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315A -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315A
KR20120100315A KR1020110019121A KR20110019121A KR20120100315A KR 20120100315 A KR20120100315 A KR 20120100315A KR 1020110019121 A KR1020110019121 A KR 1020110019121A KR 20110019121 A KR20110019121 A KR 20110019121A KR 20120100315 A KR20120100315 A KR 20120100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lip
weather strip
window
inner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빈
권경희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0315A/ko
Priority to PCT/KR2012/001591 priority patent/WO2012118352A2/ko
Publication of KR20120100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9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flush-glass windows, i.e. for windows flush with the vehicle body or the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water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5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on or reduction of noise, e.g. of rattling or vibration of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의 새시 혹은 프레임의 상단부 및 양측부에 고정되어 자동차의 윈도 글래스를 고정함은 물론, 소음, 진동, 침수방지 및 풍절음을 줄일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대부분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은 상기한 윈도 글래스 하강 시 글래스 가이드 홈(groove)이 잔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속 주행 중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를 약간(3cm이하) 열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요란한 풍절음이 더욱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풍절음을 줄일 수 있는 수단으로 글래스 가이드 홈이 없는 자동차 도어의 글래스 웨더 스트립을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윈도 글래스의 고정, 소음, 진동 및 침수방지 기능뿐만 아니라, 특히 고속 주행 중 환기 시 발생하는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Window glass weather strip for automobile door}
본 발명은 자동차 프런트 및 리어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에 형성된 글래스 가이드 홈을 없애어 윈도 글래스를 조금 열었을 때 발생하는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여 주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에 사용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은 도어 후레임이나 리테이너 등에 고정되어 직접 차체와 접촉하는 것과, 도어의 윈도 글래스를 지지하며 윈도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시 가이드 하는 글래스 런(glass run)으로 대별되며, 후자의 글래스 런은 윈도 글래스의 상단부, 양측단부 및 하단부 측에 설치되는 것에 따라 구조 및 기능에 약간 차이가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용어에도 약간 차이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하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으로 칭한다.
이러한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은 윈도 글래스의 견고한 고정과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소음, 진동, 침수 및 풍절음 차단 등을 위해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외관 및 제조의 용이성 등 때문에 각 자동차 제조사 및 모델에 따라 매우 다양한 제품과 실용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은 보통 자동차 도어의 윈도 새시나 프레임에 고정되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자동차의 외관 및 시야 등을 고려해서 하드 톱 타이프(hard top type), 새시레스(sashless) 혹은 프레임레스(frameless) 등으로 불리는 자동차 도어의 윈도가 개발되어 일부의 자동차에 채택되어 시판됨과 동시에 다양한 제안 기술이 보고되어 왔으나, 실제로 이러한 자동차 제품 및 제안 기술은 고속 주행 시 들뜸이나 고압세차 시 수밀성 등의 문제점 때문에 거의 채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A)(5B)(5C)(5D)은 도 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이나 도어샤시(75a)(75b)(75c)(75d)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A)(5B)(5C)(5D)을 도어프레임이나 도어샤시(75a)(75b)(75c)(75d)에 결합시키는 구조는 공지된 구조이고, 상기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A)(5B)(5C)(5D)는 윈도 글래스(3)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윈도 글래스(3)의 상단부가 끼워지게 되는 가이드 홈(groove)(50a)(50b)(50c)을 형성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 글래스(3)가 끼워지도록 개방되어 있지는 않으나 함몰된 형태의 가이드홈(50d)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A)(5B)(5C)(5D)의 가이드 홈(50a)(50b)(50c)(50d)은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3)를 3cm 이하 정도로 열고 고속으로 주행하면, 특히 상기한 글래스 가이드 홈(50a)(50b)(50c)(50d)로 인하여 유입공기(19a)(19b)(19c)(19d) 또는 배출공기(18a)(18b)(18c)(18d) 때문에 풍절음이 발생하게 된다.
US 5817414 (Yukimasa Ando) 1998.10.06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 특1999- 0034202 (기아자동차(주)) 1999.05.15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10-0276235 (현대자동차(주)) 2000.09.27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 10-0310131 (진영스텐다드(주)) 2001.09.13 US 6742784 B2 (Tomoaki sakane) 2004.06.01 US 6898916 B2 (Kenji Kobayashi) 2005.03.31 US 6938378 B2 (Masahiro Nozaki) 2005.11.06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 10-2007-0063160 (현대자동차(주)) 2007.06.19 US 0238137 A1 (Kenji Kobayashi) 2008.11.02 JP 특개2008-284933 (西川ゴム工業株式會社) 2008.11.27 US 0001754 A1 (Kiyotaka Tamaoki) 2009.01.0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 10-2010-0064818 (현대자동차(주)) 2010.06.15
본 발명은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에 형성된 글래스 가이드 홈으로 인해 발생되는 풍절음을 줄여 줄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없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을 설치함으로써, 고속 주행 중 환기를 위하여 윈도 글래스를 일부 열었을 때 발생하는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윈도 새시 혹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에 있어서,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소음, 진동 및 침수 방지는 물론, 특히 고속 주행 중 환기를 위해 윈도 글래스를 열 때에도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우선 윈도우 글래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의 경우, 윈도우 글래스 하강시 글래스 가이드 홈이 없는 웨더 스트립을 구성하되, 윈도 글래스가 상승하여 클로우즈 될 때에는 윈도 글래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의 인너 립(일부)에 접촉되어 밀고 올라가 상측에 설치된 중공부의 하부에 고무의 탄성으로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며, 윈도 글래스가 하강할 경우에는 윈도 글래스와 함께 웨더 스트립 인너 립이 복귀되어, 즉, 고무의 탄성력으로 원래 상태(윈도 글래스가 상승하여 고정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도어 윈도 글래스의 양측단부는 상기한 글래스 상단부의 웨더 스트립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자동차 프런트 및 리어 도어의 윈도 새시 혹은 프레임의 상단부 및 양측부에 고정되는 웨더 스트립과는 달리 도어 윈도 글래스의 하강 시 글래스 가이드 홈이 잔류하지 않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을 제공함으로서, 특히 고속 주행 중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윈도 글래스를 약간 열 때에도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여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윈도 글래스의 오픈 시 윈도 상단부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윈도 글래스의 클로우즈 시 윈도 상단부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상단부의 윈도 글래스 오픈 시 공기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측단부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윈도 글래스 오픈 시 윈도 상단부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윈도 글래스 클로즈 시 윈도 상단부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측단부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프런트 도어 윈도 글래스 오픈 시 윈도 상단부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종래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상단부를 본 발명 도 1의 A-A선 단면도와 비교를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또 다른 종래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상단부를 본 발명 도 1의 A-A선 단면도와 비교를 위해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에 글래스 가이드 홈을 형성시키지 않음으로써, 고속 주행 중 윈도 글래스를 열을 때 발생하는 풍절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1)(1a) 상측과 양측으로 윈도 글래스(3)(3a)가 끼워지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5a)이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5a)은 도 1의 A-A 선 단면을 표시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프런트 도어(1) 상부의 내?외측 프레임(14)(7) 중앙에 압접된 새시(6)의 하측으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이 끼워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의 상부 양쪽이 내,외측 프레임(14)(7)에 압접된 새시(6)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이 새시(6)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는 당 업계의 공지된 구조이다.
여기서 도어 외측 프레임(7)과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의 외측은 도어몰딩(9)으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은 새시(6)에서 노출된 곳이 라운드진 형태를 갖도록 하되 외측으로 노출되는 아웃터 립(13)과 내측으로 노출되는 인너 립(15)으로 구성하고, 상기 아웃터 립(13)이 위치하게 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에는 중공부(10)를 형성하는 한편 인너 립(15)은 내측으로 공간부(11)를 형성시킴으로써, 윈도 글래스(3)가 상부로 이동할 때 인너 립(15)이 윈도 글래스(3)에 의해 상기 공간부(11)로 이동되게 하며, 상기 인너 립(13)은 윈도 글래스(3)가 하강하여 하부로 이동할 때 아웃터 립(13)에 밀착되게 하는 한편 윈도 글래스(3)에 의해 상부로 이동할 때에는 공간부(11)의 내벽과 밀착되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인너 립(15)은 도 3과 같이 윈도 글래스(3)가 상승하면 인너 립(15)이 공간부(11)의 가상적 원주선(22)을 따라 밀려 올라가면서 윈도 글래스(3)의 외측은 아웃터 립(13)의 끝단 및 인너 립(15)의 하단과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며, 다시 윈도 글래스(3)가 하강할 경우에는 인너 립(15)이 고무 탄성력에 의해 원주선(22)을 따라 원활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중공부(10)를 구비하되, 복귀한 인너 립(15)과 아웃터 립(13) 사이에는 서로 밀착하여 기존과 같은 가이드홈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윈도 글래스(3)가 상부로 이동하여 인너 립(15)을 밀어 올리게 되면 도 3과 같이 윈도 글래스(3)의 상부 내측은 인너 립(15)과 접촉(25) 되는 동시에 윈도 글래스(3)의 상부 외측은 아웃터 립(13)의 하측과 접촉(25)되는 한편 아웃터 립(13)의 최하단부는 윈도 글래스(3)의 외측과 접촉(25)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은 윈도 글래스(3)를 상승시켰을 때 도 3과 같이 아웃터 립(13)과 인너 립(15)이 윈도 글래스(3)에 밀착되게 되므로, 외부에서의 물방울은 아웃터 립(13)의 선단부에서 차단되는 한편 윈도 글래스(3)의 상부 양쪽면이 모두 아웃터 립(13)과 인너 립(15)에 밀착되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윈도 글래스(3)를 하강 시켰을 경우는 도 2와 같이 인너 립(15)이 아웃터 립(13)과 밀착되어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의 하부에서 홈이 발생하지 않아 배출공기(18)나 유입공기(19)의 이동시 풍절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기존과 같이 윈도 글래스(3)의 하강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에는 풍절음이 발생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고, 윈도 글래스(3)의 하강시 인너 립(15)이 탄성에 의해 하강하면서 인너 립(15)의 선단이 아웃터 립(13)에 밀착되면서, 인너 립(15)이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간부(11)의 입구를 막아주게 되므로, 고속 주행시 환기를 위하여 윈도우 글래스(3)를 열어놓더라도 풍절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도 2 및 도 3은 자동차 도어(1)의 새시(6)에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이 조립되어 윈도 글래스(3)의 하강 및 상승 시 도어 윈도 상단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윈도 글래스(3)가 상승할 때 상기한 윈도 글래스(3)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웨더 스트립(5)의 인너 및 아웃터 립(15)(13)의 접촉부(25)는 접촉성 및 기밀성이 매우 요구될 뿐만 아니라, 윈도 글래스 오픈 및 클로우즈 시 반복적 마찰력, 압축하중 및 피로하중 등을 받게 되므로 상기한 기계적 특성에 적합한 소재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의 인너 립(15)과 아웃터 립(13)의 표면(20)에는 접촉성 및 기밀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윤활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적은 표면코팅 물질(운모나 탄산칼슘 등의 미세한 고형질을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요철(凹凸)로 코팅하여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자동차 도어(1)의 윈도 글래스(3)의 상단부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 하단부의 접선 D-D'선(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창측의 좌석에 바로 앉아 창밖을 내다 볼 때 상기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의 하단부와 일치하며 자동차 본체의 수평으로 이루어진 평행선(26)과 각도
Figure pat00001
(27)를 이루는 사선과 평행하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도 4에 나타낸 윈도 글래스(3)의 상단부를 평행선(26)에 대하여 수평 되게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가공하여 설치할 경우, 자동차의 고속 주행 중 자동차 실내의 공기는 빠른 속도로 배출공기(18)로 배출될 것이며, 이때 윈도 글래스(3)의 두께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의 양단(28)(28a)에 미소한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배출구의 양단(28)(28a) 크기 중 공기의 배출방향 쪽이 더 클 경우에는 공기흐름에 따른 풍절음이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출방향 쪽이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풍절음을 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과 반대로 윈도 글래스(3)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경우는 풍절음은 줄어들 수 있지만, 환기를 위한 공기의 배출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있어서, 자동차 프런트 및 리어 도어(1)(1a)의 윈도 글래스(3a)의 양측단부에 설치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a)은 상기한 원도 글래스(3a)의 고정 및 상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a)은 도 1의 B-B 선 단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윈도 글래스(3a)가 끼워진 상태를 표시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 글래스(3a)의 양측단부에 설치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a)은 전술한 윈도 상부에 설치되는 것과 동일하게 윈도 양측단의 내?외측 프레임(14a)(7a) 중앙에 압접된 새시(6a)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되, 윈도 글래스(3)(3a)의 양측단 내?외측에 위치하는 인너 및 아웃터 립(15a)(13a)에는 윈도 글래스(3a)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25a)가 형성되고,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a)에는 윈도 글래스(3a)의 고정 및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중공부(10a)(10b) 및 공간부(11a)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공부(10a)와 공간부(11a)는 전술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에서와 같은 형태를 갖게 되고, 다른 점은 공간부(10a)가 형성된 것이나, 공간부(10b)의 형성은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한 윈도 글래스(3a)가 하강하여 윈도 글래스(3a)가 인너 립(15a)을 밀지 않으면 인너 립(15a)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어 인너 립(15a)의 끝단과 아웃터 립(13a)의 끝단이 서로 밀착됨으로써, 기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와 같은 글래스 가이드 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상단부와 양측단부에 설치하는 웨더 스트립은 약간의 기능적 차이 때문에 내부구조를 다르게 설계하여 설치하므로 제조 및 설치공정 등에 따른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2내지 도 5에 도시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5a)과 같이 자동차 도어(1)(1a)의 윈도 글래스(3)(3a)의 상단부와 양측단부에 동일한 구조로 설치 가능하므로 제조에 따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30) 상단부에 설치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0)에 관한 것으로서, 전술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의 외형 및 설치 방법이 대부분 동일하도록 구성하되 본 발명에서는 인너 립(150)과 아웃터 립(130)으로 구성하는 한편 상기한 인너 립(150)의 상부에는 공간부(110)를 구성하는 동시에 밀폐된 중공부(100) 및 상기한 인너 립(150)과 접촉되는 돌출부(400)를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공부(100)와 인너립(15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00)는 윈도 글래스(30)의 상승 시 인너 립(150)에 밀착력을 높여 기밀성을 증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윈도 글래스(30)의 하강 시에는 돌출부(400)에서 탄성을 가하여 인너 립(150)을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30a) 양측단부에 설치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0')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상단부에 설치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윈도 글래스(30a)의 양측단부와 내?외측에 인너 립(150a), 아웃터 립(130a) 및 중공부(100a) 등으로 구성하여 접촉부(250a)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윈도 글래스(30a)의 승ㅇ하강 시 윈도 글래스(30a) 양측단부의 고정 및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도 상기한 도어 윈도 글래스(30a)가 하강하면, 도 5에 도시한 웨더 스트립(5)과 같이 인너 립(150a)과 중공부(100a)의 탄성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어 가이드 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용 웨더 스트립(500)의 또 다른 제 3의 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00)은 윈도 글래스(300)(300a)의 상단부에만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00)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5a)과 설치방법이나 외형은 대부분 동일하게 이루어지지만, 상기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5a)의 내?외측에 구성되는 인너 립(15b)(15c)과 아웃터 립(13b)(13c)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윈도 글래스(300)의 승강 시에는 인너 립(15b)(15c)이 가상적 원주선(22)을 따라 고무의 연성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복귀가 용이하도록 만곡부(350)(350a)와 밀폐된 중공부(10d)(10e)(10f)(10g)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인너 립(15b)(15c)의 상부와 접촉하도록 돌출부(210)(210a)가 설치되어 윈도 글래스(300)(300a)의 하강 시 인너 립(15b)(15c)이 용이하게 복귀되어 아웃터 립(13b)(13c) 사이의 외측 표면에 윈도 글래스(300)(300a)의 가이드 홈(50a)(50b)(50c)이 잔류하지 않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의 재질은 윈도 글래스의 반복적인 승강에 따른 마찰 및 윤활작용에 견딜 수 있는 원료고무를 선택하는 한편 그 표면에는 운모나 탄산칼슘 등의 미세한 고형질을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1종 혹은 2종 이상으로 혼합된 조성물로 코팅한다.
1, 1a : 자동차 프런트 및 리어 도어 3 : 윈도 글래스
5,5a :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6 : 도어 새시
7,70 : 도어 외측 프레임 9 : 도어 몰딩
10,100 : 중공부 11 : 공간부
13 : 아웃터 립 14,140 : 도어 내측 프레임
15 : 인너 립 18 : 배출 공기
19 : 유입 공기 22 : 인너 립의 회전 공간
23,230 : 아웃터 립과 인너 립의 접촉부
25,25a,250a : 윈도 글래스와 웨더 스트립의 접촉부
26 : 차체의 수평선 10d,10f : 제 1 중공부
10e,10g : 제 2 중공부 350,350a : 만곡부
400,400a : 돌출부

Claims (6)

  1.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1)(1a)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윈도 글래스(3)(3a)의 상단부 내?외측 프레임(14)(7) 중앙에 압접된 새시(6)에 끼워져 고정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5a)에 있어서,
    상기 윈도 글래스(3)(3a)의 내?외측으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5a)을 인너 립(15)과 아웃터 립(13)으로 구성하여 인너립(15)이 아웃터립(13)과 접촉되거나 분리되게 하며,
    상기 윈도 글래스(3)(3a)로 밀리게 되는 인너 립(15)의 상부에는 상기한 윈도 글래스(3)(3a)의 승강 시 인너 립(15)이 가상적 원주선(22)을 따라 상승되었다가 다시 글래스(3) 하강 시 인너 립(15)의 고무 탄성력으로 원활하게 복귀하도록 이루어진 공간부(11)가 설치되고,
    상기한 아웃터 립(13)의 상부에는 윈도 글래스(3)(3a)의 상승 시 상기한 인너 립(13)의 상단부와 접촉성이 용이하도록 중공부(10)를 구비하며,
    상기 윈도 글래스(3)(3a)의 하강 시에도 상기한 인너 립(15)이 복귀되어 아웃터 립(13) 사이의 외측 표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지 않게 아웃터 립(13)과 인너 립(13)의 선단이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2. 제 1항에 있어서, 윈도 글래스(3)(3a)의 내?외측에 웨더 스트립(5)(5a)의 인너 립(150)과 아웃터 립(130)이 접촉하여 분리되게 하고, 윈도 글래스(30)의 승강 시 인너 립(150)이 가상적 원주선(22)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복귀가 용이하게 공간부(110) 및 밀폐된 중공부(100)를 설치하며, 상기한 공간부(110)의 하측 중앙에 인너 립(150)의 중앙 상부와 접촉되도록 돌출부(400)를 설치하고, 윈도 글래스(30)의 하강 시에 인너 립(150)이 복귀되어 아웃터 립(130) 사이의 외측 표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지 않고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3. 제 1항에 있어서, 윈도 글래스(3)(3a)의 내?외측에 웨더 스트립(5)(5a)의 인너 립(15b)(15c)과 아웃터 립(13b)(13c)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윈도 글래스(300)(300a)의 승강 시 인너 립(15b)(15c)이 가상적 원주선(22)을 따라 만곡부(250)(250a)를 이루는 고무의 연성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복귀가 용이하도록 밀폐된 중공부(10d)(10e)(10f)(10g)를 설치하며, 상기한 인너 립(150)의 상부와 접촉되도록 돌출부(210)(210a)를 구비하여 윈도 글래스(3)(3a)의 하강 시에는 인너 립(150)이 용이하게 복귀되어 아웃터 립(13b)(13c) 사이의 외측 표면에 윈도 글래스(300)(300a)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지 않고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4. 자동차의 프런트 및 리어 도어(1)(1a)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윈도 글래스(3)(3a)의 상단부 내?외측 프레임(14a)(7a) 중앙에 압접된 새시(6a)에 끼워져 고정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5a)에 있어서
    상기한 윈도 글래스(3)(3a)의 내?외측에 인너 립(15a)(150a)과 아웃터 립(13a)(130a)이 접촉하거나 분리되게 하며,
    상기한 인너 립(15a)(150a)이 가상적 원주선(22a)을 따라 새시(6a)쪽으로 휘어져 윈도 글래스(3a)의 승강 시 지지 및 슬라이딩하게 하는 한편 윈도 글래스(3a)의 하강 시 인너 립(15a)(150a)이 고무 탄성력으로 원활하게 복귀하도록 이루어진 공간(11a)(110a)이 구비되고,
    상기한 인너 립(15a)(150a)과 새시(6a) 사이에는 밀폐된 중공부(11b)(10a)(200a)가 설치되어 윈도 글래스(3)(3a)의 승강 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하되 윈도 글래스(3)(3a)의 하강 시에는 상기한 인너 립(15a)(150a)이 복귀되어 아웃터 립(13a)(130a) 사이의 외측 표면에 윈도 글래스(3)(3a)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지 않고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5. 제 1 항에서 있어서, 윈도 글래스(3)(3a) 상단부를 연장한선(H-H'선)이 상기한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5a) 하단부의 접선을 이루는선(D-D'선)과 서로 평행이 되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윈도 글래스(3)(3a)의 상단 및 양측단부와 접촉하는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5)(5a)의 인너 및 아웃터 립(13)(15)의 표면에 운모나 탄산칼슘 등의 미세한 고형질을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1종 혹은 2종 이상으로 혼합된 조성물로 코팅하는 것을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KR1020110019121A 2011-03-03 2011-03-03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KR20120100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21A KR20120100315A (ko) 2011-03-03 2011-03-03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PCT/KR2012/001591 WO2012118352A2 (ko) 2011-03-03 2012-03-02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21A KR20120100315A (ko) 2011-03-03 2011-03-03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315A true KR20120100315A (ko) 2012-09-12

Family

ID=4711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121A KR20120100315A (ko) 2011-03-03 2011-03-03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0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083A (ko) * 2016-01-15 2018-08-22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평평하게 장착되는 유리 개념을 위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서 삽입 영역을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장착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083A (ko) * 2016-01-15 2018-08-22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평평하게 장착되는 유리 개념을 위한 프레임측 안내 요소에서 삽입 영역을 갖는 차량 도어 어셈블리, 및 장착 방법
CN108463366A (zh) * 2016-01-15 2018-08-28 布罗泽汽车部件制造班贝克有限公司 用于面齐平的窗玻璃设计的具有在框架侧的引导元件处的导入区域的车门组件和装配方法
CN108463366B (zh) * 2016-01-15 2021-06-04 布罗泽汽车部件制造班贝克有限公司 用于面齐平的窗玻璃设计的具有在框架侧的引导元件处的导入区域的车门组件和装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09974B (zh) 玻璃滑槽
JP6700900B2 (ja) 自動車ドア用シール材
KR101163472B1 (ko) 자동차의 오프닝 웨더스트립 고정구조
US8176681B2 (en) Roof side weather strip for automobile
JP2007290524A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US20170182871A1 (en) Parting seal and sealing structure of parting portion
CN201729050U (zh) 一种机动车辆车门及用于机动车辆玻璃窗的密封条结构
EP0127591B1 (en) Guide device for sliding glasses of mot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941431B1 (ko) 자동차용 도어 로워 웨더 스트립
KR20120100315A (ko)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JPH0229527B2 (ko)
KR101251014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120100318A (ko) 자동차 도어의 윈도 글래스 웨더 스트립
JP5634279B2 (ja) 自動車用ドアのシール構造
JP5548507B2 (ja)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4281628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3600410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JP7198592B2 (ja) 自動車用ドアガラスの昇降構造
JP7360604B2 (ja) ドアウェザストリップ
CN218430808U (zh) 玻璃滑块、密封条、齐平式车门及汽车
CN210101292U (zh) 一种汽车车门玻璃导槽
CN220031677U (zh) 用于车门的密封组件和车门
JPS5863515A (ja) 自動車の開閉式窓構造
JP2001213171A (ja) 自動車用ドアグラスラン
KR20110032079A (ko) 차량용 도어의 글래스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