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758B1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758B1
KR102078758B1 KR1020187026711A KR20187026711A KR102078758B1 KR 102078758 B1 KR102078758 B1 KR 102078758B1 KR 1020187026711 A KR1020187026711 A KR 1020187026711A KR 20187026711 A KR20187026711 A KR 20187026711A KR 102078758 B1 KR102078758 B1 KR 102078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fitting
cam
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136A (ko
Inventor
다이스케 오가시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레버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레버식 커넥터를 제공한다. 레버식 커넥터는, 지지축(27)이 돌출되어 설치된 하우징(10)과, 지지축(27)을 받치고 하우징(10)에 지지되는 베어링부(33)와, 감합(嵌合) 조작 시의 역점(力點)이 되는 조작부(31)와, 상대 하우징(90)의 돌기형의 캠 팔로워(98)와 결합하고, 베어링부(33)를 지지점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90)의 감합을 진행시키는 캠 홈(36)을 갖는 레버(30)를 구비한다. 캠 홈(36)과 결합한 캠 팔로워(98)의 축심이,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90)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 베어링부(33)의 축심에 대해 조작부(31)측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
본 발명은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의 레버식 커넥터는, 서로 감합(嵌合) 가능한 암형 하우징 및 수형 하우징과, 수형 하우징에 장착되는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는, 한 쌍의 아암부와 조작부로 문형을 이루고 있다. 아암부는, 수형 하우징의 축에 지지되는 축 구멍과, 축 구멍을 사이에 두고 조작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가장자리부에 개구하는 캠 홈을 갖고 있다. 암형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팔로워 핀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축 구멍에 감합하는 축을 지지점으로 한 레버의 회동에 의해, 팔로워 핀이 캠 홈의 시단부(始端部)로부터 종단부(終端部)를 향해 이동하여, 양 하우징의 감합이 진행되도록 되어 있다. 캠 홈에 진입한 팔로워 핀의 축심은, 양 하우징의 감합 방향에 관해, 축 구멍의 축심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573280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팔로워 핀의 축심과 축 구멍의 축심이 감합 방향으로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 캠 홈의 종단부가 축 구멍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시단부로부터 종단부에 이르는 캠 홈의 형성 범위가 축 구멍에 대해 조작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시프트하기 쉬워, 레버가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형화되기 쉬워진다. 또한,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축 구멍과 팔로워 핀 사이에 감합 방향의 거리도 필요해지기 때문에, 레버가 감합 방향으로 대형화될 염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레버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레버식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지지축이 돌출되어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지지축을 받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베어링부와, 감합 조작 시의 역점(力點)이 되는 조작부와, 상대 하우징의 돌기형의 캠 팔로워와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부를 지지점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의 감합을 진행시키는 캠 홈을 갖는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캠 홈과 결합한 상기 캠 팔로워의 축심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 상기 베어링부의 축심에 대해 상기 조작부측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고, 상기 레버는, 임시 걸림 위치로부터 본걸림 위치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상대 하우징측에 접근 방향으로 회동하게 하여 상기 본걸림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이 정규 감합하게 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캠 홈이, 상기 레버의 캠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개구되는 시단부(始端部)로부터 종단부(終端部)에 걸쳐 연장하는 형태로 되고, 상기 종단부가 상기 베어링부의 축심에 대해 조작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 캠 홈의 종단부가 베어링부에 대해 조작부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캠 홈이 베어링부에 대해 조작부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량을 억제할 수 있어, 레버가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 시에, 베어링부와 캠 팔로워 사이의 감합 방향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버가 감합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 레버가 임시 걸림 위치에 있어,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얕게 감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레버가 본걸림 위치에 있어,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정규로 감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레버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레버가 임시 걸림 위치에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레버가 임시 걸림 위치에 있을 때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레버가 임시 걸림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상대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상대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이 타측보다 상기 상대 하우징과의 감합 저항이 큰 영역이 되어, 상기 캠 홈과 결합한 상기 캠 팔로워의 축심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
레버의 회동 과정에서는, 감합 저항이 작은 하우징의 타측이 일측보다 상대 하우징측으로 인입되기 쉬워, 상대 하우징에 대해 하우징의 일측이 들뜨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감합될 우려가 있다. 그 점, 상기 구성에 의하면, 캠 홈과 결합한 캠 팔로워의 축심이 하우징의 일측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레버의 회동 과정에서 베어링부로부터 캠 팔로워를 향해 하우징의 일측을 상대 하우징측으로 인입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하우징의 일측 및 타측을 상대 하우징에 밸런스 좋게 감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양 하우징이 기울어진 상태로 감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레버가 상기 조작부에 휨 가능한 레버 로크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이 하우징 로크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의 감합 완료 시에 상기 레버 로크부가 상기 하우징 로크부에 탄성적으로 걸리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레버 로크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돌출편을 갖고 있다.
양 하우징의 감합 완료 시에 레버 로크부가 하우징 로크부에 탄성적으로 걸림으로써, 레버가 하우징에 고정되고, 양 하우징이 감합 상태로 유지된다. 레버 로크부가 하우징 로크부에 탄성적으로 걸릴 때에 로크음(lock sound)이 발생하여,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레버가 소형이 되면, 레버 로크부가 손가락으로 눌리고, 레버 로크부의 탄성력이 감소하여, 로크음이 작아질 우려가 있다. 그 점,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가 레버 로크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돌출편을 갖고 있기 때문에, 레버 로크부가 돌출편에 의해 보호되고, 레버 로크부가 하우징 로크부에 소정의 탄성력으로 걸린다. 그 결과, 소정의 로크음이 발생하여, 양 하우징의 감합 검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덮는 전선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의 감합 개시 시에 상기 돌출편이 상기 전선 커버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양 하우징의 감합 개시 시에 레버가 전선 커버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돌출편이 레버의 회동을 규제하는 기능과 레버 로크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겸비하기 때문에, 레버의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는, 하우징(10)과, 레버(30)와, 전선 커버(5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상대 하우징(90)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양 하우징(10, 90)이 감합 개시 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측을 전측(前側)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도 4를 제외한 각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좌우 방향은, 도 3 및 도 7을 기준으로 한다.
상대 하우징(9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른 판형의 안쪽 벽부(91)와, 안쪽 벽부(9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대략 각통(角筒)형의 후드부(92)를 갖고 있다. 후드부(92) 내에는, 복수의 상대 단자 피팅(93)이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단자 피팅(93)은, 측면에서 보아 L자의 핀 형상을 이루고, 후드부(92) 내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단자 피팅(16)과 접속 가능한 수평부(94)와, 프린트 회로 기판(99)에 땜납 접속되는 수직부(95)를 갖고 있다. 각 상대 단자 피팅(93)의 수직부(95)의 양 측방은, 안쪽 벽부(9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측면벽(96)에 의해 덮여져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92) 내의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돌기편(97)이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돌기편(97)은, 안쪽 벽부(91)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판편(板片) 형상을 이루고, 좌우 방향으로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후드부(92)의 좌우 양 측벽의 외면에는, 한 쌍의 캠 팔로워(98)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캠 팔로워(98)는, 돌기형, 상세하게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92)의 측벽의 앞쪽의 위치이며, 또한 상하 방향 중앙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각진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를 포위하는 대략 각통형의 감합 통부(12)와, 감합 통부(12)와 하우징 본체(11)를 연결하는 직경 방향을 따른 연결부(13)를 갖고 있다. 감합 통부(12)와 하우징 본체(11) 사이이며, 또한 연결부(13)의 전방에 개방된 공간은, 상대 하우징(90)의 후드부(92)가 감합 가능한 감합 공간(14)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는, 각 상대 단자 피팅(93)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캐비티(15)를 갖고 있다. 각 캐비티(15)에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피팅(16)이 삽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16)은, 상대 단자 피팅(93)이 삽입 접속되는 통형의 접속부(17)와, 접속부(17)의 후방에 있어서 전선(19)의 단부에 접속되는 배럴부(18)를 갖고 있다. 단자 피팅(16)이 캐비티(15)에 삽입되면, 단자 피팅(16)에 접속된 전선(19)이 하우징 본체(11)의 후면으로부터 인출되고, 인출된 부분이 전선 커버(50)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하부의 좌우 중앙부에는, 가로로 긴 슬릿형의 오목부(20)가 전면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양 하우징(10, 90)이 정규의 감합 자세를 취하고 있으면, 상대 하우징(90)의 돌기편(97)이 오목부(20)에 삽입되어,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동작이 진행된다. 한편, 양 하우징(10, 90)이 정규로부터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상하 반전된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하면, 상대 하우징(90)의 돌기편(97)이 하우징 본체(11)의 전면과 간섭하여,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동작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양 하우징(10, 90)의 비틀림 감합이나 오감합(誤嵌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오목부(20)의 존재에 기인하여 캐비티(15)의 개수가 감소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각 캐비티(15)에 삽입되는 단자 피팅(16)의 개수는, 하우징 본체(11)의 상부 쪽이 하부보다 많다.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 양 단자 피팅(16, 93)의 접속 동작이 진행됨으로써, 하우징 본체(11)의 상부는, 감합 저항이 큰 고저항부(21)가 되고, 하우징 본체(11)의 하부는, 감합 저항이 작은 저저항부(22)가 된다.
감합 통부(12)의 상벽의 외면(상면)에는, 좌우 중앙부에 하우징 로크부(23)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로크부(23)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좌우 양측의 가이드벽(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감합 통부(12)의 좌우 양 측벽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단에 개구되는 한 쌍의 도입 홈(25)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홈(25)은, 감합 통부(12)의 측벽의 전단을 향해 확대 개방되는 전단 확대 개방부(26)를 갖고 있다.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는, 캠 팔로워(98)가 전단 확대 개방부(26)로부터 도입 홈(25)의 안쪽측으로 삽입된다. 한편, 캠 팔로워(98)는,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 기단부가 도입 홈(25)에 삽입되고, 선단부가 레버(30)의 후술하는 캠 홈(36)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감합 통부(12)의 좌우 양 측벽에는, 도입 홈(25)의 후방에 지지축(27)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7)은,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전후 양측으로 돌출되는 빠짐 방지편(28)을 갖고 있다. 지지축(27)의 축심은, 감합 통부(12)의 후단부이며, 또한 감합 통부(12)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입 홈(25)의 상하 방향 중앙은, 감합 통부(12)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선 커버(50)는 합성 수지제이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 커버(50)는, 하우징 본체(11)에 그 후면을 덮도록 부착되고, 내부에 하우징 본체(11)의 후면으로부터 인출된 전선(19)이 수용된다. 전선(19)은, 전선 커버(50)의 내부에서 굴곡되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일측방에 개설된 도출구(51)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전선 커버(50)에 있어서의 도출구(51)를 갖는 부분은, 정면에서 보아 하우징(10)의 일측방에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커버(50)의 상벽의 외면(상면)은, 좌우 방향을 따른 플랫면(52)으로 되고, 레버(30)가 후술하는 임시 걸림 위치에 있어서 접촉하여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레버(30)에 대해 설명한다. 레버(30)는 합성 수지제이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31)와 조작부(31)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캠부(32)를 갖고, 전체적으로 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31)의 좌우 방향으로의 연장량은, 캠부(32)의 하방으로의 돌출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레버(30)는, 하우징(10)에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조립되고, 양 캠부(32)가 감합 통부(12)의 좌우 양 측벽의 외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캠부(32)에는, 대략 원형의 베어링부(33)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27)이 베어링부(33)에 감합됨으로써, 레버(30)가 하우징(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레버(30)는, 하우징(10)에 대해, 조작부(31)가 감합 통부(12)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임시 걸림 위치(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와, 조작부(31)가 감합 통부(12)의 바로 상방에 배치되는 본걸림 위치(도 2 및 도 3을 참조)에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부(33)의 축심[지지축(27)의 축심이기도 함]은, 레버(30)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캠부(32)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 하방이며, 또한 캠부(32)의 좌우 방향 중앙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에 관해 조작부(31)의 후단과 동일 또는 조작부(31)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32)의 외면에 있어서의 베어링부(33)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레버(30)의 회동 과정에서 지지축(27)의 빠짐 방지편(28)을 도피시키는 오목부(34)가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4)는,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35)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빠짐 방지편(28)이 양 스토퍼부(35) 사이의 오목부(34)를 변위하는 범위에 있어서, 레버(30)의 회동 스트로크가 규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캠부(32)에는, 소정 방향으로 곡형으로 연장되어 외측 가장자리에 개구되는 캠 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캠 홈(36)은, 캠부(32)의 내면[양 캠부(32)가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개구되고, 캠부(32)의 외면에 막힌 바닥이 있는 홈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홈(36)은, 레버(30)가 본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시단부(37)(입구부)가 베어링부(33)를 사이에 두고 조작부(31)와는 반대측의 하측 가장자리에 개구되고, 종단부(38)가 베어링부(33)의 축심보다 상방이며 또한 베어링부(33)의 축심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캠 홈(36)은, 도입 홈(25)과 연통(連通)되어 있고, 도입 홈(25)을 통해 캠 팔로워(98)의 선단부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홈(36)의 홈 가장자리 중, 캠 팔로워(98)가 미끄럼 이동하는 결합 위치(A)는, 베어링부(33)의 축심보다 상방이며, 또한 베어링부(33)의 축심보다 전방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의 경우,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 레버(30)가 임시 걸림 위치로부터 본걸림 위치로 회동되는 과정에서는, 캠 홈(36)의 도시 전측의 홈 가장자리로 캠 팔로워(98)가 미끄럼 이동하여,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동작이 진행된다.
조작부(31)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미끄럼 방지부(39)가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부(39)는, 좌우 양측보다 한단 높은 위치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줄무늬형의 요철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1)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미끄럼 방지부(39)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돌출편(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31)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미끄럼 방지부(39) 및 돌출편(40)의 내측에, 휨 가능한 레버 로크부(41)가 설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를 참조). 레버 로크부(41)는,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으나 공지의 탄성 로크편과 동일한 구조이며, 미끄럼 방지부(39)와 돌출편(40)에 의해 외측이 덮여져 있다.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 시에, 레버(30)가 본걸림 위치에 이르면, 레버 로크부(41)가 하우징 로크부(23)에 탄성적으로 걸리고, 이에 의해 레버(30)의 회동 동작이 규제되며, 양 하우징(10, 90)이 감합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돌출편(40)은, 레버 로크부(41)의 걸림 부분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도록, 레버 로크부(41)의 걸림 부분을 덮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의 감합 작업과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동작을 개시하기에 앞서, 레버(30)가 하우징(10)에 대해 임시 걸림 위치에 유치(留置)된다. 임시 걸림 위치에서는, 조작부(31)의 돌출편(40)이 전선 커버(50)의 플랫면(52)에 접촉하고(도 5를 참조), 빠짐 방지편(28)이 스토퍼부(35)에 접촉함으로써(도 6을 참조), 레버(30)가 임시 걸림 위치로부터 본걸림 위치로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임시 걸림 위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홈(36)의 시단부(37)가 도입 홈(25)과 연통되어 전방을 향해 배치된다.
레버(30)가 임시 걸림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90)에 얕게 감합된다. 후드부(92)가 하우징(10)의 감합 공간(14)에 감합되면, 캠 팔로워(98)가 도입 홈(25)과 캠 홈(36)의 시단부(37)에 걸쳐 삽입된다(도 1을 참조). 계속해서, 조작부(31)를 잡으면서 레버(30)가 본걸림 위치를 향해 회동된다. 이때, 작업자의 손가락은, 미끄럼 방지부(39)에 접촉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편(40)에도 접촉하지만, 레버 로크부(41)의 걸림 부분에는 돌출편(40)으로 보호되기 때문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한, 레버(30)가 본걸림 위치로 향하는 과정에서는, 캠 팔로워(98)가 캠 홈(36)의 홈 가장자리로 미끄럼 이동하고, 레버(30)와 상대 하우징(90) 사이에 캠 작용이 발휘되어,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동작이 저감합력(低嵌合力)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베어링부(33)의 축심[지지축(27)의 축심]은, 캠 홈(36)에 진입한 캠 팔로워(98)의 축심보다 비스듬히 하측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캠 작용이 발휘되면, 하우징 본체(11)에는 지지축(27)으로부터 캠 팔로워(98)에 도 2의 비스듬히 상측 전방(화살표 B를 참조)으로 향하는 조작력이 작용한다. 한편, 하우징 본체(11)의 저저항부(22)는 고저항부(21)보다 감합 저항이 작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11)에는, 저저항부(22)측의 하부를 고저항부(21)측의 상부보다 상대 하우징(90)측으로 먼저 인입하려고 하는 감합력도 작용한다. 이렇게 해서, 하우징 본체(11)에 작용하는 조작력과 감합력이 서로 거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쇄됨으로써,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밸런스가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레버(30)가 본걸림 위치에 이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팔로워(98)가 캠 홈(36)의 종단부(38)에 이르러,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되고, 레버 로크부(41)가 하우징 로크부(23)를 탄성적으로 걸어, 레버(30)가 회동 규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캠 홈(36)의 종단부(38)는, 레버(30)의 회동 동작의 전과정에 있어서, 베어링부(33)의 축심보다 상방이며, 또한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본걸림 위치에서는, 탄성 복귀하는 레버 로크부(41)가, 하우징(10)의 대향하는 벽면을 두드려, 로크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로크음을 들음으로써, 레버(30)가 본걸림 위치에 이르러,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레버 로크부(41)의 걸림 부분이 돌출편(40)에 의해 보호되어, 레버(30)의 회동 과정에서는 레버 로크부(41)의 걸림 부분에 손가락이 닿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 로크부(41)의 휘어짐 동작이 양호하게 이루어져, 소정의 로크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 1의 경우, 캠 홈(36)과 결합한 캠 팔로워(98)의 축심이, 상하 방향[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90)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 베어링부(33)의 축심에 대해 상방이 되는 조작부(31)측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 시에, 캠 팔로워(98)를 수용하는 캠 홈(36)의 종단부(38)가 베어링부(33)에 대해 조작부(31)측에 위치하게 되어, 종단부(38)가 베어링부(33)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캠 홈(36)이 베어링부(33)에 대해 조작부(31)와는 반대측(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30)가 상하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캠 홈(36)과 결합한 캠 팔로워(98)의 축심이, 상하 방향에 관해, 베어링부(33)의 축심에 대해 상방이 되는 조작부(31)측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 시에, 베어링부(33)와 캠 팔로워(98) 사이의 전후 방향(감합 방향)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30)가 전후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도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레버(30)를 전체적으로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경우, 캠 홈(36)과 결합한 캠 팔로워(98)의 축심이 하우징 본체(11)의 고저항부(21)측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에 작용하는 조작력과 감합력의 균형이 잡혀, 양 하우징(10, 90)이 기울어진 상태로 감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1)가 레버 로크부(41)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돌출편(40)을 갖고 있기 때문에, 레버(30)의 회동 과정에서 작업자가 레버 로크부(41)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레버 로크부(41)가 하우징 로크부(23)를 탄성적으로 걸 때에 소정의 로크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검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레버(30)가 임시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돌출편(40)이 전선 커버(50)의 플랫면(52)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레버(30)가 전선 커버(50)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규제된다. 이 경우에, 돌출편(40)이 레버(30)의 회동을 규제하는 기능과 레버 로크부(41)를 보호하는 기능을 겸비하기 때문에, 레버(30)의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어, 레버(30)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하, 다른 실시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1) 레버는, 전체적으로 1장의 판형의 캠판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2) 상기 실시예 1과는 반대로, 고저항부가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저저항부가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고저항부와 저저항부가 하우징 본체의 좌우 양측으로 나뉘어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3) 고저항부와 저저항부의 저항차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단자 피팅의 개수의 차에 기인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가이드 구조나 시일 구조 등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는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어도 좋다.
10: 하우징 19: 전선
21: 고저항부 22: 저저항부
23: 하우징 로크부 30: 레버
31: 조작부 32: 캠부
33: 베어링부 36: 캠 홈
40: 돌출편 41: 레버 로크부
50: 전선 커버 90: 상대 하우징
98: 캠 팔로워

Claims (4)

  1. 지지축이 돌출되어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지지축을 받치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는 베어링부와, 감합(嵌合) 조작 시의 역점(力點)이 되는 조작부와, 상대 하우징의 돌기형의 캠 팔로워와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부를 지지점으로 하는 회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의 감합을 진행시키는 캠 홈을 갖는 레버
    를 포함하며,
    상기 캠 홈과 결합한 상기 캠 팔로워의 축심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해, 상기 베어링부의 축심에 대해 상기 조작부측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고,
    상기 레버는, 임시 걸림 위치로부터 본걸림 위치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상대 하우징측에 접근 방향으로 회동하게 하여 상기 본걸림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이 정규 감합하게 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캠 홈이, 상기 레버의 캠부의 외주 가장자리에 개구되는 시단부(始端部)로부터 종단부(終端部)에 걸쳐 연장하는 형태로 되고, 상기 종단부가 상기 베어링부의 축심에 대해 조작부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이 타측보다 상기 상대 하우징과의 감합 저항이 큰 영역이 되어, 상기 캠 홈과 결합한 상기 캠 팔로워의 축심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조작부에 휨 가능한 레버 로크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이 하우징 로크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의 감합 완료 시에 상기 레버 로크부가 상기 하우징 로크부에 탄성적으로 걸리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레버 로크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돌출편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덮는 전선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 하우징의 감합 개시 시에 상기 돌출편이 상기 전선 커버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KR1020187026711A 2016-03-18 2017-02-27 레버식 커넥터 KR102078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4907A JP6610952B2 (ja) 2016-03-18 2016-03-18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16-054907 2016-03-18
PCT/JP2017/007291 WO2017159304A1 (ja) 2016-03-18 2017-02-27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136A KR20180110136A (ko) 2018-10-08
KR102078758B1 true KR102078758B1 (ko) 2020-02-19

Family

ID=5985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711A KR102078758B1 (ko) 2016-03-18 2017-02-27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83692B2 (ko)
JP (1) JP6610952B2 (ko)
KR (1) KR102078758B1 (ko)
CN (1) CN108780969B (ko)
WO (1) WO2017159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5183B1 (en) 2017-10-20 2018-11-20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ssist lever
JP6879231B2 (ja) * 2018-03-06 2021-06-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092712B2 (ja) * 2019-07-11 2022-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7065057B2 (ja) 2019-07-12 2022-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2491A1 (en) 2001-05-29 2002-12-0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type connecto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it
JP2003178837A (ja) * 2001-12-07 2003-06-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1394045A (zh) 2007-09-18 2009-03-25 日立电线株式会社 杆式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280A (en) 1980-06-04 1982-01-08 Fujitsu Ltd Recording and deciding system for discrimination track
JP2598603Y2 (ja) * 1992-08-19 1999-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3777083B2 (ja) * 2000-07-11 2006-05-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JP3573280B2 (ja) 2001-06-26 2004-10-0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036927A (ja) * 2001-07-25 2003-02-07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DE602004006617T2 (de) * 2003-04-02 2008-01-31 Molex Inc., Lisl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hebel und mit verbesserten verriegelungsmittel
JP4556134B2 (ja) * 2005-08-03 2010-10-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93480B2 (ja) * 2006-01-11 2010-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4966625B2 (ja) * 2006-10-27 2012-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01618B2 (ja) * 2007-07-17 2012-03-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0003526A (ja) * 2008-06-19 2010-01-07 Jst Mfg Co Ltd 仮嵌合構造を有する一対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5211929B2 (ja) * 2008-08-19 2013-06-1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347936B2 (ja) * 2009-12-10 2013-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293628B2 (ja) * 2010-02-01 2013-09-18 日立電線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074208A (ja) * 2010-09-28 2012-04-12 Hitachi Cable Ltd コネクタ
JP4905586B1 (ja) * 2010-12-21 2012-03-28 日立電線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24874B2 (ja) * 2010-12-24 2014-11-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ワイヤカバー
JP5831061B2 (ja) * 2011-01-19 2015-12-09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73457B2 (ja) * 2011-01-19 2015-02-18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84529B2 (ja) * 2012-03-05 2015-09-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3246914A (ja) 2012-05-24 2013-12-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8784127B2 (en) * 2012-06-11 2014-07-22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including mating assist lever that contains locking means an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that interacts therewith
JP2014165028A (ja) * 2013-02-26 2014-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6252068B2 (ja) * 2013-09-24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2491A1 (en) 2001-05-29 2002-12-0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type connecto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it
JP2003178837A (ja) * 2001-12-07 2003-06-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1394045A (zh) 2007-09-18 2009-03-25 日立电线株式会社 杆式连接器
JP2009070754A (ja) * 2007-09-18 2009-04-02 Hitachi Cable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9304A1 (ja) 2017-09-21
JP2017168391A (ja) 2017-09-21
KR20180110136A (ko) 2018-10-08
CN108780969B (zh) 2020-08-07
CN108780969A (zh) 2018-11-09
US10483692B2 (en) 2019-11-19
JP6610952B2 (ja) 2019-11-27
US20190074633A1 (en)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758B1 (ko) 레버식 커넥터
JP642419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150174B2 (ja) コネクタ
JP2020072013A (ja) コネクタ
JP2018018583A (ja) コネクタ
JP4613747B2 (ja) コネクタ
JP6447100B2 (ja) コネクタ
JP619777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8018735A (ja) コネクタ
JP2013008644A (ja) コネクタ
JP2014216256A (ja) コネクタ
CN110086043B (zh) 杆式连接器
CN110086042B (zh) 杆式连接器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JP6196961B2 (ja) コネクタ
JP6635588B2 (ja) コネクタ
JP6936280B2 (ja) コネクタ
JP2015133275A (ja) 防水コネクタ
JP5947661B2 (ja) コネクタ
JP2011065932A (ja) 雌型コネクタ
JP2012146445A (ja) レバー付きコネクタ
JP2016006726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435849B2 (ja) コネクタ
JP5285118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N113228426B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