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121B1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8121B1 KR102108121B1 KR1020130066131A KR20130066131A KR102108121B1 KR 102108121 B1 KR102108121 B1 KR 102108121B1 KR 1020130066131 A KR1020130066131 A KR 1020130066131A KR 20130066131 A KR20130066131 A KR 20130066131A KR 102108121 B1 KR102108121 B1 KR 1021081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noparticles
- semiconductor layer
- thin film
- film transistor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3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7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8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7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65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0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8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8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8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5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5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5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0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0
- KJTLSVCANCCWHF-UHFFFAOYSA-N Ruthenium Chemical compound [Ru] KJTLSVCANCCW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9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9
- 229910052707 rut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9
- VSZWPYCFIRKVQL-UHFFFAOYSA-N selanylidenegallium;selenium Chemical compound [Se].[Se]=[Ga].[Se]=[Ga] VSZWPYCFIRKV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9
- JBQYATWDVHIOAR-UHFFFAOYSA-N tellanylidenegermanium Chemical compound [Te]=[Ge] JBQYATWDVHIOA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9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9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5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class [H]* 0.000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29910001868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5
- -1 at least on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40 phys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16 A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00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YHNNYVSQQEPJS-UHFFFAOYSA-N Gallium Chemical compound [Ga] GYHNNYVSQQEP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143 Hypo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82 Mo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7611 Zn—In—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7604 Zn—Sn—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YKLWYKWCAYAJY-UHFFFAOYSA-N oxotin;zinc Chemical compound [Zn].[Sn]=O KYKLWYKWCAYA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49 trap density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2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29—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1033—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51—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6—Non-mon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63—Amorphous 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69—Amorphous silicon transistors with inverted-type structure, e.g. with bottom ga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51—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6—Non-mon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s
- H01L29/78672—Polycrystalline or micr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
- H01L29/78678—Polycrystalline or microcrystalline silicon transistor with inverted-type structure, e.g. with bottom ga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나노 입자,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의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이고, 상기 반도체층의 단위 면적당 상기 나노 입자의 평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5% 내지 약 80%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각 화소를 스위칭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신호를 인가받는 게이트 전극과,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소스 전극과, 데이터 전극을 출력하는 드레인 전극을 삼단자로 하여 스위칭 소자를 이룬다. 또한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중첩되어 있는 액티브층을 채널층으로 포함하며, 액티브층은 반도체 재료로서 비정질 실리콘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초고속 구동이 가능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다. 특히 액티브층으로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비정질 실리콘은 전자 이동도가 낮아, 초고속 구동이 불가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높은 전자이동도 구현을 위해 저온폴리 실리콘과 산화물 반도체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중 저온폴리실리콘은 공정과정이 복잡하고 반도체층의 균일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 이동도가 높고 제조 공정이 단순한 산화물 반도체가 주목받고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기본적으로 스퍼터링, 이베포레이션과 같은 물리 기상 증착법(PVD)으로 증착이 가능하나 최근 코팅 공정 또는 초저가 프린팅 공정을 통해서도 박막 형성이 가능한 산화물 반도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영향에 따라 캐리어 농도의 변화가 크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를 적층할 때, 용액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두께 균일성이 낮을 수 있고, 산화물 반도체의 두께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위치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가 클 수 있다. 또한, 물리적 기상 증착(PVD; Physical Vapor Deposition)법으로 산화물 반도체를 적층할 때, 산소의 양이나 산화물 반도체의 두께에 따라 반도체 내 전하의 밀도가 바뀔 수 있고, 또한 트랩 밀도(trap density)의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의 영향 또는 제조 공정 상의 영향에 의해서도,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나노 입자,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의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 중 상기 게이트 전극과 인접하지 않은 표면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 또는 상기 반도체층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을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는 구형(spherical shape), 원반 모양(disk type), 봉 모양(rod type), 판 형태(plate shape)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나노 입자,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층의 단위 면적당 상기 나노 입자의 평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5% 내지 약 80%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외부의 영향 또는 제조 공정 상의 영향에 의해서도,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입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입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0)은 절연 기판(110), 게이트 전극(124), 게이트 절연막(140), 반도체층(151), 소스 전극(173), 드레인 전극(175), 그리고, 복수의 나노 입자(51)를 포함한다.
절연 기판(1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절연 기판(110) 위에 게이트 전극(124)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24)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4)은 알루미늄(Al)과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은(Ag)과 은 합금 등 은 계열의 금속, 구리(Cu)와 구리 합금 등 구리 계열의 금속, 몰리브덴(Mo)과 몰리브덴 합금 등 몰리브덴 계열의 금속, 크롬(Cr), 티타늄(Ti), 탄탈륨(T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전극(124)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게이트 전극(124)은 다른 여러 가지 금속과 도전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절연 기판(110), 그리고 게이트 전극(124)을 포함하는 게이트 배선의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산화 규소(SiOx), 질화 규소(SiNx) 또는 산질화 규소(SiON)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40)은 산화 규소와 질화 규소가 적층된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절연 기판(110)의 상부에는 질화 규소층이 형성되고, 질화 규소층의 상부에 산화 규소층이 형성됨으로써 산화 규소층이 후술할 반도체층과 접할 수 있다.
산질화 규소 단일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반도체 층과 인접할수록 산질화 규소에서 산소의 조성비가 높아지도록 산소 농도에 분포를 가지게 할 수 있다. 이처럼, 반도체 층과 산화 규소 층이 접하게 되는 경우 반도체 내의 산소 결핍(oxygen deficiency)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채널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반도체층(151)이 배치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은 게이트 전극(124)과 중첩한다.
반도체층(151)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반도체층(151)은 아연(Zn), 갈륨(Ga), 주석(Sn) 또는 인듐(In)을 기본으로 하는 산화물, 또는 이들의 복합 산화물인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nGaZnO4), 인듐-아연 산화물(Zn-In-O), 또는 아연-주석 산화물(Zn-Sn-O)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51)는 물리적 기상 증착(PVD)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층(151)은 IGZO, GZO, IZO, 또는 HIZO과 같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그러나, 반도체층(151)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반도체층(151) 위에는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입자(51)는 반도체층(151)의 표면 중,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지 않은 표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는 표면 위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반도체층(151)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나노 입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나노 입자(51)는 단일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나노 입자(51)는 내부의 금속층(5)과 금속층(5)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금속 산화물층(55)을 포함한다. 나노 입자(51)의 금속층(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일 수 있고, 산화물층(5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또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구형(spherical shape)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나노 입자(51)의 형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원반 모양(disk type), 봉 모양(rod type), 판 형태(plate shape) 등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나노 입자(51)의 단면적 X 나노 입자(51)의 밀도(개수/ 단위 면적(cm2)) X 100(%)이다. 즉,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반도체층의 단위 면적당 상기 나노 입자의 평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만일 나노 입자(51)의 직경이 약 2nm 보다 작은 경우, 반도체층(151)에 충분한 캐리어를 공급할 수 없고, 나노 입자(51)의 직경이 약 5nm보다 큰 경우, 단위 면적당 나노 입자의 비율이 높아져서 나노 입자(51) 층이 박막 형태로 반도체층(151)을 모두 덮어, 쇼트(short)가 발생할 수 있다.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5%보다 작은 경우,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의 밀도가 너무 낮아, 나노 입자(51)의 영향이 줄어들게 되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80%보다 큰 경우, 인접한 나노 입자(51)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서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게 된다. 반도체층(151) 위에 도전 경로가 형성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이기 때문에,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사이에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도체층(151) 위에는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이 배치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 중첩한다. 즉, 소스 전극(173)은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고, 드레인 전극(175)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부를 중심으로 소스 전극(173)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된다.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비저항이 낮은 구리(Cu)와 구리 합금 등 구리 계열의 금속, 알루미늄(Al)과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또는 은(Ag)과 은 합금 등 은 계열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다른 여러 가지 낮은 비저항을 가지는 금속과 도전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4)에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스 전극(173)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면,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층(151)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는 금속을 포함하여, 채널층으로 이용되는 반도체층(151)에 전자(electron)와 같은 캐리어(carrier)를 공급하는 캐리어 소스(carrier source)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층(151)의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가 변화하더라도, 반도체층(151) 내에 충분한 캐리어 소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반도체층(151)의 캐리어 농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반도체층(151)를 적층할 때,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캐리어 농도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위치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줄일 수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안정성(electrical stability)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전극(124), 게이트 절연막(140), 반도체층(151), 그리고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적층 구조는 이와 다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 그리고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과 중첩하지 않는 반도체층(151)의 채널 영역, 그리고 복수의 나노 입자(51) 위에는 보호막이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다.
나노 입자(51)의 크기에 따른 영향에 대하여, 본 발명의 한 실험예를 통해 설명한다.
본 실험예에서는 구형의 금 나노 입자를 형성하였으며, 나노 입자의 평균 직경을 변화시키면서, 나노 입자의 밀도를 계산하여, 각 경우에 따라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나노 입자 평균 직경(d) (nm) | 나노 입자 밀도(개수/cm2) | 단위면적(cm2)당 나노 입자의 면적율(%) |
2 | 1.5 x 1012 | 4.712 |
2.36 | 1.92 x 1012 | 8.399 |
2.83 | 2.47 x 1012 | 28.457 |
3.64 4 5 6 |
3.12 x 1012 3.5 x 1012 4.3 x 1012 5 x 1012 |
32.467 43.98 84.43 141.37 |
표 1을 참고하면, 나노 입자의 평균 직경이 5nm보다 큰 경우, 즉 나노 입자의 평균 직경이 약 6nm인 경우,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141.37로서 100% 이상이 되어, 반도체층(151)의 표면을 모두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나노 입자(51)의 직경이 약 2nm 내지 약 5nm인 경우,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층이 박막 형태로 반도체층(151)을 모두 덮어, 쇼트(shor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5%보다 작은 경우,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의 밀도가 너무 낮아, 나노 입자(51)의 영향이 줄어들게 되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80%보다 큰 경우, 인접한 나노 입자(51)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서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게 된다. 반도체층(151) 위에 도전 경로가 형성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이기 때문에,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사이에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유사하다.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절연 기판(110) 위에 게이트 전극(124)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 기판(110) 및 게이트 전극(124)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 중첩한다. 즉, 소스 전극(173)은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고, 드레인 전극(175)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부를 중심으로 소스 전극(173)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된다.
게이트 절연막(140), 그리고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 위에는 반도체층(151)이 형성되어 있고, 반도체층(151) 표면에는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은 게이트 전극(124)과 적어도 일부분 중첩한다.
반도체층(151)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그러나, 반도체층(151)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입자(51)는 반도체층(151)의 표면 중,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지 않은 표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는 표면 위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반도체층(151)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도 2a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단일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내부의 금속층(5)과 금속층(5)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금속 산화물층(5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의 금속층(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일 수 있고, 산화물층(5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또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구형(spherical shape)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나노 입자(51)의 형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원반 모양(disk type), 봉 모양(rod type), 판 형태(plate shape) 등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전극(124)에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스 전극(173)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면,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층(151)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는 금속을 포함하여, 채널층으로 이용되는 반도체층(151)에 전자(electron)와 같은 캐리어(carrier)를 공급하는 캐리어 소스(carrier source)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층(151)의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가 변화하더라도, 반도체층(151) 내에 충분한 캐리어 소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반도체층(151)의 캐리어 농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반도체층(151)를 적층할 때,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캐리어 농도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위치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줄일 수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안정성(electrical stability)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다.
나노 입자(51)의 직경이 약 2nm 내지 약 5nm인 경우,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층이 박막 형태로 반도체층(151)을 모두 덮어, 쇼트(shor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5%보다 작은 경우,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의 밀도가 너무 낮아, 나노 입자(51)의 영향이 줄어들게 되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80%보다 큰 경우, 인접한 나노 입자(51)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서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게 된다. 반도체층(151) 위에 도전 경로가 형성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이기 때문에,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사이에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그리고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유사하다.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절연 기판(110) 위에 게이트 전극(124)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 기판(110) 및 게이트 전극(124)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반도체층(151)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과 반도체층(151) 위에는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 중첩한다. 즉, 소스 전극(173)은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고, 드레인 전극(175)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부를 중심으로 소스 전극(173)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된다.
반도체층(151)의 표면에는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 중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과 중첩하지 않는 부분 위에는 식각 정지막(60)이 형성되어 있다. 식각 정지막(60)은 반도체층(151)을 형성한 후,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을 형성할 때, 식각액 등에 의해 반도체층(15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식각 정지막(60)과 반도체층(151) 사이에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그러나, 반도체층(151)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입자(51)는 반도체층(151)의 표면 중,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지 않은 표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는 표면 위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반도체층(151)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도 2a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단일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내부의 금속층(5)과 금속층(5)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금속 산화물층(5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의 금속층(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일 수 있고, 산화물층(5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또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구형(spherical shape)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나노 입자(51)의 형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원반 모양(disk type), 봉 모양(rod type), 판 형태(plate shape) 등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전극(124)에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스 전극(173)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면,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층(151)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는 금속을 포함하여, 채널층으로 이용되는 반도체층(151)에 전자(electron)와 같은 캐리어(carrier)를 공급하는 캐리어 소스(carrier source)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층(151)의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가 변화하더라도, 반도체층(151) 내에 충분한 캐리어 소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반도체층(151)의 캐리어 농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반도체층(151)를 적층할 때,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캐리어 농도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위치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줄일 수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안정성(electrical stability)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다.
나노 입자(51)의 직경이 약 2nm 내지 약 5nm인 경우,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층이 박막 형태로 반도체층(151)을 모두 덮어, 쇼트(shor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5%보다 작은 경우,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의 밀도가 너무 낮아, 나노 입자(51)의 영향이 줄어들게 되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80%보다 큰 경우, 인접한 나노 입자(51)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서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게 된다. 반도체층(151) 위에 도전 경로가 형성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이기 때문에,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사이에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그리고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그리고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유사하다.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절연 기판(110) 위에 게이트 전극(124)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 기판(110) 및 게이트 전극(124)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반도체층(151)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과 반도체층(151) 위에는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 중첩한다. 즉, 소스 전극(173)은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고, 드레인 전극(175)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부를 중심으로 소스 전극(173)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된다.
반도체층(151) 중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과 중첩하지 않는 부분의 일부분은 에치백(etch back)된다. 따라서, 반도체층(151) 중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과 중첩하지 않는 부분의 두께는 반도체층(151) 중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과 중첩하는 부분의 두께보다 작다. 즉, 채널을 이루는 반도체층(151)의 두께는 반도체층(151)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작다.
채널을 이루는 반도체층(151)의 표면에는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그러나, 반도체층(151)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입자(51)는 반도체층(151)의 표면 중,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지 않은 표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는 표면 위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반도체층(151)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도 2a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단일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내부의 금속층(5)과 금속층(5)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금속 산화물층(5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의 금속층(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일 수 있고, 산화물층(5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또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구형(spherical shape)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나노 입자(51)의 형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원반 모양(disk type), 봉 모양(rod type), 판 형태(plate shape) 등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전극(124)에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스 전극(173)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면,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층(151)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는 금속을 포함하여, 채널층으로 이용되는 반도체층(151)에 전자(electron)와 같은 캐리어(carrier)를 공급하는 캐리어 소스(carrier source)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층(151)의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가 변화하더라도, 반도체층(151) 내에 충분한 캐리어 소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반도체층(151)의 캐리어 농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반도체층(151)를 적층할 때,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캐리어 농도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위치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줄일 수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안정성(electrical stability)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다.
나노 입자(51)의 직경이 약 2nm 내지 약 5nm인 경우,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층이 박막 형태로 반도체층(151)을 모두 덮어, 쇼트(shor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5%보다 작은 경우,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의 밀도가 너무 낮아, 나노 입자(51)의 영향이 줄어들게 되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80%보다 큰 경우, 인접한 나노 입자(51)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서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게 된다. 반도체층(151) 위에 도전 경로가 형성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이기 때문에,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사이에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그리고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그리고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유사하다.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절연 기판(110) 위에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에는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 위에는 반도체층(151)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은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과 일부분 중첩하고,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나노 입자(51) 위에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은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고, 드레인 전극(175)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부를 중심으로 소스 전극(173)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된다.
반도체층(151)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게이트 전극(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채널을 이루는 반도체층(151)의 하부 표면에는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그러나, 반도체층(151)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입자(51)는 반도체층(151)의 표면 중,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지 않은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는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반도체층(151)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도 2a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단일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내부의 금속층(5)과 금속층(5)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금속 산화물층(5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의 금속층(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일 수 있고, 산화물층(5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또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구형(spherical shape)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나노 입자(51)의 형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원반 모양(disk type), 봉 모양(rod type), 판 형태(plate shape) 등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전극(124)에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스 전극(173)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면,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층(151)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반도체층(151)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는 금속을 포함하여, 채널층으로 이용되는 반도체층(151)에 전자(electron)와 같은 캐리어(carrier)를 공급하는 캐리어 소스(carrier source)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층(151)의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가 변화하더라도, 반도체층(151) 내에 충분한 캐리어 소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반도체층(151)의 캐리어 농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반도체층(151)를 적층할 때,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캐리어 농도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위치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줄일 수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안정성(electrical stability)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다.
나노 입자(51)의 직경이 약 2nm 내지 약 5nm인 경우,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층이 박막 형태로 반도체층(151)을 모두 덮어, 쇼트(shor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5%보다 작은 경우,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의 밀도가 너무 낮아, 나노 입자(51)의 영향이 줄어들게 되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80%보다 큰 경우, 인접한 나노 입자(51)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서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게 된다. 반도체층(151) 위에 도전 경로가 형성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이기 때문에,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사이에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도 3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도 4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그리고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에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도 1,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들과 유사하다.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절연 기판(110) 위에 반도체층(151)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의 한쪽 표면에는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 위에는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소스 전극(173)은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고, 드레인 전극(175)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부를 중심으로 소스 전극(173)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반도체층(151)과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된다.
반도체층(15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게이트 전극(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반도체층(151)의 하부 표면에는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그러나, 반도체층(151)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입자(51)는 반도체층(151)의 표면 중,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지 않은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는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반도체층(151)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도 2a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단일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다. 또한, 도 2b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내부의 금속층(5)과 금속층(5)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금속 산화물층(5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의 금속층(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일 수 있고, 산화물층(5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또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구형(spherical shape)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나노 입자(51)의 형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원반 모양(disk type), 봉 모양(rod type), 판 형태(plate shape) 등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전극(124)에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스 전극(173)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면,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층(151)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반도체층(151)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는 금속을 포함하여, 채널층으로 이용되는 반도체층(151)에 전자(electron)와 같은 캐리어(carrier)를 공급하는 캐리어 소스(carrier source)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층(151)의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가 변화하더라도, 반도체층(151) 내에 충분한 캐리어 소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반도체층(151)의 캐리어 농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반도체층(151)를 적층할 때,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캐리어 농도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위치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줄일 수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안정성(electrical stability)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다.
나노 입자(51)의 직경이 약 2nm 내지 약 5nm인 경우,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층이 박막 형태로 반도체층(151)을 모두 덮어, 쇼트(shor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5%보다 작은 경우,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의 밀도가 너무 낮아, 나노 입자(51)의 영향이 줄어들게 되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80%보다 큰 경우, 인접한 나노 입자(51)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서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게 된다. 반도체층(151) 위에 도전 경로가 형성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이기 때문에,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사이에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들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도 1, 그리고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들과 유사하다.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절연 기판(110) 위에 차단층(10)이 형성되어 있고, 차단층(10) 위에 반도체층(151)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의 한쪽 표면에는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은 도전성 불순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진성 영역(intrinsic region)으로서 채널층을 이룬다. 진성 영역 주변에는 n형 또는 p형의 도전성 불순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불순물 영역(extrinsic region)이 형성되어 있다. 불순물 영역은 저농도 도핑 영역(lightly doped region)(152)과 소스 영역(153) 및 드레인 영역(155)을 포함한다. 진성 영역인 반도체층(151)의 양쪽 측면에는 저농도 도핑 영역이 위치하고, 저농도 도핑 영역 측면에는 소스 영역(153) 및 드레인 영역(155)이 위치한다.
저농도 도핑 영역은 불순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오프셋 영역(offset region)으로 대체할 수 있다.
반도체층(151)층 및 차단층(10)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게이트 전극(124)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24) 위에는 층간 절연막(20)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20)은 질화규소나 산화규소 따위의 무기 절연물, 유기 절연물, 저유전율 절연물 따위로 만들어진다.
층간 절연막(20)과 게이트 절연막(140)에는 소스 영역(153) 및 드레인 영역(155)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73, 74)이 형성되어 있고, 접촉 구멍(73, 74)을 통해 드러나 있는 소스 영역(153) 및 드레인 영역(155) 위에는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채널층을 이루는 반도체층(151)의 하부 표면에는 복수의 나노 입자(51)가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51)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도체층(151)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입자(51)는 반도체층(151)의 표면 중,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지 않은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게이트 전극(124)과 인접하는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반도체층(151)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도 2a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단일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나노 입자(51)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그리고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51)는 내부의 금속층(5)과 금속층(5)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금속 산화물층(5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노 입자(51)의 금속층(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그리고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일 수 있고, 산화물층(55)은 금(Au), 은(Ag), 백금(Pt),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인듐(In) 등의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또는 티타늄(Ti),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루테늄(Ru),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는 구형(spherical shape)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나노 입자(51)의 형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원반 모양(disk type), 봉 모양(rod type), 판 형태(plate shape) 등 다양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트 전극(124)에 제어 전압이 인가되고, 소스 전극(173)에 입력 전압이 인가되면,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반도체층(151)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반도체층(151)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는 금속을 포함하여, 채널층으로 이용되는 반도체층(151)에 전자(electron)와 같은 캐리어(carrier)를 공급하는 캐리어 소스(carrier source)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층(151)의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가 변화하더라도, 반도체층(151) 내에 충분한 캐리어 소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의 수소, 물, 산소 등의 농도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반도체층(151)의 캐리어 농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반도체층(151)를 적층할 때,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캐리어 농도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위치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줄일 수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안정성(electrical stability)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나노 입자(51)가 구형을 가질 경우, 그 직경은 약 2nm 내지 약 5nm일 수 있다.
나노 입자(51)의 직경이 약 2nm 내지 약 5nm인 경우,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층이 박막 형태로 반도체층(151)을 모두 덮어, 쇼트(shor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5%보다 작은 경우, 반도체층(151)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나노 입자(51)의 밀도가 너무 낮아, 나노 입자(51)의 영향이 줄어들게 되고,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이 약 80%보다 큰 경우, 인접한 나노 입자(51)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서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게 된다. 반도체층(151) 위에 도전 경로가 형성되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따르면, 반도체층(151)의 표면 단위 면적(cm2)당 나노 입자(51)의 면적율(%)은 약 5% 내지 약 80%이기 때문에, 반도체층(151)에 캐리어를 공급하면서도, 나노 입자(51) 사이에 도전 경로(conduction path)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1, 그리고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들의 많은 특징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a-IGZO로 이루어진 산화물 반도체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금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였다. 이 때, 다른 조건은 모두 같게 하고, 나노 입자의 크기를 변화시켜 형성하였으며, 각 경우에 대하여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을 측정하여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서 (a)는 본 실험예에서 형성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b)는 반도체층 위에 형성된 복수의 나노 입자의 현미경 사진을 도시하고, (c)는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복수의 나노 입자의 단면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고, (d)는 본 실험예에 따른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기존의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conventional)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한 경우(2.4nm, 2.8nm, 3,6nm)의 경우, 낮은 게이트 전압에서 전류가 흐름을 알 수 있었다. 즉, 기존의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conventional)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한 경우(2.4nm, 2.8nm, 3,6nm)의 경우 낮은 임계 전압(Vth)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conventional)의 임계 전압(Vth)은 약 14.02V이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한 경우(2.4nm, 2.8nm, 3,6nm)의 경우 임계 전압(Vth)은 10.34V, 10.21V, 10.21V 이었다.
그러면,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a-IGZO로 이루어진 산화물 반도체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금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였다. 이 때, 다른 조건은 모두 같게 하고, 나노 입자의 크기를 변화시켜 형성하였다. 또한,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였다.
각 경우에 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 후에,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을 측정하였고, 50%의 습도와 50℃의 온도하에서 7일과 40일이 경과한 후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각 경우에 대하여 하루에 한번씩 임계 전압(Vth)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에서 (a)는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의 변화를 나타내고, (c)는 각 경우의 임계 전압(Vth)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의 (a)를 참고하면,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를 약 50%의 습도와 약 50℃의 온도 하에 노출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도 10의 (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를 약 50%의 습도와 약 50℃의 온도 하에 노출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더라도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0의 (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를 약 50%의 습도와 약 50℃의 온도 하에 노출하더라도, 노출 시간에 따란 임계 전압(Vth)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를 약 50%의 습도와 약 50℃의 온도 하에 노출할 경우, 임계 전압(Vth)의 변화가 큼을 알 수 있었다.
그러면,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a-IGZO로 이루어진 산화물 반도체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금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였다. 이 때, 다른 조건은 모두 같게 하고, 산화물 반도체층의 두께를 각기 약 50nm, 약 70nm, 그리고 약 110nm로 형성하고, 각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을 측정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였고, 이 때, 다른 조건은 모두 같게 하고, 산화물 반도체층의 두께를 각기 약 50nm, 약 70nm, 그리고 약 110nm로 형성하고, 각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을 측정하였다.
도 11의 (a)는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11의 (b)는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고하면,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층을 이루는 반도체층의 두께에 따라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이 크게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층을 이루는 반도체층의 두께에 따라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이 크게 변화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면,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험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a-IGZO로 이루어진 산화물 반도체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금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였다. 이 때, 다른 조건은 모두 같게 하고, 자외선(UV)을 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약 365nm의 파장길이(wavelength)를 가지는 자외선 하에 노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노출 시간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을 측정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였고, 이 때, 다른 조건은 모두 같게 하고, 자외선(UV)을 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약 365nm의 파장길이(wavelength)를 가지는 자외선 하에 노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노출 시간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을 측정하였다.
도 12의 (a)는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12의 (b)는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고하면, 반도체층 표면에 나노 입자를 형성하지 않은 기존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를 자외선에 노출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를 자외선에 노출하는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게이트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이 크게 변화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같이, 반도체층에 복수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면, 외부 환경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이 쉽게 변화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에 위치하는 복수의 나노 입자,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의 직경은 2nm 내지 5nm이며,
상기 나노 입자는 금(Au), 구리(Cu),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또는 이들의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는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 중 상기 게이트 전극과 인접하지 않은 표면 위에 위치하고,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은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나노 입자는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을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제2 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제1항에서,
상기 나노 입자는 구형(spherical shape), 원반 모양(disk type), 봉 모양(rod type), 판 형태(plate shape)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과 중첩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에 위치하는 복수의 나노 입자, 그리고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층의 단위 면적당 상기 나노 입자의 평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4.712% 내지 84.43%이며,
상기 나노 입자는 금(Au), 구리(Cu),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이 금속(transition metal), 또는 이들의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입자는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 중 상기 게이트 전극과 인접하지 않은 표면 위에 위치하고,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은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8항에서,
상기 나노 입자는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을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제2 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제8항에서,
상기 나노 입자는 구형(spherical shape), 원반 모양(disk type), 봉 모양(rod type), 판 형태(plate shape)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131A KR102108121B1 (ko) | 2013-06-10 | 2013-06-10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US14/209,066 US9111789B2 (en) | 2013-06-10 | 2014-03-13 |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131A KR102108121B1 (ko) | 2013-06-10 | 2013-06-10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4388A KR20140144388A (ko) | 2014-12-19 |
KR102108121B1 true KR102108121B1 (ko) | 2020-05-08 |
Family
ID=5200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6131A KR102108121B1 (ko) | 2013-06-10 | 2013-06-10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111789B2 (ko) |
KR (1) | KR1021081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6809B1 (ko) * | 2016-06-03 | 2021-08-31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금속 산화물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
KR102049081B1 (ko) * | 2016-08-19 | 2019-11-26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
CN109906376B (zh) * | 2016-11-02 | 2021-08-10 | 株式会社Lg化学 | 气体检测传感器 |
KR102555217B1 (ko) * | 2016-12-23 | 2023-07-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CN107833927A (zh) * | 2017-11-16 | 2018-03-23 | 佛山科学技术学院 | 一种氧化物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 |
KR102170605B1 (ko) * | 2019-02-08 | 2020-10-27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냅스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
US11646237B2 (en) | 2020-01-19 | 2023-05-09 | Applied Materials, In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positing amorphous silicon atop metal oxide |
CN112864254A (zh) * | 2021-04-06 | 2021-05-28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及显示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218605A1 (en) * | 2008-02-28 | 2009-09-03 | Versatilis Llc | Methods of Enhancing Performance of Field-Effect Transistors and Field-Effect Transistors Made Thereby |
US20110210386A1 (en) * | 2005-07-20 | 2011-09-01 | Sandhu Gurtej S | Devices with nanocrystals and methods of formation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5999B1 (ko) | 2004-02-26 | 2006-09-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도너 시트, 상기 도너 시트의 제조방법, 상기 도너 시트를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및 상기 도너 시트를이용한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KR100659056B1 (ko) | 2004-06-25 | 2006-12-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
US20070246784A1 (en) | 2004-10-13 | 2007-10-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nipolar nanotube transistor using a carrier-trapping material |
US7691666B2 (en) | 2005-06-16 | 2010-04-06 | Eastman Kodak Company | Methods of making thin film transistors comprising zinc-oxide-based semiconductor materials and transistors made thereby |
US7507618B2 (en) | 2005-06-27 | 2009-03-2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thod for making electronic devices using metal oxide nanoparticles |
US7262991B2 (en) * | 2005-06-30 | 2007-08-28 | Intel Corporation | Nanotube- and nanocrystal-based non-volatile memory |
US7829938B2 (en) * | 2005-07-14 | 2010-11-09 | Micron Technology, Inc. | High density N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
KR100647699B1 (ko) | 2005-08-30 | 2006-11-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나노 반도체 시트, 상기 나노 반도체 시트의 제조방법,상기 나노 반도체 시트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 상기 나노 반도체 시트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박막 트랜지스터, 및 평판 표시장치 |
KR101243791B1 (ko) | 2006-06-27 | 2013-03-1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0792036B1 (ko) | 2006-10-17 | 2008-01-0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KR100841186B1 (ko) * | 2007-03-26 | 2008-06-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층 쉘 구조의 나노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362143B1 (ko) | 2007-04-27 | 2014-02-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과,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
KR100891457B1 (ko) | 2007-11-05 | 2009-04-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누설 전류가 감소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과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능동 구동 표시 장치 |
KR20090051439A (ko) | 2007-11-19 | 2009-05-2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0965434B1 (ko) | 2008-01-29 | 2010-06-2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졸-겔 및 광경화 반응에 의해 광경화 투명고분자 내에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게이트 절연층을 이용한유기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0977189B1 (ko) | 2008-03-14 | 2010-08-2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다결정 금속산화물 반도체층을 이용한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그 제조방법 |
KR100986148B1 (ko) | 2008-04-04 | 2010-10-0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탄소나노튜브층과 유기반도체층이 적층된 구조의 활성층을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KR101506124B1 (ko) | 2009-09-04 | 2015-03-25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WO2011043203A1 (en) | 2009-10-08 | 2011-04-14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
KR101680047B1 (ko) | 2009-10-14 | 2016-11-28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
TW201405828A (zh) * | 2012-07-31 | 2014-02-01 | E Ink Holdings Inc | 顯示面板、薄膜電晶體及其製造方法 |
-
2013
- 2013-06-10 KR KR1020130066131A patent/KR10210812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3-13 US US14/209,066 patent/US911178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10386A1 (en) * | 2005-07-20 | 2011-09-01 | Sandhu Gurtej S | Devices with nanocrystals and methods of formation |
US20090218605A1 (en) * | 2008-02-28 | 2009-09-03 | Versatilis Llc | Methods of Enhancing Performance of Field-Effect Transistors and Field-Effect Transistors Made Thereb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361304A1 (en) | 2014-12-11 |
US9111789B2 (en) | 2015-08-18 |
KR20140144388A (ko) | 2014-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8121B1 (ko)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 |
US8558323B2 (en) | Thin film transistors having multi-layer channel | |
CN109698240B (zh) | 包括二维半导体的薄膜晶体管以及包括其的显示设备 | |
TWI481037B (zh) | 薄膜電晶體、製造其之方法及包含其之有機電致發光裝置 | |
JP5725698B2 (ja) | アモルファス酸化物半導体及び該アモルファス酸化物半導体を用いた薄膜トランジスタ | |
KR101489652B1 (ko)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344483B1 (ko) | 박막 트랜지스터 | |
JP5371467B2 (ja) |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 |
KR20110066370A (ko) |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10010323A (ko) |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
JP2007115807A (ja) | トランジスタ | |
JP2010040645A (ja) | 薄膜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薄膜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 | |
US20140239290A1 (en) | Thin-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10123913A (ja) |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US9508544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2623624B1 (ko) |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CN107331698B (zh) | 一种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显示装置 | |
TW201937744A (zh) | 裝置及方法 | |
KR102001341B1 (ko) | 열처리 또는 자외선 처리를 이용한 산화물 반도체 다이오드 | |
CN105552080A (zh) | 基于金属氧化物薄膜晶体管的非挥发性存储器的制备方法 | |
KR20110080118A (ko) | 다층의 식각 정지층을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02599B1 (ko) |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JP2010205932A (ja) |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 | |
JP2017157661A (ja) | 半導体装置 | |
CN110808289A (zh) | 一种顶栅肖特基氧化物薄膜晶体管及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