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838B1 -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838B1
KR102061838B1 KR1020180105177A KR20180105177A KR102061838B1 KR 102061838 B1 KR102061838 B1 KR 102061838B1 KR 1020180105177 A KR1020180105177 A KR 1020180105177A KR 20180105177 A KR20180105177 A KR 20180105177A KR 102061838 B1 KR102061838 B1 KR 10206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seat
cover
inner plate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덕
채종규
박현기
송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838B1/ko
Priority to CN201980054843.0A priority patent/CN112585027B/zh
Priority to DE112019004424.9T priority patent/DE112019004424T5/de
Priority to US17/270,583 priority patent/US11390200B2/en
Priority to PCT/KR2019/010315 priority patent/WO202005051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 B60N2/6009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covering more than only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 B60N2/6018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하부를 후면에서 감싸주도록 설치되어 시트 하부의 부품이나 장치를 가려주고 시트 외관을 향상시키는 스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트백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시트쿠션 후방을 포함한 시트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트백의 백보드 하단부에 결합되어 시트쿠션 후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스커트; 및 상기 스커트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항상 스커트 하부를 감싸고 있는 상태가 되도록 시트 하부에 고정되는 스커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Skirt apparatus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하부를 후면에서 감싸주도록 설치되어 시트 하부의 부품이나 장치를 가려주고 시트 외관을 향상시키는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승객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 그리고 시트백 상단에 설치되어 승객 머리와 목 부위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시트백은 하단부가 시트쿠션에 연결되고 시트백의 골격을 이루면서 그 형상을 유지시키는 시트백 프레임, 및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전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시트백 쿠션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시트백은 시트백 프레임의 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 즉 백보드(back board)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주로 대형 세단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상기 백보드가 조립된 백보드 타입의 시트가 적용되고 있다.
최근 차량이 고급화됨에 따라 시트에도 다양한 기능 및 장치들이 부가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전동식으로 헤드레스트의 상하 전후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파워 헤드레스트, 시트 위치 및 높이, 시트백 각도 등을 조절해주는 전동 장치, 볼스터 조절장치, 시트 열선, 시트 공조 장치, 멀티미디어 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시트에는 와이어링 등의 부품이나 장치들이 복잡하게 장착되므로 이들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시트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주로 고급 세단 차량에서는 시트백 후방을 백보드로 감싸고 그 하측을 스커트로 감싸서, 시트백 후방 및 시트쿠션 후방이 상기 백보드 및 스커트에 의해 감싸지도록 하고, 특히 시트 하부의 부품이나 장치들이 외관상 노출되지 않게 스커트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고 있다.
스커트는 운전석 및 조수석과 같은 전석(前席)의 시트백 하단부에 시트백 폴딩시 시트 하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시트백(백보드) 하측에서 시트백의 움직임을 흡수하면서 외관을 형성해야 하므로 보통 매트 등의 직물류와 같이 움직임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제작된다.
예를 들면, 도 1은 종래의 스커트를 예시한 도면으로, 종래의 스커트(9)는 외측 재질로서 나일론 BCF(Bulked Continuous Filament) 소재와 내측 재질로서 부직포를 봉제(외곽부 해리 처리)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직물류 등의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어 가림막 형태로 설치되고 있는 종래의 스커트는 재질 특성상 그 형상 및 시트백의 움직임 등에 따라서 주름이나 처짐, 구겨짐 등이 발생하므로 외관 품질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스커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a) 스커트(9) 하부의 좌측과 우측이 서로 불균형한 상태로 있거나, b) 시트백(1)의 전방 폴딩시 측단의 간극을 통해 스커트(9)의 내부가 크게 노출될 수 있다.
또한, c) 스커트(9)가 천 재질이므로 쉽게 구겨질 수 있고, d) 전석 시트의 인사이드 커버(7) 부분이 노출되어 보이거나 후석 승객에게 전석의 풋 램프 빛이 비춰보이는 조명 노출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스커트가 제시되었으나, 후석 승객의 발 끼임 문제나 발 공간 확보가 어려운 문제, 오염 문제, 기타 재질 특성 등으로 인한 여러 제약 조건의 문제들로 인해 여전히 개선의 필요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시트백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흡수하면서도 시트 하부를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럽게 마감하여 시트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스커트가 가지는 문제점, 즉 스커트 하부 불균형 상태, 시트백 전방 폴딩시 내부 노출이나 구겨짐, 인사이드 커버 등 시트 하부 부품의 노출, 후석 승객의 발 끼임 및 조명 노출, 오염 등의 여러 문제점이 동시에 개선 내지 해소될 수 있는 개선된 스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백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시트쿠션 후방을 포함한 시트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트백의 백보드 하단부에 결합되어 시트쿠션 후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스커트; 및 상기 스커트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항상 스커트 하부를 감싸고 있는 상태가 되도록 시트 하부에 고정되는 스커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커트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 내측 플레이트; 및 스커트에서 후석 승객에게 외관상 노출되어 보이는 바깥쪽의 부재로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결합된 외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재는 실리콘 계열의 인조가죽인 실리콘 레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플레이트와 외장재는 중첩 부위가 접착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커트의 상단부는, 내측 플레이트 미적용 부위로서, 상기 외장재의 상단부를 접어서 중첩시킨 뒤 중첩 부위를 접착하여서 형성한 정해진 폭의 결합 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위가 백보드 하단부의 안쪽 면에 체결됨으로써 스커트가 백보드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플레이트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 플레이트에 부직포를 접착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커트 커버는 시트 하부에 위치한 좌측과 우측의 각 쉴드 커버의 후단부 내측 부위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 하부와의 체결을 위해 스커트 커버의 내측면에는 스크류 체결부와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체결부가 시트 하부에 스크류로 체결되고, 상기 후크가 시트 하부의 후크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커트 커버의 내측면에는 스커트의 좌우 양 측단이 결합된 상태로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커트 커버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내부 플레이트의 표면을 표면 처리 공정을 통해 코팅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내부 플레이트의 표면에 상기 표면 처리 공정을 통해 형성한 코팅층인 외부층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면 처리 공정이 내부 플레이트의 표면에 탄성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뒤 파일(pile)을 도장하는 퓨전 스웨이드 가공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에 의하면, 스커트와 스커트 커버가 조합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오염 방지성 및 외관 고급감 향상, 시트 하부 보호 및 노출 방지의 효과가 있게 되고, 후석 승객의 발 끼임 및 조명 노출의 문제 등이 모두 해소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스커트와 스커트 커버가 조합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외관 균일성 유지, 시트백 움직임에 따른 스커트 작동성 향상, 원가 절감, 시트와의 색상 및 외관 일체감 향상, 시트 상품성 향상 등의 여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커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커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가 시트 하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에서 스커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에서 백보드에 스커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에서 스커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커트 커버와 쉴드 커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의 이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가 시트 하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에서 스커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에서 백보드에 스커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은 도 6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100)는 시트백(1) 및 백보드(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시트쿠션(미도시) 후방을 포함한 시트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100)는 시트백(1)의 백보드(2) 하단부에 결합되어 시트쿠션 후방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 및 백보드의 전후방향 회동을 흡수하도록 동작하는 스커트(110), 및 상기 스커트(110)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항상 스커트 하부를 감싸고 있는 상태가 되도록 시트 하부에 고정되는 스커트 커버(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커트(1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내측 플레이트(111), 및 내측 플레이트(111)의 바깥면(뒤쪽 면임)에 중첩된 상태가 되도록 결합되는 외장재(112)로 구성된다(도 8 참조).
본 발명에서 스커트(110)는 내측 플레이트(111)와 외장재(112)를 중첩하여 결합한 구성을 가지며, 외장재(112)는 스커트(110)에서 외관상 노출되는 스커트 바깥쪽의 부재로서, 스커트(110)가 전석 시트의 하부에 설치된 것일 때 후석 승객에게 외관상 노출되어 보이는 부재이다.
반면, 내측 플레이트(111)는 스커트(110)에서 후석 승객에게 외관상 노출되지 않는 안쪽(시트 하측 공간을 향하고 있는 스커트 안쪽) 및 외장재(112) 앞쪽으로 위치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스커트(110)는 내측 플레이트(111)와 외장재(112)를 한 장씩 합지하여 두 장을 서로 접착(bonding)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커트(110)의 내측 플레이트(111)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 플레이트에 부직포를 접착한 것이 될 수 있고, 스커트(110)의 형상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도면에서 플레이트와 부직포가 구분되도록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장재(112)가 상기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 플레이트의 한쪽 면에 부착될 수 있고, 이때 내측 플레이트(111)의 부직포가 상기 플레이트에서 외장재(112)가 접착되는 면의 반대 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스커트(110)의 외장재(112)는 내측 플레이트(111)에 중첩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오염 방지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외장재(112)로는 실리콘 계열의 재질로 제작된 인조가죽, 즉 실리콘 레더로 제작된 시트(sheet)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112)는 내측 플레이트(111)의 표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 열 접착 등의 방법으로 접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커트(110)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 즉 정해진 폭만큼의 스커트 상단부에는 내측 플레이트(111)를 미적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111)가 미적용된 부위인 스커트 상단부는, 외장재(112)의 상단부를 접어서 중첩시킨 뒤 중첩된 부위를 접착하여 형성한 정해진 폭의 결합 부위를 포함한다.
즉, 내측 플레이트(111)가 미적용되는 부위에서 외장재(112)를 이중으로 접어서 서로 접착하는 방식으로 가공 처리함으로써 상기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외장재(112)의 상단부를 내측 플레이트(111)에 비해 더 크게 재단한 뒤, 스커트 상단부에서는 내측 플레이트(111) 없이 외장재(112)의 상단부만을 겹쳐서 서로 접착하는 것이다.
이때, 스커트 상단부의 외장재(112)에 별도의 덧판(113)을 접착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커트(110)의 좌우 양 측단부에서는 외장재(112)가 내측 플레이트(111)의 측단부를 감싸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외장재(112)를 접어서 내측 플레이트(111)의 측단부 표면에 접착한다.
그리고, 상단부와 측단부 외에 하단부에서는 외장재(112)의 하단부를 내측 플레이트(111)의 하단부를 따라 맞춤 커팅하여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스커트를 제작할 경우 외곽부를 해리 처리하는 봉제 과정이 삭제될 수 있고, 외곽부 해리 처리 과정에 사용되는 밴드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공정 축소 및 원가 절감의 이점이 있게 되고, 특히 내측 플레이트에 수지로 성형된 플레이트가 적용됨으로써 형상 유지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후석 승객에게 전석 시트의 풋 램프 조명이 노출되는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대해 설명하면, 도면부호 2는 백보드를 지시하고, 도면부호 3은 백보드 내부 플레이트를, 도면부호 4는 백보드 외장재(112)(표피재)를 지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111)가 미적용된 스커트 상단부는, 실리콘 레더를 접은 뒤 중첩 부위를 서로 접착한 부분으로서, 스커트(110)에서 백보드(2) 하단부에 체결되는 결합 부위를 포함하며, 이 결합 부위는 백보드 하단부의 안쪽 면에 겹쳐지는 부위이므로 백보드에 가려서 외관상 노출되지 않는 부위이다.
또한, 스커트(110)에서 백보드(2)와의 결합 부위인 상단부에는 백보드의 체결핀(5)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핀 홀(114)이 형성된다.
스커트(110)의 조립시에는 상기한 스커트 상단부를 외관상 노출되지 않는 백보드(2) 하단부의 안쪽 면에 중첩시켜 결합하는데, 고정을 위해 백보드 하단부의 안쪽 면에는 복수 개의 체결핀(5)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백보드(2) 하단부의 안쪽 면에 형성된 각 체결핀(5)이 스커트(110) 상단부의 대응되는 핀 홀(114)에 끼워지도록 한 뒤, 스커트 상단부가 백보드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핀(5)에 푸쉬 너트(도 7에서 도면부호 6임)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스커트(110)가 백보드(2)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백보드(2)와의 결합 부위인 스커트(110) 상단부에서는 외장재(112)를 접어서 마감하고, 외장재(112)만으로 이루어진 스커트 상단부를 체결핀(5)과 이 체결핀(5)의 단부에 끼워지는 푸쉬 너트(6)로 백보드(2) 하단부에 결합하면, 시트의 전후 리클라이닝 작동시 스커트(110)의 형상이 더욱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스커트(110)를 시트백(1)에 설치된 백보드(2)에 고정하고, 스커트(110)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별물로 제작한 스커트 커버(120)를 조립하여 장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커트 장치(100)에서 스커트 커버(120)는 시트 하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각각 위치되는 쉴드 커버(shield cover)(8)의 후단부 내측 부위에 체결되어서 고정된다.
상기 스커트 커버(120)는 시트백 폴딩시에 형상을 유지하면서 그 또한 스커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시트백(1)이 전방으로 최대 폴딩된 상태를 포함하여 각도 및 위치가 조절되는 시트백(1)의 전 작동 범위에서 스커트(110) 하부를 간극 발생 없이 항상 커버해주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스커트 장치(100)에서 시트백(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함께 스커트(110)가 움직이는 것과 달리, 스커트 커버(120)는 좌우 양측의 쉴드 커버(8)에 체결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 부재임을 고려하여, 시트백(1)의 상태와 상관없이 시트백과 연동하여 움직이는 스커트(110)의 하부를 항상 스커트 커버(120)가 감싼 상태로 커버해줄 수 있도록, 상기 스커트(110)와 스커트 커버(120)의 형상이 설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 장치에서 스커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커트 커버와 쉴드 커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스커트 커버(120)는 본 발명에서 새로이 추가되는 구성요소이며, 쉴드 커버(8)에 스크류(미도시)나 후크(123)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커트 커버(120)의 내측면에 스크류 홀(122)이나 후크(123)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홀(122)과 후크(123)를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스크류와 후크(123)를 모두 이용하여 쉴드 커버(8)에 체결하는 스커트 커버(120)를 예시하고 있으며, 예시된 바에 따르면, 스커트 커버(120)의 내측면에서 스커트 커버의 상부 좌측과 우측의 각 부위에 스크류 체결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각 스크류 체결부(121)에는 스크류 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커트 커버(120)의 내측면에서 스커트 커버의 하부 좌측과 우측의 각 부위에 후크(1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립시에는 먼저 스커트(110) 하부를 감싸도록 스커트 커버(120)를 정해진 조립 정 위치에 위치시키는데, 이때 스커트 커버(120)의 각 후크(123)를 쉴드 커버(8)의 대응 부위에 형성된 후크 결합부(미도시)에 끼워 체결한다.
이후 스커트 커버(120)의 스크류 체결부(121)에 형성된 스크류 홀(122)과 쉴드 커버(8)의 대응 부위에 형성된 스크류 홀(미도시)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로 스크류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트백(1)의 폴딩시 스커트(110)가 시트백과 함께 움직일 때 스커트(110)를 안내할 수 있도록 스커트 커버(120)의 내측면에는 스커트(110)가 슬라이드 되면서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부(12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24)는 스커트 커버(120)의 내측면에 좌측과 우측 부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스커트(110)의 좌우 양 측단부가 내측에 넣어진 상태로 안내될 수 있도록 스커트 커버(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24)는 스커트 커버(120) 내측면과 함께 'ㄷ'자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때 스커트(110)의 측단부는 'ㄷ'자 모양의 구조 내측으로 넣어진 상태로 안내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크류 체결부(121)가 상측의 좌우 두 가이드부(124)에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볼 수 있고, 쉴드 커버(8)와의 고정을 위한 후크(123)가 하측의 좌우 두 가이드부(124)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커트 커버(120)는 스커트(110)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조립되는 구조물이므로, 전체적인 형상이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커트 커버(120)의 내측 재질은 합성수지가 될 수 있으나, 외관 향상과 고급감 증대, 오염 방지성 향상을 위하여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작한 내부 플레이트의 표면에 코팅 등의 처리를 하여 별도의 외부층(layer)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내부 플레이트와 그 표면에 형성된 외부층을 별도로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 플레이트는 도 9에 예시된 스커트 커버(120)의 형상과 동일한 형성을 가질 수 있고, 이와 같이 스커트 커버(120)와 동일한 형상의 내부 플레이트의 표면에 외부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의 스커트 커버의 제작을 위하여,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전체적으로 원하는 스커트 커버의 형상을 가지는 내부 플레이트를 제작한 뒤, 상기 내부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해 퓨전 스웨이드 가공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의 외부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 플레이트는 스커트 커버의 골격 및 강성 증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커트 커버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목표로 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작한다.
상기 퓨전 스웨이드 가공 공정으로는 자동차 내장재용 플라스틱 성형품의 표면 처리 과정으로 알려져 있는 공지의 공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례로 내부 플레이트의 표면에 탄성 접착제 조성물, 예컨대 고탄성 수성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뒤 파일(pile)을 도장하는 퓨전 스웨이드 가공 공정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퓨전 스웨이드 가공 공정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커트 커버를 구성하는 내부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해 원하는 수준의 외관 향상, 고급감 증대, 오염 방지성 향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알려져 있는 플라스틱 성형품의 표면 처리 공정이나 퓨전 스웨이드 가공 공정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공정들이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과정이나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커트(110)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별도의 스커트 커버(120)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시트백 하단부의 가림 구조에 있어서 외관 향상이 가능해지고, 시트 하부의 노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 하부는 물론 시트 하부에 위치되거나 설치된 부품 및 장치를 보호할 수 있고, 후석 승객의 발 끼임 및 풋 램프 조명 노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커트 장치를 적용할 경우, 외관 향상은 물론 고급감 증대, 외관 균일성 유지, 스커트 작동성 향상 등의 여러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실리콘 레더와 같은 오염 방지성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 플레이트에 대한 원단 감싸기 공법으로 스커트를 제작함으로써, 후석 승객에 의한 스커트 오염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고, 외관 고급감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작시 나일론 BCF 소재와 부직포에 대한 외곽부 해리 처리 공정이 필요한 종래의 스커트에 비해 공정 축소 및 원가 절감의 이점이 있게 된다.
나아가, 종래의 스커트는 시트 커버 색상과는 완전히 다른 검정색이나 회색 등의 색상으로 제작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색상 중 색상 선택 및 제작이 가능한 실리콘 레더를 마감재(외장재)로 사용하므로 외관이 미려한 스커트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스커트를 시트 커버와 동일한 색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외관 일체감 향상 및 고급감 증대, 시트 상품성 향상 등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a) 시트백(1)의 전방 폴딩시 쉴드 커버(8)와의 간극을 통해 스커트(110) 내부가 노출되는 양이 최소화될 수 있어 내부 노출의 문제가 개선된다.
또한, 종래의 스커트에서는 스커트 하부가 좌우를 비교하였을 때 불균형한 상태를 나타내었으나(도 1 참조), b) 본 발명에서는 시트백(1)이 어떠한 상태이든 스커트(110) 하부가 균일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커트에서는 시트백의 상태(예, 후방 폴딩시)에 따라 스커트의 구겨짐이 발생하였으나, c) 본 발명에서는 구겨짐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커트에서는 인사이드 커버 부분 등 시트 하부 부품이 노출될 수 있고, 전석 풋 램프의 조명이 후석 승객에게 노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d) 본 발명에서는 시트 하부 노출 및 풋 램프 조명 노출 등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시트백 2 : 백보드
3 : 백보드 내부 플레이트 4 : 백보드 외장재
5 : 체결핀 6 : 푸쉬 너트
7 : 인사이드 커버 8 : 쉴드 커버
100 : 스커트 장치 110 : 스커트
111 : 내측 플레이트 112 : 외장재
113 : 덧판 114 : 핀 홀
120 : 스커트 커버 121 : 스크류 체결부
122 : 스크류 홀 123 : 후크
124 : 가이드부

Claims (9)

  1. 시트백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시트쿠션 후방을 포함한 시트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트백의 백보드 하단부에 결합되어 시트쿠션 후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스커트; 및
    상기 스커트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항상 스커트 하부를 감싸고 있는 상태가 되도록 시트 하부에 고정되는 스커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는, 내측 플레이트; 및 스커트에서 후석 승객에게 외관상 노출되어 보이는 바깥쪽의 부재로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중첩되도록 결합된 외장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의 상단부는, 내측 플레이트 미적용 부위로서, 상기 외장재의 상단부를 접어서 중첩시킨 뒤 중첩 부위를 접착하여서 형성한 정해진 폭의 결합 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위가 백보드 하단부의 안쪽 면에 체결됨으로써 스커트가 백보드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와 외장재는 중첩 부위가 접착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 플레이트에 부직포를 접착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커버는 시트 하부에 위치한 좌측과 우측의 각 쉴드 커버의 후단부 내측 부위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트 하부와의 체결을 위해 스커트 커버의 내측면에는 스크류 체결부와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체결부가 시트 하부에 스크류로 체결되고, 상기 후크가 시트 하부의 후크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커버의 내측면에는 스커트의 좌우 양 측단이 결합된 상태로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커버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내부 플레이트의 표면을 표면 처리 공정을 통해 코팅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내부 플레이트의 표면에 상기 표면 처리 공정을 통해 형성한 코팅층인 외부층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KR1020180105177A 2018-09-04 2018-09-04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KR10206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77A KR102061838B1 (ko) 2018-09-04 2018-09-04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CN201980054843.0A CN112585027B (zh) 2018-09-04 2019-08-13 车辆座椅的裙板装置
DE112019004424.9T DE112019004424T5 (de) 2018-09-04 2019-08-13 Schürzen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S17/270,583 US11390200B2 (en) 2018-09-04 2019-08-13 Skirt device for vehicular seat
PCT/KR2019/010315 WO2020050513A1 (ko) 2018-09-04 2019-08-13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77A KR102061838B1 (ko) 2018-09-04 2018-09-04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838B1 true KR102061838B1 (ko) 2020-01-02

Family

ID=6915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177A KR102061838B1 (ko) 2018-09-04 2018-09-04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90200B2 (ko)
KR (1) KR102061838B1 (ko)
CN (1) CN112585027B (ko)
DE (1) DE112019004424T5 (ko)
WO (1) WO20200505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635A (ko) * 2020-08-31 2022-03-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22B1 (ko) * 2013-07-03 2014-07-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스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35Y2 (ja) * 1987-05-30 1994-05-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シ−ト装置
US5161854A (en) * 1990-11-09 1992-11-10 Tachi-S Co., Ltd. Structure of screen covering clearance between seat back and seat cushion in a seat
JPH0716378Y2 (ja) * 1991-08-12 1995-04-19 株式会社三裕商会 自動車用座席カバー
JPH11334432A (ja) * 1998-05-22 1999-12-07 Tachi S Co Ltd 調整型自動車シート
JP2003320880A (ja) * 2002-04-30 2003-11-11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5205177A (ja) * 2003-12-24 2005-08-04 Toshio Kikuchi 自動車の座席カバー
CN2744555Y (zh) * 2004-08-13 2005-12-07 徐海峰 车用座椅座垫后部防护装置
JP4639825B2 (ja) * 2005-01-28 2011-02-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隙カバー構造
JP2006321353A (ja) * 2005-05-19 2006-11-30 Toyota Boshoku Corp シートバックのカーペット構造
JP4775792B2 (ja) * 2005-07-21 2011-09-2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隙間隠しカバー付き自動車用シート
US8833852B2 (en) * 2008-07-15 2014-09-16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JP2010063679A (ja) * 2008-09-11 2010-03-25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10064635A (ja) * 2008-09-11 2010-03-25 Tachi S Co Ltd 車両用シート
CN201427530Y (zh) * 2009-07-09 2010-03-24 佛吉亚全兴(武汉)汽车座椅有限公司 汽车前座椅及其靠背和座垫之间缝隙的遮挡结构
CN202378731U (zh) * 2011-11-01 2012-08-15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座椅遮布结构
JP2013100001A (ja) * 2011-11-08 2013-05-23 Toyota Boshoku Corp 下帯カバー付き車両用シート
KR101353356B1 (ko) * 2012-11-28 2014-01-2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KR101353357B1 (ko) * 2012-11-28 2014-01-2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EP2837529B1 (de) * 2013-08-12 2015-11-04 Brabus GmbH Verfahren zur Umrüstung eines Fahrzeugsitzes
CN105848965A (zh) * 2014-01-07 2016-08-10 株式会社塔捷斯 车辆用座椅
JP2016147568A (ja) * 2015-02-12 2016-08-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204506631U (zh) * 2015-02-28 2015-07-29 广州东风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面套结构
JP6451543B2 (ja) * 2015-07-31 2019-01-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542638B2 (ja) * 2015-10-27 2019-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座席装置及び前側カバー
KR101679991B1 (ko) * 2015-12-24 2016-11-25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커버
JP6608316B2 (ja) * 2016-03-23 2019-11-20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及び、それに用いるリクライニング機構用カバー
CN107539177A (zh) * 2016-06-29 2018-01-05 姜桂萍 高档汽车座椅后护板及生产工艺
US10011204B2 (en) * 2016-08-05 2018-07-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lded soft back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22B1 (ko) * 2013-07-03 2014-07-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스커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635A (ko) * 2020-08-31 2022-03-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KR102392795B1 (ko) 2020-08-31 2022-04-2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85027A (zh) 2021-03-30
US20210221265A1 (en) 2021-07-22
US11390200B2 (en) 2022-07-19
WO2020050513A1 (ko) 2020-03-12
CN112585027B (zh) 2023-06-13
DE112019004424T5 (de)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945B1 (ko) 자동차 시트 업홀스터리 형성
GB2441872A (en) A vehicle seat air bag assembly including a deployment guide
US11220195B2 (en) Edge strip for a seat cover
US20160325659A1 (en) Vehicle seat
KR102061838B1 (ko)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US5230546A (en) Vanity mirror visor cover
CN110065422A (zh) 座椅罩总成
EP0960783B1 (en) Trim assembly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752204B2 (en) Vehicle seat
US10202055B2 (en) Seat device
US10099586B2 (en) Fixing structure for surface skin, and vehicle seat
US20220134918A1 (en) Cover for an upholstered part of a vehicle seat, upholstered part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US7644984B2 (en) Side shield for motor vehicle seat assembly
US7549708B2 (en) T-member for use in an armrest or interior component of a vehicle
CA2925560C (en) Flex shield for seat assembly
CN109130974B (zh) 倾斜并且包括背面板的座椅组件
KR102236182B1 (ko) 경량 커버링 쉘프
US20220144151A1 (en) Cover for an upholstered part of a vehicle seat, upholstered part of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KR102392795B1 (ko) 차량 시트의 스커트 장치
KR20220136597A (ko) 차량 시트용 커버 조립 구조
US11884190B2 (en) Vehicle seat
US7421962B2 (en) Guide for use in making a seam having a T-member
JP7354812B2 (ja) 取付枠
JP2008273456A (ja) 車両用内装部品
JP2020168935A (ja) 車両用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