 Audi Ag Fahrzeugtuer
US5159781A (en) 1990-10-04 1992-11-03 Ford Motor Company Window panel position regulating assembly
GB9109900D0 (en) 1991-05-08 1991-07-03 Draftex Ind Ltd Sealing and guiding strips
ES2097346T3 (es) * 1992-08-04 1997-04-01 Mecaplast Sam Platina de puerta de vehiculo que integra varias funciones y procedimiento de montaje.
DE4437532C2 (de) 1994-10-20 1996-12-12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Fensterhebers mit der verschiebbaren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DE19528456A1 (de) * 1995-08-03 1997-02-06 Opel Adam Ag Umlegbare Kopfstütz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WO1997037099A2 (en) 1996-03-29 1997-10-09 Excel Industries, Inc. Window regulator with improved glider assembly
FR2747345B1 (fr) 1996-04-12 2001-10-19 Standard Products Ind Dispositif de guidage pour vitre mobile de vehicule automobile
US5732509A (en) 1996-06-13 1998-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Guide and sealing system vehicle window flush with body surface
GB9617549D0 (en) * 1996-08-21 1996-10-02 Rover Group Vehicle door structures
JPH1061308A (ja) 1996-08-23 1998-03-03 Delta Kogyo Co Ltd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6141910A (en) 1997-05-28 2000-11-07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Door module having a windowpane which includes brackets for attaching the windowpane to the door module and for moving the windowpane
DE19744810B4 (de) 1997-10-02 2005-10-27 Wagon Automotive Gmbh Kraftfahrzeugtür mit einer Versenkscheibe
DE19826040B4 (de) * 1998-03-05 2005-09-01 Wagon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askanalrahmens für eine in Schalenbauweise aufgebaute Fahrzeugtür
JP3405216B2 (ja) 1998-07-23 2003-05-1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DE19946311A1 (de) * 1999-09-28 2001-04-12 Meritor Automotive Gmbh Fahrzeugtür
DE19950656A1 (de) * 1999-10-21 2001-05-10 Porsche Ag Fahrzeugtür,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
DE19962988A1 (de) * 1999-12-24 2000-05-31 Audi Ag Fahrzeugtür und Montageverfahren für eine Fahrzeugtür
US6966149B2 (en) 2003-03-27 2005-11-22 Fenelon Paul J Window bracket for a window lift mechanism
JP3916145B2 (ja) 2002-07-03 2007-05-16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のスライダ
JP3953410B2 (ja) 2002-11-01 2007-08-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ガラスの昇降用ガイド具
DE10254989B4 (de) 2002-11-26 2006-05-24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Fensterheber zum Heben und Senken einer 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m Mitnehmer mit metallischem Einlegeteil
MXPA04011919A (es) * 2003-05-07 2005-03-31 Antolin Grupo Ing Sa Modulo de puerta.
JP4005593B2 (ja) * 2004-08-23 2007-1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昇降ドアガラス支持構造
US20060059799A1 (en) 2004-08-24 2006-03-23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Invisible division bar modular assembly
JP4640023B2 (ja) * 2005-08-02 2011-03-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ドア構造
DE102005052945B3 (de) 2005-11-03 2007-04-05 Michael Heidan Lösbarer Clipmechanismus für Dachöffnungs- und Fensterhebersysteme von Kraftfahrzeugen
DE202006001767U1 (de) 2006-02-04 2007-06-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nsterheber für ein Kraftfahrzeug
US7634873B2 (en) * 2006-05-12 2009-12-22 Magna International, Inc. Composite upper door sash
DE102006037609A1 (de) * 2006-08-10 2008-02-14 Bos Gmbh & Co. Kg Manuelles Fensterrollo mit automatischem Rückzug
DE102006053095A1 (de) 2006-11-10 2008-05-15 Metzeler Automotive Profile Systems Gmbh Führungsanordnung für eine bewegbare Fensterscheib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JP2008149849A (ja) 2006-12-15 2008-07-03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ドア構造および車両のドア構造の組付方法
US8322078B2 (en) * 2010-01-13 2012-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ner panel design for automotive door header
CA2747466A1 (en) 2010-07-28 2012-01-28 Magna International Inc. Flush glass system module
KR20120100315A (ko) * 2011-03-03 2012-09-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DE202011050329U1 (de) 2011-06-01 2012-09-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ahrzeugtür
US8650802B2 (en) 2011-09-08 2014-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utomobile) flush glass appearance assembly
US8646215B2 (en) * 2011-09-08 2014-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ush glass assembly interfaces
EP2657440A1 (en) 2012-04-24 2013-10-30 Grupo Antolin-Ingenieria, S.A.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 glass pane of a vehicle to a carrier of a window regulator of a vehicle, glass pane assembly, window regulator assembly, and process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JP5846159B2 (ja) 2013-05-31 2016-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ウインドウガラスの支持構造
US9290083B2 (en) * 2013-12-18 2016-03-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lass sealing system
FR3021253A1 (fr) 2014-05-23 2015-11-27 Acs France Sas Dispositif vitre affleurant pour porte de vehicule a panneau mobile reglable, porte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s.
JP2016048017A (ja) 2014-08-28 2016-04-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窓ガラス支持構造及びその窓ガラス支持構造を備える昇降装置
DE102014115151B3 (de) * 2014-10-17 2016-02-25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hrzeugtü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527A (ja) 1999-02-18 2000-09-05 Oi Seisakusho Co Ltd 自動車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9205A (ja) 2019-04-04
JP6684355B2 (ja) 2020-04-22
US10843538B2 (en) 2020-11-24
US20180339576A1 (en) 2018-11-29
DE102016200475B3 (de) 2016-12-15
KR20180094083A (ko) 2018-08-22
CN108463366B (zh) 2021-06-04
CN108463366A (zh) 2018-08-28
EP3402687A1 (de) 2018-11-21
WO2017121705A1 (de) 2017-07-20
EP3402687B1 (de)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198B1 (ko) 평평하게 장착되는 유리 개념을 위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서 삽입 영역을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장착 방법
ES2368522T3 (es) Disposición de guiado para una luna móvil de un automóvil.
CN100379595C (zh) 带有装饰条的密封型材
KR101209499B1 (ko) 차량 도어용 유닛 서포트
JP4275934B2 (ja) 自動車のaピラー及びルーフレール用ビーム
KR102634394B1 (ko) 위치 규제가 용이한 차량의 도어 글래스 및 도어 글래스의 조립방법
US4762481A (en) Mold structure for producing a window assembly
JP5022733B2 (ja) 自動車ドア
US20050229496A1 (en) Door sash structure
US8869457B2 (en) Assembly structure of weather strip
JP2018535865A (ja) 車両ドア用フラッシュ窓ガラス装置、ドア、自動車、気密装置、及び対応する製造方法
EP3988356B1 (en) Device for guiding a sliding glass of a motor-vehicle side door
IT201600089226A1 (it) Gruppo di finitura e di tenuta per un bordo di una finestra di un autoveicolo.
WO2011014684A1 (en) Adjustable glass assembly
CN107585005B (zh) 顶侧密封条的附接结构
US8042302B2 (en) Window pane for a motor vehicle
JP7036673B2 (ja) 車両用ドアのシール構造
US7062880B2 (en) Stabilizer clip for window assembly
KR100333287B1 (ko) 자동차 도어의 고정유리 지지용 웨더스트립의 장착구조
JP4085309B2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CN112140852A (zh) 车辆的车门构造
RU2719069C2 (ru) Уплотнитель для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дверь автомобиля, содержащая два взаимосоединенных уплотнителя, и автомобиль
JP4121992B2 (ja) ドアガラスのスライド部材取り付け構造
JP2009262617A (ja) 車両用ドア構造
JP6491038B2 (ja) 車両用シール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