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092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092B1
KR102020092B1 KR1020157001754A KR20157001754A KR102020092B1 KR 102020092 B1 KR102020092 B1 KR 102020092B1 KR 1020157001754 A KR1020157001754 A KR 1020157001754A KR 20157001754 A KR20157001754 A KR 20157001754A KR 102020092 B1 KR102020092 B1 KR 102020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antenna
operation knob
holder
slid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197A (ko
Inventor
도시노리 기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ublication of KR2015003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02N11/0807Remot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active tags, i.e. provided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in passive tags, i.e. deriving power from RF 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4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7Circuits for remote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홀더(2)와, 표시부 2를 갖고 홀더(2)에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 노브(3)와, 링형상의 코일 안테나(15)와, 조작 노브(3)의 조작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배치된 회로 기판(7)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7)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 노브(3)의 표시부를 조명하는 LED(광원)(11, 12)와, 상기 조작 노브(3)와 일체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상기 홀더(2)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LED(11, 12)의 도광 경로가 형성된 슬라이더(5)를 설치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15)를 그 중앙축선이 상기 조작 노브(3)의 작동 중심선에 대해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더(5)의 도광 경로 및 상기 조작 노브(3)의 표시부를 상기 코일 안테나(15)의 중앙 구멍에 대향시켜 배치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등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차량에는, 휴대기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ID 신호에 의해서 엔진을 시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스마트 점화 시스템(smart ignition system)을 탑재한 것이 있다. 이 스마트 점화 시스템에서는, 차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를 조작하면, 차량의 인증 장치로부터 휴대기를 향해 리퀘스트 신호가 송신된다. 그리고, 이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 휴대기로부터는 차량의 인증 장치에 대해 자기의 ID 신호가 송신된다. 차량의 인증 장치는, 수신한 ID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대조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인증 OK로서 엔진을 시동 가능하게 해,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엔진이 시동된다.
상기 스마트 점화 시스템에서는, 휴대기의 전지 등이 소모되어 통신 불능이 된 경우의 보조 통신 수단으로서, 휴대기에 있어서 전지 등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차량의 인증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트랜스폰더 통신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이 트랜스폰더 통신 기능은, 차량의 인증 장치에 설치된 코일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기동 전파를 휴대기가 수신하면, 휴대기의 트랜스폰더 내의 코일부에 의해서 기전력이 발생하고, 그 전력에 의해서 차량의 인증 장치를 향해 ID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차량의 인증 장치와 휴대기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트랜스폰더 통신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차량의 코일 안테나에 휴대기를 근접시킨 상태로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있고, 이 경우에, 코일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사용자에 대해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의 근방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코일 안테나의 배치에 관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도 8의 파단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안테나(115)를 스위치 장치(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101)의 조작 노브(103)의 반경 방향 외방으로 배치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도 9의 측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노브(203)의 내연을 따라서 코일 안테나(215)를 배치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705317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표 2011-525455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있어서 제안된 도 8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코일 안테나(115)가 조작 노브(103)의 반경 방향 외방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101)의 외형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 있어서 제안된 도 9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코일 안테나(215)가 조작 노브(203)의 내연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 안테나(215)가 조작 노브(20)의 표시부의 조명의 장해가 되어, 표시부를 조작 노브(203)의 중앙에 배치하지 않을 수 없어, 디자인의 자유도에 제약을 받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조작 노브의 표시부의 조명에 높은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홀더와, 표시부를 갖고 상기 홀더에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 노브와, 외부의 휴대기를 작동시키는 기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링형상의 코일 안테나와, 상기 코일 안테나를 외부의 전기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부 및 상기 조작 노브의 조작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배치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 노브의 표시부를 조명하는 광원과,
상기 조작 노브와 일체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상기 홀더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광원의 도광 경로가 형성된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를 그 중앙축선이 상기 조작 노브의 작동 중심선에 대해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더의 도광 경로 및 상기 조작 노브의 표시부를 상기 코일 안테나의 중앙 구멍에 대향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상기 홀더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상기 조작 노브의 이면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코일 안테나의 일부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을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타원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반원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편평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의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외주연의 일변측을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배치하고, 그 외주연의 타변측을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내주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코일 안테나를 그 중앙축선이 조작 노브의 작동 중심선에 대해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함과 더불어, 슬라이더의 도광 경로 및 조작 노브의 표시부를 코일 안테나의 중앙 구멍에 대향시켜 배치했으므로, 코일 안테나의 외경을 작게 해도 상기 코일 안테나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는 일이 없고, 상기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조작 노브의 표시부의 조명에 높은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코일 안테나를 홀더에 고정했기 때문에, 조작 노브와 슬라이더의 진퇴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코일 안테나와 회로 기판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기에 가까운 조작 노브의 이면에 코일 안테나를 고정했기 때문에, 상기 코일 안테나와 휴대기의 통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코일 안테나와의 간섭을 피해 슬라이더의 진퇴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코일 안테나의 일부를 관통시켰기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인 관통 구멍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코일 안테나의 일부를 합리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스위치 장치의 소형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코일 안테나의 형상을 조명 구조에 맞게 바꿈으로써, 상기 코일 안테나의 통신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조명 구조에 높은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코일 안테나의 외주연 중, 소정의 스페이스가 필요한 일변측이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코일 안테나를 오프셋시켜 배치함으로써, 코일 안테나의 외경을 크게 하지 않고, 조작 노브의 표시부의 조명에 높은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코일 안테나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코일 안테나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8은 특허 문헌 1에 있어서 제안된 스위치 장치의 파단 측면도이다.
도 9는 특허 문헌 2에 있어서 제안된 스위치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이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 장치(1)는, 스마트 점화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의 홀더(2)의 내부에는, 조작 노브(3), 안테나 홀더(4), 슬라이더(5), 러버 컨택(6) 및 회로 기판(7)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홀더(2), 조작 노브(3), 안테나 홀더(4), 슬라이더(5) 및 회로 기판(7)은 비도전성의 수지에 의해서 각각 일체 성형되고, 러버 컨택(6)은 비도전성 고무에 의해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2의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이라고 기재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의 내주의 하부와 좌우의 합계 3개소(도 4에는 2개소만 도시)에는, 가이드 홈(2a)이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2)의 전단부 외주 4개소에는 걸어맞춤 돌기(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4에는 3개소만 도시). 또, 홀더(2)의 후단부의 상하에는 직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2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4에는 한쪽(상방)만 도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의 후단 개구부에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커버(8)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8)의 하부에는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통형상의 커넥터(9)가 삽입 통과 유지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8)의 상하의 평탄면에는 걸어맞춤 돌기(8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커버(8)의 내주의 상하 및 좌우의 합계 4개소에는 가이드 홈(8b)이 전후 방향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4에는 3개소만 도시). 커넥터(9)의 외주의 상하 및 좌우의 합계 4개소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가이드 레일(9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4에는 3개소만 도시).
커넥터(9)가 커버(8)에 삽입 통과 유지된 상태에서는, 커넥터(9)의 외주의 4개소에 세워져 설치된 가이드 레일(9a)이, 커버(8)의 내주의 합계 4개소에 형성된 가이드 홈(8b)에 끼워맞춰진다. 또, 커버(8)가 홀더(2)에 피착되어 그 후단 개구부를 덮은 상태에서는, 커버(8)가 홀더(2)의 후단부 내주에 끼워넣어지고, 그 상하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8a)가 홀더(2)의 후단부의 상하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2c)에 걸어맞춰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8)와 커넥터(9)는 비도전성 수지에 의해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커넥터(9)에는 횡방향으로 5열, 상하에 2단으로 배열된 합계 10개의 금속제의 접속 단자(10)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 통과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 내의 후단부 근방에는 격벽(2A)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2A)과 커버(8) 사이에는, 서로 접합된 러버 컨택(6)과 회로 기판(7)이 수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기판(7)은 대략 원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회로 기판(7)의 전면의 폭방향 중앙 상부에는 광원인 2개의 LED(11)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들 LED(11)의 하방에는 동일하게 광원인 1개의 LED(12)가 배치되어 있다. LED(11)의 좌우 상하에는 삽입 구멍(7a)과 고정 접점(13)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7)의 폭방향 중앙 하부에는 합계 10개의 삽입 구멍(7b)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7b)에는, 커넥터(9)의 합계 10개의 접속 단자(10)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도 2 참조).
또, 러버 컨택(6)의 폭방향 중앙 상부(회로 기판(7)의 LED(1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 형상이고 박육인 투광부(6a)가 형성되어 있다. 러버 컨택(6)의 하부(회로 기판(7)의 LED(12)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횡방향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연장되는 개구 창(6b)이 형성되어 있다. 러버 컨택(6)의 투광부(6a)의 좌우(회로 기판(7)에 배치된 고정 접점(13)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검지 수단인 스위치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러버 컨택(6)의 개구 창(6b)의 하방에는 직사각형 주머니형상의 볼록부(6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6c)는, 커넥터(9)에 설치한 합계 10개의 접속 단자(1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러버 컨택(6)의 반대측의 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팽출시킨 것이다. 러버 컨택(6)에 설치한 좌우의 각 스위치부(14)는 돔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각 스위치부(14)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부(14)가 가압되어 도시하지 않은 가동 접점과 회로 기판(7)의 고정 접점(13)이 닫히면, 양자가 도통하여 스위치부(14)가 ON 상태가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 내의 후단부 근방에 형성된 격벽(2A)의 LED(11, 12)에 대향하는 상하의 위치에는, 직사각형 통형상의 도광 파이프(2d, 2e)가 전방(도 2의 좌방)을 향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광 파이프(2d, 2e)는, 각 LED(11, 12)로부터 전방을 향해 출사되는 조명광의 도광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슬라이더(5)는, 홀더(2) 내에 전후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는 부재이다. 슬라이더(5)의 외주면의 좌우와 하부의 합계 3개소(도 3 참조)에는 가이드 레일(5a)이 길이 방향(전후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5)의 전단부 외주의 좌우와 하부의 합계 3개소에는 걸어맞춤 돌기(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4에는 1개소만 도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5)의 상면의 폭방향 중앙에는 직사각형 통형상의 렌즈 수납부(5c)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5)의 하방에는 직사각형 통형상의 도광 가이드(5d)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5)의 하부의 전반 부분에는, 전방과 좌우가 개구하는 관통 구멍(5e)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5)의 상부 후단의 좌우에는 블록형상의 스위치 조작부(5f)가 후방을 향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 조작부(5f)는, 러버 컨택(6)에 배치된 좌우의 스위치부(14)에 맞닿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5)의 도광 가이드(5d)와 이에 개구하는 홀더(2)의 도광 파이프(2e)는, LED(12)로부터의 광을 전방의 조작 노브(3)로 유도하는 도광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 내에는 링형상의 코일 안테나(15)가 안테나 홀더(4)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코일 안테나(15)는, 링형상의 안테나 홀더(4)의 외주에 형성된 홈에 안테나선을 권회한 구성이며, 운전자가 소유하는 외부의 휴대기를 작동시키는 기동 전파를 송신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의 접속 단자(16)의 일단은, 안테나 홀더(4)의 상부 좌우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2개의 돌출부(4a) 내에 설치되고, 코일선의 단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접속 단자(16)의 타단(선단)은, 회로 기판(7)의 상부 좌우에 형성된 삽입 구멍(7a)에 각각 삽입되어 회로 기판(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코일 안테나(15)는, 좌우 2개의 접속 단자(16)를 통해 회로 기판(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안테나(15)와, 이것을 유지하는 안테나 홀더(4)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홀더(4)와 코일 안테나(15)는, 그 중앙(중심)축선(C1)이 조작 노브(3)(도 1 참조)의 작동 중심선(C2)에 대해 수직 방향 상방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되고, 그 일부는 슬라이더(5)에 형성된 관통 구멍(5e) 내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안테나(15)의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외주연의 한쪽(도 3의 상방측)은 조작 노브(3)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하고, 그 외주연의 다른쪽(도 3의 하방측)은 조작 노브(3)의 외연보다도 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5)에 형성된 관통 구멍(5e)에, 코일 안테나(15)와 안테나 홀더(4)의 일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슬라이더(5)가 전후방향의 진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5)의 전단에는 원판형상의 조작 노브(3)가 고정되고, 양자는 홀더(2)의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슬라이드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노브(3)의 외주 3개소로부터 걸어맞춤편(3A)이 후방을 향해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4에는 2개소만 도시). 걸어맞춤편(3A)에는 직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노브(3)의 표면에는 「START STOP ENGINE」이라는 문자 표시부(3B)와, 점등하는 인디케이터 표시부(3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표시부(3C)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형상의 개구 창(3b)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5)의 전단 외주로의 조작 노브(3)의 장착은, 조작 노브(3)의 걸어맞춤편(3A)을 슬라이더(5)의 전단 외주에 끼워맞추고, 걸어맞춤편(3A)에 형성된 3개의 걸어맞춤 구멍(3a)에 슬라이더(5)의 전단 외주의 3개소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5b)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착된 조작 노브(3)와 슬라이더(5)는, 슬라이더(5)의 외주에 형성된 3개의 가이드 레일(5a)을 홀더(2)의 내주에 형성된 3개의 가이드 홈(2a)에 맞춘 상태로, 슬라이더(5)를 홀더(2)의 내부에 전방에서부터 끼워넣음으로써, 홀더(2)의 가이드 홈(2a)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다.
슬라이더(5)에 형성된 렌즈 수납부(5c)에는 도광용의 가늘고 긴 인디케이터 렌즈(17)가 끼워넣어져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렌즈(17)의 전단부는 조작 노브(3)에 형성된 개구 창(3b)에 끼워넣어지고, 조작 노브(3)와 함께 차 실내에 노출되어 있다. 또, 인디케이터 렌즈(17)의 후단부는, 홀더(2)의 격벽(2A)에 형성된 도광 파이프(2d)에 삽입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렌즈(17)와 도광 파이프(2d)로, LED(11)로부터의 광을 전방의 조작 노브(3)로 유도하는 도광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11, 12)로부터의 광을 전방의 조작 노브(3)로 유도하기 위해서 슬라이더(5)에 형성된 도광 경로와, 조작 노브(3)의 문자 표시부(3B) 및 인디케이터 표시부(3C)는, 타원 형상을 이루는 코일 안테나(15)와 안테나 홀더(4)의 중앙 구멍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노브(3)가 슬라이더(5)에 끼워맞춰져 홀더(2)에 수용된 후, 홀더(2)의 전단부 외주에 수지에 의해서 링형상으로 성형된 베젤(18)이 끼워넣어진다. 베젤(18)의 상하 좌우에는 합계 4개의 걸어맞춤편(18A)이 각각 후방을 향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편(18A)에는 직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18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베젤(18)은, 각 걸어맞춤편(18A)을 홀더(2)의 외주에 전방에서부터 각각 끼워넣고, 각 걸어맞춤편(18A)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18a)에 홀더(2)의 외주의 둘레방향 4개소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2b)를 걸어맞춤으로써 홀더(2)의 전단부 외주에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장치(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운전자가 조작 노브(3)를 조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위치 장치(1)는 비동작 상태에 있다. 이 비동작 상태에서는, 조작 노브(3)와 일체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5)의 후단에 수평하게 돌출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스위치 조작부(5f)는, 러버 컨택(6)의 스위치부(14)를 가압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스위치부(14)의 가동 접점이 회로 기판(7)측의 고정 접점(13)에 접촉하지 않는 비도통 상태가 되어, 스위치부(14)는 OFF 상태가 된다.
스위치부(14)의 OFF 상태에서 조작 노브(3)를 밀어넣으면, 조작 노브(3)와 함께 슬라이더(5)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슬라이더(5)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스위치 조작부(5f)가 러버 컨택(6)의 스위치부(14)를 밀어넣는다. 이 결과, 각 스위치부(14)의 가동 접점이 회로 기판(7)측의 고정 접점(13)에 접촉하여 양자가 도통하여, 2개의 스위치부(14)가 동시에 ON 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 노브(3)를 가압 조작하여 스위치부(14)를 ON/OFF 조작하면, 회로 기판(7) 상의 LED(11)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이 광은 홀더(2)의 도광 파이프(2d) 및 인디케이터 렌즈(17)를 통과하여 조작 노브(3)의 개구 창(3b)으로부터 발광하여 인디케이터 표시부(3C)를 점등시킨다. 또, 야간 등에 있어서는, 회로 기판(7) 상의 LED(12)가 구동되어, LED(12)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이 홀더(2)의 도광 파이프(2e)와 슬라이더(5)의 도광 가이드(5d)로부터 구성되는 도광 경로를 거쳐 조작 노브(3)에 도달하여, 조작 노브(3)의 문자 표시부(3B)를 조명한다.
엔진의 정지 중에, 회로 기판(7)의 2개의 스위치부(14)가 동시에 ON 상태가 되면, 차량의 인증 장치는, 차 실내에 배치된 송수신 장치의 안테나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리퀘스트 신호를 차 실내로 송신한다. 휴대기(도시하지 않음)는 송수신부에서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인증 장치를 향해 ID 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에, 차량의 인증 장치는, 코일 안테나(15)로부터 수신한 ID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대조한다. ID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엔진이 시동하고 있지 않으면, 인증 OK로서 엔진을 시동시키는 한편, 이미 엔진이 시동되어 있으면 이것을 정지시킨다.
그 후, 스위치 장치(1)의 조작 노브(3)로부터 손을 떼면, 러버 컨택(6)의 스위치부(1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조작 노브(3)가 도 2에 나타낸 원래의 비조작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때문에, 조작 노브(3)의 스위치 조작부(5f)가 스위치부(14)로부터 떨어져 스위치부(14)가 OFF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위치 장치(1)에 의하면, 코일 안테나(15)를 그 중앙(중심)축선(C1)이 조작 노브(3)의 작동 중심선(C2)에 대해 수직 방향 상방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함과 더불어, 슬라이더(5)의 도광 경로 및 조작 노브(3)의 문자 표시부(3B)와 인디케이터 표시부(3C)를 코일 안테나(15)의 중앙 구멍에 대향시켜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코일 안테나(15)의 외경을 작게 해도, 이 코일 안테나(14)가 LED(11, 12)로부터의 광을 차단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스위치 장치(1)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조작 노브(3)의 문자 표시부(3B)와 인디케이터 표시부(3C)의 조명에 높은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코일 안테나(15)의 외주연 중, 소정의 스페이스가 필요한 한쪽(도 3의 상방측)이 조작 노브(3)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이 코일 안테나(15)를 오프셋시켜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코일 안테나(15)의 외경을 크게 하지 않고, 조작 노브(3)의 문자 표시부(3B) 및 인디케이터 표시부(3C)의 조명에 높은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일 안테나(15)를 안테나 홀더(4)를 통해 홀더(2)에 고정했기 때문에, 조작 노브(3)와 슬라이더(5)의 진퇴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코일 안테나(15)와 회로 기판(7)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안테나(15) 및 안테나 홀더(4)의 간섭을 피해 슬라이더(5)의 진퇴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이 슬라이더(5)에 형성된 관통 구멍(5e)에 코일 안테나(15) 및 안테나 홀더(4)의 일부를 위치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인 관통 구멍(5e)을 이용할 수 있어, 스위치 장치(1)의 소형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안테나(15)를 그 중앙(중심)축선(C1)이 조작 노브(3)의 작동 중심선(C2)에 대해 수직 방향 상방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된 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코일 안테나(15)의 오프셋 방향은 하방 혹은 좌우의 어느 방향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코일 안테나(15)를 그 중앙(중심)축선(C1)이 조작 노브(3)의 작동 중심선(C2)에 대해 수직 방향 하방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한 경우, 스위치 장치(1)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었을 때나, 사용자가 카드형 휴대기를 소지한 채로 조작 노브(3)를 조작하는 것을 상정했을 때의 코일 안테나(15)와 휴대기의 통신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안테나(15)를 안테나 홀더(4)를 통해 홀더(2)에 고정했는데, 도 5의 측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안테나(15)를 안테나 홀더(4)를 통해 조작 노브(3)의 이면에 고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기에 가까운 조작 노브(3)의 이면에 코일 안테나(15)가 위치하고, 코일 안테나(15)와 휴대기의 통신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안테나(15) 및 이것을 유지하는 안테나 홀더(4)를 타원 형상으로 했는데, 다음과 같이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안테나(15)와 안테나 홀더(4)를 반원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안테나(15)와 안테나 홀더(4)를, 편평 형상, 혹은 도시하지 않으나 진원 링형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들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코일 안테나(15)를 그 중앙(중심)축선(C1)이 조작 노브(3)의 작동 중심선(C2)에 대해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라도 상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은 본 발명을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로서의 스위치 장치에 대해 적용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동종의 구성을 갖는 다른 임의의 스위치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스위치 장치
2:홀더
2A:홀더의 격벽
2a:홀더의 가이드 홈
2b:홀더의 걸어맞춤 돌기
2c:홀더의 걸어맞춤 구멍
2d, 2e:홀더의 도광 파이프
3:조작 노브
3A:조작 노브의 걸어맞춤편
3B:조작 노브의 문자 표시부
3C:조작 노브의 인디케이터 표시부
3a:조작 노브의 걸어맞춤 구멍
3b:조작 노브의 개구 창
4:안테나 홀더
4a:안테나 홀더의 돌출부
5:슬라이더
5a:슬라이더의 가이드 레일
5b:슬라이더의 걸어맞춤 돌기
5c:슬라이더의 렌즈 수납부
5d:슬라이더의 도광 가이드
5e:슬라이더의 관통 구멍
5f:슬라이더의 스위치 조작부
6:러버 컨택
6a:러버 컨택의 투광부
6b:러버 컨택의 개구 창
6c:러버 컨택의 볼록부
7:회로 기판
7a, 7b:회로 기판의 삽입 구멍
8:커버
8a:커버의 걸어맞춤 돌기
8b:커버의 가이드 홈
9:커넥터
9a:커넥터의 가이드 레일
10:접속 단자
11, 12:LED(광원)
13:고정 접점
14:스위치부(검지 수단)
15:코일 안테나
16:접속 단자
17:인디케이터 렌즈
18:베젤
18A:베젤의 걸어맞춤편
18a:베젤의 걸어맞춤 구멍

Claims (9)

  1. 홀더와, 표시부를 갖고 상기 홀더에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 노브와, 외부의 휴대기를 작동시키는 기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링형상의 코일 안테나와, 상기 코일 안테나를 외부의 전기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부 및 상기 조작 노브의 조작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배치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 노브의 표시부를 조명하는 광원과,
    상기 조작 노브와 일체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상기 홀더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광원의 도광 경로가 형성된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를 상기 코일 안테나의 중앙축선이 상기 조작 노브의 작동 중심선에 대해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더의 도광 경로 및 상기 조작 노브의 표시부를 상기 코일 안테나의 중앙 구멍에 대향시켜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코일 안테나의 일부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을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상기 홀더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상기 조작 노브의 이면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타원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반원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를 편평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테나의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외주연의 일변측을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배치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의 반경방향으로 이분한 외주연의 타변측을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내주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9. 홀더와, 표시부를 갖고 상기 홀더에 진퇴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 노브와, 외부의 휴대기를 작동시키는 기동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링형상의 코일 안테나와, 상기 코일 안테나를 외부의 전기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부 및 상기 조작 노브의 조작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이 배치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 노브의 표시부를 조명하는 광원과,
    상기 조작 노브와 일체적으로 진퇴 가능하게 상기 홀더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광원의 도광 경로가 형성된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를 상기 코일 안테나의 중앙축선이 상기 조작 노브의 작동 중심선에 대해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더의 도광 경로 및 상기 조작 노브의 표시부를 상기 코일 안테나의 중앙 구멍에 대향시켜 배치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의 반경 방향으로 이분한 외주연의 일변측을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외주측에 배치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의 반경방향으로 이분한 외주연의 타변측을 상기 조작 노브의 외연보다도 내주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57001754A 2012-07-25 2013-07-12 스위치 장치 KR102020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4546 2012-07-25
JP2012164546 2012-07-25
PCT/JP2013/069194 WO2014017324A1 (ja) 2012-07-25 2013-07-12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197A KR20150034197A (ko) 2015-04-02
KR102020092B1 true KR102020092B1 (ko) 2019-09-09

Family

ID=4999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754A KR102020092B1 (ko) 2012-07-25 2013-07-12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12530B2 (ko)
JP (1) JP6230536B2 (ko)
KR (1) KR102020092B1 (ko)
CN (1) CN104487701B (ko)
DE (1) DE112013003685B4 (ko)
WO (1) WO2014017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325A1 (ja) * 2012-07-25 2014-01-30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JP6230536B2 (ja) * 2012-07-25 2017-11-15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KR101327020B1 (ko) * 2012-09-21 2013-11-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버튼식 시동 장치
JP5749754B2 (ja) 2013-02-13 2015-07-15 東洋電装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KR20150002590U (ko) * 2013-12-24 2015-07-02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의 버튼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JP5866425B2 (ja) * 2014-03-11 2016-02-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無線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JP6176733B2 (ja) * 2014-05-23 2017-08-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DE102015109668A1 (de) * 2014-06-18 2015-12-24 Remy Technologies, L.L.C. Anlasser
KR101670366B1 (ko) * 2015-01-14 2016-10-28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US10782188B2 (en) 2015-10-09 2020-09-22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Wireless control device having a faceplate with illuminated indicia
USD833978S1 (en) 2016-04-22 2018-11-20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Rail car power connector
US10199766B2 (en) * 2016-04-22 2019-02-05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Breakaway railcar power connector
US20180322273A1 (en) * 2017-05-04 2018-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ed starting authorization
JP6941023B2 (ja) * 2017-10-10 2021-09-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KR101974400B1 (ko) * 2018-03-09 2019-05-02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AU2019362025B2 (en) 2018-10-18 2022-09-08 Channel Products, Inc. Gas appliance ignition module
USD939456S1 (en) * 2019-10-18 2021-12-28 Channel Products, Inc. Gas appliance ignition switch
US11869737B2 (en) * 2021-12-08 2024-0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ush-button switch assembly and diagnosic methods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626A (ja) * 2009-09-11 2011-03-24 Panasonic Corp スイッチ装置
WO2011102284A1 (ja) 2010-02-17 2011-08-25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JP2011204508A (ja) 2010-03-26 2011-10-13 Yuhshin Co Ltd 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863A (ja) * 2002-02-20 2003-08-29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JP4705317B2 (ja) 2003-04-16 2011-06-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028455B1 (ko) * 2007-11-05 2011-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동버튼장치
DE102008035243B4 (de) 2008-07-29 2016-12-2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chalt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einer elektronischen Wegfahrsperre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r elektronischen Wegfahrsperre
JP5038267B2 (ja) 2008-09-01 2012-10-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ンジンスタータースイッチ装置
JP5187903B2 (ja) * 2009-02-16 2013-04-2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2011027085A (ja) 2009-07-29 2011-02-10 Honda Lock Mfg Co Ltd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KR200457863Y1 (ko) * 2009-10-28 2012-01-0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JP5537182B2 (ja) 2010-02-17 2014-07-02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US20120140457A1 (en) * 2010-12-06 2012-06-07 Mcquade Shayne Laurence Waterproof lens switch assembly for portable lighting unit
JP5876316B2 (ja) * 2012-02-07 2016-03-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携帯時計
JP6230536B2 (ja) * 2012-07-25 2017-11-15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626A (ja) * 2009-09-11 2011-03-24 Panasonic Corp スイッチ装置
WO2011102284A1 (ja) 2010-02-17 2011-08-25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JP2011204508A (ja) 2010-03-26 2011-10-13 Yuhshin Co Ltd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87701B (zh) 2017-03-08
DE112013003685T5 (de) 2015-04-30
CN104487701A (zh) 2015-04-01
US9412530B2 (en) 2016-08-09
KR20150034197A (ko) 2015-04-02
DE112013003685B4 (de) 2018-03-29
JPWO2014017324A1 (ja) 2016-07-11
US20150179366A1 (en) 2015-06-25
WO2014017324A1 (ja) 2014-01-30
JP6230536B2 (ja)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92B1 (ko) 스위치 장치
KR102017930B1 (ko) 스위치 장치
KR200457863Y1 (ko)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JP5749754B2 (ja) スイッチ装置
JP6607573B2 (ja) スイッチ装置
US20150233335A1 (en) Button-type car ignition system
JP5444075B2 (ja) スイッチ装置
JP5649829B2 (ja) スイッチ装置
JP6176733B2 (ja)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JP2014167260A (ja) スイッチ装置
KR20160112184A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장치
JP5317943B2 (ja) スイッチ装置
EP3118876B1 (en) Switch apparatus having wireless function
KR101707280B1 (ko) 스위치 장치 및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
JP6017349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50002590U (ko)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의 버튼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엔진 스타트/스톱 스위치
JP2013100818A (ja) エンジンのスタート・ストップスイッチ装置
KR101741407B1 (ko) 차량의 시동용 스위치 장치
JP2022143149A (ja) スイッチ装置
KR101332363B1 (ko) 무접점 구조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20170018255A (ko) 차량용 버튼 시동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