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51U - 차량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51U
KR20170001051U KR2020150006098U KR20150006098U KR20170001051U KR 20170001051 U KR20170001051 U KR 20170001051U KR 2020150006098 U KR2020150006098 U KR 2020150006098U KR 20150006098 U KR20150006098 U KR 20150006098U KR 20170001051 U KR20170001051 U KR 201700010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isture
prism
blocking portion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2020150006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051U/ko
Publication of KR20170001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광원이 구비된 바디와, 바디내부에 구비되고,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상측으로 확산시키는 바디 프리즘과,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바디 프리즘에서 확산된 빛이 투과하는 투과홀이 형성된 노브와, 바디 프리즘의 상부에 관통되되, 바디 프리즘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바디 프리즘의 상부에 관통되되, 바디 프리즘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바디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고 바디의 외부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유입 방지부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스위치 장치{An apparatus of switch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스위치 내부에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 함은 원동기를 사용하여 운전되는 운송기계로서, 그 구성으로는 엔진, 연료공급장치, 동력전달장치, 현가 및 조향장치, 제동장치, 공조장치 등이 있으며 주로 승객이나 화물의 운송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차량에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는 각종 부가장치들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부가장치는 늘어가는 추세이며, 이러한 부가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스위치 장치는 운전자 내지 탑승자의 조작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램프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한다. 예를 들면, 스위치를 온/오프 시키는 경우, 이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스우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가 작동하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해당 스위치 장치의 온/오프 상태가 인식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램프에 의한 빛은 특히 야간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누름 버튼 방식의 스위치 장치인 경우,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램프의 빛이 출사되는 동작표시부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 수행되는 버튼 노브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동작표시부에 램프의 빛이 전달되도록 프리즘이 스위치 장치 내부에 구비된다.
상술한 스위치 장치는 운전자의 우측(또는 좌측)의 콘솔 박스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는데, 콘솔 박스는 각종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수납부에는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가 마시는 음료를 수납하기 위한 컵홀더가 배치되어,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음료가 쏟아지면 스위치 장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스위치 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프리즘에 수분 유입 방지부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여 스위칭 기능의 불량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광원이 구비된 바디와, 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상측으로 확산시키는 바디 프리즘과,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바디 프리즘에서 확산된 빛이 투과하는 투과홀이 형성된 노브와, 바디 프리즘의 상부에 관통되되, 바디 프리즘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바디 프리즘의 상부에 관통되되, 바디 프리즘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바디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고 바디의 외부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유입 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수분 유입 방지부는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수분 차단부와, 수분 차단부의 상부면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분 차단부에 유입된 수분의 이동을 방지하는 돌출 리브와, 수분 차단부의 일단에 형성되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분 차단부에 유입된 수분을 바디의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분 유입 방지부가 바디에 결합되면, 수분 배출부는 바디의 외측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면접될 수 있다.
또한, 돌출 리브는 수분 차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서오디되, 일측에 수분이 배수되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 리브는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프리즘에 수분 유입 방지부를 형성하여 스위치 내부의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고,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리즘 및 수분 유입 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용 스위치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리즘 및 수분 유입 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광원이 구비된 바디(100)와, 바디(100) 내부에 구비되고,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상측으로 확산시키는 바디 프리즘(300)과, 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바디 프리즘(300)에서 확산된 빛이 투과하는 투과홀(210)이 형성된 노브(200)와, 바디 프리즘(300)의 상부에 관통되되, 바디 프리즘(300)의 상부에 관통되되, 바디 프리즘(300)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바디(100)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바디(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고 바디의 외부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유입 방지부(31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오느 한 부위에 대한 결합을 매개함과 아울러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광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100)는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및 광원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개구된 상측에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스위치를 작동 시키는 노브(200)가 배치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은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은 상측에 전기적인 접점이 이루어지는 스위치 또는 접점 회로(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접점 회로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인 접점 신호를 생성토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은 노브(200)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 구비될 수 있고, 광원은 LED광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는 광원의 빛을 확산시켜 노브(200)에 전달되도록 바디 프리즘(300)이 구비될 수 있다.
노브(200)는 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된 스위치를 작동 시킨다. 또한, 노브(200)는 하방으로 눌림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브(200)의 상측면에 해당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기능을 상징하는 심벌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노브(200)의 상측면에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온/오프 상태를 표시되는 투과홀(2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200)를 통해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된 LED광원들이 바디 프리즘(300)을 통해 확산되어 투과홀(210)을 관통하여 빛이 조사된다. 이에 빛이 투과홀(210)을 관통하여 사용자가 해당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눈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디 프리즘(300)은 바디(100) 내부에 구비되고,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상측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바디 프리즘(300)은 노브(200)에 빛이 전달 될 수 있도록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렴하여 투과홀(2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바디 프리즘(300)은 광원의 크기에 맞게 유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유입 방지부(310)는 바디 프리즘(300)의 상부에 관통되되, 바디 프리즘(300)의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분 유입 방지부(310)는 바디 프리즘(300)의 상부에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분리형으로 형성되거나, 바디 프리즘(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 유입 방지부(310)는 바디 프리즘(30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유입 방지부(310)는 바디(100)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의 유입 경로를 변경시켜, 바디(100) 외측으로 수분을 배출하여 바디(100)로의 수분 유입을 방지한다.
수분 유입 방지부(310)는 바디(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수분 차단부(311)와, 수분 차단부(311)의 상부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분 차단부(311)에 유입된 수분의 이동을 방지하는 돌출 리브(312)와, 수분 차단부(311)의 일단에 형성되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분 차단부(311)에 유입된 수분을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313)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2의 정면에서 볼 경우 'ㄷ' 형태로 형성된다.
수분 차단부(311)는 바디(100)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바디 프리즘(300)과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 바디(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돌출 리브(312)는 수분 차단부의 상부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 되고, 수분 차단부(311)로 유입된 물이 수분 차단부(311)에 고이도록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돌출 리브(312)는 수분 차단부(311)의 둘레를 따라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에 배수홀(312a)이 형성되어 수분 차단부(311)에 고인 물이 배수 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 리브(312)는 일측이 개구된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분 배출부(313)는 수분 차단부(311)의 일단에 형성되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수분 차단부(311)에 유입된 수분을 가이드하여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배수홀(312a)이 형성된 수분 차단부(311)의 끝단부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수분 유입 방지부(310)가 바디(100)에 결합되면 바디(100)의 외측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면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배출부(313)는 수분 차단부(31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분 배출부(313)는 배수홀(312a)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배수홀(312a)를 통과한 수분이 수분 배출부(313)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수분 유입 방지부(310)가 바디 프리즘(300)에 일체로 형성되어 바디(100) 내부에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여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0 : 바디
200 : 노브 210 : 투과홀
300 : 바디 프리즘 310 : 수분 유입 방지부
311 : 수분 차단부 312 : 돌출 리브
313 : 수분 배출부

Claims (5)

  1.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광원이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상측으로 확산시키는 바디 프리즘과;
    상기 바디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 프리즘에서 확산된 빛이 투과하는 투과홀이 형성된 노브와;
    상기 바디 프리즘의 상부에 관통되되, 상기 바디 프리즘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바디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유입 방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유입 방지부는,
    상기 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수분 차단부와;
    상기 수분 차단부의 상부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분 차단부에 유입된 수분의 이동을 방지하는 돌출 리브와;
    상기 수분 차단부의 일단에 형성되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분 차단부에 유입된 수분을 상기 바디의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유입 방지부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면, 상기 수분 배출부는 상기 바디의 외측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면접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수분 차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일측에 수분이 배수되는 배수홀이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ㄷ'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20150006098U 2015-09-11 2015-09-11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1700010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98U KR20170001051U (ko) 2015-09-11 2015-09-11 차량용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98U KR20170001051U (ko) 2015-09-11 2015-09-11 차량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51U true KR20170001051U (ko) 2017-03-21

Family

ID=5849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098U KR20170001051U (ko) 2015-09-11 2015-09-11 차량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05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69B1 (ko) * 2018-03-28 2019-08-0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21005191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102276351B1 (ko) * 2020-01-09 2021-07-13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69B1 (ko) * 2018-03-28 2019-08-0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21005191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102276351B1 (ko) * 2020-01-09 2021-07-13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1300B2 (en) Vehicle interior light with lens integral to lightguide
KR20170001051U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JP2007314073A (ja) 車両用ドアトリム
KR102608678B1 (ko) 엠블럼 장치
JP6338932B2 (ja) カップホルダ
KR101244012B1 (ko)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KR102352130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101261209B1 (ko) 자동차용 엔진 시동 및 정지스위치
US6588270B1 (en) Filling level indicator for a washer fluid container
KR20120118930A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 구조
JP4414423B2 (ja) 車両用コントロールパネル
KR101670366B1 (ko)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US10598339B2 (en) Outside door handle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ame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2352123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101268697B1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JP7145100B2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JP2010033860A (ja) 発光装置
KR101370715B1 (ko) 차량용 푸시 스위치
KR101495746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CN102110398A (zh) 车辆用照明装置
JP6333124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KR101169387B1 (ko) 방수 구조를 구비한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200393153Y1 (ko) 자동차의 유턴 표시장치
KR20100005743U (ko) 다기능 조명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