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723B1 - 연료 탱크, 엔진 및 예초기 - Google Patents

연료 탱크, 엔진 및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723B1
KR102096723B1 KR1020187000270A KR20187000270A KR102096723B1 KR 102096723 B1 KR102096723 B1 KR 102096723B1 KR 1020187000270 A KR1020187000270 A KR 1020187000270A KR 20187000270 A KR20187000270 A KR 20187000270A KR 102096723 B1 KR102096723 B1 KR 102096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fuel tank
convex portion
respect
inclin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728A (ko
Inventor
준 시모가미
가즈유키 우에노야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6Vibration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projections, studs, serrations or the like on at least one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5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tw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hand-held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characterised by its use in vehicles, in stationary plants or in small engines, e.g. hand hel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엔진의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연료 탱크 본체와, 연료 탱크 본체의 바닥면에 마련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연료 탱크로서, 탄성 부재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동시에 지면과 접지하는 접지면을 갖는 적어도 1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며, 또한 엔진의 크랭크 축의 축 방향 또는 상기 축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연료 탱크는 서로 상이한 탄성률을 갖는 2개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Description

연료 탱크, 엔진 및 예초기
본 발명은 연료 탱크, 엔진 및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예초기 등의 작업기의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엔진의 연료 탱크는 엔진의 대좌(台座)로서 기능하도록 엔진의 하부에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예초기용 엔진의 하부에 장착되는 연료 탱크의 다리부(足部)에, 지면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강판 등의 내마모성이 뛰어난 판재로 곡절 형성된 다리 커버를 장착하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평2-23796 호 공보
그런데, 대좌로서 기능하는 연료 탱크를 구비한 엔진이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엔진의 아이들링 운전 시)에 있어서, 엔진 자체의 진동에 의해 엔진이 이동(자주(自走))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관하여, 엔진의 진동을 흡수 가능한 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연료 탱크의 바닥부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지만, 더욱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감안한 것으로,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이동을 억제 가능한 연료 탱크, 및 이것을 구비하는 엔진 및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탱크는, 엔진의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연료 탱크 본체와, 상기 연료 탱크 본체의 바닥면에 마련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동시에 지면과 접지하는 접지면을 갖는 적어도 1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축 방향(이하, 전후 방향이라 함) 또는 상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이하, 좌우 방향이라 함)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상기 (1)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탄성 부재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기 때문에,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엔진의 아이들링 운전 시)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이 탄성 부재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엔진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반력이 생기도록 탄성 부재를 비대칭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2)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출력측을 전방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형성된 전방측 측면과,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형성된 후방측 측면을 포함하며,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전방측 측면의 경사각은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과 상이하다.
상기 (2)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이 탄성 부재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전후 방향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 중 엔진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과 반대 방향의 반력이 생기도록 전방측 측면의 경사각 및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전후 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전방측 측면의 경사각과 연직 방향에 대한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 중 하나는 0도라도 좋다.
(3)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은 상기 전방측 측면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각보다 크다.
상기 (3)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이 탄성 부재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후방측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전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초기가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반원 형상의 보호 커버가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여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이, 엔진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의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전방측 측면의 경사각은 0도라도 좋다.
(4)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3)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하단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을 좌측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볼록부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측면과,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측면을 포함하며,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좌측 측면의 경사각은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우측 측면의 경사각과 상이하다.
상기 (4)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이 탄성 부재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좌우 방향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방향 중 엔진이 이동하기 쉬운 방향과 반대 방향의 반력이 생기도록 좌측 측면의 경사각 및 우측 측면의 경사각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좌우 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좌측 측면의 경사각과, 연직 방향에 대한 우측 측면의 경사각 중 하나는 0도라도 좋다.
(5)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좌측 측면의 경사각은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우측 측면의 경사각보다 크다.
상기 (5)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이 탄성 부재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좌측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5)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우측 측면의 경사각은 0도라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엔진에 있어서는, 피스톤이 상사점으로부터 하강을 시작했을 때에 실린더 내에서의 폭발력이 피스톤에 작용하기 때문에, 피스톤의 하강 시에 커넥팅 로드를 거쳐서 크랭크 축에 작용하는 힘이 피스톤의 상승 시에 커넥팅 로드를 거쳐서 크랭크 축에 작용하는 힘보다 크다. 이 때문에,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에는, 실린더 내에서의 폭발력에 기인하여, 크랭크 축의 하단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좌측 방향)과는 반대 방향(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점,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측면의 경사각을 우측 측면의 경사각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 내에서의 폭발력에 기인하는 엔진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6)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접지면은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6)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볼록부의 접지면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이 탄성 부재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엔진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반력이 생기도록 접지면의 경사 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7)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6)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출력측을 전방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접지면은 상기 전방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7)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이 탄성 부재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후방측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전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초기가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반원 형상의 보호 커버가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여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이 엔진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의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8)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6) 또는 (7)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하단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을 좌측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접지면은 상기 우측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8)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이 탄성 부재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좌측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실린더 내에서의 폭발력에 기인하는 엔진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9)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제 1 볼록부 그룹과,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제 2 볼록부 그룹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제 3 볼록부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볼록부 그룹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과 상기 제 3 볼록부 그룹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9)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탄성 부재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양호한 그립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10)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9)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출력측을 전방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 내지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형성된 전방측 측면과,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형성된 후방측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 내지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은 연직 방향에 대한 전방측 측면의 경사각보다 크다.
상기 (10)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상기 (9)에 기재된 제 1 내지 제 3 볼록부 그룹의 그립력에 의한 엔진의 이동 억제의 효과와, 제 1 내지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의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을 크게 한 것에 의한 엔진의 전방 방향으로의 이동 억제의 효과가 중첩되어, 엔진 자체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0)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서는, 제 1 볼록부 그룹 내지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전방측 측면의 경사각은 0도라도 좋다.
(11)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출력측을 전방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제 3 볼록부 그룹은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 내지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형성된 전방측 측면과,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형성된 후방측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에 있어서의 상기 후방측 측면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에 있어서의 상기 후방측 측면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각보다 크다.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전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각 볼록부의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을 크게 하면, 탄성 부재의 전후 방향의 크기에 대하여 확보할 수 있는 접지 면적이 작아지기 쉽다. 이 점, 상기와 같이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에 있어서의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을 제 1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에 있어서의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접지 면적의 감소를 억제하면서,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전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12)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료 탱크 본체의 바닥면측에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 탱크 본체의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제 1 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외주면을 갖는 제 1 돌기, 및 상기 제 2 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외주면을 갖는 제 2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구멍과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의 제조 시에 있어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 탄성 부재를 연료 탱크 본체의 바닥면에 마련할 때에, 탄성 부재의 방향을 잘못 마련해 버린 경우, 진동에 기인하는 연료 탱크의 이동을 조장하여 버리게 된다. 이 점, 상기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탄성 부재를 연료 탱크 본체의 바닥면에 적절한 방향으로 마련하는 동시에, 탄성 부재와 연료 탱크 본체를 강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3)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1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 부재는 서로 상이한 탄성률을 갖는 2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13)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엔진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반력(엔진이 2개의 탄성 부재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탄성력)의 합력)이 생기도록 각 탄성 부재의 탄성률을 상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14)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탱크는, 엔진의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연료 탱크 본체와, 상기 연료 탱크 본체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지면과 설치하는 접지면을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탄성 부재는 서로 상이한 탄성률을 갖는 2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14)에 기재된 연료 탱크에 의하면, 엔진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반력(엔진이 2개의 탄성 부재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탄성력)의 합력)이 생기도록 각 탄성 부재의 탄성률을 상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15)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함께 연소실을 형성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크랭크 축과,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 탱크를 구비한다.
상기 (15)에 기재된 엔진에 의하면,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 탱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 자체의 진동에 기인하는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의 엔진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16)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예초기는, 조작 봉과, 상기 조작 봉의 일단측에 마련된 회전 가능한 예초기날과, 상기 예초기날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된 보호 커버와, 상기 조작 봉의 타단측에 마련된 상기 (15)에 기재된 엔진을 구비한다.
상기 (16)에 기재된 예초기에 의하면, 상기 (15)에 기재된 엔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 자체의 진동에 기인하는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의 예초기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의 이동을 억제 가능한 연료 탱크, 및 이것을 구비하는 엔진 및 예초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예초기(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엔진(8)의 부분 단면도(엔진(8)의 크랭크 축(14)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엔진(8)의 부분 단면도(엔진(8)의 크랭크 축(14)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연료 탱크(16)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연료 탱크(16)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연료 탱크(16)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연료 탱크(16)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20) 근방의 바닥면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16)의 바닥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16)의 바닥부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각 볼록부(24)의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각 볼록부(24)의 좌우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각 볼록부(24)의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의 다른 일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전후 방향을 따른 각 볼록부(24)의 단면 형상의 다른 일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는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서", "평행", "직교", "중심", "동심" 또는 "동축" 등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와 같은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또는,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상태도 나타내야 한다.
예를 들면, "동일", "동일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일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또는,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야 한다.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면취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야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마련하다", "갖추다", "구비하다", "포함하다", 또는, "가진다"라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예초기(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초기(100)는 조작 봉(2)과, 조작 봉(2)의 일단측에 마련된 회전 가능한 예초기날(4)과, 예초기날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된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반원 형상의 보호 커버(6)와, 조작 봉(2)의 타단측에 마련된 엔진(8)을 구비한다.
도 2는 엔진(8)의 부분 단면도(엔진(8)의 크랭크 축(14)의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엔진(8)의 부분 단면도(엔진(8)의 크랭크 축(14)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엔진(8)은 2 사이클 단기통의 왕복 기관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엔진(8)의 크랭크 축(14)의 축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하고,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전후 방향 중 크랭크 축(14)의 출력측(도시하는 예시적 형태에서는 크랭크 축(14)의 일단측에 연결된 원심 클러치(31)측)을 전방 방향이라고 하고, 전후 방향 중 크랭크 축(14)의 출력측과 반대측(도시하는 예시적 형태에서는 크랭크 축(14)의 타단측에 연결된 리코일 스타터(13)측)을 후방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좌우 방향 중 크랭크 축(14)의 하단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A)(크랭크 축(14)의 회전 방향(R)에 대한, 크랭크 축(14)의 바로 아래의 위치(P1)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 또는 크랭크 저널(14a)의 하단 위치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을 좌측 방향이라고 하고, 좌우 방향 중 크랭크 축(14)의 상단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B)(크랭크 축(14)의 회전 방향(R)에 대한, 크랭크 축(14)의 바로 위의 위치(P2)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 또는 크랭크 저널(14a)의 상단 위치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을 우측 방향이라고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8)은 실린더(10)와, 실린더(10)와 함께 연소실(9)을 형성하는 피스톤(12)과, 피스톤(12)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크랭크 축(14)과, 엔진(8)의 하부에 배치되며, 엔진(8)의 대좌로서 기능하는 연료 탱크(16)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예시하는 형태에서는, 피스톤(12)은 엔진(8)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실린더(10) 내를 미끄럼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연료 탱크(16)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연료 탱크(16)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연료 탱크(16)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연료 탱크(16)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20) 근방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16)의 바닥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16)의 바닥부의 B-B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16)는 엔진(8)의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연료 탱크 본체(18)와, 연료 탱크 본체(18)의 바닥면(19)에 마련된 적어도 1개의 탄성 부재(20)(도시하는 예시적 형태에서는 2개의 탄성 부재(20))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20)의 각각은 엘라스토머, 고무 또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20)의 각각은,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동시에 지면과 접지하는 접지면(22)을 갖는 적어도 1개의 볼록부(24)(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복수의 볼록부(24))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볼록부(24)는 연료 탱크(16)의 대좌부로서 기능한다. 탄성 부재(20)는, 예를 들면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도 8에 예시하는 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20)의 중심 위치(C1)에 대하여, 탄성 부재(20)가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도 9에 예시하는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20)의 중심 위치(C2)에 대하여, 탄성 부재(20)가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탄성 부재(20)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기 때문에,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엔진(8)의 아이들링 운전 시)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8)이 탄성 부재(20)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엔진(8)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p1(또는 p2))과 반대 방향(q1(또는 q2))으로의 반력이 생기도록 탄성 부재(20)를 비대칭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각 볼록부(24)의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볼록부(24)의 단면 형상을 공통의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각 볼록부(24)의 단면 형상이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4)는 전방측 측면(26) 및 후방측 측면(28)을 갖는다. 전방측 측면(26)은 접지면(22)의 전방측 단부(22f)에 접속하도록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연직 방향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경사각(θf)으로 경사져 있다. 후방측 측면(28)은 접지면(22)의 후방측 단부(22b)에 접속하도록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연직 방향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경사각(θb)으로 경사져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4)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전방측 측면(26)의 경사각(θf)은 연직 방향에 대한 후방측 측면(28)의 경사각(θb)과 상이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8)이 탄성 부재(20)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전후 방향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 중 엔진(8)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p1)과 반대 방향(q1)의 반력이 생기도록 경사각(θf, θb)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전후 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4)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후방측 측면(28)의 경사각(θb)은 연직 방향에 대한 전방측 측면(26)의 경사각(θf)보다 커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8)이 탄성 부재(20)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후방측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8)의 전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초기(100)(도 1 참조)가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반원 형상의 보호 커버(6)가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여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이 엔진(8)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의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사각(θf, θb)의 크기는 엔진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좋지만, 예를 들면 θf≤3°, 또한 θb>3°를 만족하도록 전방측 측면(26) 및 후방측 측면(28)이 형성되어도 좋다.
도 11은 각 볼록부(24)의 좌우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볼록부(24)의 단면 형상을 공통의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각 볼록부(24)의 단면 형상이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4)는 좌측 측면(30) 및 우측 측면(32)을 갖는다. 좌측 측면(30)은 접지면(22)의 좌측 단부(22l)에 접속하도록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연직 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θl의 경사각으로 경사져 있다. 우측 측면(32)은 접지면(22)의 우측 단부(22r)에 접속하도록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연직 방향에 대하여 우측으로 θr의 경사각으로 경사져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4)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좌측 측면(30)의 경사각(θl)은 연직 방향에 대한 우측 측면(32)의 경사각(θr)과 상이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8)이 탄성 부재(20)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좌우 방향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방향 중 엔진(8)이 이동하기 쉬운 방향(p2)과 반대 방향(q2)의 반력이 생기도록 경사각(θl, θr)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좌우 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4)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좌측 측면(30)의 경사각(θl)은 연직 방향에 대한 우측 측면(32)의 경사각(θr)보다 커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8)이 탄성 부재(20)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좌측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8)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엔진(8)에서는, 피스톤(12)이 상사점으로부터 하강을 시작했을 때에 실린더(10) 내에서의 폭발력이 피스톤(12)에 작용하기 때문에, 피스톤(12)의 하강 시에 커넥팅 로드(17)를 거쳐서 크랭크 축(14)에 작용하는 힘이 피스톤(12)의 상승 시에 커넥팅 로드(17)를 거쳐서 크랭크 축(14)에 작용하는 힘보다 크다. 이 때문에,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에는, 실린더(10) 내에서의 폭발력에 기인하여 크랭크 축(14)의 하단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A)(좌측 방향)과는 반대 방향(B)(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엔진(8)은 우측으로 이동하기 쉽다. 이 점, 상술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4)에 있어서, 좌측 측면(30)의 경사각(θl)을 우측 측면(32)의 경사각(θr)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10) 내에서의 폭발력에 기인하는 엔진(8)의 방향(B)(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사각(θl, θr)의 크기는 엔진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좋지만, 예를 들면 θr≤3°, 또한 θl>3°를 만족하도록 좌측 측면(30) 및 우측 측면(32)이 형성되어도 좋다.
도 12는 각 볼록부(24)의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의 다른 일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각 볼록부(24)의 좌우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의 다른 일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볼록부(24)의 단면 형상을 공통의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각 볼록부(24)의 단면 형상이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4)의 접지면(22)은, 엔진(8)의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S)에 대하여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평면(S)에 대한 접지면(22)의 경사각(θg)의 크기는 엔진(8)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좋지만, 예를 들면 θg>5°를 만족하도록 접지면(22)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지면(22)이 평면(S)에 대하여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8)이 탄성 부재(20)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엔진(8)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p1(또는 p2))과 반대 방향(q1(또는 q2))으로의 반력이 생기도록 접지면(22)의 경사 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엔진의 진동에 기인하는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4)의 접지면(22)은 전방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8)이 탄성 부재(20)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후방측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8)의 전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초기(100)가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반원 형상의 보호 커버(6)가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여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이, 엔진(8)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의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24)의 접지면(22)은 우측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따라서 엔진(8)이 탄성 부재(20)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좌측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8)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실린더(12) 내에서의 폭발력에 기인하는 엔진(8)의 방향(B)(우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의 볼록부(24)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24a)로 이루어지는 제 1 볼록부 그룹(34)과, 좌우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24b)로 이루어지는 제 2 볼록부 그룹(36)과,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24c)로 이루어지는 제 3 볼록부 그룹(38)을 포함한다. 제 2 볼록부 그룹(36)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볼록부 그룹(34)과 제 3 볼록부 그룹(3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탄성 부재(20)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양호한 그립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8)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8)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볼록부 그룹(38)은 제 1 볼록부 그룹(34)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볼록부 그룹(38)의 각 볼록부(24c)에 있어서의 후방측 측면(28)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각(θb1)은 제 1 볼록부 그룹(34)의 각 볼록부(24a)에 있어서의 후방측 측면(28)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각(θb2)보다 크다.
후방측 측면(28)에 있어서의 상술한 경사각(θb)이 커짐에 따라서, 탄성 부재(20)의 전후 방향의 크기에 대하여 확보할 수 있는 접지 면적이 작아지기 쉽다. 이 점, 상기와 같이 경사각(θb1)을 경사각(θb2)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접지 면적의 감소를 억제하면서,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8)의 전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20)는 연료 탱크 본체(18)의 바닥면(19)측에 제 1 구멍(40)과 제 2 구멍(42)을 포함한다. 연료 탱크 본체(18)의 바닥면(19)에는, 제 1 구멍(40)의 내주면(40a)에 접촉하는 외주면(44a)을 갖는 제 1 돌기(44), 및 제 2 구멍(42)의 내주면(42a)에 접촉하는 외주면(46a)을 갖는 제 2 돌기(46)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구멍(40)과 제 2 구멍(42)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예시하는 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20)의 중심 위치(C1)에 대하여, 제 1 구멍(40)과 제 2 구멍(42)이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의 제조 시에 있어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갖는 탄성 부재(20)를 연료 탱크 본체(18)의 바닥면(19)에 마련할 때에, 탄성 부재(20)의 방향을 잘못 마련해 버린 경우, 연료 탱크(16)의 이동을 조장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점,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구멍(40)과 제 2 구멍(42)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탄성 부재(20)를 연료 탱크 본체의 바닥면(19)에 마련할 때에, 탄성 부재(20)의 방향을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탄성 부재(20)와 연료 탱크 본체(18)를 강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의 블로우 성형품에는, 엘라스토머나 고무 등을 강고하게 고착하는 것은 곤란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점에 관하여, 본 발명자의 지견(知見)에 의하면,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에 의해 연료 탱크 본체(18)를 성형하는 경우에, 핫 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미리 가열된 상태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20)에 대하여, 금형 내에서 블로우에 의해 팽창하는 폴리에틸렌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폴리에틸렌제의 연료 탱크 본체(18)에 엘라스토머제의 탄성 부재(20)를 강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탱크(16)가 복수의 탄성 부재(20)(도 2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2개의 탄성 부재(20))를 갖는 형태를 예시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엔진(8) 자체의 진동에 기인하는 엔진(8)의 전도나 이동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엔진(8)의 중심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균등한 위치에 탄성 부재(20)를 각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균등인 위치가 아니어도 좋다. 또한, 연료 탱크(16)에 마련하는 탄성 부재(20)의 수가 1개인 경우에는, 연료 탱크(16)의 바닥면(19)에 있어서의 엔진(8)의 중심의 바로 아래 위치에 상기 1개의 탄성 부재(20)를 마련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2개의 탄성 부재(20) 중 하나의 탄성 부재(20)의 탄성률은 다른쪽의 탄성 부재(20)의 탄성률과 상이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엔진(8)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반력(엔진(8)이 2개의 탄성 부재(20)를 거쳐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탄성력)의 합력)이 생기도록 각 탄성 부재(20)의 탄성률을 상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엔진(8)의 진동에 기인하는 이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상술한 실시형태에 변형을 가한 형태나, 이들 형태를 적절히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2: 조작 봉
4: 예초기날
6: 보호 커버
8: 엔진
9: 연소실
10: 실린더
12: 피스톤
13: 리코일 스타터
14: 크랭크 축
14a: 크랭크 저널
15: 커넥팅 로드
16: 연료 탱크
18: 연료 탱크 본체
19: 바닥면
20: 탄성 부재
22: 접지면
22f: 전방측 단부
22b: 후방측 단부
22l: 좌측 단부
22r: 우측 단부
24(24a, 24b, 24c): 볼록부
26: 전방측 측면
28: 후방측 측면
30: 좌측 측면
32: 우측 측면
34: 제 1 볼록부 그룹
36: 제 2 볼록부 그룹
38: 제 3 볼록부 그룹
40: 제 1 구멍
40a: 내주면
42: 제 2 구멍
42a: 내주면
44: 제 1 돌기
44a: 외주면
46: 제 2 돌기
46a: 외주면
100: 예초기

Claims (18)

  1.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함께 연소실을 형성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크랭크 축을 갖는 엔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대좌로서 기능함과 함께, 상기 엔진의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연료 탱크 본체와,
    상기 연료 탱크 본체의 바닥면에 마련된 적어도 1개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동시에 지면과 접지하는 접지면을 갖는 적어도 1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엔진의 크랭크 축의 축 방향(이하, 전후 방향이라 함) 또는 상기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이하, 좌우 방향이라 함)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엔진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반력이 생기도록 비대칭으로 구성되는
    연료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출력측을 전방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형성된 전방측 측면과,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형성된 후방측 측면을 포함하며,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전방측 측면의 경사각은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과 상이한
    연료 탱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은 상기 전방측 측면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각보다 큰
    연료 탱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하단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을 좌측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볼록부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좌측에 형성된 좌측 측면과,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우측에 형성된 우측 측면을 포함하며,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좌측 측면의 경사각은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우측 측면의 경사각과 상이한
    연료 탱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좌측 측면의 경사각은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우측 측면의 경사각보다 큰
    연료 탱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접지면은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경사져 있는
    연료 탱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출력측을 전방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접지면은 상기 전방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는
    연료 탱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하단에서의 회전 접선 방향을 좌측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볼록부의 상기 접지면은 우측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는
    연료 탱크.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제 1 볼록부 그룹과,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제 2 볼록부 그룹과,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제 3 볼록부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볼록부 그룹은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과 상기 제 3 볼록부 그룹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연료 탱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출력측을 전방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제 3 볼록부 그룹은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 내지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형성된 전방측 측면과,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형성된 후방측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 내지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대한 상기 후방측 측면의 경사각은 연직 방향에 대한 전방측 측면의 경사각보다 큰
    연료 탱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중 상기 크랭크 축의 출력측을 전방 방향이라 정의하면,
    상기 제 3 볼록부 그룹은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 내지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형성된 전방측 측면과,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형성된 후방측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에 있어서의 상기 후방측 측면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상기 제 1 볼록부 그룹의 각 볼록부에 있어서의 상기 후방측 측면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각보다 큰
    연료 탱크.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료 탱크 본체의 바닥면측에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 탱크 본체의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제 1 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외주면을 갖는 제 1 돌기, 및 상기 제 2 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외주면을 갖는 제 2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구멍과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연료 탱크.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탄성 부재는 서로 상이한 탄성률을 갖는 2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연료 탱크.
  14.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함께 연소실을 형성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크랭크 축을 갖는 엔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대좌로서 기능함과 함께, 상기 엔진의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연료 탱크 본체와,
    상기 연료 탱크 본체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지면과 접지하는 접지면을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탄성 부재는 서로 상이한 탄성률을 갖는 2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함과 함께,
    상기 적어도 2개의 탄성 부재는, 상기 엔진이 진동 시에 이동하기 쉬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이 생기도록, 각각의 탄성률이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연료 탱크.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 탱크를 구비하는 엔진.
  16. 조작 봉과,
    상기 조작 봉의 일단측에 마련된 회전 가능한 예초기날과,
    상기 예초기날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된 보호 커버와,
    상기 조작 봉의 타단측에 마련된 제 15 항에 기재된 엔진을 구비하는
    예초기.
  17. 삭제
  18. 삭제
KR1020187000270A 2015-07-08 2016-07-07 연료 탱크, 엔진 및 예초기 KR102096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7035A JP6573791B2 (ja) 2015-07-08 2015-07-08 燃料タンク、エンジン及び刈払機
JPJP-P-2015-137035 2015-07-08
PCT/JP2016/070093 WO2017006981A1 (ja) 2015-07-08 2016-07-07 燃料タンク、エンジン及び刈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728A KR20180015728A (ko) 2018-02-13
KR102096723B1 true KR102096723B1 (ko) 2020-05-29

Family

ID=5768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270A KR102096723B1 (ko) 2015-07-08 2016-07-07 연료 탱크, 엔진 및 예초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306070B1 (ko)
JP (1) JP6573791B2 (ko)
KR (1) KR102096723B1 (ko)
CN (1) CN107949697B (ko)
TW (1) TWI658781B (ko)
WO (1) WO201700698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0959A (ja) * 2009-02-05 2010-08-19 Bridgestone Corp 免震装置
JP2010214996A (ja) * 2009-03-13 2010-09-30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2013147962A (ja) 2012-01-17 2013-08-01 Hitachi Koki Co Ltd エンジン及びエンジン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652Y2 (ko) * 1976-07-30 1982-02-19
JPS53100876U (ko) * 1977-01-19 1978-08-15
JPH0223796A (ja) 1988-07-13 1990-01-25 Fuji Electric Co Ltd 多点入力信号変換装置
JPH03219143A (ja) * 1990-01-25 1991-09-26 Toto Ltd 気泡発生浴槽の据付け支持構造
JPH0664456B2 (ja) * 1990-04-18 1994-08-22 ヤマハ株式会社 サクソフォーン
US5039170A (en) * 1990-06-20 1991-08-13 Reno Salvage Co. Resonant beam suspension pads
JPH0486253A (ja) * 1990-07-24 1992-03-18 Faber Sa 振動の減衰のための複合構造
JP3015330B2 (ja) * 1997-11-14 2000-03-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スタンド付きの小型エンジンとこれを備えた刈払機
JP4690666B2 (ja) * 2004-06-25 2011-06-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の防振支持構造
CN203142392U (zh) * 2013-02-20 2013-08-21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燃油箱减震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0959A (ja) * 2009-02-05 2010-08-19 Bridgestone Corp 免震装置
JP2010214996A (ja) * 2009-03-13 2010-09-30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2013147962A (ja) 2012-01-17 2013-08-01 Hitachi Koki Co Ltd エンジン及びエンジン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49697A (zh) 2018-04-20
CN107949697B (zh) 2021-02-26
EP3306070A4 (en) 2018-04-11
TWI658781B (zh) 2019-05-11
EP3306070A1 (en) 2018-04-11
WO2017006981A1 (ja) 2017-01-12
KR20180015728A (ko) 2018-02-13
JP2017020383A (ja) 2017-01-26
TW201707555A (zh) 2017-03-01
EP3306070B1 (en) 2022-02-09
JP6573791B2 (ja)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9673B2 (ja) 樹脂トルクロッド
US9551396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CN105074248B (zh) 弹性联轴器
JP2019108942A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KR102096723B1 (ko) 연료 탱크, 엔진 및 예초기
JP4565006B2 (ja) ブレードおよびこのブレードを備えたファン
WO2014199222A1 (en) Fuel tank
CN1786499A (zh) 等速万向接头保护罩
PT2050328E (pt) Aparelho de trabalho conduzido manualmente
JP6088286B2 (ja) 防振装置
JP6867773B2 (ja) 防振装置
CN115038894B (zh) 挠性飞轮
JP6197552B2 (ja) 内燃機関および内燃機関のチェーンカバー構造
JP2019143718A (ja) 防振装置
CN105409449A (zh) 收割机
US20210029888A1 (en) Brush cutter
CN219432782U (zh) 注油管保护结构
JP2017020383A5 (ko)
JP6285190B2 (ja) 防振装置
CN117280133A (zh) 隔振装置
CN111108284A (zh) 内燃机的活塞
JP2023108735A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ー
JP2024093817A (ja) 防振装置
JP2021089051A (ja) ブラケット付き筒型防振装置
JP2021028527A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