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697B1 -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697B1
KR101268697B1 KR1020100121372A KR20100121372A KR101268697B1 KR 101268697 B1 KR101268697 B1 KR 101268697B1 KR 1020100121372 A KR1020100121372 A KR 1020100121372A KR 20100121372 A KR20100121372 A KR 20100121372A KR 101268697 B1 KR101268697 B1 KR 101268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open
display unit
light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881A (ko
Inventor
박광열
남규창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6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열림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차량 도어에 장착된 윈도우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조작 노브에 다수개의 차량 도어에 대한 각각의 열림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클러스터에 구비된 도어 열림 표시등의 기능을 보완하여 차량의 어느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Power Window Switch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열림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차량 도어에 장착된 윈도우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조작 노브에 다수개의 차량 도어에 대한 각각의 열림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클러스터에 구비된 도어 열림 표시등의 기능을 보완하여 차량의 어느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또한, 차량에는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과 더불어 보다 안정적인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다양한 점검 표시 장치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클러스터에는 다양한 오일 점검 표시등, 보닛 열림 표시등, 도어 열림 표시등과 같이 다양한 점검 표시등이 구비되는데, 이 중 도어 열림 표시등의 경우 차량에 장착된 다수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에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차량의 도어에는 각각 도어 열림 감지 센서가 장착되고, 이러한 센서로부터 차량 제어부로 신호가 인가되어 다수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린 경우에는 차량 클러스터의 도어 열림 표시등이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이를 인식키시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 열림 표시등은 단순히 하나의 표시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린 상태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만, 어느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는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 열림 표시등이 점등된 경우, 운전자는 어느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차량에서 하차하여 다수개의 차량 도어를 모두 다시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도어 열림 표시등의 점등 상태를 주행 중에 발견한 경우에는 차량을 정차한 후 차에서 하차하여 모든 도어를 다시 열고 닫음으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도로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다른 주행 차량으로 인해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차량 도어에 장착된 윈도우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조작 노브에 다수개의 차량 도어에 대한 각각의 열림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클러스터에 구비된 도어 열림 표시등의 기능을 보완하여 차량의 어느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차량 도어의 열림 상태를 표시하도록 각 조작 노브에 형성된 도어 열림 표시부에 메인 조명 램프의 조명광을 집중 유도하도록 광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도어 열림 표시부를 통한 조명의 밝기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도어 열림 표시부에 대한 조명 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다수개의 도어에 장착된 윈도우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조작 노브와, 상기 조작 노브의 조작에 따라 윈도우에 대한 개폐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PCB 기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조작 노브에 각각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어 열림 표시부; 및 상기 도어 열림 표시부를 통해 각각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상기 PCB 기판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메인 조명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조명 램프는 다수개의 상기 도어에 각각 장착되는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각각 온/오프되도록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도어에 대한 각각의 열림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위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메인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상기 도어 열림 표시부로 집중 유도될 수 있도록 별도의 광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조작 노브에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조작 위치 표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PCB 기판에는 상기 조작 위치 표시부를 통해 각각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서브 조명 램프가 장착되며, 상기 서브 조명 램프는 사용자의 전원 공급 조작에 따라 동시에 온/오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노브에는 상기 메인 조명 램프 및 서브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상호 누광되지 않고 각각 도어 열림 표시부 및 조작 위치 표시부로 출사되도록 별도의 누광 방지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조명 램프 및 서브 조명 램프는 서로 다른 조명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차량 도어에 장착된 윈도우를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조작 노브에 다수개의 차량 도어에 대한 각각의 열림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클러스터에 구비된 도어 열림 표시등의 기능을 보완하여 차량의 어느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차량 도어의 열림 상태를 표시하도록 각 조작 노브에 형성된 도어 열림 표시부에 메인 조명 램프의 조명광을 집중 유도하도록 광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도어 열림 표시부를 통한 조명의 밝기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도어 열림 표시부에 대한 조명 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조작 노브에 형성된 도어 열림 표시부와 조작 위치 표시부에 대한 조명광이 상호 누광되지 않도록 별도의 누광 방지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도어 열림 표시부와 조작 위치 표시부의 조명 상태를 더욱 분명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열림 표시부와 메인 조명 램프의 배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동작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열림 표시부와 메인 조명 램프의 배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다수개의 차량 도어에 대한 각각의 열림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구비하는 장치로서, 차량 내부의 클러스터에 구비된 도어 열림 표시등과는 별도로 차량의 어느 도어가 열린 상태인지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아암 레스트 상에 결합되는 케이스(100)와, 다수개의 차량 도어(미도시)에 장착된 윈도우(미도시)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에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조작 노브(200)와,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스위치(40)와, 각 좌석의 아암 레스트 상에 장착된 윈도우 개폐 스위치에 의한 윈도우의 개폐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윈도우 잠금 스위치(30)와,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 스위치(20)와, 사이드 미러의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사이드 미러 폴딩 스위치(10)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예시적인 것으로 도어 잠금 스위치(40) 또는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 스위치(20) 등은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별도의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때, 케이스(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110)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조작 노브(200)의 조작에 따라 윈도우에 대한 개폐 신호를 생성하는 PCB 기판(300)이 배치된다. PCB 기판(300)의 일측에는 스위치 모듈이 외부 전자 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넥터부(320)가 장착되며, 커넥터부(320)는 외부 전자 기기의 커넥터 단자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외부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PCB 기판(300)의 상부에는 별도의 작동 플레이트(310)가 결합되며, 작동 플레이트(310)에는 각 조작 노브(200)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개의 스위치 단자(311)가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 노브(200)를 시소 방식으로 조작하게 되면, 조작 노브(200)에 연동하도록 결합된 링크 부재(230)들이 이동하며 작동 플레이트(310)의 스위치 단자(311)를 누르는 방식으로 작동되고, 스위치 단자(311)에 의한 작동 신호는 PCB 기판(300) 및 커넥터부(32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달되어 해당 신호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조작 노브(200)는 다수개의 도어에 각각 장착된 윈도우를 각각 개폐 조작할 수 있도록 해당 윈도우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다수개 구비된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윈도우 개폐용 조작 노브(200a)와, 조수석 윈도우 개폐용 조작 노브(200b)와, 운전석의 뒷좌석 윈도우 개폐용 조작 노브(200c)와, 조수석의 뒷좌석 윈도우 개폐용 조작 노브(200d)와 같이 4개의 조작 노브(2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 노브(2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어 열림 표시부(210)가 각각 형성되며, PCB 기판(300)에는 이러한 도어 열림 표시부(210)를 통해 각각 빛이 출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메인 조명 램프(400)가 장착된다.
도어 열림 표시부(210)는 메인 조명 램프(400)에 의한 조명광이 출사되어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노브(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아크릴 수지 또는 투명한 렌즈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조명 램프(400)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하는 램프로서, 일반적인 다양한 조명 램프가 적용될 수 있으나, 휘도가 높고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LED 램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인 조명 램프(400)는 도어 열림 표시부(210)로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각 도어 열림 표시부(210)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도록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수개의 메인 조명 램프(400)는 다수개의 도어에 각각 장착되는 도어 열림 감지 센서(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각각 온/오프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다수개의 도어에 대한 각각의 열림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메인 조명 램프(400)는 다수개의 도어에 각각 장착된 윈도우 개폐를 위한 각각의 조작 노브(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이러한 메인 조명 램프(400)의 조명광은 각 조작 노브(200)에 형성된 도어 열림 표시부(210)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메인 조명 램프(400)가 각각 대응되는 도어의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열림 신호에 따라 온(ON) 상태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도어가 열림 상태인지 사용자로 하여금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석 윈도우 개폐용 조작 노브(200a)의 도어 열림 표시부(210)의 하부에 장착된 메인 조명 램프(400)는 운전석 도어에 대한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고, 조수석 윈도우 개폐용 조작 노브(200b)의 도어 열림 표시부(210)의 하부에 장착된 메인 조명 램프(400)는 조수석 도어에 대한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며, 나머지 뒷좌석 윈도우 개폐용 조작 노브(200c,200d)의 도어 열림 표시부(210)의 하부에 장착된 메인 조명 램프(400)도 마찬가지로 뒷좌석 도어에 대한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메인 조명 램프(400)가 각각의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ECU와 같은 차량 제어부로 인가되는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가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PCB 기판(300)으로 인가되어 메인 조명 램프(400)가 온/오프 동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차량의 각 도어에 대한 도어 열림 감지 센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 열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는 ECU와 같은 차량 제어부로 인가되어 차량 클러스터에 구비된 도어 열림 표시등이 온/오프 동작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로 인가되어 해당 도어 열림 감지 센서에 대응되는 메인 조명 램프(400)가 각각 온/오프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다수개의 차량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린 상태이면, 차량 클러스터에 구비된 도어 열림 표시등이 온 상태로 점등되고, 이와 동시에 열린 상태의 도어에 대응되는 조작 노브(200)의 도어 열림 표시부(210)에는 해당 메인 조명 램프(400)가 온 상태로 점등되어 조명광이 외부로 출사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어느 도어가 열림 상태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다수개의 조작 노브(200)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노브(200)의 상면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열림 표시부(210) 이외에도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별도의 조작 위치 표시부(2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PCB 기판(300)에는 이러한 조작 위치 표시부(220)를 통해 조명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서브 조명 램프(500)가 장착될 수 있다. 조작 위치 표시부(220)는 도어 열림 표시부(2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서브 조명 램프(500) 또한 메인 조명 램프(4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위치 표시부(220)와 도어 열림 표시부(210)에 의한 조명광이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서브 조명 램프(500)와 메인 조명 램프(400)의 조명광 색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서브 조명 램프(500)의 조명광은 백색광, 메인 조명 램프(400)의 조명광은 적색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조명 램프(500) 및 조작 위치 표시부(220)는 야간에 주행하는 경우와 같이 주변이 어두운 경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각 조작 노브(200)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 레버를 통해 미등을 점등 조작하는 경우 이와 동시에 서브 조명 램프(500) 또한 함께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동작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4에는 전술한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이 다양한 종류의 도어 열림 상태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하는지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간 주행의 경우에는 서브 조명 램프(500)가 온 상태로 점등되어 4개의 조작 노브(200)에 각각 형성된 조작 위치 표시부(220)를 통해 서브 조명 램프(500)의 조명광이 모두 출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윈도우 개폐용 조작 노브(200)의 도어 열림 표시부(210)가 메인 조명 램프(400)에 의해 발광하게 되면, 사용자는 이러한 표시를 인식하여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운전석 도어를 다시 열었다 닫음으로써 정상적인 도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차량 클러스터의 도어 열림 표시등은 점등 상태가 되며, 사용자는 최초 도어 열림 표시등을 통해 도어의 열림 상태를 파악하게 되고, 이후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확인함으로써, 운전석 도어가 열림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상태는 주간 주행 상황으로 서브 조명 램프(500)가 모두 오프 상태이며, 따라서 조작 위치 표시부(220)는 발광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윈도우 개폐용 조작 노브(200)의 도어 열림 표시부(210)가 메인 조명 램프(400)에 의해 발광하게 되면, 이는 전술한 도 4의 (a)에 도시된 상태와 마찬가지 상태로서, 사용자가 운전석 도어의 열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도어 열림 표시부(210)가 동시에 발광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2개의 도어가 열림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상태의 경우, 조수석 도어와 조수석 뒷좌석 도어가 열림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각 도어에 장착되는 윈도우를 개폐할 수 있는 각각의 조작 노브(200)에 각각 메인 조명 램프(400)의 조명광이 출사되는 도어 열림 표시부(210)를 형성하고, 각 조작 노브(200)에 대응되는 도어의 열림 상태에 따라 메인 조명 램프(400)가 각각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현재 어느 도어가 열림 상태인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클러스터의 도어 열림 표시등의 기능을 보완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 조건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메인 조명 램프(400)는 각 조작 노브(200)에 형성된 도어 열림 표시부(210)를 통해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도어 열림 표시부(210)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데, 이 경우 도어 열림 표시부(210)는 조작 노브(200)의 상단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상 메인 조명 램프(400)와 도어 열림 표시부(210)까지의 이격 거리가 상당히 크게 유지되므로 메인 조명 램프(400)의 조명광이 분산되어 도어 열림 표시부(210)로 출사되는 광량이 매우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조명 램프(400)의 조명광을 도어 열림 표시부(210)로 집중 유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케이스(120)에 별도의 광 가이드(1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 가이드(1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조명 램프(4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수직 방향의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 조명 램프(400)의 조명광이 분산되지 않고 연직 상부의 도어 열림 표시부(210)로 집중 유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광 가이드(121)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메인 조명 램프(400)를 사용하더라도 조명광이 도어 열림 표시부(210)로 집중되어 출사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밝은 조명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 열림 표시부(210)의 조명광을 더욱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조작 노브(2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열림 표시부(210)에 더하여 조작 위치 표시부(220)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므로, 메인 조명 램프(400)와 서브 조명 램프(500)의 조명광이 각각 도어 열림 표시부(210) 및 조작 위치 표시부(220)로만 출사되지 않고, 상호 누광되어 출사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 열림 표시부(210) 및 조작 위치 표시부(220)의 조명광의 정확하게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노브(2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조명 램프(400)와 서브 조명 램프(500)의 조명광이 상호 누광되지 않고 각각 도어 열림 표시부(210) 및 조작 위치 표시부(220)로 출사되도록 별도의 누광 방지 가이드(2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광 방지 가이드(201)를 통해 메인 조명 램프(400)와 서브 조명 램프(500)의 조명광이 누광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 열림 표시부(210)와 조작 위치 표시부(220)를 통해 출사되는 조명광은 더욱 분명하게 구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인식 정도를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21: 광 가이드
200: 조작 노브 201: 누광 방지 가이드
210: 도어 열림 표시부 220: 조작 위치 표시부
300: PCB 기판 400: 메인 조명 램프
500: 서브 조명 램프

Claims (5)

  1. 케이스와, 다수개의 도어에 장착된 윈도우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조작 노브와, 상기 조작 노브의 조작에 따라 윈도우에 대한 개폐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PCB 기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조작 노브에 각각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 노브의 상면에 형성되는 도어 열림 표시부; 및 상기 도어 열림 표시부를 통해 각각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상기 PCB 기판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메인 조명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조명 램프는 다수개의 상기 도어에 각각 장착되는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각각 온/오프되도록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도어에 대한 각각의 열림 상태를 표시하고,
    다수개의 상기 조작 노브의 상면에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조작 위치 표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PCB 기판에는 상기 조작 위치 표시부를 통해 각각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서브 조명 램프가 장착되며, 상기 서브 조명 램프는 사용자의 전원 공급 조작에 따라 동시에 온/오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작 노브에는 상기 메인 조명 램프 및 서브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상호 누광되지 않고 각각 도어 열림 표시부 및 조작 위치 표시부로 출사되도록 별도의 누광 방지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조명 램프 및 서브 조명 램프는 서로 다른 조명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메인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상기 도어 열림 표시부로 집중 유도될 수 있도록 별도의 광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121372A 2010-12-01 2010-12-01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268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372A KR101268697B1 (ko) 2010-12-01 2010-12-01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372A KR101268697B1 (ko) 2010-12-01 2010-12-01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881A KR20120059881A (ko) 2012-06-11
KR101268697B1 true KR101268697B1 (ko) 2013-05-29

Family

ID=4661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372A KR101268697B1 (ko) 2010-12-01 2010-12-01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6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983B1 (ko) 2018-10-30 2020-04-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210051914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168B1 (ko) 2014-11-27 2016-07-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클러스터를 이용한 도어 열림 알림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983B1 (ko) 2018-10-30 2020-04-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210051914A (ko)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881A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0172B2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10889265B2 (en) Vehicle function control system using sensing and icon display module
US8235460B2 (en) Vehicle window assembly
CN102774317B (zh) 车辆顶灯和阅读灯
US20120104789A1 (en) Vehicle window assembly
KR20050024648A (ko)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발광 장치
KR20040101010A (ko) 자동차 도어핸들 모듈
KR20150000092U (ko) 차문개폐 시의 자동조명강화 및 경고용 안전장치
US20190032374A1 (en) Handle for vehicle do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268697B1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160132945A (ko) 어린이 안전 장치를 갖는 차량 도어 래치
JP2007084033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CN107735284A (zh) 用于车辆的侧面闪光信号灯
US20190153748A1 (en) Motor vehicle lock
JP4680010B2 (ja) 操作パネル
US20230150343A1 (en) Vehicular rear window assembly with system status indicator
US11511664B2 (en) Illumination module for illuminating a region of a vehicle component
JP5609625B2 (ja) 車両室内照明装置
JPS61202953A (ja) 車両のスイツチ制御装置
CN105329076B (zh) 汽车及其天窗组件
JP2020044860A (ja) 車両用ライン照明装置
KR0126060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점등회로
JPH08161957A (ja) スイッチ装置
JP2006138104A (ja) 車両用スイッチ
KR20190061207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