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479B1 - 과일청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과일청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479B1
KR102058479B1 KR1020190076737A KR20190076737A KR102058479B1 KR 102058479 B1 KR102058479 B1 KR 102058479B1 KR 1020190076737 A KR1020190076737 A KR 1020190076737A KR 20190076737 A KR20190076737 A KR 20190076737A KR 102058479 B1 KR102058479 B1 KR 102058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weight
parts
seaweed
fru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익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우리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우리존(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우리존(주)
Priority to KR102019007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청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류를 세척하여 준비하는 단계, 노니, 두충, 브로콜리, 미나리, 해조류, 마늘, 및 녹차를 각각 건조하여 소정의 입경을 가지는 분말 혼합재로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과일류, 상기 분말 혼합재, 및 설탕류를 혼합하고 고온의 맥반석과 혼합하여 살균하는 단계, 상기 살균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13일 내지 20일 동안 1차 숙성시킨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1차 숙성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유산균 및/또는 효소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고 2일 내지 5일 동안 2차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2차 숙성 단계를 거친 최종 혼합액을 살균된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청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과일청을 게재한다.

Description

과일청 및 그의 제조방법{FRUITS SYRUP REDUCING FINE DUST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과일청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일청은 일반적으로 유자, 매실, 감귤 등과 같이 껍질이 있는 과일의 과육을 설탕에 재워 숙성시킨 것으로서, 물을 혼합하여 과일 주스처럼 음용하거나 잼, 마말레이드처럼 점도를 조절하여 빵류, 과자류와 함께 먹을 수 있다. 또한 케익이나 빵류를 제조할 때 재료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과일청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과일의 종류에 따라서 그 효능도 각각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레몬청은 풍부한 효소가 많아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비타민 C가 풍부하여 피로 회복, 면역력 증진, 감기 예방에 효과적이다. 자몽청도 마찬가지로 비타민 C가 풍부하여 피부미용, 노화방지에 도움이 되고 감기, 폐렴, 천식 등 기관지 질환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 외에도 키위청은 빈혈예방, 항산화작용으로 인한 면역력 강화, 심장병 예방에 좋고, 딸기청은 혈액순환, 신경계 안정, 암세포 억제 기능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듯 과일청의 주된 효능은 과일청의 주 원료가 되는 과일의 종류와 특성에 따른 효능일 것인 바, 기타 과일로부터 섭취하기 힘든 우수한 기능이나 효능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하게 증가되는 사회적인 문제 중 하나는 대기의 질 관련 이슈로서, 특히 황사나 미세먼지의 폐해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것인 바, 여러가지 환경적인 문제와 원인들이 복잡하게 얽혀있고 사회 정책적 이슈가 있어 미세먼지 문제를 일거에 단시간에 해결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미세먼지의 저감 방법을 환경 기술로서 해결하는 것과 별개로 사람들은 각자의 삶에서 미세먼지의 흡입 또는 피부 노출로 인한 다양한 부작용 또는 불편함을 의식주 생활 속에서 해결해오고 있다.
식품 분야에서도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음식과 재료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바, 과일청의 다양한 효능과 식품으로서의 활용 확장성 및 음용의 편리성 등을 고려할 때 과일청의 기본적인 고유 효능 이외에도 미세먼지 흡입으로부터 체내에 축적되는 미세먼지 입자를 빠르게 배출시키거나 미세먼지 흡입으로 인한 체내의 유해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과일청을 개발한다면 그 효익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과일청의 주된 원료인 과일 종류에 따른 효능이 있는 기능성 과일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성 재료를 과일청에 혼합하고 숙성시켜 과일청의 풍미를 증강시키는 기능성 과일청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일청 제조방법은 과일류를 세척하여 준비하는 제1 단계, 노니, 두충, 브로콜리, 미나리, 해조류, 마늘, 및 녹차를 각각 건조하여 소정의 입경을 가지는 분말 혼합재로 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과일류, 상기 분말 혼합재, 및 설탕류를 혼합하고 고온의 맥반석과 혼합하여 살균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13일 내지 20일 동안 1차 숙성시킨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유산균 및/또는 효소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고 2일 내지 5일 동안 2차 숙성시키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5 단계를 거친 최종 혼합액을 살균된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과일류는 딸기, 사과, 감귤, 자몽, 레몬, 오렌지, 포도, 청포도, 블루베리, 라즈베리, 및 매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2개 이상의 과일을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단계에서 해조류는 미역, 다시마, 톳, 김, 파래, 마자반, 청각, 및 우뭇가사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분말 혼합재의 입경은 100 내지 120 메쉬(mesh)의 망을 통과하는 입경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분말 혼합재는 상기 과일류 100중량부 대비 8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말 혼합재는, 과일류 100중량부 대비 노니 2 내지 2.5 중량부, 두충 2 내지 2.5 중량부, 브로콜리 1 내지 1.2 중량부, 미나리 0.3 내지 0.5 중량부, 해조류 0.3 내지 0.5 중량부, 마늘 1 내지 1.2 중량부, 및 녹차 1 내지 1.2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3 단계에서의 상기 과일류 및 상기 설탕류는 동일한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설탕류는 상기 과일류 및 분말 혼합재의 중량과 동일하거나 10% 증가된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과일류, 상기 분말 혼합재, 및 설탕류를 혼합한 혼합액은 고온의 맥반석이 배치된 여과기를 통과하여 살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온의 맥반석의 온도는 110 내지 130℃로서, 맥반석을 고온으로 가열한 후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산균 및 상기 효소제 각각은 상기 제4 단계를 거친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0.03 내지 0.05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효소제는 당 분해효소, 지질 분해효소, 및 단백질 분해효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청은 상기 게시된 과일청 제조방법의 일 실시태양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과일청은 그 주된 원료인 과일 종류에 따른 효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과일청은 주 원료인 과일에 포함된 비타민 C와 기타 유용한 성분들로 인한 피로회복, 노화방지, 면역력 증강 등의 효능이 있고 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흡착을 저지시켜 혈액 순환 개선 및 체내 기관 염증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청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청 제조방법 중 맥반석을 이용한 살균 단계를 도시한 간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도 1의 과일청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청 제조방법은, 과일청의 주재료인 과일을 세척하여 준비하는 S1 단계, 소정의 입경을 다양한 분말형태의 식재료를 혼합한 혼합재를 준비하는 S2 단계, 상기 S1 및 S2 단계에서 각각 준비된 주재료인 과일과 혼합재를 섞은 후 설탕류를 혼합하는 S3 단계, 가열된 고온의 맥반석을 S3 단계에서 생성된 과일, 혼합재, 및 설탕류의 혼합물에 섞어 30분간 살균하는 S4 단계,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1차 숙성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S5 단계, S5 단계에서 생성된 혼합물에 첨가제를 추가하고 소정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2차로 숙성하는 S6 단계, 및 과일청을 담는 용기를 세척하고 살균하여 상기 S6 단계에서 생성된 과일청을 담아 포장하는 S7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면, 먼저 S1 단계에서 과일청으로 준비되는 과일의 종류를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과일청에 적당한 과일은 주로 딸기, 블루베리, 라스베리 등과 같은 베리류, 껍질이 있고 껍질을 벗겨내어 과육을 섭취하는 감귤, 오렌지, 자몽, 레몬 등, 또는 매실, 포도, 청포도, 사과 등이 있으며, 수박, 복숭아, 키위 등의 과일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딸기는 꼭지를 제거하고 깨끗하게 씻어 반으로 쪼개 준비하는 것이 좋다.
사과는 사흘정도 실온에서 보관한 후 10일간 냉장 보관하여 껍질째 깨끗하게 씻어 소정의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한다. 특히 사과청은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에방하며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
감귤, 자몽, 레몬, 오렌지와 같이 껍질 속 과육을 섭취하는 과일들은 겉 껍질을 벗겨내고 과육의 속 껍질 부분을 최대한 도려낸 후 세절하여 준비하거나, 혹은 겉 껍질째 세척하고 슬라이스로 세절하여 준비할 수 있다. 세척 전 2일 ~ 3일 동안 실온에서 보관하였다가 5일 정도 냉장 보관하여 과일청을 제조하기 전에 후숙시킬 수 있다. 특히 감귤청, 오렌지청, 자몽청은 비타민 C가 풍부하여 피로회복, 노화예방에 효과적이다. 자몽청은 간 기능을 향상시켜 주고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도, 청포도, 블루베리, 라즈베리 등과 같은 베리류는 실온에서 적어도 3개월 이상 일년 이내 보관한 후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알맹이만 떼어 낸 후 세척하여 준비한다. 베리류 중 특히 블루베리청은 눈 피로회복으로 인해 눈 건강에 좋고, 치매 예방과 당뇨병 예방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실은 실온에서 적어도 3개월 이상 일년 이내 동안 직사광선을 피해 보관한 후 깨끗하게 씻어 준비한다. 매실청은 소화불량, 변비개선에 효과적이고 해열작용을 돕는다.
상기 예시적으로 준비하는 과정을 게시하지 않은 과일청의 원료가 되는 과일들의 세척이나 적당한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는 과정은 각 과일의 특성에 따라 공지된 방법으로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재료인 과일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종류만을 선택하여 과일청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맛이 혼합된 과일청의 제조를 위해 2 종류 이상의 과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S2 단계에서 혼합재로 준비되는 식재료는 분말형태로 준비되는 노니, 두충, 브로콜리, 미나리, 해조류, 마늘, 및 녹차 등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상기 해조류는 미역, 다시마, 톳, 김, 파래, 마자반, 청각, 및 우뭇가사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미역이나 다시마를 건조하여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말 식재료는 체내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방출시킬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이 있다고 알려진 식재료로서, 각각을 건조하여 소정의 입경을 가지도록 분쇄하여 망이나 체에 통과시켜 걸러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말 혼합재의 소정의 입경은 100 내지 120 메쉬(mesh)의 망을 통과하는 입경일 수 있다. 여기서 메쉬(mesh)는 가로X세로 1인치(25.4㎜)사이에 있는 망눈 사이의 공간의 수를 말하며, 100 내지 120 메쉬는 가로X세로의 1인치 공간 속에 100 내지 120 개의 망눈이 포함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를 통과하는 미세분말의 입경은 2.3 내지 2.5 mm일 수 있다. 그러나 분말 식재료의 특성상 상기 소정의 입경 크기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2.5 mm 이하의 입경이면 족할 것이다. 또한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고 2.5 내지 3.0 mm 의 입경을 가진 다소 입경이 큰 분말 식재료여도 족할 것이다.
상기 분말형태의 식재료 중 하나인 노니는 주로 남태평양 지역에서 서식하는 열대식물로서, 감자 모양의 흰 열매를 맺는데, 이들 열매를 식품 및 약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고, 주로 주스, 분말, 차 등으로 가공하여 섭취한다. 노니 분말에는 200여 가지가 넘는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유효 성분 중 '프로제로닌’과 '스코폴레틴’성분은 염증 억제 효과가 뛰어나 천연 항염제로 기능하고, '담나카탈’성분은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3년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소는 노니 추출물을 암세포에 처리한 결과 암세포의 번식이 억제되고 손상세포가 재생됐다는 연구를 한 바 있다.
또한, 상기 분말형태의 식재료 중 중요한 재료로서의 두충은 두충나무과(Family Eucommiaceae) 두충속(genus Eucommia)에 속하는 두충(E. ulmoides Oliv.)의 줄기껍질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인데, 한의학에서 두충의 수피와 수꽃을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두충은 지금까지 112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는데, 주요 활성성분은 lignans와 iridoids이고, 이외에도 Phenolics, Steroid, terpenoids, Flavonoids 등의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식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두충은 간기능과 신장기능의 부족으로 인한 요통, 무릎통, 몸이 차서 생기는 양위, 하복냉감, 소변 자주 보는 증상, 태동불안, 자궁출혈 등을 치료하며 혈압강하 효과가 있고, 약리작용으로 혈압강하, 항노화, 콜레스테롤강하, 항염, 진정,진통, 면역 조절, 혈액응고, 자궁수축, 항알레르기,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분말 식재료의 하나로서, 브로콜리는 설포라판이라는 성분이 풍부한데, 이 성분은 폐에 들러붙어 있는 유해물질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하고,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 같은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여 미세먼지로 인한 체내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브로콜리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배변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노폐물을 정화시켜주며, 칼륨 또한 몸속 독소를 배출하고 폐기능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분말 식재료 중 하나인 미나리는 중금속 배출 효과가 뛰어나며 혈액을 맑게 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나리 속에 풍부한 이소람네틴, 페르시카린 등의 함염성분은 염증 치료 및 염증 물질을 몸밖으로 배출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능성 과일청에 핵심적인 혼합재의 하나이다,
또한 해조류 중 특히 미역, 다시마, 파래, 매생이 등에는 풍부한 수용성 섬유질인 알긴산 성분이 있어 이들 식재료 역시 중금속 등을 흡착해 몸 밖으로 배출하고 혈액을 맑게 해주는 유용한 기능을 한다. S2의 준비 과정에서 특히 해조류는 비타민 K, 알긴산 손실을 적게 하기 위해 물에 너무 오래 담그거나 데치지 않고 바로 건조하여 분말 가공하는 것이 좋다.
또다른 분말형 식재료로서 마늘 분말은 알려진 바와 같이 매운맛을 내는 알리신과 비타민 B1을 함유하고 있어 항염작용을 하고 기관지의 염증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만 알리신은 잘게 부숴야 효과가 높아지므로 마늘을 건조, 분말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입경으로 가공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 과일청에 추가되는 분말형 식재료 중 하나인 녹차 가루는 알려진 성분인 탄닌으로 인한 면역력 강화와 중금속의 체내 흡수를 방지 및 배출 기능이 우수하다. 일본 고베 대학은 연구를 통해 녹차의 카테킨 성분이 다이옥신의 독성을 줄이고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국내에서도 실험을 통해 녹차가 벤조피렌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하는 등 마늘의 미세먼지 속 중금속 배출 기능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다만, 탄닌은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식후에 바로 섭취하지 않고 30분 내지 1시간 후에 섭취하는 것이 좋은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과일청 역시 바람직하게는 정해진 식사 시간 사이의 기간에 간식으로 음용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S2 단계에서 준비된 분말 혼합재는 상기 S1 단계에서 준비된 과일류 100중량부 대비 8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말 혼합재는, 과일류 100중량부 대비 노니 2 내지 2.5 중량부, 두충 2 내지 2.5 중량부, 브로콜리 1 내지 1.2 중량부, 미나리 0.3 내지 0.5 중량부, 해조류 0.3 내지 0.5 중량부, 마늘 1 내지 1.2 중량부, 및 녹차 1 내지 1.2 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말 혼합재에서 노니와 두충의 중량비가 동일하고, 브로콜리와 마늘, 녹차의 중량비가 동일하며, 미나리 및 해조류의 중량비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노니와 두충, 브로콜리와 마늘과 녹차, 미나리와 해조류의 중량비율은 2:1:0.5 또는 2:1:0.3일 수 있다.
상기 분말 혼합재의 성분들 각각에 대한 효능으로 인해 미세먼지의 흡입으로 체내에 축적되는 중금속 등 미세 유해물질의 흡착과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S1 및 S2 단계에서 본 발명의 과일청에 사용될 주재료인 과일과 분말 식재료의 혼합재를 준비했다면, S3 단계에서는 이들 재료들과 설탕류를 혼합하여 과일청 혼합물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상기 설탕류는 포도당과 같은 단당류, 자당·맥아당과 같은 이당류, 올리고당 등 다른 단맛을 가지는 당류까지 포함한다.
설탕은 제법에 따라 백설탕, 갈색설탕, 흑설탕 모두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흑설탕 사용할 수 있다. 흑설탕은 사탕수수의 즙액을 졸인 후 원심분리기로 당밀을 제거하지 않았기 때문에 분밀당(分蜜糖)에 비하여 불순물이 많고 품질이 떨어지지만, 산지에 따라 독특한 풍미를 가지고 있다. 제법은 일반적으로 원시적인데, 사탕수수의 줄기에서 짜낸 즙액에 석회 등의 청징제(淸澄劑)를 가한 다음 바싹 졸인다. 그런 다음 졸인 액을 휘저으면서 냉각시키면 설탕이 당밀과 함께 흑갈색의 덩어리로 되어 나온다
상기 S3 단계에서의 설탕류의 혼합비율을 상기 S1 단계에서 준비된 과일류의 중량에 비례하며 상기 과일류와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탕류는 상기 과일류의 중량 대비 1 내지 1.5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설탕류는 상기 과일류 및 분말 혼합재의 중량과 동일하거나 10% 증가된 중량일 수 있다.
다음으로 S4 단계에서 상기 과일류, 상기 분말 혼합재, 및 설탕류를 혼합한 혼합물에 고온의 맥반석을 혼합하여 살균한다. 살균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0분 내지 40분간 살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분 동안 살균할 수 있다.
맥반석은 가열하여 소정의 고온으로 준비하였다가 제조된 상기 과일류, 상기 분말 혼합재, 및 설탕류를 혼합한 혼합물과 섞는데,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의 고온으로 가열하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맥반석은 화강암류에 속하는 석영반암, 장석반암, 화강반암과 같은 것으로서, 암석명으로 석영-몬조나이트와 일치한다. 석영과 장석이 촘촘하게 섞여 있고, 연한 백색, 연한 갈색, 옅은 회색, 짙은 녹색 또는 옅은 녹색 암석에 빨간 점 또는 하얀 점이 고르게 섞여 있는 모습이 마치 보리밥으로 만든 주먹밥과 같다고 하여 맥반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성분은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이고, 산화제2철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약석으로 알려진 것은 노르스름한 백색을 띤 맥반석으로서, 예전에는 환약을 정제하는 여과제, 등에 나는 부스럼 또는 종기 등 피부질병을 치료하는 소염제로 사용하였고, 동의보감에 의하면 그 성질은 달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고 한다. 맥반석은 1㎤당 3~15만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이 암석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청은 그 제조과정의 중간 단계에서 살균작용, 이온 교환작용, 유해물질 제거 및 중금속 분해작용 등을 수행하기 위해 고온으로 가열된 맥반석을 과일청 혼합액에 넣어 소정의 시간 동안 방치한다. 약 30분의 시간 동안 맥반석의 고온에 의해 과일청 혼합물이 살균되는 것 이외에도 오염물질, 세균, 중금속 등을 흡착. 분해하는 작용을 하고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건강 성분을 증진시킬 수 있다.
고온이 맥반석 살균으로 인해 기능성 과일청은 유해성분의 중화, 항균 기능이 증가될 수 있다.
맥반석 살균으로 인해 인체에 활력을 주는 40여종 이상의 미네랄이 용출되어 신진대사와 피부건강 관리에 매우 효과가 좋아질 수 있으며, 맥반석이 산성이나 강알칼리성 물을 약알칼리성(pH 7.2-7.4)으로 조절하며 수질을 활성화시켜 정수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과일청 내의 물의 연도 및 경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맥반석을 물에 담그면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 Biochemical Oxygen Demand) 및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Chemical Oxgen Demand)이 감소하여 과일청의 방부작용은 물론 활성화에 따른 생체에 활력을 줄 수 있다. 맥반석에서 나오는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과일청 내의 공명. 공진. 흡수작용 등으로 과일청의 선도가 유지될 수 있고, 과일청 맛의 증가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등에 대한 기능이 증진될 수 있다.
한편, S3 단계에서의 과일청 혼합물에 고온으로 가열된 맥반석을 그대로 침지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살균하는 방법 이외에, 도 2에서는 S4 단계에서의 맥반석을 이용한 살균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 중에서 하나의 예를 들어 도시한다.
도 2와 같은 살균 및 여과 장치(10)를 통과하게 하여 살균과 이물질 제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맥반석을 이용한 살균 및 여과장치(10)는 액체가 들어오는 유입구와 살균 및 여과가 된 후의 액체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여과 망 또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여과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의 여과 망 또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여과장치(30)는 살균 및 여과장치(10)와 분리 가능하므로 그 사이에 고온으로 가열된 맥반석(20)을 배치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고온의 맥반석(20)이 배치된 살균 및 여과장치(10)의 유입구에 S3 단계에서 제조된 과일청 혼합물(40)을 유입시켜 과일청 혼합물(40)이 맥반석으로 흘러가게 할 수 있다.
과일청 혼합물(40)은 주재료인 과일과 설탕류에 의해 어느 정도 점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서히 흘러내리면서 고온으로 가열된 맥반석 사이의 공간을 통해 빠져나오면서 동시에 살균과정을 거칠 수 있다.
과일청 혼합물(40)이 고온의 맥반석 사이를 통과하는 힘은 중력일 수 있지만, 유출구나 별도의 압력제어장치를 통해 작위적으로 점도성 있는 과일청 혼합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 및 여과장치(10)에서 여과 망 또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여과장치(30)의 재료, 구조나 형태, 홀의 개수 등에 따라 과일청 혼합물(40)의 여과되는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살균 및 여과장치(10)의 크기나 직경, 여과 망 또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여과장치(30) 사이의 간격, 그 사이에 배치되는 고온의 맥반석(20)의 온도 또는 개수 등에 따라 과일청 혼합물을 살균 및 여과장치(10)를 통과하게 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살균 및 여과장치(10)의 유출구를 통해 살균 및 여과된 과일청 혼합물을 S5 단계로 이어져 이후의 제조단계를 거칠 수 있다.
S5 단계에서 이전 단계에서 생성된 과일청 혼합물을 13일 내지 20일 동안 1차 숙성시킬 수 있다.
1차 숙성 기간 동안의 숙성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0 내지 25℃의 실온이거나 또는 15 내지 20℃의 서늘한 온도가 바람직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14일 내지 20일 동안의 1차 숙성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혼합물에 포함된 맥반석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물질은 주로 과일 껍질이나 과육 옆의 흰 속껍질 부분으로서 과일청의 쓴맛을 내게 하는 성분이다. 이물질 제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입경을 가지는 망이나 체에 걸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S6 단계는 상기 S5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유산균 및/또는 효소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고 2일 내지 5일 동안 2차 숙성시키는 것이다.
2차 숙성 기간 동안의 숙성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5 내지 20℃의 저온 숙성이 바람직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2일 내지 5일 동안의 2차 숙성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완성된 과일청을 포장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유산균 또는 효소제 어느 하나만일 수도 있고,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프로바이오틱스 성분들이면 족할 것이다.
상기 유산균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Lactobacillus, Lactococcus, Enterococcus, Streptococcus, Bifidobacterium 등의 유산균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피더스박테리움 유산균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중 효소제는 아밀라아제, 셀룰라아제, 프로테아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당질분해효소, 지질분해효소, 단백질분해효소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혼합하여 조제된 효소제이거나 이들을 모두 혼합하여 조제한 효소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산균 및 상기 효소제 각각은 상기 S1 내지 S5 단계를 거친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0.03 내지 0.05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청에 유산균 및/또는 효소제를 포함함으로써 건강식품으로서 효능이 추가되어 다양한 건강활성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모두 거친 후에 S7 단계에서 제조가 완성된 과일청을 멸균 살균된 제품 용기에 담아 포장하여 출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청은 상기 게시된 과일청 제조방법의 일 실시태양으로부터 제조될 뿐만 아니라, 상기 게시된 과일청 제조방법에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로부터 제조된 과일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청에 혼합되는 재료들의 중량비는 다양한 실시예로 조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표의 형태와 같은 혼합비를 가질 수 있다.
과일 (각종) 46 kg
노니 1 kg
두충 1 kg
브로콜리 0.5 kg
미나리 0.2 kg
해조류(특히 미역) 0.2 kg
마늘 0.5 kg
녹차가루 0.5 kg
설탕 50 kg
유산균 0.05 kg
효소제 0.05 kg
총합 100 kg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과일류를 세척하여 준비하는 제1 단계,
    노니, 두충, 브로콜리, 미나리, 해조류, 마늘, 및 녹차를 각각 건조하여 소정의 입경을 가지는 분말 혼합재로 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과일류, 상기 분말 혼합재, 및 설탕류를 혼합하고, 고온의 맥반석이 배치된 여과기를 통과하여 살균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13일 내지 20일 동안 1차 숙성시킨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를 거친 혼합물에 유산균 및/또는 효소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혼합하고 2일 내지 5일 동안 2차 숙성시키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5 단계를 거친 최종 혼합액을 살균된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말 혼합재는, 과일류 100중량부 대비 노니 2 내지 2.5 중량부, 두충 2 내지 2.5 중량부, 브로콜리 1 내지 1.2 중량부, 미나리 0.3 내지 0.5 중량부, 해조류 0.3 내지 0.5 중량부, 마늘 1 내지 1.2 중량부, 및 녹차 1 내지 1.2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청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류는 딸기, 사과, 감귤, 자몽, 레몬, 오렌지, 포도, 청포도, 블루베리, 라즈베리, 및 매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청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해조류는 미역, 다시마, 톳, 김, 파래, 마자반, 청각, 및 우뭇가사리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청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혼합재의 입경은 100 내지 120 메쉬(mesh)의 망을 통과하는 입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청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과일류 및 상기 설탕류는 동일한 중량이거나, 상기 설탕류는 상기 과일류와 분말 혼합재를 합친 중량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10% 증가된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청 제조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의 맥반석의 온도는 110 내지 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청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및 상기 효소제 각각은 상기 제4 단계를 거친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0.03 내지 0.05중량부이고, 상기 효소제는 당 분해효소, 지질 분해효소, 및 단백질 분해효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청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과일청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과일청.
KR1020190076737A 2019-06-27 2019-06-27 과일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8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737A KR102058479B1 (ko) 2019-06-27 2019-06-27 과일청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737A KR102058479B1 (ko) 2019-06-27 2019-06-27 과일청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479B1 true KR102058479B1 (ko) 2020-01-28

Family

ID=6937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737A KR102058479B1 (ko) 2019-06-27 2019-06-27 과일청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4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475B1 (ko) * 2020-05-29 2020-12-15 유구열 노니청 및 그 제조방법
KR102523536B1 (ko) 2022-10-28 2023-04-19 이종희 껍질을 포함하는 과일청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3950A (ko) 2021-12-20 2023-06-27 정갑인 국화꽃 추출물을 첨가한 자몽청 제조방법
KR102610704B1 (ko) 2023-07-17 2023-12-08 주식회사 이안스푸드글로벌 바질씨앗이 함유된 샤인머스켓청의 제조방법
KR20230168996A (ko) 2023-07-17 2023-12-15 주식회사 이안스푸드글로벌 바질씨앗이 함유된 샤인머스켓청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08A (ko) * 2000-04-04 2001-10-31 임선준 감귤류 분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24506A (ko) * 2013-08-27 2015-03-09 들꽃효소마을영농조합법인 구절초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3036A (ko) * 2016-03-30 2017-10-12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성마리오 농장 증진된 기호성과 생리활성물질을 갖는 산야초, 기능성 채소 및 사탕수수 당밀의 혼합발효 조성물
KR101985666B1 (ko) * 2018-11-15 2019-06-04 오용환 노니를 주성분으로 하는 노니청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08A (ko) * 2000-04-04 2001-10-31 임선준 감귤류 분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24506A (ko) * 2013-08-27 2015-03-09 들꽃효소마을영농조합법인 구절초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3036A (ko) * 2016-03-30 2017-10-12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성마리오 농장 증진된 기호성과 생리활성물질을 갖는 산야초, 기능성 채소 및 사탕수수 당밀의 혼합발효 조성물
KR101985666B1 (ko) * 2018-11-15 2019-06-04 오용환 노니를 주성분으로 하는 노니청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475B1 (ko) * 2020-05-29 2020-12-15 유구열 노니청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3950A (ko) 2021-12-20 2023-06-27 정갑인 국화꽃 추출물을 첨가한 자몽청 제조방법
KR102523536B1 (ko) 2022-10-28 2023-04-19 이종희 껍질을 포함하는 과일청 및 그 제조방법
KR102610704B1 (ko) 2023-07-17 2023-12-08 주식회사 이안스푸드글로벌 바질씨앗이 함유된 샤인머스켓청의 제조방법
KR20230168996A (ko) 2023-07-17 2023-12-15 주식회사 이안스푸드글로벌 바질씨앗이 함유된 샤인머스켓청의 제조방법
KR20230169875A (ko) 2023-07-17 2023-12-18 주식회사 이안스푸드글로벌 바질씨앗이 함유된 샤인머스켓청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479B1 (ko) 과일청 및 그의 제조방법
JP4521447B2 (ja) 酵素含有の健康食品の製造方法及び健康食品
KR101938315B1 (ko)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균주를 이용한 건강 식음료 제조방법과 그 식음료
KR101773249B1 (ko) 꾸지뽕 나무의 잎과 열매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꾸지뽕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CN106509582A (zh) 一种保健泡腾片及其制备方法
KR20150098525A (ko) 숙취해소 및 간 보호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식품첨가제
WO2013191587A2 (ru)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energy + k"
KR101981062B1 (ko) 생강과 울금을 함유하는 곡물당, 과일잼 또는 과일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곡물당, 과일잼 또는 과일시럽
KR20160065497A (ko) 숙취 해소용 음료의 제조 방법 및 숙취 해소용 음료
KR101872128B1 (ko) 면역 증진용 발효 양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KR20050012203A (ko) 천식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10800852A (zh) 一种去油脂的山楂荷叶茶饮品及制备方法
KR101898476B1 (ko) 효소분해 과채음료 제조방법
CN105285603A (zh) 一种火龙果饮料
KR101837158B1 (ko) 미강 발효물을 이용한 연육소스 및 그 제조방법
CN105124670B (zh) 一种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585406B1 (ko) 버섯차 제조방법
KR101950983B1 (ko) 엘더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EP3509430B1 (en) Herbal beverage and method of its preparation
KR20170125191A (ko) 아로니아 베리를 이용한 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616122A (zh) 一种具有抗菌消炎功能的蔬菜饮料及其制作方法
CN107279957B (zh) 一种银杏香菇酱及其制备方法
KR20150062553A (ko) 씀바귀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씀바귀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0639912B1 (ko) 무와 호박 성분을 함유하는 환의 제조 방법
KR101596418B1 (ko) 장어를 주원료로 한 피로회복 및 면역력 개선용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