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366B1 -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366B1
KR101670366B1 KR1020150006913A KR20150006913A KR101670366B1 KR 101670366 B1 KR101670366 B1 KR 101670366B1 KR 1020150006913 A KR1020150006913 A KR 1020150006913A KR 20150006913 A KR20150006913 A KR 20150006913A KR 101670366 B1 KR101670366 B1 KR 101670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holder
light
knob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661A (ko
Inventor
심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5000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3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8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수분유입이 차단되는 자동차의 인디케이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빛을 생성하는 LED가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LED가 생성한 빛을 안내하는 라이트가이드가 배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를 통과한 빛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배치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라이트가이드 및 홀더 사이의 틈을 차단하는 차단돌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인디케이터{INDICATO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기기의 작동여부를 외부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자동차의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이동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한편, 스위치 장치는 운전자 내지 탑승자의 조작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램프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한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 또는 센터페시아 등에 장착된 시트 열선 기능의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경우, 이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시트 열선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가 작동하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해당 스위치 장치의 온/오프 상태가 인식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램프에 의한 빛은 특히 야간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누름 버튼 방식의 스위치 장치인 경우,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램프의 빛이 출사되는 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이 수행되는 버튼 노브에 일체로 형성된다.
최근에는 상기 램프는 광효율이 좋은 LED(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는 상기 LED의 빛을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는 라이트가이드가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노브 및 표시부 사이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될 경우, 상기 LED가 설치된 PCB(인쇄회로기판)까지 유입되어, 제품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분유입이 차단되는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빛을 생성하는 LED가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LED가 생성한 빛을 안내하는 라이트가이드가 배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를 통과한 빛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배치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라이트가이드 및 홀더 사이의 틈을 차단하는 차단돌기가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는, 라이트가이드에 형성된 차단돌기가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홀더 사이의 틈을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라이트가이드 및 노브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된 수분이, 상기 홀더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LED 및 기판이 수분에 의해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는, 케이스(10)와, 베이스(20)와, 기판(30)과, 기판(30)와, 홀더(50)와, 노브(6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 그 빈 내부공간에 기판(30)이 배치된다. 케이스(10)의 하측에는 베이스(20)가 결합된다. 케이스(10)의 하측은 개방되고, 베이스(20)는 개방된 케이스(10)의 하측을 덮으며 케이스(10)에 결합된다. 즉, 케이스(10) 및 베이스(20)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배치된 기판(30)을 보호한다.
케이스(10)의 빈 내부 공간에는 결합부재(40)가 더 배치된다. 결합부재(40)는 기판(30)의 상측에서 기판(30)을 덮으며 베이스(20)와 결합되어서, 기판(30)을 보호한다. 베이스(20)의 상측에 기판(30)을 올려놓은 후, 결합부재(40)로 기판(30)을 덮으면서 결합부재(40)를 베이스(20)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재(40)가 기판(30)을 베이스(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40)의 하측에는 결합돌기(42)가 형성되고, 기판(30)에는 결합돌기(42)가 관통하는 관통홀(32)이 형성되며, 베이스(20)에는 관통홀(32)을 통과한 결합돌기(4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22)이 형성된다. 즉, 결합부재(40)가 기판(30)의 상측에서 기판(30)을 덮으면서 베이스(20)에 결합되는 것은, 결합돌기(42)가 관통홀(32)을 관통한 후 결합홀(22)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판(30)은 베이스(20)에 의해 지지된 채로, 결합부재(40) 및 베이스(20) 사이에 배치된다. 기판(30)에는 빛을 생성하는 LED(34)가 배치된다. LED(34)는 기판(30)에 인쇄된 전기회로를 통해 전류가 공급되면 빛을 생성할 수 있다.
홀더(50)는 케이스(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홀더(50)의 상측에는 노브(60)가 결합된다. 사용자가 노브(60)를 누르게 되면, 홀더(50)는 케이스(10) 내로 삽입된다. 즉, 홀더(50) 및 노브(60)는 누름버튼 방식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한다.
노브(60)에는 LED(34)가 생성한 빛에 의해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62)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는, 시트에 설치된 열선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노브(60)를 누르면, LED(34)가 빛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빛에 의해 표시부(62)가 발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열선이 작동되고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홀더(50)에는 기판(30)에 배치된 LED(34)가 생성한 빛을 표시부(62)로 안내하는 라이트가이드(55)가 배치된다. 즉, LED(34)가 생성한 빛은 라이트가이드(55)를 통과하여 표시부(62)로 출사됨으로써, 표시부(62)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한다.
홀더(50)에는 라이트가이드(55)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56)가 형성되고, 노브(60)에는 라이트가이드(55)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66)가 형성된다. 라이트가이드(55)가 홀더(50)의 상측에서 제1 삽입부(56)로 삽입된 후, 노브(60)를 홀더(50)에 결합하면서 라이트가이드(55)의 상단을 제2 삽입부(66)로 삽입한다.
라이트가이드(55)에는 외측 둘레면에 차단돌기(55a)가 형성된다. 차단돌기(55a)는 라이트가이드(55)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차단돌기(55a)는 일측이 타측에 비해 라이트가이드(55)의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더 돌출될 수 있다. 차단돌기(55a)는 라이트가이드(55) 및 홀더(50) 사이의 틈을 차단하여서, 표시부(62) 및 노브(60)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된 수분이, 라이트가이드(55) 및 홀더(50) 사이의 틈을 통해 홀더(5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분이 기판(3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차단돌기(55a)는 홀더(50)의 상측에서 라이트가이드(55) 및 홀더(50) 사이의 틈을 차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돌기(55a)는 제1 삽입부(56)의 상측에 안착되어 라이트가이드(55) 및 제1 삽입부(56) 사이의 틈을 차단한다. 차단돌기(56)의 하측에는 제1 삽입부(56)의 상단이 삽입되는 홈부(55b)가 형성된다. 홈부(55b)는 차단돌기(55a)의 외측면을 타고 흘러 내릴 수 있는 수분이, 라이트가이드(55) 및 제1 삽입부(56)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홀더(50)에는 표시부(62) 및 노브(60)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된 수분을 외부로 안내하는 경사벽(57)이 형성된다. 경사벽(57)은 일측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상기 수분이 경사벽(57)을 타고 일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홀더(50)에는 경사벽(57)을 타고 흘러내리는 상기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홀(58)이 형성된다. 즉, 경사벽(57)으로 유입된 수분은 경사벽(57)을 타고 흘러내려 배수홀(58)을 통해 홀더(50)의 외부로 배출된다.
경사벽(57)은 제1 삽입부(56)의 하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삽입부(56)는 경사벽(57)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2 삽입부(66)는 노브(60)의 상측 내부에서 제1 삽입부(56)를 향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차단돌기(55a)는 라이트가이드(55)의 외측 둘레면에서 돌출되어, 제1 삽입부(56) 및 제2 삽입부(66) 사이로 돌출된다. 즉, 차단돌기(55a)의 상측면에는 제2 삽입부(66)가 접촉되고, 차단돌기(55a)의 하측면에는 제1 삽입부(56)가 접촉된다.
한편, 기판(30)에는 LED(34) 이외에도 별도의 LED(3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노브(60)에는 표시부(62) 이외에도 별도의 표시부(64)가 배치된다. 이 표시부(64)는 LED(36)가 생성하는 빛에 의해 발광된다. LED(34)가 생성한 빛이 표시부(64)로 누광되지 않고, LED(36)가 생성한 빛이 표시부(62)로 누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홀더(50)에는 내부 공간을 LED(34)가 배치되는 공간과, LED(36)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5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10)에는 윈도우 스위치 노브(70)가 더 설치된다. 윈도우 스위치 노브(70)는 자동차의 도어에 배치된 윈도우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윈도우 스위치 노브(70)의 전단부를 들어올리거나 누르면, 상기 윈도우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개폐된다. 윈도우 스위치 노브(70)에도 표시부(72)가 배치된다. 따라서, 기판(30)에는 빛을 생성하는 또 다른 LED(38)가 배치된다. 즉, 표시부(72)는 LED(38)가 생성한 빛에 의해 발광하면서 사용자에게 윈도우 스위치 노브(70)의 위치를 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인디케이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인디케이터는, 자동차의 전원이 들어오게 됨으로써, LED(36)가 빛을 생성하게 되어 표시부(64)가 발광되어 조작 가능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노브(60)를 누르면 홀더(50)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격벽(52)이 결합부재(40)에 배치된 컨택트부(44)를 누르게 되어 컨택트부(44)가 기판(30)과 접촉하게 되어 LED(34)가 빛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빛은 라이트가이드(55)를 통해 표시부(62)로 안내되어 표시부(62)가 발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인디케이터는, 라이트가이드(55)에 형성된 차단돌기(55a)가 라이트가이드(55)와 홀더(50) 사이의 틈을 차단하기 때문에, 라이트가이드(55) 및 노브(60)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된 수분이, 홀더(5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LED(34,36,38) 및 기판(30)이 수분에 의해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케이스 30: 기판
34: LED 50: 홀더
55: 라이트가이드 55a: 차단돌기
55b: 홈부 56: 제1 삽입부
57: 경사벽 58: 배수홀
60: 노브 62: 표시부
66: 제2 삽입부

Claims (6)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빛을 생성하는 LED가 배치되는 기판;
    상기 LED가 생성한 빛을 안내하는 라이트가이드가 배치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를 통과한 빛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배치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라이트가이드 및 홀더 사이의 틈을 차단하는 차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표시부 및 상기 노브 사이의 틈을 통해 유입된 수분이 타고 흐르는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을 타고 흐르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벽에는 상기 라이트가이드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브에는 상기 표시부와 대응하는 내측에 상기 라이트가이드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단돌기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상단 및 상기 제2 삽입부의 하단 사이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보다 외부로 돌출되는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돌기의 상측면에는 상기 제2 삽입부의 하단이 접촉되고,
    상기 차단돌기의 하측면에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상단이 접촉되는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단돌기에는 상기 제1 삽입부의 상단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5. 삭제
  6. 삭제
KR1020150006913A 2015-01-14 2015-01-14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KR101670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913A KR101670366B1 (ko) 2015-01-14 2015-01-14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913A KR101670366B1 (ko) 2015-01-14 2015-01-14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661A KR20160087661A (ko) 2016-07-22
KR101670366B1 true KR101670366B1 (ko) 2016-10-28

Family

ID=5668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913A KR101670366B1 (ko) 2015-01-14 2015-01-14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351B1 (ko) 2020-01-09 2021-07-13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34Y1 (ko) * 2016-10-06 2018-04-06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007169B1 (ko) * 2018-03-28 2019-08-0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697A (ja) 2005-05-23 2006-12-07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
JP2010040301A (ja) * 2008-08-05 2010-02-18 Nippon Seiki Co Ltd スイッチ装置
WO2014017324A1 (ja) * 2012-07-25 2014-01-30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697A (ja) 2005-05-23 2006-12-07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
JP2010040301A (ja) * 2008-08-05 2010-02-18 Nippon Seiki Co Ltd スイッチ装置
WO2014017324A1 (ja) * 2012-07-25 2014-01-30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351B1 (ko) 2020-01-09 2021-07-13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661A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1050B1 (en) Control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244012B1 (ko)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WO2014017325A1 (ja) スイッチ装置
KR101670366B1 (ko)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US8263885B2 (en) Switch device
JP2006253127A (ja) 電気押しボタンスイッチ
MXPA06011953A (es) Aparato operativo con un interruptor de contacto.
US9715841B2 (en) Indication device
KR101781345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US6777633B2 (en) Switch device
JP2014194902A (ja) 防水構造及び防水構造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
KR101127366B1 (ko) 차량의 비상등 스위치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JP4494052B2 (ja) 室内照明灯
JP2008132917A (ja) 車両用コントロールパネル
KR20170001051U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469789B1 (ko) 자동차 인디게이터
KR20160003946U (ko) 차량의 인디케이터
JP2006004690A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KR100543752B1 (ko) 차량용 스위치 구조
TWI468312B (zh) The main switch is illuminated with a lock
KR100593167B1 (ko) 조명 빛 간섭 차단 버튼을 갖춘 히터콘트롤
JP6252984B2 (ja) 車室内照明装置
KR1015785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101400984B1 (ko) 차량용 실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