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553B1 -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553B1
KR102087553B1 KR1020190102319A KR20190102319A KR102087553B1 KR 102087553 B1 KR102087553 B1 KR 102087553B1 KR 1020190102319 A KR1020190102319 A KR 1020190102319A KR 20190102319 A KR20190102319 A KR 20190102319A KR 102087553 B1 KR102087553 B1 KR 10208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y
tunnel
screw rod
limit switch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실
Original Assignee
장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실 filed Critical 장현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주변 도로의 양편에 입설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함체; 상기 이동함체에 설치되고 차단막 작동모터에 연결된 권취봉에 감기고 풀릴 수 있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가 표기된 진입차단막;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재난 위험시 진입되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수단; 상기 진입차단막, 상기 경고수단 및 상기 이동함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권취봉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봉과 일체로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나선형 홈이 형성된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로 이루어진 너트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봉의 양편에 배치되어 상기 리미트 가이드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 브라켓; 및 상기 받침 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된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된 제2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한 감지부;를 포함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AUTOMATIC CONTROL TYPE TUNNEL ENTRANCE B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터널 진입을 통제하는 차단막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조를 가진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폐쇄적인 공간상의 특성으로 인해 내부에서 교통사고나 화재, 침수사고 등과 같은 재난 발생시 신속히 대처를 하지 않으면 2차 사고가 발생하여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터널 주변에는 터널 내에 재난이 발생했을 때 실시간으로 사고 상황을 외부에 표시하여 차량의 터널 진입을 차단하는 터널 진입 차단장치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터널 진입 차단장치는 터널의 진입로 주변에 설치되는 지주 및 가로 지지대와, 가로 지지대에 설치된 권취봉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고 터널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가 있는 차단막과, 가로 지지대에 설치되어 진입금지를 알리는 표시등을 포함한다. 또한, 터널진입 차단장치에는 각종 센서가 설치되어 터널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터널 내부에 설치된 상황실이나 원격지의 관리실로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사고발생을 신속하게 알리고 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터널진입 차단장치는 터널 입구 전방에 설치되는 바, 터널 입출구의 특성상 일조량이 적고 동절기 눈이 내리면 동결 현상이 곧바로 초래되고 강풍 또한 많이 발생하는 지점이므로 사고가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므로 사전에 진입되는 차량의 통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특허문헌 1에는 지주봉의 상부에 양측 또는 일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설치된 가로바가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가로바 상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내측에 하부 외측으로 출몰가능한 차단막을 구비한 차단막함체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어 체인과 체인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차단막함체를 좌,우 이송할 수 있게 한 함체이동부로 이루어진 전동식 터널진입 차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동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는 권취봉의 회전 위치를 엔코더(Encoder) 등과 같은 회전량 감지센서로 감지하여 권취봉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제어 방식은 차단막이 권취봉에 최대로 감기는 지점과 최대로 풀린 지점에서 정확히 권취봉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어가 어려워서 장치의 셋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동식 터널진입차단장치는 스티로폼봉과 부동액 봉지를 넣을 수 있는 발란스 웨이트 포켓이 구비되어 있긴 하나, 권취롤에 부동액 봉지를 권취하는 것이 곤란함으로 인해 차단막의 하단과 그 주변에만 발란스 웨이트 포켓의 설치가 가능한 한계가 있어서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여전히 차단막이 뒤틀리거나 휘날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차단막이 팽팽하게 유지되기가 어려워 터널 진입차단 경고문구에 대한 시인성이 좋지 않은 취약점이 있다.
또한, 차량 추돌시 차량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막의 끝부분에 스티로폼봉을 설치하였으나 스티로폼봉은 무게가 가벼워서 차단막의 끝부분에서 웨이트로서의 역할을 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536248호(2015.07.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단막이 권취봉에 최대로 감긴 상태와 최대로 풀린 상태에서 각각 정확히 차단막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리미트 스위치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막을 팽팽하게 당겨서 차단막이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경고문구에 대한 시인성을 높이면서도 차량 추돌시 차량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 구조를 가진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널 주변 도로의 양편에 입설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함체; 상기 이동함체에 설치되고 차단막 작동모터에 연결된 권취봉에 감기고 풀릴 수 있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가 표기된 진입차단막;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재난 위험시 진입되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수단; 상기 진입차단막, 상기 경고수단 및 상기 이동함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권취봉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봉과 일체로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나선형 홈이 형성된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로 이루어진 너트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봉의 양편에 배치되어 상기 리미트 가이드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 브라켓; 및 상기 받침 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된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된 제2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봉 및 스크류봉이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너트 어셈블리가 상기 받침 브라켓 위에서 직선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권취봉 및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강이 정지되고,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상승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는 각각 봉형 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측면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되고,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 중에서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봉의 1회전 시 상기 너트 어셈블리는 10~15mm 만큼 직선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봉은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에 동축으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은 가이드 베어링에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파이프 형상의 관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부 가장자리단에 배치되어 상기 진입차단막을 수직으로 당기도록 하중을 가하는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부재의 상기 관형체는 상기 진입차단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을 구비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진입차단막의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된 지탱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탱봉은 속이 찬 카본 환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의 하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이동롤러가 상기 이동레일의 내측에서 왕복이동되도록 레일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함체의 구동을 위해, 상기 레일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기 이동함체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함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권취되어 상기 이동함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나 차량사고 상황을 표시하여 차량의 진입금지를 안내하는 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하는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LED 스트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널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나 차량사고를 감지하여 원격으로 중앙통제실로 전송하는 터널CCTV;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스크류봉의 1회전 시 너트 어셈블리가 육안 확인이 용이하게 10mm 이상의 충분한 거리로 직선 이동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차단막 작동모터의 회전을 회전량 감지센서로 감지하는 기존 기술에 비해, 차단막이 권취봉에 최대로 감기는 상태에 대응하는 지점과 최대로 풀린 상태에 대응하는 지점에 쉽게 리미트스위치를 셋팅할 수 있다.
둘째, 스크류봉을 권취봉에 나사결합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교체나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다양한 규격의 스크류 피치를 가진 스크류봉들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차단막의 최대 상승 위치와 최대 하강 위치에 각각 대응하게 리미트스위치를 두 개씩 겹쳐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리미트스위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차단막 구동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차단막의 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된 웨이트 부재에 의해 차단막이 팽팽하게 당겨져서 차단막이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 진입금지 경고문구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차단막의 하단에 대한 차량 추돌시 웨이트 부재가 파손되더라도 모래에 의해 차량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차단막을 권취봉에 권취하면서도 차단막이 바람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프레임에 설치된 전광판과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에 의해 터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나 차량사고, 침수사고, 낙석사고 등의 상황 정보를 표시하여 차량의 진입금지를 안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권취봉에 결합된 차단막 작동모터,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권취봉,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스크류봉 및 너트 어셈블리와 리미트 스위치의 배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진입차단막이 상한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리미트 가이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진입차단막이 하한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리미트 가이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대응하는 진입차단막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는 터널 주변 도로의 양측에 입설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설치된 대차 형태의 이동함체(20)와, 이동함체(20)에 설치되고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자가 표기된 진입차단막(30)과, 이동함체(20)와 진입차단막(30)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는 권취봉(35)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봉(35)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크류봉(70)과, 스크류봉(70)에 끼워져서 직선 운동을 하는 너트 어셈블리(80)와, 너트 어셈블리(80)와 접촉 가능한 제1 리미트스위치(84) 및 제2 리미트스위치(85)를 구비한 감지부(83)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재난위험이 있는 터널의 입출구 주변 도로의 양측에 입설되도록 모듈화된 수직부재(11)와, 상기 수직부재(11)의 양측 상단을 연결하도록 모듈화된 수평부재(1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레임(10)은 모듈화되어 이동식으로 현장에서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될 수 있다.
이동함체(20)는 모듈화된 대차 형상으로 구성되고,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 상면을 따라 설치된 이동레일(2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복수개의 이동롤러(2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이동함체(20)는 수평부재(12) 위에서 도로의 양방향을 향하게 한 쌍이 설치된다.
이동레일(21)의 하측에는 이동롤러(22)가 레일의 내측에서 왕복이동되도록 레일 슬라이드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레일(21)의 일단에는 레일 구동부(24)가 구비된다. 레일 구동부(24)의 내부에는 레일 슬라이드홈(23)을 따라 이동함체(20)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함체 구동모터(미도시)와, 상기 함체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동레일(21)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풀리에 권취되어 이동함체(2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와이어(25)가 구비된다. 상기 함체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가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25)가 당겨져서 이동함체(20)에 구동력이 가해지고 이동함체(20)의 하부에 구비된 이동롤러(22)가 이동레일(21)을 따라서 구르면서 이동함으로써 이동함체(20)는 정해진 차선에 대응하는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진입차단막(30)은 이동함체(20)의 내측에 설치된 권취봉(35)에 감겨서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자가 표기되어 있다.
경고수단(40)은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터널의 재난 위험시 진입되는 차량에 대해 진입금지를 알린다. 경고수단(40)은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사고 진입차선의 차량만 집중적으로 통제되도록 직진형앰프와 스피커가 설치되고, 중앙통제실 측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재난상황을 통제하기 위한 마이크가 설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프레임(10)에는 진입차단막(30)이 가동되기 이전에 워터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한 순환펌프 및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워터스크린 주변에는 워터스크린에 진입금지 문자정보를 투사하는 영사장치가 설치된다.
제어부(50)는 프레임(10)의 일측에서 경고수단(40), 진입차단막(30) 및 이동함체(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주전원을 온/오프하는 메인전원버튼과, 구동방식을 수동이나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수동자동버튼과, 비상시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버튼과, 진입차단막(30)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차단막제어버튼을 포함한다.
원격제어부(60)는 제어부(50)와 예컨대, 이더넷 통신규격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중앙통제실의 중앙통제기기(61) 및/또는 휴대폰(62)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서 권취봉(35)에 연결된 차단막 작동모터(38), 권취봉(35), 스크류봉(70) 및 너트 어셈블리(80)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권취봉(35), 스크류봉(70) 및 너트 어셈블리(8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봉(35)의 일단에는 차단막 작동모터(38)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스크류봉(70) 및 너트 어셈블리(80)가 조립된다. 권취봉(35)의 양 끝부분은 베어링 커버판(36)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베어링(37)에 끼워져서 지지된다.
스크류봉(70)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나선형 홈(도 6의 71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에는 권취봉(35)의 일단에 고정된 제1 연결부재(33)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체결볼트(72)가 마련되어 있다. 체결볼트(72)의 직경은 스크류봉(70)의 직경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봉(70)에 형성된 나선형 홈(71)의 피치는 스크류봉(70)의 1회전 시 너트 어셈블리(80)를 상기 스크류봉(70)을 따라서 10~15mm 만큼 직선 이동시키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부재(33)는 권취봉(35)의 내부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제1 원반(33a)과 상기 제1 원반(33a)으로부터 이격되어 권취봉(35)을 캡핑하는 제2 원반(33b)으로 구성된다. 스크류봉(70)의 체결볼트(72)가 연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33c)는 제2 원반(33b)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태로 구성된다. 권취봉(35)의 타단에는 제2 연결부재(34)가 고정되어 차단막 작동모터(38)와 연결된다. 제2 연결부재(34)는 제1 연결부재(33)와 마찬가지로 권취봉(35)의 내부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제1 원반(34a)과 상기 제1 원반(34a)으로부터 이격되어 권취봉(35)을 캡핑하는 제2 원반(34b)으로 구성된다. 다만, 제2 연결부재(34)에는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는 키홈(34c)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81)와, 너트부재(81)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는 각각 봉형 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부재(81)에 측면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된다. 제1 리미트스위치(84) 및 제2 리미트스위치(85)는 받침 브라켓(39)의 측면에 배치되므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 중에서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 브라켓(39)은 스크류봉(70)의 양편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를 각각 하부에서 지지한다. 스크류봉(70)의 회전 시 너트부재(81) 및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에 회전력이 가해지게 되나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82)는 받침 브라켓(39)의 상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회전이 억제되므로 받침 브라켓(39)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83)는 받침 브라켓(39)의 일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제2 리미트스위치(8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리미트스위치(84)는 진입차단막(30)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되고, 제2 리미트스위치(85)는 진입차단막(30)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된다. 도 6에서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제2 리미트스위치(85)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제2 리미트스위치(85)는 각각 두 개씩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로 겹쳐진 리미트스위치들(84,85) 중 어느 하나가 오동작을 하거나 파손되더라도 다른 하나가 제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진입차단막(30)의 정지 오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 작동모터(38)에 의해 권취봉(35)과 일체로 스크류봉(70)이 회전함에 따라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너트 어셈블리(80)의 리미트 가이드(82)는 제1 리미트스위치(84),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하여 진입차단막(30)을 정해진 지점에 정지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웨이트 부재(31)는 진입차단막(30)의 하단에 배치되어 진입차단막(30)을 수직으로 당기도록 하중을 가한다. 웨이트 부재(31)는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파이프 형상의 관형체로 이루어진다. 웨이트 부재(31)의 관형체는 상기 진입차단막(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 몸체(31a)와 상기 원통형 몸체(31a)의 양단에 끼움결합되는 캡(31b)을 구비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웨이트 부재(31)는 차량과의 충돌시 캡(31b)이 분리되거나 원통형 몸체(31a)가 파손되어 모래를 배출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차량에 가해지는 손상을 최소화한다.
진입차단막(30)의 하부 가장자리단에는 상기 진입차단막(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소정의 웨이트용 포켓이 마련되고, 웨이트 부재(31)는 상기 웨이트용 포켓에 종입되어 설치된다. 웨이트용 포켓은 진입차단막(30)의 하부 가장자리단을 둥글게 말아서 봉제처리함으로 형성된다.
지탱봉(32)은 진입차단막(30)의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가로로 배치된다. 지탱봉(32)의 설치를 위해 진입차단막(30)에는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용 포켓에 비해 구경이 작은 지탱봉 포켓이 형성된다. 지탱봉(32)은 상기 지탱봉 포켓에 종입되어 상기 진입차단막(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지탱봉(32)은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고인장성의 특성을 가진 속이 찬 카본 환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차단막(30)이 지탱봉(32)과 함께 권취봉(35)의 둘레에 쉽게 권취될 수 있도록 지탱봉(32)은 예컨대, 5mm 내외 정도의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는 터널 입구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침수사고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경고수단(40)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진입차단막(30)을 하강시켜서 실시간으로 사고 상황을 알리는 동시에 차량의 터널진입을 차단한다. 또한, 터널 내부의 사고 상황은 터널CCTV에 의해 감지되어 중앙통제실의 중앙통제기기(61) 및/또는 휴대폰(62)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진입차단막(30)은 최초 경고 발생 전에는 권취봉(35)에 최대로 권취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리미트(82)가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한 상태로 대기한다. 이때, 진입차단막(30)의 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A)에 위치한다.
진입차단막(30)은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력에 의해 이동함체(20)의 내측에 설치된 권취봉(35)에서 서서히 풀리면서 하강하여 펼쳐져서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를 표시한다.
진입차단막(30)의 하강 시 차단막 작동모터(38)에 의해 권취봉(35)과 스크류봉(70)은 일체로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스크류봉(70)에 결합된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의 안쪽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너트 어셈블리(80)가 스크류봉(70)의 안쪽으로 진행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리미트(82)가 제1 리미트스위치(84)와 접촉한 순간에 차단막 작동모터(38)는 자동 정지된다. 이때, 진입차단막(30)의 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B)에 위치한다.
진입차단막(30)은 하단 가장자리에 배치된 웨이트 부재(31)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져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고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것이 방지된다. 웨이트 부재(31)가 하강한 상태에서 차량이 웨이트 부재(31)와 충돌한 경우에는 웨이트 부재(31)의 캡(31b)이 분리되거나 원통형 몸체(31a)가 파손되어 모래가 배출됨으로써 차량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진입차단막(30)의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지탱봉(32)에 의해 진입차단막(30)은 바람에 의해 뒤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재난 복구가 종료되어 진입차단막(30)을 권취하는 제어를 하게 되면,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력에 의해 권취봉(35)이 서서히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입차단막(30)을 끌어 올리는 동작을 하게 된다.
차단막 작동모터(38)에 의해 권취봉(35)과 스크류봉(70)은 일체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스크류봉(70)에 결합된 너트 어셈블리(80)는 스크류봉(70)의 바깥쪽(끝부분쪽)으로 직선 이동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어셈블리(80)의 스크류 리미트(82)가 제2 리미트스위치(85)와 접촉한 순간에 차단막 작동모터(38)는 자동 정지된다. 이때, 진입차단막(30)의 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A)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권취봉(35)의 회전에 연동하는 스크류봉(70) 및 너트 어셈블리(80)를 구비하여 차단막을 정위치에 자동 정지시키는 리미트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차단막 작동모터(38)의 회전을 회전량 감지센서로 감지하는 기존 기술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진입차단막(30)이 권취봉(35)에 최대로 감기는 지점과 최대로 풀린 지점에 대응하는 지점에 쉽게 리미트스위치들(84,85)을 셋팅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는 터널 주변 도로의 양측에 입설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설치된 대차 형태의 이동함체(20)와, 이동함체(20)에 설치되고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자가 표기된 진입차단막(30)과, 이동함체(20)와 진입차단막(30)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는 프레임(10)에 설치된 전광판(90),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 및 LED 스트링(92)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광판(90)은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나 차량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차량의 진입금지를 안내한다. 전광판(90)은 도로 침수나 낙석 사고시 진입되는 이를 알려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전광판(90)과 관련하여 제어부(50)에는 전광판(90)의 작동을 제어하는 VMS(정보표시판) 제어버튼(미도시)이 구비되고, 원격제어부(60)의 휴대폰(61)이나 중앙통제기기(62)는 원격으로 전광판(90)의 점등을 조절하는 VMS원격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은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50)에는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의 작동을 제어하는 LCS제어버튼(미도시)이 구비되고, 원격제어부(60)의 중앙통제기기(61)나 휴대폰(62)에는 원격으로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의 점등을 조절하는 LCS원격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된다.
LED 스트링(92)은 프레임(10)의 수직부재(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수직으로 배치되어 터널 주변 도로의 양편에 입설된 한 쌍의 수직부재(11)의 설치 위치를 표시 및 안내한다. 부가적으로, LED 스트링(92)은 진입차단막(30)의 일면에 표기되어 있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자의 윤곽선을 따라 추가로 배열되어 야간에 경고문자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는 터널 입구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에서 화재나 교통사고, 침수사고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경고수단(40)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전광판(90)에 사고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진입차단막(30)을 하강시켜서 실시간으로 사고 상황을 알리는 동시에 차량의 터널진입을 차단한다. 또한, 프레임(10)의 수평부재(12)에 설치된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91)은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한다. 터널 내부의 사고 상황은 터널CCTV에 의해 감지되어 중앙통제실의 중앙통제기기(61) 및/또는 휴대폰(62)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프레임 11: 수직부재
12: 수평부재 20: 이동함체
21: 이동레일 22: 이동롤러
23: 레일 슬라이드홈 24: 레일 구동부
25: 와이어 30: 진입차단막
31: 웨이트 부재 32: 지탱봉
33: 제1 연결부재 34: 제2 연결부재
35: 권취봉 36: 베어링 커버판
37: 가이드 베어링 38: 차단막 작동모터
39: 받침 브라켓 40: 경고수단
50: 제어부 60: 원격제어부
70: 스크류봉 71: 나선형 홈
72: 체결볼트 80: 너트 어셈블리
81: 너트부재 82: 리미트 가이드
84: 제1 리미트스위치 85: 제2 리미트스위치
90: 전광판 91: 차로이용규제신호등
92: LED 스트링

Claims (13)

  1. 터널 주변 도로의 양편에 입설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함체;
    상기 이동함체에 설치되고 차단막 작동모터에 연결된 권취봉에 감기고 풀릴 수 있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문구가 표기된 진입차단막;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재난 위험시 진입되는 차량의 진입금지를 알리는 경고수단;
    상기 진입차단막, 상기 경고수단 및 상기 이동함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권취봉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봉과 일체로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나선형 홈이 형성된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 및 상기 너트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로 이루어진 너트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봉의 양편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리미트 가이드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받침 브라켓; 및
    상기 받침 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하강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1위치에 배치된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진입차단막이 최대로 상승한 지점에 대응하는 제2위치에 배치된 제2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봉 및 스크류봉이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받침 브라켓 위에서 직선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권취봉 및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강이 정지되고, 상기 리미트 가이드가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했을 때 상기 진입차단막의 상승이 정지되고,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받침 브라켓의 일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 중에서 상기 제1 리미트 스위치 및 제2 리미트스위치와 접촉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상기 한 쌍의 리미트 가이드는 각각 봉형 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에 양측면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되고, 상기 받침 브라켓의 상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너트부재의 회전을 억제하고 상기 받침 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의 1회전 시 상기 너트 어셈블리는 상기 스크류봉을 따라서 10~15mm 만큼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봉은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에 용접된 연결부재에 동축으로 나사결합되고 상기 권취봉의 끝부분은 가이드 베어링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모래가 채워진 파이프 형상의 관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입차단막의 하부 가장자리단에 배치되어 상기 진입차단막을 수직으로 당기도록 하중을 가하는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부재의 상기 관형체는 상기 진입차단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을 구비한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차단막의 높이방향으로 가면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된 지탱봉;을 더 포함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봉은 속이 찬 카본 환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의 하측으로 절개되어 이동롤러가 상기 이동레일의 내측에서 왕복이동되도록 레일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함체의 구동을 위해, 상기 레일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기 이동함체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함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권취되어 상기 이동함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와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나 차량사고 상황을 표시하여 차량의 진입금지를 안내하는 전광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재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 시 각 차선에 대한 차량의 진입금지를 표시하는 차로이용규제신호등(LCS);을 더 포함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LED 스트링;을 더 포함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나 차량사고를 감지하여 원격으로 중앙통제실로 전송하는 터널CCTV;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0190102319A 2019-07-23 2019-08-21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087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735 2019-07-23
KR20190088735 2019-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553B1 true KR102087553B1 (ko) 2020-03-10

Family

ID=698013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319A KR102087553B1 (ko) 2019-07-23 2019-08-21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0190117088A KR102248784B1 (ko) 2019-07-23 2019-09-23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088A KR102248784B1 (ko) 2019-07-23 2019-09-23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875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2954A (zh) * 2020-11-07 2021-02-09 张志彦 一种利于显示的水利工程用安全警示装置
CN113430968A (zh) * 2021-07-02 2021-09-24 江苏奥特斯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led道路交通信息显示屏
KR102321336B1 (ko) * 2020-10-29 2021-11-05 주식회사 미래로드 차량 통행 차단 시스템
CN114837078A (zh) * 2022-04-27 2022-08-02 安徽省定军建设工程有限公司 高铁桥面系自动养护车
KR20220124491A (ko) * 2021-03-03 2022-09-14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13B1 (ko) * 2021-04-19 2023-01-10 한승진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KR102352765B1 (ko) * 2021-11-01 2022-01-18 서정범 수질측정장치
KR102423001B1 (ko) * 2021-11-30 2022-07-20 권채아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KR102648433B1 (ko) * 2021-12-17 2024-03-18 대한민국 지하차도 침수로 인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경보시스템
KR102535197B1 (ko) * 2022-07-05 2023-05-26 허지영 터널진입차단장치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767A (ja) * 1995-03-07 1996-09-24 Yoshio Hirata ブラインドの自動昇降装置
KR20120102219A (ko) * 2011-03-08 2012-09-18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접이식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KR101536248B1 (ko) 2014-09-29 2015-07-1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전동식 터널진입차단장치
KR101607318B1 (ko) * 2015-06-12 2016-03-29 주식회사 탑이엔씨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KR20170143104A (ko) * 2016-06-20 2017-12-29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 내부 사고 대응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22509B1 (ko) * 2018-05-19 2019-02-26 장현실 터널진입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79Y1 (ko) * 2004-09-23 2004-12-13 이수행 원격제어가 가능한 안전 차단기
KR20080006418U (ko) * 2008-12-02 2008-12-22 장현진 차량높이제한장치
KR20110096466A (ko) * 2010-02-22 2011-08-30 (주) 남일 적외선 감지기를 이용한 통과높이제한시설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767A (ja) * 1995-03-07 1996-09-24 Yoshio Hirata ブラインドの自動昇降装置
KR20120102219A (ko) * 2011-03-08 2012-09-18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접이식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KR101536248B1 (ko) 2014-09-29 2015-07-1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전동식 터널진입차단장치
KR101607318B1 (ko) * 2015-06-12 2016-03-29 주식회사 탑이엔씨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KR20170143104A (ko) * 2016-06-20 2017-12-29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터널 내부 사고 대응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22509B1 (ko) * 2018-05-19 2019-02-26 장현실 터널진입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336B1 (ko) * 2020-10-29 2021-11-05 주식회사 미래로드 차량 통행 차단 시스템
CN112342954A (zh) * 2020-11-07 2021-02-09 张志彦 一种利于显示的水利工程用安全警示装置
KR20220124491A (ko) * 2021-03-03 2022-09-14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KR102451583B1 (ko) * 2021-03-03 2022-10-06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터널사고용 진입차단장치
CN113430968A (zh) * 2021-07-02 2021-09-24 江苏奥特斯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led道路交通信息显示屏
CN114837078A (zh) * 2022-04-27 2022-08-02 安徽省定军建设工程有限公司 高铁桥面系自动养护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784B1 (ko) 2021-05-06
KR20210011862A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553B1 (ko)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245778B1 (ko) 스마트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1344995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KR101536248B1 (ko) 전동식 터널진입차단장치
KR100759957B1 (ko)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EA025970B1 (ru) Лифт
PT1809845E (pt) Porta rápida com cortina flexível
KR102018954B1 (ko) 차량진입 차단장치
KR20130138969A (ko) 커튼식 터널진입차단장치
KR20180021312A (ko) 사고인지 기능이 향상된 랙 피니언 방식 터널진입차단장치
KR101447991B1 (ko) 긴급 도로운행 차단장치
KR20090084190A (ko) 이동식 작업장
KR102602535B1 (ko)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0429332Y1 (ko) 폐쇄회로 티브이용 카메라 승강 구조
WO2011158389A1 (ja) 柵状昇降体装置
KR102539862B1 (ko) 터널진입차단장치
KR20150115180A (ko)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KR102492493B1 (ko) 침수도로 및 침수발생 지역의 차량진입 차단 장치
KR20240052584A (ko) 승강식 진입차단장치
KR101933460B1 (ko) 전동식 터널진입차단장치용 레일부의 레일압출바
KR102438651B1 (ko) 도로 터널 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KR20240014706A (ko) 차량통제용 차단기
KR20220164670A (ko) 에어봉 차단기 및 이를 이용한 터널진입차단장치
CN215482553U (zh) 市政路桥用限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