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001B1 -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001B1
KR102423001B1 KR1020210168515A KR20210168515A KR102423001B1 KR 102423001 B1 KR102423001 B1 KR 102423001B1 KR 1020210168515 A KR1020210168515 A KR 1020210168515A KR 20210168515 A KR20210168515 A KR 20210168515A KR 102423001 B1 KR102423001 B1 KR 10242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pass
warning
outside
modu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채아
Original Assignee
권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채아 filed Critical 권채아
Priority to KR102021016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지하차도의 침수 여부를 지하차도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리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에 있어서,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와 상기 지하차도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와 상기 지하차도의 내부의 사이 땅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관통 파이프;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면, 지하차도 바닥에 고인 물의 표면에서 부유하도록 상기 지하차도 바닥에 마련된 부표 모듈; 및 하단이 상기 부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 파이프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침수 경고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침수 경고 막대는: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어 상기 부표 모듈이 부유하면, 상기 관통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 파이프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부표 모듈이 부유한 정도에 따라 상기 관통 파이프에서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상단 끝단의 길이가 다르도록 구성되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UNDERPASS FLOOD WARNING DEVICE}
본 발명은 지하차도의 침수 여부를 지하차도 밖에서 알 수 있게 하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지하차도는 급격한 집중호우에 의한 급작스러운 침수에 취약하다. 지하차도가 침수되면 안전을 위하여 해당 지하차도로의 차량 또는 사람의 진입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적인 경고 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전자적인 경고 시스템은 오히려 집중호우 또는 태풍과 같은 상황에서 빗물에 의한 누전이나 합성, 쇼트, 정전 등에 의해 무력화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전자적인 시스템의 고장시에는 지하차도 외부의 차량이나 사람에게 침수된 지하차도의 상태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기적인 구성이 일정 부분 포함되더라도, 전기적인 작동 원리가 전혀 없이도 지하차도 외부의 차량이나 사람에게 침수된 지하차도의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침수 경고 장치가 필요하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빗물에 의한 누전이나 합성, 쇼트 등에 관계없이 지하차도 밖의 사용자가 지하차도의 침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다양한 경고 방법으로 지하차도 밖의 사용자가 지하차도의 침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하차도의 침수 여부를 지하차도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리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에 있어서,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와 상기 지하차도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와 상기 지하차도의 내부의 사이 땅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관통 파이프;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면, 지하차도 바닥에 고인 물의 표면에서 부유하도록 상기 지하차도 바닥에 마련된 부표 모듈; 및 하단이 상기 부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 파이프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침수 경고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침수 경고 막대는: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어 상기 부표 모듈이 부유하면, 상기 관통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 파이프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부표 모듈이 부유한 정도에 따라 상기 관통 파이프에서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상단 끝단의 길이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수 경고 막대는, 상기 상단 끝단에 마련되고, 침수를 경고하는 색상 영역이 형성된 막대 끝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대 끝단부는 복수의 상기 색상 영역이 서로 층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침수 경고 막대가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색상 영역의 개수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수 경고 막대는,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막대 끝단부가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에 드러나는 관통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통 파이프는, 상기 지하차도의 외부로 드러나는 상기 막대 끝단부의 상기 색상 영역이 상기 관통 파이프의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를 공급받으면 상기 지하차도 외부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 및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지하차도 바닥의 고정된 위치에 마련된 제1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표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 바닥에 고인 물로 인하여 부력을 받아 부유할 수 있는 부표; 및 상기 경고 출력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부표에 마련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어 상기 부표가 물의 표면에 부유하면, 상기 제1 전극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의 입구 쪽의 진입 차도에 위치한 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광판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의 외부에 위치한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전력을 공급받으면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의 진입 차도의 벽면에 위치한 경고등;을 포함하고, 상기 경고등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경고 알림 색상이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의 진입 차도에 위치한 차단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모듈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차단기를 내려서 차량들의 터널 진입을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빗물에 의한 누전이나 합성, 쇼트 등에 관계없이 지하차도 밖의 사용자가 지하차도의 침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다양한 경고 방법으로 지하차도 밖의 사용자가 지하차도의 침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부력을 이용한 부표의 동작을 이용하여 전자적인 시스템이 필요 없는 경고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다른 침수 센서 없이 전기적인 경고 모듈을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 모듈 및 침수 경고 막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의 구성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듈', ‘~부’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모듈', ‘~부’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모듈', ‘~부’는 반드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100)는 지하차도(200)의 침수 여부를 지하차도(200)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100)는, 관통 파이프(110), 부표 모듈(120), 침수 경고 막대(130), 전광판(141), 스피커(142), 경고등(143), 차단기 모듈(144)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 파이프(110)는 지하차도(200) 상단의 외부와 지하차도(200)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하차도(200) 상단의 외부와 지하차도(200)의 내부의 사이 땅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표 모듈(120)은 지하차도(200)가 침수되면, 지하차도(200) 바닥에 고인 물의 표면에서 부유하도록 지하차도(200) 바닥에 마련될 수 있다. 부표 모듈(120)은 물의 표면에서 부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표 모듈(120)은 전체적인 부피를 기준으로 밀도가 이용되는 물보다 낮아서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다.
침수 경고 막대(130)는 하단이 부표 모듈(120)에 연결되고, 관통 파이프(110)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침수 경고 막대(130)는 지하차도(200)가 침수되어 부표 모듈(120)이 부유하면, 관통 파이프(110)의 내부에서 관통 파이프(110)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침수 경고 막대(130)는 부표 모듈(120)이 부유한 정도에 따라 관통 파이프(110)에서 지하차도(200)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끝단의 길이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하차도(200)의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침수 경고 막대(130)가 외부에 드러나는 길이를 확인하여 지하차도(200)가 침수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지하차도(200)를 침수시킨 빗물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으로 부표가 부유해서 침수 경고 막대(130)가 상승하는 길이가 달라지는 방식은 전자적인 제어 및 구성이 전혀 없으므로, 빗물에 의한 누전이나 합성, 쇼트 등에 관계없이 지하차도(200) 밖의 사용자는 지하차도(200)의 침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 모듈(120) 및 침수 경고 막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침수 경고 막대(130)는 막대 끝단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 끝단부(131)는 침수 경고 막대(130)의 상단 끝단에 마련되고, 침수를 경고하는 색상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막대 끝단부(131)는 복수의 색상 영역이 서로 층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다. 각 색상 영역의 크기 및 배치는 지하차도(200)의 형태, 침수를 경고하는데 기준이 되는 지하차도(200) 바닥에 고인 물의 깊이 등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막대 끝단부(131) 가장 위에 배치된 색상 영역은 녹색, 중간에 배치된 색상 영역은 황색, 가장 아래에 배치된 색상 영역은 적색일 수 있으나, 색상 영역의 개수 및 각 색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막대 끝단부(131)는 침수 경고 막대(130)가 지하차도(200)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길이에 따라 지하차도(200)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색상 영역의 개수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침수 경고 막대(130)는 지하차도(200)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막대 끝단부(131)가 지하차도(200) 상단의 외부에 드러나는 관통 파이프(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통 파이프(110)는 지하차도(200)의 외부로 드러나는 막대 끝단부(131)의 색상 영역이 관통 파이프(110)의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하차도(200)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지하차도(200) 외부로 보이는 색상을 보고 지하차도(200)가 침수된 정도를 알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100)는 경고 출력 모듈(140) 및 제1 전극(1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고 출력 모듈(140)은 전기를 공급받으면 지하차도(200)의 외부에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극(101)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지하차도(200) 바닥의 고정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부표 모듈(120)은 부표(121) 및 제2 전극(122)을 포함할 수 있다.
부표(121)는 지하차도(200) 바닥에 고인 물로 인하여 부력을 받아 부유할 수 있다.
제2 전극(122)은 부표(121)에 마련되고 경고 출력 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122)은 지하차도(200)가 침수되어 부표(121)가 물의 표면에 부유하면, 제1 전극(101)에 접촉하게 되어 경고 출력 모듈(140)이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22)이 접촉할 때, 반드시 유선의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서만 경고 출력 모듈(140)에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22)이 접촉하면, 부표 모듈(120)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에 의해, 무선 통신망을 통해 경고 출력 모듈(140)로 각종 무선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제어 신호는 각종 통신 모듈끼리 무선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무선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무선 제어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 3G 신호, 4G 신호, 5G 신호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고 출력 모듈(140)은 전광판(141), 스피커(142), 경고등(143), 차단기 모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전광판(141)은 지하차도(200)의 입구 쪽의 진입 차도에 위치할 수 있다. 전광판(141)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지하차도(200)가 침수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142)는 지하차도(2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피커(142)는 전력을 공급받으면 지하차도(200)가 침수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고등(143)은 지하차도(200)의 진입 차도의 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경고등(143)은 지하차도(200)로 내려가는 차도의 측면에 위치한 벽면에 마련될 수 있다.
경고등(143)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경고 알림 색상이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단기 모듈(144)은 지하차도(200)의 진입 차도에 위치할 수 있다. 차단기 모듈(144)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차단기를 내려서 차량들의 터널 진입을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101: 제1 전극
110: 관통 파이프
120: 부표 모듈
121: 부표
122: 제2 전극
130: 침수 경고 막대
131: 막대 끝단부
140: 경고 출력 모듈
141: 전광판
142: 스피커
143: 경고등
144: 차단기 모듈
200: 지하차도

Claims (10)

  1. 지하차도의 침수 여부를 지하차도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리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에 있어서,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와 상기 지하차도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와 상기 지하차도의 내부의 사이 땅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관통 파이프;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면, 지하차도 바닥에 고인 물의 표면에서 부유하도록 상기 지하차도 바닥에 마련된 부표 모듈;
    하단이 상기 부표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 파이프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침수 경고 막대;
    전기를 공급받으면 상기 지하차도 외부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 및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지하차도 바닥의 고정된 위치에 마련된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부표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 바닥에 고인 물로 인하여 부력을 받아 부유할 수 있는 부표; 및
    상기 경고 출력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부표에 마련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어 상기 부표가 물의 표면에 부유하면, 상기 제1 전극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침수 경고 막대는: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어 상기 부표 모듈이 부유하면, 상기 관통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 파이프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표 모듈이 부유한 정도에 따라 상기 관통 파이프에서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상단 끝단의 길이가 다르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상단 끝단에 마련되고, 침수를 경고하는 색상 영역이 형성된 막대 끝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막대 끝단부는:
    복수의 상기 색상 영역이 서로 층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침수 경고 막대가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색상 영역의 개수가 달라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침수 경고 막대는,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로 드러나는 막대 끝단부가 상기 지하차도 상단의 외부에 드러나는 관통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통 파이프는,
    상기 지하차도의 외부로 드러나는 상기 막대 끝단부의 상기 색상 영역이 상기 관통 파이프의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관으로 구성되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의 입구 쪽의 진입 차도에 위치한 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광판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의 외부에 위치한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전력을 공급받으면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의 진입 차도의 벽면에 위치한 경고등;을 포함하고,
    상기 경고등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경고 알림 색상이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의 진입 차도에 위치한 차단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모듈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차단기를 내려서 차량들의 터널 진입을 막도록 구성되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은:
    상기 지하차도의 입구 쪽의 진입 차도에 위치한 전광판;
    상기 지하차도의 외부에 위치한 스피커;
    상기 지하차도의 진입 차도의 벽면에 위치한 경고등; 및
    상기 지하차도의 진입 차도에 위치한 차단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광판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는,
    전력을 공급받으면 상기 지하차도가 침수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단기 모듈은,
    전력을 공급받으면 차단기를 내려서 차량들의 터널 진입을 막도록 구성되는,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KR1020210168515A 2021-11-30 2021-11-30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KR10242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15A KR102423001B1 (ko) 2021-11-30 2021-11-30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15A KR102423001B1 (ko) 2021-11-30 2021-11-30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001B1 true KR102423001B1 (ko) 2022-07-20

Family

ID=8260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515A KR102423001B1 (ko) 2021-11-30 2021-11-30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47210A (zh) * 2022-09-26 2022-12-30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鱼塘警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350U (ko) * 2012-03-03 2013-09-12 조민후 자연 부상식 도로 규제봉
JP2018179742A (ja) * 2017-04-13 2018-11-15 大成建設株式会社 地下水位測定装置および地下水位測定システム
KR20210011862A (ko) * 2019-07-23 2021-02-02 장현실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277753B1 (ko) * 2020-09-29 2021-07-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차도 침수검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350U (ko) * 2012-03-03 2013-09-12 조민후 자연 부상식 도로 규제봉
JP2018179742A (ja) * 2017-04-13 2018-11-15 大成建設株式会社 地下水位測定装置および地下水位測定システム
KR20210011862A (ko) * 2019-07-23 2021-02-02 장현실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277753B1 (ko) * 2020-09-29 2021-07-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차도 침수검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47210A (zh) * 2022-09-26 2022-12-30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鱼塘警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001B1 (ko) 지하차도 침수 경고 장치
CN202766986U (zh) 道路积水光电一体化警告装置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JP2019031774A (ja) 表示ポール
US20170352266A1 (en) Advanced flood gauge
KR101430592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led 도로 표지판 관리 시스템
CN105021258A (zh) 一种水位监测装置
CN110782665A (zh) 一种无灯控平面交叉路口提示预警系统及提示预警方法
KR102247216B1 (ko) 주행정보의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패턴조명 출력시스템
CN111210642A (zh) 一种具有高度警示性的智能化红绿灯
CN105584591A (zh) 一种基于gsm技术的电力驱动的航道警报标志设备
CN213518671U (zh) 智能一体式行人过街信号灯设备
CN105584592A (zh) 一种基于cdma技术的电力驱动的航道警报标志设备
CN206505546U (zh) 一种带有声光提示的红绿灯装置
KR102449234B1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CN110689729A (zh) 一种相邻行车道的故障应急处理系统和方法
CN210466716U (zh) 一种无灯控平面交叉路口提示预警系统
CN207908016U (zh) 桥涵洞积水监测与依据车型报警装置
KR101323571B1 (ko) 기울기 센서가 탑재된 항로표지용 등주
CN212434167U (zh) 安全指示装置
CN205211177U (zh) 一种涵洞水位警告系统
CN218862680U (zh) 一种隧道浸水警报装置
CN217843683U (zh) 城市内涝漂浮警示灯
JP4575764B2 (ja) 踏切表示装置
US12002350B2 (en) System for detecting pedestrian at crosswalk and preventing accident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